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발표불안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황시은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ABSTRACT Effects of Public Speaking Anxiety on Self-efficacy. This study aims to seek ways to help adolescents who are experiencing public speaking anxiety by self-efficacy and reach to effect of public speaking anxiety and self-efficacy. For this purpos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302 male and female students in middle school of GyeonSangNam-do as a research objective. Public speaking anxiety and self-efficacy scales were used for measurement tools. Statistics treatment was done with the collected samples using SPSS 21.0 statistics program. Independent samples t-test was carried out to analyze differences on the sex and grade.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lations of two variabl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ublic speaking anxiety and self-efficacy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ublic speaking anxiety on the self-efficacy.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on the differences by sex, male students have higher scores than female students significantly and on the differences by grade, 3rd grade students have higher scores than 1st and 2nd grade students in the public speaking anxiety. Second, on the differences by grade only, 1st grade students have higher scores than 3rd and 2nd grade students in the self-efficacy. Thirth, there was negative relationships between the public speaking anxiety and the self-efficacy, so that the stronger self-efficacy, the weaker public speaking anxiety. And all the subordinate variables of self-efficacy showe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public speaking anxiety. Forth, it's shown that the public speaking anxiety impacted on the self-efficacy. The influence of the public speaking anxiety on the self-efficacy was shown that was turned out in the skill of social. Therefor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 point of view that it provides a opportunity to educate and highlighted the necessity of education for improving self-efficacy to be help of Adolescents who are experiencing public speaking anxiety. key word : public speaking anxiety, self-efficacy 발표불안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ublic speaking anxiety on self-efficacy 상담심리전공 황 시 은 지 도 교 수 서 민 원 본 연구는 발표불안과 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살펴보고 발표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청소년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남 K시에 소재하고 있는 B중학교 1학년 84명, 2학년 107명, 3학년 111명, 총302명의 남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발표불안 척도, 자기효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배경 변인에 따른 청소년의 발표불안과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의 집단 간 비교를 위해 T검증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NOVA)을 실시하였고, 두 가지 변수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발표불안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표불안에서는 성별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총 발표불안이 높게 나타났고, 학년에서 3학년이 2학년이나 1학년보다 총 발표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효능감에서는 학년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1학년이 2학년과 3학년보다 총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자기효능감의 결정요인을 살펴보기 위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서는 여학생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에서는 2학년, 3학년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1학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평가불안과 사회적 기술 불안이 낮을수록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발표불안 하위요인들 중 사회적 기술 불안 요인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낮게 나타나,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발표불안을 경험하고 있는 중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기 위해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을 부각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주제어> 발표불안, 자기효능감

      • 교원 재직 중 뇌병변 장애 발생 과정과 극복에 관한 자기기술적 사례 연구

        김진형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2009년 2월 10일 뇌내출혈로 인해 중도장애 건강하던 중에 장애를 얻게 된 것. 를 얻게 된 나의 발병부터 재활치료를 통해 학교 교사로 복직하는 과정과 그 과정 속에서 장애인이라는 이유로 겪어야만 했던 일과 장애를 극복하는 과정에 대해 자기기술적 방법으로 기술하였다. 또한 발병부터 지금까지 항상 함께한 아내의 동반자적 입장에서의 경험과 견해를 포함하였다. 뇌내출혈로 중환자실에서의 한 달간의 무의식중의 경험과 그 후 의식을 회복한 2년 동안의 피나는 재활치료, 학교에 복직하는 과정 속에서의 ‘국가인권위원회’의 진정과 ‘교원소청심사위원회’의 면직처분취소 청구, 그 과정상에서 각 장애인단체 및 시민단체의 성명서, 여러 언론들의 보도내용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교에 복직하여 장애인의 몸으로 일반학생을 가르칠 때의 장·단점을 제시함으로써 만약 나와 비슷한 일을 겪는 사람이 있다면 참고할 수 있도록 연구를 진행하였다. 나는 뇌병변장애 3급인 몸으로 교직생활을 수행하고 있으며 1 더하기 1이 2가 된다는 지식만을 전달하는 형식적 교사가 아닌, 나아가 장애를 지닌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현실을 받아들이고 극복하는 모든 과정들을 통해 학생들에게 직접 역경극복의 삶을 보여주고 또한 설명함으로써 학생들이 미래의 자기 자신의 인생관을 올바르게 설계할 수 있는 긍정적 사례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장애인교사로 살아가는 과정과 학교 및 사회에서의 환경적인 요인 등을 제시함으로써 법과 현실이 수평을 이루는 모순된 현실을 모든 이에게 보여주고자 한다. 현실세계의 장애인은 결국, 죄인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 안타까울 뿐이며 비장애인들이 직업을 갖는 것은 극히 당연하다고 생각하지만 나와 같은 장애인이 직업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면 놀라움을 금치 못하는 현실사회를 비판하여 장애를 가진 자를 바라보는 올바른 가치관을 품게 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 학교상담사의 역할정립에 관한 연구

