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기독교장로회 청소년부 교재분석 : 재개념주의를 중심으로

        박준철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21세기는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으며 교회교육도 끊임없는 갱신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교회교육은 여전히 전통적인 교육 양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수많은 기독교인들이 신자로서 배운 교리와 무수한 성서의 내용들을 머리로는 알고 있지만 정작 신앙인으로서 그들의 삶에 관련된 다양한 문제에 대해서는 답을 내릴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이와 같은 상황이 발생된 원인은 교회교육에 있어서 전통적인 교육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기 때문있다. 이러한 교육은 유아기부터 장년까지 교회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것은 교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교육과정과 교재의 개선이 요청되고 있는 바이다. 본 연구는 교재 내용의 개선을 위한 연구들 가운데 하나로서, 재개념주의적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청소년부 교재를 분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재개념주의는 교육과정 이론 중에 학자들이 가장 최근에 주장한 이론으로써 전인적 교육을 지향하며 학습내용을 학습자의 삶과 연관시켜 성서교육이 교리전수, 성서 지식 전달에 그치지 않고 삶의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 내도록 돕는다. 많은 교단이 있지만 그중 특별히 한국기독교장로회의 교재를 분석대상으로 선택한 것은 비교적 재개념주의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재개념주의를 통해서 청소년부 교재를 분석함으로써 한국기독교장로회의 청소년부 교재가 얼마나 재개념주의적 교육과정을 실시하고 있는지 알아볼 것이다.

      • 코메니우스의 영유아 교육론 연구

        제갈다일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는 다양한 삶의 방식을 강조하는 다원주의적 가치관과 생활양식 및 의식변화 로 인하여 필수적으로 여성 인력을 요구하므로 가정에서 사회로의 진출이 활발하게 되었다. 따라서 자녀양육은 어머니의 양육에서 타인의 양육으로 전환되어 질 높은 탁아제도 및 유아교육이 사회적, 국가적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이같이 현대사회는 지난 시대 그 어떤 사회보다도 다른 특징을 보여주며 이 특징들은 유아교육의 필요 성을 강조하고 또 다양한 성격의 유아교육 프로그램을 요청하고 있다.

      • 재개념주의 이론에서 본 초등부 교재분석 : '기·감·통' 교단을 중심으로

        김샛별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교회교재 내용의 개선을 위한 연구들 가운데 하나로서, ‘재개념주의적 입장’에서 살펴본 초등부 교재를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개선방향을 찾기 위한 문헌 중심의 연구이다. 교육과정에는 세 가지 입장이 있는데, 교육과정의 비체계성을 지적하고, 교육과정을 문서나 계획으로 정의하는 ‘전통주의적 입장’, 교육과정의 비효율성을 지적하고, 교육과정을 객관적 실재의 효율적 산출로 이해하는 ‘개념-경험주의적 입장’, 교육과정의 이념적 왜곡성을 지적하고, 초월·실존·이념·비평·의식화 등과 같은 언어를 합류시키며 교육과정의 본질을 꿰뚫는데 관심하는 ‘재개념주의적 입장’이다. '재개념주의'는 교육과정 이론 중에 가장 최근에 학자들이 주장한 이론으로써 전인적 교육을 지향하며 학습내용을 삶과 연관시켜 교육이 지식전달에 그치지 않고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 내도록 돕는다. 그리고 여러 교단의 교재 중에서 ‘한국기독교장로회, 기독교대한감리회, 대한예수교장로회(통합)’의 교재를 분석대상으로 선택한 것은 세 교단이 재개념주의를 지향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필요한데 이는 교육목표와 학습내용을 결정하고 교사와 학생의 위치를 결정한다. 즉, 교재가 추구하는 방향과 내용은 교육과정에 따라 달라진다. 교회교육의 발전을 위해서 요청되는 교사와 학생의 평등한 관계 속에서 학습내용을 삶 가운데 실천하도록 지식과 행동을 학습자가 안에서 밖으로 끌어내는 교육과정으로 개선하도록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초등부 어린이의 공동체성 함양 교육에 관한 연구 : 웨스터호프 3세의 이론을 중심으로

