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부모의 사교육기관 입시설명회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연구

        오대교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parents’ choice in private institute’s college admission information sessions by identifying motive types and current attendance state, and find out how parents’ perception of college admissio session service quality affects their attendance. This study will provide implications on how to efficiently develop and run the college admission session programs through identification of parents’ motives on attending college admission sessions, and how the expertise of the session lecturers should be improved accordingly.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und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RQ1. What are the parents’ perceptions on the service quality of private institute’s college admission information sessions?- 82 - RQ2. What are the parents’ motives for attending private institute’s college admission sessions? RQ3. What a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parents’ choice of college admission sessions? A survey and a literature review were conducted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Participants were recruited among parents who are currently raising preschoolers, elementary school students, middle school students, high school students, or high school graduates who are reattempting college admission.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July 25th to August 30th, 2020, by sending a survey link and collecting the responses. Out of the 400 participants, 382 completed the survey. A total of 362 data were used in the analysis, as 20 were excluded for unreliable response. IBM SPSS Statistics 25.0 was used for the analysis, with significance level of p < .05.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1-way ANOVA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impact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perceptions of the service quality and attendance motives.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as used for the post-hoc comparison. Cronbach’s alpha from reliability analysis and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checked for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measuring the service quality perception and attendance motive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see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ther input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parents’ attendance of college admission information sessions held by private institutes.- 83 -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first, the participants’ perceptions on the service quality of private education are highest in the order of assurance(3.74), tangibles(3.69), credibility(3.50), convenience(3.50), and responsiveness(3.32). As for the perception on the service quality of college admission information sessions held by private institutes, assurance, i.e., provision of the admission schedules and college information was perceived highest by the parents, who are the customers of private education. Attending college admission sessions for information gathering purpose was highest in parents who have high school graduates reattempting for college admission, and this was associated with assurance for the information provided in the college admission sessions. Secondly, parents’ gender on perception of the service quality and attendance motiv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males(3.60) rating higher than females(3.56). This would indicate parents’ gender does not influence the perception of college admission session service quality. However, gender difference was shown in attendance motives, specifically in support for decision making, relief of psychological anxiety, social preference, and total ratings of the attendance motives, as males being higher on these motives than females. The underlying reason could be that men who are financially responsible make decisions in spendings on private education for their children’s college admission. Thirdly, among the parents’ sociodemographic factors, gender(t = -3.15, p < .01) and age(t = 2.34, p < .05) has significant impact on spendings in college admission sessions. Fathers spent more money on college admission sessions than mothers, and older parents have shown to spend- 84 - more annually. Usefulness among the service quality dimensions, and the parent’s monthly income positively predicted annual attendance frequency of college admission sessions. As for the factors influencing annual time spent attending college admission sessions, gathering information(t =2.43, p < .05) and relief of psychological anxiety(t = -2.40, p < .05) from attendance motives, and monthly income(t = 2.41, p < .05) from sociodemographic background are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rketing plans should be established and executed, from the private education service stage, based on the parents’ individual attendance motives and socio-economical backgrounds in order to increase attendance in private institute’s college admission sessions. 