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생용 외모수용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이민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appearance appreciation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is study conducted research through the following procedures. In research 1 for developing the scale, the body appreciation scale was translated. In addition to the translated version, items and a subscale were added based on the review of theoretical literature. The 64 items of preliminary scale were given to 418 college students. After item analyses, item-total correlation analyse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es, 29 items remained to constitute the final scale. As a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3 factors were yielded; internal appreciation of appearance, appearance appreciation at a social situation and appearance appreciation behaviors. The appearance appreciation scale had reasonable reliability, correlations between the subscale and construct validity. In research 2, this study verifi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final scale among 406 college student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 provided a good fit to the data. The results for reliability, correlations between the subscale and construct validity confirm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ppearance appreciation scale. This study developed and validated the appearance appreciation scale for college students which consisted of three factors and twenty-nine items. The appearance appreciation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suggest implications in that it measured not the overall, but the specific features of body image multi-dimensionally. Moreover, it considered the social cultural influence on the appearance appreciation and added the social factor, the appearance appreciation at a social situation. However, the appearance appreciation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for college students, so the validation of the appearance appreciation scale for other targets would be needed for further study.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신체이미지를 측정하는 다차원적인 외모수용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연구 1에서는 첫째, 외모수용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Tylka(2005)의 신체수용척도(BAS)를 번안하고 기존 요인들 외에 사회적 요인을 추가한 후,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각 요인별로 문항을 추가 제작하여 총 64개 문항의 예비 척도를 구성하였다. 둘째, 41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예비 외모수용 척도에 응답하게 한 자료에 대해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최종 3개 요인, 29개 문항이 산출되었다. 하위요인은 개인 내적 외모수용, 사회적 상황에서의 외모수용, 외모수용 행동으로 나타났다. 외모수용 척도의 신뢰도, 하위요인 간의 상관 및 구성 타당도는 적합하였다. 연구 2에서는 406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1에서 개발한 29개 문항 외모수용 척도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3개 요인 모형의 적합도 수준이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신뢰도와 하위요인간의 상관 및 구성 타당도 역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신체이미지를 측정하는 척도로 3개 요인, 29개 문항으로 구성된 외모수용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신체이미지에 대해 전반적인 측정이 아닌 타인에게 보이는 외모를 다차원적으로 측정하였고, 외모수용의 사회문화적 영향을 고려하여 ‘사회적 상황에서의 외모수용’이라는 사회적 요인을 추가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개발된 척도는 대학생들을 위한 도구이므로 추후 연구에서 다른 연령층 및 임상 집단을 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척도의 타당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돌봄의 조절효과

