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종합병원의 유행성 감염병 대응 간호인력관리 주요 요인의 상대적 중요도 분석

        차정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Analysis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Major Factors in the Management of Nursing Workforce Responding to Pandemics in General Hospitals by Jeong Eun Cha Master of Science in Nursing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Dr. Yun, Eunkyung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ajor factors for the management of nursing workforce responding to pandemics in general hospitals, and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such factors. This study verified content validity for experts, upon which four categories – ‘support and protection of workforce’, ‘development and reinforcement of workforce capacity’, ‘securing and relocating workforce’, and ‘governance’ - were selected, as were 30 entailing factor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factors was analyzed for 25 nursing managers in general hospita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Relative importance among the top items was found to be highest in ‘securing and relocating workforce’, followed by ‘support and protection of workforce’, ‘development and reinforcement of workforce capacity’, and ‘governance’. 2) An evaluation of relative importance for each item found to be highest in ‘availability of a compensation system’, a factor in the ‘workforce support and protection’ category, and lowest in the ‘annual vacation use rate’. Among the factors in the ‘development and reinforcement of workforce capacity’ category, the ‘availability of training manuals for the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was the highest, while the ‘completion rate of training for critically ill patients’ was the lowest. Among factors in the ‘securing and relocating workforce’ category, the ‘nurse to patient ratio’ was the highest, while the ‘resignation rate’ was the lowest. Lastly, for factors of ‘governance’, the ‘availability of plans for workforce allocation’ was the highest, while the ‘availability of a system of cooperation with related external organizations’ was the lowest. 3) The comprehensive results of the major factors by weight demonstrated that the ‘nurse to patient ratio’ was the highest priority, followed by ‘availability of training manuals for the response to infectious diseases’, ‘additional staffing rate’, ‘availability of a compensation system’. Based on the findings regarding importa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to monitor and manage factors for the management of nursing workforce responding to infectious diseases on a day-to-day basis; to be used to establish an effective nursing workforce management system; and to be utilized a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future policies and strategies. Key words Pandemic, Nursing workforce management, Relative importance analysis, Analytic Hierarchy Process

      • 지역문화 활성화를 위한 주민참여중심의 창작스튜디오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이현근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the national life standard has been improved within a short time going through the compressed economic growth and industrialization in Korean society, it is on the way of changing from the economy/labor activity-centered society to the culture/art/leisure activity-centered society. Such changes are led to the continuous reduction of working hours and increase of income level while the public interest and participation in culture and art are gradually increasing. Especially, as the positive influence of local residents' daily participation in art on local society grabs lots of attention, many types of local culture facilities are increasing. Especially, creative studio is a policy initially started for the purpose of supporting creative space for artists, and currently, its number is rapidly increasing as a part of coping with the purpose of local culture facilities. However, the existing cases show that the use of creative studio is still mainly focusing on the initial purpose of supporting creative space for artists, so that it is insufficient to consider it as a space for participating in culture and art, open to local residents. As cultural diversity increases and the importance of culture & art education is emphasized, it is highly needed to accept diverse social demands, exceeding the existing single purpose of creative studio as supporting creative space for artists. Providing local residents with hobby/leisure activities in daily life by generally opening art to them in local culture community, it also should contribute to the vitalization of culture with the regional identity. Thus, in order to suggest creative studios as a local culture space focusing on residents participation, this study understood the significance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 local culture and importance of creative studios' roles, and then drew a space program and design expression methods that could induce resi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in art. Researching and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foreign creative studios, a space plan was suggested like below by selecting Seoul Art Space Geumcheon claiming to stand for local culture & art community in Seoul as its target. First, a space that could draw empathy from wide generations in the region, with context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y of the targeted region was suggested. Second, a creative environment helping imagination and flexible thinking by using natural elements, giving emotional familiarity and stability, and also stimulating a sense of new direction was suggested. Third, a space program based on residents participation to promote their productive and independent participation without limiting their artistic participation to simple appreciation and consumption was extended. Fourth, a spatial composition generating open spatial expressions and natural meeting/communication to induce a bond of communication through space was suggested. Fifth, a variable and multipurpose space that could have diverse types of new attempts and use in accordance with local members' diverse demands was suggested. This study revealed the meaning of creative studio as a local culture center realizing local residents' participation, exceeding the simple purpose of supporting creative space for artists. Instead of the dichotomous structure of artists and local residents(audience), when planning(spatial set-up of program) a space model of creative studio, it would be necessary to preferentially consider that local residents should be induced to the space for diverse attempts, experiences, and communication for the community bond between participating entities.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proper space & environment plan by developing a program in the physical,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aspects, satisfying all the artists and local residents. 한국사회는 압축 경제성장과 산업화를 거쳐 짧은 시간동안 국민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경제, 노동활동 중심의 사회에서 문화, 예술, 여가활동 중심의 사회로 변화하는 과정에 있다. 이러한 변화는 지속적인 노동시간의 단축과 소득수준의 증가로 이어지면서 문화예술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참여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지역을 중심으로 주민들의 일상적 예술참여가 지역사회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주목되면서, 많은 종류의 지역문화시설들이 늘어나고 추세이다. 특히 창작스튜디오는 초기에는 예술가들의 창작공간지원이라는 목적으로 시작된 정책이지만 점차 지역문화시설이라는 목적에 대응하기 위한 일환으로써 그 숫자가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사례를 보면 아직까지는 창작스튜디오의 활용이 초기의 목적인 예술가의 창작 공간지원 위주로 되어있어 지역주민들에게 열린 문화예술참여 공간으로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문화적 다양성이 증가하고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창작스튜디오는 창작 공간지원이라는 단일 목적을 넘어 다양한 사회적 요구를 수용해야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지역의 문화 커뮤니티로서 지역주민에게 예술에 대한 문턱을 낮추어 일상 속에서 예술을 통해 여가·취미활동으로 삶을 풍요롭게 만들고 나아가 지역 고유의 정체성이 있는 문화 활성화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민참여중심의 지역문화공간으로서의 창작스튜디오를 제안하기위하여 지역문화에 있어 주민참여의 의의와 창작스튜디오의 역할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주민들의 자발적 예술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공간프로그램과 디자인표현방법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창작스튜디오의 현황을 조사, 비교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서울시에서 지역문화예술 커뮤니티를 표방하며 운영하고 있는 금천예술공장을 선정하여 공간계획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대상지역의 역사성과 대상지의 장소적 특성을 반영하여, 지역의 폭넓은 세대가 공감할 수 있으며, 타 지역과 차별화된 맥락성이 있는 공간을 제안하였다. 둘째, 자연요소의 직접적인 활용과 그 형태를 모티브로 사용하여 정서적 친숙함과 안정감을 주며, 새로운 방향감각을 자극하여 상상력과 유연한 사고를 돕는 창작환경을 제시하였다. 셋째, 주민의 예술참여가 단순한 감상과 소비의 영역에서 제한되는 것을 극복하고 생산적, 주체적 참여를 도모하기 위한 주민 참여기반의 공간프로그램을 확장시켰다. 