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게껍질 및 methionine급여가 우유의 무기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

        조상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599

        무기질은 신체의 구성성분이며, 생리현상을 조절하고 세포활동에 관여하는 효소나 호르몬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우유의 다량 및 미량무기질 함량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젖소의 사료에 무기질이 풍부한 게껍질 및 타우린 전구체인 methionine을 첨가시켜 우유의 다량 및 미량무기질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Holstein 젖소 (550∼650kg) 18마리를 세군으로 나누고 각기 게껍질 (CS,450g/d), methionine (Met, 60g/d) 또는 rumen protected methionine(25g/d)과 게껍질 (RPM+CS, 450g/d)을 식이에 첨가하여 6주간 급여하였다. 급여 2주, 4주 및 6주 후 젖소로부터 우유원액을 수집하였으며, 분석시 3차 증류수를 이용하여 희석하여 원자흡광광도계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Perkin-Elmer, 4100ZL, U.S.A)를 이용하여 무기질 농도를 측정하였다. CS첨가식이를 6주간 급여한 결과 우유의 Ca농도는 급여전 수치 (1038±43㎍/g)의 3.3배로, Fe농도는 급여전 수치 (621±34ng/g)의 3.8배로, Zn농도는 급여전 수치 (257±4.8ng/g)의 1.4배로, 그리고 Se 농도는 급여전 수치 (216±1.4ng/g)의 1.3배로 각기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한편 우유의 Cr농도는 CS첨가식이를 6주간 급여시킨 결과 급여전 수치(13.7±1.1ng/g)의 45%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냈고, Mg, Mn 및 Cu농도는 CS첨가식이에 의해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Met첨가식이를 6주간 급여한 결과 우유의 Ca농도는 급여전 수치 (1056±37㎍/g)의 1.9배로 증가하였으나, Fe, Mn 및 Cr농도는 급여전 수치 (637±28.5ng/g, 22±2.2ng/g, 15.7±1.3ng/g)의 86%, 90% 및 64%로 감소하였고, 기타 Mg, Mn 및 Cu농도에는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RPM+CS첨가식이를 6주간 급여시킨 결과 우유의 Ca농도는 급여전 수치 (1146±29㎍/g)의 3.5배로, Fe 농도는 급여전 수치 (615±50.8ng/g)의 2.9배로, Zn 농도는 급여전 수치 (253.3±4.6ng/g)의 1.8배로, 그리고 Se농도는 급여전 수치 (23.2±1.3ng/g)의 1.5배로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다. 반면 CS첨가식이군에서와 마찬가지로 RPM+CS식이 급여 6주후 우유의 Cr농도는 급여전 수치 (17.1±1.6ng/g)의 49%로 감소하였다. 첨가식이 급여 6주후 각군별 우유의 무기질 농도차이를 살펴보면, Ca, Zn, Se 및 Mn농도는 RPM+CS군 (4003±85㎍/g, 467±31.9ng/g, 34.1±0.5ng/g 및 26.8±0.5ng/g)에서 CS군 (3397±238㎍/g, 349±11.6ng/g, 27.3±2.1ng/g 및 22.3±2.2ng/g) 또는 Met군 (1964±34㎍/g, 243.5±7.8ng/g, 21.2±1.1ng/g 및 19.7±0.8ng/g) 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Fe농도는 CS군 (2347±350ng/g)과 RPM+CS군 (1765±70ng/g)에서 Met군 (548±38.2ng/g)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반대로 Cr농도는 Met군 (10±0.4ng/g)과 RPM+CS군 (8.5±0.2ng/g)에서 CS군 (6.2±0.2ng/g)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또한 우유에서 변화된 Ca, Se, Fe, Zn, Mg, Mn, Cr 및 Cu 농도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량 무기질 중 우유내 Mg는 Fe과 Zn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Se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미량무기질 중 우유내 Fe는 Se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Zn는 Fe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Se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Mn는 Fe, Zn 및 Mg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Se와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Cr는 Se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Fe, Zn 및 Mg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Cu는 Se 및 Cr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Zn 및 Mg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논문의 결과로 미루어 젖소의 사료에 게껍질을 첨가함으로써 자연적으로 다량 및 미량 무기질이 강화된 우유를 생산할 수 있었고, 이는 체내에 부족되기 쉬운 다량 및 미량 무기질의 함량을 증가시킨 축산제품 생산에 폭넓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Effects of dietary crab shell and methionine supplementation on milk mineral concentration were evaluated in cows (Holstein 550∼650kg). Eighteen cow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fed one of the following feeds for 30 days: CS (crab shell supplemented feed), Met (methionine supplemented feed), RPM+CS (rumen protected methionine and crab shell meal supplemented feed). The CS meal consisted of the wasted parts of shells, excluding the front legs and back shells. Mineral concentrations of the crab shell referred to the paper (Park, D.J, et 2000) and milk samples were determined using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Perkin-Elmer, 4100ZL, U.S.A). After 6 weeks of feeding CS supplemented feeds, concentrations of Ca (3397±238㎍/g), Zn (349±11.6ng/g) and Fe (2347±350ng/g) in milk from cows fed C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initial values in CS group, but the concentration of Cr (6.2±0.8ng/g) in milk from cows fed CS was respectively decreased than the initial value in CS group (p<0.05). After 6 weeks of feeding Met supplemented feeds, the concentration of Ca (1964±34㎍/g) in milk from cows fed Me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han the initial value in Met group, but concentrations of Fe (548±38ng/g), Cr (10±0.4ng/g) and Mn (19.7±0.8ng/g) in milk from cows fed Met were decreased than initial values in Met group (p<0.05). After 6 weeks of feeding RPM+CS supplemented feeds, concentrations of Ca (4003±85㎍/g), Fe (1765±70ng/g), Zn (467±31.9ng/g) and Se (34.1±0.5ng/g) in milk from cows fed RPM+C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RPM+CS group. The concentration of Cr (8.5±0.2ng/g) in milk from cows fed RPM+CS was zdecreased than the initial value in RPM+CS group (p<0.05). This study showed that feeding with crab shell or methionine increased specific minerals in cow's milk. These results could be widely applied to develop the mineral fortified dairy product naturally.

