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의 전통문화 요소를 이용한 제품디자인 연구

        범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중국 전통 문화는 중국 문명의 진화와 함께 소수민족의 특색과 풍모가 집중된 민족문화이자 각종 사상과 관념으로 표현되는 문화이며, 또한 중국지역에서 살아온 중화민족이 여러 세대에 걸쳐 상속발전을 위하여 민족 특색과 유구한 역사를 토대로 발전해 온 우수한 전통문화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전통 문화는 유가문화의 핵심 내용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문화형태(예를 들면; 도가, 불교문화 등)가 포함되어 있다. 중화민족의 수천 년 문명의 결정체이다. 간단히 말해서 여러 문화형태로 표현된 각종 민족문명, 풍속과 정신의 총칭이라고 할 수 있다. 현대의 디자인은 사상적 측면의 “현대주의 디자인”과 기술적 측면의 “현대디자인”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현대디자인의 기원과 발전은 제 2차 세계대전 이후로 거슬러 올라간다. 현대디자인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인간의 평화와 인간 본위의 주권을 위하여 피폐해진 공간과 생활상을 변화되기를 바랐다. 이를 위해 선도자들은 그들이 원하는 것을 위하여 모든 분야에서 개혁하기에 이르렀고 이것이 디자인의 시초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상 하에 동시다발적으로 디자인의 방식과 형태가 변화되었고 특히, 유럽의 여러 나라의 공업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게 되었다. 기술적 측면으로는 간단하게 기하학장식과 무채색, 기능주의와 경제적 문제를 디자인에 접목하여 경제적이고 실용성 높은 디자인을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수천 년 동안 원시재료(예를 들어, 목재, 석재, 벽돌과 기와)를 이용하여 수공 제작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인간공학을 중시하고, 신기술과 신재료를 이용한 더 나은 디자인을 하기에 이르렀으며, 디자인과 수공성, 그리고 기계적인 제작방식이 결합되어 결국은 인성적인 면까지 결합되어 특화된 디자인을 하게 되었다. 이는 다품종 소량생산의 사품개성화시대로 디자인은 날마다 예술적으로 변화하고 발전하였다. 또한 정보사회의 발전에 따라 세계 곳곳의 예술가들은 작품을 전시하기에 한정적인 전시관 같은 공간이 아니라 세계적으로 제일 큰 미술관이자 디자인작품을 직접 전파하기에 가장 좋은 인터넷 창을 이용하게 되었다. 결국 현대디자인은 전통예술과 과학기술이 결합한 사상과 기술의 발전으로 이루어낸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중국 전통문화는 수많은 필생의 깨달음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생존과 발전을 위하여 진취적으로 발전을 해야 하며, 중국미래의 건설적인 한축으로서 연구자는 중국 전통문화를 배우는 의미가 상당히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연구자는 중국출신으로 중국 본토의 지향성과 전형성을 이용하여 디자인하기에 매우 친화되어 있어서 표현에 있어 유리한 조건이다. 중국 전통문화 요소를 이용하여 첫 번째로 호감과 익숙함을 이용하여 구매 행동으로 이끌 수 있으며, 둘째는 현지의 재료와 자원을 구하기에 좀 더 쉽기 때문에 원재료의 구매와 제작 단가 등의 경제적인 면을 좀 더 쉽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통문화의 상속과 발양으로 수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s the evolution of the Chinese civilization and brought together into a reflection of the national character and style of the national culture, national history is on the various ideologies and cultures, the overall performance of ideology refers to living in China within the Chinese nation and its ancestors crea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Chinese nation inheri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ith distinctive ethnic characteristics, long history, profound connotation,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It is the crystallization of Chinese civilization for thousands of years, in addition to the core content of Confucian culture, but also includes other cultural forms, such as the Taoist culture, Buddhist culture, and so on. Simply put, all civilizations, customs, spiritual nation collectively through different cultural forms represented. The modern design in general, it includes two aspects: one is the ideological dimension of the "modernist design", the other one is the technical aspects of "modern design." As for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modern design, we can be traced back to World War II decades. After World War II, the people yearn for peace, the desire democracy. Design industry pioneers began to want to change the previous design clients, to provide design services for the toiling masses, to change their living conditions. At the time they are in such a state of mind began to design. At the same time, all over the world, especially Europe and the United National Industrial technology is developing rapidly. On a technical level, decorated with simple geometric shape advocate, neutral colors, and functionalism, and to economic questions as designs in order to achieve economic and practical purposes. Since the millennium thus dependent on the handmade, traditional raw materials (such as wood, stone, brick) is broken. Then began to use new technologies, new materials, to provide design services for the toiling masses, people‐oriented, more and more designers attention. Combination of design and crafts. Mechanical products tend humane, poetic design. With the advent of small batch production design and the era of personalized products, increasingly toward the artistic direction. With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society and information society, the Internet has become the world's largest art galleries showcase the works of artists around the world, but also directly to the dissemination of works of art to the people the best tools. Will combine traditional art with science and technology, design technology content increased. Modern design is in such an idea and technically developed slowly.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s the essence of culture with countless people deposited their lifelong sentiment. For human survival and development has greatly positive guidance, need to get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As a student of the most dynamic in the community, both the absorption of advanced culture, and also China's future builders. Thus, learning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s significant. Chinese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in the local design, with a distinct point and typical conducive performance affinity. Chinese traditional cultural elements in the local community should have a greater resource advantages, one of the public'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local culture, the meeting promoted one kind of goodwill and understanding impulses, and this can be a good positive mood and mobilize public a direct purchase. Second, local materials, specific performance is more direct, material drawn from the local to reduce production costs, reduce risk, but also the Chinese traditional culture and develop, making it more widely recognized and accepted by the public at large enhance public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national culture degree.

