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東文選』 所載 高麗時代 佛敎儀禮 䟽文 硏究

        박치호(혜원) 능인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63

        1. 연구배경과 목적 고대로부터 수많은 外侵과 天災地變, 旱魃 등 다양하게 발생한 각종 災難에 대한 대처에서 현대처럼 과학이 발전하지 못한 고대에는 극복하는 방법으로 그 바탕을 신앙 행위에 두고자 하였고 이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고려시대에도 역시 그러하였다. 고려시대는 불교가 당시 사회의 중심을 형성함에 따라 자연과 인간들의 도전에 대해 대처하는 방법으로 국가적 불교 행사가 성행하였다. 특히 고려시대는 불교가 치국이념으로 전개되어 국가 사회적 문제를 범국가적인 鎭護國家, 祈福禳災의 성격을 띤 불교 의례의 설행을 통하여 대응하고 극복하려 하였다. 고려시대에 설행된 불교 의례는『高麗史』,『高麗史節要』등의 佛敎 關係記事를 통하여 살펴볼 수 있는데, 이들 記事가 너무 단편적이어서 불교 의례설행의 상세한 내용과 배경, 목적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기 어렵다. 이러한 고려시대 불교의례의 설행 주체, 절차나 내용과 실제의 성격에 대해서는『東文選』의 䟽文이나 문인이나 고승의 문집 등에 전하는 여러 종류의 불교관련 기사 등을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그러한 자료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는 『東文選』은 조선시대 전기 興隆하는 자국의 문화적 성과를 정리하고 드러내기 위해 고대의 시문을 대제학 서거정을 중심으로 찬집관 23인이 참여하여 시문 130권과 목록 3권을 합하여 133권 45책으로 엮어서,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 초기에 이르기까지 500여 명의 시문 4,240편을 문체별로 분류 선집 하였다. 특히 유교 국가의 官撰書이면서 䟽, 道場文, 齋詞, 青詞1) 등 佛敎와 道敎의 儀禮文을 195편이나 실어둔 것은 이런종류의 의식문의 내용이 대부분 국가, 국왕, 귀족 자신들을 위한 祈福的 頌祝의 것이란 점을 생각하면 그 의도는 명백해진다.2) 이 『東文選』 110권 20편, 111권 46편, 112권 47편, 113권 35편 등 148편의 䟽文과 114권의 道場文 32편과 齋詞 15편 등에 佛敎儀禮의 設行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내용이 실려 있는데, 이것을 『高麗史』의 「世家」와 비교하면『東文選』 所載 소문의 불교 의례의 실제 설행 여부도 알 수 있다. 기존의 『고려사』 「세가」와 『고려사절요』의 불교 기사 등을 통하여 분석한 국가적 행사로서의 불교의례 또는, 왕권과 국가운영의 전체적인 관점, 민중에서의 관점 등 다방면에 대하여 훌륭한 연구성과를 이루고 있다. 다만 그 과정에서 고려시대 불교의례의 구체적인 내용이 내포된 국가적 찬술인『東文選』 所載의 많은 불교 의례 기사가 전체적으로 정리되지 못하고 일부 사례로서만 수용되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東文選』 所載의 고려시대 䟽文에 중심을 두어 고려시대의 불교 의례행사의 구체적 내용인 불교 의례주관자, 설행 절차, 그리고 성격 등 구체적인 내용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2. 