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ffect of an On-site Exercise Program on Pain, Static Posture, Body Function and Composition, Work 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Auto-parts Factory Workers

        권일호 대전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목적: 자동차 부품 공장에 근로자를 대상으로 물리치료사가 감독하는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이 통증, 정적자세, 신체기능, 신체조성, 작업능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자동차 부품 공장 근로자 5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무작위로 할당되었으며, 각각 28명이었다. 실험군은 직장에서 운동프로그램을 제공받으며, 물리치료사에게 도수 및 운동치료를 제공받는다. 대조군은 집에서 스스로 할 수 있게 맞춤형 운동프로그램을 제공받는다. 프로그램은 12주 동안 주 3회 수행되었습니다. 평가는 통증을 알아보는 Numerical Rating Scale (NRS), 정적인 자세를 평가하는 Exbody, 신체기능을 평가하는 Selective Functional Movement Assessment (SFMA), 신체의 체성분분석을 평가하기 위해 InBody, 작업능력과 삶의 질을 확인하기 위해 Work Ability Index (WAI) 와 Short Form 12v2 (SF-12v2)를 이용하였다. 모든 평가는 동일하게 프로그램 전후에 평가되었다. 결과: 설험군에서는 NRS, Exbody, SFMA, SF-12v2와 WAI에서 그룹 내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 대조군에서는 NRS와 SFMA에서만 그룹 내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다(p < .05). 그룹 간 차이에서는 NRS, Exbody, SFMA와 WAI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 .05). 결론: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의 근로자들 사이에서 물리치료사가 감독하는 운동프로그램은 근로자의 통증수준, 자세, 신체기능, 작업능력과 삶의 질을 개선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 산림치유의 사회심리적 효과 검증 척도 개발과 타당화

        박석희 충북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심리적 산림치유효과 편익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척도를 개발하고 이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문가 델파이 조사와 산림치유프로그램 참가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산림치유효과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 작업을 실시하였다. 연구목적 1의 산림치유효과 척도 개발은 선행연구 분석, 기초예비문항 구성, 최종예비문항 구성, 최종문항 선정, 요인분석 및 신뢰도 검증 순서로 진행하였다. 첫째, 연구자가 국내외 산림치유 관련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산림치유와 관련된 편익을 조사하였다. 조사한 편익들을 산림치유 분야, 심리상담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산림치유효과를 대표할 수 있는 편익으로 스트레스, 우울감, 불안, 정신건강, 심리적 안녕감, 행복감, 삶의 질(만족감), 정서안정, 기분상태가 선정되었다. 아울러 선정된 편익들을 평가하는데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사회심리적 척도의 문항들 중에서 서로 중복되거나 유사한 문항을 정리하여 127개의 기초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둘째, 기초예비문항을 산림치유지도사 10명에게 의뢰하여 안면타당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항에 대한 이해도를 파악하고 다른 문항과 질문의 내용이 유사하거나 답변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28개 문항을 삭제하고, 13개 문항은 긍정 표현 또는 일부 단어를 수정하였다. 최종적으로 99개의 최종예비문항이 선정되었다. 셋째, 최종문항 선정을 위하여 치유의숲 등에서 20대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부실한 응답을 제외한 437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요인수를 지정하지 않고 주성분분석과 베리멕스(Varimax) 회전방식을 사용하여 문항들의 공통성과 회전된 성분행렬의 요인적재량을 검토하였으며, SPSS/WIN 2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해당 문항이 삭제된 경우 α 값(Alpha If item deleted) 0.975 이하, 각 문항의 공통성 0.5 이하, 요인 적재량 0.5 이하인 문항을 삭제하여 최종적으로 35개 문항이 선정되었다. 요인분석 결과 고유값(Eigenvalue)을 충족시키는 요인은 5개가 존재하였고, 총 누적 분산 설명율은 63.52%로 나타났다. 제1요인은 ‘주관적 안녕’ 11개 문항, 제2요인은 ‘행복’ 7개 문항, 제3요인은 ‘사회적 건강’ 8개 문항, 제4요인은 ‘우울-불안’ 5개 문항, 제5요인은 ‘활력-낙관’ 4개 문항이다. 넷째, 개발된 산림치유효과 척도 전체 및 하위 요인에 대한 신뢰도 검증(Cronbach's 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척도 전체와 5개의 하위요인의 신뢰도는 .837 ~ .962로 매우 높은 내적 일치도를 보여 본 척도가 매우 신뢰할 수 있는 척도임이 밝혀졌다. 최종적으로 5개 하위요인, 35개 문항의 산림치유효과 척도가 개발되었다. 연구목적 2의 타당도 검증 단계에서는 개발된 산림치유효과 척도가 측정도구로서 타당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구인타당도와 주관적 행복감 척도(SHS), 정신적 웰빙 척도(K-MCH-SF)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여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치유의숲 등에서 산림치유프로그램에 참가한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부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33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SPSS/WIN 24.0과 AMOS 25.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선정된 5개 하위요인의 모형을 일반화할 수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기 위하여 AMOS 25.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CFI .865, NFI .915로 모형의 적합도가 좋으며, RMSEA 값도 90% 신뢰구간에서 최저값 .054, 최고값 .062이며, 적합도 지수도 .058로 양호한 모형으로 판단된다. 둘째, 산림치유효과 척도 전체와 주관적 행복감 척도 전체와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주관적 안녕’, ‘행복’, ‘사회적 건강’, ‘활력-낙관’ 요인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 ‘우울-불안’ 요인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p <.01). 이는 산림치유효과 점수가 높은 참가자가 주관적 행복감 점수도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산림치유효과 척도 전체와 정신적 웰빙 척도 전체와는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효과 척도의 하위요인들과 정신적 웰빙 척도의 하위요인들은 ‘주관적 안녕’, ‘행복’, ‘사회적 건강’, ‘활력-낙관’ 요인에서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 ‘우울-불안’ 요인과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산림치유효과 점수가 높은 참가자가 정신적 웰빙 점수도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산림치유효과 척도는 타당도와 신뢰도가 검증된 객관적이고 믿을 수 있는 검사도구로 성인들의 산림치유효과를 측정하는데 타당한 도구임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개발된 산림치유효과 척도를 이용하여 첫째,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산림치유효과를 평가할 수 있으며, 둘째, 표준화된 척도 사용으로 산림치유효과를 장기적으로 연구하고 분석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이를 통해 근거중심의 산림치유 확산과 연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렇지만 산림치유에 대한 이론적 근거가 부족하고, 연구대상자도 일부 치유의숲으로 한정되어 있으며 조사기간도 4∼5월에 집중된 점, 타당화 과정에서 40대 이상의 비율이 67.0%로 인구통계학적 구성 비율과 일치하지 않아 이 척도의 평가 결과를 산림치유에 참가한 모든 대상자들에게 일반화하는 데는 일부 제한점이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산림치유의 이론적 기반을 구축하는 연구와 인구분포를 고려한 포집, 특정질환자들 대상의 효과 검증 연구가 필요하다. 