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계천 헌책방거리 활성화를 위한 장소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박시연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Unlike the past when knowledge and pleasure had been obtained by books, various media was developed, reading population was gradually reduced and huge bookstores were early changed to the place consuming various cultures for the periodical changes. But, bookstores who couldn't follow them are on the boundary between existence and unexistence. Not only new book stores but also secondhand book stores are gradually reduced. New books can be purchased cheaply by online and there are even online secondhand book stores and huge franchise secondhand book stores. It's a natural reason that people purchase more pleasant and convenient environment. In our country, there are still several representative streets of secondhand book store in the region. Those streets are urban assets and cultural heritage which have been succeeded with a history of each regional society, but they are actually maintain the context of name without following the periodical stream. On the other hand, it's impossible to consider the phenomenon as a simply periodical change. Hay-on-wye book town in England, Kanda-Jimbocho book town in Japan and secondhand book streets of other countries are global tourist attractions lots of people visit. Not only overseas examples but also Bosu-dong book street in Busan become tourist attractions which are representative for the region successfully. Like the previous examples, specialized street including individuality and history of each region can be excellent resources which can vitalize the regional society. According to the fever of regional‧tourism brand development, more effective development can be expected if utilizing specialized street rather than trying tough development. Therefore, this research intends to establish vitalization plans by focusing on the most representative Cheonggyecheon secondhand book street among the remained secondhand book streets. As an improvement plan by partial changes, not development of the whole street, identity of Cheonggyecheon secondhand book street was established and design system of brand identity was established. The concept was set by considering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Cheonggyecheon secondhand book street and individualities of specialized street, aiming point was drawn by survey and brand identity design was developed. This research intended to create a sense of unity and induce improvement of existing negative awareness and effects of awareness improvement by establishing identity system of Cheonggyecheon secondhand book street. In addition, it should be a cultural space communicating with more people because of the reading promotion policy conducted in Seoul city and secondhand book store related service. 책을 통해 지식과 즐거움을 얻던 과거와 달리, 다양한 매체가 발달하면서 독서 인구는 점차 감소하였고, 대형 서점은 일찌감치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발맞추어 다양한 문화를 소비할 수 있는 장소로 탈바꿈하였다. 그러나 이를 따라가지 못한 서점들은 존폐의 기로에 서 있으며, 신간 서점뿐만 아니라 헌책방도 그 수가 점점 줄어들고 있다. 새 책도 온라인을 통해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데다, 온라인 중고 서점과 대형 프랜차이즈 중고 서점까지 등장했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더욱 쾌적하고 편리한 환경을 좇는 것은 당연한 이치일 것이다. 우리나라에는 아직 지역의 대표적인 헌책방거리 몇 곳이 남아 있다. 이 거리들은 각 지역 사회의 역사를 함께해 온 도시의 재산이며 문화적 유산이지만, 이들 역시 시대의 흐름을 따라가지 못하고 그 명맥만 간신히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이러한 현상을 단순히 시대적 변화만으로 치부할 수는 없다. 영국의 헤이온와이 책 마을, 일본의 간다 고서점 거리, 그리고 해외 곳곳의 오래된 책방 거리들은 오히려 매해 수많은 사람이 다녀가는 세계적인 관광지이기 때문이다. 해외 사례뿐만 아니라 부산의 보수동 책방골목 또한, 지역을 대표하는 관광지로서 성공적인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이러한 선례들과 같이, 각 지역의 개성과 역사를 간직한 특화 거리는 그 지역 사회를 활성화할 수 있는 훌륭한 자원이 될 수 있다. 지역‧관광 브랜드 개발 열풍에 따라 무리한 개발을 시도하기보다는, 현존하고 있는 특화 거리를 활용한다면 보다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남아 있는 헌책방거리 중 가장 대표적인 청계천 헌책방거리를 중심으로 하여 활성화 방안을 세우고자 한다. 거리 전체의 개발이 아니라, 일부분의 변화를 통한 개선책으로서 청계천 헌책방거리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 체계를 구축하였다. 또 청계천 헌책방거리의 지리적‧역사적 특징과 특화 거리로서의 개성을 고려하여 콘셉트를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지향점을 도출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청계천 헌책방거리의 아이덴티티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일체감을 조성하고, 기존의 부정적인 인식의 개선과 인지도 상승효과를 꾀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서울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독서 장려 정책 및 헌책방 관련 서비스로 말미암아, 더 많은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는 문화공간으로서의 모습을 기대해 본다.

