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꽃잎을 이용한 도자촛대연구

        강희경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개인의 삶의 질이 향상됨에 따라 우리가 접할 수 있는 예술 문화에 대한 관심과 접근도가 가까워지고 있다. 도자공예는 예전과 달리 기술이라는 실용적인 부분에 바탕을 두었다. 그러나 현대에 와선 예술품으로 생활 안에서 접할 수 있고 곳곳에서 볼 수 있는 공간 작품으로 예술과 우리는 별개가 아닌 공동체로 어울려 살아가는 시대에 살고 있다. 그리하여 공간을 꾸미거나 장식할 수 있는 오브제들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 그런 다양한 장식품들은 각자 사람들의 취향에 맞게 선택될 수 있고 작가의 영감을 받아 만들어진 제품도 있으며 그것의 형태는 무궁무진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자연의 식물 중 하나인 꽃에 흥미를 가져 그 꽃들이 가진 부드러운 형태와 곡선을 이용하여 꽃잎의 형태를 이용한 오브제 촛대를 연구하였다. 꽃은 식물 중 다양한 색과 향기, 아름다운 형태로 오랫동안 우리 곁에서 기쁨과 슬픔을 함께 나누는 특별한 존재이다. 각각의 꽃들이 가진 화관의 형태는 다 다르며 그들이 가진 생태적 특성도 가지각색이다. 이러한 특징들이 연구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며 다양하고 아름다운 각자 꽃들의 꽃잎을 보고 꽃잎이 가진 아름다움을 촛대에 표현하여 단순하고 한정적인 촛대 형태가가 아닌 심미성이 부합된 꽃잎 오브제 촛대로의 역할을 가질 수 있도록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단순한 촛대의 기능과 단일적인 형태로의 디자인이 아닌 자연적인 아름다움의 꽃에서 모티브를 얻어 연구자가 선택한 꽃들이 가진 꽃잎을 가져와 확대, 반복하여 부피감 있는 형태의 오브제 촛대를 도자 조형화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그에 따른 꽃의 구조와 종류를 관찰하고 촛대가 가진 역사와 구조적 특징을 이론적 바탕으로 파악하여 제시하고 연구하였다. 본 작품의 조형과정에 있어서는 꽃잎은 평면적이고 얇은 면을 가지고 있기에 그것을 촛대로 보여주기 위하여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았다. 일단 꽃잎을 부피감 있게 표현하고자 하여 면과 면이 서로 만나 그것들이 한 형태를 이루게 하고, 꽃잎의 얇고 곡선적인 날렵한 부분은 모서리의 선으로 표현하였다. 또한 꽃은 다양한 색을 가지고 있지만 위의 조형과정으로 보았을 때 면과 모서리의 경계가 확실하게 보여 지고 전체적인 형태가 색으로 인해 묻히지 않도록 색유를 쓰지 않고 투명유 혹은 빛의 투광으로 반사되어 선이 보이지 않는 곳은 무시유로 표현하였다. 단순한 형태가 아닌 유동적인 형태를 가진 꽃잎의 곡선이기에 흙으로 자유롭게 형태를 만든 후 캐스팅으로 제작하는데 용이하였으며 그렇게 뽑아낸 형태들은 꽃의 종류에 따른 꽃잎마다 다 다른 형태를 가져 시각적으로 다양하게 보여준다. 그렇게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꽃의 따른 촛대의 형태를 자유롭게 보여주며 생활 속에서 장식적인 요소로도 표현되는 오브제로서의 도자 조형 촛대 개발에 의의가 있으며 각자 꽃이 가진 형태들의 꽃잎을 시각적으로 극대화하여 보여주며 촛대와의 결합으로 재구성하였다. 또한 현대사회에서 오브제로서의 역할과 기능적인 제품으로의 의미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여 도자 조형 촛대의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Ceramics and crafts have changed from time to time, and many decorative products in the form of objects are produced and seen, which are said to be works of art other than those used in actual use in real life. In line with the trend of modern ceramics, he tried to create an object that combines usage and aesthetics. The candlestick, which was once used solely for lighting purposes, is seen as a more decorative object than today's. Researchers are also interested in the soft and free lines of beautiful flowers in nature, expressing various forms of features depending on the type of flower, and are trying to promote research that combines them with the use of a candlestick to match its aesthetics but also has a role as the use. As for the research content, the characteristics of various petals depending on the type of flower are grasped and studied, and the lines of petals are expressed by repeating, harmonizing, and maximizing balance. Various attempts were made to shape the image of petals with candles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candlesticks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e candlestick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Since it is not a simple candlestick structure but a flower petal-shaped candlestick, it was carried out with emphasis on various deformations and free expression of curves. The flowers he brought were ten different types: lotus flowers, moclin, kara flowers, morning glory, lily, kara flowers, chrysanthemum flowers, suzulan, kunjalan and kara flowers. The flowers in front have strong features in their own shapes, and they can maximize the size of the candlesticks with different from each other. It is not in the shape of a thin petal, but in an exaggerated way to give a sense of volume and a large mass. According to such research,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candlesticks in various forms of petals, the line of petals can be well expressed through work not limited to slip casting in the working method, and the use of the candlestick matched the aesthetic and expressed as an object having the form of petals, and as a result, the development of ceramic candlestick crafts can be expected.

