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모체로부터 자손에게 이행된 미생물총은 자손의 최초의 장내 미생물총을 구성하며 발달과 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조류의 수란관의 미생물총의 구성과 미생물총이 자손에게 이행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연구된 바가 없다. 우리는 닭의 수란관의 정상 미생물총을 분석하고 계태아의 장내 미생물총을 분석하여 그 기원을 특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닭의 수란관을 해부학적으로 네 부위로 나누어 샘플을 수집하여 16S rRNA를 증폭한 뒤 Iontorrent 플랫폼을 이용해 시퀀싱을 하였다. 또한 모체의 수란관, 총배설강, 난각, 난백과 계태아의 장내 미생물총 역시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란관 내에서는 해부학적 위치에 상관없이 미생물총 구성이 유사하게 나타났고 인간을 제외한 다른 포유류들에 비해 Lactobacillus 종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수란관 내의 미생물의 다양성은 성 성숙 이후에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란관과 총배설강, 난각, 난백, 계태아의 장내 미생물총에 모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세균속은 총 21개로 나타났다. 수란관내의 미생물총의 일부가 직접적으로 난백을 통해서 또는 난각 생성 이후 난각을 통해서 계태아의 초기 미생물총을 구성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The transferred microbiota from mother to baby constitutes the initial infant gastrointestinal microbiota and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and health of infants in human. However, the reproductive tract microbiota of avian species and its inheritance have rarely been studied. We aimed to characterize the microbial community in the chicken reproductive tract and determine the origin of the chicken embryo gut microbiota. Microbiota in four different portions of chicken oviduct were determined using 16S rRNA metagenomic approach with the IonTorrent platform. Additionally, we analyzed the mother hen’s oviduct and cloaca, descendent egg, and embryo gut microbiota. The microbial composition and relative abundance of bacterial genera was stable throughout the entire chicken reproductive tract,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different parts of the oviduct. The chicken reproductive tract showed a relatively high abundance of Lactobacillus species. The number of bacterial species in the chicken reproductive tract significantly increased following sexual maturation. Core genera analysis detected 21 of common genera in the maternal oviduct and cloaca, descendent egg shell, egg white, and embryo gut. Some elements of the maternal oviduct microbiota appear to be transferred to the embryo through the egg white and constitute most of the gut bacterial population.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 및 상용화를 위한 법규제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제광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우리는 인공지능, 사물인터넷(loT), 3D프린팅, 클라우드, 로봇기술, 생명과학 등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지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고 있다.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서 급속히 발전한 ICT기술은 미래형 자동차인 ‘바퀴 달린 인공지능 로봇, 자율주행자동차’의 시험운행에 성공하였다. 미국의 Eno Center for Transportation Research(2013)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사고의 92.3%가 운전자의 과실(전방주시태만, 졸음운전, 안전거리 미확보 등)로 인하여 발생하고 있고, 자동차의 90%가 자율주행자동차로 대체되면 교통사고 사망자수가 약 1/3로 줄어들 것으로 예측하였다. 이와 같은 보고서의 예측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자율주행자동차 개발은 1996년 공공도로에서 자율주행실험을 한 일본, 미국, 독일 등 주요 국가들보다 다소 늦었다고 할 것이다. 우리 정부는 2015년 5월 6일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 추진일정과 실행계획」을 수립하면서 본격적인 개발에 착수하였고, 2016년 2월 12일 국토교통부고시 제2016-46호 「자율주행자동차의 안전운행요건 및 시험운행 등에 관한 규정」 등을 제정하여 자율주행자동차의 시험운행과 상용화에 대비하였다. 또한, 2019년 4월 5일 제367회 제10차 정기국회에서 「자율주행자동차 상용화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안(대안)」을 본회의 의결함으로써 자율주행자동차의 종류를 세분화하여 정의하였고,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위한 연구·시범운행 등이 원활히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등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 촉진과 운행기반을 조성하고자 하였다. 외국의 주요국가들은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에 대비하여 합법적인 법제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미국에서 자율주행자동차의 시험운행 중에 발생한 테슬라 모델S가 트레일러를 충돌한 사고와 우버 택시가 보행자를 충격한 사고 등 2건의 사망사고는 누구에게 민·형사적 책임을 물을 것인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게 되었다. 따라서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 중에 발생한 교통범죄에 대한 형사책임에 대하여 책임의 주체를 누구로 볼 것인가? 즉, 완전 자율주행단계에서는 자율주행시스템(AI) 또는 자율주행시스템 관리자에게 책임을 물을 것인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과 문제의식 하에,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 시대를 대비하여 완전 자율주행단계에서 예상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법규제적 개선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관련 법률의 정비방안, 규제관련 법률의 정비방안, 운행에 따른 민·형사적 책임방안과 보험제도의 정비방안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2장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이론적 검토에 중점을 두고, 자율주행자동차의 개념과 미국 자동차공학회가 SAE International의 J3016에서 제시한 자율주행자동차의「레벨」단계별 분류를 살펴보고,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제3장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법제도적 발전과정 고찰에 중점을 두고, 자율주행자동차의 도입을 위한 상용화 과정과 자율주행자동차의 도입을 위한 법률정비 과정을 살펴보고, 자율주행자동차의 도입을 대비한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국가의 법제도의 정비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입법과 법령의 개정 시에 반영할 사항 위주로 검토하였다. 4장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법규제적 개선방안 제시에 중점을 두었다. 첫째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을 위한 「자동차관리법」, 「도로교통법」,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의 정비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는 자율주행자동차의 규제와 관련하여 자율주행기술의 레벨 4단계와 5단계로 발전할 경우「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상 자동차보유자의 개념에 자율주행시스템 관리자를 포함하는 방안과 「도로교통법」상 자율주행시스템 관리자에 대한 구호조치, 신고의무의 책임 부여, 새로운 운전면허제도의 도입 등 법률의 정비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는 자율주행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운전자, 자동차의 사용자, 「자동차손해배상보장법」상 운행공용자에 대한 민·형사적 책임과 제조사의 책임방안을 제시하였다. 넷째는 자율주행자동차의 도입과 상용화에 따른 보험제도의 정비방안을 제시하였다. 