      • 해양디자인의 개념정립을 위한 분류체계수립과 해양디자인기술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최진식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Marine Design' creates new value by combining design elements and all activities around the marine area and contributes to Improving the quality of human life through functional, artistic, and cultural development. 'Marine Design' has been highlighted as an important core keywor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marine industry in the future. Maritime powers will expand widely to the 21st century to provide potential opportunities and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This study focused on the marine design established a fundamental concept and classification system of Marine Design which has not been clearly established yet. In addition, the study is aimed at the designing process of marine design technology with consideration of the special circumstances of the sea and the coastal area aimed to study the process. marine-related research and design thesis is still largely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contemporary needs and recent growing interest in the possibilities of the ocean Marine Design. Previous researches show that the design concept of the domestic marine design and classification were proposed variously by different organizations accordingly rather than by the specific criteria. Therefore a distinctive and fundamental concept of 'Marine Design' which is obviously different from 'Marine industry' needs to be clear. Also for the consistent and unified theoretical researches are urgent. Research methods were basically centered on literature, thereby leading research and theoretical studies were analyzed. This study analyzes marine design seminars by design professionals and published materials by all the media including the Internet. It also analyzes various books, papers, recent government publications, newspapers and magazines as well. Case studies of the major maritime nations are considered aspects of economic indicators of marine industry, and the U.S., Europe, Japan, Australia are included in the study. Detail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understanding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and relationship between 'design' and 'marine design' were established. ​​The relationship and realm of both 'marine industry' and 'marine design technology' are investigated. Second, statu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maritime design were analyzed. And also policy research, research papers, and reports were analyzed. Third, maritime-related policies, initiatives, domestic and foreign industry trends and case studies were applied. Fourth, in order to establish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marine design, status of the classification of the existing design area and marine industry practic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ifth, on the basis of theoretical understanding, needs and requirements of the marine design technology process were analyzed. Finally, in order to establish marine design technology process various design process and the systematic and theoretical case studies were analyzed. Based on previous studies marine design technology process was established. This study is fundamental research to establish the academic system for marine design for further expansion of marine power and development of maritime design. The concept of marine design, marine areas, and the status of the design were clarifi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marine design and ‘marine design technology process’ were proposed. And through the actual follow-up studies and more specifical studies it is expected to promote the further development of marine design, 해양디자인은 바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해양활동에 디자인요소를 부합시킴으로써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고 기능적, 예술적, 문화적 발전을 통해 인간 삶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한다. 미래 해양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고 21세기 해양 강국으로의 위상을 높여줄 중요한 핵심적 키워드로 서 연안 해양에 대한 기대와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해양디자인의 발전이 고용과 부를 창출하는 새로운 기회와 가능성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디자인을 중심으로 그 개념을 고찰하고 아직 명확히 정립되지 않은 해양디자인의 분류체계를 확립하고자 한다. 또한 해양디자인이 가지고 있는 바다와 연안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해양디자인기술의 프로세스를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해양의 무한한 가능성에 대한 관심과 시대적 요구환경에 비하여 해양디자인 관련 연구나 논문은 아직까지 크게 미흡한 실정에 있다. 선행연구 결과 국내의 해양디자인 영역 및 분류는 현재 명확한 기준에 의해 제시되기보다는 각 관련단체나 주체에 따라 다양한 ‘해양산업의 분류’를 제시하고 있음을 고찰하였으며 기존의 ‘해양산업‘과는 차별화된 ‘해양디자인’ 분류에 대한 일관성 있고 통합된 이론적 연구가 시급한 실정임을 주목하게 되었다. 연구 방법은 기본적으로 문헌조사를 통해 선행연구 및 이론적 연구에 의하며, 각종 관련 서적과 논문 및 최근의 정부간행물, 신문이나 잡지를 포함하여 해양디자인 관련 전문가들의 연구 및 세미나 등에 의한 출판미디어, 인터넷 자료 등을 분석한 이론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해외 사례 조사는 주요 해양국가의 해양산업 경제지표 측면을 고려하여 미국, 유럽, 일본, 호주 등의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 선행연구에 따른 디자인과 해양디자인의 관계 및 개념을 정립하고 해양산업과 해양디자인기술의 관계 및 역할에 따른 영역을 고찰하였다. 둘째, 해양디자인의 국내․외 현황을 분석하기 위하여 주요 정책 환경 조사와 연구논문 및 보고서 분석이 이루어졌다. 셋째, 해양 관련 정책 및 추진과제, 국내 및 해외 산업 동향 적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넷째, 해양디자인의 분류체계를 확립하기 위하여 기존 디자인 영역의 분류 현황 및 해양산업 관련 분류 사례를 수집하고 비교․분석 하였다. 다섯째, 기존의 디자인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 및 핵심 프로세스 방안에 대한 이론적 이해를 바탕으로 해양디자인기술 프로세스의 필요성 및 요건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해양디자인기술 프로세스를 정립하기 위하여 각종 디자인 프로세스의 체계적, 이론적 연구 사례들을 분석하였으며 이와 같은 이론적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해양디자인기술 프로세스를 정립하였다. 본 연구는 앞으로 더욱 확대될 해양디자인의 발전을 위하여 학문적 체계를 다지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해양디자인의 개념을 명확히 설정하고 해양디자인 영역과 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서 해양디자인의 분류체계를 고찰하고 해양디자인기술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더욱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후속 연구들을 통하여 해양디자인에 대한 적극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이론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자연의 형태를 이용한 모방적 조형 연구

