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945년이후 일한 번역의 양상 변화

        심윤섭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599

        인간의 언어는 사회의 산물이며 서로 다른 두 개의 언어가 마주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번역은 사회적 행위이자 현상이다. 따라서 번역은 관련 언어 공동체의 역사적 관계, 해당 시기의 관계, 목표 언어 사회의 사회적 움직임 등 다양한 사회적 요소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시기에 다양한 지역에서 관찰되는 현상이다. 특히 지난 세기 전 세계적으로 나타났던 식민주의와 이에 따른 식민 활동은 지배 공동체와 피지배 공동체에 커다란 영향을 미쳐 언어 분야에서도 특수한 현상을 불러왔다. 일본과 한국은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걸쳐 식민 지배와 피지배라는 정치적 관계를 겪었고, 이후 대한민국 내에서는 식민지배 청산을 위해 정부 차원에서도 민간 차원에서도 다양한 움직임이 있었다. 이러한 현대사의 흐름 속에서 일한 번역이 어떤 양상을 나타내고 있으며 시간적 요소에 따른 변화가 있었는지 있었다면 어떤 변화인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에 대한민국의 언어 정책은 어떤 역할을 했는지 알아보았다. 동일한 원천 텍스트가 시간차를 두고 재번역된 목표 텍스트를 비교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과거의 번역에는 식민 지배의 잔재라 할 수 있는 종속적 동화의 흔적이라고 볼 수 있는 간섭 현상들이 다수 관찰되었으나 이러한 요소는 시간의 흐름과 재번역을 거치며 점점 사라져가고 있는 양상을 드러낸다. 둘째, 과거의 번역은 매우 ST 지향적이고 SL 지향적인 번역 양상을 띠고 있으나 시간의 흐름과 재번역을 거치며 점점 TT 지향적이며 TL 지향적인 번역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간섭의 용인 정도’ 저하와 SL보다 TL의 체계를 중시하는 방향으로의 변화는 일한 번역에 있어서 식민 지배의 잔재를 청산하고 식민주의로 인해 규정되었던 SL과 TL의 수직적 위계화가 사라져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번역 차원의 탈식민화를 뜻하는 ‘타자화’가 진행되었음을 드러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번역의 양상 변화에는 다양한 요소가 변화를 촉진하는 ‘힘’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중에서도 가장 가시적으로 관찰이 가능한 것이 언어 정책이다. 대한민국의 언어 정책은 그 목표가 ‘식민 지배의 잔재 청산’과 ‘음성 중시의 글말 규범 확립'이다. 이러한 언어 정책은 커다란 성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일한 번역의 변화를 이끌어낸 중요한 요인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대한민국의 언어 정책은 두 개 언어가 마주 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타자성’을 다루는 방식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이 정책이 추구하는 ‘음성 중시의 글말 규범 확립’은 특히 ‘한자’를 둘러싼 부분에서 일본의 시각과 접근법과는 전혀 다른 것이기 때문이다. 1945년 이후 한국어는 커다란 변화를 겪었고 이러한 언어의 변화는 일한 번역에도 그대로 투영되었다. 이러한 사실을 이해하고 일한 번역의 변화 양상을 살펴본다면 일한 번역의 변화 요인에는 무엇보다 수십 년 동안에 걸쳐 일관되게 추진되어온 대한민국의 언어 정책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Human language is a product of society. Thus, translation what facing two different languages is social behavior and social phenomenon. Therefore, translation is affected by various social factors like the histor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levant language community, the current relationship between the relevant language community, the social movements of the target language community, etc. These phenomena can be observed at various times in various regions in history. In particular, colonialism that globally appeared last century and the subsequent colonization activity had a significant impacted on the relevant community. The last century, Japan and Korea has experienced a specific political relationship called the colonial relationship. After that, in the Republic of Korea, the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had a variety of movements for exclude of the remnants of the colonial. This research try to observe following: In the flow of modern history,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Japanese-Korean translation appearance? And the Japanese-Korean translation appearance did change? How to influence language policy of Republic of Korea on the Japanese-Korean translation. I observed various target texts what retranslated same source texts, and was able to find following. First, in past target texts, I could observe large number of 'interference' what can treat evidence of subordinative assimilation. However, in recent target texts, they was observed less than they were in the past target texts. Secund, the past translation had very source text-oriented or source language-oriented aspect but the recent translation have pretty target text-oriented or target language- oriented aspect. These mean tow. One is a decrease of 'tolerance of interference'. And the other one is change of how to treat 'the otherness'. If we can understand a characteristic of colonialism was that create the vertical hierarchy based 'Ideology of Superiority', we can see 'the othernization' phenomena that exclude of the remnants of the colonial on the Japanese-Korean translation. It's seem that had a variety of factors in this change by 'power'. The most that can be visually observed is that the language policy. The goal of the language policy of Republic of Korea is 'exclusion of the remnants of colonialism' and the 'establishment of written language norm on emphasis on speech-language'. This language policy was able to get great results, which leads to changes in the Japanese-Korean translation can be seen as one of important factors. Because the language policy of Republic of Korea 'otherness' about how to deal with, as well as provide direction, and this policy is to pursue This policy is to pursue 'establishment of written language norm on emphasis on speech-language', particularly 'chinese letter' in the surrounding parts of Japan because a totally different perspective and approach. Since 1945, Korean had been through many changes and change in these languages, as was reflected in the translation. When you understand this and to observe the changes of the Japanese-Korean translation, factors more than anything for decades consistently show that the language policy of Republic of Korea can be pursued.

      • 상호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교재 분석

        김예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Korea's society is now phas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where diversity and differences coexist. Thus, there is an increased interest in intercultural beliefs that aim for a peaceful coexistence among cultures while focusing on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s trend is seen in Korean education classes where diverse cultures get mixed up and collide with each other. Since the current Korean education system is concentrated on communication skills, culture has become the means to communicate, which creates the problem of over-emphasizing the study and imitation of the target culture to the learners. This type of education opens up the possibility for learners to have a narrow-minded view about culture, which may create the danger of making learners feel superior or inferior to culture. Therefore, this research will provide intercultural education as a response to help Korean learners maintain relationships and peacefully overcome difficulties while they live in today’s multicultural reality. Furthermore, by analyzing the inter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and grasping how much intercultural perspectives are reflected in them, this research will seek ways to improve Korean teaching materials. In the second chapter, the categories were mainly divided into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and intercultural education to take a look at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the former part, the research talked about the necessity of cultural education and the flow of cultural education in Korean classes. In the latter part, the research talked about the idea and characteristics of interculturalism, and through the explanation of interculturality, the concept of interculturalism was made clearer. Then, the chapter went on to mention the arising background and methods of intercultural education. Lastly, the capacity of interculturalism and its components were stated. In the third chapter, this research analyzed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shown in the culture sector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for foreigners. Korean teaching materials we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groups – immigrant workers, marital immigrants, foreign students, and teenagers with multicultural backgrounds. This research made use of the five components of interculturalism that were proposed by Byram and divided those components into three sections, including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lthough efforts were made to adhere to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in some materials, generally, it was clear that the importance of intercultural perspectives was very low. By putting together such results, improvement plans for Korean teaching materials for intercultural education were made. In the fourth chapter, which is the conclusion and proposal, a summary of the research was made. In the chapter, the following are the proposals for the culture sector of Korean teaching materials. First, a correct understanding of intercultural education is needed. Second,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must be more actively portrayed in Korean teaching materials. In this research, as the analysis was constrained to the culture sector of the teaching materials, the research fails to reflect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in the whole of teaching materials. But this research can be a turning point to be considered as a trend of cultural education i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various perspectives. It is also significant that this study reconsider the recognition of interculturalism in making the Korean teaching materials in the future. Futhermore, I hope this intercultural approach and intent for change may contribute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The purpose of the study. 오늘날 한국 사회는 다양성과 이질성이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이에 타인과의 관계에 중점을 두고 문화 간 평화적 공존을 지향하는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다양한 문화가 혼재되고 충돌하는 한국어 교육 환경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현재 한국어 교육에서 문화 교육을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수단으로 축소시켜 다루는 경향이 있어 학습자에게 한국 문화만을 지나치게 강조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은 학습자에게 문화에 대한 편협한 시각을 가지게 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로 인해 문화에 대한 우월감 또는 열등감을 심어 줄 위험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적 현실에서 살아가고 있는 한국어 학습자들이 갈등 상황을 원만히 해결하고 관계를 유지해나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상호문화교육(intercultural education)을 그 대안으로 제시하고, 현 한국어 교재의 상호문화역량(intercultural competence) 분석을 통해 상호문화적 관점 반영 정도를 파악하여 한국어 교재의 개선 방향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제Ⅱ장에서는 크게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 상호문화교육으로 나누어 이론적인 배경을 살펴보았다. 한국어 교육과 문화 교육에서는 문화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밝히고,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흐름을 알아보았다. 상호문화교육에서는 상호문화주의(interculturalism)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다룬 뒤, 상호문화성(interculturality)을 통해 상호문화주의의 개념을 더욱 명료하게 하였다. 이후, 상호문화교육의 발생 배경과 그 방법에 대해 검토하였다. 마지막으로 상호문화역량의 정의와 그 구성 요소에 대해 정리하였다. 제Ⅲ장에서는 외국인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교재의 문화 영역에 나타난 상호문화적 관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네 종류의 한국어 교재를 이주 노동자, 결혼이민자, 외국인 유학생, 다문화 배경 청소년의 학습 대상 별로 분류한 후, Byram이 제시한 5가지 상호문화역량의 구성 요소를 재구성한 지식(knowledge), 기술(skills), 태도(attitudes) 세 가지 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몇몇 교재에서 상호문화적 관점을 견지하고자 노력하였으나 전체적으로 상호문화적 관점의 비중이 매우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상호문화교육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제Ⅳ장 결론 및 제언에서는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한 뒤, 추후 한국어 교재의 문화 영역 내용 구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상호문화교육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둘째, 한국어 교재에 상호문화적 관점이 더 적극적으로 도입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분석 대상을 교재 내 문화 영역으로 한정함으로써 교재 전체에 반영된 상호문화적 관점을 살펴보지 못한 한계가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화 교육 방향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도록 하는 하나의 전환점이 될 수 있다. 또한, 향후 한국어 교재 집필에 있어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인식을 재고시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나아가 이러한 상호문화적인 접근과 변화의 시도가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 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일한 출판 번역물에 나타나는 번역 양상과 번역전략 고찰

