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f L2 Willingness to Communicate, Emotional intelligence,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and Teacher Immediacy among Chinese EFL Learners

        ZouXiaolei 군산대학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14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Chinese college EFL learners' willingness to communicate (WTC) in English, emotional intelligence (EI), foreign language classroom anxiety (FLCA), and their perceptions of teacher immediacy (TI). The study also aim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L2 WTC, EI, FLCA, and perceptions of TI among Chinese college EFL learners, and explore the group differences in the aforementioned four variables based on students' dem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gender, field of study, hometown area type, English proficiency, and their self-perceived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The study involved a total of 1040 non-English majors from fifteen universities located in different regions around China. Four questionnaires and follow-up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employed to garner data. Statistical software SPSS 23.0 was employed to conduc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the pilot study, and independent t-tests,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ests were performed to compare group differences based on students' demographic information. Besides, Pearson R Correlation was compu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research variable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ests were run to determine the predictive effects of EI, FLCA, and TI on L2 WTC. In addi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utilized via AMOS 21.0 to testify the hypothesized model of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students' L2 WTC, EI, FLCA, and their perceptions of TI. To be more specific, EI, FLCA,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I were hypothesized to have a direct influence on L2 WTC, respectively. Besides, FLCA was also hypothesized to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EI and L2 WTC as well as between TI and L2 WTC. The findings revealed that participating college students exhibited moderate levels of foreign language anxiety and relatively weak willingness to communicate in EFL classrooms. However, they enjoyed moderate level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had relatively good perceptions of teacher immediacy. The majority of demographic factors proved to have an impact on their L2 WTC, EI, FLCA, and perceptions of TI, except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most research variables with reference to their fields of study. The results of the Pearson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weak to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L2 WTC, EI and TI, but a significant negative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FLCA and the other three variables. Moreover, EI, FLCA, and TI all proved to be significant predictors of students' L2 WTC. Specifically, language apprehension was found to have the strongest predictive power on students' willingness to communicate in EFL classrooms. Furthermore, the proposed model of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aforementioned variables showed a good fit to the collected data. That is to say, EI, FLCA, and TI proved to have significant and direct predictive effects on L2 WTC. Besides, FLCA functioning as a mediator was also confirmed in two indirect paths from EI to L2 WTC as well as from TI to L2 WTC. Additionally, the findings also provide useful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language instructors, designers of language learning courses and materials, as well as researchers on the importance of factors such as EI, FLCA, and TI associated with L2 WTC. Finally,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중국 영어학습자들의 제2언어 의사소통의지 (L2 WTC), 정서지능(EI), 외국어수업 불안감(FLCA)과 교사의 친근성 행동(TI)의 현황을 파악하고 성별, 전공 분야, 출신 지역 유형, 영어 능숙도 및 자기가 인식하는 외국어 의사소통 능력 등 학생의 인구학적 변인을 기반으로 앞서 언급한 4가지 변수의 그룹 차이를 탐색하였다. 무엇보다도 본 연구에서는 중국 영어학습자들의 영어학습에 4 가지 연구 변수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중국 15 개 대학에 재학하는 다양한 학년, 전공의 학생 1040명이었다. 연구 자료를 위하여 학생들에게 설문조사지를 배포하여 영어 의사소통의지, 정서지능, 외국어수업 불안감,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인식 등에 대한 정량적 자료를 수집했고, 대표 학생 18 명을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방법으로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요인분석, 분산분석, 피어슨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하였으며 구조 방정식 모델 (AMOS 21.0)을 활용하여 연구 변수의 상호관련성을 검증하였다. 인터뷰내용은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 모델에서 제2언어 의사소통의지는 정서지능과 외국어 불안감 및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직접 영향을 받는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제2언어 의사소통의지는 외국어수업 불안감을 매개로 하여 정서지능과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간접 영향을 받는다는 가정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영어 학습자들의 외국어 불안감은 보통 수준이고 의사소통의지는 상대적으로 약한 것으로 보이지만 정서지능은 평균 수준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인식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둘째, 대부분의 인구학적 변인은 L2 WTC, EI, FLCA 및 TI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입증되었지만 전공 분야와 관련한 변인은 대부분의 연구변수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셋째, 학습자들의 제2언어 의사소통의지는 정서지능과 교사의 친근성 행동과 약하거나 중간 정도의 긍정적 상관관계가 보였으며 학습자들의 외국어수업 불안감과 의미있는 부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학습자들의 정서지능과 외국어 불안감 및 교사의 친근성 행동에 대한 인식은 학습자들의 제2언어 의사소통의지의 의미있는 예측 요인으로 나타났다. 나아가 독립 변수의 총 9 가지 성분 중 언어 불안감은 학습자들의 의사소통의지의 가장 강력한 예측요인으로 밝혀졌다. 그리고 제2언어 의사소통의지, 정서지능, 외국어 불안감과 교사의 친근성 행동 간의 상호관계 모델의 적합함을 검증하였다. 정서지능, 외국어 불안감과 교사의 친근성 행동은 모두 제2언어 의사소통의지에 의미있고 직접적인 예측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더욱이 정서지능과 교사의 친근성 행동은 외국어 불안감을 통해 제2언어 의사소통의지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언어 교사, 언어 학습과정 및 교재 설계자과 연구자들에게 실제적 도움이 되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고 미래의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한다.