본 연구는 사교육기관의 입시설명회에 대한 학부모의 선택 동기 유형 및 실제를 살펴봄으로써 학부모의 사교육기관 입시설명회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이러한 서비스 품질 인식이 학부모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하여 학부모의 사교육기관 입시설명회 참여 동기에 대해 모색하고, 입시설명회 강사의 전문성을 제고시켜서 사교육기관의 입시설명회 프로그램 개발과 효율적인 운영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부모의 사교육기관 입시설명회 서비스 품질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학부모의 사교육기관 입시설명회 참여 동기는 어떠한가? 셋째, 학부모의 사교육기관 입시설명회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 인가? 이렇게 설정한 연구문제를 달성하기 위해 설문조사 연구방법과 문헌 연구방법을 병행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학부모의 사교육기관 입시설명회 서비스 품질 및 참여 동기가 입시설명회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재 유아·초등·중등·고등·N수생 학부모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하여 2020년 7월 25일 부터 8월 30일 사이에 이루어졌으며, 설문지는 온라인 폼을 링크로 전송하여 회신 받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배포된 400부의 설문지 중 382부가 회수되었다. 이 중 무성의한 응답지 20부를 제외한 362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통계 자료는 SPSS 25.0버전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다.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와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및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입시설명회 서비스 품질, 입시설명회 참여 동기의 차이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wo-sample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일원변량분석 후 집단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Duncan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입시설명회 서비스 품질, 입시설명회 참여 동기 변수들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설문지)의 타당성과 신뢰성 검증을 위해 Cronbach’ α값을 통한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통한 타당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투입되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한 후, 사교육기관의 입시설명회 참여 현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사교육기관의 입시설명회 서비스 품질, 참여 동기, 참여 현황을 알아본 결과, 사교육기관의 서비스 품질 및 입시설명회 참여 동기에 대한 인식은 확신성(3.74)> 유형성(3.69)> 신뢰성(3.62)> 편리성(3.50)> 반응성(3.32)순이었다. 또한 사교육기관의 입시설명회 서비스 품질에서는 사교육소비자인 학부모들이 사교육기관의 입시설명회가 입시 일정과 교육 자료를 제 때 알려주고 제공해주는 ‘확신성’을 가장 우선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어서 자녀의 학년에 따른 입시설명회 참여 동기의 차이에서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한 자녀의 학년은 재수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는 사교육기관의 입시설명회에서 제공하는 교육 정보에 대한 ‘확신성’과도 연관 있다고 확인되었다. 둘째, 부모의 성별에 따른 입시설명회 서비스 품질 및 입시설명회 참여 동기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총합 남자(3.60)> 여자(3.56)로 통계적인 유의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사교육기관의 입시설명회 서비스 품질이 부모 성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고르게 분포된다고 확인할 수 있다. 사교육기관의 입시설명회 참여 동기 중 의사결정, 심리적 불안감 해소 및 사회적 선호, 입시설명회 참여 동기 총합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여자의 경우보다 남자의 경우가 의사결정, 심리적 불안감 해소, 사회적 선호, 입시설명회 참여 동기 총합 모두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경제활동의 주체로 역할을 하고 있는 남자의 경우 자녀의 입시 준비에 따른 사교육비용 지출과 관련 된 의사결정을 한다는 특징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사교육기관의 입시설명회 연간 참여 비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모 개인배경중 성별(t=-3.15, p<.01)과 연령(t=2.35, p<.05)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즉, 어머니보다는 아버지가 더 많이 지불하였다. 또한 부모의 연령이 높을수록 1년간 입시설명회 참여 비용을 더 많이 지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기관의 입시설명회 참여 현황의 연간 참여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사교육기관의 입시설명회 서비스 품질 중 유용성이 높을수록, 부모의 월평균소득이 높을수록 1년간 참여하는 입시설명회가 많았다. 입시설명회 참여 현황의 연간 참여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입시설명회 참여 동기에서 정보수집(t=2.43, p<.05), 심리적 불안해소(t=-2.40, p<.05), 개인배경에서는 월평균소득(t=2.41, p<.05)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학부모의 사교육기관 입시설명회 선택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교육서비스 제공 단계에서부터 학부모의 참여 동기와 개인배경을 고려한 마케팅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는데 노력해야 한다.

      • 다문화학생 밀집 초등학교의 다문화교육 실천공동체 형성을 위한 조건 연구