        이은용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599

        Translation is to produce a receptive target language from a meaning of starting language between two languages-regarding many definitions of translation. On this progress, it needs some intervention to negotiate the differences from two different language and cultural background. Korean and Japanese are very close in language and culture, but those languages and cultures are so different that there is need to intervene in translation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find better strategy and solution for Japanese-Korean translation by considering translator's intervention during its process. For this, I defined translator's intervention as "translation shift" in influence of Catford(2000) and categorized those translation shifts. Then I studied the reason and aspects of those types of translation shifts in each textual level. First, I divided translation shifts into 'obligatory shift' and 'optional shift' according to its occurrence, and divided into 'substitution', 'insertion', 'ellipsis' and 'word order transition' according to its shape. And I rebuild and used the categorization that consists of 'word level', 'grammatical level', 'textual level' and 'pragmatic level' in influence of Baker(1992). The text for analysis were Japanese-Korean translation works-10 of literary works and 10 of nonliterary works. I built a corpus for content and quantitative analysis- Starting Text(ST), Target Text(TT) and Direct-Target Text(DTT); which is well translated following its original shape for comparing to target text. For content analysis, I did more specific research on where, how and why the translation shift occurs by comparing ST, DTT and TT. Furthermore, I researched the strategic effect of translation shift into three-'explicitation', 'generalization' and 'simplification' by using concept of 'universals of translation'. Then I did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lation shift and quantitative elements of text. Here is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1) From analysing types of translation shift according to textual level, I found that 'substitution' type is found over all level. 2) 'insertion', 'ellipsis' and 'word order transition' types have the effect on higher textual level even they occurred on lower textual level. For example, when 'word order transition' occurs, that translation shift belongs to grammatical level. However, word order has strong relationship with topic structure and stream of information so that the actual effect of this translation shift tends to be found on textual level. 3) I found the negative effect of translation shift as the translation strategy besides its original intention. For example, too much 'explicitation' could disturb readers since too long translated text(TT) and too much 'generalization' could harm author's original intention in use of marked expression and structur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element of translation shift types and quantitative elements of text. 1) The number of characters and length has relationship with three types of substitutions-'substitution', 'insertion', and 'ellipsis'- and in Japanese-Korean translation, TT has less number of characters and shorter sentence than ST. 2) In the number of phrase, it has small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ST and Korean TT very little around one on each sentence. The translation shifts related to the number of phrase, 'insertion', 'ellipsis' occurred in relatively similar ratio then conclusionally the number of phrase doesn't have big change. 3) In comparison between DTT and TT, I analyzed the types of word of two since TT has sino-Korean word and loanword, like ST has but TT has different types of words. As a result, TT has less sino-Korean word and loanword than DTT. It shows the change of type of word during 'substitution' among the translation shift and tends to be fond upon literary works. I found that there are more translator's intervention into literary translation than nonliterary translation. 4) For finding the diversity of vocabulary upon literary, nonliterary text and ST, DTT, TT, I analyzed a ratio of 'type versus token'. As a result, literary text has more vocabulary diversity than nonliterary text and ST has more than TT. It has samel result with the former studies about universals of translation. However, considering the analysis the ratio of 'type versus token' from ST, DTT and TT, the difference between ST and DTT shows the 'possibility of intervention' and the difference between DTT and TT shows a degree of intervention. Then I found that literary text has more possibility of intervention than nonliterary text, From above content analysis and the relationship with quantitative elements, I have a conclusion like following. 1) From the analysis of types of translation shifts to each text type, when translation shift is needed, translator should consider the textual level of occurrence and actual effect. 2) There is a possibility to lose author's intention from ST, as side effect, when translator makes translation shift for 'explicitation', 'generalization and 'simplification'. Then translator needs to consider which is better way in conflict between effect and loss of translation shift for minimizing the loss of ST. This study has limit of sample number on analysis, however it has value on quantitative assessment on effect of translation shift on texts by quantitative analysis with content analysis to categorize types of translation shift. Also, this study has value on systematic describing the reasons and aspects of intervention occurring on progress of translation by analyzing very closely those types of translation shift in viewpoint of contrastive linguistics and text linguistics, I hope that the finding of this study can be helpful resource on actual work and education of translation. and be useful primary data for future research and study about the aspects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Japanese-Korean translation. 翻訳に関する様々な定義において共通して述べられていることは、翻訳とは、起点言語のメッセージを受容側の言語のニーズや文化的期待に合せて、自然な表現で再産出する行為であり、そのためには、言語や文化の相違への介入が必要であるという点である。韓国語と日本語は言語的・文化的に近い関係にあるが、決して同一の言語や文化ではないため、翻訳の過程において他の言語と同じく介入の必要性がある。本研究では、日韓の翻訳における翻訳者の介入を考察することにより、翻訳の様相・戦略を検討し、よりよい翻訳への示唆点を模索しようとするものである。 翻訳者の介入を「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translation shift)」と定義し、その類型をいくつかに分類し、テキストをなす各レベルにおいて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が現れる様相と原因の考察を行った。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は、その発生的側面からは、「義務的シフト」と「選択的シフト」に分け、そのシフトを「代替」、「挿入」、「省略」、「語順の交替」に分類し分析を行った。なお、この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をテキストを対象に各レベルによって分析するには、べ-カー(Baker 2005)のテキストレベルから概念を借りて再構成した、「語彙レベル」「文法的レベル」「テキスト的レベル」「語用論的レベル」の区別を用いた。 分析テキストは、出版された日韓翻訳書であり、具体的には文学テキスト10冊と非文学テキスト10冊の原文(以下、「ST」と称する)、翻訳文(以下、「TT翻」と称する)、それに翻訳文との比較のためにSTの形式を忠実に移した直訳文(以下、「TT直」と称する)をコーパスとして構築し、内容分析や計量的分析を行った。 内容分析においては、ST・TT直・TT翻の比較により、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が生じる部分や様相、原因について具体的な考察を行った。なお、「翻訳の普遍的な特徴(universals of translation)」に基づいて再定義した「明示化」、「一般化」、「簡潔化」の側面から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が翻訳戦略としてもたらす効果を分析し、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とテキストの数量的要素との関係を探るため、計量分析を行った。 以上の手続きにより分析を行ったが、まず内容分析の結果をまとめると、以下のようになる。 1)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の類型をテキストのレベルに基づいて分析した結果、「代替」類型はテキストのすべてのレベルにおいて多く分布している。 2)「挿入」、「省略」、「語順の交替」類型の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は、それが生じるレベルがテキストの下位レベルの場合でも、テキストの上位レベルにまでその影響が及ぶ事実が確認された。 3)翻訳戦略としての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は、意図した効果以外にマイナス効果まで発生する場合も確認された。例えば、過度な「明示化」はとりとめのない文章になり、読みやすさに影響を及ぼす場合がある。また、過度な「一般化」は有標的表現・構造を使った著者の意図を生かせることができない場合がある。 次は、それぞれの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とテキストの量的要素との関係を分析した結果である。 1)文字数と文章の長さは「代替」、「挿入」、「省略」と関係しており、日韓翻訳の場合、STよりTTの文字数が少なくなり、文章が短くなっている。 2)文節数は、STとTTの間で一つ前後というわずかな差を見せている。この文節と関係する「挿入」や「省略」がほとんど同じような割合で生じていることから、その結果である文節数にはわずかな格差しか観察されなかった。 3)TT直とTT翻の比較により、TT直ではSTで使われた漢語や外来語をそのまま移しているが、TT翻ではそれとは違う語種に変えていることから、その結果を数字の面から確認するため、語種分析を行った。その結果、TT直よりTT翻には漢語と外来語が少なく現れた。特に、文学テキストにおいてこのような傾向が目立っている。このことは、非文学テキストより文学テキストの方が語彙面における翻訳者の介入が活発であることを示している。 4)文学テキストと非文学テキスト、そしてそれぞれのST・TT直・TT翻の語彙の多様性の検討のため、「トークンとタイプ」の割合を分析した。その結果、文学テキストが非文学テキストより、STがTT翻より、語彙の多様性が高いことがわかり、これはこれまでの翻訳学での研究結果から報告された内容とも一致している。ただ、STとTT直、TT翻の「タイプとトークン」の割合を比較・分析した結果、STとTT直の格差は「介入の余地」を示すものであり、TT直とTT翻の格差は介入が行われた程度を示すものであることを考えると、それぞれの格差が示す数字から文学テキストは非文学テキストより介入の余地が多いといえる。 上記の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に関する内容分析および計量的要素との関係を中心とした結果に基づいて、本稿では以下のような結論を導き出すことができた。 1)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類型のテキストタイプ別の分析により、翻訳の過程において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が求められる場合は、実際そのシフトが生じるレベルだけでなく、実際に効果の及ぼす範囲まで考慮するひ必要がある。 2)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により、「明示化」、「一般化」、「簡潔化」の効果を得ようとする際、当該の効果以外にSTの著者の意図したことを損ねる場合もある。このように効果と損失が対立する場合、どこに価値を置くのか、損失を最少化する方法は何かということまで考慮する必要がある。 本研究は限られたテキストを対象に分析を行ったという制限を持っているが、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を類型化し、内容考察したことともに計量的分析を行うことにより、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がテキストの量的側面に及ぼす効果を計量化した点は初の試みであり、研究の意義の一つといえる。なお、トランスレーション・シフトの類型を対照言語学やテキスト言語学の視点から詳細な分析を行い、翻訳の過程における介入の様相と原因を体系的に記述したことからも研究の意義を見出すことができる。本研究の結果が、翻訳の過程や翻訳教育に役立つこと、今後、日韓翻訳の様相や計量的研究の基礎資料として一つの土台になることを期待してやまない。 번역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통하여 번역은 두 언어 사이에서 출발 텍스트의 의미를 수용성 있는 도착텍스트로 산출하기 위한 행위이며, 그 과정에서 서로 다른 언어와 문화에 따른 차이를 중재하기 위한 개입이 필요하다.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우는 언어적, 문화적으로 매우 근접한 관계에 있으나 동일한 언어, 문화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번역 과정에서 개입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한 번역 과정에서 일어나는 번역자의 개입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번역 양상 및 번역전략을 살펴보고 더 나은 번역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번역자의 개입을 번역변이로 정의하여 번역변이 유형을 나누고 텍스트의 각 층위에서 번역변이 유형이 나타나는 양상과 원인을 고찰하였다. 번역변이는 그 발생적 측면에서는 ‘의무적 변이’와 ‘선택적 변이’로 나누었고, 형태에 따라서는 ‘대체’, ‘삽입’, ‘생략’, ‘어순 교체’로 나누었다. 또한 이러한 번역변이를 텍스트 층위별로 살펴보기 위하여 베이커(Baker 2005)의 텍스트 층위를 참조로 재구성한 ‘어휘 층위’, ‘문법 층위’, ‘텍스트 층위’, ‘화용적 층위’의 구분을 사용하였다. 분석 텍스트는 일한 출판 번역물 중 문학 텍스트 10권과 비문학 텍스트 10권이며. 이에 대하여 출발 텍스트(이하 ST로 칭함), 도착 텍스트(이하 TT번으로 칭함), 도착 텍스트와의 비교를 위하여 형태에 충실하게 번역한 직역본(이하 TT직)을 코퍼스로 구축하여 내용적 분석과 계량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내용적 분석에 있어서는 ST와 TT직, TT번의 비교를 통해 번역변이가 일어나는 부분과 양상, 원인에 대하여 구체적인 고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번역변이가 번역전략으로서 가지는 효과를 번역 보편소의 개념을 참조로 하여 재정의한 ‘명시화’, ‘일반화’, ‘간결화’로 나누어 살펴보고, 이러한 번역변이와 텍스트의 수량적 요소와의 관계에 대하여 계량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대하여 먼저 내용적 분석의 결과를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1) 번역변이 유형을 텍스트 층위에 따라 분석한 결과, ‘대체’유형은 텍스트의 모든 층위에 고른 분포를 보였다. 2) ‘삽입’, ‘생략’ ‘어순 교체’ 유형의 변이는 번역변이가 일어나는 층위가 텍스트의 하위 층위인 경우라도 그 영향이 텍스트의 상위 층위까지 미치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어순 교체’가 일어난 경우, 해당 변이가 일어난 층위는 문법 층위이지만, 어순은 주제 구조와 정보의 흐름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실제적인 효과는 텍스트 층위에서 일어나는 경향을 통해 알 수 있다. 3) 번역전략으로서의 번역변이는 의도한 효과 이외에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음이 확인되었다. 예를 들어 ‘명시화’가 지나치면 번역문이 장황해져 가독성을 저해할 수도 있으며, ‘일반화’에 치중하다 보면 유표적인 표현이나 구조를 사용한 저자의 의도가 상실되는 사례의 확인을 통해 알 수 있다. 다음은 번역변이 유형의 각 요소와 텍스트의 양적 요소와의 관련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정리한 결과이다. 1) 문자수와 문장길이는 대체 유형 중 ‘대체’, ‘삽입’, ‘생략’과 관련이 있으며 일한 번역의 경우 ST보다 TT의 문자수가 적어지고 문장길이가 짧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2) 어절수는 일본어 ST와 한국어 TT간에 한 문장 당 1개 전후의 작은 차이를 보였다. 어절수와 관련되는 번역변이인 ‘삽입’, ‘생략’이 비교적 비슷한 비율로 일어나기 때문에 그 결과인 어절수에는 큰 변화를 초래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TT직과 TT번의 비교를 통해 TT직에서는 ST에서 사용된 어종과 같이 한자어와 외래어가 사용되었는데 TT번에서 다른 어종으로 바뀐 사례가 확인되어 텍스트 전체의 어종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TT직보다 TT번에서 한자어와 외래어가 적게 나타났다. 이는 대체 유형의 변이에서 어종이 바뀐 결과라 볼 수 있는데 위와 같은 경향은 특히 문학 텍스트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는 어휘의 면에서 비문학 텍스트보다 문학 텍스트가 번역자의 개입이 더 많이 이뤄진 결과라고 볼 수 있다. 4) 문학 텍스트와 비문학 텍스트, 그리고 각 텍스트의 ST, TT직, TT번의 어휘 다양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타입 대 토큰’의 비율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학 텍스트가 비문학 텍스트보다 어휘 다양성이 높고, ST가 TT번보다 어휘 다양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번역 보편소 등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를 통해 보고된 결과와도 일치한다. 단, ST와 TT직, TT번의 ‘타입 대 토큰’의 비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ST와 TT직 사이의 수치 차이는 ‘개입의 여지’를 보여주는 것이고 TT직과 TT번의 차이는 개입이 이뤄진 정도를 나타내는 것임을 생각할 때, 문학 텍스트는 비문학 텍스트에 비해 개입의 여지가 많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상기의 번역변이에 관한 내용적 분석, 그리고 계량적 요소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정리하고자 한다. 1) 번역변이 유형의 텍스트 타입별 분석을 통하여 번역 과정에서 번역변이가 필요한 경우, 번역변이가 일어나는 층위와 실제적으로 그 효과가 미치는 층위까지 고려해야 한다. 2) 번역변이를 통해 ‘명시화’, ‘일반화’, ‘간결화’의 효과를 얻고자 할 때 의도한 효과 이외에 ST에서의 저자의 의도 등이 손실될 수도 있다. 이처럼 효과와 손실이 상충되는 경우, 어디에 더 가치를 둘 것인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에 대해서까지 고찰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한정된 분석 텍스트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으나, 번역변이를 유형화하여 내용적 고찰과 더불어 계량적 분석을 통해 번역변이가 텍스트의 양적 측면에 미치는 효과를 계량화하였다는 점을 본고의 의의로 들 수 있다. 또한 번역변이 유형을 대조언어학과 텍스트언어학의 시점에서 상세히 분석하여 번역 과정에서 일어나는 개입의 양상과 원인을 체계적으로 기술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를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가 번역 과정 및 번역 교육에 참고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또한 향후 일한 번역의 양상과 계량적 연구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바란다.