      • 한글전각기법을 활용한 아이덴티티 디자인 연구 : 대전 뿌리공원을 중심으로

        강영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We should review the old and learn the new regarding securing 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recreate existing ones more beautifully and excellently. Seal engraving occupies an important position with oriental paintings and calligraphy. This oriental art has been changed. The seal engraving has its own unique formative beauty and creates a comprehensive art of engraving, painting, and writing. In the 20th century, the seal engraving has been developed into a brilliant activity by many of the great artists. However, we are still familiar with Chinese characters rather than Korean seal engraving. The reason is that Korean language has a shorter history than Chinese language with thousands of years, therefore there was not enough time to exhibit artistic value. In addition, the development of Korean seal engraving has been slowly developed due to subordinate value of Chinese language that is caused by the socialism of Confucian society. In addition, Chinese characters are diverse and can be changed in many ways However, Korean language is a phonetic alphabet composed of vowels and consonants. Therefore it is inferior to Chinese characters. Then, is it impossible that Korean seal engraving to be developed due to its characters? Is it not possible to be developed as esthetic seal engraving? Therefor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formativeness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seal engraving and the three methods of the seal engraving in order to create Korean seal engraving with unique formativeness. We have studied the development possibilities of Korean seal engraving by applying it to the brand identity design which has the subjectivity and originality. There are three methods of the seal engraving that can be called as formativeness; letter method, chapter method and sword method. Among them, we summarized the examples and techniques with the 13th edition (2017) of the Korean Association which is recorded in "The Transformation and Formativeness of the Korean seal engraving" by Lee Myung Hwan (2011). Next, we looked at the brand that used the Korean seal engraving as an identity. then looked at how to construct an identity image with certain expression technique. As the expression technique, the lightness of the stroke was expressed by “Gyeongjung”and bending of the stroke and change of its letter were expressed by“Gulsin”and“Chamchi technique”was used to jiggle the arrangement of characters placed on the seal. If the seal engraving is used as an identity design and engraved the originality of faith, reliability, and Eastern tradition, we were able to express the beauty of the blank space which contains the will of the artist that is expressed by trace. If it is designed with the Korean seal engraving, as mentioned above, it will create a brand identity that implies the various values. Therefore we conducted the study on identity design of‘Ppuri Park' which has 244 sculptures by stone-carved stone of each surname with the Korean seal engrav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resent situation and design problems of the Ppuri Park through various case studies and literature review, it is found that the Ppuri Park does not contain the visual elements in the park even though it is different theme park. Especially, the biggest problem was that there is no logo or word mark of the Ppuri Park. Thus, the fonts, colors, and layout seem to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s Ppuri Park has no identity, its expandibility is lacking. Therefore an effective brand identity design should be made as an supplement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took the motif of 'Sculpture of each surname' engraved on stone of the Root Park and set design motif as 'Root of ancestors' in order to effectively express it with technique of the seal engraving. As a result, the sculpture elements with the seal engraving have produced original results in building the image of the Ppuri park. Through the identity design of Ppuri Park, we attempted to raise a synergy effect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seal engraving and theme park. 우리는 국가 경쟁력 확보에 있어 온고지신(溫故知新)과 같은 마음으로 기존의 것을 더욱 아름답고 우수하게 재창조할 필요가 있다. 전각은 동양화와 서예와 함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면서 변화되어 온 동양예술이다. 전각은 독자적인 조형미를 가지고 있으면서 각(刻)·화(畵)·서(書)로써 종합예술을 만들어 낸다. 그러한 전각예술은 우리나라에서도 20세기에 들면서 다수의 전각가들의 눈부신 활동으로 발전하였다. 그러나 우리는 아직도 한글전각보다는 한자전각에 익숙하다. 그 이유는 한글은 수천 년 거슬러 올라가는 한문보다 역사가 짧아 예술적 가치를 발휘하기엔 기간이 부족했고 유교 사회의 사대주의 때문에 한자의 종속 가치로 한글을 경시하여 한글전각의 발전이 더뎌졌다. 또한, 한자는 표의문자로 자체가 다양하고 그 변화가 풍부할 수 있는 반면에 한글은 모음과 자음으로 이루어진 표음문자로 단순한 형태 때문에 조형성에 있어서 한자보다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렇다면 한글전각은 태생적인 자체의 문제로 발전 가능성이 없는 것인가? 심미성 있는 한글전각을 할 수 없는 것인가?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창적인 조형성을 가진 한글전각을 만들어 내기 위해 전각에 대한 이해와 전각삼법(塡刻三法)을 통해 조형성을 알아보고 주체성과 독창성을 가져야 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적용해 봄으로써 한글전각의 발전 가능성에 관해 연구해 보았다. 전각의 조형성이라고 부를 수 있는 전각삼법(塡刻三法)에는 자법(字法), 장법(章法), 도법(刀法)이 있다. 그중 장법(章法)을 이명환(2011)의 「한글전각의 변천과 조형성」에 나온 전각 예시와 한국전각협회의 제13호(2017) 전각으로 기법들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현재 한글전각을 아이덴티티로 사용한 브랜드를 알아보고 어떤 표현기법을 사용하여 아이덴티티 이미지 구축을 하였는지 살펴보았다. 표현기법으로는 획의 굵기를 표현하는 경중(輕重), 문자의 형태를 변형시켜 활용하는 것으로 획을 굽히거나 또는 그 모양을 펴서 변화를 주는 굴신(屈伸), 인면(印面)에 배치하는 문자의 배열을 들쭉날쭉하게 하는 참치(參差)기법이 많이 쓰였다. 전각을 아이덴티티 디자인으로 사용하면 인장이 의미하는 믿음과 신뢰성, 동양의 전통성, 장법으로 만들어 낸 독창성과 전각을 새길 때 의도치 않게 생긴 파흔(波痕)으로 나타난 자연미, 작가의 의지를 담을 수 있는 여백의 미로 표현 가능하였다. 한글전각기법은 위에서 언급한 다양한 가치들을 함축적으로 담아낸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만들어 낼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한글전각 기법을 활용하여 돌에 새긴 성씨별 조형물이 244개 존재하는‘뿌리공원’아이덴티티 디자인연구를 하였다. 다각도의 사례 조사와 문헌적 고찰을 통해 뿌리공원의 현황과 디자인의 문제점을 분석해 본 결과 뿌리공원은 차별성을 가진 테마공원인데도 불구하고 공원 내에 시각적 요소들이 그 의미를 담아내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제일 큰 문제점은 뿌리공원만의 로고와 워드마크가 없다는 점이다. 그로 인해 사용에 있어 각기 다른 서체와 색상, 레이아웃으로 통일감이 떨어져 보인다. 뿌리공원은 브랜드로서 정체성이 없기에 확장성 또한 떨어지니 이를 보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구축되어야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뿌리공원에 있는 돌로 새겨진‘성씨별 조형물’과 네이밍에서 느껴지는‘조상의 뿌리’를 디자인 모티브로 잡고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전각의 기법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뿌리공원의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통해 한글전각에 대한 발전과 함께 테마공원의 발전에도 상승효과를 끌어내고자 하였다.