      • 흰쥐를 대상으로 한 한약처방의 장기복용이 철분 및 칼슘의 생체이용률에 미치는 영향

        양미자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널리 이용되는 한약처방이 무기질 중 특히 한국인에 있어서 결핍이 우려되는 칼슘과 철분의 생체이용률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동물모델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빈혈이 유도된 흰쥐를 한약처방이 함유된 실험식이로 4일, 12일, 25일 사육시킨 후 칼슘 및 철분의 생체이용률을 Hemoglobin repletion bioassay와 Chemical balance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식이로 25일간 사육한 후 혈청 철분농도, 헤모글로빈농도, UIBC, TIBC, transferrin 포화도 및 Relative biological value 측정한 결과, SD(20.1±2.1umol/L)군과 JY(17.8±2.8umol/L)군의 혈청 철분농도가 대조군(15.5±2.2umol/L)에 비해 더 높았으며, 특히 SD군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p<0.05). 철분 repletion을 시작한지 25일이 경과한 후 UIBC수치는 SD(26.6±3.0umol/L)군 및 KB군(24.2±3.0umol/L)에서 대조군(35.6±2.0umol/L)에 비해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p<0.05). TIBC수치 역시 SD군에서 47.4±2.1umol/L로 대조군(49.9±1.6umol/L)에 비해 더 낮았다. 혈청 transferrin 포화도가 SD군에서 철분 repletion 12일째에 19.6±1.3%, 그리고 25일째에 50.8±4.3%로 나타나 상응한 시기 대조군의 16.9±0.9%, 31.4±4.0%보다 더 높았고, 25일째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가 관찰 되었다(p<0.05). Hemoglobin repletion bioassay를 이용하여 철분 섭취량에 따른 hemoglobin 농도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4일 및 12일간 철분 repletion을 실시한 후 측정된 혈중 헤모글로빈 값으로 일차함수 관계식을 유도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SM, SD, KB, JY, YH군에서 얻어진 일차함수 그래프의 기울기가 각기 1.116, 1.3199, 1.3678, 0.747, 1.1036, 0.5247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토대로 Relative biological value(RBV)를 평가하기 위해 대조군의 기울기에 대한 한약처방첨가 식이군의 기울기 비율을 계산한 결과, 각기 SM(118%), SD(123%), KB(66.9%), JY(98.9%) 및 YH(47%)로 SD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흰쥐를 한약처방이 함유된 실험식이로 사육시키면서 25일 경과한 뒤 철분 및 칼슘의 생체이용률을 평가하기 위하여 24시간 소변 및 대변내 철분 및 칼슘 배설량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철분 및 칼슘의 소화율, 체내 보유율을 산출하였다. Ferrous sulfate(20mg Fe/kg diet)와 한약이 함유된 식이로 4일, 12일, 25일간 사 육한 후 철분의 겉보기 흡수율과 보유율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철분 repletion기간이 길어지면서 철분 흡수율과 보유율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철분 고갈상태가 완화되면서 철분 흡수율과 보유율이 점차로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하며 25일째에 모든 한약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철분 흡수율과 보유율이 낮게 나왔는데 이는 한약군에서 철분 고갈 상태가 대조군에 비해 더 잘 완화되였기 때문인 것으로 사려한다. 특히 SD, KB, YH처방의 경우 철분 고갈상태가 완화되면서 4일째에 비해 25일째 철분 흡수율과 보유율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는데 (p<0.05), 이는 이들 한약처방이 철분 repletion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려된다. 칼슘의 겉보기 흡수율과 보유율을 측정한 결과, 한약섭취가 25일째 KB군을 제한 외 칼슘 흡수율과 보유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반면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거나 혹은 유의적인 변화를 초래하지 않았다. 