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mprovement of Institutional Framework for Sustainable Wastewater Management in Lao PDR

        Phankham MONGPHACHAN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All organizations require policy and strategic planning for development. The institutional policy determines th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management and governance. The transparency and clear institutional policy are an important tool for social, economic,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also wastewater management. This study examines the appropriate institutional policy that should be directed to achieve sustainable wastewater management in Lao PDR. For this purpose, the existing institutional framework of wastewater treatment was evaluated, and challenges of wastewater management were identified. Besides, the criteria for appropriate policy to achieve sustainable wastewater management were identified. And lastly, experts’ opinions on the solution to the challenges of wastewater were analyzed to suggest strategies for sustainable wastewater management in Lao PDR. This study used two data sources which are i) primary data from the interview method, ii) secondary data from reviewing articles, books, journals, and papers regarding the existing policy, roles, and function of the institution responsible for wastewater management. The interview finds the strategy, policy, laws, regulations, rules, and guidelines on wastewater need to be developed and revised and drawn up as tools to carry out this sector, all legislation must be strict, enforceable, and have measured as a tool for such managemen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that particular policies and legislation on wastewater management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irst, the coordination in terms of institutions and policy between ministries responsible for wastewater management needs to be strengthened. Second, the existing policy, regulations, legislation, and institutional framework regarding wastewater management should be more widely disseminated to all government stakeholders, including the private sector and public acceptance/awareness, to guarantee the exact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Lastly, all relevant agencies should clearly define their roles and duties for the policymaker, implementation, operational management, regulations, and coordination should be identified and specified across all responsible agencies. 모든 기관은 개발을 위한 정책 및 전략적 계획이 필요하다. 제도적 정책은 관리 및 거버넌스의 실효성과 효율성을 결정한다. 투명성과 명확한 제도적 정책은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지속가능성 및 폐수 관리를 위해 중요한 도구로 활용된다. 본 연구는 라오스에서 지속가능한 폐수 관리를 위해 지향되어야 하는 적절한 제도적 정책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폐수 처리에 대한 기존의 제도적 틀을 평가하고 폐수 관리에 대한 도전과제를 파악하였다. 또한, 지속가능한 폐수 관리를 위한 적합한 정책 기준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폐수 관련 도전과제의 해결책에 대한 전문가들의 의견을 분석하여 라오스의 지속가능한 폐수 관리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i) 인터뷰 방법에서 도출된 1차 데이터, ii) 폐수 관리를 담당하는 기관의 기존 정책, 역할 및 기능에 관한 기사, 서적, 저널 및 논문을 검토한 2차 데이터를 포함한 두 가지 데이터소스를 활용했다. 인터뷰를 통해 폐수에 대한 전략, 정책, 법률, 규정, 규칙 및 지침이 해당 부문을 수행하기 위한 도구로 개발, 수정 및 작성되어야 하고, 모든 법률은 엄격하고 집행 가능해야 하며 이를 관리하기 위한 도구로 측정을 해야 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연구 결과는 폐수 관리에 대한 특정 정책과 법률이 고려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첫째, 폐수 처리를 담당하는 부처 간 제도 및 정책적 공조가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폐수 관리에 관한 기존 정책, 규정, 법률 및 제도적 틀을 모든 정부 이해 관계자뿐 아니라 대중의 수용/인식을 위해 민간 부문 및 대중에게 널리 전파하여 동일한 수준의 이해도와 시행이 보장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정책 입안자, 시행, 운영 관리, 규제 및 공조에 대한 역할 및 책임이 모든 관계 기관에 걸쳐 명확하게 규명되고 구체화되어야 한다.

