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차원 인체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노년 남성용 슬랙스 원형 설계 및 착의평가

        성수형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고령사회의 주요 소비계층인 노년 인구 관련 연구에서 연구대상이 주로 노년 여성에 편중되어 있으며 특히 노년 남성의 필수 아이템인 슬랙스 관련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아 노년 남성을 위한 슬랙스 원형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60~85세 노년 남성의 하반신 체형을 분류하고 다빈도 구간에 의해 선정된 대표체형을 대상으로 3차원 인체 스캔 데이터의 표면을 전개하여 맞음새가 향상된 슬랙스 원형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0~85세 노년 남성은 35~59세 중년 남성보다 키를 비롯한 높이항목과 길이항목은 작아지며 다리부위는 가늘어지는 특징을 보였다. 그러나 복부와 관련된 둘레항목, 너비항목, 두께항목은 증가하여 복부가 굵고 허리에서 엉덩이에 이르는 정면 실루엣의 굴곡이 뚜렷하지 않으며 측면 실루엣은 복부가 돌출된 특징을 보였다. 요인분석을 통한 노년 남성의 하반신 구성요소는 4개 요인으로 요인 1은 복부 수평 크기, 요인 2는 하반신 수직 크기, 요인 3은 다리 수평 크기, 요인 4는 엉덩이 길이로 분석되었다. 요인분석에 의한 4개 하반신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노년 남성의 하반신 체형유형을 분류한 결과 총 3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유형 1은 유형 3과 비슷한 키에 중간정도의 하지길이를 가지며 복부와 다리가 가장 굵고 비만한 체형, 유형 2는 키와 하지길이가 가장 작고 복부와 다리는 중간정도 굵기이며 엉덩이 길이는 다소 긴 체형, 유형 3은 유형 1과 비슷한 키에 가장 큰 하지길이를 가지며 복부와 다리는 날신하고 신체 굴곡이 뚜렷한 체형이다. 유형별 분포는 유형 2가 42.17%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유형 3(32.68%), 유형 1(25.15%)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슬랙스 원형 설계를 위한 3차원 인체 스캔 데이터는 노년 남성의 하반신 체형유형 분석에서 다빈도 구간에 의해 추출된 대표체형인 유형2 중 평균치수 ±1(표준편차)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선정하였다. 원형 설계의 기본이 되는 체표면 전개를 위하여 3차원 인체 스캔 데이터 표면에 기준점과 기준선을 설정하고 surface를 분리하여 평면화한 결과, 3차원 입체 panel과 2차원 평면 panel의 면적 및 외곽선 차이비율이 모두 1% 미만으로 나타나 평면화의 정확성이 검증되었다. 평면화된 각 panel을 조합하여 정렬장식에 따른 2가지 체표평면전개도를 작성하고 3차원 가상착의를 통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는 체표평면전개도 1종을 선정하였으며 슬랙스 원형의 필수 구성요소인 여유량, 앞뒤 샅폭, 다트, 밑위길이, 뒤중심선의 각도, 옆선을 도출하였다. 엉덩이둘레 여유량은 외포둘레에서 구하고, 각 구성요소의 치수는 체표평면전개도의 해당 부위를 측정하여 인체치수의 비율로 변환한 제도식을 제안하였다. 슬랙스 연구원형은 3차원 가상착의와 실제 착의를 통하여 수정 및 보완과정을 거쳐 최종 완성하였다. 셋째, 연구원형의 신체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비교원형과 착의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외관적합성 평가와 동작기능성 평가에서 연구원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구원형은 중장년층을 타깃으로 하여 허리둘레 증가에 따라 바지통도 함께 커져 전체적인 외관이 나빠지는 기존 슬랙스의 문제점을 노년 남성의 체표평면전개도를 사용함으로써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것으로 보여 진다. 노년 남성의 경우 복부둘레 증가에 비하여 다리는 가늘어지므로 일반 성인 남성의 슬랙스 원형 제도법과 다른 방법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3차원 인체 스캔 데이터에서 전개된 체표평면전개도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는 3차원 인체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노년 남성의 하반신 체형에 적합한 슬랙스 원형 설계법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노년 남성을 위한 슬랙스제품 설계 시 본 연구에 제시된 원형에 용도에 맞는 여유량을 추가하거나 다양한 디자인에 쉽게 적용 가능하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슬랙스 패턴 제작에의 활용이 기대된다. Most of the researches for aged people in Korea have focused on aged women. Among those in the area of garment design for aged men, slacks was scarcely investigated, which is an essential item, however, troublesome in fit. From this context, this study tried to provide basic data to design slacks pattern for elderly men using 3D technologies. The types of the lower body of Korean old men aged 60-85 were analyzed compare with middle aged men and classified using anthropometric measurements from 3D scan data. For this purpose,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ANOVA with post-hoc test were done by SPSS. The representative subject of the largest group was selected and his 3D body scan data was processed and flattened to get replica of body surface using CAD programs such as CATIA and Yuka CAD. Design factors of slacks pattern were measured from this replica to provide the prototype slacks pattern, its suitability was examined by virtual 3D fitting and wear trials. Considering the results of wear