      • 올리버 R. 에비슨의 생애와 활동에 나타난 상호문화주의적 관점 연구

        김진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ife and the activities of Oliver R. Avison, a foreign medical missionary who lived in the late Chosun era, in an aim to understand the "hybrid era" of modern Korean society. By examining the life and the activities of Oliver R. Avison from an intercultural perspective in the situation of Korea, which is leant towards multiculturalism, we can find the precedents of interculturalism and excavate the precious historical assets that can be referred to for the current situation. For doing thi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ituation of the late Chosun era and the theoretical frame of multiculturalism first. Also, the study tried to analyze the intercultural perspective expressed in the life and activities of Avison. The frames of the interpretation are as follows; first, ideological openness, second, local self-help, third, existential empathy, and fourth, altruistic publicness. Based on these frames, the study analyzed the life and activities of Avison. The specific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s about the ideological openness, which is represented in Avison's transdenominational prepositions toward the Christian denominations, which he got from two times of immigration and frequent moving experiences in his childhood. One good example of this is his resilient and neutral attitude which accepted the gap between the reasons for diseases and the methods of treatment demonstrated in the foundation of the Severance Union Medical College and other medical activities. Also, he expanded the role of hospitals by broadening the treatment of diseases to the society at large. Second, the local self-help was shown in his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and medical reproduction, in which people from Chosun were the main agents to best suit the situation of Chosun. He published the medical textbooks written in Korean to raise the doctors from Chosun, and accepted people from Chosun as doctors, professors, and colleagues of Severance. And ultimately, he handed over all the medical systems of the hospital and the Severance Medical College to people in Chosun. Third, existential empathy is the attitude that tries to sympathize with the lives of other people and the existence of others, regarding others equal to themselves. He thought that people from different races have the same and equal intellectual level as white people. Especially he admitted the excellence of Chosun people, endeavoring to expand the opportunity for education and social reform of Chosun. This led to the argument about the social discrimination against the butchers of Chosun and the birth of a doctor named Seoyang Park, who was the butcher in Chosun. Fourth, altruistic publicness is the attitude in which people do not put their own benefits as priority and dedicate themselves to the public benefits instead. He deeply thought about and a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Western medical science and the future of the medical field in Chosun. Also, Avison felt bigger happiness in sharing through making the world a better place to live in with other people rather than thinking about his own success; he built and managed the vaccine research institute for rabies and organized the conference for antituberculosis. As a missionary in Korean society, Avison well transformed and practiced his intercultural qualities that he acquired from the experience of immigration as he was a person from lower status in his childhood. Even though he did not act recognizing the interculturalism, he saw that being different does not decide or distinguish the difference; rather, it draws harmony and makes the relationship more bountiful. This kind of ideological openness, local self-help, existential empathy, and altruistic publicness expressed in Avisons' life and activities show the very rare case of a foreign medical missionary who lived in Chosun, who acted from a intercultural perspective in the late Chosun era. 본 논문의 목적은 현대 한국 사회의‘혼종적 시대’를 이해하기 위해 구한말 재조선 외국인 의료선교사 올리버 R. 에비슨의 생애와 활동을 상호문화주의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것이다. 다문화주의에 경도된 한국적 상황에서 에비슨의 생애와 활동에서 상호문화주의적 관점을 찾아보는 것은, 우리의 역사 속에서 상호문화주의적 선례를 찾아 오늘의 상황에서 참고할 수 있는 귀중한 역사적 자산을 발굴하는 일이 될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먼저, 상호문화주의의 이론적 틀거리와 구한말의 시대적 상황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에비슨의 생애와 활동에서 나타난 상호문화주의적 관점을 분석하고자 했다. 그 해석의 틀로써 첫째로 사상적 개방성, 둘째로 현지적 자조성, 셋째로 존재적 공감성, 넷째로 이타적 공공성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에비슨의 생애와 활동을 분석했다. 구체적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에비슨의 어린 시절 두 번의 이민과 잦은 이주 경험에서 비롯된 기독교 교파 간의 초교파적 성향으로 대표되는 사상적 개방성이다. 그 한 예로서 세브란스연합의학교 설립과 기타 의료 활동에서 보여준 질병의 원인과 질병 치료 방법 사이의 간극을 인정하는 보다 유연하고 중립적 태도를 보여 주었다. 또한 질병 치료를 사회 전반적인 분야로 시야를 넓혀 병원의 역할을 확장시킨 것 역시 그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둘째, 현지적 자조성은 조선의 현실에 적합하게 조선인이 주체가 되는 교육 및 의료 재생산 시스템을 구축한 점이다. 조선인 의사를 양성하기 위해 조선어 의학교과서를 편찬하였고, 세브란스를 졸업한 조선인들을 세브란스의 의사와 교수로 동료로 맞아들였던 것이다. 그리고 궁극적으로 세브란스 의학교와 병원의 모든 의학 시스템을 조선인들에게 이양했던 것이다. 셋째, 존재적 공감성은 타인을 자신과 동등하게 여기고 타자의 존재와 타자의 삶의 존재방식에 대해 공감하는 태도이다. 그는 유색인종도 백인과 동등한 지적 수준을 가졌으며, 특히 조선인들의 우수성을 인정하는 자세로 조선의 사회 개혁과 교육 기회 확대를 위해 노력했다. 이는 조선 백정들에 대한 신분차별의 주장과 백정 출신 박서양이라는 조선인 의사의 탄생으로 이어졌다. 넷째, 이타적 공공성은 자신의 이익을 우선하지 않고 타인의 입장에서 더 나아가 공공의 이익을 위해 헌신하는 태도이다. 그는 조선에서 선교 본국이나 선교사들의 이해 관계보다는 조선의 근대 서양의학 발달과 조선 의료계의 장래를 위해 고민하고 행동했다. 또한 에비슨은 광견병 백신연구소의 설립과 운영 그리고 항결핵회 조직 등 일신의 영달보다는 타인과 함께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 가는 것에서 더 큰 공유의 기쁨을 느꼈다. 에비슨은 어린 시절 낮은 자로서의 이주 경험에서 체득된 상호문화주의적 자질을 한국 사회의 선교사로서의 삶 속에서 현실에 맞게 잘 변용하고 실천해 나갔다. 비록 에비슨이 상호문화주의를 인식하고 활동을 전개한 것은 아니었지만, 다름이 차이를 결정짓거나 구별 짓는 것이 아니라 다름은 조화(調和)를 이끌어 내고 관계를 더욱 풍요롭게 한다고 보았던 것이다. 이러한 에비슨의 생애와 활동에서 나타난 사상적 개방성, 현지적 자조성, 존재적 공감성, 이타적 공공성은 에비슨이 구한말 상호문화주의적 관점에서 활동한 보기 드문 재조선 외국인 의료선교사였음을 잘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개방성과 적응력을 통해 본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에 관한 연구 : 숭실전문학교와 연희전문학교를 중심으로