아울러 산림치유 대표 편익을 측정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사회심리적 척도들과의 타당화 작업과 산림치유의 대표적인 편익 중 하나인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연구도 추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tandardized scale to evaluate the effects and the benefits of forest therapy in the perspective of social psychology an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is scale. In order to achieve the study purpose, Delphi-technique was conducted with the experts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 participants in forest therapy program, which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cale for forest therapy effect. As the purpose No.1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the socio-psychological effectiveness scale of forest therapy was proceeded in the consecutive order of th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composition of basic preliminary questions, composition of final preliminary questions, selection of final questions, factor analysis and verification of reliability. First, the researcher has researched the benefits to forest therapy by considering over the previous studies from both inside and outside Korea regarding forest therapy. About those researched benefits, the Delphi-technic was conducted by the experts in forest therapy area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area. The survey brought up the following representative benefits of forest therapy effects; stress, depression, anxiety, mental health, psychological wellbeing, happiness, quality of life(satisfaction), emotional stability, mood state, etc. In addition, 127 basic preliminary questions were selected after removing overlapped or similar questions from the existing questions of the socio-psychological scale that were judged to be the most appropriate questions for evaluating the selected benefits. Second, the basic preliminary questions were asked to 10 forest therapy instructors for the face validity survey. 28 questions that were judged to be similar to other questions or difficult to answer were deleted and 13 questions were either changed to be more positive or modified partially with some words. At last, final 99 preliminary questions were selected. Third, for the selection of final ques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over 20s in the healing forest, etc. Reliability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on 437 respondents except for those who made the poor answer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did not designate the number of factors and used the main component analysis and the varimax rotation method to review the commonality of the questions and the factor loading of the rotated component matrix. It also used the SPSS/WIN 24.0 statistical program. As for the removal scale of the items, the followings were applied; Alpha if item deleted is less than 0.975, communality of an item is less than 0.5 and factor loading is less than 0.5 and 35 final items were selected. The factor analysis result showed that the factors satisfying the eigenvalue were five and the total accumulative dispersion explanatory rate was 63.52%. Factor 1 of ‘subjective wellbeing’ has 11 questions, factor 2 of ‘happiness’ has 7 questions, factor 3 of ‘social health’ has 8 questions, factor 4 of ‘depression-anxiety’ has 5 questions and factor 5 of ‘vitality-optimism’ has 4 questions. Fourth, reliability verification(Cronbach's α) process was conducted over the entire scale which were developed in the forest therapy effect and the sub-facto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entire scale and its 5 sub-factors was .837 ~ .962, which was very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proved that the scale was very reliable. Finally, the socio-psychological effectiveness scale of forest therapy with 5 sub-factors and 35 questions was developed. In the validity verification stage of research purpose 2, in order to examine that the developed scale of forest healing effect was valid as a measurement tool, concurrent validity was ver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mong construct validity, Subjective Happiness Scale(SHS) and Korea Mental Health Continuum Short-Form(K-MCH-SF).