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외 항공노선별 여객수송량 변화추이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유혜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항공노선별 여객수송량 변화와 결정요인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의 개항연도인 2001년 이듬해인 2002년부터 10년간의 국내 항공노선별 여객수송량의 변화추이는 2004년 고속철도(KTX)의 개통으로 인해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가간 여객수송량의 변화는 반대로 증가하였다. 이는 국민소득의 증가와 무역량의 증가 등으로 국가간 교류가 많아진 것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2002년 이후 10년간 여객수송량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10년간 국내외 노선별 항공여객수송량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항공여객수송량 결정요인의 분석은 패널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국내노선의 여객수송량 결정요인 분석은 내륙공항간 여객수송량과 제주국제공항을 이용하는 여객수송량의 결정요인을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제주국제공항은 내륙공항간 통행과는 달리 대체 육상교통수단의 부재로 결정요인 또한 다를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국내 내륙공항간 여객수송량의 결정요인 분석결과 출발지와 목적지의 인구, 항공통행시간에 대한 철도통행시간의 비율, 지역간 철도통행량이 항공여객수송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주국제공항의 여객수송량은 출발지와 목적지의 인구가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국가간 여객수송량의 변화추이와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은 우리나라와 통행량이 많은 상위 20개 국가를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출발지와 목적지의 GDP와 무역액이 종속변수인 연간 국가간 여객수송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노선별 여객수송량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공항운영 및 수요예측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yearly variation of the air passenger travel volume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twork connecting major airports in Korea. Using aggregated statistical data, yearly variation of the air passenger travel is analyzed. The paper includes som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on panel data for domestic network connecting major airports and international network in top 20 countries with high traffic volumes. The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period between the year 2002 and 2011. Furthermore, some direct air travel demand models are developed for finding factors affecting air passenger travel volume of each domestic routes connecting major airports and international routes. In this study, various attempt are made to develop several models for the air travel demand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explanatory variables utilizing stepwise panel regression technique. The model with the two variables(the sum of origin population and destination population, train time / air time) i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model to represent the domestic route air travel volume. The model with the two variables(origin population, destination population) i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model to represent air travel volume of routes connecting the Jeju international airport. The model with the two variables(the sum of origin gdp and destination gdp) i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model to represent the international route air travel volume. Finally, some analytical results are summarized,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 도시고속도로 교통혼잡 영향요인 및 개선대안의 효과 분석 연구 : 대구광역시 신천대로를 대상으로

        문창근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Understanding recurrent traffic congestion and developing its mitigation strategies are, specifically on an urban expressway, crucial for reducing and managing traffic congestion efficiently. Therefore, there have been various studies conducted for identifying the causal factors of recurrent traffic congestion and proposing new operational strategies to reduce it.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congestion on urban expressways, traffic congestion is generally induced by various factors such as road geometric characteristics, traffic conditions, and traffic operation strategies. However,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were limited to focus on the relevant roadway sections, rather than including their connected roadway section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wofold: to identify causal factors for recurrent traffic congestion on an urban expressway and its adjacent intersections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operational strategies for mitigating traffic congestion. In order to carry out these objectives, firstly, this study uses a factor analysis method to identify variability among observed, correlated variables in terms of a potentially lower number of unobserved variables called factors. Using reduced number of factors, secondly, this study estimates a multiple regression model to identify causal factors for recurrent traffic congestion. Thirdly, the identified causal factors are used as input variables of a microscopic traffic simulator, VISSIM, which can produce the average queue length in urban freeway ramps as a measure of effectiveness (MOE). Lastly, based on this MOE, this study assesses the various operational strategies to reduce the recurrent congestion on urban expressways. A case study for the Sincheon-daero of Daegu Metropolitan City is conducted. Twelve factors were selected from a total of 24 factors using empirical and expert judgment. Among them, three facto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include the traffic volume of ramps, operational plans for the adjacent intersections of ramps, and road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ramps. Lastly, these three factors were used as the input variables of the VISSIM. Since there are numerous alternatives to consider, the two factors of the main line traffic volume and road geometry were fixed, but those of the exit ramp were considered as variables for the analysis. Three types of ramp geometries were considered: (1) extension of the right-turn bay, (2) extension of the right-turn bay and installation of additional right-turn bay, and (3) extension of two right-turn bays. Based on each of these alternatives, the average queue length was simulated with an increment of 100 veh/h from 100 veh/h to 1,500 veh/h.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raffic congestion could be improved by simply changing the geometry of the exit ramp with respect to the amount of traffic volume. Although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he Shincheon-daero of Daegu Metropolitan City as a case study, the proposed framework can be used as a basis for identifying causal factors of recurrent traffic congestion in the exit ramps of urban expressways. Additionally, it will beneficially help in mitigating recurrent traffic congestion by changing the geometric layout of the exit ramps in urban expressways. Furthermore, som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in conclusion.