한약처방이 기타 항산화 미량원소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한약처방이 함유된 실험식이로 4일, 12일, 25일 사육시킨 후 혈청 및 24시간 소변 및 대변내 Cu, Zn, Mn, Se의 농도 및 배설량을 측정한 결과, 한약처방섭취 12일 후 혈청 Se 농도가 실험식이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모두 높게 나타났고 특히 SD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청 Zn농도는 YH군에서 대조군과 다른 실험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혈청 Cu 농도는 한약처방섭취 25일 후 SD군과 KB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The effect of long term consumption of commonly used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on calcium and iron bioavailability was evaluated using in vivo experimental system. Effect of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on bioavailabilities of Ca and Fe in anemic rats which were depleted of iron by feeding iron-deficient diet was evaluated using hemoglobin-repletion bioassay and chemical balance study after they were fed one of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ed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for 4, 12 and 25days. Serum iron, hemoglobin concentration, UIBC, TIBC, transferrin saturation and relative biological value of rats fed experimental diets for 25 days were determined. The result indicated: Serum iron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SD(20.1±2.1umol/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15.5± 2.2umol/L)(p<0.05), UIBC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SD(26.6±3.0umol/L) and KB(24.2±3.0umol/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35.6±2.0umol/L), TIBC was decreased in SD(47.4±2.1umol/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49.9±1.6umol/L) group, Serum transferrin saturation was increased in SD(19.6±1.3% for iron repletion 12 days, 50.8±4.3% for iron repletion 25 days, respectively)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16.9±0.9% for iron repletion 12 days, 31.4±4.0% for iron repletion 25 days, respectively) group. Regression analyses of hemoglobin repletion data against the length of diets feeding period showed that the slope obtained from rats fed diets contained SM, SD, KB, JY and YH was 118%, 123%, 66.9%, 98.9% and 47%, respectively. For the determines iron and calcium apparent absorption and retention, the rats were fed one of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ed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for 4, 12 and 25 days. Dietary iron intake, fecal and urinary iron excretion were determined for the last 3 days. Result of the chemical balance study showed that the iron absorption and retention are decreased for iron repletion 25 days compared to iron repletion 4 days. The calcium absorption and retention did not exert negative effects in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except KB group. The antioxidant mineral concentrations in the serum and the excretions in the urine and feces for 24 hours were determined fed one of the experimental diets contained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for 4, 12 and 25 days.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herbal medicine prescriptions did not exert negative effects on Cu, Zn, Mn, Se concentrations in the serum and excretions in the urine and feces.

