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시 노인주거복지시설 중 양로시설의 현황분석과 입소자 만족도

        유영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요 약 세계적으로 인구의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그 속도가 더 급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현재 전체 인구 중 노인인구는 12.2%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라면 2017년에는 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 중 독거노인이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OECD국가 중 노인 빈곤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으로 빈곤한 노인을 위한 주거시설에 대한 수요와 공급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전망이다. 양로시설의 경우 상대적으로 비용의 부담이 적어 이러한 노인들이 생활할 노인주거시설로써의 중요성이 크나, 양로시설 연구를 살펴보면 관심이 줄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빈곤노인과 독거노인의 주거문제를 해결할 방안으로 양로시설을 선택하고 양로시설의 현황을 점검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전국의 도시 중 가장 높은 노인인구를 가지고 있으나 노인 주거복지시설 정원이 노인 수에 비례하여 가장 부족한 서울시 양로시설로 정하였다. 서울시 양로시설 중 보건복지부에 등록된 시설은 총 19곳이었으며, 그 중 협조가 가능한 11곳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현행 노인복지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관련 시설기준을 통한 현황분석과 입소자 만족도 분석을 하였다. 현장 사례조사에서는 조사대상 양로시설의 사진촬영과 함께 미리 작성한 조사지를 사용하여 각 시설의 관리자가 시설 현황을 기입하게 하였으며, 조사대상 양로시설의 입소자를 대상으로 만족도 관련 설문조사를 연구자와 1:1 면접방식으로 실시하였다. 만족도 조사 결과는 SPSS win 18.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교차분석, 상관관계 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양로시설 현황분석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1)서울시의 조사대상 양로시설은 10인이상 30인 미만의 중간규모로 종교·공공기관이 운영하는 시설의 비중이 높았다. 그 이유는 중규모가 경제적이면서 관리 운영에 적절한 규모로 종교나 공공의 시설지원 이유로 사료되며 앞으로 적정 규모에 대한 심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양로시설의 위치는 가능하면 주거 밀집지역에 설치하여 노인들의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양로시설의 공간현황에서는 현재와 같이 모든 공간을 갖춘 시설들의 추가에는 공간 확보에서 입소자의 비용부담이 커질 것이 예상되므로 가장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최소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3) 양로시설의 설비기준을 통한 현황분석에서는 소규모시설 쪽이 설비기준을 충족하였고, 큰 규모일수록 설비기준에는 미흡한 면이 있으나 다양한 공간과 서비스를 갖추고 있었다. 공간별로 살펴보면 개실공간 중 침실은 침대형이 더 편리하나 침대형으로 바꾸기에는 현재 개실공간이 협소하였으므로 이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공용공간은 설비기준 외 다양한 공간들이 마련되었으나 그 공간들이 효율적으로 사용되는지 여부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였다. 의료공간은 간호사실을 가장 많이 갖추고 있었으나 다른 공간들과 겸용으로 이용되고 있었다. 서비스 공간은 조리실과 세탁실로 모든 시설이 갖추고 있었으나 세탁실의 경우 입소자들이 이용하기에는 구조나 마감재들의 선택이 적절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화장실과의 겸용으로 인해 안전상의 문제도 나타났다. 이러한 부분은 양로시설의 설계 시 처음부터 고려되어야 할 것이며 노인들을 위한 유니버셜 디자인의 적용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양로시설 관리공간의 경우는 현황에서의 설치비율은 양호하나 실제는 공용공간이 많아서 상대적으로 협소하여 관리자들의 공간 마련 방안에 대한 연구도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4) 양로시설의 직원현황은 규모에 따른 배치기준이 달랐으나 시설의 규모가 커질수록 직원1인당 맡아야 하는 입소자의 수가 큰 폭으로 늘어남을 알 수 있었다. 그만큼 입소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감소가 예상되므로 직원배치 기준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5) 양로시설에서 제공되는 생활서비스는 식사, 가사활동, 이동, 목욕서비스가 해당되며 입소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그 필요도의 증감이 다를 것으로 예상된다. 의료서비스는 진료, 간호, 건강관리, 재활서비스가 해당되며 이 또한 입소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그 필요도의 증감이 다를 것이다. 입소자들의 건강상태 구분에 따른 양로시설에 임시나 보조직원을 허용하여 운영의 편의를 모색할 필요가 있겠다. 2. 입소자 만족도 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1) 양로시설의 입소자 연령이 입소자 기준 연령에 비해 높았는데 이는 인간수명 증가로 입소노인의 거주기간이 장기화됨이 원인이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연령대에 따른 만족도가 다르고 그에 맞는 시설이 갖추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양로시설로 입소하는 대부분의 노인이 지금 양로시설에 비해 좋지 않은 환경에서 생활했었음으로 이는 상대적으로 빈곤한 노인들을 위한 주거공간 마련이 더 필요함을 시사해 주었다. 2) 입소자들이 생활하는 양로시설의 규모는 중간규모가 가장 많았으며 이런 결과는 조사대상 규모의 비율과 비슷한 양상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입소자들의 경비 방식에서는 63.5%가 비용 지불 없이 양로시설을 이용하고 있었다. 이는 입소자들이 빈곤층으로 앞으로도 빈곤 노인을 위한 양로시설이 확충되어야 함을 반증 해 주었다. 3) 입소자들의 공간만족도를 살펴보면, 시설의 규모와 공간만족도간, 입소비용과 공간만족도간에 관계가 없음이 유추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빈곤노인용 주거시설에 대한 접근은 작고 저렴한 곳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4) 입소자들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중 직원서비스 만족도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시설 직원들이 입소자들에게 최선을 다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결과였다. 생활서비스 만족도도 높았으며 이는 양로시설의 특성으로 신체적 정신적으로 건강하며 청소, 빨래 등을 할 수 있는 노인층이 입소하기 때문이었다. 5) 입소자의 공용공간, 생활서비스, 의료서비스 만족도 순위에서는 일반적 사용공간 외에 종교실의 순위가 높았다. 생활서비스는 식사, 가사활동, 이동, 목욕서비스 순으로 의료서비스는 간호, 건강관리, 재활, 진료서비스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노인들이 이용하는 종교실과 입소자 건강에 따른 생활서비스 제공 방안과 의료서비스 중 진료서비스 방안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6) 입소자들의 개인특성에 따른 만족도는 성별에 관계없이 연령이 높고, 이전거주환경이 좋을수록 만족도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연령별로는 연령대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아지므로 연령대별 차별화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양로시설은 입소노인의 연령대가 높고, 넓게 분포되어 이점을 감안한 운영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7) 입소자의 거주시설 특성에 따른 만족도는 규모가 커질수록 생활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비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큰 규모 시설에서 제공되는 생활서비스의 장점을 분석하여 소규모 시설에의 적용방안을 연구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8) 입소자의 거주시설특성과 만족도간에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는데, 이는 입주노인의 60%이상이 무비용 부담자이므로 규모나 비용에 따른 만족도가 상관이 없었다. 이것으로, 서울시 양로시설의 질적 증가보다 양적인 증가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향후 발전적인 연구방향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리공간에 대한 직원들의 이용 빈도에 대한 연구가 만족도와 함께 진행되어 바람직한 관리공간의 대안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둘째, 입소자 연령에 따른 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그 이유를 유추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연령대에 따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진행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셋째, 연구를 진행하면서 우리나라의 노인문제가 빈곤층과 독거노인들의 문제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서울시에서 나아가 대도시를 중심으로 다양한 규모와 형태의 빈곤노인을 위한 양로시설이 개발·보급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 패션전문점 내 여성의류 매장 계획 : 소규모 매장의 체크리스트