        남승은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상담에 대한 개념과 학교상담사에 대한 역할기대를 연구함으로써 학생들의 긍정적인 성장을 위해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학교상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학교상담사의 역할정립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 방식을 채택하여 연구문제를 파악하였다. 학교상담의 개념과 학교상담사에 대한 역할기대에 대해 관련된 연구가 충분히 축적되어 있고, 본 주제와 관련된 선행 연구결과들을 분석하는 것 자체로 상당한 의미가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관련 논문을 분석하기 위하여 1차적으로 국회도서관, 교내 도서정보 시스템, 구글, 검색엔진,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DBPIA(논문 검색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학술 연구 정보 서비스 등의 검색 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찾았으며, 찾은 논문들이 참고한 논문을 다시 검색 및 참고하여 분석을 진행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상담이란 ‘학교’라는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상담을 말한다. 둘째, 학교상담 대상은 문제를 호소하는 학생과 문제를 호소하지 않는 학생도 내담자가 될 수 있으며,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상담교사뿐만 아니라 일반교사이다. 셋째, 학교상담자는 긍정적인 인간관을 가지고 끊임없는 자기발전을 통해 전문성의 발전과 인간적인 성장을 이루어야 한다. 주요어 : 학교 상담

      • 면접평가도구의 평가자간 일치도와 예언타당도 분석

        박원이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면접평가는 모든 선발시험에서 중요한 전형방법의 한 유형으로 이용되고 있지만, 그것이 과연 얼마나 타당하고 신뢰할 수 있는가 하는 것에 대한 경험 과학적 연구는 우리나라의 경우 거의 찾아보기 어려운 실정이다. 교사선발의 경우 1990년 10월 8일 국·공립 교원 양성기관 졸업자의 우선 임용에 대해 헌법재판소가 위헌 판결을 내림으로 해서 교원의 선발은 공개경쟁체제로 바뀌었다. 선발을 위한 평가절차는 1차 선택형 지필시험, 2차 논술형 시험, 3차 면접으로 구성되어 2008학년도까지 운영되어 왔다. 보다 공정하며 적합한 평가가 될 수 있도록 지역마다, 해마다, 다소의 노력이 있어왔으며 2009학년도부터 특히 심층면접의 비중이 커지며, 3차 면접 직전까지의 선발인원을 늘려 면접의 역할을 강화하였다. 이렇듯 선택형, 논술형 지필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면접의 역할을 확대하면서도 그 대안의 중심에 있는 면접평가에 관한 연구는 실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미국의 교원임용시험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준화된 교사면접평가도구(Teacher Perceiver Interview, 이하 TPI라 함)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의 학교 상황에 실제적으로 적용함으로써 평가자간 일치도와 예언타당도를 분석하고 그 시사점을 얻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면접평가자간 일치도가 어떠한가? 둘째, TPI 점수와 다면평가에 의한 교사의 직무수행평가 점수와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먼저 면접평가에 대한 내용과 방법에 관한 이론적 분석을 토대로 면접을 통해 평가해야 할 평가요소와 그것을 평가할 수 있는 면접문항, 평가기준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효과적 면접방법과 절차에 관한 자료를 활용하여 면접절차와 면접평가자의 역할과 유의점을 포함한 면접평가자 교육 매뉴얼을 제작하였고 수차례의 모의 면접을 통해 수정 보완의 과정을 거쳐 면접 일체를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유치원 교사 20명, 2개의 초등학교 총 18명의 교사, 2개의 중학교와 1개의 고등학교 교사 총 12명의 교사, 모두 50명의 교사를 면접대상으로 5인 이하로 구성된 면접평가단에 의해 석 달에 걸쳐 면접평가가 실시되었다. 면접평가자는 고 경력교사, 장학사, 평가관련 이력이 있는 교사 등, 교육 관계자로 구성하되 본 면접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위해 평자자 연수 매뉴얼과 모의 면접을 통해 사전 교육을 실시하였다. 교사의 직무수행평가는 면접대상자가 소속한 학교의 관리자와 부장교사 등에 의해 평가되었다. 면접평가의 결과와 교직실무수행평가 결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예언타당도를 검증하고, 동영상 촬영에 협조한 10명의 면접대상자 면접장면을 19명의 면접평가자가 동시에 면접평가를 실시한 결과를 자료로 평가자간 일치도를 분석하여 신뢰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면접평가도구의 면접평가자간 일치도가 높으며, 예언타당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면접자간 일치도가 높다는 결과는 평가의 기준을 명확히 하고, 면접평가자의 충분한 연수 등을 통해 면접평가도구를 구조화한다면 면접평가도구와 면접평가에 대한 신뢰도는 인정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예언타당도가 높지 않은 것은 교사가 우수한 직무수행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잠재적 요소로 면접의 문항을 구성하여야 예언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말해준다. 