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학습만화에 나타난 과학자 이미지 비교 ? 분석

        장혜련 경인교육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urpose of study is finding how science comics affects the student's scientist image formation by comparing ‧ analyzing the image and role of the scientist appeared on science comic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s image of scientist. By studying the image and role of scientists in the study appeared cartoon, the study figured out image of scientist that students had. Through this, study aimed to find the way of building desirable scientist image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06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is 2, 3, 6 grade students in Gimpo, Gyeonggido and 25 volumes of science comics. And the study analyzes the image of scientist by Yeo sang in's(1998) modified DAST. To sum up the research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enjoyed to read science comics had a image that scientist is not afraid of fail, focused and curious. On the other hand, science comics had a image that scientist is kind, adventurous, active and genius. Second, the students enjoyed to read science comics had a image that scientist experiments in lab with co-workers. And students had a image scientist sleeps, exercises, reads the books during his free time. On the other hand, science comics had a image that scientist experiments in lab or outside with robots, and he taught science to students without free time. Third, both of scientist image appeared on science comics and the students' scientist image were young, male and neat scientist who has black hair or dye hair. Through this, the study confirms science cartoons didn't influence on student's scientist image, especially external features. Forth, in drawing questions, the students enjoyed to read science comics and the students unenjoyed to read science comics were different from the scientist performing the role and scene composition. Although both of two groups recognize the role of scientists is ‘study, experiment', in drawing a scientist test students enjoyed to read science comics wrote specificly such as “He is studying DNA.", “He experiments on dinosaur.".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unenjoyed to read science comics wrote simply such as “He experiments.”. Through this, the study confirms science cartoons will be presented more extensive and specific role of scientists to students.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과학자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학습만화에 나타난 과학자의 이미지와 역할을 비교 ‧ 분석하여 학습만화가 초등학생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습만화에 나타난 과학자의 이미지와 역할을 살펴봄으로써 실제 학생들에게 보여 지는 과학자의 모습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학습만화 등을 활용한 바람직한 과학자 이미지 정립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 김포시 소재의 G초등학교 2, 3, 6학년 6개 학급의 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여상인(1998)이 고안한 변형된 DAST를 실시하였다. 문헌 분석은 학습만화 22권에 등장한 과학자 25명을 대상으로 여상인(1998)의 변형된 DAST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과학자의 이미지 및 역할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학습만화가 학생들의 과학자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만화를 즐겨 읽는 학생들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집중력이 강하며, 호기심이 많은 과학자의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었고, 학습만화에 나타난 과학자는 친절하고 모험심이 강하며, 활발하고 사교적인 천재과학자의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는 학습만화가 주인공이 궁금한 것을 묻고, 등장하는 과학자 캐릭터들이 과학 지식을 가르쳐 주도록 이야기가 구성되어 있어, 등장한 과학자의 성격은 다양하지 않았다. 둘째, 학습만화를 즐겨 읽는 학생들은 실험실 또는 연구실에서 동료과학자와 함께 실험, 연구를 하는 과학자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었다. 그리고 수면, 운동, 독서의 여가 생활을 하며, 실험연구, 기술개발, 편리한 기계 발명의 역할을 하는 과학자를 많이 떠올렸다. 반면, 학습만화에 나타난 과학자는 로봇과 함께 하거나 조력자 없이 실험실 또는 연구실, 그리고 야외에서도 활동하고 있었으며, 사람들을 가르치거나 연구에 몰두하는 모습이었다. 그리고 별다른 여가 생활을 하지 않고 쉬지 않고 일하며, 실험연구, 기계 발명, 동‧식물 연구를 하는 과학자의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보유하고 있는 이미지와 달리 학습 만화에 나타난 과학자는 혼자서 일하지 않고, 자신이 개발한 로봇을 조수로 활용하여 함께 연구하는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는 첨단과학기술이 발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과학자의 조력자는 사람이라는 이미지와 상반된 모습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습만화를 즐겨 읽는 학생의 과학자 이미지, 학습만화를 즐겨 읽지 않는 학생의 과학자 이미지, 학습만화에 나타난 과학자의 이미지 모두 선행연구의 정형화된 과학자 이미지와 달리, 젊고, 검은 머리나 염색 머리의 단정한 모습의 남자 과학자 이미지였다. 이를 통해 학습만화가 학생들의 과학자 이미지 형성 중 외적 특징에 커다란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그리기 문항에서 학습만화를 즐겨 읽는 학생들과 즐겨 읽지 않는 학생들은 과학자의 역할 수행과 장면 구성에서 차이를 보였다. 두 집단 모두 과학자의 역할을 ‘실험‧연구’로 인식하고 있었지만, 학습만화를 즐겨 읽는 학생들은 과학자를 그린 후 그에 대한 설명으로 ‘DNA 실험을 하고 있다.’, ‘공룡 화석 실험을 하고 있다.’와 같이 구체적인 실험 내용을 기술하였고, 학습만화를 즐겨 읽지 않는 학생들은 ‘실험을 하고 있다.’와 같이 단순하게 기술하였다. 이를 통해 학습만화가 학생들에게 보다 폭 넓고 구체적인 과학자의 역할을 제시해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학습만화를 즐겨 읽는 학생들과 즐겨 읽지 않는 학생들은 모두 과학자에 대해 젊고, 단정한 검은 머리 또는 염색 머리를 가진 실험복을 입은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었다. 또한 학습만화에 나타난 과학자 역시 평상복을 입고 있다는 것만 제외하고는 같은 이미지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학습만화는 초등학생의 과학자 이미지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과학자의 역할에서 학습만화를 즐겨 읽은 학생들이 과학자의 역할을 좀 더 구체적으로 묘사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학습만화는 초등학생의 과학자 이미지 형성 중 외적 특징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지만, 과학자의 역할은 좀 더 구체적으로 생각할 수 있게 해줌을 알 수 있었다.

