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Intensive studies on structur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odified starches produced by bacterial branching enzymes

        정다한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Glycogen branching enzyme (GBE)은 생물체 내부에서 포도당의 α-1,4-glycosyl 결합을 새로운 α-1,6-glycosyl 결합으로 전이시켜 glycogen 생합성에 기여한다. 본 연구에서는 Escherichia coli (EBE), Deinococcus geothermalis (DgBE), Vibrio vulnificus(VvBE) 의 재조합 Branching enzyme을 E. coli를 이용하여 대량 발현 및 정제 후 호화 된 찰 옥수수 전분에 반응시켜 변성전분을 생산하였다. 변성전분들의 특성을 분자구조, 이화학적 성질 및 amylase에 의한 소화특성을 위주로 분석하였다. EBE 변성전분의 경우 DP 10~18의 가지결합이 주를 차지하였으나 VvBE, DgBE 변성전분의 경우 DP 4~8의 가지결합이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ize-exclusion chromatography 이용한 분자량 분석결과, 변성전분들의 크기는 4.0~7.0x104 Da으로서 amylopectin과 비교하였을 때 1000배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수용액 상에서 VvBE 변성전분의 크기가 11.7 d.nm로서 가장 작은 사이즈를 보였으며 EBE 변성전분의 경우 15.67 d.nm로 변성전분 중 가장 큰 크기를 보였다. 8%수용액 상태에서의 변성전분의 점성을 Rapid Visco Analyzer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을 때 점성이 감지되지 않았다. 변성전분의 노화도는 35%농도로 호화하여 4℃에서 15일간 저장한 후 측정하였는데, DgBE와 VvBE변성전분에서는 노화가 전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성전분들은 amylopectin보다 100배이상 높은 수용성을 가진 것으로 측정되었다. 돼지의 췌장에서 유래된 α-amylase(PPA)를 이용한 hydrolysis kinetics를 통한 초기속도 비교 결과 Km값 (substrate affinity)이 EBE 변성전분경우 amylopectin의 그것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VvBE, DgBE 변성전분의 경우 약 2배 가량 낮았으나 kcat값(turn-over number)은 1.2~2배 정도 낮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PPA와 human intestinal maltase를 복합처리를 통하여 인간의 장내 환경을 가정하여 장시간의 소화속도를 측정한 결과 초기소화 구간에서 VvBE, DgBE 변성전분의 포도당 전환속도가 amylopectin에 비해 30% 가량 느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았을 때 DgBE와 VvBE 변성전분은 amylopectin 보다 월등한 수용성과 지소화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이 변성전분들은 수용액상에서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DgBE와 VvBE 변성전분은 고령인구와 특별식단을 필요로 하는 환자들을 위한 식품 및 의약품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MalS, a periplasmic α-Amylase of Escherichia coli

        유민지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알파아밀레이즈는 전분, 글리코겐과 같은 고분자 다당체의 α-1,4-linkage에 무작위적으로 가수분해하여 소당류로 분해하는 효소이다. 일반적으로 알파아밀레이즈는 세포 외에 존재하는 아밀로오즈, 아밀로펙틴 및 soluble starch 등을 분해하여 세포 내로 수송되도록 세포 밖으로 분출되지만 예외적으로 MalS는 periplasm에 존재하며, 흥미롭게도 많은 Salmonella, Shigella 등 다양한 병원성 enterobacteria에서 발견된다. 본 연구에서는 Escherichia coli로부터 malS를 cloning하고 효소를 대량 발현하여 이의 효소적 특성을 면밀히 분석하고, 특히 말토덱스트린/글리코겐 대사에서의 역할을 밝히고자 하였다. E. coli K-12의 malS 유전자를 효소발현을 위하여 클로닝한 후 E.coli MC1061을 이용하여 MalS를 대량으로 발현, 정제하였다. MalS는 676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의 분자량은 75.6 kDa이다. MalS는 catalytic domain과 일반적인 알파아밀레이즈에는 존재하지 않는 N-domain이 있어 두 개의 도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catalytic domain에는 알파아밀레이즈들이 가지고 있는 4가지 conserved region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질과의 최적반응조건 온도는 65°C, pH는 7.0이며 5.5-7.5까지 넓은 범위로 분포하였다. MalS의 soluble starch 가수분해 속도는 5 mM Ca2+와 Ba2+에 의해 각각 3.75, 1.47배 촉진되며, 5 mM Cu2+와 Zn2+ 첨가 시 완전히 억제되었다. MalS는 특히 Ca2+과의 결합으로 열 안정성과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질 가수분해 특성은 일반적인 알파아밀레이즈들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나 최적조건 하에서 soluble starch를 기질로 이용하여 측정한 specific activity는 11.2 U/mg으로 다른 알파아밀레이즈들보다 확연히 낮았고, 특이하게도 알파아밀레이즈들에 저항성이 있는 베타-cyclodextrin과 감마-cyclodextrin을 분해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MalS는 아밀로오즈와 말토오즈 등과 결합하는 특성이 있었는데 효소의 어느 부위가 관여하는지 밝히기 위해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 중이다. 시차주사열량계를 이용한 분석결과, 5 mM Ca2+ 첨가 시 MalS의 Tm 값이 약 5℃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말토오즈와 베타-cyclodextrin도 MalS의 열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아밀로펙틴과 글리코겐을 기질로 사용하여 측정한 가수분해특성 동역학적 분석결과 Km값이 각각 0.271±0.080 mg/mL, 0.105±0.011 mg/mL로 글리코겐과의 결합능이 약 2배정도 높았으나 kcat 값은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장내미생물들에서 MalS의 역할을 보다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생리학적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를 통해 periplasm에 존재하는 알파아밀레이즈의 기초특성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MalS가 E. coli의 말토덱스트린/글리코겐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MalS와 세균의 병원성과의 연관관계를 밝히는 것으로 연구를 확장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무의 조직감, 건조 후 색도, 전분 및 셀룰로스 함량의 상관관계 규명