타당도 있는 면접평가도구가 되기 위해서는 면접문항을 구성하기 전에 직무수행의 능력을 발휘하기 위해 요구되는 요인을 먼저 분석하여야 한다. 즉 면접평가에서 평가하고자 하는 항목과 교사의 직무수행력과 충분한 상관관계가 있어야만 높은 타당도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선발면접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결과를 바탕으로 면접평가도구가 의미 있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공정하고 객관성 있는 평가방법이 되기 위해서는 면접 실시 이전에 선발하고자 하는 인재를 충분히 예언할 수 있는 항목을 바탕으로 그것을 측정할 수 있도록 면접평가도구를 구성하여야 하겠다. 그리고 평가준거를 체계화하고, 평가자교육 및 모의실시로 평가자 평가가 미리 이루어져야 하겠다. Purpose of the Study: This study evalu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scores derived from the selection interview tool to find out ideas for future research. This investigation consisted of two studies. The firs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 Perceiver Interview(TPI) scores, and Job Performance Inventory(JPI) scores to find the predictive validit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any relationships between TPI total scores and JPI total scores; TPI construct scores and JPI construct scores; and TPI 12 item scores and JPI construct scores. The second study of this was to investigated the inter-rater reliability. In concrete this study asked whether there was any agreement among raters' TPI total scores and whether there was any agreement among raters' TPI 12 item scores. Method. To determine the predictive validity, TPI scores of 50 teachers were compared to the JPI scores which were marked by the principals and co-workers of the interviewees. This group of 50 teachers consisted of 20 pre-school teachers, 18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12 middle school teachers.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hrough SPSS. To answer the second problem,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is study used the Pearson Coefficient of Correlation through SPSS and Fleiss' kappa. Results: A significant finding of the study was thet correlation between TPI total scores and JPI total scores from the statistic analysis was not high. Most relationships between TPI total, construct scores or item scores and JPI total or construct scor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stea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higher relationships between the interpersonal skill construct of the TPI and management student behavior construct of the JPI; objectivity of the TPI and management student behavior construct of the JPI; activation and instruction of the JPI, and activation and professional responsibility. Regarding the inter-rater agreement, the investigation indicated that the degree of agreement was high. Inter-rater agreement of innovation scores was especially higher, while comparatively inter-rater agreement of activation scores was lower. There's little doubt that researchers continue to search for improved interview methods and techniques that might better select the most effective classroom teachers. Although the interview method has been used by education departments nationwide, construct validity,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interview itself and reliability need further development.