      •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활용한 국내 SPA 브랜드 아이덴티티 표현연구 : 탑텐(TOPTEN) 브랜드를 중심으로

        전민영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세계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 이후 SPA 브랜드는 급성장했다. 기존 소비자는 품질 좋은 제품으로 구매해서 장기간 보유하였지만 트렌드의 변화와 IT 기술의 발전으로 현대 소비자들은 브랜드보다 앞선 트렌드를 추구하고 소비자의 정보수준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합리적인 소비 성향이 확대되고 제품 및 브랜드에 대해 디자인, 품질, 가격 3가지를 모두 갖춘 패스트패션이 인기를 얻고 있는 것이다. SPA 브랜드는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유행과 합리적인 가격, 그리고 짧은 주기로 소비자의 니즈에 맞춘 트렌디한 아이템들을 빠르게 교체하여 소비자들을 만족시키고 있다. 하지만 SPA 브랜드의 성장으로 국내 의류업계가 SPA 시스템으로 형태를 바꾸어 브랜드를 개편하거나, 국내에 새롭게 진출하려는 해외 SPA 브랜드도 늘고 있어 내부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미디어와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스마트 모바일 라이프에서 재화는 사용가치보다 기호가치에 의해 존재가 결정되는데 제품 자체의 기능적 특성보다는 브랜드 이미지가 중요하게 되었다. 브랜드란 고정된 존재이지만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하고 대처할 수 있도록 유연성이 필요하다. 현재의 스마트 환경의 소비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PC, 온라인을 통해 사용자들은 정보력 습득과 경험을 하고 있다. 지금의 브랜드가 고객을 만나는 최초의 접점이 스크린이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과 필요에 따라 변화하고 활용되는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시스템 구축은 소비자의 욕구를 만족시키며 다채로운 시각적 이미지를 보여줌으로써 효과적인 브랜드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으로 표현하기 적합할 것이라고 보여진다. 다변적이고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는 고객과의 관련성을 강화하고 브랜드의 경험을 제공해 차별화된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으로써 소비자들에게 감성적 접근을 통한 소통과 공감을 얻게 될 것이며 브랜드의 지속적인 확장과 경쟁력 확보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국내 의류 시장에서 경쟁력 확보와 국내 SPA 브랜드로서 유연한 변화가 가능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을 통해 국내 소비자들과 원활한 상호작용, 결과적으로는 브랜드 인지도 향상과 신뢰감을 줄 수 있는 시각 아이덴티티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SPA브랜드의 이해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으며,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활용한 브랜드 사례와 국내·해외 SPA 브랜드들의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선 및 개발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둘째, 다양한 아이덴티티 시각 표현을 비교 분석하여 국내 SPA 브랜드 탑텐의 문제점과 경쟁력을 분석하고,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스템과 시각적 표현에 대해 상세 분석하였다. 셋째, 국내 SPA 브랜드 탑텐의 아이덴티티의 방향성을 정하고 디자인 개발을 진행했다. 개발된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어플리케이션과 프로모션 디자인에 적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서 민감해진 소비자들의 욕구 변화에 다양한 시각 표현이 가능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활용해 차별화된 아이덴티티 디자인 구축과 체계적인 아이덴티티 관리 시스템을 개발을 제안한다. SPA brands accurately grasps the lifestyle of the consumer, and it satisfy the consumer by trend, reasonable price and short period of changing trendy item tailored to the needs of the consumer. However, the domestic apparel industry is changing the system to the SPA brand's and also reorganizing the brand as well because of the growth of the SPA brand. Domestic internal competition is becoming more intense because of the increasing international SPA brands which are breaking new ground in internal apparel industry. Due to the development of media and information technology, the semiotic value of goods is more important than value in use, so the brand's image is more important tha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Setting up the flexible identity system which is changeable and utilizable depending on various circumstances and needs is required because the brand is now meeting the customer's first contact on the screen. It satisfies the needs of the consumer by showing colorful visual images and also it is assumed to be appropriate to represent an effective marketing communication.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the flexible identity which is variously changeable as a domestic SPA brand. As a result, it could be better method to communicate with domestic consumers and it would be possible to build a visual identity management system which improve brand awareness and credibility. First, this paper studi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examples about the understanding of SPA brand, brand identity, flexible identity and also studied the problem, competitiveness, identity design system, visual expression of domestic SPA brand TOPTEN by analysing the case study on other brand's identity. In addition, this paper studied the development the identity design of domestic SPA brand TOPTEN and apply to the application. This study proposes the development of a identity system and differentiated identity design which is utilized flexible identity according to the changing consumer needs.