      • Molecular mechanisms for metaflammation in the adipose tissue and skeletal muscle of mice with high-fat diet-induced obesity

        김승진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Recently, substantial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obesity and chronic inflammation. Although many studies have provided clear evidences that circulating levels of TNF? and IL-6 and their expression levels in adipose tissue are elevated in obese and/or type 2 diabetes subjects, only a few studies have implicated IL-1 in these disease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high-fat diet (HFD)-induced obesity induces the activation of the IL-1 type I receptor (IL-1RI)-mediated inflammatory signaling cascade in the skeletal muscle of mice. Male C57BL/6J mice were fed either an HFD or a normal diet (ND) for 12 weeks. Compared to the results in mice receiving the ND, the HFD increased the expression of IL-1RI and downstream signaling proteins, such as myeloid differentiation primary response gene 88 (MyD88), IL-1R-associated kinase4 (IRAK4) and phospho-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activated kinase 1 (TAK1), in the skeletal muscle. However, mice with HFD-induced obesity exhibited reduced or unchanged mRNA levels of TLR2, 4, and 6 or TLR1, respectively, in their skeletal muscles compared to those for the ND mice. Additionally, both the activity of inhibitor of kappaB (IkappaB) kinase beta(IKK beta) and the IkappaB degradation were significantly elevated in the skeletal muscle of mice fed a HFD compared to mice receiving a ND. In contrast, the levels of other downstream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activator protein-1 (AP-1) and interferon (INF) regulatory factor5 (IRF5), were not affected by the HF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L-1RI―MyD88―nuclear factor kappa B (NFkappaB) signaling pathway may be involved in induction of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skeletal muscle of mice fed a HFD. Obesity is characterized by low-grade and chronic activation of inflammatory responses, a phenomenon explained with a new term, metaflammation. Recent studies suggest that adipocyte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hysiological regulation of immune responses in fat deposits via toll-like receptor (TLR) signaling cascad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the visceral as well as subcutaneous adipose tissues in the development of metaflammation by characterizing the tissue-specific expression profiles of TLRs and downstream signaling molecules, and explores the differential responsiveness of TLR-mediated pro-inflammatory signaling cascades to diet-induced obesity (DIO) and obesity induced by a leptin gene deficiency. The obesity that was induced by an HFD or leptin deficiency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TLR1 to 9 and TLR11 to 13 in murine adipose tissues, a phenomenon linked with downstream NFkappaB, IRFs, and STAT-1 activation, and up-regulated the expression of cytokines and chemokines via MyD88-dependent and -independent cascades. The extent of the obesity-induced up-regulation of most TLR genes and related pro-inflammatory signaling cascades was much greater in the epididymal adipose tissues than in the subcutaneous fat tissues of the mice with DIO. Furthermore, the magnitudes of the obesity-induced up-regulation of the TLR1, TLR4, TLR5, TLR8, TLR9, and TLR12 genes and most of the downstream signaling molecules and target cytokine genes in the visceral adipose tissue were greater in the DIO mice than in the ob/ob m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LRs and related pro-inflammatory signaling molecules that are over-expressed in enlarged adipose tissue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obesity-associated phenomenon of metaflammation.

