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능성 혈관내피세포 분화 조절에 관한 연구

        이나금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박사

        RANK : 247599

        Vascular diseases occur due to vascular remodeling, abnormal vessels development, and inflammatory responses of vessels, which cause hypertension, ischemia, arteriosclerosis, diabetic complication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on that account, the mortality rate is considerably higher. Therefore, to cure for these diseases, cell therapy, discovery of activators, and gene therapy are issued for repair of vessels besides surgery. Especially, pluripotent stem cells and adult stem cell-derived endothelial progenitor cells/endothelial cells are representative source of cell therapy, and research of these field are actively conducted as of now. In this thesis, a novel protein (Netrin-4) that induces activation of vascular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derived from peripheral blood, bone marrow and umbilical cord blood in adults was identified, and then, it was verified the availability as promising therapeutic strategy to improve ischemic vascular diseases by investigating functional and mechanism study. Furthermore, a new system capable for differentiating functional cerebrovascular endothelial cells from pluripotent stem cells is established to make blood-brain barrier (BBB) similar with biological system and it was verified that it could be usefully used for the pathogenesis of brain disease, drug development, and toxicity evaluation. Based on these studies, I propose a new strategy of cell therapy and drug discovery for vascular diseases and novel direction for establishment for evaluation model. Netrin-4 that activates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in ischemic diseases is especially expressed from vascular endothelial cells in various ischemic environments, and thus induced Netrin-4 directly stimulates vascular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which express several angiogenic factors. Additionally, activated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by Netrin-4 indirectly increase proliferation, migration, and tubular formation of pre-existing endothelial cells, as well as promoting the differentiation of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into endothelial cells, and thereby it demonstrate that Netrin-4 involved in neovascularization. Especially, in ischemic disease model such as hindlimb ischemia, Netrin-4 augmented neovascularization by inducing homing of transplanted endothelial progenitor cell and promoting differentiation into endothelial cells, as well as improving blood perfusion and function of ischemic limb. Also, Netrin-4-induced activity and function of EPCs were regulated through UNC5B receptor-dependent manner. In this study, activation of Netrin-4-UNC5B axis in endothelial progenitor cells suggests an efficient therapeutic strategy for inducing neovascularization to therapy of ischemic vascular diseases. Next, I studied the blood-brain barrier (BBB) critical to maintaining homeostasis of the brain. Until now, there are many limitations for research on the pathogenesis of various diseases caused by damage of BBB and drug discovery due to in the absence of cell and model systems that can mimic the biological BBB. Therefore, in this study, I attempted to establish a new differentiation system similar with functional 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consisting of BBB structure using pluripotent stem cells. First of all, differentiation conditions similar to the brain microenvironment during the cerebral vascular development stage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to produce cells having functions and properties of 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 cells. Differentiated BME-like cells through these system highly expressed selective receptors, channels, and