      • 녹지 면적과 기온의 비교분석을 통한 서울시 도시공원계획의 고찰 : 기후변화 대응을 중심으로

        이초현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se days, 2022, In the era of in the face of the climate crisis, the world is setting common global goals such as carbon neutrality and sustainable development to reduce global temperature by 1.5℃ and promoting various policies and plans by country and city. Seoul, the capital of the Republic of Korea, is also continuing to promote urban planning and policies to deal with climate change. Therefore, in this study, intuitively analyzed how the securing of green spaces for climate changes responses is related to the reduction of urban heat islands. In addition, after selecting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green spaces, implications were drawn through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urban park plan of Seoul.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reen area index and the heat island related index was analyzed bas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of the green area and extreme temperature using ArcGIS Pro.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green area index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xtreme temperature. In particula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green cover area and green cover rate with extreme temperature was -0.68(p=0.000), showing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green space and temperature in the city, and a total of 9 indicators related to green space were comprehensively sorted out to select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as autonomous districts with weak green spaces in this study. In addit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check whether the actual satisfaction level of each autonomous district corresponds to this result, and the two autonomous districts showed low values ​​in terms of satisfaction as well. Accordingly, this thesis suggested that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desperately need to secure green areas. Afterwards, the 「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and the 「Comprehensive Pla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were reviewed to review the park and green area expansion plans for Dongdaemun-gu and Yeongdeungpo-gu. In the「2030 Seoul Parks and Green Space Master Plan」 there were plans to expand parks in Dongdaemun-gu(4.35%) and Yeongdeungpo-gu(3.87%), So this thesis emphasized that the policy to expand parks and green areas should be pursued as planned by 2030. In addition, Suggest that the park creation plan using idle land, which is being promoted to resolve the imbalance in underprivileged areas in the 「Comprehensive Plan for Response to Climate Change」, should be implemented first for the above two autonomous districts. 2022년 현재 전 세계는 기후 위기 시대를 맞아, 지구 온도 1.5℃ 저감을 위한 탄소중립, 지속가능한 발전 등과 같은 세계 공동목표를 세우고 국가별·도시별로 다양한 정책과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수도인 서울 또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계획과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녹지 확보가 도시열섬 저감에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직관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녹지 취약 자치구를 선정하여 서울시의 도시공원계획을 고찰한 결과를 통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먼저, ArcGIS Pro를 이용하여 녹지와 극한 기온의 공간 분포 분석을 바탕으로 녹지 지표와 열섬 관련 지표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녹지 지표가 극한 기온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별히 녹피면적 및 녹피율이 극한 기온과 갖는 상관계수는-0.68(p=0.000)로 나타나 강한 음의 상관성을 가졌다. 이에, 도시 내 녹지와 기온이 상관관계가 있다고 판단하였고, 총 9개의 녹지 지표를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동대문구와 영등포구를 본 연구의 녹지 취약 자치구로 선정하였다. 아울러 실제 자치구별 만족도가 이 결과에 상응하는지 확인하고자 비교분석을 하였고, 두 자치구는 만족도 측면에서도 저조한 값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동대문구와 영등포구는 녹지 확보가 절실히 필요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이후,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과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을 고찰하여 동대문구와 영등포구에 해당하는 공원녹지 확충 계획을 검토하였다. 「2030 서울시 공원녹지 기본계획」에서는 동대문구(4.35%), 영등포구(3.87%)로 공원확충 계획이 있었기 때문에, 2030년까지 계획대로 공원녹지를 확충하는 정책을 추진해야 함을 강조한다. 또한,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의 공원 소외지역 불균형 해소를 위하여 추진하고 있는 유휴지를 활용한 공원 조성계획은 위 두 자치구를 대상으로 최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함을 제언하는 바이다.

      • The analysis of the urbanization impacts on flood risks based on urban growth, case of the City of Kigali-Rwanda

