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불안 의식 연구

        기은영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Oh, Jung-hi made her debut, being awarded for her 「Lady in toy shop」 in the Chung-Ang Daily's literature competition in 1968. Afterwards, She tried to show hidden desires and sorrows through her novels. She focused on the inner descriptions of the characters in her novels rather than adopt narrative structures. Often, her novels consist of monotonous atmosphere or image without any special event or causal relationship.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nxiety at the heart of her novels. They investigate the meaning of anxiety in the point of view of literary study, Bildungsroman, feminism, and philosophy. The theme of anxiety is reviewed in psychoanalysis, which are developped by Freud and Lacan and Kierkegaard's extentialism and Heidegger's phenomenology. And It is studied through literatural history in chapterⅡ In chapterⅢ, the formation of anxiety in her novels is analyzed in three aspects. In part 1, dissolution of family and inner anxiety are detec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her bildungsroman. Particularly the avoidance of maternal instinct, the absence of the father, and the barren body are motifs which occur frequently in novels. It turns out that they are key features of Oh Jung-hi's literature. Anxiety factors are investigated in part 2, such as death as common occurrence, patriarchal oppression, and identification with tragic characters. The aspects of anxiety are drawn out in the course of subject formation, where the subject escapes the imaginary and into the symbolic. Especially, It is discovered that the father readjust boundaries of the symbolic. The anxiety was showed that the characters in her novels feel ontologically limited and become skeptical in the process in part 3. Although these anxieties are revealed in the ontological skepticism, they end up mediating it with the awakening of transcendental existence. Anxiety aspects and their significance in Oh Jung-hi's novels are investigated in chapterⅢ and are contemplated in chapterⅣ. This anxiety was instrumental in revealing the deep inquiry of humanity, quests in the aspects of Bildungsroman, and the awakening of femininity. Furthermore, it paved the way for the ontological pursuit philosophically. Also, anxiety shaped through in-depth inner descriptions become a device for and leads to discourses that evoke a unique beauty of form. 작가 오정희는 1968년 신춘문예에 <완구점 여인>으로 등단한 이래 40여 년간의 집필활동을 통해 인간의 내밀한 욕망과 비애를 꾸준히 형상화해왔다. 그의 작품은 대체로 일반적인 서사진행 방식을 따르기보다는 작중 인물의 내면 묘사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뚜렷한 사건이나 인과의 과정 없이 하나의 분위기나 이미지로 채워진 경우도 많다. 본 연구는 이러한 오정희 작품적 특성의 기저에 불안 의식이 내재하고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문학연구적 관점, 성장․발달적 관점, 페미니즘적 관점, 철학적 관점으로 접근하여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불안 의식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우선 이론적 검토로써 불안 의식이 가진 정신분석학, 철학, 문학과의 연관성을 짚어 보았다. 정신분석학적으로 프로이트와 라캉의 이론을, 철학적으로는 키에르케고르와 하이데거의 실존과 현상학적 고려를 살펴보았으며 문학사적으로 불안과 문학과의 친연성에 대해 조망해 보았다. 오정희 소설 속 불안 의식의 형상화는 크게 세 가지 양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훼손된 가족과 성장 내적 불안, 비극적 세계 인식과 주체형성과정의 불안, 깨달음에 이르는 존재론적 불안이 그것이다. 먼저 오정희의 <유년의 뜰>, <중국인 거리>등의 성장소설에서는 찾아 볼 수 있는 것은 훼손된 가족으로 말미암은 불안 의식이다. 전쟁을 배경으로 하여 주인공의 가족 중 일부가 부재하거나 죽고, 서로의 역할이 전도되는 가운데 주인공 ‘나’는 불안을 느끼게 된다. 특히 ‘모성의 회피와 혐오’, ‘부성의 부재(不在)’, ‘불모의 신체’의 모티프는 오정희 소설 속 불안 의식과 깊은 관련이 있을 뿐 아니라 작가 오정희의 문학적 특성을 짚어내는 열쇠가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오정희의 성장소설에서는 주체형성과정에서 노정되는 주인공의 비극적 세계인식의 불안을 짚어낼 수 있다. 일상적인 죽음, 가부장적 억압, 비극적 인물에 대한 동일시는 성장기의 주인공에게 불안을 자아내는 주요한 원인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라캉의 정신분석 이론을 토대로 주체가 상상계(the imaginary) 벗어나 상징계(the symbolic)로 진입하는 주체(subject)형성의 불안 양상을 도출할 수 있으며 상징계의 질서를 명하는 ‘아버지’의 상징적 의미도 찾아 볼 수 있다. 오정희의 중기 이후의 소설에서는 주로 존재론적 불안 의식을 발견할 수 있다. 작품 속 인물은 일상의 삶 속에서 불현듯 존재의 한계를 접하고 회의를 느끼게 되는데 이러한 불안 의식은 <옛우물>에서 그려진 것처럼 마침내 존재 초월의 각성에 이르는 매개가 됨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위에서 검토한 여러 양상의 불안 의식이 오정희 소설에서 가지는 고유의 위상을 고찰해 보았다. 오정희 소설에서 형상화된 불안 의식은 작가의 미학적 지향인 숭고와 깊은 연관을 드러내어 보인다. 작중 인물이 직면하는 불안 의식은, 일상성을 깨뜨리고 이제껏 의식하지 못했던 전체로서의 세계에 시선을 돌리게 하며 인간 실존의 조건을 깨닫게 하는 숭고의 계기와 매우 흡사한 양상을 보인다. 오정희 소설의 특징으로 꼽히는 이성적으로는 설명 불가능한 세계의 불가해성에 대한 추구 역시 숭고가 지닌 현상학적 측면과 맞닿아 있다. 불안 의식은 또 오정희 소설의 담론 구성적 특징과 깊은 연관을 띤다. 서사의 파편화, 내면 문체, 고도의 은유와 상징의 활용은 불안 의식의 형상화를 바탕으로 이루어지거나 역으로 작품 속 불안 의식을 더욱 도드라지게 하는 기제로서 작용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말해 오정희 소설 속 불안 의식은 작가의 인간 내면에 대한 천착, 성장 발달적 차원의 탐구, 여성성에 대한 자각을 드러낼 수 있는 계기이며 나아가 작품 속에서 존재탐구로서의 철학적 물음이 되기도 한다. 또한 밀도 있는 내면 묘사를 통해 형상화된 불안 의식은 언어 미학적으로 독특한 형식미를 자아내는 담론 생성의 요인이며 장치가 됨을 알 수 있다.