        성기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Radish is familiar vegetable and has long been cultivated in Korea owing to appropriate climate. In domestic market, radish that has particular texture is prefered, which is associated wit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t. In this study, amount of major components of radishwas determined and analyzed in relation with physicochemical property which affects texture of radish. Twenty two radish cultivars were analyzed in relation with cutting force, starch/cellulose,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color. Radish showed 3.63±0.31 kg cutting force, had 3.75±0.39 g starch per 100 g (dry basis), and had 181.43±44.11 mg total phenolic compounds per 100g (dry basis). Sun drying radish had 80.86±2.18 Hunter L value, 1.74±0.66 a value, 24.70±1.42 b value. Hot air drying radish had 85.51±1.27 Hunter L value, -1.15±0.50 a value, 20.30±1.06 b value. No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cutting force and the starch content, but the cellulose contents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cutting for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and total phenolic compounds, if contents of total phenolic compounds increases, brightness decreases and a value increases; however, coefficient of correlation counts on drying methods. Analysis of tasty substances and studies of storages are necessary to analyze in relations between quality of radish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 Methanothermobacter thermautotrophicus에 존재하는 Toxin-Antitoxin system의 특성 분석

        임해강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Most bacteria and many types of archaea contain toxin-antitoxin systems (hereinafter "TA system") that regulate cell growth and death on their genomes and plasmids. However, the study of TA systems is limited in archaea. Therefore, in this study, we identified the existence of TA system in Methanothermobacter thermautotrophicus str. Delta H (MTH), an archaea, and evaluated its function. Here, all TA system candidates on the MTH genome were screened using a method using the gen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toxin-antitoxin system. As a result, three TA system candidate gene modules have been predicted, and in order to confirm the growth inhibitory ability of the cell, a total of six genes of three toxin genes and antitoxin genes were individually overexpressed and showed that only one of them, MTH463-MTH464, inhibited cell growth and its predicted antitoxin neutralized the toxin activity. Additional experiments showed that MTH463-MTH464 is a mRNA interferase and the catalytic residues of its toxin were determined. In this study, we first identified the TA system in MTH, and the activity of the toxin was related to mRNA stability. Such research is expected to become the basis for microbial physiology research of MTH that can be applied to food and industrial microorganisms.

      • Continuous Production of Pure Maltodextrin from Cyclodextrin using Immobilized Pyrococcus furiosus Thermostable Amylase