      • 고온 챔버의 노즐 형상에 따른 섬유가공기 유동특성에 관한 연구

        박선명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연속식 섬유가공기는 섬유의 건조 및 직물의 경사 및 위사 구조를 조밀하게 해주고, 여러 가지 섬유의 후가공 공정을 하나의 기계로 가능하게 하여 제품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섬유 가공 장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섬유가공기의 노즐 형상에 따른 유동 구조의 특성을 살펴보고 효율적 건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섬유가공기의 핵심 영역인 고온 챔버부의 유동 구조를 분석하고, 노즐 형상에 따른 3차원 유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비압축성 난류유동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균일한 유동구조를 가지는 조건과 유체의 진동을 유발하여 건조 성능에 기여하는 노즐 형상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원단에 따라 상이하게 요구되는 건조 조건에 맞추어 노즐의 각도 및 간격배치를 조절하여 건조 성능을 개선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ontinuous textile machines dry fabrics and densify weft threads and warp threads. The continuous textile machine is able to integrate post manufacturing processes of fabrics, hence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by using the continuous textile machin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 structure according to nozzle shapes and a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drying performance of fabrics. The flow structure of high temperature chamber was analyzed, and the numerical analysis of incompressible turbulent flow was performed for identifying the 3-dimensional flow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variation of nozzle shapes. As a result, the operation conditions with a uniform flow and the nozzle shapes with improving the drying performance by causing the vibration of fluid are verified. It is found that the drying performance is improved by controlling the angle and arrangement of nozzles corresponding to different drying conditions.

      • Olfactory receptor OR51B5 is essential for survival and collagen synthesis in human dermal fibroblasts

        손보민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피부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진피는 주로 콜라겐 섬유로 구성되는데, 자외선 혹은 스트레스 등 외부 요인에 의해 콜라겐 합성이 저해되면 결국에는 피부노화가 유발된다. 한편 비강 조직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졌던 후각수용체는 최근 피부를 포함한 다른 조직에서도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졌고, 이들의 생물학적 기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피부섬유아세포에서 피부노화를 조절하는 후각수용체를 규명하고자 한다. 자외선 및 스트레스로 유도된 피부섬유아세포 노화모델에서 유전자발현이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된 10가지 후각수용체를 각각 억제했을 때, OR51B5 유전자발현이 억제된 상황에서만 세포생존 및 콜라겐 합성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OR51B5 유전자발현 억제는 세포 내 cAMP 수준을 감소시키고 하위 PKA-CREB 신호전달 경로를 억제해 세포생존 및 콜라겐 합성 관련 유전자를 하향조절함을 확인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피부섬유아세포에서 OR51B5가 세포생존과 콜라겐 생성에 관여함을 규명하였고, 피부노화를 개선하는 작용점으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한다. Skin dermis comprises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s, mainly collagen fibers. A decrease in collagen synthesis caus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ultraviolet (UV) irradiation and stress, eventually causes extrinsic skin aging. Olfactory receptors (ORs) were initially considered to be specifically expressed in nasal tissue, but several ORs have been reported to be present in other tissues, and their biological roles have recently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In this study, we aimed to characterize the role of ORs in skin aging in dermal fibroblasts. We confirmed that UVB irradiation and dexamethasone exposure significantly induced skin aging, characterized by decreased cell survival and collagen synthesis in Hs68 dermal fibroblasts. Moreover, we demonstrated that the mRNA expression of 10 ORs detectable in Hs68 cells was significantly downregulated in aged conditions compared with that in normal conditions. Thereafter, by individual knockdown of the 10 candidate ORs, we identified that only OR51B5 knockdown leads to a reduction of cell survival and collagen synthesis. OR51B5 knockdown decreased cAMP levels and dampened the downstream protein kinase A/cAMP-response element binding protein pathway, downregulating the survival- and collagen synthesis-related genes in the dermal fibroblasts. Therefore, OR51B5 may be an interesting candidate that plays a role in cell survival and collagen synthesis; skin aging.

      • The CRF-overexpression mouse is a model of chronic stress-induced muscle atrophy

        Wesuk Kang 연세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Chronic stress and persistently high glucocorticoid levels can induce muscle atrophy. Unfortunately, there is a lack of appropriate animal models for stress-induced muscle atrophy research. Corticotropin releasing factor (CRF)-overexpressing (OE) mice are a genetic model of chronic stress with elevated plasma corticosterone levels and Cushing’s syndrome. The skeletal muscle alterations in the CRF-OE mice, however, are not well known. We found that 19-week-old male CRF-OE mice had significantly lower skeletal muscle mass, average cross-sectional area of myofibers, and total muscle protein content compared to their wild type (WT) littermates. Muscle functions determined by grip strength, wire-hang, and open field test showed that 19-week-old male CRF-OE mice had impaired physical ability. Additionally, decreased expression of molecules involved in the IGF-1/AKT/mTOR protein synthesis pathway and increased ubiquitin proteasome pathway activity were observed in the skeletal muscles of CRF-mice compared to their WT mice. Overall, the CRF-OE mouse model aged to 19 weeks recapitulated many features of muscle atrophy and thus, represents a useful model to study stress-induced muscle atrophy and interventions that target the effects of stress on the skeletal muscle.

