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Layer-based Indexing Techniques for Top-k Query Processing

        임선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A Top-k query processing is becoming ever more important as the size of databases grows and as queries varies for each user. The top-k queries retrieve k tuples with the lowest or highest scores among the all of tuples in the databases. There are a large number of methods to answer a top-k queries, and among them, layer-based methods are efficient when considering all attribute values of tuples. Layer-based methods express data tuples as objects on a d-dimensional space, and then, construct a list of layers on space. The representative methods of layer-based methods are Skyline and Convex Hull. Skyline methods construct layer list quickly, however, they contain many objects in a layer. On the other hand, Convex hull methods contain a small number of objects in a layer, however, they have a high index building time. In this paper, we propose two layer-based methods, first using skyline method and second using convex hull method. The representative skyline methods are Soft-Filter-Skyline (SFS) Algorithm, Angle-Based Space Partitioning and Plane-Project-Parallel-Skyline (PPPS). PPPS improves angle-based space partitioning by partitioning data space into a number of spaces using hyperplane-projection. However, PPPS still has a high index building time in a high-dimensional databases. Thus, we propose a new skyline method, called Grid-Plane-Project-Parallel-Skyline (Grid-PPPS), which performs grid-based partitioning first, and then, partitions using hyperplane-projection. Next, we also propose a new convex hull method, called Approximate Convex Hull Index (aCH-Index), which improves convex hull by constructing skyline layer first. Our method consider all origins, therefore, we can answer for top-k queries having any vector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method significantly improves the index building time. 데이터베이스의 크기가 증가하고, 사용자에 따라 질의가 다양해 짐에 따라 Top-k 질의 처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Top-k 질의처리란 데이터베이스의 모든 튜플들 중에서 스코어가 가장 높은 또는 가장 낮은 k개의 튜플을 결과로 찾는다. 레이어 기반의 인덱싱 기법은 튜플들의 모든 속성 값을 고려하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대표적인 레이어 기반의 연구로는 스카이라인, 컨벡스 홀을 사용하는 기법 들이 있다. 스카이라인을 사용하는 기법은 레이어를 구성하는 시간은 짧지만, 레이어에 많은 수의 튜플이 포함된다는 단점이 있다. 반면에 컨벡스 홀은 레이어에 포함되는 튜플의 수가 적지만 레이어를 구성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카이라인과 컨벡스 홀을 사용하는 기법을 개선한 두 레이어 기반의 인덱싱 기법을 제안한다. 먼저 스카이라인을 사용하는 기법으로 격자 기반의 분할 방법을 사용하는 Grid-PPPS를 제안한다. Grid-PPPS는 기존 연구들과 비교하여 인덱스를 구축하는 시간을 줄였으며, 레이어에 포함되는 튜플들의 개수는 스카이라인과 일치한다. 두 번째로, 컨벡스 홀을 사용하는 기법으로 컨벡스 홀의 근사 값을 구하는 aCH-Index를 제안한다. aCH-Index는 컨벡스 홀과 비교하여 레이어에 포함되는 튜플들의 개수가 조금 많지만, 인덱스를 구성하는 시간을 크게 향상시켰기 때문에 성능상의 이점이 있다. 또한, aCH-Index는 모든 기준점을 고려하므로 모든 방향의 사용자의 질의에 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제안하는 두 가지 레이어 기반의 인덱싱 기법을 합성 데이터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으며, 기존 연구들과 비교하여 성능 향상을 보인다.

      • 딥 러닝 LSTM 모델 기반의 TCP SYN Flood 탐지 시스템

        이병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컴퓨터 및 네트워크의 발전과 동시에 백신의 탐지를 피하기 위해 해커들은 다양한 변 종 악성코드를 생산하고 있다. 악성 패킷 탐지는 일반적으로 코드의 특징을 가지고 탐색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패킷은 포트 번호 및 헤더 정보가 존재하며 이는 어떠한 특징 및 패턴을 가 지고 있다. 빠르게 진화 하면서 강해지는 네트워크 공격에 비해 현재 탐지 시스템은 공격에 즉각적으로 대응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DDoS 공격 중 가장 대표적인 flooding 공격의 피해 사례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으며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딥 러닝 기술이 나오면서 새로운 탐지 기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딥 러닝은 금융, 소셜 네트워크, 의료 등 여러 분야에서 각광 받고 있으며 계속해서 빠르게 진화하는 악성 코드에 대한 방어책으로 보안 분야에서도 딥 러닝은 관심 분야이다. 기존의 탐지 시스템은 공격이 발생 후 그 사이의 시간차가 있었지만 현재는 딥 러닝을 활용하여 침입 방지 및 분류 등 다양한 보안 기술에 적 용하기 위해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DDoS 공격 중 하나인 TCP SYN flood 공격을 탐지하기 위해 직접 SYN flood 공격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생성하고, 공격의 특징을 추출해 공격 패킷과 일반 패킷을 분류하고 탐지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시퀀스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딥 러닝 모델 중 하나인 LSTM을 사용하였다. 가상 머신 환경에서 hping3 툴을 사용하여 직접 패킷을 생성하 여 데이터 셋으로 사용한다. LSTM을 이용하여 TCP SYN flood 공격의 특징인 목적지 IP 주 소는 모두 동일하고, TCP, 그리고 SYN 메시지를 가지고 있다는 특징으로 전처리 과정에서 딥 러닝 모델에 사용할 수 있게 데이터셋을 가공하여 모델이 패턴을 학습하고 패킷 카운팅을 사용하여 탐지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Recently, hackers are producing a variety of malicious code to avoid detection of vaccines at the same time as the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networks. Detection of malicious code generally uses a detection metho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de. A packet has a port number and header information, which have certain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Compared to the rapidly evolving network attacks, it is difficult for the detection system to respond to attacks immediately. Recently, deep learning has been attract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finance, social network, and medical care. Deep learning is also an interest in the field of security as a defense against DDoS attack which continues to evolve rapidly. Existing detection systems have a time lag after the attack, but nowadays many research have been made to apply them to various security technologies such as intrusion prevention and classification using deep learning.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that efficiently classifies and detects DDoS attack traffic packets by extracting attack characteristics to detect TCP SYN Flood attack, which is one of the DDoS attacks. One of the deep learning algorithms LSTM was used to process the sequence data. In the virtual machine environment, a TCP SYN Flood packet was directly generated using the hping3 tool and used as a data set. Using the LSTM, the destination IP address, which is characteristic of Flood attack, is the same, TCP, and SYN message. It is designed to be used for the deep learning model in the preprocessing process. We propose a system to detect using packet counting.

