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용 영역 및 참여 수준 분석

        권석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effective participation in school decision-making. The study analyze the zone of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hool decision-making and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zone of accept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school decision-making? Second, what is the participa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hool decision-making? Third, what is the participation level according to the zone of accept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192 teachers from national and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surveyed and the zone of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level of each decision-making content was measured and compared. The zone of acceptance of school decision-making was analyzed based on teachers' degree of relevance and expertise of each content. The participation level was analyzed based on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school decision-making, expression of ideas or opinions, and degree of influence at decision-making.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overall response, the degree of expertise of teachers in school decision-making varies. However, the degree of relevant was high in most decision-making contents. In addition, most school decision-making contents are located at out or marginal(high relevance) of the zone of acceptance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eachers' participation. Meanwhile, the degree of relevant and expertise depending on the experience as a head teachers or career were different. The relevance and expertise of teachers who had experience as a head teacher or high career was high in almost all decision-making contents, and most school decision-making contents were found to be located out of the zone of acceptance. On the other hand, the relevance and expertise of teachers who without experience as a head teacher or less career experience were varied. And the zone of acceptance was also varied out, in or marginal(high relevance)of the zone of acceptance. Second, the degree of opportunity, expression, and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hool decision-making has decreased in the order of opportunity, expression, influence. And these tendency made four types of participation level: the type which not even given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the type which only given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the type which the degree of opportunity and expression high, the type which all degree was met. Meanwhile, teachers had experience as a head teacher or high career showed the highest participation level in almost all school decision-making contents. On the other hand, participation level of teachers without experience as a head teacher or less career experience were varied. Third, by comparing the zone of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level in school decision-making,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 participation was being made in accordance with the zone of acceptance in some decision-making contents.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ther decision-making contents were located out or marginal(high relevance) of the zone of acceptance, but the participation level was not made according to the zone of acceptance.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olicy support is needed to activate all teachers' expression and influence go beyond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which was centered o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From the analysis results, participation level in school decision-making appeared in four types: ‘Arbitrary decision-making’ in which even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are not given to most teachers, ‘Formal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in which participation opportunities are only given, but most teachers are not(or unable to) express their opinions, ‘Suggesting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in which opinions or ideas was expressed by teachers, but have not influence on final decision-making, ‘Fully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in which all of degree was met. These results mean that in order to activate all teachers' participation in school decision-making, directions to increasing the degree of teachers' expression and influence also need to be explored with opportunity for participation. Second, by subdividing the size or scope of school decision-making contents into the small groups, teachers' access to school decision-making should be improved. In the results of the zone of acceptance,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decision-making were more focused on the small groups like same grade year rather than every school level. This means that teachers can feel a sense of distance from decision-making contents made for every school level. In that sense, in order to induce teachers' participation, the size or scope of decision-making is necessary to subdivide into the small groups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more closel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eachers. Third, school needs to establish institutional arrangements or change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o allow school decision-making to be delegated to small groups, in other words on a team level. In the results of participation level, almost all school decision-making had been delegated to teachers who had experience as a head teacher or high career. This means that even if decision-making contents ar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small groups, its powers or responsibilities can be delegated to a specific few and other arbitrary decision-making can be caused. In other words, in order to have effective teachers' participation, the school decision-making must be delegated to small groups, in other words on a team level like the same grade year or same subject rather than a specific few teachers. 