tests, the drafting method of slacks pattern for Korean elderly men was produce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Compared with 35~59, Korean men in their 60~85 showed more protruded abdomen and thinner legs. Factor analysis provided 4 factors such as horizontal dimension of abdomen part(factor 1), vertical dimension of the lower part(factor 2), horizontal dimension of leg(factor 3), and length of hip part(factor 4). Using factor scores, three types were categorized into 3 types. Type 1(25.15%) was the fattest one with the largest limbs and abdomen. Type 2(42.17%) showed normal obesity in abdomen and legs with smallest in height and longest in hip length. Type 3(32.68%) was the slimmest one with slender abdomen and legs, showing the most hourglass-like silhouette. The replica of lower body surface was derived from 3D body scan data of the representative subject of the largest group(type 2), whose the difference rate between 2D and 3D panels showed under 1% in both outlines and area. Two alignment methods were done and compared through 3D virtual test using CLO program; one was based on front and back center lines: the other was to minimize the overlaps and gaps between panels. As the result, the former was selected as more suitable and superior to the latter since it showed less undesirable creases in the leg part. Several design factors of slacks pattern were measured from the replica as ease amount, crotch extension width, dart amount, the slant angle of the back centerline, etc. The drafting method of slacks prototype pattern for Korean elderly men was produced by converting the measurements to regression equation using key dimensions like hip girth. Its suitability was examined comparing with the commercial and educational patterns based on virtual 3D fitting and wear trials. As the results of wear tests, developed pattern of this research was evaluated as the most desirable one in fit and appearance. This result implies that 3D body scan data can solve the fit problem of the existing pattern, which unreasonably expand the width of the pants with the growth of the waist girth or the hip girth.

      • 3D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체표면 변화 및 의복압 분석에 따른 밀착 하의 패턴 개발

        정은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a result of a survey on 9,000 people over 10 years old in Korea, the participation rate in recreational sports was 86.6% in 2017. As the population of recreational sports increase including jogging, yoga and stretching, related market sales and the interests in sportswear such as compression wear and athleisure wear are increasing.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on sport pants made with stretch fabrics focused on squat posture using male's data. Moreover, rare studies have been done on pattern design considering the maximum/minimum articulation movable range of general postures in recreational sports and daily life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devise a methodology to partially apply body surface reduction rate on each pattern piece in the case of the maximum/minimum motions using women's 3D scan data. In order to carry out the research, three subjects in their early 20's were purposely selected, whose representative measurements were within the standard size range of mean±1δ(standard deviation) proposed by KATS(2010). The five experimental postures of the lower body were selected by previous studies: attention, flexion, extension, abduction and adduction. 