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고등학교 청소년의 신체에 대한 수치심과 섭식태도의 관계 :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최서연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중․고등학교 청소년의 신체에 대한 수치심과 섭식태도의 관계 :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최 서 연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학교상담전공 본 연구는 중, 고등학생의 신체수치심, 자기자비와 섭식태도의 관계를 알아보고, 신체수치심과 섭식태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교 청소년의 성별․학교급에 따라 신체수치심, 자기자비, 섭식태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신체 수치심은 섭식태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셋째, 자기자비는 신체에 대한 수치심과 섭식태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가? 연구의 대상은 강원도 C시 남녀공학 중학교 3곳과 고등학교 2곳의 1, 2학년 학생 688명을 대상으로 신체 수치심, 자기자비, 섭식태도에 대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질문지 중 응답이 누락되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질문지를 제외한 679부의 질문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변량분석(분산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회귀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측정도구는 신체 수치심을 측정하기 위해 Mckinley와 Hyde(1996)가 제작한 객체화 신체의식(Objectified Body Consciousness) 척도를 김완석 등(1997)이 한국판 객체화 신체의식 척도(K-OBS)로 개발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기자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Neff(2003b)가 개발하고 김경의 등(2008)이 번안한 자기자비 척도를 사용하였다. 섭식태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Garner 등(1982)이 제안한 섭식태도 척도(Eating Attitude Test-26;Eat-26)를 최준호 등(1998)이 표준화한 한국판 청소년용 식사태도 검사(EAT-26KA)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등학생의 신체수치심, 자기자비, 섭식태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섭식태도(전체), 자기자비(전체)와 신체수치심은 모두 성별과 학교급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섭식태도의 하위 요인 중 식습관에 관련된 정체성 요인, 타인을 의식한 식습관 요인은 성별, 학교급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자비(전체)는 성별과 학교급간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자기자비의 하위 요인 중 자기친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학교급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자기판단, 보편적 인간성, 고립, 마음챙김, 과잉동일시는 성별, 학교급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신체수치심은 성별과 학교급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신체 수치심, 자기자비와 섭식태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한 결과, 섭식태도(전체)는 자기자비(전체)(-.27, p<0.1)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신체수치심(.38, p<0.1)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자기자비와 신체수치심(-.27)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자기자비 하위요인 중 자기친절과 신체수치심(-.08)은 유의한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자기판단(.26), 고립(.25), 과잉 동일시(.25)와는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셋째, 신체수치심과 섭식태도(전체)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를 조절 변인으로 투입하였을 때 자기자비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또한, 신체 수치심과 식습관에 관련된 정체성 요인의 관계와 타인을 의식한 식습관 요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를 조절변인으로 투입하였을 때 자기자비의 상호작용이 유의하였다. 그러나 신체수치심과 체중조절 요인의 관계에서 자기자비를 조절변인으로 투입하였을 때는 자기자비의 상호작용이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청소년의 성별․학교급에 따라 신체 수치심과 자기자비가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청소년의 신체 수치심이 섭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섭식장애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는 관련 프로그램의 개발과 상담 및 심리치료의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 신체 수치심, 자기자비, 섭식태도

      • 영상매체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송종욱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영상매체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여 효과적인 방법이 무엇인지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해 보았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영상매체를 활용한 진로 집단프로그램은 여중생의 진로태도성숙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 영상매체를 활용한 진로 집단프로그램은 여중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는가? 연구대상은 강원도 원주시 소재의 S중학교 2학년 학생 중에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하기를 희망하는 28명으로 하였다. 신청을 받아 사전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짝짓기 방법으로 각 14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으나 집단별로 2명씩 탈락자가 생겨 최종 12명씩 24명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두 집단 모두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실험처치는 2013년 3월부터 4월까지 2개월에 걸쳐서 1주일에 1회기씩 총 8회기를 실시하였다. 검사 도구는 이기학(1997)이 개발한 진로태도성숙 검사와 김봉환(1997)이 개발한 진로준비행동검사이다. 사전검사의 동질성 검증에는 집단 간의 차이 검정(t-test)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사의 집단 간 비교에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매체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자 중학생들의 진로태도성숙 향상에 부분적으로 효과가 있었다. 공변량 분석결과에서 두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F= 10.137, p< .01). 두 집단의 통계분석결과 또한 실험집단 평균은 사전검사 보다 사후검사에서 높게 나왔으며, 비교집단은 사전?사후검사 평균이 비슷하여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진로태도성숙 전체 점수와 5개의 하위영역중 결정성, 목적성, 준비성에서 유의한 향상이 있었고, 확신성과 독립성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둘째, 영상매체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여자 중학생들의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뚜렷한 효과가 있었다. 공변량 분석결과에서 두 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F=17.544, p< .001). 두 집단의 통계분석결과에서도 실험집단 평균은 사전검사 보다 사후검사에서 높게 나왔으며, 통제집단은 평균이 비슷하여 두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종합하면 영상매체를 활용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여자중학생의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진로준비행동에 뚜렷한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by using audio-visual media o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n present an effective method. Some students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and analysed the data from them. Specific research projects are set up as follows: Research project 1 : Does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by using audio-visual media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Research project 2 : Does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by using audio-visual media have a meaningful effect on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Research subjects are the female 2nd graders at S Girls' Middle School in Won-ju city, Gangwon province. 