        Phu Cuong Nguyen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Maltodextrin in specific length is of great interest because of its wide industrial applications. Previously, we have proven that Pyrococcus furiosus thermostable amylase (PFTA) produces high purity maltoheptaose (G7) from β-cyclodextrin (CD) at early reaction time. In this study, an optimal continuous process for pure maltodextrin production from CDs using PFTA with immobilization in a packed-bed reactor (PBR) was developed. For testing PBR, β-CD was used as a substrate to produce G7. The activity of immobilized PFTA in PBR retained 85% of the initial activity after 6 cycles, and the product purity was unchanged. The optimal conditions for the maximized G7-purity of 96.3% were predicted at 4.7 mL/min of flow, 1.1% substrate and 48.7oC. Maltohexaose and maltooctaose, 92% and 97% purity respectively, were produced from CDs at the similar condition as well. Through this study, we successfully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of large-scale continuous production of pure maltodextrins from CDs. 특정길이 말토덱스트린은 그 이화학적 우수성과 관련된 연구 결과들이 지속적으로 알려지면서 산업계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어, 고순도의 특정길이 말토덱스트린의 대량생산기술의 개발이 시급하다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Pyrococcus furiosus에서 유래된 내열성amylase (PFTA)를 이용하여, β-cyclodextrin(β-CD) 으로부터 고순도의 maltoheptaose (G7)를 생산한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산업화를 위한 연속생산 시스템 구축을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표는 PFTA를 고정화 하고, cyclodextrin을 기질로 하여 특정 말토덱스트린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이를 최적화 하는데 있다. 구축된 시스템을 이용한 결과 β-CD를 이용하여 G7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데 성공하였으며 6회 연속 생산을 하여도 처음 생산의 85% 효율을 유지 하였다. 반응표면분석법(Response Surface Methodology)을 활용한 예측 결과, 고정화 효소를 이용한 연속식 생산시스템의 최적조건은 속도 4.7 mL/min, 기질농도 1.1%, 온도 48.7oC 로 예상되었으며 이때 생성된 G7은 96%이상의 순도를 획득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내용 및 결과를 보았을 때 PFTA고정화효소를 이용한 고순도 말토덱스트린 생산 시스템은 산업적으로 이용 가치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 Mutational optimization of Pyrococcus furiosus thermostable amylase for the production of high purity maltodextrins

        Tindo Kevin Koffi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Maltodextrins are important ingredients in the food, cosmetics, and pharmaceutical industries. Due to the growing demand for food functionality, carbohydrate industries need specially maltodextrins that have superior physiochemical functions. These types of maltodextrins are those with specific physiochemical properties, such as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Pure maltodextrin possesses a specific degree of polymerization that governs the specificity of its other physiochemical properties. However, the production of high purity of these maltodextrins is still challenging and expensive for industrial applications. This is due to the promiscuity nature of cyclodextrin hydrolyzing enzymes (CDases) on cyclodextrin substrates; which is the ability to produce pure maltodextrin by a ring-opening activity and the subsequent decrease in the purity by hydrolyzing the produced pure maltodextrin into different smaller size maltodextrins in the reaction product mixture. Among cyclodextrin hydrolyzing enzymes, Pyroccosus furiosus thermostable amylase (PFTA) has been proven to synthesize high-purity linear maltodextrins. However, this enzyme may encounter folding instability as a recombinant protein and has insufficient substrate specificity on cyclodextrins over linear maltodextrins. To solve this problem and achieve higher purity of maltodextrin, the crystal structure of PFTA was studied, potential amino acid candidates for point mutations were targeted and various mutants of PFTA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lative activities on cyclodextrins, the double mutant K152N_R95K was selected to evaluate its capacity of producing high-purity maltodextrins and industrial applicability. Although results revealed no improvement in the relative activity on β-CD (95%), γ-CD (86.2%) except α-CD (119.8%), the mutant K152N_R95K slightly produced better purity of maltodextrin over the WT in certain reactions conditions. In short reaction time, 96.1% G6 was produced by the mutant against 94% produced by the WT, 100% G7 was produced by both the WT and mutant, and finally, up to 97.8%, G8 was produced by the mutant against 95.6% produced from the WT. In longer reaction time, the purity of maltodextrin produced tends to be similar for both enzymes. 말토덱스트린은 식품, 화장품, 그리고 제약 산업에서 중요한 성분입니다. 식품 기능성에 대한 증가하는 수요 때문에, 탄수화물 산업은 특히 뛰어난 물리 화학적 기능을 가진 말토덱스트린을 필요로 합니다. 이러한 유형의 말토덱스트린은 중합 정도와 같은 특정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가진 것입니다. 순수한 말토덱스트린은 다른 물리화학적 특성의 특이성을 지배하는 특정 정도의 중합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몰토덱스트린의 고순도 생산은 여전히 어렵고 산업적 응용에 비용이 많이 듭니다. 이것은 사이클로덱스트린 기질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가수분해 효소(CDase)의 혼합성 때문입니다. 이는 고리를 여는 활동에 의해 순수한 말토덱스트린을 생성하는 능력과 반응 생성물 혼합물에서 생성된 순수한 말토덱스트린을 다른 크기의 말토덱스트린으로 가수분해함으로써 순도가 감소합니다. 사이클로덱스트린 가수분해효소 중 Pyroccosus furiosus thermostable amylase(PFTA)는 고순도 선형 말토덱스트린을 합성하는 것으로 입증되었습니다. 그러나 이 효소는 재조합 단백질로서 접히는 불안정성에 직면할 수 있으며 선형 말토덱스트린에 비해 사이클로덱스트린에 대한 기질 특이성이 부족합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고 말토덱스트린의 더 높은 순도를 달성하기 위해, PFTA의 결정 구조를 연구하고, 점 돌연변이를 위한 잠재적 아미노산 후보를 목표로 하고, PFTA의 다양한 돌연변이체를 개발했습니다. 사이클로덱스트린에 대한 상대적인 활동을 바탕으로 이중 돌연변이 K152N_R95K가 고순도 말토덱스트린 생산 능력과 산업적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선정되었습니다. 결과는 α-CD(119.8%)를 제외하고 β-CD(95%), γ-CD(86.2%)에서 상대 활성이 개선되지 않았음을 보여주었지만, 돌연변이 K152N_R95K는 특정 반응 조건에서 WT보다 약간 더 나은 말토덱스트린 순도를 생성했습니다. 짧은 반응 시간 안에, 96.1% G6는 WT에 의해 생산된 94%에 대해 돌연변이에 의해 생산되었고, 100% G7은 WT와 돌연변이에 의해 생산되었으며, 마지막으로, 97.8%까지, G8은 WT로부터 생산된 95.6%에 대해 돌연변이에 의해 생산되었습니다. 반응 시간이 길수록 생성된 말토덱스트린의 순도는 두 효소 모두에서 유사한 경향이 있습니다.