      • 다문화에 대한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 및 교사의 인식

        유슬기 경인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다문화 인식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학생들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학생과 교사의 관점에서 분석 및 비교하여 그 실태를 파악해 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경기 지역에 소재한 5개의 초등학교의 초등 과학영재학생 134명과 동일 지역 일반학생 20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학생들의 주관적 인식에 따른 검사 결과를 보완하고자 그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으며 영재교육에 대한 관심과 노력을 지속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교사 4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 인식 검사를 실시한 후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SPSS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F-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다문화 인식의 하위요인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 인식에 대한 반구조화 된 면담을 실시한 후 학생들이 인식한 검사 결과와 교사 면담 자료를 종합하여 학생들의 다문화 인식에 대해 분석에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검사에서 다문화 인식의 전체 수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교사들 역시 대부분 영재학생이 일반학생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교사들은 일반학생이 더 높은 다문화 인식 수준을 가지고 있지만 영재학생 스스로는 그렇지 않다는 의견도 있었다. 둘째,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집단 내에서 성별에 따른 다문화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초등 과학영재는 공감성과 개방성에서 일반학생은 수용성, 공감성, 개방성, 유능성에서 여학생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교사 역시 남학생보다 여학생의 다문화 인식이 뛰어나다고 답했다. 셋째, 다문화 접촉 여부에 따른 다문화 인식 차이는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 모두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다. 하지만 모든 교사들은 다문화를 접촉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다문화 인식이 높다고 여겼다. 넷째, 학년별에 따른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다문화 인식은 일반학생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못했으며 초등 과학영재는 유능성에서 5학년이 6학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교사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다문화 인식이 낮아진다고 답했다. 다섯째, 다문화 인식의 하위요인인 수용성, 공감성, 개방성 및 유능성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서 초등 과학영재는 수용성, 개방성, 공감성 순으로 다문화에 대한 유능성에 영향을 미쳤다. 일반학생은 수용성, 공감성, 개방성 순으로 유능성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 현재 모든 교사가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으며 일부 교사는 영재 학생들에게 특히 높은 다문화 인식이 필요함을 주장했다. 하지만 모든 교사가 영재교육에 다문화 교육은 큰 관련이 없다고 답하였다. 따라서 영재교육에서 다문화와 관련된 요소를 포함시키는 활동을 제시하여 다문화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교육환경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영재들의 성별, 다문화 인식 수준을 반영한 학습 집단 편성이 이루어져야한다. 다문화 인식은 정의적인 수준의 정도를 반영한다. 학습 능력이나 개인의 흥미 등을 고려한 편성뿐만 아니라 이질적인 다문화 인식을 지닌 학생들을 적절하게 배치하여 학생들이 집단 안에서 사회적인 기술을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어야 한다.

