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이 남자대학생의 체력 및 무산소성지구력에 미치는 영향

        이상현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인의 전반적인 체력 발달과 함께 무산소성 지구력이라는 체력적 지표를 향상시킴으로써 고른 체력 발달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부상을 예방할 수 있는 효율적인 컨디셔닝 관리 및 운동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주고자 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은 실험전보다 실험후의 체지방률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p<.05). 2.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은 실험전보다 실험후의 심폐지구력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5). 3.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은 실험전보다 실험후의 배근력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5). 4.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은 실험전보다 실험후의 순발력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5). 5.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은 실험전보다 실험후의 민첩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5). 6.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은 실험전보다 실험후의 근지구력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5). 7.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은 실험전보다 실험후의 스피드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5). 8.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은 실험전보다 실험후의 평형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5). 9.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은 실험전보다 실험후의 유연성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5). 10. 12주간의 복합트레이닝은 실험전보다 실험후의 무산소성지구력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5).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12주간의 규칙적인 웨이트 트레이닝, 플라이오메트릭, 인터벌 트레이닝을 결합한 복합트레이닝은 평소 꾸준히 운동으로 체력관리를 실시하는 체육전공 남학생들에게도 체력의 전반적인 상승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체력의 전반적인 요인과 무산소성지구력이라는 체력적 지표를 향상시킴으로써 여러 스포츠상황에서 준비된 몸상태를 만들어 부상예방과 컨디셔닝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트레이닝 방법에 대한 예를 입증하였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반인의 운동프로그램 및 효율적인 컨디셔닝 프로그램개발에 효과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overall health of the general public with the development indicators anaerobic endurance by improving the physically fitness development programs even provide basic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 conditioning to prevent injury management and would like to help in the development of an exercise program to hav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than before the experiment after experiment significantly reduced the percentage of body fat(p<.05). 2.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than before the experiment after experiment significantly increased cardiovascular endurance(p<.05). 3.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than before the experiment after experiment back strength increased significantly(p<.05). 4.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than before the experiment after experiment significantly increased agility(p<.05). 5.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than before the experiment after experiment significantly increased agility(p<.05). 6.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than before the experiment after experiment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uscle endurance(p<.05). 7.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than before the experiment after experiment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peed(p<.05). 8.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than before the experiment after experiment significantly increased directional flat(p<.05). 9.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than before the experiment after experiment significantly increased flexibility(p<.05). 10. 12 weeks of combined exercise than before the experiment after experiment significantly increased anaerobic endurance(p<.05). Taken together with the above results after 12 weeks of regular weight training, plyometric, interval training combined with the usual steady combined training exercise conducted physical fitness management, fitness for a major boys shows the effect of the overall rise. This factor and the overall health of the physically anaerobic endurance by improving surface conditions prepared in several sports injury prevention and conditioning the body to create conditions that can help to improve training methods can be said for the example will be demonstrated. This study, the movement of the public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and effective conditioning program will be able to give effective help.