        신지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실천공동체의 관점에서 다문화학생 밀집 초등학교 내 교사들이 실천하는 다문화교육의 모습을 살펴보고 실천 이면의 교사들의 인식, 학습, 정체성을 파악하여 교사들의 다문화교육 역량을 강화하고자 한다. 연구문제로는 첫째, 다문화학생 밀집 초등학교에서 실천공동체의 공동업무, 공유자산, 호혜적 관여가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다문화학생 밀집 초등학교에서 교사들이 실천하는 다문화교육의 모습을 살펴보고 그 과정에서 어떠한 정체성을 형성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셋째, 다문화교육 실천공동체를 형성하기 위한 요인을 살펴보고 다문화교육을 기획하고자 한다. 위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서남권의 다문화밀집지역의 다문화학생 밀집학교 중 1개교(이하 무지개학교)를 선택하여 무지개학교에 근무하는 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심층면담 이후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 면담 및 반구조화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목적표집으로 첫 번째 참여자를 선정하였고, 이후 눈덩이표집을 통해 다음 참여자를 선정하였다. 연구의 객관성을 위해 전사된 자료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성찰의 과정을 거쳐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의 검토를 거쳤으며 다른 다문화학생 밀집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의 검토를 받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지개학교는 다문화교육 실천공동체의 3가지 요인을 어느 정도 갖추고 있으나,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진정한 다문화교육 실천공동체를 형성하는 데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고, 다문화교육의 목표로 ‘적응’을 공통적으로 제시하였다. 교사들은 다문화교육에 참여하면서 업무처리, 생활지도와 관련한 자산을 학습하고 활용하며, 비판적으로 탐구하고 새로운 자산을 개발하기도 한다. 무지개학교의 교사들은 서로의 역할을 어느 정도 인지하고 있고 다문화교육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주고받는 등 호혜적인 관여를 하고 있다. 그러나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다문화교육의 목표, 다문화교육의 방향, 다문화교육의 내용 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이 제각각이므로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합의는 표면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무지개 학교 자산 중 수업을 통한 다문화교육 실천과 관련한 자산이 결여되어 있고, 수업을 통한 다문화교육실천에 관한 소통의 빈도와 수준도 미비하다. 둘째. 무지개학교 교사들은 목적의식을 전제로 하는, 합치된 실천을 하기 보다는 의무적으로 실천해야 하는 다문화예비학교의 다문화교육 업무와 문제발생 가능성이 높은 생활지도를 우선적으로 실천하고 있다. 반면 문제발생 가능성이 적고, 교사의 자발성을 요하는 수업을 통한 다문화교육 실천은 미비하고 낮은 수준의 모습을 보였다. 다문화교육 업무 실천을 주된 것으로 인정하는 교사들의 인식을 터전삼아 교사들은 다양한 정체성의 궤적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수업을 통한 다문화교육 실천이 구성원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평가 절하되는 상황은 교사들이 교육전문가로서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을 저해한다. 셋째. 실천공동체에 대한 구성원의 긍정적 인식을 전제로 무지개학교의 인식과 실천의 한계를 보완하여 온전한 다문화교육 실천공동체의 모습을 그릴 수 있다. 다문화교육 실천공동체 형성 요인은 학교 구성원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누인다. 학교 구성원 요인은 교사, 학생과 학부모, 관리자의 역할을 포함하고, 환경적 요인은 학교, 교육지원청의 역할을 포함한다. 다문화교육 실천공동체를 형성한 후, 전반적인 다문화교육 실천을 보장하기 위하여 다문화교육을 기획하여야 한다. 다문화교육을 기획하여 다문화교육 실천공동체가 온전하게 작동한다면, 다문화사회에 걸맞은 교사와 학생들의 진정한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다.

      • 학부모의 초등 사교육에 대한 인식이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천안시를 중심으로

        김인춘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otivation of primary private education for parents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eonan-si, and how the motivation and perception of primary private education affect private education participation. To this end, it is to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ivate education through theoretical approaches and analysis of their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and to alleviate the derivative probl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rivat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goals, 410 parents living in Cheonan-si who had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ceived private English education in Cheonan-si were conducted quantitative research. The data collection method was used and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using the IBM SPSS statistics 20 program. The findings obtained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s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parents' perception of the demand for elementary English private education, awareness of private education and social and economic status, the average motivation for private education was 4.19 and average perception of private education was 3.67 respectively. In the motivation for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human capital (4.47) and consumer choice (4.30) were higher than the screening signal (4.22), followed by competitors (4.10) and status competition (3.86). The perception of private education was based on expectations of private education (4.35),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4.03), and the burden of private education (2.62). Second, among the factors that determine elementary school parents'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human capital variables, social and economic status awareness, and monthly household income affected the number of private education. In the case of private education costs, social and economic status awareness, whether they live abroad, monthly household income, children's gender, children's grade, and children's grades are affected. In the case of private education hours, parents' age, monthly household income, children's grade, and children's grades were affected. In the case of the type of private education, comparing