      • 동기조작(MO)이 자폐스펙트럼장애 학생의 자발적인 정보 맨드에 미치는 영향

        양송이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motivating operation on mand for information in a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utism. Teaching students to mand for information can help them learn advanced language skills, increase their communications skills, and aid in decreasing challenging behaviors. However, student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often do not learn to mand for information without structured teaching. The target responses of this study were mands for information using “what”, “where” and “which” and used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behavior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During the base line, high preference items were presented for abolishing operation(AO) of targeted items. A correct response was immediately reinforced by manded information about items. If the participant emitted no response or an incorrect response during the 5 s delay, the echoic prompt was provided by the instructor. During the intervention condition, the procedures were same as the baseline procedure except absense of the AO, thus EO was in effect for the target items. The EO procedure was effective on increasing mands for information and the participant were able to generalize this skill to novel items.

      • 2000년~2017년 한국의 낙상 추세 현황 : OECD 가입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남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낙상은 예방이 가능한 손상의 영역 중 하나이지만, 예방하지 못한 낙상은 치명적인 손상 및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어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의 공중보건에서 중요한 문제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고령화 사회가 되어감에 따라, 노인 인구집단에 취약한 낙상은 국내외적으로 손상 예방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부분이다. 이에 본 연구는 OECD 37개 가입국의 낙상으로 인한 사망의 추세를 살펴보고, 한국의 낙상에 대한 현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00-2017년간 OECD에 가입한 국가들의 낙상 연령표준화사망률 자료를 이용하여 추세를 살펴보았다. 또한,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스피어만 상관분석으로 국내 낙상과 고령 인구비율과의 상관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낙상 연령표준화사망률이 가장 높은 국가는 2000년에 헝가리, 2017년에 슬로베니아이며, 가장 낮은 국가는 두 기간 모두 이스라엘이었다. 한국의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은 2000년 OECD 가입국 중 OECD 평균(10만 명당 10.8명)과 비슷한 10.1명으로 중위권에 속하였다가 2017년에는 OECD 평균(10만 명당 9.4명)보다 낮은 5.4명으로 감소하였다. 2. OECD 37개국의 낙상 사망률에 대한 전반적인 추세는 2010년까지는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다가 2010년부터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한국은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연간 평균 21.9%씩 급격한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2010년 이후 큰 변화를 보이지 않고 있다. 3. 2006년과 2016년의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를 연령군 및 성별로 구분하여 낙상 조입원율과 조사망률을 살펴본 결과 2006년, 2016년 모두 연령군이 높아질수록 조사망률과 조입원율 모두 증가하였다. 조입원율은 2006년에 비해 2016년에 전체성별과 남성, 여성 모두 고령 인구의 모든 연령군에서 조입원율이 증가하였으며, 2016년 전체성별의 조사망률은 2006년에 비해 모든 성별에서 감소하였다. 4. 한국의 고령 인구비율은 2006년 9.3%에서 2016년 13.2%로 꾸준히 증가하였다. 낙상으로 인한 입원율 및 사망률과 고령 인구비율 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고령 인구비율이 증가할수록 전체 연령집단 및 고령 연령집단에서 모두 입원율이 증가하는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사망률의 경우, 고령 인구비율이 증가할수록 65세 이상 남성과 여성에서 모두 사망률이 감소하는 강한 음의 상관성을 보였다. 우리나라의 낙상으로 인한 사망률은 낮아졌으나 입원율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이와 관련하여 낙상 예방을 위한 정책과 프로그램, 교육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를 통해 낙상으로 인한 입원율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도록 개선해나가야 할 것이다. Falls are one of the areas of injury that can be prevented, but unpreventable falls can lead to fatal injury and even death, making it an important issue in public health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the world. In particular, falls, which are vulnerable to the elderly population in an aging society, should be dealt with caution focusing on injury prevention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trend of deaths from falls in 37 OECD member countries, and aimed to determine the current level of falls in Korea. The trend was examined using data on fall age-standardized mortality rates of countries that have joined the OECD from 2000 to 2017. This research also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hospitalization rates of falls and mortality rates of falls in elderly population from 2006 to 2016 by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ountries with the highest age-adjusted mortality rates for fall-related injury were Hungary in 2000 and Slovenia in 2017, and the lowest countries in both periods were Israel. The mortality rate from falls in Korea was 10.1 among OECD member countries in 2000, which was similar to the OECD average (10.8 per 100,000). This number was in the middle of the ranks, but in 2017, it decreased to 5.4, lower than the OECD average (9.4 per 100,000). 2. The overall trend of fall mortality rates in 37 OECD countries declined until 2010, bu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from 2010. Korea showed a sharp decline at an annual average of 21.9% from 2006 to 2010, but has not shown much change since 2010. 3. Fall incidence rate and the investigation mortality rate was divided in the elderly population of 65 years or older in Korea by age group and gender, in both 2006 and 2016, in which both the mortality rate and the hospitalization rate increased as the age group increased. Compared to 2006, the crude hospitalization rate increased in all age groups of the elderly population, both by gender and in both men and women in 2016, and the overall gender mortality rate in 2016 decreased in all genders compared to 2006. 4. The ratio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from 9.3% in 2006 to 13.2% in 2016.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hospitalization rate and mortality rate due to falls and the elderly population rate, as the elderly population rate increased,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crease in hospitalization rate in both the entire age group and the elderly age group. In the case of mortality, as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increased, the mortality rate decreased in both men and women aged 65 years and over which showed a strong negative correlation. Although the mortality rate due to falls in Korea has decreased, the hospitalization rate is steadily increasing. In this regard, efforts such as policies, programs, and education to prevent falls are expected to be required, thereby substantially reducing the hospitalization rate due to falls. These factors have to be improved for prevention to be made.