        김진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개방성과 적응력의 관점에서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에 관한 연구로 미션스쿨 전문학교의 교육적 활동에 대한 역사적 맥락에서 기존의 종교와 이데올로기적인 관점을 탈피하여 새로운 대안적 시각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그간의 미션스쿨 전문학교에 관한 연구는 문명개화와 근대화를 앞당겼다는 시혜적 평가이거나 서양 문명과 사상의 이식이라는 제국주의적이고 동화주의적인 관점을 견지하였다. “서양 문명은 어떤 결점이 있더라도 기독교 문명이다. 동양에 진출할 때 그 종교적 성격을 숨기면 안 된다. ……모든 서양 세계의 움직임은 그 자체를 위하여 기독교 선교를 필요로 한다(Robert E. Speer, Missions and Modern History, 1904:670).” 곧 서양의 제국주의적 팽창의 중핵(中核)이 기독교 선교라고 말하는 스피어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것이다. 기독교 교육 선교가 서양 선교사들에 의해 실행되면서 집단적으로는 스피어의 주장이 반영된 측면이 분명히 존재한다. 하지만 전체로서 서양 선교사가 아닌 한 사람의 선교사로서의 삶과 활동을 직면하는 것은 다른 차원에서 전체와 부분을 볼 수 있는 새로운 관점 고찰의 계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선교기관이자 교육기관이었던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의 설립·운영자와 교육 활동에 주목하였다. 특히 평양 숭실전문학교와 서울 연희전문학교의 설립·운영자와 두 학교의 교육적 활동에 나타난 개방성과 적응력을 고찰하여 역사적 사례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의 교육적 활동이 기존의 관점과는 다른 개방성과 적응력에서 구현된 교육의 실례임을 제시함과 동시에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 현장에서 상호소통적이고 상호의존적이며 협력적인 교육적 시도가 존재했음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기준으로 개방성과 적응력을 활용하기 위해 그 의미와 적용에 대한 용어 정의와 근거를 제시하였다. 개방성은 서로 다른 문화와 주체 사이의 차이를 인식하고 존중하며 자신의 가치 판단을 유예하고 협업하는 배려의 태도이자 열린 자세이다. 적응력은 자신의 이익이 아닌 타인의 이익과 필요를 채워주고 공감하며, 나, 너 우리가 상생적 삶이 되는 지향점을 향한 의지와 태도이며 구체적 행동력이다. 이 개방성과 적응력이라는 용어는 일반적인 사전적 의미는 물론 당시 한국적 상황에서 나타나는 실제적 현장성을 담지하며 포괄하는 것으로 보다 확장된 의미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개방성과 적응력의 구체적인 적용 근거는 첫째, 서양 선교사들의 한국인에 대한 인지(인식)의 차이에 초점을 둔다. 당시 대부분의 선교사와는 달리 한국인들에 대해 서로를 존중하고 이해하며 합의점을 찾으려는 노력과 서로의 문화와 언어를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반영한 교육적 활동의 사례를 찾는 것이다. 둘째, 역사적 연속성의 관점에 주목한다. 과거의 교육적 활동이 현재의 교육적 활동으로 연계되어 실재하는 사례인가를 확인하는 것이다.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 숭실전문학교와 연희전문학교의 교육이념과 교육과정은 물론 설립·운영자의 가치관과 학교의 형태 및 운영방식 등 교육적 활동을 개방성과 적응력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하는 역사적 고찰과 자료를 근거로 한 실사례 분석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역사적 고찰은 조선총독부와 선교부의 자료들, 기독교계 자료, 그리고 각종 신문과 잡지를 참고하였다. 실사례 분석을 위한 자료는 각 학교에서 발간한 대학교사와 각종 자료집, 보고서, 그리고 회고록과 평전 등을 활용하였다. 이러한 문헌연구를 통한 연구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숭실전문학교의 개방성과 적응력은 ‘조건적, 제한적, 선택적’이라는 특징이 나타난다. 특히 교육이념이 ‘기독교와 하나님’이라는 테두리 안에서 정립됨으로써 입학자격과 학생 선발에 있어 기독교인만으로 제한한 것은 제한적 개방성, 선택적 적응력이라고 할 수 있다. 또 복음전파의 목표를 위한 실력있는 인재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것에서 조건적 적응력의 특징이 나타나고, 선교지역 분할 협정에 의한 장로교와 감리교의 연합으로 학교를 운영한 것에서는 선택적 개방성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반면 연희전문학교의 개방성과 적응력은 ‘대중적, 보편적, 포용적’이라는 특징을 갖는다. 대표적으로 동서고근(東西古近)의 사상적 절충은 확대된 개방성이, 재한 선교사들의 참여로 이루어진 초교파적 학교 운영에서는 포용적 개방성이 발견되다. 입학자격과 학생 선발에서 비기독교인에게도 기회를 열어주며, 폭넓은 학문적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해 종교와 사상을 가리지 않고 한국인 교수를 채용함으로써 보편적이고 대중적이며 포용적인 개방성을 보여준다. 또 문과교육을 통한 교양교육과 민족운동의 연계, 지덕체를 융합한 문화 활동에서도 보편적, 대중적 적응력의 특징을 찾을 수 있다. 한편 연희전문학교의 설립인가 절차 과정에서 보여준 총독부 일본인들의 능력과 도움을 활용한 협력과 학교운영비 마련을 위해 후원자들과의 연대하는 모습에서 또한 적응력을 발견할 수 있다. 개방성 측면에서는 숭실전문학교보다 연희전문학교가 더 개방적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실제로 개방성의 사례를 놓고 보면 두 학교의 개방성은 별 차이가 없어 보인다. 그러나 역사적 연속성의 관점에서 볼 때, 연희전문학교의 후신인 현 연세대학교의 모습은 당시 연희전문학교의 개방성이 더욱 두드러진 결과라고 볼 수 있다. 그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숭실대학교는 기독교학교라는 인식을 가지는 반면, 연세대학교는 기독교학교라는 인식보다는 일반 종합대학이라는 인식이 더욱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한편 적응력 측면에서는 숭실전문학교가 연희전문학교보다 더 두드러지는 측면이 있다. 실제적 사례에서도 차이를 보이지만, 이것 역시 역사적 연속성의 관점으로 볼 때, 현 숭실대학교의 대학원 학과 개설에서 과거와 현재를 이음과 동시에 현대적 상황을 반영하고 적응해 가는 모습으로 두각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개방성과 적응력에서 어느 학교가 더 우월했는가의 평가보다는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 전문학교의 교육 활동에서 개방성과 적응력이 발현된 교육의 실례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교육 활동은 교육을 수행하려는 사람의 신념과 의지와 희망이 어우러지는 교육 현장이기 때문에 학교 설립·운영자에 대한 심도있는 고찰이 필요하다. 이는 다면적이고 입체적인 인간의 다양한 측면을 보지 못하고 전체 또는 집합체로 보이는 특징에만 집중하는 습속인 우리들의 단선적 관점을 환기시켜 새로운 시각에서 바라볼 수 있도록 하기 때문이다. 미션스쿨 숭실전문학교와 연희전문학교의 개방성과 적응력의 실례들을 확인함으로써 일방적인 동화주의적 교육 활동으로 평가받는 한국 근대 고등교육기관 미션스쿨에 대한 인식에 반론을 제기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대학교육을 표방한 숭실전문학교와 연희전문학교의 교육은 한국적 풍토에 적합하도록 재조정되었고, 한국인에 의한 한국인을 위한 교육이 가능한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움직임 역시 있었음을 발굴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더불어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 두 학교는 당시의 경성제국대학이나 관립전문학교와는 확연히 다른 교육의 면모를 보인다는 점에서 그 독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한국과 한국인들에 대한 열린 태도와 한국적 상황을 고려하고 적용한 현실적이고 실제적인 교육적 활동을 통해 개방성과 적응력을 보다 잘 실현하고 있었다. 이는 근대 한국에 다양한 국적과 세력을 가진 주체들 간의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인식의 차별성을 보여주는 동시에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에 대한 새로운 또 하나의 시각을 제공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첫 번째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의의는 첫 번째 의의에 대한 증명을 위해 개방성과 적응력을 새로운 대안적 관점으로 제시함과 동시에 이의 포괄적 적용 범위에 대한 가능성을 확대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 본 논문의 연구 과정은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의 교육적 활동에 대한 기존의 이데올로기적 관점에 대해 개방성과 적응력을 새로운 대안적 관점으로 제시하고 그에 대한 역사적 실례를 발견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당시 근대 한국에서 활동한 재한 선교사들에 의해 설립·운영된 미션스쿨의 교육적 활동이 개방성과 적응력의 측면에서 한국인들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교육이었음을 확인하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궁극적으로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의 교육적 활동에는 상호소통적이고 상호의존적이며 존중과 배려를 토대로 이루어진 교육적 시도와 도전이 실재했음을 밝히는 작업이었다. 한국 근대 고등교육 미션스쿨의 개방성과 적응력을 고찰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통하여 근대 미션스쿨들에 관한 융복합적 학문 분야에서의 더 다양하고 새로운 관점들을 제시하는 계기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a new alternative perspective o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mission schools, Korea’s higher education system in the modernization period. It attempts to review the activities in terms of openness and adaptability in historical context, diverging from the existing religious and ideological perspective. The previous studies on the mission schools in the modernization period ar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dispensation, claiming that the mission schools contributed to earlier enlightenment and modernization. They also persistently argue that the schools helped implement the western culture and ideology under the view of imperialism and assimilation. Robert E. Speer(1904) once emphasized that the core of the western culture was Christianity no matter what fault it had and the impact of the West upon the East must be Christianized. He also added all the actions by the West needed Christianity missionary for its own sake(Robert E. Speer, Missions and Modern History, 1904:670). They support Speer’s argument that the core of western imperial expansion is a Christian mission. Christian educational missions were conducted by western missionaries, so it is acceptable that Speer’s argument was reflected in the missions. However, not by looking as a whole, understanding the life and activity of each individual missionary would present another type of new perspective from a different aspect, looking as apart and as a whole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establishment and educator’s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mission schools, Korea’s higher education in the modernization period. Historical cases were found through analyzing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Soongsil College in Pyongyang and Yonhi College in Seoul in the perspective of openness and adaptation. By doing so, this research aims to prove that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mission schools were the real cases created by openness and adaptation, which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perspective. It also focuses to verify that mutually communicative, interdependent, and cooperative educational challenges occurred in the mission schools. Openness and adaptation are suggested as a standard of analysis with their definitions and evidence. Openness means recognizing and respecting the difference between different cultures. It includes an attitude as well as an open mindset to avoid self evaluation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Adaptation is empathy that fulfills other’s interests and needs. It is a specific action, a will, and an attitude to achieve a win-win situation for me, you, and us. Openness and adaptation encompass not only a general dictionary definition, but also the real situations in Korea in the modernization period. The evidence of applying openness and adaptation is as follows. Firstly, it emphasized the different level of perceptions over Koreans the western missionaries had then. This study sought for the effort that the missionaries tried to respect and understand Koreans and find a mutual benefit and the educational activities that observed each other’s different cultures and languages back then. Secondly, historical continuity is emphasized. This research looked for current educational activities that have been generated from the past educational activities. The educational missions, courses, and beliefs of school faculties of Soongsil College and Yonhi College have been analyzed in terms of openness and adaptation. To do so, literature review and historical consideration and materials were brought to a method of the case study. Historical consideration was based on materials from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missionaries, Christian churches, and various newspapers and magazines. The data for the case study took advantage of various sources and reports such as reports of university history, memoirs, and biographies. The literature review is as follows: The openness and adaptation of Soongsil College is characterized as being “conditional, restrictive, and selective.” In particular, as the educational mission is set under the frame of “Christianity and God,” they allowed admission to students who were Christians. This demonstrates restrictive openness and selective adaptation. Also, cultivating talented students to fulfill the goal of gospel dissemination represents selective adaptation. And managing the school by the coalition of Presbyterian Church and Methodist Church under the agreement on the division of missionary areas shows selective openness. On the otherhand, Yonhi College’s openness and adaptation are described as being “popular, universal, and inclusive.” Typically, the perception of “all countries and allages'' negotiated its ideology, which created extended openness. Inclusive openness is discovered from the management of school by the missionaries in Korea in an ecumenical manner. The admission criteria and selection were open to non Christians, and Korean professors were hired regardless of religion or ideology in order to have broader educational professionalism, which represents popular and inclusive openness.  Also, universal and popular adaption were found in its liberal arts education, supporting nationalist movements, and cultural activities converging knowledge, morals, and body. Moreover, in the process of approving the establishment of a university, Yonhi College took advantage of Japanese people in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united with donors to prepare the management of school, which definitely presents adaptation. In the perspective of openness, it is estimated that Yonhi College is more open than Soongsil College. In fact, when the case study was analyzed, it seems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openness between the two schools. However, in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continuity, Yonsei University, Yonhi College’s later self, is a result of Yonhi College’s openness. Many people now consider Soongsil University, Soongsil College’s later self, to be a Christian school, but Yonsei University is perceived as a general university rather than a Christian school. On the other hand, in terms of adaptation, Soongsil College is more outstanding than Yonhi College. In the case study with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continuity, Soongsil University has demonstrated that they have tried to make a connection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considering its graduate school courses. However, more importantly, this study was able to find real cases of openness and adaptation in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mission schools, Korea’s higher educationin the modernization period. It doesn’t focus on which school was more open or adaptable.  As educational activity is the field mingled with the belief, will, and hope of educators, it is important to contemplate the establishment and educators of a school. This will refresh our unilinear perspective to see things as aggregation which hinders us not to see multidimensional aspects of humanity. By verifying the cases of the openness and adaptation of Soongsil College and Yonhi College, this study set forth a counterargument of the perception that the mission schools are based on one-sided assimilation educa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aims to raise awareness that the education of Soongsil College and Yonhi College was adjusted to the Korea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rie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system by Koreans and for Koreans. Also, the two schools have their own unique educational aspect, compared to Keijo Imperial University or government colleges. They adeptly realized openness and adaptation through having an open mind to Korea and Koreans and executing realistic and practical educational activities considering Korea’s situations. The first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provides a different perception of Korea and Koreans among various nationalities and powers in the modernization period as well as offers a new perspective on Korea’s higher education in the modernization period. The second significance is that openness and adaptation are suggested to verify the first significance. It also expands the possibility of a comprehensive range of applications. So far, this study has led to suggesting a new perspective of openness and adaptation and finding historic cases to change the existing ideology of Korea’s higher education mission schools in the modernization period. It also provides a chance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mission schools established and managed by the missionaries in Korea in the modernization period and their intention to respect and care for Koreans. As a result, this research strives to verify that the educational activities of the mission schools had educational trials and challenges based on mutual communication, interdependence, respect, and consideration. Through researching the openness and adaptation of the mission schools, Korea’s higher education in the modernization period, it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and new perspectives thrive in the converged study field of the mission schools in the modernization period.

