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립유치원 교사의 장애 위험 유아 부모 상담 경험 및 지원요구에 대한 질적 연구

        차혜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5

        사립유치원 교사의 장애 위험 유아 부모 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전공 차혜진 지도교수 : 이병인 본 연구에서는 사립유치원에 근무한 경험이 있는 일반 유아 교사의 장애 위험 유아 지도를 위한 부모 상담 경험, 부모 상담을 위한 지원 요구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사립유치원 교사의 부모 상담을 지원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첫째, 사립유치원 교사의 장애 위험 유아 부모 상담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사립유치원 교사의 장애 위험 유아 지도를 위한 부모 상담 지원 요구는 어떠한가? 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는 2년 이내에 장애 위험 유아를 지도하고 부모 상담을 한 경험이 있는 사립유치원 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사전에 준비된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 상위범주 5개, 하위 범주 13개, 주요 내용 38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부모 상담 시 다양한 어려움을 겪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장애 위험 유아 부모 상담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었다. 둘째, 부모 상담의 내용은 장애 위험 유아의 어려움, 교사와 부모의 장애 위험 유아 지도방식과 부모의 어려움 등 이었으며, 상담의 방식은 비대면 상담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 과정에서 부모와 교사 모두 어려움을 겪었으나 가정과 기관의 협력적 관계를 통해 변화하는 유아의 모습을 보며 더욱 노력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다. 셋째, 교사는 장애 위험 유아 부모 상담을 위해 기관과 정책 차원에서 다양한 지원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장애 위험 유아 부모에 대한 상담 경험과 지원 요구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사립유치원 교사의 장애 위험 유아 부모 상담 서비스 지원을 위한 근거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주제어: 장애 위험 유아, 부모 상담 경험, 사립유치원 교사