      • 과학영재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난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 및 진로에 대한 인식

        하민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과학영재 프로그램을 이수한 뒤 작성한 소감문을 토대로 분석하여 과학영재 프로그램이 과학영재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과학영재교육으로 인하여 변화한 점에 대하여 소감문 형식으로 기술한 과학영재의 가치관 및 진로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여 과학영재프로그램 운영 효과를 고찰하고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과학영재 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난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에 대한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둘째, 과학영재 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난 과학영재의 과학 진로에 대한 인식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2020년 G 대학부설 영재교육원 5~6학년 초등 및 중등 심화, 사사 과정을 이수한 과학영재 19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실시하고 소감문 응답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설문지의 주요 내용은 영재교육으로 변화한 가치관, 진로, 성격 등을 확인하기 위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영재 프로그램은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에 대한 인식변화에 영향을 주었다. 호기심 및 자진성에 대해서는 주변을 관찰하고 궁금증이 생겼으며 호기심 해결을 위해 스스로 노력하게 된 점, 끈기성 부분에서는 문제 해결을 위해 포기하지 않게 되었으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가치관 형성에 도움을 주었다. 개방성 및 비판성과 관련해서는 과학영재 프로그램을 통하여 관심 분야 확대와 근거에 따라 실험 계획과 주장을 변경하게 된 점, 비판적 사고를 통한 과학적 일반화에 이르기 위한 노력을 주로 꼽았다. 또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신장과 문제 해결 속 융합을 경험하며 융합적 사고의 필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으며 협동적 문제 해결을 통해 협동심 및 대인관계 역량의 발전과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알도록 변화하였다, 둘째, 과학영재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영재의 과학진로에 대한 인식변화는 과학학습 선호도, 과학 진로 선호도, 과학 진로에 대한 가치 인식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과학영재 프로그램으로 인하여 과학학습에 대한 긍정적 인식, 과학학습 선호가 심화하였으며 진로의 방향 설정, 특정 과학 진로로의 구체화, 과학 진로로의 변경이 나타났다. 과학진로에 대한 탐색이 더 나아가 과학 진로에 대한 사회적 가치를 인식하게 하고 사회적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인재가 되고 싶음을 드러냈다. 본 연구의 결과에 근거할 때, 과학영재 프로그램은 과학영재가 과학적 태도를 갖출 수 있는 영재교육 방법으로서의 교육적 효과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과학 진로의 탐색 기회를 제공하여 과학 진로에 대한 우호적이고 적극적인 태도를 끌어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과학영재 프로그램이 영재교육 현장에서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 함양 및 과학 진로 지향 향상에 효과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결론 지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how the Science Gifted Program(SGP) affected science gifted children by analyzing the student reports and their reviews after completing a course in the SG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of the SGP by examining changes in the values and career perceptions of the science gifted children in the program.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First, what are the factors that produce changes in the scientific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scientific attitudes through the SGP? Second, what are the factors that cause changes in the science gifted children's perception of scientific career development through the SGP? An open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reviews of the respondent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in this research studying 190 scientific gifted students who completed advanc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ourses in the 5th to 6th grades of the Gifted Education Center affiliated with universities in 2020, The questionnaire consists of the main questions to measure changes in values, career development, and personality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data collected and the data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SGP influenced the changes in the science gifted children's perception of scientific attitude. In terms of curiosity and self-motivation, the students observed their surroundings more thoroughly, showed more curiosity, and thus became more independent to work it out for themselves while (in persistence) they became persistent in solving problems and cultivated sound values of not being afraid of failure. Regarding openness and criticism, mostly cited were the development of the field of interest through the SGP, the modification of plans and arguments based on solid foundations, and endeavours to reach scientific generalization through critical thinking. In addition, through experiencing the develop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the convergence of solutions, the stu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convergent thinking, and through cooperative problem-solving, they came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 and interpersonal skills and communication. Second, changes in the science gifted children's perception of scientific career development through the SGP,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 science learning preference, science career preference, and value recognition of science career. Through the SGP, the students strengthened the positive perception of science learning and the preference for science learning, and showed a clear career direction, a specific career development in science, and a change into the path of scientific careers. It was revealed that the career exploration in science encouraged the students to recognize the social value of scientific careers and contribute to solving social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GP had a certain educational effectiveness in that it provided an approach of gifted education to help gifted students adopt scientific (minds and) attitudes.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adopted a more favorable and active attitude toward scientific careers when provided with opportunities to explore scientific careers through the program.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cience Gifted Program plays an effective role in cultivating a scientific attitude of the science gifted and improving a scientific career orientation in the field of gifted education.

