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과 부모의 학습관여 및 학업스트레스

        김은정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이 인식하는 가족건강성, 부모의 학습관여와 학업 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부모의 학습관여, 학업스트레스의 차이와 청소년이 인식하는 가족건강성과 부모의 학습관여에 따른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며 사회인구학적 변인, 가족건강성, 부모의 학습관여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광주광역시 소재 2개의 중학교 2,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 470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그중 445명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청소년의 가족건강성, 부모의 학습관여, 학업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건강성, 부모의 학습관여, 학업스트레스의 차이와 가족건강성과 부모의 학습관여에 따른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와 ANOVA, Duncan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사회인구학적 변인, 가족건강성 및 부모의 학습관여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서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 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인식하는 가족건강성, 부모의 학습관여와 학업스트레스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볼 때 가족건강성은 ‘가족존중 및 애정’ 3.96, ‘재정적 안정’ 3.94, ‘역할공유 및 문제해결력’ 3.76, ‘의사소통 및 유대감’ 3.62 순이고 가족건강성 전체는 3.85로 중간 값(3.0)보다 높게 나타났다. 부모의 학습관여는 ‘학습 선택권 부여’ 3.57, ‘민주적 규칙제공’ 3.56, ‘학업진보 격려’ 3.54, ‘적정한 성과추구’ 3.37 ‘학업정보 제공’ 3.17 순이고 부모의 학습관여 전체는 3.44로 중간 값(3.0)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업스트레스는 ‘학교 학업스트레스’ 2.57, ‘과외 학업스트레스’ 2.30이었으며, 학업스트레스 전체는 2.43으로 중간 값(3점)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 가족건강성, 부모의 학습관여,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면 가족건강성에서 ‘가족존중 및 애정’은 부 연령과 생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가족존중 및 애정’은 부 연령이 40세 이하가 낮았고, 생활수준이 하인 집단에서 낮았다. ‘역할공유 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및 유대감’, ‘재정적 안정’ 가족건강성 전체 모두 생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생활수준이 하인 집단의 ‘역할공유 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및 유대감’, ‘재정적 안정’ 가족건강성 전체 수준이 모두 낮았다. 부모의 학습관여에서 ‘학습 선택권 부여’와 ‘민주적 규칙 제공’은 성별, 모 연령, 생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남학생, 모 연령 51세 이상, 생활수준 하인 집단이 낮았다. ‘적정한 성과추구’는 모 연령과 생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모 연령 51세 이상 생활수준이 하인 집단에서 낮았다. ‘학업진보 격려’는 성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남학생이 낮았다. ‘학업정보 제공’은 부 연령, 모 연령, 생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부 연령은 40세 이하, 모 연령은 51세 이상이 낮고 생활수준은 하인 집단이 낮았다. 부모의 학습관여 전체는 모 연령과 생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모 연령 51세 이상과 생활수준이 하인 집단이 낮았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학업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면 ‘학교 학업스트레스’는 학년, 성별, 모 연령, 생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학년과 여학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수준이 하인 집단이 학교 학업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과외 학업스트레스’는 학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2학년이 ‘과외 학업스트레스’를 더 받았고 학업스트레스 전체는 학년, 성별과 생활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2학년, 여학생, 생활수준이 하 집단의 학업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셋째, 청소년이 인식하는 가족건강성과 부모의 학습관여에 따라 학업스트레스를 살펴보면 먼저 가족건강성 변인으로는 ‘가족존중 및 애정’, ‘역할 공유 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및 유대감’, ‘재정적 안정’, ‘가족건강성 전체’에서 학교 학업스트레스와 과외 학업스트레스 각각 및 학업스트레스 전체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가족건강성이 낮을 때 학업스트레스가 높았다. 부모의 학습관여에 따른 학업 스트레스의 차이를 살펴보면 ‘학습선택권 부여’, ‘민주적 규칙 제공’, ‘적정한 성과 추구, ‘학업진보 격려’, ‘학업정보 제공’, ‘부모의 학습관여 전체’에서 ‘학교 학업스트레스’와 ‘과외 학업스트레스’ 각각 및 학업스트레스 전체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부모의 학습관여가 낮을 때 학업스트레스가 높았다. 넷째, 청소년의 사회인구학적 변인, 가족건강성, 부모의 학습관여가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학업진보 격려, 민주적 규칙 제공, 적정한 성과 추구, 성별, 학습 선택권 부여, 생활수준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들은 학업스트레스를 35% 설명해주고 있다. 즉, 부모의 학습관여 중 학업진보 격려가 낮을수록, 민주적 규칙 제공이 적을수록, 적정한 성과 추구가 적을수록, 여학생인 경우, 학습 선택권을 적게 부여할수록, 생활수준이 낮을수록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갈등

        백미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갈등 정도와 갈등표출방법이 사회인구학적 변인 및 의사소통 변인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파악하고, 갈등 정도와 청소년의 갈등표출방법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갈등을 바람직하게 해 결하여 보다 나은 부모-자녀 관계의 유지에 도움이 되도록 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은 광주광역시 3개교, 전라남도 2개교 고등학교 2학년 남녀 학생 468명이었다. 조사 도구는 청소년이 지각한 청소년과 부모 사이의 갈등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10문항으로 된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갈등 측정 도구를 사용하였고, 14문항으로 된 갈등표출방법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및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을 산출하였고 일원변량분석, Duncan의 다중범위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이 지각하고 있는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갈등 정도는 평균 21.26점(100점 환산치: 42.52점)으로 가능한 점수 범위(10-50점)를 고려하면 중간 이하 수준으로 낮았으며, 갈등 영역별 갈등 정도는 성적, TV, 취침, 성격, 형제·자매, 용돈, 청소, 청결, 친구, 옷차림의 순으로 나타났다. 변인 중에서 성별, 학교 소재지, 어머니 학력, 대화시간 및 부모와의 대화 만족도에 따라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갈등 정도 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학생이, 도시 학생 집단이, 어머니 학력이 고등학교 졸업인 경우, 대화 시간이 적고, 부모와의 대화에 만족하지 않은 집단에서 청소년의 갈등 정도가 높았다. 2. 청소년의 갈등표출방법은 의논행동을 언쟁행동, 폭력행동보다 빈번히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에 따른 청소년의 갈등표출방법은 성별, 학교 소재지, 어머니 직업, 대화시간, 부모와의 대화 만족도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갈등 정도에 따른 청소년의 갈등표출방법은 전체적으로 의논행동, 폭력행동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언쟁행동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갈등이 높을수록 언쟁 행동을 빈번하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의 갈등표출방법 중 언쟁행동은 성적, 취침을 제외한 모든 갈등 영역에서 갈등이 높을수록 언쟁행동을 자주 사용하였으며, 폭력행동은 성적, TV, 취침을 제외한 모든 갈등 영역에서 갈등이 높을수록 폭력행동을 자주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갈등 정도와 갈등표출방법의 상관 관계는 전체적으로 언쟁행동, 폭력행동의 순서로 상관이 높게 나타났다. 