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프린터 스케이터패턴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심선미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 sprinter skater pattern exercise program for body functions for the elderly, and the SPPB test of the body function according to the biomechanical variables of standing up from a chair, balance, and 4m walking and the sprinter skater pattern movement variables of the body I would check the effect on the func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exercise group EG: n=10, control group CG: n=9). In the pre-test, a consent form to participate in the pre-exercise study was drawn up, and PAR-Q was drawn up and confirmed to confirm the risk to exercise. Standing up from a chair, balance, and walking 4m were measured by wearing a wearable on the ear and using the SPPB test for body function. In addition, the sprinter skater pattern movement was photographed. After the pre-test, EG performed sprinter skater exercise once a week for 8 weeks for 60 minutes per session, and CG did not participate in any exercise. The sprinter skater pattern exercise program was constructed using the pattern suggested by Dietz Britta (2013)'s Let's Sprinter Skater. Each week, pre-exercise photography was taken individually for 30 minutes, and pre-, intermediate, and post-examination tests were performed at 1, 6, and 8 weeks. Each test was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The data of each test were presented as mean (Mean, M) and standard deviation (SD), and one-way ANOVA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amount of pre-post change according to each variable value. It was confirmed whether there was a statistical change in the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 sample verification. The statistical error level was set to α=.05. After application of the sprinter skater pattern exercise program, the following results were confirmed by analyzing biomechanical variables of body functions. First, it was possible to see the difference in the time, score, and pre-, median, and post-measure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exercise group in sitting at the peak standing and standing at the peak standing.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fferent groups i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pre-, intermediate, and post-measur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ime, score, mean sitting at peak standing, and mean standing at peak sitting in the exercise group (p<.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results, time, score, and mean sitting in peak standing in the exercise group were significantly and statistically changed before and during the middle, before and after (p<.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Secon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he pre-middle-post values ​​of the control group and the exercise group in side by side balance, semi-balance, tandem balance in bala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groups in the amount of pre-middle-post chan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ide by side balance, semi-balance, tandem balance i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ercise group (p<.05). As a result of the post-test, the control group and the exercise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values ​​in side by side balance, semi tandem, and tandem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change (p<.05). Third, Time, score, cadence, single stance time, single stance time left, single stance time right, double stance time, double stance time left, double stance time right, speed, step length, step width were measured in the 4m walking group wi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ercise group. difference values ​​between the pre-, median, and post-measures of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fferent groups in the amount of pre-middle-post measure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eed and gait in the exercise group (p<.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the post-test, the exercise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values ​​of the pre-, intermediate, and post-measures (p<.05). The results of analysis of the behavior of the sprinter skater pattern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sprinter pattern analysis, for the exercise groups compared by week, right hip flexion was 7 weeks and 8 weeks, 2 weeks and 8 weeks, left hip flexion 2 weeks and 8 weeks, right leg standing 2 weeks and 8 weeks, left leg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nding at 2 and 3 weeks, right leaning at 3 and 4 weeks, 4 and 5 weeks, 5 and 6 weeks, and there was a statistical change (p<.05). Second, as a result of the skater pattern analysis, the weekly comparison results showed that in the exercise group, right hip abduction was 2 weeks and 8 weeks, left hip abduction was 2 weeks and 8 weeks, and the right body tilt was 4 weeks and 5 weeks, 5 weeks and 6 weeks lef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dy inclination at 3 weeks and 4 weeks, and there was a statistical change (p<.05). As a result of applying the sprinter skater pattern exercise program to the elderly for 8 week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biomechanical variables of body function such as getting up from a chair, balance, and walking 4m. Als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printer skater pattern motion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printer's trunk inclination, hip flexion, leg stand and skater's trunk inclination, abduction, and leg stand. Therefore, in conclusion,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sprinter skater pattern exercise program is an effective exercise for the physical function of the elderly. Therefore, it can be suggested as an exercise program for strengthening physical functions in the field of local elderly people. Key words: Elderly, physical function, daily activities, falling, sprinter pattern exercise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대상으로 신체기능을 위한 스프린터 스케이터패턴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이에 따른 신체기능의 SPPB 검사로 의자에서 일어나서기, 균형, 4m보행의 생체역학 변인과 스프린터 스케이터패턴 동작 변인이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만65세이상 노인 19명(운동군 EG: n=10, 대조군 CG : n=9)으로 하였다. 