tight junction protein, which demonstrated that traffic of several substances was selectively regulated. Moreover, differentiated endothelial cells have low response to inflammatory factors, and co-culture with neural cells such as astrocytes and pericytes decreased the permeability. Additionally, unlike BMEC produced previously reported differentiation system, BME-like cells developed in our system showed long-term maintenance, proliferation, high functionality, and characteristics. These BBB properties of functional BME-like cells (brain microvascular endothelial-like cells) were regulated by TGF-β and sonic hedgehog (SHH) signaling pathway. In this study, I suggested that functional BME-like cells could be applied for BBB model, which can be valuable used to identify the pathogenesis mechanism of various brain diseases caused by abnormalities of the cerebrovascular barrier or to develop drugs. 혈관성질환은 혈관의 재형성, 비정상적 혈관 발달 및 혈관 염증성 반응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고혈압, 허혈, 동맥경화, 당뇨합병증, 그리고 심뇌혈관계 질환 등을 초래하며 이로 인한 사망자 비율도 상당히 높다. 현재 이러한 혈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외과적 수술적 방법 이외에 혈관을 재생할 수 있는 세포치료제 개발, 혈관세포 활성화 물질 발견 및 유전자 치료가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전분화능 줄기세포와 성체줄기세포 유래 혈관내피전구세포 또는 혈관내피세포는 혈관 질환의 대표적인 세포치료제로써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학위 논문에서는 성인의 말초혈액, 골수 및 제대혈 유래 혈관내피전구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하는 새로운 단백질(Netrin-4)을 동정하고, 기능 및 작용기전의 규명을 통해 허혈성 혈관 질환을 개선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제로서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기능성 뇌혈관내피세포 특이적으로 분화 시킬 수 있는 새로운 시스템을 확립하여 생체와 유사한 뇌혈관장벽(Blood-Brain Barrier,BBB) 모델을 구축함으로써 뇌질환의 병인기전 규명, 약물 개발 및 독성 평가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음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연구를 통해 혈관 질환 치료 및 약물 개발을 위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허혈성 질환에서 혈관내피전구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새로운 단백질로 동정한 Netrin-4는 다양한 허혈환경에서 혈관내피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이 유도되며, 이렇게 유도된 Netrin-4는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직접적으로 자극하여 다양한 혈관신생 유도인자들의 발현을 유도하여 기존에 존재하는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이동 및 관형성을 간접적으로 증가시킬 뿐 아니라, 혈관내피전구세포를 혈관내피세포로 분화를 촉진시킴으로써 혈관신생에 직접적으로 관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하지 허혈과 같은 허혈성 질환모델에서Netrin-4를 주입하였을 때, 허혈 부위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이동 및 분화를 증가시켜 기능성 혈관신생을 촉진함으로써 혈류 회복 및 하지 기능을 개선하였다. 또한, Netrin-4에 의한 혈관내피전구세포의 활성화는 그 수용체들중에서 UNC5B 수용체 신호전달에 의존적으로 유도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혈관내피전구세포를 기반으로 한 허혈성 질환 치료에 있어 Netrin-4 및 UNC5B 수용체 신호전달 활성화가 기능성 혈관신생을 유도하는데 효율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뇌의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뇌혈관장벽과 관련된 연구로, 지금까지는 생체 뇌혈관장벽을 모사할 수 있는 세포 및 모델시스템의 부재로 뇌혈관장벽의 손상으로 인한 다양한 질환의 병인기전 연구 및 이를 치료하기 위한 약물 개발에 많은 한계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뇌혈관장벽을 구성하는 뇌혈관내피세포와 유사한 세포로의 특이적 분화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하고자 하였다. 먼저, 생체 뇌혈관내피세포와 유사한 기능과 특성을 가진 세포를 제작하기 위해 다양한 인자들의 조합을 통해 뇌혈관 발생단계 동안의 미세환경과 유사한 분화 조건을 확립하였다. 이러한 분화시스템을 통해 분화된 세포는 생체 뇌혈관내피세포 특이적인 수용체, 채널 및 접합단백질들의 발현이 높게 나타냈으며, 이를 통한 다양한 물질의 이동 역시 선택적으로 조절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뇌혈관내피세포의 대표적인 특성 중의 하나인 다양한 염증 인자에 대한 반응성이 낮게 유지되었으며, 뇌혈관장벽을 구성하는 성상세포와의 공배양시 투과성이 감소되었다. 아울러, 기존에 보고된 분화시스템을 통해 제작된 뇌혈관내피세포와 달리 장기간 배양이 가능할 뿐 아니라 형태학적∙기능적 특성이 유지됨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생체와 유사한 기능적 뇌혈관장벽 특성은 분화 단계별 WNT, TGF-β 및 Sonic Hedgehog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 조절을 통해 획득됨을 규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확립한 분화시스템에서 제작된 세포는 뇌혈관장벽 모델로 적용이 가능하여 뇌혈관장벽의 이상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뇌질환의 병인기전 규명이나 약물 개발에 유용하게 활용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東北工程과 1990년대 이후 중국 중등 역사교과서 한국사 관련 서술 변화에 관한 연구

