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른의 동심을 깨우는 서정적 일러스트레이션 표현 연구 : 빨강이 나무에서 노래해요를 중심으로

        길진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유년의 기억은 어른들에게 아련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잊고 있었던 순수성을 되찾게 한다. 본 연구는 어른들에게 순수성에 대한 기회를 제공해 유년시절의 기억을 되살려 기억 속에 잠재되어있는 어른의 동심을 깨우는 서정적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기로 한다. 그림은 심리세계를 만드는 것이고, 소재는 만들기 위하여 선택되며, 심리세계는 외계의 형태(그림)로 충동받기보다는 심성자체의 충돌로 이루어진다. 오병권(1999). 『디자인과 이미지 질서』. (서울: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본 연구자는 동심이라는 심리세계를 만들기 위해 초현실이라는 소재를 선택하였고 그로부터 부딪히는 심성을 서정적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표현하여 감상자로 하여금 동심으로의 귀환(歸還) 즉 심성의 부딪힘을 일으키기를 원한다. 이 연구는 어른들의 동심이 어린아이의 것과 다르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어른의 동심과 어린아이의 동심의 차이점을 밝히고 동심에서의 서정과 시각예술에서의 서정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이를 선행적으로 연구한 자료와 표현한 작가의 사례를 연구하고자 한다. 그리고 그것을 시의 형식을 빌려 어린이 그림책으로 쓰인 '빨강이 나무에서 노래해요'에 한해 동심의 밝은 부분에 집중해 서정적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표현, 어른을 위한 동심세계를 시각화하고자 한다. 방법적 연구에서는 앞서 연구하였던 시심을 시각적으로 표현했던 작품을 토대로 일러스트레이션 작품연구를 하였고 동심을 표현하는 방식에 있어 서정의 분위기를 만드는 색채에 중점을 두고, 초현실주의(Surrealism)의 기법들을 응용하려한다. 그 까닭은 기성에 물들지 않아 자유롭고 솔직한 동심세계를 직접적으로 표현하기 적합하며 실제로 아이들이 그린 그림에서도 동심을 초현실적으로 표현한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실제적으로 동심을 표현한 작가의 사례를 연구하여 작품의 형식과 표현과의 관계에 대해 심도 있게 탐구하고 분류하여 동심세계에 대한 서정, 그리고 초현실적표현에 대하여 본인의 작품에 적용하였다. 본인은 연구를 통해 잊고 있었던 '동심'을 일깨우고자 한다. 기성에 물들어 보이는 대로 생각하고 느끼는 것이 아닌 자유롭게 상상하고 솔직하게 느낀 것을 표현하고자한다. 이 연구의 최종 목적은 감상자의 동심세계발견 즉 어른의 잠재된 동심을 깨우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연구를 통해 잊고 있었던 동심을 일깨우고자 하는 것처럼 작품을 통해 감상자(어른)로 하여금 내재되어있는 '동심'을 발견하게 하여 삶에 대하여 자유롭게 즐겁게 대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주었으면 한다. The childhood memories provide dim recollections to adults while enabling them to regain the purity that has been forgotten.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manufacture a lyrical illustration which provides the adults with the potential innocence of childhood by recovering the memories of childhood through provision of chance for purity. A picture is a process of making psychological world, and the materials are selected for making, and the psychological world is realized by the conflicts of hearts, rather than being urged by an alien form (picture). Byung-Kwon, Oh (1999). 『The Design and Image Order』. (Seoul: Ewha Women's University Publication Department). This research selected the material called 'surrealism' in order to make the psychological world called 'childhood memory', and it is intended to express the hearts that are encountered as illustration to make the appreciator to experience of returning to innocence of childhood, or encountering of heart. This research assumes that the innocence of childhood of the adults are different from that of young children to reveal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nd it is intended to examine what the lyricism is, in the innocence of childhood and in the visual art, and also to examine the preliminary research data as well as the cases of the writers who expressed this. And by borrowing the form of poem, it is intended to visualize the world of childhood for the adults, through lyrical illustration by focusing on the bright side of the innocence of childhood in 'The Red Sings on the Tree', written in the form of picture book for children. In the methodical research, the illustration pieces were researched based on the works that visually expressed the poetic turn of mind that was previously studied, and it is intended to use surrealism technique by focusing on the undertone that makes lyrical mood in terms of expressing the innocence of childhood. It is because it is appropriate to directly express the free and frank world of innocence of childhood with untainted purity of its own, and also easy to find things that expressed the mind of innocence surrealistically in the pictures drawn by children. And by researching the cases of the writers who actually expressed the innocence of childhoo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rm of works and expressions was deeply examined and classified, in order to reflect the lyricism about the world of innocence of childhood and surrealistic expression to my works. It is my intention here to awake the 'innocence of childhood' that has been forgotten through the research. It is my desire to express what I have freely imagined and frankly felt, not thinking in a way that is spoiled by adult-oriented thinking. The final goal of this research is to discover the world of innocence of childhood of the appreciator, or in other words, to awake the potential innocence of childhood of adults. Just as my intention to awake the innocence of childhood that has been forgotten through the research, it is my desire to see that this piece can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 appreciators (adults) to discover the potentially built-in 'innocence of childhood', in order to face the lives more freely and joyfully.