      • 물결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도자 화기(花器) 제작 연구

        이다은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자연은 우리가 살아가는데 없어서 안 될 존재이다. 자연은 인간의 삶과 환경을 끊임없이 변화시킨다. 이로 인해 우리는 자연으로부터 무한한 자극을 받기도 하며 수많은 자연현상과 함께 생활을 영위해 나아가면서 인간의 미의식은 물론 예술적 조형 활동으로도 많은 영감을 준다. 또한, 현대에 이르게 되면서 우리는 무한한 경쟁 속에서 치열하고 바쁘게 살아간다. 이러한 현대생활 속에서 인간의 정신은 나날이 지쳐가고 정서적으로 불안감에 휘둘리기도 한다. 사람들은 도시화된 생활 속에서 벗어나 자연으로 돌아가 휴식함으로써 마음의 안정과 정신적 치유를 받고자 하는 마음이 늘어나고 있다. 이렇듯 자연은 치유의 터전으로 휴식의 공간이며 마음의 안정을 제공해 주는 역할을 한다. 자연의 일부분의 하나인 물은 우리와 함께하며 살아가는데 꼭 필요한 존재이다. 바다는 물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바다에서 일어나는 물결의 율동적이고 유연한 곡선은 심리적으로 편안함과 감정적 안정감을 주며 무한한 상상력과 즐거움을 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수많은 자연현상 중에서 일렁이는 물결의 모습을 관찰하여 물결의 리듬을 자연스럽고 절제된 곡선이나 자유롭고 변화가 많은 유연한 곡선으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상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고 자연과 가까이 할 수 있는 꽃을 생각하여 꽃의 생명력을 연장시켜주는 화기(花器)를 주제화하였으며, 화기의 기능적 측면으로써 실용성을 갖추기도 하고 실내 공간 속에서 장식적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도자 화기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물결의 모습을 보고 연구자의 주관적인 시각으로 물결의 율동감, 반복적인 리듬감, 선의 흐름이나 방향성을 통해 물결의 다양한 변화를 조형적으로 구체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불어 변화로 인한 유동적인 물결의 곡선을 화기의 기능적 쓰임과 장식적인 오브제로 도자 작업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연이 주는 심리적인 안정감을 현대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도록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물결의 조형적 특성, 화기의 개념과 종류, 그에 따른 특징을 이론적 배경으로 파악하여 제시하고 연구하였다. 물결의 모습을 화기로 제작하기 위해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다양한 시각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았으며, 모든 물결은 곡선으로 이루어져 있음으로 곡선을 사용하여 물결의 율동미를 입체감 있게 표현하였다. 더불어 물결이 화기의 형태와 잘 어울리도록 고려하여 제작하였으며, 유동적인 물결을 표현하기 위해 흙으로 형태를 만든 후 석고를 사용한 이장주입성형 기법을 이용하여 물결의 다양한 형상을 보여주고자 하였다. 물결의 곡선형태가 색으로 인해 묻혀서 보이지 않는 것을 유념하여 색유를 쓰지 않고 형태에 따라 투명유와 무시유를 하여 물결의 깨끗한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를 통해서 다양한 물결의 형태를 모색하고 조형적으로 연구하여 물결의 지닌 특성을 연구자의 심상을 통해 다양한 해석과 의미의 측면에서 바라보고 개성을 표현하였다. 또한, 현대 화기의 쓰임에 있어서 기능적인 역할과 더불어 오브제로도 충족시킬 수 있는 도자 화기 표현의 영역을 확대하고자 한다. Nature is essential for human-beings. Nature changes their lives and the environment constantly. Hence, humans are indefinitely stimulated by nature and live their lives with numerous natural phenomena. Moreover, nature inspires not only human beauty but also artistic sculptural activities. In the modern society, people live busily with unlimited competition, and their spirits become exhausted and emotionally discomforted day by day. People seek their healing mind by moving away from the urbanized life and feeling settled and rested with nature. As such, nature plays a role of the resting place and serving peace of mind. Water, which is part of nature, is essential to life. The sea is related to water closely, and the peaceful waves provide psychological comfort and stability. Also, the waves give us unlimited imaginations and joys. Therefore, I would like to observe the appearance of the waves among numerous natural phenomena to express the rhythm of the waves as the natural and restrained curves or liberal flexible curves with many changes. I also thought of flowers that were easily accessible in our daily lives, close to nature. Thus, the vase that extends the vitality of the flowers was selected as a theme with the wave. This study was aimed to show the beauty of rhythm highlighting the curves from the movement of waves, satisfy the emotional comfort of nature by putting the flowers around them, and produce the ceramic vase that had the desire of beauty of the modern people and practicality. In the process of the artwork creati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waves were investigated; the rhythms of the waves were repeated, arranged, and reorganized based on them; and the fine lines were expressed to observe the unlimited movements of the waves by shaping them with my own subjective viewpoints. In addition, after examining the functional usages,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vase, the ceramic vase was produced that could be used not only for the container of flowers but also the decoration element for interior accessories. I could work more deeply because I produced the vase considering not the design of the images with the waves only but their usages. The vase was organized with a stable and three-dimensional form overall and designed using the rhythmic curve of the wave. The technique of slip casting was utilized to show the image of the waves, effectively. Colored glaze was not used to express the clean and smooth curved images of the waves. In conclusion, my study reconfirmed that nature gave us unlimited creative potential; any objects could be used as the materials of artistic expressions; and a variety of artworks could be created by the subjective viewpoints of the artists. It is anticipated that my study outcomes could assist the modern people to feel and sympathize nature in their weary lives and to give them psychological comfort and emotional stability. Also, I would like to open up the potential to expand the expressions of artworks with the formative elements in this study.