        조기임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1990년 이후 중국의 교과서 집필은 커다란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중국은 원래 건국 초기부터 1980년대까지 ‘一綱一本’(단일 강령에 따른 단일 교과서)의 정책에 따라 人民敎育出版社에서 교과서를 독점 출판하였다. 그 후 1980년대 중반부터 점차 교과서의 출판이 국정제에서 검인검정제로 전환되기 시작하였으며, 2001년에 이르러 중국 교육부에서는 출판사, 대학, 심지어는 개인까지도 교과서를 집필할 수 있도록 허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전환은 여러 가지 배경 요인들과 맞물려 기존의 교과서 체제와 비교해 보았을 때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1990년대 이후 변화된 중국의 교과서, 특히 역사교과서에서 한국사에 관련된 내용들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분석해보았다. 한국사와 관련된 내용들을 분석하기에 앞서 한국사 관련 집필에 영향을 준 배경으로 東北工程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그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중국 역사교과서에서 한국사의 내용들이 어떻게 서술되고 있는지 분석해 보았다. 2장에서는 본격적인 교과서 서술 내용을 분석하기에 앞서 1990년 이후 중국 내 역사서술에 영향을 준 요인인 東北工程에 대해 먼저 살펴보았다. 1절에서는 東北工程이 등장하기 전 선행 작업으로 이루어진 夏商周斷代工程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2절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韓?中 양국의 핫이슈가 되고 있는 東北工程이 등장하게 된 배경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韓?中 양국 학계에서 발표한 문헌 자료를 바탕으로 서로의 각기 다른 주장에 대해 짚어 보았다. 3절에서는 東北工程의 연구 결과의 주요 내용인 高句麗史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위에서 제시한 배경을 바탕으로, 1990년 이후 중국 내 역사교과서의 한국사 서술이 어떻게 변하였는지 분석하였다. 앞서 언급했듯이, 국정제의 교과서가 검인검정제로 변화되면서 새로운 실험본 교과서가 등장하였고, 현재 여러 학교에서 실험본 교과서를 채택하여 학생들을 교육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3장에서는 기존의 교과서와 새로 개정된 실험본 교과서의 한국사 관련 서술 부분의 변화를 비교하여 보았다. 3장에서는 2장에서 배경으로 살펴보았던 東北工程이 교과서의 서술 내용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비교?분석하였다. 1절에서는 우선 개정 전 후의 교과서 서문을 비교하여 전체적인 교과서 내용이 어떻게 변하였는지 분석하였다. 2절부터 6절까지는 시기별로 나누어 高句麗, 신라, 발해, 고려, 조선 관련 부분의 서술 내용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마지막 4장에서는 앞서 분석한 내용들을 정리하였고, 한국사의 잘못된 서술 부분들에 대해 감정적으로 대처하지 않고 학생들을 지도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고찰해보았다.

