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울민감성척도(LEIDS-R)의 한국어판 타당화 연구

        심지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LEIDS-R with 322 college students in Geyng-buk or Daegu in South Korea, to examine psychometric properties. The Leiden Index of Depression Sensitivity - Revised (LEIDS-R)is a self-report measure to assess the cognitive reactivity to depression. The the original version of the LEIDS-R underwent forward and backward translation (Korean↔English) by two independent clinical experts (a certified clinical psychologist and graduate studen majored in clincial psychology) and a bilingua, ensuring semantic and structural equivalency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o examine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LEIDS-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executed. Factor analyses yielded a six-factor solution: ‘suicidality', 'control', 'rumination', 'harm avoidance', 'perfectionism', 'aggression'. Second, for the sake of external validity of K-LEIDS-R,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the Korean-translated LEIDS-R, the Korean-Dysfuctional Attitudes Scale(K-DAS),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the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MINI). They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Third, for the sake of discriminant validity of the K-LEIDS-R, the each of sampling groups, which is the depression group and the tendency of suicide group, were divided in two groups and compared to K-DAS which calculated to the smilar contents to K-LEIDS-R. The t-test result indicated that K-LEIDS-R was more likly discriminated to the depression and the tendency of suicide group. Forth, internal consistency of the Korean LEIDS-R was found to be adequate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indicated temporal stability of the scale. These result suggest the Korean-LEIDS-R is a reliable and valid tool.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 of the present study and suggestion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기독교 청소년의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하나님 이미지와 자기용서의 연속다중매개 효과

        동희원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기독교 청소년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자기용서의 연속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자살사고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기독교 청소년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이들을 도울 수 있는 상담적 개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개신교 교회에 출석하는 중∙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267부의 자료를 가지고 SPSS 25.0와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 하나님 이미지, 자기용서, 자살사고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은 자살사고와는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하나님 이미지 및 자기용서와는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하나님 이미지는 자살사고와는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자기용서와는 유의미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자기용서는 자살사고와는 유의미한 부적 관계를 보였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은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독교 청소년에게 내면화된 수치심은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 셋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는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은 기독교 청소년은 부정적 하나님 이미지를 가질 수 있으나 부정적 하나님 이미지를 가진다고 하여 자살사고가 반드시 높은 것은 아님은 의미한다. 넷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자기용서는 부분 매개하였다. 이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살사고에 직접 영향을 미치기도 하며, 자기용서를 통하여 간접 영향도 주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은 기독교 청소년의 자살사고가 자기용서를 통해 낮아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자기용서는 연속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높을수록 하나님 이미지는 부정적이며, 그 결과 자기용서가 어려워 자살사고가 높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긍정적 하나님 이미지를 가지게 되면 자기용서 수준이 높아져 낮은 자살사고를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에 대한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의 매개효과를 경험적 연구를 통해 검증하였다. 둘째,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하나님 이미지와 자기용서의 연속매개 경로 검증을 통해 기독교 청소년들의 자살사고를 다룰 때 필요한 개입 전략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기독교 청소년 상담에 대한 시사점과 본 연구에 대한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God-Image and Self-Forg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hristian Adolescents. This study aims to extend the understanding of Christian adolescents who are suffering from suicidal ideation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counseling interventions. In this regard, a survey was conducted 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attend the Protestant Church in South Korea. Data from a total 267 participants were analyz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God-image, self-forgiveness, and suicidal ideation determined that the correlations among all variables were significant. To be specific, internalized shame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and negatively correlated with God-image and self-forgiveness. God-image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forgiveness. Self-forgiveness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icidal ideation. Second, internalized shame had a positive effect on suicidal ideation. This implies that internalized shame to Christian adolescents is a chief variable to have an effect on suicidal ideation. Third, God-image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This means that Christian adolescents who have high internalized shame are possible to have a negative God-image but having a negative God-image is not necessarily linked to high suicidal ideation. Fourth, self-forgiveness had partial-mediation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This shows that internalized shame directly affects suicidal ideation, and indirectly affects suicidal ideation through self-forgiveness, too. The result predicts that Christian adolescents who have high internalized shame might have low suicidal ideation when they are possible to forgive themselves. Lastly, God-image and self-forgiveness had significant serial multipl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The result shows that high internalized shame leads to a negative God-image, and it causes difficulty in forgiving themselves. As a result, it might have high suicidal ideation. This means that as having a positive God-image, self-forgiveness can be possible, and it might leads to low suicidal ideation. The contribu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God-imag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through empirical research.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d the fundamental data for counseling intervention to deal with Christian adolescents’ suicidal ideation, verifying the serial mediating effects of God-image and self-forgiven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al id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christian adolescents counseling were made, and limitations in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were discussed.