넷째, 공간을 통한 소통과 공동의 유대를 이끌어 낼 수 있는 열린 공간표현과 자연스러운 만남과 소통이 이루어지는 공간구성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지역사회의 폭넓은 구성원들의 다양한 요구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새로운 시도와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변적이고 다목적인 공간을 제안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서 창작스튜디오는 단순히 예술가들의 창작공간지원이라는 목적을 뛰어넘어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구현되는 지역문화 중심지로써 그 존재의 의미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예술가와 지역주민(관람객)이라는 이분법적 구도가 아닌, 참여 주체들 간의 공동의 유대를 위해 지역주민을 공간으로 끌어들임과 동시에 예술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체험을 하게하고 이를 바탕으로 소통을 유도하게 되는 점들이 창작스튜디오 공간계획 시에 공간 프로그램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현대사회의 변동과정에서 자발적인 주민참여로 인하여 지역문화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창작스튜디오의 자리메김과 그 과정에서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코워킹 스페이스에 나타난 어메니티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백수연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Modern people spent 21 hours which is 88% of their activity time inside based on the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investigation and spend the most time in the working space in their workplace among the inside activity and spend 95% of time sitting on the desk. Like this, the working space is being realizing as part of life of the modern people. By this, there is interest on the change of working space is increasing and the value and inception on space is changing. Ray Oldenburg has quoted ‘the third place’ that is ‘unofficial public place as comfortable as house to rest and recharge’ of ‘The Good Great Place’ and required working place of alternative space for possible voluntary, free and 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 possible as well as aim for physical convenience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y this, new paradigm of innovative working space called the Coworking Space was born. Coworking Place is a sharing office and is setting as the culture of new working type. 4 kinds of characteristics of Coworking Space is flexibility for various use of the work, creativity to enhance work, relativity for cooperation and convenience for using space. The design factors needed for the smoothness of convenience to the working space which is physical certain space to the members is defined as amenity design and 4 kinds of aspects is looked into through advanced study. It was classified into green amenity design of environmental aspect, function amenity design of functional aspect, sensitivity amenity design of aesthetic design, sensory amenity design of experiential aspect and looked into through cases. You could have seen the 4 kinds of amenity designs, but direct natural factor expression with green amenity design of environmental aspect was lacking and for this, it was appeared reusing building or using natural factor or use outdoor garden or terrace. Moreover, physical aspect of green, function amenity design showing as Coworking Space through characteristic of amenity design and senses and psychological aspect of sensory amenity design was looked into. To analyze this,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after the year 2000’s were implemented and Coworking Space was classified into open work type, open type + focus work type, cafe type + open work type, combined work type which are work types by the requir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space. Elements among physical factors as the amenity design to the Coworking Space were horizontal, vertical factor and natural factor and the function factor was subdivided into the function for community and function for work support and design expression among psychological factor was material, color, light and shape and experiential experience factor were classified into dynamic and still experience. The physical factor and psychological factor of the amenity design as the amenity design analysis of Coworking Space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s is as the following. When looking at the elements of the amenity design of the physical factor, vertical separation factor of the elements to separate the working scope of the individual and common has appeared and could see the efficient space type for flexible work as the factor of user movement and layout. As the nature factor, plants were used to separate space and appeared as the role of visual block of the member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ppeared by making terrace. In the partial Coworking Space, nature factors might be seen to express by using directly but generally the nature factors were used and expressed. When looking at the function factor, is was the factor for work support for the members and showed well. Function for community is an open space and formed natural exchange of members by using the opened work space and the ratio of event facility or social participation space that is the community space was low. When looking at the design expression factor of amenity design of psychological factor, factor using light considered for the members to work in a comfortable space and in the community space of frequent free activity decorative light was displayed for psychological stimulation. In the space expression using material, nature material was aggressively used and colors not provocative and in the space expression using color, various colors were used and was appeared by expressing image of space and spacial separation. Open, free and three-dimensional objet expression can be seen as the expression of form. In the work type flexibly using physical space and maintain free relationship of members with the creative space, dynamic experience can be seen. On the other hand, in the flexible personal work space requiring convenience, it is known that still experience factor is appearing. As the characteristic of domestic, foreign Coworking Space, the relativeness for cooperation and flexibility of space formation for the usage of various members stood out, and physical factor as the factor of amenity design appeared for this. In the expression of community function factor, in the case of community function factor, domestic case had lacking space of creative activity as the facility of limited space compared to the foreign case and the accessive convenience to use the space was lacking calling for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In foreign case, flexibility, creativity, relativity showed well and in the case of convenience of space usage, field separation factor was lacking as the movement line has increased. Design expression of the space, in case of domestic the nature factor and artificial factor were adequately used in the color and material aspect but limiting expression showed. In the case of foreign, various and flexible design expression can be seen than the domestic case. Through the above analysis, in activating the characteristic of amenity design of Coworking Space, it is organized as the following as the supplement point. Firstly, make common space for personal work and community and harmonious layout to be formed flexible. Secondly, secure positive field by planning space of recharge and creative work for the optimal communication. Thirdly, enhance productivity of work through identity establishment and sense of belonging by applying identity of Coworking Space. Fourthly, by introduction of nature factor of environmental aspect provide effect of increasing vitality of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members. This study has the meaning in using the Coworking Space as the tool of physical, psychological senses for physical realization through means of amenity design and expect amenity design to be used as the basis to develop more into the third working space that is efficient and pleasant by the needs and requirement to one man venture enterprisers. 환경 과학원 조사에 따르면 현대인은 활동시간의 88%인 21시간을 실내공간에서 보내고 있으며 실내 공간 활동 중 직장 내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업무공간에서 보내며 95%의 시간을 책상에 앉아서 보낸다고 한다. 이처럼 업무공간은 현대인의 삶의 일부로서 자각되어지고 있다. 이로 인해 업무 공간 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공간에 대한 가치와 인식이 변화되고 있다. 레이 올덴버그는 'The Good Great Place'의 '휴식과 재충전 할 수 있는 집과 같이 편안한 비공식적 공공장소'라는 '제3의 공간'을 언급하면서 물리적 편의와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며 자발적이고 자유로운 다방향의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대안 공간으로의 업무공간을 요구하게 되었다. 이에, 코워킹 스페이스(Coworking Space)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혁신적인 업무공간이 탄생하게 되었다. 코워킹 스페이스는 함께 빌려 쓰는 공유사무실로서 새로운 업무유형의 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코워킹 스페이스의 특성4가지는 업무의 다양한 활용을 위한 유연성, 업무의 향상을 위한 창조성, 협업을 위한 관계성, 공간 이용의 편리성으로 살펴 볼 수 있다. 구성원들에게 물리적인 특정 장소인 업무공간에 편의의 원활함을 위하여 필요한 디자인 요소들을 어메니티 디자인이라고 정의하며 선행 연구를 통하여 4가지 측면으로 살펴보았다. 환경적인 측면의 그린 어메니티 디자인, 기능적인 측면의 기능 어메니티 디자인, 심미적인 측면의 감성 어메니티 디자인, 체험적 측면의 감각 어메니티 디자인으로 분류하여 사례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4가지 유형의 어메니티 디자인을 볼 수 있었지만 환경적인 측면의 그린어메니티 디자인으로 직접적인 자연요소의 표현은 부족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자연적요소의 활용이나 건물의 재사용, 야외 정원이나 테라스를 이용하여 나타냈다. 이에 더불어 어메니티 디자인의 특성을 통하여 코워킹 스페이스에 나타나는 요소로 그린, 기능 어메니티 디자인의 물리적 측면과 감성과 감각어메니티 디자인의 심리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2000년 이후의 국내외의 사례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코워킹 스페이스는 공간의 크기와는 상관없이 구성원들의 요구와 특성에 따른 업무유형인 오픈업무형, 오픈형+집중업무형, 카페형+오픈업무형, 혼합업무형으로 분류하였다. 코워킹 스페이스에 어메니티 디자인으로서의 물리적 요소 중 구성요소는 수평, 수직적 요소와 자연요소로 기능요소는 업무지원을 위한 기능과 커뮤니티를 위한 기능으로 세분화 하였으며 심리적 요소 중 디자인 표현은 재료, 색채, 빛, 형태로 경험적 체험요소는 동적, 정적체험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국내외 사례를 통해 코워킹 스페이스의 어메니티 디자인 분석으로 어메니티 디자인의 물리적 요소와 심리적 요소는 다음과 같다. 