      • 질병부담 산출 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복합질환 보정 방법론 평가 : 국민건강보험공단자료를 바탕으로

        신윤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인구의 고령화와 기대수명의 연장, 만성질환의 증가로 인하여 한국 성인의 복합질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복합질환의 경우 개인적, 사회적 부담이 단일질환에 비해 큰 것을 고려할 때, 각각의 질병 중심의 보건의료 정책이 아닌 복합질환을 고려한 통합적 보건의료정책이 요구된다. 여러 나라에서 제한적인 보건의료자원을 활용하여 사회적 부담을 줄이고 공중보건학적 정책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한 자료로써 질병부담을 측정하고 있다. 효과적인 보건의료정책의 수립을 위해서는 보다 정확하게 질병부담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복합질환의 유병상태를 보정하여 질병부담을 측정해야한다. 현재 질병부담 산출 시 사용되고 있는 복합질환 보정 방법은 질환의 독립적 복합이환을 가정하여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복합질환 상태를 보정하고 있다. 이에 실제 데이터로 성별-연령별 유병률이 높은 상위 다빈도 다섯 개 질환의 복합질환 유병률을 산출하여 질환의 독립이환 가정을 평가하고, 실제 데이터 유병률 기반으로 복합질환을 보정한 YLD와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으로 복합질환의 유병상태를 추정하여 보정한 YLD를 비교함으로써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방법의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30세 이하와 6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는 질환 간 독립 이환 가정을 신중하게 적용해야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질환 간 독립 복합이환 가정을 주의하여 적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30세 이상의 연령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합질환을 보정한 YLD와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으로 복합질환을 보정한 YLD가 95% 신뢰구간 안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20세 미만의 연령에서는 상위 다빈도 다섯 개 질환 안에 유병기간의 보정이 필요한 급성 감염성질환이 포함되어 실제 데이터를 기반으로 복합질환을 보정할 때는 유병기간에 대한 고려가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20대와 30대의 경우 포함된 질환에 따라 실제 데이터로 복합질환을 보정할 때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으로 보정한 결과가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30세 미만 연령대에서는 복합질환의 유병 패턴에 따라 질병부담 산출 결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이며, 이를 위해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인 질병부담 연구에서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복합질환 보정 방법의 효율성과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추후 질병부담을 더욱 정교하게 산출하기 위하여 복합질환 산출 시 독립이환 가정을 적용하는 것이 부적절한 질환을 밝히고, 성별-연령별 복합질환 특성에 따른 보정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prevalence of multimorbidity among Korean adults is increasing due to the aging population, extended life expectancy, and increased chronic diseases. Considering that the personal and social burden of the multimorbidity is greater than that of single disease, an integrated health and medical policy is required to take into account multiple diseases. In many countries, the burden of disease is being used as data to establish public health policies. In order to establish effective health and medical policies, it is necessary to measure the burden of disease more accurately. For that, the burden of disease should be measured by correcting for multimorbidity. The current multimorbidity correction method for disease burden estimation assumes independent occurrence of diseases and uses Monte-Carlo simulation to adjust for the multiple disease conditions for the entire dis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the above-mentioned assumption is reasonable at the prevalence confirmed from the actual data. Thus, this study compared multimorbidity-adjusted YLD by Monte-Carlo simulation and multimorbidity-adjusted YLD using multimorbidity prevalences derived from the NHIS data. The five most diseases by sex and age groups were selected as diseases of interest. As a result of this study, assumptions about the independent occurrence of diseases should be applied carefully to the younger and older population.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YLD by actual data and Monte-Carlo simulations, even though assumptions about the independent occurrence of the diseases should be carefully applied in those in those with 30s and older. For those with 20s and younger, acute infectious diseases were common, and it was difficult to consider the prevalence period of diseases in multimorbidity conditions based on actual data. In those with 20s, multimorbidity-adjusted YLD by actual data was different from that by Monte-Carlo simulations. It would have had an impact because the prevalence of various diseases was not well refle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it is useful to apply the efficiency and suitability of calibration for multiplicative methods using Monte-Carlo simulations in the domestic disease burden study, especially in adults with 30s and older. In order to accurately calculate the burden of diseases, it is hoped that research will be carried out on multimorbidity correction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diseases by sex and age.