      • 야생화를 주제로 한 도자 접시 연구 : 밀피오레 기법을 중심으로

        김기현 경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인간과 자연은 오랜 세월동안 조화와 균형을 이루면서 공존해왔다. 자연은 보이지 않는 질서 속에서 끊임없이 변화한다. 자연의 모든 생명들은 유구한 세월 동안 생존을 위한 적응과정에서 스스로 진화하고 조화롭게 균형을 이루며 존재해왔다. 이런 자연물중 산과 들에서 자생하는 야생화는 고운 빛깔의 예쁜 꽃들을 끊임없이 피워낸다. 작고 여린 모습을 하고 있지만 생존을 위해 많은 꽃을 피워내는 야생화는 자연에서 흔한 존재이다. 우리는 그 여린 모습으로 오랜 시간동안 인내하고 다듬어 지면서 척박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크고 화려한 꽃보다는 작지만 많은 꽃을 피워내는 야생화에서 소박한 아름다움과 더불어 생존을 위한 강인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인간은 누구나 과거의 경험과 추억을 가지고 있다. 다양한 삶의 경험은 좋든 싫든 자신의 내면에 깊이 자리하고 있으며, 그 중에 좋은 기억들은 현실이 갑갑하고 힘겨울 때 문득 돌아 볼 수 있는 소중한 추억이 된다. 이렇듯 어린 시절의 경험과 추억들은 현재의 생활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눈에 띠게 화려하진 않지만 고운 빛깔과 작고 소박한 모습의 야생화는 어린시절에 경험들 중에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래서 지금도 내 기억 속에 소중하게 자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나의 어린시절의 경험들 중에 좋은 추억으로 기억되는 야생화를 주제로 하여 우리생활 속에 공예품 중 다양한 용도로 많이 쓰여 지고 있는 접시를 만들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야생화를 자세히 관찰하고 자연과 함께한 즐거웠던 과거의 시간들을 회상하면서 자연과 함께할 기회가 줄어든 현재 삶에 위안을 줄 수 있었으면 하는 바람을 갖게 되었고 바람과 더불어 단지 음식을 담기위한 단순한 도구가 아닌 미적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접시를 제작 하고자 한다.