      • 고등학생의 자기분화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전병화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make an estimate the relationship factors in career problems and career decision-making on the important assignment foreheaded high school students. the help gives career course and career guidance of high school students the factors defined any effects on career decision-making. the found out correlation between each alter factors of career-making self-efficacy, career decision-making level and self-differentiation on career decision. When have career-teaching more grew up career-consciousness basic on this study and career-learning considered all situation surrounded individual or provide for conceptional frame to development difference career-counseling program. 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ive of this study following hypotheses are constructed. First, are there any relationship between on the high school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stat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making level. Second, are there any effects on the high school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state to career decision-making self efficacy. Third, are there any effects on the high school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state to career decision-making level. First, second, third grade students of high school in Jin-Ju, 447 man and woman students in total were selected by questionaire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rov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elf-differentiation stat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following different from the sex and grade. Second, there wer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state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statistically. Third, there wer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self-differentiation, whose sub-factors included affective cognitive differentiation, self-unification, family projection, affective separation and family regression. Forth, the study appeared that the self-unification and the affective separation affected the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 However, the result showed that the affective separa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본 연구에서는 진로문제와 진로결정의 중요한 과제를 앞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문제와 진로결정을 예측하는 관련요인들을 알아보고, 그 요인들이 진로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내어 고등학생들의 진로과정과 진로지도에 도움을 주고자 이들이 지각하는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을 측정하여 각 변인들과 자기분화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런 연구를 기초로 하여 학생들이 보다 성숙된 진로의식을 지니도록 진로교육을 실시할 때 개인을 둘러싼 모든 상황을 고려한 진로지도는 물론, 진로상담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념적 틀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과 관련한 문제 설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자기분화정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이 성별과 학년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고등학생의 자기분화정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을 것인가? 셋째, 고등학생의 자기분화정도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상남도 진주시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2,3학년 남·여 학생 4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자기분화정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은 성별과 학년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고등학생의 자기분화정도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자기분화의 하위요인인 자아통합, 정서적 단절, 가족퇴행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자기분화의 하위요인 중 자아통합과 가족투사, 정서적 단절, 가족퇴행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서적 단절은 진로결정수준에 부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거래가 예측을 위한 텍스트 기반 가격 변동 지수 모델링

        이은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부동산 실거래가 예측은 부동산, 경제학, 컴퓨터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많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부동산 실거래가 예측은 경제, 정책, 소비 심리 등 다양한 외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예측하기에 매우 복잡한 양상을 보인다. 기존의 부동산 실거래가 예측을 위한 연구는 거시 경제, 지역 인구 등의 통계자료 기반의 정형 데이터를 통해 예측하였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은 부동산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데이터 홍수 시대에 접어들며, 무수히 많은 비정형 데이터에서 의미 있는 가치를 창출하는 분석에 대한 연구가 주목받고 있다. 그 중 감성분석은 비정형 텍스트에서 사람들의 의견이나 감성 정보를 추출하는 기법이다. 따라서 감성분석을 활용하면 부동산 소비자들의 심리 요인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감성분석을 활용하여 부동산 소비자의 심리적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부동산 실거래가 예측을 위해 부동산 관련 뉴스와 트위터 데이터로 부동산 도메인에 특화된 감성지수를 개발하고 새로운 부동산 가격 변동 지수를 개발한다. 둘째, 부동산 가격 변동 지수가 실제 부동산 실거래가 예측에 유용하게 작용하는지 파악한다. 셋째, 부동산 실거래가 예측에 적합한 모델을 규명하고자 다양한 기계학습 방법을 비교, 분석하고 해석한다. 분석에 사용한 데이터는 2017년 1월 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서울, 부산, 세종시의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데이터, 경제, 인구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또한 웹 크롤링을 통해 부동산 관련 뉴스 기사와 트위터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부동산 감성지수를 개발하기 위해 감성사전을 구축하여 부동산 상승, 하락과 관련된 뉴스, 트위터인지 분석하고, 이를 BERT 모델의 Input data 로 활용하여 부동산 감성지수를 개발한다. 개발된 감성지수가 실제로 부동산 실거래가 예측에 유용하게 작용하는지 규명하기 위해 다양한 기계학습 모델을 통해 비교, 분석한다. 실험 결과, 정형 데이터만 사용했을 때 보다 부동산 감성지수가 포함된 데이터로 분석했을 때 더욱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으며, 다양한 기계학습 방법의 비교 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선정한 예측 모델을 통해 부동산 가격을 예측한다. 또한 소위 블랙박스 모델이라고 불리우는 기계학습 모델의 해석을 위해 Shapley Value 를 사용하여 지역별로 변수 기여도를 도출함으로써 예측 모델의 결과에 대한 해석을 하고자 한다.