      • 감염성 미생물 특이적 재조합 항원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 개발

        김슬기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감염성 병원체 관련 생물학작용제를 쉽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진단 항체의 개발은 임상적으로 중요하다. 현재 Staphylococcal enterotoxin B(SEB), Yersinisa p estis (CaF1), Hantaan Virus (N protein)는 경미한 증상에서부터 면역부전에 이르기까지 인간에게 감염성 질병을 유발시킨다. 따라서, 이에 대한 신규 진단 항체개발이 필요하다. 본 학위 연구에서는 하이브리도마 기술을 이용하여 감염성 항원 3종에 대한 진단용 항체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먼저, Baculovirus Expression Vector System (BEVS)을 이용하여 감염성 항원 3종에 대한 재조합 단백질을 생산하였으며, 마우스 면역을 통해 비장세포를 얻어내어 하이브리도마 세포를 제작하였다. 각 항원들과 특이적인 하이브리도마 클론들을 선별하여 단일클론항체를 생산하였다. 끝으로, 정제된 단일클론항체 후보들은 Octet Biolayer Interferometry를 이용하여 각 항원과의 결합친화도를 비교하였고, 3종 이상의 높은 특이성을 가지는 단일클론항체들을 발굴할 수 있었다.

      • 혈관신생 및 인슐린 저항성에서의 PTP4A1의 다기능적 역할규명

        황병태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599

        티로신 인산화는 진핵 생물에서 조절되며 세포의 형태, 이동, 증식, 분화, 유전자 전사, 그리고 물질 수송 등의 핵심 신호조절 기작으로 작용한다. 티로신 인산화는 주로 단백질 티로신 인산화 효소와 탈 인산화 효소에 의해 상보적으로 조절되며 대부분 티로신 인산화 효소들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최근, 탈 인산화 효소들이 암, 당뇨병, 고혈압 등 다양한 질환에 관여하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기전연구와 이를 활용한 진단 및 치료전략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 지고 있다. 본 학위논문에서는 먼저 혈관신생 및 혈관투과성 조절에 대한 PTP4A1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혈관발달 과정은 다양한 혈관형성 조절인자들에 의해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혈관들이 발달하도록 조절된다. 맥관생성 과정에서 혈관모세포들에 의해 혈관망상구조가 발달하고, 혈관신생에 의해 혈관 체계가 재구성되며 증식, 이동, 발아와 불필요한 혈관의 제거를 통해 정상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혈관 체계가 만들어 진다. 티로신 인산화 조절은 혈관신생에서 매우 중요한 과정이며 티로신 탈 인산화 효소들에 의한 혈관형성 조절에 대해 아직 많은 연구가 알려져 있지 않다. 티로신 탈 인산화 효소 중 하나인 PTP4A1단백질이 Src 단백질과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2를 중심으로 혈관형성 과정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TP4A1이 결손 된 마우스의 배아에서 (E9.5) 혈관발달의 저해 및 불안정한 형태의 혈관들이 발달되어 있는 것을 후뇌, 꼬리, 그리고 척수절간혈관에서 확인하였으며, 출산 후 (P5) 마우스 새끼들의 망막혈관 발달이 저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렌티 바이러스를 이용하여 PTP4A1발현을 억제시켰을 때 혈관 내피 세포의 증식, 이동, 튜브형성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TP4A1 단백질이 Src 단백질과 혈관내피성장인자 수용체-2에 결합하여 인산화 신호전달과정에 관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결과들을 토대로 티로신 탈 인산화 효소인 PTP4A1이 신생혈관형성을 조절하며 혈관질환 치료의 표적으로서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간 대사에서 PTP4A1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인슐린 신호전달 과정에서 인산화 효소와 탈 인산화 효소에 의한 번역 후 단백질 변형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인슐린에 의한 신호전달 과정에서 인산화가 비정상적으로 조절되면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할 수 있다. 이번 연구에서 PTP4A1이 인슐린 감수성을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단백질 티로신 탈 인산화 효소임을 확인하였다. PTP4A1결핍 마우스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나타나며 고지방식이를 통하여 심각한 인슐린 저항성을 확인하였으나 비만이 유도되지 않았다. PTP4A1의 결핍은 당 신생과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간에서의 당 흡수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Lyn 인산화 효소는 PTP4A1과 결합하여 활성화 되고 IRS/PI3K/Akt로 전달되는 인슐린신호를 증가시킨다. PTP4A1결핍 마우스에서 Lyn 활성제인 MLR-1023을 처리하면 인슐린 감수성이 정상 마우스 수준으로 회복된다. PTP4A1결핍 마우스에서 간 특이적 아데노 부속 바이러스에 의한 PTP4A1발현은 인슐린 저항성을 상당히 회복시키며 고지방식이 상태의 정상 마우스들도 인슐린 저항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간에서의 PTP4A1은 인슐린 저항성 관련 질환의 치료 표적으로서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신장 ∙ 간 섬유화 및 대사질환에서의 KLHL3 역할 규명