      • 기억 속에 내재된 감정 표현연구 : 유년기 기억을 중심으로

        맹성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art in the modern society reveals the invisible initial world of the human being’s inner side, and it is activity to connect the individual soul and the world as communion. Through the art, the hidden emotion in the self inner side can be expressed and the self presence which could not be recognized can be found, and it is the process to be done for the future positive life. To find the self presence, we should look back and recall our lives through the memory to conduct the process of domestication by treating the rough and tough things and overly sweet splendor things properly. The past time cannot be disappeared but can be filed continually in our unconsciousness, and it is recalled as the name of ‘memory’ in the casual opportunities again. This memory fills up the disconnection between the present ‘I’ and the past ‘I’ and it makes the experience to feel the past and present at the same time. In addition, the memory does not stay simply on the past time but recall the past latent emotion from the present object in the continuous flow which all existence is gradually blurred with the past flow as somewhat opportunity. The emotion which exists as a part of the memory is unconscious phenomenon due to the casual encounter of object, so it reveals gradually. The emotion works on environment to be immersed in inner deep sea in a while by breaking away from daily life. The moment cannot be appeared as something clearly presents like one object or point, but it makes the time flow by the duration of the moment. Every moment passes away so the instant moment at the present disappears in the flow. Meanwhile, the moment forms the past through the continuous process of accumulation, and there are memory, emotion, and personal history in it. The latent memory of unconsciousness is awakened coincidentally and is interpreted subjectively due to the present sense. The present sense works as medium to recall some past scene unwillingly. The regained memory was expressed as own works to make opportunity of finding new ego by confirming and recording present self. To explain this works, the discussion about the ‘memory’ as the main core of the study was recognized based on a variety of case studies about Gilles Deleuze’s <Proust et les Signes>, Marcel Proust’s novel,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which is story to find inner self through the vast amounts of time travel, and the essence and the concept of emotion was discussed for the expression, and the emotions in the past embellished memory which was distorted should find the meaning and content by reinventing for the aggressive representation through the works expression. In addition, it was connected to this works through the examples of several paintings. The world of works stirred from the personal experiences attempted the analysis of the work synthesizing the theories above through the subjective point of view of the unconscious memory and the process of objectification. Our vision perception works as memory which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sonal history. Therefore, it shows the result that is connected to our lives deeply over the spirit and body. So this study can be the process to find identity of unconscious memory in our memory as the latent form related to the perception of the body. The art works are expected to be the opportunity of the reflection and creative motivation for the abundant life through the manifestations of memory. Because of that the imaginary sensibility by the memory will provide the infinite energy to fertilize our lives. 현대사회에서 예술은 인간의 내면에 잠재되고 보이지 않는 세계를 드러나게 하고 개인의 영혼과 세계를 연결시키며 교감하게 하는 활동이다. 예술을 통해 자아의 내면에 숨겨진 감정들을 토로하고 자신이 인식하지 못하는 자아의 존재감을 발견하는 행위이며 미래의 긍정적인 삶을 위해 치러야 하는 과정인 것이다. 자아의 존재감을 발견함에 있어 우리는 기억을 통하여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회상함으로서 거칠고 모났던 것, 또 화려하면서 지나치게 달콤했던 것들을 적당히 다스려 거슬리지 않게 순화하는 과정을 밟게 된다. 지나간 시간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무의식 속에 끊임없이 쌓이고 있으며, 우연한 기회에 ‘기억’이란 이름으로 다시 상기된다. 이러한 기억은 현재를 살아가는 ‘나’와 과거의 ‘나’사이의 단절을 메우고 과거와 현재를 일순간 동시에 느끼는 경험을 하게 한다.또한 기억은 단순히 지나간 시간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고 과거 시간의 흐름과 함께 모든 존재가 서서히 흐려지는. 지속적인 흐름 속에서 현재 존재하는 대상으로부터 어떠한 계기가 되어 무의식 속에 잠재해 있던 과거의 감정을 다시 되살린다. 기억의 일부로 존재하는 감정은 대상과의 우연한 마주침으로 인해 무의식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으로, 감정 그 자체가 스스로 드러나도록 한다. 이러한 감정은 일상을 벗어나 잠시 내면의 심해 속으로 몰입하도록 하는 환경으로 작용하게 한다. 순간은 어느 한 대상이나 지점처럼 명확하게 존재하는 무엇으로 나타나진 않지만 그 순간의 지속으로 인해 시간의 흐름을 만들어낸다. 매 순간이 흘러가기에 현재의 찰나로 드러나는 한 순간은 어느새 다시 이러한 흐름 속으로 사라진다. 한편 순간은 지속적인 축적과정을 통하여 과거를 형성하고, 그 안에는 기억, 감정, 그리고 개인의 역사가 담겨있다. 현실 속에서 무의식에 잠재한 기억은 현재의 감각들로 인해 우연하게 일깨워지고 주관적으로 해석되어진다. 본인에게 있어서 현재의 감각들은 과거의 어떠한 장면을 무의지적으로 떠올리게 되는 매개체로 작용한다. 그렇게 되찾은 기억을 본인 나름의 방식인 작품으로 표현하여 현재를 살아가는 자신을 확인하고 기록함으로써 나아가 새로운 자아를 발견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게 된다. 이러한 작품을 설명하기 위해서 본 논문의 주요 핵심인 ‘기억’에 관한 논의는 들뢰즈의 <프루스트와 기호들>을 비롯하여, 방대한 시간 여행을 통해 자신의 내적 자아를 발견해가는 마르셀 프루스트(Marcel Proust)의 소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관한 다양한 사례연구들을 기반으로 고찰하고, 또한 기억은 시간의 흐름과 함께 변화한다는 지속성을 앙리 베르그송(HenriBergson)의 시간과 여러 철학자들의 시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감정 표현에 있어 감정의 개념과 본질에 대하여 논의해 보고, 과거의 기억 속에 존재 감정들이 현재에 동일한 감정이 아닌 미화되고 왜곡된 감정으로 재창조 되어 새로운 기억 감정의 의미와 내용을 찾고 작품 표현에 있어 적극적인 표현을 하고자 한다. 또한 여러 회화 작품의 사례를 통해 본인의 작업에 연관시켜 보았다. 개인의 경험에서 촉발된 작업 세계는 무의식적 기억의 주관적 견해를 객관화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위 이론을 종합하여 작품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우리의 시지각은 개인의 역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기억으로 작용한다. 이것은 정신과 육체를 넘나들며 우리의 삶에 깊숙이 연결되어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각하는 신체와 관련하여 잠재된 형태로 우리 기억에 남아있는 무의식적 기억의 주체성을 찾는 과정이 된다. 본인은 예술작품이 기억의 발현을 통하여 풍부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성찰과 창조적인 동기를 부여하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 기억에 의한 상상의 감수성은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무한한 에너지를 제공할 것이기 때문이다.

      • 유사소수의 성질들

        강진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599

        A positive integer is called a prime if it has only two divisors including itself. Prime numbers are satisfied with some important properties such as Fermat's little Theorem. A pseudoprime is defined by a composite number which holds some properties satisfied by prime numbers. In this paper, we define various pseudoprimes and survey some properties of those pseudoprimes. In particular, we show that there are infinitely many pseudoprimes to the base b, for any positive integer b. Some relations among absolute pseudoprimes, strong pseudoprimes, and Euler pseudoprimes are also proved. In the last section of this thesis, we attach some tables of pseudoprimes generated by the computer program MAPLE.

