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 自動車産業의 換率轉嫁에 관한 硏究

        김창모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599

        1970년대 들어 세계 주요 선진국들이 변동환율제도를 채택한 이후 환율의 자동조정기능에 따라 주요 국가의 국제수지가 안정화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러나 당초의 이런 기대와는 달리 환율은 급격하게 변동하였으며, 주요 국가의 무역수지 불균형 현상도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수출기업 또는 수입기업들이 환율이 변동하는 폭 만큼을 교역재의 가격에 반영하고 있지 않는 현상이 관측되면서 이에 대한 추정을 시도하는 연구와 그 원인을 규명하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환율이 변동하면 무역수지와 물가는 물론이고 기업의 채산성 등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환율전가(exchange rate pass-through)란 환율이 변동할 때 그 변화가 상품의 가격에 얼마만큼 반영되는지의 정도를 의미한다. 환율변동이 각종 물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규명하는 연구들이 그동안 많이 이루어져 왔다. 기존 연구들을 보면 주로 제조업 전체 또는 제조업을 특성별로 큰 범주로 몇 개의 산업으로 구분한 후 환율의 변동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 주를 이루고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특정 산업에 초점을 맞추어 환율이 해당 산업 수출입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연구들도 진행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동차산업에 초점을 맞추어 환율변동이 어떻게 자동차산업의 수출입가격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1980년대 이후로 우리나라의 자동차 산업은 국내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자동차산업은 생산, 고용, 수출액에 있어서 전체 산업에서의 비중이 10% 이상 되는 매우 중요한 산업이다. 또한 자동차생산에 있어서도 세계 5위 규모의 생산대국이라고 할 수 있다. 1962년 KD부품을 수입하여 조립하면서 시작한 국내 자동차산업은 초기에는 정부의 강력한 보호육성 정책에 힘입어 고유모델을 만들 수 있었으며, 1980년대 후반에 들어와서는 자동차대중화기(motorization)를 맞이하면서 성장을 배가하게 되었다. 1990년대 중반부터 국내 자동차 내수시장이 성숙기에 진입함에 따라 성장에 한계를 가지고 있는 국내시장에서 시장을 확대하여 적극적으로 해외시장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그 결과로 내수판매보다 수출이 더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현재까지 수출이 국내 자동차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또한 수입에 있어서도 1980년대 후반 승용차부문의 수입자유화가 이루어진 이후 수입관세도 점진적으로 인하 되었으며, 1999년에는 수입선 다변화제도 역시 철폐되었다. 특히 2000년대에 들어와서는 수입차의 한국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빠른 속도로 높아지고 있어, 수출뿐만 아니라 수입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산업이 되어가고 있다. 이처럼 우리나라의 무역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자동차산업을 대상으로 환율의 변화가 수출입 가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고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990년 3월부터 2010년 2월까지의 월별자료를 사용하여 자동차산업 수출입물가에 대한 환율전가도를 장기 균형식과 단기 동태식을 이용하여 산출해 보았다. 우선 환율이 자동차산업의 수출가격에 미치는 영향, 즉 환율전가도를 추정하였는데,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운송장비제품의 수출물가를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을 때 장기 환율전가도가 -0.41로, 그리고 단기 환율전가도는 -0.07로 추정되었다. 이는 환율이 10% 변동할 때 수출가격에는 단기적으로는 0.7%, 장기적으로는 4.1% 반영된다는 의미로, 자동차 수출시장에 있어서 환율의 변화에 대응하여 단기에는 가격을 일부만 조정하다가 어느 정도 시간을 두고 가격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운송장비제품을 경승용차, 소형승용차, 대형승용차, 레저용승용차 등 세부 품목별로 구분하여 전가도를 추정한 결과, 대체로 차량의 크기가 클수록 전가도가 낮게 나타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으며, 품목에 따라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출시장에서 품목별로도 환율이 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수출기업 입장에서는 환율변화에 대비한 가격책정전략에 있어서 품목별 요소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자동차산업의 수입물가에 대해서 추정한 결과 장기 환율전가도가 0.86으로, 단기 환율전가도는 0.77로 각각 추정되었다. 자동차산업의 수입물가는 환율의 변화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으며, 장기뿐만 아니라 단기에서도 비교적 즉각적으로 환율의 변동이 가격에 반영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형자동차, 대형자동차, 산업용특수차등 세부품목으로 구분하여 환율전가도를 추정한 결과 세부 품목별로 큰 차이를 볼 수 없었다. 한편, 자동차산업의 수출입물가를 이용하여 추정한 환율전가도를 전체 산업의 수출입물가를 이용하여 측정한 환율전가도와 비교해 보았다. 수출물가에 있어서는 자동차산업의 환율전가도가 전체 산업의 환율전가도보다 낮게 산출되었으며, 수입물가에서는 자동차 산업의 환율전가도가 전체 산업의 환율전가도보다 더 큰 것으로 산출되었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정리해 보면 국내 자동차산업의 경우 수출시장에서는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기 위한 시장중시 가격행태를 보이고 있으며, 수입시장에서는 생산국 기업의 통화를 중심으로 가격을 설정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세부품목에 따라서도 환율전가도에 상당한 차이를 볼 수 있었으며, 특히 수출시장에서 큰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다. 이를 기업입장에서 보면 환율의 변동이 직접적으로 채산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기 때문에 시장전략에 있어서 품목별로 환율과 관련된 효과를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Since the floating exchange rate system has been adopted by some major industrial countries in the early seventies, many people believed that the automatic price adjustment mechanism of exchange rates could stabilize the trade imbalances of some major countries. However, major exchange rates have shown very volatile behaviors, and the trade imbalances of some important countries such as the U.S. have also sustained. As the firms participating in international trade do not fully adjust its prices when exchange rate changes, many researchers have focused their interests on this issue. Exchange rate pass-through is defined as the extent to which exchange rate changes are passed through domestic price levels. It has been a key empirical issue in international finance literature. An automobile industry has been a major building block of Korean economy since the 1980s. Focusing on the Korean automobile industry, this study examines the pass-through effects of exchange rates on import and export prices using the monthly data from March 1990 to February 2010.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tent of exchange rate pass-through on export prices is estimated to be less than that on import prices. Second, short-run exchange rate pass-through effect is less than long-run exchange rate pass-through effect in most cases, suggesting that it takes a little bit of time for the firms to adjust its prices. Third, when the exchange rate pass-through effects are estimated using the SITC 4-digit level data, it turns out that there exist significant differences of pass-through effects among the groups. The exchange rate pass-through effects on export prices are estimated to be inversely related to the size of an automobile, while no similar pattern can be observed in the case of import prices.