        장주홍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신장∙간 섬유화 및 대사질환에서 KLHL3 단백질의 기능을 규명함으로써 상기의 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섬유화는 지속적인 상처를 치유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장기의 일부가 굳는 현상을 의미하며, 폐∙간∙신장∙피부∙심장과 같은 다양한 기관에서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몸의 실질세포가 당뇨, 고혈압, 자가면역질환, 바이러스 감염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지속적인 괴사나 손상이 발생하게 되면, 염증으로 발생한 여러 종류의 면역세포 혹은 혈소판이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에 의해 아교질섬유를 형성하는 섬유조직이 이주 및 증식 하게 되고 섬유모세포에 의한 세포외바탕질 축적이 증가함으로써 섬유화가 진행된다. 보편적으로 상처의 정도가 경미하거나 상처를 입는 간격이 넓은 경우 섬유조직의 증식 보다 실질세포의 증식이 더 많이 나타나게 되고 프로테아제가 축적된 세포외바탕질을 제거하는 시간이 충분하기 때문에 섬유화로 진행이 어렵다. 따라서 섬유화로 진행을 막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상처를 입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섬유화가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인 신장 섬유화는 신장의 경화의 초기 단계로 만성 신부전으로 이행된다. 신장에서 사구체 및 요세관사이질에서 섬유화가 주로 발생하는데, 이러한 부위에 섬유화가 나타난 신장 질환 환자는 비교적 예후가 나쁘고 말기 신부전으로 이행되는 경우가 많다. 간질은 세뇨관, 사구체, 모세혈관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주변 지역의 병적인 문제가 쉽게 영향을 미쳐 간질 부위에서 섬유화가 주로 나타난다. 신장섬유화의 발병은 전환성장인자-β(TGF-β)와 안지오텐신Ⅱ와 같은 섬유질 인자에 의한 관막세포, 섬유모세포의 활성화, 상피간엽이행(EMT), 면역세포의 침윤, 세포사멸 등 과 같은 복잡한 세포 사건에서 비롯된다. 간질성 섬유화를 치료할 수 있는 약물로써 ACEⅠ 과 AT1R 길항제를 주로 이용 하고 있는데, 이러한 약물은 RAS(Renin-Angiotensin System)을 억제 함으로써 혈압 및 사구체의 압력을 떨어뜨리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이 두 가지 약제는 비 특이적인 RAS 억제 혹은 사용 후에 ANG Ⅱ, renin이 증가되는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 하고 있으며 신장 섬유화를 치료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신장섬유화의 발생에 대한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만성신부전 환자에 대한 치료적 개입은 여전히 부족하기 때문에, RAS 억제와 더불어 신부전을 진행시키는 새로운 인자를 찾아 치료제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2형 위상저알도스테론증 (Pseudohypoaldosteronism type Ⅱ) 환자에게서 나트륨-염소 공동수송체 (Na-Cl cotransporter) 의 인산화를 야기하는 WNK 단백질의 돌연변이 혹은 WNK단백질의 유비퀴틴화를 유발하는 KLHL3/Cul3 단백질에 돌연변이가 발생한다는 연구가 보고되었으며, 이와 더불어 PHAⅡ 환자에서 RAS가 억제 되어있는 특징이 알려졌다. 신장섬유화에는 고혈압과 RAS의 활성이 중요한 원인으로 대두되고 있는바, 본 연구에서 고혈압을 야기시키는 WNK 단백질과 RAS 활성화 중에서 어떠한 원인이 신장섬유화를 발생시키는데 더 중요한 것인지 알아보려고 하였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WNK의 활성증가와 더불어 RAS가 억제되도록 하는 KLHL3 돌연변이 마우스를 제작 하였으며, 이 마우스를 이용하여 간질성 섬유화를 유도하는 일측성 요관 폐쇄 (unilateral ureteral obstruction; UUO) 모델을 만들어 신장 섬유화의 발병 정도를 야생형 마우스와 비교하여 분석 하였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와 같이 KLHL3 돌연변이 마우스에서 고혈압을 유발하는 WNK-NCC 신호전달 경로가 활성화 되었으며, 이와 반대로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은 불활성화 되어있었다. 이를 토대로 신장섬유화를 유도하는 단백질을 확인해 본 결과, 파이브로넥틴, 콜라겐, 알파-엑틴2와 같은 섬유성 단백질이 UUO이후 KLHL3 돌연변이 마우스에서 크게 감소하였다. 뿐만 아니라 신장으로의 면역세포들의 침윤과 더불어 염증성 사이토카인 수치가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마우스 질병모델을 통해 KLHL3가 결핍 되었을 때 신장섬유화가 억제됨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세포수준의 실험을 통해서 재검증 하였다. 신장외피세포에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하여 일시적으로 KLHL3를 과발현 시킨 후 TGF-β 약물을 처리하여 세포외기질 단백질 및 섬유화 유도 단백질의 발현을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신장외피세포에서 KLHL3의 과발현은 섬유성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상피세포의 표지인자인 E-cadherin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이와 더불어 TGF-β 신호의 핵심 전사인자인 Smad2/3의 총 단백질 발현량과 인산화를 증가시켰는데, 이는KLHL3 단백질이 Ran-binding protein 3 (Ranbp3) 그리고 인산화효소 2A(PP2A)와 결합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Ranbp3과 PP2A는 각각 Smad2/3의 핵 밖으로 수출과 TGF-β 수용체 발현 감소를 통해 TGF-β/Smad2/3신호를 유지하는데 중요한데, KLHL3가 이 단백질과 결합 함으로써 TGF-β/Smad2/3신호를 유지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아직 본 논문에서는 유비퀴틴화를 유도하는 KLHL3가 Ranbp3과 인산화효소와 결합하여 이와 같은 단백질의 분해를 야기하는 것인지는 확인 하지 못하였지만, KLHL3가TGF-β/Smad 신호전달에 중요한 단백질로서 작용을 하여 신장섬유화를 악화시킴을 규명하였다. KLHL3단백질은 현재까지 신장에서의 기능만 알려져 있을 뿐 다른 기관에서의 역할은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비만과 이와 관련된 대사질환에서 KLHL3 단백질의 역할을 규명 하고자 한다. 세계보건기구(WHO)는 50여년 전부터 비만을 질병으로 취급하고 있는데, 이는 비만이 제2형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와 같은 심혈관 질환, 간 및 담낭 질환 그리고 특정 암의 발병률을 높임으로써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합병증을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체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인 경우 비만으로 정의 할 수 있는데, 신체가 소비할 수 있는 대사량보다 초과에너지를 섭취는 에너지 불균형이 발생하는 환경에서 여분의 에너지를 지방형태로 저장 함으로써 비만이 되게 된다. 