      • 기계체조 안마 Travel forward 3/3 동작에 따른 생체역학적 분석

        김대근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우수선수 4명을 대상으로 안마기구 에서 Travel forward 3/3 동작의 적합한 모델을 제시하고 기술발휘 시 효율증대와 기술 향상을 위한 자료제공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6대의 디지털 카메라와 EMG(Wemg-8)를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동작의 동조화(Synchronization)를 위해 Kwon3D XP와 Telescan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으며, EMG의 표준화방법은 근육별 최대자발적 수축(%MVIC)값을 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동작의 총 소요시간은 평균 3.22sec로 대상자별 비슷한 결과를 보여 동작시간 차이는 동작의 완성도와 관련이 있으며, 1국면에서 각운동량을 크게 하여 중심이동시 포멜을 잡기 위한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긴 시간을 확보해야 안정된 동작을 취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첫 번째 포멜에서 두 번째 포멜을 잡는 구간에서 소요시간을 줄이는 것이 기술을 수행하는데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신체중심 위치변화는 좌측으로 이동되어 진행하면서 팔을 강하게 눌러 엉덩이(Hip)를 수직상승 시키고 전방으로 이동할 때 좌·우 흔들림을 최소화 하여 상체 움직임의 안정성을 유지하여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신체중심 속도 변화는 양손이 1/3면을 짚는 순간, 왼손이 첫 번째 포멜을 잡는순간, 왼손이 3/3면을 짚는 순간에서 좌·우 속도를 빠르게 하여 회전력을 높여 각운동량을 증가시키고 포멜을 잡는 시점에서 왼손을 누르며, 수직상승한 신체가 중심이동과 함께 오른손을 잡는 시점에서 속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큰 스윙으로 인한 회전반경이 커지면서 운동에너지를 위치에너지로 전환시켜 수직속도 증가와 신체중심 높이상승을 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관절의 각도 변화는 안마기구 에서 회전하는 동안 팔을 축 으로 하여 신체분절의 굴곡과 신전에 의해 각운동량을 만들어낸다. 즉, 고관절의 각도 변화는 선회 동작의 회전력을 얻기 위한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므로 최대 신전시켜 휘돌기의 구심력을 증가시켜야 하며, 견관절은 몸통에 붙여 최대 굴곡 시켜 지지역할을 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족관절은 90도 이상 저측굴곡 시키고 수관절은 수직 하방향 으로 손목을 누르며 이동하는 것이 감점요소를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스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신체분절의 각속도 변화는 예비스윙동작이 끝난 시점 에서 족관절, 고관절 각속도를 증가 시켜 회전속도 증가와 신체중심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관절은 신체가 전방으로 향하면서 손목이 시계반대방향으로 외전 되어 빠르게 진행하며, 균형을 잡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Travel forward 3/3 동작은 신체 회전관성과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6. 골반(Pelvic)의 움직임은 굴곡과 신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하지가 전방쪽일 때 굴곡이 57도를 유지하는 것이 안정적인 스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왼손이 첫 번째 포멜과 두 번째 포멜을 잡는 시점에서 상지분절을 전방쪽 으로 굴곡 시켜 신체중심의 높이를 상승시키고 상체의 회전은 좌·우측 각운동량을 최대로 하여 회전속도와 평형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7. Travel forward 3/3동작 시 근전위 활성도는 최대 자율성 수축시 최대값은 상완요근, 삼각근 승모근, 척추기립근으로 나타났다. 선회동작으로 인한 근 활성도 모든 근육에서 일어났으며, 승모근의 증가율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국면별 살펴볼 때 왼손이 포멜을 잡는 구간인 1국면, 2국면, 4국면은 우측 삼각근의 활성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오른손이 포멜을 잡는 구간인 3국면, 5국면, 6국면은 좌측 상완요근의 활성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볼 때 왼손이 포멜을 잡을 때 축 이되는 팔을 수직 하방향으로 눌러 주동근인 삼각근을 많이 사용하였고, 오른손이 포멜을 잡을 때 주동근 사용보다 상완요근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오른손은 포멜을 당기며 운동 진행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suggest suitable models for Travel forward 3/3 movement on pommel horse in four excellent players and to support increase in effectiveness and improvement in techniques. In this experiment, six digital cameras and EMG(Wemg-8) were used. For the movement of synchronization, Kwon3D and Telescan software were used and the standard method of EMG was reported by using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 MVIC) of each muscle. The following was found 1. Total activity time was an average of 3.22 sec, similar results of each player and activity time difference was related to execution of activity. At the phase1, during increasing each activity, stable activity was resulted from enough time to adjust holding pommel as shifting weight. Also, it was recommended to save time during an interval between holding first pommel and second pommel in performing techniques. 2. It was suggested to keep stability by minimizing shaking of upper body while changing weight balance location to the left, pressing arms, rising hips straight up, and moving to forward. 3. The change in speed of weight balance was decreased to increase speed of both sides and rotation when both hands touching 3/3 part, the left hand touching the first pommel, the left hand touching 3/3 part. Thus, a range of rotation was increased in raising weight balance by large swing; caused kinetic energy changing to potential energy. 4. The changes in angle of joints were produced each momentum by curve of physical segment according to axis of an arm during rotation in pommel horse. That is, the changes in angle of the hip joint were important to obtain rotation power for scooped swing in circling motion and centripetal force was obtained by changing torso while pulling shoulder joints to the torso for support. Also, effective swing and minimum of points off was exhibited during moving when joints of the foot were low curved and joints of the arms were pushed straight down while pressing the wrist. 5. The changes in each physical segment were important for causing increase in speed of rotation and raising weight balance, increase in speed of joints of the foot and joints of the arms after pre-swing motion. Also, joints of the arms were turned towards the counterclockwise to the right direction and balanced. Thus, physical rotary inertia and rotation speed was suggested in Travel forward 3/3 motion 6. The motion of pelvic consisted of curve and physical rotation and the 57 degree of angle for curve was exhibited stable swing as lower body towards the front. Also, curving arms to the front, rising weight balance and maximizing the each side of momentum of torso rotation were exhibited in keeping of balance when the left hand touched the first pommel and second pommel. 7. Electromyograph activities of Travel forward 3/3 during maximum autonomy contraction were brachioradialis, deltoid, trapezius, and erector spinae. Activities of mucle by pre-rotation motion were occurred in all muscles and the rate of increase of trapezius was the lowest. The activity of right deltoid was the highest in the phase1, phase2, and phase4, the left hand touching the pommel. The activity of left brachioradialis was the highest in the phase3, phase5, and phase6, the left hand touching the pommel. In this result, deltoid was used as a major muscle as pushing the axis arm down when the left hand touching the pommel. Brachioradialis was used more than a major muscle when the right hand touching the pommel and this indicated the direction of the right hand towards the pommel while pulling pommel.