      • 역사 동화 『묘지공주』의 창작 과제 연구

        차율이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고는 역사동화『묘지공주』의 실제 창작 과정과 방법을 구체적으로 정리하고 기록하였다. 한국 아동문학은 1990년대에 부흥기를 맞게 되며, 자연스레 역사동화에 대한 독자의 수요와 관심이 증가하여 창작자 역시 활발하게 창작하였다. 과거에는 인물에 대한 전기가 주류였다면, 최근에는 역사물의 소재와 관점이 다양해졌다. 역사동화는 다른 창작동화와 달리 역사에 기록된 사실을 다룬다는 점에서 다른 창작과정을 요한다. 『약파만록』에 기록된『동의보감』 탄생 구전설화와 실존인물인 허준이라는 토대 위에 역사적 상상력을 결합하여 『묘지공주』를 창작하였다. 그러나 허준을 주인공으로 전면적으로 내세우지 않는다. 허준의 이야기이면서도, 허준의 이야기가 아닌 것이다. 허준의 생애 보다는『동의보감』의 탄생 구전설화에 등장하는 호랑이에게 인간 딸이 있었다는 상상력을 덧대어 주인공의 시각으로 기존에 밝혀지지 않은 공백의 역사를 살펴보았다. 또, 허준과 『동의보감』의 귀신 치료법과 금기에 대항하는 ‘두창의 명의’로써의 의술 정신을 재조명하였다. 또한, 주인공의 성장과 함께 호랑이, 쌍둥이, 민간신앙, 환자 등. 과거의 기록에 진정한 삶과 의미를 투영하여 현재를 되짚어 보도록 했다. 본고는 역사동화의 창작에 앞서 역사적 기록과 함께 다양한 창작 방법을 모색하고 시도하였다. 주요 창작 과정들을 진행하면서 역사동화 창작의 각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재현하였다. 주제와 제제의 선택, 스토리와 플롯의 짜임, 시점과 시공간, 등장인물의 설정 등, 본격적인 창작의 단계들을 정리하였다. 결말에서는 창작자들의 역사 인식과 함께 역사 인물의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였다. 역사동화는 역사 기록에 의한 ‘사실’과 문학이라는 ‘허구’의 결합이다. 그래서 역사 기록을 다룰 때는 왜곡되지 않은 올바른 검증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또한, 역사동화 속 여성 인물들은 아직도 남성 의존적이거나 수동적인 경우가 많다. 좀 더 역동적인 여성 인물들이 많이 등장하길 바란다. 본고에서는 『묘지공주』의 창작 과정을 통해 이러한 것들을 극복하고자 노력하며 완성된 작품을 정리하였다.

