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spergillus fumigatus의 Gα소단위체와 RGS 단백질의 기능 규명

        최영호 대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Trimeric G proteins play a central role in the G protein signaling in filamentous fungi and Gα subunits are the major component of trimeric G proteins. In this study, we characterize three Gα subunits in the human pathogen Aspergillus fumigatus. While the deletion of gpaB and ganA led to reduced colony growth, the growth of the ΔgpaA strain was increased in minimal media. The germination rate, conidiation, and mRNA expression of key asexual development regulator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loss of gpaB. In contrast, the deletion of gpaA resulted in increased conidiation and mRNA expression levels of key asexual regulators. The deletion of gpaB caused a reduction in conidial tolerance against H2O2, but not in paraquat (PQ). Moreover, the ΔgpaB mutant showed enhanced susceptibility against membrane targeting azole antifungal drugs and reduced production of gliotoxin (GT). The protein kinase A (PKA) activity of the ΔganA strain was severely decreased and protein kinase C (PKC) activity was detected all strains at similar levels, indicating that all G protein α subunits of A. fumigatus may be a component of the cAMP/PKA signaling pathway and appear to possess the PKC signaling pathway as an alternative backup pathway to compensate for PKA depletion. Collectively, the three Gα subunits regulate growth, germination, asexual development, resistance to oxidative stress, and GT production differently via the PKA or PKC signaling pathway. The function of GanA of A. fumigatus was elucidated for the first time. The regulator of G-protein signaling (RGS) proteins play an important role in upstream control of heterotrimeric G-protein signaling pathways. In the genome of A. fumigatus, six RGS protein-encoding genes are present. To characterize the rgsA gene predicted to encode a protein with an RGS domain, we generated an rgsA null mutant and observed the phenotypes of the mutant. The deletion of rgsA resulted in increased radial growth and enhanced asexual sporulation in both solid and liquid culture conditions. Accordingly, transcripts levels of the key asexual developmental regulators abaA, brlA, and wetA are elevated in the ΔrgsA mutant. Moreover, ΔrgsA resulted in elevated spore germination rates in the absence of a carbon source. The activity of cAMP-dependent protein kinase A (PKA) and mRNA levels of genes encoding PKA signaling elements are elevated by ΔrgsA. In addition, mRNA levels of genes associated with stress-response signaling increased with the lack of rgsA, and the ΔrgsA spores showed enhanced tolerance against oxidative stressors. Comparative transcriptomic analyses revealed that the ΔrgsA mutant showed higher mRNA levels of gliotoxin (GT) biosynthetic genes. Accordingly, the rgsA null mutant exhibited increased production of GT and elevated virulence in the mouse. Conversely, the majority of genes encoding glucan degrading enzymes were down-regulated by ΔrgsA, and endoglucanase activities were reduced. In summary, RgsA plays multiple roles, governing growth, development, stress responses, virulence, and external polymer degradation—likely by attenuating PKA signaling. In the comparative transcriptomic studies of wild type (WT) and rax1 null mutant strains, we obtained an average of 22,222,727 reads of 101 bp per sample and found that 183 genes showed greater than 2.0-fold differential expression, where 92 and 91 genes were up-and down-regulated in Δrax1 compared to WT, respectively. In accordance with the significantly reduced levels of gliM and casB transcripts in the absence of rax1, the Δrax1 mutant exhibited increased sensitivity to exogenous gliotoxin (GT) without affecting levels of GT production. Moreover, Δrax1 resulted in significantly restricted colony growth and reduced viability under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condition. In summary, Rax1 positively affects expression of gliM and metacaspase genes. The deletion of rgsD results in enhanced asexual sporulation coupled with increased mRNA levels of key developmental activators. Moreover, ΔrgsD leads to increased spore tolerance to UV and oxidative stress, which might be associated with the enhanced expression of melanin biosynthetic genes and increased amount of melanin. Yeast two-hybrid assays reveal that RgsD can interact with the three Gα proteins GpaB, GanA, and GpaA, showing the highest interaction potential with GpaB. Importantly, the ΔrgsD mutant shows elevated expression of genes in the cAMP-dependent protein kinase A (PKA) pathway and PKA catalytic activity. The ΔrgsD mutant also display increased gliotoxin production and elevated virulence toward Galleria mellonella wax moth larvae. Transcriptomic analyses using RNA-seq reveal the expression changes associated with the diverse phenotypic outcomes caused by ΔrgsD. Collectively, we conclude that RgsD attenuates cAMP-PKA signaling pathway and negatively regulates asexual development, toxigenesis, melanin production, and virulence in A. fumigatus.

