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대학 교양체육 참여자의 자아효능감, BIG 5 성격특성, 운동동기 및 운동 패턴의 관계

        맹부범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15

        중국대학 교양체육 참여자의 자아효능감, BIG 5 성격특성, 운동동기 및 운동 패턴의 관계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 전공 맹부범 지도교수 서연희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양체육 참여자의 운동패턴, 자아효능감, 성격 특성, 운동동기 간의 구조적 관계를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구조 모형을 통해 자아 효능감과 운동 동기의 매개적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 성에 관한 자아 효능감, 성격 특성, 운동 동기 및 운동 패턴의 차이를 기반으로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를 더 쉽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 하북(河北)과 동북(东北)에 소 재한 대학의 교양체육 참여자 4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참여자의 자아효능감을 조사하고 운동동기, 성격특성, 운동패턴 사이 의 관계를 분석하였다.SPSS23.0와 EXCE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소 분석, 독립 표본 t 검증, 일원 분산 분석 및 상관 분석을 진행하였다. AMOS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확 인 요소 분석 및 경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대학 교양체육 참여자는 일반적 인구통계학 특성 요소의 차이는 성격적 특성 요소, 자아 효능적 요소, 운동 동기 요소 및 운동 패턴 요소에서의 차이를 생성하였다. 둘째, 성격 특성과 자아효능감의 선로 검증을 한 결과, 성격특성과 자아효능감 사이에는 정적 관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으며, 이를 통해 성격 특성이 두드러질수록 자아효능감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격 특성과 운동 동기의 선로 검증 결과에서는 성격 특성과 운동 동기 사이에는 정적 관계가 있고, 성격 특성과 자아효능감에서 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격 특성이 두드러질수 록 운동 동기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격 특성과 운동 패턴의 선로 검증을 한 결과에서는 성격 특 성과 운동 패턴 사이에는 정적 관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격 특성이 뚜렷할수록 운동 패턴의 특성 수준도 높은 것 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아효능감과 운동 패턴의 선로 검증을 한 결과에서는 자아 효능감과 운동 패턴 사이에서 정적 관계와 양의 상관 관계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고 자아효능감이 높을수록 운동 패턴의 특성 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아효능감과 운동동기 대한 경로검증 결과에서는 자아효능 감과 운동동기 사이에는 정적 관계가 있고, 자아효능감과 운동동기는 양의 상관관계 있으며, 자아효능감 수준이 높을수록 운동동기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운동동기와 운동패턴의 경로 검증결과 운동동기와 운동패턴 사이에는 정적 관계가 있기 때문에 운동동기와 운동패턴는 양의 상관 관계가 있다고 할 수 있고, 운동동기가 높을수록 운동패턴의 특성 수 준이 높아진다. 여덟째, 구체적으로 자아효능감은 성격특성과 운동패턴 사이에서 부 분적인 매개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서로 다른 성격 특성을 가진 중국 대학의 교양체육 참여자의 자아효능감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운동 패턴 수준을 강화시킬 수 있다. 아홉째, 운동동기 성격특성과 운동패턴 사이에서 부분적인 매개역할 을 한다. 즉 서로 다른 성격 특성을 가진 중국 대학의 교양체육 참여 자의 운동동기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운동 패턴 수준을 강화시킬 수 있다. 열째, 검증 결과에 따르면 자아효능감과 운동동기는 성격특성과 운 동패턴 사이에서 함께 다중으로 형성되는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다시 말해 서로 다른 성격 특성을 가진 중국 대학의 교양체 육 참여자들이 자아효능감과 운동 동기 수준을 향상시킴으로써 운동 패턴 수준을 강화할 수 있다. 위의 내용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할 수 있었다: 일반적인 인구통계학적 특성 요소, 성격 특성 요소, 자아효능감 요소, 운동 동 기 요소 등의 차이는 대학 교양체육 참여자의 운동 패턴 선택에 영향 을 미친다. 성격 특성, 자아효능감, 운동 동기, 운동 패턴 간에 서로 영향을 미쳤다. 성격적 특성이 높을수록 자아효능감 수준, 운동 동기 수준, 운동 패턴 수준이 높아졌다. 자아효능감 수준, 운동 동기 수준 이 높을수록 운동 패턴 수준도 높아졌다. 또한, 자아효능감 수준이 높 아지면 운동 동기 수준도 높아졌다. 자아효능감과 운동 동기는 대학 교양체육 참여자의 성격특성과 운동 패턴 사이에서 중요한 중객 역할 과 다중인 매개역할을 하였다. 이를 통해, 우리는 대학 교양체육 과정에서 참여자의 성격 특성 및 일반 인구학적 요소를 참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서로 다 른 성격적 특성을 가진 학생들은 적합한 효과가 있는 방법을 선택하 여 자아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대학 교양체육 참여자의 운 동 의향 수준, 운동 습관 수준 및 신체 활동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 었다. 최종적으로 대학생의 체력 수준을 향상시키고 운동에 대한 관 심을 가지게 하면서 효과적인 운동 사상을 확립시켜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xercise patterns, self-efficacy,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exercise motivation of participants in Chinese university liberal arts sports. And through a structural model, we tr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and exercise motivation. To this end, this study attempted to more easily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based on differences in self-efficacy, personality traits, exercise motivation, and exercise patterns regarding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To test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427 participants in liberal arts sports at universities in 河 and Northeast China to investigate the participants' self-efficacy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among exercise motivatio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exercise patterns.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EXCEL programs. Confirmation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the AMOS 23.0 program,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hinese university liberal arts sports participants created differences i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exercise motivation, and exercise pattern factors. Second, the track verification of personality traits and self-efficacy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personality traits and self-efficacy, and the more prominent personality trait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Third,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personality traits and exercise motivation, personality traits and self-efficacy, and the more prominent personality traits, the higher the level of exercise motivation. Fourth, the track verification of personality traits and exercise patterns show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personality traits and exercise patterns, and the clearer personality traits, the higher the level of characteristics of exercise patterns. Fifth, the line verification of self-efficacy and exercise pattern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 positiv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and exercise patterns, and the higher the self-efficacy, the higher the level of characteristics of the exercise pattern. Sixth,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and exercise motivation,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self-efficacy and exercise motivation,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the higher the level of exercise motivation. Seventh, there i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exercise motivation and exercise pattern because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among exercise motivation and exercise pattern, and the higher the exercise motiv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characteristics of the exercise pattern. Eighth, specifically, self-efficacy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among personality traits and exercise patterns. In other words, the level of exercise pattern can be strengthened by improving the level of self-efficacy of participants in liberal arts sports in Chinese universities with differen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Ninth, it plays a partial mediating role among exercise motivation personality traits and exercise patterns. In other words, the level of exercise pattern can be strengthened by improving the level of exercise motivation of participants in liberal arts sports in Chinese universities with differen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enth,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found that self-efficacy and exercise motivation play a mediating role among personality traits and exercise patterns. In other words, participants in liberal arts sports at Chinese universities with different personality characteristics can strengthen their level of exercise pattern by improving their self-efficacy and exercise motivation. From the above,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drawn: Differences in gener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elf-efficacy, and exercise motivation factors affect the choice of exercise patterns of university liberal arts sports participants. Personality traits, self-efficacy, exercise motivation, and exercise patterns influenced each other. The higher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exercise motivation, and exercise pattern.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and exercise motiv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exercise pattern. In addition, the higher the level of self-efficacy, the higher the level of exercise motivation. Self-efficacy and exercise motivation played an important role among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exercise patterns of university liberal arts sports participants. Through this, we can refer to participan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general demographic factors in the university's liberal arts and sports course. Students with different personality traits were able to improve their self-efficacy by choosing a method with appropriate effects, thereby improving the level of exercise intention, exercise habit, and physical activity of university liberal arts sports participants. Finally, it improved the physical strength level of college students and established effective exercise ideas by making them interested in exercise.