자동차보험의 개선방안으로는 자동차보험의 선택형 임의보험에 따른 보상의 강화, No-Fault 보험제도의 도입에 따른 보상, 자동차손해배상책임보험의 피보험자 범위의 확대에 따른 보상을 제시하였고, 제조물배상책임보험의 개선방안으로는 자율주행자동차(완제품)의 제조물배상책임보험 가입의 의무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국가에서 자율주행자동차의 시험운행 중에 발생한 교통사고와 관련하여 제기된 문제점을 논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자율주행자동차의 도입과 상용화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문제점에 대하여 선제적으로 관련 법률을 제정하고, 상용화에 따른 자동차보험제도를 개선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Currently, we live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ompromised of the like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ternet of Things (IoT), 3D printing, cloud computing, robotics, and life science. In the midst of the revolution, autonomous vehicles, or so calle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with wheels”, have been tested successfully with the quick development in the area of the ICT. According to the reports of Eno Center for Transportation Research (2013), 92.3% of all accidents are at the faults of the drivers (Neglect of surroundings, drowsy driving, ignorance of the safe following distance, etc.). Additionally, the reports state that if 90% of vehicles were to be replaced with autonomous vehicles, the number of deaths caused by car accidents would decrease to one-third of current deaths. Despite the insight of such reports, the development of autonomous vehicles in South Korea is relatively slower than that of Japa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Germany, and some other countries that have tested autonomous vehicles on public roads back in 1996. On May 6th 2015, South Korea’s government established “the plan to commercialize autonomous vehicles” and on February 12th 2016, made modifications to the 2016-46 “regulations regarding and safety and testing of autonomous vehicles”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to prepare for the testing and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Also on April 5th 2019, in the 10th iteration of the 367th regular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a draft bill for the “support and advancements in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was decided in which various steps were taken to further advance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such as defining the different types of autonomous vehicles, and alleviating some related regulations. Major countries are taking measures for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However, recent incidents regarding the collisions between Tesla’s Model S and a trailer and between it and one of Uber’s customers has raised questions as to who is at fault in terms of the civil and criminal liabilities. Naturally, the question becomes, in the case of accidents with autonomous vehicles, which side is truly at fault? Namely, whether the autonomous vehicles themselves or the director of the technology should be held accountable needs to be thoroughly discussed and settled upon. This paper aims to analyze potential conflicts of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and develop a legal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 plan in accordance with the mindset of current society. Specifically, maintenance measures for regulations surrounding use cases of autonomous cars, laws regarding regulation, and civil and criminal liabilities, as well as insurance policies, around the regulations of autonomous cars and its uses are primarily discussed in this paper. The following includes specifics. In chapter 2, emphasis is put on the theoretical review of autonomous vehicles, definition of autonomous vehicles, analysis of the “levels” put forth by SAE International in its J3016, and reviews of prior studies. In chapter 3, emphasis is put on reviews of the legal and institutional development process of autonomous cars, observation of the process of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cars and its preparation through the process of modifying laws, and the observation of past modifications to major countries’ regulations, especially thos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Germany, Japan, etc. to take note when revising South Korea’s regulations on autonomous vehicles. In chapter 4, emphasis is put on the correct legal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s for the usage of autonomous cars. First, this chapter suggests maintenance measures for the Automobile Management Act, the Road Traffic Act, and the Guarantee of Automobile Accident Compensation Act regarding autonomous vehicles. Secondly, this chapter suggests correct applications of the Guarantee of Automobile Accident Compensation Act and the Road Traffic Act on autonomous vehicles. Some possible considerations are if the autonomous technology were to reach a level of 4 or 5, the concept of the director of technology would be considered a part of the vehicle’s owner when facing the Guarantee of Automobile Accident Compensation Act and relieve measures for the director of technology when dealing with the Road Traffic Act, responsibility for the obligation to report, and a new type of driver’s license. Thirdly, the civil and criminal liabilities of those involved, such as the driver, the vehicle’s user, and the cooperations in regards to the Guarantee of Automobile Accident Compensation Act have been put forth. Fourthly, revisions to insurance policies due to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are put forth. Additionally, possible solutions for revisions to automobile insurance policies include strengthening compensation for some optional insurance policies, compensation in accordance with the No-Fault insurance policy, and increase in scope for the automobile liability insurance. Possible solutions regarding the product liability insurance include making it necessary for autonomous vehicles to enroll in the product liability insurance. This study aims to present problems faced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Germany, Japan, etc. while testing autonomous vehicles. In such ways, this study can assist in establishing regulations surrounding the various conflicts when commercializing autonomous vehicles as well as revising insurance policies in relation to the commerc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엄재민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This study realized the seriousness of the safety of the judges, court officials, court researchers, other legal organizations and the general public