      • 편의점 고객의 소비행동이 편의점 상품 포트폴리오 개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민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편의점(Convenience Store)은 주변 지역의 생필품 또는 식품니즈를 해결하는 것을 넘어, 현대 사회의 주요한 유통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오프라인(OFF-LINE)중심의 유통환경에 온라인(ON-LINE)유통이 등장하면서 온-오프라인이 융합하는 새로운 유통환경으로 급속하게 변화가 진행 중이다. 보편적으로 유통업은 경기변동과 소비자 심리에 민감하게 반응지만, 편의점은 소용량 식품과 더불어 생활필수품 등을 주로 판매하는 구조로써 고가의 상품을 취급하는 타 유통업태 대비 경기에 둔감한 특징을 보인다. 이 때문에 최근 오프라인(OFF-LINE) 소매 유통 성장이 미비한 가운데 유일하게 성장하는 소매 유통채널이다. 또한 사회, 기술, 환경, 경제, 정치 각각의 측면에서 일어나는 메가트렌드 분석을 해보니, 사회적 측면에서 인구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 기술적으로는 ICT 확대와 핀테크 확산이 주요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환경적으로는 친환경·웰빙·힐링 트렌드, 경제적 측면에서는 불안정한 고용·소득에 대한 우려와 부의 양극화가 주요 메가트렌드로 분석됐다. 마지막으로 규제 완화와 자유무역주의 확산이 정치적 측면에서 주요한 메가트렌드이며, 이것이 소비패턴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편의점이 우리나라에 최초 소개 되었을 때에는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하였으나 체계적인 선진 경영 기법을 기반으로 소비패턴, 시장환경 변화에 대응하면서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최근 편의점에 대한 조사와 연구는 편의점 고객만족이나 편의점 입지, 일부 상품군(PB상품중심) 연구에 집중되고 있으나, 본 연구는 이런 부분을 기초로 하여 최근 유통관련 규제와 저성장의 경제여건에 따라 소매업 전반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오프라인 업태 중 유일하게 성장하는 소매업인 편의점만의 특징을 살펴보고 편의점 고객의 소비행동과 소비 만족도가 편의점 상품 포트폴리오 개발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분석을 위해, 편의점 고객의 소비행동요인(상품품질경쟁력, 생활 서비스 다양화, 상권)과 소비 만족도가 편의점 상품 포트폴리오에 미치는 결과를 파악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설문지는 편의점을 이용한 소비자 250명을 대상으로 2017년 5월 2일부터 5월 10일까지 9일 동안 진행하였다. 질문지법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210부 중 불성실한 응답자 10부를 제외하고 200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편의점 고객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표본을 선정하는데 있어 무작위 표본추출(Random sampling) 및 확률표본추출(probability sampling method)을 사용하지 않고 비확률표본추출방법(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중 편의추출방법(convenience sampling)에 의하여 실시하였다. 편의추출방법은 무작위표본, 또는 확률적 표본을 추출하지 않고 연구자가 확보 가능한 표본을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실증연구에 있어 무작위 표본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대부분의 조직행동연구에서는 편의추출방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론적으로는 무작위표본 또는 확률적 표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반적으로 편의표본이 많이 사용되는 이유는 연구대상인 조직체로부터 연구에 대한 협조를 확보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점과 연구전략상의 이유 때문이라고 지적되고 있다(Bryanman, 1989). 본 연구의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PSS 21.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분석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신뢰도 검사(Reliability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사항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소비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사용한 분석은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3단계 절차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①고객의 소비 행동이 종속변수인 상품 포트폴리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Simple-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②고객의 소비 행동이 매개변수인 소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단순회귀분석(Simple-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③독립변수인 고객의 소비행동과 매개변수인 소비 만족도를 함께 투입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위계적 회귀분석(Step-wis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소비행동의 상품품질경쟁력은 생활 서비스 다양화, 소비만족도, 상품 포트폴리오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정(+)의 방향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행동의 생활 서비스 다양화는 소비만족도, 상품 포트폴리오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두 정(+)의 방향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비만족도과 상품 포트폴리오는 정(+)의 방향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가설을 설정하였다. 첫째, 상품 품질 경쟁력이 상품 포트폴리오에 영향을 미칠 때 소비만족도의 매개효과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가설1-1 “상품 품질 경쟁력이 소비 만족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편의점 상품 포트폴리오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생활 서비스 다양화가 상품 포트폴리오에 영향을 미칠 때 소비만족도의 매개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나므로 가설 2-1 “생활 서비스 다양화가 소비 만족도에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여 편의점 상품 포트폴리오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편의점 상권이 상품 포트폴리오에 영향을 미칠 때 소비만족도의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가설을 선택하지 않는다. 이러한 근거로, 편의점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상품 품질 경쟁력확보 및 다양한 생활 서비스 확대를 통해 소비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편의점 내 신규브랜드 런칭, 신규상품 도입을 중심으로 상품 포트폴리오 개발이 지속적으로 유지·발전되어야할 것이다. 또한 편의점 이용 형태 실태 설문자료를 기초로 하여 신규 상품군 개발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그러나 편의점 상권이 상품 포트폴리오에 영향을 미칠 때 소비만족도의 매개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이고 있어, 편의점 상품 포트폴리오 개발과 편의점 상권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실제 편의점을 이용하고 있는 각 계층에 대해 고객 관점에서 소비행동, 소비 만족도와 편의점 상품 포트폴리오 관계를 파악하고, 이 요인들의 상호 인과관계를 규명함에 따라 연구결과에 대한 객관성과 실용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편의점 이용고객들의 소비행동과 소비 만족도 관계를 명확히 규명함으로써 기존 대형유통업체 편의점 상품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새로운 상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데 있어 상품 운영전략 수립 시 시행착오를 줄이고, 사회·기술·환경·경제·정치측면에서 변화하는 편의점 고객 소비 패턴 변화에 대응하는 상품 포트폴리오를 개발하여 지속 성장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Convenience stores have emerged as a significant distribution base, beyond being a simple solution for needs on local daily necessaries or food. As the online distribution appeared in the offline-centric distribution environment, the distribution environment rapidly changed into a fusion of online and offline. In such a distribution environment, the distribution industry usually responds very sensitively to business fluctuations and consumer sentiment, while the convenience store is relatively insensitive to business fluctuations compared to other distribution channels that deal with expensive products. The convenience store is the only retail distribution channel that grows even in the slow growth trend of the recent offline retail distribution since it sells small-volume food and life necessities.