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adults over 20s participating in the forest therapy program in the healing forest, etc. and except poor respondents, 331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It also used the SPSS/WIN 24.0 and AMOS 25.0 statistical program. First,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by using AMOS 25.0 statistical program to verify if the selected 5 sub-factors model can be generalized or not. The analysis result showed CFI .865 and NFI .915, which meant that the model was a good fit and for RMSEA, in the 90% confidence interval, the lowest was .054 and the highest was .062 and the fit index was .058, which was judged to be a reasonable fit model. Second, there were hig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entire the socio-psychological effectiveness scale of forest therapy and the entire SHS. For the sub-factors, there were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s among ‘subjective wellbeing’, ‘happiness’, ‘social health’ and ‘vitality-optimism’ and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anxiety’ factor(p <.01). This showed that the participant with the high points in forest therapy effect had higher points in subjective happiness. Third,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high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entire the socio-psychological effectiveness scale of forest therapy and the entire K-MCH-SF. For the sub-factors of the socio-psychological effectiveness scale of forest therapy and the entire K-MCH-SF, there were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s in ‘subjective wellbeing’, ‘happiness’, ‘social health’ and ‘vitality-optimism’ factors and meaningful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pression-anxiety’ factor. This meant that the participant with high forest therapy effect points had high mental wellbeing points. As a result, it was proved that the socio-psychological effectiveness scale of forest therapy developed in this study are the objective and reliable testing tool of which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verified and a valid tool to measure the forest therapy effect of adults. Therefore, by using the developed the socio-psychological effectiveness scale of forest therapy, first, the forest therapy effect can be evaluated systematically and objectively, second, the use of standardized scale made possible the long-term research and analysis of forest therapy effects. It is expected that this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and the research of evidence-based forest therapy. However, there were some limitations such as insufficient theoretical grounds for forest therapy, the limited research subjects to some healing forests, and the research periods concentrated to April and May. In addition, in the validation process, the percentage of the research subjects over 40 years old was 67.0%, which was not consistent with the demographic percentage and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the evaluation result of this scale was generalized to all participants in the forest therapy.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the further studies should include the studies to establish theoretical foundations of forest therapy, to take into account the population distribution and to verify the effects on specific disease patient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the validation work with other scales that measure forest therapy effects and benefits.

      • 산림치유지도사의 산림치유에 대한 주관성 연구 -Q방법론적 접근-

        이주은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forest therapy instructor's subjective structure on forest therapy, an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s a subjective structure on forest therapy. It is necessary to grasp the diversity of awareness of forest therapy because the inherent awareness and values of forest therapy by forest therapy instructors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behavior. Q-methodology was used as the study method, which evaluates in-depth and objectifies the subjectivity of humans by beginning from the subjects standpoint. The final selection of 34 Q samples was made by compiling Q statements related to forest therapy and considering the contents and subjects. 30 forest therapy instructors are set as P samples and the recognition type is extracted through Q classification. Classification Q is a compulsory distribution without redundancy, through which priorities are established and values are expressed. After five stages, four types were finally derived. The first type is 'mental stability-oriented forest therapy instructor', the second type is 'ability-oriented forest therapy instructor', the third type is 'program-oriented forest therapy instructor' and the fourth type is 'effect-oriented forest therapy instructor'. The first type recognizes that forest therapy instructors and subjects' stable psychological state are important conditions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forest therapy. Along with the argument that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dictionary, including the participant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forest therapy, the forest therapy program is also focusing on psychological approaches. The second type recognizes that the role of forest therapy instructors is important in forest therapy. As a way to lead effective forest therapy, the focus is on individual competence of forest therapy instructors. The third types said the quality of the program is important. The active process itself is recognized as a key element of forest therapy and is the type that seeks to organize