        Fidele Tuyisenge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Due to rapid urbanization and climate change, Kigali has experienced severe flooding, followed by gully erosion, which has been the country's major problem. Although sound and diverse policies and action plans have been developed, the problem persists. This study tried to explain the concept of flood management and gully erosion control in urban areas. Data collection applied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through focus group discussions, interviews, and field observations to assess the causes of flooding and gully erosion in the city of Kigali. The study examined the rate of urban growth in Kigali, both in built-up areas and population growth, and used the statistical package R-studio to test a correlation between household and gully erosion. Likewise, projections were made to understand the financial and environmental impacts of urban growth, including the cost of reinstatement for both current and future gullies. The study concluded that anthropogenic activities, poor spatial planning, global climate change, and management challenges were to blame for floods in the City of Kigali. According to this view, Kigali's urban populations have a strong need for housing, and the housing stock is largely made up of single-unit, one-story houses that are 99% covered in iron sheets. This, combined with roads, has resulted in increased built-up areas and increased imperviousness, resulting in highly runoff and flooding since the 2000s. High runoff eroded the soil, resulting in gullies that grew exponentially. It provides a holistic approach to flood management from the spatial planning stage to anthropogenic activities control, helping to for decision making in planning especially land use planning to reduce existing hazard risk and prevent creation of future risk. Along with that, based on the results of flood and gully erosion causes analysis, the study proposes flood and gully management optio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키갈리는 급격한 도시화와 기후 변화로 심각한 홍수와 우곡 침식을 겪어 왔는데, 이는 르완다의 심각한 문제다. 여러 적절한 정책과 실행 계획이 개발되었음에도 문제는 지속되고 있다. 이 연구는 도시 지역의 홍수 관리와 우곡 침식 통제의 개념을 설명하고자 한다. 데이터 수집에서는 키갈리시의 홍수와 협곡 침식의 원인을 평가하기 위해 포커스 그룹 토론, 인터뷰 및 현장 관찰을 통한 정성적, 정량적 접근 방식을 모두 적용했다. 이 연구는 키갈리의 도시 성장률(건축 면적과 인구 증가율 모두)을 조사하고, 통계 패키지 R-studio를 사용하여 가구와 우곡 침식 사이의 상관관계를 테스트했다. 마찬가지로 현재 및 향후 협곡 복원 비용 등 도시 성장의 재정적, 환경적 영향을 이해하기 위한 예측을 수행했다. 이 연구는 인위적 활동들, 부실한 공간 계획, 전 지구적 기후 변화, 관리 문제가 키갈리시의 홍수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 관점에 따르면, 키갈리의 도시 인구는 주택에 대한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는데, 주택 재고의 대부분은 99%가 철판으로 덮인 단층 주택이다. 이것이 도로와 결합해 건축 면적을 증가시키고 불투수성을 증가시키면서 2000년대 이후 높은 유출과 홍수가 발생했다. 높은 유출수로 인해 토양이 침식되어 우곡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했다. 이 연구는 공간 계획 단계에서 인위적 활동 통제에 이르기까지 홍수 관리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 방식을 제공함으로써, 기존 위험을 줄이고 향후 위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토지 이용 계획에 대한 의사 결정에 도움을 제공한다. 이 연구는 또한 홍수 및 계곡 침식 원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한 홍수 및 토양 침식 관리 방안을 제안한다.

      • The evaluation of Membrane Aerated Biofilm Reactor (MABR) for wastewater treatment plant from user experiences, a case study in Sihanoukville Province, Cambodia

        Sokvasey Oum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효율적인 폐수처리 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혁신적인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연구는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 위치한 민간기업인 X-Water Technology가 축적한 사용자 경험을 바탕으로 ‘막 폭기 생물막 반응기 (Membrane-Aerated Biofilm Reactor, MABR)’ 기술을 평가하고자 했으며, 에너지 중립적인 도시 폐수 처리를 위한 최신 MABR방법을 제시했다. 이 연구는 세 가지 주요 목표를 제시했다. 첫째, 사용자가 생각하는 MABR의 주요 혜택 파악, 둘째, MABR의 도전과제와 이를 해결하는 방법 모색, 마지막으로 MABR을 지속 가능하게 하는 방법에 대한 전문가와 이해관계자의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 연구는 다양한 관련 문서를 검토하는 정성적 방법을 통해 수행되었다. MABR 기술을 적용했거나 그에 대한 경험이 있는 자격을 갖춘 전문가, 엔지니어, 컨설턴트, 이해관계자가 얼마나 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사전 설문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반 구조화된 심층 인터뷰를 실시했다. 그 결과, 현재 위에서 언급한 기술을 담당하고 있는 민간기업은 X-Water Technology뿐이다. 프놈펜과 시아누크빌로부터 X-Water Technology의 관리자 1명과 엔지니어 5명이 이 연구에 참여했다. 결과에 따르면 다른 기술과 비교하여 MABR은 안정적인 결과를 제공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며 작은 공간을 차지하면서도 처리용량이 높다는 점에서 장점이 단점보다 크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이 기술이 신기술인 만큼 이에 대한 기술 전문가나 엔지니어가 충분하지 않은 부분은 지적하였다. 따라서 역량 강화 및 인적 자원 교육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한계는 참여자 수가 적다는 것이다. 향후 연구에는 더 많은 조직과 엔지니어가 포함될 수 있다. The increasing need for efficient wastewater treatment systems is driving the development of innovative technologies. A state-of-the-art membrane-aerated biofilm reactor (MABR) method for energy-neutral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was presented in this research aiming to evaluate MABR technology based on user experiences from X-Water Technology private company in Sihanoukville, Cambodia. This research indicated three key objectives: the first one was to identify what users believed to the main benefits of MABR, while the second part was about its challenges and how to address them and the final one was to explore experts and stakeholder perceptions of how to make MABR sustainable. Th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qualitative method, which involved reviewing various relevant documents.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employed, utilizing pre-survey method to see how many qualified experts, engineers, consultants, or stakeholders who were involved or had experiences in MABR technology. As a consequence, there is only one private company called X-Water Technology Company that has been currently in charge of the above-mentioned technology. One manager and five engineers from X-Water Technology company in Phnom Penh and Sihanoukvill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 that, comparing to other technologies, MABR’ s advantages outweigh its disadvantages by providing stable results, saving energy, small footprint with high treatment capacity. The study, however, indicates that this technology is new, so there is not enough technical experts or engineers working in this field. Building up capabilities and providing training for human resources in wastewater fields are consequently essential to take into consideration. The limited number of people who took part in the study is one of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research. For a recommendation for future research, more organizations and engineers could be involved.