      • 여성 소비자를 위한 프리미엄 흑맥주 브랜드 라벨 디자인 전략 : 하이트의 ‘스타우트’를 중심으로

        이애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맥주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즐겨 마시는 술이다. 국내 다양한 주류 제품들 속에서 맥주는 주류 시장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맥주 브랜드와 제품이 한정 되어 소비자의 선택 폭이 좁았다. 하지만 인터넷 사용자가 증가하고 국민 일인 소득이 높아지며 윤택한 생활을 누리게 되었고 해외 여행객이 증가함에 따라 세계 각국의 다양한 맥주를 경험하는 사람들이 점점 늘어났다. 이에 국내 맥주 시장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위해 공급자 중심이 아닌 소비자 중심 시장으로 끊임없이 변해왔다. 하지만 맥주 브랜드가 해외 시장에 비해 한정적이며 그에 따른 한계점이 있는 것이 현실이다. 2000년도에 20여종에 불과했던 수입 맥주는 현재 2000여종이 넘게 국내에 진출해 있으며 수입 맥주 전문점까지 흔히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맥주 시장은 두 브랜드로 전 세계의 맥주 브랜드와 경쟁 하는 구도가 형성 되었다. 이에 소비자들은 다양한 종류의 맥주를 시장에서 접하게 되었고 국내 맥주와 달리 제품의 디자인과 맛에서 인지도가 높고 좋은 평가를 받고 있는 외국 맥주를 소비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2011년 현대 사회의 다양한 소비 형태는 소비자의 의식 구조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발전해 나가는 시장 환경에서 더 좋은 상품 선택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 상품과 소비 생활 형태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소비 시장에서 여성은 가장 강력한 소비자로 떠오르고 있다. 대부분의 소비 생활에서 여성이 소비를 주도하고 있으며 여성의 사회 진출이 활발해짐에 따라 주류 시장에서의 입지 또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주류 시장에서 국내 흑맥주 시장의 경우 하이트의 스타우트가 유일함에도 불구하고 강한 이미지와 맛의 특성 때문에 ‘남자들이 마시는 맥주’ 라는 인식이 대부분이다. 생산자는 소비자의 욕구 충족 및 제품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노력한다. 최종 목표인 판매 증대를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디자인의 중요성을 한층 더 높이고 있다. 패키지 디자인을 구성하는 한 요소인 라벨은 시각적 조형 요소로서, 소비자의 구매 결정을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는 실제적이고 즉각적인 의미 파악이 가능한 메시지를 선호하는 현대 소비자에게 정보를 직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국내 유일 흑맥주 제품인 스타우트의 메인 타겟이 20대~30대 남성임을 알고, 새로운 주류 소비 계층으로 각광받고 있는 여성 소비자에게 어필하기 위한 흑맥주 제품의 라벨 디자인 전략 연구에 그 목적이 있다. 라벨 디자인을 통해 흑맥주 시장에 여성 소비자를 끌어들이고 국내 유일 저관여 제품의 강점을 살려 소비 촉진을 목적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내용은 첫째, 국내 맥주 시장과 세계 맥주 시장 현황을 분석하고 다양한 흑맥주 브랜드 사례를 살펴본다. 둘째, 여성 소비자를 분석하여 본다. 여성 소비자들의 개념 및 중요성, 여성들의 주류 소비 환경, 주류 소비 시장에서 여성들의 니즈가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본다. 여성 소비자 계층 중 본 연구의 타겟과 일치하는 콘트라섹슈얼의 라이프 스타일을 의생활, 식생활, 여가 소비 생활로 분류하여 분석한다. 셋째, 라벨 디자인에 대하여 연구해 본다. 라벨 디자인의 기본적인 정의 및 특성에 대해 알고,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에 맞춘 라벨 디자인의 사례를 분석하여 본다. 라벨 디자인 방법에는 컬러, 타이포, 분위기, 유머, 미니멀리스트를 이용한 라벨 디자인으로 분류하여 연구한다. 넷째, 연구의 주제인 스타우트 브랜드의 배경과 특징,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아이덴티티 및 광고마케팅 전략 등을 분석한다. 1991년 출시된 이래 2011년까지의 라벨 디자인 변화를 살펴보고 문제점 분석 및 개선 방안을 연구한다. 이 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여성 소비자를 위한 흑맥주 스타우트의 라벨 디자인 컨셉을 구성하고 디자인을 제안, 활용 방안을 연구를 한다. 다양한 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라벨 디자인 사례를 연구하고 컨셉에 맞는 로고타입, 컬러, 일러스트레이션, 레이아웃 등을 이용한 라벨 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찾는데 기초를 두고 연구할 것이다. 제품 패키지의 라벨 디자인을 통해 소비자들은 정보를 얻고 브랜드에 대한 이미지를 떠올리게 되며 브랜드 충성도가 높아진다. 이는 제품과 브랜드에 대한 신뢰성을 갖게 만들고 가장 중요한 구매 결정으로 이어진다. 국내 및 세계 맥주 시장과 여성 소비자, 디자인 방법, 스타우트 브랜드의 선행연구를 통해 국내 흑맥주 시장에 여성 소비자라는 새로운 타겟층을 끌어들일 수 있을 것이다. 여성 소비자를 위한 라벨 디자인을 통해 스타우트 브랜드의 시각적 이미지 제고를 기대해본다. Beer is the most favorite alcohol beverage consumed by Korean consumers, and it takes a big portion of market share in alcohol beverage market. In the 1990s there were only few kinds of beer brands, thus consumers’ choice was limited. But, as internet users are GDP per capita increase, more and more people began to enjoy a decent life style. Wider foreign beer brands were enjoyed by those people. As such, Korean beer market emerged as a ““Consumer Market”” from ““Producer Market””. However there are still a limited of choices for beer brands compared to other countries. Currently, there are over 2000 foreign beer brands available in Korea, while there were only 20 such in year 2000. Today we can easily see foreign beer specialty stores in Korea. Korean beer companys are only two brands which compete with foreign companys all around globe therefore consumers can experience wide variety of beers in the market. as a result, consumers became to prefer foreign brands over domestic ones, mostly because of their superior package design and better taste. In 2011, variety of spending patterns in modern society made a huge difference in consumers’ mind sets. There are various innovative ideas and forms of consumption to select better items in the rapidly changing markets. In these consuming markets, women have emerged as powerful consumers. Women take the lead in the most part of spending and as the number of women entering the workforce increases, women’s position in alcohol beverages markets is growing. However, in domestic dark beer markets, Hite’s Stout is the only product and recognized as "Men’s Beer" because of its strong image and taste. Producers are try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goods and to meet consumers’ needs. And as part of the strategy to increase sales, producers are enhancing the importance of designs. Label, which is one of components of package designs, is a visual element that greatly influences consumers’ spending decisions. This is a direct way of communication with modern consumers who prefer practical and immediately understandable mess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label designs of dark beers that can appeal to women. We know that main target for Stout, which is the only dark beer product in domestic market, is men in twenties to thirties. By suggesting new label design, we want to attract women consumers in dark beer markets and boost spending by making the best use of low involvement products in domestic market. In this study, first, analyze domestic and international beer markets and examine variety of dark beer brands’ cases. Second, analyze female consumers. Examine how female needs have been changed in terms of the concept or importance of female consumers, women’s alcohol consumption, the environment, and the needs of women in the mainstream consumer market. Analyze contra sexual life style which targets this research in terms of clothing habits, dietary life, and leisure consumption. Third, research label designs. Be familiar with basic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label designs and analyze label design cases which are applied to variety of design methodology. Study method of label design classifying its use of color, typography, atmosphere, humor, and minimalist. Fourth, analyze topic of this research, brand Stout, in conditions of its background, characteristics, identity, and marketing strategy of advertisement. Examine changes in the label design since its launch in 1991 through 2011 and study the problems on analysis and its improvement. Based on the information, form the concept of label designs, suggest designs, and study its usage of Stout Black beer for female consumers. We are going to examine case studies applying the concept of the label design and find a new way of using the conceptof the label design for your logo, color, illustrations, and layout. Product packaging design of the label allows consumers to get their information, reminiscent of the brand, and increase on brand loyalty. It provides credibility to products and brands to create leads to the most important buying decisions. We will be able to attract new target of female consumers in domestic black beer market through leading study of domestic and global beer market, female consumers, design methods and brand Stout. We look forward to improvement on visual image of Stout through label designs for female consumers.