물리적 요소의 어메니티니 디자인의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개인과 공동의 업무영역을 분리하기위한 구성요소의 수직적인 분리요소가 나타났으며 동선과 레이아웃의 요소로 유연한 업무를 위한 효율적인 공간 유형을 볼 수 있다. 자연요소로서는 식물을 이용하여 영역을 분리하거나 구성원들의 시각적 차단의 역할로 나타났으며 테라스를 조성하여 심리적인 안정감이 나타났다. 일부 코워킹 스페이스에서는 자연요소를 직접 활용하여 표현된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전반적으로는 자연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표현하였다. 기능요소를 살펴보면 업무지원을 위한 기능으로 구성원들을 위하여 잘 나타났다. 커뮤니티를 위한 기능은 개방된 공간으로 오픈된 업무영역을 활용하여 자연스러운 구성원들의 교류를 형성하였지만 커뮤니티 공간인 이벤트 시설이나 사회적 참여 공간의 비율이 낮았다. 심리적 요소의 어메니티니 디자인의 디자인표현 요소를 살펴보면 빛을 이용한 요소는 구성원들의 쾌적한 공간에 업무를 볼 수 있도록 고려하였으며 구성원들의 빈번한 자유 활동의 커뮤니티 영역에서는 심리적 자극을 위하여 장식성의 조명을 연출하였다. 재료를 활용한 공간표현에서는 자연 소재를 적극 활용하여 색채가 자극적이지 않았으며 색채를 활용한 공간표현에서는 다양한 색채를 사용하여 영역 분리와 공간의 이미지가 인식되도록 표현하여 나타냈다. 형태의 표현으로 개방적이며 자유로우며 입체적인 오브제표현을 볼 수 있다. 물리적인 공간을 유연하게 활용하며 창조적인 공간과 함께 구성원들의 자유로운 관계를 유지하는 업무 유형에서 동적인 체험을 볼 수 있다. 이에 반하여 편리성이 요구되는 유연한 개인 업무공간에서는 정적인 체험요소가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내, 국외의 코워킹 스페이스의 특성으로 다양한 구성원들의 이용을 위하여 공간구성의 유연성과 협업을 위한 관계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이를 위해 어메니티 디자인의 요소로 물리적인 요소가 잘 나타났다. 커뮤니티 기능요소로의 표현에서는 국내의 경우 국외에 비해 한정된 공간의 시설로 창조적인 활동의 공간이 다소 부족하였으며 공간을 이용하기 위한 접근적 편리성이 다소 부족하여 구성원들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요한 것을 볼 수 있다. 국외의 경우는 유연성과 창조성, 관계성이 잘 나타났으며 공간 활용의 편리성에 있어서는 영역 분리요소로 동선이 길어져 다소 부족하였다. 공간에서의 디자인 표현으로는 국내의 경우 색채나 재료적 측면에서 자연요소와 인공요소를 적절히 사용하였으나 한정적인 표현이 나타났다. 국외는 국내보다는 다양하고 유연한 디자인 표현을 볼 수 있다. 위의 분석을 통해 코워킹 스페이스에서의 어메니티 디자인의 특성을 활성화하는데 있어서 보완점으로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개인의 업무와 커뮤니티를 위한 공동 영역과 조화로운 레이아웃을 유연하게 형성하도록 한다. 둘째. 최적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재충전의 공간을 계획하며 창의적인 업무를 위해 긍정적인 영역을 확보해 준다. 셋째. 코워킹 스페이스의 아이덴티티를 적용하여 소속감과 정체성 확립을 통해 업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넷째. 환경적 측면의 자연요소의 도입으로 구성원들의 심리적인 안정성과 커뮤니케이션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해준다. 본 연구는 코워킹 스페이스가 어메니티 디자인이라는 수단을 통해 물리적인 실현을 위하여 물리적, 심리적 감성의 도구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으며 1인 창업기업자들에게 필요와 요구에 따라 효율적이고 쾌적한 제 3의 업무공간으로 더욱 발전하는데 어메니티 디자인이 기초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노마디즘을(nomadism) 적용한 코워킹(co-working) 스페이스 디자인에 관한 연구

        이한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e fast changing world of technology and trends, speed and creativity at work become the most important issue and innovation in the workplace is discussed topic as well. General concept of office space is no longer matter and the distinction between rest area and work area is disappearing. It is easy to find people who work in the cafe or other rest area with their laptop and mobile network. Co-working space should be the place for sharing an knowledge and know-how in the new environment of working that beyonds sharing a space with someone or any experts. Modern people spent 21 hours which is 88% of their activity time inside based on the Environmental Research Institute investigation and spend the most time in the working space in their workplace among the nside activity and spend 95% of time sitting on the desk. Like this, the working space is being realizing as part of life of the modern people. By this, there is interest on the change of working space is increasing and the value and inception on space is changing. Ray Oldenburg has quoted ‘the third place’ that is ‘unofficial public place as comfortable as house to rest and recharge’ of ‘The Good Great Place’ and required working place of alternative space for possible voluntary, free and multidirectional communication possible as well as aim for physical convenience and psychological stability. By this, new paradigm of innovative working space called the Coworking Space was born. Coworking Place is a sharing office and is setting as the culture of new working type. 4 kinds of characteristics of Coworking Space is flexibility for various use of the work, creativity to enhance work, relativity for cooperation and convenience for using space. The design factors needed for the smoothness of convenience to the working space which is physical certain space to the members is defined as amenity design and 4 kinds of aspects is looked into through advanced study. It was classified into green amenity design of environmental aspect, function amenity design of functional aspect, sensitivity amenity design of aesthetic design, sensory amenity design of experiential aspect and looked into through cases. You could have seen the 4 kinds of amenity designs, but direct natural factor expression with green amenity design of environmental aspect was lacking and for this, it was appeared reusing building or using natural factor or use outdoor garden or terrace. Moreover, physical aspect of green, function amenity design showing as Coworking Space through characteristic of amenity design and senses and psychological aspect of sensory amenity design was looked into. To analyze this,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after the year 2000’s were implemented and Coworking Space was classified into open work type, open type + focus work type, cafe type + open work type, combined work type which are work types by the requir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ember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space. Elements among physical factors as the amenity design to the Coworking Space were horizontal, vertical factor and natural factor and the function factor was subdivided into the function for community and function for work support and design expression among psychological factor was material, color, light and shape and experiential experience factor were classified into dynamic and still experience. The physical factor and psychological factor of the amenity design as the amenity design analysis of Coworking Space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cases is as the following. When looking at the elements of the amenity design of the physical factor, vertical separation factor of the elements to separate the working scope of the individual and common has appeared and could see the efficient space type for flexible work as the factor of user movement and layout. As the nature factor, plants were used to separate space and appeared as the role of visual block of the members and psychological stability appeared by making terrace. In the partial Coworking Space, nature factors might be seen to express by using directly but generally the nature factors were used and expressed. When looking at the function factor, is was the factor for work support for the members and showed well. Function for community is an open space and formed natural exchange of members by using the opened work space and the ratio of event facility or social participation space that is the community space was low. When looking at the design expression factor of amenity design of psychological factor, factor using light considered for the members to work in a comfortable space and in the community space of frequent free activity decorative light was displayed for psychological stimulation. In the space expression using material, nature material was aggressively used and colors not provocative and in the space expression using color, various colors were used and was appeared by expressing image of space and spacial separation. Open, free and three-dimensional objet expression be seen as the expression of form. In the work type flexibly using physical space and maintain free relationship of members with the creative space, dynamic experience can be seen. On the other hand, in the flexible personal work space requiring convenience, it is known that still experience factor is appearing. As the characteristic of domestic, foreign Coworking Space, the relativeness for cooperation and flexibility of space formation for the usage of various members stood out, and physical factor as the factor of amenity design appeared for this. In the expression of community function factor, in the case of community function factor, domestic case had lacking space of creative activity as the facility of limited space compared to the foreign case and the accessive convenience to use the space was lacking calling for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In foreign case, flexibility, creativity, relativity showed well and in the case of convenience of space usage, field separation factor was lacking as the movement line has increased. Design expression of the space, in case of domestic the nature factor and artificial factor were adequately used in the color and material aspect but limiting expression showed. In the case of foreign, various and flexible design expression can be seen than the domestic case. Through the above analysis, in activating the characteristic of amenity design of Coworking Space, it is organized as the following as the supplement point. Firstly, make common space for personal work and community and harmonious layout to be formed flexible. Secondly, secure positive field by planning space of recharge and creative work for the optimal communication. Thirdly, enhance productivity of work through identity establishment and sense of belonging by applying identity of Coworking Space. Fourthly, by introduction of nature factor of environmental aspect provide effect of increasing vitality of communication and psychological stability of members. This study has the meaning in using the Coworking Space as the tool of physical, psychological senses for physical realization through means of amenity design and expect amenity design to be used as the basis to develop more into the third working space that is efficient and pleasant by the needs and requirement to one man venture enterprisers. 