      • 대학 배드민턴 학생 선수가 지각된 코치 행동에 따른 지도자 신뢰 및 자기조절동기와 운동지속의 구조관계

        장현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coach behaviors, coach trust, self-regulation motivation, and sport continuous execution of badminton players in Hebei Province university, to valid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o construct a good coach-athlete relationship,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athletes' sport continuous execution.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606 college badminton athletes from Hebei Province, China, to analyze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coach behaviour, coach trust, self-regulation motivation, and sport continuous executio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23.0. Validating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conducted using AMOS 23.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e perceived coach behaviors of college athletes in Hebei province positively affected coach trust. That is, the more the perceived coach behaviors of college athletes match their own personality traits, the higher their trust in their coaches. Second, it was verified that the perceived coach behaviors of college athletes in Hebei province positively affected the sports continuous execution. That is, the more the perceived coach behaviors of college athletes match their own personality traits, the higher the sports continuous execution. Third, it was verified that the perceived coach behaviors of college athletes in Hebei Province positively affected the self-regulation motivation. That is, the more the perceived coach behaviors of college athletes match their own personality traits, the higher the self-regulation motivation. Fourth, it was verified that Hebei Province college athletes' trust in their coaches positively influenced sport continuous execution. That is, the more college athletes trusted their coaches, the higher the sport continuous execution. Fifth, it was verified that the self-regulated motivation of college athletes in Hebei Province positively influenced sports continuous execution. That is, the higher the self-regulation motivation of college athletes, the higher the sports continuous execution. Sixth, it was verified that coach behavior perceived by Hebei Province college athletes, were not only a direct influence on the continuous execution of the sport, but also that coach trust was an important variable between coach behavior and the continuous execution of the sport, which was verified to have a mediating role. Seventh, it was verified that self-regulation motivation is an important variant with a mediating effect between coach behavior and sports continuous execution. Eighth, it was verified that there was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coach behavior, instructor trust, self-regulation motivation, and sports continuous execution among college athletes in Hebei Province. Coach trust and self-regulation motivation played multiple mediating effects between coach behavior and sport continuous execution. When both coach trust and self-regulation motivation were high,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 behavior and sport continuous execution was positive. 本研究旨在查明河北省大学羽毛球运动员感知到的教练行为、教练员 信任、自我调节动机、运动持续行为之间的结构关系,验证变量之间的关 系,构建良好的教练-选手关系,为提高选手的运动持续执行提供基础资 料。 为此,对中国河北省606名大学生羽毛球运动员进行了问卷调查,分 析了教练行为、教练员信赖、自我调节动机和运动持续进行之间的结构模 型。采用SPSS23.0进行频率分析信度分析、探索性因子分析、相关性分析 和回归分析,采用AMOS23.0进行确证因子分析和结构方程模型分析。分 析结果如下。 第一,河北省大学生感知到的教练行为对教练员信任产生了积极影 响。也就是说,大学生感知到的教练行为自由性越高,对教练的信任就越 高。 第二,河北省大学生感知到的教练行为对自我调节动机产生了积极影 响。也就是说,大学生感知到的教练行为自由性越高,自我调节的动机就 越高。 第三,河北省大学生感知到的教练行为对运动持续执行起到了积极作 用。也就是说,大学生感知到的教练行为自由性越高,运动持续执行就越 高。 第四,河北省大学生的教练员信任对运动持续执行产生了积极影响。 也就是说,大学生越信任自己的教练,运动持续执行就越高。 第五,中国大学生的自我调节动机对运动持续执行产生了积极影响。 也就是说,大学生自我调节的动机越高,运动持续执行就越高。 第六,河北省大学生感知到的教练行为不仅是直接影响运动持续进行 的因素,而且指导信任是教练行为与运动持续进行之间的重要变因,被验 证具有媒介作用。 第七,自我调节动机被验证为教练行动和运动持续执行之间重要的变 因,具有媒介效果。 第八,河北大学生感知到的教练行为、教练信任、自我调节动机与运 动持续执行之间存在结构关系。教练信任和自我调节动机在教练行为和运 动持续执行之间起到多重媒介效果。教练的信任和自我调节的动机都很高 的时候,教练的行动和运动持续执行的关系可以说是积极的。 대학 배드민턴 학생 선수가 지각된 코치 행동에 따른 지도자 신뢰 및 자기조절동기와 운동지속의 구조관계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전공 장 현 지도교수 서연희 본 연구는 하북성 대학 배드민턴 선수들이 지각된 코치 행동, 지도 자 신뢰, 자기조정동기, 운동지속 간의 구조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 이다.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여 양호한 코치-선수 관계를 구축하여 선수의 운동지속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 하북성 대학생 배드민턴 선수 606명을 대상으로 설 문조사를 실시하여 코치 행동, 지도자 신뢰, 자기조절동기 및 운동지 속 사이의 구조 모형을 분석했다. SPSS 23.0을 사용하여 빈도 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 분석 및 회귀 분석을 수행했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은 AMOS 23.0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하북성 대학생들은 지각된 코치 행동이 지도자 신뢰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쳤음이 검증되었다. 즉, 대학생이 지각된 코치 행동은 자 유성이 높을수록 지도자 신뢰가 높다고 할 수 있다. 둘째, 하북성 대학생들이 지각된 코치 행동이 자기조절동기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쳤음이 검증되었다. 즉, 대학생들이 지각된 코치 행동 은 자유성이 높을수록 자기조절동기가 높다는 것이다. 셋째, 하북성 대학생들이 지각된 코치 행동이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이 검증되었다. 즉, 대학생들이 지각된 코치 행동은 자 유성이 높을수록 운동지속이 높다는 것이다. 넷째, 하북성 대학생들의 지도자 신뢰가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쳤음이 검증되었다. 즉, 대학생들이 자기의 코치를 신뢰할 수록 운동지속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다섯째, 중국 대학생들의 자기조절동기가 운동지속에 긍정적인 영 향을 미쳤음이 검증되었다. 즉, 대학생들의 자기조절동기가 높을수록 운동지속이 높아진다는 것이다. 여섯째, 하북성 대학생들이 지각된 코치 행동은 운동지속에 직접적 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일 뿐만 아니라 지도가 신뢰가 코치 행동과 운동지속 사이에 중요한 변인(變因)으로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 증되었다. 일곱째, 자기조절동기는 코치 행동과 운동지속 사이에 중요한 변인 (變因)으로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여덟째, 하북성 대학생들이 지각된 코치 행동, 지도자 신뢰, 자기조 절동기와 운동지속 간에 구조 관계가 있다. 지도자 신뢰와 자기조절 동기는 코치 행동과 운동지속 간에서 다중매개효과를 작용한다. 지도자 신뢰와 자기조절동기가 모두 높을 때 코치 행동과 운동지속의 관계가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주요어: 대학생 선수, 코치 행동, 지도자 신뢰, 자기조절동기, 운동지속

