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회 장애인복지사업의 실태와 목회자 인식에 관한 연구

        김두만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에 대한 연구는 한국교회가 장애인복지에 대한 문제점들을 깊이 인식하면서, 개 교회 목회자들이 인식하고 있는 장애인복지의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자료를 토대로 한국교회가 장애인복지사업에 대한 활성화를 유도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여 34문항으로 된 설문지 140부를 이메일을 통해 배부하였으나, 회수된 설문지 114부를 실제 조사에 사용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v12.0 통계 프로그램방식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t-test, 분산분석(ANOVA)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대한 조사 결과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 및 교회의 특성을 보면, 교단의 특성상 100%가 남자였으며, “연령”층은 40~50대의 목회자로서 20년 이하인 교회와 100명 미만의 교회가 가장 많았고, 1년 “총예산”은 1억원 미만이 대부분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장애인복지사업에 대한 목회자 인식은, 구제와 사회봉사에 대해 대체적으로 “동의”하고 있었으며,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할 대상”으로는 “노인”이었다. 또한 장애인복지와 관련된 세미나 혹은 대학 또는 대학원에서 교육을 받은 목회자가 약 60%를 차지했으나, “장애인 문제”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그 이유로 “정부”의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셋째, 장애인복지사업에 대해서는, “목회자” 나 “성도” 모두가 “보통”으로 생각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장애인복지사업 시행의 중요 목적”에 대해서는 “이웃 사랑의 실천”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넷째, 교회 장애인복지사업 실태 중 “실시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대부분이 “재정 규모가 작아서”와 “장애인이 없기 때문”이라고 조사 되었으나, 장애인복지 사업에 대해선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실시하고 있는 교회의 실태”를 보면, “장애인 시설방문 및 후원”과 “장애인 상담”이 대부분이었으며, “장애인복지사업 재정충당”에 대해서는 교회 안에서 해결하고자 하였지만, “장애인복지 예산비율”에 대해서는 총 예산 중 10%미만이 가장 많았다. “장애인복지사업의 진행자”에 대해서는 “목회자”와 “전담전문 직원”의 진행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장애인복지사업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는 “교회별 상황에 맞게한다”와 “교회 간 지역 간 연합활동의 필요성”을 원하고 있었다. 그 “필요요소”에 대해서는 “자원봉사 등 인력후원”과 “재정적 후원”이라는 응답과 “장애인복지사업 전문사역자와 전문부서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았다. 여섯째, 주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총예산과 출석교인 간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상관계수=0.830)로 나타났으며, 장애인복지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목회자의 교육정도(F=4.246, P=0.003)가 장애인복지 목회에 대한 관심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을 중심으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는 장애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버리고 장애인복지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요구된다. 따라서 교회는 장애인을 도움의 대상이 아닌 지역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인정하고 교회의 참 모습인 이웃사랑인 예수님의 사랑을 장애인복지사업을 통해 실현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회는 장애인복지의 인식전환을 위해 목회자 교육이 요구된다. 따라서 교회는 장애인복지사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으로 전문적인 장애인복지와 관련된 세미나의 개최 및 장애인복지 관련 강좌 실시 등을 통해 장애인복지에 대한 인식 제고의 필요성이 요구되는 것이다. 셋째, 교회는 장애인복지의 활성화를 위하여 교회의 다양한 자원(인적자원 및 시설자원 등)들을 활용하여야 한다. 넷째, 교회는 효과적인 장애인복지의 활성화를 위하여 중・ 소형교회 간 지역간의 연합활동이 요구된다. 다섯째, 교회는 효과적인 장애인복지의 활성화를 위하여 지역적 특성에 따라 장애인들에게 꼭 필요한 다양한 실천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여섯째, 교회는 장애인복지의 활성화를 위하여 장애인을 위한 전담부서 및 전문 사역자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교회는 장애인복지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성도들의 교육과 훈련을 통해 장애인복지전문사역자로 활용하는 자세도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한국교회는 장애인복지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바탕으로 교회 본연의 사명을 회복하게 될 것이고, 지역사회의 장애인복지가 보다 향상되어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어우러져 이 땅에 기쁨과 소망이 있는 사회를 만들어 갈 것이다. On this paper the realities and problems on the welfare of the disabled, which local church pastors in Korea recognize, are studied. In addition we aimed to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o activate the service for welfare of the disabled lead by Korean church. Methods for the study both the documentary research and e-mail survey containing 34 questionnaires. 140 e-mail surveys were distributed, and 114 e-mail surveys was colle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v12.0 program conducting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t-test,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surveyed and korean church the organization consists of 100% men, who are 30's or 40's pastors. And the most of church of the surveyed is less than 20 years and is less than 100 members. Total budget for the church of the surveyed is less than the 100 million won. Second, the surveyed pastors recognize the importance of relief and social service for the disabled. And the senior is considered as the people who must be concerned about. The 60% of them are attending disabled service related seminars or being educated on the college and graduate school. They recognize that the problems of the disabled service are serious, and think the reasons for the problems are the responsibility of 'gorvernment'. Third, both pastors and saints consider the disabled welfare business as a normal thing. And “the practice to love neighborhood”is thought to be the main goal of the disabled welfare business. Fourth,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disabled welfare business in churches, in spite of much concern for the business, the reason why churches do not conduct the disabled welfare business is ‘lack of finances or ‘absence of the disabled’. The methods to conduct the disabled welfare business are mostly facility visits and counseling. Churches try to cover the finances for helping the disabled by themselves. But the budget for the business is less than 10% of total budget prevalently. In many cases, pastors and professional staffs take a