the education sector with the arts and physical education sector, it was found that the status competition variables, parents' final academic background, and their children's grade affected. Third, the medium effect of social and economic status awareness between the demand motivation for private education and the number of private education directly affects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increase in social and economic status awareness l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rivate education. The medium effect of social and economic status awareness between private education and the number of private education was directly related to increasing the number of private education, and there was also an indirect effect of increasing social and economic status awareness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private education. The medium effect of social and economic status recognition between the motivation of private education and total private education costs directly affected the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costs, and there was an indirect effect of increasing social and economic awareness and increasing social and economic status awareness. The intermediary effect of social and economic status awareness between private education and total private education costs directly affected the increase in total private education costs, and the increase in awareness of private education increased social and economic status awareness, which led to an increase in total private education costs. The medium effect of social and economic status awareness between the motivation of private education and the time of private education directly affected the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hours, and the increase in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led to an increase in social and economic status awareness and an indirect effect. The intermediary effect of social and economic status awareness between private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 time directly affected the increase in private education time, and there was also an indirect effect of increasing social and economic status awareness and increasing social and economic status awareness. In conclusion, the phenomenon of elementary private education can be understood only from a macro and comprehensive perspective, as well as the motivation, perception, and demand for private education by parents. And in order to alleviate the problem of elementary private education, parents should reasonably decide to participate in private educ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overheating of elementary private education, it is urgent to normalize public education, which will lead private education and give directions to private education, and private education-related workers should increase their sense of mission to primary private education. 본 연구는 천안시에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초등 사교육 수요동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보고 초등 사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수요동기 및 인식이 사교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생 사교육 참여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분석을 통하여 초등생 사교육 현상의 이해를 제고시키고, 초등학생 사교육의 문제를 완화하는 데 있다. 이상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천안시 지역에서 영어 사교육을 받는 초등학생 자녀를 둔 천안시 거주 학부모 410명을 대상으로 양적연구를 수행 하였다. 자료수집은 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위의 연구 과정과 절차를 거처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의 초등영어 사교육 수요동기와 사교육 인식과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 분석 결과, 사교육 수요동기는 평균 4.19, 사교육 인식은 평균 3.67로 나타났다. 사교육 수요동기에서 인적자본변수(4.47)와 소비자 선택변수(4.30)가 선별 신호변수(4.22)보다 높았고, 경쟁상대변수(4.10), 지위 경쟁 변수(3.86) 순이었다. 사교육 인식은 사교육 기대(4.35), 사교육 의존(4.03), 사교육 부담(2.62) 순이었다. 둘째, 초등생 학부모의 사교육 참여 결정 요인 중 수요동기의 인적자본변수와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 그리고 월 가구 소득이 사교육 개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비용의 경우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과 해외 거주 여부, 월 가구 소득, 자녀 성별, 자녀 학년, 자녀 성적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시간의 경우 부모 연령과 월 가구 소득, 자녀 학년, 자녀 성적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교육 유형의 경우 교육 분야와 예체능 분야를 비교하면, 사교육 수요동기의 지위 경쟁 변수와 부모의 최종학력, 자녀의 학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교육 수요동기와 사교육 개수 사이에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의 매개 효과는 학부모의 사교육에 대한 수요 동기가 높은 것 그 자체가 사교육 개수의 증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또한 사교육에 대한 수요 동기의 증가는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을 증가시키고 사회 경제적 지위 인식의 증가가 사교육 개수의 증가로 이어졌다. 