      • 중국 성인 에어로빅 참여자의 스포츠 자신감이 생활만족도 및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주원초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에어로빅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스포츠자신감, 심리적 행복감 그리고 생활만족도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들 변인 간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중국 톈진시에 있는 헬스클럽에서 에어로빅에 참여한 성인을 대상으로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이 가운데 불성실하게 응답한 15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75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 통계프로그램 SPSS 25.0을 이용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t-test, 상관관계 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에어로빅 참가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스포츠자신감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참여자들의 성별, 연령, 참여 빈도, 참여 시간, 참여 기간에 따라 스포츠 자신감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에어로빅 참가자들의 스포츠자신감이 높을수록 심리적 행복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에어로빅 참여자들의 스포츠자신감이 높을수록 개인의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심리적 행복감이 강할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에어로빅 참가자들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그들의 스포츠자신감과 심리적 행복감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에어로빅 참가자들의 심리적 행복감과 스포츠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참여자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과 같은 방안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confidence, mental health,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erobics participants an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se variable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dults who participated in aerobics at a fitness club in Tianjin, of which 275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and 15 questionnaires with untrue responses were excluded. In this regard, SPSS 25.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hypotheses, and the hypotheses were verifi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exercise confidence was found to vary b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erobic participants. Specifically, exercise confidence was found to differ by gender, age, frequency of participation, duration of participation, and participation time of participants. Second, higher exercise confidence was found to be associated with higher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aerobic participants. Thir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xercise confidence of aerobics participants,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such a study,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is:It is suggest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life satisfaction of aerobics participants, their sport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can be improved.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sport self-efficacy of aerobics participa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to improve the self-efficacy of participants.

      • 중국 청소년 태권도 수련자의 심리적 안녕감이 자아존중감과 운동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흠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소년 태권도 수련자의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과 운동몰입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중국 장쑤성(江蘇省)의 각 지역에 있는 청소년 태권도 수련자 302명을 선정하였다. 조사 자료의 분석방법으로 SPSS 25.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일원분산분석,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태권도 수련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성별, 수련기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과 운동몰입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환경에 대한 지배력; 운동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몰입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련기간에 따른 심리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성장, 자아수용, 환경에 대한 지배력과 자아존중감의 하위요인인 부정적 자아존중감; 운동몰입의 하위요인인 인지몰입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태권도 수련자의 심리적 안녕감이 자아존중감과 운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태권도 수련자의 자아존중감이 운동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의 심리적 안녕감, 자아존중감과 운동몰입 향상을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태권도 수련에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교육청, 학교, 태권도수련기관 등 다양한 교육기관의 교육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and exercise commitment of adolescent taekwondo practitioners. 302 youth taekwondo practitioners in each region of Jiangsu Province, China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urvey. Independent sample t-test,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one-way varia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for Windows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o analyze the survey data. Results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and exercise commitment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training period) of youth taekwondo traine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trol of the environment, which is a sub-factor of exercise commitme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al growth, self-acceptance, control over the environment, and negative self-esteem, which ar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well-being according to training period, and cognitive immersion, which are sub-factors of exercise immer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youth taekwondo trainees affects self-esteem and exercise commitment. Third, it was found that the self-esteem of youth taekwondo trainees affects exercise commitment.  In conclusion, active participation in Taekwondo training is needed as a way to improve teenagers' psychological well-being, self-esteem, and athletic commitment, and it is expected to be useful as basic data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s of various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education offices, schools, and Taekwondo training institutions.