      • 테트로미노를 모티브로한 도자조형 연구

        안소라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연구자는 본 연구논문을 통해 평소 도자 조형에서 느껴왔던 정적인 형태와 배치로 인한 딱딱함을 탈피해 동적이며 다양한 배치가 가능한 조형을 제작하고자 한다. 동적인 배치를 가능케 하 기 위해서는 그 요소가 분리, 조합이 가능해야 하고 구와 같은 불안전함을 배제해야한다. 이러한 조건에 부합하는 매체를 고찰하던 중 건축물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건축물들은 안정성을 우선시하기 때문에 형태적으로 안정되어있고 공간을 구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공간예술이라고 불리어지며 예술성 이 뛰어난 건물들이 많다. 특히 연구자는 중국 베이징에 있는 ‘마이크로 하우스’라는 건축물에서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독립된 형태의 컨테이너가 모여 하나의 공동체를 이루는 형태로 건물이 분리가능한 모양으로 지어져있다. 본 연구자는 여기서 테트로미노라는 요소를 뽑아내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도자에 적용하였다. 테트로미노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고전게임 테트리스에서도 잘 활용되어지는데 테트리스 게임은 일정한 공간의 틀에서 단순한 형태를 변화와 배치를 게임의 기본 조작으로 이용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테트로미노는 기존의 딱딱하고 어려운 수학적 용어 또는 도형적 용어보다는 재미있고 친숙한 '테트리스'로 알려져 인식의 전환을 이루었다. 따라서 테트로미노는 구조적, 형태적 특성뿐 만아니라 사람들에게 재미있고 친숙한 성격을 띠어 차별성이 존재하는 독특한 조형이라고 할 수 있다. 테트로미노를 활용한 다양한 배치와 색의 조합은 광원의 색과 각도 또는 관찰자가 관찰하는 시각, 감정에 따라 각기 다른 의미로 받아들여 질 수 있으며 다른 해석을 가능케 한다. 또한 따라오는 유희적 요소는 현대인의 감성을 자극하고 지친 정신을 유연하게 풀어주는데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작품에 비해 긍정적 해석의 여지가 많다. 본 연구자는 테트로미노 형태의 다양성과 공간 활용 특징을 살려 작품에 적용 하고자 했으며 도자조형과 오브제, 타일을 통해 그 성격을 각기 달리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로써 작품은 각각 주변 도형과의 영향 확대, 조화, 배치를 통한 작품 공간의 확대의 부수적 효과를 살렸다. Through this research, the researchers try to produce a model that can be dynamically and variously arranged by moving away the hardness due to the static form and arrangement which have been felt in usual ceramic molding. In order to enable dynamic deployment, the elements must be able to be separated and combined and exclude instability such as spheres. I was interested in architecture while considering media that meets these conditions. Because buildings are stable in shape and stable in shape, they are called spatial arts because they are space-forming, and there are many buildings that have excellent artistry. In particular, the researcher was influenced by the 'Micro House' in Beijing, China, where the buildings are separated into separate communities. This researcher extracted the element called tetromino and used it to apply it to ceramics Tetromino is well utilized in the classic game Tetris that we commonly know. The Tetris game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simple forms are changed and arranged in a certain space frame as the basic operation of the game. Because of this feature, Tetronic has become known as "Tetris", which is more fun and familiar than conventional hard and difficult mathematical or graphic terms, and has made a turning point in recognition. Therefore, Tetronic does not only have struc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but also has a unique and interesting character, which is unique to people. The combination of various arrangements and colors using tetromino can be taken in different meanings depending on the color and angle of the light source, the time and the emotions observed by the observer, and other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Also, since the amusing elements that follow can stimulate the emotions of modern people and help solve the tired minds flexibly, there is more room for positive interpretation than other works. The present researcher tried to apply the characteristics of Tetronico to diversity and space utilization, and tried to represent different characters by using ceramic molding, objects, and tiles. Thus, the works have benefited from the incidental effect of expanding the space of works through enlarging, harmonizing and arranging effects with surrounding figures.