      • Assessment of the effect of drought prediction on future water needs in Algeria : case study of Djelfa region

        Khaled Homida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Djelfa is the capital of the Algerian steppe cities. Where it mediates the steppe region and is characterized by economic, geographical and urban growth; Therefore, high demand for water. The availability of water resources is affected by the irregular rainfall,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bserved regionally and globally, in addition to the loss and waste of water in the distribution networks. All these factors led to over-exploitation of groundwater. It is the only and primary source for a variety of uses. Unfortunately, continuous and irrational exploitation has caused water scarcity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water level, which has led to many environmental and other problems in various sectors. The Djelfa region's water shortage is a result of the drought that the city has experienced over the previous 20 years, as well as climate change, population growth, and other factors. To better manage these water resources and close the gap between the shortage and increasing demand. The procedure of transferring water from nearby dams, building medium- and small-sized dams, and using unconventional resources are the only solutions. It prompted us to create another possibility for the participation of treatment facilities and water transfer operations from nearby dams. This scenario's larger size allows us to postpone the transition to the deficit. 젤파(Djelfa)는 알제리 초원 지대 도시들의 주도이다. 초원 지역을 매개하기 때문에 경제적, 지리적, 도시적 성장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물 수요가 많다. 수자원의 가용성은 불규칙한 강우량, 지역적·세계적 기후변화의 영향, 수자원 분배망에서의 손실 및 낭비의 영향을 받는다. 이 요소들이 원인이 되어 지하수가 과도하게 개발되었다. 젤파에서 지하수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유일하고 주요한 수자원이다. 불행히도 지하수가 비합리적인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개발되면서, 물 부족이 발생하고 수위가 크게 감소하며 여러 분야에서 환경 및 기타 문제가 발생했다. 젤파 지역의 물 부족은 지난 20년간의 가뭄, 기후변화, 인구증가, 기타 요인이 작용한 결과다. 수자원 관리를 개선하고 물 부족과 수요 증가 사이의 격차를 해소할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은 인근 댐에서 물을 끌어오고, 중소형 댐들을 건설하고, 비전통 자원을 사용하는 것이다. 이는 인근 댐의 처리 시설과 물 수송 작업 참여라는 또 다른 가능성도 창출한다. 이 시나리오의 큰 규모를 통해 물이 부족해지는 사태를 미룰 수 있다.

      • An Appraisal of Public Private Partnership for Effective Mi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 A Case Study of Abuja