        진미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기돌봄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에 있는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 227명이었으며, 자료수집에는 개정판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 척도, 시간 부족 지각 척도, 신체적 자기지각(건강) 척도, 임상실습 스트레스 척도, 자기돌봄 척도, 아동상담자의 자기돌봄(전문적 도움 추구) 척도, 우울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를 연구 도구로 사용하였다.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는 우울 및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를 자기돌봄이 조절할 것이다. 셋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자기돌봄이 조절할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및 학업/진로 스트레스는 우울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학업/진로 스트레스는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자기돌봄의 하위요인인 일·휴식 균형유지 및 전문적 도움추구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본 연구는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스트레스에 대해서 연구했다는 것과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정신건강을 위해서 활용할 수 있는 자기돌봄의 중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a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 total of 227 counseling graduate students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completed Revised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RLSS-CS), Visual Deficit Perception, Physical self – Description Questionnaire(PSDQ; health), Clinical Practice Stress Scale, Professional Self-Care Scale for Korean Counselors, Self-Care Scale for Child Counselors(seeking professional help), Center for Epio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SWL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academic/career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and academic/career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care was not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nd lif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maintaining work–life balance and seeking professional help, which are subscale of self-care, was significa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tudied the stress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and provided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of self-care that can be used for mental health of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대인관계 인지왜곡과 외로움이 문제성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현승 계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대인관계 인지왜곡이 외로움을 통해서 문제성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스트레스 대처전략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구·경북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310명이었으며, 연구 도구는 대인관계 인지왜곡, 외로움, 스트레스 대처전략, 문제성 인터넷 사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인지왜곡과 문제성 인터넷 사용 간의 관계를 외로움이 매개할 것이다. 둘째, 대인관계 인지왜곡과 외로움 간의 관계가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의해 달라질 것이다. 셋재, 대인관계 인지왜곡이 문제성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로움의 매개효과가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의해 달라질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로움은 대인관계 인지왜곡과 문제성 인터넷 사용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전략 중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과 회피적 대처전략은 대인관계 인지왜곡과 외로움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 인지왜곡이 외로움을 통해서 문제성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영향을 문제해결중심 대처전략과 회피적 대처전략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문제성 인터넷 사용과 관련된 대인관계적 측면을 인지, 정서, 행동으로 세분화하여 다룸으로써 문제성 인터넷 사용에 대한 이해를 넓혔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s among interpersonal cognitive distortion, loneliness, and problematic internet use. 310 college students in Daegu·GyungBook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instruments include Interpersonal Cognitive Distortion Scale, Loneliness Scale, Coping Strategy Scale, and Problematic Internet Use Scale. The research hypothesises are as follows. First, loneliness will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gnitive distortion and problematic internet use. Second, coping strategies will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gnitive distortion and loneliness. Thrid, the mediating effects of loneliness in the effect of interpersonal cognitive distortion on problematic internet use will be moderated by the coping strategi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onelines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gnitive distortion and problematic internet use. Second, problem solving strategy and avoidant strategy of coping strateg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personal cognitive distortion and loneliness. Third, problem solving strategy and avoidant strategy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loneliness between interpersonal cognitive distortion and problematic internet use.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interpersonal aspect related to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expand knowledge of problematic internet use.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아동기 정서적 학대경험이 초기 성인기의 심리적 부적응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감사의 조절효과

        신유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ildhood emotional abuse on early adult psychological di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gratitude on the relations between emotional abuse and psychological distress, and between emotional abus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university students. For these purposes, a survey study and an experiment study were conducted. Study 1 examined the relations among emotional abuse, psychological distr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is study also examined whether these relations can be moderated by gratitude. Participants were 278 university students living in Daegu, Gyeongsangbuk-Do. They completed a series of questionnaires including the Emotional Abuse Questionnaire, the Psychological Distress Scale, the Interpersonal Problem Scale, the Gratitude Questionnaire-6 and the State Gratitude Questionnaire. The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abuse and the trait gratitude significantly affected psychological distr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results also revealed that the trait gratitude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abuse and psychological distress. When it comes to state gratitude, it moderated not only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abuse and psychological distress but also the relation between emotional abuse and interpersonal problems. Study 2 examined whether the gratitude intervention has an effect on positive change in psychological di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a high level of emotional abuse. Participants who agreed on this study were 34 students from the high emotional abuse group.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either to a gratitude journal group(treatment group) (n=18) or an experience journal group(control group) (n=16) and wrote a gratitude journal and an experience journal respectively everyday for two weeks. All the participants filled out the Psychological Distress Scale, the Gratitude Questionnaire-6 and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 once before they started writing journals and once after they finished it. As a result of the analyses, the psychological distress of the gratitude journal group decreased more significantly than that of the experience journal group; however, it was not the case with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aken together, emotional abuse experience has an effect on psychological distr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s shown in the fact that they were moderated by gratitude. To be specific, these results show that as for the group with a low level of emotional abuse, gratitude decreases their psychological distress and interpersonal problems. However, in the case of the group with a high level of emotional abuse, gratitude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m as much as on the low group.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ome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초기 성인기의 심리적 부적응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감사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사연구 및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1은 정서적 학대와 심리적 부적응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정서적 학대와 심리적 부적응 및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가 감사에 의해 조절되는지 확인하였다. 대구, 경북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278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정서적 학대 척도, 심리적 부적응 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 특성감사 척도, 상태감사 척도를 포함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정서적 학대와 특성감사는 심리적 부적응 및 대인관계문제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특성감사는 정서적 학대와 심리적 부적응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상태감사는 정서적 학대와 심리적 부적응 간의 관계, 그리고 정서적 학대와 대인관계문제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연구 2에서는 정서적 학대 경험이 높은 사람들에게 감사 개입이 심리적 부적응 및 대인관계의 긍정적인 변화를 나타내는지 확인하였다. 참가자는 정서적 학대 경험이 높은 사람들 중 이 연구에 동의한 34명의 대학생이었다. 참여자를 무작위로 감사일지집단(처치 집단) (n=18)과 경험일지집단(통제 집단) (n=16)으로 배치한 후, 2주 동안 감사일지 또는 경험일지를 매일 작성하도록 하였다. 일지쓰기 전후로 심리적 부적응 척도, 특성감사 척도, 대인관계변화 척도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감사일지집단이 경험일지집단보다 심리적 부적응은 완화되었지만, 대인관계는 긍정적으로 변화하지 않았다. 종합하면, 정서적 학대 경험이 심리적 부적응 및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사가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정서적 학대가 낮은 집단에서는 감사가 심리적 부적응과 대인관계문제를 완화시켜주지만, 정서적 학대가 높은 집단에서는 감사가 완충조절을 하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회복경험의 조절효과