      • 협동학습을 적용한 전통음악 수업 연구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정은선 한양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제화․세계화 시대를 맞이하여 우리 것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그 동안 등한시되어 왔던 우리 전통음악은 7차 교육과정의 개편에 발맞추어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서양음악의 범람과 교육기회의 부족으로 교사와 학생 모두가 전통음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잃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교사에게는 전통음악의 지도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학생에게는 협동학습을 통한 전통음악을 학습하게 함으로써 전통음악 수업에 좀 더 활발히 참여하고 관심을 증대시키며 협동심과 인간존중의 정신을 배양케 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협동학습의 이론적 배경과 구체적인 실천방법을 고찰하였다. 둘째, 초등학교에서 전통음악 교육의 문제점을 살피고, 협동학습의 적용이 전통음악 교육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를 고찰하였다. 셋째, 협동학습 모형을 초등학교 전통음악 수업에 맞게 적용한 수업지도안을 개발하고 실제로 적용해 본 아동의 결과물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서울서일초등학교’ 3․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발한 지도안을 한 학기동안 적용하였고, 수행평가 결과에 가산점을 주는 형식의 보상방법과 병행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한 학기동안의 연구를 마치고 본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전통음악 수업에 더욱 적극적인 태도로 활동하였다. 둘째, 전통음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셋째, 교우관계가 개선되었고 인간 존엄성 향상에 도움이 되었다. 넷째, 본 연구자가 전통음악 수업을 진행함에 있어서 과거의 수업 방식보다는 훨씬 쉬워졌고, 학생들의 호응도가 높아 수업진행이 보다 원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협동학습의 전통음악에서의 적용은 교사에게는 전통음악 수업 지도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고, 학생들에게는 적극적인 수업 참여의 효과와 더불어 사회성 발달과 인간존중의 효과까지도 이끌어낼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적용에 있어 서울지역 초등학교에만 적용해 보았다는 지역적인 편협성이 있고, 3․5․6학년의 전통음악 제재에만 적용해 보았기 때문에 그 보편성에 대해서도 미흡함이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내용을 전 지역의 초등학교와 전 학년에 적용시켜 보아야할 연구 과제가 남아 있고, 초등학교뿐 만 아니라 학교 급별의 연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서 보다 객관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해 내야할 필요가 있다. As the globalization trend is prevalent these days, our native things gain in importance. Specifically, the significance of our traditional music that had been shortchanged is now increasingly stress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7th national curricula. However, both teachers and students are losing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due to wide- spreading Western music and the lack of education opportun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courage teachers and parents to pay more attention to traditional music instruction with growing interest and to cultivate cooperative spirits and respect for human dignity, by presenting new directions for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nd using cooperative learning. For that purpose, the following attempts were made: First, review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operative learning and consider how it could be actually practiced. Second, identify the problem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and discuss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student achievemen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Third, develop a traditional music lesson plan based on cooperative learning model, utilize it in music class, and find out learning outpu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third, fifth and sixth graders from Seoil Elementary School in Seoul. The prepared lesson plan was executed during a semester, and compensation was provided by granting extra score to the performance assessment results. After finishing one-semester research, the following findings were acquired: First, the students were engaged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nstruction with more positive attitude. Second, they showed greater interest in traditional music. Third, their social relations improved, and they came to have more regard for human dignity. Fourth, it's much easier for this researcher to conduct traditional music lesson than before, and the favorable response from the students made it possible to unfold the lesson in more smooth way. For teacher, the use of cooperative learning for traditional music class suggested in which way that instruction should be provided, and that induced the students to be more interactive in class, develop sociability and learn that human dignity should be respected. But there is a geographic limitation in this study as its regional scope was confined to elementary school in Seoul, and another problem is that the universality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wasn't guaranteed, since this study focused only on Korean traditional music topics for grade 3, 5 and 6. Therefore, it's needed to extend the range of study to every region and every grade. And more extensive research efforts are required to cover schools of every grade to produce more objective results.