      • 치어리딩 토터치 동작의 역학적 분석

        탁슬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치어리딩의 필수요소인 토터치 동작의 수준향상 및 비교를 위해 주요 신체분절의 기여도를 추정하고 하지주요관절의 근력을 측정 비교하여 토터치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치어리딩 점프의 기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토터치 동작수행 시 시간변인에서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평균 수치 비교결과 우수 집단이 비우수 집단에 비해 소요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1구간에서는 준비시간을 짧게 하여야 탄성 에너지를 축적시킴으로 지면반력이 커져 체공시간을 길게 하고 공중에서 우수한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안정적으로 착지하기 위해서는 하지관절을 굴곡 시켜 충격량을 흡수하여 착지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절의 중심변위는 1구간에서 무게중심을 낮게 하여 전후 이동변위를 크게 함으로써 신전파워를 크게 하고 수직높이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구간에서 최고정점의 수직 높이에서 양쪽 하지 관절을 좌우로 빠르고 크게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3구간에서는 반대로 하지관절을 빠르게 모아 착지하는 것이 안정적으로 착지하고 우수한 기술수행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등속성 근기능의 변위는 발목관절의 부하속도 30°/sec의 배측근력 최대근력과 체중당 근력에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는 우수 집단이 비우수 집단에 비해 착지 시 발목부터 뒤꿈치까지 지면에 닿아 보다 크게 굴곡하여 충격량을 줄이고 안전하게 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두 집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우수 집단의 근력이 비우수 집단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무릎의 신근에서 가장 큰 수치가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치어리딩 토터치동작의 기술 수행을 높이기 위해서는 점프준비 시 하지관절을 굴곡하여 지면으로부터 탄성에너지를 크게 하여야 하며 이지 시 신전을 빠르고 크게 하여 신체중심을 높게 하는 것이 공중에서 킥이 이루어지는 기술수행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착지구간에서는 토터치가 이루어진 후 다시 다리를 빠르게 모아서 지면에 닿아야하며 하지관절을 굴곡 시켜 무게중심을 낮게 하는 것이 지면으로부터 충격량을 흡수하고 안전한 착지를 이룰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하지관절의 근기능을 높여주는 것이 보다 우수한 토터치 동작을 수행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신근과 굴근의 비율을 맞춰 훈련하는 것이 상해예방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역도경기 근력강화 훈련프로그램에 따른 인상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

        조웅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역도경기 근력강화 훈련프로그램에 따른 인상동작의 운동역학적 분석을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국체육대회에서 3위 이내 입상경험이 있는 고등학교 역도선수 6명이며, 이들을 기존 훈련프로그램 적용그룹(A) 3명과, 새로운 훈련프로그램 적용그룹(B) 3명으로 나누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트레이닝 실시 후 운동학적 변인과 근전도를 통한 주요근육의 활성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주 훈련을 통한 프로그램으로서의 웨이트 트레이닝은 훈련 시간의 절약과 트레이닝에 대한 효과를 최대치로 끌어올릴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웨이트 트레이닝은 단순히 보조 훈련에만 적용되어서는 안되며, 주 훈련과정에서 반드시 개개인에 맞게 적용되어야 한다. 그럼으로써 체력을 더욱 보강하고 기록 향상에 필요한 주 훈련동작을 더 많이 반복할 수 있어 기술뿐만 아니라 근력향상과 근지구력에 대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고 판단되며, 역도기술의 향상을 위해 그 선수만의 독특한 훈련방법을 제시하는 웨이트 트레이닝을 이용한 복합적인 훈련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이 이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biomechanical changes on the Snatch of Weight Lifting through intensified training program for strength. Training was conducted on 6 high school weightlifters that were ranked top 3 in the national weightlifting competition. The weightlift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rained by two different programs - existing program for adult weightlifters (Group A) and newly developed program for young weightlifters (Group B). The training was executed for eight weeks and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ing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flexor and extensor muscle power during isokinetic contraction (60°/sec) but Group B has shown more improved extensor muscle work. 2. Group A lifted the weight slowly at the beginning therefore they could not load the weight onto erector spina at the second-pull and could not use left and right latissimus dorsi properly but Group B used trapezius muscle and erector spina more efficiently while doing last-pull. 3. Both Group A and Group B showed that in case of tarsals joint which endures the most weight, they made the both tarsals joints close making wide space for movement. But at the second-pull, Group B stretched knees most by moving inward to use vertical land reaction, so that they could improve their movement effectively. 4. At the second-pull, Group A could not use instant power of coxa and tarsal joint due to unbalance of right and left knee joints since they lifted the weight with a big distance from vertical body center line. On the other hand, Group B could make more stable posture at the second-pull as they lifted the weight closely to vertical body center line. They bended coxa and tarsal joint more effectively comparing to Group A. An appropriate personal weightlifting training program can reduce the training time and can draw the best result of the training. The program can also improve weightlifter's stamina and physical fitness and by repeating the effective movement throughout the training, skills, muscular strength and muscular endurance will be upgraded. To sum up, a specific training program should be adapted to an individual weightlifter depending on his condition in order to get the best result.

      • 여자축구선수의 포지션별 체격, 기초체력,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 및 운동기능의 차이