사교육 인식과 사교육 개수 사이에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이 매개하는 매개효과는 학부모의 사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 그 자체가 사교육 개수를 증가시키는 직접적인 요인도 존재하고, 사교육에 대한 인식의 증가가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을 증가시키고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의 증가가 사교육 개수의 증가로 이어지는 간접적인 효과도 존재했다. 사교육 수요동기와 총 사교육 비용 사이에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의 매개효과는 학부모의 사교육에 대한 수요동기가 높은 것 그 자체가 총 사교육 비용의 증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또한 사교육에 대한 수요 동기의 증가는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을 증가시키고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의 증가가 총 사교육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는 간접적인 효과도 존재했다. 사교육 인식과 총 사교육 비용 사이에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의 매개 효과는 학부모의 사교육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는 것 그 자체가 총 사교육 비용의 증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또한 사교육에 대한 인식의 증가는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을 증가시키고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의 증가가 총 사교육 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는 간접적인 효과도 있었다. 사교육 수요동기와 사교육 시간 사이에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의 매개효과는 학부모의 사교육에 대한 수요동기가 높은 것 그 자체가 사교육 시간의 증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또한 사교육에 대한 수요 동기의 증가는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을 증가시키고 사회 경제적 지위 인식의 증가가 사교육 시간의 증가로 이어지는 간접적인 효과가 있었다. 사교육 인식과 사교육 시간 사이에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의 매개 효과는 학부모의 사교육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는 것 그 자체가 사교육 시간의 증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또한 사교육에 대한 인식의 증가는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을 증가시키고 사회 경제적 지위 인식의 증가가 사교육 시간의 증가로 이어지는 간접적인 효과도 존재했다. 결론적으로 초등 사교육 현상은 학부모의 사교육에 대한 수요 동기적 측면과 인식적 측면, 그리고 거시적이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보아야 그 실태를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초등 사교육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학부모들이 사교육 참여를 합리적으로 결정하여야 한다. 초등 사교육의 과열화를 막기 위해서는 사교육을 선도하고 사교육에 방향을 제시할 공교육의 정상화가 시급하며, 사교육 관련 종사자들은 초등 사교육에 대한 교육자적인 사명감을 높여야 할 것이다. 핵심어 : 초등 사교육, 사교육 수요동기 및 인식, 사회·경제적 지위

      • 모바일 기반의 자기 주도적 영어 말하기 활동이 성인 학습자의 학습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박현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평생학습사회, 지식기반사회, 글로벌 사회로의 사회문화교육의 패러다임이 변화하면서 평생교육 성인학습 수요가 증가하고 EFL/EIL로서의 영어 의사소통 학습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일상에서의 영어 발화의 기회가 적고 다양한 사회활동으로 인해 시공간적 학습 제약이 큰 우리나라 성인 학습자들에게 이러한 학습 환경의 제약은 여전히 말하기 학습능력 향상을 어렵게 하는 가장 큰 걸림돌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스마트 모바일 기반의 자기 주도적 영어 말하기 녹음학습 활동이 성인 학습자들의 학습 환경의 제약을 완화시켜주고 보다 많은 영어 발화의 기회를 갖도록 함으로써, 말하기 학습능력과 학습태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방법이 될 수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실험을 통해 다루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스마트 모바일 기반의 자기 주도적 영어 말하기 녹음 학습 활동은 성인 영어학습자의 말하기 학습 능력과 정의적 영역에 유의미한 향상을 가져 오는가’ 로 제시하고 평생교육 성인 학습자 24명을 대상으로 모바일 자기주도 말하기 학습과 교실 면대면 말하기 학습에 대한 비교실험을 8주간 16차시로 수행하였다. 학습자의 사전사후 평가와 녹음전사 그리고 자기평가일지와 인터뷰 그리고 연구자의 관찰일지 자료들에 대한 양적 질적 분석을 통해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스마트 모바일 기반의 자기 주도적 영어 말하기 녹음학습 활동은 성인 학습자들의 어휘를 제외한 말하기 학습능력 향상과 학습태도 전반에 긍정적 영향을 주며, 특히 발음 억양 및 제한적 수준의 문법의 정확성 그리고 유창성 향상과 불안감 감소 측면에서는 오히려 교실 면대면 학습활동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의 요인은 첫째 성인학습자들이 모바일 자기주도 학습을 통해 학습 환경의 제약을 완화함으로써 보다 많은 영어발화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던 점, 둘째, 주변 의식 없이 편하게 발화함으로써 불안감이 크게 감소되고 이를 통해 보다 긍정적 학습태도를 갖게 됨으로써 궁극적으로 학습능력 향상의 목표에 도달할 수 있었던 점, 셋째, 녹음과 반성적 자기평가를 통해 발화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할 수 있었던 점, 넷째, 원어민 음원을 활용한 말하기 활동이 한국인 L2 학습자들끼리의 발화연습보다 발음 억양 유창성 향상에 효과적이었던 점, 다섯째, 피드백 상호작용과 다양한 학습 자료와 활동을 통해 통제군 못지않은 학습의지와 흥미를 유지함으로써 자기주도 학습 지속의 어려움을 완화할 수 있었던 점으로 파악되었다.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는 모바일 자기주도 말하기 학습에 대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개선점들을 제언하였다. 모바일 자기주도 말하기 학습이 효과적인 학습방법이 되기 위해서는 첫째, 피드백 및 상호작용 강화와 성인 학습자의 요구에 맞는 보다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내용과 다양한 활동의 학습도구 활용을 통해 자기주도 학습의지와 흥미를 높일 것, 둘째, 문제해결의 어려움을 완화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할 것, 셋째 성인학습자의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학습특성을 고려하여 소형화면의 모바일기기 사용시간을 조절하여 적절한 학습시간 배정하고 충분한 듣기입력을 제공하는 학습계획과 전략을 세울 것, 넷째, 블렌디드 러닝을 통해 모바일 자기주도 학습과 면대면 학습이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학습전략을 세워볼 것을 제언하였다. 급속한 사회문화적 변화에 따른 성인 영어학습의 필요성과 학습수요의 증가 그리고 영어 말하기 학습의 시공간적 환경 제약을 완화시켜 줄 수 있는 편재성, 자기주도성, 즉시성, 접근성, 상호작용성, 이동성의 특징을 갖는 스마트 모바일 기반 자기주도 학습의 잠재력에도 불구하고, 아직은 이를 적극적으로 성인 영어 학습에 활용하려는 교수-학습자의 노력이나 전략개발을 위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해 보인다.