      • 피드백을 통한 초등학생의 상호작용적 과학일지 쓰기가 학업성취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병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teractive science journal writing through feedback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process skills in Elementary School. To perform this study, 213 students from the 6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were used. They were devided into Experiment Group that write the science journal interacting with teacher, Experiment Group that write the science journal interacting with students each other, and Comparison Group that write the science journal without interacting with anyone. Students wrote the content of science classes on the form of the process which they would like to learn more and explore further one . They wrote what they investigate science history and about scientists, and then they had an interactive activity in the morning self study time or discretion classes. Students wrote scientific journals for five months. Before and After they wrote the scientific journal, I tested a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ce process skills and then I analyze the difference of three groups by ANCOVA, I conducted surveys to find out the awareness about science journal writ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followed. Interactive science journal writing through feedback did not produce significant differences statistically between three groups in the part of academic achievement . Experiment Group that write the science journal interacting with students each other has an more effect on scientific process skills than other two groups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specially in the area of basic process skills- observation, inference, and integrate process skills- variation control, generalizations of the sub-region, represents a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lusion, Writing a scientific journal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cience process skills. When I investigated the awareness about interactive scientific journal. The result of the survey was positive. 50% or more students answered that the program was so adequate. Writing a journal made students improve scientific knowledge and the ability of observation. Writing a journal made students like the science. Students think that it help them remember the contents studied for a long time, as students search for concerned contents and write it on the interactive science journal. Therefore, you have an interest in science through scientific journals and it made 'the students and the students', 'students and teachers' interact each other. Writing an interactive scientific journal through feedback helped students to improve the science process skills and have the interest in science, the spirit of process, scientific attainments. 본 연구는 피드백을 통한 초등학생의 상호작용적 과학일지 쓰기를 통해 학업성취도와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과학일지에 대한 인식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초등학교 6학년 213명을 선정하고, 교사와 상호작용을 하며 과학일지를 쓰는 집단과, 학생간의 상호작용을 하며 과학일지를 쓰는 집단, 상호작용이 없는 일반적인 과학일지 쓰기를 하는 비교집단으로 나누고 5개월에 걸쳐 과학일지 쓰기를 하였다. 과학일지 쓰기는 과학수업의 내용에 대해 더 알고 싶거나, 심화된 내용을 탐구하거나, 과학사나 과학자, 생활 속에 알고 싶은 내용을 조사 혹은 탐구하여 과학일지에 기록하였다. 상호작용은 아침자습시간이나 재량활동시간에 작성된 일지를 통해 상호작용 활동을 하였다. 과학일지 쓰기 전과 후에 각각 학업성취도검사와 과학탐구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세집단간의 차이를 ANCOVA로 분석하였고, 과학일지 쓰기활동을 마친 후 일지쓰기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피드백을 통한 상호작용적 과학일지 쓰기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세집단간에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상호작용적인 과학일지 쓰기 활동은 과학탐구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과학탐구능력의 하위 요소 중 관찰, 추리 등의 기초탐구능력과 변인통제, 일반화의 요소의 통합탐구능력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세집단간 과학탐구능력은 학생간 상호작용 집단이 두 집단보다 유의미한차이가 있었다. 특히 관찰, 추리, 변인통제, 기초탐구능력부분에서 두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교사 학생간 상호작용집단은 관찰요소에서 비교집단보다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상호작용적인 과학일지를 쓰기를 적용한 연구결과 과학탐구능력은 학생간 상호작용집단에서 더 유의했으며, 상호작용적인 과학일지는 초등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상호작용적인 과학일지 쓰기 전과 후 과학일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50% 이상이 교육에 적합한 프로그램이라고 답하는 등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과학일지를 씀으로써 과학에 대한 지식과 관찰력 등이 향상되고 과학을 더 좋아하게 된다는 반응이었고, 학생들은 과학일지를 과학 수업 시간에 배운 내용을 되새기거나, 궁금한 내용을 찾아 과학일지에 쓰면서 학습한 내용을 오래 기억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였다. 따라서 과학일지를 통해 학생들이 과학에 관심을 갖게 되고, 그 관심을 통해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되었다. 또한 피드백을 통한 상호작용적 과학일지 쓰기를 통해 학생들은 과학탐구능력이 향상되고, 과학에 대한 흥미, 탐구심, 과학적인 소양을 갖추게 되는데 도움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초등과학 수업 실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김현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좋은 수업의 특징과 수업의 실제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여러 연구에서 제시한 좋은 과학 수업의 조건들에 대하여 과학 수업의 실제가 어느 정도 달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하여 비교함으로써 좋은 과학 수업의 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으로는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초등교사 194명과 초등학생 320명을 선정하였고, 검사도구는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좋은 과학 수업의 특징들을 추출하여 이를 리커트 척도 설문문항 형식으로 수정하여 만들었다.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의 기술통계량을 분석하였고, 교사와 학생 내 각 집단 간의 인식 차이는 t 검증을 사용하였으며 문항별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는 맨-휘트니 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과학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경력이 6년 이상인 교사들이 5년 이하인 교사들보다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하위 영역별로 구체적인 문항에 대한 인식을 살펴 본 결과, 학생 중심의 수업 운영과 교과서 재구성, 과학과 관련된 현장체험학습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문항은 모두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학생들의 인식 수준을 살펴보면 학생들은 초등과학 수업 실제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인 인식 수준을 지니고 있었고, 모든 영역에서 3, 4학년 학생들이 5, 6학년 학생들보다 과학 수업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문항별로 살펴보면, 교사와 마찬가지로 교과서 내용과 순서의 재구성, 과학 관련 현장체험학습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 5, 6학년 학생들은 충분한 실험 시간 제공과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활용에 대해서도 약간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초등과학 수업 실제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과학 수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은 비슷하였지만, 특이하게도 수업의 주도권에 대해서는 교사들은 교사들이, 학생들은 학생들이 가지고 있다는 상반된 결과가 나타났다. 