현대인은 활동시간의 88%인 21시간을 실내공간에서 보내고 있으며, 실내 공간 활동 중 직장 내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업무공간에서 보낸다. 그리고 책상에 앉아 95%의 시간을 보낸다고 환경 과학원 조사에 나타났다. 이와 같이 업무공간은 현대인의 삶의 큰 부분으로 자리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업무 공간의 변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공간의 가치와 인식이 변화되어지고 있다. 레이 올댄버그는 'The Good Great Place' 의 ‘휴식과 재충전 할 수 있는 집과 같이 편안한 비공식적 공공장소' 라는 '제3의 공간' 을 언급하며 물리적 편의 그리고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고 자발적이며 자유로운 다방향성의 소통을 가능 할 수 있게 하는 대안 공간의 업무공간을 요구하게 되었다. 코워킹(Co-working) 스페이스라는 새로운 페러다임의 혁신적 업무공간이 탄생하였다. 코워킹(Co-working) 스페이스는 함께 쓰는 공유사무실로 새로운 업무유형으로 자리 잡고 있다. 코워킹(Co-working) 스페이스의 특성3가지는 다양한 업무활용을 위한 유연성, 업무향상을 위한 편리성, 업무공간 이용의 편리성으로 살펴 볼 수 있다. 국내 및 해외 사례를 통해 노마디즘(nomadism)을 적용한 코워킹 (Co-working) 스페이스 디자인 요소는 다음과 같다. 물리적 요소의 노마디즘(nomadism) 구성요소를 살펴보면 개인과 공동의 업무영역을 분리하기 위한 구성요소의 수직적 분리요소가 나타났으며, 동선 및 레이아웃의 요소로서 유연한 업무를 하기 위한 효율적 공간 유형을 볼 수 있다. 자연요소로는 식물을 이용한 영역 분리와 구성원들 간의 시각적 차단의 역할로 나타났으며 테라스 조성으로 인한 심리적인 안정감이 나타났다. 일부 코워킹(Co-working) 스페이스에서는 직접 활용한 자연요소로 표현된 것을 볼 수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자연적 요소를 활용하여 표현하였다. 기능요소를 살펴보면 업무지원을 위한 기능을 잘 나타내고 있다. 노마디즘(nomadism)의 디자인표현 요소를 보면 빛을 이용한 요소로 구성원들을 쾌적한 공간에 업무를 볼 수 있도록 계획하였으며, 구성원들 간의 자유 활동 커뮤니티 영역에서는 심리적 자극을 위해 장식적 조명을 연출하였다. 재료를 활용한 공간표현에서는 자연적인 소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자극적이지 않은 색채가 주를 이뤘으며, 컬러를 활용한 공간표현에서는 다양한 컬러를 사용하여 영역 분리 및 공간의 이미지 인식되도록 표현하였다. 형태의 표현으로는 개방적이고 자유로우며 입체적 오브제표현을 볼 수 있다. 물리적인 공간을 유연하게 활용하며, 창조적인 공간 및 구성원들의 자유로운 관계를 유지하는 업무 유형으로 동적인체험을 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편리성이 요구되는 유연한 개인 업무공간은 정적인 체험요소가 나타나고 있다. 국내, 국외의 코워킹(Co-working) 스페이스 특성으로 다양한 구성원들의 이용을 위한 공간구성의 유연성 및 협업을 위한 관계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를 위해 노마디즘(nomadism)의 요소로 물리적인 요소가 잘 나타났다. 커뮤니티 기능요소의 표현에서는 국외에 비해 국내 시설이 한정된 공간의 시설로, 다소 창조적인 활동의 공간이 부족하였으며, 공간을 이용하기 위한 접근성 및 편리성이 부족하여 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가 필요한 것을 볼 수 있다. 국외의 경우 유연성, 창조성, 관계성이 잘 나타나 있으며, 공간 활용의 편리성에 있어 영역 분리요소로의 동선이 길어져 부족하였다. 공간에서의 디자인 표현으로 국내의 경우는 컬러나 재료적인 측면에서 자연요소 및 인공요소를 적절하게 사용하였으나 표현이 한정적으로 나타났다. 국외는 국내보다는 다양하고, 유연한 디자인 표현을 볼 수 있다. 위의 분석을 통해 코워킹(Co-working) 스페이스에서의 노마디즘(nomadism)디자인을 특성을 활성화하는데 있어 보완점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첫째. 개인의 업무 및 커뮤니티를 위한 공동의 영역과, 조화로운 레이아웃을 유연하게 형성한다. 둘째.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재충전 공간을 계획하며, 창의적 업무를 위한 긍정적인 영역을 확보한다. 셋째. 코워킹(Co-working) 스페이스의 아이덴티티를 적용하여 소속감 및 정체성 확립을 통한 업무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넷째. 환경적 측면의 자연요소 도입으로 구성원의 심리적 안정성과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코워킹(Co-working) 스페이스가 노마디즘(nomadism)이라는 수단을 통해 물리적, 심리적인 감성의 도구로 활용되는데 의의가 있으며 1인 및 소규모 스타트업(start-up) 기업가들에게 필요와 요구에 따른 효율적이며, 쾌적한 제 3의 업무 공간으로 더욱 발전하는데 노마디즘(nomadism)을 적용한 코워킹(Co-working) 스페이스 디자인이 기초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세지마 카즈요의 실내공간에 나타나는 공간구성과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박성규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this era where diversified values are pursued, the way of composing space is manifested as an expression of diverse concepts that breaks the convention. As such,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present is characterized by its ambiguity, flexibility and a new way of forming a relationship, distinguished from the contemporary mindset of compartmentalizing the physical space. The physical divide of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 is disappearing, the centrality continues to be disassembled and diversified, and each space is changing in an indeterminate and variable manner. We can see that the interior space now has the potential to expand continuously without hierarchy, and the exterior has been transformed into a space that forms a seamless continuity with the interior. In accordance with the changing perception of spatial composition, the architects of the contemporary are freeing themselves from the mainstream style of the time, building up their own portfolio of work by researching to create a potential space based on their own perception of space and its relationship. In this study, the author has analyzed Kazuyo Sejima’s style of spatial composition to understand how his unique perception of space and approach to relationship is expressed in his work of interior space.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Kazuyo Sejima has thoroughly research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and human and expresses in his interior space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 of action and field’ that allows human beings to have different experiences in a space. Secondly, the architect first observes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ithout limiting his attention to the structure and form of the architecture. He utilizes his observation as a component for composing space, incorporating the external environment into the interior. Thirdly, the interior space is composed in a way that lacks both central concept or clear boundary that allows the user to visualize and experience the space in a different way, making it possible to interpret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in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Lastly, by using transparent materials and white colors for the creation of new events and spaces, he expresses continuity, rather than a division of the space, showing his focus on the experience within an interior space and not merely the structure itself. The author will apply his understanding of the spatial composition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manifested in Kazuyo Sejima’s interior spaces to propose a creative and unconventional workspace, to be illustrated in Chapter five of this study. A potential space following a new interrelation of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was created and each space was designed for a flexible use, rather than following a program configuration for a single purpose. With this, the new direction of spatial composition valued in the current times that inspires the user to have a different experience by obscuring the boundary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 will be propos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suggests the creation of a new potential interior space with the contemporary spatial composition of blurred interior/exterior boundary, based upon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architect Kazuyo Sejima. The author expects that the study of various experiences and behaviors demonstrated in an interior space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place, and space will continue to proliferate. 현시대는 다원화된 가치를 추구하는 시대로서 공간구성의 방식 또한 관습적인 틀에서 벗어나 다양한 개념의 표현특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오늘날의 공간구성은 근대 사회의 물리적 공간의 영역을 구분하던 사고방식에서 불확정적이고 유동적인, 새로운 관계성을 형성하는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다. 과거의 공간구성의 방법에서 나타났던 내·외부의 물리적 경계가 사라지고 중심성은 해체되고 다원화되어가고 있으며 각각의 공간들은 가변적이고 불확정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실내공간은 위계를 갖지 않고 연속적으로 확장되는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게 되었고 외부공간이 내부에 연속적인 관계성을 형성하게 되는 공간의 특성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구성의 인식의 변화에 따라 현시대의 건축가들은 시대를 대표하는 특정 양식에서 벗어나, 각 개인의 공간 사고를 바탕으로 새로운 관계성에 의한 잠재적 공간을 만들어내기 위해 연구하며 자신만의 개성 있는 작품 활동을 펼쳐나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자적인 공간사고를 통하여 새로운 관계성을 실내공간에 표현하고 있는 세지마 카즈요의 공간구성 방법을 분석하여 실내공간에 어떻게 적용되었는지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세지마 카즈요는 공간과 인간의 관계성에 대해 깊이 연구하고 공간속에서 인간의 다양한 경험을 체험하게 하는 ‘행위와 장의 관계(Relationship of action and field)’ 형성을 실내공간속에 표현하고 있다. 둘째, 단순히 건축물의 형태와 구조에만 관심을 가지는 것이 아닌 주변 환경을 먼저 관찰하고 그러한 주변 환경을 하나의 공간구성 요소로 사용하여 외부의 환경을 내부에 유입하고 있다. 셋째, 실내공간에서의 공간구성은 중심개념이 없는 모호한 경계의 형성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때로는 시각적으로, 때로는 경험적으로 실내공간에 다양성을 부여하고 인간과 공간과의 관계성을 다차원적인 시각으로 재해석하게 하고 있다. 넷째, 새로운 사건과 공간의 생성을 위해 투명한 물성의 사용과 백색의 컬러를 사용하여 형태 그 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아닌 실내공간 속에서의 경험을 중점으로 공간의 분절이 아닌 연속성을 표현하고 있다. 이처럼 세지마 카즈요의 실내공간에 나타나는 공간구성과 표현특성을 분석하고 이에 본 연구에서의 작품에 적용하여 관습적인 틀에서 벗어난 창의적인 업무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내·외부의 새로운 관계성에 의한 잠재적 공간을 생성시키고 각각의 공간은 단일기능으로서의 프로그램 구성이 아닌 가변적인 공간의 활용을 가능하게 하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다양한 경험을 체험하게 하고, 중심개념이 없는 모호한 경계를 형성 시키고, 주변 환경과의 관계성을 통하여 현시대가 추구하는 공간구성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내·외부의 경계가 모호해진 현시대의 공간구성에서 새로운 잠재적 공간의 생성에 대해 건축가 세지마 카즈요의 표현특성을 바탕으로 실내공간에 제시하였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인간, 장소, 공간간의 관계성에 관하여 실내공간에서의 다양한 경험과 행위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길 기대한다.