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진화하는 성인영어 학습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smart mobile based self-directed English speaking learning activity could be an effective learning method to enhance English speaking competence and learning attitudes by alleviating the limit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 and providing more chances to speak English. To explore these effects, the study addressed the following study question: Could the self-directed mobile based English speaking activity improve adult learner’s English speaking competence and have a meaningful positive influence on affective domain? and conducted the comparative experiment between mobile based self-directed learning and classroom based face to face learning on 24 adult learners in lifelong education for 8 week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 the study reached to the conclusion that the mobile based self-directed English speaking learning enhanced English speaking competence except for vocabulary. It also has a positive influence on all five areas of overall affective domains, that is, anxiety, confidence, learning interests, motivation and will to speak. Especially, the finding showed that it could be mo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accuracy of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some limited level of grammar and fluency as well as lowering anxiety than classroom based face to face speaking activity. The factors of this result are as follows. First, adult learners had more opportunities to speak English by exposing themselves to the environment that eased their environmental limitations through the self-directed learning. Second, adult learner’s anxiety was remarkably reduced by speaking in more comfortable environment without any concerns about surroundings. Consequently, they could ultimately be able to reach the goal of improving speaking competence by having more positive overall learning attitudes. Third, the learners could be able to figure out and improve some problems with their English speaking through the voice recording and reflective self evaluation activities. Fourth, the speaking activity using native speaker's voices was more effective way in improving pronunciation, intonation and fluency than the speaking activity between Korean L2 speakers. Fifth, the learners were able to ease the difficulty in continuing the self-directed learning by maintaining as much learning will and interests as the control group through feedback interactions and various learning materials & activitie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improvement proposal for follow-up studies on mobile based self-directed English speaking learning. For the smart mobile based self-directed English speaking learning activity to be an effective speaking learning method, first, the strategy for enhancing learning will and interests and for problem solving by effectively utilizing feedback interactions should be developed. Second, more authentic and meaningful contents and various speaking activities should be implemented as language learning tools. Third, learning plan and strategy should be established to arrange the appropriate length of learning time for small smart devices and provide sufficient listening input with consideration for adult learner's physical, psychological and environmental traits. Fourth, blended learning strategy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to create synergy effects between mobile based self-directed learning and face to face learning. In spite of the potential of the smart mobile based self-directed English speaking learning activity characterized by ubiquity, self-directed, instance connectivity, accessibility, interactivity, mobility, not only do instructors and learners seem to make insufficient efforts to make the best use of it for adult English speaking but researchers also don’t try hard enough to develop appropriate mobile based self-directed English speaking learning strategies. More active and in-depth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on adult English learning to prepare for a new education paradigm shift.

      • 평생교육사의 프로그램 직무수행 실태 분석 연구 : 유통업체 평생교육사 대상으로