      • 일반산업단지 입주기업들의 단지환경 만족도에 관한 연구 : 포항4, 왜관일반산업단지(추가단지 1단계)를 사례로

        황치일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It was in the 1960s when Korea's full-scale industrialization began that the development system of industrial complexes was introduced to smooth the supply of industrial lots, react to the rapid growth of demands for industrial lots, and promote the efficiency of land use. The supplier-oriented system, however, has failed to make elastic reactions to changes to the user-oriented industrial environment. Thus there have been demand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This study set out to take a survey among the tenant companies of two general industrial complexes in Gyeongbuk established since 2000 according to the laws and guidelines for industrial complexes, investigate and analyze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complex environments according to the infrastructure and other major elements from their perspective, and propose improvement plans. The analysis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nant companies were mostly satisfied with the industrial complexes in terms of location and area. Second,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roads and ramps on the sites of the industrial complexes was favorable. However, many of them voiced their opinions about the narrow road width on Pohang 4 General Industrial Complex due to the frequent passage of large-size vehicles, which raises a need to reflect those complex characteristics when planning a road scheme in future. Third, there were many responses about the small areas of parks and green spaces and about the improper location of Waegwan General Industrial Complex(Addition 1), which calls for a ne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level with parks and green spaces. Fourth, most of the tenant companies were satisfied with the supporting facilities in terms of location and area, but many pointed to a need for public and work supporting facilities of the supporting facilities types. Thus, it is required to consider essential supporting facilities types in the planning stage. And, finally, they turned out to take into account traffic, infrastructure, closeness to concerned companies, and linking effects when selecting a factory lot, which means those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when setting up plans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industrial environments. Based on those analysis results, the following improvement plans were proposed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industrial environments: ① They should consider the complex characteristics such as location and types of business when planning a road; ② They should present a clear set of criteria for the types and formation of parks so that the tenant companies can practically use parks and green spaces; ③ They should prescribe regulations about essential supporting facilities to promote living convenience and welfare for tenant employees; ④ They should set up an institutional device to reflect the users' opinions into the plans of parks, green spaces , and supporting facilities; and ⑤ They should establish a realistic public transportation plan for its greater convenience to vitalize industrial complexes and increase tenant companies' satisfaction level. 우리나라 산업단지 개발제도는 산업화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1960년대 이후부터 산업용지 공급의 원활화를 통하여 산업용지 수요급증에 대처하고 토지이용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도입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공급자 중심의 개발제도는 수요자 중심의 산업환경 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있어 산업단지 개발제도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업단지 관계법령 및 지침 등에 따라 2000년 이후 계획되어 조성된 경북지역 2개 일반산업단지 입주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개발시 고려한 기반시설 등 주요 계획내용을 입주후 기업들의 관점에서 단지환경 만족도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산업단지 입지와 면적은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산업단지 내 도로와 진입도로의 연계성 만족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도로폭은 포항4일반산업단지의 경우 대형차량 통행이 빈번하여 좁다는 의견이 많아 단지특성을 반영한 도로계획의 필요성이 제기 되었다. 셋째, 공원ㆍ녹지의 면적에 대하여 좁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왜관(추가1)은 위치가 부적절하다는 응답이 많아 공원ㆍ녹지의 만족도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지원시설의 위치나 면적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지원시설 유형중 공공시설, 업무지원시설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아 계획시 필수 지원시설 유형에 대한 고려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공장용지 선택시 고려하는 사항은 교통 및 기반시설, 관련기업과의 인접성과 연계효과로 조사되어 단지환경 만족도를 높이기 위하여 계획 수립시 이에 대한 고려도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따른 단지환경 만족도 개선방안을 정리해 보면 ① 도로의 경우 계획시 산업단지 입지 및 유치업종 등 단지특성을 고려한 계획수립 필요, ② 공원ㆍ녹지의 경우 입주기업들이 실제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공원 유형이나 조성형태에 대한 명확한 기준제시, ③ 지원시설의 경우 필수 지원시설에 대한 규정을 마련하여 입주 근로자의 생활편익 및 복지 증진을 도모, ④ 공원ㆍ녹지 및 지원시설 계획시 수요자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 ⑤ 대중교통의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한 현실적인 대중교통계획 수립을 통해 산업단지의 활성화 및 입주기업의 만족도 제고이다.