주로 잘못된 식습관이 비만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지만 호르몬의 변화, 유전적요인, 생활습관, 정신건강의 문제나 사회∙경제적 요인 역시 비만을 유발하는 원인이다. 본 연구에서는 비만과 더불어 이로 인해 파생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과 더 나아가 간 섬유화에 이르기까지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KLHL3 단백질이 비만과 관련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탄수화물 위주의 균형 잡힌 일반적인 식이를 KLHL3 돌연변이 마우스와 야생형 마우스에 8개월 동안 취식시킨 후 몸무게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비록 4개월 까지는 몸무게에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후부터는 차이가 뚜렷이 나타나기 시작하다가 최종적으로 8개월이 되었을 때에는 KLHL3 돌연변이 마우스가 야생형에 비해서 몸무게가 10g 이상 줄어들어 있었다. KLHL3 돌연변이 마우스가 비만을 억제 하는지에 관하여 보다 자세히 알아보기 위하여 일반식이 대신 비만을 유도하는 고지방 식이를 12주간 실시하였고 몸무게의 변화를 추적하였다. 그 결과 KLHL3 돌연변이 마우스는 탄수화물 위주의 식이와 더불어 인위적으로 비만을 유도하는 고지방 식이를 실시 하였을 때에도 비만을 억제하는 표현형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KLHL3 돌연변이 마우스가 지방간을 완화시키는 것과 연결이 되는데 일반식이, 고지방 식이에 이어 과도하게 비알콜성 지방간을 유도하는 메티오닌-콜린 결핍 식이를 실시 하였을 때에도KLHL3 돌연변이 마우스의 지방간과 비 알콜성 지방간에 의한 간 섬유화가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었다. KLHL3 돌연변이 마우스에서 비만과 지방간에 의한 간 섬유화가 약화되는 원인이 세 가지가 있었는데, 첫째로 KLHL3 단백질이 부족한 간에서 포도당분해가 증가되고, 지방의 합성이 억제 되었다. 둘째, KLHL3 돌연변이 마우스에서 야생형 마우스에 비해 에너지 소비량이 월등히 높았으며, 마지막으로 비만과 지방간을 완화시키는 AMPK의 활성이 증가되어있었다. 이러한 세가지 원인에 의해 KLHL3 돌연변이 마우스는 비만과 지방간에 의한 간 섬유화가 억제 되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KLHL3 단백질을 이용한 약물이 비만과 지방간을 치료하는데 있어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아데노바이러스를 이용한 KLHL3 돌연변이를 제작하여 마우스 혈관에 주입한 후 고지방 식이를 실시하여 비만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KLHL3 돌연변이를 주입한 마우스에서 비만 및 지방간이 억제 되어있었고 AMPK 단백질의 활성이 간에서 증가 되어있었다. 따라서 KLHL3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것이 대사질환을 치료하는 새로운 약물로써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vent or treat the diseases by identifying the function of KLHL3 in kidney and liver fibrosis and metabolic diseases. Fibrosis is an unartificial phenomenon that occurs in the process of healing continuous wounds, which means that some parts of the organs are hardened, and diseases can occur in various organs such as the lungs, liver, kidneys, skin and heart. If the parenchyma cells suffer from continuous necrosis or damage due to various causes such as diabetes, high blood pressure, autoimmune disease, or virus infection, various types of immune cells and platelets migrate into injurious spot, followed by secretion of cytokines or chemokines, which increase the accumulation of extracellular matrix component. In general, if the extent of the wound is slight or the gap between the wounds is wide, it is difficult to proceed with fibrosis because there is enough time to remove the ECM from which the MMP has increased, which results in more proliferation of parenchyma cells than fibroblast. Therefore, it is important not to suffer sustained injuries in order to prevent progress with fibrosis. Renal fibrosis, one of the representative diseases in which fibrosis occur, is transferred to chronic renal failure as an early stage of scarring the kidney. In the kidney, Fibrosis occurs mainly in the glomerulus and interstitium, and patients with kidney disease who have fibrosis in these areas have relatively poor prognosis and are often proceeded to terminal renal failure. As the renal interstitium is closely connected to the renal tubule, glomerulus and capillary vessel, the pathological problems in the surrounding area are easily affected, resulting in fibrosis around interstitium. ACE I and AT1R antagonists are mainly used as drugs that can treat renal interstitium fibrosis, which have the effect of reducing blood and glomeruli pressure by inhibiting RAAS. However, these two drugs have a number of weakness, such as non-specific RAAS inhibition or increased ANG II and renin after use, and difficult to treat renal fibrosis. Therefore, along with RAAS inhibition, it is important to find a new factor that can lead to renal failure and use it as a cure. In the Pseudohypoaldosteronism type Ⅱ patient, mutation in the WNK that cause phosphorylation of NCC or KLHL3/Cul3 that cause the ubiquitination of WNK, along with the properties of RAAS inhibited. Hypertension and RAAS activity has emerged as a major cause of renal fibrosis, and in this study, I wanted to find out which of the increased activation of WNK and inhibited RAAS that cause hypertension