      • 수소-산소 동축 분사기에 대한 리세스 효과 수치해석 연구

        이기범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에서는 수소-산소 동축 분사기에 대해 리세스 길이에 변화를 주며 연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상용코드인 ANSYS Fluent를 이용해 정상 유동의 난류 연소의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위해 층류 화염편 모델을 도입하였다. 리세스 효과에 따른 유동의 혼합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중심축 상 축방향 속도 및 난류에너지, 재순환 유동, 그리고 혼합도를 살펴보았다. 리세스가 있는 경우의 난류에너지는 리세스가 없는 경우보다 빠르게 발달했고, 연소실 벽면에서 형성되는 재순환 유동의 강도와 크기가 증가했다. 이러한 유동구조의 변동으로 리세스 길이가 증가할수록 수소와 산소의 빠른 혼합을 유도할 것으로 생각된다. 리세스 변화에 따른 연소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화학당량 혼합분율과 온도장에 의한 화염크기, 중심축 상 압력의 변화, 수소-산소의 연소 반응물인 물의 유동량을 분석했다. 리세스 길이가 증가할수록 화염길이가 짧아지고 연소 최고온도가 증가하며, 최종생성물인 물의 유동량과 생성량이 증가했다. 리세스가 길어질수록 더 많은 수소와 산소가 반응해 연소효율이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리세스 도입 시 연소가 분사기 내부에서부터 활발히 진행해 연소 시 분사기 내부 압력이 리세스 비 증가에 따라 상승했으며, 이는 리세스 효과를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reacting flows of hydrogen/oxygen injector with varying recess length are numerically analyzed. The laminar flamelet model of ANSYS Fluent[4] is adopted for the steady condition. To investigate the scalar mixing of reacting flow with variable recess, axial velocity and turbulent kinetic energy on the symmetric axis, recirculation flow structure and mixedness are examined in detail. When the inner jet was recessed, the development of axial velocity and turbulent kinetic energy become faster than those of non-recessed case. Also, The recirculation flow near the wall of combustion chamber become larger and stronger. As this flow structure are changed with the increase of recess lengths, it made the mixing of oxygen and hydrogen faster. The characteristic of combustion with variable recess was examined by the temperature and size of flame, the change of pressure at the symmetry axis and the quantity of H2O as the final chemical reaction. when the recess length expanded, the flame size decreased and the maximum combustion temperature raised. Additionally the flow rate per chamber area and mass fraction of H2O have grown. With this tendency, the recess of shear co-axial injector rose the combustion level of it. the climb of pressure inside recessed zone of injector examined because hydrogen/oxygen blazed up inside not only the chamber but also the zone.

      • 유량분배 매니폴드에 대한 3차원 난류유동해석

        이준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ree-dimensional turbulent flows of a distribution manifold are studied by turbulence models. It is difficult to introduce real manifolds of various systems. So, to investigate the geometrical effects, a simplified manifold is adopted. The exit configuration depending on the departure angle has advantages to the outflow uniformity. Also the decreased exit area in the streamwise direction improves the uniformity of exit flow. However, for the uniform effusion, the change of exit port by departure angle is more effective them the change of exit area. 본 연구에서는 난류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시스템에 이용되고 있는 유량분배기의 3차원 난류유동에 대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각종 시스템의 특징에 따라 고유한 형상을 가진 다양한 종류의 유량분배 매니폴드를 고려하기 어렵기 때문에 대표적인 모델형상에 대해 연구가 수행되었다. 면적이 일정한 경우 출구포트에서 출구포트길이 변화의 영향과 출구면적비 변화에 따른 영향 그리고 유출되는 각도를 통해 얻어진 각도를 토대로 출구포트의 형상의 모양을 변화시켜 보았다. 출구면에서 질량유량의 변화가 감소되기 위해서는 출구포트길이 변화와 면적비 변화보다 출구포트 형상변화의 경우가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난류 모델인 Standard k- , Realizable(REAL), RSM 3가지 모델을 수치해석하여 유출유량의 경향성을 살펴보았다.