        OBASOGIE, Osamuyimwen Uyi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MSWM) has become a contemporary urban issue for most developing countries. Traditionally, the management of Solid Waste in most countries is restricted to the public sector. However, the inefficiency of the public sector to successfully discharge this essential responsibility coupled with the high urbanization growth rate and increase in disposable income has necessitated the need to develop, new pragmatic and alternative models for managing Municipal Solid Waste (MSW). In Abuja, Federal Capital Territory (FCT) of Nigeria, the Abuja Environmental Protection Board (AEPB) is the agency of the government statutorily responsible for collecting, categorizing and disposal of Solid waste in the FCT. However, due to several factor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Abuja unplanned population growth, reduction in the budgetary allocation of the agency, and the typical lackadaisical attitude of the public sector, the agency has not been fulfillment of this mandate, and this resulted in the government exploring the option of the Public-Private Partnership model to enhance the collection, transportation and disposal of Solid Waste in some districts within the city since June 2004. The extent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inciples for successful PPP implementation in Abuja,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application of MSWM under the PPP approach, and further analyze the performance and effectiveness of the PPP approach in terms of service quality and output of SWM in the 18 districts where the application is in use in the Federal Capital City in Abuja. In order to achieve the aims of the research, the study leveraged on existing literature and official reports from the agency responsible for waste management within the city; it divided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into three: personal interviews, direct observation and questionnaire survey. The personal interview was utilized to explore detailed responses information from the AEPB experts with between 5 to 20 years’ experience in managing the PPP SWM in some districts within the city. The direct observation was used to generate a current pictorial situation of waste management within the districts while the questionnaire method was used to gather information from the populace who had been residing, for at least ten years, within the communities under both the PPP management approach and the conventional public sector management approach. The result of the personal interview with the residents in the Penthouse Estate revealed amongst others that there is not enough level of awareness amongst the residents, the contractors don’t give prompt attention to customer’s complaints, and they also don’t wear protective gears while discharging their responsibilities. The government needs to do more on sensitization and orientation of the public, and also effective monitoring of the activities of the contractors within the districts. The result of the personal interview with the AEPB experts showed that the government had not been effectively fulfilling its obligations as at when due to the contractors and obviously, the lack of funds and bureaucracy in the Government service has further worked against the programme. The result of the direct observation showed that there is a low rate of waste collection which often results in the overflowing of the waste bins and indiscriminate dumping of refuse by residents. The study showed that the AEPB needs to be more responsive in regulating the activities of the contractors in order to generate the confidence of the residents in the scheme. The study recommends amongst others that AEPB needs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contract and ensure that contract terms are clear and specific. There is also a need for the public and private partners to give priority to capacity building in terms of human capital development and procurement of functional equipment for useful waste collection. The AEPB should also do more to monitor and regulate the activities of the contractors while also working with them to ensure the citizens are made aware of the programme. Keywords: Public Private Partnership,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PPP, Service Quality, Abuja Environmental Protection Board. 최근 전 세계적 동향과 역동적인 변화로 인해 도시 경관과 삶의 공간이라는 도시의 정의가 활동 공간(activities container)으로 재정립되고 있다. 한편, 도시의 급격한 변화를 따라갈 여력이 불충분한 사회 계층도 존재한다.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은 고형 생활 폐기물 관리(Municipal Solid Waste Management, MSWM) 문제에 당면해 있다. 전통적으로 고형 폐기물의 관리는 대부분 공공 부문으로 한정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필수적인 책무를 수행하기에 불충분한 공공 부문의 효율성과 높은 도시화 속도 및 가처분 소득의 증가가 맞물려 MSWM 관리를 위한 새롭고 실용적인 대안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나이지리아의 수도인 아부자(Abuja)에서는 정부 기구인 아부자환경보호위원회(Abuja Environmental Protection Board, AEPB)가 연방 수도에서의 고형 폐기물 수거, 분류 및 폐기 업무를 맡고 있다. 그러나 아부자의 비계획적인 인구 증가와 AEPB의 예산 부족 및공공 부문의 전형적인 나태한 태도 등의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AEPB는 이러한 책무를 이행하지 못해 왔다. 이에 따라 정부는 지난 2004년 6월부터 시내 일부 지구에서의 고형 폐기물 수거, 운반 및 폐기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민관 제휴(Public-Private Partnership, PPP) 모델을 강구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아부자에서의 성공적인 PPP 이행을 위한 원칙을 식별하고, PPP 접근 방식 하에서의 MSWM 실태를 조사하는 한편, 연방 수도인 아부자에서 PPP가 적용되고 있는 18개 지구를 대상으로 고형 폐기물 관리(SWM, Solid Waste Management)의 서비스 품질 및 산출물 측면에서 PPP 접근 방식의 성과와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 자료와 AEPB 의 공식 보고서를 활용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개인 면담, 직접 관찰 및 설문 조사의 세 단계로 나누어 진행했다. 개인 면담을 통해서는 PPP 하에서의 SWM에 5~20년 정도의 경험이 있는 AEPB 전문가로부터 세부 정보를 조사했다. 직접 관찰을 통해서는 대상 지구 내에서 이루어지는 폐기물 관리의 현황을 파악하는 한편, 설문 조사를 통해서는 대상 지역(PPP 관리 체계가 적용되는 지역 및 전통적인 공공 부문 관리 지역)에서 10년 이상 거주해 온 사람들로부터 정보를 취합했다. 특히 고급 주거지인 펜트하우스 거주자들과의 개인 면담에서는 거주민의 인식 수준이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업자들은 고객의 불만 제기에 즉각적인 관심을 보이지 않았으며 작업 수행 시 보호 장구도 착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시민들의 관심 유도 및 계도와 더불어 대상 지구 내에서 이루어지는 폐기물 업자들의 활동에 대한 모니터링에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AEPB 전문가와의 개인 면담에서는 정부가 의무를 효과적으로 이행하지 못해 왔으며 처리 업자의 불충분한 대응과 자금 부족, 그리고 정부 내의 관료주의가 프로그램의 성공에 걸림돌이 되어 온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직접 관찰을 통해서는 폐기물 수거율이 낮아 쓰레기통이 넘쳐나고 거주민이 쓰레기를 무분별하게 버리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조사 결과 제도에 대한 거주민의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AEPB가 처리 업자의 활동 규제에 대한 대응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AEPB가 계약 품질을 개선하고 명료하고 구체적인 계약 조건을 보장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다. 또한 민관 제휴 시에 인적 자본 개발 측면에서의 역량 구축과 효과적인 폐기물 수거를 위한 기능성 장비의 도달에 우선 순위를 둘 필요가 있다. 아울러 AEPB는 처리 업자와 협력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시민의 인식을 제고하는 한편 이들 업자에 대한 모니터링과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 키워드: 민관 제휴, 성공적인 PPP 이행, 서비스 품질, 아부자 환경보호위원회