        권혜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사회에서 소비는 단순히 물건을 사는 행위가 아니라 일종의 상징 같은 역할을 한다. 공간은 시각뿐만 아니라 모든 감각에 영향을 주어 공간체험 행위가 끝났을 때 종합된 심상(心像)을 통해 공간에 대한 감동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여성에게 의류를 구매하기 위한 소비와 관련된 행위는 문화 활동의 하나이다. 여성은 물건을 사는 것만을 위해 의류매장을 찾지 않는다. 매장을 구경하기도 하고 매장 내 트랜디 한 상품을 감상하기도 한다. 여성들은 다양한 상품을 한 공간에서 비교를 통해서 구매하고 싶어 한다. 패션전문점에서는 트랜드가 강한 상품을 취급한다. 트랜드가 강한 상품을 취급해도 진열을 통한 표현이 잘못되면 유행성에 대한 메시지가 제대로 고객에게 전달되지 못하여 결국 팔리지 않는다.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과 고객에게 총체적 체험을 유도를 통한 공감대의 형성이 고객의 구매 욕구로 이어지게 되는 계기가 된다. 급속한 대중화 시대의 유행 변화 속에서 패션전문점이 발전하고 있는데 비해 패션전문점을 구성하고 있는 숍 들은 적절한 기준이나 계획의 미비로 효율적인 공간계획이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패션전문점의 외관은 대부분 국내외 유명건축가가 디자인 하므로 세련되고 진보된 디자인의 외형을 갖고 있다. 외관 이미지를 보고 내부로 들어간 고객들은 대부분 곧바로 실망을 하게 된다.내부를 구성하고 있는 숍들은 외관에서 보이는 이미지의 기대수준에 대부분 미치지 못하고 너무 많은 개수의 매장들로 인해 오히려 혼란스럽기까지 하다. 고객은 패션전문점 외관을 보고 물건을 구매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소비자에게 상품을 공급하는 매개역할을 하는 매장은 고객의 구매 선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로 가정되고 타매장과 차별화 시킬 수 있는 수단이 된다. 유행의 변화를 수용해야 하는 숍들은 진열된 상품을 통한 고객의 선택을 받기 위해서 차별화된 매장의 공간연출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오늘날의 패션전문점 내 여성의류 매장은 그 규모가 8.8㎡ ~33.058㎡ 범위의 소규모 매장 형태이다. 따라서 중 ․ 대규모의 여성의류 매장에 비해서 숍 디자이너의 의도와 매장주의 디자인 요구가 쉽게 외관으로 표출되기 어렵다. 그렇지만 패션전문점 내 매장의 실내 공간 구성은 디자인 대상 자체를 표현하는데 가장 유효하다. 그러므로 개념적, 기술적으로 이해하며 형태구성에 대한 것을 내부를 구성하는 기법이나 관념적인 것만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 형태에 따른 구성과 전개로 매장디자인을 해야 한다. 매장과 매장이 거의 빈 공간 없이 전개되는 속에서 트랜드가 강한 상품을 취급함으로 패션전문점 속에서는 유사한 매장에 유사한 상품으로 경쟁한다. 밖으로는 백화점, 대리점, 재래시장, 할인점, 온라인 점포, 홈쇼핑등과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안팎으로의 경쟁 체제 속에서 여성의류 숍들은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해졌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방식에 의존하던 단순한 디스플레이만 강조하던 방식에서 탈피하여 매장의 연출이 필요하며 다양한 지식과 견해를 총동원하여 디자인 과정에서 참조하고, 전체를 통해 일관되게 흐르는 중심 컨셉의 표출을 통하여 숍에 대한 고객의 신뢰감을 심어주어야 하게 되었다. 여기에서 나아가서 매장디스플레이를 통한 극적효과를 추구하는 컨셉 라인도 요구받게 되었다. 이러한 경쟁력을 갖춘 숍은 오프라인 매장을 찾는 고객에게 즐거움을 주며 유사한 상품을 취급하는 타 매장들을 누르고 패션리더들의 선택을 받는다. 여성의류 매장 매장계획의 기본은 상품을 돋보이게 하고 숍의 이미지를 고객에게 전달하여 고객과의 공감대를 형성시켜서 소비로 이어지게 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 상품구매에 만족을 줄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아직도 소규모 여성의류 매장을 디자인하기 위한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전무한 현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먼저, 선행연구, 관련서적 등을 통한 소규모 여성의류 매장의 공간 구성요소를 도출한 후 소규모 매장 6곳을 디자인 한다. 그리고 분석대상 소규모 여성의류 매장 10곳과 연구자가 디자인한 매장 6곳의 도합 16곳을 이 기준을 감안하여 도출된 공간구성요소로 분석, 검토 한다. 마지막으로 도출된 공간 구성요소와 여성의류 매장 16곳의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여성의류 매장 디자인 계획 체크리스트를 도출한다.

      • 근대건축물의 활용을 위한 공간콘텐츠 연구 : 서울과 요코하마의 전용형 사례를 중심으로

        박종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오늘날의 근대건축물은 대부분이 산업화 시대의 산물로 현재는 그 건물의 기능적인 필요성이 약화되어 보존과 철거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근대건축물은 역사적, 건축적, 상징적 가치가 있으므로 현대적인 활용을 통해서 과거와 현재를 공존시키면서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을 잃은 근대건축물에 새로운 기능을 부여함과 동시에 문화예술의 중심지, 패션의 중심지 등으로의 도시 이미지를 새롭게 생성하고자함은 세계적인 추세이며, 이에 우리나라도 2001년부터 등록문화재 제도를 도입하여 지정문화재가 아닌 문화재 중에서 보존과 활용이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것을 대상으로 폭넓게 등록하여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등록문화재의 목적은 지정문화재 제도와는 다르게 해당 문화재의 외관은 보호하고 내부는 문화재별 용도나 사정에 따라 자유로이 변경하거나 수리, 수선이 가능하도록 하여 문화재를 보호하는 동시에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등록된 건축물의 상당수가 미사용으로 방치되어 있어서 적절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변화에 따라 그 기능을 상실한 근대건축물의 적극적인 활용을 위하여 보존과 활용에 대한 특징을 살펴보고 공간콘텐츠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근대건축물의 활용을 위한 공간 유형을 도출하여 각 유형별 공간콘텐츠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근대건축물이 지니고 있는 특징을 파악하여 공간콘텐츠 유형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방향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국내외 근대건축물의 활용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존하는 국내외 근대건축물의 자료를 수집하고 지역(국가), 연도, 활용유형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외 근대건축물 중 전용형의 빈도가 가장 높은 서울과 일본 요코하마 전용형 근대건축물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근대건축물의 보존가치와 범위 그리고 공간콘텐츠를 고찰 분석하였다. 또한 Q 방법론을 통하여 근대건축물의 활용 방안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식 유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합하여 근대건축물의 활용을 위한 공간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공간콘텐츠 특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았다. 1. 