      • 위탁급식 전문업체의 전사적 자원관리(ERP) 시스템 품질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장미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ERP 시스템을 도입해서 사용하고 있는 국내 위탁급식 전문업체 C사의 서울, 경인지역의 영양사 및 조리사를 대상으로 ERP 시스템 사용에 따른 정보 시스템의 품질이 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ERP 시스템 내 구축되어 있는 표준메뉴의 품질이 사용자의 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용자 만족과 시스템 유용성의 업무성과에 대한 관련성을 규명하고, ERP시스템 하에서 효과적인 메뉴관리 방안으로 표준메뉴시스템의 정보품질이 사용자 만족과 업무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효과적인 위탁급식의 전략경영의 방법과 위탁급식업의 ERP도입에 대한 분석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향후 ERP시스템을 활용하고자 하는 위탁급식회사의 ERP시스템 성과평가에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ERP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위탁급식 전문업체 C사의 서울, 경기지역 산업체(오피스, 관공서, 공장), 학교(대학, 중고교), 병원을 운영하는 최종사용자(점포운영자)를 대상으로 2004년 7월 26일부터 7월 30일까지 260부를 배포하여 250부가 회수 되었다(회수율: 96.2%). 본 연구의 통계 분석은 SPSS Win(11.5)을 사용하였고, 조사 항목에 대한 전체적인 현황파악을 위해 기술통계량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방법은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단순·다중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ERP 시스템의 품질은 사용자 만족도와 업무성과에 대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세 가지 요인 중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에만 영향을 미치고 서비스 품질에는 유의적이지 않은 것(회귀계수 0.283)으로 나타났으며, 선형모형의 적합도는 R²=0.542로, 54%의 설명력을 나타남으로써 가설 1의 검증 모형은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ERP 시스템의 품질이 시스템 유용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서는 세 가지 요인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사용자들은 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이 시스템 유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에 대해서 인식을 같이 하였지만, 서비스 품질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p=0.721), 시스템 품질 (p=0.404), 정보 품질(P=0.487)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고(p<0.001), 이때의 T-값은 시스템 품질이 6.233, 정보 품질이 5.944이다.셋째, ERP 시스템 사용에 따른 업무 성과는 시스템 유용성(p<0.01)과 사용자 만족도(회귀계수는 0.001)에 대하여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스템 유용성이 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회귀분석한 결과 시스템 유용성(ß=0.741)의 T-값은 18.225, 유의수준은 p<0.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선형모형의 적합도는 R²=0.590로, 59%의 설명력을 나타남으로써 가설 5의 검증 모형은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넷째, 표준메뉴의 정보 품질이 메뉴 운영 업무에 대하여 사용자 만족도(p<0.001)와 업무성과(p<0.0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탁급식 업체의 ERP 시스템 내 표준메뉴 구축에 있어 표준메뉴의 정보품질은 사용자 만족도와 업무 성과에 모두 영향을 미치며, 이는 ERP 시스템 내의 표준메뉴 정보 품질 수준이 얼마나 높으냐에 따라 사용자가 느끼는 만족을 느낌과 동시에 업무 성과에 유의적이라고 인식하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표준메뉴의 정보품질에 대한 질문 항목에서 표준메뉴의 1인량과 레시피의 정확도에 대한 질문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ERP 시스템의 메뉴운영 업무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ERP 시스템 내 표준메뉴의 품질이 보장되어질 때 시스템 사용자들의 사용자 만족, 업무 성과 또한 향상되어질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위탁급식업체의 ERP 시스템 품질(시스템 품질, 정보 품질, 서비스 품질)에 따라 사용자 만족도와 업무 성과, 시스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또한 궁극적인 ERP 시스템의 업무 성과 변수인 사용자 만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ERP 시스템의 품질이 전제되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표준메뉴의 정보 품질이 메뉴 운영업무에 업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도 표준메뉴 정보 품질이 업무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위탁급식의 표준메뉴 운영에 있어 업무 성과를 위해서는 메뉴의 정보 품질이 높아야 사용자 만족도와 업무 성과가 높아진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이에 대한 본 연구의 검증결과 역시 ERP 시스템 품질이 높을수록 사용자 만족과 업무 성과 또한 높아진다는 결론과 함께 국내 위탁급식 전문업체의 ERP 시스템 구축에 있어 ERP 시스템의 시스템 유용성과 사용자 만족도가 높여 궁극적으로 시스템 사용자의 업무 성과를 높일 수 있는 ERP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노력하여야 할 것이며, 시스템의 품질과 구축할 정보(데이터)에 대한 품질 수준을 높이는 데에도 지속적인 개발과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현재 수행중인 표준메뉴의 레시피 관리를 정기적으로 점검하고 업데이트 하여 표준메뉴의 품질을 지속적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하며, 표준메뉴 운영 면에서도 보다 효율적인 시스템을 활용을 위해 담당부서의 기준마련과 교육이 세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ERP system quality(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end user satisfaction, user performance, system utilization) of business 2)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the end user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3)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quality of the standard menu system on the end user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4) to provide the basic criteria for evaluating the ERP system of contract foodservice company 5) to suggest the effective managerial strategy of the ERP system for the contract foodservice company.The study was performed on the Nutrient Consultants and Cooks in a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C' in Seoul and Kyunggi area.