사전검사는 운동전 연구 참여하는 동의서를 작성하고 운동에 대한 위험을 확인 하기 위해 PAR-Q을 작성하고 확인하였다. 귀에 웨어러블을 착용하고 신체기능에 대한 SPPB 검사로 의자에서 일어서기, 균형, 4m 보행을 측정하였다. 또한 스프린터스케이터패턴 동작을 촬영하였다. 사전검사이후 EG는 8주간 주1회의 스프린터 스케이터 운동을 회당 60분씩 진행하였고, CG는 어떠한 운동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스프린터스케이터패턴 운동프그램은 Dietz Britta(2013)의 Let’s Sprinter Skater 에서 제시하는 패턴을 활용하여 운동프로그램을 구성 하였다. 매주 운동전 촬영을 30분씩 개별적으로 촬영하였고 사전, 중간, 사후 검사는 1주, 6주, 8주에 실시하였다. 각각의 검사는 동일하게 진행하였다. 각 검사의 자료는 평균(Mean, M)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제시하였으며, 각 변인 값에 따른 사전-사후 변화량이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대응표본검증을 통해하여 유의한 차이가 통계적으로 변화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통계의 오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스프린터 스케이터패턴 운동프로그램의 적용 후 신체기능의 생체역학 변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의자에서 일어서기에서 시간, 점수, 피크 서기에서 앉기, 피크 앉기에서 서기에서의 대조군과 운동군의 사전, 중간, 사후 측정의 차이 값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사전, 중간, 사후측정의 변화량에 다른 그룹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운동군에서 시간, 점수, 피크 서기에서 앉기평균, 피크 앉기에서 서기평균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후검증 결과에서 운동군의 시간, 점수, 피크 서기에서 앉기 평균은 사전과 중간, 사전과 사후에 유의하게 나타나고 통계적으로 변화 있었고(p<.05),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균형에서 일반 균형, 반균형, 일자균형의 대조군과 운동군의 차이가 사전-중간-사후 값이 차이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사전-중간-사후 변화량에 다른 그룹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조군과 운동군에서 일반 균형, 반균형, 일자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사후검증 결과 대조군과 운동군의 일반균형, 반균형, 일자균형에서의 유의한 값이 나타나지 않았고 통계적으로 변화가 없다(p<.05). 셋째, 4m 보행에서 시간, 보행수, 한발서기시간, 왼쪽 한발서기시간, 오른쪽 한발서기 시간, 두발서기시간, 왼쪽 두발서기시간, 오른쪽 두발서기시간, 속도, 한걸음길이, 한걸음 폭을 대조군과 운동군의 사전, 중간, 사후측정의 차이 값을 알 수 있었다. 사전-중간-사후측정 변화량에 다른 그룹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운동군에서 속도, 한걸음걸이 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5),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사후검증 결과 운동군과 대조군이 사전, 중간, 사후측정의 유의 값이 나타나지 않았다(p<.05) 스프린터 스케이터패턴의 동작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군은 스프린터패턴 오른쪽 고관절 굴곡, 왼쪽 고관절 굴곡, 오른쪽 다리 서기, 왼쪽 다리 서기, 오른쪽 몸통 기울기, 왼쪽 몸통기울기 운동군의 사전, 중간, 사후측정 차이 값을 알 수 있었다. 주별 비교한 운동군은 오른쪽 고관절 굴곡은 7주와 8주, 2주와 8주 왼쪽고관절 굴곡은 2주와 8주, 오른쪽 다리서기는 2주와 8주, 왼쪽다리서기는 2주와 3주, 오른쪽 몸기울기는 3주와 4주, 4주와 5주, 5주와6주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통계상 변화가 나타났다(p<.05) 둘째 운동군에 스케이터패턴의 오른쪽 고관절 외전, 왼쪽 고관절 외전, 오른쪽 다리서기, 왼쪽 다리서기, 오른쪽 몸통 기울기, 왼쪽 몸통기울기의 사전, 중간, 사후측정 차이 값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주별 비교한 결과 운동군에 오른쪽 고관절 외전은 2주와 8주, 왼쪽고관절 외전은 2주와 8주, 오른쪽 몸 기울기는 4주와5주, 5주와 6주 왼쪽 몸 기울기는 3주와 4주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통계상 변화가 나타났다(p<.05) 노인 대상으로 스프린터 스케이터패턴 운동프로그램을 8주간 적용한 결과, 의자에서 일어나기, 균형, 4m 보행의 신체기능 생체역학 변인의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스프린터 스케이터패턴 동작 변인을 분석한 결과 스프린터의 몸통 기울기, 고관절 굴곡, 다리서기와 스케이터의 몸통의 기울기, 외전, 다리서기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결론적으로 스프린터 스케이터패턴 운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신체기능에 효과적인 운동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지역 노인들의 현장에서 신체기능강화 하기 위한 운동프로그램으로 제시 할 수 있다.

      • 고온 환경에서 시청각 자극이 20대 남성의 운동수행력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황재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고온 환경에서 효율적인 운동내열성 증가를 위한 방법으로 시청각 자극을 제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대 남성 10명(연령 23.5 ± 2.1, 신장 176.6 ± 4.5 cm, 체중 76.0 ±6.2 kg)을 대상으로 상온과 고온 환경에서 각각 시청각 자극의 유무에 따라 5km를 최대능력으로 완주하여 이에 따른 완주시간, 심박수, 젖산, 고막온, 스트룹 검사점수 그리고 TMDs의 변화를 관찰 하였다. 모든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각 환경별 시청각 자극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와 동일 시청각 자극 조건별 환경에 따른 변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spss 25.0을 활용하여 종속 T검정을 사용하였다. 측정결과, 상온과 고온 환경에서 시청각 자극 유무에 따른 차이는 완주시간, 고막온, 젖산, 스트룹 검사점수 그리고 TMDs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p>.05) 고온 환경에서 시청각 자극을 부여했을 때, 20분 이후 심박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시청각 자극 유무의 동일 조건에서 환경에 따른 차이는 완주시간, 고막온, 젖산, TMDs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심박수와 스트룹 검사점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결론적으로 20대 남성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험 결과, 환경에 따른 운동수행력과 기분상태의 변화는 나타났으나 시청각 자극에 대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반복측정에 따른 참여자의 소극적인 실험 참여와 시청각 자료에 대한 종류 및 장르의 불일치라는 제한점이 존재하여 이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by presenting audio-visual stimulation as a method for increasing exercise heat acclimation in a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10 men(age 23.5 ± 2.1, height 176.6 ± 4.5 cm, weight 76.0 ± 6.2 kg) finished 5 km with their maximum performance at ordinary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udio-visual stimulation, respectively. Changes in time, heart rate, lactic acid, tympanic temperature, stroop test score, and TMDs were measured.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for all data, and a dependent T-test was used using spss 25.0 to check the difference in variables according to the audiovisual stimulus for each environment and the variable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by the same audiovisual stimulus condition.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mpletion time, tympanic temperature, lactic acid, stroop test scores, and TMD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audio-visual stimulation in ordinary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p>.05). But in audio-visual stimulation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rt rate after 20 minutes (p<.05). Under the same conditions of audio-visual stimulation, the difference between ordinary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environmen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inish time, tympanic temperature, lactic acid, and TMDs (p<.05),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rt rate and stroop test score. (p>.05). In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re was a change in exercise performance and mood according to the environment, but no change in audiovisual stimulation. However, in this study,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passive participation of participants through repeated measurements, and discrepancies between types and genres of audiovisual materials, so further discussion is needed.

