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단상담에 참여한 기혼자들의 부부관계 체험 : 영성과 내면아이치유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박영현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ABSTRACT The Marital Relationship Experiences by Participants of Group Counseling -Focused on the Spirituality and Inner Child Therapy- Park, Young Hyun Department of Christian Counseling &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Christian Studies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examined how inner child therapy can be effective. Inner child therapy is understood by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the people those who attend inner child therapy group and their experiences on their marital relationship reconstruction after attending this type of group counseling. This study utilized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that provides an in-depth description of participants’ experiences and offers a guideline that induces essential elements of their experiences. This study examined 6 participants who had been married for more than 10 years at the time of the interview.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May 2013 to February 2014. Data was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and 30 compositional components and 10 constituent parts were induced. The contents are 〈Struggle to live on through difficult marriage relationship: unsatisfaction in marital relations, be reiterative in their exchanging criticism, make an effort to keep family, no recovery in marital relations despite of studying counseling〉, 〈Desire for a change in marital relationship: get to know inner child group counseling, hope for recovery in relationship with self and partner〉,〈Encounter inner child: co-exist with hesitancy and expectation, meet wounded inner child, mourn his or her wounds having their own voice for the first time, find “wonder child” that is his or her true self〉,〈start healing and recovering: experience acceptance and the sense of connection, have felt that being with God is safe and supportive, know the essence of myself, realize that childhood wounds are connected with their current life, start to take care of his or her inner child〉,〈Hope to recover marital relations: experience confusion after the participating in the group, want to have his or her spouse experience inner child group〉,〈Change the perspective through which he or her used to see spouse: start to have compassion on their spouse, understand spouse’s inner child〉,〈Communicate with self helped communication with partner : communicate with myself by asking to myself first, start to communicate and share with spouse honestly, change in marital relationship takes place as changing myself〉, 〈Meet spouse not as a role but as a being: acknowledge the spouse as an equal partner, start to love spouse genuinely〉,〈Live an autonomous life as meeting true self: see myself afresh, Grow myself as meeting and taking care of my inner child, wounds and pains are sublimated as resources〉,〈Expand true encounter: extend recovering relationship with myself to others, require successive work>. This research that has been conducted for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and structure of marital relationship reconstruction of people those who experienced inner child group has the following meaning: First, expand the participants’ individual experiences into marital relations. Second, make an attempt to reveal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as they are based on constructive philosophy. Third, illuminate the possibility of the true encounter between spouses as each one meets the other as a being making existential understanding about their spouse which has been enabled empirically. Fourth, offer detailed information that inner child therapy is syntagmatically applicable in the field of marital counseling. Based upon the research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inner child therapy model and imago marriage relationship therapy model need to be applied syntagmatically and be utilized therapeutically. Also successive works such as individual counseling or forming a healing community need to be continued after the inner child therapy group participation. A research that compares different experience between the case where both married partners participated in the group and the case where only one spouse attended in the group would be relevant. Key Words: Inner child, Marital relations, Group counseling, Phenomenological research 국문초록 집단상담에 참여한 기혼자들의 부부관계 체험 -영성과 내면아이치유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기독교상담 학과 박영현 지 도 교 수 박승민 본 연구는 집단상담에 참여한 기혼자들의 부부관계 체험을 이해하고 그 의미와 체험의 구조를 밝힘으로써 내면아이치료가 상담 현장에 치료적으로 활용되는데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체험을 심도있게 기술하고 그러한 체험에 나타난 본질적인 요소를 도출하는 지침을 제공하는 지오르지의 기술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결혼 생활이 10년 이상 된 기혼자 6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5월부터 2014년 2월까지였다. 