연구현황과 연구방법 이 연구에서 다루고자 한 것은 『東文選』 所載 䟽文에 수록된 고려시대의 불교의례 설행의 구체적인 모습이다. 이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선행연구가『高麗史』「世家」를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의례의 개별적인 구체적 성격이나 목적에 관한 내용 연구는 매우 적어서 서윤길의 밀교 연구서, 박용진의 백련사 관련 연구논문, 김종명의 『한국 중세의 불교의례』등 일부 연구논문에서 『東文選』 所載 불교의례 소문의 단편적 인용이 있을 뿐이다. 『고려사』와 『고려사절요』를 바탕으로 한 여러 연구를 살펴보면, 한정수는「高麗前期 정기적 국왕 행사의 내용과 의미」에서 태조 왕건이 왕권의 정통성과 상징성을 정립해 가는 과정에서 새로이 창건된 고려왕실 의례와 삼국 이래 이어져 내려오던 세시의례가 국가적 불교의례에 접촉, 결합 되어 가는 과정에 관하여 연구 발표하였다. 한정수는 이어서 「고려시대 국가의례의 설행과 통합의식」에서는 유불선 삼교와 仙郞, 토속신앙 등을 조사하여 ‘불교의례는 왕실 및 국가적 차원에서 광범위하고 지속적으로 다양하게 설행 되었는데, 이는 고려왕조가 諸佛多天의 加護에 힘입으려 한 종교적 귀의의 양상과 연결되는 것이며, 이를 토대로 고려는 개국초기의 민심을 수습하려 하였고, 한편으로는 왕실의 위상을 드높이기 위해 국왕 보살계 수계행사와 축수, 諱辰法會의 설행, 국왕이 중심이 되는 연등 및 팔관회, 궐내와 국가 사찰에서의 각종 도량, 법회를 설행하였다고 주장했다. 이러한 불교의례 행사를 통해 제불의 가호를 받는 왕실 및 국왕은 현세 보살의 위상을 다질 수 있었다3)고 결론을 내리기도 했다. 또한, 고려시대의 불교의례는 사찰 외에 궁궐에서도 행하여졌는데, 우성훈은 「고려시대 궁궐 내 불교 행사의 특성에 관한 연구」에서 궁궐에서의 불교 행사는 국왕을 정점으로 하는 국가적 불교의례 행위로서 비록 정치색이 강하지만 신앙 행위임은 부정할 수 없다고 주장하면서, 궁궐 내 전각별로 설행 된 불교 행사와 그 규모와 설행 횟수 등을 『고려사절요』 등을 통해 조사하였다.4) 고려시대 중기의 불교 의례에 대해서 박용진은 「고려중기 義天의 佛敎儀禮와 그 認識」에서 『高麗史』와 『大覺國師文集』자료를 비교 검토하여 국가 불교 의례 설행에 대한 기본적 이해와 의천 찬술의 여러 불교 의례문을 통하여, 의천이 인식한 불교 의례의 정치•사회적 의의에 대하여 자세한 언급이 있었다. 또한, 박용진은 이 연구에서 의천의 『大覺國師文集』에서 보이는 불교의례는 入宋求法으로 얻은 송의 다양한 불교의례를 참고하였을 뿐만 아니라, 후에 천태종으로 개창되는 그의 화엄사상은 고려불교계를 개혁하고자 하는 僧統과 王臣의 입장이 되어 仁王百高座會와 大藏經會 등도 설행하였음을 밝혔고, 「고려후기 백련사의 불교의례 설행과 그 의의」연구에서는 고려시대 후기의 고승들이 설행한 불교의례를 조명하고 있다.5) 또한, 고려 全時代를 아우르는 연구로는 홍윤식의 「『高麗史』 「世家」篇佛敎記事의 歷史的 意味」6)의 연구와 이를 이은 김형우는 「高麗時代 國家的佛敎行事에 대한 硏究」에서 고려시대의 국가적 불교 행사는 국가불교 신앙행위의 실현으로 국가와 사회의 안녕과 번영을 도모하는 데 그 목적을 두어 종교 신앙 행위보다는 국가통치의 정치적 측면이 강한 것으로 보았다. 여기서 김형우는 『高麗史』를 중심으로 연구한 그의 논문에서 국가적 불교의례에 대한 자세한 분류와 시기별 설행 횟수 등을 다각적으로 연구하여 고려전시기를 통하는 불교 의례를 조사하였으나, 『東文選』 所載의 불교 䟽文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를 않았다. 