28 students who were willing to participate in the project and submitted their applications were grouped into two categories, experimental group(14 students) and comparative group (14 students) in the way of pairing based on the results of pre-test. However, there were two dropouts in each group; finally 24 students joined this research project. In each group,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and, in fact, experimental treatment had been done once a week, total 8 times, for two months from March to April in 2013. Examination tools used in this research are the 'test on career attitude maturity' developed by Lee, Gi-hak(1997) and the 'tes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eveloped by Kim, Bong-hwan(1997). T-test was conducted for homogeneity of pre-test and ANCOVA was done for comparison of post-test between two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by using audio-visual media has a partial effect on improvi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In the results of ANCOVA,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F=10.137, p< .01). On the statistical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 it was proved that the averag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in post-test than in pre-test, but the comparative group had a similar score. Theref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statistically. There was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total score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determinacy, purposefulness, and readiness among the 5 sub-factors, while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confidence and self-reliance among the 5 sub-factors. Second,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by using audio-visual media has a remarkable effect on improvi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results of ANCOVA,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s well (F=17.544, p< .001). On the statistical analysis between the two groups, it turned out that the average score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higher in post-test than in pre-test, but the comparative group showed a similar score. Therefor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groups statistically.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th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besides, it has been verified that it has a distinctive effect on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중학생의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인식

        윤은숙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Eun Sook-Yoon Department of school counseling,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study is currently being conducted in middle school. This violence prevention counseling is proposed to educat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 perceived level of analysts and effective ways to prevent school violence. In order to study this problem, we set the following study. First, what are the needs, the assertiveness, and the gender differences for the middle students on the preventing school violence? Second, are we perceived level of the status of how to prevent the severity of school violence? Third, how do we recognize what is effective for training on preventing school violence? For this study, 6 middle school students located in 332 of the students(194 males, 138 females) were recruited. SPSS program was used for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study.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were analyzed to determine the frequency. Second,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o gender, sex, and grade level differences for verification test, ANOVA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hird, gender, grade level, and grades were trained according to specific situation on how effective the education of school violence perceptions training is in comparison between groups (cross-tabs analysis) and utilizing independent verification (χ2 verification; chi-square test) was performed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for gender, grade level, according to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grade prevention education in the schools of the necessity, class participation, class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atisfaction. In first grade, boys and hawigwon students perception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showed that much. Second, the issue of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o "have fun because" as the biggest problem was found, "a one-time, formal education is higher than for the female students were aware of that show, reality school entrance exam-oriented education reported barriers to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and hope that teachers will be able to perform a leading role. Third, the school should be effective on school improvement plan for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o target the entire student body and the general teachers with non-professional instructors with expertise. Through this study, the current middle school boy students were more exposed to violence, and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need to know the cause. School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specialist with expertise should educate the instructor and the students. One particular part of the education’s character for one of the students rather than the entire education of the students is the need for giving. 