      • 소아기 악력과 청소년기 대사증후군 점수 및 인슐린저항성 지표와의 저항성 : 이화 영아성장 출생코호트 기반

        전승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대사증후군은 여러 가지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가 동시에 나타나는 질병이며, 인슐린저항성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청소년기 대사증후군은 성인기의 다양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대사증후군 발병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생애주기별로 건강 영향을 조사하고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전 연구에서는 소아 및 청소년기에서의 낮은 악력이 대사증후군 및 인슐린저항성의 위험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생애주기 관점을 고려하여 소아 및 청소년기의 악력과 대사증후군 및 인슐린저항성과의 연관성을 전향적으로 평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기 상대악력과 청소년기 대사증후군 점수 및 인슐린저항성 지표 간의 전향적 연관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화 영아성장 출생 코호트 자료를 기반으로 수행되었으며, 만 7-9세소아기와 만 13-15세 청소년기를 고려하여, 모두 추적관찰에 참여한 대상자를 연구대상자로 고려하였다. 이 중 소아기의 악력 측정치와 청소년기의 평가 변수가 결측인 경우에는 분석대상자에서 제외하였다. 이에 최종 연구대상자는 총 219명이었다. 주요 평가 변수로는 청소년기의 대사증후군 위험을 표현할 수 있게 대사증후군 점수를 계산하여 활용하였으며, 인슐린저항성 지표로 공복인슐린과 Homeostatis Model Assessment-Insulin Resistance (HOMA-IR)를 평가하였다. 악력에 대한 평가 시, 악력 수치는 체격과 크게 상관성이 존재함에 따라 체격으로 인한 영향을 배제하고자 악력을 체중으로 나눈 상대악력 수치를 사용하였다. 이는 성별에 따른 차이를 고려하여 성별 특이적 사분위수로 정의한 후 분석에 활용하였다. 성별, 연령, 월평균 가구소득, 어머니의 교육수준, 중등도 신체활동 빈도를 보정한 후 일반선형모델을 이용하여 만 7-9세 소아기 상대악력 수준이 만 13-15세 청소년기 대사증후군 위험 및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보정평균(adjusted mean)과 95%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으로 제시하였으며, Tukey 방법을 통해 다중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선형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소아기 상대악력 수준이 청소년기 대사증후군 위험 및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사분위수 수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상대악력 분위수가 높아질수록 대사증후군 점수와 공복인슐린 및 HOMA-IR의 평균이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모두 가장 낮은군(제1분위 수)과 높은군(제4분위 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형적 연관성 평가 결과에서도 상대악력 수준이 높아질수록 대사증후군 점수와 공복인슐린 및 HOMA-IR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교란요인을 보정한 후에도 유의한 연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는 만 7-9세 소아기 상대악력이 만 13-15세 청소년기 대사증후군 점수 및 대사증후군 구성요소와 인슐린저항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연구 결과 상대악력과 대사증후군 위험 및 인슐린저항성은 역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청소년기 대사증후군은 성인기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을 조기에 식별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며, 청소년기 대사증후군 위험 및 인슐린저항성의 예방적 요인으로 소아기 상대악력의 영향을 전향적으로 평가하여 결과를 산출했다는 점에서 역학적 근거로서 의미가 있다. 상대악력은 근력의 대리지표로서 대사증후군 위험 및 인슐린저항성 위험을 예방하기 위해 소아기 근력관리의 필요성을 뒷받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etabolic syndrome (MetS) is a condition characterized by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several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primarily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IR). Preventing MetS during adolescence is crucial due to its high likelihood of causing various health issues in adulthood. Therefore, investigating and assessing health impacts across the life course is imperative. Previous studies have found an association between low handgrip strength (HG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he risk of MetS and IR. However, considering the life course approach, there is a lack of study evaluated the prospective association between HGS and MS and IR in children and adolescen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spectively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relative handgrip strength (RHGS) in childhood and the development of MetS and IR in adolescence. This study was based on the Ewha Birth and Growth Study data and selected participants who were followed up at ages 7 to 9 and 13 to 15 years, resulting in a total of 219 participants in the final study. The risk of MetS was evaluated using the continuous metabolic syndrome score (cMetS) and IR was assessed using fasting blood insulin (FBI) and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of insulin resistance (HOMA-IR). To account for body size differences, RHGS was determined by dividing HGS by body weight, categorized into sex-specific quartiles, and used for analysis. A general linear model were used to assess the effect of RHGS in childhood on MetS and IR risk in adolescence, adjusting for sex, age, income, mother’s education, and moderate physical activity. Results are expressed as adjusted means and 95%CI, and a post hoc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ukey’s method. In addition,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rends in the effect of RHGS quartile levels on MetS and IR risk. This study found an inverse association between RHGS levels in childhood and MetS and IR in adolescence. The higher the level of RHGS lead to the lower the cMetS, FBI, and HOMA-IR. These association remained significant even after adjusting for confounding factors. By evaluating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RHGS and cMetS, its components, and IR in adolescence, the study showed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cMetS and IR with RHGS. Given the persistence of MetS into adulthood, early prevention of risk factor is important.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epidemiological evidenc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anaging muscle strength in childhood to mitigate the risk of MetS and IR in adolescence.