      • 중국 청소년 테니스선수의 스트레스 대처가 심리상태 및 운동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장목연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국의 청소년 테니스선수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처 심리상태 및 운동 경기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연구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적인 표집은 중국 고등학교 테니스선수를 대상으로 자발적인 참여 의사를 밝힌 320명을 목적표집 하였다. 분 석방법은 SPSS Version 21.0 프로그램을 통하여 빈도분석 및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하였다. 또한 t-검정, 요인 분석, 일원 변량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테니스선수의 인구 통계적 변인(성별, 경험, 학년)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심리상태 및 운동 경기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훈련 경력에 따른 심리기술 수준 차이 분석에서는 위기관리, 코치 믿음이 연습 시간이 길수록 연습 시간이 짧은 선수 보다 확률이 높게 나차났다. 둘째, 청소년 테니스 선수의 스트레스 대처(신체적 요인, 원인규명요인, 보상요인, 망각요인, 대화요인)가 심리상태(불안조절, 각성 조절, 목표설정, 자신감, 위기관리, 주의력집중, 코치 믿음) 과 운동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 테니스선수의 심리상태가 운동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dentify the psychological state of coping with stress and its impact on athletic performance among adolescent tennis players in China.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purposive sample of 320 Chinese high school tennis players who volunteered to participate was se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21.0 program for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factor analysis for validation,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stress coping, psychological state, and athletic performance of adolescent tennis player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experience, and grade level) were not significant, and the differences in stress by gender showed that the male group had a higher mean value than the female group,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nd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skill levels according to training experience showed that players with more practice time were more likely to panic than players with less practice time. Second, it was found that adolescent tennis players' stress coping (physical, compensatory, causal, conversational, and forgetting) influenced their psychological state (arousal control, anxiety control, goal setting, crisis management, confidence, attention, and coach trust) and athletic performance.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state of adolescent tennis players influenced their athletic performance.

      • 중국 탁구선수들의 자기관리가 스포츠 수행전략, 스포츠 자신감,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조상기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탁구선수들의 인지된 경기력을 촉진하는 선행변수를 찾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인지된 경기력의 선행요인으로서 중국 탁구선수들의 자기관리와 스포츠 수행전략, 스포츠 자신감이 인지된 경기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고, 자기관리와 인지된 경기력 간의 관계를 스포츠 수행전략 및 스포츠 자신감의 매개역할을 탐색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 탁구선수들을 대상으로 2022년 12월 2일부터 12월 2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550부를 배포하여 523부가 회수되어, 이 가운데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40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483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가설을 검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탁구선수들의 자기관리가 높을수록 스포츠 수행전략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관리 수준이 높을수록 탁구선수의 스포츠에 대한 자신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탁구선수의 자기관리가 높을수록 인지된 경기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스포츠 수행전략이 스포츠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탁구선수의 스포츠 수행전략이 인지된 경기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여섯째, 탁구선수의 스포츠 자신감의 인지된 경기력을 촉진시킬 수 있다. 일곱째, 스포츠 수행전략 및 스포츠 자신감은 자기관리와 인지된 경기력 간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자기관리가 인지된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자기관리가 스포츠 수행전략과 스포츠 자신감을 통해 인지된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자기관리가 인지된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둘째, 본 연구결과는 체육 및 운동선수들이 자기관리를 통해 인지된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antecedents of perceived performance among Chinese table tennis players. Specifically, this study analyzed how Chinese table tennis players' self-management,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and sports confidence as antecedents of perceived performance affect perceived performance, and explored the mediating role of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and sports confi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In order to achieve these research goal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mong Chinese table tennis players from March 3 to March 23, 2023. A total of 5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523 were returned, of which 483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40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responses. SPSS 26.0 and the Amos26.0 program were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higher levels of self-management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port performance strategies among Chinese table tennis players. Second, higher levels of self-management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sport confidence among table tennis players. Third, the higher the table tennis players' self-management, the higher their perceived performance. Fourth, sport performance strategi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port confidence. Fifth, table tennis players' sport performance strategies can promote perceived performance. Sixth, table tennis players' sport self-confidence can promote perceived performance. Seventh, sport performance strategies and sport self-confid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management and perceived performance.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tributes to ou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through which self-management influences perceived performance. Specifically, this study showed that self-management can enhance perceived performance through sport performance strategies and sport confidence. This provides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to better explain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on perceived performance.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provide guidance to help athletes and athletes improve their perceived performance through self-management. 本研究的目的是探讨中国乒乓球运动员感知到的成绩的前因.具体来说,本研究分析了中国乒乓球运动员的自我管理,运动表现策略和运动信心作为感知表现的前因是如何影响感知到的成绩,并探讨了运动表现策略和运动信心在自我管理和感知到的成绩之间的中介作用. 为了实现这些研究目标,我于2022年12月2日至12月23日对中国乒乓球运动员进行了问卷调查.共发放了550份问卷,收回了523份,在排除了40份回答不真实的问卷后,有483份被用于最终分析.我们还是用了SPSS26.0和Amos26.0软件来分析收集的数据. 分析的结果如下:首先,我们发现,在中国乒乓球运动员中,较高的自我管理水平与较高的运动表现策略水平有关.第二,较高的自我管理水平与乒乓球运动员较高的运动信心水平有关.第三,乒乓球运动员的自我管理水平越高,他们感知到的成绩就越高.第四,运动表现策略被发现对运动信心有积极影响.第五,乒乓球运动员的运动表现策略可以促进感知到的成绩.第六,乒乓球运动员的运动自信心可以促进感知到的成绩.第七,运动表现策略和运动自信心在自我管理和感知到的成绩之间起到中介效果. 基于这些结果,本研究的意义如下.首先,本研究有助于我们理解自我管理对感知到的成绩的影响机制.具体来说,本研究表明,自我管理可以通过运动表现策略和运动信心来提高感知到的成绩..这为更好地解释自我管理对感知到的成绩的影响提供了一个重要的理论基础.其次,本研究的结果可以为帮助运动员和选手通过自我管理提高感知到的成绩提供指导.