또 학생활동에 대한 교사의 칭찬과 동기 유발, 학습 내용과 실생활의 연결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인식이 교사들보다 낮았다. 그러나 이를 제외한 대부분의 문항은 학생들이 교사들보다 과학 수업에 대해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학습 순서와 내용의 재구성, 현장체험학습에 대해서는 교사와 학생 모두 부정적으로 인식하였고 특히 학생들이 교사들보다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이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교사와 학생들이 초등과학 수업의 실제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으나 교과서 재구성과 과학 관련 현장체험학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따라서 교사들의 교과서 재구성을 위한 전문성 향상과 인식 전환을 위한 연수가 필요하며 과학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여건도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Characteristics of good class that a teacher perceive can be different from the practice of clas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find implications about the practice of good science class by investigating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bout how much the practice of science class achieves about conditions of the good science class suggested in the traditional various studies and comparing it with each other. 194 teachers and 320 students at the Elementary School in Seoul, Kyunggi and Inchon regions were selected as a study object, and an examination tool was made by extracting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class through advanced study investigation and revising it in a questionnaire form of a Likert scale. Technical statistical amount of an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s was analyzed to find percep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and t-test was used to find the perception difference in between each group composed of the teachers and each group composed of the students, and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find the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ccording to the question item. As a result of the study, teachers generally perceived science class positively and teachers with career more than 6 years thought it more positively than teachers with career less than 5 years. As a result of viewing perception about detailed question items according to the lower level domain, they perceived student-oriented class management and textbook recomposition, and field experience learning related with science negatively and showed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other question items except them. When investigating a perception level of students, students have a substantially positive perception level about the practice of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and students of 3th and 4th grade perceived science class positively than 5th and 6th grade in all domains. If it is viewed according to the question item, students have negative perception about the recomposition of learning order and content and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like teachers. Also, students of 5th and 6th grade negatively perceived a little about enough experiment time provision and utilization of diverse teaching & learning methods. As a result of analyzing perception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bout the practice of the elementary science class, it was similar to have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science class generally, but it showed an opposite result that teachers perceive they have the leadership and students perceive they have the leadership peculiarly. Also, perception of students about praise and motive inducement of teachers about student activity and connection between learning content and real life is lower than teachers. However, it appeared that students perceived science class more positively than teachers in most questions except them. Teachers and students all perceived the recomposition of learning order and content and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negatively, especially, students perceived it more negatively than teachers. If the study result is generalized, teachers and students generally have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practice of elementary science class, but it appeared that textbook recomposition and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related with science are not well carried out.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study and training of teachers for professionalism improvement and perception change for textbook recomposition are necessary, and conditions for the field experience learning of science are needed to be prepared.

      • 비계설정을 통한 학습자의 언어적 비유 활동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주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비유를 지식을 구성하는 자연스러운 인지과정으로 보고 학습 정리 단계에 교사가 핵심단어를 선정하여 비계설정을 해주고 학습자가 그 핵심단어에 대하여 비유를 하는 활동으로 학습내용을 정리했을 때 과학 학업 성취도, 과학적 태도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 동안의 대다수의 비유 연구가 비유를 학습을 위한 수단으로 보고 그 효과 연구를 했다고 한다면 본 연구는 비유를 인지과정으로 보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했다. 이 연구를 위한 연구대상으로 경기도 소재의 초등학교 6학년 4학급을 실험집단, 3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고, 사전 검사 결과 두 집단이 동질 하여 사후 학업 성취도, 과학 태도에 대한 두 집단의 독립 t검정을 비교하여 비유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과학 수업은 연구자에 의한 변인을 통제하기 위하여 과학 전담교사가 진행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6학년 1학기 3단원과 6단원을 실험단원으로 연속 수업하였다. 실험집단의 경우 4단원에서 비유 연습을 하여 비유 방법에 익숙해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그 후 3단원, 6단원 학습에서 비유를 통하여 정리하고 발표하며 교사와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반면, 통제집단의 경우 3단원, 6단원 학습에서 실험관찰을 정리하는 활동을 하였다. 이렇게 실험단원을 마친 후 두 집단은 학업 성취도 검사, 과학적 태도,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한 달 후에 지속성검사를 사후 학업성취도 검사와 동형검사지로 검사하였다. 그 결과, 학생의 언어적 비유를 통한 정리활동 직후 과학 학업 성취도는 실험집단에서 다소 높게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유의한 차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약 한 달 후 실시한 지속성 검사에서는 실험집단의 여학생에서 유의하게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으며, 하집단에서도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비유가 단기기억보다는 장기기억, 전이 등에 효과적이라는 Curtis 등(1983)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였다. 