      • Effects of pretreatment with collagenase on radiofrequency treatment in dermis of rabbit : histological and nanostructural analyses

        한지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providing collagenase pretreatment in addition to radiofrequency on rabbit dermal tissue using immunostaining and atomic force microscopy. Methods: We divided 50 male white New Zealand rabbits into three groups: control group, radiofrequency with collagenase group, and radiofrequency without collagenase group. We injected 0.01% collagenase into the limbs of each rabbit, and high frequency was applied one or three times at intensities of 10 W, 20 W, and 30 W, respectively. Tissue samples were collected immediately after treatment as well as at 3, 7, and 30 days post-treatment and were analyzed using immunostaining and atomic force microscopy. Results: Both collagen degradation and inflammation were observed in the collagenase-injected group. At 30 post-treatment days, the groups that underwent high-frequency treatment showed rearranged collagen structures with increased density, and more pronounced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collagenase pretreatment group. Moreover, the myofibroblast-collagen ratio increased 30 days after high-frequency treatment, showing greater changes in the collagenase pretreatment group. Nanostructural analysis performed using an atomic force microscope revealed that all the collagen fiber diameters were decreased at 30 post-treatment days in the groups wherein the radiofrequency power exceeded 10 W. The reduction in collagen fiber diameter was greatest in the group that received collagenase pretreatment. Conclusion: Radiofrequency treatment promoted the density and production of collagen, and collagenase enhanced this effect. Co-treatment with collagenase can safely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radiofrequency therapy in animal models. 목적: 본 연구는 교원질분해효소(collagenase)의 유무에 따라, 고주파 치료가 토끼의 진피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면역 염색과 구조적 분석을 통해서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방법: 50마리의 뉴질랜드 백색 토끼를 대조군, 교원질분해효소와 고주파 결합군, 고주파 단독군으로 나눈 후, 각 군의 프로토콜에 따라, 0.01%의 교원질분해효소를 토끼 다리에 주사하고, 고주파를 각각 10 W, 20 W, 30 W의 세기로 한 번 또는 세 번에 걸쳐 적용하였다. 처치 직후, 3일, 7일, 30일 후에 조직을 채취하여, 조직학적인 분석과 원자현미경 분석을 통하여 각 군을 비교하였다. 결과: 교원질분해효소를 주입한 군에서 콜라겐의 분해와 염증 소견이 관찰되었다. 고주파치료 30일 후에, 고주파치료를 시행받은 모든 군에서 콜라겐 구조의 재배열과 밀도 증가가 있었으며, 교원질분해효소 처치를 시행받은 군에서 더 확연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또한 고주파치료 30일 후에 근섬유아세포/콜라겐의 비율이 증가하였는데, 교원질분해효소 처치를 동시에 시행한 군에서 더 많이 증가하였다. 원자현미경을 이용한 형태학적인 분석에서, 처치 후 30일째, 콜라겐 섬유 지름이 10 W로 시행한 일부 군을 제외하고는 모두 감소하였는데, 교원질분해효소를 함께 처치한 군에서 콜라겐 섬유 지름 감소의 폭이 더 컸다. 결론: 고주파 치료는 콜라겐의 밀도를 증가시키고, 신생 콜라겐의 생성을 촉진시켰는데, 교원질분해효소는 이러한 효과를 강화시켰다. 교원질분해효소 동시 처치는 동물 모델에서, 고주파 치료의 효과를 증대시키는 안전한 방법이다.