즉 전체적인 갈등이 높을수록 언쟁, 폭력의 갈등표출 방법을 사용함을 의미한다. 언쟁행동은 모든 갈등 영역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며 특히 성격, 친구, 형제·자매, 용돈과 상관이 높다. 폭력행동은 TV, 취침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와의 갈등 정도와 갈등표출방법에 특히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변인은 의사소통 변인으로, 대화 시간이 적고 부모와의 대화 만족도가 적은 경우, 부모-청소년 자녀간의 갈등 정도는 높고 청소년의 갈등 표출은 의논행동 보다는 언쟁행동이나 폭력행동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즉 부모와 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이 청소년의 갈등표출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볼 수 있다.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egrees of the parents-adolescent conflicts and to recognize how the parents-adolescent conflicts are represented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and communicative variables. It is also to examine the corelation between the degrees of the parent-adolescent conflicts and the ways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conflicts. As a result, first, this thesis aimed to help the conflicts between the parents and the adolescents conciliated through solving the problems desirably. Secondly it aimed to show the basic sources for the understanding of the parents-adolescent conflicts. The analysis was based on the data from survey questionnaires answered by 468 boy and girl students who are in 3 high schools in Kwang-ju city and 2 high schools in Chon-nam. The parents-adolescent conflicts questionnaires with 10 items was used for the measurements of the conflicts and <C.T.S.> with 14 items which referential to "the conflict Tactics Scale" by Straus(1979) was applied to show the ways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conflicts. The data was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ile, average, standard deviation, F-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degrees of the parent-adolescent conflicts which the adolescents are conscious of were scored mean of 21.26, which is lower than middle point considering the whole area of the score(10-50). The ordering of the seriousness in the conflicts are such as grade, sleeping time, their personalities, siblings' relationship, allowance, cleaning, friends' relationship, dressing. There was also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conflicts and gender, the place where their school is, mother's education record and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In case it is boy students, of the school in the city, whose mother graduated from just high school, and there is little communication with parents, the seriousness of the conflicts was to be higher. 2.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ents represented the conflicts through discursive behaviors more frequently than argumentative behaviors and violent behaviors. 3. The degrees of the conflicts didn't show the meaningful differences in discursive and violent behaviors, however there wa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s of the conflicts and argumentative behaviors. 4. Argumentative behaviors are related with the whole areas of the conflicts and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llowance, personality, friends' and siblings' relationship. The areas of violent behaviors which is correlated with the degrees of the conflicts are all except the grades, TV, sleeping time In sum, The degrees and the ways of the representation of the parent-adolescent conflicts were affected by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In case they had little communication with their parents, they had higher degrees of the conflicts. Argumentative and violent behaviors were shown more than discursive behaviors as the degrees of the conflicts growed higher Accordingly, it would be helpful to make the adolescents present their own feelings to the parents freely and communicate with their parents to induce the desirable ways of the representations of the conflicts and finally to reduce the parents-adolescent conflicts

      •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친구지지, 가족건강성과 자기통제력의 관계

        홍승화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친구지지, 가족건강성과 자기통제력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친구지지, 가족건강성과 자기통제력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고등학생들의 자기통제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가정과 학교에서 고등학생을 지도하는 데 있어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남, 여 고등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으로 답하는 구조화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438명의 질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분석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Cronbach'α 계수를 산출하고 t-test, ANOVA, Duncan의 사후검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친구지지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정서적 지지가 3.88, 평가적 지지가 3.73, 정보적 지지가 3.69, 물질적 지지가 3.68로 중간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가족건강성의 일반적인 경향을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면 가족존중 및 애정이 3.87, 역할공유 및 문제해결력이 3.60, 의사소통 및 유대감이 3.50, 재정적 안정이 3.88로 중간 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자기통제력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장기 만족 추구가 3.26, 즉각 만족 추구가 2.68로 중간값보다 낮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친구지지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 부 학력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여학생 집단이 친구지지의 하위요인인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지지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부 학력이 대학원 졸업 집단에서 정서적지지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가족건강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종교, 생활수준, 부 학력, 모 학력, 부 직업, 모 직업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건강성은 종교가 불교이며, 생활수준이 상이고, 부 모학력이 대학원 졸업 이상인 집단 부모 직업이 전문직인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넷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자기통제력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 부 학력, 모 직업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통제력은 여학생이며 부 학력이 대학원 졸업이상이고, 모 직업이 생산 기술직인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친구지지에 따른 자기통제력의 차이를 살펴보면 장기 만족 추구의 통제력에 있어서는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 지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친구지지가 높을 경우 장기 만족 추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각 만족 추구는 물질적 지지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친구의 정서적 지지, 평가적 지지, 정보적 지지, 물질적지지 모두 자기통제력과 관련성이 있으며, 친구지지를 높게 인식할수록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이 높았다. 