      • Identification of urban resilience drivers in cities under extreme weather : analysis of adaptive strategies of Rotterdam and Singapore City

        Anhar Ammar Boudjelal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Cities are facing increased challenges of heavy rainfalls, stretching droughts, heat waves and sea level rise risks. Due to the changing weather patterns, extreme weather events have become more frequent and intense causing infrastructures failures and affecting settlement vulnerability. In response, many cities in the world shifted their stormwater management into more holistic approach of integrated water urban cycle by using Blue Green infrastructures as multifunctional and creative design to strengthen the existing engineering infrastructures and increasing their resilience. As resilient design is the visible part.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what make a city resilient under extreme weather events? and have a deep understanding of drivers of urban resilience. Rotterdam and Singapore were selected as case studies in this Thesis to get insights from their practical experiences. by using an in-depth analysis of their adaptive strategies and relevant literature review a new conceptual framework has been developed putting forward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thinking and the underpinning systems to resilient design in creating water robust systems towards resilient citie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knowledge to city mayors, water managers, urban planners on how to put into practice the concept of resilience when designing adaptive strategies to extreme weather events. 도시는 강우량 증가, 가뭄 심화, 폭염 및 해수면 상승과 같은 기후 문제에 직면하고 있다. 변화하는 기후 양상으로 인해 기상 이변(극한 기후)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하여 인프라 실패를 야기하고 거주지 취약성에 영향을 미쳐 왔다. 전 세계 도시들은 이에 대응하여 청색 및 녹색 인프라를 기존의 공학적 인프라를 강화하여 복원력을 증대하는 다기능적이고 창의적인 수단으로 활용함으로써 폭우 관리를 통합 도시 물 순환이라는 보다 종합적인 접근 방식으로 전환해 왔다. 복원성 설계는 가시적인 부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극한 기후 환경 하에서 도시의 복원력을 강화할 방안을 강구하고 도시 복원성의 동인을 보다 심층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른 도시들의 실무적인 경험으로부터 통찰을 얻기 위해 로테르담과 싱가포르를 사례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도시의 적응적 전략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관련 자료의 검토를 통해 견고한 물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여 복원성이 있는 도시를 건설함에 있어 복원성 사고(Resilience thinking) 및 기반 시스템이 갖는 중요성을 제안하는 새로운 개념 체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의도는 시장, 물 관리 책임자, 도시 계획 책임자를 대상으로 악천후에 대한 적응적 전략을 수립할 때 복원성 개념을 실천하는 방법에 관한 지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 스마트도시기반시설 기성시가지내 적용 방안 : 정비사업을 중심으로