      • 다매체를 활용한 문학 교수-학습 모형 연구

        김효정 단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효과적인 문학교육을 하기 위해 학생들의 언어 사용 환경과 의사소통 양상이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이러한 변화를 적극 수용하여 다매체를 활용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Ⅱ장에서는 매체의 개념과 관점을 문학교육 영역으로 한정하여 재정립해보고 문학교육에서 다매체를 활용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였다. 다매체를 표현자체로서 하나의 텍스트로 인정하고 기본텍스트와의 상호 관련성 속에서 다양한 텍스트 경험을 제공해주는 상호 텍스트적인 관점에서 바라보았다. 또한 문학교육에서 다매체의 활용은 주변의 언어 환경의 변화에 따른 의사소통 방식을 수용하는 차원에서 뿐 아니라 학습의 주체인 학습자 요인의 변화, 다매체를 문학교육에 수용했을 때의 이점, 상호 텍스트적 관점에서 그 활용 근거를 마련하였다. 제Ⅲ장에서는 현재 교육현장에서 다매체 활용 실태와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해 중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다매체를 기본텍스트와 상호 텍스트적 관점에서 활용하여 도입-전개-확장-내면화의 과정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제Ⅳ장에서는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기 위해 2007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지향하고 있는 문학교육의 목표와 교수-학습 방법을 알아보았다. 그것을 기본 지침으로 삼아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매체를 활용한 상호 텍스트적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여 제시하였다. 도입 단계에서는 다매체를 통하여 배경지식을 활성화하며 전개에서는 활성화된 배경지식을 바탕으로 교과서에 제시된 기본텍스트를 이해하고 감상하는 단계이다. 확장은 다매체 텍스트의 경험을 통해 기본 텍스트에서 학습한 내용을 다른 텍스트에 적용시켜 의미를 확장하여 두 텍스트 사이에 의미를 도출해내는 단계이다. 끝으로 내면화 단계에서는 우리의 삶과 관련된 다매체 텍스트를 제시하여 문학과 삶을 연관지어 생각해보고 그것을 창작활동을 통하여 표현해 보도록 하였다. 제Ⅴ장에서는 다매체를 활용한 상호 텍스트적 교수-학습 모형을 문학의 갈래인 시, 소설, 희곡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교과서 텍스트를 중심으로 선정하여 장르별 매체의 특성을 고려한 실제적인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을 위한 한 모형으로 학습자 중심의 수업으로 확장, 내면화의 과정에 중점을 두어 다매체를 활용한 상호 텍스트적 관점에서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다매체를 활용한 상호 텍스트적 교수-학습 모형이 주는 의의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의 흥미만을 위한 수단으로써가 아니라 문학 텍스트처럼 다매체도 하나의 표현자체로써 하나의 텍스트로 인정하고 교과서 텍스트와의 상호 텍스트적 관점에서 활용하였다는 것이다. 둘째, 다매체 텍스트를 활용하여 확장과 내면화의 과정에 중점을 두어 학습자가 이해하고 감상한 문학 작품을 내면화하여 표현하는 활동으로 나아가도록 하였다. 작품 감상을 내면화하여 가치 있는 삶과 만날 수 있도록 삶을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셋째, 수동적인 학습자에서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능동적으로 학습자가 참여하여 다매체를 상호 텍스트적인 관점에서 활용하여 학습자들이 문학작품에 대한 흥미를 갖게 하고 친근감을 가지고 다가갈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실제적인 적용을 통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앞으로 교육현장에서 적용을 통한 분석과 개선방안이 더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문학 교육에서 다매체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매체의 현람함 때문에 실제 작품의 이해와 감상이라는 문학 교육의 본래 목표를 상실하지 않도록 항상 염두 해 두어야 한다. This study has a purpose to discern a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multimedia for an effective literary education, applied to changes in students' circumstances in language usages and aspect of communication. Chapter 2 deals with a concept and viewpoint of medium limited to literary education, and the preparation of bases to use multimedia in literary education. We admit multimedia as one form of texts through demonstration. Then we closely look at its mutual relationship with original texts, believing that multimedia provides diverse textual experiences. Moreover, the use of multimedia in literary education accepts different ways of communication according to changes in linguistic circumstances. Furthermore, this usage helps to discover the changes of learners, advantages when using multimedia in literary education and a mutual textual perspective between multimedia and textbooks. In Chapter 3, we conducted a survey 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the use of multimedia at school and see if there are some problems relating to multimedia. By looking at the results of surveys, we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pecific teaching-learning model to link 'introduction, development, expansion and internalization'in a mutual perspective between multimedia and original textbooks. A former literary education that a teacher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with textbooks should be abandoned. Rather, it is imperative that a learner should take a part actively and use contents in multimedia to internalize his or her life relating to the multimedia. Chapter 4 takes a look at 2007 Revised Korean and the 7th educating course to discern a teaching-learning model. This effort and the result of survey help us present a mutual textual teaching-learning model using multimedia. Chapter 5 explains how a mutual teaching-learning system in multimedia can be applied in poetry, novels and dramas, which are usually studied only through textbooks because of their unique literary genres. This study has a significant meaning that it focuses on a teaching-learning model in a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extbooks and multimedia. Also, it implies that a teaching-learning system can be applied in real school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learners and their internalizing process when studying with multimedia. The followings explain significances of a mutual teaching-learning model used by multimedia. First, multimedia is used not only to arouse interest in learning but also to admit it as one form of texts and use it along with textbooks in a mutual way. Second, multimedia in literary education helps students internalize themselves through the expansion of other texts and creative activities, not studying with text books alone anymore. Third, learners have an easier access to literatures with interest and affinity. Also, multimedia leads the learners to study in a more initiative and vigorous way through participating in diverse activities. Yet, this study has a limit that it does not have an analysis applied in the real world. Consequently, there should be more analytical data taken at school and efforts to find ways to improve possible negative outcomes. In addition, we should keep in mind that the main purpose of literary education is to understand and enjoy literatures, not being confused by floweriness of multimedia.