        백승엽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초등부 어린이들의 신앙특성에 관하여 웨스터호프 3세는 초등부 시기 및 청소년기 초기에 필요로 하는 것이 바로 귀속적 형태 즉 소속감에 대한 열망이라고 파악한다. 다음으로는 종교적 감정의 증대와 문자적 이해에 관한 것과 권위와 전통의 수용이라고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초등부 신앙특성을 가진 초등부 어린이들에게 신앙공동체의 한 사람으로 양육하기 위해 신앙공동체는 어떤 특성에 갖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면, 신앙공동체는 기본적으로 공동의 기억과, 공동의 비전, 공동의 권위, 그리고 마지막으로 공동의 의식을 소유한 공동체이다. 추가적으로 한스 큉의 교회이해를 덧붙이면 교회는 하나님의 백성으로서의 공동체이며, 성령의 능력으로서의 공동체이고,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공동체이다. 이러한 신앙공동체의 일원이 되게 하기 위한 교육의 목적은 삶의 스타일형성과 다음 세대에 참다운 신앙전수를 위한 바람직한 신앙공동체를 형성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전통-인간-사회라는 주제가 신앙공동체 교육의 내용이 될 수 있다. 초등부 어린이들을 신앙공동체의 한 사람으로 양육하기 위해서 앞에서 말한 목적과 내용을 어떤 방법으로 전달할 것인지도 중요하다. 첫 번째는 종교의식이 있다. 이것은 참여를 위한 것이어야 한다. 두 번째 방법은 소통을 위한 경험의 제공이다. 초등부 어린이들에게 제시해 줄 수 있는 최대의 경험을 교회는 제공해 주어야 한다. 마지막은 행동은 신앙을 체화하기 위한 것이어야 한다는 것을 이야기 한다. 웨스터호프 3세가 제시하는 행동이란 신앙의 표현으로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계획된 혹은 실행된 행동을 뜻한다고 했는데, 기독교인이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계획된 혹은 실행된 행동을 하는 것은 하나님이 역사 안에서 사랑과 정의와 권능으로 역사하신다는 전제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 하나님 나라 실현을 위한 기독교교육 연구 : Thomas H. Groome을 중심으로

        엄익주 한신대학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의 한국교회 즉 기독교교육의 현장에는 간과할 수 없는 많은 문제점들이 있다.예를 들면, 신앙의 개인중심주의, 신앙생활과 사회적 삶의 분리, 반지성적이고 기복적인 신앙행태 그리고 신앙을 개인적인 영혼구원의 영역이나 교회 내부의 문제로 축소시킴으로써 사회적, 역사적 책임을 소홀히 해 온 것들을 문제점으로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그동안 성장일로를 걸어오던 교회 구성원의 수적 정체 내지 감소의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매스컴에 빈번하게 등장하는 일부 교회와 기독교인들의 사회적 일탈행위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 이유로 인하여 교회 밖에서 교회를 향한 비판의 소리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 삶의 변화를 위한 통합적 성서교수 방법 연구