본 연구는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용 영역 및 참여 수준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학교 의사결정 참여를 위한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용 영역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참여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의사결정 수용 영역에 따라 참여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국·공립 초등학교 교사 192명을 대상으로 학교 의사결정의 내용별 수용 영역과 참여 수준을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학교 의사결정의 수용 영역은 내용별 관련성 및 전문성 정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참여 수준은 의사결정 내용별 참여 기회, 의견 표현, 영향력 정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확인한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 수준에서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 정도는 다양하였지만, 관련성 정도는 대부분의 의사결정 내용에서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학교 의사결정 내용의 대부분은 구성원의 의사결정 참여 확대가 필요한 수용 영역 외부 혹은 경계(관련성)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직교사 경험이 있는 교사 혹은 고경력 교사의 관련성 및 전문성 정도는 거의 모든 의사결정 내용에서 높았고, 이로 인해 의사결정 내용의 대부분이 수용 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직교사 경험이 없는 교사 혹은 중·저경력 교사의 관련성 및 전문성 정도는 다양하였고, 수용 영역 또한 외부 및 내부, 경계(관련성)에 다양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참여 기회·의견 표현·영향력 정도는 참여 기회·의견 표현·영향력 순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참여 수준이 참여 기회부터 주어지지 않는 유형, 참여 기회만 주어지는 유형, 참여 기회 및 의견 표현 정도가 높은 유형, 세 가지 정도가 모두 충족되는 유형 등 네 가지로 주로 나타났다. 한편, 보직교사 경험이 있는 교사 혹은 고경력 교사일수록 거의 모든 의사결정 내용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참여를 보였지만, 보직교사 경험이 없는 교사 혹은 중·저경력 교사의 참여 수준은 그 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의사결정에 대한 수용 영역 및 참여 수준 비교를 통해, 일부 의사결정 내용에 있어서 수용 영역에 맞게 교사 참여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반면, 그 외 의사결정 내용은 수용 영역 외부 혹은 경계(관련성)에 위치하였지만, 참여 수준은 수용 영역에 맞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존의 참여 기회 제공이 중심이었던 의사결정 참여를 넘어서서 교사들의 의견 표현 및 영향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분석 결과에서, 학교 의사결정 속 교사 참여 수준은 참여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독단적 의사결정’ 뿐만 아니라, 참여 기회가 주어질 뿐 그 속에서 의견 표현이 이루어지지 않은(혹은 못하는) ‘형식적 의사결정 참여’, 참여 기회 속에서 의견이나 생각이 직접적으로 표현되지만, 최종적인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제안형 의사결정 참여’의 모습으로도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즉, 학교 의사결정 속 교사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교사들의 의견 표현 및 영향력 정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 또한 탐색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 의사결정 내용의 크기 및 범위를 소조직 차원으로 세분화함으로써 교사들의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본 연구는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수용 영역 결과를 통해, 교사들의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이 학교 전체 차원보다 주로 동학년, 동교과와 같은 소조직 차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사들이 학교 전체 차원으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 내용에 대해서는 거리감을 느낄 수 있음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교사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의사결정 내용의 크기 및 범위를 소조직 차원으로 세분화하여 보다 가깝게 인식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의사결정 내용이 소조직, 즉 팀(team) 수준에 위임될 수 있도록 하는 학교 차원의 제도적 장치 마련 혹은 학교 조직문화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참여 수준 결과를 통해, 거의 모든 학교 의사결정이 보직교사 혹은 고경력 교사에게 위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의사결정 내용을 소조직 수준에 맞게 세분화하더라도, 특정 소수에게만 그 권한 및 책임이 위임됨으로써 또 다른 독단적인 의사결정을 초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가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 의사결정이 동학년 및 동교과와 같은 소조직, 즉 팀 수준에 위임될 필요가 있다.

      • 팀빌딩을 적용한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 효과 분석

        조하림 경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an attempt to help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of students that may be needed in school and workplace, this study organized and implemented a program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using team building (hereinafter called the Program) that might increase their active participation. Its purpose was to suggest a program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that can be used in other learning environments by analyzing the effect of this program. To this end, the study formulated research questions as below. First, does the Program have the effect on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 does the Program have the effect on emotional solidarity? Third, does the Program have the effect on cooperation? Fourth, does the Program have the effect on mediation? Fifth, does the Program have the effect on leadership? Sixth, does the Program have the effect on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 For this, the study took samples from freshmen of D University located at Busan and selected 30 students each for the test group and control group. To measure the effect of the program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it conducted the Program six sessions with 60 minutes each once a week. The used research tool was the one to diagnose interpersonal competence by Seong Tae-jae et al. (2007). The study conducted pre and post tests for collection of data, and conducted independent t-test, reliability analysis and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for data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th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had major findings as below. Firstly, the program to improve interpersonal competence using team building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Secondly, the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solidarity, cooperation, mediation and leadership - subdomain of stud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Its effect on understanding of organization, however, turned out statistically insignificant. 