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단상담에 참여한 기혼자들의 부부관계 체험 : 영성과 내면아이치유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박영현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ABSTRACT The Marital Relationship Experiences by Participants of Group Counseling -Focused on the Spirituality and Inner Child Therapy- Park, Young Hyun Department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d how inner child therapy can be effective. Inner child therapy is understood by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the people those who attend inner child therapy group and their experiences on their marital relationship reconstruction after attending this type of group counseling. This study utilized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that provides an in-depth description of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offers a guideline that induces essential elements of their experiences. This study examined 6 participants who had been married for more than 10 years at the time of the interview.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2013 to February 2014.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and 30 compositional components and 10 constituent parts were induced. The contents are 〈Struggle to live on through difficult marriage relationship: unsatisfaction in marital relations, be reiterative in their exchanging criticism, make an effort to keep family, no recovery in marital relations despite of studying counseling〉, 〈Desire for a change in marital relationship: get to know inner child group counseling, hope for recovery in relationship with self and partner〉,〈Encounter inner child: co-exist with hesitancy and expectation, meet wounded inner child, mourn his or her wounds having their own voice for the first time, find “wonder child” that is his or her true self〉,〈start healing and recovering: experience acceptance and the sense of connection, have felt that being with God is safe and supportive, know the essence of myself, realize that childhood wounds are connected with their current life, start to take care of his or her inner child〉,〈Hope to recover marital relations: experience confusion after the participating in the group, want to have his or her spouse experience inner child group〉,〈Change the perspective through which he or her used to see spouse: start to have compassion on their spouse, understand spouse’s inner child〉,〈Communicate with self helped communication with partner : communicate with myself by asking to myself first, start to communicate and share with spouse honestly, change in marital relationship takes place as changing myself〉, 〈Meet spouse not as a role but as a being: acknowledge the spouse as an equal partner, start to love spouse genuinely〉,〈Live an autonomous life as meeting true self: see myself afresh, Grow myself as meeting and taking care of my inner child, wounds and pains are sublimated as resources〉,〈Expand true encounter: extend recovering relationship with myself to others, require successive work>. This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for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and structure of marital relationship reconstruction of people those who experienced inner child group has the following meaning: First, expand the participants’ individual experiences into marital relations. Second, make an attempt to reveal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s they are based on constructive philosophy. Third, illuminate the possibility of the true encounter between spouses as each one meets the other as a being making existential understanding about their spouse which has been enabled empirically. Fourth, offer detailed information that inner child therapy is syntagmatically applicable in the field of marital counseling. Based up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nner child therapy model and imago marriage relationship therapy model need to be applied syntagmatically and be utilized therapeutically. Also successive works such as individual counseling or forming a healing community need to be continued after the inner child therapy group participation. A research that compares different experience between the case where both married partners participated in the group and the case where only one spouse attended in the group would be relevant. Key Words: Inner child, Marital relations, Group counsel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국문초록 집단상담에 참여한 기혼자들의 부부관계 체험 -영성과 내면아이치유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기독교상담 학과 박영현 지 도 교 수 박승민 본 연구는 집단상담에 참여한 기혼자들의 부부관계 체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와 체험의 구조를 밝힘으로써 내면아이치료가 상담 현장에 치료적으로 활용되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체험을 심도있게 기술하고 그러한 체험에 나타난 본질적인 요소를 도출하는 지침을 제공하는 지오르지의 기술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결혼 생활이 10년 이상 된 기혼자 6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5월부터 2014년 2월까지였다. 자료는 참여자들과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그 결과 30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10개의 구성요소를 도출되었다. 그 내용은 <힘든 부부관계 속에서 애쓰며 살아옴: 부부관계가 불만족스러움, 내 탓 네 탓을 반복함, 가정을 지키고자 애씀, 상담공부를 해도 관계는 좋아지지 않음>, <나와 부부관계 변화를 기대하며 집단에 참여함: 내면아이 집단상담을 알게 됨, 나의 변화와 부부관계 회복을 간절히 원함>, <내면아이를 만남: 망설임과 기대감이 공존함, 상처받은 내면아이를 만남, 처음으로 나의 목소리를 내고 상처를 애도함, 원래의 나 “놀라운 아이”를 발견함>, <치유와 회복이 시작됨: 수용과 연결감을 경험함, 하나님과 함께 함이 안전하고 든든하게 느껴짐, 나의 본질을 알게 됨, 어린 시절 상처가 현재의 삶과 연결돼 있음을 깨달음, 내면아이를 돌보기 시작함>, <부부관계 회복을 소망함: 집단 이후 혼란기를 겪음, 배우자에게 내면아이집단을 경험하게 하고 싶음>, <배우자를 바라보는 관점이 바뀜: 배우자에 대한 연민의 마음이 생김, 배우자의 내면아이를 이해하게 됨>, <나와의 소통이 배우자와의 소통의 밑거름이 됨: 나에게 먼저 묻고 나와 소통함, 배우자와 솔직한 소통과 나눔을 하게 됨, 내가 달라지면서 부부관계가 변화함>, <배우자를 역할이 아닌 존재로 만남: 배우자를 동등한 존재로 인정하게 됨, 배우자를 진정으로 사랑하게 됨>, <진짜 나를 만나며 주체적 삶을 살게 됨: 나를 새롭게 보게 됨, 내면아이를 만나고 돌보며 내가 성장함, 상처와 고통이 자원으로 승화됨>, <참만남이 확장됨: 나와의 관계회복이 타인에게로 확장됨, 후속 작업이 필요함> 이었다. 집단을 경험한 사람들의 부부관계 재구성 경험과 그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수행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참여자 개인의 체험을 부부관계로 확장시켰다는 것, 둘째, 구성주의적인 철학에 기반을 두고 참여자의 체험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려는 시도를 하였다는 것, 셋째, 배우자에 대한 실존적 이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부부가 서로 존재로서 만나는 참만남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밝혀냈다는 것, 넷째, 향후 부부상담 분야에서 내면아이 치유를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볼 때, 내면아이치료 모델과 이마고 부부관계 치료 모델이 통합적으로 적용되어 임상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음이 시사된다. 또한 내면아이치료 집단 참여 이후 개인 상담이나 치유 공동체 꾸리기 등의 후속작업이 요구된다. 후속 연구로는 부부 모두 집단에 참여한 사례와 부부 중 어느 한 쪽이 참여한 사례를 나누어 부부 양쪽의 체험을 연구해보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어 : 내면아이, 부부관계, 집단상담, 현상학적 연구