role as project coordinator for the business. Fifth, the surveyed thinks to activate the business has to be conducted considering church’s situation, need to be joint activities between the churches of the area. The most responses about the need factor are voluntary human resource support and financial support, specialized resource support. Sixth,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total budget and church attendance are the most highly correlated (R2 = 0.830), an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disabled welfare come from educational level of the pastors (F = 4.246, P = 0.003). Based on conclusions from this study a few sugg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church is required to removenegative perceptions of the disabled changing awareness about the welfare of the disabled. Thus church needs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that the disabled is not the subject of helping but a member of community. And then church must try to realize the love of Jesus that is real purpose of church through the disabled welfare business. Second, pastor training is required for conversion of awareness about the disabled welfare. In order to practice church-conducting welfare business, church need to make aneffort to enhance awareness of the disabled welfare through holding professional course and seminar related to the disabled welfare. Third, the church is required to make the best use of a variety of resources (human resources and facility resources, etc.) to activate the disabled welfare. Fourth, for effective business, joint activities between small-scale and large-scale churches, and between regions are required. Fifth, a variety of necessary action programs for the disabled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are required. Sixth, welfare experts and workers for the disabled are necessary. Therefore, church can take advantage of the saints who have an interest in the disabled welfare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Finally, based on plan of improvement about the disabled welfare issue, the Korean church’original mission will be renewed. Though improving the disabled welfare of the community the disabled and non-disabled would go together in harmony, and our society will be full of joy and hope.

      • 수퍼비전이 장애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주간보호시설·단기거주시설 중심으로

        이혜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회복지사는 대상자에 대한 이해나 감정이입을 전제로 대인서비스를 제공하는 직종으로 열악한 환경과 취약한 자원의 한계로 인하여 소진이 많이 일어나게 된다. 특별히 소진의 발생빈도가 높고 열악한 근무환경에서 종사하고 있는 장애인복지시설 중에 주간보호시설과 단기거주시설 중심으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수퍼비전 실시현황을 살펴보고, 수퍼비전이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사회복지사들의 소진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부분의 조사대상자가 수퍼비전을 실시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나, 실시빈도는 50% 이상이 1개월에 1회 이하, 소요시간의 경우 50% 이상이 30분미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정기적 수퍼비전을 실시하는 경우가 57.5%로 나타났지만, 정기적 수퍼비전 시간이 없는 경우도 42.5%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수퍼비전의 장애요인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수퍼바이저의 업무과다로 인한 시간 부족이었고 수퍼바이지의 업무과다로 인한 시간부족이 뒤를 이었다.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수퍼비전과 소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별에 따라서는 행정적 수퍼비전, 연령에 따라서는 교육적 수퍼비전과 비인간화, 학력에 따라서는 소진, 급여만족도에 따라서는 소진과 정서적 탈진, 근무기관에 따라서는 교육적 수퍼비전, 직위에 따라서는 비인간화와 성취감 결여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수퍼비전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교육적, 지지적 수퍼비전의 경험이 많을수록 소진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지지적 수퍼비전의 경험이 많을수록 정서적 탈진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적 수퍼비전은 비인간화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었지만, 교육적 수퍼비전과 지지적 수퍼비전은 비인간화를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급여만족도가 높을수록 소진, 정서적 탈진, 비인간화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위가 높을수록 비인간화와 성취감 결여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복지시설 사회복지사의 소진을 줄이기 위하여서는 수퍼비전 시간을 정례화하고 활성화시키며, 관리자와 수퍼바이저에게 수퍼비전에 대한 다양한 교육을 제공하여 효과적인 수퍼비전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특별히 교육적, 지지적 수퍼비전의 경험을 증가시켜 소진과 정서적 탈진을 감소시키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사회복지사가 자신의 지식과 기술을 업무현장에 적절히 적용하여 클라이언트의 만족도를 높인다면 장애인복지시설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꾀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난 급여만족도를 향상시켜 소진, 정서적 탈진, 비인간화를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승진기회 및 조직발전 가능성을 높여 성취감 결여와 비인간화를 줄이기 위한 조직의 체계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하여 사회복지사와 조직이 함께 발전할 수 있는 건설적인 방안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 다문화가정 아동의 임파워먼트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최윤석 서울기독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임파워먼트가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실증적 분석을 통하여 다문화가정 아동의 행복감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임파워먼트와 사회적 지지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아동의 임파워먼트는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행복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구조방정식모형으로 이론검증을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는 다문화가정 자녀 중 초등학생 200명의 자료를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인 다문화가정 아동의 임파워먼트, 사회적 지지, 행복감 등 주요변인들을 측정한 결과 중간 이상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는 전체 평균이 2.79이었고, 이는 중간값이 2.5인 것을 고려할 때 보통보다 조금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수준은 전체 평균 3.77로서 중간값이 3인 것을 고려할 때 보통보다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 수준은 전체 평균 5.08로서 중간값이 4인 것을 고려할 때 보통보다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을 집단변인으로 하여 주요변인인 임파워먼트, 사회적 지지, 행복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임파워먼트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본인한국어능력, 부모한국어능력, 생활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성적, 본인한국어능력, 부모한국어능력, 모학력, 부출신국가, 모출신국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행복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일반적 특성으로는 본인한국어능력, 부학력, 모학력, 생활수준, 부출신국가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임파워먼트가 사회적 지지를 매개로 하여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임파워먼트는 사회적 지지(β=.470, p<.001)에 대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도 행복감(β=.678, p<.