      • A Single-center Experience of Antithrombotic Therapy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 Patients Requiring Oral Anticoagulation

        임민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지침에서는 항응고 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가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을 시행 받고 난 후 삼제 항혈전 요법을 시작하되, 각 환자의 출혈성 경향 및 허혈성 심혈관 합병증 발생 위험을 고려하여 삼제 항혈전 요법의 유지기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아직까지는 이러한 환자들에 있어 최적의 항혈전 치료 전략에 충분한 자료가 입증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지침에 따른 향혈전 요법에 호환되는 그룹과 비호환 그룹 간의 효능 및 안전성에 대해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관상동맥 중재술 시행 전후에 항응고 요법이 필요했던 총 35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6개월 동안 환자 연관 사건인 사망, 심근경색, 뇌경색을 일차 효능 결과로 설정하였고, 총 출혈 사건을 일차 안전성 결과로 설정하였다. 전체 환자군중에서 129명이 최근 지침과 호환된 그룹이었고, 227명이 비호환 그룹이었다. 총 37 명의 환자에서 주요 효능 관련 사건이 발생하였고, 양군 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8.5 % vs 11.5 %, P value = 0.38). 주요 안전성 결과인 총 출혈사건은 25명의 환자에게서 발생하였으며 호환 그룹이 비호환 그룹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3.1% vs 9.3%, P value=0.032). 상기 환자들 중에서 만성 콩팥병이 가장 강한 총 출혈사건의 예후인자였다. 최근 지침에서 권장하는 항혈전 요법에 호환되는 환자군에서 비호환 환자군 보다 관상동맥 중재술 시행 후 초기 단계에서 총 출혈사건이 유의하게 낮았다. 환자 연관 사건인 사망, 심근경색 그리고 뇌경색을 포함한 주요 효능 결과에서는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Current guideline recommend triple antithrombotic therapy (TT) initially after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PCI) in patients requiring chronic oral anticoagulation (OAC), and minimizing the maintenance of TT according to the balance between bleeding tendency and ischemic complication. So far, there was a limited data for optimal antithrombotic strategy in these patien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fficacy and safety outcomes between guideline adherent group and guideline non-adherent group for antithrombotic therapy after PCI. A total of 356 patients (75.6 % male, mean age 69.0 ± 10.4 years) requiring OAC before or during PCI were analyzed from January 2003 and November 2016 at Samsung Medical Center. The primary efficacy outcome was a composite of all cause of death, myocardial infarction, or stroke and the primary safety outcome was total bleeding events, defined as Bleeding Academic Research Consortium (BARC) type 2 or more in the first 6 months after PCI. Guideline adherent group was 129 patients (36.2%) and guideline non-adherent group was 227 patients (63.8%). The rate of primary efficacy outcome was numerically lower in guideline adherent group (8.5% vs 11.5%, P value=0.38). The rate of primary safety outcome was significantly lower in guideline adherent group (3.1% vs 9.3%, P value=0.029). Multivariate Cox regression analysis showed age (hazard ratio [HR]: 1.06; 95% confidence incidence [CI]: 1.01-1.12; P value=0.034), peripheral vascular disease (HR: 3.37; 95% CI: 1.33-8.52; P value=0.010), chronic kidney disease (HR: 4.08; 95% CI: 1.80-9.23; P value=0.001), and femoral access during PCI (HR: 2.88; 95% CI: 1.22-6.81; P value=0.016) were highly associated with total bleeding events. Patients with guideline adherent therapy had significantly low safety events at an early phase after PCI compared with non-adherent patients, but the rates of primary efficacy events was numerical lower in patients with guideline adherence therapy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 십장생문(十長生紋)에 내재된 상징 연구