      • 초등학생의 인물 형상화 능력에 관한 연구 : 인물 바꾸기를 통한 옛이야기 재구성 활동을 중심으로

        김효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옛이야기를 재구성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보는 활동을 통해 인물의 형상화 양상을 분석하고, 인물 형상화에 따른 발달적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인물 형상화의 요소를 ‘발생적 요소’, ‘내재적 요소’, ‘외현적 요소’의 3 가지 상위 범주로 구분하고, ‘발생적 요소’의 하위 범주로 ‘생득적 자질’과 ‘환경적 자질’을, ‘내재적 요소’의 하위 범주로 ‘정서(동기)’, ‘태도’, ‘내적 언어’를, ‘외현적 요소’의 하위범주로 ‘외모’, ‘능력’, ‘행동’, ‘외적 언어’를 제시하였다. 초등학생의 인물 형상화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형상화 과정으로 인물 선택 단계, 인물 성격 바꾸기 단계, 장면 선택 단계, 표현 단계의 4단계 과정에 따라 글쓰기를 진행하였다. 총 6회에 걸친 글쓰기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각각의 글이 내포하고 있는 인물 형상화 요소를 추출하고, 분석 기준에 따른 학년별, 남녀별 차이를 연구하였다. 총 300여 편의 글쓰기 자료 중에서 유의미하다고 판단되는 271편의 글을 채택하여, 각 글에서 추출할 수 있는 인물 형상화 요소, 인물과 장면 선택에 의한 인물 형상화의 관계성, 인물 형상화 요소의 조합에 따른 특징을 분석하여 구체적인 인물 형상화 양상을 연구하였다. 옛이야기 재구성 활동에서 나타나는 인물 형상화의 공통점은 발생적 요소 중에서는 ‘생득적 자질’요소가, 내재적 요소 중에서는 ‘태도’ 요소가, 외현적 요소 중에서는 ‘행동’ 요소가 가장 잘 드러난다는 것이다. 또한 서사 구조의 발달 단계면에서는 인물과 장면의 선택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2학년과 남학생은 불완전한 단순 구성 줄거리 단계에, 6학년과 여학생들은 완전한 단순 구성 줄거리 단계에 해당한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초등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가면서 인물 형상화 요소의 선택 폭이 넓어지고, 다양하고 복잡한 감정 상태의 인물을 표현하였다. 또한 서사 표현 능력의 심화로 인해 사건 전개 과정이 논리적이고 복잡해지며, 인물간의 갈등이나 내면화된 심리 표현이 능숙해졌다. 남학생과 여학생은 인물 표현과 서사 전개의 방향에 있어서 선호도의 차이가 분명하게 나타났다. 이로 인해 남학생은 처음 정한 성격을 유지한 채 외현적 성향이 뚜렷한 단순한 인물을 표현하고, 특별한 능력을 가진 인물을 등장시켜 빠른 속도로 이야기를 전개시키는 것을 선호하였다. 이에 비해 여학생은 주변의 환경적 조건에 따라 본성이 변하고 대화를 통해 감정이 드러나는 섬세한 인물을 표현하고, 복잡한 감정들이 뒤에 이어질 행동과 연결되어 또 하나의 사건으로 진행되는 서사 전개를 선호하였다. 인물 형상화 요소의 조합에 따른 특징으로는 단일 요소를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경우와 다중 요소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나타났는데, 대체적으로 6학년이 2학년에 비해,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인물 형상화 요소의 조합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다중 요소를 복합적으로 사용할수록 이야기의 흐름이 자연스럽고 감정 표현이나 세부 묘사 역시 세밀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옛이야기에 나오는 인물을 바꾸어 재구성하는 활동을 통해 초등학생의 인물 형상화 능력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발달 수준과 성별의 차이에 의한 인물 형상화 요소를 수치화하고, 인물 형상화 요소의 사용 양상에 따른 특징을 분석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읽기 자료로 활용하였던 옛이야기가 2편에 한정되고, 분석 대상자가 학년 당 한 학급 규모에 불과하여 연구 결과를 보편적으로 적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읽기 자료와 분석 대상자 수를 확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충분한 사례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학생 질문 생성 전략이 문학 반응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 : 이야기책 읽기 후 반응을 중심으로

        이재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highlight the necessity of seeking student-centered classes in response-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to present a student question-generation strategy as a specific instruction method for activation of literature responses of the students, and to observe any response changes after applying it to actual classes. And post-reading changes in their perceptions of the effects of the strategy were categorized into their perceptions of asking a question and their perceptions of motive for reading and attitude towards it to observe the changes. Specifically, in Chapter Ⅱ an investigation focusing on literature (writing on a particular subject) review was conducted for consideration of a trend in