accessing the court due to accidents occurring in recent courts or courthouses themselves. Security Management Team ”was established in the Supreme Court, its affiliated organizations, and courts at all levels, and while trying its best to maintain the dignity and order of the court and to protect the courthouse, it ran into institutional, operational, physical, and personal limitations. In order to strengthen the security inside and outside the courthouse for the current situation that is struggling to develop for the legal order, the emphasis was placed on preparing improvement measures along with related prior studies. Based on this,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the first priority to integrate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court security in Korea in a single series, and accordingly, the court security field does not belong to each court, but the court security organizations are scattered in each court centered on the Supreme Court You will have to go. After all, there must be an independent institution in the field of court security. Second, from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of court security, the reality of current court security is that it is not possible to exercise the forcing and public power of the court security officers within the courthouse, which is also a problem directly related to the threat to court security. The U.S. Supreme Court runs its own police organization to take full care of court security without any external interference with the security of the court. In this regard, Korean courts must also operate and provide public security and police power to the court security officers in line with the current autonomous police system. Third, the security of the court building starts from the moment the civil servant visits the building. It can be said that the first start is the search phase, and special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security of the government building to prevent various accidents in the search phase. In response, the court should also introduce a scientific border system. Furthermore, in order to prepare for terrorism, it should be developed to enable surveillance by drones. Fourth, in terms of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job opportunities of court security officers to improve their job skill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elf-directed learning through online education on the job ability of the court security officers, who are subject to a lot of temporal and spatial restrictions, so that they can be continuously trained without these limitations. However,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First, the lack of access to information on the court security guard. The Ministry of Justice tried to approach and research the information disclosure in the court as much as possible because it uses a court-only private network called Courtnet. Have. Actually, I tried to get various information by meeting with a court security officer, but there are limitations that I have to compare and analyze only those in the published data due to various environmental restrictions. Second, the alternatives presented in this paper may already be under way in the judiciary, and there is a limit on how much to accept and accept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court security. Third, if studies on court security continue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analyze not only the legal, institutional, and operational aspects, but also the personality of each individual of the court security officers.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conduct more active research on areas that can be operated unmanned without requiring human resources in court security in keeping with unmanned. 본 연구는 사법부 자체적으로 최근 법정이나 법원청사 내에서 일어나는 사건 사고들로 인하여 법원에 근무하는 법관, 법원공무원, 재판연구원, 기타법조직역과 법원에 출입하는 일반인 등에 대한 안전에 대하여 심각성을 깨닫고 「법원보안관리대」라는 조직을 대법원과 그 소속기관 및 각급 법원에 설치하여 법정의 존엄과 질서유지 및 법원청사의 방호를 위하여 임무에 최선을 다하고 있는 중에 제도적⋅운영적⋅물적⋅인적으로 한계에 부딪쳐 법정질서를 위한 발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 실태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법원 청사 내⋅외부적으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서, 관련 선행연구들과 함께 개선대책을 마련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법원보안의 발전방향을 우선 하나의 직렬로 통합되는 것이 최우선이며, 그에 따라 각 법원별 법원 보안 분야가 속해있는 것이 아니라, 대법원을 중심으로 각 법원에 법원보안 조직이 흩어져 있는 모습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결국 법원 보안 분야의 하나의 독립된 기관이 존재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법원 보안의 운영 실태를 보았을 때 현재 우리나라 법원보안의 실상은 법원 청사 내에서 법원보안관리대원의 강제력과 공권력을 행사할 수 없음이 현실이고 이는 곧 법원 보안에 위협과 직결되는 문제이기도 하다. 미국 연방대법원은 자체적인 경찰조직을 운영하여 법원의 치안에 대하여 외부의 어떠한 간섭도 받지 아니하고 온전하게 법원 보안에 신경 쓰고 있다. 이러한 점을 우리나라의 법원에서도 현재의 자치경찰제에 발맞추어 독자적으로 법원보안관리대원에게 공권력과 경찰력을 부여하여 운영해야 한다. 셋째, 법원청사의 보안은 민원인이 청사를 방문하는 순간부터 시작된다. 그 첫 시작이 검색단계라고 할 수 있는데, 검색단계에서 각종 사고가 예방 될 수 있도록 청사 보안 강화에 각별한 신경을 써야 한다. 이에 대하여 법원에서도 과학화경계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 나아가 테러에 대비하여 드론에 의한 감시도 가능하도록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넷째, 운영적 측면에서 법원보안관리대원의 교육의 기회를 늘려 직무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많이 받는 법원보안관리대원의 직무능력을 온라인 교육을 통해서 자기 주도적 학습을 확대해 이러한 제약 없이 지속적으로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도 다음 내용과 같은 한계점이 있다. 첫째, 법원보안관리대에 대한 정보의 접근성이 부족하다는 점. 사법부는 코트넷이라는 법원 내부 전용망을 사용하고 있어 법원 내 정보공개에 대하여 최대한 접근하여 연구하려고 하였으나, 전용망을 사용하여 인터넷과 기존 문헌연구들에 대해서만 비교분석을 하여 연구를 진행한 점에 대하여 한계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법원보안관리대원을 만나 인터뷰를 진행하여 다양한 정보를 얻고자 하였으나 법원보안관리대라는 조직의 임무 특수성과 여러 가지 제약이 많아 학위논문과 더불어 공개된 자료들에 있는 것들로만 비교 분석 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둘째, 본 논문에서 제시한 대안들을 사법부에서 이미 진행되고 있을 수도 있고 이를 수용하여 법원 보안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얼마나 받아들여 수용할지에 대한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셋째, 향후 법원 보안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이어져 나간다면 법적⋅제도적⋅운영적 측면인 것뿐만 아니라 법원보안관리대원의 개개인의 개인성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또한 무인화에 발맞추어 법원 보안에 있어서 인적자원이 필요하지 않고 무인화 되어 운영될 수 있는 분야에 대하여 더욱 활발한 연구가 진행 될 필요성이 있다.
