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민간조사제도 도입상의 쟁점과 과제에 관한 연구

        박재욱 영산대학교 법무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In 2014, a movie titled as ‘Myeongryang’ taking Myeongryanghaejeon at the time of Imjinwaeran as its theme was absolutely popular in Korea. After that, admiral Yi Sun-shin’s leadership that defeated the enemy having 130 vessels only with 12 vessels was again highlighted. Meanwhile, there are, in fact, a lot of cases that the manager’s lack of leadership in an organization results in discouraging its members and affect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s negatively. In that way, leadership can either maximize or reduce an organization’s performances. This is why a number of scholars have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in managing an organization and performed research in many ways.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the range of attribute pattern approaches, behavioral and style theories, situational and contingency theories, and integrated psychological theory. There has been a lot of research on police leadership, too, up until now. In Korea, there has been especially much research on the types of police leadership. And quantitative research on the effects of police leadership on an organization’s performance or effectiveness or organizational culture has been conducted in many 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dvanced research on police leadership and draw political implications needed for managing police organizations reasonably as well as efficiently. To attain the goal, the researcher conducted discussion as below: First, Chapter 1 suggests the research purpose, range, and method. Second, Chapter 2 explain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police leadership. Third, Chapter 3 analyzes major research findings on police leadership. Fourth, Chapter 4 suggests political implications to improve police leadership. Lastly, Chapter 5 presents the summary of findings and also conclusions. 최근 심각한 사회적 부작용으로 지적되고 있는 심부름센터 등의 음성적·불법적인 조사행위로 인한 사회적 폐해를 방지하고, 국민의 권익보호와 조속한 피해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민간조사제도의 도입 필요성이 각계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여론을 반영하여 음지의 영역에서 암암리(暗暗裡) 행해지고 있는 이 같은 고질적 행위양태를 양지의 영역으로 이끌어 내기 위한 국회에서의 지속적인 입법추진노력과 아울러 학계에서의 관심과 연구가 꾸준히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민간차원(Private Sector)에서 음성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조사행위를 국가의 엄격한 규율 하에 두고, 국민의 권익보호와 조속한 피해회복을 위한 민간조사제도의 도입 필요성에 대한 사회적 요청이 강력하게 피력되고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사적영역에서 이루어지는 조사활동으로 말미암아 발생할 수 있는 개인정보유출 및 사생활침해 등과 같은 제도의 역기능에 대한 우려로 도입을 반대하는 여론 또한 적지 아니한 실정이다. 우리나라에서 민간조사제도의 도입과 운영을 위한 본격적인 입법추진 활동은 2005년 제17대국회를 시작으로 현 제19대국회에 이르기까지 모두 9차례에 걸쳐 의원입법의 방식으로 법제화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민간조사제도 도입을 위한 다수의 제출법안에서는 전반적으로 제안이유에서 다음과 같이 제도도입의 필요성이 역설되고 있다. 최근 빈발하고 있는 사건·사고의 다양화, 광역화 등으로 국가의 경찰력이 미치지 못하는 영역이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미아 등의 발생 및 실종사건의 급증과 같은 미해결 사건이 갈수록 늘어나는 문제점과 아울러 경찰의 수사·조사인력의 부족문제가 계속적으로 지적되고 있다는 것을 그 이유로 하고 있다. 이에 대한 법적·제도적 대안으로 민간조사제도의 도입과 운영을 위한 가칭「민간조사업법」의 제정 필요성과 당위성에 대한 주장이 역대 제출법안에서 반복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민간조사제도 도입을 위한 국회에서의 법제화 논의과정에서 입법자는 심부름센터 등에 의한 불법행위 실태와 그 심각성, 국민의 효과적인 권익보호와 조속한 피해회복, 제도운영에 관한 주요국가의 입법례, 그리고 제도도입을 통해 보호받을 수 있는 권익과 침해될 수 있는 권익의 비교형량 등을 종합적으로 숙의 하는 과정을 (熟議) 거쳐 제도도입 및 운영여부를 판단하여야만 하는 적시성(適時性) 단계에 진입하였다고 본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그동안 국내에서 진행되어 온 민간조사제도 도입과 관련된 주요 쟁점을 선행연구를 통해 분석하여 도입이 지원된 원인을 파악하고 그 정책적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범위, 방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제2장에서는 민간조사제도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설명하였다. 셋째, 제3장에서는 민간조사제도에 관한 주요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넷째, 제4장에서는 민간조사제도 도입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연구결과의 요약과 결론을 제시하였다.

