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료 인상관리가 종업원의 조직 내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소담 광운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behavior(i.e. task performance, voice behavior, helping).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the moderating role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Making use of the survey research method, data were gathered from 251 employees from a number of compani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behavior is significantly positive.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did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with limitations. 본 연구는 동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첫째, 동료 인상관리와 종업원의 인상관리 동기 및 과업수행, 발언행동, 도움행동 간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둘째, 동료 인상관리가 종업원의 과업수행, 발언행동,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종업원 인상관리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셋째, 동료 인상관리가 종업원의 인상관리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내적 통제소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251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동료 인상관리는 인상관리 동기 및 과업수행, 발언행동, 도움행동과 정적인 관련이 있었으며, 인상관리 동기는 동료 인상관리와 과업수행, 발언행동, 도움행동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업원의 내적 통제소재 수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동료 인상관리와 인상관리 동기 간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내적 통제소재는 동료 인상관리와 인상관리 동기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실무적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지식요청자의 사회적 태만과 심리적 특권의식이 지식은폐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식은폐 동기의 매개효과와 상사의 모니터링, 상사의 윤리적 행동의 조절된 매개효과

        고윤진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지식공유 상황에서 지식 요청자의 부정적 특성(사회적 태만, 심리적 특권의식)이 지식은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식은폐 동기(사적소유, 손실회피, 부정평가 염려, 부정적 관계)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또한, 지식은폐 동기의 매개효과에 대한 상사의 모니터링과 상사의 윤리적 행동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400명의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분석 결과, 요청자의 사회적 태만과 심리적 특권의식이 지식은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지식은폐 동기(사적소유, 손실회피, 부정평가 염려)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하였고, 심리적 특권의식이 지식은폐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정적 관계 동기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상사의 모니터링은 심리적 특권의식과 지식은폐 행동 간의 관계에서 사적소유, 손실회피 동기의 매개효과를 조절하여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의 윤리적 행동은 심리적 특권의식과 지식은폐 행동 간의 관계에서 손실회피, 부정평가 염려 동기의 매개효과를 조절하여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회적 태만과 지식은폐 행동 간의 관계에서 지식은폐 동기의 매개효과에 대한 상사의 모니터링, 상사의 윤리적 행동의 조절된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지식 요청자의 사회적 태만과 심리적 특권의식이 지식은폐 행동을 높이는 과정에서 조절된 매개변수를 통해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는 점에 조직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hiding motivation(psychological ownership, loss avoidanc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negative rel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requester's social loafing,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knowledge hid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supervisor monitoring, supervisor ethical behavior on the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hiding motivation. For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400 employees working at various companies in Korea.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the knowledge requester's social loafing and psychological entitlement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knowledge's motivation(psychological ownership, loss avoidanc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through knowledge hiding. The knowledge requester's social loafing had a positive mediating effect on negative relation motivation through knowledge hiding. But, negative relation motivation had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Supervisor monitoring show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psychological ownership, loss avoidance motivation on knowledge hiding. And supervisor ethical behavior showed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loss avoidance, fear of negative evaluation motivation on knowledge hiding.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s it confirms the effects of the requester's negative characteristics(social loafing, psychological entitlement) on knowledge hiding and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supervisor monitoring, supervisor ethical behavior.

      • 심리적 특권의식이 역할 내 행동과 발언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지각된 과잉자격의 매개효과와 권한위임의 조절효과

        서유라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심리적 특권의식과 역할 내 행동, 발언 행동 간 각각의 관 계에서 지각된 과잉자격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지각된 과잉자격이 역할 내 행동, 발언 행동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권한위임의 조절효과와 조절 된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국내 직장인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각된 과잉자격이 심리적 특권의식과 역할 내 행동, 발언 행동 간 각각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그리고 지각된 과잉자격과 역할 내 행동, 발언 행동 간 각각의 관계를 권한위임이 조절하였다. 권한위임은 지각된 과잉자격을 통한 심리적 특권의식과 역할 내 행동 간의 간접관계를 조절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지각된 과잉자격을 통한 심리적 특권의식과 발언 행동 간의 간접 관계는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in-role behaviors, voice behaviors, and the moderating effect,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deleg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in-role behaviors, voice behaviors. As a result of collecting data from 320 employees working at various companies in Korea, perceived overqualific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ntitlement and in-role behaviors, voice behaviors. And delegation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in-role behaviors, voice behavior. Delegation did not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on the in-role behaviors, but delegation moderated the indirect effect of psychological entitlement on the voice behaviors.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outlined.