      • 중국 은행산업의 대외개방정책에 관한 연구

        유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중국의 은행산업체제는 중국인민은행이 중앙은행의 역할을 하며, 대형 상업은행들이 주축을 이루면서 기타 정책적 은행, 중소형 상업은행, 농촌금융기관, 외자은행, 그리고 은행감독관리위원회와 은행협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978년부터 지금까지 중국 은행산업의 발전은 체제재건단계, 확대발전단계, 개혁심화단계, 개혁핵심단계의 4가지 단계(论中国商业银行的改革)를 경험하였으며, 2009년 6월말 기준으로 중국 은행산업의 자산총액은 73.7조 위엔 을 기록하였다. 1978년의 은행산업 자산총액보다 388배 늘어난 수치로 연평균21.2%(新中国银行业发展回顾与展望) 성장하였다. 중국 은행산업의 대외개방 진행과정은 지금까지 초기 개방단계, 초기 발전단계, 시장전면개방 과도기, 전면개방단계의 4가지 단계를 거쳐왔다. 2008년에 외자은행이 영업기관이 모두 300개를 넘어서 있고 외자은행의 자산총액은 약 1.3조 위엔(中国银行业监督管理委员会 2008年 年报)을 기록하였다. 중국 은행시장의 대외개방정책은 외자은행에 대한 법률제도의 수립과 개선, 수정작업과 함께 외자은행의 관리, 감독에 초전을 맞추고 있으며, 대외개방정책은 지금 적용되고 있는 대외개방정책은 중국 국무원에서 2006년 11월에 밝힌<中华人民共和国外资银行管理条例>에 근거하고 있다. 대외적 개방정책의 시장진입에 대한 주요 내용을 보면 시한 규정, 본점의 자산규모규정, 등기자본, 지점 운영자금, 지점 운영자금비율 등에 관련된 내용이 있다. 업무범위에 대한 내용을 보면 법인(法人) 외자은행의 업무범위는 중국 국내은행과 동일하지만 비법인(非法人) 외국은행지점의 경우는 차이가 있고 다른 규정을 적용하여 예금업무에도 제한이 있으며 은행카드 업무도 불가능하다. 설립절차를 보면 처음 건설기획을 시작할 때부터 영업허가를 받을 때까지 최저 14개월부터 최장 20개월까지의 시간이 필요하다. 외국은행에 대한 감독 관리의 주요내용을 보면 외자은행에 대한 예금준비금, 자본충족율, 대금잔액과 예금잔액의 비율, 고객당 가능 대출금액비율, 유동성자산잔액과 유동성 부채잔액의 비율등에 관련된 조항이 있다. 법인외자은행은 중국 국내은행과 차이가 없지만, 비법인적 외국은행지점은 운영자금의 자산종류 제한, 인민폐자산과 인민폐위험자산의 비율에 대한 추가 규정, 중국내의 자산잔액과 자산부채잔액에 대한 규정에서 차이가 있다. 그밖의 대외개방정책에는 은행의 어떤 현실적인 문제점이 존재하는지 이 논문에서 조사해 보았다. 요약하면 이논문에서는 중국 은행산업의 현황과 대외개방의 현황을 알아보고 대외개방정책에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 알아 보았다. In the mid 1980’s, the level of banking service in China was not at the same level as in other countries. On September 17, 1983, the State Council issued a document allowing the People's Bank to exercise the functions of the central bank, and established the China Industrial and Commercial Bank of China and the Bank of China. In order to fulfill the WTO requirements, the Chinese government modified the structure of the banking system. When China joined the WTO, the organization demanded China to comply with special obligations concerning the service industy, especially focusing on the banking industry. China had to agree to open their banking sector immediately to the foreign banks within five years after joining the WTO from 2001 - 2006. The Chinese government agreed that it would allow foreign banks to practice foreign currency businesses without any restrictions or national treatment limitations, and to conduct foreign currency business with foreign companies and foreigners, subject to certain geographic restrictions. In two years after joining the WTO, foreign banks are able to conduct domestic currency business with Chinese companies subject to special geographic limitations, and within five years China agreed to lift all geographic restrictions. China also agreed that foreign banks are allowed to provide financial leasing services at the same time as their Chinese counterparts. By the end of May 2006, 74 foreign banks established 191 branches in China. Currently they are allowed to conduct local currency business in 25 Chinese cities. However, there are still market access restrictions, one of which is that any foreign bank looking to gain a foothold in a city must open a representative office, which can offer only advisory, non-profit making services, in the city and maintain it for two years. Only then can’t apply to open a branch office and actually start doing business. The representative office rule has been lifted in western China to encourage investment and the government has indicated this policy could soon be extended nationwide. In general, China’s banking system does have a prosperous outlook. with the WTO pushing for the opening up of the banking industry. China is implementing regulations for foreign banks to access all areas. As China's economy is growing, the Chinese banking market will not only become one of the largest banking market, it could become the most lucrative markets in the world.