        황성식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Based on the global low growth trend,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the need to efficiently solve urban problems, and growing demand for urban development,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competing to formulate policies and implement projects to create smart cities. However, domestic smart city policies have yet to reflect the real conditions throughout the region as they have been pushed by the central government, or public, centered on the new towns and large-scale projects. In a built-up city, the smart city policy focuses on existing infrastructure, such as roads, waterworks, sewerage and parks, which form the urban core. For small-scale projects for re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there is no real plan for smart city solutions and services. The study aims to develop and install the smart city infrastructure that can be introduced when implementing rearrangement projects in neighborhood and neighborhood districts, the smallest unit of urban living. For this study, we first set the concept of infrastructure for rearrangement projects and smart city infrastructure by using theoretical approach, and analyzed the amount of public contribution by calculating the amount of "Smart Paul Setup" operated by Seoul City among smart city infrastructure to contribute to floor area ratio incentives. As a premise for this study, we conducted expert interviews to confirm the assurance of the public nature concerning the installation of private smart city infrastructure. Based on such research, the following study results and suggestions have been drawn up by the project with floor area ratio incentives to introduce smart infrastructure. First, the use of the smart city infrastructure should also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public facilities as specified in the urban plan as clearly defined in the National Land Planning Act. For "intelligent facilities" as defined in the Smart City Act, the infrastructure as defined in the National Land Planning Act is included, but not all infrastructure is included in the public facilities. It is not specified except for the Smart Integrated Operation Center, so clearly it needs to be included in the category of public facilities. Second, the FLOOR-ratio incentive system should be improved to make donations in public facilities. The government must establish and provide the facility along with the site. In addition to the cost of installing public faciliti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tandards for calculating additional public contributions for the use of smart city infrastructure. As a follow-up project, the research on a street lamp that is annexed to a road called "Smart Paul" has been made difficult. It is necessary to devise general standards for the introduction of smart city infrastructure through extensive research on various public facilities and facilities. 글로벌 저성장 추세, 정보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 도시문제에 대한 효 율적인 해결 필요성 증대, 그리고 증가하는 도시개발 수요 등을 바탕으 로 세계 각국에서는 현재 경쟁적으로 스마트도시 조성을 위한 정책 수립 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스마트도시 정책은 아직까지 도 신도시 및 대규모 사업 위주의 중앙정부 또는 공공이 주도하는 방식 으로 추진하면서 지역 곳곳의 여건을 실질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기성시가지에 있어서 스마트도시 정책은 도시의 골격을 형성하고 있는 도로, 상‧하수도, 공원 등 기존에 설치‧운영하고 있는 기반시설 위주로 이 루어지고 있어, 소규모 생활권 단위의 정비사업(재개발, 재건축 등)에는 실제적인 스마트시티 솔루션, 서비스 등에 대한 계획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를 이루는 생활권의 가장 작은 단위인 근린주구・근 린분구 단위에서의 정비사업 추진시 도입 가능한 스마트도시기반시설을 조성・설치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먼저 이론적 접근을 통한 정비사업의 정비기반시설과 스마트도시기반시설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스마트도시기반시설 중 서울시에 운영하고 있는 ‘스마트폴 설치’에 따른 공공기여량을 산정하여 용적률 인센티브에 기여하는 수준을 분석하였다. 위 연구 수행을 위한 전제로 민간의 스마트도시기반시설 설치에 따른 공공성 확보 여부에 대 하여 전문가 인터뷰를 선행하여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정비사업에 스마트도시기반시설 도입을 위 한 용적률 인센티브와 연계하는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 및 시사 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마트도시기반시설의 경우에도 도시계획에서 정하고 있는 공공 시설 범주에 포함되도록 「국토계획법」에 구체적으로 명시가 되어야 한다. 「스마트도시법」에서 정한 ‘지능화된 시설’의 경우에도 「국토계 획법」에서 정하는 기반시설에는 포함되나, 모든 기반시설이 공공시설 에 포함되는 사항은 아니며, 스마트통합운영센터 외에는 명시되어 있지가 않아, 법률상으로 명확하게 공공시설 범주에 포함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공시설의 기부채납에 따른 용적률 인센티브 산정 방식의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 기부채납은 부지와 함께 그 시설을 설치하여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기존 공공시설 설치 비용 외에 스마트도시기반시설 융‧복합 에 따른 추가 발생 비용에 대한 공공기여량 산정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폴’이라는 도로의 부속시설물인 가로등에 한정하여 연구함에 따라 금회 연구의 일반화가 어려운 점이 있다. 향후 후속 과제 로 다양한 공공시설과 융‧복합된 지능화된 시설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를 통해 정비사업에서 스마트도시기반시설 도입을 위한 일반화된 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 The use of GIS and remote sensing to identify settlement areas at risk of flood runoff and landslides : a case study in Sukabumi Regency, Indonesia