a systematic program. The fourth type focus on the effects of forest therapy. The therapy effect from forest activiti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forest therapy. All four types presented had a common view that emphasized communion with nature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orming relationships with the subject. Based on this, proposals for effective forest therapy measur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re expected to be presented, which will be used as useful data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forest therapy. Based on this analysis, strategic program planning is also necessar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at correspond to each type. Forest therapy can be further strengthened through application by type agreed upon by forest therapy instructors and subject. 이 연구는 산림치유지도사를 중심으로 산림치유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산림치유를 실행하는 데 있어서 산림치유지도사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 산림치유지도사의 내재되어 있는 산림치유에 대한 인식이나 가치관은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산림치유에 대한 대한 인식의 다양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산림치유에대한 인식 유형 분석을 통해 산림치유 효과의 극대화 방안을 개발 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인간의 주관성 탐색에 유용한 Q방법론을 적용하여 산림치유에 대한 인식유형을 분석하였다. 인간의 주관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Q방법론은 주관적인 개념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산림치유와 관련된 Q진술문을 수집하고, 내용과 주제를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34개의 Q표본을 선정하였다. 산림치유지도사 30명을 P표본으로 설정하였으며 Q분류을 통해 인식 유형을 추출하였다. Q분류는 중복이 없는 강제분포를 통해 진행되며 이를 통해 우선순위를 설정하고 가치관을 나타낸다. 5단계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4가지의 유형을 도출하였다. 제 1유형은 ‘심리 안정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 제 2유형은 ‘능력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 제 3유형은 ‘프로그램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 제 4유형은 ‘효과 중시형 산림치유지도사’로 명명하였다. 제 1유형은 산림치유를 효과적으로 이행하기 산림치유지도사와 대상자의 안정되어 있는 심리적 상태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대상자의 참여 동기 등 사전의 심리적 상태가 산림치유에 막대한 영향이 있음을 주장하고 있으며, 산림치유 프로그램 또한 심리적 접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제 2유형은 산림치유에 있어서 산림치유지도사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효과적인 산림치유를 이끌기 위한 방안으로 산림치유지도사 개인의 역량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제 3유형은 대상자가 참여하는 프로그램이 중요하다고 하였다. 활동하는 과정 자체를 산림치유의 핵심요소로 인식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구성을 추구하는 유형이다. 제 4유형은 산림치유를 통해 나타나는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산림에서의 활동으로 얻게 되는 치유효과가 산림치유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하는 유형이다. 제시한 4가지 유형은 모두 자연과의 교감을 강조하는 공통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으며 대상자와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중요하다고 인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유형별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산림치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며, 궁극적으로 산림치유의 질 향상을 위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또한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각 유형에 상응하는 대상자의 특성을 고려한 전략적인 프로그램 계획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산림치유지도사와 대상자가 합의하는 유형별 적용을 통해 산림치유를 더욱 보강 할 수 있을 것이다.

      • 수중 트레드밀 위에서 후방 보행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근력, 고유수용성 감각,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

        금동민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뇌졸중은 운동신경과 감각신경 손상으로 균형과 보행에 문제를 발생시키는 대표적인 만성 질환이다. 균형과 보행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는데 그 중 편마비 환자의 트레드밀 보행은 마비 측의 체중지지 시간을 연장시켜 자세의 대칭성 향상, 정상적 보행을 위한 감각입력을 위해 많이 시행되며, 후방보행 훈련은 관절의 부하를 줄여주며 근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주고, 수중 환경에서의 운동은 물의 저항을 이용하여 근력, 근지구력, 평형능력, 심폐지구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후방 보행 훈련을 수중 환경과 지상 환경에서 다르게 적용하여 환경에 따른 뇌졸중 환자의 후방 보행 훈련이 근력, 고유수용성 감각, 보행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발병 후 6개월이 지난 뇌졸중 환자들로 총 28명이 연구에 참여 하였다. 각 대상자는 각각 수중 트레드밀 후방 보행 훈련군 13명, 지상 트레드밀 후방 보행 훈련군 15명으로 무작위 할당 되었다. 모든 대상자들은 지상 트레드밀에서 전방 보행을 20분간 실시하였으며, 수중 트레드밀 후방 보행 훈련군은 수중 트레드밀 훈련에서 20분간 시행 하였고, 지상 트레드밀 후방 보행 훈련군은 지상 트레드밀에서 20분간 시행 하였다. 중재 기간은 6주 동안 주 2회 40분씩 실시하였다. 측정은 하지의 근력 향상을 알아보기 위해 엉덩 관절 굽힘 근과 폄 근, 무릎 관절 굽힘 근과 폄 근을 디지털 근력 측정기로 근력 검사를 실시하였고, 고유수용성 감각을 알아보기 위해 엉덩 관절 굽힘과 폄, 무릎 관절 굽힘과 폄을 관절 위치 감각 검사로 평가 하였다. 보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해 8자 모양경로걷기 검사와 기능적 보행검사를 평가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근력과 보행능력 평가에서 중재 후 두 군에서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p<.05), 두 군간에서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5). 그러나 고유수용성 감각 평가에서는 두 군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p<.05), 수중 훈련군에서 엉덩관절 굽힘, 폄과 무릎 관절의 굽힘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첫째로 수중 훈련 시 환자별 신장에 따른 물의 수위를 개인별로 조절하지 못하여 물의 부력에 의한 효과를 동등하게 통제하지 못한 점. 둘째로 환자 개개인에 따라 후방 보행 메카니즘을 완벽히 적용하지 못한 점이다. 하지만 모든 대상자의 신장 범위를 고려할 때, 대부분 허리 부위의 높이에 해당하므로 체중의 50~60%에 체중 지지 효과가 있을 것 이라고 판단되며, 향후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이루어져 수중 트레드밀 후방 보행 훈련의 효과를 입증한다면 뇌졸중 환자의 근력과 고유수용성 감각, 보행능력의 향상에 수중 트레드밀 후방 보행 훈련이 효과적인 훈련방법이 될 것이라고 생각된다.