      • 여성1인가구와 도시환경적 특성이 범죄발생에 미치는 영향

        박태원 영산대학교 법무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Recently,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s rapidly increasing in our society due to the increase of the divorce rate and aging, as well as single and full marriage. These single-person households have become the dominant type of all household types and have brought about social change. Among these, the issue of the safety of single female households from crime has been raised. A movie about crime and anxiety about a single-woman household has been released, and crimes against women are being continuously reported. Traditional crime theories have mainly emphasized criminal motives, but urb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proportion of single female households in the city, can explain the level of crime in the region. These studies study crime phenomena in socio-ecological and environmental dimensions, and mainly analyze crime empirically using official statistical indicators. Therefore, in this study,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ingle female households and crime, which is currently emerging in Korean society, the incidence of crime in urban areas is analyzed at the local level rather than the individual level. In addition, the urb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proportion of single female households in the city, can be analyzed by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various factors, so that the crime incidence rate in the city can be grasped in more detail. For the analysis of the study, the official statistical indicators of 16 areas of Busan Metropolitan City from 2015 to 2019 and the five major crime(murder, robbery, rape, theft, violence) statistics for women were collected, and panel data were construct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verification for urb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were conducted. Then, the effect of the single female household ratio on the occurrence of crimes against women and the effects of urb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occurrence of crimes against women were analyzed. And it was analyzed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urb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the effect of the single female household ratio on the occurrence of crimes against women. Finally, the individual effect was confirmed using pane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empirical study are as follows. First, urb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such as population characteristics, residential characteristics,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were classified into vulnerable area factors, commercial area factors, regional instability factors, and sociopathological factors through factor analysis. As for the vulnerable area factors, the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 ratio of single-person households, the ratio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living ratio of detached housing unit, and the ratio of old houses were grouped. In terms of the commercial area, the ratio of commercial areas, the ratio of entertainment pubs, the living ratio of multiplex housing unit, the living ratio of studio apartment, and the living ratio of non-residential houses were grouped. As for the factors of local instability, the ratio of residential dwellings other than houses excluding studio apartment and the ratio of foreigners were grouped. Lastly, the social pathological factors were grouped by the average population rate of strong delinquency and the divorce rat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ratio of single female households and urban environmental factor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five major crime incidence rates against women. However, when the ratio of single female households and urban environmental factors are considered together, the ratio of single female households was analyzed to have no effect on the crime rate. This is because the ratio of single female households is closely related to urban environmental factors. Third, the effects of single female households on the occurrence of crimes against women were significantly controlled in term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urban environmental factors. When urban environmental factors and the ratio of female single-person households were combined and interacted, the incidence of crime against women increased significantly. In particular, when the ratio of single female households interacts with commercial regional factors or regional instability factors, the control effect is very large. In addition, since sociopathic factors alone do not affect the incidence of crime against women, they cannot play a role as an independent variable, but they play a role as a moderating variable. Finally, the individual effect was confirmed using panel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verifying the pooled OLS, the fixed effect model, and the random effect model of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fixed effect model is suitable.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policy recommendations were derived to reduce the incidence of five major crimes against women and to promote the safety of women in single-person households. First,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effectiveness of crime prevention measures for single female household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environment in areas where female single households are concentrated. Third, as confirmed in the research results, the regional effect is large, so there must be a discriminatory and intensive response to regions where the incidence of crime against women is consistently high.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single female households and crimes from various angles in connection with urba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for continued interest in single-person female households and crimes against women.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promote the safety of women living as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city.