      • 한국-뉴질랜드간의 경제협력과 FTA에 관한연구

        최종화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FTA 협상을 통해 무역장벽 해소가 무역량 증대 및 시장 점유률 을 확대한다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국과 현재 FTA 협상 국가 중에서 뉴질랜드를 선택하여 한국과의 무역현황, 경제협력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한국은 2003년 참여정부시절부터 여러 국가와 FTA 협상을 추진하여 2010년 현재 발효된 국가는 5개 국가이며, 3개국은 서명완료, 협상중인 국가는 7개국이다. 무역의존도가 높은 한국에 있어서 FTA 협상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뉴질랜드는 현재 한국과 FTA 협상중인 국가이다. 특히 국가브랜드전략으로 관광국가의 이미지와 함께 1차 산업을 기반으로 낙농업이 잘 발달해 있다. 1차 상품을 수출하고 공산품을 수입하는 개도국형태의 무역구조를 지니고 있다. 한국 과 뉴질랜드간의 무역형태는 상호보완적인 무역구조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 제조업위주의 3차 상품을 주로 수출하고 뉴질랜드는 원목, 쇠고기 등의 1차 상품을 수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가진 양국의 산업경쟁력을 분석하기 위해 현시비교우위지수(RCA)와 무역특화지수(TSI)를 이용하였다. 한국과 뉴질랜드가 독자적으로 체결한 FTA 이후 무역액 및 비중의 증가를 보여 왔으며, 이를 통해 저렴한 상품의 공급이 자국민의 생활수준을 늘려왔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FTA 체결이 한국과 뉴질랜드에 미치게 되는 기대효과, 문제점 등을 살펴봄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FTA 체결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selects New Zealand among the nations Korea is currently doing FTA negotiation with and examines its trading status and economic cooperation with Korea,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that FTA negotiation lowers the trade barrier, increases trade volume, and extends market shares. Since 2003, Korea has promoted FTA negotiation with several nations. In 2010, Korea has established FTA with five nations(Chile, EFTA, Singapore, ASEAN, India) signed it with three nations(USA, EU, Peru), and is negotiating it with seven nations(Canada, Mexico, GCC, Australia, New Zealand, Columbia, Turkey). Promoting FTA with some key countries plays on important role in Korea economy which depends heavily on a foreign sector. New Zealand is the nation that Korea is presently under the process of FTA negotiation. The government of New Zealand sets up a national brand strategy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daily farming and sightseeing industries. It's trading structure is typical of a developing country that exports primary goods and imports industrial products. The trading structures of Korea and New Zealand seem to be complementary. Korean exports are mainly centered on the manufacturing products, while New Zealand exports primary goods such as timber and beef. In order to analyze industrial competitiveness of the two nations, this study used the index of RCA and TSI. The FTAs with other countries have increased the trade volume and its importance for both countries. Though FTAs, the supply of inexpensive goods has expanded, elevating the people’s standard of living. This paper of FTA between Korea and New Zealand, and proposes some possible problems, the FTA might cause.