국내외 근대건축물의 활용 현황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국내 근대건축물의 지역별 분석에서는 전남과 전북 지역에 위치한 근대건축물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시대의 개항지가 밀집되어 있는 전남지역에 그 당시 근대건축물들이 많이 남아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국외 근대건축물의 국가별 분석에서는 일본의 근대건축물 사례가 많았는데, 이는 아시아 지역 특히 일본의 근대건축물이 국내에 가장 많이 알려진 것으로 볼 수 있었다. 2) 국내 근대건축물의 건립연도별 분석에서는 1920년대에서 1950년대까지 건립된 근대건축물이 가장 많았는데, 이는 일제강점기 시대와 한국전쟁 전후의 근대건축물들이 많이 남아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국외 근대건축물의 건립연도별 분석에서는 19C 후반에서 20C 초반에 건립된 근대건축물들이 많이 남아있었는데, 이는 유럽과 아메리카의 산업화 후기와 아시아의 근대화 시작, 진전 시기의 건축물들이 현재까지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3) 국내 근대건축물의 활용유형별 분석에서는 지속형 활용이 가장 많았으며, 전용형, 유휴형, 공개형, 부활형, 이벤트형 순으로 나타났다. 국외 근대건축물의 활용유형별 분석을 한 결과, 전용형 활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지속형, 부활형, 이벤트형 순으로 낮아졌다. 이는 국외 근대건축물의 전용형 사례에 대한 연구가 많았던 것으로 볼 수 있었다. 4) 국내 근대건축물의 공간기능별 분석에서는 건립초기의 공간기능은 주거기능과 종교기능, 교통기능이 가장 많았으며, 현재의 공간기능은 미사용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문화기능이 많이 나타났다. 국외 근대건축물의 공간기능별 분석에서는 건립초기의 공간기능은 산업기능과 업무기능이 가장 많았으며, 현재는 문화기능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국내외 모두 문화기능으로 활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특히 업무기능, 상업기능, 숙박기능, 관광휴게기능 등은 현재도 유지되고 있으며 활용 가능성이 높은 기능임으로 근대건축물의 특징에 따라 문화기능 외에 다양한 기능으로의 전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2. 서울과 일본 요코하마의 전용형 근대건축물의 보존가치, 범위, 공간 활용에 대한 공간콘텐츠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보존가치의 분석에서 서울시의 경우는 역사적 가치와 건축적 가치를 지니는 근대건축물이 많았으며, 요코하마시의 경우는 건축적 가치를 지니는 근대건축물이 많았다. 2) 보존범위의 분석에서 서울시는 요코하마시에 비해 원형보존(복원)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요코하마시는 외관은 보존(복원)하고 내부를 개조하는 경우가 많았다. 3) 공간콘텐츠에서 공간프로그램의 분석에서는 서울시와 요코하마시 모두 문화기능으로 전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는 근대건축물을 최대한 보존하면서 공공성도 고려할 수 있는 일반적인 활용방법이라고 볼 수 있었다. 그러나 업무공간, 상업공간, 교육공간, 숙박공간, 관광휴게공간으로 전용하는 경우도 있었으므로 문화공간 외에 다른 다양한 기능으로 전용도 고려할 필요가 있었다. 4) 공간콘텐츠에서 운영프로그램의 분석에서는 서울시와 요코하마시의 전용형 근대건축물 대부분이 체험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서울시의 경우는 홈페이지 운영, 기록화보고서 발간 등의 정보프로그램이 잘 운영되고 있었으며, 요코하마시의 경우는 활용과 활동에 관한 발간 등 기획운영관리 프로그램이 잘 운영되고 있었다. 5) 보존가치와 보존범위, 공간프로그램과 운영프로그램의 분석을 통하여 근대건축물의 활용 공간 유형을 역사문화공간형, 복합공간형, 상징공간형으로 도출하였다. 3. 근대건축물의 활용 방안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식 유형은 Q 방법론을 통하여 세 가지 유형을 도출하였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1) 원형보존 추구형은 근대건축물이 변형되거나 훼손되는 것에 대한 우려를 하고 있으며, 원형을 가장 잘 보존할 수 있는 역사 교육프로그램이 있는 문화 공간으로 활용하기를 바라는 유형이었다. 2) 공간개조 추구형은 근대건축물의 외부는 보존하면서 내부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기능을 갖는 공간으로 활용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공간을 각자의 방식으로 향유하기를 바라는 유형이었다. 3) 지역 연계 추구형은 건축물 자체 활용 뿐 아니라 그 지역과 연계된 프로그램을 통해 지역 활성화 역할을 하기를 바라는 유형이었다. 4. 근대건축물의 활용을 위한 공간 유형화와 유형별 공간콘텐츠의 특징은 다음과 같았다. 1) 원형보존을 통한 역사문화공간형은 역사적 가치가 있는 근대건축물 중에서 역사적 사건, 인물, 발전사의 의미를 살리기 위하여 원형보존 또는 복원을 해야 하는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스토리텔링을 적용하여 역사교육 프로그램을 갖춘 역사문화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 유형은 체험교육프로그램이 강조될 수 있으며, 역사교육에 관한 전시관람 후 이와 연결된 체험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공개방식은 일반인에게 공개하되, 근대건축물의 원형보호를 위하여 사전예약제 실시 또는 시간이나 인원에 있어서 제한을 두도록 한다. 2) 공간개조를 통한 역사문화공간형은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있는 외관과 내부 일부를 보존 또는 복원하고 내부는 기능에 따라 개조가 필요한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유형은 근대건축물의 역사성과 관련한 체험교육프로그램이 강조될 수 있으며, 공개방식은 일반인에게 공개하되, 원활한 전시 관람과 체험교육 프로그램의 운영을 위하여 사전예약제 실시 또는 시간이나 인원에 있어서 제한을 두도록 한다. 3) 공간개조를 통한 복합공간콘텐츠형은 근대건축물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역사적, 건축적 가치가 있는 외관과 내부 일부를 보존 또는 복원하고 내부는 필요한 기능에 따라 개조할 수 있는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유형은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갖는 복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방문을 유도하고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다목적으로 활용 될 수 있는 공간을 두어 행사, 강연, 공연 등을 개최하거나 공간을 대여하는 이벤트프로그램이 강조될 수 있으며, 공개방식은 일반인에게 공개하여 많은 사람들이 각자만의 방식으로 공간을 이용하고 느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지역연계를 통한 복합공간콘텐츠형은 보존의 필요성이 있는 외관을 보존 또는 복원하고 내부는 기능에 따라 개조할 수 있는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유형은 지역과 연계 역할을 하기 위해 두 가지 이상의 기능을 갖는 복합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주민과 방문객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대중의 참여를 위한 이벤트프로그램과 지역의 특성과 관련한 연계프로그램이 강조될 수 있으며, 공개방식은 일반인에게 공개하여 많은 사람들이 공간을 이용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5) 원형보존을 통한 상징공간콘텐츠형은 건축적 가치와 상징적 가치가 있는 근대건축물 중에서 건축양식과 구조를 원형으로 보존하고 복원하여 이를 지역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유형은 건축적 가치와 상징적 가치를 살려 관광휴게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옥외공간의 활용을 중요하게 다루어 지역 주민과 방문객들이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역사문화 체험교육프로그램, 이벤트프로그램이 강조될 수 있으며, 공개방식은 내부공간의 원형보존을 위하여 제한을 두며 외부공간은 제한 없이 개방하도록 한다. 6) 지역연계를 통한 상징공간콘텐츠형은 상징적 가치가 있는 근대건축물 중에서 지역과의 연속성을 유지하거나 주변과의 조화를 이루는 건축물의 상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관은 보존하여 복원하고 내부는 기능에 따라 개조할 수 있는 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다. 