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임파워먼트는 행복감 (β=.148, p>.05)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이 경로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연구모형으로 설정한 변수 간의 관계가 완전매개모형인 것을 의미한다. 임파워먼트를 강화함으로써 다문화가정 아동의 사회적 지지를 강화시킬 수 있으며, 강화된 사회적 지지가 다시 아동의 행복감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임파워먼트와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보다 심도 있게 파악하기 위해 사회적 지지의 하위영역인 친구지지, 가족지지, 교사지지를 각각 투입하여 이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먼저 친구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임파워먼트는 친구지지(β=.399 p<.001)에 대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임파워먼트가 친구지지를 높이는데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임파워먼트가 행복감(β=.396 p<.001)에 미치는 영향도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친구지지가 행복감(β=.273 p<.001)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가 친구지지를 통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임파워먼트 자체가 행복감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가족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임파워먼트는 가족지지(β=.373 p<.001)에 대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임파워먼트가 가족지지를 높이는데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임파워먼트가 행복감(β=.278 p<.01)에 미치는 영향도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가족지지가 행복감(β=.530 p<.001)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가 가족지지를 통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임파워먼트 자체가 행복감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교사지지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임파워먼트는 교사지지(β=.290 p<.01)에 대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임파워먼트가 교사지지를 높이는데 긍정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임파워먼트가 행복감(β=.363 p<.001)에 미치는 영향도 통계적으로 유의했으며, 교사지지가 행복감(β=.427 p<.001)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가 교사지지를 통해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임파워먼트 자체가 행복감에 직접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한국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영향요인들을 반영한 포괄적이고 통합적인 교육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한다. 즉 다문화 어울림 교육지원사업, 한국어(KSL) 및 한국문화교육 연수 등의 프로그램이 지속적으로 개발·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행복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파워먼트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들을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며, 뿐만 아니라 가족과 교사의 지속적인 관

      • 어린이집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아동학대 신고태도와의 관계

        장인순 서울기독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child abuse by day care center teachers as well as their attitude toward child abuse reporting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 level, thereby exploring possible measures that would enhance their awareness of child abuse and overall attitude toward child abuse reporting.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identifi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child abuse awareness and reporting attitude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daycare centerteachers?" A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the teachers' child abuse awareness and reporting attitude?" This study deals with daycarecenter teachers among those specified in the Child Welfare Act as being obliged to report the act of child abuse. A total of 190 teachers were selected to answer the survey questions. The questions us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44 items that were verified for three times by related expert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ANOVA, t-test and Scheffé's post-test were conducted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while SPSS 18.0 program was used forstatistical analysis of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presented below. First,the general trend of child abuse awareness was generally high withan average of 3.87 points out of 5.87.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child abuse by background variabl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physical abuse and neglectin teacher’s education level variable, while in the institutional type variabl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ly in neglect and general type. In the teacher age variabl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only in physical abuse and emotional abuse. Second, general tendency to report showed an average of 3.82 point out of 5, which is a relatively high tendency to repor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reporting effectiveness and generaldepending on marital status in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whi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reporting attitude awareness and general in the teacher’s education level variable. Inthe institutional type