      • 소아에서 bisphenol A 노출과 간 효소 수치와의 연관성 : 전향적 코호트 연구

        이선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Bisphenol A (BPA)는 내분비 교란물질이며, 체내에서 에스트로겐 유사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PA 노출에 따른 건강영향으로, 소변 내 BPA 농도와 간 기능 저하와의 연관성에 대해 일부 연구가 보고된 바 있으나, 대부분 단면연구 설계였으며 성인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두 소아시기의 BPA 노출의 반복 측정을 통해 노출수준 및 개체 내 상관성을 평가하고, BPA 노출과 사춘기시기의 간 효소 수치와의 전향적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전향적 코호트인 이화영아성장 코호트에서 연구대상자를 구성하였다. 만3-5세와 만7-9세 시기에 추적관찰에 참여한 대상자 중 소변시료가 존재하는 164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BPA 농도를 반복 측정하였다. 이 중 만10-13세 시기의 추적관찰에 참여한 113명을 대상으로 BPA 노출과 간 효소 수치(아스파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ALT), 감마글루타밀 전이효소(gamma-glutamyl transferase, γ-GTP))와의 관련성을 평가하였다. 매 추적관찰 시, 공복 혈액과 소변 시료를 수집하였으며, 사회인구학적 환경및 개인 행동 특성에 대해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잠재적 혼란변수를 보정하기 위해 다변량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또한 BPA 노출량을 3분위수로 나누어, 일요인 분산분석을 통해 군간 평균차이를 검정하고 용량-반응 관계를 확인하였다. BPA 노출수준에 대해, 만3-5세의 소변 내 BPA 농도의 기하평균은 0.75 μg/g creatinine로, 만7-9세의 0.70 μg/g creatinine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3-5세, 만7-9세 노출 간의 BPA 농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23, p<0.01). 만3-5세의 소변 내 BPA 농도와 만10-13세의 간 효소 수치와의 연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만7-9세의 소변 내 BPA 농도와 만10-13세의 간 효소 수치와의 연관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효과크기(β)가 가장 크게 나타난 ALT의 경우, BPA 한 지수단위(e1=2.7) 증가 당 ALT가 1.8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PA 농도를 3분위로 나누어 평가했을 때, 노출수준이 가장 높은 군이 다른 군에 비해 높은 간 효소 수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용량-반응 관계를 확인한 결과, 만3-5세에서는 그 경향성을 확인할 수 없었으나, 만7-9세 시기에서는 가장 낮은 분위수에서 높은 분위수로 한 단위 증가 당 ALT의 평균이 2.00 IU/L 정도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다. 특히 남아에서는 여아보다 상대적으로 효과크기가 컸으며, 용량-반응 관계가 더 뚜렷이 관찰되었다. 본 연구대상자의 BPA 노출수준은 국제 권고치나 국내외 소아 노출수준과 비교했을 때 낮은 편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결과는 일상생활 수준의 저농도 BPA 노출에도 간 효소 수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일반 소아에서 확인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소아에서 저농도의 BPA 노출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하며, 노출에 대한 조기중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Background: BPA is an endocrine disrupter and plays a similar role as estrogen.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between urinary BPA concentrations and adverse liver function. Additionally, most studies were cross-sectional and included only adults. Objectives: We evaluated BPA exposure level and accessed the prospective association between BPA exposure and liver function in childre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Ewha Birth and Growth Cohort Study, an ongoing prospective cohort study. Urinary BPA concentration was measured in 164 children, who were followed-up at 3-5 years and 7-9 years of age. At each visit, fasting blood and urine samples, an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he association between the BPA concentration at these ages and liver enzymes measured at 10-13 years of age was analyzed (n=113).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djust for potential confounders. We also assessed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of the BPA level. Results: The median urinary BPA concentration was 0.76 μg/g creatinine at 3-5 years and 0.61 μg/g creatinine at 7-9 years of age. Urinary BPA concentration between the two age period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r=0.23, p<0.01). Urinary BPA concentration at 7-9 years, but not at 3-5 year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iver enzyme levels at 10-13 years of age (p<0.05). Those who belonged to the highest tertile of urinary BPA concentration demonstrated higher level on liver enzymes than others. Additionally, we found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after potential confounders at 7-9 years exposure, but not at 3-5 years. Especially in boys, the effect size wa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girls and the dose-response relationship was more evident. Conclusions: BPA exposure of even low doses might be a adverse effect on liver function even in children. Keywords: 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Bisphenol A; Children; Cohort study; Gamma-glutamyl transferase