그 외에도 안지원은 『고려의 국가불교 의례와 문화』에서 국가불교적 성격을 가장 명료하게 보여주는 행사로 연등회와 팔관회, 제석도량을 제시하고, 이 연등회와 팔관회의 설행으로 사회의 농경 토속적 측면을 포용하여 정례적인 행사를 통하여 사회계층 간의 갈등과 동요를 막고 모든 계층이 참여하고 즐길 수 있는 축제 형식으로 개최하여 국왕을 정점으로 한 지배질서를 확립하고 국가적 결속력을 강화하는 기능을 갖는다고 하였다.7) 강호선은 「고려시대 국가의례로서의 불교의례 설행과 그 정치적 의미」에서 고려시대 국가와 불교 관계를 불교의례 측면을 조사하여 설행된 의례가 갖는 정치적 의미와 국가운영과 왕권이라는 측면에서 정리하였다. 또한, 정치권력이 정통성을 확인하고 강화하거나 혹은 재생산하는 중요한 기제로서불교의례를 보고자 했다. 김수연은 「고려시대 佛頂道場 연구」에서 개인적 수행의례로 보이는 불정도량이 총 38회 설행 된 점을 연구하여, 개인수행의례이면서도 특이하게 鎭護國家佛敎儀禮인 尊勝佛頂과 관련된 의례를 분석하여 고려시대 전체적으로 흘러가는 불교수행의례의 바탕 사상에 대해서 언급하였다.8) 이 『佛頂尊勝陀羅尼經』 자체의 내용을 살펴보면 지옥에 떨어질 업장을 제거해주고 수명을 늘려주며, 병을 고치는 것 외에는 교설이 없음에도 진호국가 불교의례로 개설되는 연유를 당나라의 不空의 『佛頂尊勝陀羅尼念誦儀軌法』의 四種護魔法에 의거하여 설행했음을 밝혀 국가불교적 사상이 고려시대 전시기를 아우르는 기본 바탕임을 밝혔다.9) 이러한 몇 가지 예를 제외하고도 고려시대의 불교 의례에 대한 연구성과들이 많이 있다. 또한, 『東文選』에 수록된 한시와 산문 등에 관한 한문학적 연구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東文選』에 수록된 시문 저자들의 한문학적 입장, 역사학적 입장, 불교사적 입장에까지 여러 연구가 이미 많이 이루어졌으나 전술한 대로『東文選』 所載의 불교 의례 관련 소문에 관한 연구는 보이지 않는다. 이 논문에서는 『東文選』에 수록된 소문의 불교의례의 목적과 그 성격 등 구체적 내용을 알아보기 위함이므로 문학적 성과에 대해서는 언급을 배제하고자 한다. 이 과정의 분석 자료로는 『東文選』의 110권에서 112권까지 수록된 고려시대 찬술된 소문으로 한정하고, 徐閏吉의 『韓國密敎思想史』와 박용진의 논문 「고려후기 백련사의 불교 의례 설행과 그 의의」와 김종명의 『한국중세의 불교의례』에 보이는 부분적인 해석 등을 참고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연구범위는 동문선 소재 불교의례 소문을 대상으로 분석하며, 『東文選』 권110에는 20편, 권111 46편, 권112 47편, 권113 35편 등 148편의 䟽文이 수록되어 있고, 권114에는 道場文 32편과 齋詞 15편 등에 佛敎 儀禮 設行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내용이 실려 있다. 이 가운데 고려시대 불교의례 소문만을 대상으로 하며, 도량문 등은 제외하였다. 『東文選』所載 소문과 도량문은 불교의례에서 직접적으로 활용된 의식문이지만 도량문은 소문과 달리 간략히 찬술되어, 불보살에게 기원하는 것만을 간략하게 적은 글로서 내용 분석에 있어서 시대적 전후 상황 등을 알아보기 어려워서 이 연구에서는 제외한다. 이상의 『東文選』 所載 불교 관련 䟽文에 나타나는 불교의례의 형식과 내용을 분석 고찰하여 『고려사』 등의 史料에서는 알 수 없는 구체적인 고려시대 불교의례 설행의 모습과 내용 그리고 성격을 알아보고자 한다.