본 연구는 학교 및 직장생활에서 필요한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증진시킬 수 있는 팀빌딩을 적용한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실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 대학생의 다른 수업 장면에서도 활용 가능한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팀빌딩을 적용한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대인관계능력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팀빌딩을 적용한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정서적 유대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팀빌딩을 적용한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협력에 효과가 있는가? 넷째, 팀빌딩을 적용한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중재에 효과가 있는가? 다섯째, 팀빌딩을 적용한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리더십에 효과가 있는가? 여섯째, 팀빌딩을 적용한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조직 이해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해 표본은 부산시에 위치한 D대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험집단 30명, 통제집단 30명을 선정하여 구성하였다.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 효과 측정을 위해 팀빌딩을 적용한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을 매주 1회, 60분씩 6회차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성태제 외(2007)의 대인관계능력 진단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해 사전, 사후 검사를 하였으며, 자료 분석과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 신뢰도 검증, 반복 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빌딩을 적용한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둘째, 팀빌딩을 적용한 대인관계능력 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능력 하위영역인 정서적 유대, 협력, 중재,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조직 이해에 대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 학년 진급에 따른 초등돌봄교실 이탈 경험에 대한 학부모 사례연구

        황인규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모들이 자녀 학년 진급에 따라 초등돌봄교실 참여에서 이탈하는 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탐색하는 데 있다. 더불어 이탈 이후 학부모들이 자녀 방과후 공백에 대응하는 방안을 분석하여, 자녀 돌봄과 교육의 측면에서 초등돌봄교실에 학부모들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돌봄교실 참여 이탈 이전까지 학부모는 어떤 경험을 하는가? 둘째, 초등돌봄교실 참여 이탈을 결정하는 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돌봄교실 참여 이탈 후, 학부모는 자녀 돌봄에 어떻게 대응하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초등돌봄교실 참여에서 이탈한 학부모를 대상으로 질적 사례 연구의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사례는 연구 과정에서의 라포 형성이 쉽고 고학년 돌봄을 제공하는 서울시 강남구 내 S 초등학교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초등돌봄교실 참여에서 이탈한 5, 6학년 맞벌이 가정의 학부모 7명을 선정하여, 반구조화된 면담 기법을 활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부모들은 자녀의 학년 진급에 따른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는 돌봄교실 서비스에 부정적 경험을 하였다. 학부모들은 자녀의 돌봄 공백이 해소된 점에서는 긍정적인 경험을 한다. 하지만 초등돌봄교실 운영과 관련하여 자녀의 변화에 맞춰 초등돌봄교실 서비스를 개선하지 않는 모습에 부정적 경험을 한다. ‘반 편성’, ‘겸용교실 운영’, ‘간식 운영’, ‘특별 프로그램 운영’ 측면에서 학부모들은 개선되는 서비스를 요구하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아 부정적 경험을 하게 된다. 둘째, 학부모들은 참여 지속에 대한 의문을 형성하고, 참여 이탈의 계기로 발전시켜 참여에서 이탈한다. 학부모들은 경험한 부정적 경험들이 개선되지 않으면서 ‘정체된 초등돌봄교실’로 인식하고 자녀가 느낀 ‘학생의 실망감’을 간접적으로 체험하면서 참여 지속에 대한 의문을 형성한다. 이러한 의문은 이탈의 계기가 형성되는 데 일정 부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결국 학부모들은 자녀 학년의 진급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 ‘자녀의 마음에 공감’하려는 의도, ‘이점 없는 돌봄 교실’이라는 인식, ‘정신적 소진’을 계기로 참여에서 이탈하게 된다. 셋째, 학부모들은 초등돌봄교실 참여 이탈 이후, ‘돌봄의 영역 내에서의 대응’과 ‘돌봄 영역에서의 완전한 이탈’의 측면에서 자녀의 방과후 공백에 대응하였다. 돌봄의 영역 내에서의 대응은 학년이 진급하더라도 자녀의 돌봄이 필요하다는 관점으로 자녀를 돌보기 위한 목적으로 ‘친인척 돌봄’, ‘사교육’, ‘일의 감소’를 통해 방과후 공백에 대응한다. ‘돌봄 영역에서의 완전한 이탈’을 추구하는 학부모들은 학년의 진급에 따라 자녀에게 돌봄은 더 이상 필요가 없다는 입장이다. 돌봄은 저학년 때 잠시 들러가는 것이고, 학년이 진급하면서 교육의 측면이 증가되길 원한다. 학부모들은 이러한 교육에 대한 강조를 ‘학력 증진’과 일치시키면서, 그것을 해결할 유력한 대안으로 ‘사교육’을 선택하여 대응한다. 학부모들은 자녀의 학년 진급에 따라 변화한 자녀 돌봄 및 교육에 대한 그들의 요구를 초등돌봄교실이 충족시켜주지 못하기 때문에 이탈하게 된다고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학부모들은 내부적으로 돌봄교실이라는 조직의 성과 하락에 대해 개선의 목소리를 내는 항의(Voice)의 과정보다 비교적 단순한 이탈(Exit)을 선택하게 된다. 참여에서 이탈한 학부모들은 다시 발생하는 자녀 돌봄 공백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선택했는데, ‘돌봄 영역 내에서의 대응’과 ‘돌봄 영역에서의 완전한 이탈’로 나뉘어 대응한다. ‘돌봄 영역 내에서의 대응’ 측면에서 학부모들은 자녀의 변화에 맞춘 서비스의 제공을 요구하고, 초등돌봄교실은 그 요구에 대응하지 못하는 ‘정체된 조직’ 이라는 의미를 형성한다. 반면 ‘돌봄 영역 에서의 완전한 이탈’ 측면에서 학부모들은 학년이 진급할수록 학력증진이라는 주요 목표로 대변되는 ‘교육’을 요구하면서 현재의 초등돌봄교실은 ‘교육이 빠진 조직’ 이라는 의미를 형성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 및 논의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초등돌봄교실 서비스에 대한 학부모의 부정적 경험을 조직의 성과 하락의 신호로 민감하게 인식해야 한다. 둘째, 초등돌봄교실 서비스 개선 가능성에 대한 유효성을 확보해야 한다 . 셋째, 초등돌봄교실이 학부모의 변화한 자녀 돌봄 및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 성인 직업교육 훈련프로그램 만족도 분석 : 경상남도 지역·산업맞춤형인력 양성사업을 중심으로