      • SNPE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골반 정렬과 생리통,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

        김희주 국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Conservation therapy and drug therapy are widely used as methods to alleviate Menstrual Pain, and exercise therapy is reported to alleviate the degree of menstrual pain, but there are no studies on the effect of SNPE on Menstrual Pain relief.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effect of restoring the alignment of the pelvis through the 12-week SNPE program on Menstrual Pain and premenstrual syndrome in women in childbearing age. To this end, 17 women in their 20s to 40s with primary Menstrual Pain without abnormalities in the uterus were recruited and the study was conducted by dividing them into SNPE group (n=12) and control group (n=5). The subjects' Menstrual Pain intensity, premenstrual syndrome, and pelvic alignment were measured, and the SNPE basic program and pelvic concentration exercise (L, SC-move) presented in the book "SNPE Proper Postural Spinal Exercise" were performed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The post-test conducted 12 weeks later was the same as the pre-test.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data of each test, and it was presented as mean (Mean, M) and standard deviation (SD). The pre-post difference in the group was conducted as a corresponding t-test, and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conducted as an independent t-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α = 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e-measurements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intensity of Dysmenorrhe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experimental group (P<.0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pre- and post-group (P<.05) has been confirmed. Second, in the case of premenstrual syndrome, as a result of analyzing each detailed item, there was a decrease in pre-post scores for each detailed item in the experimental group. Among them,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atment between groups of post-values in the changes in behavior and negative emotion items (p<.05) has been confirmed. Third, pelvic alignm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xperimental group (P<.01)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post differences in the group,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P<.05) has been confirmed. After applying the SNPE program for 12 weeks to correct pelvic alignment and suggest an intervention method for Menstrual Pain and premenstrual syndrome in women in their 20s and 40s, it was confirmed that pain in Menstrual Pain and premenstrual syndrome decreased and affected pelvic balance.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SNPE program is effective in alleviating Menstrual Pain and premenstrual syndrome, and improves the degree of balance of the pelvi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meaningful that women themselves suggested effective measures to alleviate Dysmenorrhea and premenstrual syndrome through the SNPE program. Nevertheless, in order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thought that follow-up studies with a little more subjects are needed. 생리통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보존요법과 약물요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운동요법이 생리통의 정도를 완화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SNPE의 생리통 완화 효과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다. 이에 본 연구는 12주간의 SNPE 프로그램을 통해 골반의 정렬을 회복하여 가임기 여성의 생리통, 월경전증후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자궁에 이상이 없는 일차성 생리통을 가진 20~40대 가임기 여성 17명을 모집하여 SNPE군(n=12), 대조군(n=5)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자들의 생리통 강도, 월경전증후군, 골반 정렬을 측정하였고, 12주간 주 3회 이상 책 ‘SNPE 바른자세척추운동’에 제시되어 있는 SNPE 베이직 프로그램와 골반집중운동(L,SC-move)을 수행하였다. 12주 후 진행된 사후 검사로는 사전 검사와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각 검사의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평균(Mean, M)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제시하였다. 그룹 내 사전 사후의 차이는 대응 t-test로 진행하였으며, 집단 간 차이는 독립 t-test로 진행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으로는 α = .5 로 설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일반적 특성, 생리 관련 특성과 사전 측정값의 집단 간 차이는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리통의 강도는 그룹 내 사전 – 사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𝘱<.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값의 그룹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𝘱<.05)가 확인되었다. 둘째, 월경전증후군의 경우 각 세부 항목을 나누어서 분석한 결과 실험군의 경우 세부 항목별 사전- 사후 점수의 감소가 있었다. 그 중 행동의 변화, 부정적 정서 항목에서 사후값의 그룹 간 처리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𝘱<.05)가 확인되었다 셋째, 골반 정렬은 그룹 내 사전-사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실험군(𝘱<.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값의 그룹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𝘱<.05)가 확인되었다. 20 ~ 40대 가임기 여성들의 골반 구조의 회복하고 생리통, 월경전증후군의 중재방법을 제시하기 위해 SNPE 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한 후, 생리통, 월경전증후군의 통증이 감소하였고, 골반의 구조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 SNPE 프로그램이 생리통과 월경전증후군 완화에 효과적이며, 골반의 균형 정도를 개선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SNPE 프로그램을 통해 여성 스스로 생리통과 월경전증후군을 완화하는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추후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를 위해서는 조금 더 많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남,녀 사회인 야구선수, 성인 여성의 체력 비교 분석