        김성미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83

        While Internet, the easy exchange of information, has changed Christian values and the perspective of faith, church education breeds church members in traditional education systems that only deliver contents. Therefore, although Christians attempt to solve our daily life problems based on doctrines and knowledge in the Bible, they are more likely to meet limitations. For such reasons, a number of Christians are tormented by religious skepticism or give up their religions. Walter Wink suggests integrated Bible education that connects between life and knowledge, focusing on the changes in the renovation of whole individual life and the changes in life. The education methods are suggested to use both the left hemisphere that is concerned with logical and analytic skills and the right hemisphere that serves for imaginative, intuitive, and holistic perception. The educational methods integrate emotion and reason and make a connection between the Bible written in the past and present life. Such process increases insight. In addition, it is argued that the insight brings the changes in whole individual life. Wink' theory can connect with three Bible education methods through problem posing, imagination, and dialogue. Problem posing, at this stage, is to wake participants' consciousness through a guide's question. It begins with a guide's question and gradually expands to participants' problem posing through the participants' speculation and curiosity. Problem posing question breaks the barrier of thinking and experiences. Imagination, metaphor, and etc can be answers and the answers can be applied to participants' lives. It makes all ideas possible. Secondly, the Bible education through imagination integrates and uses all intellectual abilities that human beings posses and always opens for new possibilities. Through the imagination, it allows human beings to feel that figures in the Bible are still alive and play in history and to have new visions for the future. The Bible education through dialogue carefully examines participants' life problems and makes a connection between the Bible and problems in life. In addition, it attempts to guide us to find the way to comprehension. The comprehension makes participants discover themselves and their visions and the visions can allow participants' lives to enter the process of changes. The study attempted to suggest integrated Bible education methods for changing life by overcoming and connecting the gaps between the contents of the Bible and life experiences, and the left hemisphere and the right hemisphere. It is suggestions to breed intellectual Christians by overcoming the left hemisphere and the right hemisphere, logics and emotion, intellect and sensibility, and knowledge and practice. Furthermor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suggested the educational methods to change individual Christians. 인터넷이라는 손쉬운 정보의 교류는 기독교인의 가치관과 신앙관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지만, 교회교육은 여전히 내용전달이라는 전통적인 교육 양식으로 신앙인들을 양육하고 있다. 따라서 기독교인들은 삶에서 만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교리나 알고 있는 성서지식과 연결하여 해결하려고 하지만 한계에 부딪치게 된다. 이런 이유로 많은 기독교인들은 종교적인 회의상태에 빠지거나, 종교를 포기하기도 한다. 월터 윙크(Walter Wink)는 전인적인 삶의 갱신과 삶의 변화에 목표를 두고 삶과 앎을 연결하는 통합적인 성서교육을 제안한다. 좌뇌의 논리적이며 분석적인 역할과 우뇌의 상상적이며 직관적·전체적인 역할을 함께 사용하는 교육방법을 제시한다. 감정과 이성을 통합하고, 과거에 쓰여진 성서와 현재의 삶을 통합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은 통찰력을 가져올 수 있다. 그리고 통찰력은 전인적인 삶의 변화를 가져온다고 주장한다. 윙크의 이론은 세 가지 성서교육 방법과 연결될 수 있다. 문제제기, 상상력, 대화를 통한 성서교육이다. 문제제기란 여기서 인도자의 발문을 통하여 참여자의 의식을 깨우는 것을 의미한다. 문제제기는 처음에 인도자의 발문으로 시작하여 점차 참여자 스스로의 사유와 호기심을 통해 참여자의 문제제기로 확장된다. 문제제기식 발문은 사고와 경험의 경계를 무너뜨린다. 상상과 은유 비유 등이 답이 될 수 있고, 그 답은 참여자의 삶속으로 들어갈 수 있다. 모든 생각이 가능하게 열어준다. 상상력을 통한 성서교육은 인간이 지닌 모든 지적 능력을 통합적으로 사용하고, 항상 새로운 가능성에 열려 있도록 한다. 상상력을 통해 하나님과 성서의 인물들을 역사속에 살아서 움직이는 존재들로 느끼고 경험하게 하며 미래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가질 수 있도록 해준다. 대화를 통한 성서교육은 대화를 통해 참여자들의 삶의 문제를 진지하게 들여다보고, 성서와 삶의 문제를 연결시킨다. 그리고 깨달음에 이르는 길을 찾아갈 수 있도록 시도한다. 그 깨달음으로 참여자는 자신 그리고 자신의 비전을 찾을 수 있게 되고 그 비전은 참여자의 삶을 변화의 과정에 들어서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성서의 내용과 삶의 경험, 그리고 좌뇌와 우뇌의 단절을 극복하고 양자를 연결하여 삶의 변화에 이르는 통합적 성서교육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 것이다. 좌뇌와 우뇌, 이성과 감정, 지성과 감성, 지식과 실천의 분리를 극복하여 신앙과 삶의 문제들을 풀 수 있는 통찰력 있는 기독교인을 양육하기 위한 제안이다. 나아가 기독교인들이 삶의 변화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교육의 제안이다.