자료는 참여자들과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고 그 결과 30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10개의 구성요소를 도출되었다. 그 내용은 <힘든 부부관계 속에서 애쓰며 살아옴: 부부관계가 불만족스러움, 내 탓 네 탓을 반복함, 가정을 지키고자 애씀, 상담공부를 해도 관계는 좋아지지 않음>, <나와 부부관계 변화를 기대하며 집단에 참여함: 내면아이 집단상담을 알게 됨, 나의 변화와 부부관계 회복을 간절히 원함>, <내면아이를 만남: 망설임과 기대감이 공존함, 상처받은 내면아이를 만남, 처음으로 나의 목소리를 내고 상처를 애도함, 원래의 나 “놀라운 아이”를 발견함>, <치유와 회복이 시작됨: 수용과 연결감을 경험함, 하나님과 함께 함이 안전하고 든든하게 느껴짐, 나의 본질을 알게 됨, 어린 시절 상처가 현재의 삶과 연결돼 있음을 깨달음, 내면아이를 돌보기 시작함>, <부부관계 회복을 소망함: 집단 이후 혼란기를 겪음, 배우자에게 내면아이집단을 경험하게 하고 싶음>, <배우자를 바라보는 관점이 바뀜: 배우자에 대한 연민의 마음이 생김, 배우자의 내면아이를 이해하게 됨>, <나와의 소통이 배우자와의 소통의 밑거름이 됨: 나에게 먼저 묻고 나와 소통함, 배우자와 솔직한 소통과 나눔을 하게 됨, 내가 달라지면서 부부관계가 변화함>, <배우자를 역할이 아닌 존재로 만남: 배우자를 동등한 존재로 인정하게 됨, 배우자를 진정으로 사랑하게 됨>, <진짜 나를 만나며 주체적 삶을 살게 됨: 나를 새롭게 보게 됨, 내면아이를 만나고 돌보며 내가 성장함, 상처와 고통이 자원으로 승화됨>, <참만남이 확장됨: 나와의 관계회복이 타인에게로 확장됨, 후속 작업이 필요함> 이었다. 집단을 경험한 사람들의 부부관계 재구성 경험과 그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수행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참여자 개인의 체험을 부부관계로 확장시켰다는 것, 둘째, 구성주의적인 철학에 기반을 두고 참여자의 체험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려는 시도를 하였다는 것, 셋째, 배우자에 대한 실존적 이해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부부가 서로 존재로서 만나는 참만남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밝혀냈다는 것, 넷째, 향후 부부상담 분야에서 내면아이 치유를 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볼 때, 내면아이치료 모델과 이마고 부부관계 치료 모델이 통합적으로 적용되어 임상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음이 시사된다. 또한 내면아이치료 집단 참여 이후 개인 상담이나 치유 공동체 꾸리기 등의 후속작업이 요구된다. 후속 연구로는 부부 모두 집단에 참여한 사례와 부부 중 어느 한 쪽이 참여한 사례를 나누어 부부 양쪽의 체험을 연구해보는 것도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주요어 : 내면아이, 부부관계, 집단상담, 현상학적 연구

      • 목회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우울과 탈진에 미치는 영향

        정근화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자의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우울과 탈진의 현상을 파악하고 부교역자의 직분에 따른 정도의 차이를 확인하려 한다. 또한 목회자의 상담 요구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의 신학대학교에 재학 중인 목회자 136명을 표본으로 진행하였으며, 설문은 생태학적 조사, BDI, 직무 스트레스, 직무 탈진 등의 자료로 구성이 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문제에 따라 빈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의 직무스트레스는 목회자의 우울, 탈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목회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높으면 목회자의 우울과 탈진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부교역자의 직분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 우울 등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교역자의 직분을 부목사 집단과 전도사 집단으로 나눠 비교하였을 때 직무 스트레스, 우울, 탈진 모두 부목사 집단에서 평균값이 높게 나타나고,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셋째, 부목사 집단과 전도사 집단에서 직무 스트레스는 우울과 탈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목사 집단에서는 역할갈등과 대인관계가 우울에, 그리고 대인관계는 탈진에 정적영향을 미치며 전도사 집단에서는 역할갈등이 우울에, 그리고 역할갈등과 대인관계는 탈진에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목회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목회자 상담 요구도와 목회자 가족 상담 요구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회자가 스트레스의 상승은 자신 및 목회자 가족의 상담 요구도도 높아짐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목회자의 스트레스를 확인하고 문제들을 살펴보면서 그들의 현실적인 어려움에 대한 이해와 상담학적 접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and burnout of clergy.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survey and comparison between associate pastors and ministerial interns. A questionnaire paper was sent to 136 clergy working in six major denominations in South Korea. The denominations chosen were the Presbyterian Church, Methodist Church,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etc. Scales of measurement included Ivancevich’s work stress Scale,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and Maslach Burnout Inventory. Results indicated that job stress put both the associate pastors and ministerial interns at a higher risk of depression and burnout. However, the associate pastor group was found to have a higher amount of stress than the intern group. There was also a difference found between the associate pastor group and intern group. To be more specific, in the associate pastor group, both role confli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ffected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while onl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ad an effect on the occurrence of burnout. On the other hand, in the intern group, only role conflict was found to have an impact on depression, while the occurrence of burnout was affected by both role conflic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indings also indicated that job stress not only has an effect on the occurrence of depression and burnout in the clergy, but also on the counseling needs for clergy themselves along their families.