여섯째, 가족건강성에 따른 자기통제력의 차이를 살펴보면 자기통제력은 가족존중 및 애정, 역할공유 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및 유대감, 재정적 안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족의 가족존중 및 애정, 역할공유 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및 유대감, 재정적 안정이 높다고 인식한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이 높았다. 일곱째, 사회인구학적변인과 친구지지, 가족건강성이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가족건강성의 하위영역 중 역할공유 및 문제해결력(β= .30), 의사소통 및 유대감(β= .17)와 부 학력(β= .11)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들은 자기통제력을 15% 설명해주고 있다. 즉, 부 학력과 역할공유 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및 유대감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은 가정의 영향력이 친구지지보다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가족 간의 유대를 강화하고 긍정적인 의사소통을 하도록 가정과 교육을 강화하며 청소년 교육에서 가정의 역할이 중요하므로 가정의 기능을 강화하는 다양한 정책을 수립이 필요하다. 또한 나아가 사회에서도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교수법 및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

      • 초등학생의 학교환경변인·공격성·인터넷 게임사용에 관한 연구

        박현정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첫째, 초등학생의 게임사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게임경력이 3년 이상 이며 일주일에 5일 이상 게임을 하는 집단이 가장 많았다. 게임 장소로는 집에서 게임을 즐기는 집단이 가장 많았고, 게임을 하는 이유로는 재미있어서 게임을 한다는 집단이 가장 많았으며, 게임을 같이 하는 사람으로는 혼자서 게임을 한다는 집단이 많았다. 게임에 대한 부모의 생각은 시간을 정해 준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 중 중독군이 6.8%인데 비해 의존군이 80.9%로 높게 나타나 게임사용 정도를 조절할 수 없는 경우 중독군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교환경변인으로 성적은 3.01점으로 보통값 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적응은 2.89점으로 보통값보다 약간 낮게 나타났다. 선생님의 사회적지지는 2.75점으로 보통값보다 낮게 나타났고 친구의 사회적지지도 3.33점으로 보통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공격성은 신체적 공격성 2.68, 간접적 공격성 2.64, 언어적 공격성 2.46이 전체적으로 보통값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신체적 공격성, 간접적 공격성, 언어적 공격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변인과 게임사용변인에 따른 초등학생의 게임사용 정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 아버지직업, 어머니직업, 생활수준, 게임에 대한 부모생각 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게임사용 정도가 더 높았고, 아버지, 어머니 직업에 있어서 자영업의 자녀들이 게임사용 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생활수준 에서는 매우 어려운 편이다의 집단이 게임사용 정도가 높았고 게임에 대한 부모생각은 간섭하지 않는다의 집단이 게임사용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게임사용 실태에 따른 게임사용 정도의 차이는 게임경력, 게임시간, 평일, 주말게임시간, 게임장소, 게임하는 이유, 게임을 같이 하는 사람, 게임에 대한 부모생각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게임경력에 있어서 3년이상 즐기는 집단, 일주일에 게임시간으로는 5일 이상 게임을 하는 집단, 평일과 주말에 4시간 이상 게임을 한다는 집단이 게임사용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게임장소로는 PC방에서 주로 게임을 하며 게임을 하는 이유로는 습관적으로 한다는 집단, 게임을 같이 하는 사람으로는 친구들과 함께 하는 집단의 게임사용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게임에 대한 부모의 생각으로는 간섭하지 않는다는 집단의 게임사용 정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학교환경변인(성적, 학교적응, 선생님의 사회적지지, 친구의 사회적지지), 공격성(신체적, 간접적, 언어적)에 따른 초등학생의 게임사용정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성적, 학교적응, 선생님의 사회적지지, 친구의 사회적지지, 공격성에 따라 초등학생의 게임사용 정도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적이 낮은 집단과 학교적응이 낮은 집단, 선생님의 사회적지지, 친구의 사회적지지가 낮은 집단의 게임사용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격성(신체적, 간접적, 언어적)이 높은 집단의 게임사용 정도는 모두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학생의 게임사용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성별, 생활수준, 학교적응, 신체적 공격성 간접적 공격성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즉,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생활수준이 낮을수록, 학교적응이 낮을수록 신체적 공격성, 간접적 공격성이 높을수록, 게임사용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영향력은 35%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일부 초등학생의 게임사용이 우려할 만한 수준이며 학교환경변인과 공격성이 초등학생의 게임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게임사용의 무절제한 사용은 건전한 생활형성 및 학업성취와 학교생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학교적응을 강화시키고 일탈행동을 조장하는 도구로 사용될 수도 있다. 아동기는 사회의 올바른 성인으로 자라나는 기틀을 마련하는 시기임을 생각할 때 가족 간의 대화와 올바른 가치관 공유 등 건강한 가족문화 형성을 통해 또래 관계와 게임사용에 대해 올바른 가치관을 정립하도록 유도하는 부모의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며 학교에서는 초등학생의 올바른 게임사용에 대한 교육과 적절한 규제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게임사용을 바람직한 방향으로 유도해야 할 것이다.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창의적 성격이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영지 전남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창의적 성격, 학교생활 만족도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부모양육태도 중 긍정적 양육태도는 따스함 평균 3.37, 자율성지지 3.35, 구조제공 3.06으로 중간 값 보다 높았고 부정적 양육태도는 거부 1.58, 강요 2.34, 비일관성 2.04로 중간 값 보다 낮았다. 창의적 성격은 평균 7.53으로 중간 값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교생활 만족도도 4.07로 중간 값 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배경 변인에 따른 부모 양육태도, 창의적 성격, 학교생활 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에 따라 긍정적 양육태도인 따스함, 구조제공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부정적 양육 태도로는 강요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창의적 성격과 학교생활 만족도도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운동시간에 따른 차이에서는 부모양육태도 중 긍정적 양육태도 하위 요인에서운동시간이 긴 집단일 때 높았지만, 부정적 양육 태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운동시간이 4시간 이상인 집단이 창의적 성격과 학교생활 만족도 역시 높았다. 