      • 중국 주식시장의 현황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허밍량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회주의 국가이라는 중국은 시장경제를 발전하기 위해 주식시장을 건설하고 있었다. 중국 주식시장은 1990년 상해증권거래소 설립할 때부터 지금까지 23년 동안 발전되었다. 본 연구는 중국 주식시장의 발전과정을 소개하고 주식시장의 구성 및 현황을 고찰하며 중국주식시장의 특징을 몇 가지 제출하여 분석을 통해 주식시장 향후의 발전방안을 탐구 하고자 한다. 중국 주식시장 탄생 초기의 주요 특징은 국가 보유한 법인주를 시장에서 유통할 수 없는 것이다. 중국 주식시장의 발전과정에 대해 고찰하여 2005 년부터 주권분치개혁을 통해 국유 법인주의 주권문제의 해결을 시도하였으며 주가지수의 급등락을 볼 수 있었다. 주가지수는 2006 년의 1100 포인트에서 2007년 10월 6124 포인트로 사상최고점을 기록하였다가 지속적인 하락세를 시작하며 2008년 11월 1665 포인트까지 떨어졌다. 이런 대폭 급등락 한 주가지수는 세계범위에도 보기 드물다. 이로부터 중국 주식시장은 아직 성숙하지 못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중국 주식시장에 존재하는 부실 IPO의 비중증가, 은행주도형 금융시스템, 개인 투자자를 위주로 주식시장, 높은 회전율 넷 가지 특징을 제출하며 다품목 금융상품의 거래시장 개발, A, B주식시장의 합병, 기관 투자자를 주도하는 주식시장을 조성 등 발전방안을 제출하고자 한다. 앞으로 중국 주식시장 어떻게 발전하는지 제안하여 성숙한 주식시장 되도록 탐구하고자 한다. The Chinese stock market has been an important ingredient in the development of Chinese socialist market economy. It has been 23 years since the Shanghai Stock Exchange was first established in 1990. In this paper, I reviewed some historical event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Chinese stock market. I also investigated some main characteristics and current issues of the Chinese stock market in an attempt to propose a feasible future development plans. One of the main features of the Chinese stock market is that the shares held by state-owned firms cannot be freely distributed in the market. The Chinese government has been trying to solve the problem of state-owned shares through the reform of non-tradable shares in 2005, but had little success. Stock price fluctuations have been very volatile. The Shanghai stock index which had recorded 1,100 in 2006 recorded the peak level(6,124) in October, 2007 and stumbled back to 1,665 in November 2008. These significant fluctuations in the stock price index have rarely been seen in other stock markets of industrial countries, which shows the immaturity of the Chinese stock market. Other features of the Chinese stock market I would like to propos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financial outputs of the newly introduced firms in the market through IPO has been worse than market averages; 2) the bank-led financial system may be vulnerable to external shocks; 3) inexperienced private investors and the lack of the guidance system may disturb the development of the stock market; 4) too many daily traders with high turn-over ratios may increase the volatility of the stock market. All these features of the Chinese stock market should be properly considered in order for the Chinese stock market to sustain its growth level.