      • 양궁의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이미향 계명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conditions of archery and investigate its property, which has the best athletic performance in the world but is categorized as less popular sports in the country, and to seek for the solution of vitalizing archery as leisure activity and sports for al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obstacle to vitalization of archery to be sports for all through interview with study participants of an archery society and archers and drew the below ways to vitalize the archery as sports for all. First, if the current training grounds used for athlete are to be opened weekends and core high schools in region are to be selected and opened gradually, lack of training ground will be somewhat solved. And time-based utilization of using the early hours or after the training time of athlete should be also investigated. Second, educational development suitable for club member’s capacity and cultivation of guides for them will be an important base for the archery to be sports for all. As one of this solutions, if the athletes who could not enter industrial teams or go into the advanced schools after highschool or college, and female athlete who got married and was broken with guide career are provided the opportunity to be served as physical directors, it will be very helpful. Third, one of major strategies for diffusion of sports for all is promotion. For this, Council of Sports for All or association should highlight archery is easy to be enjoyed regardless of age or sex, and positive promotion of various places and educational system should be followed. Fourth, game format should be changed to suit for club members. Adjusting distance for club members can solve facility problem of large space and prevent safety accident. And if distance gets shorter, even beginners could access easily to archery. Fifth, if nature friendly games such as bare-bow and field archery of less cost are diffused, linked programs to other events can be developed, so development potential of new programs can be found. Sixth, the foundation of sports for all should be started from sports in school. Study participants emphasized archery merits should be introduced into school activities to develop positive sociality and character through noncompetitive sports. Because archery helps students improve concentration and set at ease by relieving stress, if it is constructed as sports class or youth club activities after school, it will be most basic solution for vitalization of archery as sports for all. Because this is qualitative study which targets some of club members and archers by purposeful sampling, it has limitation to apply for whole club members. If various succeeding studies including quantitative study which targets common participants to expend archery base are carried out actively in the future, archery can expand its base as sports for all based on positive effects of study results.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cases of the advanced countries such as U. S. and Europe whose archery clubs are vitalized, we should prepare for alternatives in policy suitable for our country.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스포츠 종목 중, 세계 최고의 경기력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국내에서는 비인기종목으로 분류되고 있는 양궁의 현황을 분석하여 특성을 알아보고, 양궁이 보다 긍정적 여가활동으로, 생활체육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양궁 동호회 활동을 하고 있는 연구 참여자와 양궁 선수 출신의 연구 참여자들과의 심층 면담을 통하여, 이들이 인식하는 양궁의 생활체육 활성화 저해요인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양궁의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재 선수들의 훈련장으로 이용되고 있는 각 급 학교 훈련장의 주말 개방과 지역별 거점학교들을 선정하여 순차 개방을 유도한다면 훈련장의 부족 현상을 다소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새벽이나 선수들의 훈련시간 이후의 시간들을 활용한 시간대별 이용 방안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동호인들의 실력에 적합한 교육체계의 개발과 동호인 전담지도자 양성은 양궁을 생활체육으로 활성화하는데 중요한 기반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해결할 방안의 하나로 고등학교, 대학교를 졸업한 선수들 가운데 실업팀이나 상급학교에 진학하지 못한 선수들과 여자 선수들 중, 결혼으로 선수 생활이나 지도자 생활이 단절되었다가 지도자 복귀를 희망하는 선수들을 대상으로 생활체육 지도자로 봉사 할 기회를 제공한다면 많은 도움이 되리라 여겨진다. 셋째, 생활체육 종목의 활성화를 위한 보급에 있어 주요한 전략 중 한 가지는 홍보이다. 이를 위해서는 생활체육회나 협회 차원에서 양궁이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는 종목임을 부각시켜야 할 것이며, 아울러 이를 접하기 위해 다양한 장소와 교육체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동호인들에게 적합한 경기방식의 전환을 들 수 있다. 동호인 대회의 거리 조정은 넓은 장소를 필요로 하는 시설의 문제점과 더불어 안전사고도 대비할 수 있을 것이며 거리를 짧게 함으로 초보자들이 쉽게 양궁을 접할 수 있게 하는 방안으로 제시되었다. 