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명시적 교수 기반 음소·자소 합성 집중중재가 초등학교 1학년 읽기부진학생의 단어재인과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장현일 창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honeme-grapheme synthesis intensive intervention based on explicit instruction on word recognition and generalization of first graders (age 7) of elementary school who have difficulties with reading.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recommendation of their homeroom teachers.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participants were as follows: 1) who scored average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K-WISC-V and 2) who were not literate in Korean language based on th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level diagnostic test (Hangul Tobaktobak). A single case experimental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to evaluate the intervention effects. There were three phases—baseline, intervention, and generalization— and the intervention phase was divided into 5 stages based on the level of phonological characteristics of Hangul. During each stage, explicit instruction was used (i.e., modeling, guided instruction, independent practice). To measure the dependent variable(accuracy of word recognition), a test was conducted for students to read 10 meaningless words during the independent practice. As a result of the study, all participants acquired the word recognition skill with high accuracy and they were able to generalize the skill to novel word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honeme and grapheme synthesis intensive intervention based on explicit instruction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to improve the word recognition ability of first graders with reading difficulties. The study also suggests the intervention can be us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o support students who struggle with reading. 본 연구는 명시적 교수에 기반한 음소·자소 합성 집중중재가 초등학교 1학년 읽기부진학생의 단어재인과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참여자는 K-WISC-Ⅴ(한국판 웩슬러 아동용 지능검사) 검사 결과 지능은 정상이고, 한글 해득 수준 진단 검사(한글 또박또박)에서 한글 미해득으로 나온 초등학교 1학년 학생 3명을 담임교사의 추천을 받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설계는 단일대상연구로 중단기초선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 과정에서 한글의 음운 특징을 고려하여 세분화한 학습단계(1-5단계)를 명시적 교수의 구성요소 및 절차(모델링, 안내된 교수, 독립적 수행)에 적용하였다. 종속변인 측정을 위해 한글 1-6형식이 포함된 무의미 단어 10개를 읽는 검사를 실시하였고, 연구결과 모든 연구참여자가 단어재인의 높은 성취와 일반화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명시적 교수에 기반한 음소·자소 합성 집중중재가 초등학교 1학년 읽기부진학생의 단어재인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인 중재임을 입증하는 것이며, 교육현장에서 단어재인에 어려움을 보이는 읽기부진학생들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중국과 베트남에 진출한 국내기업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 연구

        이혁인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Domestic manufacturing business' overseas expansion was initiated with the acquisition of advanced technology and the utilization of production infrastructure. Now, in order to take over global market, even small companies are carrying out active investment in foreign countries, in addition to large companies. Domestic manufacturing business' dependence on global market is closely connected to their survival strategies. However, many companies, which invested in foreign countries to secure an optimal location of production, have failed to adapt into local environment and presents a U-turn phenomenon to Korea. Although they are influenced by such factors as the change of investment environment, the economic slump of overseas countries and the difference of culture, one of main reasons is local worker's higher turnover derived from the fact that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 entities' neglect of developing an appropriately systematized personnel system, only focusing on productivity and expansion of production facilities. The problem of local worker's higher turnover accompanies the problem of productivity and causes some companies to come back to Korea in the end. In this reg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overseas local worker's job environment in overseas investment companies on job satisfaction and then enhance their job satisfaction, thus working out an effective/efficient working environment ultimately. As for the many preceding variables with which job environment has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author selected wage characteristic, job characteristic and personnel organization characteristic as independent variables. Data collected from a questionnaire survey were examined with (demographic)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test and factor analysis. Study subjects were local manufacturing workers in China and Vietnam and with them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job environment components on job satisfaction was carried out.