      • 미혼 남녀의 자아분화수준과 용서에 대한 신념이 이성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휘수 숭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s to refresh importance of forgiveness belief on increasing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by verifying mediating effects of forgiveness belief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It is expected that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establish effective counseling strategies for promoting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among unmarried men and women who experience dis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extracted research data depending on convenience sampling by utilizing offline and online surveys. Excluding participants who had not answered survey sincerely, this study selected 106 adult couples as research subjects. The survey includes questionnaire items that estimate self-differentiation, forgiveness belief,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mong the factors by utilizing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 of each sub-factor of self-differentiation and forgiveness belief, negative results of the forgiveness belief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the self-differentiation. On the other hand, self-handicapping and positive results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the self-differentiation. Second, this study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the forgiveness belief and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A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negative result, which is a sub-factor of the forgiveness belief,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s research result issues that recognizing that results of forgiveness behaviors would be negative is an effective method to promote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rd, in order to research effects of the self-differentiation on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and negative results of forgiveness belief o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s of that, this study found that the self-differentiation served 6.3% for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and it found that the self-differentiation served 9.2% by mediating the negative result, which is a sub-factor of the self-differentiation and the forgiveness belief. This result means that since the negative result of the forgiveness belief mediates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partially, if the self-differentiation level is equal, the more a couple recognize that results of the forgiveness behaviors would be negative the more the couple satisfies their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follows. First, focusing on a limitation point of self-differentiation changes, this study researched effects of the forgiveness belief, by considering it as a factor, which has relatively a few perspectives as a factor to Effect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until now.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o prove that the negative results of the forgiveness belief could be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Second, this study approached forgiveness in multi-perspectives and in depth. It has a significance that although existing studies, related to forgiveness, have focused on forgiveness behaviors and changes of satisfaction levels after that, this study researches the forgiveness belief, which precedes forgiveness behaviors. Also, it has a significance that only positive things of forgiveness have highlighted but this study suggests that couples should have integrated cognition not only for positive sides of the forgiveness but also for negative sides. Third, this study suggests that researchers should invent and develop programs that examine individual awareness on forgiveness in counseling and studies for couples in romantic relationships. Specifically, this study issues that it is important to treat that a person should examine own forgiveness belief in the program development, which promotes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he or she could recognize counterpart’s perception on forgiveness belief, and then they share each of their cognition on forgiveness belief. 본 연구는 자아분화수준과 이성관계 만족 사이에서 용서에 대한 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성관계 만족 증진에 있어서 용서에 대한 신념의 중요성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성교제 만족에 어려움을 겪는 미혼 남, 녀의 관계만족을 위한 효과적 상담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자료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편의표본 추출하였다. 성실하게 응답하지 않은 연구 참여자를 제외한 현재 연애중인 성인 남, 여 106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자아분화, 용서에 대한 신념, 이성관계 만족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포함하고 있다. 연구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요인간의 상관분석과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분화와 용서에 대한 신념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용서에 대한 신념 중 부정적인 결과가 자아분화와 정적(正的)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자기 손상과 긍정적인 결과는 자아분화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용서에 대한 신념과 이성관계 만족의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용서에 대한 신념의 하위변인인 부정적 결과가 이성관계 만족과 정적(正的)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용서 행동의 결과가 부정적일 수 있다는 인식이 이성관계 만족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자아분화가 이성관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과 용서에 대한 신념의 부정적 결과가 자아분화와 이성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아분화가 이성관계 만족을 유발하는 데 6.3%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분화와 용서에 대한 신념의 하위요인인 부정적 결과를 매개로 9.2%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용서에 대한 신념의 부정적 결과가 자아분화와 이성관계 만족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자아 분화수준이 같은 경우, 용서 행동의 결과가 부정적일 수 있다는 인식을 할수록 이성관계 만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자아분화의 변화에 한계점에 주목하여 이성관계 만족에 미치는 요인으로 아직까지 상대적으로 관점이 적은 용서에 대한 신념이라는 변인을 고려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용서에 대한 신념 중 부정적 결과가 자아분화와 이성관계 만족 사이에서 매개요인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용서에 대한 다각적이면서 심층적인 접근을 하였다. 기존의 용서와 관련된 연구들은 용서의 행동과 그 이후에 따른 만족도에 변화에 대한 초점을 맞춰왔다면 본 연구는 용서행동보다 선행되는 용서에 대한 신념을 알아보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용서가 긍정적인 부분만 강조되어 왔는데 본 연구를 통해서 용서의 긍정적인 부분뿐 아니라 부정적인 부분에 대한 통합적인 인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이성관계 중인 커플들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 및 연구에 있어서 각자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용서에 대한 인식들을 점검하는 프로그램 개발 및 발전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성관계 만족을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에서 용서에 대한 자기의 신념을 점검하고 상대의 용서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서로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게 다뤄줘야 함을 시사한다.