      • 닫힌사슬과 열린사슬을 이용한 재위치감각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 근력 및 균형에 미치는 효과

        이규영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뇌졸중으로 인한 장애로는 고유수용성 저하, 근 약화, 균형저하 등의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치료 방법 중 하나로 고유수용성감각 재교육이 강조되고 재활 후에 고유수용성 감각이나 운동감각 개선을 통한 기능의 향상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닫힌사슬과 열린사슬을 이용한 재위치감각훈련이 고유수용성 감각, 근력과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뇌졸중 환자 29명으로 닫힌사슬운동군 9명, 열린사슬운동군 10명, 대조군 10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닫힌사슬운동군은 닫힌사슬을 이용한 재위치감각훈련을 실시하였고, 열린사슬운동군은 열린사슬을 이용한 재위치감각훈련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실시하였다. 닫힌사슬운동군과 열린사슬운동군은 주 3회 30분씩 4주간 실시하였다. 대조군을 포함한 모든 대상은 신경발달치료와 기능적 전기 자극 치료를 주 5회 60분씩 4주간 실시하였다. 고유수용성감각인 관절재위치감각을 측정하기 위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였다. 근력측정을 위해 휴대용 근력계를 사용하였고, 균형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Balancia,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기능적 팔 뻗기 검사를 시행하였다. 각 군의 측정시기별 전․ 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 표본 검사(paired t-test)를 시행하였고 각 군의 측정 시기별 전·후 변화량을 보기 위하여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군간 전·후 변화량의 차이가 있을 경우 Scheffe 법을 사용하여 사후검정을 시행하였다. 자료의 모든 통계학적 유의수준은 .05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중재 전·후에 기능적 팔 뻗기 검사를 제외하고 모든 검사에서 세 군 모두 통계학적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세 군간의 비교에서는 닫힌사슬운동군이 열린사슬운동군과 대조군에 비교하여 무릎관절 재위치감각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열린사슬운동군은 닫힌사슬운동군과 대조군에 비교하여 무릎 폄근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닫힌사슬운동군과 열린사슬운동군은 대조군에 비교하여 정적균형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닫힌사슬운동군과 열린사슬운동군이 무릎관절의 고유수용성감각, 근력과 균형에 향상을 보였다. 또한, 닫힌사슬운동군은 열린사슬운동군보다 체중부하 시 무릎관절 고유수용성감각 향상에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고, 열린사슬운동군은 무릎 폄근 근력의 향상에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 치유의 숲과 이용객의 특성이 심리적 회복감에 미치는 영향 : 심리태도·사회경제적 특성과 이용특성을 중심으로

        송정희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purposes with the subjects of healing forests that have been formed and operated currently and healing forest users. First, it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users’ psychological attitude to natur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and user characteristics with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they feel from the healing forests. Second, it i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nvironment of healing forests changing by the location and season and users’ psychological recovery. Third, it i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needed to develop forest therapy programs appropriate for the characteristics of healing forests such as us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user characteristics, season and location, and trees and altitude. As the subjects of research, this paper chose three healing forests (Saneum, Mt. Cheongtae, Jangseong) and Sambong Natural Recreation Forest being operated as a long-stay healing forest by way of showing an example, and conducted a four-season survey to the users. As the measurement tools, New Environmental Paradigm Scale and Korean-edition PRS (Perceived Restorativeness Scale) were utilized.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1562 questionnaire sheets collected by SPSS 18.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below: A.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users’ psychological attitude to nature and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Although there existed correlation in the coherence, being away, and compatibility factors among the users’ NEP and PRS factors, there was no correlation with the familiarity factor.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users’ psychological attitude to nature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recovery; thus, when forming the environment of healing forests, operating forest therapy programs, or providing other services, it is needed to provide users with nature as it is rather than forming the environment artificially. Also, because along with the users’ psychological attitude to nature, psychological recovery also increases, it is needed to provide education to improve their ecological understanding of nature before they visit the forests or forest therapy programs are conducted in order to induce change in their attitude to nature. B. Regarding the users’ psychological recovery by the location of the healing forests, there was difference only in some of the factors. And according to the season, there existed difference in their psychological recovery in the healing forests.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users’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it is needed to develop forest therapy programs right for the season to provide them to the users. When forest therapy programs are conducted in a healing forest, those that can enhance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in spring and autumn rather than winter and summer would be better. C. According to the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of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by the healing forest user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there existed difference partially, but none as a whole. This result implies that when forming or managing the facilities or views of healing forests or operating forest healing programs, it is needed to be corresponding to the age, occupation, marital status, or income level instead of differentiating it by sex. D. There was no difference in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according to the user characteristics such as the healing forest users’ frequency of visiting the healing forests, previous visiting experience, or the types of visiting. This result shows that healing forests affect psychological restorativeness regardless of the users’ user characteristics; therefore, when forming the facilities or views of healing forests or managing and operating them, they can refer to the users’ user characteristics but do not have to consider them necessarily.