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s of megatrend in each aspect of society, technology, environment, economy and politics are as follows: The society shows a trend of aging and increase in the number of one-person households; the technology shows a major megatrend of expansion of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propagation and FinTech acceleration trend; the environment shows a trend of eco-friendly, well-being, healing and pursuit of personality; the economy shows the anxiety in employment and income and the polarization of wealth; finally, the politics shows a major megatrend of deregulation and expansion of free trade. These megatrends lead to a change in consumption patterns. When a convenience store was introduced in Korea for the first time, it failed to get a result. However, now the channel is rapidly growing while responding to changes of consumption patterns and market environment based on the systematic advanced management techniques. The recent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convenience store are focused on the convenience store consumers’ satisfaction, its location or research on some product categories (focusing on private label brands products). However, based on these researches, this study revie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tail business with convenience stores as the only growing retail channel among the offline channels while the overall retail business is in trouble due to recent regulations related with distribution and economic conditions of slow growth; and it figures out the impact of convenience store consumer behaviors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to development of convenience store product portfolio. For research and analysis, a survey was implemented to 250 consumers, who visited convenience stores, for nine days from May 2 to 10, 2017 so as to find out the effect of convenience store consumer behavior factors (product quality competitiveness, diversification of living services and trade area)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to development of convenience store product portfolio. The survey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and 200 survey result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10 results by insincere respondents among the retrieved 210 questionnaires. The survey subject of this study is customers of the convenience store. This study used convenience sampling among the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instead of using random sampling and probability sampling method in selecting a sample. Convenience sampling means utilizing the sample that an investigator can acquire instead of extracting random samples or probability samples. In the empirical research, it is desirable to use random sample, but many studies in organizational behavior use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 study points out that it is theoretically desirable to use random samples or probability samples, but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is commonly used because it is not easy to secure cooperation by a study subject, an organization, on the study, and because of the reason on the research strategy (Bryanman, 1989). It used SPSS V. 21.0 (IBM, Amonk, NY, USA) to analyze so as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the study, and its analysis methods are as follows: First, it implemented reliability analysis to measure a reliability of questionnaires. Second, it implemented frequency analysis to find out general matters of a research target. Third, in order to verify the hypothesis that examines the mediated effect of consumer satisfaction, it implemented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three-step process as Baron and Kenny (1986) suggested like follows: ①It implemented simple-regression analysis so as to find out the effect of costumers’ consumption on the dependent variable, product portfolio; ②it implemented simple-regression analysis so as to find out the effect of costumers’ consumption on the intervening variable, consumption satisfaction;③it implemente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 by inputting customers’ consumption behavior, an independent variable, along with consumption satisfaction, an intervening variable. Product quality competitiveness of consumption behavior has correlations with diversification of living services,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product portfolio, and all appeared to have a positive (+) correlation. Diversification of living services of consumption behavior appeared to have a correlation with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product portfolio, and all of them had a positive (+) correlation. Finally,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product portfolio appeared to have a positive (+) correlation. First, the mediated effect of consumption satisfaction appeared to be big when product quality competitiveness had an impact on product portfolio. Therefore, the hypothesis 1-1 is that “product quality competitiveness works as an affirmative factor to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it has a positive (+) impact on development of convenience store product portfolio.” Second, the mediated effect of consumption satisfaction appeared to be big when diversification of living services has an impact on product portfolio. Accordingly, the hypothesis 2-1 is that “diversification of living services works as an affirmative factor to consumption satisfaction, and it has a positive (+) impact on development of convenience store product portfolio.” Third, it appeared that there is no mediated effect in consumption satisfaction when trade area of convenience store has an impact on product portfolio, hence, it is not selected as a hypothesis. For this reason, if consumption satisfaction is improved by securing product quality competitiveness and expansion of diverse living services in order for the continuous growth of a convenience store, development of product portfolio shall be consistently maintained and developed by focusing on launching new brands and introducing new products in convenience stores. In addition, based on the questionnaire materials about convenience store user’s behaviors, it is required to develop a new product category. However, since consumption satisfaction has no mediated effect when trade area of convenience store has an impact on product portfolio, it is thought to be no correlation between development convenience store product portfolio and trade area of convenience store. This study grasped the relation of convenience store product portfolio with consumption behavior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in a customer’s point of view about each class of customers who use a convenience store in reality. It secured objective and practical values of the study result by investigating reciprocal causation of these factors. It suggested the potential of reducing trial and error when establishing a product management strategy with setting a new product portfolio based on product portfolio of the existing large-scale distribution businesses by clearly investigating the relation between convenience store users’ consumption behavior and consumption satisfaction; it also suggested the potential of continuous growth by developing a product portfolio in response to changing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store customers in terms of society, technology, environment, economy and politics.