      •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자기불일치,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윤경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가 매개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 삶의 의미가 이러한 매개효과를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불안, 실제-이상 자기불일치, 삶의 의미의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진행하였다. 온라인 설문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최종 분석에 사용한 자료 296부는 SPSS 25.0와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의 결과 사회불안은 사회부과 완벽주의, 자기불일치와 유의미한 수준의 정적 상관을 보였다. 조절변인으로 설정된 삶의 의미와는 유의한 수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둘째,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불일치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셋째, 삶의 의미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는데 자기불일치와 사회불안 간의 정적 관계를 강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하였다. 넷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과의 관계에서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에 대한 삶의 의미의 조절된 매개효과도 유의하였으나 자기불일치의 매개효과를 정적으로 증가시켰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결과에 대한 함의와 본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eaning of life via self-discrepancy on the relationship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For this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that included scales for measuring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actual/ideal self and meaning of life. Data was colle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and 296 copies of the data used in the final analysis were us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using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social anxiety showed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self-discrepancy, and a significant level of static correlation. It does not directly show a significant level of correlation with the meaning of life set as a moderator variable.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has been verified in the impact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on social anxiety.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meaning of life has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ly verified and has worked to strengthen the static relationship between self-discrepancy and social anxiety. Fourth, in the relationship of socially-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of meaning of life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was shown, which statically increas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discrepancy.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자살 위험 평가에서 암묵적 연합 검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장지연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죽음-암묵적 연합 검사(Death-Implicit Association Test, 이하 D-IAT)의 자살 위험 평가 도구로서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2020년 9월부터 12월까지 19세 이상 성인 179명을 대상으로 D-IAT와 자살 관련 척도를 온라인상에서 실시하였다. D-IAT의 반분 신뢰도 계수는 .73, 그리고 2주 간격을 두고 측정한 D-IAT의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30이었다. 수렴 타당도 검증 결과, D-IAT와 우울은 유의한 정적 상관(r = 21), 살아야 할 이유와는 유의한 부적 상관(r = -.15)을 보였다. 집단 비교 타당도 검증 결과, 평생 자살 생각 및 시도와 최근 자살 생각의 유무에 따른 D-IAT의 수행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예측 타당도 검증 결과, D-IAT는 1개월 후 자살 위험에서 자해에 대한 욕구를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자살 위험 평가 도구로서 D-IAT의 심리측정 속성이 다소 미흡하나, 기존 자살 위험 평가의 한계를 보완하는 검사로서 가능성을 검증한데 의의가 있다.

      • 주의편향 및 범불안 증상에 대한 주의 피드백 인식 및 조절 훈련의 효과

        김수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범불안 성향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주의편향수정 훈련을 실시하여 피드백의 제공 여부에 따른 주의편향 및 범불안 증상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범불안장애 7문항 척도(GAD-7) 10점 이상 또는 펜실베니아 걱정 질문지 척도(K-PSWQ) 56점 이상이며 주의편향을 나타내는 범불안 성향의 대학생을 31명 선발하여 주의 피드백 인식 및 조절 훈련(Attention Feedback Awareness and Control Training, A-FACT) 집단(n = 11), 주의편향수정(Attention Bias Modification, ABM) 집단(n = 10) 및 활성 위약 통제(Active Placebo Control, APC) 집단(n = 10)에 무선할당하였다. A-FACT 집단은 탐침탐사과제를 이용한 주의편향수정 훈련 시, 개인의 기저반응시간(Baseline Neutral Response time, BNR)을 기준으로 편향의 여부에 대한 피드백을 실시간으로 제공받았다. ABM 집단은 기존의 ABM 절차와 동일하며 APC 집단은 주의편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라는 안내는 주어지지만 피드백이 주어지지 않는 탐침탐사과제를 실시하였다. 총 8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주 2회로 4주에 걸쳐서 진행되었다. 2회기 마다 GAD-7, K-PSWQ, 상태-특성 불안 검사(K-STAI)를 평정하도록 하였다. 주의편향수정 훈련의 효과는 주의편향점수(Attention Bias Score, ABS)와 GAD-7, K-PSWQ 및 K-STAI 점수 변화로 평가하였다.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A-FACT 집단은 ABM 집단과 APC 집단에 비해 ABS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GAD-7, K-PSWQ 및 K-STAI 점수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는 주의편향수정 훈련에서 편향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편향의 여부를 인식시키고 이를 통한 주의의 자기 조절적 통제(self-regulatory control)가 주의편향 및 GAD-7, K-PSWQ 및 K-STAI 점수의 경감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주요어: 범불안장애, 불안, 주의편향수정 훈련, 주의 피드백 인식 및 조절 훈련