        왕운비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在现代信息时代,形态各异、新颖奇特的产品造型设计走入了人们千姿百态的生活,以往单调乏味的产品外观已不能满足现代人们的审美需求。大众对时尚的审美层次的提高,使得设计界用新的思维模式来不断创新成为必然。在互联网时代和知识经济时代,产品更新换代的速度可谓日新月异,而仿生学以它独有的模仿设计魅力,越来越被人们接受和喜爱,并且在不断提升我们的生活品质。因此,产品设计的推陈出新迫切需要将仿生学引入设计领域。同时仿生设计学也吸引了越来越多来自于学者和企业的热情和关注。因此,进行仿生设计的研究和应用具有重要意义。 二十一世纪是一个以科技飞速发展和情感化消费为主要特征的感性时代,在许多领域,自然界的诸多元素已作为设计借鉴的宝贵资源被加以模拟应用。在设计领域,仿生的应用有利于提高产品的物质价值和精神价值。仿生设计作为工业设计的潮流和趋势,已日益成为重要的产品设计方法。工业设计方面,产品仿生设计能够满足消费者的情感需求,适合感情匮乏时代人们的精神需求。本论文从理论和实践的角度,重点对产品仿生设计中的在形态仿生、色彩仿生、肌理仿生等方法进行研究 本文主要研究的是如何根据仿生设计理论以及相关产品设计理论和方法,分析研究产品仿生设计方法、原则与程序,并以自己的设计实践来应用和验证。本文研究内容和解决的问题如下: (1)研究分析仿生设计及设计相关理论 通过对仿生设计基本理论和产品仿生设计相关基础理论的研究,分析研究产品仿生设计应用的基础理论。 (2)研究提出设计理论指导下产品仿生设计的一般方法程序 依据仿生设计在产品设计中的应用情况,对其进行有针对性的分类,综合研究提出设计理论指导下产品仿生的一般设计方法和步骤。 (3)研究产品仿生设计的具体方法、原则和意义 本文将仿生设计的相关理论研究,运用于产品仿生设计方法的分析过程,结合具体实例,分析、研究、总结产品仿生设计的具体方法、原则和意义,提出仿生设计的细节操作,包括造型手法、详细设计规则和实际应用方法,形成了以理论架构为支持的产品仿生设计方法。 仿生设计学与旧有的仿生学成果应用不同,它是以自然界万事万物的“形”、“色”、“音”、“功能”、“结构”等为研究对象,有选择地在设计过程中应用这些特征原理进行的设计,同时结合仿生学的研究成果,为设计提供新的思想、新的原理、新的方法和新的途径。在某种意义上,仿生设计学可以说是仿生学的延续和发展,是仿生学研究成果在人类生存方式中的反映。 仿生设计学是仿生学与设计学互相交叉渗透而结合成的一门的边缘学科,仿生学涉及的领域极其广泛,内容非常丰富,其形式多种多样,特别是由于仿生学和设计学涉及到自然科学和社会科学的许多学科,因此也就很难对仿生设计学的研究内容进行划分。这里,我们是基于对所模拟生物系统在设计中的不同应用而分门别类的。归纳起来,仿生设计学的研究内容主要有:色彩仿生、结构仿生、质感仿生、形态仿生、构造仿生等方面。模仿生物的设计的仿生设计,既有仿形态、仿色彩、仿机理、仿结构、仿功能的设计。是模仿大自然中的形态,通过概括、提炼和艺术夸张等手法,再运用变色、变形等配合,将自然形态类似或上升为高于自然形态的艺术境界,从而达到给人以美的享受。 实例部分主要运用形态仿生设计学,通过研究生物体和自然界物质存在的外部形态及其象征寓意,通过艺术手法将形态仿生有效地运用到照明设计之中。灯具这一产品为人们的日常生活与工作提供了方便,没有哪个产品能像灯具一样与人们的日常生活如此的紧密联系。在生活水平相对低下的时期,消费者对灯具关注点主要集中在灯具的照明功能上,随着生活水平的提高,物质生活越来越丰裕,消费者对灯具的需求已经从单纯的照明功能向深层次的精神文化层面发展。灯具除了为人类带来光明的同时,也丰富了人们的精神与文化生活。现在的灯具创新设计风格在不断的变化,对灯具的设计的要求也在不断的提高,不仅功能好,还要外表美观,具有经济效应等。根据不同的空间、不同的场合、不同的对象选择不同的照明方式和灯具,并保证恰当的照度和亮度。灯光照明是装饰美化环境和创造艺术气氛的重要手段。为了对室内空间进行装饰,增加空间层次,渲染环境气氛,采用装饰照明,使用装饰灯具十分重要。在现 代家居建筑、影剧建筑、商业建筑和娱乐性建筑的环境设计中,灯光照明更成为整体的一部分。 汲取大自然的营养是仿生学的基础,仿生设计将仿生学应用于工业设计活动中,模仿并超越大自然优越的机能,提升设计层次和空间。同样,将仿生设计运用于产品造型中, 使产品造型与仿生设计有机结合,是塑造优秀产品造型的有效途径之一。其中重要步骤是有效地提炼仿生对象的形态、色彩和表面肌理,并将其巧妙地运用到造型活动中, 这将关系到产品造型的艺术品质。 此外,应结合新的设计理念,使仿生造型做到形态、人机使用、文化和情感性的有机统一。 产品造型设计是现代工业设 정보시대가 발전되는 오늘날, 형태가 제각기 다르고 새로운 제품조형 디자인이 다양한 생활 속에 들어섰고 단조로운 구식의 외형은 현대인의 심미요구에 만족할 수 없게 되었다. 유행에 대한 사람들의 안목이 제고되면서 디자인 업계가 새로운 방식으로 창신을 하는 것이 필연적으로 되었다. 인터넷과 지식경제시대, 나날이 새로워지는 제품이 계속 업데이트되고, 바이오닉스 디자인학은 특유의 모방디자인 매력으로 사람들의 사랑을 받게 되고 우리의 생활품질을 바꾸고 있다. 때문에 디자인 학계의 문화유산계승에는 바이오닉스학을 디자인공간으로 편입할 필요가 있다. 이와 동시에 바이오닉스 디자인학은 점점 많은 학자와 기업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바이오닉스 디자인에 대한 연구와 응용은 중요한 의미가 있다. 우리 인간은 자연 속에 살면서 그 자연과 모든 물체가 어떤 색과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늘 보아 잘 알고 있다. 자연모방 분야는 자연이 가지고 있는 디자인적 요소들의 연구 및 모방을 통해 인류의 과제를 해결하려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자연에서 볼 수 있는 모든 형상은 어떤 리듬이나 규칙적인 상호 관계 속에서 이루어져 있다. 자연이 제시하는 조형적인 구조에서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구조를 발견할 수 있으며, 디자인의 미적 측면에서도 새로운 시도가 가능하다고 본다. 