      •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 연구

        박아론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an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201 college students, and the document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7.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ll variable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each sub-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detail, career barrier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regulation of emotion, use of emotion, and relationship managemen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lf-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emotion expression, empathy, use of emotion, and relationship management. Secon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and their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t shows that the emotional intellig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mpletely. This means that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has a greater influence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directly by emotional intelligence than in direct way. In other words, college students who perceive career barriers higher tend to have lower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lower the ability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 lower the level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each sub-factor of emotional intelligence to examine the specific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t was found that significant the four abilities of self-emotion appraisal, other’s emotion appraisal, use of emotion, and relationship managem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when dealing with college students’ career barriers for their career preparation process in rational way, emotional factors of individuals should be considered together, also, intervention strategies that make students explore and improve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can be effective. Therefore, this study can be used as clinically helpful data, such as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clients in career counseling and establishing effective emotional-based counseling intervention strategies. Second, although researches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in terms of emotional intelligence is insufficient, this study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Previous studies have identified that emotion is an important variable that directly affects career choice and career decision, or have conducted research regarding career barrie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gether with different variables. For these reasons, it was difficult to find out the study that covers what is the main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preparation behavior for the career. In this way, I expect that this study could play a role as basic data for subsequent studies like this. Third, the specific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confirmed by examining in detail the mediating effect of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rational cognitive judgment can made by clearly and appropriately recognizing emotions that can be experienced in career barriers, and that good use of emotions promotes positive thinking and tends to lead to activ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to interact with others so that effective career information can be collected through interpersonal skills. As such, this study was able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the career preparation process of college students by identifying the specific role of emotional intellig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 for emotional intelligence-related education and program development to promo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college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총 201부의 자료를 SPSS 27.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정서지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수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세부적으로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과 정서지능의 각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로장벽은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 인식, 타인정서 인식, 정서조절, 정서활용, 대인관계기술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진로준비행동은 정서지능의 하위요인 중 자기정서 인식, 타인정서 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 정서활용, 대인관계기술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둘째,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한 결과, 정서지능은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보다 정서지능을 통해 간접적인 효과로 더 큰 영향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진로장벽을 높게 지각하는 대학생일수록 정서지능이 낮은 경향이 있으며, 정서지능의 능력이 잘 기능하지 못할수록 진로준비행동 수준이 감소한다는 것이다. 