      • 교회학교 교사교육 커리큘럼에 대한 고찰

        남성수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83

        기독교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교육의 장 가운데 하나가 교회학교이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의 현장에는 많은 교사들이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 대개의 경우 교사는 자원봉사자와 교육전문가의 특별한 구분 없이, 자원하는 교인이면 누구든지 사전교육이나 훈련없이 신앙적 열정과 헌신적인 봉사만으로 선발되어지고 활용되어졌다. 특히 교회에서의 지속적인 교사교육은 몇 몇 교회 외에는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주먹구구식으로 행해져 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교회학교의 여건 및 교육 수준은 어느 정도 발전한 데 비해 교사교육은 20년 전이나 현재의 상황이나 별로 나아진 것이 없다는 것을 통계조사를 통해 알 수 있다. 한편 교회의 교사교육 체계는 사회의 교사교육 체계보다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교회학교의 교사는 교육전문가이다. 따라서 교사는 전문적인 교사교육을 통해 진정한 교육전문가의 모습을 갖출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 교사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 또한 전문적인 교사교육 커리큘럼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의 커리큘럼을 고집하는 것은 전통의 전달이라는 의미 말고는 별다른 가치가 없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오늘날 시대에 맞는 교사상을 살펴보고 이러한 교사상을 길러내기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 및 커리큘럼 구성의 방향에 대해 모색하였다. 교사는 단순히 가르치거나 지식을 전달하는 자가 아니라 하나님의 선교를 위해 부름 받고 또 보냄 받은 자이다. 따라서 교사교육은 교사들이 주체가 되어 배우는 학습의 장이 되어야 한다. 교사들 스스로가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자가 되는 교육이 이루어 질 때 교회교육은 참된 ‘인간화’의 교육이 될 것이다. 이러한 교사가 주체가 되는 교사교육에서의 커리큘럼의 개발은 현재의 상황에 대한 비판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기존의 교육내용 속에 포함되어져 있는 시대적 상황이나 사회문화적 이데올로기를 밝혀내야 한다. 또한 비기독교적인 가치관을 은연 중 전수시키고 있는 교육내용을 발견하고 이를 수정하며 참된 기독교 진리에 관한 이론 및 실천적 설명으로 나아가야 한다. Church schoo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ields of Christian education. Of course, there are teachers at school. Generally, it is true that any believer with strong piety and sacrificing love could become a teacher at church schools without proper training or background knowledge. It is especially true that many churches don’t have a long term teacher training program. Even the ones they have are haphazard and unprofessional. Statistical researches suggest that the environment and education quality of church schools somewhat improved, while the quality of teachers didn’t for past 20 years. A church school teacher is an education expert. Therefore, an education expert is shaped by befitting training program, and such program should provide her a proper education methodology. There is also a need for professional curriculum for the training. Keeping the old, ineffective curriculum is nothing but senseless attachment to the tradition. This paper acknowledges current problems of church schools, reviews proper education methodology, and formulates a training program and curriculum to realize aforementioned methodology. Christian teachers are not only the transferors and teachers of secular knowledge, but the faithful who answered the God’s call for spreading the faith. Christian teachers should take the lead and teach themselves better ways of teaching if church school is to produce worthy, well-rounded, and ready students. Curriculum developing for this teacher-leading education should start with criticism that reflects actual situation. Such curriculum would contain identifying historical background or social and cultural ideology from secular education, and correcting subtle non-Christian values behind it. The curriculum also would reveal the true Christian values, and lead the student into the practice.

