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경가동술과 관절가동술이 경추 신경근병증 환자의 기능장애, 통증,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한지훈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경추 신경근병증 환자의 기능장애, 통증, 관절가동범위에 신경가동술과 관절가동술이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 신경가동술과 관절가동술을 병행한 치료방법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경추 신경근병증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신경가동술과 관절가동술 병행군(n=16), 신경가동술군(n=15), 관절가동술군(n=16)을 무작위로 분류하였다. 각 집단별로 1주 3회, 4주간 총 12회 중재를 실시하였다. 치료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험 전·후 경부장애지수, 경부·상지 통증, 경부 관절가동범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재 전 세 군의 특성은 동질하였으며, 중재 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집단에서 중재에 의하여 치료 전보다 치료 후에 경부장애지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각 그룹 간 경부장애지수에서는 병행군이 신경가동술군과 관절가동술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둘째, 모든 집단에서 중재에 의하여 치료 전보다 치료 후의 경부·상지 통증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각 그룹 간 경부 통증에서는 병행군이 신경가동술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고(p<0.05), 상지 통증에서는 병행군과 신경가동술군이 관절가동술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셋째, 모든 집단에서 중재에 의하여 치료 전보다 치료 후에 전 범위 경부 관절가동범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각 그룹 간 환측 방향 경추 회전에서는 병행군이 신경가동술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본 연구를 통하여 신경가동술과 관절가동술이 경추 신경근병증 환자의 기능장애, 통증,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 할 수 있었고, 병행하였을 때의 효과도 알아볼 수 있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경추 신경근병증 환자의 연구와 재활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neural mobilization with joint mobilization on dysfunction, pain, range of motion in cervical radiculopathy patients. Forty-seven cervical radiculopathy patients were recruited for the study. Subjec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ree groups. Group A (n=16) received a neural mobilization with joint mobilization, Group B (n=15) received a neural mobilization (NM), Group C (n=16) received a joint mobilization (JM). All groups had 5 sets for a day, 3 days a week, during a 4 week period. All subjects were evaluat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by their NDI(neck disability index), NPRS(numeric pain rating scale) and ROM(rang of mo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NDI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group (p<0.05). Group A had significantly decreasing NDI than Group B and C (p<0.05). Secondly, the NPR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ll group (p<0.05). Group A had significantly decreasing cervical NPRS than Group B (p<0.05). Group A and B was more effective at decreasing upper extremity NPRS than Group C (p<0.05). Thirdly, the ROM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all group (p<0.05). Group A had significantly improved cervical rotation ROM than Group B (p<0.05). Significant short-term effects of the NM with JM on dysfunction, pain, range of motion in cervical radiculopathy patients were recorded in this study. These findings gave some indications that NM with JM may be feasible to be included in interventions with these patients.