      • 유기적인 통합아이덴티티 시스템 연구 : 63CITY 브랜드아이덴티티를 중심으로

        윤성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정보화된 현대 사회는 기업 및 브랜드 조직의 네트워크화와 유연화를 촉진시키고 있다. 또한 경쟁이 글로벌화 되면서, 기업들은 모순되게도 권한의 분산과 집중, 조직간 결속과 개별적 자율성의 획득이라는 모순된 과제를 동시에 추구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고 있다. 이에 따라 한 조직의 정체성을 드러내어 소비자와 브랜드간의 커뮤니케이션의 기회를 제공하는 아이덴티티 디자인 역시 조직의 구조변화에 따른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직의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유기적인 통합이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진 열린 체계를 만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변화를 허용하는 가운데 공통적인 시각요소를 유지시킴으로써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러한 유기적인 통합의 원리는 디자인 분야에서 시각적 일관성과 변형의 효과를 동시에 불러일으키기 위하여 활용되어져 왔다. 이처럼 변형과 통합이라는 상반된 효과를 동시에 거두기 위한 유기적인 통합의 표현원리를 기업의 아이덴티티 시스템에 적용하여 하나의 시스템 안에서 통일감과 유연성을 동시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면, 변화하는 환경에 유연성 있게 대처할 수 있는 효율적인 아이덴티티 시스템으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첫째, 유기적인 통합의 개념과 시각화 원리를 파악한다. 유기적인 통합의 원리가 적용한 기존의 그래픽 디자인의 사례를 통해 유기적인 통합이미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도모하였다. 둘째, 먼저 유기적인 통합이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도입된 배경을 파악하였다. 다음은 시스템 안에서 이러한 원리가 적용된 심벌체계의 사례를 통해 표현 기법의 측면에서 유형을 분석, 제작 원리와 특징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유기적인 통합아이덴티티시스템의 적용대상 선정 및 표현연구를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적합한 적용대상을 탐구하여 유기적인 통합아이덴티티 시스템의 새로운 표현개발을 위한 사례연구 작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연구를 위하여 선정된 대상은 63CITY브랜드로, 유기적인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연구하기에 적합한 복합적인 구조를 가진 관광브랜드이다. 조직 구조가 긴밀한 네트워킹시스템으로 변화를 이루고 있으며, 사업의 특성상 하위브랜드의 전문성과 독자성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증대시킬 목적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기적인 통합아이덴티티의 적용이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선정된 대상의 종합적인 분석을 통해 현재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시스템이 최근 기업의 조직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아이덴티티 시스템의 일관성과 유연성이 확보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63CITY의 변화하는 조직구조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각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시각커뮤니케이션의 방편으로 일관성과 변형가능성을 동시에 갖춘 유기적인 통합 아이덴티티 시스템의 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연구과정은 유기적인 통합아이덴티티 시스템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적용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유기적인 통합아이덴티티 시스템이 모든 상황에 알맞은 표현방식은 아니지만, 시스템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통해 적합한 대상에 적절한 표현방식으로 완성된다면, 여타의 시스템에서 얻을 수 없었던 융통성과 일관성의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로써 유연성과 결속력이 동시에 요구되어지는 현대 기업조직의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이끌어갈 심벌디자인 체계의 한 양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as today is accelerating the growth of needs for the societal networks and flexibility. As the competition gets globalized due to globalization, companies are paradoxically pursuing both assimilate and heterogeneity. In other words, the companies need to instantaneously pursue the paradoxical subjects, such as concentration and dispersion of authority and unity and self-control of organizations. Therefore, the identity design, which provides communications between brands and customers, also needs strategic communication that can show the self-identity of firms. This thesis is about the method to integrate the identity systems of a society. Organic Integration means to establish an open system with constant direction. This can be achieved by having both similarity and distinction, integrated elements and diverse elements in other words, at the same time. If it is possible to find both Consistency and flexibility in one system by applying the effective expressing principle, there should be a chance to form an identity system with vital power and continuous sustainability. The present research has been done in below process. First, understand the concept of Organic Integration and the principle of Visualization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the instances in the fields of visual art. Second, analyze the principles and the characteristics by analyzing the collected visual instances, such as symbol marks that have achieved organic integration in the systems. Basedon the analysis, candidates for applying the Organic Integrated Identity system has been sorted. Lastly, select the right candidate to develop the system. It is expected to understand the Organic Integration Identity system and apply the system in the real business world. Organic Integration Identity system may not be the answer for all expression methods. However, if it is applied to the right target with correct understanding, it should provide the integrity and intimacy that could not be achieved with any other previous systems. Therefore, it may be positioned as an effective aspect of symbol mark design to achieve better communication in the present corporate systems where the integrity and flexibility are instantaneously required.