      • 한국 노인의 사회적 자본과 건강한 노화 : 우울증을 중심으로

        정다혜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Along with the extension of the average life expectancy, one of the social concerns about the elderly population is healthy aging. The meaning of health can be seen to be great in the life of the elderly suffering from disease. Moreover, social capital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positive factor to improve mental health such as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whose social activities and human relations are rapidly decreasing due to age characteristic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apital and depression for the healthy aging of the elderly in Korea, and to see how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can affect depression. The data used in this analysis was the 10th Korea Welfare Panel Study in 2015 provid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2,672 elderly people aged 65 or older selected as final analysis target in 2014.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health characteristics, social capital, and depression,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capital(trust, family support, social participation)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The lower the level of trust in others (OR=1.478), the more dissatisfied the family support (OR=1.518), and the more dissatisfied the social participation (OR=2.028), the more increased the risk of depression is found. Second, the effect of social capital on depression varied according to gender. In the case of the elderly female, the risk of depression increased as the level of trust in others (OR = 1.598), dissatisfaction with family support (OR = 1.943), and dissatisfaction with social participation (OR = 2.289). On the other hand, for elderly male, as the dissatisfaction with social participation (OR = 1.856), the risk ratio of depression increased. Other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identified in the other trust and family support. The implications for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apital can be an important means of alleviating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when attention is focused on healthy ageing due to rapid ageing. Second, the elderly should be classified as female and male rather than as one homogeneous group, and social capital should be examined according to gender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level of trust in others, family support, and social participation a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elderly depression.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diverse efforts and interests are needed to support the social capital of the elderly as a way to prevent depression. Key Words: Healthy Ageing, Social Capital, Elderly Depression 평균수명의 연장과 더불어 노인 집단에 대한 사회적 관심 중 하나가 바로 건강한 노화이다. 질병으로 고통받는 노년의 삶에서 건강이 갖는 의미는 크다고 볼 수 있으며, 더욱이 연령 특성상 사회활동 및 인간관계가 급속하게 줄어드는 노년층에게 사회적 자본은 우울증과 같은 정신건강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 노인들의 건강한 노화를 위해 사회적 자본과 우울증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노인들의 사회적 자본이 우울증에 어떠한 영향력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자료는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제공하는 2015년 10차년도 한국복지패널자료로, 2014년 기준 만 65세 이상 노인 2,672명을 최종 분석 데이터로 추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노인들의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 특성, 사회적 자본, 우울증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사회적 자본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사회적 자본(신뢰, 가족지지, 사회참여)과 우울증은 유의한 관계성이 있었으며, 타인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을수록(OR=1.478), 가족지지에 불만족할수록(OR=1.518), 사회참여에 불만족할수록(OR=2.028) 우울증 위험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자본이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은 젠더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여성 노인의 경우, 타인에 대한 신뢰 정도가 낮을수록(OR=1.598), 가족지지에 불만족할수록(OR=1.943), 사회참여에 불만족할수록(OR=2.289) 우울증 위험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남성 노인의 경우, 사회참여에 불만족할수록(OR=1.856) 우울증 위험비가 증가했으며 그 밖의 신뢰와 가족지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에 대한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건강한 노화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는 시점에서 사회적 자본은 노인들의 우울증 완화에 중요한 수단이 될 수 있다. 둘째, 노인을 하나의 동질집단으로 보기보다 여성과 남성으로 구분 지어 젠더의 특성과 차이에 따라 사회적 자본을 살펴보아야 한다. 본 연구는 타인에 대한 신뢰, 가족지지 그리고 사회참여가 노인 우울증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노인들의 우울증 예방을 위한 방안으로써 이들의 사회적 자본을 지원할 수 있는 다각적인 노력과 관심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중년어머니가 경험하는 청년자녀의 집 떠나기 과정과 위기감에 관한 질적 연구