      • 전라북도 내 다중이용시설의 레지오넬라균 오염도 조사 연구

        김연정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법정 3급 감염병인 레지오넬라증에 의한 환자 신고 건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레지오넬라균 전파의 주요 위험요인이 목욕탕과 찜질방이므로 수계환경의 관리강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레지오넬라는 경미한 발열이나 근육통 증상을 나타낼 수도 있으나 심각한 폐렴 감염을 일으키는 병원체이며, 하천수나 자연환경에서 검출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자연환경 속에 존재하는 병원체가 다중이용시설인 목욕탕이나 찜질방의 물속으로 유입되면 따뜻한 온수 배관 속에서 증식하여 주로 온수의 수도꼭지를 통하여 배출되며, 작은 비말 형태로 비산되어 호흡기를 통하여 감염된다. 또한 따뜻한 물로 채워진 냉각탑이나 응축기는 균이 증식하기 위한 최적의 배양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증식된 균이 입자 형태로 호흡기를 통하여 폐포까지 들어가 질병을 일으키게 된다. 국내 레지오넬라 환자는 2015년 45명에서 2019년 501명으로 최근 5년 동안 약 11배 정도로 급진적으로 증가하였다. 전북지역에서도 2015년까지는 0∼2명으로 발생하였으나 2016년에서 2019년까지 환자가 3명에서 13명으로 증가하였다. 이 연구는 전라북도 내 다중이용시설에서 레지오넬라균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고 분리된 균주의 병원성 유전자 분포를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2019년 전라북도 내 대형건물의 냉각탑 수, 대형목욕탕 및 병원 등의 냉· 온수시설과 분수대의 분수 등 시민들이 이용하는 다중이용시설의 수계환경에 대하여 269시설에서 1,219건을 시료로 채취하여 레지오넬라균 오염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배양검사와 중합효소 연쇄반응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미생물 질량분석(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 MS)을 통해 97건(7.96%)에서 레지오넬라균이 검출되었다. 시설별 레지오넬라균 검출률은 찜질방 39건(40.21%)으로 가장 많은 레지오넬라균이 검출되었으며, 목욕탕 34건(35.05%), 병원과 대형건물은 각 7(7.22%), 종합병원 4건(4.12%), 노인복지시설 3건(3.09%), 여관 2건(2.06%), 호텔 1건(1.03%) 순으로 검출되었고, 사회복지시설과 분수대에서는 불검출되었다. 수계환경별 검출 결과는 남자 온탕 34건(35.05%), 여자 온탕 29건(29.90%), 샤워기 온수 11건(11.34%), 냉각탑 수 6건(6.19%), 샤워기 냉수와 화장실 온수는 각 5건(5.15%), 남자 냉탕 4건(4.12%), 여자 냉탕, 화장실 냉수와 수도 온수에서 각 1건(1.03%) 순으로 나타났다. 분리 균주 97건의 동정 결과 Legionella pneumophila가 89주(91.75%)로 가장많았고, Legionella anisa 5주(5.15%), Legionella oakridgensis 2주(2.06%), Legionella spiritensis 1주(1.03%)순으로 검출되었다. 혈청형은 Legionella pneumophila sg 1 29주(29.90%), sg 5 22주(22.68%), sg 2 11주(11.34%), sg 3 10주(10.31%), sg 6 7주(7.22%), sg 10 4주(4.12%), sg 9와 11은 각각 2주(2.06%), sg 12와 13은 각각 1주(1.03%)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전라북도 내 다중이용시설에서 레지오넬라균의 분포 현황을 파악하고 분리된 균주의 병원성을 가진 유전자 분포를 조사한 연구로 연구 결과는 전라북도 내 레지오넬라증 환자 발생 시 역학조사에 의미 있는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건강한 성인의 전거근의 선택적인 활성화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큐잉 방법

        최종재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전거근의 선택적인 활성화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큐잉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건강한 성인 남녀 26명을 대상으로 무릎 꿇고 푸쉬업플러스(KPP)와 다이나믹 허그(DH)의 기본동작과 다섯 가지의 큐잉을 할 때 상부승모근, 전거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근활성도의 측정을 위하여 표면 근전도를 사용하였으며 기본동작과 큐잉 방법에 따른 근육의 근활성도와 근활성비(전거근/상부승모근)를 비교하였다. 큐잉은 승모근 구두 큐잉, 승모근 구두 큐잉+승모근 촉각 큐잉, 강조 구두 큐잉, 전거근 촉각 큐잉, 승모근 구두 큐잉+승모근 촉각 큐잉+전거근 촉각 큐잉으로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두 가지 동작 모두 근육간의 차이가 유의하였고(p<0.05), 큐잉간의 차이도 유의하였다(p<0.05). 근육과 큐잉의 상호효과도 유의하였다(p<0.05). 승모근 구두 큐잉+승모근 촉각 큐잉+전거근 촉각 큐잉이 KPP와 DH에서 근활성비가 기본동작 및 다른 큐잉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승모근 구두 큐잉+승모근 촉각 큐잉+전거근 촉각 큐잉이 KPP와 DH를 할 때 전거근의 선택적인 활성화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큐잉인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치료사의 큐잉은 대상자의 근육의 선택적인 활성화를 향상 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KPP와 DH를 할 때 전거근의 근활성도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는 큐잉 방법을 제시하고, 향후 이에 대한 연구와 운동에 기초적인 도움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양손 과제 수행 시 뇌졸중 환자와 정상인의 상지 근활성도 비교

        김남우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양손 과제 수행 시 뇌졸중 환자와 정상인의 상지 근활성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편마비를 가진 뇌졸중 환자 13명과 정상인 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근전도 측정은 양손 과제를 수행 시 장요측수근신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에 근전도 전극을 부착하여 나타나는 신호를 수집하였다. 양손 과제는 손목 들기, 손바닥 뒤집기, 손끝 어깨 닿기, 수직 점찍기, 손 뻗어 컵으로 물먹기, 바깥으로 원 그리기, 안쪽으로 원 그리기, 손가락 쥐기, 총 8가지 과제로 구성하였다. 양손 과제 수행 시 수집된 근전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근활성도(%MVIC)를 계산하고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과 비마비측 그리고 정상인의 양측을 비교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장요측수근신근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은 연구에서 제시한 8가지 과제 수행 모두에서 비마비측과 정상인의 양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근활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장요측수근신근은 대부분의 과제에서 가장 높은 근활성도를 나타냈다. 그리고 비마비측도 정상인보다 높은 근활성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양손 과제 수행 시 근활성도(%MVIC)를 이해하고, 임상에서 다양하고 적절한 중재적 시도가 이루어지며, 근활성도를 활용하는 재활 중재 장비 개발이나 보다 객관화된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중둔근의 선택적 활성화를 위한 효과적인 큐잉 분석