        김태우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산업맞춤형인력양성사업의 재직자교육(향상과정)을 수료한 중소기업근로자의 직업능력개발훈련 만족도를 분석하여 향후 지역·산업맞춤형인력양성사업의 개선 및 효율적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지역·산업맞춤형인력양성사업의 향상훈련 수료자의 배경 변인에 따라 직업적 유의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지역·산업맞춤형인력양성사업 향상 훈련 프로그램의 교수자, 교육내용, 시설 및 환경, 행정 서비스 등은 직업적 유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경남인적자원개발위원회 관할 공동훈련센터 중 3곳의 공동훈련센터인 경남대학교, 한국폴리텍Ⅶ대학 창원캠퍼스, 인제대학교의 재직자교육(향상과정)을 수료한 306명의 중소기업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중다회귀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향상훈련 수료자 중 남성이 여성보다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연령별로는 30대와 40대 이상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20대는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학력별로 고졸이하가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대학원 재학 이상이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기술·전문직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사무직이 가장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종사업종별로 보면 자동차 및 트레일러 업종이 가장 높은 만족도를 기록했으며 전자부품 및 통신장비업이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둘째, 교육훈련의 직업적 유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행정서비스 만족도, 시설환경만족도, 교육내용만족도, 교수자만족도 순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산업맞춤형인력양성사업의 재직자 교육(향상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수요자인 중소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행정 체계의 구축이다. 교육수행기관 및 지원기관에서는 교육장 구축, 교보재 준비, 최신의 시설 및 장비 구입, 출결관리 등 훈련에 필요한 제반 행정 서비스를 철저히 준비하여 참여 기업이 교육훈련 과정에서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행정서비스의 구축과 실현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향상교육훈련 시 시설 및 장비의 최신화가 요구된다. 중소.중견.강소기업의 생명력은 기술력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노후화된 교육 장비 및 시설에 대해서는 개보수를 실시하며 최신의 장비와 기업 현장에 맞는 시설 구비에 힘을 써야할 것이다. 물론 이러한 시설 장비의 최신화는 훈련센터의 시장조사와 의지뿐만 아니라 실제 예산의 승인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있는 고용노동부 및 한국산업인력공단, 지역인적자원개발위원회와 긴밀한 협조를 통하여 추진해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산업맞춤형인력양성사업의 재직자 교육의 만족도 및 효과성을 높이고 검증하기 위해 각 공동훈련센터 특성에 맞는 개별적 평가모형이 개발되어야 한다. 공동훈련센터마다 지역의 산업별 특성을 고려하여 훈련과정을 편성하고 진행한다. 따라서 모든 훈련센터에 일괄적인 평가모형을 통한 평가보다는 주요 훈련 직종 및 산업에 맞는 평가모형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satisfaction of small and medium enterprise workers who completed worker education(improvement process) program for local and industry specific manpower training business and make base data to improve future local and industry specific manpower training business and to operate it effectively. The inquiries for study are as followed: First, does the total satisfaction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statistically in accordance with the background factor of workers who completed improvement process in local and industry specific manpower training business? Second, does the instructor, education contents, facilities and environment, or administrative service have effect significantly different on professional significance statistically? This study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306 small and medium enterprise workers who completed worker education(improvement process) program in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Campus Of Korea Polytechnic VII, and Inje University where is joint training center under the authority of Gyeongnam Human Resource Development Committee.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survey result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male workers showed more satisfaction than female workers and workers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Workers in their twenties answered the lowest satisfaction. Workers with less high school education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and workers with graduate school education showed the lowest satisfaction. Technical workers answered the highest satisfaction, office workers showed the lowest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result by industrial classification, automobile and trailer workers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and electronic components and communications equipment field workers showed the lowest satisfaction. Second, satisfaction factors which affect professional significance of education training were listed in followed order: administrative service, facilities and environment, education contents, instructor. Based on the result, the suggestions of study are as followed: First, the most important point of worker education(improvement progress) in local and industry specific manpower training business is establishment of administrative system that can induce small and medium enterprise which is a consumer to the program actively. Establishment of administrative service and realization is needed to eliminate inconveniences during the education training process. Therefore, education executing and support organizations should prepare infra and administrative service which is needed for training such as establishment of education place, training aids preparation, modern facilities and equipment purchasing, attendance management. Second, the updated facilities and equipments are needed for improvement education training. The core of small, medium, and small hidden enterprise is technical skills. Deterioration training equipments and facilities should be renovated and the latest and fitted equipments should be equipped. To solve this problem, strong will and market research of training center and close cooperation among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Regional Human Resource Development are needed. Third, development of individual evaluation model which is customized each joint training center is needed to rais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worker education in local and industry specific manpower training business. Each joint training center should organize and progress training program to consider local industry character. Thus, evaluation model to fit major training jobs and industries is more needed than evaluation through same evaluation model.