student-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and of basics of theories of response-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A 'student question' was defined as a student's act of asking about something he/she does not know, wonders about, and wishes to learn more about after reading - the students being considered as the main agent of generating a question - and applicability of the strategy was explored with a focus on metacognitive awareness theory and schema theory. In addition, the starting point of response-centered literature education, namely Rosenblatt's reader-response theory, was considered; the concept of 'response' (the core of the theory) and types and scope of response were explored; and the scope of the response analysis for the study for this thesis was redetermined. Furthermore, as for question types for the strategy, 3 types of questions were presented through QAR (question answer relationship) by Raphael (1982): 'Right There'. 'Think and Search', 'On My Own'. To apply it, the Gradual Release model by Pearson and Gallagher (1983), the general model of reading strategy-based instruction, was introduced. In Chapter Ⅲ,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discussed in Chapter Ⅱ a specific method for the research was designed, and the method was applied in the response-centered literature class, the 13th session. The procedure for applying it consisted of 4 phases presented by Pearson and Gallagher (1983): the teacher's demonstration and explanation, the teacher's guidance and the students' practice, the students' independent practice and the teacher's checking of their practice, the students' independent practice. In Chapter Ⅳ,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its application in their responses and perceptions after reading a storybook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ith a focus on the application result in Chapter Ⅲ, and a conclusion was drawn. In the situation in which although the perspective on a learner or reader and the paradigm for comprehension and appreciation of a storybook are changing from teacher-centeredness to student-centeredness and from knowledge recipient to active meaning constructor, literature classes based on the New Criticism are still being held in actual school settings, the researcher intended to find a solution for reflective practice in the strategy through the research. The research found that the checking of students' perceptions of asking a question and the questions that students generate themselves positively influence their learning about life-time reading method and their internalization of the method in their own manner. Although the research limited its application to elementary school 3rd graders,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scope to the other graders and develop question types with a consideration of student levels to teach them. And it is necessary to attempt to observe a variety of responses after their reading through methods such as discussing (debating), role-playing, and miming as well as record their post-reading response changes in a response report; and I look forward to research on how to conduct classes including conversations in which they generate questions on the work and try to find answers, the classes focusing on their active communication about their own responses.