        박선화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직무스트레스가 소진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및 직무열의의 관계에서 회복경험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에서 상담에 종사하는 상담자 18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자료들은 SPSS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인 상담역량 부족과 업무과다, 회복경험의 하위 요인인 휴식과 자기성취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의 하위 요인인 사회적 기대와 상담역량 부족, 회복경험의 하위 요인인 자기성취와 통제가 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회복경험은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 조절효과가 없었다. 넷째, 회복경험은 직무스트레스와 직무열의 간 조절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직무스트레스가 소진 및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회복경험이 각각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들은 상담자의 직무수행에서 회복경험의 중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recovery exper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burnout, and job engagement for counselors. One hundred and eighty-seven counselo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fill in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Counselor Job Stress Inventory Scale, the Burnout Scale, the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 and the Recovery Experience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rist, the subscales of deficiency of counseling capacity and excessive work in counselor job stress and the subscales of relaxation and mastery in recovery experience had positive effects on burnout. Second, the subscales of social expectations of counselors and deficiency of counseling capacity in counselor job stress and the subscales of mastery and control during leisure time in recovery experience had positive effects on work engagement.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job stress and burnout was not moderated by recovery experience.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job stress and work engagement was moderated by recovery experi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covery experience moderates differently, not only the relationship between counselor's job stress and burnout, but the association between counselor's job stress and work engagement too.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recovery experience for counselors.

      •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 부정적 해석과 부정적 정서의 매개효과

        윤귀연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 간에 부정적 해석과 부정적 정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구 · 경북 소재 기혼자 403명(남 126명, 여 277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성인애착 척도, 부정적 해석 척도, 부정적 정서 척도, 결혼만족도 관련 질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의 자료들은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의 회피차원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정적 해석은 성인애착의 불안차원 및 회피차원과 결혼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정적 정서는 성인애착의 불안차원 및 회피차원과 결혼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정적 정서는 부정적 해석과 결혼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애착의 불안차원과 회피차원이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정적 해석과 부정적 정서가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들은 부부치료나 부부상담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negative interpretation and negative emo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Participants were 126 married male and 277 married female living in Daegue or Kungbuk,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research, including the Adult Attachment Scale, Negative Interpretation Scale, Negative Emotion Scale, and Marital 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data was analyz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the AMOS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oidance level of adult attachment wa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among variables on marital satisfaction. Second, the relation between anxiety level and avoidance level of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were mediated by negative interpretation. Third, negative emotion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anxiety level and avoidance level of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Fourth, negative emotion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negative interpret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These results showed that negative interpretation and negative emotion mediated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useful information of couple therapy or marital counseling program.