본 연구는 조형디자인 요소의 자연 형태의 질서를 모방한 조형연구에 대한 접근 방법으로서, 첫째로 조형디자인의 개념과 영역을 알아보며, 자연 모방에 대한 일반적 고찰을 통하여, 자연모방의 정의 및 구분에 대하여 조사한다. 둘째로 자연계에서 발견한 형태의 과학적인 질서의 구성 및 활용에 대한 분석하고, 현 시점에서 나타나있는 자연모방의 활용 사례를 분석하여, 중요성과 실용성 연구에 활용한다. 그리고 조사된 사례들을 유형별과 이미지로 분류하고 실제로 이용을 가능한 점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자연모방활용을 시킬 수 있는 특징들을 파악하도록 한다. 국내외 자연모방의 활용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해 문제점을 해결한 경우와 조형의 특성에 적합한 활용과 그 성격에 맞는 방향성을 알아본다. In the modern information age, novelty product design of various shapes enters into people’s lives. Monotonous appearance of products can not meet the aesthetic needs of modern people. The public fashion aesthetic level has increased, making it necessary that the design community to make innovation with a new mode of thinking. In the era of Internet and knowledge economy, products replace with each passing day, so bionics, with its unique imitation design charm, is getting accepted and loved by more and more people, and it is improving our life quality. Therefore, it is an urgent need to introduce the bionics into the design field for the innovation of product design. Meanwhile bionic design has also attracted the the passion and attention of a growing number of academics and businesses. Therefore, the research and application of bionic design has important significance. Living in the nature, we humans have always seen that the nature is consisted of different objects, each has its own color and form. Ecological imitation field aims to solve the human being’s problems through the study and imitation of nature design elements. All the shapes found in nature form in a certain rhythm or a regular relationship. I believe that we can find rational and economic structures in the formative structures in the nature, and that new attempt at aesthetic aspects of design is also possible. This study, using an access method of formative study based on imitating the nature structural order of formative design elements, firstly looks out the concept and scope of the formative design, and give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ecological imitation through a general study on the natural ecological imitation. Secondly, it analyses the formation of the scientific order of shapes found in nature and the existing practical case of ecological imitation, and make use of the research on significance and practicability of ecological imitation. It classifies the cases in the research based on images and give practical points of view. Finally, it tries to master the features that can practicalize the ecological imitation and summariz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through the study of ecological imitation cases from all over the world.