        김순환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년어머니가 청년자녀를 떠나보내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또 이 과정에서 느끼는 위기감에 대처해 가는 과정이 어떠한지를 탐색하고 그 경험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어머니 참여자들은 청년자녀의 집 떠나기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둘째, 중년어머니 참여자들은 청년자녀의 집 떠나기 과정에서의 경험을 어떤 의미로 받아들이는가? 셋째, 중년어머니 참여자들은 청년자녀의 집 떠나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위기감을 어떻게 다루어 가는가?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탐구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한 참여자들의 실제 사례를 있는 그대로 서술하고, 그 안에서 그들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 방안까지 찾아가는 과정을 생생한 체험위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에서도 지오르기(1985)가 제안한 대로, 연구 참여자들의 언어로 사실을 있는 그대로 생생하게 기술(description)하고 그 체험에 나타난 본질적인 요소를 도출하고 지침을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 선정 방법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정의한 위기 개념에 근거하여, 중년기 위기감 척도와 우울척도(BDI)를 사용하였다. 40세에서 59세 사이의 중년기 어머니 7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그 중 위기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 17명 중 본 연구의 참여에 동의한 7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12년 2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심층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Giorgi(1985)가 제안한 분석 단계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들과 면담한 녹취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어가면서 반성과 자유변경을 통해 의미단위와 체험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자녀를 떠나보내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위기감에 대한 참여자들의 체험내용에서 18개의 구성요소와 36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고, 그 내용은 <갑작스러운 상실감과 “뭘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무력감: 갑자기 닥쳐 온 위기, 떠나가는 자녀에 대한 그리움과 이별에 대한 아쉬움>, <서로 다른 교육방식으로 인한 갈등의 위기: 자녀의 기대로 인한 부자간의 갈등, 자녀로 인한 부부 갈등의 위기>, <남편에 대한 원망과 정서적 지지: 가정에 불성실한 남편에게 섭섭함, 남편역할에 대한 불만족, 남편의 인정>, <자녀의 양육은 비참함과 고통스러움: 인생에서 좌절감 느낌, 홀로 감당해야 하는 현실에 대한 힘겨움, 자녀로 인한 버거운 삶의 무게감, 고통과의 투쟁>, <삶의 무게를 더하는 현실: 자신의 처지에 대한 서글픔, 말 못하는 처지, 자신의 처지가 기막힘>, <정서적 연결로 인한 매임: 떠나간 자녀가정의 불화를 바라보며 느끼는 안타까움>, <돌봄의 짐: 자녀에 대한 책임감>, <자녀를 위해 참고 견딤: 인내심으로 버텨옴, 자녀의 존재가 내가 사는 이유>, <마음속으로 애를 쓰며 속 태움: 자녀 걱정으로 인한 불안과 두려움>, <눈먼 사랑과 수용: 자녀에 대한 미안함, 마음을 비움, 마음 폭이 넓어짐>, <어머니역할 정체성의 위기: 내려놓고 싶은 마음과 나를 찾고 싶음>, <소외에 대한 두려움: 며느리와 관계 조율>, <인식전환에 의한 성장: 낙관적 사고로 전환, 고통에 의한 변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 미래가 쇠락해 간다는 느낌, 의존적이지 않은 노후>, <절대자 의존: 신앙은 나의 힘>, <나눔을 통한 위로: 나누는 삶 속에서 아픔을 이김, 나보다 어려운 이웃은 나의 위로>, <독립과 의존: 떠나간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과 충고, 내 품을 떠난 자녀와 정서적 독립시도, 자녀의 경제적 독립>, <자녀 상쾌하게 떠나보내기: 현명한 시어머니 자리 찾기, 새로운 관계 만들기>이었다. 참여자들은 자녀의 성장ㆍ떠나감과 함께 여러 요인으로 위기감을 겪으며 갑작스러운 상실감과 “뭘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무력감으로 역할 정체성의 위기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내 품에서 떠나간 것에 대한 허전함과 자녀에게 닥친 현실의 어려움은 고스란히 참여자들에게 전달이 되고 자녀를 양육한다는 것은 비참함과 고통스러움이라는 경험을 하게 된다. 자녀와 정서적 매임은 떠나간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돌봄의 짐이 가중되고, 주어진 현실의 수용은 인내심을 갖고 버티는 힘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여기에 삶의 무게를 더하는 현실로 인해 다 내려놓고 싶은 마음과 나를 찾고자 하는 정체성의 위기로 갈등하기도 한다. 열악한 환경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소멸시키고 현실을 재인식하게 된다. 참여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나름의 존재방식을 찾아 자녀가 갈 길을 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받아들이고 스스로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자녀와 새로운 관계를 만들며 성장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참여자들 중에는 현재 마음의 힘겨움을 겪기도 하지만 굴곡 없이 통과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는데 이는 준비된 마음이 현실의 변화를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또 이것과는 대조적으로 가슴이 뻥 뚫린 듯 허전함과 공허감을 호소하며 아픔을 겪는 참여자들도 있었다. 자녀와의 정서적 독립을 시도하기 위해 어머니역

      • 아들 결혼으로 인한 어머니의 분리 불안과 대처 과정에 관한 연구

        최혜경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아들 결혼으로 인한 어머니 분리 불안과 이에 대한 대처 과정을 이해하는 데 있다. 구체적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들 결혼으로 인한 어머니 분리 불안의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아들 결혼으로 인한 어머니 분리 불안의 대처 과정은 어떠한가? 셋째, 아들 결혼으로 인한 어머니 분리 불안의 대처 과정에 관련되는 요인들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아들 결혼으로 분리 불안을 경험한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참여자는 12명으로 53세에서 65세까지이며, 평균연령은 59.2세였다. 자료 분석은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 Corbin, 2003)이 제시한 근거이론 연구 방법에 따라 이루어졌다. 근거이론 연구 방법에 따른 범주분석 결과, 99개의 개념, 40개의 하위범주, 20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이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들 결혼으로 인한 어머니 분리 불안의 인과적 조건(causal condition)은 ‘중요대상이었던 아들’, ‘아들에게 새로운 대상이 생김’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과적 조건으로 인해 나타난 어머니 분리 불안의 중심현상(central phenomenon)은 ‘빼앗김과 소외감 속에서 떠나간 아들의 그림자를 붙들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심현상과 이후 전체 패러다임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적 조건(contextual condition)은 ‘결혼 전 아들과의 분리 경험’으로 나타났다. 중심현상을 다루고 해결해 나가는 작용/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중재적 조건(intervening condition)은 ‘아들 결혼과 관련된 실망감’, ‘남편과의 관계’, ‘긍정적인 내적 자원’, ‘신앙’, ‘지지적 관계’로 나타났다. 넷째, 아들 결혼으로 인한 분리 불안을 해결하고 대처해 가는 과정에 사용된 작용/상호작용 전략(action/interaction strategies)은 ‘아들을 떠나보내기가 어려움’, ‘지난날의 양육 태도를 자책함’, ‘떠나간 아들을 걱정함’, ‘며느리를 통해 가족을 확장하려 함’, ‘의도적으로 아들과 거리를 둠’, ‘분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고민함’, ‘분리의 아픔을 마주하기’, ‘새로운 관계 시도하기’로 나타났다. 다섯째,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나타난 결과(consequence)는 ‘자기의 존재감을 찾아감’, ‘관계에서 심리적 경계선이 생겨남’, ‘홀로 있기 어려움’이었다 여섯째, 아들 결혼으로 인한 어머니의 분리 불안 대처 과정은 혼란 단계, 타협 단계, 인식 단계, 직면 단계, 수용 단계로 나타났으며, 각 단계는 순차적으로 진행되기도 하였고, 상호작용하며 중첩되어 나타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들 결혼으로 인한 어머니 분리 불안과 대처 과정의 핵심범주(core category)는 ‘가족 확장 욕구와 분리의 현실 사이에서 분리의 아픔을 직면하고 자신의 존재감을 찾아감’으로 도출되었다. 그리고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하여 범주들 간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아들 결혼으로 인한 어머니의 분리 불안 대처 유형은 ‘자기 주도형’, ‘배우자 동반형’, ‘인지적 노력형’, ‘양가적 혼란형’으로 나타났다. ‘자기 주도형’은 아들과의 분리에서 오는 분리 불안을 직면하고 분리를 수용하며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자기 존재감을 찾아갔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내적 변화를 경험하며 이를 성숙으로 인식하였다. ‘배우자 동반형’은 자기 주도형처럼 아들과의 분리에서 오는 분리 불안을 직면하고 수용하며 자신의 성숙을 경험하였지만, 이 과정에 남편의 도움과 지지를 받으며 대처해 나갔다. ‘인지적 노력형’은 분리의 필요성을 인정하였지만, 아들과의 분리에서 오는 분리 불안을 인지적으로 처리하는 의식적 노력으로 적응해 나갔다. ‘양가적 혼란형’은 분리를 의식적으로 인정하지만, 실제로는 아들을 자신의 연장선으로 생각하며 분리에 따른 분리 불안을 아들과의 심리적 연결로 대처하고 있었다. 