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correlation of worker's wage characteristic to job satisfaction, all the variables was positively (+) correlated to job satisfaction. The variables of wage characteristic (wage level, wage increase, wage system/management and welfare) were not significant. Chinese worker's wage system/management and Vietnamese worker's welfar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y had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worker's job characteristic was positively (+) correlated to job satisfaction on the whole. Among the variables of job characteristic, functional diversity and self-regul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However, the effect of task importance on job satisfac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personnel organization characteristic was positively (+) correlated to job satisfaction on the whole. All the variables of personnel organization characteristic (senior relations, peer relations and performance assessment) were closely cor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its effect on job satisfac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for the influential factors of job environment which had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of overseas local workers in China and Vietnam, China was welfare, functional diversity, self-regulation, senior relations, peer relations and performance assessment, whereas Vietnam was functional diversity, self-regulation, senior relations, peer relations and performance assessment. 우리나라 제조업의 해외진출은 시작은 선진화된 기술 습득, 생산인프라 활용으로 진출하였다. 현재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중소기업들까지도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해외투자를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우리나라 제조업기업들의 글로벌 시장에 대한 의존은 생존전략을 의미한다. 최적의 생산지를 위해 해외에 투자하였던 다수의 기업들은 현지적응에 실패하여 국내로 유턴하려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그 이유는 투자환경의 변화와 투자국의 경기침체 그리고 문화적 차이 등이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해외에 진출하는 중소기업들은 적절한 체계화된 인사문제를 기반을 둔 인사시스템과 개발에 대한 관심은 소홀하고 생산성에 역점을 두고 생산설비의 확대에 집중한 결과 현지 근로자들의 잦은 이직문제로 이어지고 있다. 이로 인한 생산기능의 차질의 문제로 이어지고 최후 투자국에서 국내로 유턴해야 하는 중요한 원인으로 고려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외투자한 제조업의 현지 근로자들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 근로자들의 직무만족을 높임으로서 궁극적으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근로자의 환경을 이끌어 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수많은 선행변수들 중에서 임금특성, 직무특성, 인사조직특성을 독립변수로 선택하였고,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빈도분석(인구통계학적), 신뢰성검증, 요인분석을 하였다. 중국과 베트남에 위치하고 있는 현지 생산직 근로자들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그들의 직무환경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하였으며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 번째, 근로자의 임금특성은 직무만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체 요인 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임금특성(임금수준, 임금인상, 임금체계/관리, 복리후생) 변수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지만, 중국 근로자 임금체계/관리와 베트남 근로자 복리후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더라도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두 번째, 근로자의 직무특성 직무만족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체 요인 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직무특성 중 기능다양성과 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업중요성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인사조직특성이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체 요인 간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인사조직특성(상사관계, 동료관계, 인사고과)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상관관계 분석을 한 결과 전체 요인 간 유의수준 통계적으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서 확인 된 중국과 베트남 현지 해외인력의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는 중국은 복리후생, 기능다양성, 자율성, 상사관계, 동료관계, 인사고과 등으로 베트남은 기능다양성, 자율성, 상사관계, 동료관계, 인사고과로 나타났다.

      •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의 사내기업가정신과 기업의 혁신역량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성인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자동차 산업은 국내에서 3대 핵심 산업으로 국가의 경쟁력을 좌우할 정도로 그 중요성이 날로 증대되고 있으며 파급효과와 규모의 경제가 아주 큰 매력적인 산업이다. 이에 따라 기업과 더불어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해서는 자동차 산업과 함께 자동차 부품 산업 또한 발전이 필요하다. 급변하는 경영환경 속에서 자동차 부품 기업들은 경쟁력 제고와 생존을 위해서 각고의 노력을 하고 있다. 혁신을 통한 기업의 경쟁력과 생존을 위해 각광받던 기업가 정신은 최근 개인적인 차원을 넘어 조직적인 차원으로 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조직 구성원들의 도전적이고 창조적인 행동으로 사내기업가정신의 함양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기업의 내부자원인 혁신역량을 향상시킴으로써 혁신의 창출을 가속화 할 수 있으며 기업의 경영성과를 향상하여 지속가능한 경영체제를 확립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자동차 부품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사내기업가정신의 구성요소인 미래지향성, 위험감수성, 자율성이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기업의 혁신역량의 구성요소인 연구개발역량과 생산역량이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규명하고 자동차 부품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해 각 변수들의 요인을 도출하였고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기초·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타당성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표본은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 등록된 자동차 부품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총 879부를 배포하여 19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내기업가정신의 미래지향성은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사내기업가정신의 위험감수성은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사내기업가정신의 자율성은 기술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지만 기업경영성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기업의 혁신역량 중 연구개발역량은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기업의 혁신역량 중 생산역량은 기술경영성과와 기업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automobile industry is enough to influe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country in three key industries of domestic and its important is increasing day by day. It is very attractive industries with a ripple impact and economies of scale. Accordingly, automobile and auto parts industry are need to be evolve for compan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auto parts companies