      • 교통약자의 통행행태 및 이동편의시설 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산시를 사례로

        신길수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교통약자의 통행특성 및 통행수단 선택의 행태를 분석하고, 도시 지역의 이동편의시설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 경산시에서 조사되었다. 지금까지 교통약자의 통행수단 선택행태 분석과 이동편의시설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가 실시되었다. 교통약자의 통행특성 및 통행수단 선택행태, 이동편의시설의 만족도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고 로짓모형의 추정을 통해 몇 가지 중요한 결과가 논의 된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카이제곱검정 및 T-test와 로짓모형을 추정하였으며, LIMDEP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경험적 모델의 예측과 분석을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점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특히, 경산시의 교통약자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제안할 수 있다.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ransportation handicapped’s travel characteristics, mode choice behavior, and satisfaction level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an urban area. This research uses data collected from Gyeongsan City. So far few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analyzing transportation handicapped’s travel characteristics, mode choice behavior, and satisfaction level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From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transportation handicapped’s travel characteristics, satisfaction level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and empirical estimation of logit models for analyzing mode choice behavior of the transportation handicapped, some important foundings are derived and discussed. This study uses some statistical tests such as chi-square test and t test, and logit model estimation with LIMDEP software. Based on various empirical model estimation and analysis, some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Especially, various policy suggestions for the transportation handicapped are recommended for Gyeongsan City.