정서지능의 구체적 역할을 살펴보기 위해 정서지능의 하위요인별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정서 인식, 타인정서 인식, 정서활용, 대인관계기술의 네 가지 능력이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들의 합리적인 진로준비 과정을 위해 진로장벽을 다룰 때는 개인의 정서적 요인을 함께 고려해야 하며, 이때 개인에게 기능하고 있는 정서지능을 탐색하고 향상시키는 개입전략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진로상담에서 내담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효과적인 정서 기반 상담개입 전략을 수립할 수 있게 하는 등 임상적으로 도움을 주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의 관계를 정서지능의 측면에서 살펴보는 연구가 미흡한 상황에서 진로장벽, 진로준비행동, 정서지능의 관계성을 확인하였다. 그동안의 선행연구에서는 정서가 진로선택과 진로결정에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규명하거나, 진로장벽과 정서지능 혹은 정서지능과 진로준비행동을 각각 다른 변인과 함께 다루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즉, 지각된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사이에서 정서지능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를 구체적으로 규명한 연구를 찾기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이와 관련한 후속연구들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 간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각 하위요인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정서지능의 구체적 역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 진로장벽으로부터 경험될 수 있는 정서를 명확하고 적절하게 인식하고 활용함으로써 합리적인 인지적 판단과 긍정적인 사고가 촉진되어 적극적인 진로준비행동으로 이어지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정서지능이 대인관계기술능력을 통해 효과적인 진로정보수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도움을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는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지능의 구체적 역할을 규명하여 대학생의 진로준비 과정의 심리적 기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준비행동 촉진을 위한 정서지능 관련 교육 및 프로그램 개발 등에 참고자료로 쓰일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건강한 노화를 위한 건강관리:한국 노인의 생애전환기 인지 건강을 중심으로

        류은정 차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한국은 급속한 인구 고령화로 치매 등 인지기능장애 노인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인지 건강은 라이프코스에서 성인기에 가장 절정에 이르고 중년기부터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여 노년기에는 기능의 한계를 접하게 된다. 인지 건강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생애전환기 노인의 인지 건강 문제의 조기 예방 및 중재 역할이 강조되었다. 생애전환기 노인은 라이프코스에서 중요한 전환점(critical point)으로 건강한 노화를 위한 건강관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생애전환기 노인의 라이프스타일과 인지 건강 간 관계성 분석을 통해 건강한 노화를 위한 건강관리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분석 자료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공하는 2013년도 만 66세 생애전환기 1차 건강검진 수검자 3,413명을 최종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생애전환기 노인의 인구 및 사회경제적 특성, 신체 건강, 정신 건강, 인지 건강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 라이프스타일이 인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라이프스타일과 인지 건강 간 관계성은 신체활동에서 유의성이 있었다. 그러나 노인 전체 집단과 여성 노인 집단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남성 노인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라이프스타일과 인지 건강 관계 모형 적합성은 노인 전체 집단의 경우 보통(AUC=0.707)이었고, 남성 노인 집단(AUC=0.673)과 여성 노인 집단(AUC=0.676)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섯 가지 함의를 제공한다. 첫 번째, 라이프스타일은 노인의 건강한 노화를 위한 건강관리로서 중재 가능함을 시사한다. 두 번째, 라이프스타일 중 신체활동이 유의성 있었다는 점에서 신체활동이 인지 건강의 중요한 중재임을 시사한다. 세 번째, 생애전환기 노인의 인지 건강과 라이프스타일 관계에서 노인 집단 전체를 보는 것이 아니라 성별에 따라 특성과 차이를 봐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네 번째, 라이프코스에서 조기 건강관리가 지속되었을 때 그 효과가 크다는 점에서 생애전환기 노인의 건강관리는 노년기 조기 중재로서 함의가 크다. 다섯 번째, 연구 방법론 및 데이터, 분석의 틀, 최종 선정 연구 대상자 수에 있어서 한계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논문은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로서의 신뢰성, 전 국민 건강검진 결과 기반 데이터로서의 대표성, 만 66세 생애전환기 노인은 한국적 특징을 가지는 코호트 연구로서의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향후 연구로서 한국 생애전환기 노인의 인지 건강과 건강한 노화를 위한 건강관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핵심어: 노인, 생애전환기, 라이프코스, 인지 건강, 건강한 노화, 건강관리, 라이프스타일

      • 성범죄자 범죄성향 개선을 위한 치료프로그램 효과분석 : 서울지역 심리치료센터 한곳의 치료사례 중심으로

        김용회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cidivism risk of sex offenders institutionalized in correctional facilities in order to identify a high-risk group, and apply the GLM-based group treatment program to this group to understand what types of changes the programs have brought to the recurrence of sexual offences and motivators: distorted attitude, sexual interest, social-emotional function and self-control, as well as to socio-emotional functional domain, interpersonal reaction domain and self-control domain. The GLM is an approach that focuses on positive aspects of people and raises their expectations about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mselves and achieving life goals so that they are more engaged and motivated to join the treatment programs and finally improve treatment effects.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시설에 수용된 성범죄자 중에서도 재범위험성을 평가하여 고위험군에 속한 대상자들에게 긍정심리학적 접근에 따른 긍정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고 변화가능성에 대한 기대와 삶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했을 때 자발적인 참여와 동기가 강화되고 치료 효과도 높아질 수 있다는 좋은 삶 모델 중심 집단 치료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성범죄 재범과 범죄죄유발요인(왜곡된 태도, 성적관심, 사회-정서적 기능, 자기관리)과 사회-정서적 기능영역, 대인반응성 영역, 자기관리 영역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근로자의 근무환경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감의 조절효과 연구