다섯째, 장비의 비용 부담이 적은 베어 보우와 필드아처리와 같이 자연 친화적인 경기방식의 보급은 다른 종목과의 연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할 수 있는 측면도 있기 때문에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 가능성을 모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섯째, 생활체육의 기반은 학교체육에서 시작되어야 한다. 비경쟁적인 스포츠를 통한 보다 긍정적인 사회성과 인성개발의 측면에서 양궁이 가지는 장점을 학교클럽활동에 도입하여 실시할 것을 연구 참여자들은 피력하고 있다. 양궁은 집중력이 좋아지고 스트레스를 잊게 하여 심신의 안정을 기할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해 볼 때, 방과 후 스포츠 교실이나 청소년들의 클럽활동으로 구축하는 것은 양궁의 생활체육 활성화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유목적 표집법에 의한 일부 동호인들과 양궁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 연구이기에 연구의 결과를 양궁 동호인 전체에게 일반화시킬 수 없는 제한점을 갖고 있다. 앞으로 양궁의 저변확대를 위해 일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양적 연구를 포함한 다각적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연구 결과에서 나타난 긍정적 효과를 바탕으로 양궁이 생활체육으로서의 저변을 넓혀 갈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양궁 클럽이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과 유럽 등 선진국의 사례를 면밀히 검토하여 우리나라의 상황에 적합한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는 방안도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 紹修書院 설립 시기 榮州地域 學脈과 文學에 대한 硏究

        김장환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A study on the school and Literature of Yeongju region during the establishment of SosuSeowon* Janghwan Kim Department of Classical Chinese Graduate School, Kyungpook Naional University Daeg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Yeongho Park )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school(學脈) and literature of Yeongju, focusing on the pattern of association and poetry among the major characters who were active in Yeongju during the establishment of SosuSeowon(紹修書院)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The time range of the study is 20 years from 1543 when SosuSeowon was established until 1563 when Park Seung-im served as a Punggi governor and stabilized its operation and then retired. During this time, Joo Se-boong founded SosuSeowon, and with the efforts of Yi Hwang, it became the first national recognition Seowon. After that, it was also a time when Seowon struggled to settle down stably. During this time, there was a fierce debate between Joo Se-boong and Hwang Joon-ryang in the place of Yi Hwang, over the educational contents of Seowon and how to operate it, which i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period in the history of SosuSeowon. The spatial range of the study is the person who was born and active within the present administrative district of Yeongju City. Therefore, four people, including Ahn Gong-sin, Hwang Hyo-gong, Hwang Joon-ryang and Park Seung-im, who were born in Yeongju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and stabilization of the Seowon during this time, are studied. Their schools and achievem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hn Gong-sin, a descendant of HoeHeon(晦軒),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of SosuSeowon. It can be said that he intimately associated with and was involved in the same school with Joo Se-boog, who greatly praised HoeHeon. The descendants of HoeHeon in Yeongju, centering on Joo Se-boong and Ahn Gong-sin who led the establishment of SosuSeowon, took HoeHeon for granted as the founder of Oriental Moral Philosophy(道學) who succeeded Zhu Xi and made efforts to succeed the school. As a descendant of Hwang Ji-heon, Hwang Hyo-gong formed a unique academic system by contributing to the authorship of 「Yeokbeomdo(易範圖)」 and the engraving of 『Iphakdoseol(入學圖說)』 Yeongcheon edition(榮川本) written by Kwon Keun, etc., succeeding the ancestral integrity spirit. He also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osuSeowon. In particular, he interchanged academic affects through academic exchanges with Yi Hwang. Hwang Joon-ryang, a disciple of Yi Hwang, had a heated debate with Joo Se-boong over the requirements for admission to Seowon and the compilation of Seowonji, (書院誌) speaking for Yi Hwang‘s opinion in the process of compiling 『Jukgyeji(竹溪誌)』. After SosuSeowon, he made active efforts in establishing other Seowons and fulfilled exemplarily the duty of the local governor called ‘Hakkyoheung’ (the duty of establishing many schools for education;學校興). Especially, he took the lead in spreading Yi Hwang‘s study. Park Seung-im also taught Yi Hwang's study as a disciple of Yi Hwang. Going through various government positions, as he had many opportunities to stay in his hometown, he wrote many books while devoting himself to study and writing and cultivated many of his own disciples. Before the four major schools of Toegye(退溪) were formed, he had formed Sogo School, serving as a bridge to the transition of the four schools of Toegye.