본 연구 의의는 아들 결혼으로 인한 어머니의 자녀 분리 경험을 분리 불안의 심리 내적 경험과 대처 과정으로 분석함으로써 어머니 분리 불안에 대한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 본 연구가 상담과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분리 불안을 경험하는 어머니들을 돕고 그들의 적응과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aternal separation anxiety due to son’s marriage and its process of coping with separation anxiety. The three specific questions are given for the research: First, what is the maternal separation anxiety caused by a son’s marriage? Second, how is the coping process of the maternal anxiety due to son’s separation? Third, what are the specific factors in the midst of the coping process dealing with maternal anxiety generated from the son’s marriage? To make it clear, this study applied a qualitative research by means of vis-a-vis interview in depth with mothers who experienced separation anxiety caused by the son’s marriage. The participants were 12 in total, and age range was various from 53-years-old to 65, of which the average was 59.2. The data was classified by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coined by Strauss and Corbin (2003). The category analysis according to the theory seen above came up with 99 concepts, 40 sub-categories, and 20 categories accordingl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causal condition of maternal anxiety due to son’s marriage was presented as ‘son who was an important Object’, ‘son who has a new Object’. Second, the central phenomenon of maternal separation anxiety caused by son’s marriage appeared as ‘holding the shadow of the left son in sense of losing and alienation’. Third, the contextual condition affecting the central phenomenon and the entire paradigm appeared as ‘experience of separation from the son before his marriage’. And the intervening condition affecting action/interaction have been identified as ‘disappointment formed by son's marriage’, ‘relationship with husband’, ‘positive inner resources’, ‘religion’, and ‘supportive social relationship’. Fourth,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the mother dealt the separation anxiety were ‘difficulty to let go of son’, ‘blaming herself for past parenting behavior’, ‘worrying about left son’, ‘trying to expand the family through daughter-in-law’, ‘intentional set apart from the son’, ‘recognizing the need of separation’, ‘facing the pain of separation’ and ‘trying to make a new relationship’. Fifth, the consequence from this process resulted in ‘finding the sence of self’, ‘creating the psychological boundary in the relationship’ and ‘difficulty in being alone’. Sixth, by continuously and repetitivel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sequence, total five stage of the process of coping with maternal separation anxiety due to son’s marriage were revealed. The five stage were composed of stage of confusion, stage of compromise, stage of realization, stage of confrontation, and stage of acceptance. Each stage was progressed in order or complexly shown through interactions. Finally, as a core category of maternal separation anxiety and its coping process, this study drew ‘finding the sence of self by facing the pain of separation between family expansion and the reality of separation Resulted in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categories around the core category, the maternal separation anxiety due to son’s marriage and its coping process was categorized in four different types so-called ‘self-initiated type’, ‘spouse accompanying type’, ‘cognitively trying type’, and ‘ambivalently confused type’. The ‘self-initiated type’ faced the separation anxiety directly, reflecting on her life and searching for the identity, on which she accepted the separation from the son as a reality. In this process, she experienced the change by herself and perceived this experience as a maturity. The ‘spouse-accompanying type’ faced the separation anxiety, accepted the separation itself and perceived this experience as a driving force for maturity like ‘self-initiated type’ does. However she makes the process better by the active support of her husband. The ‘cognitively-trying type’ adjusted by consciously trying to cognitively deal with the separation anxiety. The ‘ambivalently confused type’ admitted consciously separation, but thought of the son as an extension of her own, and coped with separation anxiety by psychological connection with his s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some specific information for the intervention of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understanding what maternal separation anxiety is all about. Hopefully the findings in this study may serve as a watershed to go further in this academic area especially to develop counseling strategies and educational materials for the mothers who suffered from separation anxiety to live out in accordance with healthy adaptation of i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well.

      • 대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정체감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욕구의 매개효과