      • 중국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 운동 자기효능감,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제진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대학생들의 사회적지지, 운동 자기효능감과 운동몰입 및 운동지속의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중국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와 운동 자기효능감, 운동몰입, 운동지속의도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변수들 사이에 직·간접적 인과관계가 존재하는지를 검증하여 중국 대학생의 신체적·정신적 건강 개선과 운동지속의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국 산둥성, 장쑤성, 광둥성, 헤이룽장성에 소제한 8개 대학교 대학생 55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531부가 회수되었고, 불성실하게 응답한 31부를 제외하고, 총 500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를 독립변수로, 운동 자기효능감, 운동몰입, 운동지속의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SPSS 26.0과 Amos 23.0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분석, 독립 표본 t-검정, 일원 분산분석, 사후 검정(post-hoc),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사회적 지지의 차이는 연령, 학년 및 주간 운동 횟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1세-22세” 대학생보다 “18세 이하”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높고, 대학교 3학년보다 대학교 1학년의 사회적 지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3회, 주4회, 주5회 이상 운동하는 대학생이 주 1회 운동하거나 운동을 하지 않는 대학생보다 사회적 지지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운동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연령, 학년 및 주간 운동 횟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1세-22세”, “23세 이상” 대학생보다 “18세 이하”, “19세-20세” 대학생의 운동 자기효능감이 높고, 대학교 3학년, 4학년보다 대학교 1학년, 2학년의 운동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주간 운동 3회, 4회, 5회 및 이상을 하는 대학생의 주 1회 운동하거나 운동을 하지 않는 대학생보다 운동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몰입과 운동지속의도도 연령, 학년, 주간 운동 횟수에 따라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중국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가 운동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국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가 운동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국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가 운동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 대학생들의 운동 자기효능감이 운동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국 대학생들의 운동 자기효능감이 운동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중국 대학생들의 운동몰입이 운동지속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운동 자기효능감과 운동몰입이 대학생들의 사회적 지지가 운동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연속매개역할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research model based on a prior study of the correlations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exercise self-efficacy, exercise commitment and exercise intention to sustain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o identify the correlations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exercise self-efficacy, commitment to exercise and intention to sustain exercise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o further verify the existence of direct and indirec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an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improvement of physical fitness and intention to sustain exercise among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o this end, 552 university students from several universities in China were selected and the data were validated to analyze a final sample of 500 student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post-hoc tes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mos validation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ere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Amos 23.0 software with perceived social support as the independent variable and exercise self-efficacy, commitment to exercise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ing as the dependent variables. A brief summary of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is presented below. First, differences in perceived social support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and number of sports per week. Specifically,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higher for younger groups than for older groups, higher for first-year university students than for third-year university students, and higher for students who exercised three, four and five times per week than for those who exercised once a week or not at all. The results on exercise self-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grade and number of exercises per week. Exercise self-efficacy was higher among younger university students compared to older groups. Exercise self-efficacy was higher in the 1st and 2nd years of university than in the 3rd and 4th years of university. College students who exercised three, four and five times a week or more perceived more social support than those who exercised once or twice a week or did not exercise. Commitment to exercise and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ing also differed significantly by age, year and number of times exercised per week. Seco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self-efficacy. Thir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to exercise. Fourth,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intention to continue exercising. Fifth, Chinese university students' exercise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commitment. Sixth, Chinese university students' exercise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commitment. Seventh, Chinese college students' exercise commit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persistence intention. Eighth,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commitment play a chain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on exercise self-efficacy among college students. 本研究的目的是以中国大学生感知到的社会支持,运动自我效能感,运动投入及运动持续意图的相关关系的先行研究为基础,设定研究模型. 为查明中国大学生感知到的社会支持, 运动自我效能感, 运动承诺及运动持续意愿之间的相关关系,进一步验证变量之间是否存在直接和间接的因果关系,为中国大学生身体健康和运动持续意图的提高提供基础资料. 为此,选定了中国多所高校的552名大学生,经过数据验证,最终对500份样本进行了分析. 本研究以大学生感知到的社会支持为自变量,以运动自我效能感, 运动承诺及运动持续意愿为因变量,通过SPSS 26.0和Amos 23.0软件进行了描述性统计分析,独立样本T检验,单因素方差分析,事后检定,探索性因子分析,Amos验证性因子分析,结构方程模型分析. 对研究的主要结果进行简要整理如下. 第一,根据人口统计学特征对感知到的社会支持,差异结论显示, 在年龄,年级和周运动次数上有显著差异. 具体来说,年龄小的群体感知到的社会支持高于年龄大的群体;大学1年级的大学生感知到的社会支持高于大学三年级; 每周运动三次,四次和每周运动五次以上的大学生比每周运动一次或者不运动的大学生感知到的社会支持更多. 对运动自我效能感的结果显示,在年龄,年级和周运动次数上有显著差异. 和年龄大的群体相比,年龄小的大学生的运动自我效能感高. 大学1,2年级的运动自我效能感比大学3,4年级的高. 每周运动三次,四次和每周运动五次以上的大学生比每周运动一两次或者不运动的大学生感知到的社会支持更多. 运动承诺和运动持续意图同样在在年龄,年级和周运动次数上有显著差异. 第二,中国大学生感知到的社会支持对运动自我效能感有正向影响. 第三,中国大学生感知到的社会支持对运动承诺有正向影响. 第四,中国大学生感知到的社会支持对运动持续意愿有正向影响. 第五,中国大学生运动自我效能感对运动承诺有正向影响. 第六,中国大学生的运动自我效能感对运动持续意愿有正向影响. 第七,中国大学生运动承诺对运动持续意愿有正向影响. 第八,运动自我效能感和运动承诺在大学生感知到的社会支持对运动自我效能感的影响中起到链式中介效果.