      • 게슈탈트 형태심리를 활용한 시각적 유머 표현연구

        박혜원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쉽게 대중을 이해시키고 다가갈 수 있게 하기 위한 수단개념으로 유머활용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시각적 유머는 의도된 조작으로 인간의 감성을 자극함으로서 보는 이들이 별다른 부담감 없이 친근함과 즐거움을 느끼게 한다. 그래서 본인은 보는 이들이 친근하고 재미있는 유머를 느낄 수 있게 하기 위하여 형태에 시각적 유머요소를 넣어 쉽고 재미있게 받아들일 수 있도록 일러스트레이션으로 표현하는데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빠르게 쏟아져 나오는 정보들의 시대에 일러스트레이터들은 대중에게 본인의 의도와 메시지를 확실하게 전달해야하고 또 무수히 많은 시각이미지들 중에 자신의 정보를 선택하도록 좋은 아이디어와 효율적인 방법으로 표현하여야 한다. 우리가 어떠한 시각적 대상을 보고 어떤 방법으로 시각적 유머를 지각하는 가에 대해 좀 더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면 시각적 유머를 표현하고 대중들과 공감하는데 있어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본 논문은 서로 각기 다른 환경에서 살고 있는 대중과 작가가 서로 공감하고 재미를 느끼는데 의미를 두고 시각적 유머를 어떻게 지각 하는가 에 대한 논리적인 부분을 게슈탈트 형태심리학을 활용해 재미있고 다양하게 표현하였다. 최근 일러스트레이션의 수요가 증가하고 노출매체가 다양화 되면서 대중들의 관심과 수준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람자들의 시선을 모을 수 있는 쉽고 재미있는 일러스트레이션 제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단순히 반짝이는 아이디어만이 아닌 게슈탈트의 형태심리학 원리에 기반을 두고 논리적으로 표현하려는 데 목적을 두고 보이는 것 이상을 상상하여 볼 수 있는 가능성을 기대해 보려 한다. The use of humor as a tool to better understand and empathize the public is very important in communications. In particular, visual humor stimulates the human's emotion through intentional manipulation, enabling the audience or the viewer to feel familiarity and joy without any reservation.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visuals in the form of illustrations than enable the audience to easily and light-heartedly accept elements visual cues in humor. In this age of information, illustrations must correctly deliver one's intention and message to the public, as well as contain good ideas and expressed in an efficient manner so that it can be selected amongst a flood visual images. If we can logically explain how we perceive visual humor when looking at a visual object, we would be able to effectively express visual humor. This study looks into Gestalt psychology that explains how one perceives visual humor in a logical manner to analyze how individuals with different backgrounds can share the same humor code, as well as illustrations in the form of shapes. Recently, as the demand for illustrations increase and media forms diversify, the public interest and standard is increasing exponentially. The basis of this thesis is Gestalt psychology that goes beyond simple wit or bright ideas, in order to understand the creative process of humorous illustrations that can be universally understood that can easily grab the public's attention.

      • 본성적 실현성향으로의 생명력 표현 연구 : Carl Rogers의 이론을 바탕으로

        조유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사람은 많은 가능성을 가진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주변 환경이나 스스로의 관점에 따라서 자신에 대한 가치를 다르게 느끼기도 한다. 현대 사회는 사람의 가치를 눈에 보이는 물질적인 것이나 능력으로 판단하는 경향이 있으며, 또한 20세기 동안 심리학자들은 프로이트(Sigmund Freud)등의 영향으로 사람 마음의 병리적인 면에만 몰입한 경향이 있다. 물론 인간 본성에는 어두운 면도 있고 프로이트와 매슬로 모두 인간 본성의 이중성을 인식했지만 그것을 인식하는 태도는 달랐다. 사람에게는 어두운 면과 밝은 면이 있지만, 그것을 바라보는 태도에 따라 마음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달라진다. 사람은 서로를 바라보는 사회 속에서 살아가기 때문에 서로를 대하고 평가하는 태도에 영향을 받는다. 보이는 것이 모두 나쁜 것은 아니지만 사람의 가치를 눈에 보이는 것으로 판단하는 관점이 강한 사회 속에서 살아가다보면 사람 안에 있는 소중한 가치들을 보지 못하고 동시에 사람 안에서 잊혀져갈 수도 있는 것이다. 긍정 심리학의 마틴 셀리그만(Martin E. P. Seligman)은 ‘완전한 행복’이란 책에서 행복해지려면 행복에 대한 시각부터 교정하라고 조언하는데, 일시적인 가치가 아닌 우리 안에 있는 진정한 가치들에 집중할 때 우리는 힘을 얻는다는 것이다. 본인의 작업은 사람에겐 타고난 고유한 가치가 있으며, 그 타고난 가치를 유지하고 성장시키는 힘이 존재한다는 생각에서 시작되었다. 로저스(Rogers)는 사람에게는 고유한 모습이 있으며 또한 그 고유한 자신의 모습을 완성시키는 힘이 존재한다고 하였다. 로저스는 이것을 ‘실현성향(actualizing tendency)’이라 불렀다. 그 힘은 최상의 '인간존재성(human-beingness)'을 향해 나아간다고 했다. 그리고 자기 자신일 수 있도록 허용해 주는 긍정적인 심리적 토양을 제공한다면 사람은 스스로를 치유하고 꽃처럼 피어나는 능력이 있다고 많은 연구결과를 통해 증명했다. 본인은 사람이 고유한 자신의 모습을 아름답게 지켜가고 성장하는 힘을 생명력으로 보고, 사람 안에 존재하는 이 가치있는 힘을 로저스(Rogers)의 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보았다. 작업들은 사람 안의 내재된 생명력을 이론적으로 고찰해보고, 내적 생명력을 주제로 하여 내면적 심상표현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작업을 통해 생명력에 대해 표현하고 이를 통해 우리 안에 존재하는 아름답고 가치있는 힘은 무엇인가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역할을 하기 원했다. 그리고 ‘경이로운 가능성과 심층적 특성을 지닌 존재’인 인간 본성에 대한 더욱 광범위하고 긍정적인 생각을 표현하고 싶었다. 주제를 표현하기 위하여 시각적인 색채 표현 과정에서 대비와 강조를 사용하였고, 사람의 생명력을 비유적으로 표현하였다. 대비 효과에서는 생명력이 나타나는 부분을 유채색으로 표현하였고, 나머지 부분은 무채색에 가까운 색으로 표현하여 그림 전체적으로는 생명력이 강조되도록 표현하였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로저스(Rogers)의 '본성적 실현성향'을 바탕으로 사람 안의 생명력에 대해 알아보고, 사람의 고유한 가치를 나타내는 생명력을 일러스트로 표현하는 데 있다. 이는 본인 자신과 사람의 존재 가치를 재인식하는 과정이었으며 본인이 느끼고 있는 생명력을 일러스트로 표현함으로써 우리 안에 존재하는 진정한 가치와 한 사람의 고유성을 인식하고, 타고난 모습으로 아름답게 성장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힘을 얻기를 기대하는 표현 논문이다. People often downplay or overestimate their own worth depending on their viewpoints or their circumstances without being aware of their full potential. In modern society, most people tend to judge one another by their properties or talents. During the 20th century, psychologists influenced by Sigmund Freud only put emphasis on the pathological dispositions of the human mind. However, people have a similar tendency as mentioned above, but their mind and behaviors differ according to their perspectives or attitudes as Sigmund Freud and Abraham Maslow perceived the dualism of human nature in different ways. Martin E. P. Seligman who works on positive psychology said that people who wanted to feel happy should change their standpoints on happiness in his book named "Authentic Happiness." That is, individuals need to focus on their true worth because most people have recently evaluated others by their looks or possessions that may disappear some day. My illustration was inspired by the idea of Carl Rogers that every person had the power to keep and develop his or her inborn traits. Rogers called it "actualizing tendency." He also thought that the innate power moved toward full "human beingness." The results of his many researches proved that people were able to treat themselves for their psychological scars like flowers if they positively opened their mind as much as they could. Based on the theory of Rogers,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d life force that was the spiritual energy to maintain and develop individual attributes and expressed mental images related to life force. In my illustration, contrast and accent were visually used in the coloring process, and figurative pictures were drawn so as to match the subject. The contrast was shown as the part of the life force and the rest of my illustration was painted with 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s. Consequently, the drawing of life force stood out conspicuously in my illustration. By doing so, I would like to convey broad and positive ideas on human nature that has "the great potential and the innermost characteristics of the mind" as well as to help encourage viewers to think about what their valuable inner pow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life force reflecting the traits of human beings and express it in my illustration on the basis of Rogers' concept of "natural actualizing tendency." Accordingly, my thesis would prompt people to develop their own innate characteristics as they rethink how much the self and humans mean to them and realize their true worth.