        하선민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perception of their work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stres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valuable data in the counseling scene with employees suffering occupational stress. To der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232 employees,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Religious well-being, a sub-factor of spiritual well-being, interacts with the external work environment perception, a sub-factor of work environment perception, strengthening the effect of employees' positive external work environment perception on occupational stress reduct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employees' negative social work environment perception on the increase of occupational stress was alleviated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the social work environment perception, a sub-factor of the perception of the work environment. The basis for the presented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perception, occupational stress, and spiritual well-being. The resul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here occupational stress decreased with an increased positive perception of the work environment. After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occupational stress, occupational stres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the sub-factor of spiritual well-being. When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 of work environment perception and spiritual well-being, intrinsic work environment perception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both religious and existential well-being. In addition, external work environment perception and social work environment perception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existential well-being. Second, after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perception and occupational stress, only religious well-being among the sub-factors of spiritual well-being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Third, religious well-being present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ith a different direc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perception and occupational stress in some cas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ying spiritual well-being with occupational stress was a creative attempt. Second, it provided an example where religious well-being alone works as a moderating factor. Third, it allowed counselors to give the employees the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their work environment. Fourth, it provided fundamental data for developing programs in the counseling scene for a practical approach.The basis for the presented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perception, occupational stress, and spiritual well-being. As a result, there was a negative corelation in which occupational stress decreased as the perception of work environment was positive. As a result of conducting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piritual well-being and occupational stress, occupational stres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the sub-factor of spiritual well-being. When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factor of work environment perception and spiritual well-being, intrinsic work environment perception showed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both religious and existential well-being. In addition, external work environment perception and social work environment perception showed a static correlation with existential well-being.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perception and occupational stress, only religious well-being among the sub-factors of spiritual well-being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Third, religious well-being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in different directions in some ca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environment perception and occupational stres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is original in that it studied spiritual well-being and occupational stress together. Second, an example of religious well-being acting alone as a moderating element was provided. Third, i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counselors to think about the meaning of the work environment for employees. Fourth, it provided a basic data for a practical approach through program development at the counseling site. 본 연구에서의 목적은 근로자의 영적 안녕감이 근무환경에 대한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직무스트레스를 경험하는 근로자와의 상담 장면에서 유용한 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근로자 232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종교적 안녕감은 근무환경인식의 하위요인인 외재적 근무환경 인식과 상호작용하여 근로자의 긍정적인 외재적 근무환경 인식이 직무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강화하였다. 또한 근무환경인식의 하위요인인 사회적 근무환경 인식과 상호작용하여 근로자의 부정적인 사회적 근무환경 인식이 직무스트레스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완화하였다. 