        김준용 삼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둔근의 선택적인 활성화를 향상시키는 효과적인 큐잉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선정기준에 적합한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클램쉘 운동과 옆으로 누워서 다리 들기 운동의 기본동작과 세 가지의 큐잉을 할 때 대둔근, 중둔근, 대퇴근막장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근활성도의 측정을 위하여 표면근전도를 사용하였으며 기본동작과 큐잉 방법에 따른 각 근육의 근활성도와 근활성비를 비교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중둔근의 근활성도는 클램쉘과 옆으로 누워 다리 들기 모두 “몸이 최대한 돌지 않게 해주세요”(큐잉2)에서 가장 높았으며(F=5.533, p<0.05, F=7.771, p<0.05), 근활성비는 클램쉘 운동은 큐잉2에서(p<0.05), 옆으로 누워 다리 들기 운동은 “전상장골극이 움직이지 않게 해주세요”(큐잉1)에서 가장 높은 근활성비를 보였다(p<0.05). 본 연구에서는 큐잉1은 옆으로 누워서 다리 들기 운동을 할 때 큐잉2는 클램쉘 운동을 할 때 중둔근의 선택적 근활성화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 여러 가지 운동에서 근육별 큐잉간에 나타나는 근활성도 및 근활성비를 연구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 전신진동시 골반 바닥 근육의 활성을 극대화 하는 자세와 주파수 결정

        이주현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lectromyogram (EMG) response of pelvic floor muscle (PFM) to whole-body vibration (WBV) while using different body posture and vibration frequencies. Thirteen healthy adults (7 men, 6 women)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is cross-sectional study in which EMG data from PFM were collected over a total of 12 trials for each subject (4 body postures, 3 vibration frequencies). Pelvic floor EMG activity was recorded using an anal probe. The rating of perceived exertion (RPE) was assessed with a modified Borg scale. We found that vibration frequency, body posture, and muscle stimulate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MG respon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PFM had high activation at 12 Hz and 26 Hz (p < 0.05). PFM activ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knee flexion (p < 0.05). The RP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ed frequency (p < 0.05). In conclusion, a knee flexion angle of 40° at 12 Hz frequency can be readily promoted in improving muscle activation during WBV, and exercise would be performed eff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sports trainers and physiotherapists may be able to optimize PFM training programs involving WBV.

      • 푸시업 플러스 운동 시 복부 수축과 이완이 어깨가슴관절 근육과 복부 근육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이동훈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푸시업 플러스 운동 시 의식적인 복부 수축과 구두 격려를 통한 복부 수축, 그리고 복부 수축 기법을 병행한 푸시업 플러스 운동 중 의식적 복부 이완이 어깨가슴관절 근육과 복부 근육의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23명을 대상으로 푸시업 플러스 운동을 4가지 조건으로 나누어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4가지 조건은 복부 수축을 병행하지 않은 푸시업 플러스 운동, 의식적인 복부 수축을 병행한 푸시업 플러스 운동, 구두 격려에 의한 복부 수축을 병행한 푸시업 플러스 운동, 30초간 복부 수축 기법을 병행한 푸시업 플러스 운동을 하는 도중 복부를 의식적으로 이완하는 조건이었다. 근 활성도의 측정 부위는 우세 측 위등세모근, 앞톱니근, 배바깥빗근과 배속빗근이었으며, 근 활성도의 측정을 위하여 표면 근전도를 사용하였다. 각 운동은 무작위 순서로 시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복부 수축을 병행하지 않은 푸시업 플러스 운동의 기본 동작을 했을 때 의식적 복부 수축과 구두 격려를 통한 복부 수축을 병행했을 때보다 앞톱니근에서 유의하게 더 높은 근 활성도를 보였으며(p<0.05), 배바깥빗근과 배속빗근은 구두 격려를 통한 복부 수축 시 가장 높은 근 활성도를 보였다(p<0.05). 30초간 복부 수축 기법을 병행한 푸시업 플러스 운동 중 복부를 의식적으로 이완했을 때 앞톱니근의 근 활성도는 복부 수축 기법을 병행했을 때보다 유의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를 통해서 복부 근육의 수축이 앞톱니근의 근 활성도 증가에 관여하지 않았으며 복부를 이완할 때 오히려 증가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푸시업 플러스 운동을 임상에서 적용할 때 적절한 운동 방법을 제시하고, 향후 어깨가슴관절 운동 시 복부 수축 기법을 병행하는 것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후속 연구에 도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저항밴드를 이용한 옆으로 걷기 운동 시 엉덩관절 벌림근의 근활성도 분석.