주말에 부모님과의 대화 시간에 따른 차이에서는 부모양육태도, 창의적 성격, 학교생활 만족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즉 부모님과의 대화 시간이 긴 집단이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의 하위 요인이 높고 부정적인 부모양육태도가 낮았으며 부모님과 대화 시간이 긴 집단이 창의적 성격과 학교생활 만족도 역시 높았다. 주말에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에 따른 차이에서는 부모양육태도, 창의적 성격, 학교생활 만족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이 긴 집단이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의 하위 요인이 높고 부정적인 부모양육태도의 하위 요인 중 거부와 비일관성이 낮았으며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이 긴 집단이 창의적 성격과 학교생활 만족도 역시 높았다. 주말에 독서 시간에 따른 차이에서는 부모양육태도, 창의적 성격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교생활 만족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독서 시간이 긴 집단이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의 하위 요인이 높고 부정적인 부모양육태도의 하위 요인인 강요와 비일관성이 낮았으며 독서 시간이 긴 집단의 창의적 성격 역시 높았다. 주말에 스마트폰 하는 시간에 따른 요인 차이에서는 부모양육태도, 창의적 성격, 학교생활 만족도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스마트폰 하는 시간이 짧은 집단이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 하위 요인이 높고 부정적인 부모양육태도 하위 요인인 비일관성이 낮았으며 사용하는 시간이 짧은 집단이 창의적 성격과 학교생활 만족도 역시 높았다. 셋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 및 창의적 성격과 학교생활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부모양육태도 중 긍정적인 부모양육태도의 따스함과 자율성지지, 구조제공이 학교생활 만족도와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부정적인 부모양육태도의 거부와 강요, 비일관성은 학교생활 만족도와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양육태도, 창의적 성격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자율성지지, 따스함, 비일관성, 창의적 성격, 거부 순으로 학교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 중 자율성지지, 따스함과 창의적 성격은 긍정적인 영향을 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중 비일관성과 거부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First, if you look at the general trends of parenting attitudes, creative characteristic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that teenagers are late for,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mong parent-raising attitudes were higher than the median ones at 3.37, autonomous support, 3.06, and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were higher than the median ones at 1.58, forced 2.34, and non-uniformity 2.04, with an average of 7.53 higher than the median values. In addition, the satisfaction level of school life was 4.07, higher than the median. Second,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parental attitudes, creative personalitie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based on background variabl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positive attitudes of parenting, warmth, and provision of rescue, while negative attitudes of parenti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ercion. Both men and wome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creative personalit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terms of exercise tim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mong parent-rearing attitudes was also high in the lower factor when exercise time was long, but it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egative parent-rearing attitude. Groups with more than four hours of exercise also had a high level of creativit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difference between parents and their parents over the weekend was significant, i.e. the group with long conversation time with parents had high positive parent care and low negative parent care, and the group with long conversation time with parents also had high creative personalit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terms of time spent studying by themselves on weekends, parents' attitudes, creative personalities,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words, groups with long hours of self-study had high positive parent-raising attitude, negative parent-raising attitude, low rejection and inconsistency among lower factors, and groups with long hours of self-study also had high creative character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ing attitude and creative personality in the difference between reading time on weekend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group with a long reading time had high positive parent-raising and negative parent-raising factors, low coercion and inconsistency, and high group creative character with long reading tim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difference in factors according to smartphone hours on weekend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rearing attitude, creative personalit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In other words, groups with short smartphone time had high positive parent-rearing attitude, low negative parent-rearing attitude, low inconsistency, and groups with short hours of use also had high creative personality and high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ird, if you look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ents' parenting attitude and the school life satisfaction that teenagers were late for, the positive parent's nurturing attitude, warmness and autonomy support, and the provision of rescue service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negative parental care attitude, rejection, coercion, and inconsistency were found to be related to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maladjustment. Fourth, looking at the influence on parents' child care attitude, creative personal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it was shown that among the lower factors of positive parent-rearing attitude, autonomy, warmth, and creative persona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and negative parental care attitude, rejection and inconsistency.