      • 발달지체 유아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요구

        한기선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우리나라에서도 발달지체 유아에 대한 접근이 단지 아동 개인에게만 국한되지 않고 발달지체 유아와 그 가족 모두를 위한 서비스 대상으로 보는 가족지원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교육현장에서 유아특수교사뿐만 아니라 유아교사 또한 자신의 학급에 배치된 발달지체 유아를 성공적으로 지도할 만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충분한 준비와 지원을 필요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발달지체 유아의 교육에 있어서 효율적인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해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하여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요구와 이에 따른 요구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기관에 따른 가족지원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도, 충북 지역의 82개원에 근무하고 있는 공·사립 유치원 교사로서 발달지체 유아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았다. 공·사립 유치원 일반학급의 유아교사 중 단순무선표집으로 대상자를 선정하여 공립유치원 84부, 사립유치원 83부를 합하여 총 167부를 연구 자료로 사용하였다. 연구 도구로서 설문지 문항작성을 위하여 우리나라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관련 선행연구 “발달지체 유아의 가족 지원 프로그램을 위한 가족의 욕구에 대한 연구(김수미, 2002), 발달지체 유아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오미란, 2004)"를 중심으로 수정ㆍ보완하여 기초 문항 항목을 작성하였고, ”장애아동 가족기능 강화를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 요구(강혜경, 2005), 가족지원에 대한 선행연구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요구조사(이병인, 2007)”를 중심으로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조사 설문지 문항을 비교하여 용어의 수정과 문항을 조정·제작하여 연구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서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지체 유아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방법에 대한 요구는 개별상담, IFSP와 교육활동 참여, 학부모 소모임으로 나타났다. 발달지체 유아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에 대한 요구는 발달지체 유아의 장애에 대한 이해와 특수교육의 필요성, 발달지체 유아의 장애원인 선별, 진단 및 예방, 발달지체 유아의 통합교육, 부모 교육 및 상담, 충분한 교육기관 및 전문가 확대 발달지체 유아의 치료지원에 관한 정보로 나타났다. 발달지체 유아의 가정에서 자녀 교육 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가족지원 관련항목에 대한 요구는 발달지체 유아의 신변 자립 및 건강 안전, 발달지체 유아의 놀이와 기본생활습관 지도, 발달지체 유아의 문제행동 수정방법이며 발달지체 유아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가족지원 내용에 대한 요구는 발달지체 유아의 장애가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과 대처방안, 발달지체 유아로 인해 가족이 겪는 심리적 갈등, 부모가 가족문제를 상담 받을 수 있는 기회, 발달지체 유아의 장애로 인한 양육의 어려움, 발달지체 자녀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원 할 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발달지체 유아의 권리, 진로, 복지 항목에 대한 요구는 발달지체 자녀의 교육 및 치료비와 관련된 정책, 발달지체 자녀의 성인지 진로, 장애인 복지제도 향상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원 프로그램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지역사회 서비스와 관련된 항목에 대한 요구는 부모와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장애에 관련된 서비스를 받을 기회, 지역사회에서 자녀교육 및 치료기관과 전문가에 대한 정보, 부모의 취업이나 여가를 위한 탁아시설이나 보호시설 및 도움으로 나타났다. 발달지체 유아의 형제를 지원할 때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항목에 대한 요구에는 발달지체 유아로 인한 형제의 심리적 갈등 상담, 발달지체 유아 형제애 대한 장애 유형에 따른 장애 특성의 이해교육, 부모와 발달지체 유아 형제와의 관계, 발달지체 유아 형제와 발달지체 유아와의 관계로 나타났다. 발달지체 유아 당사자를 지원할 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항목에 대한 요구에는 발달지체 유아의 신변자립 및 건강문제, 발달지체 유아 특성에 대한 적절한 교육정보 및 교육 프로그램, 의사소통과 관련된 언어정보 및 교육내용, 발달지체 유아 부모의 가족단위 모임, 단체정보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지체 유아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공·사립 유치원 교사의 요구의 차이에 있어서 발달지체 유아의 가족지원 프로그램 방법, 발달지체 유아 및 가족에게 가장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내용, 발달지체 유아 가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가족지원 내용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 발달지체 영·유아의 가족지원을 위한 가족의 요구 조사 : 울산-경남지역의 장애전담보육시설을 중심으로

        윤명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15