      • 중국대학 농구선수의 지도자신뢰와 자기관리, 운동몰입, 경기력의 관계

        유호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599

        중국대학 농구선수의 지도자신뢰와 자기관리, 운동몰입, 경기력의 관계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체육학전공 유 호 지도 교 수 서연 희 본 연구는 중국대학 농구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지도자신뢰와 자기관리, 운동몰입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농구발전에 실증적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국대학 농구선수들이 지각한 지도자신뢰가 자기관리, 운동몰입 및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관 리와 운동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중국 후난성, 후베이성, 광동성, 광시좡족자치구, 저장성 등 5개 지 역에 소재한 10개 대학교에 소속된 농구선수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통 해 총 540부를 배포하여 506부가 회수되었다. 불성실한 응답을 보인 14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492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를 위해 SPSS 26.0과 Mplus 8.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와 타당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 적인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대학 농구선수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학년, 농구경력, 운동강도)에 따른 지도자신뢰, 자기관리, 운동몰입, 경기력 에서 현저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지도자신뢰가 높을수록 자기관리 를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도자신뢰가 높을수록 운동몰 입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도자신뢰가 높을수록 경기력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자기관리를 잘 할 수록 경기력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기관리를 잘 할수록 운동몰입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운동 몰입이 높을수록 경기력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지도자신뢰와 경기력의 관계에서 자기관리가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홉째, 지도자신뢰와 경기력의 관계에서 운동몰입 이 부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관리와 운동몰입은 지도자신뢰와 경기력의 관계에서 연속매개효과가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농구선수의 지도자신뢰가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 즘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지도자에 대한 신뢰가 자기관리를 촉진하고 운동몰입 향상을 통해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 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는 지도자신뢰가 경기력에 미치는 영 향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는 중요한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둘째, 본 연구결과는 지도자들이 운동선수를 관리하고 성실성과 리더능력을 보여준 중요성을 강조하고 지도자신뢰는 경기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 움이 되는 지침을 제공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contribute to theory development by providing empirical information on leader trust, selfmanagement, and sports commitment in order to improve the athletic performance of Chinese college basketball players. To this end, the effects of leader trust on self-management, sports commitment, and performance and the mediated effects of self-management and sports commitment were analyzed among Chinese college basketball players. In order to collect data,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in May 2023 and the current survey was conducted in June among basketball players belonging to 10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five provinces of China, including Hunan, Hubei, Guangdong, Guangxi Zhuang Autonomous Region, and Zhejiang. A total of 54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506 were recovered out of which 492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except 14 questionnaires which were answered dishonestly. SPSS 26.0 and Mplus 8.3 programs were used for data proces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d feasi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arrive at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esting the hypothes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hinese college basketball players in terms of leader trust, self-management, sport commitment, and performance across gender, age, grade, basketball experience, and sport intensity. Second, the higher the leader trust, the better the self-management. Third, the higher the leader trust, the higher the level of sport commitment. Fourth, the higher the leader trust, the higher the level of performance. Fifth, the better the self-management, the higher the level of performance. Sixth, the better the self-management, the higher the level of sport commitment. Seventh, the higher the level of sport commitment, the higher the level of performance. Eighth, self-management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trust and performance. Nin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trust and performance, sports commitment played a partial mediating role. Finally, self-management and sports commitment had a continuou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der trust and performance. Through the above finding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epens the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s by which leader trust affects performance in basketball players. In particular, this study showed that leader trust positively affected performance by promoting self-management and increasing sport engagement. This provides an important theoretical basis for better explaining the effects of leader trust on performance. Second,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highlight the importance of leaders managing athletes and demonstrating conscientiousness and competence, providing guidance on how leader trust can improve performance.

      • 중국 초등학교 댄스스포츠 참여자의 성취목표가 운동동기 및 신체적 자존감에 미치는 영향

        유용승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국 댄스스포츠 훈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성취목표, 운동동기, 신체적 자존감 간의 구조관계를 규명하는 데 본 연구의 연구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참여자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취목표, 운동동기, 신체적 자존감의 차이를 연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변수간의 구조적 관계를 더 깊이 파악하고자 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중국 허베이성, 저장성 및 기타 지역의 댄스스포츠 훈련에 참여하는 초등학생 33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참여자들의 성취목표, 운동동기, 신체적 자존감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 검정,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단일 요인 분석 및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댄스스포츠 훈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수들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댄스스포츠 훈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성취목표가 신체적 자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되었다. 즉, 성취목표가 높을수록 참여자들이 감지하는 신체적 자존감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중국 댄스스포츠 훈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성취목표가 운동동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되었다. 즉, 성취목표가 참여자들의 운동동기가 높일 수 있다. 넷째, 중국 댄스스포츠 훈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운동동기가 신체적 자존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되었다. 즉, 운동동기가가 높을수록 참여자들의 신체적 자존감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종합해 보면, 중국 댄스스포츠 훈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성취목표가 높을수록 느끼는 운동동기, 신체적 자존감이 높아진다. 결론적으로 댄스스포츠 훈련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신체적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 성위목표와 운동동기를 높이는 방안 및 전략을 모색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lucid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 goals, motor motivation and physical self-esteem among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dance training in China.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articipants' perceptions of achievement goals, motor motivation and physical self-esteem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n this basis, to gain further insight into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To test this hypothesi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20 primary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dance training in Hebei and Zhejiang, China,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ticipants' achievement goals, motivation to exercise and physical self-esteem. Frequency analysis, t-test,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one-way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are presented below. Firstly, there are variables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Chinese physical dance training. Secondly, the achievement goal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Chinese physical dance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body esteem. That is, the higher the achievement goal, the higher the perceived body esteem of the participants. Thirdly, the achievement goals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Chinese physical dance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motivation. That is, achievement goals increased participants' motivation. Fourthly, the motivation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Chinese DanceSport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body esteem.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motivation, the higher the participants' body esteem. Taken together, the higher the achievement goals of the students participating in Chinese physical dance training, the higher the perceived motivation and body esteem. It was concluded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body esteem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dance training, programmes to increase sexuality goals and motivation could be developed.