      • 산림치유지도사의 직업선택 동기가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종연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Influence of Forest Healing Instructors′ Job Choice Motivation on Their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Kim, Jong-Yeon Abstract The reduced opportunity of nowadays to get closer to the forest due to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results in escalations in problems such as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in our society. However, people realized the presence of the forest at the center of their healthy and enriching life, and began to find the forest again. Thus, they seek a variety of ways to improve healing, therapy,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In particular, since there is an increasing interest in forest therapy, the professional interest in forest healing instructors engaged in forest therapy is also on the rise.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job choice motivation of forest healing instructor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forest healing activities, and how their job choice motivation influences their satisfaction with job and life. Simultaneously,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pose improvements in efficient operation plans of forest healing instructors. For the purpose of research,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concepts and theoretical systems related to forest therapy, job choice motivati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For the second empirical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220 forest healing instructors with the qualification certificates who are currently engaged in the Korea Forest Welfare Institute and specialized forest welfare busines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ased on professional statistics using SPSS/WIN 18.0. To be specific, the analyses included technical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garding related variable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liability (Cronbach's α) of the job choice motivation scale accounted for .924, with an itemized average of 3.75. In particular, questions in terms of the pursuit of personal values such as "It is because I think forest healing activities are worth trying (4.15)," "It is because forest healing activities are fun and attractive (4.05)" and "It is because forest healing activities make me feel happy (4.03)" were higher than othe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investigation regarding the subfactors of job choice motivation through a factor analysis, the first factor turned out to be “personal value pursuit,” followed by the second factor, “development potentials'” and the third factor, “social value.” Comparing the average scores of subfactors, the factor of "personal value pursuit” turned out to be higher than the factors of "development potentials" and "social perception.” Second, the reliability (Cronbach's α) of the job satisfaction scale accounted for .916, with an itemized average of 3.28. By subfactor, the factor of “internal satisfaction (3.44)” was higher than the factor of “external satisfaction (3.06).” Among the internal satisfaction factors, the questions such as "it is because I can do something for others (4.07)," "it is because I can work using my ability (3.92)," and "it is because I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through work (3.79)” demonstrated higher scores. Third, the reliability (Cronbach's α) of the life satisfaction scale accounted for 0.932, and the itemized average was 4.88. The highest score appeared in “I am satisfied with my life (5.15)” and “So far I've accomplished the important things I want in my life (5.15).” Fourth, it turned out that the influence of job choice motivation on job satisfaction ha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In the relationship of job choice motivation and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it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the factor of “internal satisfaction” of job satisfaction, and "a low correlation" with the factor of “external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factor of “social value,” a subfactor of job choice motivation,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entirety of job satisfaction, while “a low correlation” with the factor of “external satisfaction” an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external satisfaction.” In summary, all three subfactors of job choice motiva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e factor of “development potentials (job prospects, vision, development opportunities, etc.)”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Fifth, the influence of job choice motivation on life satisfaction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hile it showed “a low correlation” with the three subfactors. According to the causal relationship, it turned out that the factor of “the pursuit of personal values” of job choice motivation gave a positive (+)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factors of “development potentials” and “social value”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Sixth, the correlation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showed “a low correlation” and it also showed “a low correlation” with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ausal relationship, it turned out that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ternal satisfaction, external satisfaction) had “a low correlation” with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factor