        This study lays its purpose on helping to provide more efficient localized support for families by examining needs for support among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analyzing factors according to the size of residential area and monthly income among them as variables. Specifically, this study is conducted based on necessity for empirical and basic material regarding support for families centering around local communities as there has been emerging emphasis on selecting the subject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and supporting their families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Special Education Act for such as the disabl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child day care centers for the disabled in the area of Ulsan and Gyeongnam. As a research tool, the researcher designed a questionnaire by referring to the questionnaire in 'needs survey and support strategies for special education related services' by Lee Byeong-in, Song Yeong-jun, Kim Yeong-tae and Yuk Ju-hye (2007) and then adjusting and complementing its questions appropriate for the theme of this study, 'local survey on needs for support among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s a result, it was understood what are needs for support among the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how the needs are related with the size of residential area and monthly income among them by locality. In sum,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First, in terms of program methodology for family support, one should develop programs which can improve the relationships between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eir family members through individualized counseling and participatory classes. In addition, there is the indicated necessity for increas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experts sufficiently in terms of the number and quality, performing systematic promotion regarding local community services, and providing financial support. Second,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no relation of support for the families of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o their residential areas in the area of Ulsan and Gyeongnam, while the relation with locality existed regarding monthly income among the families and education and life guidance for you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이 연구는 발달지체 영유아의 가족지원을 위한 가족의 요구를 알아보고, 발달지체 영유아와 그들 가족의 거주지역규모와 월 소득의 변인에 따라 요인 분석을 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인 지역 중심 가족지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장애인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의 제정으로 발달지체 영유아의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 및 그들의 가족지원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지역사회를 근거로 가족지원에 대한 실증적인 기초 자료가 필요하다. 연구대상은 울산-경남지역의 장애전담보육시설에 입소되어 있는 발달지체 영유아의 가족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 도구는 이병인, 송영준, 김영태, 육주혜(2007)의 ‘특수교육관련서비스 요구조사 및 지원방안’의 설문지를 참고로 하여 본 연구자의 연구 주제인 ‘발달지체 영유아의 가족지원을 위한 가족의 요구의 지역 조사에 맞도록 설문지 문항을 수정·보완하였다. 발달지체 영유아의 가족지원을 위한 가족의 요구는 어떠한지, 가족의 거주지역규모와 월 소득에 따른 요구와의 관계는 어떠한지를 알고 지역의 발달지체 영유아의 가족지원을 위한 가족의 요구는 어떠한지 알았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지원 프로그램 방법으로는 개별상담과 참관 및 참여수업을 통하여 발달지체 영유아와 가족 간의 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한다. 또한, 충분한 교육기관 및 전문가를 확대하고 체계적인 지역사회 서비스에 관한 홍보 및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울산-경남지역의 발달지체영유아의 가족지원은 거주지역과는 관계가 없지만 가족의 월 소득과 발달지체 영유아의 교육과 생활지도에 있어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사립유치원 일반학급 특수교육대상유아 순회 교육에 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과 요구: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정선주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5