양창순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South Korea's response to North Korean terrorism by taking lessons from North Korea's continued terrorist attacks on South Korea sinc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until recently, the September 11 terrorist attacks in the heart of the U.S. in 2001 and various other parts of the world, including Europe. To this end,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literature analysis. Matters concerning North Korea's terrorism were recalled by re-examining common consensus conclusions in prior studies and analyzed the types of future North Korean terrorism expected by the author in consideration of international and Korean Peninsula situations. And among the common points that have been pointed out since the enactment of the Anti-Terrorism Act, the author presented specific alternatives along with various examples of counterterrorism policies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In this study, the main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n terrorism are directly directed and supported by South Korea, and the purpose of the attack was to create the exhalation of unification through social turmoil in the Republic of Korea, and to unite the regime and ease the instability of the situation by creating hostility and tension toward the outside world. It was expected that such terrorist attacks on North Korea would continue to occur as a type that could achieve the purpose of terrorist acts but hide behind them due to the U.S. economic sanctions, the recent restora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promotion of normal nationalization. Specific types of future North Korean terrorism suggested first, indirect aid terrorism through links between insurgents living at home and abroad and overseas terrorist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second, cyber terrorism, which North Korea considers a multipurpose knife, and third, biological terrorism, which surpasses the power of hydrogen bombs in small quantities but can hide behind them. In order to prevent terrorism, Korea enacted the "Terrorism Prevention Act for the Protection of the People and Public Safety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errorism Prevention Act") in March 2016, and even the enactment of the Anti-Terrorism Act requires improvement in the nation's anti-terrorism measures. First, it presented the definition of a terrorist entity that did not take into account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two Koreas, the problem of operating an anti-terrorism center that should serve as a control tower for the prevention and response of terrorism, the lack of legal grounds for counterterrorism, and the lack of integrated countermeasures against the recent increase in cyber terrorism. As a way to improve this, first, it is necessary to amend the definition of terrorist actors and terrorist organizations to include North Korea and lonely wolves (self-help terrorism) in the main body of terrorism, and secondly, to designate timely terrorist organizations, and to legally specify the authority and reorganization of organizations to comprehensively manage, direct, and control terrorism, and thirdly, the President's regulation on terrorism to meet the purpose of the enactment of the anti-terrorism law. 본 연구는 광복 이후부터 최근까지 한국을 대상으로 지속 자행되는 북한에 의한 테러, 2001년 미국의 심장부에서 발생한 9·11테러와 유럽 등 세계 각지에서 발생하는 각종 테러가 발생하는 것을 교훈으로 삼아 한국의 북한 테러에 대한 대응방안을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분석을 통해 진행하였다. 북한의 테러에 관한 사항은 선행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합의된 결론을 재진술하는 방법으로 상기하고, 국제 및 한반도 상황을 고려하여 저자가 예상하는 향후 발생 가능한 북한의 테러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테러방지법 제정 이후 계속 지적되는 공통사항 중에서 저자가 판단하는 ‘이제는 해결해야 할 개선사항’에 대해 미국 등 선진국들의 각종 테러 대응정책 사례와 함께 구체적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북한 테러의 주요한 특징은 한국을 직접적인 대상으로 국가 주도 및 지원 하에 이루어지며, 그 목적은 대한민국의 사회 혼란 야기를 통한 적화통일의 호기 조성, 외부에 대한 적대감과 긴장 조성을 통해 체제 결속 및 정세 불안 해소 등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북한 테러는 미국의 경제제재와 최근에 이루어진 남북관계 회복, 경제발전 및 정상국가화 추진 등으로 테러 자행의 목적은 달성하되 그 배후를 숨길수 있는 유형으로 지속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구체적인 향후 예상되는 북한 테러의 유형은 첫째, 한국의 국내외 거주하는 저항세력과 해외 테러 조직과의 연계를 통한 간접지원 테러, 둘째, 북한이 다목적용 칼로 생각하는 사이버테러, 셋째, ‘빈자(貧者)의 핵’으로 불리며 소량으로도 수소폭탄의 위력을 능가하지만 배후를 숨길 수 있는 생물학테러를 제시하였다. 우리나라는 테러 방지를 위해 2016년 3월 “국민보호와 공공안전을 위한 테러방지법(이하 테러방지법)”을 제정하였는데, 테러방지법 제정에도 우리나라의 테러 예방과 대응방안에는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존재한다. 첫째, 남북한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테러 주체에 대한 정의, 둘째, 테러의 예방과 대응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해야 할 대테러센터 운영의 문제점, 셋째, 테러 대응에 관한 법률적 근거 미비, 넷째, 최근 증가하는 사이버테러에 대한 통합적인 대응책이 없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대한 개선방향으로 본 논문에서는 첫째, 테러 주체에 북한과 외로운 늑대(자생테러)를 포함 시킬 수 있도록 테러 행위자와 테러단체에 대한 정의 수정과 시기 별 부합된 테러단체를 지정할 수 있는 권한 부여가 필요하고, 둘째, 대테러센터를 중심으로 테러와 대테러를 종합적으로 관리 및 지휘·통제 할 수 있는 조직 개편과 권한을 법률적으로 명시하며, 셋째, 테러방지법 제정의 목적에 부합되도록 테러 대응에 관한 규정을 시행령(대통령령)이 아닌 법률적으로 명시, 넷째, 최근 증가하는 사이버테러에 대한 위험성과 파괴력을 감안한 사이버테러 통합법 제정과 대응 지휘체계 확립 및 국제협력 강화를 제시하였다.