of “external satisfaction” of job satisfaction gave a positive (+)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On the contrary, the factor of “internal satisfac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Combining all results of the study, we understand that the forest healing instructors’ job choice motivation gives a significan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The stronger the motivation to choose a job,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of the forest healing instructors was most influenced by personal development potentials such as “a sense of happiness,” “feeling rewarded in work,” “value of work” and “prid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propose a political vision that ① Establishment of the systematic and sustainable education system to improve professionalism, ② Improvement of professional consignment business system to secure good jobs, ③ Establishment of job platform for stable activities, ④ Introduction of forest healing professional job system etc. to increase the motivation of forest healing instructors to choose their jobs. We hope that forest therapy can grow and develop into a sustainable forest welfare policy able to contribute to not only improving job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forest healing instructors but also elevating health and a sense of happiness of the nation. KEY WORDS: Forest Therapy, Forest Healing Instructor, Job Choice Motivation, Job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산림치유지도사의 직업선택 동기가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산림치유학전공 김종연 최근 우리 사회는 도시화, 산업화로 숲을 가까이할 기회가 줄어들면서 스트레스, 불안, 우울 등 많은 사회적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그렇지만 사람들은 건강과 삶을 윤택하게 하는 생활의 중심에 숲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면서 숲을 다시 찾기 시작하였으며, 힐링, 행복,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숲에서 활동하는 산림치유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림치유를 전달하는 산림치유지도사들에 대한 직업적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치유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산림치유지도사의 직업선택 동기를 파악하고 직업선택 동기가 그들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산림치유지도사의 효율적 운영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을 통해 산림치유, 직업선택 동기, 직무만족, 삶의 만족과 관련된 개념과 선행연구 자료를 검토하였다. 또한, 실증적 연구를 위하여 산림치유지도사 자격을 취득하고 한국산림복지진흥원, 산림복지전문업 등에서 활동하고 있는 산림치유지도사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전문 통계프로그램인 SPSS/WIN 18.0을 사용하여 관련 변인들의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 분석을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선택 동기척도의 신뢰도 값(Cronbach’s α)은 .924이며, 전체 척도의 평균은 3.75로 나타났다. 특히 ‘산림치유 활동이 노력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4.15)’, ‘산림치유 활동이 즐겁고 매력적이기 때문에(4.05)’, ‘산림치유 활동이 나에게 행복감을 주기 때문에(4.03)’ 등 개인적 가치추구 측면의 문항들이 다른 문항보다 높게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직업선택 동기의 하위요인을 조사한 결과, 제1 요인은 ‘개인적 가치추구’, 제2 요인은 ‘발전 가능성’, 제3 요인은 ‘사회적 가치’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들의 평균점수를 비교한 결과 ‘개인적 가치추구’ 요인이 ‘발전 가능성’과 ‘사회적 인식’ 요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 척도의 Cronbach’s α 값은 .916이며, 전체 척도의 평균은 3.28로 나타났다. 하위요인별로는 ‘내재적 만족(3.44)’ 요인이 ‘외재적 만족(3.06)’ 요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내재적 만족 요인 중 ‘다른 사람들을 위해 무언가를 해줄 수 있다는 것에 대해(4.07)’, ‘내 능력을 활용해서 일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하여(3.92)’, ‘일을 통해 얻는 성취감에 대해(3.79)’와 같은 문항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삶의 만족도 척도에 대한 Cronbach’s α 값은 0.932이며, 전체 척도의 평균은 4.88로 나타났다. ‘나는 나의 삶에 만족한다(5.15).’, ‘지금까지 나는 내 인생에서 원하는 중요한 것들을 이루어 냈다(5.15)’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직업선택 동기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선택 동기와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과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내재적 만족’ 요인과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외재적 만족’ 요인과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직업선택 동기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가치’ 요인은 직무만족도 전체와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 ‘외재적 만족’ 요인과는 ‘낮은 상관관계’, ‘내재적 만족’ 요인과는 ‘다소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직업선택 동기의 3개 하위요인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발전 가능성 요인’이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업선택 동기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높은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나, 하위 3개 요인과는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과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업선택 동기의 ‘개인적 가치추구’ 요인은 직무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발전 가능성’ 및 ‘사회적 가치’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여섯째, 직무만족도와 삶의 만족도와의 상관관계는 ‘낮은 상관관계’, 직무만족도 하위요인과도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과관계를 살펴본 결과 직무만족도 하위요인(내재적 만족, 외재적 만족)과 삶의 만족도와는 ‘낮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무만족도의 ‘외재적 만족’ 요인은 삶의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나, ‘내재적 만족’ 요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산림치유지도사의 직업선택 동기는 직무 만족과 삶의 만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직업선택 동기가 강할수록 직무만족 및 삶의 만족도가 높아지며, 산림치유지도사의 ‘행복감’, ‘일의 보람’, ‘일의 가치’, ‘자부심’ 등 개인의 발전 가능성이 직무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산림치유지도사들의 직업선택 동기를 높일 수 있도록 ① 전문성 향상을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교육시스템 구축, ② 좋은 일자리 확보를 위한 전문위탁업 제도개선, ③ 안정적인 활동을 위한 일자리 플랫폼 구축, ④ 산림치유 전문직제 도입 등으로 직무만족 개선 등과 같이 정책적 제안을 제시하며, 이를 통하여 산림치유지도사 개개인의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을 높이는 것은 물론 국민의 건강증진과 안녕감을 높이는데 산림치유가 지속 가능한 산림복지 정책으로 성장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 도시숲과 그 이용이 노인의 사회적 