      •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in Common Bean Collection using SSR Marker

        홍우주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Although the common bean is not as popular as the soybean, mungbean, and red bean, it is still used in many food products in Korea. However, the genetic diversity of common bean using SSR markers has not previously been studied in Korea. So, we focused on population structure of 96 cultivated common bean accessions using 26 different polymorphic markers in this study. A total of 108 alleles with an average of 4.1 alleles per locus were detected. Most of the alleles were integrated with intermediate frequency. The average gene diversity and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values ranged from 0.0799 (BMb519) to 0.8368 (BMd-31), and from 0.0587 (BH126808.1) to 0.819 (BMd-31), respectively. A total of 23 out of 26 loci deviated from Hardy?Weinberg equilibrium indicating non random mating within the population or genetic drift among predefined subpopulations (Korea, Bulgaria, ect.). 65 accessions (67.7%) out of 96 were selected to be group (G1~G5) by model-based clustering system while the rest 31 accessions (32.3%) were classified as admixture. Over twenty seven percent of the Korean accessions were identified as admixture. We assumed that this is the evidence of inter-genepool introgression, and that is caused by natural selection and/or human intervention. With the finding of comparatively higher number of admixed accession found in Korean, we also concluded that common bean introduced to Korea was of the genetically admixed type.

      •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중국어 지도방안 연구 : 뽀롱뽀롱 뽀로로를 중심으로

        이희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hinese grows, there are increasing students who are choosing Chinese as their second language. However, there is a reality of concentration decrease due to none of the reflection on the academic reports in cas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meaning differences depends on each word stress, different tones of Chinese and similar Chinese languages. According to the circumstances, formulating plans of students’ concentration can induc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interests. As one of those ways, this thesis gropes for studies through a mass media which students generally prefer. The study i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who are novices in learning Chinese. That is the reason why I decided that animations would work to induc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interests for them without rejection. This thesis has the central aim to use the animation, Pororo which is well known to almost every Korean kids as the text book in Chinese language classrooms. As for it, I examined the suitability per each piece and the order prior to dividing Pororo into expression, vocabulary and grammar. For the expression, I analyzed the diverse situations and subjects in each piece based on the communicative basic expressions presented in ‘2009 Revised Educational Process.’ And I also compared and analyzed ‘2009 Revised Educational Process’ centering around the basic vocabulary table and 8822 HSK words for the vocabulary, For the last, I classified the priority order for each piece as being rearrangement of grammar category presented by Kubler. After that, I examined some applicative plans for the four skill areas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I presented the learning and teaching plan in order to apply it to the class substantially. Even though there are needs for using audio-visual education as a supporting device in classes, there still is little application on classes using animation in teaching Chinese. I hope that this thesis can help Chinese classes to use animation and expect that various, systematic, effective and consistent studies follow after this piece.

      • 『騎着一匹』 부사 연구

        팽소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first chapter collects the editions and the previous studies of the Qi Zhe Yi Pi (騎着一匹) series. It is found that most of the lexical studies of Qi Zhe Yi Pi are based on the analysis and study of some particular lexical items, without any systematic analysis. Adverbs are a unique category in Chinese, which have both the partial grammatical features of content words and the partial personality features of function words. The total number of adverbs is less than half that of adjectives, but they occur more often than adjectives, and the average frequency of adverbs is second only to verbs and nouns. Due to the acting ability of adverbs, the degree of pragmatics is quite high. The change process of the generation, combination, extinction, and replacement of adverbs can help us to have a certain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adverbs in Chinese—especially the study of works in the medieval modern era(1840-1949), which is a link between the preceding and the following ages as well as being able to help us have a certain reference value for constructing the history of Chinese grammar. Thus, the first chapter is to select the most complete Six Class Library IU TANG WEN KU version as the research ontology, the adverbs in Qi Zhe Yi Pi as the research object, as well as research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adverbs. The second chapter of Six Class Library IU TANG WEN KU version of the adverbs in Qi Zhe Yi Pi has carried on the statistical analysis, on this basis, to classify the adverbs in Qi Zhe Yi Pi. This thesis lists the usage of adverbs and sample sentences. The third chapter, from the perspective of synchronous comparison in comparative studies, compares the adverbs in Qi Zhe Yi Pi with the adverbs in the official Republication Chong Kan Lao Qi Da at about the same time and explores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From the perspective of diachronic comparison in the comparative study, the fourth chapter make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adverbs in Qi Zhe Yi Pi and the adverbs in modern Chinese. Because Qi Zhe Yi Pi is a manuscript, there are some Interchangeable characters words. Interchangeable characters adverbs as well as general adverbs are separated and compared with modern Chinese to seek change and development rules of adverbs in Qi Zhe Yi Pi. The fifth chapter summarizes the features of adverbs in Qi Zhe Yi Pi and finds that the use of some adverbs in Qi Zhe Yi Pi reflects an epitome of the transition period from medieval modern Chinese(1840-1949) to modern Chinese(1949-present day). At the same time, Interchangeable characters adverbs in Qi Zhe Yi Pi is valuable teaching material for the study of spoken Chinese in northern China in the first half of the 19th century, which is different from other Chinese teaching materials. keywords : Qi Zhe Yi Pi, adverbs of Chinese, Chong Kan Lao Qi Da, comparison of adverbs