      • 自己 성장과 성숙을 주제로 한 도자조형 연구

        최지희 경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과거에 비해 사회전반적인 분야가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우리의 생활은 다양한 문화적, 물질적 풍요 속에서 그 혜택을 누리며 살아가고 있다. 하지만 산업의 발달은 우리를 육체적 노동으로부터 해방시켜 생활의 편리성은 높였으나, 정신적인 빈곤은 가속화 시켰다. 물질적 여유를 위해 정신적 성숙은 등한시하였으며 이는 변화하는 사회 속에 적응하기 위한 하나의 생존방법으로써 그 속에서 삶의 목적과 방식에 대해 성찰해보는 것은 철지난 유행처럼 생각되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삶의 목적과 방향에 대해 묻고 그 방법을 찾아 조형적인 언어로 공감대를 형성함으로써 정신적 삶의 질을 높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론에서는 철학적으로 존재의 목적에 관한 개념에 대해 서술하였고, 삶의 방향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자기실현을 제시하였다. 자기실현이란 단어는 우리에게 익숙하면서도 그 방법에 대해 생각해보면 개념이 모호해지며, 이유에 대한 질문은 쉽게 답을 찾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쉽게 알듯 하면서도 정리되지 않았던 자기실현에 대한 개념을 성장과 성숙이라는 과정으로 나누어서 왜 자기실현을 해야 하는가 하는 자기실현의 필요성과, 실현 과정의 어려움과 이를 인정하고 시도하는 것이 자기실현의 과정이라고 파악하여 자기실현의 본질에 관해 서술하였다. 이러한 주제를 표현하고자 수생(水生)식물로서 수매화의 일종인 나사말의 수분(水粉)과정에서 영감을 얻어 성장과정을 스탠드 형태로, 성숙과정을 모빌형태로 제작하였으며 주로 핀칭 기법을 활용하여 4-5개의 조각이 하나의 형태를 이루도록 작품을 구성하였다. 본인은 연구를 통해 현재의 나에 대해 돌아보는 기회를 가졌으며, 주저하고 있는 문제들을 직면하면서 그동안 피하려고 애썼던 모습에 대해 반성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따라서 흙이 하나하나 쌓여 작품이 완성되는 것을 보고 자기실현의 과정에서 오는 노력의 흔적과 동일시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자기실현의 두려움을 극복할 용기를 보태고자 한다. 또한 그것이 모여 나중에 전체를 이루는 열매의 형태가 되는 작품을 통해 자기실현을 통한 삶의 목적과 행복을 찾아가는데도 작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 Diagnostic accuracy and prognostic relevance of immunoglobulin heavy chain rearrangement and 18F-FDG-PET/CT compared with unilateral bone marrow trephination for detecting bone marrow involvement in patients with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김미희 전남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DLBCL), bone marrow involvement (BMI) has an important clinical implication as a component of staging and International Prognostic Index.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whether molecular analysis of immunoglobulin heavy chain (IgH) genes and 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 (PET/CT) could overcome the limitation of defining morphologic BMI by trephination biopsy and could increase the diagnostic accuracy or prognostic prediction. A total of 94 de novo patients with DLBCL underwent PET/CT,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test for detection of IgH gene rearrangement, and unilateral bone marrow (BM) trephination at diagnosis. A total of 9 patients (9.6%) were confirmed to present morphologic BMI (mBMI) based on trephination biopsy. On the other hand, 21 patients (22.3%) were confirmed to have IgH clonality (IgH BMI), while 16 (17.0%) were classified with BMI based on the assessment of PET/CT (PET BMI). Each IgH rearrangement PCR and PET/CT showed the high negative predictive value of detecting the BMI. However, the combined assessment of IgH rearrangement and PET/CT could increase the diagnostic accuracy and specificity with 87.2% and 97.0%, respectively. The survival outcome of patients with double positive PET BMI and IgH BMI was significantly worse than that with either single positive PET BMI or IgH BMI, and even less than patients with neither PET BMI nor IgH BMI (3-year PFS: 50.0% vs. 75.4% vs. 97.9%, P = 0.007, 3-year OS: 50.0% vs. 75.6% vs. 80.1%, P = 0.035, respectively).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combined evaluation of PET/CT and IgH rearrangement could give additional information for predicting therapeutic outcomes in patients with negative morphologic BMI as an important part of the prognosis. 미만성 거대 B 세포 림프종에서 골수 침범은 병기 결정 및 국제 예후 지수(IPI)의 구성 요소로서 중요한 임상 의미가 있다. 이 연구 목표는 면역글로불린 중쇄(IgH) 유전자 및 PET / CT의 분자 분석이 골수 생검에 의한 형태 학적 골수 침범의 한계를 극복하고 골수 침범의 진단 정확도 및 예후 유의성을 높일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94 명의 de novo DLBCL 환자에서 PET/CT, IgH 유전자 재배열 검출을 위한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 골수 생검을 시행했다. DLBCL 환자 94명 중 9명(9.6%)은 골수 생검을 통해 형태학적 골수 침범(mBMI)이 있었다. 21 명의 환자 (22.3 %)는 IgH 유전자 재배열 PCR을 통해 IgH 클론성(IgH BMI)을 확인했고, 16명(17.0 %)은 PET/CT 결과를 기반으로 골수 침범을 확인했다. IgH 유전자 재배열 PCR 과 PET / CT를 통합했을 때 97.0 %의 특이도와 87.2 %의 진단 정확도가 향상됐다. PET BMI와 IgH BMI가 결합된 환자의 생존율은 PET BMI 또는 IgH BMI가 있는 환자와 PET BMI 또는 IgH BMI가 없는 환자보다 예후가 나빴다. (3년 PFS : 50.0 % vs 75.4 % vs 97.9 %, p = 0.007, 3년 OS : 50.0 % vs 75.6 % vs 80.1 %, p = 0.035). 이 결과는 형태학적 골수 침범이 음성인 환자에게서 PET/CT와 IgH 재배열 PCR 검사를 통합했을 때 추가적인 골수 침범을 진단하여 불량한 예후를 예측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합한 진단 기술은 골수 침범을 예후의 중요한 임상 인자로 결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물의 이미지를 이용한 도자 조형 연구