      • 우울에 대한 주의편향 수정훈련에서 지시문 유형의 효과

        윤이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주의편향 및 우울 증상에 대한 주의편향 수정훈련의 효과가 지시문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임상적 수준의 우울 수준(통합적 한국판 역학연구센터 우울척도 16점 이상)을 지닌 참가자를 대상으로 명시 집단, 암묵 집단, 통제 집단에 무선할당하였다. 명시 및 암묵 집단은 긍정 자극에 주의를 개입하고 부정 자극에서 주의를 탈개입할 수 있도록 자극과 탐침 간 수반성이 조작된 훈련을 실시하였고, 명시 집단은 탈개입을 유도하기 위해 조작된 수반성을 미리 알려주는 지시문을 사용하여 의도적으로 주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통제 집단은 활성화 위약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4주간 8회기 훈련을 실시하였고 주의편향은 4회기마다 그리고 우울 및 관련 증상은 2회기마다 평가하였다.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명시 집단에서 암묵 집단과 통제 집단보다 부정 자극에 대한 주의 탈개입 점수 및 우울과 부적정서가 감소, 정적정서가 증가하였으며 이는 훈련 1주일 후에도 유지되었다. 또한 명시 집단에서만 반추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주의 전환력이 증가하는 경향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의도적 주의 조절을 촉진하는 명시형 지시문의 적용이 탈개입을 통해 우울 및 관련 증상에 대한 주의편향 수정훈련의 효과를 증진하는데 효과적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has investigated whether the effect of attentional bias modification training on attention bias and depression and related symptom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instruction. Participants with a clinical level of depression (at least 16 points on the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licit group, implicit group, and control group. The explicit and implicit instruction groups participated in a training program that used contingency between stimuli and probes to engage in positive stimuli and to disengage from negative stimuli. The explicit group could be deliberately controlled by informing them of the contingency in advance. The control group performed an active placebo program. The programs were conducted for eight sessions for four weeks and attention bias was measured in each of four sessions, and depression and depression-related symptoms were measured in each of two sessions. In the results of repeated measures ANOVA, the explici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disengagement score for negative stimuli, depression and negative affect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which was maintained for one week after training. In addition, the explici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rumination and increase in attentional control at a statistically marginal level. The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explicit instructions to promote attentional control will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attentional bias modification on depression and depression-related symptoms.

      • 신체상 해석편향수정훈련의 신체불만족과 섭식장애 증상에 대한 효과

        최유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신체불만족 및 섭식장애 증상에 대한 신체상 관련 해석편향수정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신체불만족 수준이 높은 20대 여성 참가자를 선별하여 실험집단(n=20)과 통제집단(n=19)에 무선할당 하였다. 실험집단은 신체상에 대한 부정 해석 편향을 줄이고 긍정 해석 경향을 촉진하는 피드백을 제공하는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반응에 따른 피드백을 제공하지 않는 활성화 위약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2주간 4회기 온라인 기반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신체상에 대한 해석편향과 신체불만족 및 이상섭식행동은 사전, 2회기, 사후 및 추후(훈련 1주일 후), 그리고 섭식장애 증상은 준거 시점을 고려하여 사전, 사후 및 추후 평가하였다. 반복측정 변량분석 결과, 실험 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부정 해석편향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긍정 해석편향이 증가하였으며, 신체불만족 및 이상섭식행동 수준이 감소하였다. Bonferroni 사후검증 결과, 부정 해석편향 및 신체불만족에 대한 훈련의 효과는 사후까지 차례로 나타나 추후까지 유지되었다. 긍정 해석편향에 대한 훈련의 효과는 2회기에 나타나 추후까지 유지되었으며, 이상섭식행동에 대한 훈련의 효과는 추후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반면 섭식장애 증상은 측정시기와 집단 간 상호작용이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신체상 관련 해석편향수정 훈련이 부정 해석편향과 신체불만족 및 이상섭식행동 감소와 긍정 해석편향 증가에 효과적일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