      • 공적 신앙 형성을 위한 교회의 신앙교육

        이도훈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83

        한국 사회에서 기독교는 다른 어떤 종교보다 깊은 종교성을 바탕으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한국 교회는 한국 사회 안에서 긍정적인 사회적 인식과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다. 그 근본적인 이유는 한국 교회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박형룡을 중심으로 하는 미국의 근본주의 신학의 토대에서 찾을 수 있다. 이러한 보수주의신학계열의 공통적 특징은 첫째, 성서축자영감설에 근거한 성서주의 둘째, 믿음만을 강조하여 하나님의 섭리에만 의존하는 반(反)참여적 반(反)역사책임적인 신앙 제일획일주의 셋째, 탈세계적이고 지나친 내면화 강조 때문에 생기는 신앙적 개인주의 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신학의 특징을 가진 한국교회의 신앙은 수직적 신앙, 비정치적 신앙, 배타주의적 신앙의 모습으로 나타났다.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론’, 안병무의 ‘민중교회론’, 라가츠의 ‘하나님 나라’ 신학은 이러한 잘못된 신앙의 패러다임을 가지게 되는 신앙교육을 극복하고, 공적 삶을 지향하는 신앙인을 교육하는 신앙교육의 신학적 토대가 된다. 이처럼 한국교회의 공적 신앙을 회복하여 사회적 공신력을 높일 수 있는 신학을 바탕으로 교회 안에서의 신앙교육은 하나님의 통치인 하나님 나라에 응답적인 삶을 살게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신앙교육의 내용은 역사의 참여하는 하나님의 백성으로의 회복과 역사적 공동의 예배 회복이 그 중심이 된다. 이러한 공적 신앙교육을 교육하기 위해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Shared Praxis) 과정과 방법을 활용한다. ‘나눔의 프락시스’(Shared Praxis) 방식은 실천(Praxis)과 기독교 공동체의 전승(Christian Tradition)과 공유(Shared) 등의 세 가지 구성요소로 이뤄지고, 다섯 단계로 진행된다. 1단계는 현재 행동에 대한 명명과 표현, 2단계는 학습 참여자들의 현재 행위에 대한 비판적 성찰, 3단계는 기독교 이야기와 비전에 접근, 4단계는 기독교 이야기와 자기 이야기의 변증법적 해석, 5단계는 신앙실천을 위한 결단이다. 이러한 그룸의 나눔의 프락시스는 현재의 삶을 적극적으로 고려하게 함으로써 쉽게 추상화되고 이원화되기 쉬운 하나님 나라 이해를 역사적이고 현실변혁적인 하나님 나라 이해로 전환시킬 뿐 아니라 그 실현에 다가설 수 있는 힘을 제공한다. In Korea, the Christianity has been grown up based on the more fundamental religious sentimental than any other religion. However, the Korean churches do not receive positive social acknowledge and assessment in Korean society. The basic reasons are found from the basis of divinity of fundamentalism of the US that affected Korean churches centering around Hyungryong Park. The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se conservative divinity category are as follows: firstly, Biblism based on the theory of Bible verbal inspiration, secondly, anti-participating anti-historical responsibility of worship conformism that relies on only the providence of God with the faith and lastly, world evasive and religious selfish due to excessive emphasize of internalization. The worship of Korean churches with these characteristics has been presented with the features of vertical worship, non-political worship and exclusive worship. Juergen Moltmann's 'theory of social thrinity', Byungmoo Ahn's 'theory of public church', Leonhard Ragaz's 'God's country' divinity are to overcome the religious education that has the wrong paradigm of the worship and to become theological basis of divinity education that educate the religious men who pursue the public life Likewise, with the basis of divinity that can raise the social public trusts by overcoming the public worship of Korean churches, the worship education in the churches would make people to maintain responsive lives to the God's country controlled by the God. Therefore, the contents of the worship education becomes the center of the God's people's recovery that participate the history and the recovery of historical joint divine service. In order to education such public worship education, Thomas H. Groome's 'Shared Praxis' is applied as the process and methodology. The way of 'Shared Praxis' is composed of three elements such as Praxis, Christian tradition and shared, progressed with 5 steps. The first step, the designation and the expression of the current movement, the second step, critical consideration for the current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the third step, approach to the story and vision of the Christianity, the fourth step, dialectic analysis of Christian story and self-story and the fifth step, the decision for the practice of the worship. The 'Shared Praxis' of Thomas H. Groome not only converts the understanding of God's country which tends to be abstract and dualistic by making people consider their current lives more actively to the understanding of God's country which is realistic and innovative but also provides the power to approach closer to the reality.