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e succession patterns of their younger students schools. First of all, Ahn Gong-sin's Huhak (後學) future reference) seems to have been passed down to his six sons. The peculiarity found here in the family of Sunheung Ahn(順興安氏) is that no one is enrolled in 「Toegye Records of Disciples」 despite the transmission of study. However, as many of Sunheung Ahn's works remain in the poetry and prose in 『SosuSeowonji(紹修書院誌)』, being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t can be guessed that the spirit of HoeHeon has been passed through as family studies. Second, there is no record of Hwang Hyo-gong having taken his disciples although his academic accomplishments are excellent. It is unfortunate that there may be a 「Records of Disciples(文人錄)」 in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lost by the fire, and it would remain in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of the people who were associated with, but cannot be found. Hwang Hyo-gong has made close academic exchanges with Yi Hwang and his brother while alive. Even after his death, it is also confirmed that his descendants were influenced by Yi Hwang and absorbed in Toegye School. Third, Hwang Joon-ryang, a disciple of Toegye, failed to protect his hometown while in office, and disciples left in record cannot be found because he died young. He wanted to prepare Geumyangjeongsa (錦陽精舍) and devote himself to studies in his life. If he had trained his disciples, living a long life, today‘s Toegye School is believed to have changed greatly. Fourth, Park Seung-im resigned over YangJae Station Writing on the Wall Incident (良才驛壁書事件) and started to raise his disciples from the time when he stayed in his village, so that there are 52 people enrolled in Records of Disciples. The number of disciples who wrote in 「Eungseoksa Changsurok(凝石寺唱酬錄)」 which he shared with his disciples at Eungseoksa Temple in Yeongju reached 26. When looking literary works left in 「Eungseoksa Changsurok」, their content implies the social and academic significance of declaring the establishment of "Sogo School." It will be evaluated that Park Seung-im formed the largest school in the group of Toegye disciples of his time and contributed to the transmission of Yi Hwang‘s School tradition to the next gener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following facts are found. First,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roles of government officials and writers in Yeongju who tried to establish and develop Seowon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SosuSeowon, which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culture of Seowon in Korea. Second, it was possible to analyze the association and relationship of writers who represented the intellectual community of the whole country not just of Yeongju. Third, although they worked together to establish SosuSeowon, it was able to find subtle differences among them according to the school and teacher-pupil relationship in terms of the philosophy of Sowon education and how to operate it.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dentifying it. Fourth,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analyze and characterize the school of Yeongju at that time. Overall, Yeongju at the time of the establishment of SosuSeowon in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was the first place to receive educational reform, namely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Seowon in Korea, and the emergence of Sarim(士林) in the center of Moral Philosophy(道學). In addition, it was the site of history that played a central role in opening the era of revival of Korean studies. The study in this period was developed rapidly in Yeongnam province under the name of Toegye Study together with Chosun Zhu Xi Study, where Yeongju was the first place to sprout and bear fruit. 紹修書院 설립 시기 榮州지역 學脈과 文學에 대한 硏究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조선 중기 소수서원 설립시기에 영주지역에서 활동을 한 주요 인물들 간의 교유양상과 시문을 중심으로 영주지역의 학맥과 문학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소수서원이 설립된 1543년부터 嘯皐 朴承任이 풍기군수로 재임하며 서원의 운영을 안정시키고 퇴임한 1563년까지 20년간으로 하였다. 이 시기에 주세붕이 소수서원을 설립하였고 이황의 노력으로 사액서원이 되었다. 그 후 서원이 우여곡절을 겪으며 안정적 정착을 위해 노력하던 시기이기도 하였다. 이 시기는 서원의 교육내용과 운영방법을 둘러싸고 주세붕과 이황을 대리한 황준량 간에 치열한 논쟁이 있던 시기이기도 하며 소수서원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시기로 평가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현재의 영주시 행정구역 이내에서 태어나고 활동한 인물로 한다. 따라서 이 시기에 영주에서 태어나 활동하며 서원의 설립과 안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안공신, 황효공, 황준량과 박승임 등 4인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이들의 학맥과 업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안공신은 회헌의 후손으로서 소수서원 설립에 적극 동참하였다. 