생태계 교란 생물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해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본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생태계 교란 생물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생태계 교란 생물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9 개정교육과정과 2015 개정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생태계 교란 생물 관련 내용이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기획, 준비, 개발, 효과성 검증 4단계에 걸쳐 13차시 분량의 생태계 교란 생물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서울시 소재 초등학교 6학년 1개 반 24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단일집단 설계를 통해 7주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정량적 분석하였으며, 포트폴리오와 관찰 및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가지고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정량적 분석의 한계를 보완하였다. 정량적 분석을 위해 실시한 검사지는 김정은과 이상원(2010)이 개발한 설문지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교육과정 및 2015 개정교육과정에 생태계 교란 또는 생태계 교란 생물과 관련한 내용들은 5∼6학년군 과학 교과 일부에서 교사의 의도적인 언급에 의해서만 학습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생태계 교란의 개념은 어느 부분에도 명시적으로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둘째, 환경태도를 측정하는 검사지를 통해 사전·사후 검사를 비교한 결과, 본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환경태도 함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학생들의 포트폴리오와 관찰 및 면담 내용을 분석한 결과, 학생들은 생태계 교란 생물로 인한 환경문제 뿐 아니라 우리 생활 속의 다양한 환경문제에도 관심을 가지고 실제로 이를 실천에 옮기는 등 환경태도가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을 종합하면, 생태계 교란 생물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의 환경태도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고, 우리 주변의 다양한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과 해결에 대한 실천 의지 또한 향상시켰다. 그러므로 앞으로 환경교육 현장에서 생태계 교란 생물을 활용한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 및 교재 개발 등의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eclipse disturbance biology for 6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and to apply it to the classroom to verify how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using eclipse disturbance biology affects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we examined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to analyze how the content related to the ecosystem disturbance was reflected. Based on the analyzed data, we developed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that uses ecosystem disturbance creatures of 13 classes in four stages of planning, preparation,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verification.. And it was applied through 7 weeks' creative experiential time through pre – and post – single group design. In order to confirm the effect of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on the environmental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e-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quantitatively analyzed. Qualitative analysis was carried out using data collected through portfolio and observation and interviews. And complemented the limit.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 and Lee(2010) were reconstructed and us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cosystem disturbance or contents related to ecosystem disturbance creatures are only allowed to be taught by teachers' intentional comments in the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areas of science subjects in Years 5 and 6, and the concept of ecosystem disturbance is even had not been presented explicitly part.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pre- and post-test through the test sites measuring the environmental attitude showed that the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rear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s.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s' portfolio, observations and interviews, the students showed an interest in environmental issues not only due to ecosystem disturbing organisms but also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 our liv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using ecosystem disturbing organism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environmental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y have also improved their willingness to care for and solve va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round us. Therefore, further study is needed to develop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teaching materials so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s utilizing ecosystem disturbing organisms can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in the future.
직접분사 금속 3D 프린팅 공정의 다중결함 진단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 개발
이지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직접분사 적층공정(DED, Directed Energy Deposition)은 금속 분말 또는 와이어를 공급함과 동시에 레이저, 전자 빔 등의 고출력 에너지를 조사하여 금속을 한 층 씩 적층함으로써 원하는 형상의 3차원 구조물을 제작하는 3D 프린팅 공정을 의미한다. 본 공정이 최근 항공, 에너지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 산업에 적용되기 시작하면서 출력 품질에 있어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하지만 다양하고 복잡한 공정변수의 영향으로 제품에 결함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신뢰성 저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직접분사 적층공정에 대한 모니터링 및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실시간 모니터링 기반 용융풀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용융풀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고, 이를 통해 직접분사 적층공정 출력물의 다중 결함을 진단하는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알고리즘의 의사결정 해석을 지원하는 물리적 지식이 반영된 새로운 모듈을 추가하여 알고리즘의 설명 가능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먼저 직접분사 적층공정 중 용융풀의 데이터를 수집하기 위한 센서로서 근적외선 필터가 부착된 CCD 카메라와 고온계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공정 모니터링 테스트베드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용융풀 이미지 데이터에서 스패터 및 금속분말에 의한 노이즈를 제거하고 공정 중 발생하는 예열 및 가감속으로 의해 발생하는 데이터를 제거하는 전처리 과정을 수행하여 고신뢰성 공정 데이터 수집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 이후, 진단 대상 결함으로 선정된 멜팅볼 및 기공의 발생에 따른 데이터 수집을 위해 해당 결함 발생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레이저 출력과 적층헤드 이송속도를 설계변수로 설정하여 실험을 계획하였다. 실험 후, 적층된 시편을 분석함으로써 공정변수와 결함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공정변수별 결함 발생 경향 및 여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수집된 센서 데이터와 결함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결함 발생에 따라 나타나는 용융풀의 특징을 정성적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중 결함 진단 알고리즘을 개발하기 위해 분석된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용융풀 데이터에서 40개의 정량적인 특징값을 추출하였다. 또한, 결함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다수의 모델을 연계하여 다중 결함을 단계적으로 분류하는 ‘다수의 이진 분류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기존의 방법인 다중 결함을 한 번에 진단하는 ‘단일 다중 분류 알고리즘’의 성능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92.7%의 정확도를 갖는 서포트 벡터 머신 기반 다수의 이진 분류 알고리즘을 직접분사 적층공정 다중 결함 진단 인공지능 알고리즘으로 채택하였다. 