유대감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영란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Urban forest around our lives is a necessary element to maintain old people's healthy and happy life. Through using urban forest life's quality of old people will make our home peaceful, reduce medical cost in the society, and decrease pressure for the descendant to supprot natioanl wellfare pension system as national "hyo" in the aging society's problem. Eventually old people's healthy life will help us to make a better, happier, and healthier society for all of us in the aging society. So I , as a researcher, will prove that the profit of the forest, obtained from utilizing forest as a leisure place which is easy to use for old people and accessible to our living, will influence positively on old people's mental health and be useful to the quality of their lives in the aging society In addition I would like to suggest a plan to make good use of urban forest for prevention.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like this. Study 1. According to the land-ratio of the urban-forest the subjects were Nowon-gu whose life zone land-ratio of the urban-forest is 5.49 percent and Sungdong-gu whose is 3.53 percent.. sungdong-gu' economic standard was higher than nowon-gu in the subsides; nowong-gu, 9.9 percent; sungdong-gu, 5.5 percent .and the study also compared the use behavioral social link and the quality of the life in two areas's 100 old people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 use of behavior showed the difference of 0.05 in all parts of frequency of use, travel time, seasonal use, midweek time, using time, companion, facility except the use-purpose. Furthermore social link and quality of life in nowon-gu's old people was highter than sungdong-gu. Study 2.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urban-forest the subjects were Bukhan mountain and worldcup park which is an urban-forest. The study compared use of behavior, social link, quality of life in two area's 150 old people respectively. Consequently the use of behavior showed the difference of 0.05 in all parts of travel time, using time, midweek time, companion, use-purpose, frequency of use. but the difference was not seen in frequency of use, seasonal use, social link and quality of life. This study showed that urban-forest is an essential element for maintaining old people's healthy and happy life. Especially the existence of the urban-forest near their living affects old people's mental health. So this study will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e the policies for diversity and quality of the forest welfare. And furthermore using the urban-forest for healing and preventing diseases will be recommended.

      • 산림휴양동기에 따른 산림치유 요구도 분석

        이돈각 충북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늘어나는 산림문화·휴양자원 이용자들의 휴양동기를 분류하고 이에 따른 산림치유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산림휴양동기에 따른 산림치유 요구도 분석을 통하여 향후 산림휴양 기회제공을 위한 체계적 관리나 이용자 특성에 맞는 다양한 활동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있어 근본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Pandemic으로 국민들의 불안과 스트레스가 가중되는 시기에는 산림휴양동기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추후 산림문화·휴양자원의 관리나 건강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도 이를 반영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평소 이용객이 많은 서울 근교에 위치한 산림문화·휴양자원 중 선호도가 높은 3곳(관악산도시숲, 북한산국립공원, 유명산자연휴양림)을 선정하여, 2020년 5월 1일~7월 15일 기간에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196부의 설문 응답을 받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료분석 결과를 토대로 나타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산림문화·휴양자원인 도시숲, 국립공원, 자연휴양림 이용자들의 특성이 서로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산림문화·휴양자원별로 산림휴양동기를 살펴본 결과 관악산은 자연성취동기가 높았다. 북한산은 전체 산림휴양동기가 높았으며, 자연친화적동기와 사회친화적동기, 자기탐구동기, 자연성취동기가 높았다. 유명산은 일상생활 변화추구동기가 높았다. 반면 스트레스는 산림문화·휴양자원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산림휴양동기에 따른 산림치유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방문객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산림이용 특성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음을 나타냈다. 또한 그들의 이용동기에 따라서도 산림치유에 대한 요구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밝힌 이용자들의 이용형태나 요구도에 대한 연구결과는 변화되는 산림휴양에 맞추어 산림휴양관리방안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creationists’ motivation and their demand for forest healing.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ree highly preferred forest recreation resources located near Seoul (Mt. Gwanak Urban Forest, Mt. Bukhan National Park, and Mt. Yumyeong Natural Recreation Forest) were selected. Total number of 1,196 visitors to the study areas were administered a set of questionnaires to collect the data from May 1 to July 15, 2020. The results of data analyses are following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visitors’ socio-economic among the three study areas, which classified as urban forest, national park, and natural recreation forest.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their visitors’ motivation among the three study areas. In Mt. Gwanak the highest ranking of motivation was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s, In Mt. Bukhan and Yumyeong social and escape from daily life were highest, respectivel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visitors’ motivation due to their socio-economic variables. Also, the demands for forest healing/program were significantly differed from their motiv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forest healing or forest therapy program should be developed specifically for their demands and characteris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