반면, 학생이 비유를 통한 정리를 한 것이 과학적 태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며,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는 오히려 유의하게 부정적인 영향이 나타났다.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보인 것은 아이들이 글쓰기에 대한 선호도가 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특히 부정적으로 나타난 것 역시 남학생의 글쓰기 선호도가 여학생에 비해 낮은 것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었다 요약하면, 언어적 비유 활동을 정리 단계에 활용할 때 학생들의 자발적인 사고활동을 촉진함으로써 학업 성취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으나 글쓰기를 통한 정리 활동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었다. 과학에서 뿐 아니라 전 교과에서 글쓰기가 강조되고 있는 것과 상반되게도 아이들의 글쓰기에 대한 흥미도는 낮은 편이다. 따라서 아이들의 흥미를 높이면서 사고를 촉진할 수 있는 글쓰기 활동과 사고 과정으로서의 비유 활동을 조합한 효과적인 교수 방법에 대한 연구, 학생들의 사고 과정으로서의 비유 활동을 보다 흥미롭게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법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verbal analogy activities on science achievement and science attitude. Students consolidated lessons by making short sentences with core words that a teacher gave as scaffolding. Many researches about analogies have been conducted in science education. However, most of them considered analogy as learning tools, whereas this research considers analogy as a cognitive process. To see the effects of verbal analogy activities, two groups were selected from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Gyeonggi province; one was an experimental group that consolidated the lesson 3 and lesson 6 by the student-generated verbal analogy and the other was a control group that consolidated the lessons by teacher-centered and textbook-centered activities. Two groups were homogeneous before the experiment. To control the factors by a researcher, a science teacher took a charge of two groups. Science achievement, scientific attitude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retention were tested after the lesson 3 and 6 and they were taken statistics by t-test. As results of this study, the science achievement of an experimental group which consolidates lessons by student-generated verbal analogies was little higher than those of a control group but not significantly. However, girls of an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retention tests about one month later . Also, low achievement groups showed some differences in retention tests but not significantly. These results were the same a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of Curtis et al(1983) that analogy was more effective for long term memory and transfer than for short term memory. Unexpectedly consolidations by student-generated verbal analogy could not give significantly good effects on scientific attitudes and gave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s on attitudes toward science. These negative effects on attitudes toward science could be results from negative attitudes about writing. Especially boys' attitudes toward science were significantly negative,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low preferences of boys about writing. In short, when implementing student-generated verbal analogy activities in consolidation, the activities could show positive effects on retention by facilitating students' cognitive process. However, it could give negative effects on attitudes toward science. Even though education emphasizes logical writing, students have less interest in writing. Therefo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about effective mergers of student-generated analogy activities and writing. It is necessary to study more about various methods of analogy and presentation as interaction.

      • 개인 변인에 따른 초등교사의 초등과학수업 실행전문성 분석

        성승민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eachers' professionalism revealed through the level of work and process. For this study, professional performance test was modified based on Woo’s ‘framework for progression and learning i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practice’. Which included 6 elements such as ‘lesson plans’, ‘creating the learning environment’, ‘inquiry’, ‘conceptual understanding’, ‘practical application’, and ‘assessment’. Professional performance of elementary science teaching practice is divided into the level of quality of elementary teachers' science class, and teachers' professionalism about science teaching practice. Most of the existing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the effect of personal variables on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is study, a measuring tool was selected, and differences in professional performance depending on various personal variables, the effect of interaction among personal variables and the cause were analyzed. And then it conducted to 79 elementary teache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For the study, classification of multiple-choice and open-ended questions was carried out, and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thre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b-domains of professional performance according to teachers’ career, experience of training program, deciding method of exclusive subject and deciding method of exclusive teacher. But there was almost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ther personal variables, such as gender, elective subjects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undergraduate advanced courses, graduated major, exclusive science teacher career and science teaching method. For improvement of professionalism, continuous motive is needed along with training. Although scientific training is helpful in improving professional performanc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d provide various scientific training programs which are more effective. Giving priority to professionalism is effective to determine exclusive subject and exclusive teacher, but it isn't easy for teachers to be in charge of desired subjects in the field for many reason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rofessional performance depending on undergraduate advanced courses and graduate majors because teachers had different cognitions about and preferences for curriculum in university of education and management method. Professionalism in science class improves, when it is provided by