      • 6LoWPAN에서 응급 데이터 전송을 위한 다중 경로 라우팅 프로토콜

        우연경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IETF 6LoWPAN standard technique has been studied in IoT environment to support the IPv6 packet communication. 6LoWPAN protocol for transmission of packets mainly in the LOAD routing protocol and a variety of extended techniques have been investigated. In particular, consisting of nodes with limited resources in a network error occurs when the 6LoWPAN reliable data transfer and fast routing method is needed. To this end, in this paper, we propose resilient routing protocol and extension of IETF LOAD algorithm, for optimal recovery multi path, More specifically, the optimal recovery path setup algorithm, signal flow, and detailed protocols for the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of packet transmission mathematical model is presented. The proposed protocol technique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NS-3 performance through the simulation results that is average jitter, throughput, and dropped data packet ratio demonstrated excellence in comparison with existing LOAD.

      • Reaction mechanism of glycogen branching enzyme on improving bread quality

        박은지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Glycogen branching enzyme (GBE) catalyzes transglycosylation reaction producing α-1,6-glucosidic linkages by cleaving an α-1,4-glucosidic linkage. In this study, recombinant Deinococcus geothermalis glycogen branching enzyme (DgGBE), Escherichia coli glycogen branching enzyme (EcGBE), and Vibrio vulnificus glycogen branching enzymes expressed from E. coli MC1061 were purified and used for experiments. The purified enzyme has a different characteristic of branching pattern. VvGBE and DgGBE specially transferred short side chain (degree of polymerization 3 to 5), whereas EcGBE transferred relatively long side chains. Before determining the effect of GBEs on the bread, the effect of the GBE treatment on raw starch granule was confirmed. Raw wheat starch granule was reacted with GBEs, and structural changes were analyzed. Surface of wheat starch was attacked and collapsed by GBE. By reaction of GBE, a lot of maltose and soluble polysarccharides were produced from starch granules. Side chain distributions of soluble polysarccharides were similar to branching pattern of each GBE. Residual starch granules after the enzyme treatments showed no significant changes. In application of GBEs on the bread, GBE solution was added to flour before mixing procedure. Due to the low specific activity, EcGBE was excluded in the bread making. The GBE added breads had 15-20% larger loaf volume and specific volume than that of the control bread. Retrogradation of breads was analyzed by measuring water content, hardness, and retrogradation enthalpy of crumb during storage. The water content of bread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BE added breads and the control, whereas the hardness and retrogradation enthalpy of the GBE added bread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bread. Consequently, DgGBE and VvGBE that transfer short side chains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on the bread quality improvement