are trying for survival and competitiveness improvement. The research of entrepreneurship which was spotlighted in the past for company’s competitiveness and survival through innovation is recently changing from personal level to organizational level. With the result, organization members are desperately required of challenging and creative action. In addition by improving the innovation capacity of enterprises, creation of innovation can be accelerated. This study is how to identify effect of business performance with Proactiveness, Risk-taking, autonomy which is the components of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as well as R&D capacity and production capacity which is the components of the innovation capability of enterprises. Eventual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licy implication for the auto part industry. Factor were derived from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and performed basic and technical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18.0 statistical program. Samples for analysis were target to 879 auto parts enterprises which is listed at Korea Auto Industries Coop. Association and survey was distributed to them. Finally, returned surveys were used of 191 parts for utilizing in analysis. The result summary are as below. First, the Proactiveness of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has effect the positive (+) on both technologies and business performance of enterprise management. Second, the Risk-taking of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has effect the positive (+) on both technologies and business performance of enterprise management. Third, the autonomy of the corporate entrepreneurship has effect a positive (+) on technologies performance but do not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Fourth, the R&D capacity of the innovative capacity has effect the positive (+) on both technologies and business performance of enterprise management. Fifth, the Production capacity of the innovative capacity has effect the positive (+) on both technologies and business performance of enterprise management.

      • 직업전문학교의 창업교육서비스품질과 정부 창업지원 정책이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의지, 창업효능감을 매개변수로

        정형일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직업전문학교에서 창업교육을 받는 예비창업자의 창업성과 영향요인인 창업교육서비스품질, 정부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의지, 창업효능감이 예비창업자의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모형으로 가설을 구축하였고 설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서울과 경기지역에 있는 5곳의 직업전문학교 창업교육을 수강하는 예비창업자 217명을 대상으로 실증적 분석을 하였다. 실증연구의 결과로는 첫째. 창업교육서비스품질과 창업의지 사이에서는 공감성은 창업의지에 유의한 영향이 없었지만 확신성과 신뢰성은 유의한 것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창업교육서비스품질과 창업효능감 사이에서는 공감성과 확신성은 창업효능감에 정(+)의 영향이 있었고, 신뢰성은 부(-)의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의지 사이에서는 정부 자금지원이 창업의지에 정(+)의 영향이 있었고, 창업컨설팅은 부(-)의 영향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창업지원 정책이 창업효능감의 사이에서는 정부 자금지원은 창업효능감에 부(-)의 영향이 있었고, 컨설팅 지원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섯째. 창업교육서비스품질과 창업성과의 사이에서는 공감성이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에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확신성과 신뢰성에서는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 모두에게 유의하게 나타났다. 여섯째.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성과에 사이에서는 정부 자금지원이 비재무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재무적성과에는 부(-)의 영향을 미쳤으며, 컨설팅 지원은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곱 번째. 창업교육서비스품질,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성과 사이에서 창업의지의 매개역할 중 공감성은 재무적성과와 비재무적성과 모두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 번째, 창업교육서비스품질, 창업지원정책과 창업성과 사이에서 창업효능감의 매개역할 중 공감성이 재무적성과에는 매개효과가 존재하지 않으나, 비재무적성과에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자면, 교육기관은 교육과정에서 창업교육서비스품질을, 정부에서는 지원정책을 학습 단계, 창업단계별로 구분하여 체계적이고 현실적인 지원정책이 필요하고, 1:1 맞춤 정책으로 예비창업자의 창업의지와 창업효능감을 높여 창업성과에 도움이 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교육기관에서는 창업교육의 향상되는 교육서비스품질을 제공하는 데 활용되고 정부 부처에서는 효율적인 지원정책의 방향성을 잡아가는 데 참고 자료로 활용하는 지표를 제공하는 역할에 공헌하는 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formulated research hypothesis based a model that is designed to explain the effects of quality of startup training service, government support policies for startups,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performance of startup business of those who are taking startup courses at vocational schools. Based on review of precedent studies, the model has been verified by conducting empirical analysis on 217 would-be entrepreneurs currently taking courses at five different vocational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The study found; first, among different quality aspects of startup training services, empathy was identifie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ereas assurance and reliability exhibited significant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second,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quality of startup training service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empathy and assurance had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with reliability having negative impact. third, reviewing relationship between startup support policies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financial support resulted in posi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en startup consulting showed negative impact on such