이 유형은 상징성을 부여할 수 있도록 지역의 랜드마크 역할을 하고 있는 근대건축물에 적용하여 관광휴게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지역의 다른 문화유산과 연계 체험 프로그램으로 개발, 현장에서 진행할 수 있는 지역 특화 프로그램, 관광객 유치를 위한 홍보마케팅, 기념품 개발 등의 홍보프로그램이 강조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 있어서 지역주민의 참여도 고려할 수 있다. 공개방식은 일반인에게 공개하며 국내뿐 아니라 국외 방문객들을 위한 배려가 필요하다. 7) 공통적으로 모든 유형에서 적용되어야 하는 사항은 근대건축물의 활용은 지역문화 형성에 기여하여야 하며 근대건축물의 원형, 연혁 등과 같은 정보 기록을 DB화하여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근대건축물의 활용과 활동에 대한 서적 발간이 필요하며 근대건축물의 전용형 활용을 위해서는 다층적이고 심층적인 측면에서의 장기적인 계획이 필요하다. 그리고 근대건축물의 활용 운영에 관한 관리 지침 매뉴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근대건축물의 적극적인 공간 활용에 초점을 두고 공간콘텐츠 개념을 도입하여 근대건축물의 보존가치, 활용유형, 공간콘텐츠를 분석하였으며, 전문가의 의식 유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를 통합한 근대건축물의 활용을 위한 공간 유형을 도출하고 유형별 공간콘텐츠 특징을 알아봄으로써 근대건축물의 특징을 고려하여 공간콘텐츠 유형에 따라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미가 있었다. 향후에는 본 연구에서 제시된 근대건축물의 활용을 위한 공간콘텐츠의 유형을 토대로 미사용으로 방치되고 있거나 잠재되어 있는 근대건축물의 활용을 위한 연구에 사전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 지역별 전통주택의 안채와 사랑채 특징 고찰

        황인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랜 시간에 걸쳐 형성된 우리나라의 대표 전통 주택은 옛날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의 전통 주택에 대한 생각은 외형은 긍정적이나 직접 거주하는 것에는 부정적인 의견이 많다. 한옥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보존과 보급을 하려고 힘을 쓰고 있으며, 전통 주택의 형태와 방식들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지와 전통과 시대에 대한 이해, 그 시대의 기후, 규모, 유형 등을 이해하며 나아가서 오늘날과 미래에 주거 방향을 설정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수 있다. 특히 전통 주택은 그 시대와 지역만의 자연적 재료를 사용하여 지형과 기후 등을 고려하여 고심한 끝에 건축물을 완성시키는데, 이는 그 지역의 문화와 건축이 함께 어우러져 있다는 관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의 곳곳에 남겨진 전통 주택들 중 정확한 치수를 확인할 수 있는 전통 주택을 대상으로 각 지역별 전통주택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분석 대상은 충청도 6가옥, 전라도 6가옥, 경상도 7가옥으로 안채와 사랑채를 중심으로 분석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지역별 전통 주택의 특성을 중심으로 변화 방향을 밝히고자 한다. 또 나아가 3개 지역 외에 타 지역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밝히는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충청도 지역의 전통 주택 분석 대상은 충청남도 4가옥, 충청북도 2가옥으로 대상은 맹씨행단, 동춘당, 박도수 가옥, 조응식 가옥, 명재고택(윤증선생고택), 선병국 가옥 총 6가옥으로 하였다. 정렬 순서는 건립연대 순으로 하였으며, 이 중 가장 오래된 가옥은 맹씨행단 가옥이 14세기 건물로 가장 오래되었으며, 반대로 선병국 가옥이 20세기 초반으로 600년간의 전통 주택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전라도 지역은 전라남도 3가옥, 전라북도 3가옥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조사 대상 전통 주택은 운조루, 김동수씨 가옥, 몽심재, 양동호 가옥, 홍기응 가옥, 김상만 가옥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장 먼저 건립된 전통 주택은 1776년 건립된 운조루고, 다음이 1784년 건립된 김동수씨 가옥이었다. 가장 늦게 건립된 주택은 김상만 가옥으로 1895년에 건립되어 120여년의 주택 변화를 볼 수 있었다. 경상도 지역은 경상남도 1가옥, 경상북도는 6가옥으로 경상북도 지역에 보존 된 전통 주택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대상은 낙선당, 예안이씨 충효당, 의성김씨 종택, 권씨종가 별당, 무첨당, 하회 충효당, 정온선생 가옥이다. 낙선당이 가장 먼저 1540년에 건립된 주택이었고, 가장 늦게 건립된 전통 주택은 정온선생 가옥으로 1820년에 건립되어 280년간의 주택 변화를 볼 수 있었다. 전통 주택의 공간구조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ㄱ’자형, ‘ㄷ’자형, ‘ㅁ’자형, ‘ㅡ’자형, ‘H’자형, ‘T’자형의 6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는데 결과는 ‘ㅡ’자형 평면 형태가 가장 많았고, ‘ㄷ’자형, ‘ㄱ’자형, ‘ㅁ’자형, ‘H’자형, ‘T’자형 순으로 나타났다. 안채에서 가장 많은 형태는 전라도 지역은 ‘ㄷ’자형이 경상도 지역은‘ㅁ’자형이 많았고,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의 안채는 ‘ㅁ’자형 가옥이 없었다. 사랑채는 전라도와 경상도지역 모두 ‘ㅡ’자형이 많았다. 건물 면적 부분은 충청도 지역 선병국 가옥의 안채(246.6㎡)가 가장 컸고, 그 다음으로 경상도 하회 충효당의 안채(243.9㎡)로 면적이 유사하였다. 작은 전통 주택은 경상도 지역의 낙선당 사랑채(32.18㎡)로 건물면적이 안채보다 사랑채가 평균적으로 작은 형태로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조 형식에서는 한국 고유의 전통 주택에 맞게 3개 지역 모두 목구조 형식이었다. 기둥은 위치, 단면형태, 입면형태 등으로 구분되고 위치에 따라서는 외진주와 내진주로, 단면형태는 각기둥과 원기둥 형태로 나눌 수 있으며, 입면형태는 민흘림과 배흘림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집의 뼈대가 되는 가구는 축부를 구성하는 벽체가구와 지붕틀을 구성하는 지붕가구로 구분할 수 있는데, 지붕가구재로는 도리와 장혀가 있으며, 축부 구성의 기본 부재가 기둥이다. 각 전통주택 마다 기둥의 총 개수는 대략 20~40개를 사용하였으며, 원기둥의 경우 주로 몸채 전면 부분 즉, 안방과 대청 전면에 세우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각기둥의 경우에는 전통 주택 전체에 사용하였으나 원기둥으로만 건물을 세운 전통주택은 없었다. 전통 주택의 특징 중 하나는 집터를 잡은 후 터를 반듯하게 다듬고 그 터보다 한층 높은 곳에 집을 지으며 이때 한층 높게 쌓는 것이 기단이다. 전통 주택에서는 마루하부에 공기 통로를 두는데 바람의 영향을 받기 위해서 여름철에 보다 시원하게 지내기 위함이며, 동시에 집터보다 높게 보이게 하여 건물에 무게감을 더 하기 위한 것이었다. 단은 쌓는 단의 숫자에 따라 외벌대, 두벌대, 세벌대로 구분되는데, 조사 대상 전통 주택은 외벌대와 두벌대가 가장 많았다. 이는 세벌대나 그 이상은 왕족이나 공직인 권위적인 건물에 사용되었기 때문으로 당연한 결과이었다. 지붕의 종류는 맞배지붕과 팔작지붕, 우진각 지붕, 박공지붕으로 구분되며 지붕에는 용마루와 추녀마루, 내림마루로 구성 된다. 조사대상 전통 주택의 지붕은 맞배지붕과 팔작지붕이 고루 사용되어 졌으며, 경상도 지역의 안채는 정온선생 가옥(팔작지붕)을 제외하고는 모두 맞배지붕 형식이었다. 우진각 지붕은 전라도 지역의 양동호 가옥, 김상만 가옥과 경상도 지역의 예안이씨 충효당에서 사용되었다. 처마는 홑처마와 겹처마가 있는데 이는 외벽을 비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데 경상도 권씨종가는 겹처마와 홑처마를 같이 사용하였고, 나머지 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지역의 전통 주택은 모두 홑처마이었다. 대청과 방 바닥을 살펴보면 대청은 모두 우물마루 형식으로 전라도 지역 김동수씨 가옥의 안채가 장마루가 사용되었다. 장마루는 중국과 일본에서 주로 사용되므로, 한국에서는 극히 드문 사례이었다. 반대로 중국과 일본에서는 우물마루 유례가 없어서, 한국형식의 마루를 갖고 있었다. 전통 주택의 분석대상 방은 모두 온돌방 형식으로 아궁이를 이용한 것을 알 수 있었고, 좌식 생활을 하는 한국의 특성과 겨울철 실내를 따뜻하게 하는 난방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충청도, 전라도 그리고 경상도 지역 전통 주택의 안채와 사랑채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3개의 지역을 우선 연도별로 정리를 한 후 각 지역의 안채와 사랑채에 관한 지형과 형태, 내·외부 공간의 특성 등을 항목별로 나우어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를 가지고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시대에 따른 변화를 찾아보았다. 앞으로는 본 연구에서 다루었던 해당 지역의 전통 주택 외의 전통 주택 및 타 지역의 전통 주택으로 범위를 넓힌 연구가 진행되어 우리나라 전통주택의 전요가 더 확실히 밝혀지기를 기대한다.