      • 중학교 교사의 리더십 특성에 대한 자기인식

        황두용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elf-perception of the leadership characteristics of middle school teachers. Two research questions that were raised in the study are: 1. Is there any measurable difference in the self-perception of teacher leadership by leadership domains(instructional guidance, life guidance, classroom management, educational activities with colleagues, administrative chores, parental relations) of background variables on teachers? 2. Is there any measurable difference in the self-perception of teacher leadership by leadership attributes(goal-orientation, communality, task initiative, professionalism) and of background variables(gender, age, academic qualifications, the scale of school, position, teacher’s career, being the class teacher or not) on teachers?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teachers working at 13 middle schools located in Changwon City, South Gyeongnam Province and a total of 27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level of self-perception of the leadership according to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test and F-test, Scheffe’s test was executed by SPSSWIN 21.0.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leadership domains, life guidance marked highest and educational activities with colleagues marked lowest. In instructional guidance,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cademic qualifications, and the scale of school. In life guidance,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ge, the scale of school, teacher’s career, and being the class teacher or not. In classroom management,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the scale of school, and being the class teacher or not. In educational activities with colleague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according to the scale of school. In administrative chore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ale of school, position, and teacher’s career. In parental relations,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cale of school, and being the class teacher or not. Second, of all the leadership attributes, the self-perception of the class teachers has been observed higher than teachers not in charge of a class. Third, in terms of the goal-orientation, instructional guidance marked highest and educational activities with colleagues marked lowest. When teachers are older and they are in middle-scale school(11-20 class) and small-scale school(less than 10 class), they indicate higher perception regarding leadership. Fourth, in terms of communality, life guidance marked highest and instructional guidance marked lowest. Teachers’ leadership perception has been observed higher in 35-49 and 50-62 years of age than in 25-34 years of age. The leadership perception marked highest at middle-scale school(11-20 class). Fifth, in terms of task initiative, life guidance marked highest and educational activities with colleagues marked lowest. When teachers are older, they indicate greater perception regarding leadership. Their leadership perception has been observed lower in 35-49 and 50-62 years of age than in 25-34 years of age. The leadership perception marked lowest at less than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Sixth, in terms of professionalism, parental relations marked highest and educational activities with colleagues marked lowest. When teachers are older, they indicate higher self-perception regarding leadership. Their leadership perception has been observed high in middle-scale school(11-20 class), small-scale school(less than 10 class), and large-scale school(more than 20class) in turn. Leadership perception marked lowest at less than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가 리더십을 발휘하는 영역에 따라 리더십 속성이 어떠한지를 규명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리더십 영역별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라 영역별 리더십 속성들의 수준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상남도 창원시 소재 중학교 교사를 임의표집하여 13개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277부의 자료는 SPSSWIN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밝혀진 주요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역별로는 생활지도영역에서 리더십의 자기인식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교육활동영역에서 자기인식정도가 가장 낮았다. 수업지도영역에서는 최종학력과 학교규모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활지도영역에서는 연령, 학교규모별, 교직경력, 담임여부에 따라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급운영영역에서는 성별과 학교규모별, 담임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활동영역에서는 학교규모별에서만 통계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행정업무영역에서는 학교규모별, 직위별, 교직경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학부모관계영역에서는 학교규모와 담임여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든 속성에서 담임교사는 비담임교사에 비해 리더십의 자기인식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목표지향성에서는 학급운영영역에서 리더십의 자기인식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교육활동영역에서 자기인식정도가 가장 낮았다. 배경변인별로 살펴보면, 연령이 높을수록 교사가 발휘하는 리더십의 자기인식정도가 높았으며, 학급규모별에서는 11-20학급과 10학급이하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20학급이상에 근무하는 교사보다 리더십의 자기인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동체성에서는 생활지도영역에서 리더십의 자기인식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수업지도영역에서 자기인식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배경변인별로는 연령으로는 35-49세와 50-62세의 연령의 교사가 25-34세의 교사보다 리더십의 자기인식정도가 높았으며, 학교규모별에서는 11-20학급에서 근무하는 교사가 리더십의 자기인식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과업주도성에서는 생활지도영역에서 리더십의 자기인식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교육활동영역에서 자기인식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배경변인별로는 연령이 높을수록 교사가 발휘하는 리더십의 자기인식정도가 높았으며, 학교규모별의 20학급이상에서 근무하는 교사와 경력별로는 10년미만의 교사가 발휘하는 리더십의 자기인식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전문성에서는 학부모관계영역에서 리더십의 자기인식정도가 가장 높았으며, 교육활동영역에서 자기인식정도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배경변인별로는 연령이 높을수록 교사가 발휘하는 리더십의 자기인식정도가 높았으며, 학교규모별로는 11-20학급, 10학급이하, 20학급이상의 순으로 교사의 리더십 자기인식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경력별로는 10년미만의 교사가 발휘하는 리더십의 자기인식정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중등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태화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이 중등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학교장의 리더십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라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교사들이 지각한 학교장의 리더십 유형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창원시 중등교사 284명을 대상으로 학교장의 리더십과 직무만족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중학교 10개교, 고등학교 10개교에 근무하는 교사들에게 총 350부의 질문지를 배부하여 290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 불성실하게 응답된 설문지 6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28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교사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리더십과 직무만족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정과 F-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학교장의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리더십은 변혁적 리더십과 거래적 리더십으로 구성하였는데,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요소는 카리스마, 개별적 배려, 지적 자극으로, 거래적 리더십의 하위요소는 상황적 보상, 예외 관리로 구성하였다. 직무만족은 자율성, 발전성, 보상, 동료애, 업무부담, 혁신성, 교직의식 등의 7가지 하위요소로 구성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리더십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교사들은 학교장의 리더십을 평균 3점 이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변혁적 리더십을 거래적 리더십보다 더 크게 인식했다. 하위요소 분석에서는 경력, 직위, 담임여부, 학교급, 학교규모, 설립유형에 따라 리더십 인식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사들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전체 직무만족은 3.31 정도였는데, 동료애와 교직의식을 가장 크게 인식한 반면에 보상을 가장 적게 인식했다.