intentions. fourth,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artup support policies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financial support exhibited negative impact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consulting support showed positive impact. fifth, exploring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startup training service and startup performance, empathy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with clear impact identified of assurance and reliability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sixth, understanding impact of startup support polices on startup performance, financial support had positive impa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and negative impact on financial performance, and consulting support had positive impa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seventh, exploring to see whether impact of quality of startup training service and startup support policies on startup performance was mediated by entrepreneurial intentions, empathy did not show mediating effe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eight, understanding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f there is any, on variables above, empathy did not have mediating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but showed a some level of mediating effect on non-financial performance. In summary, vocational institutions are required to enhance quality of startup training services they offer whereas the government needs to provide more systemized and pragmatic support for would-be entrepreneurs based on their training levels and startup stages. Tailored supports befitting needs of future entrepreneurs can help improve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leading to better performance of startups. This study aims to help vocational schools to upgrade quality of training courses and provide reference to relevant government authorities to implement more efficient support programs for startups.

      • 상가권리금에 미치는 영향 요인에 관한 연구 : 프랜차이즈 베이커리를 중심으로

        임노환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내외에서 저금리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본격적인 은퇴에 도래한 베이비붐 세대(1955 ~ 1963년생)들의 상당수가 자영업 창업 그 중에서 그나마 매출이 보장되는 프랜차이즈 창업으로 뛰어 들고 있다 이런 시장상황에 따라 상가매매 시장에서 관습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상가권리금은 점점 높아져 평균 창업 비용의 평균 40% ~ 60%를 차지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예전보다 더욱 높아졌다. 그러나 상가 권리금에 경우 손실보상 대상으로 인정되고 있지 않으며, 이런 문제는 퇴직금을 담보로 창업 시장으로 뛰어든 경제적 약자인 임차인에 권리를 해치고 있으며 사회적 갈등과 불평등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학술적으로 권리금이 어떤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지 체계적으로 분석해 확인하고자 함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특성, 상권 및 입지특성, 건물특성, 점포특성,영업과 임대계약 특성을 설명 변수로 종속변수는 기존연구에서 주로 도출하여 사용한 단위면적(㎡) 당 권리금을 이용 하였다. 특히 기존연구와는 차별화 된 ROI(총 투자이익률), BEP(손익분기점), 매출에서 현금비중을 독립변수로 차용 하여 권리금의 결정요인 모형을 도출하였다. 각각의 설명변수와 종속변수의 유의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2.0을 사용 하였다. 연구결과로 베이커리 프랜차이즈 점포의 권리금 영향요인은 상권유형에서 상업지와 주거지, 입지특성 에서 지하철거리, 광대로 인접여부, 건물특성에서 경과연수, 점포특성에서 점포 내 카페 운영여부 및 점포면적 영업특성, 환산월세가 권리금에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Amid low interest rate trends observed both at home and abroad, a great many of baby boomers, born between 1955 and 1963, are opting to become franchisees of mostly food and restaurant business as it is believed to offer a better chance of success compared to other options of self-employment. The growing demand for shop spaces caused the customary payment of premium exchanged between the new tenant to the previous one to continue to rise to take up an average of 60 percent of all costs spent on opening a store. However, such a premium is not legally protected in case when the tenant is not able to recoup the same amount from the next shop owner. Given the fact that the owner typically has to invest a sizable portion, if not all, of their severance payment to open up a store, the practice of paying a handsome amount of money to the previous tenant has been the cause of serious social disputes and controversy as it fails to provide any protection of the economically disadvantaged tenant’s rights. This academic study aims to systemically analyze some key factors that determine the amount of premium of bakery franchise stores. In this study, region, type of hinterland of commercial districts, store location, attributes of the building and the store, type of business and contract details were employed as explanatory variables with dependable variable of the amount of premium per unit space (㎡) as is often the case in other similar studies. However, in producing a model for estimating the premium amount, this study is different from other preceding ones in that ROI, BEP and proportion of cash out of total sales a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correlation between explanatory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12.0 This study has identified a number of key variables explaining the amount of premium placed on a bakery franchise store and that includes the type of hinterland of commercial and residential areas in commercial districts; the distance between the store and nearby subway stations and its proximity to large boulevards among elements associated with store location; the number of years since construction of the building out of attributes of the building; and the existence of in-store café, total floor size of the store and the converted monthly rent.