본 연구는 현재 중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수준을 조사 분석하고, 효율적인 학교폭력 예방교육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연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은 성별, 학년, 성적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학교폭력 예방교육 실태에 대한 중학생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중학생이 원하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적절한 교육방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이 연구를 위해서 강원도 횡성군에 위치한 5개 중학교 학생 332명(남194명, 여138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 및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첫째, 참가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인식은 성별, 학년, 성적에 따른 차이 검증을 위해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학교폭력 예방교육 실태에 대한 인식과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효율적 교육 방안에 대한 인식은 집단 간 비교를 위해 교차분석을 활용한 독립성 검증(χ2검증: chi-square test)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성별, 학년, 성적에 따른 인식차이에서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필요성, 수업참여도, 수업만족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1학년 남학생과 중·하위권 학생들이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한 인식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문제점으로 ‘재미가 없어서’가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으며, ‘일회성·형식적 교육’에 대해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졌으며, 입시위주의 교육현실을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장애요인으로 보고 있으며, 교사/학교가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셋째, 중학생이 원하는 학교폭력 예방교육에 대해서는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을 학기당 1회 정도, 학교에서 시행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하였으며, 일반 강사가 아닌 학교폭력 전문성을 갖춘 전문 강사가 학교폭력의 개념과 유형, 신고 방법들에 대한 전반적인 교육을 원한다고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현재 중학교 1학년 남학생들이 학교폭력에 많이 노출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학교폭력에 대한 전문성을 가진 전문 강사가 학생들에게 교육을 실시해야 하며, 일부 한 특정한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 아닌 전체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해 주고 있다.

      •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및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청소년 대인관계 성향 간의 관계분석

        남연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adolescents'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elf-differentiation were correlated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hip. Research questions and hypotheses were formulated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differences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adolescents make to their communication with parents? Research Question 2. What differences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adolescents make to their self-differentiation? Research Question 3. What differences d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adolescents make to their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Research Question 4.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self-differentiation? Research Question 5.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Research Question 6.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Hypothesis 1.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with parents between middle schoolers and high schoolers. Hypothesis 2.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munication with parents between boys and girls. Hypothesis 3.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gap in self-differentiation between middle schoolers and high schoolers. Hypothesis 4.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gap in self-differentiation between boys and girls. Hypothesis 5.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between middle schoolers and high schoolers. Hypothesis 6.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between boys and girls. Hypothesis 7.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elf-differentiation. Hypothesis 8.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Hypothesis 9. There might b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elf-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boys and girls who were in their second year of three middle schools and in their second year of three high schools. A survey was conduct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nd the answer sheets from 434 students were analyzed.