        최다영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남, 녀 사회인 야구선수, 성인 여성의 체력을 비교함으로써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고, 향후 여자 사회인 야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체력적인 부분을 보강하기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30 연령대의 전국대회 우승 경험이 있고 야구 경력 3년 이상의 남자 사회인 야구선수 11명, 여자 사회인 야구선수 17명으로 구성하였고, 같은 연령대의 성인 여성으로 12명 구성하였다. 체력 테스트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표현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 녀 사회인 야구선수간의 건강 관련 체력 비교결과 근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근 지구력, 유연성, 심폐지구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자 사회인 야구선수와 성인 여성 간의 건강 관련 체력 비교결과 근력에서 배근력, 근 지구력, 심폐지구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악력(좌/우)과 유연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남, 녀 사회인 야구선수간의 기술 관련 체력 비교결과 민첩성과 순발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평형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여자 사회인 야구선수와 성인 여성 간의 기술 관련 체력 비교결과 민첩성과 순발력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평형성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남녀 간의 생리적․신체적 차이로 인한 근력, 민첩성, 순발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근지구력과 심폐지구력 같은 지속성을 요구하는 종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여자 사회인 야구선수와 성인 여성은 악력, 유연성, 평형성을 제외하고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야구에 참여하는 여성들의 체력 수준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향후 여자 야구 발전을 위해 여성들을 위한 체력을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훈련방법과 여자 사회인 야구선수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월경주기에 따른 내리막 고강도 달리기가 면역기능 및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황은진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적인 월경주기를 가지고 있는 건강한 20대 여성들이 난포기중반시기와 황체기중반시기에 내리막 고강도 달리기 운동 시 면역기능 및 염증반응의 변화를 다르게 나타낼 것으로 판단하여 이를 연구함으로써 월경주기에 따른 운동이 생리학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으로써 근·골격계 및 심·혈관계 질환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지난 6개월간 호르몬제나 피임약품을 사용하지 않고, 출산경험이 없는 여성 11명을 대상으로 난포기중반시기(월경 후 8-11일)와 황체기중반시기(월경 전 6-9일)로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피험자들은 월경주기에 따라 무선할당되어 평균온도 25.14±0.10℃, 평균습도 54.36±1.59%의 환경에서 안정기 30분, 내리막 달리기 30분, 회복기 1시간을 포함하여 약 120동안 수행하였다. 피험자는 안정기 후 –17.6%로 설치된 내리막 트레드밀로 이동하여 최대산소섭취량의 70%로 30분간 달리기를 수행하였고, 실험 중 고막온도, 심박수, 운동자각도, 통증자각도를 측정하였다. 혈액변인은 안정기 후, 운동 1시간 후, 운동 24시간 후에 채혈하여, Complete blood cell count(CBC), CK, LDH, CRP, IgG, Cortisol를 측정하였다. 모든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으며, 두 조건과 측정시기 간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날 경우, 두 조건에 대해서는 Independent T-test, 시기에 대해서는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사후검정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운동자각도의 변화에서 조건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WBC와 CRP는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CK, LDH, IgG, Cortisol은 상호작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내용을 종합해 보면, ML에 피험자들은 MF보다 운동 강도를 더 높게 인지하는 것으로 보이며, ML에서 모두 높게 나타난 WBC는 염증반응인자의 높은 수준을 의미하므로 ML은 MF보다 고강도 운동 시 근육 손상의 유발과 염증반응이 높을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ML의 Post-24h에 급격한 증가를 한 CRP는 정상수치 안에 있었으므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률을 높일 수 있는 수치는 아니었지만, 여성들은 ML에 운동 시 염증반응에 의한 근육 통증과 염증단백질 증가에 유의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 주시안과 주로 사용하는 손의 조합에 따른 집단 간 농구자유투 성공률 비교

        김주효 국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서울에서 생활체육으로 길거리 농구를 하는 성인남자 200명을 대상으로 주시안과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손의 조합에 따른 자유투 성공률을 비교하고 확인하기 위해 연구절차에 따른 실험을 하고 그 결과를 측정하였다. 그 후 통계프로그램인 SPSS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대응 표본 t-검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각 집단에서 양안을 사용한 자유투 성공률에 대한 비주시안을 사용한 자유투 성공률과 주시안을 사용한 자유투 성공률을 비교하였을 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p<.05)가 나타났다. 둘째, 각 집단 내에서 자유투 성공률을 비교하여 농구 자유투 상황에서 주시안이 비 주시안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집단 간 주시안을 사용한 자유투와 비주시안을 사용한 자유투를 통해 성공률이 높은 순서가 일치했고 이는 실험결과의 일관성을 보여주었고 농구 자유투 상황에서 주시안과 비주시안 모두가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주시안과 주로 사용하는 손의 조합이 동측인 집단이 대칭인 집단에 비해 양안을 사용한 자유투, 주시안을 사용한 자유투, 비 주시안을 사용한 자유투 성공률이 모두 상대적으로 높았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를 통해 시각적 감각 자체가 농구 자유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더 나아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주시안과 자신이 주로 사용하는 손의 조합에 따라 자유투 능력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며 이 두요소가 농구자유투에 밀접한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복싱 동작의 에너지소비량 분석과 복싱운동 숙련에 따른 에너지소비량 비교 연구