      • 소셜커머스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구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오혜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의 서비스품질과 소셜커머스를 이용하는 고객만족도에 관하여 살펴보고, 재구매에 끼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표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소셜커머스의 서비스품질을 상호작용, 지역인프라서비스, 합리적가격, SNS연동의 4가지 차원으로 제안 후 탐색 하였고 이 요인들과 고객만족, 재구매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소셜커머스를 사용했던 소비자의 응답을 대상으로 검증하고 통계적 검증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소셜커머스의 서비스품질을 높이고 소셜커머스를 이용하는 고객들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는 효율적 관리에 관한 시사점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총 368부의 설문을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답변 등을 제외한 324부의 응답을 대상으로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셜커머스의 서비스품질에서 상호작용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커머스의 서비스품질에서 합리적가격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셜커머스의 서비스품질에서 지역기반서비스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셜커머스의 서비스품질에서 SNS연동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소셜커머스의 고객만족은 재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실증적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했다는 점에서 타 연구와의 차별성이 있으며 큰 의미가 있다.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소셜커머스의 서비스품질 중 고객만족 및 재구매의도로 이끌어낼 수 있는 요소에 맞춘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을 제시함과 더불어 작게는 소셜커머스 기업 실무자들에게 크게는 전자상거래 기업 실무자들에게 서비스, 고객만족, 재구매에 관련된 가장 기본적인 참고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든다. Subject of this Research is influence of service quality of Social commerce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social commerce user. Thus, Research model designing and collecting sample of date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advanced research. Interaction, region infrastructure service, reasonable price and SNS linkage of service quality of social commerce are introduced by four types of category and analyzed. Analyz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four types of categories, custo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ing intention has been conducted through statistical verification process and verification from customer's respond who have purchase experience un social commerce For the research a total of 368 questionnaires have been responded. However only 324 questionnaires have been analyzed excluding Inattentive respond. Based 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t should be possible to propose implications about efficient management which able to enhance customer service for social commerce customer and service quality of Social commerce. Analysis the research First: Interaction of service quality of social commerce positively effects on customers satisfaction. Second: Reasonable price of service quality of social commerce positively effects on customers satisfaction. Third: Region infrastructure service of service quality of social commerce positively effects on customers satisfaction. Fourth: SNS linkage of service quality of social commerce positively effects on customers satisfaction. Fifth: Satisfaction of social commerce positively effects on repurchase intention. The research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researches as analyzing and empirical data collection from social commerce users. Throughout the outcome of the research, differencing marketing strategy which able to induce customers repurchase intention including basic reference of service, customer’s satisfaction and repurchasing for social commerce practitioners and e-commerce company practitioners.

      •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의 기능적 특성이 소비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 : 기술수용모형과 혁신확산이론을 중심으로

        이찬민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제4차 산업혁명을 견인하는 기술 중 하나로서 핀테크의 등장과 더불어 국내 유통업계시장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는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에 대한 소비 자의 수용과정을 실증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현재 많은 업체들이 혁 신을 표방하며 저마다 강점을 내세운 다양한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를 경쟁적으로 출시하고 있는 추세이다. 모두가 시장 선점을 통해 승자독식의 시장우위를 노리고 있 지만, 결국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하는 일부만이 성공적으로 안착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소비자 관점에서 이러한 서비스의 수용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떤 것 들이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기업의 마케팅 전략 수립과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 하는 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의 기능적 특성을 편재성, 네트워크 외부성, 보안성으로 조작 정의하였고, 이러한 요인들이 소비자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또한 혁신기술의 수용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적 프레임워크로서 기술수용모형 과 혁신확산이론을 기초로 기술적 특성의 매개효과와 소비자 혁신성향의 조절효과를 연구문제에 포함시켰다 이에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사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20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 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의 기능적 특성 중 편재성과 네트워크 외부성은 소비 자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안성은 소비자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의 기능적 특성과 소비자 만족의 관계에서 기술적 특 성(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이 부분적인 매개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의 기능적 특성과 소비자 만족의 관계에서 사용자 특 성(혁신성향)의 조절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의 수용자, 즉 소비자들은 사용편의성을 중 요한 가치로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보안성은 ICT 환경에서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항목이지만, 이를 위해 ‘편리함’이라는 가치가 손상되면 수용과정에 걸림 돌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모바일 간편결제 서비스는 온라인뿐만 아니라 오프 라인에서도 기존의 결제방식을 대체하고 있으며, 해외기업들도 국내 시장 진출을 준 비하고 있어 단기적으로는 경쟁강도가 심화될 것으로 보이고,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범용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갖춘 서비스가 시장 우위를 점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s aimed to investigate the consumers’ acceptance of mobile payments services which are changing domestic distribution industry alongside with arising Fin-tech, as one of the leading technologies that will take us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lot of companies are releasing different mobile payments services today, where each of them highlight their own strengths while calling it innovation. They all seek for advantages that would put them on the position of winner-take-all by preoccupying the market. In the end, who can meet the needs of consumers will take the throne. It will be helpful, therefore,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for companies and to build basic data for follow-up researches by empirically assessing which factors may affect the process of accepting these services in view of consumers. In this research, it is considered that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mobile payments services include Ubiquity, Network Externalities, and Security and the effects of these factors on consumer satisfaction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Innovation Diffusion Theory were used as theoretical frameworks to explain the process of accepting new technology. Thus the mediating effects of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 characteristics were also included to our research questions. For this, a survey on total 200 adult males and/or females who reside in Seoul city and/or Kyonggi province was conducted regarding use of mobile payments services.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with SPSS 20.0 program. Belows are the summary of results. First, among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mobile payments service, ubiquity and network externalities have positive effects on consumer satisfaction, while security have no significant effect though. Second, o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satisfaction, the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 have partial effects of mediation. And finally, o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and consumer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umer characteristic – innovativeness – was found without significance. Based on these results, we found that consumers of mobile payments services value the usability with importance. It seems that the security, usually considered as an important element in ICT environment, can be a sticking point in the way of accepting these technologies, if it harm the value of convenience. Existing payment methods are being quickly substituted with mobile payments services in both online and offline. Furthermore, foreign enterprises are planning to cut into our narrow market. When considering these, the competition would be heating up fiercely. In long-term view, it seems that the one who catches both versatility and convenientness will be allowed to have the dominance in market.