        류현주 단국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29명의 여자 대학 선수를 대상으로 포지션별 체격 (신장, 체중, 흉위, 복위, 둔위, 대퇴위, 하퇴위), 기초체력 (악력, 배근력, 윗몸일으키기, 체전굴), 슬관절 등속성 근기능, 운동기능 (3 hop test, co-contraction test, 자세 조정 능력)의 차이 및 관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차이검증을 위해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상관성 검사는 pearson's correlation을 이용하였고, 유의성은 p<.05로 하였다. 형태학적 및 기초체력 측정에서는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슬관절 굴곡근의 peak torque에서 모두 유의한(p<.05) 수준의 차이가 발견되었으며, MF 집단이 타 집단에 비해 낮은 수준을 보였다. peak torque/body weight는 MF의 우측 굴곡근 peak torque/body weight가 DF의 비해 유의하게(p<.05)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굴곡근력과 신전근력의 비는 MF가 DF에 비해 유의하게(p<.05)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좌측 하지의 3 hop test 능력은 신장(r=.358), 체중(r=.377), 좌측 악력(r=.368), 우측 악력(r=.365)에서 유의한(p<.05) 수준의 차이를 보였으며, 각속도 60°/sec (r=.570) 및 180°/sec 신전근 (r=.577) peak torque, 각속도 60°/sec (r=.555) 및 180°/sec (r=.486) 신전근 peak torque/body weight와 유의한(p<.01)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우측 하지의 3 hop test 능력은 악력(r=.484)과 유의한(p<.01) 수준의, 각속도 60°/sec (r=.389) 및 180°/sec (r=.372) 신전근 peak torque 와 유의한(p<.05)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미루어, 우수 선수 발굴에는 신장의 체격적 요건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운동 기능 향상과 상해 예방을 위해서는 슬관절 근 기능의 개선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미드필더의 경우 안전한 선수 생활을 위해 굴곡근과 신전근의 근력비 조정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구체적 원인과 개선을 위한 추가적 연구가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신경발달 치료가 뇌성마비 아동의 대 근육운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동걸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d analyze how neuro development therapy affects gross motor development of cerebral palsy children. The research was applied to those children who were in neuro developmental therapy for over six months in the hospita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Twenty-two cerebral palsy children were put to the subjects of the paired t-test on GMFM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The measurement of gross motor development includes eighty-eight items of check list which are grouped into five domains of gross motors. The effects suggest that the therapy makes meaningful differences in statistics, enhances motor functions, and gives effective treat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case of age, palsy, premature, bracing, operation, and locomotion, the scores of post-therapy on GMFM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ante-therapy,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atistics(p<.05). 2. In each check list of lying-and-rolling-over, sit-up, crawling, kneeling, standing, and walk-turn-and-hopping, the post-therapy scores were higher than the ante-therapy scores, and produced meaningful significance in statistics(p<.05). 3. The entire score of GMFM was higher after the therapy than before, and made significant differences(p<.05). In conclusion, the neuro-development therapy greatly made enhancement of motor development, and was effective for the gross motor development of cerebral palsy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신경발달치료를 통해 뇌성마비아동을 대상으로 대 근육운동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에 있는 C대학교병원 소아치료실에 내원하는 6개월이상 신경발달치료를 받고 있는 뇌성마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뇌성마비아동 총22명을 치료 전·후의 대 동작기능평가(GMFM)를 대응표본 검정하여 신경발달치료 전·후의 점수를 통해 측정하였으며, 대 근육운동 평가는 88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5개영역의 대 동작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신경발달치료 전·후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차가 있음이 밝혀지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연령, 조산, 마비형태, 수술여부, 보조기 착용여부, 이동 상태에 따른 신경발달치료 전, 후의 대 근육운동발달점수는 치료 전 보다 치료 후 점수가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2. 신경발달 치료 전·후의 각 항목별 대 근육운동발달 점수에서 누워서구르기, 앉기, 네발기기와 무릎서기, 서기, 걸어서 몸을 돌린 후 뛰기에서는 치료 전 보다 치료 후 점수가 더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3. 전체 대 근육운동발달 점수는 신경발달치료 치료 전 보다 치료 후 더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높은 유의성을 보였다(p<.05).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신경발달치료가 뇌성마비 아동의 대 근육운동발달 기능 향상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 육상 남·여 미디엄 스타트 동작수행에 대한 운동학적 비교 분석