        이윤빈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복싱 동작의 에너지소비량 분석과 복싱운동 숙련에 따른 에너지소비량 비교 연구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스포츠자연과학 전공 이 윤 빈 복싱운동은 상, 하체 근육을 동시다발적으로 사용하며 유, 무산소 운동능력을 필요로 하는 스포츠 종목이다. 짧은 시간동안 많은 에너지를 소비시킨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싱운동의 각 동작에 대한 에너지소비 효율과 6주간의 복싱 훈련으로 인한 숙련 정도가 에너지소비량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를 확인하여 복싱운동 중 소비되는 에너지소비량을 보다 명확히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복싱운동 경험이 없는 건강한 대학생을 피험자로(남자 5명과 여자 5명 ; 나이 28.2±2.1 , 신장 171.4±8.4 cm, 체중 65.0±10.1 kg) 복싱훈련 6주동안 참가 시켰다. 피험자는 주 3회 40~60분 동안 훈련을 완료하였다. 훈련은 9개의 개별움직임으로 구성하였으며 6가지 타격동작 (Jap Straight, Counter Straight, Left Hook, Right Hook, Left Upper cut, Right Upper cut) 회피동작 2가지 (Ducking, Weaving), 이동동작 1가지 (Step)로 구성하여 훈련 하였다. 피험자들은 총 3회 측정을 하였고 훈련 전, 훈련 3주 후, 훈련 6주 후 동안 측정 순서는 무작위로 정렬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중 피험자의 산소섭취량과 호흡교환율을 측정하였다. 모든 자료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산출하였으며, 측정 조건에서 시기별 에너지소비량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를 사용하였다. 각 시기별 동작 간의 에너지소비량의 차이를 확인과 사후분석은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였다. 측정 결과 숙련 시 복싱동작별 에너지소비량은 평균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은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였으나 Left Hook동작에서 훈련 전 2.77 ± 0.68 kcal/min과 비교하여 훈련 후 훈련 3주 후 2.45 ± 0.56 kcal/min와 훈련 6주 후 2.51 ± 0.79 kcal/min으로 복합동작 C에서 훈련 전에서 8.15 ± 2.43 kcal/min이었고, 훈련 3주 후에서 7.32 ± 1.94 kcal/min로 감소되었으며(p<.05), 훈련 6주 후에선 7.38 ± 2.23 kcal/min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개별복싱동작과 복합복싱동작간의 차이는 평균적으로 복합복싱동작 3가지가 모두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복싱운동은 타격동작, 회피동작, 이동동작 3가지로 나눌 수 있고 이 3가지에 따른 에너지소비량은 각 동작간의 차이가 존재하며 평균적으로 각 동작간의 반복 횟수와 숙련에 따라 에너지소비가 달라진다. Analysis of the Various Boxing Movement and Comparison of Expertise in Boxing on Energy Expenditure Youn Bin Lee Graduate School, Kookmin University Seoul, Korea The boxing training use upper and lower body muscles harmoniously. requiring a complex exercise ability like aerobic exercise and anaerobic exercise, boxing exercise expend large energy in a short time. This research propose the certain energy consumptions of the individual and combination boxing movements and how to change the energy consumption value with skill level of boxing for 6 weeks . Ten, no-boxing experienced, healthy college students (5 men and 5 women; 28.2±2.1 yrs, 171.4±8.4 cm, 65.0±10.1 kg) participated in six weeks of boxing training. They trained 3 times/week, 40-60 min/session. Training was composed of 9 individual movements (IM); 6 punches (jab and counter straight, right and left hook and upper cut), 2 trunk movements (weaving and ducking) and step, and 3 combination movements (CMs); six punches in order (6CM), all 9 IM in combination (9CM), and jap and counter straights with weaving and step (4CM). The speed of each required task during training was maintained by a metronome at 50% of their maximal speed. They were tested three times; at baseline and after 3rd and 6th week of training. During the test, each task was randomly ordered and performed for 3 min with 2 min interval between tasks. During each task, oxygen uptake (VO2), and respiratory exchange ratio (RER) were measured. The data obtained in this research was changed to standard and standard deviation value. Using 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 method, the change of the energy consumption can be confirmed and in individual experiment condition. Independent t-test is used to analyze about the post researching. The experiment data showed a tendency. More increase the Boxing skill level was, the more decrease average energy consumption was. But, left hook movement was different from other boxing movement in situation that the experiment subject hadn't been trained ever. the left hook movement have expanded the energy "2.77 ± 0.68 kcal/min" . three weeks/Six weeks after the first experiment had done, left hook expanded the energy each 2.45 ± 0.56 kcal/min, 2.51 ± 0.79 kcal/min. In individual case non skill / training for 3weeks /training for 6the, energy consumption decrement of compound motion C was 8.15 ± 2.43 kcal/min/ 7.32 ± 1.94 kcal/min/7.38 ± 2.23 kcal/min. The energy consumption of compound boxing movement is more than individual boxing movement in all case but statistically there wasn't different relation individual movement with compound movement. In the result, boxing movenet can be divided into hitting action, avoidance action, movement action. The energy consume difference between three action can be change according to experiment subject 's boxing skill and repetition.