      • 지구단위계획구역내 사업시행 지연요인에 관한 연구

        박수열 영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택지개발사업이나 산업단지조성, 주택법에 의한 주택사업 등으로 인한 지구단위계획은 사업시행시 지구단위계획을 결정하여 관리한다. 그러나 사업시행계획 없이 수립되는 지구단위계획은 장기간에 걸쳐 시행되지 않으므로 주민들의 재산상의 손실, 토지소유자의 개발의지와의 불일치 등 다양한 문제가 유발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구단위계획만 수립되어 있고 사업이 시행되지 않은 지역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업시행 지연요인을 도출하여 해소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효율적인 도시관리와 주민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제도로 변모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구단위계획은 현행 제도하에서 사업의 시행을 위한 관련제도가 개별법에 의한 추진이 가능하므로 각 지구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합한 시행방법의 제시가 필요하다. 사업시행방식 선정시에는 보상비, 토지가격의 변화, 토지이외의 권리, 지장물건 보상, 사업성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사례지역으로 선정된 지역은 도시공간을 조성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제도 중 지구단위계획으로 실현하고자 계획수립이 완료되어 있지만 사회적인 여건변화와 적정 개발이익의 확보 등이 어려워 사업시행이 되지 않고 있으며 대상지역 주변의 현지 여건 및 주변상황, 계획현황 등을 알아보고 사업시행이 지연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사업시행 지연요인 분석 결과 계획수립시 사업시행방안 부재, 지구별 사업성, 기반시설부담 비율, 지가, 지장물의 영향 등의 결과가 도출되었다. 문제점 및 개선방안으로 계획변경의 탄력성 확보, 개발사업제도와 연계강화, 인센티브 제도의 현실화, 기반시설 설치 의무의 명확화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성시가지의 계획적 관리를 도모하기 위해 지정한 지구단위계획 중 일부사업 시행된 지구와 시행되지 않은 지구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사업시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지구단위계획의 문제점과 향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When implementing a project, district unit plans are determined and managed by housing lot development, industrial lot development and housing projects according to the Housing Act. When they are carried out without a project implementation plan, however, district unit plans do not get to be implement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s a result, a variety of problems will emerge including property loss on residents and disagreement with the land owner's development purposes.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areas which only had district unit plans without implementation in progress, identify the causes behind the delay, search for ways to solve them, and suggest directions to help with efficient urban management and residents. Under the current system, district unit plans can be forwarded according to individual acts regarding project implementation, which means there should be proper implementation methods proposed by considering each district's characteristics. It is also important to take into compensation costs, changes to land prices, rights other than land, compensation for obstacles, and profitability when choosing project implementation methods. The area chosen for case study had its district unit plans set up to create an urban space, but its implementation had not started due to changes to the social conditions and difficulties with securing proper development profits. The investigator analyzed factors for its delay based on the state of its surroundings, situations around it, and current plans. The analysis results identified absence of project implementation plans when planning, profitability of each district, percentage of burden with the infrastructure, land prices, and influences of obstacles. The study then proposed such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oblems as elasticity with plan changes, reinforcement of connections with the development project system, introduction of a realistic incentive system, and clear statement of infrastructure duties. The study analyzed the cases of the districts whose partial projects had begun and those which had not yet begun among the district unit plans appointed to manage the old built-up area according to a plan, identified the factors to affect project implementation and problems with district unit plans, and proposed future improvement measures.

      • 개인특성에 따른 지능형 교통체계(ITS) 서비스 선호도 및 효과 분석 연구 : - 경산시를 사례로 -

        이호창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main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service preferences and effects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IT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thesis uses individual survey data collected from Gyeongsan City, which is a satellite city of Deagu Metropolitan City. So far few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analyzing service preferences and effects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IT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For this research, som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and hypotheses testing were conducted. Furthermore, some empirical logit models were estimated for analyzing factors affecting service preferences and effects of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s(ITS). Finally, some important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som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The significant findings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om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and the hypotheses testing for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TS service preference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is found that ITS service preferences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education, sex, and travel modes. Second, from the some empirical logit models estimated for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ITS service preferences, it is found that ITS service preferences are affected b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education, and travel modes. On the other hand, from the empirical model estimation, it is found that sex is not the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ITS service preferences. Third, from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and the hypotheses testing for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uto drivers’ intentions of modal shifts to mass transportation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is found that auto drivers’ intentions of modal shifts to mass transportation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sex. On the other hand, from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and the hypotheses testing, it is found that auto drivers’ intentions of modal shifts to mass transportation a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education. Fourth, from the some empirical logit models estimated for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auto drivers’ intentions of modal shifts to mass transportation, it is found that auto drivers’ intentions of modal shifts to mass transportation are affected b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and sex. On the other hand, from the empirical model estimation, it is found that education is not the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auto drivers’ intentions of modal shifts to mass transportation. 본 연구에서는 대도시에 연접한 중소도시인 경산시를 사례로 하여 먼저 다양한 지능형 교통체계(ITS) 가운데 개인특성별로 어떤 서비스를 가장 선호하는지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실시간 대중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자가운전자(승용차 이용자)의 개인특성별 대중교통 전환여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을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능형 교통체계(ITS) 서비스 선호도 분석을 위해 교통소통정보, 최적노선정보, 대중교통정보, 주차장정보, 공사구간정보의 5가지 대안으로 구분하였으며, 개인특성별로 어떠한 서비스를 가장 선호하는지 분석하였다. 지능형 교통체계(ITS) 서비스 선호도는 개인특성별로 5가지 대안 중 어떠한 대안을 가장 선호하는지 다항로짓모형(multinomial logit model)을 추정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실시간 대중교통정보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자가운전자(승용차 이용자)가 대중교통수단으로 전환할 것인지를 분석하기 위해 SP(Stated Preferences) 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전환’과 ‘비전환’의 두 가지 대안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개인특성별로 전환여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대중교통 전환여부에 대한 이항로짓모형(binary logit model)을 추정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지능형 교통체계(ITS) 정책 수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를 제시하였다.