      • 서울역사박물관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위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개발 연구

        이진현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박물관의 역할은 유물이나 미술품을 수집, 보존, 전시하는 정도의 기능으로 여겨지던 과거의 편협한 견해를 넘어 새로워지고 다양해지고 있다. 공급자 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패러다임이 바뀌면서 관람객과의 소통을 위한 관심과 노력을 기울임에 따라, 박물관은 열린 문화 공간으로서 우리의 생활 깊은 곳까지 들어와 즐겁고 친숙한 장소로 거듭나고 있다. 이러한 까닭으로 이제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컨텐츠 뿐만이 아닌, 박물관을 구성하고 있는 직접적인 요소와 박물관의 관계가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는지에 까지도 관심의 대상이 구체화 되고 있다. 따라서 연구자는 박물관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박물관 아이덴티티 디자인에 관심을 가지고 서울의 역사와 문화, 과거와 현재를 넘어 미래까지 상상해 볼 수 있는 장소인 서울역사박물관의 박물관 아이덴티티 디자인을 리뉴얼 해 보고자 한다. 서울역사박물관은 대한민국 수도 서울, 그 탄생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을 한 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서울의 역사를 담은 세계 유일의 박물관이다. 서울역사박물관이 갖는 가장 큰 매력적 요인은 서울의 역사문화 및 근현대사의 다양한 전시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써, 전통과 현대가 혼재된 도시역사박물관이라는 것이다. 또한 서울의 과거, 현재, 미래를 잇는 도시정체성의 보루라는 비젼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일관되고 정체되어있는 아이덴티티로는 이러한 현대적이고 역동적인 박물관이라는 이미지를 드러내기에 효과적이지 못하며, 다양한 미디어 환경에 따른 표현의 변화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박물관 아이덴티티의 특성은 가변적인 전시 주제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되어야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연성과 확장성이 고려된 디자인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는 것을 파악하여 본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사용 중인 심볼마크와 로고타입을 기반으로 한 서울역사박물관의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는 시대 변화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출현하게 된 유연하고 융통성 있는 표현 방법으로, 한 가지 모습으로 시각적인 일관성을 지키기보다, 상황에 맞게 아이덴티티를 변화시킬 수 있는 확장성 가지고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자유롭고 유연하게 표현하여, 관람객과 더욱 가까이 소통하기 위해 새롭게 다가가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아이덴티티에 가변성과 확장성을 부여함으로써, 박물관이 지향하고 있는 핵심 가치를 명확히 전달하며, 뉴 미디어에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관객들의 소통과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하나의 방안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먼저 박물관 아이덴티티와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문헌 및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서울역사박물관의 현황 조사 시행을 통해 아이덴티티 개선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이에 맞는 방안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활력을 가진 살아있는 박물관으로서의 브랜드 이미지를 유연하게 표현한 서울역사박물관의 플렉서블 아이텐티티 시스템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The role of a museum today has been renewed and diversified beyond the past narrow view considered as functions to collect, preserve, and exhibit relics and works of art. As a paradigm was shifted from provider-centeredness to user-centeredness and interest and effort for communication with visitors are on the increase, the museum of an open culture space enters deep into our living place and turns over a new leaf as a pleasant and familiar place. Due to these reasons, the objects of interest have been specified from not only contents preserved by the museums even to how direct elements to constitute the museums are organically related with them. Therefore, having interest in museum identity design as one of constituents of a museum, this researcher intends to renew the museum identity design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as a place where history and culture of Seoul and even the future beyond the past and the present can be imagined. The Seoul Museum of History is the only one in the world, where all the process can be seen at one place from the birth of Seoul, the capital of Korea, to the present and the history of Seoul is included. The most attractive factor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is that it is the museum of a city history mixed with the tradition and the contemporary times as a place where various exhibitions of historical culture and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Seoul are held. Furthermore, it has a vision as a bastion of city identity to connect the past,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Seoul. However, the present consistent and stagnant identity is not effective enough to reveal the image of this modern and dynamic museum. A problem was found that it does not properly respond to the change of expression according to various media environments. Since one of characteristics of musuem identity is that variable themes of exhibitions and various application should be applied,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selected by understanding that design development with consideration of flexibility and extensibility is desperately required. Thus,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flexible identity design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on the basis of symbol mark and logo type which are used at the present moment. As a flexible and limber way of expression emerging from change of times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 flexible identity has an advantage that it has expandability to change identity according to situations rather than preserves a visual consistency with an appearance. This flexible identity design is intended to freely and plastically express the brand image and newly approach visitors for close and better commun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ver definite core values which the museum aims at by providing variability and expandability to identity and to suggest a method to promote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from visitors through effective application of new media. In this respect, first, existing researches of reference and case were examined. The necessity of identity improvement was investigated by the actual condition survey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and a proper measure was drawn.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flexible identity system design of the Seoul Museum of History was suggested to flexibly express a brand image as a live museum with vitality.

      •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공공디자인개발 연구 : 공동주택 재활용 분리배출함 중심으로