        박정나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considers water shortages caused by environmental pollution, global warming, population growth and waste, and explores the nature of water and its image in real life. Based on this research, we are planning to produce ceramic sculptures that express the organic images of water, and convey the message that the most common is the most precious. Prior to his research on the environment and nature, the researcher was able to find a wide range of observation subjects in the air, from water to fire to soil to light. Among them, they wanted to study what is most closely related to soil : water, which is biologically essential to life growth and metabolism. It is already known that 71 % of the Earth's surface, about 60 % of the body, and most of the cells are composed of water, and water shortages are a problem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he survival of the entire human body and must be overcome each year. The United Nations, an NGO, is constantly building solutions and campaigns to tackle water shortages, but there are still 1.6 billion people in Africa who are suffering from water shortages. Also, the nation is no longer immune to pollution, warming, population growth and water shortages caused by rapid industrialization. Given the ratio of the amount of water that can be supplied to the country, Korea is a country that consumes more water than it does. Based on this reason, we have studied water, which is more basic than water flows, friction, waves, waterfalls, and vortexes. Based on the organic image of water that was re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this researcher, I would like to propose a contemporary ceramic sculpture with artistic and functional features. 본 연구에서는 환경오염, 지구 온난화, 인구 증가와 낭비로 인한 물 부족 문제를 생각하며, 실생활에서의 ‘물’의 성질과 ‘물의 이미지’를 탐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물의 유기적 이미지를 표현하는 도자 조형물을 제작하여, ‘가장 흔한 것이 가장 귀한 것’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환경과 자연을 주제로 한 연구 활동에 앞서, 공기에서 물, 불, 흙, 빛까지 다양한 관찰 대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 중 흙과 가장 밀접하게 연관되어있는, 생물학적으로 생명의 증식과 물질대사에 필수적인 ‘물’이라는 대상을 연구하고자 했다. 지표면의 약 71%, 체내의 약 60%, 세포의 대부분이 물로 이루어져있다는 점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며, 물 부족 문제는 전 인류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이자 매년 극복해야할 거대한 과제로 강조되고 있다. 국제연합(UN), NGO에서 물 부족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과 캠페인을 지속적으로 구축하고 있으나, 여전히 전 세계 인구의 4분의 1에 해당하는 16억 명이 물 부족 지역에 살고 있으며 아프리카에만 무려 10억 명이 물이 부족하고, 그마저도 오염된 물로 고통 받고 있다고 한다. 또한 급격한 산업화로 인한 오염, 온난화, 인구 증가와 낭비로 인한 물 부족 문제가 우리나라에도 더 이상 예외는 아니다. 나라에 공급가능한 물 중 얼마나 많은 양의 물을 소비하는 가의 비율을 참고했을 때, 한국은 공급량에 비해 소비량이 높은 물 부족 국가라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를 바탕으로 ‘물’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고, 물의 흐름, 마찰, 파도, 폭포, 소용돌이 현상보다 더 기본적인, 우리 생활과 밀접한 ‘떨어지고 맺혀있는’ 현상, ‘물방울’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자의 시선으로 재해석한 물의 유기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예술성과 기능성을 갖춘 현대 도자 조형의 모습을 제안하고자 한다.