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직무만족 인식에 있어서는 학교급에 따라 인식에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장의 변혁적 · 거래적 리더십이 교사들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면, 학교장의 변혁적 · 거래적 리더십과 그 하위요소에 대한 인식이 강할수록 교사들의 직무만족도 높은 관계가 있었지만 상관관계가 높지는 않았다. 변혁적 · 거래적 리더십과 그 하위요소가 교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은 그렇게 크지는 않았는데, 거래적 리더십이 변혁적 리더십보다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이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을 거래적 리더십보다 더 크게 인식하고 있다. 둘째, 교사들은 교직이라는 직무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고, 동료애와 교직의식을 가장 크게 인식하는 반면에 보상을 가장 적게 인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교사들이 학교장의 변혁적 · 거래적 리더십과 그 하위요소에 대해 크게 인식할수록, 직무만족도가 높아지는데, 그 중 특히 보상에 대한 만족이 높아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o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the secondary school. Study problems set to achieve this purpose are like followings. Firstly, is there difference in the principal's leadership perceived by teachers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Secondly, is there difference i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ir background variables? Thirdly, how much does the type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affect o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o solve these study problems, 284 secondary middle school teachers in Changwon were surveyed about the principal's leadership an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350 questionnaires were given out to 10 middle-school and 10 high-school teachers and 290 ones were received. Then, 6 ones answered insincerely were excepted , and finally 284 ones were used to be analyz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leadership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t-test and F-test were executed. To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principal's leadership o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currence analysis were executed.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s. Firstly, teachers perceived the principal's leadership by greater than 3 points averagely, and di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re than transactional leadership. In sub-factor analysis, ther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career, position, the class teacher or not, the grade of school, the scale of school, and the type of founding. Secondly, teachers perceived job satisfaction by about 3.31 points, and did fellowship and awareness of the teaching profession the most whereas compensation the least Lastly, in the analysis of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f the principal on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greater teachers perceived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heir sub­factors, the higher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became, b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was not so high. The effect of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was not so great, but transactional leadership affected job satisfaction more tha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like followings. Firstly, teachers perceive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ore that transactional leadership. Secondly, teachers are satisfied with their jobs, or teaching and perceive fellowship and awareness of the teaching profession the most while do compensation the least. Lastly, the greater teachers perceive transformational and transactional leadership and their sub­factors, the higher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become.

      • 교원능력개발평가제에 대한 중등 교사들의 인식

        김기회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교원능력개발평제에 대한 중학교 교사들의 평가’에 관한 연구로서 2008년 경상남도 교사 170명을 대상으로 평가의 절차에 따른 목적 및 필요성의 영역, 내용 및 방법, 결과 처리 및 활용 영역에 대한 교사들의 평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에 대한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에 대한 내용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에 대한 방법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에 대한 결과 및 활용에 대한 중등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 밝혀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에 대한 목적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서 교사의 수업 및 학생지도에 관한 전문성을 진단하고 전문성 향상을 지원하는 것에 대해서 평균보다 낮은 보통이하로 나타났고, 공정하고 타당성에 대해서도 공교육의 신뢰성을 높이지 못할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능력개발평가제가 전면적으로 실시되면 교사 상호간에 불신과 경쟁이 심화되어 학교생활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대부분의 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내용에서 교원능력개발평가제와 근무성적평정, 교원성과급을 하나로 통합하는 방안에 대해서는 반대하는 의견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사의 수업지도 외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영역은 학생 생활지도가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 되었다. 셋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방법에서 평가자로서 학생과 학부모가 참여하는 것에 대하여는 학생과 학부모 모두 찬성하지 않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학생이 참여하면 교사의 소신 있는 생활지도가 어려울 것이라고 나타났다. 교원능력개발평가제의 도입을 위해서 가장 좋은 방법은 교사 전문적 능력 신장을 위한 꾸준한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교원능력개발평가제에 대한 결과 및 활용 영역에 대하여는 평가 결과의 공개에 대하여는 본인에게만 공개하여야 한다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능력개발평가는 본인에게 가장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나타났고, 평가 결과 수준이 기준 이하인 교사에 대한 대책으로는 자율연수 지원, 수업 방법 개선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다. 평가 결과의 활용에 대해서는 능력이 부족한 교사의 퇴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라는 부정적인 요소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교사가 수업 및 학생 생활지도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선행되어야 할 조건으로는 교원의 업무 경감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수업시수의 감축이 차 순이었다. This study is about the middle school teachers' evaluation of 'the Teachers' Capacity Developing Evaluation System(TCD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eachers' evaluations about the purpose, necessity, contents, procedures and management of the result and application of TCDES. The question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how did the middle school teachers evaluate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CDES? The results showed that many teachers don't think the system can recognize teachers' unique abilities of teaching and guiding students and support developing the professional capacity. Most teachers thought that with this system in place, there would be distrust and fierce competition among themselves. Second, how did the teachers evaluate the contents of TCDE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teachers were against the plan that unite the system, efficiency and incentive rating. They believe the system must include the role of guiding students along with teaching students a course of study. Third, how did the middle school teachers evaluate the methods of TCDES? All the teachers agreed that there must be constant support to develope teachers' professional capacity. Many parents and students don't want to be appraises because they think that by taking the role of appraisers, teachers won't express their beliefs. Fourth, how did the middle school teachers evaluate the results processing and application of TCDES? Many teachers believed the results should be opened only to the individual teacher. This would help teachers to further develope themselves. There is a general consensus that data collected by the system could be used to dismiss teachers lacking in particular skills. The teachers also proposed that there be a lightening of the 'extra-work‘ load and a reduction of the number of classes to be taught as a pre-condi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CDES.