      • 키즈 카페의 유형별 실내 공간 특성과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문자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사회는 급속한 도시화, 산업화로 인해 아이들이 밖에서 자유롭게 놀 수 있는 자연의 공간이 점점 줄어들게 되었고, 실외 놀이공간에 대한 안전성에 대한 문제점이 증가됨에 따라 이를 대체 할 수 있는 실내 놀이공간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져 왔다. 또한 현대사회는 부모들의 높은 의식수준과, 저 출산으로 인해 나타난 자녀에 대한 관심도의 증가에 따라 아이에게 적절한 놀이 환경과 교육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고, 부모도 아이와 함께 즐기며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게 되었다. 기존에는 실내놀이터가 어린이를 위한 실내놀이공간으로서 마련되었지만 이는 아이에게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어 부모들을 위한 공간은 따로 마련되어있지 않거나 협소하였다. 하지만 최근에 이러한 두 고객의 요구를 모두 반영하여 나타난 테마카페 중 하나인 키즈 카페가 등장하여 두 고객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있다. 키즈 카페는 아이뿐만 아니라 부모를 위한 공간이기도 한 점에서 실내놀이터와 차이가 있으며, 그 수도 점점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키즈 카페의 실내공간특성을 공간배치, 실내디자인특성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후 키즈 카페에 대한 이용자의 전반적인 실내 공간 특성에 대한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하여 앞으로 이용자가 원하는 키즈 카페의 공간계획 방향에 대해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례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사례조사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키즈 카페로서 2007년도 이후에 지어진 곳으로 목적별 유형에 따라 3곳 씩 나누어 총 12곳에 대해 공간구성요소와 공간배치, 실내디자인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12곳의 사례대상에서 이용자 12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이용자의 개인특성과 이용특성 및 이용현황 그리고 키즈 카페에 대한 이용자의 중요도 및 만족도에 대해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 t-test,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키즈 카페의 공간배치특성은 크게 놀이중심형, 카페중심형, 대치형, 기능분리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대치형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유형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 대치형은 레스토랑형과 교육형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카페와 놀이를 중심으로 한 배치형태는 기본형과 복합문화시설형에서 많이 나타났다. 놀이와 카페중심형은 비교적 대치형보다 개방성이 더 크고 아이가 부모를 찾기에 용이하나 다소 공간의 영역이 확실치 않아 이동에 있어 어지럽고, 복잡해 보일 수 있는 부분으로 나타났다. 기능분리형은 기능에 따라 층으로 완전 분리된 형태로 교육형의 한 사례에서 나타났는데, 아이는 부모와 떨어져서 교육 및 놀이를 함으로써 부모의 시선에서 벗어나 좀 더 교육프로그램에 집중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키즈 카페의 실내디자인 특성을 살펴보면 기본형과 복합문화시설형은 다소 아이들의 컨셉에 맞는 분위기로 연출되었고, 레스토랑형과 교육형은 비교적 부모들의 컨셉에 맞게 분위기가 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본형과 복합문화시설형은 아이들의 선호에 맞는 색상을 사용하여 밝고 경쾌한 느낌을 주는 곳이 많았고, 레스토랑형과 교육형은 비교적 차분하고 내츄럴한 느낌을 주는 곳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를 위한 놀이공간에는 안전성을 고려하여 바닥에 매트와 장판을 주로 사용하였고, 부모들이 주로 이용하는 카페공간에는 비교적 타일이나 에폭시와 같은 마감재를 주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자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부모의 연령은 30대가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고 있었는데, 이는 키즈 카페가 영·유아와 비교적 어린 아동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곳이기 때문에 부모 연령이 다양하게 분포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형태는 주부와 전일제가 가장 많았으며, 자녀 연령은 만 4~6세의 연령대가 가장 많았고, 다음이 1~3세, 7~9세 순으로 비교적 어린 영·유아가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로 이용하는 시설 유형은 기본형이 과반수이상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복합문화시설형, 레스토랑형과 교육형 순으로 나타났다. 키즈 카페를 주로 이용하는 목적은 아이와 함께 시간을 보내기 위한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놀이시설을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의 모임을 위한 응답이 그 뒤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볼 때 앞서 살펴본 주로 이용 하는 시설유형에 대해 기본형과 복합문화시설형이 많았던 점은 이러한 놀이시설 이용과 아이의 놀이를 위한 방문목적과 연관되어 진다고 보인다. 공간배치 선호유형은 부모공간은 아이들을 볼 수 있도록 개방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부모공간은 아이들을 볼 수 있되 분리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근소한 차이로 다음으로 나타났다. 즉 키즈 카페를 이용하는 부모들은 대부분 아이들을 볼 수 있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고, 개방성과 분리성에 대해서만 의견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사례는 모두 어느 정도 각 공간의 분리가 되어있으나 파티션의 구분에 따라 부분적으로 분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이용자에 따른 중요도와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교육형을 제외 하면 전반적으로 안전성에 대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만족도의 경우는 기본형과 복합문화시설형은 전반적으로 디자인부문에 있어 만족도가 높았고, 교육형과 레스토랑형 이용자는 지리적 접근의 편리성에 대해 가장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레스토랑형과 교육형은 뚜렷한 목적을 가지고 오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방문하는 것에 따른 결과로 보여 진다. 유형별 이용자에 따른 중요도와 만족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 공간의 크기와 안전성, 음식의 종류와 맛, 프로그램 질에 대한 항목에 대해 차이가 있었다. 비교적 교육형 이용자가 다른 유형보다 전반적으로 모든 항목에 대해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유형별 이용자에 따른 만족도 결과는 어린이 공간 크기와 마감재, 색채, 가구 및 소품, 위생 상태에 대해 차이를 보였으며, 기능부문에 있어서는 음식과 프로그램 놀이기구에 대한 모든 항목에 대한 만족도가 차이가 나타났다. 유형별 집단 간에 차이를 보였지만 만족도 역시 전반적으로 교육형 이용자의 만족도가 다른 유형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부문의 만족도에 있어서는 유형별 이용자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유형별 키즈 카페의 실내공간특성과 이용자의 중요도 및 만족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내공간을 어린이 공간과 카페 공간, 교육 공간 등으로 범위를 나누어 조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앞으로는 각 공간별로 좀 더 세분화된 요소의 분석 틀을 가지고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이용자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분석 결과를 통해 실내공간의 디자인 특성과 비교분석을 통하여 이용자의 요구에 부합한 키즈 카페 공간계획에 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In modern society, natural space where children can play freely outside was gradually reduced because of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s the problems of safety for outdoor playing space were increased, the interests in indoor playing space which can be replaced by it were gradually increased. Also, as the awareness standard of parents and interests in children were increased because of the low birth rate in modern society, the interests in providing proper playing environment and educational environment for children were increased and parents needed the space where parents can enjoy and take a rest with children. Originally, indoor playground was prepared as the indoor playing space for children, but it focused on only children and the space for parents wasn't separately prepared or was small. However, kids cafe, one of theme cafes reflected by all of two customers' requests, was appeared and needs of two customers are satisfied. Kids cafe is for not only children but also parents, so there is a difference from indoor playground and the number is gradually increased.