        장용철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육상 남·여 우수선수 대상으로 미디엄스타트 동작을 운동학적 분석을 통하여 스타트 동작에 따라 어떠한 특성과 기술의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봄으로 기초자료와 효과적인 기술지도를 위한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여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주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3대의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였으며, APAS(Ariel Performance Analysis System, USA)의 통합소프트웨어를 사용하였다. 인체관절 중심점의 좌표화는 Plagenhoef(1983)에 의한 인체모델 순서에 따라 좌표화 하였고 Walton(1952)의 DLT(Direct- Linear Transformation)기법을 이용하여 미리 실 공간에서의 좌표값이 알려진 몇 개의 점(control- point)을 촬영하여 실 공간 좌표와 필름면상의 좌표계로부터 DLT변환식의 계수를 산출하였다. 이 때 차단 주파수(cut-off frequency)는 10.0Hz로 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거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소요시간 변화에서는 남자선수들이 빠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가속이 시작되는 제2보와 제3보(P3)에서부터 차이가 나타났다. 출발구간(P1)에서는 반응시간과 스타트 자세로부터 정지해있는 관성을 무너뜨리기위해 남·여 선수 모두 긴 시간이 소요되었다. 2. 보폭 변화는 첫발을 내딛는 시점(RFD)에서 선행연구와 같이 80∼100cm사이의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보폭수의 증가에 따라 점진적으로 큰 보폭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신체중심 위치변화는 첫발을 내딛는 시점(RFD)에서 왼발초기가 지면에 닿는 순간(LFD) 효율적인 동작을 위해 스텝 변경 시 좌·우의 이동 폭을 줄이고 오른발이 지면에 닿는 순간(RFD1)은 질주 자세로 전환되는 시점으로 수직이동을 최소화 하고 수평 이동변화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속도변화에서 첫발을 딛는 순간 신체중심을 진행방향으로 빠르게 기울여 초기 제동력이 후반부의 추진력으로 작용하여 다음동작진행의 속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5. 각도변화는 스타팅 블록에서 이탈시 좌·우측 슬관절과 고관절의 각도를 신전시켜 초기의 빠른 움직임을 통하여 출발구간의 기록을 단축시키고 견관절은 양팔의 균형적인 전·후 스윙동작을 하는 것이 기록단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6. 각속도 변화는 오른발 앞꿈치가 스타팅 블록에서 이탈하는 순간(RTO) 우측 슬관절을 몸쪽으로 빠르게 굴곡시켜 각운동량을 크게 하고 오른발이 지면에 닿는 순간(RFD1)에서 왼발초기가 지면에 닿는 순간(LFD)까지는 상체를 빠르게 일으켜 세우고 주관절의 전·후 스윙속도를 증가 시키는 것이 신체를 전방으로 추진시키데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d been conducted to assist the improvement of performance, suggesting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fundamental data and effective technical training whether to find out the differences of the characteristics and techniques by the start motions, through the kinematics analysis of the medium start motion in the subjects of excellent male and female athletes. To do so, 3 units of digital cameras and the integrated software of APAS(Ariel Performance Analysis System, USA) were used. The coordinate of the central point of human joint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order of human model by Plagenhoef(1983), and the coefficients of DLT transforming formula from the actual space coordinate and the one on the film surface were calculated taking some control points which were known the coordinate values in the actual space using Walton’s DLT(Direct- Linear Transformation) technique(1952). The cut-off frequency was defined as 10.0Hz at this time. Through these proces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1. The faster changes of overall required time had been shown in the male athletes, especially from the 2nd and 3rd paces(P3) when the acceleration had been started. In the start section(P1), it required long time in both male and female athletes to break the response time and the inertia that remains halt from the start motion. 2. The changes of stride was shown that it was desirable to move horizontally in between 80 and 100 cm at the point of 1st stride(RFD) as the previous study, and to make longer stride gradually as the number of the stride increased. 3. The change of body center position was shown to be desirable, in case of the step change, to decrease the width of left/right movements for the efficient movement at the point of surface contact with initial left foot(RFD), to minimize the vertical movement, and to maximize the change of horizontal movement, at the point of switching into the position of running when the right foot contacts to the surface(RFD1). 4. In the speed changes, the initial breaking power was shown to be acted as the propelling power in the later part to be affected the speed of the following movement, inclining the center of the body rapidly toward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t the point of the 1st stride. 5. It is considered that the change of the angle shortened the records of the starting area through the initial rapid movements enhancing the joint angles of left and rights knees and hip in case of separation from the starting block, and the balanced forward and backward swing movements of both arms in the shoulder joints may affect positively to the record shortening. 6. The changes of angles and speed make the angle movement enlarge bending the right knee joint rapidly toward the body at the point of separation of the right toe from the starting block(RTO), and it was shown that standing the upper body up rapidly, and increasing the swing speed of the main joints forward and backward from the point of right feet contact to the surface(RFD1) to the point of left feet contact (LFD) were beneficial to propel the body forward.