      • 복부 방선균증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 경과

        박익수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PURPOSE: Actinomycosis is a rare chronic, supprative, and granulomatous infection caused by the anaerobic gram-positive bacterium, Actinomycoces israelii and characterized by multiple abscess, draining sinuses and the appearance of sulfur granules. Abdominal actinomycosis can simulate malignant tumor of abdominal cavity on clinical and radiological examinations. The diagnosis is almost confirmed after surgery and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of the surgical specimen.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analyze clinical features and outcomes of treatment of patients diagnosed with abdominal actinomycosi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evaluated 45 cases diagnosed with abdominal actinomycosis and treated with medical and/or surgical methods from January 1990 to March 2008 in AMC. RESULTS: A total of 45 patients (41 Female, 4 male)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Among them, 15 patients (33.3%) had previous abdominal surgery and 25 patients (61%) had a history of intrauterine device use. Radiologic findings (CT and MRI) included infiltration (33 cases, 78.5%), mass (29 cases, 69%), and bowel wall thickening (27 cases, 64.2%) and colonoscopy showed edema (21 cases, 61.7%), erythema (13 cases, 38.2%), mass-like or nodular lesion (12 cases, 35.2%), and luminal stenosis (8 cases, 38.2%). 25 patients had been on antibiotics after the confirmation of histopathological specimen by surgery. 20 patients were treated with antibiotics based on clinical and radiological diagnosis. In both combined (medical & surgical) treatment group and medical treatment group, the median hospital stay was 23 and 16.5 days (range: 9-50 and 4-47 days) respectively. The median duration of treatment with antibiotics was 26 and 19.5 weeks (range: 4-50 and 4-52 weeks) respectively. In medical treatment group, the disease was recurred in two patients during follow-up perio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in terms of the hospital stay and duration of treatment with antibiotics between two groups. (p>0.05) CONCLUSIONS: The clues of diagnosis of abdominal actinomycosis included a history of previous abdominal surgery or IUD use, infiltrative lesion with mass on radiologic examinations, and the exclusion of intraluminal disease with colonoscopy. In terms of definite diagnosis, the recurrence rate, and exclusion of malignancy, surgical management may be useful, however, considering shorter hospital stay and median duration of treatment with antibiotics based on possibl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radiologic findings of abdominal actinomycosis, medical treatment could be an option. 목적: 복부 방선균증은 복강내 다발성 농양, 배농성 누공, 조밀한 섬유조직의 반흔 등을 특징으로 하는 매우 드문 만성 화농성 염증성 질환으로 악성 종양과 감별이 어려워 수술 후 진단이 내려지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는 복부 방선균증으로 진단된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치료의 경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0년 1월 1일부터 2008년 4월까지 서울아산병원(Asan Medical Center, Seoul, Korea)에서 복부 방선균증으로 진단받은 45명을 후향적으로 항생제만을 투여한 내과적 치료군과 수술 및 항생제의 병합 치료군으로 분류하여 임상적인 특징과 치료 경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총 45예 중 여성은 41명(91.1%)이었다. 수술 과거력은 15명(33.3%; 남 2명), 자궁내 피임장치 사용력은 25명(61.0%)에서 확인하였다. 전산화단층촬영 및 자기공명영상의 영상의학적 검사에서 주위 장기로의 침윤(33예, 78.5%), 복부 및 골반강내 종괴(29예, 69.0%), 장벽의 비대(27예, 64.2%) 등의 소견을 보였다. 하부소화관 내시경 검사(대장내시경 및 구불결장내시경)에서 장벽의 국소적 부종 21예(61.7%), 국소적 발적 13예(38.2%), 종괴 및 결정성 병변 12예(35.2%), 그리고 내강 협착 8예(23.5%) 등의 소견을 보였다. 치료는25명에서 수술적 치료 후 항생제를 투여하였고, 나머지 20명은 임상적 그리고 영상의학적 소견을 근거로 항생제를 투여하였다. 입원 후 재원기간은 항생제만을 투여한 내과적 치료군은 중앙값 16.5일(범위: 4-47일), 수술 및 항생제의 병합 치료군은 중앙값 23일(범위: 9-50일)이었다. 재발은 항생제만을 투여한 내과적 치료군에서2명(4.4%) 발생하였고, 항생제의 사용기간은 수술 및 항생제의 병합 치료군에서 중앙값 26주(범위:4-50주) , 항생제만을 투여한 치료군에서 중앙값19.5주(범위:4-52주)를 투여하였다. 두 치료군간의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p>0.05) 결론: 수술 또는 자궁내 피임장치의 과거력, 종괴를 동반하여 주위 조직으로의 침윤성 병변 그리고 하부위장관내시경 검사를 통하여 내강 내 병변을 배제한 경우 복부 방선균증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겠다. 악성 종양과의 감별 진단 및 재발률 등을 고려할 때 수술적 치료가 유용하다고 생각되지만 입원 기간 및 항생제 사용기간을 감안하면 임상적 특징 및 영상의학적 소견을 근거로 내과적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겠다.