        최유라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Due to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increased one-person households, people life patten has been changed, and home delivery services usage has increased. As a result, the garbage amount has increased dramatically, the garbage disposal cost has increased, and the environmental pollution has accelerated. If the garbage is not managed effectively, the environment will be destroyed quickly, and resources will be wasted. South Korea needs to import a lot of resources from abroad, therefore the garbage recycling is essential. Well-designed garbage separation system for recycling can reduce garbage disposal cost and increase reusability as another resource.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separating garbage collection through demanding of new public design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green growth. To induce people's voluntary cooperation, we identified current problems of the garbage separation bin. To deliver the correct waste recycling information, we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 through domestic and overseas cases to find an improvement plan. In conclusion, we propose a visual information design that guides the separation of recyclable waste which people can intuitively and easily understand. This study proceeds through the following method. First, the background, necessity and purpose of the study are presented, and the justification for this study is discussed. Second, to understand visual information design, we will look at public design. Third, after understanding the proper garbage separation, examining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garbage separation bins in apartment houses,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cases of garbage separation to find solutions. Fourth, a survey is conducted and analyzed to identify the problems of garbage separate bins. Fifth,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design direction is presented to develop a visual information design for the garbage separation bin. Finally, the study is summarized to remind once again the importance of R&D on the visual design of garbage separation bins from the point of view of public desig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inducing people to efficiently separate and dispose of garbage through the redesign of the garbage collection bin, which is a public facility. The existing recycling classification system is unreasonable, so it is difficult for the discharger to clearly distinguish between recycled garbage and others. The design of the garbage separation bin should provide correct separation and discharge information for the convenience of people. This is because correct segregation guideline induces people to properly separate garbage and produce high-value-added recycled materials. This is the direction of the re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garbage separation bin in this study. Reflecting this, the design of the garbage collection bin for the apartment building is proposed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information design. We will develop a ‘Separation Disposal Pictogram’ and a ‘QR Code for garbage separation’ so that information, precautions, and action guidelines related to separate garbage can be easily and quickly recognized. In addition, the QR code and the online detail page are linked so that the information required for garbage separation can be guided through mobile devices, and accurate visual information is proposed to induce people's voluntary cooperation. The expected effect of this study is first, the people awareness of correct separation and improvement of convenience through visual information of the new separation bin. Second, an increase in the high value-added recycling rate for plastic products. Third, the cost of separate garbage treatment is reduced. Fourth, green growth is possible through the practice of a sustainable material cycle society. We believe that the visual information design of the garbage separation bin presented in this study will have a positive effect in inducing correct garbage separation to people. In any case, I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an efficient garbage discharge system from our society and to play a role in environmental conservation. 코로나19 팬데믹과 1인가구의 증가로 사람들의 소비생활이 변화하면서 택배와 배달서비스가 늘어나 쓰레기가 폭증했다. 이로 인해 쓰레기 처리비용이 높아지고, 환경오염이 가속화되었다.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지 못하는 것은 환경 파괴이자 자원의 낭비이다. 우리나라는 거의 모든 자원을 수입해야 하는 자원 부족 국가이기 때문에 쓰레기의 재활용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쓰레기 재활용을 위한 올바른 쓰레기 분리배출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올바른 쓰레기 분리배출은 쓰레기 처리비용을 절감 시키고 쓰레기가 또 다른 자원으로 재사용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는 환경보존과 녹색성장을 위해 새로운 시각의 공공디자인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그 방안으로 공공디자인 관점에서 공동주택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사람들의 자발적인 협력을 이끌어내기 위해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올바른 쓰레기 재활용 분리배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국내 및 해외 사례를 통해 현황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찾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모든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재할용 쓰레기 분리배출 안내 시각정보디자인을 제안하려고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통해 진행한다. 첫째, 연구 배경 및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고 본 연구의 당위성에 대해 논한다. 둘째, 시각정보디자인을 이해하기 위해 공공디자인에 대해 살펴본다. 셋째, 올바른 분리배출을 이해하고 현재 공동주택에서 사용하고 있는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본 뒤, 국내 및 해외의 쓰레기 분리배출 사례를 분석하여 해결 방안을 찾는다. 넷째, 분리배출함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다. 다섯째,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여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시각정보디자인을 개발한다. 마지막으로, 연구를 요약하여 공공디자인 관점에서의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시각디자인 연구개발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환기 시킨다. 본 연구는 공공시설물인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재 디자인을 통해 사용자들이 효율적으로 올바른 분리배출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기존의 재활용 분류 체계는 불합리성이 존재하고 있어서 배출자는 재활용 쓰레기와 기타쓰레기를 명확히 구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디자인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올바른 분리배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한다. 올바른 분리배출 안내는 배출자에게 적확한 쓰레기 분리배출을 유도해 고부가가치의 재활용 원료를 생산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이것이 본 연구의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재 디자인 개발 방향이다. 이를 반영하여 공동주택의 쓰레기 분리배출함의 디자인을 시각정보디자인의 관점에서 제안한다. 쓰레기 분리배출에 관련된 정보와 주의사항, 행동지침을 쉽고 빠르게 인지할 수 있도록 ‘분리배출 픽토그램’과 ‘쓰레기 분리배출 QR코드’를 개발한다. 또한, 분리배출에 필요한 정보를 모바일을 이용해 안내 받을 수 있도록 QR코드와 온라인 상세페이지를 연동하여 사람들의 자발적인 협력을 이끌어 내기 위한 적확한 시각정보를 제안한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첫째, 새로운 분리배출함의 시각정보를 통한 사용자의 올바른 분리배출 인식 및 편의 개선. 둘째, 플라스틱 제품에 대한 고부가가치 재활용 비율 증가. 셋째, 분리수거 처리 비용 감소. 넷째, 지속가능한 자원순환경제의 실천으로 녹색성장 가능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분리배출함의 시각정보디자인이 사용자들에게 올바른 분리배출을 유도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오리라 믿는다. 아무쪼록 이 연구가 우리 사회에서 배출되는 생활폐기물에 대한 효율적인 배출 체계의 구축과 환경 보전 역할을 하는 데에 기여하기를 바라는 바이다.