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 반응 교육에서 학생 중심의 수업을 지향해야 함을 강조하면서, 학생들의 문학 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도 방안으로 학생 질문 생성 전략을 제시하고, 실제 문학 수업에 적용하여 반응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그리고 독서 후 학생 질문 생성 전략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변화를 학생 질문에 대한 인식과 독서 동기 및 독서 태도에 관한 인식으로 구분하여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Ⅱ장에서는 학생 중심 문학 교육의 동향과 반응 중심 문학 교육의 이론적인 기초를 고찰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학생 질문이란 질문의 주체가 학생으로 학습 과정에서 학생의 인지적 사고와 정의적 사고에 대한 궁금증과 배움에 대한 갈망이 언어적인 형태로 외부에 표출되는 행위로 규정하였으며, 학생 질문 생성 전략의 적용 가능성을 상위인지 이론과 스키마 이론을 중심으로 모색하였다. 그리고 반응 중심 문학 교육의 출발점인 로젠블렛(Rosenblatt)의 독자 반응 이론을 고찰하고 가장 핵심이 되는 반응의 개념, 반응의 유형과 범주를 탐구하여 본 연구의 반응 분석의 범주를 재설정하였다. 나아가 학생 질문 생성 전략의 질문 유형은 라파엘(Raphael, 1982)의 질문과 대답 분류법(QAR)으로 ‘바로 거기에’, ‘생각하고 찾기’, ‘내 힘으로’의 세 가지 질문을 제시하였으며, 학생 질문 생성 전략을 적용하기 위해 읽기 전략 중심 지도의 일반적인 모델인 피어슨과 갤러거(Pearson & Gallagher, 1983)의 책임 이양 모형을 소개하였다. Ⅲ장에서는 Ⅱ장에서 논의되었던 이론적인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설계하고, 13차시의 반응 중심 문학 수업에 적용하였다. 학생 질문 생성 전략의 적용 절차로는 피어슨과 갤러거(1983)의 교사의 시범 및 설명, 교사의 안내와 학생의 연습, 학생의 독자적인 연습과 교사의 점검, 독자적인 학생 연습의 4단계 절차로 진행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적용 결과를 중심으로 학생 질문 생성 전략 적용 전과 적용 후의 학생들의 이야기책 읽기 후 반응과 인식의 변화를 양적, 질적 방법으로 비교 분석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는 학습자나 독자에 대한 관점과 읽기의 이해와 감상의 패러다임이 교사 중심에서 학생 중심으로, 지식의 수용자에서 능동적 의미 구성자로 변하고 있으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여전히 신비평주의에 입각한 문학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에 대한 반성적 실천의 해답을 학생 질문 생성 전략에서 찾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학생이 스스로 생성하는 질문이 문학 반응을 구체화, 심화시켜 내면화를 이끄는 방법으로 효과가 있으며, 아울러 학생 질문에 관한 인식을 점검하고 평생 독서 방법을 익히는 전략으로서 실천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 질문 생성 전략을 초등학교 3학년 학생에 한정하였으나 연구 범위를 다른 학년으로 확대하고, 학생 수준을 고려한 질문 유형을 구안하여 지도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 독서 후 학생들의 반응 변화를 반응 기록지 이외에 토의(토론)하기, 역할극, 몸짓으로 표현하기 등의 다양한 반응을 살펴보려는 시도가 필요하며, 반응을 다른 학생들과 능동적으로 소통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학생이 작품에 대한 질문을 만들고, 답을 찾아가는 대화로 수업이 진행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대금산조 선율 비교 연구 : 박종기·한주환·서용석류의 중모리를 中心으로

        이창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대금 산조 중 박종기류와 한주환류,서용석류의 중모리장단을 중심으로 유사선율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박종기류는 총 85장단 중 51장단(60%)이 유실되어 전승된 선율이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나머지 34장단(40%)은 한주환, 서용석류로 전승되어 유사선율로 출현한다. 둘째, 한주환류는 총 60장단 중 43장단(68.2%)이 서용석에게 전승된 선율로 상당히 많은 부분이 전승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징적인 점은 평취에서 박종기는 길게 끊지 않고 점2분음표로 연주하는 종지선율을 한주환은 혀를 치며 끊어서 4분음과 점4분음으로 연주하는 형태를 취했다. 셋째, 서용석류는 총 91장단 중 박종기,한주환의 선율과 유사한 장단은 30장단(32.9%)이며, 전승된 선율로 구분할 수 있다. 나머지 56장단(61.6%)은 상이선율이기에 창작선율로 추정할 수 있다. 특이점은 이전 두 류에 없는 eb계면조가 포함되어 있어 창작선율일 것으로 판단하고 조사하였으나 4장단(제82,84,86,90장단)은 한주환의 가락을 이조하여 연주한 부분이었다. 또한 요성과는 다르게 표현하는, 추성과 퇴성을 연결하여 연주하는 독특한 주법이 서용석류부터 출현한다. 넷째, 박종기류에서 제2~3마디에 한 번 출현하는 부분유사 선율4는 한주환을 거치며 종지선율로 사용되어 선율의 쓰임새가 바뀌었다. 서용석이 그대로 답습하고 있으며 오늘날 산조에 종지선율로 정착된 선율이다. 한주환부터 나타난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다섯째, 부분유사 선율3은 세 류 모두 제2~3마디에 균일하게 출현한다 여섯째, 부분유사 선율5 다음에 나오는 음은 C(林)또는 G(太)를 굵게 요성하는 규칙적인 패턴을 띄고 있다. 전통을 바탕으로 더 다양한 창작을 요구하는 시대에 살고 있지만 그 뿌리를 알지 못한 창작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한다. 모방에서 창조가 이루어지듯 새 시대의 창작을 위해 전 시대의 자료들을 연구하는 일은 무엇보다 의미있는 일이다. 본 연구가 다음 세대 대금 산조 형성에 조금이나마 일조했으면 한다.