그리고 이 알고리즘의 의사결정 과정을 해석하고자 결함 진단에 사용된 특성별 데이터를 학습시킨 각각의 백그라운드 모델의 정확도를 비교함으로써 결함 진단에 사용된 데이터들의 유의성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다. Directed energy deposition (DED) is a representative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 where 3D metal structures are fabricated layer-by-layer by feeding metal powder or wire and melting it using a high power energy source such as laser or E-beam. The DED process is recently regarded as one of noticeable manufacturing processes for high value-added industry due to the capability of fabricating metal structures with complex shape and enhanced mechanical properties. However, it has constraints and barriers from the problems for reliability and repeatability in the products. In this context, the prognostics and health management (PHM) for DED process is highly required. In this dissertation, the multiple defect diagnosis algorithm for DED process is suggested based on the constructed in-situ monitoring system. In addition, it is proposed to add new modules to developed diagnosis algorithm for interpreting its decision process. First, the testbed for DED process monitoring is built using a pyrometer and a CCD camera with a near infrared bandpass filter to capture the image and temperature data of the melt-pool. Then, the data processing is conducted with the collected raw data to filter noises and unwanted parts. Second, the experiments is designed and conducted by varying a laser power and a scanning speed to obtain the data in cases of the defects - melting balls and pores. Those defects in the deposited parts are observed and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the process parameters.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llected data and defects are analyzed. Finally, to develop the multi-defect diagnosis algorithm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I), 40 features are extracted from the melt-pool data base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algorithm, the ‘multiple binary-classification algorithm’ classifying the multiple defects step by step via connected binary classifiers is proposed. For a performance evaluation,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the ‘single multi-classification algorithm’ for classifying the multiple defects at once. It i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algorithm has the best performance of 92.7% in accuracy with using a support vector machine method. Additionally, to interpret the decision process of the algorithm, the ‘background models’ that are trained using features grouped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are developed and their diagnosis accuracy are compared one by one. Through this, statistical significance values of the features with specific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to examine their physical meaning when diagnosing the defects during the DED process.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이용한 ADHD 약제의 처방 현황 분석
권서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배경: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는 부주의함, 충동성 및 과잉행동의 증상을 나타내는 신경발달장애로, 소아청소년기에 진단을 받아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성인에 이르기까지 어려움이 지속된다. 성인 환자에서는 소아청소년기의 ADHD와 다른 특성을 띄고 있어 진단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달리 ADHD약제는 ‘공부 잘하는 약’ 등으로 오인되어 잘못 사용되고 있는 경우가 많아 사회적 이슈가 되었다. 또한, 2016년 9월 1일 ADHD 약제의 요양급여심사기준 중 연령 범위가 기존 6~18세에서 6~65세로 확대됨에 따라 성인 환자에게도 ADHD 약물치료가 의료급여 혜택이 적용 가능하게 되었다. 연구목적: 2016년 9월 1일, 18세 이상의 환자에 ER-MPH, OROS-MPH, Atomoxetine의 급여가 되도록 확대됨에 따라 ADHD 환자의 진료현황이 증가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ADHD에 대한 연구나 분석은 주로 소아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변경된 급여기준에 따른 소아청소년, 성인을 포함한 ADHD 약제 처방 양상에 대한 연구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약제급여기준 확대로 인한 국내 ADHD 환자의 ADHD 약제의 처방 현황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자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4년간의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전체환자데이터셋을 이용하여 ADHD 약물 처방 양상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ADHD 약제를 1 회 이상 처방받은 ADHD 환자(ICD-10: F90)를 포함하였다. 2016년 9월 1일자로 급여 적용이 된 약제 목록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동반질환 특성을 파악하였고, F90을 포함하고 약제가 처방된 명세서를 추출하여 약제의 처방 양상을 파악하였다. 모든 통계 분석은 SAS 9.4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결과: 연구기간 동안 환자 수가 완만히 증가하는 추세였다. 19세 이하에서는 2017년 1분기에 일시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이후 완만하다가 2018년에는 환자 수와 함께 약제 사용량과 약품비도 증가 추세로 전환되었다. 20세 이상에서는 환자 수, 약제 사용량 및 약품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다. 여성보다 남성 환자가 더 많았다. 약제 계열로는 Methylphenidate가 훨씬 많았으며, 그 중 ER-MPH 및 OROS-MPH의 사용이 많았다. 결론: ADHD와 같은 정신과 질환은 건강보험 청구자료 시스템 밖에서 진단∙치료하고, 비급여로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높아서 ADHD 진단과 약물 사용의 빈도가 본 연구에서 과소평가되었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급여 정책의 변화에 따른 소아청소년 및 성인을 포함한 ADHD 환자의 약물 처방 양상을 파악한데에 의의가 있다. 향후 비급여를 포함한 ADHD 약제 처방 양상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ADHD) is a neurodevelopmental disorder that characterized by symptoms of inattention, impulsivity and hyperactivity, which is not limited to childhood and adolescence, but the symptoms may persist until adulthood. Adult ADHD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childhood or adolescence and is difficult to diagnose. On the other hand, ADHD drugs are often misused as “study drugs” and have emerged as a social issue. In addition, on 1 September 2016, the age for reimbursement had been expanded from 6~18 years to 6~65 years including adults. Objective: On 1 September 2016, the age criteria were changed to allow for three medications including ER-MPH, OROS-MPH, and Atomoxetine to be reimbursed even for patients whose ADHD diagnosis is confirmed at above 18 years of age. Also, the practice pattern of ADHD patients was increased. However, there are most studies on ADHD that were mainl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few studies on treatment patterns in adults are known after reimbursement criteria chang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status of pharmacological treatment in Korean patients with ADHD due to change of the reimbursement criteria. Methods: In this study, the aspects of ADHD drug prescription were studied using the entire patient dataset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HIRA) from 2015 to 2018. The study included ADHD patients(ICD-10: F90) who were prescribed ADHD drugs more than once. For this study, drugs were used as medications approved for reimbursement by the MFDS as well as approval for use as of 1 September 2016. The demographic and comorbidity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were identified, and the prescription patterns of the drugs were identified by including F90 and extracting prescription. All statistical analyses used the SAS 9.4 program. Results: The number of patients increased generally during the study period. At under 19 years of age, both the drug usage and cost were temporarily declined in the first quarter of 2017, but they were changed to an upward trend in 2018 including the number of patients. For the above 20 years old group, the number of patients, drug usage, and costs were continuously raised. There were more male patients than women. Methylphenidate was much more used, among which ER-MPH and OROS-MPH were highly used. Conclusion: Psychological disorders such as ADHD may be highly diagnosed and treated outside the NHI system and paid for with out-of-pocket payments. For this reason, the prevalence of ADHD diagnosis and drug use might have been underestimated in this study. Neverthel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understanding the prescription patterns of ADHD patients, including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adults, following reimbursement policy chang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examine ADHD drug prescribing patterns including non-benefit medical care.