      • 대학 운동선수 자기-대인관계적 정서조절, 스포츠 도덕적 이탈이 도덕적 행동간의 관계 : 사회정보처리이론을 중심으로

        서호명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사회정보처리 이론을 바탕으로 중국 대학생 운동선수들의 운동 상황에서의 도덕적 행동을 고찰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대학생 운동선수의 자기-대인관계적 정서조절(정서과정), 스포츠 도덕적 이탈(잠재적 심리구조)과 현재 상황 실시간 사회정보처리의 역할 관계를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운동 상황에서 사회정보 처리의 정서-인지 통합 모형이 대학생 운동선수의 도덕적 행동에 대한 예측과 해석 역할을 검증하였다. 자료 수집은 중국 광둥성 대학생 선수들을 대상으로 확률적추출방법을 적용해 총 613부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이 중 답변이 불완전하고 규칙적으로 답변한 무효설문지 26부를 제외한 대학생 선수 587명의 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SPSS24.0과 AMOS23.0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증, Kmeans 클러스터 분석, 단일요인검증 및 Scheffe 사후 검증, 상관관계 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Kmeans 클러스터 분석을 이용해 공격그룹, 친사회 그룹, 일반그룹 3개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정서조절 전략의 차이점을 검증한 결과, 내부영향 악화와 외부영향을 받아 악화의 2가지 전략에서 친사회적 그룹과 일반 그룹보다 공격그룹이 높은 점수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영향 개선, 외부영향을 받아 개선과 외부 영향 개선은 3가지 전략 중 친사회적 그룹이 일반 그룹보다 점수가 높았고, 공격그룹은 일반 그룹보다 높았으며 친사회적 그룹은 공격그룹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영향 악화전략에 대하여 일반 그룹이 친사회적 그룹보다 점수가 높으며, 공격그룹은 일반 그룹과 친사회적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사회정보처리 단계별 차이 점검 결과 공격그룹의 적대적 귀인, 공격적 목표선택, 공격적 반응생성 및 공격적 반응의 긍정적 평가는 친사회적 그룹과 일반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일반 그룹의 공격적 반응생성과 공격적 반응의 긍정 평가는 친사회적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의 차이 검증 결과 공격그룹의 비인간화, 책임 전가, 유리한 비교, 책임분산, 재해석 행동, 결과왜곡의 점수가 친사회적 그룹과 일반 그룹보다 현저히 높았고, 일반 그룹의 결과왜곡 점수가 친사회적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대학생 운동선수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사회정보처리에 단계별로 직접적·간접적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단서해석(적대적 귀인), 목표 명료화(공격적 목표선택), 반응 탐색(공격적 반응생성)에 정(+)적 영향을 미치고, 반응 평가(공격적 반응에 대한 긍정적 평가)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단서해석을 경유하여 목표 명료화와 반응 탐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목표 명료화를 경유하여 반응 탐색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단서적 해석과 목표를 다중매체로 설정해 반응 탐색에 간접 효과가 나타났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반응 탐색을 매개로 반응 결정에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단서해석과 목표생성과 반응 탐색을 다중 매개로 반응 결정에 간접 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운동선수 정서조절은 사회정보 처리에 단계별로 직접·간접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직접 효과는 내부영향 개선, 외부영향을 받아 개선, 외부영향 개선은 목표 명료화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내부영향 개선은 반응 탐색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영향 악화, 외부영향을 받아 악화, 외부영향 악화는 목표 명료화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외부영향을 받아 악화와 외부영향 악화는 반응 탐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서해석은 내부영향 악화, 외부영향을 받아 악화, 외부영향 악화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효과에 있어서 단서해석은 내부영향 악화, 외부영향을 받아 악화, 외부영향 악화 것을 매개로 목표 명료화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가지 정서조절 전략은 각각 목표 명료화를 매개로 반응 탐색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영향 개선, 외부 영향을 받아 악화, 외부영향 악화를 주기는 각각 반응 탐색을 매개로 반응 결정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가지 정서조절 전략은 각각 목표 명료화와 반응 탐색을 다중 매개로 추출해 반응 결정에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생 운동선수들의 자기정서조절, 스포츠 도덕적 이탈, 사회정보처리와 스포츠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의 구조적 관계에 따르면 내부영향 개선은 사회정보처리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영향 악화는 사회정보처리와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정보처리는 친사회적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사회정보처리와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영향 개선과 내부영향 악화는 사회정보처리를 매개로 스포츠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영향 악화와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사회적 정보 처리를 매개로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간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생 운동선수들의 대인관계적 정서조절, 스포츠 도덕적 이탈, 사회정보처리와 스포츠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의 구조적 관계에서 4가지 대인관계적 정서조절전략은 모형에서의 역할효과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모형1. 외부 영향을 받아 악화는 사회정보 처리와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영향을 받아 악화는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정보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모형2. 외부 영향을 받아 개선은 사회정보 처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스포츠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또한 외부 영향을 받아 개선하여 사회정보 처리를 매개로 스포츠 친사회적 행동에 간접 효과를 나타낸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사회정보 처리를 매개로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3. 외부 영향 악화를 사회정보 처리와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스포츠 친사회적 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영향 악화의 스포츠 친사회와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정보처리 과정을 통하지 않는다. 스포츠 도덕적 이탈이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사회정보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는다. 모형4. 외부 영향 개선은 것은 사회정보 처리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스포츠 친사회적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영향 개선과 스포츠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사회정보처리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 영향 개선과 스포츠 도덕적 이탈은 사회정보처리를 매개로 스포츠 반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운동 환경에서 대학생 운동선수의 사회정보처리 과정은 정서조절과 도덕적 이탈에 영향을 받는다. 서로 다른 유형의 정서조절 전략이 모형에 포함됐을 때 대학생 선수들의 도덕적 행동에 대한 예측과 해석이 달라진다는 것이 확인 되었다. Based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ral behavior of Chinese college athletes in sports situations. Firstly, it expou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athletes' self-interpersonal emotion regulation (emotional process) and sport moral disengagement (potential psychological structure), and onlin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On this basis, it is verified that the emotional-cognitive integration model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in sports situations can predict and explain the moral behavior of college athletes. A random sampling method was used for data collection, and 61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college athletes in Guangdong Province, China. Among them, 26 invalid questionnaires with incomplete answers and regular answers were excluded, and finally, the survey data of 587 college athletes were analyzed. Using SPSS24.0 and AMOS23.0 for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Kmeans cluster analysi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Scheffe post-hoc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study ca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use Kmeans cluster analysis to obtain three groups of categories, namely aggressive group, prosocial group, and general group. The difference test result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showed that in the two strategies of affect-worsening ESR and receiving affect-worsening IER, the score of the aggressive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rosocial group and the general group. Among the three strategies of affect-improving ESR, receiving affect-improving IER, and Affect-improving IER, the prosocial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general group, the aggressive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general group, and the prosocial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aggressive group. For the affect-worsening IER strategy, the comparison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prosocial group, the aggressive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general group, and the aggressive group scored higher