      • 엔트로피 법칙의 시각표현 연구 : 디지털미디어 도구와 기초디자인 요소 및 원리를 바탕으로

        윤영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599

        엔트로피(entropy)는 최근 본래의 물리학적 관점 이외의 다양한 방면에서 언급되고 있다. 에너지의 법칙으로 탄생한 엔트로피의 법칙은 근래의 다양한 해석과 함께 인류를 둘러싼 모든 자연환경의 근본 에너지 흐름으로 여겨지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인간 또한 자연의 일부인 만큼 엔트로피의 법칙 안에서 살아가고 있고 이 근본적인 에너지의 흐름 안에서 존재하고 있는 한 엔트로피의 무질서와 인간의 일상에서 오는 여러 가지 혼돈이나 갈등에 의한 무질서가 따로 떨어져서 생각할 수는 없다고 보았다. 이에 엔트로피의 개념을 통해 인간의 삶 속에 복잡하게 펼쳐지는 일상의 모습과 그에 따른 감정의 변화를 표현해 보고자 한다. 인간은 누구나 각자 자신의 삶이 진행되는 과정에 있으며 때로는 혼란스럽고 때로는 평온한 감성을 느끼며 살아가고 있고 매일매일 똑같이 반복되는 것만 같은 일상 속에서도 모든 것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해가고 있다. 오늘 아침의 분주함이어제 아침의 그것과 다르며 오늘의 혼란스러운 감정은 내일의 그것과 다르고 이 모든 것은 어쩌면 철저히 엔트로피의 법칙에 따라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바이다. 이러한 엔트로피의 법칙을 따르고 있는 우리의 삶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적인 측면 역시 이러한 흐름을 따르는 것이 옳다고 판단되었다. 현재의 시각적 표현의 방법적 흐름은 20세기 말에 시작된 새로운 전자기술과 광학기술에 의해 크게 변화되었다. 수작업에 의존했던 기존의 시각적 표현 방식과 달리 컴퓨터에 의한 시각 표현이 가능해지면서 인간은 평면 위에 입체적인 공간을 다양한 원근을 표현하는 원리들에 의해 재현하는 데에 그쳤던 일반적인 시각표현 방식에서 보다 다양한 방법과 형식적인 측면을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컴퓨터에 의한 다양한 디지털미디어의 활용이 그 어느 때보다 현대인의 일상에 깊숙하게 자리 잡은 환경은 시각적 표현에 있어서도 컴퓨터와 디지털미디어의 특성이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고 디지털로 둘러싸인 일상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로 하여금 디지털미디어기반의 시각표현 질서에 익숙해지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디지털미디어의 특성이 반영된 시각표현의 질서를 규정하고 재조명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그를 위해 현대의 컴퓨터기반 그래픽 제작 환경에서 디자인요소의 표현방식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그것으로 인해 확장되고 다양화된 디자인 원리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되었다. 시각적 표현은 그 표현을 위한 미디어의 특성을 그대로 반영하는데 시각적 표현에 있어 질서와 원리를 다루고 있는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의 표현 변화에서 그 특성이 반영된 부분을 찾을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그에 더해 변화된 환경에 의한 미디어기반 디자인의 시각적 표현도 결국 기존의 디자인 요소와 원리에 입각한표현을 다루고 있기 때문에 디자인의 요소와 원리의 활용 방법을 미디어 기반으로 분석해 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라 생각되었다. 이에 미디어 아트의 시각적 표현을 위한 제작도구인 <프로세싱(Processing)1)>의 코드를 기초디자인 요소에 맞춰 분류하였고, 이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 가능한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존의 기초디자인 요소와 원리의구현을 통해 검증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코드의 적절한 혼합 방식을 통해 디자인 원리의 구현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또한 비교적 프로그램 언어에 노출이 적은 시각디자이너들이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코드의 분류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으며, 분류된 코드를 순서대로 적절히 혼합하는 방식을 통해 새로운 미디어 제작환경에서의 디자인구현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추출한 디지털미디어 기반의 시각적 표현 환경에서 주로 활용되고 있는 요소와 원리를 기반으로 하여 엔트로피를 7가지 방식의 작품으로 표현하였다. 이는 현재 살아가고 있는 작은 일상의 변화에서 부터 거스를 수 없이 일어나고 있는 시대의 변화의 흐름에 대한 해답을 엔트로피에서 찾아 지금 현재 연구자가 바라보고 표현할 수 있는 최대한의 방법으로 표현하고자 한 바이다. 본 연구자는 엔트로피의 표현을 위해 디지털미디어 기반의 도구로 프로그래밍을 통한 시각표현을 통해 엔트로피로 바라본 일상을 표현하였는데 여타의 다른 프로그래밍 기반의 제작 도구를 활용하지 못한 제한점이 있었다. 컴퓨터 반의 멀티미디어 제작도구로 가장 널리 알려진 플래시의 액션스크립트와 같은 스크립트도 기본적인 구성은 자바 기반의 프로그래밍과 유사하나 약간의 차이점이 존재하리라 예상되기 때문에 추후 플래시와 같은 다른 프로그래밍 기반의 시각표현 도구로 기초디자인의 요소와 원리를 분석해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그러한 다른 도구를 활용함으로써 시각적으로 같은 주제를 표현하더라도 도구의 차이에 의해 드러나는 다른 특성에 대해 논의해 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엔트로피로 바라보는 일상과 그에 따른 감성에 해석을 문헌조사와 개인적인 일상을 통해 내린 결론을 활용하였는데 이에 대한 간단한 전문가들과의 논의를 거쳐 엔트로피에 대한 다양한 해석을 추가하여 현재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다양한 일상에 대한 표현이 추후 연구되어야 할 과제라 생각한다. Recently the "Entropy" is being mentioned not only in the perspective of Physics but also in many other areas. With various interpretations, the principle of the Entropy which is derived from the principle of Energy is being considered as flow of the basis of all nature environments around mankind. As a researcher, I see the human being is also as a part of the nature that lives within the principle of the Entropy and as long as the man stays within this basis flow of the energy. I can not think separately of the disorders of the Entropy from the confusions or the inner conflicts of the daily lives of mankind. Hence through the concept of the Entropy I'm trying to express the images complicatedly appear in daily lives and changes of one's emotions from it. Everyone is in the process of one's own life and sometimes He/She lives in confusion or in peaceful and warm feelings but even within the daily lives that look the same and repeated, everything keeps changing around the clock. Chaos from this morning is different from yesterday's and the confusing feeling of today will be different tomorrow. I think it might be because everything progress accordingly by the principle of the Entropy. So I conclude that the perspective of the way from the principle of the Entropy for expressing our lives also need to be based on this flow. The methodical flows of current visual presentation has evolved greatly by the electronic technology and optical science since it started in the late 20th century. Not like solely based on the manual way of pre-existed visual presentation which could only show general visual presentation of the dimensional spaces that are recreated on the flat surface by the theories to express various perspectives, since it became possible to show visual presentation by computer a man has been able to become applying various ways and formalities to the presentation. Furthermore characteristics of computer and digital media from the environment with various applications of the digital media by the computer that has become the big part of modern daily lives is directly reflected to the visual presentations as well and for those people who live in the daily lives surrounded by digitals to become accustomed to be in the order of visual presentations that are based on the digital media. Thereupon it needs to regulate and be revive the order of visual presentatio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media is applied. For that matter, the researches about the presentation methods of the design elements in computer-based graphic production environments are needed and the study about design theories that will be extended and diverse by the research also will be needed. Visual presentation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for its own presentation. Because the parts where the characteristics are reflected can be found from the design elements deal with orders and the changes in presentation of principles. In addition, because the visual presentation of media-based design by the changed environments also deal with the presentations that are based on pre-existing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it would be meaningful to analyze the application methods of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in media basis. So <Processing code>, production tools for visual presentation of media art, is categorized with basic design elements and it is properly combined to propose the applicable method. Results from the research through realization of pre-existing basic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showed the realization of the design principles by the proposed methods of properly combined codes is possible. This also could suggest the easier ways to the visual designers who are relatively not used to the programming languages and it will be easier method for design realization in new media production environment through the methods of combining categorized codes in orders. Based on commonly used elements and principles from the created digital media based visual presentations environment with the method, 7 different methods of works are presented. This is the result of the presentation is to show the answer found in the Entropy about small changes from daily lives to the flows of the time and changes that are happening inevitably with the way of utmost in my own point of view at the moment. For the presentation of the Entropy I presented the daily lives by visual presentation with digital media based tools programming but there were restrictions that I could not use of other programming based productions tools. Even though well-known computer-based multimedia productions tools like flash action script's basic composition is similar to JAVA based programming but there are some differences are expected. So later basic design elements and principles analyzation with other programming based visual presentation tools is needed. Also by using other tools even if the same theme is visual presented differences needed to be discussed by the different tools. Also I used the documentary surveys and personal daily life to get the results from the interpretation about of daily lives through the Entropy and sensibility from the daily lives through the Entropy. For this matter, with simple discussions with professionals, various interpretations about the Entropy are added and study about presentations from various daily lives of people who live in modern society are needed.