      • 영상 리얼리티와 미디어 가상에 의한 디지털 액터에 관한 연구

        정태섭 건국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디지털 액터의 리얼리티 이미지에 관한 분석연구이다. 영상에서 추구하는 리얼리티를 디지털로 제작된 가상공간과 실제 촬영된 이미지 안에서 움직이는 디지털 배우, 즉 디지털 액터에 관한 미학적 패러다임을 주제로 디지털 이미지를 분석연구 하였다. 디지털 액터는 컴퓨터그래픽의 기술을 이용하여 실재 배우처럼 연기하고 움직이는 디지털의 기술로 만들어진 배우이다. 영상을 제작함에 있어서 디지털 배우의 역할은 시대기술에 따라서 변화하기 시작했다. 초창기 디지털 액터는 많은 시간과 많은 인력이 투입되는 것과는 다르게 이미지가 현실적으로 보이지 않았다. 디지털 제작 기술이 발전을 하면서 디지털 액터의 역할은 다양하면서도 광범위하게 사용이 되고 있다. 1970년대 이후, 디지털기술은 빠른 속도로 발전을 하면서 영상의 패러다임을 바꾸어 놓았다. 디지털 영상을 통한 디지털의 기술적 진보는 표현의 방법과 형식을 다양하게 변화시켰다. 디지털 기술을 통한 영상 세계는 인간의 무한한 잠재적 요소를 표현할 수 있는 현대의 기술도구로 거듭 발전하고 있다. 아날로그시대의 다양한 이미지 표현과 이미지를 만드는 사람들의 가치에 관한 미학적 분석은 많은 학자와 철학자의 연구 사이에서 여러 가지 모양이나 양식의 시각적 발전을 통해 이론과 분석의 배경이 되고 있다. 모더니즘 시대의 미학을 통한 다양한 이미지 분석을 바탕으로 표현방식에 대한 인문학자들의 분석이나 기호학의 분석연구가 현재 한창 진행되고 있다. 이제, 시대의 변화에 따른 기술 진보는 디지털을 이용하여 만들어진 새로운 도구로써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을 정도이다. 기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디지털 이미지는 이미지 제작 프로그램을 통해 만들 수 있는 일반화된 이미지로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디지털 액터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기구로써 표현하는 존재가 아닌, 디지털 이미지의 표현 수단으로서 물감과 캔버스 그리고 일반 배우를 대신하고 있다. 이에 시대적으로 변화하는 기술진보에 따라서 디지털 이미지로 만들어진 디지털 액터에 관한 다양한 시점으로 보는, 특히 미학적 관점으로 보는 연구에 관한 필요성이 강조된다. 본 연구를 통해 디지털 이미지에 관하여 일반적이고 대중적인 이미지가 아닌 하나의 작품으로서 가치를 부여할 수 있는 미학분석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먼저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이론적 고찰은 디지털 액터의 개념과 역사 및 원리에 대하여 기본적인 사항에 관한 조사를 하였다. 이를 통해 디지털 액터와 미디어 리얼리티와 디지털 가상에 관한 미학적 접근을 하였다. 디지털 액터가 표현되는 영상의 디지털 리얼리티에 관하여 기본적인 접근을 하였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의 프레임을 통한 디지털 미디어의 공간과 프레임을 통한 이미지의 재현에 관하여 기초이론을 조사하였다. 이론적인 고찰을 통해 디지털 이미지와 디지털 액터에 대한 미학 접근연구를 하기 위한 기본적인 연구의 바탕을 만들었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액터의 시대적 변화와 리얼리티에 관한 연구를 문제1로 제시하였으며, 연구문제1을 바탕으로 연구문제2인 디지털 액터의 무기적 조립과 리얼리티의 한계를 제시하였다. 연구문제 제시를 통한 분석의 대상은 영상 시리즈물을 미학연구를 위한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디지털 시대 이전의 모더니즘 시대에 제작된 영상과 디지털시대의 디지털 액터로 제작이 된 영상을 통해 미학적 분석을 할 수 있는 대상으로 결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디지털의 미학인 디지털 모더니즘의 관점에서 분석 하였으며, 포스트모더니즘을 통한 기존의 미학을 기초로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는 디지털 액터의 시대적 변화에 대하여 다양한 특성을 볼 수 있었으며, 디지털 리얼리티를 바탕으로 디지털 액터의 리얼리티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디지털 액터의 리얼리티는 무기적 조립을 통해 영상의 리얼리티 효과를 극대화하였으며, 이를 통한 다양한 액터의 움직임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디지털 액터의 무기적 조립을 통한 디지털 리얼리티는 기본적으로 촬영된 영상과의 정확한 조합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이미지의 리얼리티 한계에 대하여 분석과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정리되었다. 디지털 이미지의 한계는 최대한 일반적인 이미지 창조와 비슷한 부분이 있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이미지 제작의 툴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정확하게 창조해 낼 수 있는 이미지 제작 툴과 툴을 정확하게 다룰 수 있는 제작자가 필요하다. 이 모든 이미지 창조에서 창의력이 없는 이미지는 일반적인 복제의 형태와 의미만 존재할 뿐이다. 하이퍼리얼리즘을 통한 이미지의 재현은 디지털에서는 다양한 복제를 통해 자신의 가치를 낮추고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디지털 이미지의 미학적 분석을 통한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다양한 이미지는 미학적 관점으로 시대적 패러다임의 변화를 볼 수 있다. 하지만 디지털의 한계는 분명히 보인다. 디지털이 가지고 있는 극사실적 표현과 디지털 이미지 This paper researches the realism of digital actors. In this paper, digital actors created in virtual spaces are studied with Aesthetics paradigms in regard to the realism created by the digital virtualism. Since 1970’s, developments of digital technologies have caused the changes in the image paradigms.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digital images enabled more diverse methods and formats of expression. Images created by digital technologies have been evolving into an essential tool of expressing infinitely numbers of latent and inarticulate human factors. Various expression of images as well as aesthetic analysis of the values of those who create such images in analog era have been used, by many researchers and philosophers, as the foundation of their theories and analyses. Currently, various scholars of Humanities and Semiotics are actively researching, by utilizing the results of image analysis of Modernism Aesthetics, various ways of expressions and representations. As a result of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s in image processing, digital images are no longer considered as a new and developed way of expression. Producing digital images by off-the-shelf softwares are considered as merely one of many ways of expression. On the other hand, however, digital actors are considered as more than a generic expression tool. Rather, they are considered as a legitimate replacement of paints and canvases to express digital images. Thus, this paper emphasizes the necessity and the importance of studying digital actors from Aesthetics’ point of view. This paper presents the possibility of Aesthetic analysis on digital images as final products that are individual and complete. In order to complete the study, this paper first provides the concept, history, and principles of digital actors as well as digital realism. Further, this paper also provides basic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reproduction of digital media through its space and framework. This paper also offers a basic foundation for Aesthetic research on digital images through theoretical contemplation. The first proposed question of this paper is about the historical evolvement and realism of digital actors. The second proposed question presents the limit of inorganic combination with the footage and the realism of digital actors. In order to find the answers to these proposed questions, multiple series of images produced in pre-digital Modernism era and digitally created images with digital actors have been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the final objects for aesthetic analysis are chosen. Such images have been studied and analyzed with the viewpoints of Digital Modernism as well as Aesthetic principles of Post-Modernism. The study shows various characteristical changes of digital actors according to the time changes. The realism of digital actors that present such characteristical changes have been analyzed based on digital realism. Digital realism can only be created by exact and precisely calculated combination of digital actors and the footage. As the realism could be maximized by such an inorganic combination, various movements of actors have been analyzed as well. The research completed in this paper shows that the limit of the realism of digital images can be analyzed and forecasted. The limitations of digital images are not so dissimilar to the limitations in creating generic images. Creating an image may not require a number of image creation tools. It would actually require an image creation tool that provides precision and the producer that can fully utilize such a tool. However, an image without creativity would be mere a reproduced copy of existing images. It is frequently observed that the image reproductions using hyperrealism only lead to the devaluation of original images themselves. This paper shows that, in Aesthetics’ point of view, technology-based digital images present paradigm shifts. Hyperrealism and clarity of digital images would cause conflicts between the digital images and other images that do not possess such qualities, and such conflicts would create the limitations on the realism. Various methods and technologies have been used to ensure the reality of digital actors, and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create realism of the images. This paper suggests various directions and visual methods in order to accomplish such goals, and concludes that we should accept synthetic naturalism and we should also accept the technologies that are needed in the era of Digital Realism