      •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종합감성지수 비교 분석

        박상율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 문 초 록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종합감성지수 비교 분석 본 연구는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종합감성지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두 집단간 감성지능, 도덕지능, 성공의지 자아실현, 진로적성, 인성, 창의성, 지능지수의 차이점을 알아보고자 한다. 종합감성검사는 지능지수외의 인성, 창의성, 감성, 진로 적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 아동의 잠재능력을 분석하고 있어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종합감성검사의 영역별 지수 차이를 분석해 봄으로써 두 집단간의 명확한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있다면 어느 영역에서 차이가 있는지? 차이가 없다면 어느 영역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지? 등을 비교분석하여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종합감성검사 지수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종합감성지수 비교를 위한 연구 문제는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감성지능, 도덕지능, 성공의지(자아실현), 진로적성, 인성, 창의성, 지능 및 작용력, 종합등급은 배경요인(학급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초등학교 5학년 일반학급아동 27명과 영재학급아동 19명의 종합감성검사 분석 결과표를 사용하였고, 자료의 처리는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치, 독립표본 t-검증, 상관계수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감성지능 요인별 평균을 비교해보니 t-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두 집단의 아동들이 감성을 이해하고, 적응하며, 조절하고, 표현하는 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도덕지능 요인별 평균을 비교해보니 t-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두 집단의 아동들이 도덕적인 가치관, 유대감, 분별력, 진실성에 있어서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성공의지(자아실현) 평균을 비교해보니 t-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두 집단의 아동들이 성공의지인 실천력, 의지력, 창조력, 추진력에 있어서 큰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P<0.06 수준에서 영재학급아동의 창조력이 일반학급아동에 비해 조금 우수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넷째,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진로적성 평균을 비교해 보니 t-검증 결과 몇 분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아동들은 진로적성에 있어서 인문과학, 사회과학, 법정, 예술, 체육 분야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어문학, 상경, 사범, 공학, 이학, 농학, 음악분야에 있어서는 영재학급아동이 일반학급아동보다 진로적성이 높으며, 특히 농학 분야에서는 영재학급아동의 진로적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인성 평균을 비교해 보니 t-검증 결과 지배성과 사려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아동들은 인성에 있어 객관성, 사회성, 협동성, 충동성, 안정성 분야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고, 지배성에 있어서는 영재학급아동이 우수한 반면, 사려성에 있어서는 일반학급아동이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창의성 평균을 비교해 보니 t-검증 결과 민감성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아동들은 창의성에 있어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분야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으나, 민감성에 있어서는 일반학급아동이 영재학급아동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지능 및 작용력 평균을 비교해 보니 t-검증 결과 지능지수, 수리력, 탐구력, 이해력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의 아동들은 논리력, 순발력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다. 그러나 지능지수에 있어서는 영재학급아동의 지능이 일반학급아동보다 우수하며, 특히 수리력과 탐구력은 영재학급아동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덟째,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종합등급을 수치화하여 평균을 비교해 보니 t-검증 결과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홉째, 종합감성검사의 구성 요인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요인간 상관관계가 전체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구성 요인간에 상호 독립적임을 시사해 주는 것으로 검사의 구성요인이 매우 타당함을 입증하는 것이다.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종합감성지수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두 집단의 아동들은 감성지능, 도덕지능, 성공의지(자아실현)에 있어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성공의지 요인 중 창조력은 영재학급아동이 다소 높게 형성되었다. 진로적성에 있어서는 대부분의 분야에서 영재학급아동의 진로적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어문학, 상경, 사범, 공학, 이학, 농학, 음악분야에 있어서는 영재학급아동이 일반학급아동보다 진로적성이 높으며, 특히 농학 분야에서는 영재학급아동의 진로적성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인성에 있어서 객관성, 사회성, 협동성, 충동성, 안정성 분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영재학급아동은 지배성이 우수한 반면, 사려성이 부족하고, 일반학급아동들은 지배성은 낮은 반면, 사려성은 오히려 영재학급아동보다 높았다. 가장 관심 있게 분석결과를 비교했던 창의성 분야에서는 영재학급아동의 월등히 우수하게 나타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분야에서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고, 오히려 일반학급아동이 영재학급아동보다 민감성이 더욱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능 및 작용력에 있어서 논리력, 순발력은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지능은 영재학급아동이 일반학급아동보다 우수하며, 특히 수리력과 탐구력은 영재학급아동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영재학급아동들이 교내 영재 수학반, 과학반에서 심화학습을 꾸준히 학습한 결과로 평균치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종합등급에도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구성 요인간 상관관계도 전체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검사의 구성 요인이 매우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학급아동과 영재학급아동의 종합감성지수의 차이를 분명히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감성검사는 두 집단의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고, 우수한 점은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전인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 인터넷 두드림으로 초등학교 새내기의 꿈 찾기

        김선희 인제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초등학교 진로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그것은 우리 사회의 뿌리 깊은 학벌 중시 풍조나, 진로교육을 단순히 상급 학교 진학을 위한 입시 안내 정도로 생각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이것들은 워낙 오랜 기간 형성된 것이기에 그것의 원인 제거를 통한 문제점 해결법은 실효성이 희박하다. 오히려 학생들에게 재미있고 유익한 진로교육의 방법을 찾아 실시함으로써 그 원인을 제거하는 발상의 전환이 필요할 것이다. 요즘 초등학생들의 놀이의 광장인 인터넷을 이용하면 진로교육은 재미있고 유익해질 것이다. 본 연구는, 아동들의 자기 이해를 위해 인터넷 진로 인식 프로그램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으며, 직업 세계 이해를 위해 인터넷 진로 인식 프로그램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문화기술적 방법을 적용하여 Spradley의 ‘순환적 연구절차’에 따라 진행하였다. 인터넷 사이트의 자기 이해 심리 검사와 직업세계 이해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아동을 관찰하고 그 심리 검사 결과를 분석하면서, 아동의 자기 이해 정도를 면담을 통해 그들의 내면세계를 들여다보고자 노력한 결과, 아동은 자기 적성, 소질을 발견하고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직업군을 알게 되었고 더 많은 다양한 직업 세계를 이해할 수 있었다는 결론을 얻었다. 아동의 미래 직업 선택은 부모의 강요나 학교 성적으로 좌우되어서는 안 된다. 아동의 적성과 흥미에 맞는 직업 선택을 통하여, 아동이 미래에 행복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교육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지 위해서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올바른 진로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교사나 학부모 모두 진로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이전과는 변화된 모습을 보여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