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ir communication with parents was Kim Yun-hee(1989)'s inventory that adapted and translated Barens and Olsan(1982)'s adolescent section of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 to suit Korean culture. As for evaluation of self- differentiation, Tae Ok-gyeong(1998)'s inventory was employed, which consisted of 44 items and reorganized Jeon Chun-ae(1994)'s Self- Differentiation Scale that was composed of 51 items about four different concepts involving 정신내적분화, interpersonal relations differentiation, triangulation and emotional cutoff that seemed to be the best barometers of self-differentiation. And An Beom-hee(1984)'s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Test based on Leary's Interpersonal Behavior Model and Kresh(1962)'s characteristics of interpersonal reaction was employed. For data analysis, SPSS/PC++ program was utilized. Statistical data 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to assess their communication with parents,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and t-test, Scheffe 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at the .05 or smaller level of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communication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ers with parents, there was a significant gap between them in the type of communication with fathers, namely whether they had an open or closed communication with their fathers. No significant gap was found between them in communication with mothers. Second, as to the communication of the boys and girls with par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between them in that regard. The reason seemed that the growing number of working women triggered by the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ir improved social standing contributed to having gender equity take root. Third, concerning the self-differentiation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ers,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mental 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fferentiati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excelled their counterparts in those aspects. Fourth, as for the self-differentiation of the boys and girls, the boys surpassed the girls in mental differentiation, and the triangulation of the former was more compounded than that of the latter. Fifth, in regard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of the middle and high schoolers, the two group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showoff-narcissistic disposition. The high school students had a stronger inclination to show off and to be narcissistic than the middle school students. Sixth, as to the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of the boys and girl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m in showoff- narcissistic disposition and competitive-aggressive disposition. The girls were more inclined to show off and to be narcissistic, competitive and aggressive than the boys. Seventh, concerning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self-differentiation, an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mental differentiation and emotional cutoff, and a closed communication with father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mental differentiation, triangulation and emotional cutoff. An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emotional cutoff, and a closed communication with mother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all the mental differentiation, interpersonal relations differentiation, triangulation and emotional cutoff. It indicated that a closed communication with mothers had a strong correlation to self- differentiation. Eighth, as for correlation betwe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an open communication with fat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independent-responsible disposition, compassionate-receptive disposition, sociable-friendly disposition, and showoff-narcissistic disposition. Tha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rebellious-distrustful disposition. An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compassionate-receptive disposition, sociable-friendly disposition and showoff-narcissistic disposition, and that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rebellious-distrustful disposition. A closed communication with mothers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dominant-superior, competitive-aggressive, showoff-narcissistic and rebellious-distrustful disposition. Ninth, concerning correlation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 disposition, mental differentia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independent-responsible and compassionate-receptive disposition, and negatively to dominant-superior, competitive- aggressive, showoff-narcissistic and rebellious-distrustful disposition. Triangula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to dominant-superior, compassionate-receptive, competitive-aggressive, showoff-narcissistic and rebellious-distrustful disposition. Emotional cutoff was negatively correlated to dominant-superior, competitive-aggressive and rebellious- distrustful disposition. 본 연구에서는 가족의 정서체계를 통해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과 자아분화와 청소년들의 대인관계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와 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4.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5. 대인관계 성향은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6. 대인관계 성향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7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8.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 대인관계 성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9.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청소년 대인관계 성향과 유의한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 설 1.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2.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3.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4.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5.