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indoor spatial characteristics of kids cafe by dividing into spatial arrangement and indoor design characteristics, analyz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the whole indoor spatial characteristics of kids cafe's users and provide the spacial plan's direction of kids cafe that users want in the future. This study was conducted by case research and survey and the object of case research was kids cafes located in Seoul, built after 2007. According to the form by purposes,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places and spatial components, spacial arrangement and indoor design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for total 12 places. Also, survey was conducted for 120 users in the 12 case objects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using characteristics and using situation of users an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users for kids cafe were investigate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used by SPSS 17.0 statistical program and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t-test and One-Way 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patial arrangement characteristics of kids cafe can be largely divided into playing-based form, cafe-based form, confronting form and functional division form and among them, there are confronting form the mostly difference by forms. The confronting form was showed in restaurant form and educational form the mostly and arrangement form focusing on cafe and playing was showed in basic form and complex cultural facility form so much. The form focusing on playing and cafe showed relatively more openness than confronting form and children can find parent easily, but the spatial area isn't somewhat certain, so it can be seen to be dizzy and complicated for movement. The functional division form was shown in one example of educational form as the form divided completely as floors by function. Children can concentrate on educational program more getting out of parents' sights by getting out of their parents. If examining the indoor design characteristics of kids cafe, basic form and complex cultural facility form were displayed as the atmosphere whose concept is suitable for children's concept somewhat. Restaurant from and educational form were displayed as the atmosphere whose concept is suitable for parents' concept. Therefore, basic form and complex cultural facility form have lost of places which give bright and cheerful feeing with colors suitable for children's preference. And, restaurant form and educational form have lots of places which give calm and natural feeling relatively. In the playing space for children, mat and linoleum were mainly used on the floor by considering safety. In the cafe space used by parents mainly, finishing materials such as tile and epoxy were mainly used. As the result of investigating users' characteristics, thirties showed the most distribution for the age of parents and it showed that the age of parents was not various because kids cafes are relatively for toddlers, babies and young children. For the occupational form, housekeepers and full-time system were the most and for the age of children, there were the most children whose age is 4~6, the next is the age of 1~3 and 7~9 in order, so toddlers and babies who were relatively young were using. For the form of facilities used mainly, basic form was the most with more than half and the next is complex cultural facility form, restaurant form and educational form in order. For the purpose to use kids cafe mainly, there were the most response for spend the time with children and the next is for using playing facilities and for parents' meeting in order. Through them, for the form of facilities used mainly, the fact that there were the most basic form and complex cultural facility form is related to the using of playing facility and visiting purpose for children's playing. For the preference form of spatial arrangement, there were the most response that parents' space must be opened so as to take care of children and the next is that parents' space must be divided by taking care of children with few difference. In other words, there were the most opinion that most of parents using kids cafe must be able to see children and there was a difference of opinion for openness and division. For the examples of investigation object, all of them were not divided individually somewhat, but they were divided partially by the division of partition.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importance and satisfaction by users of each form, the safety was the most emphasized generally except for the educational form. In case of satisfaction, basic form and complex cultural facility form showed the high satisfaction generally for the area of design and users of educational form and restaurant form showed the most satisfaction for geographical approach and convenience. Most of restaurant forms and educational forms have clear purposes, so it is the result of visiting the place which is near to house.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by users of each form, there were differences in size and safety of children's space, kinds and taste of food and quality of program. Users of educational form showed relatively higher importance than other forms generally. As the result of satisfaction by users of each form, there were differences in size and finishing materials of children's space, colors, furniture, props and hygiene status. For the area of function, there was a difference for all items for food, program and playing facilities. There was a difference for groups of each form, but the satisfaction of users of educational form was higher than other forms generally. For the satisfaction in the area of service,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users by each form. Through this study, indoor spatial characteristics and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kids cafe of each form were grasped. This study was progressed by dividing indoor space into children's space, cafe space, educational space, etc. largel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gress study with the analyzed frame of more segmented factors by each space in the future. And, through the analyzed result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users, following studies on kids cafe's spatial design suitable for the users' requests must be necessary by th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indoor space.