      • 1인 콘텐츠 창작자의 경영자 역량 및 특징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작자의 특성을 조절효과로

        하창완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2019년 처음으로 우리나라의 문화 예술 관람률이 80%를 돌파하고, 5G,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시장이 전세계적으로 확대되면서 콘텐츠 산업에 대한 기대와 관심이 커지고 있다. 또한 콘텐츠 산업은 21세기 경제를 이끌어갈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콘텐츠 산업의 매출액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 연평균 5.6% 이상씩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이처럼 콘텐츠 산업이 성장하는 이유는 콘텐츠의 수요가 확대되고 카카오페이지, 네이버 웹툰, 유튜브 등과 같은 플랫폼이 발달함에 따라 1인 크리에이터, 1인 콘텐츠 창작자의 창업의 흐름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런 흐름에 정부도 콘텐츠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각종 정책들을 쏟아내고 있고 창업에 대한 지원 등을 약속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실제로 1인 기업으로 사업을 시작하게 됐을 때 경영성과를 내지 못하고 폐업하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인 창조기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콘텐츠 분야에서 좋은 경영성과를 이뤄내기 위해 필요한 방법 등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즉, 콘텐츠 분야의 특성을 반영하여 1인 창조기업에 초점을 맞추었고, 기본적인 기업이 가지고 있어야 할 장점 등을 채택하여 해당 역량과 특징이 콘텐츠 관련 사업의 경영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23.0을 사용하여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모형은 다중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내용을 검증하였다. 주요 변수인 1인 창조 기업 경영자의 역량 및 특징, 경영성과에 대한 인과관계를 규명하였고, 창조기업의 역량 하위 변인은 ‘전문지식’과 ‘네트워크’, 창조기업의 특징의 하위 변인으로는 ‘혁신성’, ‘성취욕구’, ‘위험감수성’을 활용하였다. 조절변인으로는 콘텐츠 창작자의 특성을 활용하였고, 종속변수는 경영성과로 총 7가지로 요인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의 역량이 경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일부 요인에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이 있었으며, 그 하위요인으로는 인적 네트워크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문 지식의 경우 정(+)의 영향을 주지는 못했지만 전문지식이 낮아도 경영성과를 이뤄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경영자의 창업가적 특징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는 모든 요인에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이 있었으며, 그 하위요인으로는 혁신성, 성취욕구, 위험감수성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콘텐츠창작자의 특성이 경영자의 역량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로는 일부 요인에서 유의적인 정(+)의 영향이 있었으며, 그 하위요인으로는 인적 네트워크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콘텐츠창작자의 특성이 경영자의 창업가적 특징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로는 단계적인 조건을 만족하지 못해 조절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분석된 연구를 통해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인 창조기업은 일반 회사보다도 외부와의 협력 관계를 바탕으로 사업이 유지되는 경우가 많이 때문에 특히 네트워크 관리에 힘써야 한다. 둘째, 콘텐츠의 특성상 1인 콘텐츠 기업의 경우 혁신성, 성취성, 위험감수성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새로운 작품을 만드는 것을 통해 경영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는 운영제도를 수립해야 한다. 셋째, 콘텐츠 업종의 특성상 1인 창조기업의 경영자가 각 변인의 요소가 다소 부족하더라도 충분히 성과를 낼 수 있고, 네트워크 부분은 반드시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 As South Korea’s rate of enjoying culture and arts exceeded 80% for the first time in 2019 and the 5G and Over-the-Top (OTT) market expands throughout the world, expectations and attention towards the contents industry are growing more than ever. In addition, the contents industry is receiving attention as a new growth engine that will lead the global economy in the 21st century, with an average sales growth of 5.6% between 2013 and 2017. The causes of its growth are increased demand for contents and development and the widespread of platform such as KakaoPage, Naver Webtoon, and YouTube, which have expanded the number of startups such as one-person creators and one-person contents creators. To nurture the contents industry, the government has also announced various policies and promised support for startups. However, many one-person companies have also shut down due to the inability to generate management performance.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creative companies and find methods for them to generate positive management performances in the contents industry. This study focused on one-person creative companies by reflecting contents characteristics and adopted the strengths the companies should have, in order to examine how such competence and characteristics impacted contents industry’s management performance. Using SPSS 23.0, this research conducted factor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verified the research model through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clarified the causality between its major variables, which are the managerial competence, characteristics, and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one-person creative companies. This study also used ‘professional knowledge’ and ‘network’ as the sub-variables of creative companies’ competence as well as ‘innovativeness’, ‘desire to accomplish’, and ‘risk sensitivity’ as the sub-variables of creative companies’ characteristics. Finally, this research used contents’ creators’ characteristics as moderating variables and used management performance as dependent variable. The results of this study using 7 variables are as follows. First, a few factors of managerial competence had significantly positive (+) impact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human network was the subfactor