      • 태권도 뛰어 뒤차기 동작의 생체역학적 비교 분석

        유태석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대한태권도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고등학교 남자 선수 중 경력이 6년 이상인 전국대회메달획득 경험이 있고 뛰어 뒤차기를 주특기로 하는 우수자 3명과 경력이 3년 이하인 전국대회메달획득 경험이 없는 비우수자 3명을 대상으로 뛰어 뒤차기 동작에 대한 지면반력 분석을 통하여 소요시간, 지면반력, 압력중심 이동 그리고 회전토크의 변화를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뛰어 뒤차기 동작의 소요시간 뛰어 뒤차기 동작의 소요시간은 지면반력 접지 시 접지 시간을 짧게 하고 지면반력에 가한 큰 충격력을 수직 상방향으로 운동량을 전이시켜 체공시간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접지 시 지면반력 변화 지면반력 접지 시 좌우 지면반력(Fx)에서 빠른 회전을 하기 위해 오른발을 좌측 방향으로 지면에 강한 충격을 가하여 차기발에 운동량을 전이시켜 상대방에게 큰 충격으로 가격하고, 왼발은 우측으로 힘을 발생시켜 몸을 180° 장축회전해서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잡아주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후 지면반력(Fy)에서 오른발의 내측에 힘을 가하여 전방으로 각 운동량을 전이시키고 디딤축인 왼발은 제자리에서 점프하여 빠른 장축회전으로 오른발이 발차기 후에 지지발로서 안정된 착지동작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 지면반력(Fz)에서는 차기발을 지면의 반작용력으로 역학적 에너지를 전이시켜 이지 직전에 수직력을 크게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왼발은 지지발로서 신체의 무게중심을 상승시키고 최고정점까지 투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접지 시 압력중심 이동 변화 좌우 압력중심 이동(Copx)에서는 좌우측 발이 지면반력 접지시간을 짧게 가하여 무게중심을 전족에 극대화 하여 신체의 중심을 안정화 시키고 투사체를 최고정점까지 이르게 하도록 빠른 회전으로 체공시간을 확보하여 상대방에게 타격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후 압력중심 이동(Copy)에서는 수직 상방향으로 동체가 투사 될 수 있도록 디딤축인 왼발의 외측에 압력을 가하여 무게중심의 안정화와 오른발의 빠른 회전이 일어날 수 있도록 발의 압력중심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접지 시 회전토크 변화 지면반력 접지 시 회전토크는 (-)방향에서 제동하여 (+)방향으로 추진함으로서 회전토크를 크게 하여 동체의 회전반경을 크게 할 수 있도록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사된 상체의 회전반경을 장축중심으로 회전토크를 크게 하고 차기발에 운동 에너지를 전이시켜서 최고정점에서 목표물에 크게 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conducted a research on the object of 3 predominant players with their careers more than 6 years and 3 non-superior players with their careers less than 3 years among the high school male players who were registered at Korea Taekwondo Association, through an Analysis on Ground Reaction Force about Twio Dwichagi motion, by practice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n its taken time, ground reaction force, its transference the center of pressure, change of rotational torque, then obtained the result as the following: 1. Required Time for Twio Dwichagi Motion With regard to the required time for Twio Dwichagi Motion, it was appeared as desirable that when it steps for ground reaction force, make the grounding time shorter, and make the floating time longer by means of a great shock power given to the ground reaction force should be transferred to the perpendicular upper direction at its momentum. 2. Change of Ground Reaction Force when Ground-Stepping It was displayed as desirable that when the bottom stepping for the ground reaction force, in order to act a quick revolution at both Left and Right Ground Reaction Force(Fx), the right side foot presses a strong shock on the ground to the right side direction that transfers the momentum to the kicking foot which strikes the opponent by a hard shock, also the left side foot generates its power to the right side that let the body takes 180° long axis-rotation, then making the center of gravity to be stably fixed in due course. It was appeared as advisable that in the ground reaction force of the front and rear (Fy), by gathering the power to the inside of right foot, let each momentum move forth, and the left foot, the pivot, must jump on the original place by quick long axis-rotation, the right foot as a supporting foot after foot-kicking, takes the stabilized landing motion. In the vertical ground reaction force (Fz), it is desirable that the kicking foot transfers the dynamical energy by use of the reaction power of the land surface, and greatly increasing of the perpendicular power just before removing of ground surface, and it also appeared as desirable that the left foot, as its supporting foot, let the center of gravity of body rises, and throws it until the maximum vertex. 3. Transference Change of Center of Pressure when Ground-Stepping It was appeared as desirable that in the transference at the left and right Center of Pressure(Copx), by letting the ground stepping time shorter of both left and right sides feet for ground reaction force, making the center of gravity maximizes to the fore feet and maintain the center of body stabilizes, and in order for the throwing object to be reached until the maximum vertex, securing the floating time by quicker rotation for striking the opponent. It was also appeared as desirable that in the transference at the front and rear of Center of Pressure(Copy), in order for the trunk to be thrown to vertical upper direction, by giving a pressure to the outside of left foot, the pivot, for stabilization of the gravity-center and for enabling the right side foot makes quick rotation and its establishment the center of pressure transference. 4. Change of Rotational Torque when Ground-Stepping When the earth-stepping for the ground reaction force, since the rotational torque brakes it at (-) direction, and propels to (+) direction, therefore it is desirable by letting the rotational torque enlarge, and secure it in order for the rotational radius enlarger, and it was also appeared as desirable that the rotational radius of thrown upper part of the body should be enlarged with centering around long axis at the rotational torque, and by transfer a kinetic energy to the kicking foot, it becomes possible to attack strongly the target object at the maximum vertex position.