        소양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유통업체 평생교육사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수행 시 중요도와 수 행역량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평생교육사의 프로그램 수행역량의 향상 방안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 1. 유통업체 평생교육 현장에서 종사하는 평생교육사의 프로그램 직무 수행 중요도 및 수행역량에 대한 인식수준 간의 상관관계 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통업체 평생교육 현장에서 종사하는 평생교육사의 프로그램 직무 수행 상의 문제점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통업체에 근무하는 109명의 평생교 육사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계획, 실행, 평가’로 직무를 분류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사의 프로그램 계획, 실행, 평가의 직무 중요도와 수행역량의 타당성 확인 및 검증 결과 직무모델은 타당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프로그램 직무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계획은 22개의 과업 가운데 20개 과업이 실행은 , 14개의 과업 가운데 10개 과업이, 평가는 7개의 과업 가운 데 5개 과업이 평균 4.00 이상으로 중요한 과업으로 나타났다. 셋째, 평생교육사의 프로그램 직무 수행역량을 분석한 결과 계획은 22개의 과업 가운데 6개 과업이, 실행은 14개의 과업 가운데 2개 과업이 높게 나타났 으며, 평가는 7개의 모두가 4.00 이하로 낮은 과업으로 나타났다. 넷째, 평생교육사의 직무 중요도와 수행 역량은 상관관계를 통해 조사하였 다. 프로그램 계획은 r=.2691, 실행은 r=.3518, 평가는 r=.2583로 약간의 관련성 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설문조사를 통해 얻어진 프로그램의 중요도와 수행역량과의 관계를 심 층적으로 분석하고, 직무의 문제점과 전문성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하여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구조화된 면담조사를 통해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계획에서 직무 수행 중요도와 역량과의 관계가 높게 나타난 상위 3개 영역에 대해서는 “학습자들에게 전달하는 과정에 기본적인 준비 과 정이다”, 하위 3개의 영역에 대해서는 “하위 영역도 중요한 영역들이지만, 프 로그램 내용의 질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설명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영역 에서의 상위 3개 영역에 대해서는 “학습자가 있어야 실행이 가능하므로 자료 준비가 철저히 진행되어져야 한다”, 하위 3개의 영역에 대해서는 “실제 진행 되는 프로그램 운영 내용 중 크게 비중을 차지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라고 응 답하였다. 프로그램 평가 영역에서의 상위 3개의 영역에 대해서는 “성과보고 후 장단점을 알아보고 시행착오를 겪어 좀 더 나은 프로그램을 개발 한다”, 하위 3개의 영역에 대해서는 “객관적인 지표보다는 주관적인 지표가 다소 들 어가는 것 같다”고 설명하였다. 둘째, 평생교육사들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학습자의 요구에 맞게 기획, 운영 및 총체적인 관리를 해야 하는 전문직으로, 가장 시간을 많이 할애하는 영역 에 대해서는 프로그램 실행을, 프로그램 수행 시 우선순위의 영역은 대부분 계획이라고 응답하였다 프로그램 . 직무 수행 시 발생하는 관계에서 오는 문제 점에 대해서는 기관 관계자와 학습자 사이의 중간 입장으로 양쪽의 입장을 수용하고 만족시키지 못했을 때로 조사되었다. 평생교육사의 프로그램 직무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국가, 사회에 요구되어 지는 것에는 국가의 예산지원, 평 생교육사의 처우, 평생교육 기관의 확대, 평생교육사의 전문적인 교육과 정보 제공, 평생교육법과 자격증에 대한 강화, 평생교육사의 사회적인 지위 상승과 의식 고조시키기 등 다양한 측면의 기대사항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직무의 개념을 세 가지 준거인 프로그램 계 획, 실행, 평가라는 영역으로 확장시켜 직무의 중요도와 역량과의 관계를 살펴 본 결과, 프로그램 직무 수행이란 단순 기능적인 직무가 아닌 그 이상의 의미 를 가지는 영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는 프로그램 계획, 실행, 평가라는 세분화된 측면에서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평생교육사의 직무 중요도 인식과 수행 역량의 평균점수는 4.00이상 높은 반면 상관 계수는 “약간의 관련성이 있다”고 나타났다. 이는 평생교육사 의 직무 영역별 과업이 평생교육사들이 느끼는 직무에 대한 인식과는 다르게, 기관의 성격이나 관계자, 환경 등의 요인에 의해 프로그램 직무를 수행하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각 영역에서 수행역량과의 관계가 낮게 나타난 과업 을 중심으로 직무 역량개발 프로그램이 확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유통업체 평생교육사의 공동의 대화의 장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다. 셋째, 평생교육 관련 모임에서는 다양한 연수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고, 국가 정책적으로 연수의 내용과 방법을 보완하고, 적절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등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평생교육사 스스로도 더 많은 평생교육의 실천의 장에 직무경험을 활용하고 공유하려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 평생교육 실습경험에서 예비 평생교육사의 직업적 정체성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박진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 실습생이 실습을 하는 동안 어떤 경험을 하는지 살펴보고 실습 진행 과정 중 개인적 혹은 제도적 혼란을 분석하여, 이와 같은 내용이 실습 이후 예비 평생교육사의 직업적 정체성에 어떤 변화를 주게 되는지 확인해 봄으로써 향후 평생교육실습 현장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동시에 내실 있는 평생교육사 양성과정 운영에 이바지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로 첫째, 평생교육 실습에서 예비 평생교육사들은 어떤 현장실습 경험을 하였는가, 둘째, 평생교육 실습경험에서 실습생들이 느낀 혼란은 무엇인가, 셋째, 평생교육 실습을 통해 평생교육사의 직업적 정체성이 어떻게 변화 하였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평생교육 현장 실습생 10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고, 실제로 겪은 실습경험 그대로의 모습을 탐색하고자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들을 분석하고 정리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의 전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추출한 의미단위를 공통 요소를 가진 내용끼리 분류 압축하여 하위범주로 도출, 이를 다시 의미 단위로 묶어 구조적으로 통합하는 과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예비 평생교육사의 평생교육 실습현장에서의 실습경험을 분석하여 종합한 결과 전문지식과 기술을 활용한 실습, 이론과 실습의 접목, 행정업무 실습, 관계와 소통 경험 등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각각의 실습경험 맥락 구분은 실습기관 유형과 프로그램 형태에 따라 한 가지 이상 실습유형이 중첩되었고 실습생 개개인의 경험과 가치관에 따라서도 다른 경험양상이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 실습경험에서 실습생들이 느낀 혼란은 내적 성장의 갈등, 실습기관의 한계, 평생교육 실습제도와 현실과의 한계 등의 세 가지 양상으로 도출되었다. 실습생이 내적, 외적으로 느낀 혼란은 평생교육사의 직업적 정체성 변화에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셋째, 평생교육 실습 경험을 통한 직업적 정체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실습생의 전공, 직업, 실습업무, 자격증 취득 목적성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직업적 정체성도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마음 굳히기, 재해석으로 새롭게 바라보기, 정체성 혼돈으로 의미 상실 등 세 가지 의미로 해석되었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평생교육사 양성과정과 제도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첫째, 국가 정책적 측면에서는 제도 변경 시 주관기관인 국가평생교육진흥원의 주최로 대학교(양성기관) 및 실습기관을 대상으로 한 공개 설명회 개최, 평생교육 실습기관의 특성화, 실습기관 품질 관리팀 결성, 실습 운영방식에 대한 장기적인 제도 개선책 모색, 평생교육사 고용 촉진을 위한 사회적 대안 마련 등이 필요하다. 