      • 온라인 게임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UI사용편의성 연구

        김은지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599

        온라인 게임은 유저(User)에게 어떤 특징적인 이야기를 경험하게 한다. 그러나 최근의 온라인 게임은 유저들끼리 만들어가는 커뮤니티가 주목받으면서 비주얼한 겉모습만으로 캐릭터의 성격을 결정지어지고 있다. 이런 이유로 게임 유저 스스로 다른 캐릭터와는 다르게 보이고 싶어 하는 욕망이 생겨났고, 이를 충족시켜주기 위해 게임을 제공하는 개발사에서는 유저 스스로 캐릭터를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기도 한다. 온라인 게임에서의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유저가 개인의 성향에 맞게 캐릭터를 꾸미고, 만들 수 있는 시스템으로 2000년대 3D 게임이 등장하면서부터 생겨났다. 이러한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이 현대의 온라인 게임에서 점점 중요한 부분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음에도 유저의 성향에 따른 캐릭터 선호도나 캐릭터 제작에 관련한 연구가 주를 이룰 뿐, 근본적인 유저의 행태에 따른 조작 인터페이스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게임에서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은 유저와 게임의 인터랙션이 매우 활발한 부분 중 하나다. 그럼에도 온라인 게임의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시스템은 조작하고자 하는 선택요소들은 어느 정도 정리 가능하지만, 선택요소를 조작하는 인터페이스는 제작사마다 회사의 편의성에 맞추어 제작된 이유로 그마다 형태가 달라 인터페이스의 유형화가 되지 않고 있다. 인터페이스는 게임을 정의해준다. 그것은 디자이너와 유저가 커뮤니케이션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조작부의 검증된 실용적 형태가 없음으로 인해 인터페이스를 제작하는 디자이너에게 혼란이 야기되며 이런 혼란은 유저의 사용 불편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게임의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의 기능에 따른 가장 효율적인 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유저의 조작행태에 따른 효율적인 인터페이스가 존재할 것이라는 가설 아래 진행되었다. 이 연구는 온라인 게임의 인기 순위 상위 1∼50위 중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지원하는 게임 16종을 선정하여 진행되었다. 그리고 시뮬레이터를 통한 실험을 통해 요소별 사용 편의성이 가장 높은 조작부 형태를 알아보았다. 이는 유저의 조작 행태를 연구함으로써 더욱 조작하기 편리한 조작형태를 찾으려 함이다. 연구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연구범위를 설정한다. 다음 온라인 게임과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의 개념을 분석하고 정의한다. 둘째, 선정된 게임들의 커스터마이징 세부요소 및 그 요소를 조작하는 조작부의 형태 및 구조를 분석하고 결과를 낸다. 커스터마이징의 흐름 및 스크린 레이아웃을 분석하고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요소 및 조작부를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대표적 게임을 선정한다. 선정된 게임을 이용하여 유저를 대상으로 사용자 실험을 행한다. 그리고 실험 후 인터뷰를 통해 만족도 및 사용성을 평가한다. 이러한 연구 절차를 통해 온라인 게임의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의 검증된 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생각 말하기(Think-aloud)기법을 사용한 실험 결과에 따라 도출된 초보자와 경험자를 아우르는 캐릭터 커스터마이징 UI 가이드라인은 다음과 같다. 가이드라인은 각 세부 요소 조작부의 편리 정도 및 만족도에 따라 정리되었다. 크게 조작부와 색상조작, 조작요소, 저장, 보기, 화면구성, 동작으로 나누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조작부는 크게 팔레트, 버튼, 슬라이드 세 종류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이 가이드라인은 현재 게임에서 사용되는 인터페이스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하는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게임의 인터페이스는 게임을 위한 진행/보상이란 상호작용을 위한 매개가 되는 것으로 다른 종류의 인터페이스와는 달리 지극히 개인적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편리성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효용성이 검증된 인터페이스 개발의 필요성을 재고하고, 캐릭터 커스터마이징을 제공하는 게임의 분류 및 UI 분석과 실험을 통하여 유저의 조작행태에 따른 UI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둔다. Online games enable users to experience specific feature stories; however, as a community that is being created by users, in the latest online games has been highlighted, the personality of a character has been determined only with its visual look. For this reason, users have a desire to make themselves look different from other characters, and in order to satisfy this desire, game suppliers and developers sometimes offer a function that enables a user to customize a character directly. The character customizing system in online games appeared along with the emergence of 3D games during the 2000s as a system that allows each user to customize and create a character tailored to his propensity. Although such character customizing has been poised gradually as being important in today’s online games, there have been studies in most cases primarily on the preference for characters according to user propensity or the creation of characters. Consequently, there has not been sufficient fundamental research into manipulative interface design according to user behavior. In online games, character customizing is one of the parts in which interactions between a user and a game are very active. Nevertheless, the interface has not been developed in any standard form because different forms of interface have been created in tune with the convenience of each developer, although the interfaces that make it possible to manipulate optional factors may be summarized to some extent. The interface defines a game. This is because it is the sole pathway through which a designer communicates with a user; however, the absence of a verified practical form in the manipulative area causes confusion to designers, and such confusion leads to discomfort in use by a user.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most efficient interface guideline according to the game character customizing function. This paper was conducted with a presumption that an efficient interface may exist in accordance with a user’s manipulative behavior. This research was pursued by selecting 16 types of games that support character customizing while ranking among the top first ~ fiftieth in online game popularity. Also, the form of the manipulative area of which convenience in use is the highest according to each factor was reviewed through a test using a simulator. The purpose was to discover a manipulative form that is more convenient to manipulate by researching the manipulative behavior of the user. The research procedures include the following. First, previous studies were analyzed and the scope of research was established. Next, the concept of online games and of character customizing was analyzed and defined. Second, the detailed factors of customizing of selected games as well as the form and structure of the manipulative area that manipulates those factors was analyzed, and the subsequent results were extracted. The flow of customizing and the screen layout were analyzed and character customizing factors and the manipulative area were analyzed. Finally, a representative game was chose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of the results. With the use of a selected game, a user test was conducted aimed at users. Also, satisfaction and serviceability were assessed through interviews after the test. Through these research procedures, a proven interface guideline of online game character customizing is proposed. A UI guideline for character customizing that covers both beginners and experienced users deduc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a test using a Think-aloud technique is as follows. The guideline was summarized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venience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manipulative area of each detailed factor. The guideline was proposed largely with classification by the manipulative area, color manipulation, manipulative factor, saving, view, screen composition, and operation. Relative to the manipulative area, the guideline was deduced concerning largely three types involving pallet, button, and slide. This guideline extracts problems in currently used interfaces in games, and proposes solutions for improvement. The game interface becomes a vehicle for interactions, namely, progression/rewards; thereby it requires convenience in general because of its extremely personal attributes unlike those of other types of interface. Subsequently, this paper aims to reconsider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n interface of which efficiency is verified, and to propose a UI guideline according to a user’s manipulative behavior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games that provide character customizing as well as a UI analysis and a relevant test.