3D scan data of 3 subjects were collected for five motions. Horizontal and longitudinal lengths of lower body surface of every motion was measured using CAD program and body surface change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attention motion. Based on the body surface change critical point from +(extension) to -(reduction), the non-extension lines were derived, which divided the lower body surface into five blocks such as the waist(B1), the abdomen/crotch(B2), the buttock(B3), the calf(front)(B4), and the calf(back)(B5). Using the CAD program, the replicas of five blocks were flattened with less than 1% of 3D-2D difference ratio of area and outlines, showing the pattern-making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were acceptable. Based on the interview with the fabric suppliers, 6 stretchable knit fabrics related with research item(stretch pants for recreational sports) were collected, and whose tensile strength, thickness, composition, and knitting types were investigated. Considering those characteristics and final usage, the most suitable one(nylon 75%, spandex 25%) was chosen and its elongation ratio was measured. Experimental patters were drafted by applying three kinds of pattern reduction ratio; 1)0%(replica itself for experimental garment 1), 2)the average (experimental garment 2): and 3)the maximum (experimental garment 3) of horizontal and longitudinal body length change ratios of each block. Final pattern length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quation: {replica length+(replica length×body surface change ratio×0.01)} / {1+(fabric stretch ratio×0.01)} As the result, Pattern 2 showed 6% reduction ratio in wale and 14% in course: Pattern 3 showed 3% in wale and 9% in course. To check the suitability of the developed patterns, wear trials were applied for eight average subjects in terms of garment pressure and the subjective evaluations including fit, appearance and movability. Regarding garment pressure, most of the figures except several motions when wearing EG2, were suitable showing less than the critical figures(40gf/㎠). And EG2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ressure than other garments(p<0.001), which implies that the maximum body change ratio application method(EG 3) can guarantee better garment pressure rather than average body surface change ratio. Form the same context, EG 3 got significantly higher evaluations rather than other garments in terms of appearance and movability. These findings showed the methodology proposed by this study could be applied when designing stretchable pants considering body surface change data of each body part. 전국에 거주하는 만 10세 이상 국민 9,000명을 대상으로 생활체육 경험율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2017년 86.6%로 나타났다. 생활체육에 참여하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스포츠 시장 매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컴프레션 웨어(compression wear), 애슬레저 웨어(athleisure wear)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요가, 조깅, 스트레칭 등 생활체육과 일상생활 동작시 착용감과 맞음새가 우수한 밀착형 하의 패턴 개발에 목적이 있으며 남성 위주로 일괄적인 패턴 축소율을 적용한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하반신 최대 가동역을 적용한 동작을 선정하고, 20대 여성의 3차원 체표면 변화를 분석하여 패턴 블록별 적정 축소율을 탐색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기술표준원에서 제공하는 20대 전반 여성의 인체치수 정보를 활용하여 표준 평균사이즈의 ±1δ(표준편차)의 실험대상자 3인을 선정하였고 인체의 최대 가동범위를 고려한 굴곡, 외전, 내전, 신전과 정자세의 체표면을 3D 인체 스캐너로 수집하고, 상용 CAD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체표 길이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 때 체표 변화량에 기반하여 무변형선을 도출하고 이를 패턴 설계시 절개선으로 사용하여 5개 블록으로 구분하였다. 블록별로 가로, 세로방향 길이 변화율을 산출하고, 서피스를 2차원 체표평면전개도로 평면화하였으며, 이 때 면적 및 외곽선 차이오차율은 총 면적에 있어서 오차(0.03% 1.277㎠) 1%미만, 외곽선 길이 차이는 0.9㎝(0.15%)로 1㎝ 이내로 체표평면전개도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복 제작에 앞서 소재 선정을 위하여 소재업체 전문가 인터뷰 결과 타깃 아이템에 해당되는 6개 소재를 수집하여 인장강도, 두께, 혼용율, 용도를 고려하여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된 1개의 소재(Nylon 75%, Span 25%) 신장율을 측정하였다. 체표면 가로세로 길이의 평균 변화율과 최대 변화율에 대응하도록 블록별 패턴 축소율을 산출하기 위하여 {replica length+(replica length×body surface change ratio×0.01)} / {1+(fabric stretch ratio×0.01)}식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입하여 3종의 실험복 패턴 길이를 산출하여 제작하였다. 