      • 그래픽 모티프의 활용을 중심으로 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관한 연구 : 한국의 국가이미지를 중심으로

        김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nd the outrageous stream of globalization make people expose to the flood of information with full of visual messages. Due to this tendency, it has come to be an important issue all over the aspects of society how to differentiate the messages and deliver them effectively. The flood of the visual messages demands more differentiated way in the expression of the visual images, and it comes out to be more apparent in the Identity design program that visually illustrates the identity of the target. Identity design is to visually symbolize the interior or exterior characteristics, features, objectives and the ideology of the target corporate, a company or a product. Producing Identity design is very important in that it enables the target to publicize what the target is and form a positive image. As the world becomes the one huge market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global countries have been changed very competitively like between global companies, every country has tried to establish the differentiated national brand identity to fortify the international status of the country and dominate the advantage. Especially, utilizing identity design with applying a symbol, a logo and a graphic motif of what make national brand identity is the core issue to enhance the image of the county. Also it plays an important role to make the public to immediately and easily recognize the image of the country and characteristics of the country -provided service or a product. Developed countries have early adopted Nation brand identity program and they have invested lots of efforts and expenses to visually present their national images. Moreover, this kind of tendency has been more accelerated in the global market environments of the 21st century, where the importance of the visual images has been more increased. Through the experience of hosting the 2002 Korea- Japan world cup, Korea ha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national images and been interested in enhancing the images through Nation brand identity program. However the effectiveness is still regarded incomplete. This thesis is about the research on the producing plan of national brand identity, which is able to give visual amusement through the various applications and to grant unity to national brand while constructively using a graphic motif for brand identity, which has been regarded a minor component with such as a symbol mark and a logo type in brand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suggest representative Korean national brand identity as the more effective strategy of nation brand identity by researching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use of the graphic motif in brand identity and by analyzing the status of Korea national brand identity. Utilizing a graphic motif as developing brand identity design is not always the appropriate way of expression in every situation. However, based on deep understandings of the characteristics on utilizing graphic motif, rightly producing brand identity and using it appropriately enable to acquire implication with affluent meanings, economical efficiency of f modeling, visual amusement and unity that can’t be obtained in the general identity design. Through these efforts, a new phase of effective identity design can be consummated in the modern society wher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nstructing the differentiated image. 현대 사회의 정보화와 글로벌화의 거센 물결 속에서 우리는 시각 메시지로 가득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그로 인해 어떻게 하면 메시지를 차별화하여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가가 사회 전 분야의 중요한 화두로 자리 잡게 되었다 시각 메시지의 범람은 시각 이미지의 표현에 있어서도 보다 차별화된 방법을 요구하게 되었는데 이는 대상의 정체성(正體性, Identity)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하는 아이덴티티 프로그램(Identity Program)의 디자인에 있어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어떤 조직이나 기업, 제품 등의 대상이 가진 내외적 성격이나 특징, 목표, 이념 등을 시각적으로 상징화한 것으로서 이를 제작하는 일은 대상의 존재를 알리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한다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하다. 전 세계가 하나의 거대한 시장으로 변함에 따라 국제사회에서 국가 간의 관계도 기업에서와 같은 경쟁구도를 띄게 되면서 각 국가들은 자국의 국제적 위치를 확고히 하고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다른 국가들과 차별화 된 국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확립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국가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성하는 심벌과 로고, 그래픽 모티프를 활용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사용은 국가이미지 제고의 핵심으로서, 국가의 이미지나 국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또는 제품의 특성을 일반대중에게 즉각적이고 손쉽게 인식시키는 역할을 한다. 선진국들은 일찍부터 국가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자국의 국가 이미지를 시각적으로 알리는데 앞 다투어 많은 노력과 비용을 투자해 왔으며, 이런 추세는 시각 이미지의 중요성이 더욱 중시되는 21세기 글로벌 시장 환경에서 훨씬 가속화되고 있다. 지난 2002년 한일 월드컵 개최를 계기로 우리나라도 국가이미지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국가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로그램을 통한 이미지 제고에 관심을 두게 되었지만, 그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여겨진다. 본 논문은 그간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로그램에서 심벌마크와 로고타입 등의 부수적 요소로서 인식되었던 그래픽 모티프의 역할을 확장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적극 활용하는 것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국가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전개함으로써 국가브랜드에 통일성을 부여하고 다양한 응용성을 바탕으로 시각적 유희성을 줄 수 있는 국가브랜드 아이덴티티 제작방안에 대한 연구로서 브랜드 아이덴티티에서 나타나는 그래픽 모티프의 활용 현황을 조사하고 우리나라의 국가 브랜드 아이덴티티 현황을 분석하여 보다 효과적인 국가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으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대한민국 국가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전개함에 있어서 그래픽모티프의 활용이 모든 상황에 알맞은 표현방식은 아니다. 그러나 차별화 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이루는데 있어서 그래픽모티프의 활용의 특성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토대로 올바르게 제작되어 적합한 용도로 사용된다면 일반적인 아이덴티티 디자인에서 얻을 수 없었던 풍부한 의미의 함축과 조형 경제성, 시각적 유희와 통일성 등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차별화된 이미지 구축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현대 시대에 효과적인 아이덴티티 디자인의 한 양상으로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 반복적 구성을 통한 시각적 표현연구 : 본인의 여행 작품을 중심으로