      • 헤이리 예술마을 복합상업건물의 공간 콜래보레이션 검토 : 갤러리, 아트샵, 카페공간을 중심으로

        신지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는 19세기 말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개인의 개성, 자율성, 다양성을 중시하게 되었다. 개인 생활패턴이 변화하고 있고 그들의 니즈(needs)들은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였다. 즉 공동의 목표를 위해 협력을 하여 공동의 목표 결과물을 만들어 내었다. 콜래보레이션은 영어 단어이며 협력이라는 뜻이다. 협력은 다른 분야와 함께 진행하거나 같은 분야의 어느 무엇과도 진행할 수 있다. 상업 공간은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공간 콜래보레이션을 시도 하고 있다. 요즈음의 상업공간은 집에서와는 또 다른 편안함을 제공하여 집처럼 편안하면서도 일상에서 벗어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인기를 끌고 있다. 또한 새로운 경험을 체험하게 하여 특별한 공간으로 느끼게 하여 호감을 이끌어 낸다. 이러한 공간들은 안주하지 않고 변해가는 현대인들의 생활에 활력을 준다. 예로 카페는 언제, 어디서든 편안함을 느끼고 싶어 하는 21세기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 시켜주고 있다. 또한 새로운 경험을 체험하게 하여 특별한 공간으로 인식하게 한다. 이러한 공간들은 진화를 하여 그 공간 내에서 다른 영역으로 확장을 한다. 콜래보레이션의 선행연구는 디자인, 경영학 분야에서 연구되어져 왔다. 그러나 건축, 공간 분야에서는 콜래보레이션에 대한 선행연구는 없었고 따라서 본 논문은 공간을 중심으로 콜래보레이션을 연구하였다. 콜래보레이션은 공간 콜래보레이션, 아트 콜래보레이션, 저가와 고가 콜래보레이션, 하이컨셉 콜래보레이션, 스타 콜래보레이션으로 분류 할 수 있고 그 중 공간 콜래보레이션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간 콜래보레이션은 실내디자인 분야에 맞게 내용을 재정리 하였고 선행연구와 각종 문헌 등을 통해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실제 사례공간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파주의 헤이리 예술마을로 지역을 한정하였으며 분석대상은 102채의 건물 중 상업을 목적으로 하며 갤러리, 아트샵, 카페를 모두 운영하는 복합상업건물 10채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분석대상은 공간 콜래보레이션에 대해 정리한 체크리스트를 통해 갤러리, 아트샵, 카페의 각 공간마다 공간 콜래보레이션 점수를 부여하였으며 점수의 총 평균을 내어 분석대상을 비교하여 헤이리 예술마을의 복합상업건물을 평가하였다. 10곳의 분석대상 중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균 점수에 영향을 미친 공간은 카페와 아트샵이다. 카페는 오감의 체험을 가장 많이 할 수 있었으므로 공간의 호감도가 가장 높아 공간 콜래보레이션 평균 점수에 영향을 미쳤다. 아트샵은 편안함을 주기에 부족하여 공간 콜래보레이션 점수가 낮았다. 따라서 아트샵은 복합상업건물 안에서 공간의 역할이 충분치 못하였고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주지 못했다. 10곳의 분석대상들은 2곳을 제외하고 모두 일반적인 경험으로 공간을 운영하고 있었다. 2곳은 체험교실을 운영하여 다양한 경험으로 사용자에게 만족감을 주었으나 다양한 경험만으론 공간 콜래보레이션의 점수를 높이기에 부족하였다. 즉, 복합상업건물의 공간 콜래보레이션은 공간의 편안함, 다양한 경험, 내구적인 실내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는 공간 목적에 맞는 정확한 조닝과 분할, 연결, 구성 등을 통해 가구, 조명, 색채도 각 공간에 걸 맞는 실내구성이 될 것이다. 목적에 맞는 실내구성은 공간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편안한 사용을 유도 한다. 또한 다양한 경험은 상업공간에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 내구적인 실내구성과 더불어 다양한 목적으로 운영되는 복합상업건물에 현대인들의 발길을 끌게 하는 공간으로 거듭 날 것이다.

      • 경로당 활성화를 위한 실내 환경 개선방안 연구 : 서울 서초구 구립 경로당을 중심으로

        권혜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급속히 진행되는 노인의 수적증가는 노인복지에 대한 정부와 사회의 역할 분담을 요구하고 있다. 비교적 건강한 고령노인(중로, 고로)은 경제적인 부담문제로 가정에서 돌보아지고 있다. 이들을 안전이 보장 되는 질 높은 환경에서 건강 유지를 위한 영양식을 제공하며 정부 차원에서 함께 보호하면 각 가정에서는 노인 부양에 낭비되는 인력이 없어져 경제 활동 인구가 확대 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유휴 시설에 가까운 경로당 시설의 활성화를 정부나 사회가 맡는다면 경로당 관련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함께 사회에 요구되고 있는 고로 노인 시설의 양적 확대로 새로운 시설 투자에 드는 노인복지 비용을 경감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정부와 사회 의 이익 외에도 가정에서는 편안하게 믿고 의탁하여 노인 부양에 발이 묶여 있던 젊은 인력이 다른 곳에 시간을 쓸 수 있게 되고 이것은 경제 활동 인구의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노인은 익숙한 주거지에서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제공 받고 제도적 지원을 받으며 외롭지 않고 노인학대 등의 문제에서도 안전하고 건강관리도 체계적으로 받으며 만족스러운 노년생활을 영위 할 수 있게 된다. 전국 6만3천2백여 개의 유휴시설에 가까운 경로당을 활성화 하면 정부 사회와 가정, 노인 모두에게 이득이 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그러면 시설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은 무엇인지 시설 현황 조사와 운영자 조사, 이용자 조사 등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현재 서울시 1개구에 있는 구립 경로당 시설을 모두 분석하여 현황과 운영자,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홈페이지를 통해서 경로당 관련 자료를 파악하는 한편, 경로당 관련 선행 연구 및 문헌조사를 통해서 현황 파악을 위한 조사표를 작성 하였다. 작성된 조사표를 가지고 조사대상 경로당을 방문하여서 각 경로당의 시설과 현황을 조사하였다. 현황조사는 사진 촬영 및 도면작성과 함께 준비된 조사표에 의해서 조사하였고 이용자 298명, 운영자 30명의 인터뷰를 통해서 요구사항 파악이 이루어 졌다. 조사 결과는 SPSS win 20.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다중응답 분석, 교차분석,Duncan 테스트,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근거로 경로당 시설의 실내 환경 개선 방안으로 시설 1곳을 리모델링하고 리모델링한 가상공간으로 이미지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win 20.0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결과분석을 실시하였다. 통계분석방법은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표본 t-test, F검정 및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고 문항의 내적일치도를 검사하였다 그것을 통해서 시설 계획 시 중요하게 평가되는 디자인 이미지 요소를 찾아내었다. 분석결과를 근거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현재 경로당 시설은 체계가 부족하여 표준화 관리가 필요하였다. 시설 관리용 체크리스트 등이 필요하였는데 Ⅳ-3장 현황 체크리스트가 이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서 시설 서비스 질 평가 체계 마련 등 질 좋은 시설 환경 서비스의 공급체계 구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법령의 구체화된 기준의 변화가 필요하였다. 이용자는 시설에서 10분 이내 장소에 거주하는 거주자를 이용 대상자로 보고 법령에서 이용 연령대를 높여서 고로 노인들이 편안하게 이용 가능하게 하고 건강상태는 비교적 건강한 노인과 경증의 치매 노인도 수용하면 각 개인의 집에 파견되는 인력비용 포함하여 현재 급증하는 치매문제에 드는 사회적 비용 연 11.7조 원 중 상당 금액도 절약하는 효과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이고 시설은 15~20명이 하루에 이용할 수 있게 하고 관리자는 2명이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소규모 경로당들이 집 가까이에 있으면서 오전과 낮 시간에 노인을 관리, 보호 해 주는 것이 각 가정에서 노인 부양의 부담을 덜어주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시설에 대한 구체적인 지원이 필요하였다. 현재 서초구에서는 2014년 겨울부터 서울시의회의 승인을 받아서 경로당 외관 리모델링 사업을 실시 중이었다. 투자비용은 연간 3억원으로 시설 1개소 당 3천만원을 지원하여 리모델링을 하였으나 사업 시행 중 발견 된 문제들로 인해서 올해 4곳만 진행되고 있었다. 계속 사업이 진행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서초구에 재건축 승인이 된 지역의 경로당과 어린이집이나 데이케어 센터와 건물을 함께 사용하는 시설에는 경로당의 상징적인 외관 리모델링 사업이 불가능해서였다. 구청 시설 관계자의 말에 따르면 디자인 리모델링 비용으로 의회에서 예산을 받은 경험이 있으므로 어렵지 않게 내부 시설 디자인 비용도 승인 받을 수 있을 것 같다고 하였고 그 외에도 매년 시설 개보수 비용으로 1억 예산이 있으므로 시설의 내부 리모델링 가능성은 높았다. 