      • 초등학교 교사의 교원노동조합 가입 결정요인 분석

        박형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교원노동조합 가입 결정요인이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밝히고 결정요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교원노동조합 가입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특성은 무엇인가? 둘째, 교원노동조합 가입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개인적 요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교원노동조합 가입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개인적 요인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교원노조 가입 결정요인들을 교사 개인적 특성을 중심으로 추출하였다. 그리고 전국의 초등학교 교사 285명을 대상으로 교원노동조합 가입 여부와 성별, 나이 등의 인구 통계학적 요인, 직무만족도, 교권 보장에 대한 인식, 정치적 성향, 노조도구성 인식을 측정하였다. 교원노조에 가입하지 않은 교사에 대해서는 얼마나 노동조합에 가입하고 싶은지 가입의향을 조사하였고 가입의향과 독립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노조 가입 여부에 독립변인이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로짓분석)을 활용하였고 노조 가입의향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중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원노조 가입에 ‘교권 보장에 대한 인식’, ‘정치적 성향’, ‘노조도구성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교권 침해가 심하다고 인식할수록, 교원노조가 자신의 교직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거나 기대할수록, 정치 성향이 진보성향에 가까울수록 교원노조에 가입할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독립변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비교했을 때 정치적 성향, 노조도구성 인식, 교권 보장에 대한 인식 순으로 영향력이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원노조 가입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인은 ‘교권 보장에 대한 인식’과 ‘노조도구성 인식’이었다. 이는 교원노조 가입 여부와 마찬가지로 교사들에 대한 교권 침해가 심해질수록, 교원노조가 교사들의 교직 생활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할수록 노조 가입의향이 증가함을 나타낸다. 다만 정치적 성향은 노조 가입 여부의 경우와 다르게 별다른 영향력을 지니지 않았다. 정치적 성향 요인이 제외되는 차이가 있지만 노조도구성 인식 요인의 영향력이 교권 보장 인식 영향력보다 높게 나타나는 점은 동일했다. 셋째, 성별, 연령, 경력, 직급, 결혼 유무와 같이 선행연구에서도 영향력이 잘 드러나지 않거나 각 연구 별로 연구 결과가 상이한 독립변인들은 초등학교 교사의 노조 가입이나 가입의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직무만족도 요인 역시 선행연구들에서는 유의한 독립변인으로 도출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그렇지 못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노조 가입과 가입의향 증가에 ‘교권 보장에 대한 인식’, ‘노조도구성 인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조도구성 인식이 교권 보장 인식보다 노조 가입에 영향을 더 미치는 점, 교권 보장 인식이 지속적으로 감소해왔음에도 노조 가입률이 하락한 점을 바탕으로 짐작했을 때 지속적인 교원노조 가입률의 하락은 교원노조에 대한 교사들의 노조도구성 인식이 하락했기 때문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선 교원노조가 자체적 노력과 적극적 홍보를 통해 스스로가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 생활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둘째, 정치적 성향은 교원노조 가입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그동안 선행연구에서 별로 반영되지 못했던 정치적 성향 역시 중요한 결정요인임을 시사한다. 또한 단순히 진보-보수의 구분이 아니라 시장 자유와 개인 자유의 두 요소로 구분하여 교사의 정치적 성향을 측정하였을 때 교사 개인의 자유·권리를 중요하게 여길수록 노조 가입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세대가 지날수록 초등학교 교사들 역시 국가나 공동체의 발전보다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에 더 가치를 두고 있다. 이와 같은 교사 인식의 변화는 교원노조 가입이나 활동에도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교직 사회와 교원노조는 그 변화를 유심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초등학교 기초학력보장정책 변동 분석

        우지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licy change of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after the covid-19 Pandemic by applying Birkland’s Event Related Policy Change Model.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i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what changes have been made to the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fter the COVID-19 Pandemic?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formation process that influenced changes in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ies after the COVID-19 pandemic?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questions,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using the proposed Basic Education Security Act, publications and press releases of the Education Ministry and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related media reports, and minutes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changes in the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fter the COVID-19 pandemic. The 20th National Assembly's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was proposed in the 21st National Assembly after the pandemic, which could find changes in the definition of terms. In addition, the 21st National Assembly expanded its positive view of the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compared to the opinion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s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also changed some details of the elementary