        윤은경 숭실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on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as well as, on sub-factors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ability. This study will provide appropriate and practical advice on counseling university students concerned about career path and aptitude. The research data was gathered through offline and online surveys by convenient sampling method. 254 sets of data was ultimately used to derive the study results. The survey data included questions that measured maternal control, career identity,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including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ability. The data was used to calculate for descriptive statistics quantity,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obel test was conducted on the research material through Windows SPSS 18.0 statistical packag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analysi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career identity, and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revealed that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on career identity and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including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ability. Second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verified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of university students and career identity on sub-factors of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including autonomy and competence. However,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relatability. Because, there was a lack of study conduct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relatability and career-related variable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research this furth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es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nd career identity over university students on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The approach for this research is supported by personal external variables and personal internal variables considered in the previous study (Lent, Brown, & Hackett, 1994). Also, by confirming the effect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in development and career identity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earch showed notable differentiation between maternal and p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as identified (유혜경, 2004: Chang et al., 2003); leading to further detailed and comprehensive research.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extends to the actual process of counseling university students and the guidance it can provide. Hopefully, this research will bring insight into the mediating effects of maternal psychological control, interference, and restriction on upbringing and bring about change to promote and improve basic psychological need for determination for college students struggling to choose a career path.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와 진로정체감과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욕구와 하위요인으로서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각각의 매개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결과는 진로 및 적성을 고민하는 대학생들을 상담할 때 보다 적절하고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대상 자료로 온라인과 오프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편의표집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대학생 254부의 설문지가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설문에는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진로정체감, 자기결정성욕구(자율성, 유능감, 관계성)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들이 포함되어 있다. 수집한 자료는 SPSS 18.0 Window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검정, 기술통계량 산출,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심리적통제, 진로정체성, 자기결정성욕구 하위요인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 사이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리적통제는 진로정체감, 자율성, 유능감, 관계성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의 심리적통제가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결정성욕구의 매개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결정성욕구의 하위요인 중 자율성, 유능감은 어머니의 심리적통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반면, 관계성에서는 심리적통제와 진로정체감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까지는 관계성과 진로관련변인과의 상관관계를 주제로 한 연구는 미진하기 때문에 세부사항을 고려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심리적통제가 진로정체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결정성욕구의 매개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둘 수 있다. 이는 진로 연구의 접근방식으로 개인 외적 변인과 개인 내적 변인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선행연구(Lent, Brown, & Hackett, 1994)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또한 어머니가 대학생 자녀의 진로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자녀에게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 유의한 차이가 존재한다는 선행연구를 바탕(유혜경, 2004: Chang et al., 2003)으로 기존 연구를 좀 더 세밀화, 정교화 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실제 대학생을 상대로 진로 상담하는 과정에서 줄 수 있는 의의를 생각해 볼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개입, 통제 등이 타당한지를 확인하고 그에 따라 자기결정성욕구의 촉진과 향상을 도와줄 수 있다면 진로를 고민하고 취업을 준비하는 많은 대학생들에게 새로운 통찰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한국 노인복지서비스가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김혜수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한국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이용이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성과 이들의 연관관계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2차 자료를 이용한 연구로서 한국복지패널의 2017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만 65세 이상 노인이며 사회복지서비스 경험이 있는 노인을 추출하였다. 