      • 9주간 복합트레이닝이 경륜선수후보생의 경주력관련 요인에 미치는 영향

        김승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 9주 동안 주 3회 상지(스탠딩 바벨 컬, 덤벨 컬, 벤치프레스), 몸통(리버스 크런치와 트위스트), 하지(레그익스텐션, 시티드 레그 컬 머쉰, 레그 프레스, 바벨 스쿼트와 스텐딩 카프 레이즈)의 웨이트 트레이닝이 포함된 복합훈련은 경륜선수 후보생들의 경주수행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복합훈련 효과가 가장 명확하게 나타난 요인은 비선수 출신 경륜선수 후보생들의 트랙순위 향상이었다. 신체조성 변인 중 체중은 경륜훈련그룹과 복합훈련그룹 모두 감소하였고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체지방률과 제지방체중은 시기간 차이가 있었고(p<.001), 그룹 및 시기간에서도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으며(p<.001, p<.01), CT와 NT 그룹과 비교하여 CCT와 NCT 그룹에서 긍정적으로 변화했다. 특히 CCT 그룹은 CT와 NT 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체질량지수는 CCT 그룹에서만 증가하였으나 다른 그룹들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경륜전문체력의 변화에서 악력, 배근력, 벤치 프레스 1RM 및 스쿼트 1RM은 모든 그룹이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룹간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그룹간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CCT와 NCT의 증가율은 CT와 NT보다 모든 측정변인에서 더 높았다. 최대파워, 평균파워 및 피로지수는 시기간에 차이가 있었으며(p<.001), 그룹 및 시기에서도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p<.01, p<.001, p<.001). 체력항목과 동일하게 사후측정에서 모든 그룹이 긍정적으로 향상되었고 CCT 그룹은 다른 그룹들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주수행능력에서 200m와 500m는 시기간의 차이를 보였지만(p<.001), 그룹 및 시기간에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200m 기록에서 CT 그룹을 제외한 모든 그룹이 기록이 유의하게 단축되었고(CCT: p<.05, NCT: p<.01, NT: p<.01), 500m는 웨이트 트레이닝이 적용되지 않았던 NT그룹만 기록이 사전과 비교하여 더 유의하게 늘어났다(p<.05). 트랙경기순위변화에서 NCT 그룹이 사전과 비교하여 순위가 유의하게 높아지고(p<.05), CT와 NT 그룹은 순위가 유의하게 낮아졌다(p<.05, p<.05). 그룹간 비교에서는 CCT와 NCT 그룹이 CT와 NT그룹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경륜훈련원에서 경륜선수 후보생들에게 적용하는 경륜훈련프로그램에 부가적으로 웨이트 트레이닝이 포함된 복합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경륜전문체력 및 경주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었다. 웨이트 트레이닝은 핸들을 조정하는 상지의 전완근과 상완근, 페달링 파워를 높이는 하지의 근육인 대둔근, 대퇴사두·이두근, 비복근, 그리고 상지와 하지에 효과적이고 균형 있게 힘의 생성을 전달하고 지탱하는 몸통 부위 근육인 척추기립근, 복근들을 발달시켜 결과적으로 근력을 증가시켰다. 이러한 근력증가는 경륜전문체력의 긍정적인 향상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웨이트 트레이닝 경륜선수 후보생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특히 복합훈련그룹이 40회에 걸친 모의 트랙 순위 결과에서 경기순위가 상승했다는 것은 웨이트 트레이닝의 효과를 제고한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복합훈련그룹의 비선수 출신 경기순위가 무려 42%증가한 것은 체계적으로 훈련받지 못한 비선수 출신에게 웨이트 트레이닝의 필요성을 입증시키는 결과라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경륜선수 후보생을 대상으로 9주간 실시한 경륜훈련 및 근력트레이닝의 복합적 적용은 경륜전문체력과 트랙경기순위의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였지만, 신체조성 및 경기기록단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SNPE 운동프로그램이 척추질환자의 통증 요인에 미치는 영향

        이희진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elf Natural Posture Exercise (SNPE) program on the factors of pain in patients with chronic spinal diseases. This study analyzed changes of pain factors after SNPE program for acquiring pain relief strategies. A total of 70 women was recruited and divided into 3 groups; cervical exercise group (CEG: n=36), lumbar exercise group (LEG: n=16) and the control group (CG: n=18) in their 20-40s diagnosed with the diseases corresponding to the Korean Standard Disease Classification (code M40-M54, Dorsopathies). For an agreement of their participation, physical activity readiness, and a pain disability index questionnaire were administered. Their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postural alignment, muscle tone, and pressure pain threshold were measured. They also submitted radiographic reports screened by a hospital. After the pre-screening, CEG and LEG performed SNPE program, 80 min /session 3 times/wk, for 12 weeks while CG did not. The exercise programs of CEG and LEG were based on the basic program (Choi & Yoon, 2017; Yoon et al., 2019; Lee et al., 2020) consisted of an intensive exercise modul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disease status. After the 12 weeks of program, they were retested. The data for each test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resented as mean (M) and the standard deviation (SD). One-way ANOVA was used to verify the differences of each measured variables between the groups. For the post-hoc, the Scheffe was performed.