are more important to develop renal fibrosis. To confirm I thought, KLHL3-null mice were produced to increase the activity of WNK, and the incidence of renal fibrosis was analyzed by comparing it with wild type mice by creating UUO model that induces renal interstitium fibrosi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WNK is increased and RAAS is inhibited, and renal interstitium fibrosis is greatly alleviated in KLHL3-null mice. in addition, when TGF- β drugs were treated in renal tubular cells that temporarily overexpressed KLHL3, the expression of ECM and fibrotic protein were increased as compared to those wild type. This appears to be due to the binding with Ranbp3, which releases the transcription factor, Smad, which induces fibrosis, and also with the phosphatase 2A that causes the de-phosphorylation of Smad. Although, it has not yet been confirmed in this paper whether KLHL3, which causes ubiquitination, induces ubiquitination of such proteins, it is ultimately expected that KLHL3 continuously maintain the TGF- β /Smad signaling. Thus, in this study, KLHL3 acts as an important factor for TGF- β /Smad signaling pathway, aggravating renal fibrosis, indicating that RAAS is a more important factor that high blood pressure in kidney fibrosis. The KLHL3 has so far only known its function in the kidney, but its role in other organs is unknown. However,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role of KLHL3 in metabolic diseases such a obesity, NASH.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as treated obesity as a disease since more than 50 years ago, as obesity can cause various complications that increase mortality by inducing type 2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liver and gallbladder diseases and cancer. If the body fat tissue is excessive, it can be defined as obese. In an environment where the body consumes more energy rate the amount of metabolites it can consume, extra energy is stored in fat. While poor eating habits are the main causes of obesity, hormonal changes, genetic factors, lifestyle, mental health problems, and socio-economic factor are also causes of obesity. In addition to obesity,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erived from obesity and further on liver fibrosis. First of all, if KLHL3 is related to obesity, a balanced general diet centered on carbohydrates was eaten on KLHL3-null and wild type mice for eight month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body weight until four month later, the KLHL3-null mice had lost more than 10g compared to the wild type by the end of the eight months. In order to learn more about whether KLHL3-null mice suppress obesity, a high-fat diet that induces obesity instead was conducted for 12 weeks and the weight change was track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KLHL3-null mice suppresses obesity even when they perform high fat diet, along with normal diet. This is linked to the alleviation of fatty liver by KLHL3-null mice, which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liver fibrosis by the fatty liver and non-alcoholic fatty liver was performed with methionine-choline deficiency diet that induces excessively fatty liver following the high fat diet. There were three causes of inhibiting liver fibrosis by obesity and fatty liver in KLHL3-null mice. First of all, there are increased glycolysis and suppressed lipogenesis in liver of KLHL3-null mice. Second, the energy expenditure in KLHL3-null mi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t of wild type mice, and finally, the activity of AMPK, which relieves obesity and fatty liver, was increased. These three causes suggest that KLHL3-null mice have inhibited liver fibrosis caused by obesity and fatty liver. To see if the drug using KLHL3 protein is effective in treating obesity and fatty liver, KLHL3 mutations using adenovirus were produced, injected into mouse tail vein, and high fat diet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effect of obesity suppression. As a result, obesity and fatty liver were inhibited in mice injected with KLHL3 mutations, and the activity of AMPK was increased in liver. Therefore, it indicates that targeting KLHL3 can be used as a new drug to treat metabolic diseases.