      • 학교 밖 청소년의 비행과 비행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권도균 영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factors affecting delinquency and victimization caused by delinquency of out-of-school youths. In order to collect the data necessary for analysis, the data surveyed by 440 out-of-school youths were used secondarily. After analyzing it, I got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chool suspension period, depression, exposure(routine activity), friend attachment, friend victimization, and social bond with out-of-school youth delinquency. In addi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eriod of school interruption, the frequency of school interruption, friend attachment, and social bond with out-of-school youth delinquency. Second, it was found that protection, attractiveness, and friendship related to personal routine activities had a very important influence as factors influencing out-of-school youth delinquency. The frequency of school interruption and self-control were also identified as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ut-of-school youth delinquency. In addition, parental attachment, parental violence, and social disorder were also found to have some significant effects. However, parental supervision, physical disorder, and local police trus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out-of-school juvenile delinquency. Third, self-control, depression, exposure (routine activity), parental attachment, parental violence, friend delinquency, and social disorder were identified as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out-of-school juvenile delinquency. However, no significant influence relationship was identified in protection(routine activity), attractiveness(routine activity), parental supervision, physical disorder, and local police trust. However,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variables related to personal characteristics, parent relationships, friend relationships,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I think that individual factors such as personal characteristics, parent relationships,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play an important role in out-of-school juvenile delinquency victimization. Finally,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friend relationships are considered to be relatively more important factors than the influence of parent relationships and community characteristics for delinquency behavior of out-of-school youths. And it was also verified that friendship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delinquency victimization of out-of-school youth. 이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비행 및 비행피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2017년에 실시된 한국형사책연구원(현,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의 전국범죄피해조사 중 학교 밖 청소년 4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데이터를 재구성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학업중단 기간, 우울감, 노출(일상활동), 친구애착, 친구비행피해, 지역주민유대는 학교 밖 청소년 비행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학업중단 기간, 학업중단 횟수, 친구애착, 지역주민유대은 학교 밖 청소년 비행피해와의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 비행의 영향요인으로서 개인적의 일상활동과 관련된 보호와 유인, 그리고 친구관계가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개인적 특성 중 학업중단 횟수, 자기통제력도 학교 밖 청소년 비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부모애착, 부모폭력, 사회적 무질서도 일정 부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부모감독, 물리적 무질서, 지역경찰신뢰는 학교 밖 청소년 비행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 비행피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자기통제력, 우울감, 노출(일상활동), 부모애착, 부모폭력, 친구비행, 친구비행피해, 사회적 무질서가 확인되었다. 그러나 보호(일상활동), 유인(일상활동), 부모감독, 물리적 무질서, 지역경찰신뢰에서는 유의한 영향관계가 파악되지 않았다. 다만, 개인적 특성-부모관계-친구관계-지역사회 특성에 관한 변수(군)를 단계적으로 투입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학교 밖 청소년 비행피해는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결과를 나타내기 보다는 개인적 특성, 부모관계, 친구관계, 지역사회 특성 등 개별적인 요인들의 영향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문제라고 판단된다. 넷째, 학교 밖 청소년의 비행에 대해서는 개인적 특성 및 친구관계가 부모관계, 지역사회 특성의 영향보다 상대적으로 중요한 요인으로 파악된다. 그리고 친구관계는 학교 밖 청소년의 비행피해에 대해서도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 학교전담경찰관 제도의 운영실태와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신승민 영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들어서 우리 사회에서는 학교폭력 피해를 입은 청소년들이 자살하는 사건들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듯이 정부는 학교폭력 종합대책을 수립하여 발표하고 범정부적 차원에서 다양한 대책들을 시행하고 있다. 특히 경찰청에서는 학교폭력을 근절시키기 위한 대책 가운데 하나로서 학교 전담경찰관제도 운영계획을 밝히고, 2012년 6월에는 학교전담경찰관 발족식을 가졌다. 경찰청에서는 전국의 각 경찰서 단위에 1-2명 이상의 학교전담경찰관을 배치하여 학교폭력과 관련한 업무에만 전종하도록 하고 있다. 현재 학교전담경찰관 제도 운영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정부와 여당의 합의하에 이뤄진 관련 법률 개정이 이루어졌다. 