      • 벼 핵심집단의 마그네슘 함량 관련 통합 전장유전체 분석

        허은범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Rice is the staple food for more than half the world’s population. Mg deficiency is one of the important abiotic factors limiting rice productivity world-wide and also a widespread nutritional disorder affecting human health. Mg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ssential micronutrient for human About thirty percentage world's population doesn't still get enough Mg through their diets. As a staple food of over half world's population, rice should take the responsibility to provide much more Mg in the future. Here, we performed Genome-Wide Association Study(GWAS) with high-resolution density SNPs and InDels to identify natural allelic variation in mg increase from rice set, which is derived from a total 24,368 rice germplasms. The range of the concentration and distribution of mg in 295 core accessions of brown rice grain were wide, from 57.11mg/l to 18.17mg/l, with mean 39.71mg/l. In particular, GWAS result show that the high peak found in Chromosomes (3, 11). We analyzed the transcriptome profiles for rice grain from high mg content and low mg content lines at the early milky stage using the Illumina Sequencing method. The analysis results for the sequencing data indicated that many transcripts showed different expressions between high mg content and low mg content in early milky stage of rice confirmed the expression patterns of selected transcripts. The new natural variants identified through haplotyping analysis would be useful to develop new rice varieties with improved storage ability of the valuable mineral through the future molecular breeding.

      • 道綽의 『安樂集』의 聖淨二門과 修行觀

        현강호 능인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불교가 수행을 통한 깨달음의 가르침이라 할 때 깨달음의 길에는 자력(自力)과 타력(他力)이 있다. 정토교는 이를 성정이문판(聖淨二門判)으로나눠 깨달음의 길을 제시한다. 성도문은 자기의 힘에 의지하여 이 사바세계(娑婆世界)에서 육바라밀과 온갖 행을 닦아 미혹(迷惑)을 끊고 진리를증득하는 것이고, 정토문은 아미타불의 본원을 의지하여 정토에 왕생하여정토에서 미혹을 끊고 진리를 증득하여 깨달음에 드는 것이다. 그러나 지금은 말법시대(末法時代)에 오탁악세(五濁惡世)의 범부 중생들은 근기가미약하고, 부처가 열반한지 오래되어 성불의 길이 요원(遙遠)하므로 오직칭념염불로 극락세계에 왕생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도작은 그의 재세시기를 말법시대라고 확정하고, 시절과 근기가 합당해야 한다고 설한다. 이는 교법이라는 것은 시와 기에 합치되면 닦기가 쉽고 깨닫기가 쉽고, 만약 시기에 합하지 않으면 닦기 어렵고 깨닫기 어렵다. 때문에 깨달음을 얻기 위해서는 먼저 시기와 근기를 관찰하지 않으면안된다는 것으로, 지금 말법시에는 오직 정토의 일문만이 닦아 깨달을 수있고 유일한 길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도작의 수행체계는 염불수행과 선근수행으로 나누어 볼수 있다. 염불수행은 발보리심 후에 칭명염불(稱名念佛)을 끊임없이 하여 임종할 때가 되면 아미타불의 본원의 힘으로 왕생 한다는 것으로, 발보리심이 발심이라면 염불은 수행을 실천하는 행위로 볼 수 있다. 왕생 후 아미타불의 가르침으로 선근을 심고 무생법인(無生法忍)을 증득하면 상이 없는 법신불(法身佛)을 이룬다고 하는 것이다. 선근수행으로는 참회수복사상(懺悔修福思想)으로, 여기서 참회는 말법중생으로서 스스로가 범부이며 죄인이라고 자각하는데서 나오는 것으로, 참회하고 살생하지 않고, 자비를 실천하고, 계를 잘키며, 부모에게 효도하며, 부지런히 선정을 닦는 등의 열가지 선행을 행하면 반드시 왕생한다고 한다. 도작은 말법시대에 범부에게 적합한 수행은 칭명염불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참회하고 복을 닦으면 왕생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리고 도작은 범부중생은 부처님의 본원력인 타력에 위지하여 정토에 왕생해야 된다고 주장한다. 불의 원력으로 인해서 곧바로 왕생하여 불력으로 주지(住持)하고 대승정정취(大乘正定聚)에 들어간다고 했다. 무력하고 나약한 범부 중생이 섭취불사(攝取不捨) 하겠다는 부처의 본원의 믿고 의지할 때, 비로소 구제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구제도 범부 중생에게 그 원인이 있는 것이 아니라 여래에게 있는 것으로, 본원을 믿고 의지할 때에 여래의 대비심(大悲心)에 섭수(攝受)되기 때문에 자력을 부정하고 타력에 의존할 때에 정토에 왕생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배경은 담란의 사상으로 스스로 범부중생임을 자각하고 아미타불의 본원에 의존하여 칭명염불하면 성불할 수 있다는 설을 근본으로 삼은 것이다. 그리고 도작은 이행도에는 자력과 타력의 양면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즉, 이행도란 현생에서 보리심을 발원하고, 왕생정토를 바라면서 행을 닦는 것을 자력, 임종 시에 아미타불의 내영을 타력에 의해 정토에 왕생하는 하나하나의 과정을 거쳐 성립하는 것이며, 자력과 타력을 대비 개념으로서가 아니라, 하나의 연속된 관점으로 보고 있는 것이다. 도작의 서방정토론의 삼신·삼토에서 주장하는 것은 보신·보토이다. 극락정토가 진실한 보토며 범부가 보토에 들어간다는 것을 밝혔다. 도작이 말하는 불신불토의 본질은 극락세계에 보신인 아미타불의 본원력으로 선력이 미약한 칭명염불 수행자를 유상토인 보신토에 왕생하게 하는 것이다. 보토는 삼계에 포함되지 않으며 예토인 사바세계와 인접하고 있어 왕생하기 좋고, 윤회의 고리를 단절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처럼 도작은 말법사상에 영향을 받아 지금은 성도문을 버리고 정토문에 귀의해야 된다고 주장하며, 자신의 악업을 참회하고 복을 닦으며, 염불수행을 통하여 정토왕생을 주장한다. 염불수행을 통한 정토왕생 이야말로 후세의 범부중생에 최적화 된 교법(敎法)이라고 확실하게 믿고, 누구나 쉽게 실천 할 수 있는 실천적인 사상을 전개한 것으로 도작의 칭념염불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와같은 성정이문의 사상은 선도·가재·자민 등에게 이어졌고, 도작의 보신·보토론설은 후대 중국, 한국, 일본의 정토교에 있어서 불신론의 기준이 되는 등 정토교사적 의의가 크다.