        사립유치원 일반학급 특수교육대상유아 순회 교육에 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과 요구 - 심층 면담을 중심으로 -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전공 정선주 지도교수 : 이병인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일반학급의 특수교육대상유아를 대상으로 순회 교육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 유아특수교사의 경험과 지원요구를 심층 면담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목적 표집을 통해 연구 참여자 3명을 선정하였다. 면담은 반 구조화 된 질문지를 활용하여 개별로 진행하고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윤리성에 대하여 사전에 안내하였다. 면담 후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진실성 확보와 윤리적 고려를 위해 연구 참여자 확인법과 동료검토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상위 범주 3개, 하위 범주 7개, 주요 내용 26개로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현재의 순회 교육 현황’,‘순회교육에 대한 어려움과 고민으로 지새운 밤’을 통해 순회 교육 과정에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을 이해할 수 있었고,‘내일의 순회 교육을 위한 유아특수교사의 기대’를 통해 순회 교육을 위한 유아특수교사의 지원요구를 발견할 수 있었다. 주제어: 유아특수교사, 사립유치원 일반학급배치 특수교육대상유아, 순회 교육

      • 발달지체유아의 초등학교 입학적응에 대한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임미진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공립유치원에서 근무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의 초등학교 입학적응에 대한 인식과 어려움에 대해 알아보고 현장 경험이 있는 교사들의 바람직한 초등학교 전이지원의 발전 방안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효과적인 초등학교 입학적응에 대한 지원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목적 표집하였다. 현재 단설유치원, 공립(병설)유치원 에서 유아특수교사로 초등학교 전이지원 경력이 3년 이상 된 자로 3명의 유아특수교사들이 위의 기준에 의해서 최종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에게는 반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개별면담을 실시하고 심층 면담을 하였으며 효과적인 초등학교 전이를 위한 입학적응에 대한 어려움과 지원요구를 알아보았다. 모든 개별 면담 자료는 연구 참여자의 동의를 받은 후 녹음을 하였고 전사된 자료는 질적 분석 방법인 연속적 비교법의 단계에 따라 부호화되고 범주화 되었다. 연구 결과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들의 경험에서 본 초등학교 입학적응 실행에 대한 어려움과 효과적인 전이지원 실행을 위한 요구로 총 3개의 대범주 12개의 하위범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들의 효율적인 초등학교 입학적응을 위한 행정적․제도적 근거기반 미흡, 교사 연수나 교육기회 부족, 소극적인 가족 참여 및 협력, 초등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교육 등 에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들의 효과적인 입학적응 실행에 관한 지원요구로는 전문가들의 상호협력, 정보공유의 필요성, 교사의 역량강화, 가정-교육기관의 서비스 연계, 국가차원의 행정적․제도적 정책 확립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특수교사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초등학교 입학적응을 이해하고 교육하는데 도움을 제공할 것이며 실제 적용 가능한 초등학교 전이지원 개발의 필요성 및 실천방향을 제시하여 효과적인 초등학교 입학적응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본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장애이해 관련 동화 들려주기 활동이 특수교육대상유아에 대한 일반 또래 유아의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창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장애이해 관련 동화 들려주기 활동이 일반유아의 특수교육대상유아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더 나아가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 다양한 후속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장애이해 관련 동화 들려주기 활동이 특수교육대상유아에 대한 일반 또래 유아의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장애이해 관련 동화 들려주기 활동이 특수교육대상유아에 대한 일반 또래 유아의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장애이해 관련 동화 들려주기 활동이 일반유아의 연령에 따라 특수교육대 상유아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G시에 위치한 S유치원으로 완전통합이 이루어지고 있다. 만 4, 5세반 유아 54명으로 27명은 실험집단 27명은 통제 집단으로 하였다. 연령별 차이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 만 4세 집단 각 14명, 만 5세 집단 각 13명으로 나누어 실험 하였다. 일반유아의 특수교육대상유아에 대한 인식 및 태도의 측정을 위해 특수교육대상유아에 대한 일반유아의 인식 및 태도 측정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장애이해 관련 동화듣기 활동 후 통합적 문학 활동으로 이야기나누기, 동시, 동극활동을 실험집단에게 주 2회씩 6주간 12회기 실시하였고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연령별로 인식 및 태도의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이해 관련 동화 들려주기를 통한 문학적 활동의 경험은 특수교육대상유아에 대한 일반유아의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장애이해 관련 동화 들려주기를 통한 문학적 활동의 경험은 특수교육대상유아에 대한 일반유아의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장애이해 관련 동화 들려주기를 통한 문학적 활동의 경험이 일반유아의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연구한 결과, 만 4세와 만 5세의 인식 및 태도의 차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아교육기관에서 통합교육을 학기 초부터 경험하고 그로인해 이미 형성되어진 인식과 태도들이 연구결과에 반영된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성공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유아들의 연령 및 발달 수준에 맞는 적합한 동화책 선정과 그에 따른 프로그램이 요구되며 장애이해 관련 동화 들려주기 활동의 다양한 후속 활동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영유아기 「장애이해교육」의 방향성 탐색을 위한 국내연구 동향분석

        김연수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장애이해교육」의 방향성을 탐색하기 위해 국내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학술지와 학위 논문에 게재된 연구 중 영유아기 아동을 대상으로 한 논문 43편을 연구 방법(연구 유형, 연구 대상, 연구 환경, 독립변인, 독립변인 실시 주체), 연구 주제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영유아기 「장애이해교육」의 방향성 탐색을 위한 방법으로 일반 환경의 만 5세 비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교사 주도의 통합프로그램을 이용한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국내 영유아기 「장애이해교육」의 방향성 탐색을 위한 연구 주제에 있어서 일차적 목표인 장애 수용, 장애 인식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지금까지의 연구를 보완할 통합환경 상황에서 다양한 연령의 비장애 아동과 장애아동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아동의 흥미와 관심, 수준을 반영한 아동이 주도할 수 있는 장애이해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한 질적 연구가 수행과 정의적 태도 변화가 실제적 행동 변화로 이어질 수 있는 주제의 다변화가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는 현장 실무자들과 「장애이해교육」 관련 연구를 수행할 연구자들에게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후속 연구 수행을 위한 정보와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장애유아 또래 관계 경험의 현상학적 연구