실험복 1은 체표평면전개도 원형을 사용하여 축소율이 적용되지 않은 실험복이고, 실험복 2는 평균변화율(B1: -.058%, 1.57%, B2: -0.73%, 2.09%, B3: 6.13%, 2.23%, B4: 2.26%, 1.44%, B5: -1.78%, -0.29%), 실험복 3은 최대 변화율(B1: -12.63%, 11.97%, B2: -1.04%, 6.72%, B3: 21.53%, 7.48%, B4: 8.23%, 6.06%, B5: -6.05%, -1.74%)을 고려하여 소재 축소율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실험복 2의 축소율은 총 길이에서 wale 6%, course 14% 축소되었으며 실험 3은 wale 3%, course 9% 축소되었다. 개발 제품의 실험복 검증과 가장 적합한 패턴 축소율을 얻고자 평균체형에 해당되는 8인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험복 3종에 대하여 의복압과 주관적 평가, 시판제품과 비교평가를 실시하였다. 의복압은 총 6부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실험복 1은 0.6815㎪, 실험복 2는 1.1077㎪, 실험복 3은 0.8589㎪의 평균값을 나타냈으며 실험복 간 의복압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01). 주관적 평가는 맞음새, 동작적합성, 외관평가 총 3종류의 설문지에 응답하도록 하였으며 맞음새 평가 결과 허리 부위, 엉덩이 부위, 허벅지 부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p<.001), 샅(회음부) 부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동작적합성 평가 결과, 실험복3에서 평균 4.29로 동작적합성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복2에서 3.77로 가장 불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험복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외관평가 결과 실험복 3의 착 탈의 편의성(p<.001)과 레깅스에 적합한 소재인지에 대한 문항(p<.05)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실험복 3이 가장 적합한 의복압이 적정한 수준에서 나타났으며 실험복 1, 2보다 더 우수한 주관적 평가를 받았다. 가장 우수한 것으로 선정된 실험복 3과 요가복 글로벌 브랜드인 ‘룰루레몬’에서 실험복 소재(Nylon 75%, Span 25%)와 비슷한 혼용률과 절개선을 가지는 시판제품(Nylon 77%, Span 23%)에 대하여 동작적합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시판제품(M=3.95), 개발제품 (M=3.99)로 개발제품이 더 좋은 평가를 얻었다.

      • 3차원 인체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베트남 30대 여성 체형 분석 및 토르소 패턴 설계 : Somatotype Analysis and Torso Pattern Development for Vietnamese Women in 30s Using 3D Body Scan Data

        트란티민카우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583

        현재 베트남 여성을 위한 사이즈 차트는 1994년에 수립되었으며, 연령대별 체형 특성 등을 반영하고 있지 않아 기성복 선택 시 맞음새 등 소비자의 불만족을 야기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체형 특성을 고려한 패턴 설계를 통해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베트남 여성들의 체형 특성에 대한 심도있는 분석이나 사이즈 시스템 설계 등은 미흡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정확한 인체 정보를 의복 설계시 반영하기 위해 전세계적으로 도입되고 있는 3차원 스캔 기술이 베트남 여성을 위한 의류 패턴 설계에는 적용된 사례가 아직 보고 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30대 베트남 여성을 대상으로 한 3차원 인체 스캔 결과 얻은 인체계측치로부터 체형 분류 및 사이즈 차트를 도출하고, 체형별 대표적인 3차원 모델을 대상으로 3D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상의 설계의 기본이 되는 토르소 패턴과 소매 패턴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과정에서 3차원 모델에 의복 설계시 필요한 여유량을 직접 부여하여 모델을 생성하는 방법론을 모색하고 이를 적용한3차원 인체 모델링 과정을 수행하였다는 데 이전의 연구와 차별화되는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3차원 인체 스캔 데이터 수집을 위해 베트남30대 여성 927명이 실험에 참가하였다. 3차원 인체 스캔장치([TC]²)에 내장된 자동인체계측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47개 항목에 대한 인체측정을 실시하였으며, 체형분석을 위해 18개의 지수치를 산출하였다. 체형요인 도출을 위해 주성분 분석, 체형분류를 위해 군집분석, 유형별 체형특징 분석을 위해 분산분석 및 사후검정을 실시하였으며, 사이즈 차트 설계를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 결과, 12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전체 변량의 87.84%를 설명하였다. 베트남 30대 여성의 체형을 설명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높이, 비만도, 배부분 형태, 두께, 가슴둘레-허리 비율 등이 도출되었으며, 요인점수를 활용한 군집분석 결과, “Average/Slim (AS) type”(33.98%), “Average (A) type”(34.41%), “Tall/Big (TB) type”(31.61%)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사이즈 차트의 기본이 되는 2가지 주요 치수는, 체형 요인의 중요도 및 인체측정치의 인지도 등을 고려하여, 제 1요인으로부터 신장, 제 2요인으로부터 가슴둘레로 선정하였다. 이들 주요치수의 평균 사이즈는 각 체형의 평균값을 적용하였으며, 치수간격은 표준편차를 근거로 커버율이 높고 사이즈 수가 최소가 되는 방향으로 선정하여 사이즈를 전개하고, 각 셀을 선택하는 기준 비율을 1%에서 6%까지 변화시켜 각각의 커버율과 사이즈 수를 제시함으로써 생산업체에서 원하는 목표 소비자와 생산효율에 따라 원하는 사이즈 범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이즈 표시는 체형•신장•가슴둘레의 순으로 표기하며, 각 체형의 평균에 해당되는 대표 사이즈는 각각 AS•157•83, A•156•86, TB•161•88이다. 