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60 end users (dietitian, foodservice management manager) in charge of managing the institutional foodservice such as the office(government agencies, factories), schools (universities, middle and high school) and hospitals which were managed by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C' in Seoul and Kyunggi.The surveys were performed from July 26, 2004 to July 30, 2004. Two hundred and fifty (250) questionnaires were responded(response rate: 96.2%).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Win(11.5). And the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person correlation, simple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ERP system quality was proved to influence system quality and information quality only among the three factors proposed for the user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in this study and the influence on service quality was not significant (regression coefficient 0.283). As the appropriateness of the linear model was shown to be valid (R²=0.542)Second, the influence of ERP system quality(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service quality) on system utilization were testified to be that the service qualit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721), and only system quality (p=0.404) and information quality (P=0.487)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p<0.001).Third, the user performance were affected significantly by system utilization (p<0.01) and end user satisfaction (regression coefficient : 0.001). When analyzing the influence of system utilization on performance regressively, T-value of system usefulness (p=0.741) was 18.225,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p<0.001,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linear model was R²=0.590 (59% explainable). It shows that the verification of hypothesis 5 is successful.Fourth, the information quality of standard menus show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p<0.001) and performance of business (p<0.001) regarding menu operation works.The information quality of standard menus in construction of standard menus in the ERP system of a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influences user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It means users recognized satisfaction depending on how high they feel the standard menu information quality level is and the same level influences performance significantly. Considering that the amount for one person on the standard menu and recipe accurateness got the lowest scores among the questions regarding information quality of standard menus, the satisfaction of the system users and business performance can be enhanced when the quality of standard menus in an ERP system is guaranteed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menu operation in the ERP system. To summarize the above results, user satisfaction and system usefulness are influenced by ERP system quality (system quality, information quality and service quality). Additionally, to improve user satisfaction, which is the ultimate performance variable of an ERP system, high quality of an ERP system is the pre-requisit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quality of standard menus on business performance, information quality of the standard menus influence business performance significantly. For the better performance in standard menu operation in a Foodservice, the information quality of the menu should be improved. With higher information quality, user satisfac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would be improved together.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we can conclude that user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f business would be higher with the better quality ERP system. When constructing ERP system for a contract foodservice Management company, we should improve system usefulness and user satisfaction altogether so that performance of business of the system users can be ultimately enhanced. We need to make efforts to enhance the quality level of system and information (data). Additionally, we need to check and update recipes of the standard menus regularly to manage standard menu quality continuously. In standard menu operation, standards or guidelines for responsible department should be established and segmental and concrete training should be performed for the more efficient system ut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