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pain and factors of pains, Pearson's correlation was performed. Correlation coefficient () was presented, and the statistical type 1 error level was set as =.05. CEG and LE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CG in both the cervical pain disability index and lumbar pain disability index (<.01). The pressure pain threshold at the suboccipital muscle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CEG than in CG (<.01). For the erector spinae muscle, LEG improved more than CG (<.05). For the upper trapezius, lower trapezius, and pectoralis major muscle, LEG improved significantly than CG (<.01). In muscle tone, CEG and LE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suboccipital muscles (<.01) than in CG. For the lower trapezius muscle (<.05) and the pectoralis major muscle (<.01), CEG improved more than CG. The erector spinae muscl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01) in LEG than in CG. For postural alignment, CEG and LE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CG in shoulder balance (<.01), pelvic balance (<.01), and craniovertebral angle (<.01). In the skeletal structure, LEG improved more than CG in lumbar lordosis (<.01). I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mount of changes in pain and factors of pain, the amount of changes in pressure pain threshold and muscle tone was highly correlated as in the suboccipital muscle (=.348, <.01), upper trapezius (=.415, <.01), lower trapezius (=.318, <.01), erector spinae muscle (=.303, <.01), and pectoralis major muscle (=.432, <.01).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ssure pain threshold and postural alignment was significant as in the suboccipital muscles (=.242, <.05), the shoulder balance and the suboccipital muscles (=.230, <.05), the lower trapezius (=.372, <.01), erector spinae muscle (=.267, <.05), pectoralis major (=.233, <.05), pelvic balance and erector spinae muscle (=.234, <.05). And the position of the lateral ear and the lower trapezius (=.309, <.01), pectoralis major (=.327, <.01), the position of the shoulder and the pectoralis muscle (=.243, <.05), the craniovertebral angle and the lower trapezius (=.358, <.01), and the pectoralis major muscle (=.424, <.01)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For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essure pain threshold and skeletal structrue, the cervical gravity line and lower trapezius muscle (=.367, <.01), cervical lordosis and lower trapezius muscle (=.280, <.05), lumbar lordosis and pectoralis major muscle (=.235, <.05) were significant. After the 12 weeks of SNPE program customizing for the each pain site, the pain (pain disability index, pressure pain threshold) of spinal diseases decreased. Also, all the measured factors of pains (muscle tone, postural alignment, and skeletal structure) changed positively while the improvement in muscle tone was the highest than the other factors. It can be proposed that pain reductions through SNPE program are high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the muscle tone. Results suggest that the SNPE program customizing for the each known spinal disease can be recommended as an effective method for pain improvement in patients with spinal diseases. The muscle tone relief can be suggested as a major factor in pain improvement by SNPE. 이 연구는 척추질환자를 대상으로 통증개선을 위한 질환부위별 SNPE 운동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이에 따른 척추질환자의 통증(통증장애지수, 압력통증역치)과 통증 요인(근긴장도, 자세정렬, 골격구조)의 변화를 분석하여 SNPE가 통증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경추 또는 요추에 한국표준질병분류에 따른 등병증(질병코드 M40-M54, Dorsopathies)에 해당하는 질병을 진단받은 20-40대 여성 70명(경추운동군 CEG: n=36, 요추운동군 LEG: n=16, 대조군 CG: n=18)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사전 검사는 신체활동 준비상태 점검을 통해 연구참여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부위별 통증장애지수 설문지를 수행하고, 신체계측 후 자세정렬, 근긴장도, 압력통증역치를 측정하였다. 이후 1주일 내에 개별적으로 가까운 병·의원에 방문하여 방사선 검사 결과물을 연구자에게 제출하도록 하였다. 사전 검사 이후 CEG와 LEG는 12주간 주 3회의 SNPE 운동을 회당 80분씩 진행하였고 CG는 어떠한 운동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CEG와 LEG의 운동프로그램은 최중기, 윤지유(2017)의 ‘SNPE 바른자세 척추운동’에서 제시되는 베이직 프로그램을 기본으로 수행하며(윤지유 등, 2019; 이희진 등, 2020) 개인의 질환 부위에 따른 집중운동을 포함하여 구성하였다. 12주 후 진행된 사후 검사는 사전 검사와 동일하게 진행되었다. 각 검사의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여 평균(Mean, M)과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SD)로 제시하였으며, 각 변인에 따른 사전-사후 변화량의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사후검증(post-hoc)은 Scheffe를 실시하였다. 통증과 통증 요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여 상관계수(𝘳)를 제시하였으며, 통계적 1종 오류 수준은 𝛼=.05로 설정하였다. 척추질환자의 통증 및 통증 요인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경부통증장애지수와 요부통증장애지수는 두 변인 모두 CEG와 LEG가 CG보다 더 크게 개선되었다(𝜌<0.01). 압력통증역치는 후두하근은 CEG가 CG 보다 더 크게 개선되었고(𝜌<.01), 척추기립근은 LEG가 CG 보다 더 크게 개선되었으며(𝜌<.05), 상부승모근, 하부승모근, 대흉근은 CEG와 LEG가 CG보다 더 크게 개선되었다(𝜌<.01). 근긴장도는 후두하근(𝜌<.01)은 CEG와 LEG가 CG보다 더 크게 개선되었고, 하부승모근(𝜌<.05)과 대흉근(𝜌<.01)은 CEG가 CG 보다 더 크게 개선되었으며, 척추기립근(𝜌<.01)은 LEG가 CG보다 더 크게 개선되었다. 