variabl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were found acrossall sub-factors of reporting attitude, whil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was found only in reporting attitude awareness variable. Thir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 abuse and reporting attitude. The analysissuggests that all of the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level of child abuse by teachers, the higher the perception level of reporting attitude. A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the author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se limitations. First, this study has limitation in generalizing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sit conducted surveys on teachers in Seoul City and Gyeonggi Province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perceptions of child abuse and reporting attitudes. Therefore, it is a necessaryto broaden the number of samples nationwide by expanding the scope of the study geographically.And it is also necessary to further supportthe study results by expanding the scope of study, thereby laying the foundation for education to enhance the perception of child abuse by childcare teachers and their child abuse reporting attitude. Second, based on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pproach asin this study on the attitude toward child abuse reporting, the author looks forward to performing a qualitative study consisting of in-depth interviewsto understand child abuse awareness and reporting attitude in a more detailed mann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isten to the voices of field practitioners in order to strengthen the child abuse awareness and reporting attitude. Third, there shouldbe a system in place for encouraging reporting of child abuse andraising the reporting rates, thereby solving the ignorance and fear of reporting.Furthermore, an atmosphere should be promoted that would guarantee the rights of complainants and support reporting of child abuse. It is also necessary to distribute materials providing childcare teachers with practical examples of how things had been handled after child abuse reporting and how children and teachers protectedin order to create such a supportive atmosphere.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가 아동학대 인식이 어떠하며, 인식 수준에 따른 아동학대 신고태도와의 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보고 아동학 대의 인식과 신고태도가 더욱 강화 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해 보려 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교사의 배경변인별에 따른 아동학대 인식과 신고태도의 차이는 어떠한가?” 이고 둘째, “어린이집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신고태도와의관계는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동복지법』에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로 명시된 어린이집 교사로 구성되어 있다. 표본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를 중 심으로 어린이집을 선정하여 교사 총 1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 문항은 총 44개 문항이며 전문가에게 3회에 걸쳐 내용 타당도를 검증 받은 문항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 t-검증, Scheffé의 사후 검증을 실시하였고, 자료의 통계처리를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제시한 바와 같다. 첫째. 아동학대 인식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은 5점 만점에서 평균 3.87로 전체적으로 높은 인식을 나타냈으며, 배경변인별 아동학대 인식의 차이는 교사 학력에서는 신체적 학대와 방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기관유형에서는 방임과 전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 연령에서는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신고태도에 대한 일반적인 경향은 5점 만점에서 평균 3.82로 나타나 대체적으로 높은 신고태도 수준을 나타냈다. 교사의 배경변인별 차이는 결혼여부에 따라 신고효과성, 전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교사 학력에서는 신고태도인식과 전체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기관유형에서는 신고태도 하위요인에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교사 연령에서는 신고태도인식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어린이집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신고태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두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신고태도의 인식도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지고 있어 이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신고태도와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서울시와 경기도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 한계점이 있다. 그러므로 연구대상을 전국적으로 확대하여 표본의 수를 광범히 하게 연구할 필요성이 있으며, 연구대상을 전국적으로 넓혀 연구결과를 더욱 뒷받침하여 어린이입 교사의 아동학대 인식과 신고태도를 강화 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신고태도에 대한 본 연구과 같이 양적 연구 접근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보다 좀 더 세부적으로 아동학대 인식과 신고태도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한 심층면접 방식의 질적 연구를 기대해 본다.따라서 아동학대 인식과 신고태도가 강화되기 위한 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고 현실적으로 실천 가능한 신고태도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셋째, 아동학대에 대한 신고를 권장하며 신고율을 높이기 위한 제도가 마련되어 신고에 대한 무지와 두려움을 해결하고, 신고자의 대한 권리도 보장하여, 아동학대에 대한 신고 시 신고에 대한 용이함과 지지적인 분위기를 조성해 주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지지적인 분위기 조성을 위해서는 아동학대 신고 후 어떻게 일이 처리 되었고 아동과 교사의 신변에 관해 어떻게 보호되고 있는지 실질적 사례를 어린이집 교사들에게 제공하는 자료를 배부할 필요성이 있다.

      • 누리과정과 인성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태에 관한 연구