이들 대표 사이즈의 평균에 해당되는 대표 피험자의 3차원 인체 스캔 데이터를 대상으로, 표면의 오목한 부분을 평평하게 보정한 3차원 밀착의형 모델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인체 모델에 의복 설계시 필요한 여유량, 즉 가슴둘레에 4㎝, 허리, 배, 엉덩이 둘레에는 3㎝를 부가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여기서 방사상 공간 여유량(radial ease allowance)과 둘레상 여유(girth ease) 의 개념이 도입되었으며, 극좌표계에서 원호를 각도로 계산하는 원리를 활용하여 원하는 여유량을 추가할 때 예측되는 의복 단면의 곡면을 얻기 위해 인체 표면의 점이 이동되어야 하는 거리를 산출하였다. 이 때, 단면의 모든 부분에 균일하게 여유량을 삽입하는 것이 아니라 여유량이 필요하지 않은 몸의 중심 부분(fit zone)과 필요한 측면 부분(free zone)으로 구분하여, 필요하지 않은 중심 부분에서 측면부분으로 진행하면서 더 많은 여유가 추가되도록 단면을 잘게 세분하여 부분별로 배분 비율을 조절하였다. 실제 측정한 의복 단면상 세분한 길이와 추정한 길이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한 결과, 세분하는 호의 길이는 3.8㎝ 이하가 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추정한 의복단면의 형상을 토대로 매끈한 표면 형태를 생성하기 위해 s-p line을 설정하고, 이로부터 nurbs curve를 작성함으로써 여유량을 포함한 인체 모델을 완성하였으며, 그 표면을 2차원 평면화함으로써 의복 패턴을 작성하였다. 3차원으로부터 2차원 변환시 발생하는 평면화 오차는 외곽선에 대해서는 0.38 %와 면적에 대해서는 0.28 %로 나타나 근소한 차이임을 알 수 있으며, 3차원과 2차원 데이터에 대한 T-test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사용된 평면화 방법이 적용가능한 방법임을 알 수 있다. 2D 패턴에서 측정한 다트량 및 패턴 구성 요인은 체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 체형별 패턴 설계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설계된 패턴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3차원 가상 착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개발된 실험 패턴과 업체 패턴의 맞음새를 외관평가, 의복압, 공극량측정, monochrome view등을 통 비교 분석한 결과, 업체 패턴에 비해 실험용 패턴이 여유량이 적정하며, 외관에 있어 좋은 평가를 받아 맞음새가 향상되었음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베트남 30대 여성을 위한 사이즈 차트, 토르소 및 소매 패턴을 도출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적합도 높은 의류 설계 및 생산성 효율이라는 측면에서 베트남 의류업체에 주요한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3차원 인체 스캔 데이터에 직접 원하는 여유량을 부분적으로 삽입하는 방법론을 모색, 제안함으로써 3차원 모델링 및 디지털 패턴 생성의 연구 방법론 도출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핵심어 : 베트남 30대 여성, 3차원 인체 스캔 데이터, 체형, 사이즈 차트, 토르소 원형, 소매 원형, 방사상 공간 여유량, 3차원 여유량 첨가 모델, 3차원 가상 착의 Current size chart for Vietnam women was established in 1994, in which the segmentation of population into appropriate body types in aged-groups is neglected. It leads to customers’ frustration in fit issue. Until now, no research has applied 3D technology in apparel pattern design for Vietnamese women. Therefore, this research was designed to develop new size charts and basic torso patterns for relevant somatotypes for Vietnamese women in thirties aged-group using 3D scan data and 3D software. The results would improve the fit of garments for Vietnamese women in their thirties.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were: 1) to analyze the somatotypes of Vietnamese women aged thirties; 2) to develop size chart for every somatotype; 3) to develop a methodology of generating ‘3D dressed-model with ease’ for torso and set-in sleeve; 4) to generate the 2D basic torso pattern and set-in sleeve pattern for 3 representative sizes of Vietnamese women in their thirties by applying the methodology of generating ‘3D dressed-model with ease’; 5) to verify the developed pattern via 3D simulation. Nine hundreds and twenty-seven (927) Vietnamese women in 30s aged-group participated in 3D body scanning ([TC]²) in 2009 and early 2010. Principle component factor analysis, K-mean cluster analysis, ANOVA Duncan post hoc test, cross-tabu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actor analyzed 67 measurement items extracted 12 factors scores, which used as the critera for K-mean cluster analysis, resulted in three body types in the 30s aged-group which were “Average/Slim”, “Average”, “Tall/Big”. Stature and bust girth were the key measurements of torso size charts as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Several iterations of cross-tabulation tables of