자세정렬은 어깨밸런스(𝜌<.01), 골반밸런스(𝜌<.01), 두개척추각(𝜌<.01)에서 CEG와 LEG가 CG보다 더 크게 개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골격구조는 요추전만각(𝜌<.01)에서 LEG가 CG보다 더 크게 개선되었다. 척추질환자의 통증 및 통증 요인 변화량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압력통증역치와 근긴장도의 변화량에서 후두하근(𝘳=.348, 𝜌<.01), 상부승모근(𝘳=.415, 𝜌<.01), 하부승모근(𝘳=.318, 𝜌<.01), 척추기립근(𝘳=.303, 𝜌<.01), 대흉근(𝘳=.432, 𝜌<.01)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압력통증역치와 자세정렬에서 정면의 코의 위치와 후두하근(𝘳=.242, 𝜌<.05), 어깨밸런스와 후두하근(𝘳=.230, 𝜌<.05), 하부승모근(𝘳=.372, 𝜌<.01), 척추기립근(𝘳=.267, 𝜌<.05), 대흉근(𝘳=.233, 𝜌<.05), 골반밸런스와 척추기립근(𝘳=.234, 𝜌<.05)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측면의 귀의 위치와 하부승모근(𝘳=.309, 𝜌<.01), 대흉근(𝘳=.327, 𝜌<.01), 어깨의 위치와 대흉근(𝘳=.243, 𝜌<.05), 두개척추각과 하부승모근(𝘳=.358, 𝜌<.01), 대흉근(𝘳=.424, 𝜌<.01)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압력통증역치와 골격구조의 변화량에서 경추중력선과 하부승모근(𝘳=.367, 𝜌<.01), 경추전만각과 하부승모근(𝘳=.280, 𝜌<.05), 요추전만각과 대흉근(𝘳=.235, 𝜌<.05)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척추질환자를 위한 질환부위별 SNPE 프로그램을 12주간 적용한 결과 척추질환자의 통증(통증장애지수, 압력통증역치)이 감소하였다. 또한 이와 관련된 통증 요인(근긴장도, 자세정렬, 골격구조)이 모두 호전되는 양상을 보였으며, 그중에서 근긴장도의 개선이 다른 요인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SNPE 적용을 통한 통증 감소는 근긴장도 개선과 관련이 높을 것으로 사료되어 각 변인에 따른 변화량 간의 상관분석을 시행한 결과 통증 변화량과 근긴장도 변화량 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결과는 질환별 SNPE 프로그램이 척추질환자의 통증개선을 위한 효과적인 방안으로 권장될 수 있으며, SNPE를 통한 통증 개선의 주요 요인으로 근긴장도 완화가 제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BFI에 따른 요부재활운동이 스트레스 호르몬, 염증성인자, 요부신전근력 및 요통에 미치는 영향

        김남균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요부재활운동프로그램적용에 따라 나타나는 성격요인별 스트레스 호르몬, 염증성인자, 요부신전근력, VAS, ODI의 변화를 규명하여 심인적요소가 고려된 다양한 요부재활운동 프로토콜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가 이루어졌다. 대상자는 추간판탈출증 진단을 받은 6개월이상의 만성요통 환자 30-50대 여성10명[신경증성향 운동그룹(5명), 기타성향 운동그룹(5명)]으로 설정하였으며, 요부재활운동 프로그램을 8주간 실시하였다. 분석항목으로는 스트레스 호르몬(cortisol, epinephrine, norepi- nephrine), 염증성 인자(WBC, CRP, ESR), 요부신전근력, VAS, ODI를 분석하였다. 두 그룹 모두에게 8주간 요부재활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주 3회 약70-80분간 주관적 강도인 RPE를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이상의 실험과정을 통하여 스트레스 호르몬, 염증성인자, 요부신전근력, VAS, ODI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스트레스 호르몬 BFI로 분류된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요부재활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스트레스 호르몬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코티졸,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을 분석하였으며, 요부재활운동 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코티졸의 변화는 신경증성향 그룹은 요통재활운동 후 증가하였으며 시기별 유의차가 있었고 기타성향 그룹은 요통재활운동 후 감소하였으나 시기별 유의차는 없었다. 신경증성향 그룹과 기타성향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에피네프린과 노르에피네프린을 측정한 결과 측정시기와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2) 염증성인자 BFI로 분류된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재활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염증성인자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WBC(white blood cell), ESR(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CRP(c-reactive protein)을 분석하였으며, 8주간의 요통재활운동을 적용한 후 WBC를 분석한 결과 측정시기와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P>.05). CRP, ESR를 분석한 결과 또한 측정시기와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요부신전근력 BFI로 분류된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재활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요부신전 근력의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요부신전근력을 측정한 결과 기타성향 그룹에서 0〫 를 제외한 모든 각도에서 신경증성향 그룹과 기타성향 그룹 모두 측정시기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P<.05), 그룹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4) 주관적통증과 요통장애지수 BFI로 분류된 추간판탈출증 환자의 재활운동프로그램 적용에 따른 주관적 통증과 요통기능장애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을 사용하여 VAS(visual analogue scale)와 ODI(oswestry disability index)를 분석하였으며, 8주간의 요통재활운동을 적용한 후 VAS와 ODI를 분석한 결과 신경증성향 그룹과 기타성향 그룹 모두 측정시기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VAS에서는 그룹 간에 유의차가 없었으나(P>.05), ODI는 그룹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결과적으로 두 그룹간 요부재활운동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염증성인자의 변화는 없었으며 요부신전근력은 같은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나 신경증성향 그룹은 기타성향 그룹에 비해 일상생활에서 요통으로 인한 기능장애를 더 느꼈으며, 낮은 강도의 저항성 운동에선 감소하고 높은 강도에선 증가하는 혈중 코티졸 농도가 기타성향 그룹은 감소한 것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동일한 조건의 요부재활운동에서 신경증 성향 그룹과 기타성향 그룹의 유의한 차이는 심인적 요인에 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성격별 요부재활운동 프로그램은 신경증성향 그룹의 운동 강도(RPE)를 기타성향에 비교하여 낮추거나 운동의 종류에 있어서 초기에 등척성 운동기간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