      • 웰니스(Wellness) 개념을 적용한 호텔 피트니스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전현미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여가활동과 여행에 대한 니즈가 증가함에 따라 여행지의 숙박업소는 단순한 숙박 공간이 아닌 몸과 마음을 힐링하는 장소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웰니스(Wellness)관광 트렌드와 호텔에서 여름휴가를 보내는 호캉스족의 증가로 호텔은 이제 숙박뿐만 아니라 건강을 위한 전문화된 노하우 및 개별적 케어를 제공하여 몸과 마음을 힐링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되어야 한다.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하여 건강하고 균형 잡힌 식단을 제공하는 레스토랑과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재미를 줄 수 있는 부대시설에 건강 웰니스(Wellness) 프로그램을 적용한 호텔들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호텔의 부대시설 중 스파와 피트니스 클럽을 확대하거나 웰니스(Wellness) 프로그램을 특화한 해외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대부분의 호텔 피트니스는 회원제로 운영되거나 호텔 등급평가 기준을 만족하기 위한 기본적인 피트니스 시설만 보유하고 있어 이용객의 흥미를 일으키고 몸과 마음을 힐링 할 수 있는 공간구성 및 프로그램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건강 트렌드인 웰니스(Wellness)의 이론적 고찰 및 웰니스(Wellness) 개념을 적용한 호텔 사례조사를 통해 웰니스(Wellness) 피트니스 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으로 국내·외 호텔 피트니스 공간구성, 공간특성, 웰니스(Wellness) 프로그램을 비교분석 하였다. 국내와 국외의 호텔을 비교해 본 결과, 획일적일 국내 호텔 피트니스 시설과 달리 국외는 다양하고 액티비티한 프로그램과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용객의 다양한 요구와 취향을 충족시켜줄 수 있는 퍼스널 서비스 부분이 많이 발전되어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웰니스(Wellness) 피트니스 개념 및 프로그램을 정립하고 웰니스(Wellness) 개념을 적용한 호텔 피트니스 실내공간을 계획하였다. 이용객에 맞는 건강맞춤형 퍼스널 서비스를 강화하고 체험과 교육을 통한 맞춤형 웰니스(Wellness) 헬스 프로그램 및 공간을 제안하였다. 호텔 피트니스 클럽은 현대인에게 스트레스 해소와 운동을 통한 신체적, 정신적, 환경적 웰니스(Wellness)를 영위할 수 있는 건강생활 장소로 인식되어야 하며 이는 국내이용객 뿐만 아니라 외국인 관광객이 호텔을 선택하는 중요한 선택기준이 될 것이다. 본 연구의 계획이 향후 설계될 호텔 웰니스(Wellness) 피트니스 실내공간 계획시 방향제시가 되길 기대해본다. Accommodations in destinations are being changed to the places that heal body and mind, not simple living space, as leisure activit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the need for traveling have increased. And hotels should not be changed to the places that people can heal their bodies and minds by providing specialized know-how and individual care for health as well as lodgment due to the increase in the tourism trend of Wellness and Hocances who spend their summer vacations in hotels There tend to be increasing hotels that applied health Wellness programs to restaurants which provide healthy and balanced menus and additional facilities that can make people release stress and have fun. Especially, there have been increasing cases that overseas hotels enlarged spas and fitness clubs of the additional facilities or specialized Wellness programs. However, most of fitness clubs in Korean hotels are lacking in spaces and programs that users can take interested in and heal their bodies and minds because they are operated by membership systems or have basic fitness facilities to satisfy evaluation standards of hotel classifica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s to suggest Wellness fitness spaces through a survey on hotel cases that applied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 concept of Wellness, a healthy trend. For the research method, the spatial composition, spatial characteristics, and Wellness programs of domestic and overseas hotel fitness club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 that compared the domestic and overseas hotels has found that overseas hotels have various and active programs and facilities unlike uniform fitness facilities in the Korean hotels and many personal service parts which can satisfy users’ various requirements and taste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study, interior spaces of fitness clubs in hotels that established the concept and programs of Wellness fitness and applied the concept of Wellness were planned. Customized Wellness health programs and spaces that strengthen customized personal health services suitable for users through experience and education were suggested. Fitness clubs in hotels should make modern people recognize them as healthy life places that they can enjoy physical, mental, and environmental Wellness by releasing stress and exercising. And this will be an important standards that foreign tourists as well as domestic users select hotels. The plan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direction in planning Wellness fitness clubs’ interior spaces in hotels that will be designed in the future.

      • 관계마케팅을 적용한 복합문화공간 디자인 표현에 관한 연구

        정용현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With the development of IT, intensified competition between companies, diversified consumers' desires, decreased efficiency of mass media, and individualized/diversified customers' tendency, companies are facing lots of difficulties as the cost for creating new customers is increasing. Due to these changes, many companie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existing customers, and also realized the fact that the establishment of long-term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would be much more effective than aggressive marketing to acquire new customers. With the appearance of relationship marketing aiming to draw continuous loyalty and preference targeting the existing customers, the customer relationship-oriented market is formed. Thus,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an emotional space for providing special experiences as a space for creating 'value'. As the space for relationship marketing means the concept of space for establishing the long-term customer relationship by imprinting different memori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space combined with experiential space and immaterial information space as a plural space through experience and technology, and also to research the space design expression elements through the evolution of expression elements such as distortion and reflection of space by applying the digital attributes to space. The overall progress of this study is like below. Understanding the concept and necessity of relationship marketing and complex cultural space through preceding researches and literature consideration, and then classifying the types, the characteristics of expression and elements were drawn. Based on it,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foreign complex cultural spaces was researched and comparatively analyzed. Selecting the site with relatively high population rate of young people in downtown, the complex cultural space plan & design were suggested. Presenting the conclusion of preceding researches and dire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 First, in order to suggest the differentiated complex cultural space in the area with lots of commercial facilities, the site with the historicality and characteristics of place was selected. By reproducing the traces and memories of the space through the use of architectural form and texture, the space was suggested in the minimum expression. Second, a space is completed by customers' participation, and a new space is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diverse experiences and emotional responses. This is a space for changing, moving, creating, experiencing, and interacting.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through customers' participation was suggested. Third, with the complex and simultaneous action of digital media, the interactive environment is established, and two-way communication is created. The space for responding is not a previously-planned space, but an impromptu and living space. It induces active participation in new experience depending on individual's thinking. In other words, the relationship with space through customers' immersion was suggested. Fourth, projecting images on the floor or wall of buildings by using digital and then extending the limit of physical space through network, participants have unique experiences in crossing 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material and immaterial, and virtuality and reality. In other words, a new experience crossing between reality and virtuality was suggested. Fifth, it was suggested to naturally experience culture & arts by arranging commercial facilities like restaurant and cafe with great accessibility based on the consideration of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also composing a space for experiencing culture & arts between space programs. This study showed lots of changes in expressing elements of space and also infinite changes in the expression of interior space with the possibility of synchronical access through interactivity, use of integrated media, and development of network. Also,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audience's participation and frequency of visit by applying the expression elements maximizing emotion, to provide opportunities to enjoy culture & art in daily life, and also to suggest the complex cultural space plan for the vitalization of local culture. 정보기술의 발전과 기업의 경쟁심화와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화되면서 기업들은 신규고객을 창출하기 위한 비용이 증가하고 대중 매체의 효율성 감소와 고객의 성향이 개성화, 다양화되면서 많은 어려움에 처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에 기업들은 기존고객이 상대적으로 얼마나 중요한가를 재인식하게 되었으며 많은 기업들은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의 구축이 신규 고객을 획득하기 위한 공격적인 마케팅보다 훨씬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절감하게 되었다. 이러한 기존고객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충성도를 이끌어 내고자하는 관계마케팅(relationship marketing)은 고객과의 장기적인 거래의 유지를 통한 수익 창출과 고객의 생애가치에 초점을 두는 특성을 통해 관계 지향적 시장이 형성되고 ‘가치’를 창출 하는 공간으로 특별한 체험을 선사하는 공간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관계마케팅(relationship marketing)의 공간은 색다른 기억을 인지시켜 고객과의 장기적 관계 구축을 위한 공간의 개념을 말하며 경험과 테크놀러지를 통한 다원적 공간으로 체험적 공간과 디지털 정보공간이 융합된 공간으로 제안하며 디지털 속성을 공간 안에 적용하여 공간의 투영과 왜곡과 같은 표현 요소의 진화로, 공간의 디자인적 표현요소를 연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전체적인 진행은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 및 문헌고찰을 통해 관계마케팅 및 복합문화공간의 개념과 필요성을 이해하고 유형들을 분류하며 표현특성과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국.내외 복합문화공간의 현황을 조사. 비교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 도심지 내 젊은 연령층의 인구 비율이 비교적 높은 지역의 상징성을 부여할 수 있는 대상지를 선정하여 복합 문화공간계획 및 디자인을 제안한다. 앞선 연구를 종합한 결론과 방향을 제시하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에서 상업 시설이 밀집되어 있으며, 차별화된 복합문화공간을 제안하기 위해 대상 지역의 역사성과 장소적 특성을 갖는 대상지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공간이 지니고 있는 건축적 형태와 질감 등을 활용하여 공간이 갖고 있는 흔적과 기억을 재생시키면서 최소의 표현으로 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공간은 고객의 참여를 통해 완성되며, 다양한 체험과 감성적인 반응에 따라 새로운 공간이 구축된다. 이러한 공간은 변화하고 움직이며 만들어지는 반응하는 공간이며 체험의 공간, 상호작용하는 공간이다. 즉, 고객의 참여를 통한 사람과 공간과의 관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디지털 매체의 복합적이고 동시적인 작용으로 인터렉티브한 환경을 조성하며 쌍방향적 커뮤니케이션(communication)을 연출하게 된다. 반응하는 공간은 사전에 짜여진 연출이 아닌, 즉흥적인 살아있는 공간이며 개인의 사고에 따라 새로운 경험을 하게 되는 적극적 참여를 유도한다. 즉, 고객의 몰입을 통한 공간과의 관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넷째, 건물의 바닥이나 벽체에 디지털을 이용한 이미지가 투사되고 네트워크를 통해 물리적 공간의 한계를 확장시켜 참여자에게 현재와 과거, 물질과 비물질 사이에서 가상과 현실을 넘나들게 만드는 색다른 경험을 준다. 즉, 고객은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새로운 경험을 제시하고자 한다. 다섯째,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하여 접근성이 용이한 레스토랑, 카페 등 상업 시설 등을 배치하고 공간프로그램 사이마다 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는 공간을 구성하여 자연스럽게 문화예술을 접할 수 있도록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공간을 이루고 있는 구성요소들의 연출방법에도 많은 변화가 생기고 있으며 상호 작용성과 장르의 통합적 매체의 사용, 네트워크의 발달을 통한 실내공간의 표현은 무궁무진하게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감성을 극대화 시키는 관계마케팅의 표현요소를 적용하여 관객들의 참여와 방문 빈도를 높이고, 일상에서의 문화예술을 누릴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문화 활성화를 위한 복합문화 공간을 만드는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해 본다.