      • 석순의 이미지를 이용한 도자 조형 연구

        김대현 경기대학교 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Starting in 1960, Korean ceramics techniques developed rapidly as the Korean people's living patterns and values changed as Korean industries developed rapidly. However, the opportunity for the people to become closer to nature has been relatively reduced compared to the present advanced technological skills and productivity. In response, ceramic artists have begun to focus on producing pottery that can be meaningful in terms of individual individuality and story solving, breaking away from the monotonous and undistinguished industry. However, while there are a variety of works that can reveal a person's individuality, the researcher has decided to produce works based on the nature of the Republic of Korea, not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Nature is consumed by humans, but there are times when nature stays the same unless it is consumed by humans. Among them, the only thing to notice is inside a cave that keeps its natural condition without harming humans. Inside the cave are ' stalactites ', ' stalagmites ' and ' stone pillars ' that are naturally created. Caves exist as limestone, and limestone reacts with water where carbon dioxide is dissolved to form calcium carbonate. Calcium carbonate dissolves in water and decomposes with carbon dioxide. As such, a large part of nature formed by the overlay of nature, and thus a visual image of " overlap " was used to represent stalagmites. In the history of mankind, pottery was originally made with " soil " and " water " and " fire " from nature, and the method of making is more native than the current technology, but the most basic materials and human beings. The study produced a sculpture with the motif of " conservation of nature, " which could affect mankind, to protect nature and to give a good message to future generations. 1960년도를 시작으로 대한민국의 공업이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사람들의 생활 패턴과 가치관이 달라짐으로써 한국도자의 기술도 그에 발맞춰 빠르게 발전하였다. 그러나 발전된 현재의 기술력과 생산성에 비해 사람이 자연과 가까워 질수 있는 기회는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에 반응하여 도예 작가들은 천편일률적이고 개성 없는 산업도자에서 벗어나 개인의 개성을 담고 스토리를 풀어 나갈 수 있는 의미 있는 도예작품 생산에 주력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개인의 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작업은 다양하지만 본 연구자는 개인의 개성이 아닌 자연을 모티브로 한 작품을 제작하기로 하였다. 자연은 인간에 의해서 소비되지만 인간에게 소모되는 자연이 아니면 태초의 자연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있다. 그것들 중에 눈여겨 볼 것은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으면서 자연 상태를 유지하는 ‘동굴’ 내부에 있다. 동굴 내부에는 자연적으로 생성된 ‘종유석’과 ‘석순’ 그리고 ‘석주’가 존재한다. 동굴은 석회암으로 존재하며 석회암은 이산화탄소가 녹아 있는 물과 반응하여 탄산수소칼슘이 된다. 탄산수소칼슘은 물에 녹아 흐르다가 이산화탄소와 분해되며, 탄산칼슘으로 침전하여 석회 동굴에 석순, 종유석, 석주 등을 만든다. 이처럼 자연의 중첩으로 거대한 자연의 한 부분을 형성 하므로 ‘중첩’이라는 시각적인 이미지를 이용하여 석순을 표현 하였다. 본디 인류의 역사상 도자는 자연에서 얻어온 ‘흙’과 ‘물’과 ‘불’로 제작되기 시작하였고 제작 방법은 현재의 기술보다 토속적이지만 가장 기본이 되는 재료들과 사람의 손을 이용한 제작방법으로 인류 역사상 가장 자연과 친밀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자연의 보존’ 을 모티브로 인류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조형 작품을 ‘흙’으로 제작하여 관람자에게 자연을 보호하고 나아가 후손에게 좋은 환경을 남겨주자 라는 메시지를 전하는 것이 목적이다.

      • 다발성 골수종 환자에서 초치료로 신규항암약물 투여 환자의 초기 사망률

        조민석 전남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Although the introduction of novel agents improved the survival outcomes in patients with multiple myeloma (MM), some patients died within less than one year (early mortality, EM) after the diagnosis. In this study, I evaluated the EM rate, and investigated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EM in patients with MM. Retrospective data for 233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frontline novel agent-containing regimen were analyzed. The EM rate was 11.2%, and the most common cause of EM was infection, especially septic shock with pneumonia. In multivariate analysis, the high score of Age-adjusted Charlson Comorbidity Index (ACCI) (≥ 4) and thrombocytopenia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EM. Presence of none, one, or two factors was associated with a 7.8%, 23.5%, or 46.1% risk of EM (P < 0.001). The median overall survival (O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presence of these factors (62.9 months in none vs. 23.5 months in one vs. 14.4 months in two, respectively, P < 0.001). In conclusion, the high score of ACCI (≥ 4) and thrombocytopenia was strong predictor for EM in post-novel agent era and this data may be helpful to manage patients with MM for longer survival.