      • 비영리단체의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한 타이포그래픽 패턴 개발 연구 : 유니세프를 중심으로

        노혜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비영리단체는 현대 사회에서 정부와 기업의 손이 닿지 못하는 사회적 정의를 실현시키는 기관으로 향후 그 중요성은 더욱 강조될 것이다. 수익구조가 체계화 되어 있지 않은 대부분의 비영리단체들은 모금 활동 없이는 운영이 힘들기 때문에 사람들에게 단체의 존재와 활동 의의를 전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단체의 아이덴티티를 강화시키는 디자인적 방법 중 하나는 통일된 아이덴티티를 사용하여 해당 단체임을 알 수 있는 패턴을 구축하는 것이다. 비영리단체는 사회의 중요한 한 축을 형성하면서 시대의 변화에 접근하고 공공 서비스 제공에 중점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와 관련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 작업을 찾기 힘들고, 아직까지 우리나라가 비영리단체에 깊은 관심을 갖고 있는 사회적 구조가 아님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비영리단체 아이덴티티를 강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타이포그래피를 이용한 패턴 개발에 초점을 두었다. 비영리단체는 눈에 보이지 않는 무형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이미지가 중요한 도구이며 홍보의 필요가 절실한 영역이다. 타이포그래피를 사용한 패턴은 형태의 변화가 다양하며 실용적이고 디자인 활용도가 높을 뿐 아니라, 다양한 표현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이는 타이포그래피가 언어 전달 역할과 조형적 의미를 함께 수행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타이포그래피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글자만을 사용한 패턴 이미지화 개발을 전제로 하여, 로고를 반복적으로 노출시켜서 패턴을 이미지화하는 방법론을 도출시켜 보다 다양하고 심화된 아이덴티티 강화 시스템을 창출하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은 우리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비영리단체의 중요성을 사람들에게 알리기 위해 효과적인 시각 아이덴티티 제시를 목적으로 유니세프를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타이포그래픽 패턴을 사용한 국내외의 사례들을 분석하고 총 4가지의 방법론으로 분류하였다. 로고타입을 변형없이 사용, 삭제, 속공간을 이용한 유사성, 부분적 형태를 반영한 유사성으로 구분하였고, 로고타입을 변형없이 반복하는 것을 최종 선정하여 발전시켰다. 실험과정은 탈영고딕 서체를 변형시킨 한글 로고타입 낱글자에 각도, 크기, 배열 방식, 색상을 다르게 적용시켜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구성하는데 주력하였다. 가독성이 있고 없는 것과 지정한 색상을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는 것에 따라 그 쓰임새와 느낌이 다르게 하고, 어플리케이션의 종류에 따라 이를 적용시켰다. 본 연구를 통하여 비영리단체 로고의 다양한 재해석 방법의 제시는 물론 비영리 단체의 이미지와 현대적 감각의 디자인과 색채 배색의 접목을 함께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 디자이너의 사회적 책임을 다시 한번 깨닫고, 더불어 비영리단체 아이덴티티를 위한 디자인 개발에 있어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이루어 질 수 있는 계기가 됨으로써, 향후 개발 가능성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패턴 분야에서 차별화되고 독창적인 시각물을 연구하여 아이덴티티 강화가 실현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importance of a non-profit organization will be further emphasized as an achieving social justice organization that can not be reached at the government and enterprises in today’s society. Most non-profit organizations that have revenue structures can not organize without fundraising, and it is very important to convey people its real meaning. One of the design methods to enhance the identity these groups is to establish patterns that can be seen the organization using the unified identity. It approaches to changing times while building up the important part of the society and has the chief role in public service provision. However, it is hard to find out a detailed and systematic research works related to the nonprofit organization, and Korea is not a social structure that has shown a keen interest in a non-profit organization so far. The thesis i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visualizing typographic imaged patterns to strengthen non-profit organization’s visual identity. Non-profit organization is in the area that needs to be promoted because it provides invisible services and the images are the important tools. Pattern with typography has various changes in the shape, practical, and the possibility of multiple representations as well as the higher design utilizations. It shows that a character established itself as an element of the design to perform the function of not only the role of language transmission but also the function of the formative means. Therefore, on the premise that the development of the pattern imaged using only letters to confirm new possibilities for typographic, it creates diverse and deeper identity strengthening systems if the methodology is derived imaging patterns as exposing logos repeatedly.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informing people the importance of the nonprofit organization that has a significant impact on society, and having an intention of effective visual identity suggestion based on UNICEF.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study, analyzing the international cases with typographic patterns and classifying them in four different methodologies are necessary. It is classified with using the logo without distortion, deletion, using the similarity in space, partly reflecting the similarity form and using the logo without distortion was selected and developed in the end. It was dedicated to configure various types of patterns applying the angle, size, array structure and the color differently on modified Tal-young Gothic Korean logotype letters. And its different use and feeling about readability and the use of specified colors depend on what kinds of applications were used. In this study, presenting a wide variety of interpretation methods of non-profit organizations’ logos as well as grafting its image with contemporary designs and color schemes are tried together.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is a chance to become more interested in the opportunity and investment about design development for non-profit organizations with realizing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designers once again. Finally, it is hoped that the development of enhanced identity can be realized in the pattern areas which are expected to have greater potential for the future.