      • 췌장 종괴의 감별진단을 위한 내시경초음파를 이용한 세침흡인검사 : 19-gauge와 22-gauge 흡인 바늘의 진단 성적 비교

        송태준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연구목적: 내시경초음파를 이용한 세침흡인검사(endoscopic ultrasound-guided fine needle aspiration; EUS-FNA)는 경피적 접근이 어려운 췌장 종괴에 근접하여 조직학적 진단을 할 수 있는 유용하고 안전한 검사이다. 그러나 췌장 종괴는 다른 장기에 비해 부적절한 조직검사의 비율이 높아 4~19%에 이르고 있어 진단률을 높이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 중 한가지 방법으로 병리의사가 시술에 함께 참여하는 경우 채취한 표본의 적합성을 바로 확인하여 부적합한 경우 그 자리에서 EUS-FNA를 재 시행할 수 있어 진단률을 10~15% 높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우리 나라의 의료현실을 감안할 때 병리의사가 매번 시술에 참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현재 많은 경우에 22-gauge의 바늘을 사용하여 EUS-FNA를 시행하고 있으나 바늘이 가늘어 채취되는 표본의 양도 적다는 단점이 있다. 19-gauge 바늘을 이용하여 EUS-FNA를 시행하는 경우 직경이 굵은 바늘을 사용하는 만큼 다량의 표본을 얻을 수 있어 진단률을 높이는데 도움이 되리라 생각되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대규모 연구는 없었다. 따라서 과연 바늘의 구경을 크게 하는 것이 진단률 상승에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연구방법: 2007년 3월부터 2008년 4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췌장 종괴의 감별진단을 위하여 19-gauge 혹은 22-gauge의 흡인 바늘을 이용한 EUS-FNA를 시행했던 117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EUS와 EUS-FNA는 소화기병 센터에서 실시하였으며, 세침흡인검사는 19-gauge와 22-gauge 의 두 가지 종류의 흡인 바늘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각 군의 조직의 적합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채취된 조직 슬라이드를 확인하여 (1) 얻어진 세포의 양, (2) 적절한 조직의 구조와 세포 배열의 유지, (3) 세포 변성의 정도, (4) 세포 손상의 정도, (5) 진단을 방해하는 혈액이나 혈괴의 양의 항목에 대해 각각 0~2점까지의 점수를 부여하여 비교하였다. 췌장의 병변은 수술적 절제, 방사선학적 검사, 임상적인 추적관찰, 경피적 생검 등의 추가적인 자료를 종합하여 최종적인 진단을 얻고 이를 근거로 EUS-FNA의 진단의 정확도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진단의 정확도는 22-gauge군이78.1%, 19-gauge군이 93.9%로 19-gauge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진단의 정확도가 높았다(p<0.05). 평균적인 바늘의 통과 횟수는 각각 2.78±0.88회(22-gauge 군)와 2.27±0.87회(19-gauge 군)로 19-gauge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p<0.05). 조직의 적합성을 비교했을 때 19-gauge군에서 얻어진 세포의 양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얻었다 (22-gauge 군, 1.32±0.74; 19-gauge 군, 1.59±0.55; p<0.05). 합병증은 22-gauge 군에서 경한 췌장 효소 수치의 상승이 3명에서 관찰되었고, 19-gauge 군에서는 특별한 합병증이 없었다. 결론: 췌장 종괴의 진단에서19-gauge 흡인 바늘을 이용한 EUS-FNA는 22-gauge 흡인 바늘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진단 정확도가 의미 있게 높았다. 19-gauge 흡인 바늘을 이용한 EUS-FNA는 시술 시 적은 횟수의 바늘 통과로 합병증의 증가 없이 더 많은 양의 조직을 채취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었다. 따라서 향후 췌장 및 췌장 주위 종괴의 진단에서 시술 중 병리의사가 참여하지 않는 경우에도 진단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의 하나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Backgrounds: Endoscopic ultrasound-guided fine-needle aspiration (EUS-FNA) is a well established tool for the evaluation of pancreatic mass. The sample adequacy of EUS-FNA for the solid pancreatic mass without an onsite cytopathologist was reported as about 70%. Ai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US-FNA results using 19-gauge aspiration needle with those using 22-gauge aspiration needle without an onsite cytopathologist with regard to diagnostic accuracy and sample quality in patients with solid pancreatic mass. Patients and methods: From March 2007 to April 2008, a total of 117 patients (57 in 22-gauge needle group and 60 in 19-gauge needle group) with solid pancreatic mass were included. EUS-FNA was performed using the standard technique without an onsite cytopathologist. A single blinded cytopathologist retrospectively evaluated each set of slides. Results: The overall diagnostic accuracy was significantly higher (93.9% vs. 78.1%, p<0.05) and the mean number of needle passages was significantly lower (2.27±0.87 vs 2.78±0.88, p<0.05) in the 19-gauge than in the 22-gauge needle group. In addition, the amount of cellular material obtaine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19-gauge group (1.59±0.55 vs. 1.32±0.74, p<0.05). There was no serious complication related to EUS-FNA procedure. Conclusion: The diagnostic accuracy of EUS-FNA using a 19-gauge needl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using a 22-gauge needle when an onsite cytopathologist was not present. EUS-FNA using a 19-gauge aspiration needle obtained a larger amount of sample with fewer needle passages. EUS-FNA with a 19-gauge aspiration needle may be a valuable method for the diagnosis of pancreatic masses.