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은 중·고생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6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은 남·녀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 설 7.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분화와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 설 8.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 설 9.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광명시내 중학교 3개교, 고등학교 3개교 2학년 남·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434부를 분석자료로 택하였다. 측정 도구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에 관한 질문지는 Barens와Olsan(1982)이 제작한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척도 (Parent-Adolescent Communication Inventory)의 자녀용 검사지를 우리의 문화적 정서에 맞게 김윤희(1989)가 번안한 것을 이용하였고, 자아분화척도는 자아분화를 가장 잘 측정할 수 있다고 생각되는 정신내적 분화, 대인 관계적 분화, 삼각화, 정서적 단절의 4가지 개념을 총 51개 문항으로 제작한 전춘애(1994)의 자아분화 척도를 총 44문항으로 재구성한 태옥경(1998)의 척도를 사용하였고, 대인관계성향은 Leary의 대인관계 행동모형과 Kresh(1962) 등이 밝힌 대인적 반응특성을 참조하여 안범희(1984)가 재구성한 ‘대인관계성향 검사’를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를 위해서 SPSS/PC++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청소년들의 부모-자녀간 의사소통, 자아분화, 대인관계성향의 기초 통계량의 산출을 위해 각 변인들의 평균(M)과 표준편차(SD)를 산출하고 가설 검증을 위해 t-검정, Scheffe?-검증, Pearson 상관 분석을 하였으며 모든 가설은 유의수준 “.05이하”에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가설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고생에 따른 부모-자녀간의 의사소통에서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 개방형, 폐쇄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남·녀에 따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여성의 사회적 진출이 활발해지고, 여성의 사회적 지위가 향상됨에 따라 양성평등사상이 자리매김함으로써 나타난 결과라고 생각된다. 셋째, 중·고생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정신내적 분화와 대인 관계적 분화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중학생이 고등학생보다 정신내적 분화와 대인 관계적 분화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네째, 남·녀에 따른 청소년의 자아분화는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정신내적 분화수준이 더 높으며, 삼각화정도가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고생에 따른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은 과시적-도취적 성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더 과시적-도취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남·녀에 따른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은 과시적-도취적 성향과 경쟁적-공격적 성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과시적-도취적, 경쟁적-공격적 성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자아분화와의 상관관계에서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 때는 정신내적 분화와 정서적 단절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폐쇄적일 때는 정신내적 분화, 삼각화, 정서적 단절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 때는 정서적 단절과 폐쇄적일 때는 정신내적 분화, 대인 관계적 분화, 삼각화, 정서적 단절 모두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여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폐쇄적일 때 청소년의 자아분화와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아버지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 때는 독립적-책임적, 동정적-수용적, 사교적-우호적, 과시적-도취적 성향과는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반항적- 불신적 성향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폐쇄적일 때는 사교적-우호적 성향과는 정적 상관을 지배적-우월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에서는 개방적일 때는 동정적-수용적, 사교적-우호적, 과시적-도취적 성향과는 정적 상관을 반항적-불신적 성향과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폐쇄적일 때는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격적, 과시적-도취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아홉째, 청소년의 자아분화정도와 청소년의 대인관계 성향과의 상관관계는 정신내적 분화는 독립적-책임적, 동정적-수용적 성향에서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격적, 과시적-도취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대인 관계적 분화는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격적, 과시적-도취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삼각화는 지배적-우월적, 동정적-수용적, 경쟁적-공격적, 과시적-도취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정서적 단절은 지배적-우월적, 경쟁적-공격적, 반항적-불신적 성향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 고부갈등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남편의 심리적 독립의 조절효과

        신자영 강원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고부갈등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기혼여성이 지각한 시어머니로부터의 남편의 심리적 독립이 이들의 관계를 어떻게 조절하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기혼여성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고부갈등은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기혼여성이 지각한 시어머니로부터의 남편의 심리적 독립은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가? 4. 고부관계의 갈등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시어머니로부터 의 남편의 심리적 독립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강원도 내에 거주하는 기혼여성 196명이며, 자기보고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회수된 설문지는 고부갈등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기혼여성이 지각한 시어머니로부터의 남편의 심리적 독립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호화 작업 후에 SPSS 21 for Windows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고부갈등과 삶의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 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고부갈등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시어머니로부터의 남편의 심리적 독립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남편의 심리적 독립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고부갈등과 심리적 독립의 상호작용항을 투입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혼여성의 인구통계학적 변인 중 가구 월수입, 남편직업, 종교는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부갈등과 남편의 심리적 독립, 고부갈등과 삶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부적 상관관계를, 심리적 독립과 삶의 만족도는 전적으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고부갈등과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고부갈등의 하위영역 중 정서적 갈등과 손자녀로 인한 갈등이 삶의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부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남편의 심리적 독립과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 계에서 심리적 독립의 하위영역 중 정서적 독립과 갈등적 독립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부분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고부갈등과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시어머니로부터의 남편의 심리적 독립의 조절효과에 대해서는 부분적으로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심리적 독립의 하위영역 중 태도적 독립은 주거환경에 정적 영향을 주어 고부갈등이 낮아질수록 주거환경 만족도가 높아지는 관계에서 만족도가 태도적 독립에 의해 더 높아지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심리적 독립의 하위영역 중 기능적 독립은 가족 및 친척관계 만족도, 행복감, 삶의 만족도 전체에 정적 영향을 주어 고부갈등이 낮아질수록 가족 및 친척관계 만족도, 행복감, 삶의 만족도 전체가 높아지는 관계에서 만족도가 기능적 독립에 의해 더 높아지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심리적 독립의 하위영역 중 정서적 독립은 가족 및 친척관계에 부적 영향을 주어 고부갈등이 낮아질수록 가족 및 친척관계 만족도가 높아지는 관계에서 만족도가 정서적 독립에 의해 낮아지는 조절효과를 보여준다. 