teachers with high professional performance of elementary science teaching practice, not by exclusive teachers. The two-way ANOVA result of the effect among personal variables depending on professional performance of elementary science teaching practice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among most personal variables. In conclusion, there is a need to improve systems in the field by studying which effect they have on improvement of teachers' professional performance, and to develop various scientific training programs effective for professional performance. Moreover, teachers need to analyze actual scientific classes of other teachers that completed different undergraduate advanced courses and majored in different studies in graduate schools, and teachers' professional performance according to universities an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cultivate teachers professional in elementary science to form environment to teach elementary science continuously and to provide high-quality classes for students. Lastly, further study needs to re-examine the effect of interaction among personal variables and investigate the effect of personal variables on professional performance through analysis of actual classes. 본 연구에서는 교사가 실행하는 일의 수준과 과정을 통해 나타나는 교사의 전문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검사 도구는 우필희의 ‘초등교사의 과학수업 실행전문성 개발의 발달과 학습틀’의 검사 도구를 바탕으로 수정·보완 하였다. 실행전문성 검사 부분은 수업계획, 학습 환경 조성, 탐구, 개념이해, 실생활 적용, 평가라는 6개의 하위 요소로 구성되어있다. 초등과학수업 실행전문성은 초등교사가 실행하는 과학수업의 질적 수준과 과학수업 실행을 통해 나타나는 교사의 전문성으로 정의할 수 있다. 기존연구들은 개별적인 개인 변인이 수업 전문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국한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측정도구를 선정하고, 다양한 개인 변인에 따른 실행전문성의 차이와 개인 변인들 간 상호작용의 효과 여부와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초등교사 79명에게서 수집된 검사설문지 중에 실행전문성 검사문항은 통계 프로그램으로 분석되었다. 선택형·개방형 응답문항은 유목화하였고, 심층면담은 3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개인 변인에 따른 실행전문성을 분석한 결과, 교직경력, 과학연수 경험, 전담과목 결정방법, 전담교사 결정방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고, 성별, 대입지원 시 선택과목, 학부심화과정, 대학원전공, 과학전담경력 유무와 과학수업 교사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는 연수와 함께 지속적인 동기가 필요하다. 실행전문성에 과학연수가 도움이 되지만 더 효과적인 과학연수를 다양하게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전문성을 우선해 전담과목과 전담교사를 결정하면 효과적이지만, 현장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희망 교과를 전담하는 것이 쉽지 않다. 교육대학 교육과정과 운영방법 대한 인식과 선호도가 입장에 따라 달라서 학부심화과정 및 대학원전공에 따른 실행전문성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담이 과학수업을 하면 과학수업의 전문성이 높아지는 것이 아니라 초등과학수업 실행전문성이 높은 교사가 과학수업을 해야 과학수업의 전문성이 높아진다. 초등과학수업 실행전문성에 개인 변인들 간의 효과를 이원분산분석 한 결과, 대부분의 개인 변인들 사이에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현장에서 실시되는 제도들이 교사의 실행전문성 신장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연구하여 개선하고, 실행전문성에 효과적이고 다양한 과학연수를 개발해야 한다. 심화과정과 대학원전공이 다른 교사들의 실제 과학수업을 분석하고, 교육대학 및 교육대학원에 따른 교사의 수업 실행전문성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초등과학에 전문성있는 교사를 양성하여 이들이 초등과학을 지속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학생들에게 양질의 수업을 제공해야 한다. 연구 대상을 늘려서 개인 변인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어떠한지 다시 알아보고, 실제 수업분석을 통해서 개인 변인들이 실행전문성에 영향을 주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 과학적 의문 만들기 수업에서 생성된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문 분석

        이현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of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questions generated in scientific question making classes. It was conducted on 5th grade in S city focusing on the unit 2. Acid and Basi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and types of scientific question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ve studied through generating scientific questions in science classes, the number of scientific questions made by students increased as the number of sessions increased, and the types of scientific questions also changed to higher levels. Second, the generation patterns of the scientific questions of elementary students' were analyzed in order of [Pattern2] sequential, [Pattern1] single, [Pattern3] repetitive, [Pattern4] circulative, [Pattern 5] repetitive and circuative. In addition, as the session of science inquiry lesson increased, the students' scientific questionnaire generation pattern changed to a more complex and dynamic pattern than the previous sess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tudents' who changed through the question of making scientific questions, curiosity, openness, criticism, self - esteem and creativity of the sub - domains rose significantly as well as the overall score of scientific attitude. Finally, as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cientific questionnaire differed by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This suggests that the teachers need to make efforts to improve students' level of education and various grouping by gender and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적 의문 만들기 수업에서 생성된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S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74명이다. 연구는 2009 과학과 교육과정 5학년 2학기 2단원 ‘산과 염기’의 수업내용 중 4차시를 수업하는 동안 생성된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의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적 의문 만들기 수업을 통해 살펴본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문의 수와 유형을 분석한 결과 차시가 증가할수록 학생들이 만든 과학적 의문의 개수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과학적 의문의 유형 또한 수준 높은 유형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과학적 의문 만들기 수업을 통해 살펴본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문 생성 패턴은 [패턴2] 서로 다른 유형의 의문을 차례로 생성, [패턴1] 한 가지 유형의 의문 생성, [패턴3] 서로 다른 유형의 의문을 반복하여 생성, [패턴4] 서로 다른 유형의 의문을 순환하여 생성, [패턴5] 서로 다른 유형의 의문을 반복․순환하여 생성 순으로 많이 분석되었다. 또한 과학적 의문 만들기 수업의 차시가 증가할수록 학생들의 과학적 의문 생성 패턴이 전 차시보다 복잡하고 역동적인 패턴으로 변화하였는데 이는 과학적 의문 만들기 수업을 통해 초등학생의 과학적 의문 생성 패턴이 좀 더 높은 수준으로 향상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과학적 의문 만들기 수업을 통해 변화된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를 분석한 결과 과학적 태도의 전체적인 점수 뿐만 아니라 하위 영역 중 호기심, 개방성, 비판성, 자진성, 창의성 영역이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성별과 학업성취도별로 과학적 의문의 양상은 다르게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많은 노력이 필요하겠지만 과학적 의문 만들기 수업이 성별과 학업성취도별로 수준별 교육, 다양한 집단 편성 등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자아개념이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