      • 교통약자의 교통인프라 개선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대구광역시의 교통수단.여객시설.보행시설을 사례로

        김종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main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transportation handicapped’s improvement needs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Especially, this thesis analyzes effects of transportation handicapped’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e thesis uses transportation handicapped’s survey data collected from Daegu Metropolitan City. For this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market segmentation, such as the disabled, the elderly, the pregnant woman, and the adult with infant or little child. So far few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analyzing factors affecting transportation handicapped’s improvement needs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For this research, som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Furthermore, some empirical multinomial logit models were estimated for analyzing factors affecting transportation handicapped’s improvement needs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The empirical multinomial logit models were also estimated with market-segmented samples, and hypothesis testing of taste variations across the market segments was conducted. Finally, some important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som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The significant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om the empirical models estimated in this research, it is found that the transportation handicapped’s improvement needs of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such as age, gender, job, trip frequency, and travel modes etc. Second, from the empirical model estimation with market segmentation, it is found that four market-segmented empirical models are statistically different. This finding is derived from the hypothesis testing of taste variations across the market segments. 본 연구는 교통약자의 유형(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동반자)별 교통인프라(교통수단, 여객시설, 보행시설) 개선욕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대구광역시 행정구역 내에 거주하는 교통약자를 대상으로 총 501부의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여 교통수단, 여객시설, 보행시설의 3가지의 선택 가능한 대안을 가지는 다항로짓모형(multinomial logit model)을 추정하였다. 또한 대안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 다양한 사회경제적 특성, 즉 연령, 성별, 직업, 차량 소유 여부, 신체 상태, 외출 빈도, 주이용 교통수단 등을 설명변수로 포함하였으며, 장애인, 고령자, 임산부, 영유아동반자의 4가지 교통약자 유형은 시장분할(market segmentation)을 위한 기준으로 사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 자료에 대한 기초통계분석 결과를 제시하고, 모형 추정결과를 제시하였으며, 시장분할된 모형들의 추정결과가 통계적으로 충분히 다른지 가설검정(hypothesis testing)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였다.