둘째, 실습기관 및 양성기관 측면에서는 실습 담당자의 업무적 배려 및 실습 커리큘럼의 질 관리가 요구된다. 셋째, 후속연구로는 학교, 평생교육기관, 학생들의 요구와 기대가 무엇인지 알고 이에 대한 해결을 위한 합리적 연계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더하여 평생교육사의 전문성 인식과 정체성 확립을 위한 국가차원의 전략적 정책연구도 필요한 시점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what prospective lifelong educators experience during their practical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and by making an analysis personal or system chaos, with these contents by checking up what vocational identity changes they have, after that with these data, thinking over that the place for practical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improve and that contributing to the process for raising a substantial lifelong educator.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first, what experience the prospective lifelong educators have at practical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second, what confusion the practical trainees have at practical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and third, how the vocational identity of prospective lifelong educators changed through practical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I selected 10 people at practical trainees of lifelong education and specialty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utilized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y analyzing and summarizing data from semi-structured interview in order to observe the actual training experience. For the data analysis, I categorized sense unit that was subtracted from data collected from interview to sub-domain according to the contents with common factors. Then I reunited it to sense unit through structural integration proces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 of lifelong educators, the training was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practical training utilizing expertise and skills, practical training with combining theory, practical training of administrative work, and practical training of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The classification of each practical training results from the overlap of more than one practical training type according to the types of training institution and program. Distinctive and individual experience and values of trainees also affected different aspects of experience. Second, confusion the practical trainees have at practical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are conflict with inner growth, limit of training institution, and gap between practical training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and reality. Internal and external confusion the practical trainees have at practical training of lifelong education was shown to affect vocational identity changes. Third, as a result of observing the vocational identity changes through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 of lifelong education, vocational identity was shown to change according to various factors such as major of trainee, job, duties at training, goa, and training satisfaction. It was interpreted to three different meanings, reassurance, acquisition of new perspective through reinterpretation, and loss of meaning by identity diffus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and polic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aspects of national policy, there should be social alternatives such as open information session for schools and training institutions upon institutional changes, characterization of lifelong education practical training institution, establishment of quality management team at practical training institution, long-term improvement on the way practical training operates, and employment of lifelong educators. Second, from the aspects of practical training institution, consideration of trainer in charge and quality management of training curriculum are necessary. Third, strategic policy research on a national level for the recognition of lifelong educators’ specialty and identity. Third, the following study needs to be discussed what is reasonable related way to solve phenomena as well as what is the demand and expectation of schools, lifelong education practical training institution and students. In addition, it is time to consider researches through strategic policy in domestic range in order to form professionalism identity of lifelong educa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