      • 전자산업의 협업실행요인과 경영진관여도가 상생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CPFR(Collobrative Planning, Forecast and Replenishment) 운영역량 중심으로

        이영수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일반소비자 시장에서의 과도한 경쟁, 저마진 구조에 따른 이익악화등으로, 유통업체와 제조업체간의 상생활동이 매우 중요해지고 있다. 여기서상생활동이란, 높아진 고객의 요구수준에 대응 하기 위해 제품의기획에서 부터 판매에 이르는 모든 Value chain상의 일어나는 활동상의협업을 의미하고, 이를 촉진하는 방법으로 기업간 공급망 관리가 매우 중요한 수단으로 떠오르고 있다.이러한 기업간 공급망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선진화된 프로세스가CPFR(Colloboratve Planning, Forecastand Replenishment)이다.CPFR의 기본적인 사상은 기업간의 협업을 통한 상생이다. 꾸준한 시스템의발전 및 협업의 노력에도불구하고CPFR이지향하는상생의 성과를실현하지못하는사례가많이보고되고있기때문에,본연구에서는전자산업군에서의 CPFR의성공적인도입 및 성과를 내기위한기업간협업실행요인과 경영진의 관여도가 어떤역할을 하는것이고, 이러한 실행노력이 무엇인지를살펴보는것에중점을두었다.특히제조업체가가지는CPFR운영역량이경영성과(재무성과,운영성과)와어떠한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지를실증적으로규명해보는것에더 중점을두었다.본연구의실행을통하여발견한주요한결과를정리 요약하면다음과같다. 첫째, 협업실행요인이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칠 때 운영역량의 매개효과 는유의미한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협업실행요인이 운영역량인, 유통정보활용, 수요예측, 영업활동, 납기준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협업 의실행요인들이 잘정의되고 실행이 되어야,운영역량에긍정적인 효과가나타나 재무성과에 유의미한 효과를 준다는 의미이다. 둘째, 경영진관여도가 재무성과에영향을 미칠 때 운영역량의 매개효 과는 정(+)의효과를 갖는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진 관여도도 재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는 임원급 레벨의 경영진의 관여도의 정도에 따라 재무성과에 유의미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셋째, 협업실행요인이 운영성과에영향을 미칠 때 운영역량의 매개효 과는 유의미한 의미를 갖는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성과는 재고관리, 예측능력, 납기준수, 신뢰도에서 나타나는데, 이는 CPFR운영역량이 향상이 되면, 회사내의 운영프로세스가 건전해지고, 효율성 및 생산성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해석을 할수 있다. 넷째, 경영진관여도가 운영성과에영향을 미칠 때 운영역량의 매개효 과는 유의미한 효과를 갖는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진의 관여도는 협업의 인식정도, 적극성, 참여도, 정기적인 평가를 한다는 것을 의미하고, 이를높은 레벨에서 실행을 하면, 운영역량 과 운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의 기업 마케팅에 영향을 미치는 검색엔진최적화(SEO)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안진호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온라인 쇼핑을 하는 구매자들이 상품을 검색, 구매하는 방법이 변화하면서 특정 쇼핑몰의 충성고객들이 사라지고, 네이버, 다음 등의 포털 검색엔진을 활용하여 상품정보를 비교한 후 해당 쇼핑몰로 이동하여 구매하는 방법으로 진화 된 것이 현재의 상황이다. 해외에서 쇼핑을 하는 구매패턴 또한 구글, 야후, 빙, 바이두, 얀덱스 등의 검색엔진을 통해 쇼핑몰로 유입하여 상품을 구매하는 패턴이 정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해외에서 다른 국가의 상품을 사기 위한 방법은 두가지로 요약해 볼 수 있는데, 첫번째 방법은 운영중인 쇼핑몰의 도메인(Domain)을 미리 알고 직접 접속해서 구매하는 것인데, 이는 브랜드 인지도 측면에서 보면 중, 소형 쇼핑몰의 경우 엄청난 메스 마케팅 비용으로 중, 소기업들이 시도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으며, 두번째 방법은 구글, 야후, 빙, 바이두, 얀덱스 등의 국가별 주요 포털 사이트에 접속하여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여 해당 쇼핑몰로 유입되는 방법으로 대부분의 유저들이 이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대, 중소기업이 운영중인 쇼핑몰들은 해외 판매의 경험이나 최고경영자의 인식 부족, 기술 개발의 부족 등으로 자신들이 판매하는 대부분의 상품을 글로벌 포털 사이트에 노출 시키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재까지의 국내 상황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온라인 쇼핑몰의 검색엔진최적화최적화(SearchEngine Optimization; SEO)의 구축에 관한 활동과 활용 등이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 유통 공기업의 온라인 플랫폼 혁신성과 신뢰성이 서비스 유입률 및 전환율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온라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상병하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인터넷의 발달과 정보통신기술의 급진전에 따른 ICT기술을 활용한 각종 온라인 플랫폼 사업이 급진적으로 발전되어 왔다. 특히, 클라우드 슈밥에 의해 제시된 4차 산업혁명의 진행은 사회, 경제적인 각 분야별로 급속한 발전과 진전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다양한 개발과 사업추진이 이루어져 왔다고 볼 수 있다. 해외는 물론 국내에서도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개발과 기술의 확장은 거래의 신속성, 안정성, 혁신성 등 다양한 요인들로 확대되어 가고 있으며, 기존 온라인 플랫폼으로서의 역할에 한정되기 보다는 오프라인을 통한 물류기술의 접목, 무인 자동화 기술과의 융합에 따라 급속한 발전을 거듭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마케팅 분야의 혁신적인 성과는 미래 유통의 패러다임 전환으로써의 입지를 다져오고 있고, 『플랫폼은 지난 경제를 완전히 바꿔 놓았지만 아직 가장 큰 변화는 오지 않았다』는 수전 애티 스텐퍼드 대학교수 이자 전 마이크로소프트 수석 이코노미스트의 지적이 향후 플랫폼 세계의 확장성과 혁신성을 감히 짐작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 2018년도 기준 전 세계의 전자상거래 온라인 플랫폼 거래규모는 2조 8,600억 달러 규모로 리테일 분야 전체 판매율 대비 11.5%의 점유율을 기록하였고, 2020년도 기준으로는 4조 580억 달러에 달하여 14.6%의 점유율을 예측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 있어서도 통계청 조사에 의한 국내 전자상거래 온라인 쇼핑 거래동향 보고서에 의하면, 2018년도 말 기준 전체 111조 8,939억원의 거래규모를 경신하여 기록하였고, 이러한 온라인 쇼핑 거래규모의 급속한 증가는 모바일을 활용한 온라인 쇼핑 거래규모로 확대 되어 전체 68조 8,706억원으로 61.5%의 비중을 차지하며, 미래유통의 핵심적 유통채널로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갈 것으로 예측된다. 