제시한 연구결과에 대한 근거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근무환경인식과 직무스트레스, 영적 안녕감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근무환경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직무스트레스가 감소하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영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영적 안녕감의 하위요인인 종교적 안녕감, 실존적 안녕감과 모두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근무환경인식의 하위요인과 영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내재적 근무환경 인식은 종교적 안녕감과 실존적 안녕감 모두에 대해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외재적 근무환경 인식과 사회적 근무환경 인식은 실존적 안녕감에 대해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근무환경인식과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영적 안녕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영적 안녕감의 하위요인 중 종교적 안녕감만 해당 관계에 대하여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셋째, 종교적 안녕감은 근무환경인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에 대해 경우에 따라 다른 방향의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적 안녕감과 직무스트레스를 함께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독창성을 지닌다. 둘째, 종교적 안녕감이 단독적으로 조절요소로서 작용하는 예시를 제공하였다. 셋째, 상담자가 근로자에게 근무환경이 지니는 의미를 생각할 계기를 제공하였다. 넷째, 상담 현장에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실용적 접근을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

      • 중년어머니가 경험하는 청년자녀의 집 떠나기 과정과 위기감에 관한 질적 연구

        김순환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년어머니가 청년자녀를 떠나보내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또 이 과정에서 느끼는 위기감에 대처해 가는 과정이 어떠한지를 탐색하고 그 경험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어머니 참여자들은 청년자녀의 집 떠나기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둘째, 중년어머니 참여자들은 청년자녀의 집 떠나기 과정에서의 경험을 어떤 의미로 받아들이는가? 셋째, 중년어머니 참여자들은 청년자녀의 집 떠나기 과정에서 경험하는 위기감을 어떻게 다루어 가는가?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탐구하고자 하는 현상에 대한 참여자들의 실제 사례를 있는 그대로 서술하고, 그 안에서 그들 스스로 문제를 인식하고 해결 방안까지 찾아가는 과정을 생생한 체험위주로 기술하고자 하였다.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에서도 지오르기(1985)가 제안한 대로, 연구 참여자들의 언어로 사실을 있는 그대로 생생하게 기술(description)하고 그 체험에 나타난 본질적인 요소를 도출하고 지침을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두어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 선정 방법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정의한 위기 개념에 근거하여, 중년기 위기감 척도와 우울척도(BDI)를 사용하였다. 40세에서 59세 사이의 중년기 어머니 70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그 중 위기감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난 17명 중 본 연구의 참여에 동의한 7명을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2012년 2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심층 면담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 분석은 Giorgi(1985)가 제안한 분석 단계에 따라 수행되었으며, 연구 참여자들과 면담한 녹취내용을 반복적으로 읽어가면서 반성과 자유변경을 통해 의미단위와 체험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 자녀를 떠나보내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위기감에 대한 참여자들의 체험내용에서 18개의 구성요소와 36개의 하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고, 그 내용은 <갑작스러운 상실감과 “뭘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무력감: 갑자기 닥쳐 온 위기, 떠나가는 자녀에 대한 그리움과 이별에 대한 아쉬움>, <서로 다른 교육방식으로 인한 갈등의 위기: 자녀의 기대로 인한 부자간의 갈등, 자녀로 인한 부부 갈등의 위기>, <남편에 대한 원망과 정서적 지지: 가정에 불성실한 남편에게 섭섭함, 남편역할에 대한 불만족, 남편의 인정>, <자녀의 양육은 비참함과 고통스러움: 인생에서 좌절감 느낌, 홀로 감당해야 하는 현실에 대한 힘겨움, 자녀로 인한 버거운 삶의 무게감, 고통과의 투쟁>, <삶의 무게를 더하는 현실: 자신의 처지에 대한 서글픔, 말 못하는 처지, 자신의 처지가 기막힘>, <정서적 연결로 인한 매임: 떠나간 자녀가정의 불화를 바라보며 느끼는 안타까움>, <돌봄의 짐: 자녀에 대한 책임감>, <자녀를 위해 참고 견딤: 인내심으로 버텨옴, 자녀의 존재가 내가 사는 이유>, <마음속으로 애를 쓰며 속 태움: 자녀 걱정으로 인한 불안과 두려움>, <눈먼 사랑과 수용: 자녀에 대한 미안함, 마음을 비움, 마음 폭이 넓어짐>, <어머니역할 정체성의 위기: 내려놓고 싶은 마음과 나를 찾고 싶음>, <소외에 대한 두려움: 며느리와 관계 조율>, <인식전환에 의한 성장: 낙관적 사고로 전환, 고통에 의한 변화>, <불확실한 미래에 대한 두려움: 미래가 쇠락해 간다는 느낌, 의존적이지 않은 노후>, <절대자 의존: 신앙은 나의 힘>, <나눔을 통한 위로: 나누는 삶 속에서 아픔을 이김, 나보다 어려운 이웃은 나의 위로>, <독립과 의존: 떠나간 자녀에게 경제적 지원과 충고, 내 품을 떠난 자녀와 정서적 독립시도, 자녀의 경제적 독립>, <자녀 상쾌하게 떠나보내기: 현명한 시어머니 자리 찾기, 새로운 관계 만들기>이었다. 참여자들은 자녀의 성장ㆍ떠나감과 함께 여러 요인으로 위기감을 겪으며 갑작스러운 상실감과 “뭘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무력감으로 역할 정체성의 위기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가 내 품에서 떠나간 것에 대한 허전함과 자녀에게 닥친 현실의 어려움은 고스란히 참여자들에게 전달이 되고 자녀를 양육한다는 것은 비참함과 고통스러움이라는 경험을 하게 된다. 자녀와 정서적 매임은 떠나간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돌봄의 짐이 가중되고, 주어진 현실의 수용은 인내심을 갖고 버티는 힘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여기에 삶의 무게를 더하는 현실로 인해 다 내려놓고 싶은 마음과 나를 찾고자 하는 정체성의 위기로 갈등하기도 한다. 열악한 환경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소멸시키고 현실을 재인식하게 된다. 참여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나름의 존재방식을 찾아 자녀가 갈 길을 가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 받아들이고 스스로 변화의 필요성을 느끼고 자녀와 새로운 관계를 만들며 성장하는 모습을 보게 된다. 참여자들 중에는 현재 마음의 힘겨움을 겪기도 하지만 굴곡 없이 통과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였는데 이는 준비된 마음이 현실의 변화를 받아들인 것으로 보인다. 또 이것과는 대조적으로 가슴이 뻥 뚫린 듯 허전함과 공허감을 호소하며 아픔을 겪는 참여자들도 있었다. 자녀와의 정서적 독립을 시도하기 위해 어머니역