having positive impacts. While professional knowledge did not have a positive (+) impact, the study confirmed that low professional knowledge could also achieve management performance. Second, all factors of managers’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had significantly positive (+) impacts on management performance, while innovativeness, the desire to accomplish, and risk sensitivity had positive impacts as the subfactors. Third, a few factors of contents creators’ characteristics had significantly positive (+) impacts on managerial competence and performance, and its subfactor with positive impacts was human network. Fourth,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contents creators’ characteristics on managers’ entrepreneuri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performance could not be confirmed because it could not satisfy the phased condition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ne-person creative companies should put in more effects to manage their networks since their business is often maintained based on partnership with the outside more than regular companies. Second, one-person contents companies need innovativeness, achievement, and risk sensitivity due to the nature of contents and should establish an operation standard to generate management performances. Finally, managers of one-person creative companies should be able to generate enough performances despite the shortage of each variable and setup a system to manage their networks, due to the nature of contents industry.

      • 인적자원관리, 인사부서의 역할특성, 글로벌 기업의 문화특성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국내 외국계 글로벌기업을 중심으로

        김대유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정보화의 시대, 국경 없는 글로벌 경쟁시대로 대변되는 시대적 흐름은 생활 환경뿐 아니라 기업 환경에도 수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기업에 있어서 일상화된 경쟁환경과 생존을 위하여 지속적인 변화의 필요성은 끊임없이 제기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경쟁력과 직결되며, 그 중요성이 증대 되고 있는 인적자원에 대한 전략적 관리의 개념과 조직 내 인적자원과 조직 관리에 대한 직접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인사부서의 역할 특성을 전략적 비즈니스 파트너, 변화 촉진자, 구성원 대변자, 인사운영 전문가 등의 역할로 분류하고 이를 국내에 진출한 글로벌 기업의 조직문화 특성과 연계하여 이들 요소들이 조직성과와 어떠한 상관 관계를 가지는지 그 관계를 규명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각각의 변수들의 요인을 도출하였고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Ve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SPSS 21.0(Ver)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기초 및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타당성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표본 대상은 국내에 진출하여 활발한 사업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글로벌 기업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배포하여 회수된 251부를 회수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의 개별적인 구성요소 각각은 조직 성과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제시된 4가지 인사부서의 역할특성 모두는 각각 조직성과와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글로벌 기업 문화의 특성 중 집단문화, 발전문화, 성과문화, 위계문화와 조직몰입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며, 각각 정(+) 또는 부(-) 의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As we are living in the era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global competition, opened to lots of changes. In this fierce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companies are actively responding to the change to survive from competi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licy implication based on the analysis on relationship among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role characteristics of Human resource depart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of global company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Korea. Factors were derived from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 and performed basic and technical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valid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Returned surveys were 261 and used of 257 out of 300 for utilizing in analysis. The result summary are as below. First,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role characteristics of humanresourcedepartmentinan organization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global business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기업경영 혁신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 H자동차 대기업 직원을 중심으로

        김현선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the market has become globalized along with an intensified competition among businesses, companies are making effort to secure predominance of competition for survival. Most of all, many companies that fall under the industries that require high level of technology or have fierce competition are faced with a great deal of difficulty in securing predominance of competition due to the rapidly changing technology. Therefore, a management system to promptly recognize the ability to respond to the products on the creative and innovative way of thinking which actively copes with the changing management environment as well as to practice the factors of predominance of competition such as R&D, cost reduction or productivity improvement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would have to be established.