      • ERP 시스템을 응용한 종합적인 NMS 관리 운영에 대한 연구

        윤덕환 한양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599

        Recently, communication network’s are very complex and various by new network element serviced user to satisfy for request variety of service universal high speed internet user. Many companies service high speed internet. They control network, distributed internet traffic, counting, and customer management by another control system. Applying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system in Network Manage-ment System, it will be progress customer, human resource, ability of stock fixed property in office, not only general counting system, and possible organized system service for customer, but also convenient support of service result. Also, it is possible join necessary information, simplify. This thesis present a plan that is general and total network control system, and draw up a plan develop new total network control system.

      • 가로변버스전용차로에서의 세가로 유입 시 최적 점선길이에 대한 연구

        이세희 계명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 대다수의 도시에서 버스전용차로를 운영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가로변버스전용차로이다. 가로변버스전용차로의 설계 기준 및 지침이 제대로 명시되어 있지 않고 모호하기 때문에 전용차로 내의 일반차량 진출입이 빈번할 뿐만 아니라 버스전용차로 구간 내 불법주정차로 인해 버스전용차로의 효율성 또한 낮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대구광역시의 설계기준에 따르면 버스전용차선의 점선비율이 실선비율보다 현저히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차량이 세가로 유입을 위해 부득이하게 버스전용차로로 차로변경을 실시할 때 차량 흐름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점선길이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대구광역시 가로변버스전용차로를 기반으로 조사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통 네트워크의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구성하였다. 이 네트워크와 함께 가장 대중적인 교통 시뮬레이션 모형 중 하나인 VISSIM을 사용하여 점선길이가 차량의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토대로 본선 교통량, 세가로 유입 교통량, 점선길이, 세가로 간격과 같은 변수로 구성된 회귀 모형식을 개발하였다. 종속변수는 세가로로 유입하는 차량이 없을 때의 통행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나타나는 속도 차이로 설정하였다. 점선길이가 짧을수록 본선의 교통량 흐름에 영향을 주는 정도가 커지며, 이 때 통행속도 또한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때, 속도차이 변수는 각 도시의 상황을 반영한 정책적 변수로 전환하여 도시나 가로의 특성에 따라 회귀 모형식을 재배열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기준을 반영하여 버스전용차로를 운영한다면 점선의 비율이 훨씬 줄어들 뿐만 아니라 버스전용차로 시행 효과 또한 상승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정책적으로도 단속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각 교통상황과 도로여건을 반영하여 고려되어진다면 이 때 산정된 점선길이가 가장 최적의 점선길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Most of the cities in Korea have a designated bus lane that operate on the curbside lane. Since the standard guidelines and design criteria for the curbside bus lanes are not specified precisely, somehow it is ambiguous, therefore the lane changing behaviors of passenger cars entering and exiting to the bus lane happened frequently. It causes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bus lane downgraded in addition to illegal parking along the curbside bus lane. According to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s design criteria, it is shown that the ratio of dashed line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ratio of solid line on the curbside bus lan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inimize the length of the dashed lines which is designed for the vehicles to exit to the minor street. The length of dashed lines is determined within the extent that the flow of traffic exiting to the minor stree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flow of the main traffic. The simulation scenario of traffic networks are determine, based on the data of the curbside bus lanes in Daegu. With this network, VISSIM, one of the popular traffic simulation models, was used to analyze the extent to which the length of the dashed lines affects the speed of the vehicle. As a result of the simulation, the regressing model is developed. The developed model is a function consisted of several variables, such as