      • 목회자 후보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인재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목회자 후보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의 사이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목회자 후보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그리고 진로적응성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목회자 후보생이 지각하는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 사이에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문제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신학대학원 및 개교회의 협조를 받아 2022년 10월 9일부터 11월 9일까지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수집된 목회자 후보생 151명의 자료를 활용해 연구에서는 변인 간 상관분석, 집단 간 t검정, 그리고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 절차에 따라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분석을 통해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 결과, 지각된 진로장벽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 모두에 부적 상관을 나타냈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적응성과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진로장벽의 하위요인들 중 진로적응성에 더욱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 것은 자기명확성 부족과 대인관계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또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들 중 진로장벽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은 목표선택, 자기평가, 미래계획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 세 하위요인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적응성의 사이에서도 동일하게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둘째,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진로장벽과 진로적응성 사이에서 완전매개효과를 보였다.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통해야만 진로장벽이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Bandura(1997)는 이와 관련하여 개인의 효능감이 환경의 장애를 매개해 줄 수 있다 설명하였고, Hackett과 Bayars(1996) 역시 여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높은 개인은 진로장벽의 요소들이 있음에도 성공적으로 진로발달을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진로장벽을 낮추어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상승시킨다면 진로적응성을 향상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목회자 후보생인 동시에 사역을 하고 있는 자로 연구 대상을 제한하였다.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목회자 후보생들이 현실에서 겪고 있는 진로 현장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설문을 실시하였다는 것이다. 그 결과 목회자 후보생이 진로관련 행동을 하는데 있어 처한 환경을 실태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진로장벽으로 인식되는 요인들의 실재를 미루어 볼 수 있게 된다. 둘째, 목회자 후보생을 지도감독하는 당회와 노회, 그들을 교육하는 신학대학원, 그리고 상담사가 그들에 대한 교육 및 상담 전략을 세우는 과정에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adaptation perceived by candidate for ministry. The study attempted to achieve its goal by setting two research problems. First, it was verified whether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andidate for ministr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tion. Second, it was verified whether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had a mediating effect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adaptation perceived by candidate for ministry. In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9 to November 9, 2022 with the cooperation of each theological graduate school and the local church to examine the level of career barriers, career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candidate for ministry. Finally, data collected from 151 candidates for ministry were used for analysis. For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t-test between high and low groups, and verification of the mediating effect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conducted in accordance with the three-step procedure proposed by Baron & Kenny(1986).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perceived career barrier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adaptation,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areer adapt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barriers, a higher correlation with career adaptation was found to be a lack of self-clarity and interpersonal difficulties.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goal selection, self-evaluation, and future plan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career barriers. And these three sub-fa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career barriers too. Seco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howed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career barriers and career adaptation. It was verified that career barriers affect career adaptability only through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andura(1997) explained that self-efficacy can mediate environmental disorders, and Hackett and Bayars(1996) also argue that individuals with high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can successfully perform career development despite factors of career barrier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examined that career adaptation can be improved by lowering career barriers and increasing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this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limited to those who were both candidate for ministry and those who were engaged in ministry.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 demographic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areer sites that candidates for ministry are experiencing in reality. As a result, this study has the nature of a fact-finding survey and helps to understand the reality faced by candidate for ministry. Second,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process of guiding and supervising candidates for ministry, the presbytery, the theological graduate school that educates them, and counselors establishing education and counseling strategies for them.