회헌을 극진히 숭모한 주세붕과 깊이 교유하며 학맥을 같이 하였다고 볼 수 있다. 소수서원 설립을 주도한 주세붕과 안공신을 중심으로 한 영주지역 회헌 후손들이 회헌을 주자를 이은 동방도학의 비조로서 당연시하고 회헌의 학통을 계승하려는 노력을 하였다. 황효공은 黃知軒의 후손으로서 선조의 절의정신을 이으며「易範圖」저술과 권근의 『입학도설』 영천본 판각에 기여하는 등 독보적인 학문체계를 형성하였다. 소수서원 설립과 운영에도 적극 참여하였다. 특히 이황과의 학문교류를 통해 서로 학문적 영향을 주고받았다. 황준량은 이황의 제자로서『죽계지』의 편찬 과정에서 이황의 지론을 대변하며 서원의 입원자격요건과 서원지 편차를 두고 주세붕과 격론을 벌였다. 소수서원 이후에 다른 서원 설립에도 적극적인 노력을 하였으며 ‘學校興’이라는 지방관의 소임을 모범적으로 수행하였다. 특히 이황의 학문을 적극 전파하는데 앞장을 섰다. 박승임 역시 이황의 제자로서 이황의 학문을 전수하였다. 여러 관직을 오가는 동안 고향에 머무는 기회가 많아서 학문과 저술에 몰두하며 남긴 저술이 많고 본인의 제자를 많이 양성하였다. 퇴계의 4대학파가 형성되기 이전에 소고학파를 형성하여 이황과 4대 퇴계학파의 과도기 징검다리 역할을 하였다. 이들의 사후 후학들의 학맥 계승 양상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安公臣의 後學은 아들 6형제에게 계승된 것으로 보인다. 이곳 순흥안씨 가문에서 발견되는 특이성은 학문을 전승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퇴계문인록」에 등록된 인물이 한 사람도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수서원지』에 수록된 시문에는 순흥 안씨의 작품이 대대로 상당수가 남아있어 회헌의 정신을 가학으로 전승하여 왔음을 짐작할 수 있다. 둘째, 黃孝恭은 본인의 학문적인 업적은 탁월함에도 불구하고 제자를 양성한 기록은 발견할 수 없다. 화재로 소실된 문집에 「문인록」이 있을 수 있고 교유를 한 사람들의 문집에도 남아 있을 터인데 발견할 수 없어 안타깝다. 황효공은 생존해 있을 때부터 이황 형제와 학문적 교류를 긴밀하게 하였던 인물이다. 사후에도 자손들이 이황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퇴계학파로 흡수된 점이 확인된다. 셋째, 황준량은 퇴계의 제자이면서 관직을 맡으면서 고향을 지키지 못하였고 또 젊어서 별세하여서 기록에 남은 제자들을 찾을 수가 없다. 생전에 錦陽精舍를 준비하고 학문에 몰두하기를 원하였는데 만약 천수를 누리며 제자를 양성하였다면 오늘 날 퇴계학파의 모습도 크게 달라져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넷째, 朴承任은 양재역벽서사건으로 사직하고 향리에 머물 때부터 제자를 키우기 시작하여서 문인록에는 52명이 등록되어 있다. 영주 凝石寺에서 제자들과 나눈 「응석사 창수록」에 글을 남긴 문하생들만도 26명에 달한다. 이 「응석사창수록」에 남은 시문들을 볼 때 그 내용은 ‘소고문파’의 성립을 천명하는 사회적·학문적의미를 함축하고 있었다. 박승임은 당대에 퇴계 제자그룹에서 가장 큰 학맥을 형성하고 이황의 학풍을 다음 세대에 전해준 공로는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우리나라의 서원문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 소수서원의 설립시기에 서원의 설립과 발전을 위해 노력한 관리들과 영주 지역 문인들의 역할을 파악할 수 있었다. 둘째, 당시 영주지역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 지성계를 대표하였던 문인들의 교유 및 학맥관계를 분석할 수 있었다. 셋째, 소수서원의 설립을 위해 함께 노력하면서도 서원 교육철학과 운영방법에서 학맥과 사승관계에 따라 미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던바 이를 규명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넷째, 이를 통하여 당시의 영주지역 학맥을 분석하고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종합적으로 보면 조선중기 소수서원 설립시기의 영주는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설립이라는 교육개혁과 도학중심 사림의 본격등장이라는 변혁의 물결을 가장 먼저 맞아들인 곳이었다. 아울러 우리나라 학문의 중흥기를 여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한 역사의 현장이었다. 이 시기에 학문은 조선주자학과 함께 퇴계학이라는 이름으로 영남지방에서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는데 영주는 바로 처음 그 싹이 트고 열매를 맺던 곳이었다.

      • 모택동 체육사상을 통한 청년교육의 실천적 의의 고찰

        호월명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현대의 체육활동은 하나의 서구적 현상이라고 볼 수 있으며 스포츠, 체육 사상 역시 올림픽 이념과 영국의 사회교육 이념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 국민 체육활동과 스포츠 조직은 근대 유럽의 국가주의를 실현하는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 가능한 합법성을 가진 사회제도로 존재하여 왔다. 국제스포츠경기에 참가하는 중국의 적극성이 증가하는 것은 중국이 이러한 서구의 사상과 정치관습에 동화되었음을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지금의 중국은 이미 소강사회를 전면적으로 건설하는 중요한 시기에 들어섰다. 여전히 중국 청년들은 사회주의 건설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앞선 모범의 역할을 하고 있으며 근대와 현대의 교량으로서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청년교육에 대한 모택동의 핵심 목표는 중국 사회주의 건설 사업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는 것이고, 청년교육의 실천 방법은 바로 인재를 양성하는 주요 방안으로 표출되었다. 모택동이 전면적으로 발전하는 사회주의를 자각하고 문화 지식을 함양한 근로자와 사회주의 건설에 필요한 인재를 육성하는 방식에는 주로 교육과 생산노동을 병행하는 것, 앞선 대표자를 내세우면서 본보기로 인도 역할을 발휘하게 하고, 정규 교육과 비정규 교육을 병행하는 방법으로 나타났다. 모택동의 체육을 통한 청년교육사상이 이룬 역사적 공헌은 모택동 사상의 과학적 체계를 보완하였으며 사회주의 후계자 양성에 일익을 담당하였을 뿐만 아니라 등소평, 강택민과 호금도 청년교육사상의 기반을 마련하게 된 것이다. 모택동의 체육을 통한 청년교육사상이 남겨준 과제로는 모택동의 청년교육사상이 직면한 시대의 영향으로 핵심이 수정되었으며 정신과 도덕의 과장된 역할을 요구하게 되고 교육의 개혁 및 발전 과정에서 정치화와 이상화만을 견지하게 된 것이다. 이와 같은 모택동 청년교육사상을 근거로 한 현실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먼저, 마르크스주의 이론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오늘날의 중국 청년들은 무수한 서방 문화 사상과 가치관 그리고 자산계급의 부패한 생활 방식과 과거 보수주의가 충돌하는 상황을 경험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청년들에 대한 마르크스주의 이론교육을 지속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대두되기 시작했다. 다음으로, 덕, 지, 체의 조화로운 발전을 재강조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는 청년들의 도덕관념이 약화되었기 때문이다. 시험을 주목적으로 하는 교육 체제하에 학교는 수업의 질을 외면하고 성적을 높이기 위하여 지육 발전에만 중점을 두고 있다. 지식 과목의 학습에만 치중하여 남을 먼저 생각하는 도덕관념과 인성, 인격에 대한 교육과 육성은 우선순위에서 밀려나게 된 실정이다. 또한 청년들의 신체 능력이 확연하게 약화되어서이다. ‘시험’이라는 절대과제로 인해 오늘의 청년 교육은 지식만을 중요시하고 체력을 경시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대다수 교사와 학부모들도 성적만 중요시하여 학습 성과의 성취도와 점수의 수준만으로 청년 학생들을 평가하게 됨으로 덕, 지, 체의 조화로운 발전을 외면하고 있는 모습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마지막으로, 청년들의 실천 능력 강화를 들지 않을 수 없다. 