      • 환경디자인 산·학·관 협력교육에 관한 연구

        윤명한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599

        21세기 지식기반사회로의 진입에 따라 대학은 생존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대학 특성화를 통해서 경쟁력을 높여가려 하고 있다. 그리고 지식의 원천이 대학과 그 지식과 기술을 고도로 활용해야 할 기업과의 산학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과제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국가산업 경쟁력의 핵심이 되고 있는 지식과 기술의 원활한 창출을 위하여 산·학·관의 협력이 과거보다 훨씬 더 필요해졌기 때문이다. 특히 입학자원 감소에 따른 생존전략과 대학평가의 중요 요소인 취업률 향상을 높이는 수단으로 산·학·관 협력이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2011년부터 산학협력선도대학 사업LINC(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이는 대학과 기업 간 산학협력을 통해 취업난 및 적성에 맞지 않는 취업을 줄이고 교육시스템을 개선하여 대학과 지역산업이 골고루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사업이다. 이로서 대학의 경쟁력이 강화되고 지역산업의 성장을 돕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선진국의 경우 대학들은 이미 다양한 방식의 산·학·관 협력을 통해 연구비 확보와 우수한 연구 성과 및 인재를 배출하고 있으며, 기업들과 정부기관(지방자치단체 포함: 이하 ‘기관’으로 통일)도 대학의 연구 성과와 보유기술을 이전받아 이를 신속히 실용화하여 기업과 도시의 발전환경 개선에 활용하고 있다. 반면에 우리나라의 대학들은 선진국에 비해 보유자원의 구성면에서는 크게 뒤지지 않으나, 일부대학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기업이나 기관에서 대학의 연구 성과를 이용하여 발전환경 개선에 활용하는 경우는 아직은 미미한 편이다. 특히 환경디자인은 산·학·관 협력이 매우 중요시 되는 학문분야인데 환경디자인의 특성상 기업의 사업 분야가 관주도의 관급 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따라서 환경디자인 전문회사들도 B2B(기업과 기업 사업)방식의 사급사업 보다는 B2G(기업과 기관의 사업)방식의 관급사업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따라서 중간자적 위치에 있는 대학은 산·학·관 협력 활동에 있어 양쪽과 상호 협력할 수 있는 중간자적인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오늘날 세계적인 추세는 기업과 기관이 대학과의 산·학·관 협력을 통해 부족한 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활력을 찾기 위해 활발한 교류활동을 하는 데 비해, 우리나라 환경디자인교육은 관심과 참여가 아직은 활발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환경디자인교육의 산·학·관 협력교육 활성화 방향과 체계를 제시하고, 사례 모델을 제안하여 대학의 경쟁력을 강화시키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제1장에서 산·학·관 협력의 현황 및 실태에 대한 자료수집 및 문헌연구, 기존의 통계자료의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였다. 제2장에서 환경디자인의 전반적 이해를 위해 환경디자인의 개념 및 역할과 환경디자인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특히 환경디자인교육의 개념과 목적, 학제적 접근특성과 교육특성을 통해 환경디자인의 새로운 교육방향을 제시 할 수 있었다. 이 부분에서 환경디자인의 산·학·관 협력의 필요성, 중요성, 역할 등을 파악하였다. 제3장에서 산·학·관 협력의 일반적 개념 및 배경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목적 및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디자인분야의 선행연구와 연구보고서 등을 통해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디자인 산·학·관 협력체계의 다양한 유형 및 역할에 대한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대학여건에 적합한 디자인 산·학·관 협력체계 방식을 연구하였다. 또한 산·학·관 협력 프로젝트에 대한 사례연구는 연구중심의 세계적 명성이 있는 해외대학과 교육중심의 국내 대학의 산·학·관 협력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제4장에서 환경디자인의 산·학·관 협력교육 방향과 체계, 협력교육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종합하면 이 연구는 대학의 환경디자인 교육의 산·학·관 협력을 활성화하고 경쟁력을 강화하기위한 하나의 방안이자 지향점으로 환경디자인 산·학·관 협력교육 체계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한 연구이다. As our society is advancing into knowledge-based society in 21th century, each university is trying to enhance competitiveness through its specialization in order to strengthen survival competition. And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between university that is a source of knowledge and industry that has to extensively utilize its knowledge and technology is considered to be an urgently required task than ever before. Its reason is that first,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becomes more necessitated than before in order to ensure smooth creation of knowledge and technology that become a key element for national industrial competitiveness. In particular, such cooperation has firmly established its position as a survival strategy due to declining enrollment of incoming students and as means of promoting employment rate that is an important element of assessing universities. Since 201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s extensively promoted LINC (Leaders in Industry-university Cooperation) program that aims at reducing difficulty of employment and job opportunity not fit for individual aptitude and improving educational system so that universities and local community would be developed evenly. By doing so, this program will play a role of helping university and local community so that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would be strengthened and growth of local community would be promoted as well. In case of advanced countries, universities have already secured budget for research and turned out excellent research output and talented human resources through diversified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and enterprises and governmen authorities (including local governments: hereinafter called "institution")are also utilizing such research output and possessed technology in improving environmental development of enterprises and cities by promptly putting it to practical application through its transfer. Whereas, universities of our country do not lag far behind in terms of composition of possessed resources compared with advanced countries but in enterprises or institutions excepting some universities, a case of utilizing research output of university in improvement of environmental development is still rare. In particular, environment design is an academic field in which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is regarded to be important and in view of features of environment design, government-initiated government projects become a main stream of business area of enterprises. Therefore, enterprises specialized in environment design also show a tendency of preferring government project of B2G (business between enterprise and government institution) mode to private business of B2B (business between enterprise and enterprise) mode. Therefore, university that is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is structure may play a role of a middleman of being able to cooperate with both in an activity of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Today, while global trend is that enterprises and institutions are positively engaging in exchange activity in order to strengthen insufficient capability and look for a new vitality through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concern over and participation in environment design education of our country are not so actively represented ye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of university by presenting direction and system for activating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ve education in environment design education of university and suggesting a case model.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in Chapter 1, a problem was deduced through data collection for current status and reality of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literature study and analysis of existing statistic data and question for such problem was raised. In Chapter 2, in order to understand environment design in general, a concept, role and problem of environment design were investigated. In particular, a new educational direction of environment design could be presented through a concept, objective of environment design education, its features of interdisciplinary approach and educational features. At this juncture, necessity, importance and role of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in environment design were identified. In Chapter 3, general concept and background of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were researched and its objective and necessity were presented. Through an investigation for diversified types and role of environment design-related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ve relation being taken place in universities by way of preceding studies and study report in the field of design, systematic method for design-related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fit for the condition of domestic universities was studied. In addition, a case study of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project was carried out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cases of globally famous overseas universities and education-focused domestic universities. In Chapter 4, direction, system and cooperative education model of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ve education relevant to environment design were presented. In summing it up, this study suggested a new model of environment design-related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ve education system as a method and pursuing goal of trying to activate industry-university-government cooperation relevant to environment design education of universities and strengthen its competitiveness.