본 연구는 유통 공기업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수산물사이버거래소 온라인 플랫폼의 혁신성과 신뢰성이 서비스 유입률과 전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그간 사이버거래소를 이용해 온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aT 농수산물사이버거래소의 혁신적이고 선도적인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발굴과 공공기관으로서의 신뢰성을 바탕으로 서비스 만족도 및 서비스 비용부담을 매개로 지속적인 플랫폼 사용에 대한 유입률과 전환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유통 공기업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수산물사이버거래소의 농식품 온라인 유통 플랫폼 서비스인 농수산물사이버래소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이용해 온 판매사 및 구매사 서비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 조사는 2019년 4월 10일부터 24일 기간 중 aT 농수산물사이버거래소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이용자 전국 10세 이상 남․녀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통하여 진행하였고, 응답자는 총 150명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근거로 실증분석을 수행한 결과, 독립변수인 aT 농식품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혁신성과 신뢰성은 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를 매개로 향후 지속적인 서비스 유입률과 전환율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플랫폼 서비스 이용 경험 횟수가 많을수록 서비스 이용 유입률과 전환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매개변수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만족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매개로 향후에도 지속적인 플랫폼 서비스 이용 의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서비스 비용 부담에 대한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 혁신성 및 신뢰성이 높더라도 공기업인 aT가 운영하는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이용부담 비용 증가에 대해서는 부(-)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플랫폼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중에서는 정산소 자금 융자 서비스가 가장 선호하는 서비스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서비스 이용 수수료 인하, 프로모션 할인 행사지원, 산지의 농식품 거래알선 정보 순으로 나타났다. 현재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통해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제공해 주었으면 하는 서비스 중에서는 구매자 또는 판매자 정보 제공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농식품 유통정보, 산지, 소비지, 거래알선 정보, 물류서비스 지원 등이 가장 필요로 하는 서비스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증 분석 결과를 면밀히 검토한 결과, 농식품 분야 유통 공기업인 농수산물사이버거래소의 식재료 유통분야에 대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 만족도는 거래과정에서의 혁신성과 신뢰성을 통하여 이용자의 서비스 만족도는 양호한 수준으로 지속적인 서비스 유입률 및 전환율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된 반면, 서비스 제공에 따른 수수료 인상, 각종 프로모션 할인행사 기획 축소 등 서비스 비용 부담증가에는 부(-)의 영향이 크게 미칠 것으로 연구가설을 설정하였으나, 채택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어 안정적인 플랫폼 서비스 운영을 위한 수익원 확보 차원의 수수료 비용 부담 확대에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농식품 분야 유통 공기업인 농수산물사이버거래소의 역할과 기능에 있어서 오랜 농산물 유통분야에 대한 안정적인 사업기반과 그간의 경험, 노하우를 바탕으로 할 때, 현행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거래활동에도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며, 향후 혁신적인 플랫폼 서비스가 뒷받침 되는 경우 지속적인 유입 및 이용의도는 양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공기업으로서 재정투입의 한계, 사업확장에 따른 조직 및 인력의 탄력적인 투입에 제약이 있는 사업입지와 특성을 고려할 때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유통 공기업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이버거래소의 플랫폼 비즈니스 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한 온라인 플랫폼 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 할 수 있다. 첫째, 그간 농수산물사이버거래소 설립이래 민간영역의 중개 매칭거래를 위한 전문 MD(Merchandiser)를 중심으로 거래선을 확보하고, 판매사와 구매사의 중간자적 거래활동에 소극적인 온라인 플랫폼 형태를 유지해 온 기업간거래(B2B, Posmall) 플랫폼을 현행 폐쇄몰 기반의 사업구조에서 적극적인 오픈몰 형태로 전환하여 온라인 플랫폼 운영환경을 농수산식품의 판매자와 구매자의 상호작용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상호 가치창출 서비스 플랫폼 환경으로 탈바꿈하는 사업적 전환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공기관으로서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갖춘 거래형태를 유지하더라도 수익성 확보를 위한 서비스 사용비용에 대한 농식품 기업의 거래비용 부담증가는 플랫폼 서비스 유입률과 전환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현행 공공서비스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져 고객만족도에 부정적인 결과를 유발하기 보다는 참여자 상호간 거래를 통한 시너지 창출과 부가가치 확대를 통하여 온라인 플랫폼의 유기적이고 생산적인 활동을 창출, 지원하는 방향을 모색함으로써 자발적인 수익원 창출이 가능토록 유도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농식품 분야 온라인 플랫폼의 품질개선을 통해 지속적인 시스템 개편을 통해 대국민 서비스를 위한 사업방향은 지속되고 있으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생산, 유통하는 각종 농수산식품분야 유통 및 수출정보를 통합함으로써 명실상부한 『농식품 거래정보의 포털』플랫폼으로 확대, 개편해 나가는 것이 그간 축적해 온 다양한 농식품 분야의 마케팅정보 및 빅데이터를 통합하여 내실있는 통합 농식품거래 포털로써의 기능을 확보해 나가는 효율적 추진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농식품분야 정부 및 민간비축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유통분야 선도적 거래 기능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가진 