        박정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work of art through exploring how the use of repetition creates visual impacts and what significance it has to it. During the postgraduate course I made several trips in and out of Korea, and produced pieces of art work based on the impressive sights or images that inspired me throughout the trip. For me, traveling functions as a significant instrument to experience the new world. For artists who are engaged in creative activities, it is their instinct to chase after originalities. Having a new experience at a new place encourages them to keep fresh minds and motivates to approach visualizing the new thoughts into pieces of artwork. In the process of composing the inspiring sights to a picture I have introduced a formative principle which refers to repetition. In this context, repetition implies an ordinary. A Part of the world that I have encountered for the first time is also a slice of an ordinary. The sky above us, the earth we stand on and all the creatures and cultures were not built in a single day. They are the products of history which continues transforming themselves today and tomorrow. Ordinary days are considered as tedious and meaningless repetition but the slight transformation in each day brings a new result as a consequence. This result as a whole certainly has a significant impact as it impresses people in an artistic way. Repetition is one of the basic formative principles that create a visual symmetry. Through experimenting the repetitive composition on a flat surface I have achieved such visual impacts; movements, symmetry, firmness. Repetition creates rhythmwhich could be applied to shake people's emotions. Moreover, its stability is a key element of symmetry. When myriads of objects are composed in a repetitive order they turn out to appear as one firm structure. However, when a single figure is plainly repeated, the picture could appear dull and fails to accomplish any visual expression. To avoid looking monotonous and to give a hint of dynamic to the repetition, I have applied variations in the objects size, and their positions and colors. Various patterns of repetition resulted in diverse visual impacts which then be structured to story telling illustrations. This study will be a starting point to initiate the process of developing my work further, and I will continue to examine the effect of repetition and its visual impactsthrough more journeys around the world. 인간은 삶을 살아가면서 자신이 겪은 소중한 순간을 머릿속에 오랫동안 기억하고 싶어 한다. 특히 아름다웠던 순간이나 경험은 삶의 큰 의미를 부여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하여 사람들은 사진이나 글로서 그 순간을 저장한다. 그리고 이러한 추억을 가끔 돌이켜 봄으로써 자신을 뒤 돌아 보고 행복의 의미를 찾게 된다. 본인에게 있어서 여행의 경험은 새로운 세상과의 만남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일상에서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풍경, 사람, 문화를 만날 때 인생의 큰 변화를 느끼게 되고 이러한 경험 중 아름다웠던 순간은 그림으로 남겨 다른 사람들과 공유하고 싶은 욕구를 느끼게 한다. 이에 본인은 여행에서 있었던 아름다웠던 경험을 작품화 하였다.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 눈으로 본 것을 그대로 옮기는데 그치지 않고 여행에서 겪은 경험 중 인상 깊게 본 대상을 개체화 하여 반복적으로 구성하였다. 반복이라는 성질은 보편적인 자연 질서로서 안정적이며 조화로움을 표현하는데 기본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본인은 여행에서 인상 깊게 보았던 대상을 화면 가득 반복적으로 표현하여 조화로움을 추구함과 동시 반복에 의미를 부여하였는데, 똑같은 개체가 반복되면 연속성이 생기고 하나의 큰 리듬으로 보여 진다. 이러한 리듬은 반복되어진 개체의 일상이 모여 만들어진 삶의 리듬을 의미한다. 리듬은 반복하는 방법에 따라 여러 가지 유형으로 표현될 수 있고 그 시각적 효과가 달라 이야기를 전달해야 하는 일러스트레이션에 반복적 구성이 한 형식이 될 가능성을 찾게 되었다. 본론에서는 본인의 작품 소재인 여행의 동기와 의미에 대해 서술하였고, 여행을 다니며 작업을 하였던 작가를 분석함으로써 본인의 작품과 비교하였다. 또 본인작품에서 나타난 반복적 구성에 대한 고찰로, 반복의 개념과 특징을 문헌자료를 통해 알아보고 선행적으로 반복을 사용한 작가를 분석하여 반복이 주는 시각적 조형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러한 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본인의 작품에서 나타난 반복의 의미와 시각적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시각적 효과는 본인의 연구작을 통하여 분석하고, 작품에서 반복을 사용한 방법에 따라 유형별로 분류하여 각각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실제 제작된 본인의 작품을 통하여 여행 일러스트레이션에서 반복적 구성이 어떻게 구현 되었고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지금까지 작품의 표현형식과 의미에 대해 이론적으로 정리하여 지난 작업을 성찰하고 더 발전된 작업을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