than the prosocial group. The results of the difference test of each step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showed that the hostile attribution, aggressive target selection, aggressive response generation, and positive evaluation of aggressive response in the aggressiv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the prosocial group and the general group, and the aggressive response in the comparison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Positive ratings of generative and aggressive respon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prosocial group. The difference test results of sport moral disengagement showed that the scores of dehumanization, nonresponsibility, advantageous comparison, attribution of blame, conduct reconstrual, and distorting consequences of the aggressiv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prosocial group and the general group. And the distorting consequences score of the gener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prosocial group. Seco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results of each step of sport moral disengagement and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of college athletes show that sport moral disengagement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terpretation of cues (hostile attribution), clarification of goals (aggressive goal selection), and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 Aggressive response generation) had a positive (+) effect. The direct impact on response decision (positive evaluation of aggressive response) was insignificant. sport moral disengagement uses the interpretation of cues as an intermediate variable, which has indirect effects on clarification of goals and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sport moral disengagement is mediated by the clarification of goals, and the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has an indirect effect. sport moral disengagement uses the interpretation of cues and clarification of goals as multiple media and has an indirect impact on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sport moral disengagement is mediated by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which indirectly affects response decision. sport moral disengagement uses the interpretation of cues, clarification of goals, and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as multiple mediators, which have indirect effects on response decision. Thir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results of college athletes' emotion regulation on each step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show that affect-improving ESR, receiving affect-improving IER and Affect-improving IER all have negative (-) effects on the clarification of goals. affect-improving ESR has a negative (-) effect on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affect-worsening ESR, receiving affect-worsening IER, and affect-worsening IER all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clarification of goals, receiving affect-worsening IER and affect-worsening IER have a positive (+) effect on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The interpretation of cues has a positive (+) effect on affect-worsening ESR, receiving affect-worsening IER, and affect-worsening IER. In terms of indirect effects, interpretation of cues is mediated by affect-worsening ESR, receiving affect-worsening IER, and affect-worsening IER, which indirectly affect the clarification of goals. The clarification of goals mediated the six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had indirect effects. affect-improving ESR, receiving affect-worsening IER, and affect-worsening IER are mediated by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which indirectly affect response decision. The six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use clarification of goals and response access or construction as multiple mediators, which indirectly affect response decisions. Fourth,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of college athletes' self-emotion regulation, sport moral disengagement,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ports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 show that affect-improving ESR has a negative (-) effect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a positive (+)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affect-worsening ESR had a positive (+) effect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ports antisocial Behavior.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has a negative (-) effect on sports prosocial behavior and a positive (+) effect on sports antisocial behavior. sport moral disengage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ports antisocial Behavior. affect-improving ESR and affect-worsening ESR mediate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have indirect effects on sports prosocial behavior. affect-worsening ESR and sport moral disengagement mediated by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have indirect effects on sports antisocial behavior. Fift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results of interpersonal emotion regulation, sport moral disengagement,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ports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 of college athletes are shown. Model 1, receiving affect-worsening IER, has a positive (+) effect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ports antisocial Behavior. The effect of receiving affect-worsening IER on sports antisocial behavior is not through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2, receiving affect-improving IER, has a negative (-) effect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a positive (+) effect on sports prosocial behavior. And receiving affect-improving IER uses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s an intermediary, which indirectly affects sports prosocial behavior. sport moral disengagement uses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s a medium to have indirect effects on sports antisocial Behavior. Model 3, affect-worsening IER, has a positive (+) effect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sports antisocial behavior and a negative (-) effect on sports prosocial behavior. The effect of affect-worsening IER on sports prosocial and antisocial behavior is not through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The effect of sport moral disengagement on sports antisocial behavior is not through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4, Affect-improving IER, has a negative (-) effect on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nd a positive (+) effect on sports prosocial behavior. The effect of Affect-improving IER on sports prosocial behavior is not through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Affect-improving IER and sport moral disengagement have indirect effects on sports antisocial behavior by mediating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Based on the above, it can be seen that in the sports environment, college athletes'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process will be affected by emotional regulation and sport moral disengagement. When different types of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re incorporated into the model, they have different predictive and explanatory effects on the moral behavior of college athlet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