      •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동조성이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노화련 전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동조성이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청소년의 학교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학교현장에서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적응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와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연구 자료로 활용하여 청소년의 건강한 학교생활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3개 중학교 학생 46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정서조절능력, 또래동조성, 학교생활만족도를 측정하는 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처리를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 또래동조성 및 학교생활만족의 일반적인 경향은 청소년의 정서조절능력은 타인조절능력 3.90, 자기조절능력이 3.54이었으며, 정서조절능력 전체는 3.73으로 중간 값(3.00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이 타인조절능력에 비해 낮은 것으로 볼 때 이에 대한 지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래동조성은 중립적행동이 2.36, 반사회적 행동이 1.47이었으며, 또래동조성 전체는 1.95로 중간 값(2.50점)보다 낮게 나타났다. 학교생활만족은 3.81로 중간 값(3.00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정서조절능력의 차이는 정서조절능력 중 타인조절능력은 성별(p<.001)과 생활수준(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생활수준이 상인 집단인 경우에 타인조절능력이 높았다. 정서조절능력 전체는 학년(p<.01), 성별(p<.001), 생활수준(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학년이 3학년인 경우, 여학생인 경우, 생활수준이 상인 집단에서 정서조절능력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학년이 낮고, 남학생이며 생활수준이 낮은 학생들의 정서조절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도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또래동조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반사회적 행동은 성별(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남학생의 반사회적 행동이 여학생보다 높았다. 또래동조성 전체에서도 성별(p<0.1)에 따라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학교생활만족의 차이를 살펴보면 성별(p<.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학생의 학교생활만족이 남학생 보다 높았다. 남학생들이 여학생들에 비해 학교생활만족도가 떨어지므로 이에 대한 관심과 지도가 요구된다. 넷째, 정서조절능력과 또래동조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의 차이를 살펴보면 정서조절능력의 하위영역인 타인조절능력(p<.001), 자기조절능력(p<.001)과 정서조절능력 전체(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타인조절능력과 자기조절능력 및 정서조절능력 전체가 높은 집단의 학교생활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또래동조성은 하위영역인 반사회적 행동(p<0.01), 또래동조성 전체(p>.05)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청소년들이 자기조절을 잘하고 또래에 동조하는 성향이 낮아야 학교생활에 만족하며 잘 적응함을 의미한다. 다섯째,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정서조절능력, 또래동조성이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청소년의 학교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타인조절능력(β=.49, p<.001), 반사회적 행동(β=-.22, p<.001), 학년(β=-.11, p<.01), 자기조절능력(β=.10, p<.05)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즉, 정서조절능력 중 타인조절능력이 높을수록, 또래동조성 중 반사회적 행동에 대한 동조가 낮을수록, 학년이 낮은 경우, 자기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학교생활만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정서조절능력과 또래동조성의 본질적 특성의 이해를 돕고, 청소년기의 긍정적 발달과 적응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방안의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역할책임의식과 회복탄력성

        김애경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역할책임의식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증진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또한 학교현장에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도와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연구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4개 중학교 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부모역할책임의식, 회복탄력성을 측정하는 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고, t-test, ANOVA, Duncan의 사후검증, Pearson의 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역할책임의식과 회복탄력성의 일반적인 경향은 정서 및 사회성 4.01, 교육 3.63, 부모역할책임의식 전체 3.88, 회복탄력성 3.65로 중간 값(3점)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부모역할책임의식의 차이를 살펴보면 정서 및 사회성은 성별, 학년, 부 학력, 모 학력, 생활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정서 및 사회성은 여학생인 경우, 1학년인 경우, 부 학력이 대졸 이상인 집단, 모 학력이 대졸 이상인 집단, 생활수준이 상인 집단에서 부모역할책임의식을 인지하는 정도가 높았다. 교육은 성별, 부 연령, 부 학력, 모 학력, 생활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교육은 여학생인 경우, 부 연령이 40대인 집단, 부 학력이 대졸 이상인 집단, 모 학력이 대졸 이상인 집단, 생활수준이 상인 집단에서 부모역할책임의식을 인지하는 정도가 높았다. 부모역할책임의식 전체는 성별, 학년, 부 연령, 부 학력, 모 학력, 생활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부모역할책임의식 전체는 여학생인 경우, 3학년보다는 1학년인 경우, 부 연령이 40대인 집단, 부 학력이 대졸 이상인 집단, 모 학력이 대졸 이상인 집단, 생활수준이 상인 집단에서 부모역할책임의식을 인지하는 정도가 높았다. 셋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부 학력, 모 학력, 생활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부 학력은 대졸 이상의 집단이 높았고, 모 학력도 대졸 이상의 집단이 높았다. 그리고 생활수준이 높은 집단에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역할책임의식에 따른 회복탄력성의 차이를 살펴보면 정서 및 사회성, 교육, 부모역할책임의식 전체에 따라 회복탄력성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즉, 부모역할책임의식의 하위영역인 정서 및 사회성과 교육 그리고 부모역할책임의식의 전체가 높은 집단의 회복탄력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과 부모역할책임의식이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부모역할책임의식의 정서 및 사회성, 교육,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생활수준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들은 회복탄력성을 36%로 설명해주고 있다. 즉, 부모역할책임의식의 정서 및 사회성과 교육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이 높을수록,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역할책임의식이 회복탄력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발달을 위해 부모역할책임의식의 하위요인인 정서 및 사회성과 교육 그리고 사회 인구학적 변인인 생활수준에 관심을 갖아야 한다. 