그 후 해당 노인 중에서 노인복지서비스(기초연금 지원, 의료비 지원, 물품지원, 노인일자리사업, 가정봉사 서비스, 방문 가정간호·간병·목욕서비스)와 우울감에 대한 조사에 모두 응답을 한 노인을 다시 추출하였다. 자료의 분석 방법은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통하여 우울증과 복지서비스 항목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가정봉사 서비스, 방문 가정간호·간병·목욕서비스, 의료비지원서비스의 이용이 우울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우울증을 분석한 결과 우울증은 여성이 남성보다 높게 나왔고, 연령이 높아질수록 우울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의 경우 주관적으로 느끼는 건강상태가 안좋다고 느낄수록 우울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종속변수(우울증)에 대한 독립변수(기초연금지원서비스, 의료비지원서비스, 물품지원서비스, 노인일자리사업, 가정봉사서비스, 방문가정간호·간병·목욕서비스)를 분석한 결과 우울증을 낮추기 위해서는 의료비지원서비스, 방문 가정간호·간병·목욕서비스의 강화가 필요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분석 결과는 노인 복지서비스가 우울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노인 복지서비스와 우울증의 연관관계를 검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welfare service utilization on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Korea.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Korean Welfare Panel for 2017 as a secondary data stud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derly people aged 65 years or older who had social welfare service experience. After that, the elderly who responded both to the elderly welfare service (basic pension support, medical expenses support, product support, elderly job service, home service, visiting home nursing care, bathing servic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depression and welfare service items, correlation between home care service, visiting home care, nursing care, bathing service and medical support servi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Seco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control variables was found to be higher in women than in men, and the higher the age, the higher the depression level. In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depression was higher Respectively.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dependent variables (basic pension support service, medical expense support service, product support service, elderly job service, home service, visiting home nursing care, bathing service) The analysis concluded that to reduce depression,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medical support services, home care, nursing, and bathing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elderly welfare servic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and it can be interpreted as a tes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Key words : Social welfare services, the elderly, depression

      • 결혼 만족도가 목회자 사모의 역할 스트레스 인식에 미치는 영향 : 영적 안녕감의 조절 효과

        주희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pastorally engaged wife recognizes role stress that she experiences as the pastorally engaged wife in and out of the home and church, and how she copes with it.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valuable data to mitigate the stress of the pastorally engaged wife who is currently experiencing stress from individual life and marital relationship and the church community or is in crisis of conflic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construct new counseling strategies to help the restoration of the inner and spiritual dimension of the pastorally engaged wife, and to provide clinical help to appropriat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s against stress.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94 pastorally engaged wives who were selected as random sampling and the results were statistically verified. Although the residence, the denomination, and the position of their husbands at church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varied, the most of them are the pastorally engaged wives whose husbands are the senior pastors and minister the church with less than 50 members.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interpreted as revealing the tendency of the pastorally engaged wives who are senior pastorally engaged wives but have fewer than 50 church memb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ly, marital satisfaction and spiritual well-being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role stres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spiritual well-be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rital satisfaction, spiritual well-being, and role stress.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lower the satisfaction of marriage, the more stress is felt in performing the role of the pastorally engaged wife, and the spiritual well-being reduces the role stress. Secondly, in order to examine the predictive power of marital satisfaction on the role stress,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 showed that the marital satisfaction significantly affected the role stress. This suggests that the difficult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husband is a factor influencing the perception of the stress experienced by the pastorally engaged wife. Particularly, among the four sub-factors of the marital satisfaction, marital role expectations were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variables for the role stress. Thirdly,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moderating effects of the spiritual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role stress, there was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piritual well-being. This implies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spiritual well-being can reduce the awareness of the role stress of the pastorally engaged wife.