        송인숙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누리과정에 대한 인식 수준과 실행 실태 및 인성교육 에 대한 인식 수준과 실행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은평구의 어린이 집에서 근무하고 있는 누리과정을 교육한 경험이 있는 보육교사 142명이었다. 연구 방법 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양적조사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for windows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 석, 빈도분석, 다중응답 빈도분석, 일원변량 분산분석(ANOVA) 등 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누리과정의 인식(누리과정 관심 및 적절성) 리커트 척도의 5점 만점에 평균은 4.04점이었으며‘나는 누리과정을 실행하는 것 이 유아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싶다’가 가장 높은 4.17점으로 누리과정의 영향력에 대해 관심이 높았다. 둘째. 누리과정의 실행 및 지원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은 3.63점 이었으며‘나는 누리과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다.’가 가장 높은 3.94점으로 누리과정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면서 실행하고 있었다. 셋째, 누리과정의 실행 지원 요구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은 4.17점이었으며‘나는 누리과정 실행을 위해 학급 보조 인력이 있 으면 좋겠다.’가 4.3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인력 지원에 대한 욕구가 높았다. 넷째,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3.93점이었 으며‘나는 누리과정의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가 4.1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교사 재교육에 대한 욕구 가 높았다. 다섯째, 인성교육의 실행 실태는 중요한 인성덕목요소는 배려, 효 율적인 인성교육방법은 직접체험 지도방법, 인성교육의 발달 평가방 법은 관찰평가, 인성교육 어려움은 학부모의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부족 인성교육 교수방법은 생활주제 연계방법, 인성교육의 자료준비 방법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참조, 인성 교육시 고려할 점은 학 급당 유아 수 감축 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을 하였다. 첫째, 누리과정 시행의 적절성 및 효과성 검증이 필요하다. 연구 에서‘나는 누리과정을 실행하는 것이 유아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 치는지 알고 싶다’가 가장 높게 나타나 실행 평가가 필요하겠다. 둘째, 누리과정 지원을 위한 인적자원 확보가 필요하다. 연구에 서‘나는 누리과정 실행을 위해 학급 보조 인력이 있으면 좋겠다.’ 가 가장 높게 나타나 보조 인력지원이 확보되어야 하겠다. 셋째, 인성교육의 실행을 위한 체계적인 보수교육이 필요하다. 연 구에서‘나는 누리과정의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나난 지속적인 재교육을 통해 인성교 육에 대한 준비가 되어 솔선수범하는 실천이 전제되어야 한다. 넷째, 인성교육의 실천은 가정과 연계 되어야 한다. 연구에서 중 요시 하는 인성덕목이‘효’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효’를 실천하 기 위해 가정과 연계되어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여가복지적 요인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특별시 종합사회복지관 이용 노인을 중심으로

        김용길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노인은 여러 측면에서 삶의 질이 취약한 계층으로서 고령인구의 급속한 증가에 따른 노인들의 삶의 질 문제는 점차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어가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젊은 사람들도 자신의 노년기에 대한 준비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배경에서 출발한 본 연구는 노인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 특성 변인과 신체적, 사회적, 여가복지적 요인이 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들을 규명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와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서울특별시 강동, 강서, 강남 및 강북 4개 지역의 6개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여가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65세 이상의 노인 400명을 편의 표집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375명의 설문지를 최종 자료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수에 따른 삶의 질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t-검증 및 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적 특성의 변수인 성별, 연령, 종교, 과거 직업, 소득 중에서는 소득이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신체적 요인의 주요 질병 중에서는 신경통 유무에 따라 삶의 질에 차이가 있었으며,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삶의 질이 높았다. 또한 사회적 요인의 자녀의 수, 동거 상태, 자녀와의 연락빈도, 가족들과 관계의 만족도, 사회적 지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사회활동 참여 유형에 따라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복지적 요인이 신체적 활동, 정서적 활동, 사회적 활동에 따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 참여 빈도나 참여 기간에 따라서는 전반적으로 삶의 질에 있어 거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고, 프로그램 만족도에서는 신체적 활동의 체조 교실, 댄스 교실, 전통춤 교실, 건강운동 교실과 정서적 활동의 노래 교실, 취미 교실 및 사회적 활동의 특별행사 참여와 야외 나들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는 참여 빈도나 기간 보다 프로그램이 얼마나 만족하는지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셋째, 일반적 특성 요인, 신체적 요인, 사회적 요인, 여가복지적 요인이 노인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회귀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델 [1단계]에서는 성별이나 연령, 학력과는 상관이 없었고 소득만이 삶의 질에 유일한 요인이었으며, 모델 [2단계]에서는 소득이 높은 경우와 IADL 수준이 높은 경우 및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에 삶의 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델 [3단계]에서는 소득이 높은 경우,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은 경우, 사회적 지지가 좋은 경우에 삶의 질 수준이 높게 나타났고, 모델 [4단계]에서는 소득이 높은 경우, 건강상태가 좋은 경우, 가족관계 만족도가 높은 경우, 사회적 지지가 좋은 경우, 프로그램 만족도가 높은 경우, 프로그램 참여 후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경우 삶의 질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연구에서 여가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의 신체적, 사회적, 여가복지적 요인은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적 제언으로서 전통적인 가족 및 가족공동체의 역할이 강조되어야 하고, 사회적 지지체계가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이 필요하며, 노인의 여가복지 활동에 대한 접근성이 제고되어야 한다. 그리고 노인이 여가복지 프로그램에 마음껏 참여할 수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해야 하고, 노인의 여가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의 활성화가 필요하며, 노인의 여가복지적 요인의 향상을 위한 사회복지사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정책적 제언으로서 현실적인 기초노령연금보장책이 마련되어야 하고, 적극적인 예방적 접근으로의 보건의료 지원과 교육이 이루어져야하며, 노인의 여가복지적 측면에서 정책적인 개입이 있어야 하고,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서 여가복지 시설의 확충과 법적 지원체계가 확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한계는 조사대상자가 서울시내 65세 이상의 노인 375명이므로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하여 공통적으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있고 고령의 노인에게 신뢰성 있는 응답을 기대하기가 어려운점 등의 한계점이 있으므로 본 연구 결과에서의 미흡한 부분은 계속적으로 연구․탐색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의 의의는 종합사회복지관에서 시행하는 노인의 여가복지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가 현재까지 미흡한 상황에서 초기적인 연구를 시행한 점과 종합사회복지관의 여가복지 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삶의 질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는 점, 그리고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노인복지 실천에서의 여가복지적 접근이 절실히 필요함을 시사하였다는 점 등이다.