        박휘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자아탄력성, 자아개념 및 실패내성을 비교해 보고,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에게 자아탄력성과 자아개념이 실패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 연구를 위해 인천 지역의 초등학교 단위학교 영재학급 학생 243명과 일반학생 239명, 총 482명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 자아개념 및 실패내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로 박은희(1997)가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 설문 문항과 고진영(2003)이 개발한 초등학생용 자아개념 척도 및 김아영(2002)이 개발한 학업동기척도에 포함된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Academic Failure Tolerance: AFT)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으로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자아탄력성, 자아개념 및 실패내성의 차이는 t-검증으로 비교하였고,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실패내성, 자아개념과 실패내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자아탄력성이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 및 자아개념이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자아탄력성을 비교한 결과 감정통제를 제외한 대인관계, 활력성, 호기심, 낙관성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모든 영역에서 영재가 일반학생보다 자아탄력적임을 나타내었다. 영재와 일반 학생의 자아개념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영재가 일반 학생보다 자아개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패내성에서는 행동, 과제수준선호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두 영역 모두 영재 일반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 영재가 일반학생보다 자아탄력적이며, 자아개념이 높고 실패내성이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실패내성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영재와 일반학생 모두 실패내성의 하위 요소인 감정에서는 낮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행동과 과제수준선호 영역에서는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영재와 일반학생의 자아개념과 실패내성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영재와 일반학생 실패내성의 하위 요소인 감정에서 매우 낮은 상관성을 보였으며, 행동과 과제수준선호에서 상관성을 보였다. 셋째,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자아탄력성이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았을 때, 영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자아탄력성의 영역 중 낙관성이 실패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일반 학생은 감정통제, 호기심, 낙관성이 실패내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초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자아개념이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았을 때, 영재와 일반학생 모두 자아개념의 하위 요소인 친구관계, 부모관계, 수학, 언어가 실패내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ABSTRACT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Self-Concept on Failure Tolerance in Scientifically Gifted and Regul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ui-won, Park Major in Science Gifted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go-resilience, self- concept and failure tolerance of gifted students and regular students and the impact of ego-resilience and self-concept on failure tolerance in the two group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482 selec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in the region of Incheon, who were 243 students in gifted classes and 239 regular students. They were tested on ego- resilience, self-concept and failure tolerance.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questionnaire items of Park Eun-hee(1997)'s Ego- Resilience Scale, Kho Jin-young(2003)'s Self-Concept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 and Kim Ah-young(2002)'s Academic Failure Tolerance(ALT) Scale that was part of her Academic Motivation Scale. As for data analysis, t-test was carried out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the regular students in ego- resilience, self-concept and failure tolerance,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utilized to look for connections between ego-resilience and failure tolerance and between self-concept and failure tolerance in the two groups. To find out the impact of ego-resilience on failure tolerance and the influence of self-concept on failure toleran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gifted students and the regular students in terms of ego-resilienc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vitality, curiosity and optimism, and that's not the case for emotional control. It showed that the gifted students were more ego-resilient than the regular students in every area. As for self- concep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ifted students and the regular students in every area. The gifted students were ahead of the regular students in that regard.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nly action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among the subfactors of failure tolerance. The gifted students were ahead of the regular students in both areas. The findings implied that the gifted students were more ego-resilient, had a better self-concept and were better at failure tolerance than the regular ones. Seco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ego- resilience and failure tolerance in the two groups, ego-resilience had a weak correlation with emotion among the subfactors of failure tolerance in both groups, and that had a close correlation with action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Whe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ir self-concept and failure tolerance were compared, self-concept had a very week correlation with emotion among the subfactors of failure tolerance in both groups, and that was correlated with action and task difficulty preference. Third, concerning the impact of ego-resilience on failure tolerance in the two groups, the failure tolerance of the gifted students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optimism among the subfactors of ego- resilience, and that of the regular student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emotional control, curiosity and optimism. Regarding the impact of self- concept on failure tolerance, relationship with friends, relationship with parents, mathematics and language that were the subfactors of self-concept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s on failure tolerance in both of the gifted and regular students. Keywords: ego-resilience, self-concept, failure tolerance, gifted students, regular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