      • 상담자의 직무 자율성과 전문성 개발 기회가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 : 소명 의식과 자기 효능감의 매개 효과

        진두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상담자의 직무 자율성과 전문성 개발 기회, 소명의식과 자기 효능감이 직무 열의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 직무 자율성, 전문성 개발 기회와 직무 열의의 관계에서 소명의식과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상담자 226명을 대상으로 직무 자율성, 전문성 개발 기회, 소명의식, 자기 효능감, 직무 열의척도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직무 자율성, 전문성 개발 기회가 직무 열의간의 관계에서 소명의식과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 방정식 모델과 Baron과 Kenny(1986)가 제안한 매개효과 검정절차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 자율성과 전문성 개발기회가 소명의식과 자기 효능감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 자율성과 전문성 개발기회가 직무 열의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명의식과 자기 효능감이 직무 열의에 정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무 자율성과 직무 열의의 관계에서 소명의식과 자기 효능감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문성 개발 기회와 직무 열의의 관계에서 소명의식과 자기 효능감이 부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직무 자율성과 전문성 개발 기회가 직무 열의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직무 자율성과 전문성 개발 기회가 직무 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소명의식과 자기 효능감이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상담자의 직무 열의를 높일 수 있는 상담자의 자원들에 대한 정도를 제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counselor’s job autonomy and opportunit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n job engagement,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s of calling and self-efficacy. Two hundred twenty six counselors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answered about job autonomy, opportunit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job engagement, calling and self-efficac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ith AMOS and the Baron and Kenny’s(1986) model were used for the analyse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First, job autonomy and opportunit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alling and self-efficacy. Second, job autonomy and opportunit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had an positive effect on job engagement. Third, calling and self efficacy positively influenced job engagement.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job engagement was partially mediated by calling and self-efficacy.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opportunit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job engagement was partially mediated by calling and self-efficacy. The main finding of the present study is that the mediating roles of calling and self-efficacy are important in the relation of job autonomy, opportunity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job engagement. These results might provide strategies for counselor’s resource management to enhance job engagement.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 이성관계에서 상대방에 대한 기대가 관계 만족도와 갈등해결 행동에 미치는 영향 :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

        이예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이성관계에서 상대방에 대한 기대와 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 상대방에 대한 기대와 갈등해결 행동 간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위해 설문연구 및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1은 기대와 관계 만족도, 기대와 갈등해결 행동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를 설문지 방식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고, 현재 이성교제 중인 남녀 305명을 대상으로 긍정적 기대, 부정적 기대, 관계 만족도, 갈등해결 행동, 거부민감성 척도를 포함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거부민감성은 긍정적 기대와 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둘째, 거부민감성은 부정적 기대와 관계 만족도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셋째, 거부민감성은 부정적 기대와 갈등해결 행동 중 회피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연구 2에서는 실험을 통해 관계 만족도, 기대와 관찰된 갈등해결 행동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커플 28쌍에게 갈등 주제를 정하도록 한 후,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대화를 하도록 하였다. 커플의 대화는 녹음되었고, 녹음 자료를 분석하여 갈등해결 행동을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거부민감성은 기대와 관계 만족도의 관계는 조절하였으나, 둘째 기대와 관찰된 갈등해결 행동의 관계는 조절하지 않았다. 종합하면, 상대방에 대한 기대와 관계 만족도에서는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가 대부분 유의하였으나, 상대방에 대한 기대와 갈등해결 행동에서 거부민감성의 조절효과는 거의 유의하지 않았다.