      • AI역량검사 활용이 응답왜곡의지, 면접불안과 조직매력도에 미치는 영향

        김동건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effect of applicants' Faking willingness and Interview anxiety according to the use of AI-based competency tests used in the company's selection process.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check whether the recently implemented corporate recommendation program could improve the Organizational attractiveness of job seekers to companies, and it was divided into Study 1 and Study 2. Study 1 was conducted on 103 college students, and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aking willingness and Interview anxiety according to the use of the AI competency test. Study 2 was conducted on 33 college students, and as a result, corporate recommenda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e AI competency test significantly improved the organizational attractiveness of job seekers to the company.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significance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research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선발과정에서 사용되는 AI역량검사의 활용에 따라서 지원자의 응답왜곡의지와 면접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또한, 최근 시행하는 기업 추천 프로그램이 기업에 대한 구직자의 조직매력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고 Study 1과 Study 2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Study 1은 대학생 10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AI역량검사 활용에 따라 응답왜곡의지와 면접불안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Study 2는 대학생 3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 AI역량검사 결과를 통한 기업추천이 해당 기업에 대한 구직자의 조직매력도를 유의하게 향상시켰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 연구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 지각된 과잉자격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 동료지원인식, 조직공정성 및 조절초점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김미소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목적은 지각된 과잉자격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조절초점 성향(향상초점, 예방초점)과 조 직지원인식 및 상사지원인식, 동료지원인식과 조직공정성의 삼원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 서는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 동료지원인식, 조직공정성이 각각 지각된 과잉자격의 향상초점과 예방초점 에 따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것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4개의 삼원상호작용 효과을 검 증하였으며, 연구를 위해서 다양한 기업에서 근무하고 있는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분 석 결과, 지각된 과잉자격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조직지원인식과 조절초점 간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 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과잉자격과 이직의도 관계에서 조직공정성과 조절초점 간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지각된 과잉자격과 이 직의도 간 관계에서 상사지원인식과 조절초점 간에 삼원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지각된 과잉자격과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동료지원인식과 조절초점 간 삼원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과잉자격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변수를 통해 이를 완화할 수 있는 방안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조직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음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regulatory focus tendenc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perceived peer support, and organizational justi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turnover intention. For the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250 employees working at various companies in Korea. Data analysis verified 4 models of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According to the data analysis,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regulatory focus tendenc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f regulatory focus tendency and organizational justi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verqualification and turnover intention. However,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of regulatory focus tendency and perceived supervisor and regulatory focus tendency and perceived peer suppor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practitioners as it confirms the effect of perceived overqualification on turnover intention and the moderated moderation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organizational justice.

      • 직무요구가 조직구성원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탈진의 매개효과와 LMX 질과 정서적 안정성의 조절효과

        김민경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조직에서 이루어지는 직무요구(양적요구, 질적요구)가 구성원의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양적요구, 질적요구(역할스트레서)가 직무탈진을 완전 매개하여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양적요구와 직무탈진 간 관계를 LMX 질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고, 마지막으로 질적요구(역할스트레서)와 직무탈진 간 관계를 정서적 안정성이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 조직에서 근무하고 있는 현직자 27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양적요구와 질적요구(역할스트레서)는 직무탈진과 정적인 관련이 있었으며, 직무탈진과 적응수행은 부적인 관련이 있었고 직무탈진은 양적요구, 질적요구와 적응수행간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양적요구와 직무탈진 간 정적인 관계는 LMX 질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질적요구(역할스트레서)와 직무탈진 간 정적인 관계는 정서정 안정성이 낮을 때 보다 높을 때 더 약하게 나타났다. 끝으로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개인과 조직간 가치부합이 개인의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송진섭 광운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개인-조직간 가치 부합이 개인의 태도와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개인의 성격과 정서지능이 이들간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연구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선행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연구에 사용할 척도 등을 선정하였다. 자료는 24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수집 하였으며, 조직의 규모가 크지 않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인-조직간 가치 부합이 결과변인인 조직몰입, 이직의도, 맥락수행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개인이 지닌 고유 특성인 성격과 정서지능이 이들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였다. 분석에 있어서는 기존의 개인-조직 부합 연구에서 실행한 차이값에 의한 분석 뿐만 아니라, 다차항 회귀 분석과 반응표면 방법론을 적용하여 3차원상에서 변인들의 관계를 밝혀내었다. 연구 결과, 개인-조직간 가치부합은 결과변인인 조직몰입, 이직의도, 맥락수행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조절변인의 분석에서 개인특성으로 성격의 6요인(HEXACO)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호감성과 개방성이 조절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고, 또 다른 개인특성인 정서지능은 맥락수행에 유의미한 조절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son-organization value fi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contextual performance. Especially, this study focused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present study dealt with person-organization fit based on five dimensions of organizational work values and person work values. These dimensions explained several values such as career development, autonomy, compensation, community and rapidity intentions. The person-organization value fit is defined here as similarity of the values between organizational member and organiz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Six personality factor (HEXACO) scales created by Lee and Ashton(in press) and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created by Wong and Law (2002) were used this study as the moderators. As a result, person-organization value fit affects the dependent variable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and contextual performance. The results showed that person-organization value fit enhances member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ntextual performance and decreases turnover intention. Also, this study found som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greeableness and Openness to experience factors in HEXACO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person-organization value fi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ntextual performance. Emotional intelligence also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organization value fit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se results supported the previous findings by Kristof (1996) and Judge and Kristof-Brown (2004).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자기계발 동기와 인상관리 동기가 지속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 : 피드백 추구행동의 매개효과와 상사-부하교환관계(LMX)질의 조절효과

        고예영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의 동기가 지속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첫 째, 조직 구성원의 자기계발 동기, 인상관리 동기가 지속학습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둘 째, 두 동기와 지속학습활동 간 관계를 피드백 추구 행동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두 동기와 피드백 추구 행동 간 관계를 상사-부하교환관계(LMX)가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다양한 직종에서 근무하고 있는 239명의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자기계발 동기는 지속학습활동과 정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드백 추구 행동은 지속학습활동과 정적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피드백 추구 행동은 자기계발 동기와 지속학습활동 간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고, 인상관리 동기와 지속학습활동 간 관계는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사-부하교환관계(LMX)의 질은 인상관리 동기와 지속학습활동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i.e. self development motive,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and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leader-member exchange quality.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s of feedback seeking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evelopment motive and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the mediating roles of feedback seeking behavi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and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leader-member exchange qua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self development motive,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and feedback seeking behavior. Using the survey research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239 employees who were working in a variety of organizations in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lf development motive is positively related feedback seeking behavior and feedback seeking behavior is positively related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And feedback seeking behavior had partially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 development motive and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And feedback seeking behavior had full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and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And, leader-member exchange quality had moder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and feedback seeking behavior. Finally, from there result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study, limitations,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in discu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