school-level after the COVID-19 pandemic. Second, in the process of changing basic education guarantee policies, COVID-19 has polarized school classes, educational gaps and learning deficits for students, and interest in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ies to reduce this educational gap has grown. Advocacy groups emphasized the responsibility of public education by presenting indicators of educational polarization caused by COVID-19, and discussions on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ies became active. In other words, in the course of policy changes in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ies, policy changes such as increasing public interest, participation of advocacy groups, discussion of ideas, and drawing new policy decisions were also consistent with policy changes. These findings and discussion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can be interpreted that changes occurred in the policy of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that the spread of COVID-19 affected the policy change of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as a focal event. Second, the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change process can be described by Birkland's event related policy change model. In the meantime, Birkland's model has been mainly addressed in the areas of disaster and social problems. However, the model can also be applied to educational problem. Third, the process of policy variation is often not explained by just one model. Just as prior research supplemented the limitations of Sabatier's advocacy alliance model and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the flow of basic education policies was not explained by Birkland's model alone. Thus, the basic academic achievement guarantee policy change process could interpret the factors behind the changes in parliamentary seats in terms of the change in administration and changes in parliamentary seats in Kingdon's policy stream model, along with Birkland's focus event related policy change model.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확산 전후 기초학력보장정책의 내용을 살펴보고 기초학력보장정책의 변동 여부와 정책변동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펜데믹 이후로 교육부와 서울특별시교육청의 기초학력보장정책은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가? 둘째,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기초학력보장정책의 변동에 영향을 미친 정책형성 과정상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상의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국회에 제안된 기초학력보장법안, 교육부·서울특별시교육청의 간행물 및 보도자료, 관련 언론보도, 국회 회의록 등을 활용하여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를 전후로 교육부와 서울특별시교육청의 기초학력보장정책에 변화가 있었다. 코로나19 이전 제안된 제20대 국회의 기초학력 보장법안은 코로나19의 확산 이후 제21대 국회에서도 제안되었는데, 일부 용어의 정의에 대한 변화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제20대 국회의 법안 검토의견과 비교하여 코로나19 확산 이후 제21대 국회에서는 기초학력 보장법안에 대한 긍정적 시각이 확대되었다. 서울특별시교육청의 기초학력 보장정책에서도 코로나19를 전후로 초등학교급 기초학력 보장 지원 정책의 세부 내용이 일부 변하였다. 둘째, 기초학력보장정책의 변동과정에서 코로나19로 인하여 등교 수업 축소 및 학생들의 교육격차 및 학습 결손이 양극화되었으며, 이러한 교육격차를 줄이기 위한 기초학력보장정책에 관심이 커졌다. 이익집단은 코로나19로 인한 교육 양극화의 지표를 제시하며 공교육의 책무성을 강조하였고, 기초학력 보장을 위한 정책 제정에 대한 요구 또한 늘어나며 기초학력보장정책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 즉, 기초학력보장정책변동 과정에서 여론의 관심 증대, 이익집단의 참여, 아이디어 논의 및 새로운 정책 결정 도출 등의 정책변동 요인을 찾을 수 있었으며 이는 정책변동 선행연구에서 다룬 정책변동 요인과도 일치한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코로나19를 전후로 기초학력보장정책에 변화가 일어났으며, 코로나19의 확산이 초점사건으로써 기초학력보장정책변동에 영향을 미쳤다고 해석할 수 있다. 초점사건으로 인하여 등교 축소가 지속되었고, 이는 학생들의 학력 격차를 야기하였다. 특히 소득에 따라 학생들의 학력이 양극화되는 현상을 통하여 기초학력 보장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기존에는 학습 부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보정 활동으로서의 기초학력 보장이 강조되었다면, 초점사건 이후에는 기초학력은 곧 인권이라는 논의가 대두되었다. 모든 학생이 최소한의 인간다운 삶을 살기 위하여 기초학력 보장이 꼭 필요한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된 것이다. 둘째, 기초학력보장정책변동 과정은 Birkland의 초점사건 정책학습 모형으로 설명할 수 있다. 그동안 Birkland의 초점사건 정책학습 모형은 재난 및 사회문제 영역에서 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코로나19 펜데믹을 전후로 한 기초학력보장정책의 변동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해당 모형을 교육 현장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정책의 변동과정은 하나의 모형만으로 설명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선행연구에서 Sabatier의 옹호연합모형, Kingdon의 정책흐름모형을 적용하며 모형의 제한점을 보완하였던 것처럼, 이번 기초학력보장정책의 흐름 역시 Birkland의 모형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부분이 있었다. 따라서 기초학력보장정책변동 과정은 Birkland의 초점사건 정책학습 모형과 더불어 Kingdon의 정책흐름 모형에서 행정부의 교체 및 국회 의석의 변화를 설명하는 ‘정치의 흐름’ 측면에서 국회 의석 변화의 요인을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정책변화를 설명하는 데 있어 한 가지 이상의 복합 모형이 작용함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