      • 교회교육을 위한 증언공동체 교육론 : 문동환을 중심으로

        장수연 한신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83

        국문요약 하나님이 창조하신 세계가 신자유주의 경제법칙으로 인간도 노동도 소외되고, 획일화된 공교육은 경쟁과 물질주의 사고를 심어주고 있다. 그런데 교회역시 무한 경쟁과 인간에 대한 배려 없는 학교교육과 신자유주의 경제를 숭배하는 사회가치를 쫓아가고 있는 실정이라서 교회 안에서 조차도 개인주의가 속출하고 사회적으로는 교회가 제대로 된 역할을 못하고 있다. 창세기 1장과 2장을 보면 하나님은 우리를 공동체적인 인간으로 창조하셨다. 그럼으로 인간의 각자의 삶의 자리에서 성서를 통해 공동체적인 신앙을 정립할 수 있도록 교회교육이 도와야 한다. 따라서 교회교육의 방향을 증언공동체 교육론으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 증언공동체로서의 교회교육은 공동체 지향의 가치를 심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증언공동체 교육론에서 교회교육의 문제를 보았을 때 현재 교회들이 보이고 있는 목회자중심, 평신도중심, 종교의식중심의 교회교육은 위기 가운데 있다. 목회자 중심의 교회교육의 위기는 목회자가 되기 위한 충분한 과정 없이 세상직업을 쫓아가고 성공위주의 교회 양적성장만을 추구하며 대형화를 외치고 공동체지향의 교회교육을 이루어내지 못했다. 평신도 중심의 교회교육의 위기는 단순한 사교모임으로 집단을 형성하여 서로간의 교통과 유기적 관계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개인주의적이고 경쟁위주의 기득권 싸움을 일삼으며 내세 지향적 가치관 속에서 사회의 일들에 무관심하고 하나님의 선교에 무관심하며 하나님의 정의를 외치며 약한 자들을 돌아보지 못하는 어둠의 잘못된 신앙으로 치닫고 있다. 종교의식 중심의 교회교육의 위기는 형식적이고 요식적인 일회성에 머물러 진정한 축제의 예배에로 초대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증언공동체 교육은 목회자, 평신도, 종교의식 중심의 위기를 극복하고 올바른 교회교육으로 나아가는 역할과 방향을 제시한다. 목회자 중심의 위기 극복의 방향은 새로운 공동체지향의 증언공동체 가치를 회복하고 자본주의 물질위주의 유혹에서 오는 양적 성장만을 위한 교회 대형화와 교권 안에서의 힘과의 결탁에 대한 욕심에서 단(斷)하고 끊임없이 성서를 통하여 하나님의 일하심을 증언하고, 직무에 충실하며, 자신의 능력을 창조적으로 개발해 나감과 동시에 현실에 대한 직시와 문제들을 명료하게 인식하고 하나님 선교에 대한 평화교육으로 나아가게 한다. 평신도 중심의 위기 극복의 방향은 단순한 사교모임에서 벗어나 교회의 주체들로서 각자가 삶에 있어서 서로가 존중하고 배려하며 섬기는 공동체지향으로 나아가게 한다. 하나 되지 못하게 하는 것에서 각(覺)하고 다양한 달란트를 가지고 성서와의 대화를 통하여 삶의 현장에서 하나님의 일하심을 보고 증언하는 공동체가 되게 한다. 종교의식 중심의 위기 극복의 방향은 형식적인 것에서 벗어나 배타성과 이기심을 버리고 공동체의 의미와 가치를 소중히 여기며 축제로서의 예배를 회복하게 하고 공통의 목적과 의지를 공유하며 개방성을 가지도록 한다. 그러므로 교회는 하나님이 부르신 백성들의 공동체로서 예수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의 사건을 증언하고 그러한 의미의 복음이 올바로 선포되고 축제로서의 예배와 성만찬이 올바른 방향으로 나누어지는 공동체로서 증언공동체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증언공동체 교육론으로 목회자, 평신도, 종교의식 중심의 잘못된 신앙을 위기로 문제 삼고 신앙과 의식을 겸비한 새로운 공동체를 향한 올바른 교회교육으로 나아가는 의미와 방향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교회교육을 위한 증언공동체 교육은 예수님을 통해서 이룩하셨고 계속해서 성령을 통해서 이룩하고 계시는 하나님의 새 창조의 역사를 깨달아 알게 하고 이에 믿음과 소망과 사랑으로 응답하게 도와야 한다. 또한 그리스도를 머리로 한 새 창조 전위대적인 백성이 되게 할 뿐 아니라 목회자 개인을 넘어 공동체에게 맡겨진 사명을 다할 수 있도록 또한 하나님의 선교에 동참하는 평신도들을 육성하고 훈련하는 교육인 것이다. 그래서 생명의 기운으로 가득 찬 새로운 교회공동체가 되어서 세상에서 이웃과 더불어 희망을 이야기하고 서로 아끼며 섬기고 기쁨을 나누는 삶을 살게 되는 기화공동체가 되는 것이다. 그 속에서 인정공동체는 싹트게 되는 것이고, 하나님의 일하심에 동참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무엇인지 왜 그러한지를 깨닫고(覺) 바른 선교자세로 돌아서기 위해 욕심이 되는 이기심을 단(斷)하고 나아가는 생명공동체가 되는 것이다. 이 모든 교육은 삶의 과정 속에서 일어나는 것이며 성서를 통해서 묻고 깨닫게 되는 것이다. Abstract The world created by God has made humans and labor isolated in terms of Neo-liberal economic principle and standardized public education has been raising competition and materialism. But the church is not different from the society. It goes along with the age of limitless competition and in it there is no consideration for human-beings. In addition, church is overflowing with individualism and don't play a key role in our society because it prefers to neo-liberal economic principle. God created us as humans of community in the Bible Genesis 1 and 2. Therefore church education helps humans establish the faith of community through the Bible in Sitz im Leben of each human. For that reason There is a need for the church education shift. It is called witness community education. It can play a role planted