      • 다감각자극 표현요소에 의한 치유환경으로서 명상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강민지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oday social, economic problems are happening in the society due to the lack of the mental, moral values in the modern history which pursued only the material value and economic growth. In addition, modern people are exposed to various mental injuries and stress environment such as the excessive duty, keen competition structure, human relation problem, and individual problems. The ‘meditation’ has mentioned as a new healing means in this time background. Therefore, the modern meditation escaped from the traditional purpose of the religious performance and its application scope was expanded and popularized, and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psychology and psychiatry. However, there are relatively insufficient studies which suggest the physical space for enhancing the cure effect. Hereby, this study is aimed at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the meditation space as the healing environment in the daily life for general people on the premise that the nature of space has a lot of psychological effects on users in the space. The meditation space as the healing environment is a place dealing with the human’s spirit; the complex healing accompanied by the physical behavior and psychological change should be conducted through the integrative action of the body and sense. Therefore,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spatial/environmental design language helping with the human’s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ing by analyzing the nature of the meditation space constitution. The correlation with the meditation space was suggested by examining the definition and concept of the multisensory stimulus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multi-sensory stimulus, and the nature of the multi-sensory stimulus was defined as the expandability, relationship, temporality, and unconsciousness for the activation of the sensory experience in the meditation space through the precedent study analysis based on this. Subsequently, the design expression elements for activating the defined natures in the space were defined as the expandability: ‘emphasizing the property of material’ ㆍ ‘synaesthetic element’, relationship: ‘indirect traffic line’ ㆍ’consecutive de-thresholding’, temporality: ‘signifying of place’ ㆍ’transitional element’, unconsciousness: ‘hybrid expression element’ ㆍ’element by contingency’. It was analyzed how the nature of meditation space constitution and the design expression elements of multi-sensory stimulus were reflected through the domestic/foreign case studies based on the contents researched above in order to apprehend the relationship among each element and review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ditation space and the multi-sensory stimulus expression element. As a result of study, existing meditation spaces had the space feature according with the concept of the past religious meditation through the simple form and the temperate sensory stimulus. Also, they could not perform the role of meditation space as the healing environment for general citizens with not-diverse and uniform program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modern meditation space plan as the healing environment in the daily life for general people based on the study above, and the content is as follows. First, the meditation space as the healing environment that the nature and physical space, human’s spirit and body interacted was suggested through the active utiliza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around the earth. Second, it was comprised of the entry space, transition space, meditation space, and annexed space(complex cultural space, management and support space). The first floor was the complex cultural space program where café, library, and multipurpose gallery were arranged in accordance with each space constitution, and 2floor was the experience-oriented modern meditation space program where the yoga room and pilates center were arranged, and the 3floor was the intensive meditation program where the meditation space that the nature, human, and space communicated with one another was arranged. Third, the multi-sensory stimulus expression element engrafted into 4 spots in the meditation space based on the analysis content. The content is as follows. The user’s physical movement was induced by putting the indirect long approach and open spaces in the entry space by the application of ‘relationship’ in order to activate the conversational action between the human and environment. A new wall was formed through the screen plantation in the gap space by separating the wall dividing the internal space from the bottom by the application of ‘expandability’. Therefore, the user could feel as if he was in the nature because the property of the nature itself was emphasized. The space which varied frequently was created through the light and shadow by dropping the light from the sky and filling the void by trees on the ground after voiding three floors by the application of ‘temporality’. The emotion people could not anticipate was induced through the difference of the volume and brightness in the intensive meditation space by the application of ‘unconsciousness’. The mutual interpenetration and reiteration between the space and space were expressed by putting the floating space inside the space. It was intended to enhance the physical/psychological cure effect by inducing the multi-sensory interaction by the user in the meditation space through these multi-sensory expression elements. To sum up, in order for the meditation space to establish itself as an alternative to the modern cure environment, first, the healing space that human’s spirit, body, and physical environment can be united should be provided by mak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pace and human close. Second, the sensory experience should be induced through the use of the elements which can stimulate the use·unconsciousness of the elements accompanied by the formation·temporality of the human’s interaction and the expansion·environment of the sense away from the threshold the existing meditation space has, and the space where the senses are not stagnant but interact with each other should be provided. Third, the complex cultur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ccording with the modern people’s needs should be applied actively to the meditation space as well as the application of the expression element. The importance of the meditation space plan as the healing environment in the daily life for general people will increase further in the future. Therefore, the study from the spatial aspect for the activation of the meditation space as the new healing environment should be carried out widely and constantly on the basis of this study. 오늘날 사회는 물리적 가치와 경제적 성장만을 추구하던 근대 역사 속에서 정신적, 도덕적 가치의 부재로 인해 사회적, 경제적 차원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은 과도한 업무, 치열한 경쟁 구도, 인간관계의 문제 등 개인적 차원의 문제들 까지 다양한 정신적 외상, 스트레스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속에서 ‘명상’은 현대의 새로운 치유 수단으로 거론되어 왔다. 따라서 현대의 명상은 종교적 수행의 전통적 목적에서 벗어나 그 적용 범위가 확대되고, 대중화 되었으며, 심리학, 정신의학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치유 효과를 증진을 위한 물리적 공간을 제시하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공간의 특성이 공간 내 사용자들에게 많은 심리적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전제로, 일반인들을 위한 일상 속 치유환경으로서 명상공간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치유환경으로서 명상공간은 인간의 정신을 다루는 장소로서 몸과 감각의 통합 작용을 통해 신체적 행동과 심리적 변화를 동반한 복합적인 치유가 이루어져야한다. 따라서 연구자는 명상공간구성의 특성을 분석하여 인간의 심리적, 신체적 치유를 돕는 공간적·환경적 디자인언어를 제시하였다. 또한 다감각자극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다감각자극의 정의 및 개념을 살펴봄으로써 명상공간과의 상관성을 제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해 명상공간에서 감각적 체험의 활성화를 위한 다감각자극의 특성을 확장성·관계성·시간성·무의식성으로 정의하였다. 다음으로, 정의한 특성들을 공간에서 활성화시키기 위한 디자인표현요소를 확장성: ‘재료의 물성 강조’ㆍ‘공감각적 요소’, 관계성: ‘우회적 동선’ㆍ‘연속적 탈 경계화’, 시간성: ‘장소의 의미화’ㆍ‘변화적 요소’, 무의식성: ‘혼성적 표현요소’ㆍ‘우연성에 의한 요소’로 도출하였다. 앞서 연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국내·외 사례 조사를 통해 명상공간구성의 특성과 다감각자극의 디자인표현요소들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분석하여 각각의 요소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명상공간과 다감각자극 표현요소의 상관성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 기존의 명상공간들은 단순한 형태, 절제된 감각 자극을 통한 과거 종교적 명상의 개념에 맞는 공간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다양하지 못하고 획일적인 프로그램들로 일반 시민들을 위한 치유환경으로서 명상공간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었다. 