      • 미혼 남녀의 자아분화수준과 용서에 대한 신념이 이성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박휘수 숭실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is to refresh importance of forgiveness belief on increasing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by verifying mediating effects of forgiveness belief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It is expected that results of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establish effective counseling strategies for promoting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among unmarried men and women who experience dis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extracted research data depending on convenience sampling by utilizing offline and online surveys. Excluding participants who had not answered survey sincerely, this study selected 106 adult couples as research subjects. The survey includes questionnaire items that estimate self-differentiation, forgiveness belief, and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mong the factors by utilizing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 of each sub-factor of self-differentiation and forgiveness belief, negative results of the forgiveness belief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the self-differentiation. On the other hand, self-handicapping and positive results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the self-differentiation. Second, this study analyzed correlation between the forgiveness belief and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A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negative result, which is a sub-factor of the forgiveness belief, ha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to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s research result issues that recognizing that results of forgiveness behaviors would be negative is an effective method to promote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rd, in order to research effects of the self-differentiation on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and negative results of forgiveness belief o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conduct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the results of that, this study found that the self-differentiation served 6.3% for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and it found that the self-differentiation served 9.2% by mediating the negative result, which is a sub-factor of the self-differentiation and the forgiveness belief. This result means that since the negative result of the forgiveness belief mediates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partially, if the self-differentiation level is equal, the more a couple recognize that results of the forgiveness behaviors would be negative the more the couple satisfies their romantic relationship.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follows. First, focusing on a limitation point of self-differentiation changes, this study researched effects of the forgiveness belief, by considering it as a factor, which has relatively a few perspectives as a factor to Effect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until now.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to prove that the negative results of the forgiveness belief could be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self-differentiation and the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Second, this study approached forgiveness in multi-perspectives and in depth. It has a significance that although existing studies, related to forgiveness, have focused on forgiveness behaviors and changes of satisfaction levels after that, this study researches the forgiveness belief, which precedes forgiveness behaviors. Also, it has a significance that only positive things of forgiveness have highlighted but this study suggests that couples should have integrated cognition not only for positive sides of the forgiveness but also for negative sides. Third, this study suggests that researchers should invent and develop programs that examine individual awareness on forgiveness in counseling and studies for couples in romantic relationships. Specifically, this study issues that it is important to treat that a person should examine own forgiveness belief in the program development, which promotes satisfaction of romantic relationship, he or she could recognize counterpart’s perception on forgiveness belief, and then they share each of their cognition on forgiveness belief. 본 연구는 자아분화수준과 이성관계 만족 사이에서 용서에 대한 신념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이성관계 만족 증진에 있어서 용서에 대한 신념의 중요성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성교제 만족에 어려움을 겪는 미혼 남, 녀의 관계만족을 위한 효과적 상담전략 수립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 자료는 오프라인과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편의표본 추출하였다. 성실하게 응답하지 않은 연구 참여자를 제외한 현재 연애중인 성인 남, 여 106쌍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은 자아분화, 용서에 대한 신념, 이성관계 만족을 측정하는 문항들을 포함하고 있다. 연구 자료는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요인간의 상관분석과 위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아분화와 용서에 대한 신념의 하위요인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용서에 대한 신념 중 부정적인 결과가 자아분화와 정적(正的)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자기 손상과 긍정적인 결과는 자아분화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용서에 대한 신념과 이성관계 만족의 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용서에 대한 신념의 하위변인인 부정적 결과가 이성관계 만족과 정적(正的)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용서 행동의 결과가 부정적일 수 있다는 인식이 이성관계 만족을 높이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자아분화가 이성관계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과 용서에 대한 신념의 부정적 결과가 자아분화와 이성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중다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아분화가 이성관계 만족을 유발하는 데 6.3%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아분화와 용서에 대한 신념의 하위요인인 부정적 결과를 매개로 9.2%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용서에 대한 신념의 부정적 결과가 자아분화와 이성관계 만족을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자아 분화수준이 같은 경우, 용서 행동의 결과가 부정적일 수 있다는 인식을 할수록 이성관계 만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자아분화의 변화에 한계점에 주목하여 이성관계 만족에 미치는 요인으로 아직까지 상대적으로 관점이 적은 용서에 대한 신념이라는 변인을 고려하여 그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용서에 대한 신념 중 부정적 결과가 자아분화와 이성관계 만족 사이에서 매개요인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용서에 대한 다각적이면서 심층적인 접근을 하였다. 기존의 용서와 관련된 연구들은 용서의 행동과 그 이후에 따른 만족도에 변화에 대한 초점을 맞춰왔다면 본 연구는 용서행동보다 선행되는 용서에 대한 신념을 알아보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용서가 긍정적인 부분만 강조되어 왔는데 본 연구를 통해서 용서의 긍정적인 부분뿐 아니라 부정적인 부분에 대한 통합적인 인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이성관계 중인 커플들을 대상으로 하는 상담 및 연구에 있어서 각자 개인들이 가지고 있는 용서에 대한 인식들을 점검하는 프로그램 개발 및 발전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이성관계 만족을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에서 용서에 대한 자기의 신념을 점검하고 상대의 용서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 이를 서로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게 다뤄줘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