정부와 여당은 장기적으로 최소 10개 학교당 1명의 학교전담경찰관을 배치할 수 있도록 학교전담경찰관을 증원시켜나갈 예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현재 도입되어 시행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학교전담경찰관 제도 운영의 방향과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학교전담경찰관제도’의 의의와 역할․임무를 비롯하여 지역사회경찰활동 등 관련이론을 고찰하고 주요 선행연구과 외국의 유사 사례들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학교전담경찰관제도의 운영 실태를 업무수요․조직구성․인력배치․신규채용․교육훈련․활동현황 등을 범주로 구분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그리고 우리나라 학교전담경찰관제도의 한계로 제도와 현실의 괴리, 기능 중심의 조직 구조에 따른 한계, 신규채용방법 및 교육훈련상의 문제점, 실적 위주의 운영 등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학교전담경찰관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제언으로서 첫째, 학교경찰모형에 관한 통합적 접근, 둘째, 문제해결중심의 통합적 조직 운영, 셋째, 전담인력의 안정적 확충 및 지역사회 협력체제 구축, 넷째, 채용제도와 교육훈련의 전문성 강화, 다섯째, 지속적인 효과성 검증 및 질적 평가의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학교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경찰의 대책으로서 마련된 학교전담경찰관제도는 무엇보다도 경찰이 학교 및 지역사회와 협력을 통해 함께 학교폭력의 문제에 대처해 나가려는 시도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오늘날 학교폭력의 문제는 학교 내에서 처리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 경찰이나 정부, 그리고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개입을 요구하는 실정에 이르렀다. 그러나 이는 경찰의 개입으로 근절될 수 있는 문제는 아니다. 단기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효과를 거둘 수 있겠지만, 장기적으로는 학교와 경찰, 정부기관뿐 아니라 학부모, 지역사회가 함께 공동으로 협력하여 해결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지역사회의 공동 대응 체제를 구축하는데 있어 학교전담경찰관이 소통과 협력의 창구로써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학교폭력의 예방과 근절에 이바지하기 위해서는 이 제도가 일시적인 프로그램으로 그치지 않고 지속적․발전적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Recently, there are a series of suicide of juvenile suffering from school violence in our society. Reflecting social concern about this, the government established and announced comprehensive measures against school violence and carried out various measures from government level. In particular,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nounced school police system operation plan at the beginning as a part of measures to eradicate school violence and held starting ceremony of school police system in June 2012. The National Police Agency arranged 1 or 2 school polices at each police station throughout the country to engage in works related to school violence only. At present, related laws have been revised under the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and the ruling party in order to prepare legal foundation for operation of school police system. The government and ruling party plan to expand school police so that 1 school police can be arranged per 10 schools in the long run.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find the suggestions and direction of school police system that has been introduced and tried at pres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type when school police system had been operated in foreign countries focusing on USA and UK, as well as operation status of ‘school police system’, background when school police system started in details, scale, role and mission of school police, selection and training method, as well as effectiveness on school police system; and proposed policy related suggestions for activation of school police system in Korea.

      • 청소년 범죄 동향 분석 및 대응 방향

        우성훈 영산대학교 법무경영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Recently, the problem of juvenile crimes is causing a controversy in society. Because the brutal and heinous crimes of juvenile and the crimes of young adolescents were on the rise. As a result, people's feelings about juvenile crimes have worsened, and complaints against the Juvenile Act, a special law that regulates the disposition for juvenile crimes, are increasing. The causes and characteristics of juvenile criminal behavior can be found in the specificity of adolescence and the socialization process and environment of juveniles. Therefore, today's juvenile crimes are appearing in more multifaceted forms. Adolescents also commit crimes that are just as heinous and cruel as adults, and they also commit intelligent crimes, causing adulthood of juvenile crimes. In addition,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juvenile crime and a decrease in the age, grouping, and habituation are mentioned. This study is related to the problem that juvenile crimes are increasing quantitatively and getting more serious in recent year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juvenile crimes through analysis of trends in juvenile crimes, and to find implications and response directions for them. To this end, before analyzing the trend of juvenile crim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characteristics of juvenile and adolescence is considered. In addition, the juvenile crime theory was examined in terms of social structure, social process, social reaction, and crime victims. And previous studies on the causes and countermeasures of domestic juvenile crimes and crime trends were reviewed. The analysis of juvenile crime trends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 juvenile crimes by analyzing the trends of juvenile crimes for 10 years from 2010 to 2019. The current status of juvenile crime was analyzed based on the “Crime Analysis” data of the Supreme Prosecutors' Office, which is the official crime statistical data. A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trend toward lowering of the age of juvenile crimes, the trend of the number of juvenile protection cases was reviewed using the 「Judicial Yearbook」 of the Ministry of Court Administration.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 domestic juvenile crimes derived through trend analysis are as follows.