핵심적인 기능이면서 장점인 점을 인식하고, 각 사업분야별로 독립적인 거래활동에 한정되어 추진되고 있는 각 부서간의 이질적인 업무형태를 전환하여 협업과 공유활동을 통해 거래기능을 확장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더라도 농식품 거래 특성상 현물이 수반되는 농식품 유통에 있어서 판매사와 구매사 등 서비스 이용자들의 실물거래에 필요한 물류서비스 기능이 도외시 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에 있어서도 온라인 플랫폼 참여자들의 거래활동에 수반되는 물류기능의 효율화 및 안정화가 뒷받침되지 않는 거래활동에 있어서는 수익기반이 근본적으로 흔들리면서 외형적인 실적과 성과에만 치중하여 내실 있는 사업운영에 실패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으므로 aT 정부비축사업의 경험과 노하우를 실질적인 거래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물류기능을 활성화 하고 각 사업별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강구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도 온라인 플랫폼 비즈니스의 확장과 혁신적 경영전략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온 전문 큐레이션 서비스의 논의는 농수산물사이버거래소가 보유하고 있는 각 사업부문별 전문 MD의 서비스 능력을 포함하여 검증한 바와 같이, 플랫폼 내에서 실질적인 거래를 중개하는 각 품목 MD의 전문성을 활용하여 판매자를 통해 산지와 소비지간 이루어지는 거래자간의 빅데이터를 확보하여 적재적소에 맞는 큐레이션 서비스를 발굴할 수 있는 인력풀을 구성하고, 이를 중심으로 거래자간 상호 연결을 통해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식재료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시너지 확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농식품분야의 미래유통에 있어서 최대 이슈는 과잉 생산되는 농식품 공급물량을 어떠한 형태로 분배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것인가에 핵심적인 해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를 위한 가장 중요한 이슈는 플랫폼 서비스 참여자간 풀, 푸시 효과에 대해 좀 더 면밀히 살펴봐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수산물사이버거래소의 온라인 플랫폼 혁신성과 신뢰성이 현재 운영중인 각 사업부문별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서비스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효과적인 온라인 플랫폼 서비스의 발전방향에 대한 개선 방향을 검증하기 위해 수행하였으나 사이버거래소 판․구매사 이용자들을 중심으로 표본을 설정하여 조사한 것으로 일반화된 온라인 플랫폼 비즈니스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농식품 분야를 포함한 사회, 경제 각 사업분야에 있어서 미래유통의 핵심적인 수단이자 가치창출의 모티브가 될 플랫폼 비즈니스의 사업모델은 양면적인 생산자와 소비자간의 지속적인 공감과 소통을 통해 구조화 되고 실행화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다양한 성공사례 및 실패요인들이 종합적으로 발굴되어 유통 부문의 사업분야별로 좀 더 진보적이고 발전적인 연구가 후속으로 발굴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해 미래유통의 핵심 키워드인 온라인 플랫폼 비즈니스의 관점들을 다양하게 상정하여 이론적 토대를 구성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가치있는 선순환 구조를 발굴하고 새롭게 연구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본 연구가 유통 공기업인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수산물사이버거래소 온라인 플랫폼 개편방안 모색에 있어 기초적인 토대가 되고, 향후 정책수립 및 발전방향 연구에 참고가 되기를 기대한다.

      • 중국 왕홍(网红)마케팅의 특성이 중국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와 혁신성향을 중심으로

        이성범 경희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포노 사피엔스, 오늘날 스마트폰이 없이는 생활하는 것을 힘들어하는 신인류를 일컫는 단어다. 인터넷의 발달에 이은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인류는 시간과 장소의 한계는 물론, 국가와 지역, 인종을 뛰어넘어 하나의 세상에 놓이게 되었고, 그 중심엔 SNS(Social Network Services/sites)가 있었다. SNS의 발달은 다시 핀테크의 발달과 더불어 여러 산업 각 방면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특히 중국의 경우는 대표적인 전자 결제 플랫폼인 알리페이와 위챗페이를 필두로 모바일을 통한 결제가 사실상 지갑을 대체했으며, SNS를 통한 상업적 행위도 크게 발달하고 있는 추세이다. 왕홍(网红), 网络红人의 줄인 말로 일명 중국의 SNS스타를 의미한다. 중국 내에서 왕홍의 파급력은 날로 커가는 추세이며 최근에는 ‘왕홍 경제’라는 신조어가 생겨났을 정도로 경제적 부가가치 또한 매우 높은 편이다. SNS의 발달과 핀테크의 발달에서 탄생한 왕홍의 가장 큰 특징은, 왕홍은 일방적인 전파가 가능한 ‘개인’이라는 점이다. 중국의 왕홍은 한 사람 혹은 소수의 사람이 곧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지식과 정보의 획득처, 제품의 구매처, 교류의 창, 콘텐츠 소비처 등을 제공하고 전파하는 ‘대형 제공처’가 되는 것이다. 이런 현상에 발맞추어 국내에 크고 작은 기업들 역시 왕홍을 통한 자사 제품의 마케팅을 하고 있거나 계획 중에 있다. 따라서 왕홍마케팅의 특성이 중국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은 기업의 마케팅 전략 수립과 신규 제품 연구개발의 전략 수립, 그리고 후속연구의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왕홍마케팅의 특성을 접근성, 유용성, 시연성, 확산성, 신뢰성으로 조작 정의하였고, 이와 같은 요인들이 중국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소비자의 지각된 가치의 매개효과와 소비자 혁신성향의 조절효과를 본 연구에 포함시켰다. 이에,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인 바이두에서 제공하는 바이두지수 빅데이터 정보를 참고, 중국 내에서 왕홍(网红)이라는 키워드 지수가 높은 상위 4개 도시(베이징, 상하이, 항저우, 광저우)에 거주하는 성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286명을 응답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아래는 주요 분석결과의 요약이다. 첫째, 중국 왕홍마케팅의 특성인 접근성, 유용성, 시연성, 확산성, 신뢰성은 모두 중국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왕홍마케팅의 특성인 접근성, 유용성, 시연성, 확산성, 신뢰성은 모두 소비자의 지각된 감정적 가치와 지각된 금전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지각된 감정적 가치와 지각된 금전적 가치 역시 모두 중국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 왕홍마케팅의 특성이 중국 소비자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칠 때 소비자의 지각된 감정적 가치와 지각된 금전적 가치는 모두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 혁신성향은 중국 왕홍마케팅의 특성인 독립변수 중 시연성, 확산성과 중국 소비자의 구매의도 간의 관계를 유의미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분석결과 시연성*혁신성향, 확산성*혁신성향의 비표준화계수(B)가 -(마이너스) 값으로 나타났다. 이는 혁신성향이 낮은 일반 중국 소비자일수록, 중국 왕홍마케팅 특성의 시연성과 확산성이 강화될수록 구매의도가 강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넷째, 하루 평균 왕홍 콘텐츠에 소비하는 시간이 30분~1시간 이하인 집단에서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팔로잉한 왕홍 숫자에 따라서는 1~3명과 10명인 집단에서 구매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 TV홈쇼핑에서 건강기능식품의 제품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준거가격과 제형을 중심으로