김우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연구배경: 소화성궤양용제는 우리나라에서 특히 환자의 증상이나 진단 내용과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다른 약제와 혼합 처방되는 약물로, 환자들에게 과다사용되는 의약품으로 오래전부터 지적되어왔다. 또한, 부적절하고 불필요한 약물 처방을 줄이고자 다양한 임상 진료지침이 제정되었음에도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준수율은 높지 않다. 최근에는 소화성궤양용제의 과잉복용 및 장기복용에 따른 위험성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기에 약제 처방에 있어 꾸준한 관심과 주의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전체환자데이터셋(HIRA-NPS)을 활용하여 NSAIDs 및 소화성궤양용제의 연도별 병용 처방현황을 분석하여 다른 국내·외 연구결과와 비교해봄으로써 국내 처방행태를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15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전체환자데이터셋을 활용하여 요양기관 외래 진료 후 발행된 명세서건 중 NSAIDs 및 소화성궤양용제가 동일명세서 내에서 1회 이상 병용 처방된 명세서 건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대상 약물은 경구용 단일제만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자료 분석은 SAS 9.4 Program을 이용하였으며, 국내 NSAIDs 및 소화성궤양용제 병용 처방 빈도와 패턴 및 상병 등의 현황을 각 세부항목에 따라 연도별로 분석해보았다. 연구결과: 2015년부터 2018년까지 NSAIDs 및 소화성궤양용제가 병용 처방된 명세서 건수(병용 처방비율)는 연도순으로 894,797건(18.9%), 795,464건(16.4%), 786,913건(16.4%), 745,807건(15.0%)으로 2018년으로 갈수록 매년 병용 빈도는 감소하였다. NSAIDs와 병용 처방되는 PPI 또는 P-CAB(14.0일)의 연평균 투여일은 H2RA(6.3일), Misoprostol(7.5일)보다 길었다. 병용 처방 건수로는 70세 이상, 건강보험 대상, 여성 환자가 매년 가장 많았으며, 경기, 서울 지역의 의원, 정형외과에서 매년 가장 높은 빈도로 병용 처방이 이루어졌다. nsNSAIDs 병용 빈도가 csNSAIDs보다 월등히 높으며, nsNSAIDs 중에서는 Propionic acid derivatives, csNSAIDs 중에서는 Celecoxib가 매년 가장 많았다. 소화성궤양용제 중에서는 H2RA 병용 빈도가 가장 높았으며, H2RA 중에서는 Cimetidine, PPI 중에서는 Esomeprazole과 Rabeprazole이 가장 많이 병용 사용되었다. 특히 Cimetidine*Propionic acid derivatives, Ranitidine*Aceclofenac 조합이 매년 가장 높은 빈도로 병용 처방되었다. 병용 처방 시 포함된 위장관 상병으로는 위염 및 십이지장염(K29)이 매년 가장 많았다. 2017년 11월 전산심사 시행 이후 필요그룹에서 위·십이지장궤양의 상병 빈도가 이전 연도와는 달리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또한, 소화성궤양용제의 병용 처방 건수가 시행 이전보다 감소하였으나, PPI 또는 P-CAB의 병용 처방 건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및 고찰: 본 연구에서는 실제 임상 환경에서의 NSAIDs 및 소화성궤양용제의 병용 처방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2017년 전산심사 시행 이후 PPI 병용 처방 건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여전히 H2RA의 병용 처방 빈도가 PPI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준임을 확인하였다. 우리나라는 특히 다른 나라에 비해 소화성궤양용제의 병용 사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권장되는 진료 가이드라인을 준수하기 위한 의료진들의 인식 개선과 보험급여기준 및 국내 진료지침이 상호 반영될 수 있도록 재검토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Peptic ulcer drugs have been uniformly mixed with other drugs regardless of the patient's symptoms or diagnosis, especially in Korea, and have long been criticized for their overuse on patients. With the risks of overdose and long-term use of peptic ulcer drugs highlighted, constant attention and care is required in drug prescription.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prescription patterns in Korea,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concomitant prescriptions for NSAIDs and peptic ulcer drugs in each year. Using the total patient data set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the statements issued after outpatient treatment at a medical institution from 2015 to 2018 were retrieved. Among them, statements with NSAIDs and peptic ulcer drugs prescribed in combination more than once within the same statement were selected as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number of statements with concomitant prescription of NSAIDs and peptic ulcer drugs (concomitant prescription ratio) from 2015 to 2018 was 894,797 cases (18.9%), 795,464 cases (16.4%), 786,913 cases (16.4%), and 745,807 cases (15.0%). The frequency of concomitant use decreased by year up to 2018. The average days per year of administration of PPI or P-CAB (14.0 days) concomitantly prescribed with NSAIDs were longer than that of H2RA (6.3 days) and Misoprostol (7.5 days). The number of concomitant prescriptions per year was the highest in patients aged 70 years or older, eligible for health insurance, and female patients. Also, concomitant prescriptions were frequent at clinics and orthopedic clinics in Gyeonggi-do and Seoul. Among peptic ulcer drugs, the frequency of concomitant prescription was the highest in H2RA; of H2RA, cimetidine was the most common in concomitant prescription, and esomeprazole and rabeprazole, of PPI.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concomitant prescription of NSAIDs and peptic ulcer drugs in the actual clinical field. Despite the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PPI or P-CAB concomintant prescription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computerized review in 2017, the frequency of concomintant prescriptions of H2RA was found to be considerably higher than that of PPI or P-CAB. In Korea, peptic ulcer drugs are used more frequently,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raise the awareness of healthcare professionals to comply with the recommended treatment guidelines, and to mutually reflect the insurance benefits standards and medical guidelines in Korea.