      • 국제시장 원유가격의 추이와 시대별 원유가격 결정요인 분석

        전지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석유산업의 중요성은 기술 혁신의 흐름을 타고 급속히 증가해 왔다. 19세기 초반 영국에서 시작된 산업혁명은 유럽의 다른 국가로 빠르게 전파되었으면, 1960년경 석유는 석탄을 제치고 주요 1차 에너지원이 되었다. 석유는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 없어서는 안 될 요소가 되었다. 석유가 없다면 우리의 일상생활과 물질적 안락함은 유지되지 않았을 것이다. 중국은 개혁개방 이후 경제를 발전시켜 왔다. 특히 1992년 덩샤오핑 중국 국가주석의 남순강화이후 중국 경제는 20년간 10%내외의 지속적인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경제의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려면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중국은 급속한 경제성장에 따른 석유수요의 증가로 1993년부터 원유를 수입하기 시작하였다. 1996년 원유 순수입국가로 전환된 이래 원유 대외의존도가 2011년도에 56.5%를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와 같은 속도가 유지될 경우 2020년도에는 70%를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첫째, 국제 석유시장의 역사 및 개괄적인 현황을 살펴보았다. 전 세계 석유 매장량의 변화 추이에 대하여 알아본 후 주요 지역별 또는 국가별로 생산 및 소비의 변동 추이 및 현황을 살펴보았다. 둘째, 1970년대 이후 최근까지 국제 원유가격의 추이 및 변동요인에 대하여 시대별로 고찰해 보았다. 국제 시장에서 주로 거래되는 세 가지 원유의 특징에 대하여 알아본 후 국제 원유가격이 그동안 어떻게 변동해왔으며, 시대별로 유가 변동을 유발했던 주요 요인들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기본적인 수요와 공급의 변화에 기인하여 원유 가격의 변동이 유발된 것인지, 주요 원유 생산지역을 둘러싼 정치적 요인, 예를 들어 OPEC의 영향에 따라 원유 가격이 심각한 변동을 보이게 되었는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셋째, 국제 원유가격의 변동이 중국의 주요 경제지표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조사해 보았다. 중국의 GDP 증가율, 물가지수, 주가, 환율, 단기, 장기이자율 등의 변동이 국제 원유시장에서의 유가 변화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하여 분석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한 정책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Oil industry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global economy for quite a long time, and it is becoming more and more essential with the continuous innovation of technology. Dating back to the beginning of the 19th century, petroleum was beginning to take place of the coal as our primary energy resource. Admittedly, the process was motivated by the rapid propagation of industrial revolution started from Britain to the Continent. Nowadays, petroleum is an indispensable resource to maintain a comfortable daily life.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ese economy put great stress on the demand side of oil. Ever since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in 1979, especially after Deng Xiaoping's southern tour speech, China has been keeping about a 10% rate of economy growth for about 20 years. Obviously, oil supply is absolutely necessary to maintain such a sustainable growth. The imports of crude oil in China has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1993. In 1996, China has become a net oil import country, its dependence on foreign countries climbed to a record high 56.5% in 2011. If China were to keep the same rate, in 2010 the figure would be expected to be over 70%. This paper is structured as follows: Section 2 presents an overview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rude oil prices, as well as some statistical facts of global oil reserves by region and by country. We also go deep into the changes of oil production and consumption trends. Section 3 analyzes the potential determinants of crude oil prices from the 1970s to the present. We categorize the determinants into several groups: fundamentals(supply and demand), geo-political factor, OPEC, market speculation and behavior finance. We spot three major crude oil markets which exhibits different characteristics. Section 4 discuss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benchmark crude oil prices and Chinese major economic indicators. We present an empirical analysis on China`s GDP growth, inflation index, stock prices, exchange rates, and interest rates, which were compared with the fluctuation in international crude oil prices.