      • 당뇨병 환자에서 자가 관리와 건강관련 삶의 질

        유재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에서도 당뇨병의 유병률이 증가하며, 이는 중요한 공중 보건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또한, 당뇨병은 개인의 관점에서도 평생 관리를 필요로 하는 만성질환이며, 신체적 건강을 포함한 전반적인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 질환으로 생각된다. 또한, 당뇨병은 합병증을 유발하고 그로 인한 신체적 건강을 악화시킴으로 인해 삶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다. 그래서 당뇨병은 평생 자가관리가 필요하나, 많은 환자들이 충분한 자가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삶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가 자가관리에 따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 2월부터 5월까지 이화여대 목동병원을 내원한 당뇨병을 진단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 조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184명의 환자에 대해 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조사원이 직접 면접 조사를 통해 신장과 체중, 결혼상태 등 일반적인 특성, 질환력과 합병증, 진단 시기와 당뇨병 치료법을 조사하였다. 당뇨병 자가관리는 The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ies(SDSCA)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으며, 식사관리, 운동, 혈당측정, 흡연 등에 대해 지난 일주일간의 당뇨병 자가관리 횟수에 대해 확인하였으며, 단축형 건강관련 삶의 질 척도(Short Form-12 Health Survey Questionnaire:SF-12)를 사용하여 삶의 질에 대해 평가하였다. 환자의 자가관리(SDSCA)와 건강관련 삶의 질 척도(SF-12)에 대해 상관분석을 시행하였고, 건강관련 삶의 질은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PCS-12)와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MCS-12)를 세 그룹으로 나누고, 당뇨병 자가관리 점수도 세 그룹으로 나누어 Chi-square test와 다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와 삶의 질의 상관관계를 보면, 자가관리 영역 중 운동관리와 PCS-12에서 유의한 약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건강관련 삶의 질 PCS-12의 경우 소득이 200만원 미만인 그룹에 비해 400만원 이상인 그룹에서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고, 교육 수준, 직업 유무에서도 유의하게 분포상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MCS-12의 경우는 비흡연군과 비음주군에서 삶의 질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삶의 질과 자가관리 점수와의 분포를 보면, 운동요법의 자가관리 점수가 높은군에서는 PCS-12의 삶의 질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식이요법 자가관리가 높은군에서 MCS-12의 삶의 질이 증가할수록 대상자의 분포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 통해 자가관리와 삶의 질과의 연관성을 보면, PCS-12 삶의 질은 운동요법 자가관리가 잘 될수록 삶의 질이 높아질 교차비가 증가하였고, 운동요법의 낮은군에 비해 중간군에서는 4배의 교차비가 증가하고, 운동요법의 낮은군에 비해 높은군에서는 7배까지 증가하였다. MCS-12 삶의 질은 식이요법의 관리가 낮은군에서 중간군으로 높아질 때 교차비가 약 4배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뇨병 환자의 전반적인 자가관리와 더불어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등의 관리 또한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자가관리를 잘하는 당뇨병 환자군에서 삶의 질이 증가함을 알 수 있으므로, 당뇨병 환자의 자가관리의 중요성을 볼 수 있었다. Background & Object : While increased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DM) in Korea implies that it has become an important public health problem, it is also important at an individual level as it lowers the quality of life. In order to properly manage the disease, diabetes patients have to have adequate self-care. However, many patients do not have adequate self-care behavior and supplied the poor Quality of Life(QOL). In this study, we aimed to determine the association between summary of diabetes self-care activity(SDSCA) and QOL in outpatients with DM. Materials & Method : Study participants were 184 DM outpatients who were recruited at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in SeoulfromFebruarytoMayin2009. QOL was assessed using Short Form Health Survey (SF-12). The SF-12 was made up Physical Component Summary Score (PCS-12) and Mental Component Summary Score (MCS-12). Self-care behaviors were assessed using the SDSCA measure. Hospital records were checked for medical histories. QOL and SDSCA were divided by tertile and was analyzed by chi-square test. Correlation of SDSCA total score and SF-12 was analyzed by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estimate the association between level of QOL and SDSCA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ers(p<0.3). Results : When we analyzed the distribution of SDSCA and QOL in DM patients, median of SDSCA total score was 27. The median score of PCS-12 and MCS-12 were 47.1 and 50.2, respectively. Regarding the association between SDSCA and QOL, middle-group of SDSCA showed more likely to be in high-group of QOL(adjusted odds ratio=6.44, 95% confidence interval=1.81-23.0) and increased more in good-care group of SDSCA(aOR=7.81, 95%CI=1.90-32.1) in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In level of diet care, both middle-care and good-care group had fourfold risk compared to poor-care group in MCS-12. Total score distribution of SDSCA, also, was not significant in PCS-12, but MCS-12 had borderline significance(aOR=2.39, 95%CI=0.84-6.82). Discussion & Conclusions : We suggest that SDSCA of DM patients may affect quality of life. Exercise care had positive association with PCS-12 and diet care had positive association with MCS-12. DM patients who had moderate exercise level and who were under diet care had better QOL. Therefore, adequate self-care behavior with DM patients was willing to improve their QOL in accordance with proper self-care program should be recommended.