        정혜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symbolism in the patterns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or sipjangsaengmun 十長生紋 and the three spaces where the ten symbols are positioned. The ten patterns symbolizing longevity - the sun, cloud, mountain, water, rock, deer, crane, turtle, pine trees, and mushroom of immortality - are uniquely found in Korea culture. The record of these ten symbols first appeared in the Goryeo Dynasty and during the Joseon period these symbols were widely used in decorative paintings at the royal court as well as in folk paintings and craftwork. Up to this day, however, the ten symbols have been studied mainly in terms of symbolism influenced by Taoist naturalism. In this thesis I intend to shift the focus to more fundamental significance inherent in each symbol of longevity. In the first chapter, I will introdu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e background of the study, and research methods. The second chapter will observe the concept of spaces in ancient religions. The symbols of longevity are composed of ten patterns of landscape and animals and plants positioned in the three spaces - the heaven, the earth, and underwater world. Especially, the ancient concept of spaces is found in landscape patterns. Considering the ancients’ nature worship, cosmology in their religious belief must be closely related to the three-stage world view 三段世界觀. They believed that the three worlds 三界 in this view represent the three spaces where sacred natural objects such as the cosmic tree 宇宙木 and the cosmic mountain 宇宙山 were located and these objects stood at the center of each world to connect the heaven and the earth. In this chapter I will examine ancient India, primitive Buddhism, Siberian Shamanism, and Confucianism in China to explore the three-world concept in detail. The chapter three will discuss the view on the three worlds further by examining the music in Korean Shamanism 巫歌 and explore the ancient Korean views on life, death, and the life after death. According to the three-world view from the Shamanistic music, there exist the heaven where deities and deceased rulers reside, the hell, the paradise, and the world of immortals 仙界. Particularly, the world of immortals is a unique East Asian concept which refers to a utopia in this world located someplace in a mountain or near horizon. In this ideal place immortal spirits led a life of a mortal enjoying comfort and longevity. Among the three spaces for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it is the earth that represents the world of immortals. This chapter will trace the origin and the significance of the immortals’ world in Chinese Taoism and Korean Shamanism. Chapters four, five and six are an in-depth study on symbolism in each symbol positioned in the three categorized spaces of heaven, earth, and underwater world. In this section, I will concentrate on visual symbolism in artifacts. To this end, this thesis will trace the origin of each symbolic pattern by examining the motifs and designs found in artifacts and reviewing documents on mythology, historical records, and oral literature. First, I will study the patterns of the sun, cloud and crane located on the space of heaven. The heaven is a place where the deities reside and the souls of deceased rulers ascend to, and the patterns of the sun and the cloud are closely related to the primitive worship of the light and moisture of the heavenly goddess. In ancient civilization, the sun and the cloud were expressed in symbolic motifs and I will compare these motifs with the patterns found in Korean artifacts and relics. In Korea, the sun patterns are mostly found in mural paintings of Goguryeo, decorative tiles of Shilla, Buddhist paintings of Goryeo, ceramic rice-cake molds and incense burners of Joseon. Regarding the crane, it was considered a bird with a special connection to the sun that linked the heaven and the earth. Second, I will examine the patterns of mountain, rock, deer, pine tree, and mushroom of immortality that belong to the space of earth. Each symbol was considered the center of the world and was worshipped during the rituals 祭儀 communicating with the heaven. For example, the mountain, or the cosmic mountain, was a place for rituals where the earth mother goddess was seated. The pine tree, or the cosmic tree, was believed to link the three worlds. As for the rock, it was a sacred spirit pillar 神柱, a medium through which the deities descended from heaven. The deer was considered to have a special connection to the sun that ascended the heaven carrying the sun on its back. The deer also implies a sacrificial animal 犧牲獸 for hunting ceremonies and connects the earth and the heaven by guiding the dead souls to heaven. Mushroom of immortality contains condensed spiritual influence 靈氣. According to Korean Shamanism, the deities of the heaven and earth always carried the mushroom. Last, I will look into the patterns of water and turtle that belong to the underwater world. Water signifies vitality and the source of life. In ancient symbolic patterns, water was expressed in the forms of deviant crease lines or zigzag pattern. The heavenly goddess, mother goddess in the river, and water goddess in ancient times were depicted to embrace the parallel or zigzag water patterns. In Korea, the water goddess is found in the forms of water maidens from the paintings of Korean Shaman gods and in the paintings of the dragon lady in underwater palace. The pattern turtle was considered an animal that supported the earth while staying in the water. In conclusion, I will summarize my research and present research results. This thesis has a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takes a meaningful step from the traditional concept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and looks into more fundamental symbolism inherent in the ten pattern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illuminates the spaces where the ten symbols are located in regards to the concept of the three worlds, viewing the spaces as the center of the world that connect the heaven and earth based upon ancient religious views. Moreover, this thesis discovers the divinity 神性 in each symbol and this divinity enables each symbol to connect the three worlds. Furthermore, this thesis conducts an extensive and through research into the patterns found in artifacts and relics to support the proposition. A study on the spaces for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and the origin of each symbol will widen our perspectives and deepen our understanding of ten symbols that have been recognized merely as decoration or landscape in the background. The research into the origin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will serve to recall our unique culture that has been forgotten for the most part but still constitutes the base of our spirit. 본 논문은 십장생문에 나타난 공간과 문양에 내재된 근원적 상징에 관한 연구이다. 십장생문은 해, 구름, 산, 물, 돌, 사슴, 학, 거북이, 소나무, 영지 등의 10가지 문양을 모은 우리나라 특유의 장생문(長生紋)이다. 십장생문은 장수를 상징하는 우리나라 고유의 문양으로 고려시대부터 기록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조선시대에는 궁중 장식화부터 민화와 공예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된 문양이다. 지금까지 십장생문은 도교 사상이나 자연주의에서 영향을 받은 장생문이라는 상징의미에서 주로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존의 명제에서 벗어나 십장생 문양의 근원적 의미에 대해 살펴본다. Ⅰ장은 연구의 목적과 배경을 밝히고 선행연구와 연구방법을 소개한다. Ⅱ장에서는 고대 종교에 나타난 공간의 개념을 살펴본다. 십장생문의 형식은 하늘, 땅, 물의 3개 공간에 분포된 산수문과 동식물문 10개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산수문은 고대의 공간관이 드러난 이미지이다. 고대인들은 인간을 둘러싼 자연의 움직임에 신앙심을 투사하고 해석했다. 고대 종교에 나타난 우주론은 삼단세계관(三段世界觀)을 나타낸다. 삼단세계관, 즉 삼계(三界)는 우주산, 우주목과 같은 성스러운 세계의 중심에서, 다른 세계가 이어지는 공간관을 말한다. 이 장에서는 고대 인도, 원시 불교, 시베리아 샤먼의 의식, 중국의 유교에 나타난 공간관을 살펴보고 이 공간관들에 나타나는 삼계 개념을 알아본다. Ⅲ장에서는 한국 무속의 무가(巫歌)에 나타난 삼계관을 정리하고 고대 한국인의 생사관과 타계관(他界觀)을 알아본다. 무가에 나오는 삼계에는 신과 죽은 왕들이 거주하는 하늘이 있고 지옥, 극락, 선계(仙界)의 공간이 있다. 선계는 동아시아에서 볼 수 있는 특별한 공간으로 현세와 접합된 이상향이다. 산속 어딘가, 지평선 어딘가 있는 선계는 현세의 즐거움을 그대로 가지고 장생하는 신선들이 사는 곳이다. 십장생문의 공간 중 지상은 선계를 나타내며, 선계의 유래와 의미를 중국 도교와 한국 무속에서 찾아본다. Ⅳ장부터 Ⅵ장까지는 십장생 각 문양의 내재된 상징을 하늘, 땅, 물의 공간으로 나누어 고찰한다. 이 고찰은 유물에 나타난 시각적인 상징을 대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유물에 나타난 기호와 문양의 실증(實證)부터 신화, 역사서, 구비문학 등 문헌의 고찰을 통해 문양의 근원을 찾아본다. 먼저 십장생문의 천상계에 위치한 해, 구름, 학에 대해 고찰한다. 하늘은 신이 존재하고 죽은 지배층의 영혼이 올라가는 곳이다. 이곳의 문양소인 해와 구름은 원시시대의 신앙인 하늘여신의 빛과 수분에 대한 숭배를 표상한다. 고대 문명에서 태양문, 구름문은 기호문양으로 표시되어 있으며 이를 한국의 유적과 유물에 나타난 태양과 구름의 문양과 비교, 고찰한다. 태양문은 고구려 고분벽화, 신라 치미, 고려 불화, 조선 도자 떡살과 향로 등에 나타나며, 학은 태양새의 속성을 지니고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동물이다. 십장생문 지상계의 문양은 산, 돌, 사슴, 소나무, 영지가 있다. 이 문양들은 하늘과 소통하는 제의(祭儀)와 연관되어 있고 세계의 중심을 표상한다. 산은 우주산으로 지모신의 좌정처이며 제의의 장소이다. 소나무는 우주목(宇宙木)으로 삼계를 이어준다. 또한 돌은 신이 내려오는 매개체인 신주(神柱)이며 성스러운 장소를 표방하는 표지이다. 사슴은 태양을 등에 얹고 올라가는 태양사슴의 속성, 사냥의례에 나타나는 희생수(犧牲獸)의 속성을 가지며, 죽은 자를 인도하고 지상과 하늘을 연결한다. 영지는 영기(靈氣)를 응축한 형태로 한국 무속에서 천상과 지상 신들의 지물(持物)이다. 십장생문 수계의 문양으로 물과 거북이 있다. 물은 생명력, 배태력을 상징하며 생명의 원천지로 여겨진다. 물은 고대 기호문양으로 빗금, 지그재그문으로 나타난다. 원시시대 하늘여신, 강의 어머니, 물의 여신은 평행선과 지그재그문으로 물의 문양을 품고 있다. 우리나라 무신도에서 물의 여신으로 물애기씨, 용궁부인도가 나타난다. 거북은 지하계의 대표 동물로 영혼을 다른 세계로 인도하기도 하며, 지하에서 땅을 받치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Ⅶ장은 결론 부분으로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고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장수 상징 개념을 넘어 십장생문에 내재된 근원적 상징을 찾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십장생문의 공간을 고대 종교관에 입각하여, 세계의 중심에서 하늘과 땅을 연결하는 공간인 삼계라는 개념으로 상정한 점, 십장생문 각 문양소의 근원이 신성(神性)을 가지고 있고 삼계를 이어준다고 밝힌 점, 이를 규명하기 위해 유물과 유적의 문양으로 실증한 점에 의의가 있다. 십장생문 공간과 문양의 근원에 대한 탐구는 산수와 같은 주변 문양 또는 장식 문양만으로 인식되어온 문양의 심도 있는 이해를 도와주고 상징에 대한 인식의 폭을 넓혀준다. 십장생 문양의 연원(連原) 탐구는 지금은 잊힌 우리 정신세계의 밑바탕에 흐르는 문화를 다시금 상기(想起)하는 것이다.