the traffic volumes for major and minor street, the length of dashed lines, and the length of the link. The dependent variable is set as the difference of the speed which was derived based on the travel speed when there are no vehicles that attempt the inflow into the minor street. It was confirmed that the shorter the length of dashed lines, the greater the degree of the influence on the traffic flow of the mainline, and the travel speed of the vehicles also decrease. With this setting, the variable of speed difference to the variable of local policy based on local street conditions, the regression equation is rearranged to the model to fi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ity or the street. When the curbside bus lanes are operated by reflecting the suggested criteria in this study, the ratio of the dashed lines on the curbside bus lanes should be reduced to increase the operational efficiency of bus lanes, as well the operation of the bus lanes may become more systematic with stricter guidelines from the polices. Thus, it can be judged that the correctly calculated length of the dashed lines can be made optimal when the prevailing traffic and road conditions are properly considered.

      • Haplotype analysis of the BADH1 gene and the association with salt tolerance in rice germination stage

        Cao Yuan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Betaine aldehyde dehydrogenase (BADH) has been found in many plant species which represented as an important enzyme involved in glycine betaine (GB) synthesis. Glycine betaine is a potent osmotic protectant against salt and drought stress. Rice (Oryza sativa L.) is considered as a non-accumulator of GB specie, but it does express low levels of BADH. Rice has two functional genes encoding BADH enzyme. BADH1 gene on chromosome 4 is induced by salt and water stress while BADH2 gene on chromosome 8 is the main factor related to rice aroma. In this study, we purified the BADH1 sequences of 421 rice cultivars, and 54 wild rice accessions from whole-genome resequencing data to determine variations, gene domestication pathway and functions. A total of 44 alleles for BADH1 were detected in transcribed regions of cultivars and wild species, Our previous study found 2 alleles (T/A SNP in exon 4 and A/C SNP in exon 11) in BADH1 region, which were closely related to salt tolerance with the key enzyme encoding glycine betaine biosynthesis pathway in ri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DH1 gene could be an excellent candidate for rice salt stress research and breeding. Domestication of the important genes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methods to enlighten the rice evolutionary history. The evolutionary path of BADH1 gene has not been fully explored. In this study, we used sequencing data of 421 rice cultivars, and 54 wild rice from worldwide to determine whether BADH1 could be used as a domesticated gene during investigating rice evolution. There were 44 alleles variations from BADH1 exon regions were detected in 84 cultivated rice and 30 wild species. In our materials no BADH1 variations were detected from temperate japonica and tropical japonica in exon region. This finding may suggest japonica indicated rare selection in BADH1 region. T/A SNP in exon 4 (badh1.3) and C/A SNP in exon 11 (badh1.5) were detected in both wild and cultivated rice, suggesting these two alleles were selected from wild rice during domesticated. BADH1 gene was reported having a close correlation with salt tolerance of rice. Based on the data of six exonic SNPs of cultivated rice, 84 varieties could group into 9 different haplotypes (H1-H9). Two haplotypes were common (H1-H2), representing 89.2% of the varieties. Salt tolerance levels at the seed germination stage are well correlated with BADH1 haplotypes H1 and H2 in cultivated rice. BADH1 is a good candidate gene for stress tolerance in pl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