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it was shown that the roles of ‘marital role expectation’ as a sub-factor of marital satisfaction and ‘religious well-being’ as a sub-factor of spiritual well-being were effective in lowering ‘role conflict’ among role stresses perceived by the pastorally engaged wife. In other words, if a husband do not fulfill ‘the role expectations of marriage couples’ in marriage, if a level of religious well-being of the pastorally engaged wife increases when she experiences the role stress as the pastorally engaged wife, it is effective in lowering the conflict caused by the role of the pastorally engaged wif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is study deals with the spiritual well-being of the pastorally engaged wife in relation to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it is explained by the quantified results that the degree of the role stress recognized by the pastorally engaged wife is reduced. Second, it has made a significant implication for counseling for the pastorally engaged wife or pastor couple. Although it is not possible to eliminate the stress itself, it provides basic data for more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s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counseling and education to help the recovery of spiritual well-being, especially religious well-being of them. Third,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of cognitive approaches to promote the spiritual well-being of the pastorally engaged wife in the field of studying them. In contrast to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it was examined that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new identity and confirming the calling consciousness is important in the one-to-one relationship with God. Through this, it is found that the pastorally engaged wife obtains the power to overcome the conflict caused by the role stress and endure it.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자 사모가 가정 및 교회 안팎에서 사모로서 겪는 역할로 인한 스트레스를 어떻게 인식하고 어떠한 방법으로 대처해 나가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개인의 삶 및 부부관계 그리고 교회공동체로부터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거나 갈등의 위기에 놓여있는 목회자 사모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데 요긴한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목회자 사모의 영적 내적인 차원의 회복을 돕는 새로운 상담전략을 구축하고 스트레스에 대한 적절한 예방과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임상적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위해 무작위 표집으로 선정된 194명의 목회자 사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사모의 거주지역이나 교단, 남편 목회자의 직책이 다양하였으나, 담임목회자 사모이면서 교인의 수가 50명 미만인 교회를 시무하고 있는 목회자 사모가 주를 이루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대체로 담임목회자 사모이면서 교인의 수가 50명 미만인 교회를 시무하는 목회자 사모의 경향성을 드러낸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 만족도와 영적 안녕감, 역할 스트레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결혼 만족도와 영적 안녕감은 각각 역할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적(負的) 상관관계가, 결혼 만족도와 영적 안녕감은 유의한 정적(正的)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결혼에 대한 만족도가 낮을수록 사모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데 스트레스를 높게 인식하며, 영적 안녕감이 역할 스트레스를 낮추는 변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결혼 만족도가 역할 스트레스에 미치는 예측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결혼 만족도가 역할 스트레스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편과의 관계에서 오는 어려움이 목회자 사모가 사모의 역할을 수행할 때에 겪는 스트레스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특히 결혼 만족도의 4가지 하위 요인 중 부부 간 역할 기대가 역할 스트레스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도출되었다. 셋째, 결혼 만족도와 역할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결혼 만족도와 역할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감의 조절효과가 있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결혼 만족도와 영적 안녕감이 상호작용하여 목회자 사모의 역할 스트레스에 대한 인식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하위 요인 중에서 결혼 만족도의 하위 요인 ‘부부 간 역할 기대’와 영적 안녕감의 하위 요인 ‘종교적 안녕’이 상호작용하여 목회자 사모가 인식하는 역할 스트레스 중 ‘역할 갈등’을 낮추는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 즉, 남편이 결혼생활 내에서 ‘부부 간 역할 기대’를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동시에 사모가 사모로서의 역할 스트레스를 겪을 때, 사모의 종교적 안녕감의 수준을 높이면 사모 역할로 인한 갈등을 낮추는 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결혼 만족도와 관련하여 목회자 사모의 영적 안녕감에 대해 다루고, 이로 인해 사모가 인식하는 역할 스트레스의 정도가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을 정량화된 결과로 설명하였다. 둘째, 목회자 사모 혹은 목회자 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상담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스트레스 자체를 제거할 수는 없을 지라도 보다 효과적인 상담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사모의 영적 안녕감, 특히 종교적 안녕감의 회복을 돕기 위한 상담 및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셋째, 목회자 사모를 연구하는 분야에서 목회자 사모의 영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 인지적 접근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기존 연구들의 결과와 달리, 사모가 주체적으로 하나님과 일대일 관계 안에서 새롭게 사모로서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소명의식을 확인하는 과정이 중요함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목회자 사모가 역할로 인한 갈등을 극복하고 감내하는 힘을 얻게 됨을 발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