different intersize-interval of two key control dmeasurements were test until the highest accommodation rate and reasonable number of sizes achieved. Three average size of size charts and the relevant somatotypes were AS•157•83, AA •156•86, TB•161•88. Options of size number and the accommodation rate in corresponding to the preset cel at 1%, 2%, 3%, 4%, 5%, 6% were delivered to manufacturers. If picking the accommodation rate of the precell over 1.0%, the total accommodation rate found in this study was 93.83%. If picking the accommodation rate of the cell over 6.0%, the total accommodation rate found in this study was 69.99%. Secondary measurements were estimated based o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se size charts provided percentage of each size which was significant to manufacturers who concerned about the quantity of each size in product ranges. When using Rapidform XOR3 to generate surface of ‘3D dressed-model with ease’ for torso and sleeve, two steps were established. First step was generating the 3D tight-fitted dressed body. The 3D tight-fitted dressed body was constructed by convex hull algorithm which moved the control points horizontally and vertically. In the second step, the ‘3D dressed-model with ease’ was generated from 3D tight-fitted dressed by adding 4cm of ease onto the cross sections of full bust; 3cm of ease onto full waist, abdomen, hip; 4cm of ease onto bicep, elbow, forearm, and wrist. Radial Ease Allowance of the garment could be estimated from the formulae of polar coordinates system in respect to the arc length as small as 3.99 mm and the radian was subtended by the 2 neighbouring radii. Then based on the estimated REA points, modified s-p lines at the 8 mentioned cross sections were constructed. The purpose of s-p line was to smoothen the nurbs surface of the ‘3D dressed-model with ease’ before flattening to minimize flattening errors. The 2D flatten patterns which were achieved from the transformation of 3D surface of ‘3D dressed-model with ease’ became the basic patterns. Based on the measurements of the details in 2D flatten patterns, drafting formulae for basic torso pattern and set-in sleeve pattern were developed. The equation between each of construction guideline’s measurement and the bust girth was calculated according to Bunka drafting method. Three 3D model sizes had the highest accommodation rate in the three size charts which were developed for relevant somatotypes were selected to generate ‘3D dressed-model with ease’s and to develop drafting formulae for basic patterns. Error when flattening from 3D surfaces to 2D pieces was 0.38% for out-line and 0.28% for area. Paired sample T-test of 3D area and out-line and 2D area and out-line resulted in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distributions of dart intake on 2D pattern pieces were varied depend on the somatotypes. Comparison the garment fit between garment made by the experimental pattern and garment made by commercial pattern verified via monochrome view, overlapping, garment pressure and measuring the gap between body and garment using 3D simulation. Results of pair sample t-test for the appearance evaluation between experimental and commercial garment proved the improvement in garment fit when using the 3D generated flat pattern. This research studied a complete process from 3D anthropometrics data to finished basic torso and sleeve garment using 3D non-contact technology for Vietnamese women in 30s aged-group. The results provided important references to design and production for Vietnamese garment industry. This research also developed the initial methodology of adding ease allowance direct onto the 3D surface before flattening. This methodology had a contribution to research of 3D pattern generation.