        원길재 단국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eeply the meaning of peer relations that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experience in kindergarten of special school. The participants were 8 children aged 3-5 years old in a special school in Gyeonggi-do. The research period is 2 years 10 months from March 2016 to December 2018 and the researcher is the classroom teacher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collected data are data obtained by observing infants with the purpose of research and got naturally by managing the class as a classroom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henomenological and educational meaning of peer relations by looking at the proces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oexisting as peer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First, what is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peer relationship with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1) What is the meaning of time in the relationship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2) What is the meaning of space in the relationship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3) What is the meaning of the body in relation to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4) What is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peers?   Second, what i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eer relationships? Regardless of their own will,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o went to kindergarten in special schools met their peers in the classroom and tried to know each other and responded to their friends. The interaction with friends was immature and even though the contact was made, the reaction of friends was not easy. Each of th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played alone, but they stayed together and became friend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tacit rank among th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s the fighting for power to fill the desire was repeated. The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became tame each other and make peer relationships.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o lived in a life world where joy and tension coexist have suddenly become friends and face an unknown world in surprise and tension. On the other hand, they understood the situation with their own eyes, communicated their meaning through the body, became aware of the power and role of others and became members of the community. In the peer relation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meaning of 'between' and 'with' was closer to the individual than the community. It was a loose relationship, not a close relationship. They are playing alone, but they think that they are "together," and they are fully involved. They have lived freely without being conscious of the gaze of others while playing around with friends. The meaning of gestures and sounds as communication was not 'immature' but 'a word for my body' and it was a good word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On the other hand, in peer relations, individual 'I' and 'you' have a personal relationship and broaden their existence horizons toward 'us' relationship.   Teachers are psychological anchors, interpreters, and mediators of peer relationships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hould know how to communicate with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econd, teachers should be able to play with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ird, teachers should be able to mediate the world with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Fourth, teachers should be able to respect what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valu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xperiences of peer relations with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interpreted the meaning of it. While playing with their peers they has been finding their survival and coexistence. Making the relationship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ir time and effort through their bodies. While making peer relationship in their kindergarten they grew up little by little as their fingernails grew. 본 연구는 특수학교 장애유아의 또래 관계 경험은 어떠한지 알아본 현상학적 연구로 장애유아들이 특수학교 유치원에서 경험하는 또래 관계의 의미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경기도 소재 A특수학교 내 만 3-5세 장애유아 8명이다. 연구기간은 2016년 3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2년 10개월이며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들의 담임교사이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의 목적을 가지고 유아를 관찰하여 얻은 자료와 담임교사로 학급 운영을 하며 자연스럽게 얻어진 자료이다. 연구자는 장애유아들이 또래 관계를 맺어가는 모습을 촬영하고 기록한 자료를 질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장애유아들이 또래로서 공존해가는 과정을 바라보며 또래 관계 경험의 의미와 교육적 의미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장애유아 또래 관계 경험의 의미는 어떠한가? 1) 장애유아 또래 관계 경험에서 시간의 의미는 어떠한가? 2) 장애유아 또래 관계 경험에서 공간의 의미는 어떠한가? 3) 장애유아 또래 관계 경험에서 신체의 의미는 어떠한가? 4) 장애유아 또래 관계 경험에서 관계의 의미는 어떠한가? 둘째, 장애유아 또래 관계의 교육적 의미는 어떠한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특수학교 유치원에 다니게 된 장애유아들은 교실에서 또래를 만나 어렴풋이 친구를 알게 되고 만남을 시도하며 친구에게 반응하였다. 그러나 친구들과의 상호작용은 미숙하고 접촉을 하여도 친구의 반응은 좋지 않았다. 장애유아들은 각자 단순하게 놀이하였으나 이내 함께 지내며 친구가 되어갔다. 한편,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한 힘겨루기가 반복되는 가운데 장애유아들 사이에 암묵적인 서열이 생기기도 하였다. 장애유아들은 서로를 길들이고 정들이며 또래 관계를 만들어 갔다. 즐거움과 긴장이 공존하는 생활세계에서 살아가는 장애유아들은 우연히 만나 놀다보니 어느새 친구가 되었고, 놀라움과 긴장 속에서 미지의 세계를 마주하였다. 한편, 눈치로 상황을 파악하고 몸으로 의미를 만들어 소통하였으며, 또래의 힘과 역할을 알아가며 공동체의 일원이 되었다. 장애유아들의 또래 관계에 있어 ‘사이’와 ‘더불어’의 의미는 공동체보다는 개인에 가까웠다. 즉 밀착된 관계가 아닌 ‘느슨한 관계’이었다. 혼자 놀고 있지만 ‘함께’ 라고 생각하며 충분히 관계하고 있었으며, 친구 옆에서 놀며 타인의 시선을 의식하지 않고 자유롭게 생활하였다. 의사소통으로서의 몸짓과 소리의 의미는 미숙한 것이 아닌 ‘내 몸에 맞는 말’이었고 장애유아들에게 어울리는 말이었다. 한편, 또래 관계에서 개별적인 ‘나’와 ‘너’는 인격적 관계를 맺으며 ‘우리’라는 관계를 향하여 존재지평을 넓혀갔다. 교사는 장애유아들의 또래 관계에 있어 심리적 닻이며, 통역자이고, 또래 관계를 잇는 매개자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는 장애유아와 의사소통할 줄 알아야 한다. 둘째, 교사는 장애유아와 관계를 맺으며 놀이할 줄 알아야 한다. 셋째, 교사는 장애유아와 세상을 매개할 수 있어야 한다. 넷째, 교사는 장애유아가 소중히 여기는 것을 존중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또래와 관계 맺기를 원하며 노력하는 장애유아의 또래 관계 경험을 분석하고 의미를 해석하였다. 장애유아들은 또래와 만나 놀이하며 생존과 공존의 사이를 찾았다. 장애유아들의 관계맺음에는 몸을 매개로 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였다. 장애유아들은 유치원에서 또래관계를 맺으며 손톱이 자라듯 조금씩 자라났다.