        김신실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저항밴드를 이용한 옆으로 걷기 운동 시 자세와 밴드의 위치, 수축유형이 엉덩관절 벌림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선정기준에 적합한 건강한 남성 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우세다리의 큰볼기근, 중간볼기근, 넙다리근막긴장근에 표면 근전도를 부착하여 세미 스쿼트 자세와 스쿼트 자세에서 무릎, 발목, 발에 저항밴드를 적용시켜 총 6가지의 조건에서 무작위로 운동을 수행하였다. 운동의 방향은 우세다리 방향으로 진행되는 동심성 수축 단계와 우세다리의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는 편심성 수축 단계로 구분하였고, 메트로놈 신호에 맞춰 각각 6걸음씩 연속적으로 실시하였으며, 각 단계에서 측정된 근활성도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자세와 밴드위치, 수축유형에 따라 큰볼기근, 중간볼기근, 넙다리근막긴장근에 근활성도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다(p<0.05). 세미 스쿼트 자세보다 스쿼트 자세에서 엉덩관절 벌림근의 근활성도가 증가하였으며 밴드의 위치를 몸쪽에 배치하는 것보다 먼쪽에 배치하는 것이 더 높은 근활성도를 보여주었다(p<0.05). 또한 수축유형에서는 동심성 수축 단계보다 편심성 수축 단계에서 근활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p<0.05). 하지만이전 선행연구와는 대조적으로 발목에서 발로 밴드를 옮겼을 때 넙다리근막긴장근의 근활성도가 감소하거나 유지되지 않고 큰볼기근, 중간볼기근의 근활성도와 같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발목에서 발로 밴드의 위치를 적용한다고 해서 넙다리근막긴장근의 근활성도를 최소화시키지는 않았지만 더 높은 부하를 통해 엉덩관절 벌림근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더 깊은 스쿼트 자세와 저항밴드를 발에 위치시키고 편심성 수축 단계를 이용하는 것이 엉덩관절 벌림근을 강화시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osture, band position, and contraction type on the muscle activity of the hip abductors during resisted lateral band walking.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4 healthy males who met the selection criteria. Surface electromyography were attached to the gluteus maximus, gluteus medius, and tensor fascia latae of the dominant leg. Resistance bands were applied to the knees, ankles, and feet in the semi-squat posture and squat posture, and the exercise was randomly performed under a total of six conditions. The direction of exercise was divided into a concentric contraction phase that proceeds in the direction of the dominant leg and an eccentric contraction phase that proceeds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dominant leg. Activity was collected. As a resul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muscle activity in the gluteus maximus, gluteus medius, and tensor fascia latae according to posture, band position, and contraction type (p<0.05). Muscle activity of the hip abductors increased in the squat posture than in the semi-squat posture, and higher muscle activity was shown when the band was placed on the distal joint rather than on the proximal joint (p<0.05). In terms of contraction type, muscle activity was higher in the eccentric contraction phase than in the concentric contraction phase (p<0.05). However, in contrast to previous studies, when the band was moved from the ankle to the feet, the muscle activity of the tensor fascia latae did not decrease or be maintained, but the activity of the gluteus maximus and gluteus medius increased as well. In this study, applying the band position move from the ankle to the foot did not minimize the muscle activity of tensor fascia latae, but it was confirmed that squat posture and resistance band placed on the feet and using a eccentric contraction phase were the most effective methods for strengthening the hip abductors.

      • 하지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의 고유수용성감각과 자세 균형에 미치는 영향

        김명규 삼육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하지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환자의 고유수용성감각과 자세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만성 발목불안정성환자 30명을 모집한 뒤 무작위로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15명씩 나누어 실험을 시행하였다. 실험군은 하지 복합 운동프로그램을 1일 1회, 회당 60분, 주 3회, 4주간 시행하였고 대조군은 아무런 중재를 진행하지 않았다. 훈련 전·후 고유수용성감각은 디지털 경사계를 통해 관절 위치 감각을 측정하였고, 정적 균형은 하지의 압력 중심 이동을 통해 평가하였다. 동적 균형 능력은 Y-balance test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이 동적 균형 중 최대 전방 도달거리, 정규화 전방 도달거리를 제외한, 모든 변수에서 유의하게 향상하였고(p<0.05), 그룹 간 차이 비교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지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환자에게 고유수용성감각과 정적 균형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하지 복합 운동프로그램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환자에게 일반적인 중재 방법 중 하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