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ale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novation strategy and management performance to verify the effect of corporate management innovation strategy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To make this possible, this study has performed literature review and survey research at the same time. In the literature review, theories and literatures connected with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novation strategy, management performance or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management innovation strategy and management performance have been summarized to examine the trend of domestic and foreign studies through the review of previous studies. For the survey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on the employees (field of management, field of production and field of research) working for H Motors Corporation as a sample survey to verify the hypothesis by performing basic/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feasi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18.0 statistics program based on the gathered data. For the scope of survey, as there were limitations in performing questionnaire survey on the entire country, a total of 140 copies have been handed out to the employees of H Motors Corporation to retrieve 125 copies and 115 copies excluding the 10 copies of questionnaire determined as insincere (28 copies from management sector, 43 copies from production sector and 44 copies from research sector) have been used for the analysis. The study results according to this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whether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novation and progressive spirit) has positive (+)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financial performance, production perform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innovation and progressive spirit that are the factors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were shown as having positive (+)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n the sub-factors of management performance, innovation in the financial performance, innovation/progressive spirit in the production performance and progressive spirit in the corporate performance, were shown as having positive (+) influence. Seco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find out whether innovation strategies (exploring spirit, usability, value and product efficiency) have positive (+)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management performance, production performance and corporate performance). Accordingly, usability and value among the innovation strategy factors were shown as having positive (+) effect on management performance. 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n the sub-factors of management performance, product efficiency in the financial performance, exploring spirit/usability in the production performance and exploring spirit/usability/value in the corporate performance, were shown as having positive (+) influence. 시장이 글로벌화 되고 기업 간 경쟁이 심화되면서 기업은 생존을 위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으며, 특히 고도의 기술 또는 경쟁이 치열한 산업에 속한 수많은 기업들이 급변하고 있는 기술변화로 인해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데 있어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경영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창조적이고 혁신적인 사고방식이 제품에 대한 대응능력이 빠르게 인지되고 기술혁신을 통한 연구개발,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 등과 같은 경쟁우위 요소를 우선적으로 실천 할 수 있는 경영체계가 세워져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가지향성과 혁신전략, 경영성과에 대한 척도를 개발하고, 기업경영 혁신전략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검증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조사 연구를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문헌 연구에서는 기업가지향성 혁신전략, 경영성과, 기업경영 혁신전략과 경영성과와의 관계에 관련된 이론 및 문헌을 정리하였고,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국내・외 연구의 동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사 연구는 표본조사로 H자동차 주식회사에 종사하는 직장인(관리분야, 생산분야, 연구분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통해 기초・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타당성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조사의 범위는 전국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에는 한계가 있어 대기업 H자동차 기업의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총 140부를 배포하여 125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설문지 10부를 제외한 나머지 115부(관리부문 28부, 생산부문 43부, 연구부문 44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지향성(혁신성, 진취성)이 경영성과(재무성과ㆍ생산성과ㆍ기업성과)에 정(+)의 영향력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기업가지향성 요인인 혁신성, 진취성이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영성과의 하부 요인과의 영향력에 대한 분석결과 재무성과에서는 혁신성이, 생산성과에서는 혁신성과 진취성이, 기업성과에서는 진취성이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혁신전략(탐색성, 이용성, 가치성, 제품성)이 경영성과(경영성과ㆍ생산성과ㆍ기업성과)에 정(+)의 영향력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혁신전략 요인 중 이용성과 가치성이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영성과의 하부 요인과의 영향력에 대한 분석결과 재무성과에서는 제품성이, 생산성과에서는 탐색성, 이용성, 가치성이, 기업성과에서는 탐색성, 이용성, 가치성이 정(+)의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