위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일반인들을 위한 일상 속 치유환경으로서 현대적인 명상공간계획을 제시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지 주변 자연환경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자연과 물리적 공간, 인간의 정신과 신체가 상호작용하는 치유환경으로서 명상공간을 제안하였다. 둘째, 2장의 이론적 고찰과 공간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진입 공간, 전이 공간, 명상 공간, 부속 공간(복합 문화공간, 관리 및 지원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각 공간 구성에 맞추어 1층은 복합 문화 공간프로그램으로 카페, 라이브러리, 다목적 갤러리 등을 배치하였고, 2층에는 체험중심의 현대적 명상 공간프로그램으로 다실과 요가, 필라테스 센터 등을 배치하였으며, 3층은 집중 명상 프로그램으로 자연과 인간, 공간이 소통하는 명상 공간을 배치하였다. 셋째, 3장의 분석내용을 기반으로 다감각자극 표현요소를 명상공간 내에 네 곳의 스팟으로 공간화 하여 접목시켰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관계성’의 적용으로, 진입공간에서 우회적인 긴 진입로와 주변으로 열린 수 공간을 두어 사용자의 신체적 운동을 유도하여 인간과 환경사이의 대화적 작용을 활성화 하였다. ‘확장성’의 적용으로,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벽을 바닥에서 분리시켜 사이공간에 식재를 통해 새로운 벽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자연 그대로의 물성을 강조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마치 자연 속에 있는 느낌을 부여하였다. ‘시간성’의 적용으로, 3개 층을 보이드 시켜 땅에서는 나무가 보이드 공간을 채우고, 하늘에서는 빛이 떨어짐으로써 빛과 그림자를 통해 시시각각 변화하는 공간을 연출하였다. ‘무의식성’의 적용으로 집중명상 공간에서 공간의 볼륨의 차이, 명도의 차이를 통해 사람들이 예상하지 못한 감정을 유도하였다. 또한 공간 내에 부유하는 공간을 두어 공간과 공간의 상호 관입과 중첩을 표현하였다. 이와 같은 다감각자극의 표현요소를 통해 명상공간 안에서 사용자의 다발적 감각의 상호작용을 유도하여 신체적 심리적 치유 효과를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종합하자면, 명상공간이 현대적인 치유환경의 대안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첫째, 공간과 인간의 관계를 밀접하게 만들어 줌으로써 인간의 정신과 신체, 물리적 환경이 하나로 융합 될 수 있는 치유 공간을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명상공간을 계획함에 있어서 자연과의 관계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적절한 개구부와 보이드 공간을 통해 내ㆍ외부의 경계를 허물고 자연과 소통하는 공간을 조성하고, 자연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실내에 도입하여 더욱 쾌적한 명상공간을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기존의 명상공간이 가지는 절제된 환경의 한계점에서 벗어나 감각의 확장·환경과 인간의 상호관계의 맺음·시간성을 수반한 요소의 사용·무의식을 자극할 수 있는 요소의 활용을 통해 감각적 체험을 유도하고 감각이 정체되지 않고 서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야 한다. 넷째, 표현요소의 적용뿐만 아니라 현대인들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과 그에 상응하는 복합문화공간이 적극적으로 명상공간 내에 적용되어야 한다. 앞으로 일반인들을 위한 일상 속 치유환경으로서 명상공간계획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될 것이며, 따라서 본 연구를 기반으로 새로운 치유환경으로서 명상공간의 활성화를 위한 공간적 측면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오브제 표현특성이 나타난 디자인 호텔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임도윤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he modern society is an information society where we see and hear the lives of various people. The flooding of information is inducing a change in the way we view the world. It is becoming a world where people acknowledge being "different" rather than seeing issues as "right or wrong". Debates on the confusion caused by this acknowledgement of differences and "people-centered values" in light of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technology are blooming in various fields of expertise. While experiencing such social and cultural changes, the commodity market is changing from a standardized commodity market to a refined commodity market. In order to be selected in the market, a strategy that takes an emotional approach and addresses consumers' preference, sensitivity, and experience is required.  The hotel industry is affected as well, recognizing space as a relationship that interacts with the user, not just as a functional environment, and emphasizing emotional communication more than reason. In other words, there has been an emerging demand for hotels that can satisfy the experiential expectations by having emotional communication rather than being satisfied with hotels functioning as a simple accommodation. Hotels that emphasize design have emerged due to the diversification of society. This has immediately grabbed the attention of the younger generation and people seeking new things, and now 'providing differentiated experiences' has become a hot topic throughout the hotel industry.  In this context, among the various attempts by design hotels for differentiation,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cases that maximize space production by utilizing the object of symbolic function to provide the personal experiential effect. This is beyond the intention of design and it is an associative action that we have not experienced before. If the object of the past was used in a passive way as decorative elements, the object of the present is actively used to assign an overall feeling of the space instead of simply arranging objects by utilizing not only immaterial light and color but also storytelling or unique themes, which can be classified as emotional approaches. This research study aims to address the importance of the object as a factor that allows diverse expressions and creation of creative space. It also deduced a program of space by analyzing the background and progress of emerging design hotels while understanding the overall hotel industry by thinking of hotel concepts and types. As part of an effort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and expansion of the concept of the object by looking into the emergence and background of the object as a part of the modern art progress, this research investigates cases where interior space is applied and used. Through further analysis comparison, it deduces expressed characteristics. To apply all of the above, domestic downtown hotels were eventually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and the spatial plan was offered as below.  First, the utilization of spatial elements such as the structure of the space, furniture, and finishing materials are suitable for the hotel, which is the sum of the various functional spaces. Those spatial elements are offered as objects. However, the spatial factor and the emotional factor are not separate concepts but interrelated concepts, and the former is dominated by the latter. Therefore, the emotional factors must be well established to maximize the effects of spatial elements and have users enjoy the aesthetic beauty and new cultural experiences.  Second, the analysis of the location conditions of hotels is an important factor in composing the theme. The historical element of the location is an important element that constitutes the theme, and it is set as a theme that differentiates the hotel from other hotels and is presented as an object. Third, storytelling is an element that can convince the user to see the hotel as a living organism. When each different spaces are brought together by one story, the user can remember the space according to the story. This 'im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not only resembling space, but also the hotel's promotion, brochure, and webpage. It can be transmitted as an integrated 'image' to the user in various marketing phases. Therefore, storytelling can be used to connect the entire space, and the story is presented as a objectified motif.  As such, the expression of objects in the language of design can enrich space and be used to communicate with users. When the spatial and emotional elements previously used as the frame of analysis are harmonized and expressed as objects, an image that is different from other hotels will be created, which becomes the identity and competitiveness of the design hotel.  Therefore, the use of objects in the hotel space will not only provide the users standardized functional space but also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structing a space that can provid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o the users. 현대는 정보화 사회로 우리는 다양한 사람들의 생활을 보고, 듣게 된다. 이러한 정보의 홍수는, 우리가 세상을 바라봄에 있어 ‘옳고, 그름’이 아닌 ‘다름’을 인정하는 사회로 의식 흐름의 변화가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야기된‘다름’에 대한 혼란과 빅데이타에 의한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사람 중심의 가치’에 대한 진지한 토론이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사회, 문화적인 변화 속에서 상품시장은 규격화된 공산품의 시장에서 세분화된 상품시장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선택받기위해 소비자층의 선호성향과 감수성, 경험 등 감성적인 접근으로 전략을 세우고 있다. 이는 호텔 산업에도 영향을 미치어 공간을 기능적인 환경만이 아닌 사용자와 상호작용하는 관계로 인식하고, 이성보다는 감성적인 소통의 측면이 부각되게 되었다. 즉 단순한 숙박시설로의 호텔이 아닌 차별화된 경험에 대한 기대감을 충족시킬 수 있는 감성적인 소통이 일어나는 호텔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고, 사회의 다원화 추세에 힘입어 디자인을 강조한 호텔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는 젋은층과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사람들에게 즉각적인 호응을 얻었으며 이제는 호텔산업 전반에 걸쳐 ‘차별화 된 경험 제공’이 주된 화두가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차별성을 위한 디자인 호텔의 다양한 시도들 가운데 우리가 미처 경험하지 못했던 어떤 연상 작용으로 디자인 의도를 넘어서는 개인적 체험 효과까지도 얻을 수 있는 상징적 기능의 오브제를 활용하여 공간 연출을 극대화 시키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과거의 오브제는 장식적인 요소로 연출하는 소극적인 활용이였다면 현재의 오브제는 비물질적인 빛과 색채뿐만 아니라 감성적인 접근요소인 스토리텔링 또는 독특한 테마의 연출로 각각 사물의 나열이 아닌 공간전체에서 어떠한 이미지가 느껴지는 적극적인 활용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 호텔의 차별성을 나타내는 다양한 표현과 창의적인공간을 창출 할 수 있는 요소로 오브제의 중요성을 파악하고, 호텔의 개념과 유형으로 호텔산업 전반을 이해하고 디자인 호텔이 등장하게 된 배경 및 발전에 대한 분석으로 공간의 프로그램을 도출하였다. 