      • 사회복지기관의 홍보방안 연구 : SNS를 중심으로

        이재춘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현대사회에 있어서 사회복지는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사회복지는 사회구성원들이 기존의 사회제도를 통하여 자신의 기본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어려움이 예상될 때, 그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하는 조직화된 사회적 활동의 총체이다. 사회복지기관은 국제적인 봉사단체와 국내기관들로 나눌 수 있다. 협의의 사회복지기관은 국가의 공공재원을 재원으로 하여 보조금을 지급받아 운영되는 시설과 보험에 의한 기금으로 운영되는 노인전문요양기관, 민간의 후원으로 운영되는 시설 등이 있다. 이들 사회복지기관은 종사자들의 고전적인 업무행태로 인해 홍보에 대한 인식이 적극적이지 못했다. 사회복지기관의 홍보매체는 경제적인 기부를 이끌어 내는 중요한 수단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기관의 홍보방안 중의 하나로서 SNS를 통한 홍보의 효과와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요 민간사회복지기관을 공립 및 NGO과 민간으로 나누고, 또한 생활시설과 일반시설로 구분하여 각각의 카테고리에 드는 대표적인 사회복지기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에 의한 면접조사로 각 기관의 SNS 운영실태와 운영상태, 다른 홍보수단과의 비교 등을 심층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본 연구의 연구대상인 SNS 사용기관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둘째, SNS홍보 현황 및 실태를 분석하였다. 셋째, SNS운영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넷째, SNS의 효과와 전망 등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SNS를 운영하는 사회복지기관과 그렇지 아니한 사회복지기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대책을 제시함으로써 SNS를 활용하여 홍보를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0개의 사회복지기관을 대상으로 홍보가 이루어지는 현장을 서술적으로 관찰하였고, 각 사회복지기관의 홍보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실제 운영하면서 느낀 사례와 발전전망 등을 수집하였다. 또한 사회복지기관과 관련된 각종 유인물과 공문서를 수집, 분석의 자료로 삼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기관의 홍보는 기관의 이미지제고와 후원자발굴 등 자원동원의 목표가 있다. 연구에 응답한 NGO단체 6개 기관은 설립목적과 목표가 다르고, 사업대상도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사회복지사업을 원활하게 이끌어가는 데는 홍보의 역할이 매우 크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나름대로 홍보전략을 세우고 추진해 오고 있었다. 이에 반해 국내의 유수한 사회복지법인 2곳은 오랜 역사와 더불어 탄탄한 재정을 바탕으로 꾸준 히 홍보를 해 오고 있었다. 그러나 국내 사회복지기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세 사회복지시설은 홈페이지조차 마련하지 못하는 열악한 상황에 처해 있었다. 즉 재정적인 문제와 인식의 문제, 디지털미디어에 대한 무지 등으로 인하여 미디어기기를 활용한 홍보를 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SNS를 활용하고 있는 8개 기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SNS수단은 페이스북으로 모든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었다. 이는 페이스북이 사회복지기관의 취지와 내용 면에서 볼 때 가장 적합하고, 또 가입자 수도 많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그 다음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SNS미디어는 트위터로 7개 기관이 사용하고 있었으며, 미투데이는 6개 기관이 사용하고 있었다. 기관 별로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기관은 굿네이버스 로 8종류를 사용하고 있었고, 기아대책기구는 7종류를 사용하고 있다. 가장 적게 사용하는 기관은 태화기독교사회복지관으로 페이스북만 운영하고 있었다. 각 기관에서 SNS를 도입한 목적은 홍보, 소통채널 확장 및 후원개발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SNS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기관소식의 알림을 통하여 홍보를 하고 이를 계기로 후원개발을 하며, SNS의 또다른 기능 인 양방향 소통을 통한 상호의견교환을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전담직원의 존재가 필요하다. 굿네이버스는 2명의 전담직원이 있고, 다른 기관은 1명씩의 전담요원을 운영하고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기관은 SNS홍보를 아직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성공사례와 문제사례는 많지 않다. 그러나, SNS의 실시간 속성을 활용하여 행사개최 시에 참여유도를 통하여 도움이 되었다는 사례와 특히 국제기아대책기구의 태국홍수 때 SNS를 이용한 실시간중계로 많은 호응을 얻었다는 것과 굿네이버스에서 SNS응답을 분석하여 시작한 “100원의 기적”은 SNS의 위력과 장점을 나타내 주는 성공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기아대책기구에서는 경험적으로 5%의 팔로워 증가와 5%의 후원증가 효과가 있다고 답변하였다. 넷째, 각 사회복지기관의 SNS의 장단점과 전망에 대한 응답분석에서는 비용 면에서 거의 들지 않는 저비용구조이면서, 불특정 다수에 대한 이미지 및 브랜딩을 통해 간접적인 홍보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들 수 있다는 점, 팔로워들에게 실시간으로 기관의 이벤트 및 현장의 소식을 빠르게 전하는 것, 직접적 소통을 할 수 있다는 점, 소단위정보틀로 내려옴으로써

      • 노인 주·야간보호시설의 서비스 질과 시설 이용특성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장경환 서울기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service qu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use of day and night care facilities for seniors on user satisfaction.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at facilities located in Jeollabuk-do, which are affiliated to Korea Association of Community Care for the Elderly. A total of 199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the final data of this research. For data analysis, a statistic program of SPSS 21.0 for Windows was used,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redi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average score of service quality of day and night care facilities perceived by the research subjects was very high at 4.19 out of 5 point scale. When it comes to sub-variables, empathy had the highest score(4.39), followed by responsiveness, guarantee, tangibility and credibility. The level of user satisfaction was also