현재 서울시 몇 개 구에서도 노인복지 디자인사업에 예산을 편성하여 의회에 신청할 것이라고 하였는데 본 연구의 내용이 시설 개선에 반영되고 앞으로도 여러 디자인 사업이 시설의 활성화를 위해서 진행되기를 기대해본다. 넷째, 법령에서는 65세 이상이지만 실제 이용 노인은 80세 이상의 초 고령 노인이었다. 이용자의 연령을 감안하고 요구에 부합하는 초 고령 노인이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선정, 식사나 청소 서비스의 봉사자 영입 그리고 좌식생활이 불편한 상태임을 감안하여 식탁을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화투 등을 하는 오락용으로 사용하고 식사 때는 식사용으로 사용하는 등의 입식 가구의 배치와 이곳에서 누워서 휴식을 취하는 분들이 많음을 고려하여 누울 수 있는 가구의 충원과 하루 반나절 이상을 이곳에서 보내는 것을 감안하여 실내 분위기 향상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그리고 지역사회 밀착형 시설인 경로당에 고령친화 제품을 전시 ,체험관을 운영하여 제품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하도록 하면 고령친화 산업기술 개발에 지원되는 국고 또한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섯째, 노인을 대상으로 감성이미지 연구를 계속하면 노인이 만족하는 공간이미지를 공간별로 찾아낼 수 있을 것이라 본다. 학력이 높거나 수입이 많은 자는 선호하는 이미지가 가장 중요하게 평가됨을 알 수 있고 성별로는 남자는 청결한 이미지가 가장 중요했고 여자는 특별한 이미지가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가구이미지에서는 학력별로 특별한 이미지와 세련된 이미지가 초등학교 이하 자 와 고등학교 이하 자에게 중요하게 인식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가구 배치이미지에서 학력별로 선호의 이미지는 대학 이상자에게 중요하게 인식되고 청결의 이미지는 고등학교이하 자에게 중요하게 인식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입이 없거나 20만원이하 자가 특별한 이미지를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200만원이상 자는 선호하는 이미지가 중요하게 인식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그러므로 이미지 만족도 연구를 계속하여서 중요한 공간계획 요소를 찾아내어 공간 디자인에 참고하여 시각적으로도 만족스런 질 높은 시설 개선의 방향을 잡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도심복합상업시설의 효과적 길찾기를 위한 물리적 환경요소 분석과 적용 : 영등포 타임스퀘어에 가상현실기법 적용

        황지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근대도시는 20세기 후반에 이르러 기능이 분리되면서 도심 슬럼화 현상, 도심생활권으로의 이동시간 증가, 도심의 다양성과 활력의 상실과 같은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1960년대부터 도심 내 복합화 개념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므로 현대도시의 복합화, 대형화의 현상은 더 이상 새로운 흐름이 아닌 도시발달과 팽창에 대응하는 보편적인 해결 방안의 일환이 되었고, 도시 내 건축물 또한 이용자의 삶의 질에 맞춘 다양한 기능을 도입한 대규모 도심복합상업시설이 등장하게 되었다. 도심복합상업시설은 단순한 건물의 내부가 아니라 도시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진 새로운 방식의 공간계획으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문제점인 길찾기는 위치와 목적지의 방향이 명확하지 않아서 경제적, 시간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되었다. 이처럼 도심복합상업시설에서의 길찾기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등장하였으나, 디자인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에게는 길찾기와 같은 환경 문제가 거의 알려져 있지 않고 디자인에 적용된 사례도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길찾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물질적 환경요소 분석과 길찾기를 위한 환경요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길찾기를 고려한 환경을 계획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심에 대규모로 개발된 영등포 타임스퀘어를 대상으로 먼저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대상지를 조사하기 위한 분석항목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서적 및 홈페이지 방문, 사진촬영, 도면 분석을 통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물리적 환경요소를 분석하였고, 현장을 방문하여 이용자의 길찾기 행태 관찰조사를 실시한 후, 가상현실기법을 이용한 길찾기 검증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길찾기를 위한 물리적 환경요소와 환경요인 간의 관계, 이용자의 인지정도, 길찾기 난이도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내용과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1) Weisman G.D이 제시한 환경요인을 기본으로 대규모 복합상업시설의 길찾기에 적용된 물리적 환경요소를 분석하였다. 평면의 단순성에 있어서 형태는 대규모 상업시설에 적합한 H형으로 구성되었고 브릿지와 아트리움을 통해 이용자의 접근성을 높여주고 있었다. 특히 개방된 아트리움이 공간의 중심이 되어서 길찾기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물리적 환경요소로 판단되었다. 시각적인 접근성에 있어서는 메인 아트리움과 몰은 그 자체가 랜드마크의 역할을 하고 있었고, 건축적 차별성에 있어서는 길찾기를 위한 의도성을 가지고 공간마다 바닥의 패턴을 다르게 마감하였으나, 각층의 디자인이 통일되어 있어서 그 효과가 적었으며 이용자가 쉽게 기억할 수 있는 특색 있는 공간이 부족하여 길찾기를 위한 환경정보로는 부족하다고 판단되었다. 그리고 사인체계는 명칭에 일관성이 없었으며, 전체 수량이 부족하였고 실내공간과 같은 색으로 디자인 되어서 눈에 띄지 않았다. 또한 백화점에 위치한 안내사인과 타임스퀘어에 위치한 안내사인이 서로 달라서 혼란을 가중시키는 요소로 판단되었다. 2) 대상지의 길찾기 용이성을 파악하고자 이용자의 길찾기 행태 관찰조사를 실시하였다. 몰의 개방된 구조가 시각적 접근성을 높이고 있었으나, 사인체계의 정보 전달이 부족하였고, 공간이 대규모로 조성되어 있어서 절반 이상의 피험자가 본인이 가고 자하는 방향판단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메인 아트리움은 인지지도 형성에서 중심이 되는 공간으로서의 지각이 부족하였다. 그 이유는 보행공간과 같은 물리적 측면보다 이벤트와 같은 기능적인 측면이 더욱 부각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인지지도에서 중심공간의 형성은 길찾기 용이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므로, 메인 아트리움에 보행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되었다. 3) 길찾기 관련 환경요인들 간의 관계 파악과 이용자의 인지정도, 길찾기 난이도 등을 분석하기 위하여 가상현실기법을 통한 길찾기 검증실험을 실시하였다. 길찾기 난이도에 있어서는 정확한 사인정보가 있을 때 길찾기가 용이하였고, 피험자가 인식하는 방향유도의 환경요인은 방향성이 있는 랜드마크보다 유도 사인의 인지정도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언어나 도식으로 구성된 사인체계가 길찾기에 기준이 되는 환경요인으로 나타지만 건축공간에서 제공하는 사인정보는 완벽하게 표기 될 수 없고 상황과 환경에 따라 인지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길찾기를 위한 보조수단으로 이용되었다. 따라서 도심복합상업시설에서는 표시적인 정보보다 색채, 바닥 패턴, 조명, 재료와 같은 건축적 차별성이 효과적인 길찾기를 위한 환경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이에 관련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4) 가상현실기법은 길찾기에 영향이 있는 다양한 환경요인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서 공간구문론, POE조사, 추적조사 등과 같은 연구방법의 한계점을 보안할 수 있었다. 따라서 길찾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들 간의 관계 분석에 적합한 방법으로 다양한 측면에서의 길찾기 연구에도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지속적인 발전이 예상되는 도심복합상업시설에서 효과적인 길찾기를 위하여 적용된 물리적 환경요소와 대상지의 길찾기 용이성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길찾기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가상현실기법을 이용한 길찾기 검증실험을 실시하여, 효과적인 길찾기를 위한 물리적 환경요소의 특성과 환경요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향후에는 공간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사례로 범위를 확대하여 효과적인 길찾기를 위한 환경을 계획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