      • 성인애착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곤란과 공동대처의 매개효과

        서주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혼남녀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공동대처가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대한민국 전역에서 기혼자이며 결혼 기간 상관없이 이혼, 별거, 사별하지 않은 남녀 383명이었다. 연구 참여자는 성인애착척도, 정서조절곤란척도, 공동대처척도, 결혼만족도척도 질문지로 구성된 설문지에 온라인 및 오프라인으로 응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애착회피의 경우 완전 매개, 애착불안의 경우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공동대처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애착회피의 경우 완전 매개, 애착불안의 경우 부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혼남녀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공동대처의 순차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애착회피의 경우 정서조절곤란과 공동대처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완전 매개효과를, 애착불안의 경우 정서조절곤란과 공동대처를 순차적으로 경유하여 부분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기혼남녀의 성인애착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과 공동대처가 미치는 영향의 기제를 파악하고, 이후 상담 장면에서 개입 전략에 도움을 주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dyadic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riage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3 men and women who were married throughout the Republic of Korea and did not divorce, separate, or bereavement regardless of their marriage period.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responded online and offline to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dult attachment scale, emotional dysregulation scale, dyadic coping scale, and marriage satisfaction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attachment avoidance was fully mediated and attachment anxiety was partially mediated.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dyadic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attachment avoidance was fully mediated and attachment anxiety was partially mediated.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dyadic cop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en and women, it was confirmed that attachment avoidance ha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through emotional dysregulation and dyadic coping sequentially, and attachment anxie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emotional dysregulation and dyadic coping sequential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grasped the mechanism of the influence of emotional dysregulation and dyadic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en and women, and helped intervention strategy in the counseling scene afterwards.

      • 수퍼바이지 불안정 애착과 수퍼비전 작업동맹이 수퍼바이지의 개방에 미치는 영향 : 역할갈등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현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role conflict on the relationships among supervisee insecure attachment,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supervisee's disclosure. A total of 389 supervisees participated in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equired to fill in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Supervisory Nondisclosure Scale,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ies Scale, Supervision Working Alliance Inventory-Trainee version, Role Conflict Inventor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SP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ee insecure attachment and supervisee's disclosure. Second, role conflict moderated the effect of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on supervisee's disclosure. Third, role conflict moderated the mediating effect of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between supervisee insecure attachment and supervisee's disclosure. These results showed that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perform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of supervisee insecure attachment and supervisee's disclosure. In addition, role conflict plays a moder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and supervisee's disclosure, as well as playing a moderating role in the mediation model that supervisee insecure attachment influences supervisee's disclosure through supervisory working alliance. 본 연구는 수퍼바이지 불안정 애착이 수퍼비전 작업동맹을 통해서 수퍼바이지의 개방에 미치는 영향을 역할갈등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동일한 수퍼바이저에게 최근 1년 이내에 개인 수퍼비전을 받았거나, 현재 수퍼비전을 받고 있는 수퍼바이지 389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수퍼바이지 비개방, 수퍼바이지 애착 전략, 작업동맹 척도-수퍼바이지용, 역할갈등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2.0과 SPSS Macro를 사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순차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퍼비전 작업동맹은 수퍼바이지 불안정 애착과 수퍼바이지의 개방 사이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역할갈등은 수퍼비전 작업동맹과 수퍼바이지의 개방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퍼바이지 불안정 애착이 수퍼비전 작업동맹을 통해서 수퍼바이지의 개방에 미치는 영향을 역할갈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수퍼바이지 불안정 애착과 수퍼바이지의 개방 간의 관계에서 수퍼비전 작업동맹이 매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역할갈등은 수퍼비전 작업동맹과 수퍼바이지의 개방의 관계뿐만 아니라 수퍼바이지 불안정 애착이 수퍼비전 작업동맹을 거쳐 수퍼바이지의 개방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 모형에서 중요한 조절변인임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