심리적 독립의 하위영역 중 갈등적 독립은 직업 및 경제정도, 사회생활과 여가, 행복감, 자아감, 삶의 만족도 전체에 부적 영향을 주어, 고부갈등이 낮아질수록 직업 및 경제정도 만족도, 사회생활과 여가 만족도, 행복감, 자아감, 삶의 만족도 전체가 높아지는 관계에서 만족도가 갈등적 독립에 의해 낮아지는 조절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고부갈등과 삶의 만족도라는 부적관계에 정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내어 고부갈등이 높더라도 삶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정서적 독립, 갈등적 독립보다 기능적 독립, 태도적 독립을 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상담 장면에서 이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기혼남성이나 미혼남성 모두를 대상으로 한 결혼, 가족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과 상담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도 기능적, 태도적 독립 수준을 높이는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고부갈등과 시어머니로부터의 남편의 심리적 독립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고부갈등과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남편의 심리적 독립 요인 중 어떠한 요인이 조절효과를 갖는지를 밝힘으로써 고부관계에 있어 기혼여성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influences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of married women by conflicts with their mothers-in-law, and the research problems have been set to figure out how psychological independence of their husbands from the mothers moderates the married women's relationships as follows: 1. How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arried women affect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2. How married women's conflicts with their mothers-in-law influence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3. How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which married women realize) of their husbands from the mothers affects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4. While married women's conflicts with their mothers-in-law are influencing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their husbands'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the mothers shows moderate effec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married women who live in the Metropolis of Seoul, the Gyunggi, and Gangwon provinces. The data was collected with self-checking. One-way ANOVA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married women's conflicts with their mothers-in-law and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and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 of each variable. Also,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ousehold monthly income, husband's occupations, and religions among demographic variables of married women affect on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2. The married women's conflicts with the mothers-in-law and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 of the husbands, the conflicts with the mothers-in-law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were generally negative correlative, and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the satisfaction is completely positive correlative. 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licts with mothers-in-law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the married women, the emotional conflicts and conflicts caused from grandchildren In the sub-factors of the conflicts with mothers-in-law partially negatively influenced the satisfaction with life. 4.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usband's psychological independence and satisfaction with life of the married women, emotional independence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in the sub-factors of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 partially positively influenced their satisfaction with life. 5. Moderate effects showed partially with respect to the husband's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the moth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flicts with mothers-in-law and the satisfaction with life of the married women. Functional and behavioral independence in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showed moderate effect which satisfaction was more increased by the functional and behavioral independence in the relationship that the lower the conflicts with mothers-in-law, the more the satisfaction with life was increased. Emotional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in th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showed moderate effect which satisfaction was more decreased by the emotional and conflictual independence in the relationship that the lower the conflicts with mothers-in-law, the more the satisfaction with life was entirely increased. During counseling, this point is needed to be considered, and the increase of the level of functional and behavioral independences are needed to be emphasized when developing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s about marriage and family for married and unmarried men.