high at 4.06 out of 5 point scale; as for sub-variables, employee-related satisfaction was the highest(4.22), followed by environment-related satisfaction and service-related satisfaction. As for the effects of the service qual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use of day and night care facilities for seniors on user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showed much greater effects on user satisfaction compa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y use. For the effects on user satisfaction, the variable of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y use showed little significant effects, while ‘time of use a day’ among variables of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y use affected service-related satisfaction that is one of sub-variables of use satisfaction. In terms of sub-variables of service quality, tangibility had effects on employee, service and environment-related satisfaction; empathy affected employee and service-related satisfaction; credibility showed effects on employee and service-related satisfaction; guarantee affected service and environment-related satisfaction; and responsiveness had effects on employee-related satisfaction.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revealed that the service quality had positive effects on satisfaction of elderly facility users, while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y use had little significant effects.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further improve tangibility, which was proven to have effects on all sub-variables of service quality. For this, it is necessary to improve facility environment, modernize equipment, enhance employees‘ kindness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and diversify materials to guide and introduce facilities. Meanwhile,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y use that used to be considered to have effects on user satisfaction in preceding research were revealed to have little effect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study satisfaction with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y use that can differ from personal service demand, from different angles. As the efforts and difficulties of caregivers who have to take care of the elderly at home after the facility service ends (at night or on holidays) have become various social issues, follow-up research needs to present alternatives to improve the quality of caregivers’ life by allowing caregivers to enter the elderly facilities and use the service as well. 본 연구는 노인 주·야간보호를 이용하는 노인들로 하여금 서비스 질과 시설이용 특성이 이용자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연구하는 것으로 전라북도 재가노인복지협회에 회원 시설들을 방문하여 2017년 1월 5일 부터 2017년 2월 10일까지 자료수집을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 참여한 총 215명중 자료 입력과정에서 치매 및 인지력 부족, 의사소통 미흡 등으로 인해서 설문응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분석 자료로 사용할 수 없는 설문지 16부를 제외시키고, 총 199부를 본 연구의 최종 자료로 사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 SPSS 21.0 for Window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가 인식한 노인 주 야간보호시설 서비스 질 수준은 5점 척도에 총 평균 4.19점으로 매우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하위변인을 살펴보면, 공감성이 4.39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대응성, 보증성, 유형성, 신뢰성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시설이용 특성에서 이용기간은 ‘1년 이상–2년 미만’, 하루 이용 시간은 ‘8시간 이상–10시간 미만’, 주 이용 빈도는 ‘주 6회’, 본인 부담금에 대한 인식은 ‘부담된다’, 프로그램 참여도는 ‘참석하는 편이다’ 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이용자 만족도 수준은 5점 척도에 4.06점으로 높은 수준이었으며, 하위변인으로는 직원관련 만족도가 4.22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환경관련 만족도, 서비스관련 만족도 순으로 조 사되었다. 주요 변인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보면 서비스 질의 집단 간 차이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질의 집단 간 차이를 보면 학력과 월 평균소득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시설이용 특성에 따른 서비스 질의 집단 간 차이에서는 이용기간에 따라서는 이용기간, 하루 이용시간, 본인 부담금 인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이용자 만족도의 집단 간 차이에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이용자 만족도 집단 간 차이는 성별, 배우자 유무, 장기요양등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설이용 특성을 보면 주 이용빈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인 주 야간보호시설의 서비스 질과 시설이용 특성이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이용자 만족도에 대한 서비스 질이 시설이용 특성보다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이용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시설이용 특성 변인에서는 거의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시설이용 특성의 변인들 중 ‘하루 이용시간’은 이용만족도의 하위변인 중 서비스관련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서비스 질의 하위변인 중 유형성은 직원관련 만족도, 서비스관련 만족도, 환경관련 만족도에 영향을 미쳤으며, 공감성은 직원관련 만족도와 서비스관련 만족도에, 신뢰성은 직원관련 만족도와 서비스관련 만족도 에, 보증성은 서비스관련 만족도와 환경관련 만족도에 대응성은 직원관련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하여 시설이용 특성은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서비스 질은 노인 주·야간보호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특히 서비스 질의 하위변인 중 모든 하위변인에 영향을 미친것으로 밝혀진 유형성을 더욱더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시설의 환경 개선을 위해서 더 노력해야 할 것이며, 장비의 현대화와 더불어서 근무자의 친절함 그리고 시설의 청결성 등이 이용자 입장에서 제고되어야하며, 시설을 안내하고 소개할 수 있는 자료들이 다양하게 구비되어져야 할것이다. 