그리고 청소년기의 회복탄력성 발달과 긍정적인 부모역할책임의식을 위한 프로그램이나 방안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s how adolescents’ perceptions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affect a resilience. The analyzed results are to give fundamental research data to develop institutions and programs in school field for improving the resilience of adolescents. For this purpose, 450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ere surveyed and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instruments for measuring adolescents’ perceptions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and their resilience. The collected data was calculated in terms of the frequency, average, standard deviation, reliability coefficient(Cronbach' α) and t-test, ANOVA, Duncan-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WIN 23.0 progra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endency of adolescent's perceptions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and their resilience shows that Emotion & Sociality is 4.01, Education is 3.63, Adolescent's perception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is 3.88, and Resilience is 3.65, which are higher than the median(3.00). Second, considering the difference in adolescent's perception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stinction according to genders, grades, father's level of education, mother's level of education and living standards. In other words, for the female first grader, the level of perception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was high in groups where both of their parents’ level of education was college or higher and the living standards were in the highest group. There appear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Education according to genders, father's age, father's level of education, mother's level of education and living standards. That is, when it came to Education for female students, the level of perception was high in groups where father’s age was in their 40s, father’s level of education was college or higher, mother’s level of education was college or higher and living standards were in the highest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overall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according to genders, grades, father’s age, mother’s age and living standards. In other words, for female students, the perception of overall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was distinctive in that their perception was high in groups of first grader students rather than third grade students and in groups where father’s age is in their 40s, father's level of education was college or higher, mother's level of education was college or higher and living standards were in the highest group. Third, considering the differences in resilience by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ere appear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significance according to father's education level, mother's education level and living standards. Parents with college diplomas or higher than that accounted for a high rate. Also, the higher living standards were, the higher adolescents’ resilience became. Fourth,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adolescents’ resilience adolescent's perception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there was a statistically difference in terms of Emotion & Sociality, Education and Overall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That is to say, the higher the adolescents’ overall perception of Emotion & Sociality, Education and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were, the greater their resilience became. Fifth,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adolescent's perception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on their resilience, these factors, which include Emotion & Sociality, Education, and living standards, had influence on their resilience in order. Plus, these variables accounted for 36% of the resilience.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overall perception of Emotion & Sociality and Education of the adolescents were and the higher the living standards were, the greater the resilience beca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especially, to ensure that adolescents’ perception of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have great influence on adolescents’ resilience. Therefore, to improve their resilience, we should be concerned about Education & Sociality and Education, which are sub-factors, and also about living standards, which are socio-demographic variables. Furthermore,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of educational programs or solutions for establishing students’ resilience and positive parental role responsibilities in their adolescence.

      • 중학생의 가족건강성, 창의적 인성에 따른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윤선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학생의 가족건강성, 창의적 인성, 진로성숙도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고 가족건강성, 창의적 인성과 진로성숙도의 관계가 어떠한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중학생들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 가정과 학교에서 중학생의 진로를 지도하는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광주광역시 중학교 3학년 55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으로 답하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508명의 설문지가 최종분석에 사용되었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가족건강성, 창의적 인성, 진로성숙도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배경 변인과 가족건강성, 창의적 인성, 진로성숙도간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t-test와 ANOVA, Duncan의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가족건강성과 창의적 인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서 Pearson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이 인식하는 가족건강성, 창의적 인성, 진로성숙도의 일반적인 경향은 중간값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배경 변인에 따라 가족건강성은 학생이 지각하는 생활수준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창의적 인성은 성별, 출생순위, 생활수준, 부 학력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진로성숙도는 부모의 진로지도 관심도와 학교 진로교육 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가족건강성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는 가족건강성의 모든 하위 영역인 가족존중 및 애정, 역할공유 및 문제해결력, 의사소통 및 유대감, 재정적 안정과 가족건강성 전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가족건강성을 높게 인식할 때 중학생의 진로성숙도가 높았다. 넷째, 창의적 인성에 따른 진로성숙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진로성숙도는 창의적 인성 변인의 하위 영역인 호기심, 자기 확신, 상상, 인내/끈기, 독립성, 개방성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적 인성 전체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배경 변인과 가족건강성, 창의적 인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창의적 인성의 하위영역인 자기 확신(β=.49, p<.001)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부모의 진로지도 관심도(β=.11, p<.05)가 영향을 미쳤다. 