      • 과테말라 이중언어·상호문화 교육의 현황과 시사점

        전재경 이화여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Korean society,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homogeneous society, is now turn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due to increasing labor migration and marriage. Since 2006,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providing measures to support education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centering on marriage migrants, l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Over time, this expanded into bilingual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roactive language education systems are provided in Korea because language plays a certain role of capital that allows the migrants and their children to expand their opportunities of education and career in one society. Language therefore, contributes to both individuals and the society as a whole. Guatemala is a society where Europeans migrated to the area where the Native Americans lived before the modern times, and Spanish was established as the main language among the European languages ​​due to the Colonial Rule. Yet, still in the remote areas, Aboriginal people use indigenous languages ​​instead of Spanish. In Guatemala, where the proportion of Aboriginal people is high, bilingual education is actively being carried out at the cultural, historical and socioeconomic levels. In this study, by looking into the 'Guatemala Bilingual Intercultural Education Model' prepared by the Guatemalan Ministry of Education, which is a bilingual education model based on mutual culturalism with tangible results, this study aimed to find some helpful implications for Korea's future bilingual policy formulation. To achieve the study’s goal, the definition and background of bilingual education are reviewed first in Part Ⅱ. The meaning of bilingual education in both multiculturalism and interculturalism are explained, and to examine the actual situation of bilingual education in Korea, Guatemala bilingual cases that are different from cases of Canada, Ireland and Germany are considered. In Part Ⅲ,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Guatemalan bilingual education policy and the language diversity of Guatemala are described. There is also an explanation about how Guatemala developed from a compulsive assimilation policy to a bilingual education policy based on interculturalism. Also, in the present situation of bilingual education policy, the study also examines various limitations and problems regarding bilingual education policy. In Part VI, Guatemala intercultural education policy is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intercultural education, characteristics of intercultural education model, contents of intercultural education, and evaluation of intercultural education and descriptions about each are written accordingly. In Part Ⅴ, there are comprehensive descriptions on how the bilateral cultural policy of Guatemala shows tangible effects. Considering Guatemala’s case, implications on the bilateral cultural policy in Korea is divided into six parts. The 'Guatemala Bilingual Intercultural Education Model',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many aspects, but provides an opportunity to view bilingual education policies in Korea from various angles. Furthermore, hopefully, the example of bilingual and intercultural education in Guatemala that is targeted in this paper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mutual culturalism in Korea in the future. 동질적인 사회로 여겨져 왔던 한국 사회는 오늘날 증가하는 노동이주와 결혼이주로 인해 다문화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한국 정부에서는 2006년부터 교육인적자원부 주도로 결혼이주민 중심의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을 마련해왔다. 이는 점차 시간이 흐르면서 다문화 가정 출신 자녀들을 위한 이중언어교육으로 확대 되었다. 이처럼 한국에서 언어교육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지게 된 것은 그 언어가 그것을 구사하는 이주민과 그 자녀들로 하여금 한 사회에서의 교육과 진로의 기회를 넓힐 수 있는 일종의 자본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언어는 궁극적으로 개인과 사회 발전 양자 모두에 기여한다는 인식이 한국에서도 적용된 것이다. 과테말라는 이미 근대 이전에 아메리카 대륙 원주민이 살고 있던 지역에 유럽인들이 이주하여 오랫동안 식민 지배를 통하여 유럽 언어 중에서도 스페인어가 자리 잡은 사회이다. 그러나 여전히 오지에서는 원주민들이 스페인어 대신에 원주민 고유의 언어를 사용하고 있다. 원주민의 구성 비율이 높은 과테말라에서는 문화 역사적 차원과 사회 경제적 차원에서 현재 이중언어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호문화주의에 입각한 이중언어교육 모형을 개발하여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는 과테말라 교육부가 마련한 ‘과테말라 이중언어 상호문화 교육모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향후 한국의 이중언어 정책 수립에 도움이 될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제Ⅱ장에서는 먼저 이중언어교육의 정의와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중언어교육이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 각각에서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지를 살펴보고 캐나다, 아일랜드, 독일 등의 사례와 구별되는 과테말라의 사례를 정리한 후 한국의 이중언어교육 실태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제Ⅲ장에서는 과테말라 이중언어교육 정책의 역사적 배경과 과테말라의 언어 다양성을 알아보고 기존의 강제적인 동화정책에서 어떻게 상호문화주의에 기반한 이중언어교육 정책으로 발전하였는지를 기술하였다. 이중언어교육 정책 현황에서는 이중언어교육 정책에서 오는 여러 가지 한계와 문제점도 살펴보았다. 제Ⅵ장에서는 과테말라 상호문화교육 정책을 상호문화교육 모형, 상호문화교육 모형의 특징, 상호문화교육 내용, 상호문화교육 평가로 나누어 항목별로 정리하였다. 제Ⅴ장에서는 종합논의 부분으로 과테말라의 상호문화주의적 이중언어교육정책이 어떻게 가시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는지 설명한 뒤, 과테말라의 상호문화주의에 입각한 이중언어교육 정책이 한국에서의 이중언어교육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여섯 개 항목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인 ‘과테말라 이중언어 상호문화교육 모형’이 여러 가지 면에서 한계점이 있지만, 한국에서의 이중언어교육 정책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 준다. 나아가 이 논문에서 대상으로 한 과테말라의 이중언어·상호문화교육의 예가 앞으로 한국의 상호문화주의 정착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

      • 근대 이후 한ㆍ중 신부 이미지 변화 연구

        LIU JIAWEI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本论文旨在了解1910年代后,在韩中两国传统婚礼文化受到现代西方文化强烈影响的背景下,随着时代变迁,婚礼最根本的核心构成因素——新娘人物形象发生了怎样的变化。作者试图从宏观上比较分析两国新娘形象的共同点和差异点。纵然,中国和韩国地域相连,是同属于东亚文化圈下的邻国,但新娘形象在其具体的构成要素上,如:礼服、化妆、首饰以及两国新娘所表现出的气质等方面,都表现出了各自独特的风格。研究中,通过对大量文献和婚礼记录照片的分析, 生动地, 真实地记述了韩中两国百余年来新娘形象变化的过程, 本论文的构成如下: 第一章,记述了研究的背景及目的,并揭示了现有先行研究的局限性。 结果一,中韩两国婚庆文化比较研究领域的资料和成果严重不足。 第二,从近代到现代约100多年的时间里,虽然存在着对婚礼文化的综合性研究,但这是非常罕见的。 第三,对新娘形象的理解大多停留在外貌的研究层面,不存在关于人物群体在婚礼文化中的意义和价值的进一步研究。由此揭示了本研究的必要性。 第二章,针对有关研究主题的理论背景进行考察。对于近代以后韩中两国的婚礼文化变迁状况,按照历史时期进行划分梳理, 并将新娘形象根据其构成要素,划分为:新娘服装、新娘化妆、婚礼形式等,从理论上阐述其具体内涵,为后续研究提供理论支持。 第三章,近代以后在韩中两国的婚礼文化变迁中,作为婚礼主人公的新娘形象发生了怎样的变化,作者对其进行了详细的平行分析。首先,看看韩国的变化脉络。1910-1937年代期间,婚礼主要是在新娘的家中举行或在教堂或教堂举行。 而新娘会身着传统的绿衣红裳佩戴戴花冠或足头里,亦或是在白色裙子和白色上衣上,配上面纱和花环。1937年至1969年间,初期新娘形象也是以传统婚礼服形式,色彩为白色的裙子和上衣占据主流,但当新式婚礼逐渐取代了传统婚礼之后,新娘的形象也开始西方化。1969-1988年间,白色婚纱已经占据了女性婚礼服的中心地位,整体的新娘形象以白色的西式装扮为主。1988-2012年期间,新娘们大多都穿着白色婚纱,但也有穿着改良韩服的情况。另外,随着室外仪式场的出现,为了能与清新的自然环境相协调,新娘的婚纱风格逐渐变得小巧精致。 2012年至今,婚礼形式越来越个性多样,小型婚礼,house wedding等主题的婚礼受到年轻人追捧,新娘形象变得更加简洁大方,同时传统婚礼服饰也出现各种变化。 纵观近代中国的新娘形象,始于民国时期,1912-1949年间的新娘形象大致可分为两种形态:一是传统婚礼上凤冠霞帔的形象;二是按照民国政府倡导的文明婚礼,穿着改良后的旗袍,戴着面纱。 1949-1976年是中华人民共和国的建国初期,在政治、经济等一系列客观因素的影响下,新娘形象被绝对的朴素和简化,就连化妆也被禁止。 此后1976-2001年阶段,随着改革开放,经济得到常驻发展,新娘形象紧跟外部西方世界的时尚潮流,在这30年中,出现了各种大红色的裙装嫁衣,过渡期的粉色晚礼服,直到最后纯白色婚纱才被广为接受。 2001-2010年,新娘们一般穿婚纱在礼堂或酒店里举行婚礼,在与外部世界发生紧密联系的过程中,国民开始反观本国的传统文化,传统文化逐渐被发扬,传统婚礼服饰的复兴思潮也随之而起。 从2010年至今,婚礼仪式逐渐盛大,新娘形象也越来越华丽,婚礼上至少要更换3到4套造型,由此可见当下人们对婚礼仪式的重视。 第四章,对韩中两国的新娘形象进行特点的格式化比较分析。根据前文理论考察,可以将新娘形象的构成要素大致分为服装和化妆,并且新娘并非独立存在,人物本身会受到特定环境和空间的影响,所以比较研究将从这三个要素展开。与此同时,对比两国新娘形象的特点,考察其普遍性和特殊性,并试图究其原因也是本章重点。 结论之处,统整全文研究成果,揭示当今两国新娘形象的共同点和差异点,探寻出了近代以后改变新娘的内在动力。总的来说,韩国和中国的新娘人物形象在社会文化变迁过程中,受到外来文化的影响,内部政治因素以及两国传统文化所具有的深远意义的影响,由最初的封建传统之形象,逐渐蜕变为今日两国各自不同但是又特点鲜明的新娘形象。 本研究试图对韩国和中国百余年来婚礼文化变迁中的新娘形象,进行多角度地、公式化分析,但是在内容的全面性考察上略显不足。尽管如此,为了明确记述韩国和中国的差异, 认为有必要进行这种大胆的尝试,本研究中尚没能进行到的深入的、细致的分析, 对此我想作为今后的研究来保留。 본 연구에서는 1910년대에 한국과 중국에 서구의 문물들이 유입되기 시작한 때부터 오늘날까지의 양국 신부 이미지 변화와 특징을 거시적으로 바라보고자 한다. 물론 중국과 한국은 공통적인 동양적 색채를 지니고 있지만 신부 이미지를 구성하는 구체적인 예복, 메이크업, 장신구뿐만 아니라 양국의 신부가 보여주는 기질 등에서 각자 독특한 양상을 나타낸다. 연구에서는 다수의 문헌과 결혼식 기록 사진에 대한 분석을 통해 백여 년에 걸친 한중 양국의 신부 이미지 변화 과정을 보다 생생하고 사실적으로 기술하고자 했으며 본고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에 대해 기술하고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한・중 양국의 혼례문화 비교 연구 분야의 자료와 성과가 크게 부족하다. 둘째, 근대에서 출발해 현대에 이르는 약 100여 년에 걸친 기간 동안의 혼례문화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가 존재하지만 매우 드문 실정이다. 셋째, 신부 이미지에 대한 이해가 대체로 외모에 대한 연구 차원에 그치고 있으며, 혼례문화에서 인물 집단이 지닌 의미 및 가치와 관련한 더욱 진전된 연구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사실들은 본 연구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2장에서는 연구 주제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근대 이후 한중 양국의 혼례문화 변천상을 시기별로 정리하고 신부 이미지의 구성 요소는 신부 복장, 신부 화장, 결혼식 형식으로 나눠서 이어지는 연구 내용을 이론적으로 설명하였다. 3장에서는 근대 이후 한중 양국의 혼례문화 변천 상황과 변천 과정에서 혼례의 주인공인 신부의 이미지가 어떠한 맥락으로 변화되어 왔는지에 대해 평행적으로 자세히 살펴보았다. 한국의 경우에는 1910-1937년대의 결혼식은 주로 신부의 집에서 열리는 전통 혼례식이거나 교회 또는 성당에서 열리는 신식 결혼식이었다. 신부는 전통 녹의홍상에 화관이나 족두리를 쓰거나 또는 흰색 치마와 저고리에 면사포와 화환을 매칭하였다. 1937-1969년 사이의 초기 신부 이미지 역시 전통 혼례복 또는 흰색 치마, 흰색 상의가 주류를 차지했으나 신식 혼례가 점차 전통 혼례를 대체하게 되었고 그에 따라 신부의 모습이 서구화되기 시작하였다. 1969-1988년 사이에는 흰색 웨딩드레스가 이미 여성의 혼례복에서 중심적인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전체적인 신부 이미지는 화이트룩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1988-2012년의 시기에서도 신부들은 대체로 흰색 웨딩드레스를 착용했으나 개량 한복을 사용하는 경우도 존재하였다. 또한 야외에서 진행하는 결혼식이 시작되고, 그에 따라 야외의 맑은 자연환경에 어울리는 신부의 모습을 나타내게 되면서 웨딩드레스 스타일이 점차 작고 정교하게 변화되었다. 2012년 이후 현재까지는 개성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결혼식이 진행되어 작은 혼례식, 하우스웨딩 등의 콘셉트에 따라 신부 이미지가 더욱 깔끔한 스타일링을 나타내게 되었으며, 또한 전통 혼례복식에도 다양한 변화가 등장하게 되었다. 중국의 신부 이미지를 보면, 민국시대에 시작되며, 1912-1949년 사이의 신부 이미지는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전통혼례에서 봉관을 쓰고 마과와 운견을 입은 전통신부 이미지이며, 다른 하나는 민국정부가 제창한 문명 혼례에 따라 개량된 치파오를 입고 면사포를 쓴 모습이다. 1949-1976년대는 중국인민공화국의 건국 초기로써 정치, 경제 등 일련의 객관적 요인에 의해 신부의 이미지가 절대적으로 소박해지고 간소화되며, 화장마저도 일시적으로 금지되었다. 그 후 1976-2001년 단계에서 개혁개방과 함께 경제 발전을 이룩하며, 그에 따라 신부 이미지가 크게 발전하며, 외부 서양 세계의 패션 트렌드를 모방한 중국 신부들은 30년에 걸쳐 은색 슬립, 과도기의 핑크 드레스, 그리고 순백의 서양식 웨딩드레스에 이르는 다양한 변화를 형성하였다. 2001-2010년에 신부들은 일반적으로 웨딩드레스를 입고 예식장 또는 호텔에서 결혼식을 올렸으며, 중국 전통문화에 대한 이해가 확대되면서 전통 혼례복식의 부흥 사조가 일어나게 되었다. 2010년 이후 현재까지 결혼식이 성대하게 치러지면서 신부의 이미지가 화려해져서 결혼식에서 최소 3~4벌의 조형이 교체되고, 각 절차마다 한 번 정도 변화될 정도의 성대한 결혼식이 진행되고 있다. 4장에서는 한중 양국의 신부 이미지에 대해 중점적이고 도식적으로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론적 고찰에 따라 신부 이미지의 구성 요소를 크게 복장과 화장으로 나눌 수 있으며, 또한 신부는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정한 환경의 공간적 영향을 받으므로 이 세 가지 요소를 비교 논술했다. 또한 양국의 신부 이미지에 나타난 특징을 비교하여 양국 신부 이미지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고찰하고, 그 원인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결론에서는 연구를 정리하며, 오늘날 양국 신부 이미지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제시하고 근대 이후 신부 이미지를 변화시킨 특정한 힘들을 되짚어 보았다. 결론적으로 한국과 중국의 신부 이미지는 사회문화적 변천 과정에서 외래문화의 영향과 내부 정치적인 요인 그리고 양국 전통문화가 지닌 의미의 영향을 받아 발전하고 변화되어 오늘날에 이르게 되었다. 이 논문의 제한점은 한국과 중국의 약 100년에 걸친 혼례문화, 특히 신부 이미지라는 다각적인 시각에서 섬세하게 접근해야 하는 주제에 대해 도식화를 시도했다는 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과 중국의 차이를 비교적 관점에서 선명하게 기술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과감한 시도 역시 필요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미처 섬세한 접근과 분석이 진행되지 못한 요소들은 앞으로의 연구과제로 남기고자 한다.