value which is oriented community. From the witness community education point of view, the church education of pastors, layer and religious ritual's center is now in a crisis. Because of enough preparing for becoming pastors, The crises of church education on which pastor centers cause problems like the following. firstly, they followed the job in the world. secondly, they struggled to chase the quantitative church growth. finally, they didn't achieve the community oriented church education. The crisis of church education is raised by layer is that they did not form the organic relations one another. Also They are individual and strive competitive for the privileged right. Because they have thought centered afterlife, they are not interested in the mission of God as well as in their social problems which are related to the weak. The crisis of church education on which religious ritual centers didn't make the authentic festival worship because of formal and one-off thing. Hence the direction of overcoming the crises of church education on which pastor centers is to make the value of new community centered witness community restored and get out of from the temptation of quantitative growth and do away with greed for being in collusion with power in church authority. It is important for church to witness the work of God and to be faithful to its duties and develop its capacities creatively through the Bible. At the same time church should accept reality as it is, realize the problems plainly and make progress toward peace education for mission of God. The direction of overcoming the crises of church education on which the layer centers is to be free from the social gathering. And they should make their church as community respecting and serving one another. The direction of overcoming the crisis on which religious ritual centers is to break from formality, unfriendly attitude and selfishness. It is also important to cherish the meaning and value of community and to have openness sharing the common aims and wills to recover a worship service. Therefore church must witness the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witness community education enable the gospel to be proclaimed correctly and worship as a festival and the sacrament to go in the right direction. Witness community education can not only reflect wrong pastors, layer, and religious ritual but also suggest the right education of church toward the new community. We should help realize the fact that Witness community education for church education was achieved by Jesus Christ and continuously the history of new creation worked by God will be made through the holy spirit. Not only it is able to become great peoples to accept Jesus as their head but also is capable of doing their duties responsible for community beyond individuals. And layers will be highly trained to participate in the mission of God through the Witness community education for church education. The members of new church community filled with the energy of life can share and talk about the wish with their neighbors. And they become Giwha community that serves and shares the pleasure each other. In it Injung community will be made and life community that break out the selfishness will be created. These kinds of instruction will happen in the process of life and we are to ask questions and to be realized through the Bible.