한편 노인 주 야간보호시설의 서비스 질의 하위변인이 이용자 만족도 전체에 미치는 영향에서 대응성이 제외된 나머지 하위변인에서 모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응성은 고객을 기꺼이 도우려는 태도와 즉각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적극적 태도를 말하는데, 현재 노인주·야간보호 시설들이 당면해 있는 큰 문제 중의 하나가 인력부족이다. 이러한 인력부족으로 발생하는 대상자들의 요구에 대해서 즉각적인 조치 미흡으로 인해서 대응성이 영향을 주지 못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시설의 운영상황에 적합한 적절한 인력추가배치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필 요하리라 본다. 반면에 선행연구를 통해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여겨졌던 시설이용 특성은 이용자 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연구가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영향을 미치지는 못했으나 개인의 서비스 욕구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시설이용 특성에 대해서 다양한 각도의 만족도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또한 시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가 종료된 이후의 저녁시간 혹은 휴일 등에 집에서 이용자들을 돌봐야 하는 보호자들의 수고와 고충도 여러 가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기에 가족을 노인 주·야간 보호시설에 입소시켜서 시설의 서비스를 이용하게 하는 보호자들에게 나타나는 삶의 만족도에 대한 연구를 통하여 보호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 장애아동부모의 부양부담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김강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부담과 삶의 질에 관련된 조사로 장애아동 부모의 부양부담 정도를 파악하고 양육부담에 따른 삶의 질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장애아동 부모 지원의 필요성과 방안 마련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인천지역에 있는 장애인복지관과 사설치료실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장애아동 부모 209명을 표집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장애아동 부모의 부양부담은 사회적 부담(평균 4.22)이 가장 높고 그 다음으로 교육·재활 부담(평균 3.91), 경제적 부담(평균 3.79), 심리, 정서적 부담(평균 3.66), 신체적 부담(평균 3.32), 가족갈등 부담 (평균 3.20)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애유형에서는 교육, 재활 부담이 통계적으로 나타났고 장애아동 등급이 높을수록 부모의 부담은 삶의 질을 제외한 모든 측면에서 높게 나타났다. 장애원인에 따라서는 신체적 부담이 통계적으로 나타났고 삶의 질의 경우 선천성 장애가 후천성 장애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신체적 부담을 제외한 모든 부담은 부모의 연령이 낮은 경우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삶의 질 또한 연령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모든 부담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사회적 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은 대학원 이상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전문직일수록 모든 부담에서 높은 부담감을 보였다. 삶의 질은 공무원이 다소 높은 반면 전문직이 다소 낮았다. 소득에 따라서는 경제적 부담, 가족갈등 부담, 신체적 부담이 나타났으며 소득이 낮을수록 심리·정서적 부담, 가족갈등 부담, 신체적 부담, 교육·재활 부담, 경제적 부담이 높게 나타났다. 삶의 질은 소득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넷째, 장애아동 부양부담과 삶의 질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나타났으며 특히 가족갈등에 대한 부담과 신체적 부담이 높게 나타났다. 심리, 정서적 부담에서 사회활동 꺼림이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회귀분석에서는 장애아동의 장애등급에 대해 부양부담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삶의 질에 대해서는 장애기간이 가장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아동 부모의 부양부담 및 삶의 질 회귀분석 결과 교육·재활 부담이 높을수록 높은 부담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리, 정서적 부담, 교육, 재활 부담, 경제적 부담, 사회적 부담의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에서는 가족형태에서 부정적인 경향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장애아동 부모의 부양부담과 삶의 질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 부모의 부양부담을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기위해서는 심리·정서적 부담에 대한 지원으로 장애아동의 미래에 대한 대책이 정책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 지역자원 연계 또는 공유시스템 및 인프라를 구축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장애아전담보육시설과 주간보호시설 등의 확충을 통해 부모의 개인적인 삶을 누릴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한다. 둘째, 경제적 부담에 대한 지원으로 장애수당 및 장애아동 부양수당 급여상향조정과 장애연금 등 통합적 소득보장대책에 대한 방안 마련과 장애아동에 대한 치료 및 교육비 지원이 확대되어야한다. 셋째, 장애아동의 장애 특성에 맞는 교육 및 재활치료를 할 수 있는 전문치료시설의 확충과 의료보장제도가 확 대되어야 한다. 넷째, 장애아동의 부모갈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부모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장애자녀문제에 대한 대처능력과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하며 특수교육기관의 확충을 통해 기관과 부모 간의 지원조직이 활성화 되어야 한다. 다섯째, 신체적 부담 감소를 위해 가족건강 상담 및 정보제공과 여러 가지 유형의 도우미와 활동보조인 서비스가 확대되어야한다. 또한 장애아동의 교육 및 치료 시 치료기관 이동 서비스가 확대되어야하며 가정 내·외의 다양한 휴식서비스가 개발되고 확대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