      • 도시의 빛공해 관리를 위한 3차원 빛지도 제작에 관한 연구

        한승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A city is flooded with excessive light due to increased artificial light with rapid industrial development. Excessive light causes unforeseen problems such as disrupting ecosystems, interferences with astronomical observatories and adverse health effects. Pollution generated by excessive artificial light and problems caused by inefficient or unnecessary artificial light are called light pollution. As light pollution damage is spread, methods to prevent and control it are being developed in many countries and organizations. To prevent spreading light pollution, excessive light emitted by lighting fixtures, installation standards and production standards of lighting fixtures are regulated in many countries including USA and Japan. Besides, environmental lighting zone and standard for turning on and off time are also proposed by CIE(Commission Internationale de I’Eclairage), ILP(The Institute of Lighting Professionals) and other expert groups. Ministry of Environment has enforced act on protection of light pollution from 2013 and all of local government must grasp the situation of light pollution and control artificial lights which exceed the limit every 5 years. For law enforcement and control of light pollution, each artificial lights are identified whether there brightness is over the limit or not and the position and brightness of artificial lights must be known. In this paper, a method to create 3-D light map for artificial lights in a city is proposed using a 2-D luminance meter equipped with a fisheye lens, RTK-GPS and LMK Laboratory Software. A 3-D light map is created by three steps such as measuring luminance of artificial lights, calculating the coordinates of the lights and visualizing the 3-D light map. A 2-D luminance meter equipped with a fisheye lens is used in th first step. The second step in which the coordinates are calculating and the third step in which the 3-D light map is visualized are processed by the self-made software and it saved time and costs. To review effectiveness of the map, i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status of light pollution at Gangnam-daero and Achasanro33-gil and consider some control methods of it. As a results, all of advertising lights were detected at Gangnam-daero where the distance between measurement position is about 10m. But some of advertising lights were missed at Achasanro33-gil although the distance between measurement position is about 5m. This is because advertising lights are too dense at Achasanro33-gil. The produced 3-D light map represented the distribution of artificial lights of the streets and were able to record the luminance and the position of each artificial lights. And those informations provided control methods for each artificial lights. The 3-D light map represents artificial lights in cities and helps to grasp light pollution status. It would be a powerful tool for control of artificial lights in the city according enforcement of act on protection of light pollution. 급속한 산업의 발달과 함께 늘어난 인공조명으로 인하여 도시는 과도한 빛이 넘쳐나고 있다. 이러한 과도한 빛은 생태계 교란, 천체관측 장애, 인체의 생활 리듬 변화 등 뜻하지 않은 문제를 일으키고 있으며 이처럼 인간에 의한 필요 이상의 빛에 의해 발생된 공해 또는 비효율적이고 그다지 필요하지 않은 인공조명으로부터 생겨나는 여러 가지 문제들을 빛공해라 부른다. 빛공해의 피해가 확산되면서 많은 국가 및 단체들은 빛공해를 방지하거나 통제하려는 수단을 찾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미국,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는 조명기구에서 방사되는 과도한 빛, 조명기구 설치 기준, 조명기구 생산규격 등을 규제하여 빛공해 확산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국제조명위원회, 조명기술자협회 등 여러 단체 및 전문가 그룹에서도 빛공해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조명환경관리구역, 조명기구의 점등 및 점멸 시간에 대한 다양한 기준들을 제안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2013년부터 환경부의 「인공조명에 의한 빛공해 방지법」이 시행되었다. 이에 따라 모든 지방자치단체는 5년마다 빛공해 실태를 파악하여 기준을 초과하는 인공조명에 대하여 관리 및 규제를 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관리 및 규제를 하려면 실제로 밤을 밝히고 있는 빛이 기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판별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옥외에 설치되어 운영 중인 모든 인공조명에 대한 위치와 밝기를 알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은 어안렌즈가 장착된 면휘도계, RTK-GPS, LMK Laboratory Software등을 이용하여 도시에 존재하는 인공조명에 대하여 3차원 빛지도 제작 방법을 제안하였다. 빛지도 제작은 총 3단계로 진행되었으며 각 단계는 인공조명의 휘도 측정, 인공조명의 좌표 계산, 3차원 빛지도 가시화 등으로 진행되었다. 첫 번째 단계인 휘도 측정은 어안렌즈가 장착된 면휘도계를 이용하였고 두 번째와 세 번째 단계인 인공조명의 좌표 계산과 3차원 빛지도 가시와 과정은 자체적으로 제작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방법들에 비하여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빛지도의 효용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강남대로 일대와 아차산로33길의 빛공해 실태를 분석하고 관리 방안을 살펴보았다. 빛지도 제작결과 강남대로는 측정 지점의 간격을 약 10m로 하였을 때 모든 광고조명을 검출할 수 있었지만 아차산로33길과 같이 광고조명이 매우 밀집해 있는 지역의 경우는 측정 지점의 간격을 5m로 좁게 하여도 모든 광고조명의 측정이 가능하지 않았다. 제작된 3차원 빛지도는 가로 단위로 인공조명의 분포를 입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었고 개별 광고조명의 휘도와 위치를 기록할 수 있어서 빛공해 발생을 직관적으로 파악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빛지도는 가로나 건물군의 광고조명이나 노출광원의 모니터링과 관리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3차원 빛지도는 도시의 인공조명을 입체적으로 표현이 가능함으로써 빛공해 방지법의 시행에 필요한 인공조명의 정보를 구축하고 관리하는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도시정체성의 해석방법과 확립에 관한 연구

        윤성원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지금까지 좋은 도시를 위한 연구와 프로젝트는 많았지만, 우리들은 여전히 많은 해외 도시의 풍경을 동경하고 있으며 실제로 통계자료를 보면 세계 속의 한국의 도시순위는 높지 않다. 이러한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은 도시정체성에 대한 깊은 성찰의 부재와 한계를 짓고 있는 연구대상 및 방법 때문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연구대상을 확대하고 방법을 달리함으로써 새로운 정체성 찾기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해석 방법이 비슷한 상황에 있는 많은 도시 관련자에게 새로운 도시정체성 찾기를 위한 해석 방법으로 활용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은 도시정체성의 해석관점을 시간(時間), 지명(地名), 장소(場所) 등으로 다양화하고, 계량적 연구방법 중심에서 질적 연구방법 중심으로 진행한다. 도출된 도시정체성의 결과는 시간의 관점은 ‘중원문화(中原文化)’, 지명의 관점은 ‘용(龍)’, 장소의 관점은 ‘음침(陰沈)’이다. 이것의 확립을 위한 제안으로 시간의 관점은 적극적인 지역개발형태로, 지명의 관점은 도시축제로, 장소의 관점은 부정적 정체성(음침)이 긍정적 정체성(양명, 陽明)으로 변화하는 제안을 하여 추상적일 수 있는 연구 결과의 실행 가능성을 높이고자 한다.