      • 야구 오버핸드 투구 동작에 대한 운동역학적 분석

        최원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선수와 대학 아마추어선수의 투구동작을 운동역학적으로 분석하여 투구 동작을 수행하기위한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차이점을 규명하며 정량화 되고 올바른 투구동작을 제시하여 투수능력의 경기력 향상과 부상방지 및 효율적인 투구동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현재 프로선수로 등록되어 있는 프로선수 2명, 대학아마선수 2명으로 3차원 영상 분석을 사용하여 운동학적 분석과 EMG를 이용한 운동역학적 분석을 통하여 각 구간 및 이벤트별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야구 투구 동작의 소요시간은 P1에서 볼을 던지기 전 안정성과 각운동량을 확보하는 구간으로써 신체의 불필요한 움직임을 최소화하여 신체중심 밸런스를 효과적으로 수행하는데 짧은 소요시간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P2에서 빠르게 움직이며 추진하는 발을 지면에 닿은 후 안정성 확보를 하고 전방으로 추진력을 얻은 상체를 P3에서 상체를 회전시켜 볼을 투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신체중심 위치 변화는 추진다리를 진행방향으로 내딛으며 적절한 보폭을 이용함으로서 기저면 확보를 효과적으로 수행함과 동시에 안정적인 투구동작을 수행해야하며 각 관절에 확보된 운동량을 전방으로 강하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신체중심 속도 변화는 빠른공을 정확히 던지기 위해서 위치선정이 중요하며 신체를 지지하는 뒷발 중앙과 추진하는 발 그리고 홈 플레이트 꼭지점까지 이어지는 3개의 점이 일직선을 이루며 전방으로 빠르게 무게중심을 이동하여 좌‧우 움직임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 방향으로 나가는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수직축 형성을 하여 안정된 신체중심을 바탕으로 상체를 회전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신체 분절의 각도변화는 슬관절 신전이 진행방향으로 강하게 추진력을 얻어 상체를 회전하고 고관절의 굴곡과 신전을 통해 상체의 회전력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투구하지 않는 견관절은 추진다리 바깥쪽으로 굴곡하여 회전을 극대화시켜 강한 회전력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투구하는 견관절의 굴곡을 통해 근위분절에서 시작된 운동에너지를 원위분절로 전이시켜 효율성을 증가시키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근위분절에서 운동에너지를 원위분절로 전이 시키는 과정에서 주관절의 굴곡과 신전을 통해 운동에너지를 증가 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볼을 투구하기 전 상지를 최대 외회전하여 이루어지는 운동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수관절을 신전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5. 근전도의 근 활동전위는 지지다리에서 비복근을 사용하여 슬관절과 족관절을 굴곡시킴으로서 동체의 수직축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추진다리는 대퇴직근과 전경골근을 사용하여 진행방향으로 빠르게 이동되는 신체를 하지에서 제어하고, 대퇴이두근으로 굴곡되어 있는 슬관절을 최대한 유지시켜 상체의 회전을 극대화시키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빠르고 정확한 투구를 하기 위해서는 움직임을 최소화하고 신체의 밸런스를 확보하여 소요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효율적인 것으로 사료된다. 안정된 신체를 효율적으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운동량을 축적시키는 구간과 힘을 발생시키는 구간으로 나누었을때 좌‧우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투구동작 시 지지다리는 비복근을 사용하여 슬관절과 족관절을 굴곡시키고 추진다리는 대퇴직근과 전경골근을 사용함으로서 진행방향으로 빠르게 이동되는 신체를 하지에서 제어하고 대퇴이두근으로 굴곡되어 있는 슬관절을 최대한 유지시켜야 상체의 움직임을 원활히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안정된 신체중심을 바탕으로 강한 회전력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견관절, 주관절, 수관절의 굴곡과 신전을 통하여 근위분절에서 이루어지는 회전력을 원위분절로 극대화시켜 볼을 투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투구동작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pitching motions of pro players and college amateur players kinetically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through the scientific method for the performance of the pitching motion, so that it can suggest the quantifiable and right pitching motions and provide the effective pitching motions to improve athletic performance and to prevent injur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of analyzing by each section and event through the kinetic analysis using the kinematic analysis and EMG with the 3-dimensional image analysis of the 2 current pro players and 2 college amateur players for these purposes. 1. It was found that the time required for the baseball pitching motion is the section to secure stability and each quantity of motion before the players pitch a ball in P1, so short time is desirable to minimize unnecessary physical movements to effectively perform the balance in center of gravity. It was also found that securing stability after feet that rapidly moved and pushed ahead in P2 touch the ground and pitching a ball by spinning the upper body that obtained momentum forward in P3 are desirable. 2. It was found that as for the position change in center of gravity, it is desirable to perform securing basement effectively, to fulfill the stable pitching motion, and to use the quantity of motion secured in each joint strongly forward at the same time by taking the leg to push ahead toward direction of progress and using appropriate stride. 3. It was found that as for the speed change in center of gravity, it is important to select position to correctly pitch a fast ball and is desirable that three points among the center of a hind leg that supports the body, the other leg that pushes ahead, and a vertex of home plate are in line and that the players should move the center of gravity forward rapidly and minimize the motions of right and lef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t is desirable to form vertical axis and to spin the upper body based on the stable center of gravity by controlling speed of stepping forward. 4. As for the angle change of the body segments, it was found that it is effective that extension of the knee joint obtains momentum strongly toward of progress and spins and that the players maximize the turning force of the upper body through flexure and extension of a hip joint. It was found that it is desirable that the players should bend the shoulder joint not used for pitching outward of the leg pushing ahead to maximize spin and to perform the strong spin force and it is effective to increase effectiveness by transferring the kinetic energy started from the proximal segment to the distal segment through flexure of the shoulder joint used for pitching. It was found that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kinetic energy through flexure and extension of an elbow joint in the process of transferring the kinetic energy from the proximal segment to the distal segment and that it is desirable to extend the carpal to effectively use the kinetic energy gained by the external rotation of the upper limbs to the hilt before pitching a ball. 5. As for the myokinesis of EMG, it was found that it is desirable to form a vertical axis of the moving body by bending the shoulder and ankle joints using the gastrocnemius in the supporting leg. It was found that it is effective that a leg pushing ahead should control the body rapidly moving to the direction of process in the lower limbs using the straight muscle of thigh and the anterior tibial muscle and should maintain the bent knee joint by biceps femoris to the hilt so as to maximize the rotation of the upper body. To compound these conclusions, it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that players should shorten the required time by minimizing their motions and securing the physical balance for fast and correct pitching. It is important to minimize the right and left motions when those are divided into a section of accumulating quantity of motion and a section of generating power to secure stable body effectively. It is thought that at the moment of pitching motion, the upper body can smoothly move when the supporting leg should bend the knee and ankle joints using the gastrocnemius and the leg pushing ahead should control the body rapidly moving to the direction of progress in the lower limbs using the straight muscle of thigh and the anterior tibial muscle and should maintain the bent knee joint by biceps femoris to the hilt. In addition, the most advisable pitching motion is judged to pitch a ball by maximizing the turning force gained from the proximal segment in the distal segment through flexure and extension of the shoulder, elbow and carpal joints to effectively use the strong turning force based on the stable center of gravity.