지식은 실천할 때만 의미가 있으며 청년들이 완전하고 진정한 과학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회 실천에 적극적으로 동참하여야 함을 모택동은 지속적으로 강조해 왔다. 실천을 통해 자신의 지혜를 운용하고 습득한 지식을 활용하여 사회 문제를 연구하도록 함으로 청년들의 실천 능력을 발전시켜야 한다. 오직 이렇게 해야만이 사회주의 건설 사업에 필요한 지식을 갖게 되고 문화 지식을 가진 적합한 청년 인재를 육성할 수 있게 될 것이다. Modern sport activities can be regarded as a Western phenomenon, and the ideology of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also has its root in the Olympic ideology and the British social education ideology. National sport activities and sport organizations have existed in modern Europe as legitimate social institutions that can be utilized as a means of realizing nationalism. Chinese increasing active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sport events seems to reflect that China has assimilated these Western ideas and political customs. Today, China has already entered an important period of building a fully well-off society. Chinese youths are still playing a leading and exemplary role in continuing the development of socialist construction projects, and they are also playing a role as a bridge between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Mao Zedong's core goal for youth education was to cultivate the human resources necessary for Chinese socialist construction projects, and the practical plans of youth education were presented as a major way to nurture human resources. It was found that Mao's approach to fostering workers who are fully aware of developing socialism and acquire cultural knowledge, as well as and human resources required for socialist construction, mainly included the following; combining education and productive labor, bringing leading representatives to the forefront and enabling them to play a guiding and exemplary role, and conducting both formal and non-formal education. The historical contribution made by Mao's ideology of youth education through physical education complemented the scientific system of Mao Zedong’s Thought and played a part in nurturing socialist successors, and laid the foundation for the youth education ideologies of Deng Xiao Ping, Jiang Zemin, and Hu Jin Tao. The challenges left by Mao's youth education ideology through physical education are that the core of the ideology was revis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present times, whereby an exaggerated role for spirit and morality was demanded, and that in the process of reform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only politicization and idealization have been maintained. Practical suggestions based on Mao Zedong's youth education ideology are as follows. First, the need for Marxist theory education has emerged. Today, Chinese youth are experiencing a conflict among countless Western cultural thoughts and values, the corrupt lifestyle of the wealthy class, and the past conservatism. This situation started to increase the demand that Marxist theory education for young people should be continuously strengthened. Second, the necessity to re-emphasize the harmonious development of virtue, knowledge, and the body is raised because the morals of young people have weakened. Under the education system that places a priority on exams, schools neglect the quality of instruction and focus only on the development of intellectual education to improve grades. Education and nurturing of morals, personality, and character that care for others first have been pushed out of priority by focusing only on the learning of knowledge-based subjects. It is also because the physical abilities of young people have been significantly weakened. Due to the absolute emphasis on exams, today’s youth education has a strong tendency to value only knowledge and neglect physical strength. Most teachers and parents also value only grades, and evaluate young people and students only on the basi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cores, thereby showing that the harmonious development of virtue, knowledge, and the body is significantly neglected. Finally, the important thing is to propose strengthening the ability of young people to practice knowledge. Mao consistently emphasized that knowledge is meaningful only when it is practiced, and that young people must actively participate in social practice in order to acquire complete and true scientific knowledge. Young people must develop their practical skills by using their own wisdom through practice and utilizing the acquired knowledge to study social problems. Only in this manner, can it be expected to cultivate suitable young talents who have the knowledge required for socialist construction projects as well as cultural knowledge.