      • 제로 웨이스트 커팅 기반 요양병원 여성 와상환자복 개발

        진미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583

        본 연구는 노년 여성 와상환자를 위한 환자복 개발을 목표로, 요양병 원 기존 환자복과 시판 환자복 실태조사, 환자와 간병인을 대상 만족도 와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사용 만족도를 높이는 사용자 중심 의복 설계 요인을 설정하고 그 패턴 제도법을 도출하였다. 또한, 의복설계생 산 관점에서 ESG 측면에서 주요 요소인 원단 로스율 최소화 재단 기법 을 도출하고자 디자인이 허용되는 한계 내에서 패턴 변형을 실시하여 CAD 프로그램으로 제로 웨이스트 마킹을 수행하였다. 시판 환자복은 주요 포털사이트에서 검색된 8개 브랜드 홈페이지의 자 료를 바탕으로 총 857개의 정보를 수집하여 형태에 따라 분류하였고 이 중 본 연구에 적합한 유형인 부분 트임형 환자복 84개의 특징을 분석하 여 환자복 설계 요소를 도출하였다. 사용자 수요조사 결과, 불만족하는 요소로 특히, 정맥주사 처치와 욕창 관리의 어려움, 바지 허리 여밈과 상의 앞여밈, 원단은 촉감 등이 문제로 나타났다. 선호도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노년 여성 환자복은 상하 분리 형태로 선정하였으며, 7부 소매 상의는 설계 시 정맥주사 처치를 용이하게 하도록 전완부 앞면 절개선을 설정하고, 그 길이는 주사 처치 시 가장 편안한 팔꿈치 윗부분까지로 하 였다. 또한 간병인 착탈의를 수행하기 편하도록 좌측 옆목점부터 소매부리, 옆선과 소매밑선에 절개선을 두고 스냅단추를 여밈장치로 선정하였 다. 하의는 가장 선호도가 높은 9부 길이 바지 형태로 장시간 누워있는 환자의 배김 등을 해소하기 위해 뒷중심선을 없애는 뒤골선 처리 디자인 을 적용하였으며, 상의와 마찬가지로 좌측 측면에 스냅단추 여밈의 절개 선을 두어 환자들이 옆으로 몸을 돌려 편하게 옷을 갈아입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와상 환자복 원단 선정은 선행연구 조사를 기반으로 시장 조사를 통해 기존 환자복과 유사한 16수 원단 2종과 20수 1종을 선정 후 세 가지 원 단 중 환자와 간병인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원단을 선택하였다. 또한, 기존 환자복 원단과 개발 환자복의 원단을 물리적 특성 비교를 통해 KATRI 시험연구원에 분석 결과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노년 여성 와상 환자복 치수 설정은 사용자의 기존 환자복 착용 치수 를 분석하여 M 치수를 기준으로 설정하였으며, 노년 여성복 치수 규격 (KS K 0055, 2019)을 참고하여 그 결과 상의는 가슴둘레 86~94㎝, 하의는 엉덩이둘레 87~93㎝의 값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로 웨이스트 커팅 기반 환자복 패턴 설계 결과 기존 환자복은 원단 효율 77.42%, 로스율 22.58%로 나타났고 개발 환자복 M 치수는 원단 효 율 90.48%, 로스율 9.52%, 개발 환자복의 S, M, L 치수를 모두 배치한 결 과는 원단 효율 91.72%, 원단 로스율 8.28%로 나타나 개발 환자복 패턴 의 원단 효율이 기존 환자복 대비 확연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디자인된 환자복은 착의 적합성 평가 결과는 소 매길이, 바지길이, 정맥주사 줄 관리, 배뇨관 처치, 대소변처리, 욕창 관리, 바지 허리여밈, 엉덩이 배김 정도 등의 항목에서 평균 4.00점 이상을 받으며 개발 환자복의 착용성이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외관 평가에 서도 기저귀를 착용하기에 여유량이 적절하고 교체가 편리해 보이며, 정 맥주사 간호 처치가 용이해 보이는 등 전문가 집단으로부터 긍정적인 평 가를 받았다. 본 연구는 노년 여성 와상환자의 편의성과 환경 친화성을 고려한 혁 신적인 환자복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개발된 환자복은 기존 제품에 비해 원단 로스율이 낮아지고 착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었 음을 입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