      • Study of Carbonaceous Anode Materials for Fast Charging Lithium-ion Batteries

        최태선 포항공과대학교 철강에너지소재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Graphite has received much attention as an anode material of lithium-ion battery (LIB), because it exhibited good stability with a low volume change, a low reduction potential compared to Li/Li+,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xcellent capacity retention rate. On the other hand, graphite has a stacking of flat two-dimensional graphene so that it has a disadvantage in kinetic characteristics. To solve this issue, various approaches (i.e., surface modification, chemical/air oxidation, coating, etc.) have been performed to improve the rate characteristics. As one of them, this study deals with surface-modified carbonaceous anode materials including artificial graphite and hard carbon. In case of graphite, a porous structure was formed on the edge plane through an etching reaction with a metal catalyst. Hard carbon, another carbon-based active material, was prepared with small graphitic layers, which can significantly increase the diffusion kinetics of lithium ions. Each active material exhibited better rate performance than conventional commercially available graphite, and additional carbon coating was performed to enhance cycle performance of the active material.

      • 지역 이미지 강화를 위한 농산물 공동브랜드 디자인 개선 연구 : 임실N 공동브랜드 중심으로

        손일선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우리나라 농산물 수입개방의 확대, 농산물 직거래의 활성화 및 산지유통의 역할 증대, 소비자의 소비형태와 라이프스타일의 변화 등으로 과거와는 다른 차원의 농산물 효율화가 중시되고 있다. 지역들은 급변하는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 농산물 공동브랜드를 추진한다. 대게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를 중심으로 해당 지역의 생산 농가, 영농법인, 행정기관 등에서 공동마케팅조직을 형성하고 이들 조직이 농산물의 품질관리, 판매, 유통, 홍보 및 마케팅 활동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지역 농산물 공동브랜드를 개발하여 지역의 경쟁력 있는 농산물을 육성하고 있다. 최근 지역 농가의 높은 부가가치 발생을 위한 농촌융복합산업의 대두로 6차 산업이 성장하면서 지역 농산물과 연계한 체험, 축제, 장소, 연계제품개발, 서비스사업 등이 발달하여 지역 농산물 공동브랜드의 역할이 더욱 확대되고 있다. 생산품과 가공품을 주로 다루던 농산물 공동브랜드는 서비스사업에도 연계되면서 기존에 개발되어있던 브랜드의 한계를 느끼고 브랜드를 리뉴얼 하거나 새로운 브랜드를 개발한다. 하지만 새롭게 브랜드를 개발하더라도 지역의 제한적인 향토자원으로 인해 새로운 브랜드만의 명확한 아이덴티티 디자인이 개발되지 않는다면, 기존 브랜드와 유사한 이미지 전달로 소비자에게 브랜드에 대한 혼란만 가중시킬 것이다. 본고에서는 현대사회 농산물 시장에서 지역 농산물 공동브랜드 디자인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여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브랜드 디자인 방향성에 대해 연구하고, 시장의 흐름에 발맞춰 다양한 제품군과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확장할 수 있는 브랜드 디자인을 제안한다. 이것은 하나의 브랜드 이미지를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시켜 명확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으며 신규 브랜드 개발에 대한 부담을 덜 수 있다. 이를 통해 지역은 브랜드를 전략적으로 관리할 수 있길 기대하며, 우후죽순 생겨나고 버려지는 지역브랜드를 최소화하고 지역 브랜드의 안정화에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gricultural product differently from the past is emphasized recently, due to the expansion of agricultural product imports, the revitalization of direct trade in agricultural products, increased roles of distribution in production areas, and changes in the consumption patterns and the lifestyles of consumers. Regions promote co-branding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a fast-changing market. Usually, a joint marketing organization is formed among production farms, agricultural corporations, and administrative agency in the region through the local government. For them to effectively carry out quality control, sales, distribution, promotion, and marketing activities of agricultural products, such organizations develop a local agricultural co-brand to foster competitive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region. The recent growth of the 6th industry, due to the rise of the rural convergence industry to generate high added value for local farms, has further expanded the role of local agricultural co-brand by developing experiences, festivals, places, related products, and service business related to the agricultural products. Agricultural co-brands, which mainly dealt with manufactured products and processed products, become connected to service businesses, feeling the limitations of existing brands and renewing or developing a new brand. However, even if a new brand is developed, not establishing its clear identity design due to limited local resources in the region will only increase confusion about the brand to consumers by delivering an image similar to the existing brand. This paper seek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local agricultural co-brand design in the agricultural market in modern society. By doing so, this study examines the direction of a brand design to establish itself as a competitive brand in the market, and it proposes a brand design that can expand various product groups and brand portfolios in line with the market trend. This can build a clear brand image by expanding a brand image into various areas and reduce the burden on new brand developmen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helps regions manage the brand strategically and that it will minimize local brands that are created and abandoned randomly and contribute to the stabilization of local bra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