      • 태생기 및 생후 초기 성장과 PON1 Q192R 유전자 다형성이 3세 영아의 혈중 요산에 미치는 영향

        박보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599

        고혈압은 심혈관계 질환의 주요 위험요인으로서 전 세계적으로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다. 생애 초기의 환경, 즉 출생 전 제한된 성장 및 출생 후 초기의 가속화된 성장은 프로그래밍 되어 성인기에 고혈압 및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요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혈중 요산은 고혈압 발현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규모 역학 연구들은 이를 증명하였지만 서로 상반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으며 이러한 연관성을 설명하는 생물학적 기전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부족한 실정이다. 산화 스트레스 및 대사 관련 유전자 다형성은 심혈관계 질환에 영향을 미치며 저체중 출생 및 출생 초기의 가속화된 성장과도 연관이 있다. 따라서 제한된 생애 초기 성장과 고혈압과의 연관성에 영향 요인으로 작용할가능성이 있어 관련유전자다형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출생 시 성장 및 출생 후 초기 성장과 3세 영아의 혈중 요산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 PON1 Q192R 유전자 다형성이 이러한 연관성에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알아보았다. 이화여대 부속 목동병원에서 출생한 영아 중 영아성장 코호트에 등록한 696명을 대상으로 36개월 되는 시기에 추적관찰 연구를 제안하였고 연구에 참여한 178명의 소아 중 다태아 24명과 임신성 고혈압 및 당뇨를 경험한 산모에게서 태어난 18명을 제외하고 136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임신주수와 출생 시 체중 등의 출생결과를 의무기록에 근거하여 수집하였고 3세 시기에 추적관찰 조사를 실시하였다. 성장 평가를 위하여 신장, 체중, 두위 등의 신체 계측과 혈압을측정하였고공복 시 혈액을 채취하여 혈중요산농도와 PON1 Q192R 유전자다형성을 평가하였다. 일반선형모형과 상관분석으로 변수간의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조산과 저체중 출생은 3세 시기의 혈중 요산 농도를 유의하게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체중과 체질량 지수, 출생 후 초기의 빠른 성장률도 요산 수준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조산아이면서 출생 후 빠른 성장률을 경험한 소아는 다른 군에 비해 혈중 요산 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정상 주수로 출생하여 출생 후 초기 성장률이 작았던 소아와 비교하였을 때 혈중 요산농도가 약 0.6mg/dL 가량 높았다 (p=0.001). PON1 유전자 다형성이 R/R, Q/R인 경우에 Q/Q 유전자 다형성을 가지는 소아보다 혈중 요산 농도가 높았으며 R 대립 유전자를 가질수록 요산수준이 증가하는 용량-반응 관계가 관찰되었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3.67mg/dL vs 3.37mg/dL vs 3.24mg/dL). PON1 유전자 다형성과 생애 초기 성장이 요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이요인 분산분석에서 조산과 출생 후 가속화된 성장 및 PON1 유전자 다형성이 독립적으로 혈중 요산 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요산과 혈압과는 양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수축기: partial r =0.28, p=0.002, 이완기: partial r=0.28, p=0.002). 조산과 저체중 출생과 그 후의 가속화된 생후 초기 성장은 영아의 혈중 요산 농도를 높이는 위험 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ON1 유전자 다형성도 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임신 기간부터 출생 전 성장이 제한되는 것을 예방하는 노력이 요구되어지며 이미 제한된 성장을 가지고 출생한 경우에는 적절한 식이 조절을 통하여 생후초기 성장이 가속화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관찰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Uric acid might play a caus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in relation to birth weight. The aim of the study was to elucidate the association between prenatal and/or postnatal growth status and serum uric acid levels on PON1 Q192R genetic polymorphism in children at 3 years of age. A total of 136 children from the birth cohort at Ewha Womans University Hospital were included the analysis.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blood pressure, serum uric acid and PON1 Q192R genetic polymorphism were measured at 3 years of age. The levels of serum uric aci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hypertensive children than in nonhypertensive children. Preterm birth and lower placental weigh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serum uric acid in early childhood. In addition, current weight, body mass index, and change-in-weight standard deviation (SD) score from birth to current were also associated with serum uric acid level. Children with the high risk PON1 Q192R genetic polymorphism(R/R) has the highest serum uric acid level. Also that PON1 Q192R genetic polymorphism might modify the association between pre- and early post-natal growth status and serum uric acid. Our data demonstrate that preterm birth and a subsequent high rate of postnatal weight gain are risk factors for increased serum uric acid levels with PON1 Q192R genetic polymorphism in early childh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