      • 중학교 국어교과서 시 단원의 이미지 활용 중심 교수-학습 방안 연구

        이소연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w teaching-learning method of poem education for natural impression. Poets express their ideas and emotions through various poetic technique such as images, symbols, metaphor etc, which would be major factors to prospect the poetic worlds of the literature education. The images is based on the mental and the aesthetics. The images would be the essential procedure, and meaningful way to detect the imagination and the ideas of the poet. This study is new teaching-learning method for middle school education by the poetic image. The teaching-learning model is comprised of 4 steps. 1step is activity of the image. It shows the image related with the poem work. And It expresses the memory and the experience of oneself related with the image. 2 step is contents contiguity by understanding of images. It grasps a subject matter and change phrase and contents by images. It puts together subject matter and phrase and contents and scene. 3 step is subjective reception and creation by application of images. Students are changes center subject matter. And Students are fill with poetic expression in the blank. It attach different subject matter from thinking matched the original text. 4 step is internalize by extension of images. It applies the poem to the family, friend, school, society and so on. It appreciates the different work related with the original text. Chapter 3 suggested concrete study map and map process and potential result of「Early spring」and「what kind of village」,「family」,「flag」. The finding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 easily applicable teaching method was suggested in detail, which could get students to concentrate their attention on the image of poems, the essence of poetry, in order to let them have an eye for poetry without making the same mistakes as existing teaching strategies. That made it possible to remedy the problems with current poetry education that overly leaned toward appreciating, and the students were able to satisfy their own creative needs by taking lessons that kept the balance between appreciating and creating. Second, this study suggest the new model by the poetic image and concrete teaching-learning method. This is open model. It will consider teacher and students and poem. It is not the model center of knowledge until now. Third, It applied a model in the poet of school national language textbook. It recognizes the studying aim and curriculum. It suggested concrete study map and Map process and potential result. This study tries to observe the image for important position of poem. And it does modeling by center image with poem appreciation principal. It suggest concrete teaching-learning method and applied a model in the poet of school national language textbook. In the future, we will research more concrete teaching-learning method of center image. 본 연구는 학습자를 독자로 인정하고 시를 어렵지 않고 자연스럽게 감상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이미지’를 핵심적인 원리로서 활용하여 구체적인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한다. 교과서에 수록된 작품을 중심으로 문학 교육의 과정과 학습 목표를 고려하여 교수-학습 방안의 실제를 제시한다. 이미지 활동 중심의 시 교수-학습 모형 단계를 제안해 보면, 1단계는 이미지의 활성화이다. 작품의 내용과 관련된 적합한 이미지를 보여준다. 앞으로 감상할 시 작품에 대해 예측을 하게 하고, 관심과 흥미를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시한 이미지와 관련하여 자신의 기억과 경험을 위주로 표현해보도록 하여 자신의 삶을 되돌아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게 하고, 자신들의 체험과 생각들을 드러냄으로써 자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2단계는 이미지의 이해를 통한 내용 접근이다. 작품의 시발점이자 가장 기본이 되는 소재를 우선 파악하고, 그 소재들이 각 연에서 어떤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고, 어떤 내용을 담고 있으며, 그 내용을 표현하는 구절을 이미지화하여 파악하고, 소재와 구절, 내용, 배경을 종합하여 이해해보도록 하는 것이다. 3단계는 이미지의 응용을 통한 주체적인 수용 및 창작이다. 중심 소재를 바꾸어 봄으로써 이미지의 응용을 통한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데, 이는 시의 함축성이나 시의 정서, 분위기 등을 학습할 수 있는 유형으로 학생들이 시 창작에 쉽게 다가갈 수 있게 해주며, 작품에 대한 주의 깊은 감상과 수용을 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닌다. 또한 원텍스트 구절에 빈칸을 설정하여 학생이 채워보도록 하여 비유나 심상 등의 시적표현을 익힐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한다. 원텍스트의 내용을 이해하였다면 학생들에게 원텍스트에 어울리는 다른 소재를 생각하여 덧붙이도록 한다. 이는 시의 전체적인 느낌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 분위기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4단계는 이미지의 확장 활동을 통한 내면화이다. 시가 지닌 의미를 더 다양하고 깊이 있게 이해하고, 여러 대상들을 그 다양한 실상에 비추어 이해한다. 작품을 통해 나와 가족, 친구, 학교, 사회까지 적용시켜보고 삶을 폭넓게 이해하고 바라보는 것이다. 또한 원텍스트와 관련된 다른 작품을 감상하도록 하여 문학 능력을 키우고, 지속적으로 다른 작품을 스스로 감상할 수 있는 습관을 들이도록 한다. 2장에서 제시된 모형을 토대로 3장에서는 7학년 시 「새봄」과「어떤 마을」, 8학년 시 「가정」, 9학년 시 「깃발」의 교수-학습 방안의 실제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시의 특성으로서 이미지를 고찰하였고 시 감상의 원리로서 이미지를 활용하였다. 이미지 활용을 중심으로 단계별로 구체적인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교사와 학생들의 가능성을 최대한 열어두고 자유로운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실제 중학교 시 단원에 적용시켜 수업 현장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나 앞으로 이미지 활용을 중심으로 시 교수-학습의 구체적인 지도 방법들이 더욱 모색되고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