      • 한국기독교장로회 교회교육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송호만 한신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83

        한국기독교장로회 교단은 교회교육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밝히고 있다. "교회 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교인들로 하여금 이미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이룩하셨고 또 계속 성령을 통해서 이룩하고 계시는 하나님의 재창초의 역사를 깨달아 알게 하고 이에 믿음과 소망과 사랑으로 응답하게 도와 그리스도를 머리로 한 새 질서 창조의 전위대적인 백성이 되게 할 뿐 아니라 저희들에게 맡겨진 사명을 다할 수 있도록 육성하고 훈련하는 일이다. 교회의 처음 시작은 분명 성령의 역사와 뜻 가운데 시작되었다. 교회는 예수 그리스도를 머리로 한 그리스도의 몸이다. 이런 성격을 가진 참된 교회는 교회 자체에 관심을 두는 교회가 아닌 이웃과 세상을 위해 존재하는 '남을 위해 존재하는 교회 이어야 한다. 한국기독교장로회는 1969년 교회교육정책을 선언하고 교회교육의 방향성과 기능이 양적 성장을 위해 교육을 활용하기 보다는, 하나님의 구원역사를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열린 마음을 갖게 하고,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건설하는 사명을 가진 일꾼을 육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것은 하나님의 선교(Missio Dei) 신학에 바탕을 두어 교회교육의 목표와 방향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교단교육정책들의 중요성에도 불과하고 교단 산하의 대부분의 개 교회에서는 이에 근거한 교육이 체계적으로 시행되지 못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아직도 개 교회에서의 교리주입에 머무르는 교회의 신앙교육은 각자의 삶의 현장과 분리됨으로 말미암아 신앙과 생활이 분리되는 현상을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교회 내에서는 신앙대로 살지만 생활 속에서는 신앙대로 살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시각들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이는 곧 대다수의 한국교회가 교리적 답습에 의한 객관적인 신앙의 삶을 살도록 교육되어져 왔으며, 이는 곧 이러한 문제점으로 들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우리에게 가장 중요하게 요구되는 것은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의 교회의 교회교육에 대한 올바른 교육 신학적 이해와 현 교단의 교회교육의 현황,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교단의 교육신학에 따른 교회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를 시도하는 노력과 교육정책에 있어서도 교단의 지도자적인 위치에 있는 사람에게 뿐만 아니라 기장교회의 평신도에까지 기장 신앙고백에 대한 교육들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는 곧 교단의 미래이며 현장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교사교육에 대한 시급한 과제인 것이다.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has declared the following goal of church education. "The ultimate goal of church education is to help followers to realize the history of recreation God achieved through Jesus Christ and continues to achieve through the Holy Spirit and to respond with belief, hope and love, leading them to become the aggressive followers of the creation of new order headed by Christ, and fostering and training them to fulfill their missions." It is certain that church first emerged amid the history and meaning of the Holy Spirit. With Jesus Christ being the head, church is considered as the body of Christ. Therefore, true church should exist not for itself, but for neighbors and the world. That is, true church should be 'one that exists for others.'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declared its church education policy in 1969, and aimed at cultivating workers who can appropriately perceive God's salvation history and have a mission to establish God's nation, rather than utilizing education for the direction of church education and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function of church education. This shows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presented the goal and direction of its church education based on God's missio Dei theology. In spite of such importance of the education polici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most Presbyterian churches are failing to systematically deliver such education. Churches' religious education, that still focuses on learning religious tenets by rote, is detached from individuals' real lives, causing a separation phenomenon of their religion and daily lives. In addition, it has become difficult to turn a blind eye to negative views that people follow their religious teachings only in church, not in real life. Most churches in Korea have taught their followers to live objective religious lives following religious tenets, and as a result, problems above have occurred. Under these circumstances, churches under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 are required to appropriately understand church education in terms of theology education and to grasp the conditions and problems of current church education, making attempts to diversify church education programs. Besides, education on religious confession should be delivered to everyone from church leaders to laymen at Gijang churches. This is a task that decides the future of churches and should be carried out urgently with regard to educating teachers in charge of education in the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