      • 고등학교 집단따돌림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 연구

        신성자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 및 학교유형별(남고, 여고, 공학)로 집단따돌림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학교생활에서 부적응하는 학생들이 건강한 학교생활을 하기 위한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범위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1. 집단따돌림에 대한 문제인식은 교사와 학생 및 학교유형별로 어떻게 다른가? 2. 집단따돌림 실태에 대한 인식은 교사와 학생 및 학교유형별로 어떻게 다른가? 3. 집단따돌림 예방과 이미 일어난 집단 따돌림의 해결방안에 대한 인식은 교사와 학생 및 학교유형별로 어떻게 다른가? 의정부시에 소재하는 세 개의 고등학교에 604부의 설문지를 배부하고 교사 149명과 학생 386명에게서 회수한 설문지(회수율 88.6%)를 본 연구의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은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 자료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준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첫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응답자의 인식에 따른 명목척도 문항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χ²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응답자의 인식에 따른 순서척도 문항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t검정과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집단따돌림에 대한 인식은 교사와 학생 중 교사가 더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유형별로는 여학교가 제일 심각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집단따돌림이 발생하는 시간과 장소에 대한 질문에서는 ‘쉬는 시간’과 ‘교실 안’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가해자에 대한 질문에서는 ‘같은 반 학생’과 ‘힘센 학생’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3. 집단따돌림이 근절되지 않는 이유로 학생은 ‘선생님의 관심부족’을 교사는 ‘예방프로그램 부족’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집단따돌림의 해결 방안으로는 교사와 학생 모두 ‘교사와 학생의 수시 상담’을 가장 많이 선택했고, 다음으로 교사는 ‘예방프로그램’을 학생은 ‘상담교사의 배치’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유형별에서는 집단따돌림 해결방안으로 세 학교 모두 ‘교사와 학생의 수시 상담’을 가장 많이 택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학교집단따돌림을 해결하기 위해 학생들은 부모와 교사 등 어른들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예방프로그램의 운영과 함께 학교생활의 모든 시간을 합리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운영하는 것이 학교에서 일어나는 집단따돌림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different perceptions of different high school teachers, students, and schools with regards to group bullying. The goal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the data for the students who struggle to adjust into school life and to assist them in living a healthy academic setting. The following were the specific questions that were explored in this study: 1. What are the differences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group bullying? 2. What are the differences regarding the awareness of the reality of group bullying? 3. What are the differences regarding the solutions and follow ups for group bullying? This study was performed through the use of a questionnaire collected 149 teachers and 386 students in three high schools in Uijeongbu-si. 604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88.6% replied. The responses to the questions were compared between the different types of teachers, students, and schools.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with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and the following methods of analysis were used in representing the statistical data.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used in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Second, chi-squared test was used to investigate the nominal scale survey hypothesis of the respondents. Third,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ordinal scale questionnaire hypothesis of the responde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teachers have a higher indication regarding their perception of the seriousness of the group bullying than the students. Girls high schools have the highest perception of seriousness of group bullying among the different schools. 2.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bullying happens mostly during breaks and in the class rooms. They answered that the closest bullies were their classmates and the strong student. 3.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 reason for the continuation of group bullying was due to lack of teacher’s attention as well as the lack of programs to prevent these incidents of group bullying. The highest response as suggestion for possible solutions was “frequent consultation from the teachers” which followed by “awareness programs” and “having more counselors.” All schools responded that the best prevention was to have the frequent consultation from the teachers. As per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re is a need for a more active role from the parents, teachers, and adults in general to confront group bullying. In addition, it is important for the school to ensure the establishment of awareness programs as well as closely monitoring all the activities happening in the school, both of which will help in reducing group bullying.