      • 주니어 피겨스케이팅의 더블루프 기술 동작에 대한 운동학적 분석

        권종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피겨스케이팅 주니어 선수 4명을 대상으로 더블루프 동작의 3차원 영상 분석하여 상지 및 하지 분절의 운동학적 변인을 분석하여 더블루프 동작의 과학적인 기초자료를 제시하여 주니어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의 경기력 증대와 기술 향상을 위한 과학적인 자료제공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첫째, 더블루프동작의 소요시간은 1국면에서 스케이팅의 활주속도를 줄이지 않고 하체 분절의 각운동량을 크게 확보 하여야 점프 동작 시 유리한 점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체를 빠르게 굴곡시켜 탄성에너지를 축적시킴으로 지면에서 이지하여 체공시간을 길게 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고 정점인 E3까지 비틀기 동작을 마무리하고, E4에서 오른쪽 하체관절을 굴곡시켜 충격량을 최소화시켜 안전하게 착지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중심 위치 변화는 전방으로 향하는 빠른 스케이팅을 통해 투사속도를 빠르게 하여 상지를 수직으로 세워 점프를 높이며, 상 방향으로 신체를 띄우는 동시에 빠르게 비틀기를 수행해야 하고, 신체중심이 좌᠂우 위치 변화를 작게 하며 수직높이를 상승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 높이를 상승시켜야 수직축 형성에 효과적이며 비틀기 동작을 안전하고 유리하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착지구간인 E4시점에서 신체중심 위치 변화를 최대한 낮게 하여 안전하게 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중심 속도 변화는 좌᠂우 변화 속도를 최대한 줄여주며 전방향의 변화 속도와 점프 변화 속도를 높여 큰 점프를 하여야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케이팅의 속도를 그대로 이용하여 하체 관절을 굴곡시킴과 동시에 견관절을 신전하여 스윙을 만든 후 비틀기를 함으로써 각운동량을 증가 시켜 안정된 동작을 시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착지 시 하체관절을 빠르게 굴곡 시켜 신체중심 위치가 낮아져 안정적으로 착지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신체 분절의 각도변화는 E2에서 족관절, 슬관절, 고관절을 각도를 크게 굴곡함으로써 지면에 힘을 가한 것으로 보여지며, 전이된 운동량을 E2에서 신전시켜 수직방향으로 투사 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족과절, 슬관절, 고관절의 굴곡으로 운동량을 극대화시켜 신전하여 수직축 형성을 이루는 동시에 견관절의 스윙을 통해 수직방향으로 투사 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착지 시에는 견관절을 신전시키며 비틀기의 회전 속도를 줄임과 동시에 족관절, 슬관절, 고관절을 빠르게 굴곡시켜 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체 분절의 각속도 변화는 E1에서 족관절, 슬관절, 고관절의 굴곡하여 각운동량을 보존함으로써 E2에서 빠르게 신전해 고관절, 슬관절로 전이된 각운동량을 족관절의 탄성에너지로 바꿈으로 수직각도로 크게 수직 상승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점프시 견관절을 빠르게 신전하며 스윙하여 점프 수행능력을 최대로 끌어 올리며 점프 수행능력을 증가시켜야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때 견관절을 회전방향으로 빠르게 굴곡시켜 수평면을 유지한 고관절과 함께 비틀기를 수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E3에서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을 빠르게 굴곡 시켜 충격량을 줄여 E4에서 안전하게 착지하고, 굴곡되어 있는 견괄절을 신전함으로써 회전을 제어해 운동에너지를 위치 에너지로 전환시켜야 효과적인 동작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scientific data that will increase the performance of junior figure skater and improve technology. The target of this study was four junior figure skating players and the ananysis of three-dimensional images of double-loop operation and the analysis of the kinematic variable for the upper and lower limbs segment will provide scientific basic information of double-loop operation. First, the double-loop operation time in one phase is found to have a favorable effect of the jump without reducing the skating slide speed and with the large angular momentum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In addition, accumulating elastic energy by bending the body quickly make it endure not in the ground long time and it was desirable to finish the twist until the peak of the action E3 and to land safely by bending the right lower limb joints at E4 to minimize impulse. Second, the changes of the center of body towards the rapid skating in the position of the front and the upper limb in the vertical by making projection speed rapid increase jump, and float body upward and twist must be performed rapidly and at the same time making the changes of left and right position of center of body small was desirable to perform favorably. In order to make vertical axis by rising vertical height, performing twist action safely and effectively was desirable. In addition, minimizing the change of the center of body in the landing area E4 was desirable. Third, the changes in speed of the center of gravity reduced maximum the change speed on the left and right and the increase of the forward change speed and jump change speed was effective. The bending lower body joints to keep using the skating speed and at the same time, stretching shoulder joint and after swing, twist increased the angular momentum and performed safe action. In addition, the quick flexion of lower body joints in landing made the center of body low to safely land and that appeared to be effective. Fourth, the change in the angle of the body segments in E2 by the flexion of ankle, knee, hip angle significantly added power to the ground and stretched the transferred momentum on E2 to projec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lexion of ankle, knee, and hip maximized the momentum and achieve the formation of the vertical axis by stretch. At the same time, the vertical projection was effective by swing of shoulder joint. In landing, the stretch of shoulder joint and reducing the speed of rotation of twist with the quick flexion of ankle, knee, and hip showed that it is desirable to landing. Fifth, changes in the angular velocity of the body segments in E1 preserved the angular momentum by the flexion of ankle, knee, and hip and in E2 stretched rapidly from hip to knee, the angular momentum was transferred to the elastic energy of ankle joint so that it appeared to be effective to rise vertically on a large scale. In addition, shoulder joint stretched rapidly and swing to perform a jump and it needed to increase the jump ability up to the maximum and that appeared desirable. The flexion of the shoulder to the direction of rotation was effective to perform twist with hip that keep the plan and in E3 the quick flexion of the hip, knee, ankle reduce the impulse to land safely on E4 and stretching the bent shoulder joint controlled the rotation to transfer kinetic energy into potential energy and that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