        최덕영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전 세계적으로 삶의 질이 개선되고 급속한 고령화를 겪으면서,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트렌드는 향후에도 계속되어 건강기능식품을 포함한 헬스케어 산업의 성장세는 더욱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된다. 헬스케어 산업 중 예방 및 건강유지에 그 목적이 있는 건강기능식품산업은 국가 및 개인의 의료비 절감 과 발병률 저하 측면에서 그 중요도가 부각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 산업의 발전에 따라 여러 인터넷, 할인점, 드럭스토어, 약국, 홈쇼핑 등 여러 유통채널을 통해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특히 홈쇼핑 채널의 경우 2015년 이른바 백수오 사건으로 인해 건강기능식품의 신뢰도가 낮아졌을 뿐 아니라 편성도 크게 줄어들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첫째, 고가(12만원초과)의 건강기능식품이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고가신뢰도가 높아질수록 구매의도가 높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가(5-12만원)의 건강기능식품이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중가신뢰도가 높아질수록 구매의도가 높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저가(5만원 미만)의 건강기능식품이 구매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중가신뢰도가 높아질수록 구매의도가 높아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제형 선호도가 고가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다섯가지 제형 중 하드캡슐과 액상만 고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드캡슐과 액상제형의 선호도가 높을수록 고가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제형 선호도가 중가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다섯가지 제형 중 하드캡슐과 액상, 분말은 중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드캡슐과 액상, 분말제형의 선호도가 높을수록 중가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제형 선호도가 저가 신뢰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다섯가지 제형 중 하드캡슐은 중가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드캡슐 제형만 선호도가 높을수록 저가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홈쇼핑의 경우 방송 중 제품에 대한 다양하고 자세한 정보가 제공되며 이와 동시에 판매가 이루어지는 특수성이 있다. 준거가격의 신뢰도와 제형선호도가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해 홈쇼핑 채널을 통한 건강기능식품 판매업체의 제품기획 시 도움일 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하지만 연구결과에 불구하고 아직 제형과 가격뿐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의 신뢰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편의점 상품과 서비스가 고객만족 및 매출에 미치는 영향 : PB상품 품질과 NB상품 구색, 생활 서비스를 중심으로

        이근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편의점은 소비 트렌드의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고 대응할 수 있는 유통업으로서 사회변화에 바로 적응하고 있다. 1~2인 가구의 증가 인한 근거리 소비 확대가 편의점 성장의 가장 큰 영향으로 분석되며 소비 트렌드의 변화에 맞게 1~2인가구에 맞는 소용량 상품, 가정간편식 HMR(home meal replacement)상품등 다양한 PB상품의 개발과 서비스를 통해 ‘라이프 스테이션’으로 입지를 굳혔다. 실로 오프라인 유통매장 중 유일하게 성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편의점의 PB상품의 품질, NB상품의 구색, 고객맞춤 서비스를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고객만족 및 편의점 매출성장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구조적 관계의 연구 가설을 설정하고 실증 분석을 통하여 연구 모형과 가설의 검증을 하였다. 실증 연구를 위해 서울지역 편의점(미니스톱, CU, 7-eleven ,GS25)을 방문하여 PB상품과 NB상품의 구색의 변화를 관찰하고 편의점 상품과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하였다. 총 200부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및 타당성, 그리고 적합도를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B 상품품질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NB 상품구색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객맞춤 서비스는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B상품품질, NB상품구색, 고객맞춤 서비스는 만족도가 높아질수록 고객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객만족은 CVS 매출 성장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게 높아진 고객만족은 편의점 매출상승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고객만족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PB/NB 상품력을 강화하고, 각종 생활서비스와 새로운 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하며 입지별 새로운 특화점포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PB상품의 품질을 통한 차별화와 NB상품 구색을 통한 매장의 신선함, 그리고 고객맞춤 서비스를 통한 ‘라이프 스테이션’이미지 구축으로 차별화된 경쟁 우위 구축과 소비자의 지속적인 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 수립을 촉구하였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으며 실무자들에게 편의점 매출성장에 대한 확신을 제공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