      • 중국 가구 속에 표현된 조각 장식(문양)의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

        이일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대 가구 디자인의 스타일은 날로 다양해지고 있으며, 장식수법도 일의적이 아니라 다원화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가구에 있어서 중국다우면서도 현대인이 즐기고 좋아할 만한 문양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전통 가구 속의 조각장식에 대한 이해를 확실히 하고, 그 기초 위에서 현대화 요소들을 가미하고 디자인 사고를 확장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문헌 연구를 통해 중국 전통가구의 조각장식은 문화적, 기술적, 지리적, 정치적, 경제적으로 범주화 할 수 있었으며, 각 각의 범주에 속하는 문양의 형태와 의미를 조사하고 분류하므로 해서 전통문양 속에 함축되어진 심후한 침전물(길흉吉凶, 복상福祥, 장수長壽, 다산多産, 부귀富貴)들을 투시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 사고 원천을 따라 전통가구의 조각장식에서 중국적 기호(嗜好)들을 제련해내어 현대 가구 장식의 요구에 부합되는 조각문양 형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중국다운 가구는 전통 가구 속에서 중국식 기호들을 추출해내고, 공학과 기술, 심리와 생리학 등과 같은 현대적 디자인 요소들과 결합해야만 진정으로 계승과 혁신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중국의 고전가구들의 장식수법은 매우 풍부한 중국식 기호들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조각장식은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통 가구의 조각 장식의 형식과 의미는 사뭇 복잡하고 다양한 배경을 지니고 있는바 이에 대하여 깊이 해석하고 철저히 이해한 기초 위에서 현대적 기술수단으로 운용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오늘날 사람들의 심미적 관념을 결합하여 혁신적이고 세련되도록 한다면 현대 디자인 이념을 풍부히 포함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 형태의 가구 디자인에 보다 넓게 시대성을 지닌 길을 개척해낼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현대가구 장식디자인 이념을 창조하고 중국적 특색을 지닌 가구 디자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의 역대 가구에는 천지만물의 다양한 대상을 응용한 장식들이 실시되어 있는데 이는 선조들의 풍부한 상상력과 창조력을 보다 잘 체현해 주고 있다. 그중에서도 조각장식은 중국 전통가구들에 광범하게 적용되어졌으며, 특히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 널리 적용되었다. 그러한 조각 장식들은 기법이 정교할 뿐만 아니라 내용도 풍부하며, 비교적 가구의 넓은 부위에 장식들이 실시되었다. 본 논문은 크게 문헌 검토부분과 본문 두 가지로 나눠진다. 문헌 검토부분에서는 주로 전통가구 조각장식에 대한 응용연구의 현실적 의미와 역대 조각의 발전 상황 및 국외 고전 조각가구 형태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이는 본 논문의 핵심으로 조각공예의 현대화 발전과 조각문양의 문화적 함의, 함축된 의미 분석, 장식 부위, 조각 재료, 조각 유형의 응용범위와 조각 조형의 참고부분 등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조각이 어떻게 현대의 가구와 실내장식과 건축 등에 응용되었는지에 대한 소개도 포함하였다.

      • 중국전통다구(茶具)의 현대적 해석

        오화경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8

        중국의 다구와 차 문화는 화려하고 눈부신 역사를 가지고 있다. 다구 디자인은 고대부터 오늘날 까지 그 변화가 차 문화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중국 전통적 다구 디자인을 보면 시대의 변천에 따라 디자인 스타일에 차이와 특색이 있다. 본문은 중국의 차 문화 기원을 소개한다. 차 문화에서부터 시작하여 다구의 탄생과 유래를 알아보았다. 각종 재질의 다구를 소개하면서, 기능, 조형적 특징을 포함하여 다구들의 장단점과 용도를 깊이 알아보았다. 특히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의 다구를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이 시대 다구의 기능과 특징들을 파악하였다. 또한 문헌 연구 결과를 통해 중국의 다구가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차를 마시는 도구를 넘어 생활 문화 전반에 영향을 주고 예술과 역사 문화적 가치를 풍요롭게 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현대 중국인들은 일상생활에서 차를 떠날 수 없다. 현대인들의 생활이 가속적으로 변하면서 예전의 다구는 큰 변화를 거쳐 오늘날 다구의 모습으로 전승되었다. 과거와 현재의 다구를 비교하여 기능, 실용성, 예술가치 등을 알아보고 새로운 다구로 현대인들의 음차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내용과 형식의 다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구와 차 문화의 관련성에 따라 물질적, 정신적, 실용적 등 3개 차원으로부터 다구 디자인 과정에서 중시해야 할 규범들을 도출하고, 다구와 다구 문화의 관련성에 의거하여 다구 문화 속에 포함된 의미, 음차 습관, 다구의 새로운 재질에 대하여 연구하였으며, 최종 다구는 실용성을 갖추어야 하는 동시에 일정한 미감도 갖추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것이 바로 역사문화의 일종의 계승이고 가공이자, 다구문화의 재생(再生)이라고 생각한다. Tea set and tea culture in China have a long and glorious history. The change of tea set design from ancient times to the present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ea culture. Seeing from the Chinese traditional tea set design, we can get the design style is different from different dynasties. Tea set design has lots of distinguishing features, but in the modern tea production and design, people often blindly imitate the ancients and copy the foreign design with little creation by themselves. In this paper, it introduces the origin of Chinese tea culture, and it gets to know the birth and origin of tea sets from tea culture. the paper is about the introduction, functions, types and features of tea sets with many materials, as well as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se tea se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functions. The focus is on the analysis about the tea sets in Ming and Qing Dynasties, so as let people know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tea sets at this time. Through the research, we get to know that as a tool for drinking tea, the Chinese tea set not only have impact on people’s life, it also has artistic and historical culture values. Modern people can not separated from drinking tea, there is a great process of transformation in the changes of modern people’s life rhythms, as well as from ancient tea sets to modern ones. When we compare ancient tea sets with modern one, from their functions, practicability, to its artistic functions, etc., we can produce a new kind of tea set which can satisfy modern people’s needs for drinking tea. This is a kind of inheritance and processing to historical culture, and it is also a display of the ancient tea set 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