      • 소조활동이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표현 및 미술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정현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발달지체 유아들도 사회적 관계형성을 시도하지만 적절한 자기표현의 부족으로 질적으로 낮은 관계형성을 맺게 된다. 이러한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표현이 무감각한 것 같이 보이는 것은 적절한 자기표현이 개발되지 않았거나 자기표현의 기회를 얻지 못한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바람직한 자기표현 및 미술표현력 향상을 위해 점토를 활용한 소조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유아들의 자기표현 및 미술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기도 수원시 소재 k구에 위치한 사립유치원에 통합된 발달지체 유아 3명을 대상으로 자기표현 및 미술표현력의 향상을 위한 소조활동 프로그램을 중재하였다. 연구대상은 사회성숙도 검사를 통해서 대상자를 선별하고 부모의 동의하에 감각장애를 수반하지 않고 주제에 따른 교사의 언어적 지시를 이해하고 자기표현 및 미술표현력이 낮은 발달지체 유아들로 선정하여 소조활동 프로그램을 총 18회 주 3회 40분에 걸쳐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표현에 대한 척도는 자기표현 평정척도와 미술표현력에 관한 척도는 미술 표현 요인별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소조활동 프로그램을 중재하기 전 ․ 후 의 결과를 위한 평가도구는 사전 ․ 사후 ․ 유지검사에서 동일한 척도로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회기별 진행과정에서 대상자들의 개별 행동과 작품을 기록하여 질적 평가를 하였다. 이 연구목적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조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자기표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소조활동은 발달지체 유아의 미술표현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소조활동은 프로그램 실시결과로 초기단계에 점토에 대한 거부감을 표현한 대상자들이 소조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를 하였고 완성된 작품을 소개하고 비교 감상을 통해서 언어적 표현의 기회 증대와 한 가지 유형의 매체가 아닌 다양한 유형의 점토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과정에서 발달지체 유아들의 자기표현과 미술표현력도 향상을 보여주었다. 이는 발달지체 유아들에게 소조활동을 실시하는 것은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