      • 도자 가구 미니어처 연구

        박선아 경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인간은 태어 날 때부터 많은 사람과 사물에 부딪히며 살아간다. 사람이 살아간다는 것은 욕구를 해소하는 과정의 연속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를 우리는 삶이라고 한다. 사람이라면 당연히 사회적 본능인 지배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지배·피지배 관계의 삶을 살게 된다. 하지만 개인마다 지배욕의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해소하는 방식도 각기 다르다. 본 연구를 통해 숨겨져 있는 자아의 본능적 욕구를 탐구 하고, 그 지배욕을 해소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였으며, 또한 진정한 휴식의 의미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자는 ‘토우’나 ‘돌 하우스’와 같이 일상에서 크기가 작다고 대충 보아 넘기기 쉬운 미니어처의 유형과 의미를 재조명하고, 보다 나은 사회를 위해 미니어처의 중요성을 밝히고 싶었다. 또한 미니어처가 신앙적 상징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특히 가구 미니어처 작업을 선호하게 된 것은 가정을 꾸리고 싶은 20대 후반의 여성으로서 충분히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소재였기 때문이다. 어릴 때 내가 소꿉놀이를 하던 시절과 마찬가지로 미래의 안정된 가정을 가지고 싶은 욕구는 가구 미니어처 작업을 통해 해소된다. 인간은 대체물을 통해 욕구를 해소함으로써 휴식을 얻게 된다. 이장주입을 통해 만들어진 깨끗한 표면에 화려한 꽃이 그려진 가구 미니어처는 작가가 아름다움을 선호하는 여성임을 암시해 준다. 재료의 특성 때문에 각진 가구를 표현 할 수는 없었지만, 오래되어 손때 묻은 것과 같이 정감 있는 느낌을 표현하기에 흙이라는 재료는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본인은 이렇게 미니 인테리어를 구성하면서 사회에 주어진 질서의 틀에서 잠시 일탈의 순간 느끼게 되었고, 가구 미니어처 작업을 통해 내면에 지배욕을 반성하고, 대체물을 이용한 대리 만족이라는 효과적인 욕구 해소 방법을 찾으면서 삶의 즐거움과 미래 지향적인 태도를 갖게 되었다. 내가 하는 미니어처 작업은 즐겁게 사는데 목적이 있고, 행복한 삶을 위한 도구일 뿐이다. 사람들이 자신의 위치에서 무리한 욕심을 부리기보다는 겸손한 자세로 적절히 욕구를 해소하면서 살아가는 것도 하나의 삶의 방식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모두가 즐길 수 있는 미니어처가 편안한 문화로 자리 잡길 원하며, 공감하는 사람들의 삶이 행복해 지는데 조금이라고 보탬이 되길 바란다. From the moment of their birth, people encounter hundreds of objects and countless other human beings. To live is to continue fulfilling one's desires; a process which we call 'life'. As a social instinct, everyone has the urge to control. Therefore people live their lives in relationships sometimes gaining control, or being controled by. However, the ways to resolve such urge are varied, for each individual has different degree of desire. This research focused on finding and studying the hidden desires of ego and discovering the ways to solve them, trying to suggest a mentally composed life to the readers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I looked into the types and meanings of miniatures, trying to unveil their importance which is so easily overlooked because of their small sizes. through such attempts I also found out that miniatures are related to religious symbolism The reason I preferred working on furniture-miniatures was because, as a woman in her late twenties who wants to start a family in near future, it was most likely for me to be interested in furnishings. Just like a child would dream of a future home, the same desire to be settled in an ideal family is still within, making me play house even today. A splendid flower drawn on the smooth surface of a furniture-miniature made with casting process gives a hint that the artist is a female who is keen on creating beauty Clay is an ideal material for expressing the sentiment of old and washed out furniture, although it might not be suitable in expressing edgy feelings. While designing such mini-interior, I could feel a sense of freedom from the regulations of society. Also, it provided a chance to look back at my inner desire and to find an effective solution to resolve it: alternative satisfaction. By finding such way to deal with inner desire, I could also find happiness and get future-oriented attitude. My work on miniatures has its purpose on living joyfully. It is only a tool for making a happy life To live with modesty, adjusting one's desire along the way rather than to live with excessive desire, would be a better way of living through the miniature works, I hope to see the world with a wider view and find peace of mind, thereby keeping my composure in life I hope that miniatures would become a cultural phenomenon enjoyable the public, and would help making those who sympathize hap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