또한 현대 미술의 과정 속에서 오브제의 등장과 발전 배경을 살펴보며 오브제의 정의와 개념 확장을 이해하고 그 결과가 실내공간에 적용되고 활용되는 과정을 사례를 통해 조사, 비교 분석하여 표현특성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대상으로 국내 도심의 호텔을 선정하여 공간계획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공간의 구조와 가구, 마감 재료등 공간적인 요소의 활용은 여러 기능 공간의 총합인 호텔에 적합하므로 오브제로 연출하여 제시하였다. 하지만 공간적 요소와 감성적 요소는 별개의 개념이 아닌 상호 연관 작용하는 개념이며 전자는 후자의 지배를 받는다. 따라서 감성적 요소가 잘 정립되어야 공간 적 요소의 효과가 극대화 될 수 있고 사용자에게 심미적인 아름다움과 새로운 문화 경험을 줄 수 있다. 둘째 호텔의 입지조건에 대한 분석은 테마 구성에 중요한 요소이다. 입지하는 위치의 역사성은 테마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로 타 호텔과의 차별성을 나타내는 테마로 설정하여 오브제로 표현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스토리텔링은 호텔을 하나의 유기체로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는 요소이다. 각각의 다른 공간이 하나의 스토리로 구성될 때 사용자는 스토리를 따라 공간을 기억할 수 있으며 공간을 넘어 호텔에 대한 홍보, 브로셔, 홈페이지등의 마케팅단계까지 통합된 ‘이미지’을 사용자에게 전달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리텔링을 이용하여 공간 전체를 이어줄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스토리 장면을 모티브로 오브제화 하여 제시하였다. 이처럼 디자인 언어로의 오브제 연출은 공간을 더 풍부하게하며 사용자와 소통하는 언어로 충분히 역할을 할 수 있다. 분석의 틀로 사용되었던 공간적 요소와 감성적 요소가 조화를 이루며 오브제로 표현될 때 다른 호텔과는 차별화되는 그곳만의 이미지가 만들어 질 것이며 그것이 디자인 호텔의 정체성이며 경쟁력이 된다. 따라서 호텔 공간에서의 오브제의 활용은 사용자에게 평준화 된 기능의 공간을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정서적, 심리적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공간으로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유휴산업시설 공간 활용에서 나타나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유성현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Modern cities, due to the rapid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s are found today, in need of an imperative application of paradigm transformation. To illustrate, throughout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what were once, symbols of cities, such as power generation facilities, warehouse facilities, railway facilities, military facilities, agricultural facilities, mining facilities etc. with decrease in functionality, and through this industrial change, are losing the original purpose of their existence, remaining isolated from the city and its people, without being utilized. Because of this post-industrialization era, the Idle Industrial Facility Space was created, and as a result, it became necessary to regenerate the facilities of the city. Even though the new concept of cultural spaces, and commercial ones have been built, with the utilization of the idle Facility space, this re-cycling of these spaces are the only things that is receiving the limelight and not the fact that due to the industrial development, we have to grow awareness and reflection in regard to the harmful environmental consequences it has mass produced. In order to have the recycling plans of Idle industrial facility space be established and applied in a more effective way, as it is gradually increasing in Korea, the need for a revitalization of the environment of the city, as well as measures, need to be studied and implemented, whereas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its surrounding environment, rather than seeking only to reutilize the area or space for its mere function. It is imperative that the space for idle industrial facility space can be used effectively, with the purpose to create a new complex area that can accommodate not only culture but of green environment, developing the city into a space that considered its surround ecosystem. On this paper, you will find how we have developed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urbanism, in order to apply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 of landscape practice onto these areas, therefore becoming potential new solution to resolve the situation in these cities, in the process of effectively reclaiming these abandoned spaces, to bring about change around these cities. In order to recreate the landscape urbanism effectively, the existing land and space are used as an area that connects with the outside world, rather than just having a single function, in other words, the interior becomes a continuation of the exterior and vice versa. From the latter, the cultural, communication and other varied ways of exchange could take place with the people, and will only lead to enhancing that specific area, and become a landscape that becomes one with nature. Based on thes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urbanism, we have targeted our study subjects, and analyzed the data collected, moreover,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the idle industrial facility space occupies, in Korea and also abroad. First of all, the landscape urbanism expressive characteristics, turns the single-function idle industrial facility spaces, into becoming part of the interior or exterior spaces, whereas the contunuation reaches out to nature, enabling a medium of communication with nature to be formed, by being an effective regenerated area. Second, by the creation of a void area, it directly has an influence on how the residents can freely accommodate themselves, and the variety of different programs being implemented. And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world becomes stronger, and enable better communication with the society, revitalizing the regions. Third, by emphasizing on the symbolic factor, meaning of the place, it can be revitalized while specific parts are being preserved, offering a chance to go back in time, to visit one's memories. In that way, it will end up with enough room for revitaliztion. Due to the overpopulation of cities, it is possible to rebuild the environment for landscape viwe only, by building resting spots that are eco-friendly, a nice green area that connects directly to the urban atmosphere. Threrfore, for idle industrial facility spaces, to be used as effective multi-functional, applying the expressive features mentioned above, as part of landscape urbanism needs to be reproduced. As you may have seen through this paper, the idle industrial facility space rehab is promising great development and growth in the future. 현대 도시는 산업구조의 빠른 변화로 인해 새로운 시대에 적응하는 패러다임이요구되고 있다. 즉, 도시가 발전하는 근대화과정에서 도시의 상징이었던 발전시설, 창고시설, 철도시설, 군사시설, 농업시설, 광업시설 등의 산업시설들은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면서 그 기능들이 저하되었고, 산업의 변화로 인해 본래의 기능을 상실한 채 도시민들의 삶과 장소에서 소통되지 않고, 활용되지 않은 채 남겨져 있어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유휴산업시설의 재생의 필요성이 커져 다양한 문화를 수용하는 문화공간 및 상업공간들이 생겨났지만 산업화시대의 개발로 인해 양산된 여러 가지 폐해와 환경문제에 대한 반성과 자각으로 공간을 활용하는 것이 아닌 공간을 재활용 한다는 목적에만 급급하게 실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우리나라의 유휴산업시설의 재활용 계획이 환경적인 도시의 재생과 지역 활성화를 위해 보다 효과적인 방안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대책과 방안을 연구하여 반영되어야 하며, 반영된 유휴산업시설의 재생은 형태와 기능만을 추구하는 하나의 공간이 아닌 주변 환경과의 연계성까지 고려하여 상호 작용할 수 있게 재생되어야 한다. 유휴산업시설의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도시에서 주변 환경을 고려한 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공간으로 문화와 녹지 환경을 수용한 새로운 복합공간이 도출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이러한 도시의 문제들 속에서 새로운 해결 방안으로, 변화하는 도시에서 발생되는 버려진 공간 및 대지를 효율적으로 재생하고자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표현특성을 도출 적용하고자 하였다.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은 효과적으로 재생하기 위해 기존의 대지 및 공간이 단일 기능만을 가지는 공간과 장소가 아닌 외부와의 연계성이 높은 공간으로 활용되며,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이 연속되고, 이러한 활용으로 인해 지역과 도시민들의 다양한 교류와 소통, 문화가 활성화 되고, 주변 환경과의 연계성을 높이며, 자연과의 융합으로 경관으로서 장소를 형성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표현특성을 바탕으로 국내⋅외 유휴산업시설 공간의 현황을 조사, 비교 및 분석하였고, 디자인 연구대상으로 흑석 빗물펌프장 사이트를 선정하여 공간계획을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표현특성은 단일기능만 가지는 유휴산업시설을 연속적인 내⋅외부 공간의 형성과 주변 환경과의 연계성을 높여 도시에서 소통할 수 있는 효과적인 다양한 목적의 공간으로 형성 하였다. 둘째, 도시민들의 자유로운 행위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수용할 수 있는 다양한 보이드 공간의 형성으로 외부 공간과의 연계성을 높여 사회적으로 소통하고 교류하며 지역을 활성화 시키는 공간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건물의 상징적 요소를 부각시키고 장소에서의 과거 기억과 경험을 포함하는 요소를 보존함으로써 지역 활성화를 위해 훨씬 더 풍부한 공간으로 재탄생 하였다. 넷째, 도시의 고밀화로 인해 부족한 녹지를 겸한 도시민들의 환경적인 휴게공간을 형성하여 지역 활성화 및 도시공간을 연결해주는 역할로 활용함으로써 경관으로 바라보는 장소로 재탄생 하였다. 따라서 단일 기능만의 공간이 아닌 도시에서 유휴산업시설이 효과적인 기능으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표현특성인 지면을 활용하여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넘나들어 유기적 동선을 형성하는 폴딩, 그로인해 건축과 조경과의 영역이 모호해지는 탈영역성, 내부와 외부에 다양한 도시민들의 이벤트 및 행위들이 일어날 수 있는 보이드, 과거의 기억과 경험을 보존하고 랜드마크 적인 상징성을 드러내는 장소성, 유기적 공간의 활용으로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성이 적용되어 재생되어야 한다. 이에 유휴산업시설의 단순한 공간의 활용이 아닌 외부 환경과의 연계성이 높은 공간으로 도시와 건축과 조경의 영역이 허물어져 자연스럽게 융화되고 유기적인 동선의 형성으로 도시민들을 위한 커뮤니티가 활성화 되는 공간으로 활용되는 연구가 확대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