이들 변인들은 진로성숙도를 26% 설명해주고 있다. 즉, 청소년의 자기 확신이 높고 부모의 진로지도 관심도가 높을 때 청소년의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살펴볼 때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가족 환경과 개인의 창의적 인성이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청소년의 진로 탐색에 개인의 관심과 함께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환경에서도 적절한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청소년 시기가 미래를 계획하고 준비하는 시기가 될 수 있도록 가족은 개인의 긍정적인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학교는 진로탐색을 위한 다양한 교수법과 프로그램을 개발해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tens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amily strength, creative personality and career maturity and to analyze relationship of family strength, creative personality, and career matur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middle school students to improve their career maturity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areer guidance in the family and school. Data were collected from self-reported inventory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in Gwangju city and 508 data copies were used for analyses. Data were analyzed for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ronbach's α, t-test, ANOVA, Duncan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PC 21.0 program.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ns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family strengths, creative personality, and career maturity were higher than 3 on a 5 point Likert scale, which means moderately high. Second, examining differences in family strengths, creative personality, and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ir socio-economic variabl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strengths depending on standard of living.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ve personality depending on the gender, birth order, standard of living, and father’s educational attainmen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depending on parent`s interest about career guide, and satisfaction of school guidance. Third, examining mean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three levels of family strength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subcategories of family strength, namely ‘family respect and affection’, ‘role sharing and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and family bonding’, and ‘financial stability’.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family strength, the higher the level of their career maturity. Fourth, examining mean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the three levels of creative personalit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categories of creative personality such as curiosity, self-confidence, imagination, perseverance/tenacity, independence, and openness. Fifth, among the subcategories of personal background, family strengths, and creative personality, self-confidence(β=.49) and parent`s interest in career guidance(β=.11)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career maturity. These variables influence career maturity by 26%. The outcomes indicate that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is affected by family environment and creative personality. There needs to be an appropriate intervention from family environment to improve the career maturity of adolescents. Positive role of family needs to be strengthened and the school needs to offer quality programs with various teaching methods to enhance positive behavi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 협동학습을 통한 문학작품 감상 지도 : 하근찬의 「受難二代」를 중심으로

        송정화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599

        문학은 인간의 사상과 감정의 표현이 핵심이라는 점에서 문학 활동을 배우고 익히는 일은 학습자의 사고 작용의 개발과 능력의 향상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따라서 문학교육에서는 감상 교육이 중심이 되어야 한다. 감상은 주체, 즉 학습자의 내면에서 이루어지는 대상에 대한 심미적 수용 과정을 일컫는 말이다. 그러나 그것은 단지 대상에 대한 수동적인 수용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 나름의 변용을 거치기 때문에, 심미적 대상의 창조, 혹은 재창조까지를 포괄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문학 작품에 대한 감상 교육이 제도 교육에서 올바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인지적 처리 과정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이는 무엇을 아는가가 아닌, 어떻게 아는가 라는 앎의 과정이 중시되어져야 한다. 즉, 학습은 학습자의 인지 구조를 바탕으로 환경에 대한 적응을 통해 구성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습득되는 지식은 환경에 대한 학습자 자신의 해석, 즉 의미 만들기이다. 이때 환경이란 문화적, 사회적, 생물학적 모든 외적 환경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환경 속에 이뤄지는 학습은 사회 구성원들간의 상호 작용의 소산이기 때문에 객관주의에서처럼 학습자와 유리되어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지식을 기계적으로 암기하거나 반복 연습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구성주의 문예학을 문학 이론 부분에서 적용할 수 있다. 구성주의 문예학은 근본적으로 문학 텍스트란 정신적 모델을 구성을 위한 하나의 데이터 베이스로 작용하며, 텍스트 이해(텍스트 처리)는 능동적이고 창조적인 정신적 구성 행위라는 관점을 전제로 출발한다. 그리고 텍스트 이해의 다양성을 정당화시키기 위해, '텍스트'와 커뮤니카트(疏通素,Kommunikat)'간의 구분을 도입하고 있다. 즉, 문학작품의 해석 과정에 있어서, 텍스트, 커뮤니카트 형성,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의미 구축 과정을 분리함으로써, 개별 독자의 텍스트 처리과정을 통한 커뮤니카트 형성 과정과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라는 협응을 통한 공인된 의미 도출이라는 과정을 상정하고 있다. 이는 곧, 의미 구성의 자극체로 보는 텍스트관과, 커뮤니카트 형성으로서의 인지 과정,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의미 구성의 사회적 상호 작용, 이 세 개의 분리된 과정들이 통합 연결됨으로써 구성주의적 관점에서의 문학작품의 '의미'가 탄생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구체적 교수-학습 단계를 두 단계로 나누어 상정해 볼 수 있다. 첫 단계는 인지적 처리 과정을 통해 텍스트에 대한 커뮤니카트를 형성하고, 텍스트 이해에 대한 경험적 지식의 습득 단계로 정의적 사고 범주의 하나인 알기를 적용할 수 있다. 두 번째 단계로는 집단 구성원과의 상호 작용을 통한 의미 구성 단계로 이는 느끼기와 즐기기가 적용된다. 이는 심미적 소통 - 문학작품이 심미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기에 - 의 다음 3 가지 기본 기능 인지적 기능, 도덕적 기능, 향유적 기능과도 연결된다. 문학작품을 읽고 공부하는 목적은 문학작품을 구성하는 요소로서의 문학적 지식이나 작가를 공부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고 문학작품의 감상의 주체가 되는 학생이 작품과의 만남을 통해 내재적 반응을 하게 되고 그러한 내재적 반응을 통해 형성된 가치를 내면화하는 것이다. 또한 예술적 감동으로 정서를 순화시킴으로써 궁극에는 인격을 완성시키는 데 있는 것이다. 