      • 「형비포치(衡泌鋪置)」를 통해 본 서유구(徐有榘)의 향촌 공간 구상

        심명주 이화여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This paper aims to study Hyungbipochi (衡泌鋪置) included in Yiwunji of Imwon Gyeongjeji (林園經濟志) by Poongseok (楓石) Seo-Yugu (徐有榘: 1764-1845). Hyungbipochi means "the arrangement of a house in which a hermit lives" and is a piece of writing regarding living spaces in the countryside. Hyungbipochi is included in the first book of Yiwunji (怡雲志) in the 14th chapter of the Imwon Gyeongjeji. Yiwunji is the part that is related to the act of creating meaning from the two objectives of composing Imwon Gyeongjeji revealed by Seo Yugu, and is composed of content related to culture and art. Hyungbipochi is a text that describes the living spaces required for a scholar-bureaucrat to live in a country village. It includes attitudes and thoughts related to various issues of country living, and reflects Seo's concerns regarding his dwellings more than any other text included in Imwon Gyeongjeji as the text has the highest frequency being cited in his own work. The content related to living spaces in Hyungbipochi is divided into four sections: "Chongnon"(總論), "Wollimganso"(園林澗沼), "Jaeryojeongsa"(齋寮亭榭), and "Gwetammungu" (几搨文具). "Chongnon" provides an overview of country living and life. "Wollimganso" explores issues related to landscaping in a country residence. "Jaeryojeongsa" is an introduction to the various living spaces that he would like to establish in the country, and lastly, "Gwetammungu" describes the various methods of placing objects inside the established living space. As a whole, Hyungbipochi can be seen as a "comprehensive plan for living spaces" that considers the landscape surrounding the country residence, construction methods for structures, and even interior design. This paper summarizes the importance that Seo Yugu’s Hyungbipochi has as a "comprehensive plan for country living" in the following two points: First, the living spaces included in Hyungbipochi are important as they include various content through out the16 chapters of Imwon Gyeongjeji, and in the fact that they are integrated into the physical basis that is the country living space. Second, it has the advantage of revealing the concerns and aims of Seo regarding living, as Hyungbipochi is cited more than any other text from Imwon Gyeongjeji in his own writing of Geumhwa Gyeongdokgi. This paper examin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s included in Hyungbipochi and highlights aspects of country living devised by Seo based on the a forementioned fact that the living spaces included in Hyungbipochi have content from Imwon Gyeongjeji, and reveal Seo's concerns and aims as it contains a greater reflection of his opinions than any other parts of Imwon Gyeongjeji. Overall, this paper examines a space that Seo shared with country residents and others outside the private space in Hyungbipochi, and we refer to this space as a "shared-type country space." For more detailed discussion on the planning of the "shared-type country space," an examination was made on the basis by which Seo planned his country space and the life he aimed to live in that space. In addition, contemplation was made on the type of life he aimed to create within the country space. Although Hyungbipochi only makes up a tiny portion, a hundredth of Imwon Gyeongjeji, the research on living spaces in Hyungbipochi includes a broad amount of knowledge from Imwon Gyeongjeji and shows them within the space of a country village . In addition, it is an important piece that shows the "shared-type space" that Seo Yugu ultimately aimed to create in the countryside, along with a sense of country community to which he aspired. 이 논문은 「형비포치(衡泌鋪置)」의 향촌 주거 공간에 관한 연구이다. 「형비포치」는 풍석(楓石) 서유구(徐有榘, 1764∼1845)의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 제14지(志) '이운지(怡雲志)' 권1에 수록되어 있으며, ‘은자가 살아가는 집의 배치’라는 뜻으로 임원의 주거 공간에 관한 저술이다. 「형비포치(衡泌鋪置)」에 수록된 주거 공간에 관한 내용은 <총론(總論)>, <원림·간소(園林·澗沼)>, <재료정사(齋寮亭榭)>, <궤탑·문구(几搨·文具)> 네 부분으로 나뉘어 구성되어 있다. <총론>은 향촌 거주와 생활에 대한 전반적인 소개의 글이고, <원림·간소>는 향촌 거주지를 위한 조경과 관련된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재료정사>에서는 향촌에 구성하고자 하는 다양한 생활 공간에 대해 소개하며, 마지막 <궤탑·문구>에서는 조성된 주거 공간 내부에 기물을 배치하는 각양각색의 방법을 서술한다. 이렇게 볼 때, 「형비포치」는 향촌 주거지 주변의 조경, 건축물의 조영을 위한 방법과 내부 인테리어까지 배려한 ‘전면적인 주거 공간 구상’이라 볼 수 있다. 「형비포치」의 공간들은 조선의 산수와 환경에서 집을 짓고 사는 일에 대한 고민과 함께 건축과 조경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 향촌 사대부가 향촌 현실을 개선하고 삶을 영위하는 데 도움이 되는, 바꿔 말하면, 서유구가 찬술한 '임원경제지'에 담은 자신의 임원경영의 이상을 실현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의도를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서유구의 주거에 대한 고민과 성찰을 「형비포치」의 주거 공간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형비포치」가 나온 배경이 될 수 있는 조선 후기 주거 문화에 대한 검토를 거쳐 「형비포치」가 가진 구성의 특색이 무엇인지 살펴보고, 「형비포치」 구성이 갖는 체계적이고 포괄적이며 실용적인 성격을 알아보았다. 이어서 <총론(總論)>, <원림·간소(園林·澗沼)>, <재료정사(齋寮亭榭)>에 수록된 개별 주거 공간의 내용에 대한 고찰을 통해 서유구가 향촌 공간에서 염원하는 이상적 생활과 터전은 어떤 것인지 알아보고, 상상의 원림에 관한 글인 「장취원기」를 통해 서유구가 배운 이상적인 주거 환경을 조선에 실현하기 위해 서유구가 마련한 방안으로 울타리 조성법, 연못 조영법 등을 소개해 보았다. <재료정사>에서는 먼저 서유구의 독특한 심미 취향이 반영된 사대부의 문화 공간이 가진 의미를 알아보고, 이어서 주거 외부에 구성된 농업, 목축어업, 여성 방직업, 교육 공간, 출판 공간, 약실 등의 내용을 통해, 이들 공간이 향촌 구성원이 함께하는 공간의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제4장을 통해 본고에서는 제3장에서 논의한 내부의 문화 공간을 경화세족의 문화적 취향과 연관 지어 고찰하고, 본고에서는 공동체형 공간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명시하기 위해 향촌민들이 함께하는 공간의 의미로 ‘공유형(共有形) 향촌 공간’으로 명명하였으며, 서유구가 공유형(共有形) 향촌 공간을 구상하게 된 체험적 배경과 공간 구상을 통해 서유구가 향촌 생활 속에서 지향한 바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형비포치」가 '임원경제지'에서 차지하는 분량은 250분의 1 정도로 작으나, 「형비포치」에서 구상한 주거 공간은 서유구가 '임원경제지'에 담은 자신의 임원 경영의 구현 방안을 구체적으로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