사용자 데이터 분석 및 공동디자인 기반 신제품 개발 방법론에 대한 연구
임수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The smart new products are characterized by interoperability through IoT, mass user data collection, and close interaction with users. Therefore, it require a new development process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roduct development process. With this background, this dissertation suggests user data analysis framework and co-design process for smart new product design, which can encompass both a human-centered perspective and objective user data analysis. 1. Development of user data analysis framework To address the efficient operation of user data which is a major research problem in the smart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this dissertation proposes a general-purpose user data analysis framework and systematize the user data. The framework is composed of four steps of user data element selection, data collection, data processing, and user analysi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on existing design theory, user data elements of 'context', 'action', and 'value system' were classified. Various data collection methods such as smart product sensing, survey, observation and interview, and co-design were explored. Research also proposes 'persona modeling', 'user value framework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mong user data elements' based on data mining method. 2. Development of a co-design process for new smart products This dissertation developed a co-design process for new smart products and integrated user data analysis for comprehensive user research. Research utilized the user data analysis as a tool for co-design process which has been developed based on customer journey map. Furthermore, it proposes an evaluation criteria to check the feasibility of the process. In addition, the research proposes co-design process analysis method of ‘persona modeling and journal maps' and 'needs and product design element analysis'. 3. Case Study Based on case studies of 'Office Environment Design' and 'Smart heating Cloth Design', the proposed user data analysis framework and co-design process were verified. Based on case studies, the research confirmed that the user data analysis framework can be applied efficiently in the design process. Furthermore, user data analysis provided insights to co-design participants to be utilized as a co-design tool. This dissertation also suggested comprehensive user research by integrating objective data analysis results with qualitative co-design process. In-depth user research conducted in case studies can be effectively applied in the practice of office environment and smart heating cloth development. 현재 개발되는 스마트 신제품들은 IoT를 통한 상호운용성, 다량의 사용자 데이터 취합, 사용자와의 밀접한 상호작용의 특징을 가지며 기존의 제품 개발 프로세스와는 차별화된 개발 프로세스를 요구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스마트 신제품 개발에 있어 객관적 사용자 데이터의 분석과 인간 중심적인 관점을 포괄할 수 있는 통합적 접근의 개발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사용자 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및 신제품 개발을 위한 공동디자인을 제안하였다. 1. 사용자 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 개발 스마트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의 주요 연구 문제인 사용자 데이터의 효율적 운용을 해결하기 위하여 범용성을 가지는 사용자 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를 제안하며 사용자 데이터의 체계화를 수행하였다. 프레임워크는 사용자 데이터 요소 선정, 데이터 취합, 데이터 프로세싱, 사용자 분석의 일련의 단계를 보여준다. 기존 디자인 이론에 대한 문헌연구를 기반으로 ‘컨텍스트’, ‘행위’, ‘가치 체계’의 사용자 데이터 요소를 분류하였으며, 스마트 제품 센싱, 설문, 관찰 및 인터뷰, 공동디자인 등의 다양한 사용자 데이터 취합 방법을 살펴보았다. 또한 심화된 데이터 프로세싱 및 사용자 분석으로서 데이터 마이닝을 기반으로 하는 ‘페르소나 모델링’, ‘사용자 가치 체계 분석’, ‘사용자 데이터 요소 간 상관관계 분석’을 제안하였다. 2. 스마트 신제품 공동디자인 프로세스 개발 스마트 신제품 공동디자인 프로세스를 개발하며 사용자 데이터 분석을 접목하여 사용자에 대한 통합적인 분석을 수행하는 것을 고안하였다. 저니맵 기반 워크북의 형태인 공동디자인 프로세스에 사용자 데이터 분석을 도구로서 활용하는 방법을 접목하였으며 해당 과정의 효용성을 점검할 수 있는 평가 체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공동디자인의 정성적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사용자 데이터를 취합하고 분석하는 방법으로서 ‘페르소나 모델링과 저니맵’ 및 ‘니즈 및 제품 설계 요소 분석’의 분석 방법을 제안하였다. 3. 사례연구 기반 검증 ‘스마트 오피스 환경 디자인’과 ‘스마트 발열 의류 디자인’의 사례연구를 기반으로 제안하는 사용자 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와 공동디자인 프로세스를 검증하였다. 사례연구를 기반으로 사용자 데이터 분석 프레임워크가 디자인 프로세스에서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스마트 오피스 환경 디자인’ 사례연구를 통해 사용자 데이터 분석 결과가 공동디자인 참여자들에게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유용한 도구로서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스마트 발열 의류 디자인’ 사례연구를 통해 객관적 데이터 분석 결과가 정성적인 공동디자인 방법론에 의하여 통합됨으로써 사용자에 대한 종합적 분석이 수행됨을 보였다. 사례연구에서 수행된 사용자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은 오피스 환경 및 스마트 발열 의류 개발 실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