      • IoT를 이용한 센서 기반의 자동차 후미등 상태 감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이지선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사회에서 자동차는 사람과 화물 등을 수송하는 중요 운송수단으로서 그 필요성에 따라 자동차의 수 또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자동차의 등화장치는 기능에 따라 약 20종이 장착되어 있으며 크게 두 가지로 분류를 할 수 있는데, 첫째는 야간 및 시야 확보가 어려운 경우 사용되는 조명기능과 둘째는 마주 오는 자동차 및 도로 이용자에게 상태를 알려주는 신호기능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야간 운전 시 전조등과 후미등을 켜지않고 운전하는 차량이 심야 교통사고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다. 후미등의 경우 고장 발생 시 별도의 고장 경고장치가 부착되어 있지 않아 운전자는 고장 여부를 알지 못한 채 운전을 하게 된다. IoT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동차와 IoT 기술이 융합하여 차량 내부의 센서 및 각종 전자제어장치(ECU)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차의 위치 추적 및 원격 차량 진단, 사고 감지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자동차가 출시되었지만 아직 완벽한 실시간 감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는 않다. 본 논문는 후미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며 양측 모두 고장 발생 시 야간 사고 방지를 위하여 비상등을 강제 점등하며, Wi-fi soft AP 접속을 통하여 후미등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한 연구이다. 후미등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자동차 등화장치의 신호를 제어하는 Arduino 기반의 shield module의 MCU를 이용하여 등화장치 구현 회로의 신호를 수집한다. 후미등의 상태는 lamp로 흐르는 전압을 10W 10Ω의 shunt 저항을 사용하여 강하되는 전압을 측정하여 전류로 상태를 검출한다. 운전 중 미등이 켜진 상태에서 후미등 양쪽이 고장이 났을 경우 방향지시등 출력 신호를 제어하여 비상등을 강제 점등하게 된다. 강제 점등 모드에서도 기존의 방향지시등 기능 또한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시스템 운용의 효율성을 높였다. MCU를 통해 측정한 값은 shield module와 연결된 esp8266 Wi-fi module을 통해 웹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Wi-fi module은 무선 Access Point(AP)를 구성하여 차량 내 무선 네트워크망을 생성하며, 스마트폰으로 무선 AP에 접속할 시 후미등의 전류 상태를 20sec 주기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다. The number of automobiles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according to the necessity as an important way of transportation that transport people and freight in modern society. Approximately 20 types of vehicle lighting system are installed according to the function and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e first is a lighting function that is being used at night and when it is difficult to secure clear view and the second is a signaling function that informs condition to oncoming cars and road users. However, vehicles that do not turn the headlight and taillight when driving at night time are being pointed out as the culprit of traffic accidents in the middle of the night. People drive without knowing the failure in taillight because a separate hazard warning device is not attached. Next-generation cars that provide services as location tracking, vehicle remote diagnosis, and accident detection through sensor inside the vehicle and data of various electronic control units(ECU) with the convergence of automobile and IoT technology, but there are still no perfect detection services. This study implemented a system that forcibly turns on the emergency light to prevent accidents at night when taillight failure occurs on both sides by detecting condition of taillight in real time, and implemented a system that can check the condition of taillight in real time using smartphone through Wi-fi soft AP access. It collects the signal of implementation circuit of lighting system using MCU of Arduino-based shield module that controls the signal of vehicle lighting system to detect the condition of taillight. The condition of taillight gets detected with current by measuring voltage drop using 10W 10Ω shunt resistance that flows into the lamp. Emergency light is forced to get turned on by controlling output signals as a turn signal when both taillights are broken down when taillights are turned on while driving. Forced lighting mode raised the efficiency of system operation by normally operating the existing turn signal. The measured value through MCU gets transmitted to a web server through esp8266 Wi-fi module connected to the shield module. Wi-fi module generates in-vehicle wireless network by configurating wireless Access Point(AP), and can check the current state of taillight when getting connected to the wireless AP with a smart phone.

      •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에서 내전형 대비 외전형 구조의 성능특성 개선에 대한 연구

        이규원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에서는 설계변수의 단순 입력을 통해 시간 지연 없이 즉시 내전형 SPMSM에서 외전형 SPMSM 구조의 성능개선에 비례하는 계자자속량의 증가량을 나타내는 새로운 계수를 제안하였다. 모터의 외경, 공극 길이. 상당 직렬 턴 수, 극 수, 슬롯 수, 적층길이. 영구자석 재질 및 총 사용량과 같은 주요 사양이 동일한 조건에서 회전자의 구조만 내전형에서 외전형으로 변경 시 계자 자속량의 증가량을 비교하였다. 제안된 계수를 유도하기 위하여, 카터계수를 이용한 슬롯 모델이 고려된 슬롯리스 형상의 내전형 SPMSM과 외전형 SPMSM을 자기등가회로로 나타내었다. 자기등가회로를 이용하여 수식을 통해 회전자 영구자석에서 발생하는 계자 자속량을 구하고, 유한요소해석(FEA)을 통해 극 수와 외경의 크기에 따라 비교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제안한 수식과 유한요소해석 값을 비교한 결과 10% 미만의 해석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내전형 SPMSM 기준 외전형 SPMSM 구조의 성능개선 경향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신규 외전형 모터 설계 시 유용한 설계 보조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본 계수를 통하여 신규 모터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최근 실정에 비추어 볼 때, 모터 설계자에게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