      • 염증량 정량화를 위한 치주 표면적의 3차원 측정법

        박사범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치주조직의 임상적 부착손실은 치주질환 치료 및 다른 질환의 위험요소로서 치주질환을 분류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이에 치주질환에 있어서 치주염증 면적을 측정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면적측정법이 어렵고 부정확하였으며, 계측을 위해선 치아를 발치해야만 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imics software (Materialise, Leuven, Belgium)를 활용하여 CBCT (Cone Beam Computed Tomography) 데이터에서 환자의 치아를 3차원데이터로 복원하고, 중등도 치주염의 상황을 가정하여, 치경선 하방 6 mm 까지의 정확한 치근면적을 계측하여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단국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한 환자 33명의 CBCT 데이터를 구강악안면방사선과로부터 얻었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는 남성 17명, 여성 16명으로 연령 분포는 20 ∼ 35세이며 평균 연령은 24.4세이다. 형태학적 특성에 따라 치아의 형태가 온전한 데이터를 선택하였고, 상악 제3대구치와 하악 제3대구치는 변형률이 높으며 환자의 치아 유무에 의해 연구선상에서 제외되었다. CBCT 데이터는 Mimics software에서 3차원 치아 모델로 재구성되어 치경선을 중심으로 하방 6 mm의 치근면적을 분리하여 그 면적값을 3-Matic (Materialise, Leuven, Belgium)에서 측정하였다. 3차원 재구성된 치아모델은 총 924개로 전부 치경선 하방 6 mm의 면적이 분리되었다. 치경선 하방 6 mm의 면적값을 측정하여 성별, 상악과 하악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33명의 환자 치아 치경선 하방 6 mm의 면적이 모두 계측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CBCT와 Mimics software를 이용하여 치아의 3차원 모델을 생성하고 손쉽고 편리하게 치근면적 값을 평가할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Mimics software의 탁월한 3차원 가상 시뮬레이션과 고도의 정밀도를 활용하여 CBCT로부터 얻은 3차원 치아모델은 치아를 발치하지 않고도 치아의 형태학적 구조를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으며, 3-Matic에서 세밀하게 모델을 변형, 설계함으로써 연구에 필요한 부분만의 면적을 설정하여 계측할 수 있었다. 그 결과 동일한 조건에서의 중등도 치주염을 갖는 가상의 치경선 하방 6 mm 치근표면적 값은 여성보다 남성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면 면적측정값은 환자의 연령이나 골격 타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비록 CBCT에서 3차원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2차원 이미지에서의 Mask설정이 계측값에 영향을 주어 작업자마다 그 값이 상이하게 발생되기도 하고 3차원 모델에서 육안으로 보고 설정하는 치경선 또한 작업자의 contour line 설정에 따라 결과값이 달라지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 활용된 계측방법은 이전 방법보다 정밀하고 간단하며 CBCT로부터 재구성된 3차원 치아모델은 구간면적계측등 다른 연구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으며, 치아염증면적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 분야에서의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 CoAP을 사용한 ISO/IEEE 11073 DIM과 FHIR리소스의 통합 구조 설계 및 구현

        함창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IoT(Internet of Things)는 헬스케어 영역에서 광범위하게 배치되어 있는 인터넷의 확장분야이다. PHD(Personal Health Devices)의 확산으로 인해 개인 헬스케어 기기가 특수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동일한 제조업체의 헬스케어 관리 제공자와만 통신 할 수 있는 중요한 비 호환성 문제가 발생하므로 상호운용성 및 네트워크 에너지 소비가 중요한 문제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CoAP을 사용하여 ISO/IEEE 11073 DIM과 FHIR리소스의 통합 구조를 설계 및 구현하여 개인 헬스케어 기기와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자 간의 헬스케어 정보를 교환하여 통신 문제 및 표준화 문제를 해결한다. 장치 표준화를 위한 ISO/IEEE 11073 변환 게이트웨이와 EHR(Electronic Health Record)표준화를 위한 ISO/IEEE 11073/FHIR 변환 게이트웨이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또한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인 CoAP을 사용하며, PHD센서 통신을 위해 ISO/IEEE 11073/FHIR 통합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HTTP프로토콜, PCD데이터를 FHIR데이터와 비교하여 성능 분석을 하였으며 이 성능 분석을 통해 FHIR리소스와 CoAP을 이용한 것이 전력 손실, 데이터의 전송 시간, 배터리 소모량 부분에서 훨씬 더 뛰어남을 알 수 있다. 개발된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은 헬스케어 소비자를 위한 헬스케어 관리자 역할을 하고, 이 구조를 테스트하기 위해 개인 헬스케어 기기인 SpO2를 사용하여 헬스케어 데이터를 측정하고 전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