        Andi France Daryanto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use of GIS and remote sensing to identify settlements in Sukabumi Regency that are vulnerable to flooding and landslides. Floods and landslides are frequent that cause loss of life and considerable property damage. Vulnerability analysis is performed by reclassifying and scoring the parameters using the overlay technique to weight each parameter. The results reveal how large the area is that has a given level of vulnerability from each reclassification scoring level and provide actual Settlement Areas at Risk from Run-off Floods and Landslides maps. The satellite image will then indicate selected regions with significant vulnerability based on the data analysis. Sukabumi Regency is at high risk of vulnerability. Floods and landslides threaten 80.9% of the settlements in Sukabumi Regency. In addition to the spatial designation pattern in the spatial plan, up to 36.4% of the rural spatial designation pattern and 12.8% of the urban spatial designation pattern have a high level of potential for flood and landslide disasters. It is significant that disaster-prone settlements must be undertaken as best as possible. Given that resolving settlement challenges is inextricably linked to a comprehensive spatial planning process that cannot be accomplish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ppropriate planning and solutions are required to be established. 이 논문은 홍수와 산사태에 취약한 수카부미 지역의 주거지를 파악하기 위해 GIS와 원격 감지의 사용을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홍수와 산사태가 자주 발생하여 인명 손실과 상당한 재산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취약성 분석은 오버레이 기법을 사용하여 매개변수를 재 분류하고 점수를 매겨 각 매개변수에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결과는 각각의 재 분류 점수 수준에서 주어진 취약성 수준을 가진 지역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주었고, 유출 홍수 및 산사태 지도에서 위험에 처한 실제 정착 지역을 보여주었다. 그 다음, 위성 이미지는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선택된 심각한 취약성이 있는 지역을 보여주었다. 수카부미 지역은 취약성이 높다. 홍수와 산사태는 수카부미 지역 내 정착지의 80.9%에 위협적이다. 공간계획상의 공간 지정 패턴 외에도 농촌 공간 지정 패턴의 36.4%, 도시 공간 지정 패턴의 12.8%가 홍수 및 산사태 재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재난에 취약한 정착지는 가능한 한 최선을 다해 수행해야 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정착지 문제 해결은 단기간에 달성할 수 없는 포괄적인 공간 계획 프로세스와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적절한 계획 및 솔루션 개발이 필요하다.

      • Improvements of microplastics removal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in Sri Lanka

        Jude Shiron Kurera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폐수 처리장에는 집 먼지, 개인 관리 용품 및 기타 물질과 함께 미세 플라스틱이 유입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미세 플라스틱 오염 수준의 현황과 현행 미세 플라스틱 정책을 조사하고 파악하여 스리랑카 내 폐수에서 미세 플라스틱을 제거하기 위한 법률, 정책, 관리 계획 및 폐수 표준과 관련한 권고를 제시하는 것이다. 일차 데이터는 폐수 부문 담당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수집했으며, 대학교 및 폐수 부문의 주요 조직에서 근무하는 폐수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에 더해, 자료 검토를 통해 이차 데이터를 확보하였다. 확보한 데이터는 정량적 및 정성적 방법을 통해 분석했다. 결과는 모든 지표에서 공무원의 관점이 통계적으로 신뢰가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정량적 분석의 결과 미세 플라스틱 오염이 환경 보호 정책, 최신(현대식) 기술, 적절한 규제 체제 및 사회적 요인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test의 결과 미세 플라스틱 오염에 대한 공무원의 관점이 교육 수준 및 관련 업무 경험에 상관없이 동일한 것으로 밝혀졌다. 정성적 분석의 결과는 연구 개발, 예방적 조치, 첨단 폐수 처리 및 슬러지 처리 기법이 폐수에서의 미세 플라스틱 제거를 개선하기 위한 우선적인 정책 방안임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를 고려할 때 스리랑카의 경우 폐수에서의 미세 플라스틱 제거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연구 개발, 예방적 조치, 첨단 처리 기법 및 예방 정책이 중요한 요소라고 결론짓고 그와 같은 방안을 권고할 수 있을 것이다. Microplastics are released into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together with household dust, personal care products, and other substances.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and identify the present status of microplastic pollution levels and current microplastic policies, and to make recommendations for establishing legislation, policies, management plans, and wastewater standards for the removal of microplastics from wastewater in Sri Lanka. Primary data was obtained from the questionnaire through public officers who are working in the wastewater sector, an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wastewater experts who are working in universities and main organizations in the wastewater sector. In addition to that, secondary data was obtained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data were analyzed b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Results show that the public officers’ views are statistically reliable for all indicators. Because the results of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microplastic pollution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nvironment protection policies, the latest (modern) technologies, an adequate regulatory framework, and social factors. And, as a result of the t-test, it was found that public officers’ views on microplastic pollution were the same across different education levels and related work experiences.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preventive measures,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and sludge treatment options are priority policy options for improving the removal of microplastics from wastewat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and recommended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preventive measures, advanced treatment options, and preventive policies are important factors to consider when improving the removal of microplastics from wastewater in Sri Lank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