      • 도시철도역별 이용수요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대구 도시철도역을 사례로

        이찬휘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thesis analyzes factors affecting rail transit ridership at the Daegu Metropolitan City in 2011. In order to recognize the difference of rail transit ridership between weekdays and weekends, rail transit ridership is analyzed by dividing weekdays and weekends. The data used in this study includes various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building area which was collected from building ledger and GIS cadastral map, the number of bus routes(line) possible to transfer from urban rail transit, and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located near by the rail transit stations. For this study, multiple regression models are estimated including various explanatory variables affecting rail transit ridership of weekdays and weekends. Important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It is found that variables to explain the weekday rail transit ridership and the weekend rail transit ridership are similar. However, the number of explanatory variables and the relative effects of each variable are shown to be different. Five explanatory variables are found to affect the weekday rail transit ridership.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s found to be the building area of commercial use, and the least important variable is found to be the number of students enrolled in middle and high schools, and universities located near by the rail transit stations. Four explanatory variables are found to affect the weekend rail transit ridership.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s found to be the building area of commercial use, and the least important variable is found to be the building area of residence. Finally, some analytical results are summarized, and limitation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2011년도 대구광역시 도시철도역별 승하차 인원수 자료를 사용하여 도시철도역별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도시철도 이용수요가 주중과 주말에 차이가 있음을 인식하여 주중과 주말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건축물대장과 GIS 지적도를 확보하여 도시철도 역세권의 용도별 건축물의 연상면적 자료를 구축하였고, 그 외에 도시철도 역세권 내의 환승이 가능한 버스노선 수, 중·고등·대학교 학생 수 자료를 구축하였다. 이 자료들을 바탕으로 주중과 주말의 도시철도역별 이용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설명변수들을 포함하여 다중회귀모형을 추정하였다. 분석결과 주중 이용수요 모형과 주말 이용수요 모형에서 채택된 변수들은 비슷하지만 각 모형에서 채택된 변수의 수와 변수들간 상대적인 영향력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주중 이용수요 모형은 5개의 요인들이 채택되었으며, 상업 건축물의 연상면적, 주거 건축물의 연상면적, 환승이 가능한 버스노선 수, 교통관련 건축물의 연상면적, 중·고등·대학교 학생 수 순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말 이용수요 모형은 4개의 요인들이 채택되었으며, 상업 건축물의 연상면적, 교통관련 건축물의 연상면적, 환승이 가능한 버스노선 수, 주거 건축물의 연상면적 순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경산시의 도시철도 건설에 따른 경산시민들의 교통수단 변화에 관한 연구

        박준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itizens' travel mode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new urban rail transit in a satellite city of metropolitan area. The paper uses RP/SP data collected from Gyeongsan City, which is a satellite city of Daegu Metropolitan City. So far few researches, especially using before-and-after individual RP/SP travel survey, have been conducted on analyzing travel mode change due to the construction of new urban rail transit. For this research, som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Furthermore, some empirical logit models were estimated for analyzing factors affecting the travel mode change. Finally, some important findings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The significant findings from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rom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it is found that the rate of travel mode change to rail transit in non-work travel is higher than that in work travel. Furthermore, from the empirical model estimation, it is found that there are substantial differences in the parameter estimates and their statistical significances between the work travel and the non-work travel models. Moreover, it is found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mode change to the new urban rail transit is 'time-saving'. Finally, from multinomial logit model estimation for analyzing mode choice behavior before-and-after construction of the new urban rail transit, it is found that there are no huge differences between before-and-after mode choice models. 본 연구에서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경산시 연장 개통에 따른 교통수단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통근과 비통근통행에서 도시철도 전환수요를 분석 하였고, 통근통행에서 연장 개통 전과 후의 교통수단 선택행태를 비교 분석 하였다. 도시철도 전환수요를 분석하기 위해 이항로짓모형을 추정하였고, 도시철도 연장 개통 전과 후의 교통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항로짓모형을 추정하였다. 그리고 각각 분석에 대해 통계적 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철도 연장 개통에 따른 도시철도로의 전환수요 분석결과에서 전환수요는 비통근통행이 통근통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단별로는 버스에서 전환수요가 높게 나타났다. 모형을 통해 추정한 결과는 통근통행에서 자가용소유여부, 거주지, 직장소재지1,2, 통행시간절약 변수가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고, 비통근통행에서는 직업, 통행시간절약 변수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통행자에게 가장 중요한 요소는 통행시간절약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철도 연장 개통 전과 후의 통근통행에서의 교통수단 선택행태 분석결과에서는 연장 개통 전과 후의 전체 교통수단 변화중 도시철도가 가장 높은 비율로 증가하였고, 승용차, 버스 순으로 나타났다. 모형을 통해 추정한 결과 전체변수중 성별, 연령, 직업, 가계소득, 직장소재지2, 통행시간 변수가 유의수준 5%, 직장소재지1은 유의수준 10%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시철도 연장 개통 전과 후의 교통수단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위의 모형의 추정결과를 토대로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