이에 하근찬의 「수난이대」를 협동학습을 통해 인지적 영역인 '알기'와 '따지기' 과정을 거쳐, 정의적 영역인 '즐기기' 과정에 따라 감상하도록 해 보았다. '즐기기' 위한 방법으로는 학습자들이 모둠에서 할 수 있는 작품에 대한 재창조를 하되,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법을 선택하도록 하였고, 발표 방법도 모둠에서 활동 내용에 맞게 결정하도록 하였다. 이에 모둠에서 많이 나온 방법은 작가나 등장 인물에 대한 인터뷰, 연극, 등장 인물에게 편지 쓰기, 광고, 소설 속에 나오는 사건의 기사, 여행 안내 등이었다. 이런 협동학습을 통해서 얻은 효과는 무엇보다도 작가에 대해 더 이해하게 되었고, 작품 속에 나온 시대 배경을 더 잘 파악하였고, 소설 속의 인물의 성격, 심리, 관계 등을 더 깊이 이해했으며, 소설속의 구성, 배경에 대해서 더 자세히 파악하였고, 무엇보다도 소설이 재미있었다는 것, 더 나아가 다른 작품에 대해서도 더 읽어보고 싶다는 것이었고, 또 협동 학습이 잘 이루어져 좋았다는 것이다. 그리고 모둠 활동 내용을 보았을 때, 학습자의 두드러진 특징은 대중 매체를 많이 접한 만큼 시각적인 영상을 많이 이용했으며, 지금 현대와 거리가 멀게 느껴지는 시대 배경과 사건, 인물을 학습자가 처해 있는 문화적 배경을 반영하여 광고, 여행 안내 인터뷰 연극 등 다양하게 적용하여 학습자의 시각으로 대상을 재창조했다는 것이다. 발표 또한 모둠원 모두가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역할을 맡아서, 컴퓨터를 적절하게 사용하여 재미있고 활발하게 발표하였다. 평가는 모둠내에서 모둠원 각자에 대한 자체 평가와 다른 모둠에 평가를 학습자가 평가하도록 하였다. 전체적으로 문제점이 있었다면 '즐기기' 과정을 위해서 학습자에게 주어진 모둠 활동 준비 시간이 많이 필요했고, 각 모둠에게 발표할 만한 충분한 시간을 배려하기가 어려웠다는 것이다. 그러나 궁극적으로 학습자가 문학작품을 재미있어 하고, 또 나아가 다른 작품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게 되었다는 것, 또 협동 학습을 하기에 모둠원들이 같이 일하는 것을 배웠고, 또 혼자 할 수 없는 활동, 예를 들면 연극, 인터뷰 등 작품을 다양한 방면으로 생각하고 새롭게 창조할 수 있었다는 것 등이 큰 의의라고 생각한다. We must consider that the focus of literature is the expression of man's thoughts and feelings. Thus learning literature activity improves the learners' thoughts and ability of literature appreciation Appreciation means the acceptable aesthetic process of things accomplished by the learners' inner state. It is, however, included not only passive acceptance of objects, but also the creation or recreation of the aesthetic objects experienced its own change. Above all, achieving proper appreciation education of literature works in the school system, we should first consider cognitive process.; this is not based on what we know, based on how we known so the process of knowledge is focused on. It means that learning cab be accomplished by the adaption of environment with the learners' cognitive basis. The knowledge through this enables the learners to make their own meaning to their environment, which contains exterior environment such as cultural, social and biological factors. In this environment, it is undesirable for the learners only to memorize and repeat the knowledge. Because learning is the result of the members' interaction. Thus we can apply the theory of constructionism of the literature here. Fundamentally, the constructionism of the literature has premises as follows; the text of literature act on as a data base to produce a mental model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has the view of active, creative and mental activity of construction. To verify the variation of the understanding of the text, they introduced the distinction between 'text' and Kommunikat'. That is to say, in the proces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literature, they divided the process of the meaning construction through text, Kommunikat, and communication. So they made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readers' text process and the process of public taking out the meaning of the cooperative communication. This implies that these three parts such as the view of th text as a stimulus to the construction of the meaning, the process of cognition as a form of Kommunikat, and the social interac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Consequently, we can divide the two concrete teaching-learning levels. In the first level, we can form the Kommunikat to the text through the cognitive process and it is the acquisition level of the experimental that can apply the knowing as an affective thinking category. In the second level., we can apply the feeling and enjoying level through the members' interaction to form the meaning. This is related to the basic three functions such as cognitive, moral and enjoyable functions. The purpose of reading and studying the literature for students is not to study the writing and writers as elements of literature. Instead, it is response and purify their inner feelings and internalize values gained by their inner response with the encounter of literature. Also to achieve their personality by the artistic catharsis of purifying their feelings. I suggested the students to appreciate the work, 「Passion over two generations」 by Gun Chan Ha, through the cooperative study according to the process of 'knowing, analyzing, enjoying'. As to the method of 'enjoying', I proposed that students recreate the work in groups. Selecting various and creative methods such as presentation in accord with the activity. The most used methods were drama, letter-writing advertisements, articles included in the novel, travel brochures, etc.. There were many positive effects through this cooperation. Students could understand the writer and the background of the times, also the personality, mental phenomenon, relationships better. Afterwards they wanted to read other novels and most of all they were in good harmony. What I viewed in groups, the most obvious characters of learners was the use of visual mass media such as computers. They recreated the people in the novel. Then applied their cultural background using advertisements, travel brochures, interviews and dramas and the like. Students presented actively with computers and divided their parts with many fun things. The method of evaluation works two ways; one way is to evaluate the group itself which will be evaluated group members' participation and the other way is that learners themselves have to evaluate other groups' presentation. The only problems that arose were; a lack of time to prepare the group's works and to present for group members. Time also played a factor in finding the basic knowledge and concept in cognitive area. However, the most positive attributes of this type of instruction.: The students felt interested, They were concerned with other group member, and learned to work with other group memb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