      • 부모의 폭력성, 비행친구와 청소년 범죄의 관계에서 지역사회 지원의 조절효과 검증

        오유란 영산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청소년들은 성인이 되어가는 과정에서 수행해야 하는 발달과업과 동시에 성인이 아니기 때문에 제한되는 것들을 수용하며 그 시기를 보낸다(구준영, 신은혜, 이진향, 2020:31). 또한 이 시기 많은 청소년들은 내·외적인 변화를 겪으며 불안정한 상황에 노출되며, 일부 청소년들은 일탈과 비행으로 부적응적 상황을 표출하기도 한다(현다경, 김형모, 2018). 2021년 경찰통계연보를 보면 총범죄자의 감소추세에 따라 소년범죄자도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소년범죄지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사회적 문제 중 청소년 비행은 중요한 문제로 다루어져 왔다. 최근 사회의 변화에 따라 청소년 범죄는 점점 더 대담하고 심각해지고 있다. 특히, 2017년에는 '인천 초등학생 살인사건'을 비롯하여 ‘강릉 여중고생 폭행사건', '부산 여중생 폭행 사건' 과 같은 청소년 강력범죄 사건이 빈번히 발생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사건의 가해자들은 자신의 행동에 대한 심각성을 깨닫지 못하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이용하여 피해 학생의 모습을 게시하는 등의 행동을 보이고, 이는 전 국민적 분노를 일으키는 기폭제가 되었다. 법무연수원의 범죄백서(2018)에서는 소년범은 2008년을 기점으로 감소세를 보이다가 2017년에는 전년 대비 4.3% 감소한 2,759명을 기록하였다. 그러나 전체 소년범죄 중소년 형법범죄가 차지하는 비율에 있어서는 2007년 69.4%에서 2017년 80.1%를 기록하여 오늘날 청소년 범죄는 양적으로 감소하였을 수 있으나 질적으로 악화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박선만, 2020: 1). 이러한 청소년 범죄의 지능화, 집단화, 그리고 흉포화로 인해 소년범에 대한 교정 및 처벌의 타당성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청소년의 품행 교정을 위한 제도적·법적 보호 장치로 알려진 '소년법(Juvenile Act)'에 대한 폐지에 대한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이로써 청소년도 성인과 동일한 형사적 처벌을 받아야 한다는 주장이 대두되었다. 이는 일명 ‘엄벌주의(Puniitivism)’적 관점으로 2007년 6차 소년법 개정에서는 청소년의 성숙, 소년범 연령저하, 범행의 사회적문제, 재범근절 등을 근거로 하여 소년법 적용 대상을 20세 미만에서 19세 미만으로, 촉법소년을 12세에서 10세로 하향한 적이 있다(박선만, 2020: 1). 그러나 소년범 재범률이 오히려 높아지고 있어, 엄격한 처벌 정책이 소년범죄를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단순히 법 감정주의에 기댄 사후적 차원으로써의 엄벌주의보다는 사전 예방적 차원의 온정주의 정책을 통한 청소년 비행 억제 및 교정과정에 대해서도 그 중요성을 인식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박선 만, 2020: 2). 폭행이나 절도와 같은 범죄에 비해 비교적 경미한 지위비행은 청소년의 행동 양상을 형성하며, 이는 향후 과감한 비행으로 이어질 수 있다. 더욱이, 성인이 된 후에는 더 심각하고 강력한 범죄의 시발점이 될 수 있어 그 심각성이 더 커지고 있다. 이로 인해 해당 문제에 대한 적극적인 개입과 대응의 필요성이 계속해서 강조되고있다. 특히, 비행 청소년의 재비행 문제가 심각한데, 이는 비행청소년들의 전체 비행건수 중 절반이상이 만성적인 재비행건이라는 점, 청소년들이 점차 체포나 법정에 서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게 되고, 결국 이러한 경험이 반복되어 성인기에는 범 죄자로서의 삶을 살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된다는 점 때문이다(민원홍, 2014:266). 그렇기 때문에 초기에 청소년들이 비행행동을 일으키지 않도록 하는 예방차원의 연구도 중요하지만, 비행행동을 지속하는 청소년에 대한 연구나 그들이 다시 원래의 일상생활로 돌아올 수 있도록 재활에 대한 연구도 중요하다(구준영, 신은혜, 이진향, 2020: 3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