      • 중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행동, 또래의 동조압력과 공격행동과의 관계 :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정덕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Aggressive behaviors may hurt its victims physically and mentally and ultimately cause them to commit suicide. Considering the side effects of aggressive behavior, We need to figure out which factor affects the aggressive behavior of adolescents.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of parenting behavior, peer pressure and self control on aggressive behavior. I, specifically, get to know if self-control can do as a medium between mother's parenting behavior and aggressive behavior, and at the same time, between peer pressure and aggressive behavior. To clarify this, I had a survey of 759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ged 15 living in Tongyoung and Geoje.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Among mother's parenting behavior, affection and monitoring are negatively related to physical and indirect aggressive behavior. Physical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and inconsistency are positively related to physical, linguistic, and indirect aggressive behavior. Neglect is positively related to physical and indirect aggressive behavior. The number of peers showing aggressive behavior and peer pressure are positively related to physical, linguistic, and indirect aggressive behavior for sure. And Peer conformity is quite positively related to physical and indirect aggressive behavior. And affection, reasoning and monitoring, which are positive maternal parenting, are positively related to self control. Physical abuse, intrusiveness, over-expectation, neglect, and inconsistency, which are positive maternal parenting, are negatively related to self control. The number of peers showing aggressive behavior, conformity to peers, and peer pressure are also negatively related to self control. Physical and indirect aggressive behavior have negative relation to self control as well. Second, the medium effect of self control is as follows: Self control works as a medium between positive maternal parenting and physical, indirect aggressive behavior. And it also works as a medium between negative maternal behavior and physical, indirect aggressive behavior. It means that positive maternal parenting enhances self-control, and self-control lessens physical, indirect aggressive behavior. While negative maternal parenting lessens self-control, thus enhances physical, indirect aggressive behavior. However, self control cannot be the medium between maternal parenting and linguistic aggressive behavior. Self control can be served as a medium between peer pressure and physical, indirect aggressive behavior. It means with peer pressure being high and self-control being low, students one more likely to enhance their physical and indirect aggressive behavior. but it can't be the medium between peer pressure and linguistic aggression.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 between the aggressive behavior(of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each factor. And also to figure out the medium effect of self control, consequently, help to prevent and reduce the aggressive behaviors committed by adolescents. I expect this study can be the useful material to develop some programs concerning the enhancement of self-control, the formation of desirable relationships between family and peers. 공격행동은 그 피해자들에게 육체적, 정신적인 상처와 등교거부나 자살까지도 초래하는 심각한 피해를 입힌다. 공격행동의 피해를 생각할 때 청소년의 공격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대해 알아보는 연구는 의의가 있을 것이라 본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 또래의 동조압력, 자기통제력과 공격행동과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통제력이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공격행동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또래의 동조압력과 공격행동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남 통영시와 거제시에 있는 중학교 2학년 남녀 학생 7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연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애정과 감독은 신체적 공격행동, 간접적 공격행동과 부적상관이 있었고, 합리적 설명은 간접적 공격행동과 부적상관을 보였다.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비일관성은 신체적 공격행동, 언어적 공격행동, 간접적 공격행동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방임은 신체적 공격행동, 간접적 공격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공격행동을 하는 또래의 수와 또래의 동조압력은 신체적 공격행동, 언어적 공격행동, 간접적 공격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또래동조성은 신체적 공격행동, 간접적 공격행동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긍정적인 양육행동인 애정, 합리적 설명, 감독은 자기통제력과 정적인 상관을, 부정적인 양육행동인 학대, 과잉간섭, 과잉기대, 방임, 비일관성은 자기통제력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공격행동을 하는 또래의 수, 또래동조성, 또래의 동조압력도 자기통제력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자기통제력은 신체적 공격행동, 간접적 공격행동과 부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기통제력은 어머니의 긍정적 양육행동과 신체적 공격행동 및 간접적 공격행동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머니의 부정적 양육행동과 신체적 공격행동, 간접적 공격행동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긍정적일수록 자기통제력이 높고, 자기통제력이 높을수록 신체적 공격행동과 간접적 공격행동이 적게 나타나며,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부정적일수록 자기통제력이 낮고,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신체적 공격행동과 간접적 공격행동이 많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기통제력은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언어적 공격행동 사이를 매개하지는 못하였다. 자기통제력은 또래의 동조압력과 신체적 공격행동, 간접적 공격행동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또래의 동조압력이 높을수록, 그리고 자기통제력이 낮을수록 신체적 공격행동과 간접적 공격행동을 많이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자기통제력은 또래의 동조압력과 언어적 공격행동을 매개하지는 못했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공격행동과 각 변인들의 관계를 알아보고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봄으로써 청소년의 공격행동의 예방과 감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 연구가 청소년기의 바람직한 가족관계와 또래관계 형성, 자기통제력 강화를 위한 교육과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