      •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 및 사회성의 관계

        김정숙 강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정체감 및 사회성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강원도 춘천에 소재하고 있는 N중학교와 H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총 28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였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257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허묘연이 개발하고 조유진(2006)이 수정한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양육행동’척도를 활용하였고, 자아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아청(1996)이 개발한 ‘한국형 자아정체감 검사’를 이승국(1999)이 일부 수정?보완한 척도를 활용하였으며, 사회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김미영(2006)이 사용한 SSRS-학생용(39문항)을 그대로 활용하였다. 결과에 대한 자료처리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중학생이 지각하는 부모의 양육태도, 자아정체감, 사회성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Pe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자아정체감과 사회성에 대한 부모의 양육태도의 설명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논의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설 1】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감독, 애정, 합리 적설명-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치, 학대)와 학생의 자아정체감은 유의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영역 중 감독, 애정, 합리적 설명 요인에서는 자아정체감 하위영역과 일반적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고 부모의 양육태도 하위영역 중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치, 학대 요인에서는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부-양육태도 중에서 자녀의 자아정체감에 가장 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하위영역은 애정 요인으로 나타났고 합리적설명과 감독 요인이 차례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부-양육태도 중 자녀의 자아정체감과 가장 부적인 부-양육태도 하위영역은 학대, 방치, 과잉간섭, 과잉기대로 본 연구의 가설을 지지해 주었다. 모-양육태도에 따른 중학교 남학생의 자아정체감 간에는 아버지와는 달리 주체성과 자기수용성 요인 만 제외하고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상관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이는 모-양육태도가 바람직하더라도 자녀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데 어려움이 있다고 보여 진다. 가정에서 대부분 어머니의 양육을 받고 있으면서도 어머니가 아들에게 끼치는 긍정적인 요인은 아버지 보다 낮게 나왔다. 둘째,【가설 2】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감독, 애정, 합리적설명-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치, 학대)와 학생의 사회성은 유의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를 분석한 결과, 부모양육태도 하위영역 중 감독, 애정, 합리적 설명 요인에서는 사회성 하위영역과 일반적으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부-양육태도 중 감독, 애정, 합리적 설명 요인과 사회성의 하위영역인 협동성, 공감, 주장성, 자기조절 요인이 모두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그 중 부-애정 요인의 상관계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부-양육태도와 사회성 간의 관계는 부-하위영역 중 학대, 방치, 과잉기대, 과잉간섭의 순으로 자녀의 사회성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모-양육태도에 따른 중학교 남학생의 사회성 간에는 대부분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태도에도 불구하고 자녀에게 대체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장성에서는 모-양육태도와는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다. 셋째,【가설 3】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성은 유의한 상관이 있을 것이다. 를 분석한 결과, 중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사회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중학생의 자아정체감의 대부분의 하위 영역들에서 사회성이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자아정체감이 긍정적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사회성 도 함께 발달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자녀가 올바른 자아정체감을 형성하여 사회에서 바르게 기능할 수 있도록 하는데 부모의 양육태도는 매우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가설 4】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감독, 애정, 합리적설명-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치, 학대)는 자아정체감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를 분석한 결과 아버지가 자녀에게 과잉기대하거나 과잉간섭 할 경우 자녀의 자기수용성과 미래확신성, 그리고 목표지향성 영역의 자아정체감에서 부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버지의 양육태도가 방치, 애정, 감독적이라고 자녀가 지각할 경우 자녀의 주체성, 목표지향성 영역의 자아정체감에서 정적 상관으로 나타났다. 모-양육태도에서도 자녀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과잉기대, 과잉간섭이라고 지각할 때 자녀의 자기수용성, 미래확신성, 목표지향성, 주도성의 자아정체감에서 부적상관이 나왔으며, 특히 목표지향성이 가장 높은 부적관련성을 보였다. 다섯째,【가설 5】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감독, 애정, 합리적설명-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치, 학대)는 사회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를 분석한 결과,아버지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이라고 지각할 때 자녀의 공감 영역의 자아정체감에서 가장 높은 정적관련성을 보였다. 반면 아버지가 학대하는 것으로 지각한 경우 자녀의 협동성 영역의 자아정체감에서 가장 높은 부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