      • 중국의 소수민족 사상정치교육에 관한 연구

        이춘란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中文摘要】 中国是拥有56个民族的多民族国家,众多的民族成分、错综复杂的宗教信仰和多种文化现象,既是社会发展中可利用的重要资源,也是有可能成为引发社会纠纷和冲突的重要因素。因此,中国共产党特别重视少数民族的思想政治教育。 本文重点研究、阐述了中国共产党为了56个民族的和平相处、各民族的团结、国家的统一,在民族地区进行的民族思想政治教育的内容,提出了进行民族思想政治教育的本质和最终的目的。 第一章首先阐述本文的写作为了解决什么目的。其次对中国少数民族思想政治教育的研究现状进行了概述。本研究主要参考了西方、中国学者的相关研究成果。最后本部分对文中涉及到的一些核心概念进行界定。 第二章主要是对中国少数民族思想政治教育的内容进行阐述与评价。中国少数民族思想政治教育的内容既有思想政治教育的普遍内容又有少数民族思想政治教育的特殊内容。其中普遍内容主要包括爱国主义、社会主义核心价值观、改革创新精神、公民意识等,少数民族思想政治教育的特殊内容主要表现在民族观、宗教观的教育上。在介绍了中国少数民族思想政治教育内容之后,本文又对其存在的问题及不足之处谈了自己的想法。此外,近期中国的思想政治教育界又有了新动向,人们正在为思想政治教育的内容究竟应该“去政治化”还是“泛政治化”而争议不断。对此,本章也将在最后一节的分析中给予关注。 第三章就是结论。通过本文研究,得出的结论是中国的民族思想政治的核心是国家,所有的思想内容和进行方法都是围绕国家这一中心展开的,最终的目的是使少数民族产生国家认同感,在热爱自己民族的同时,更应该热爱中国这一国家。在民族利益和国家利益发生冲突时,以国家利益为中心,不惜以牺牲民族的利益来维护国家的利益。少数民族的思想政治教育,却理所当然地将国家认同放在民族认同之上,民族认同只是为了实现国家认同的一个过程。很显然,中国共产党的民族思想政治教育取得了很大的成果,进行得很成功。因为很多少数民族的民族认同在逐渐弱化,民族意识正在被淡化,随着汉族这个主流民族的引导,少数民族的文化和语言及思维方式等都在一步步融合在汉族当中,最终可能将彻底地埋没在汉族标榜的中华民族里,完全没有影踪。怎样去强化民族认同,提高民族意识,保留本民族的文化和特征将是中国的少数民族的重大课题。

      • 秋瑾의 유학시기 시 연구

        오혜진 인하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599

        17세기 중반 이래 중국 역사상 유례가 없는 융성을 누려오던 滿洲族의 淸朝는, 19세기 후반 阿片戰爭(1834~1842)에서 근대 서양 열강의 맹주 영국에게 굴욕적인 패배를 당하고 곧 쇠락의 길을 밟았다. 중국은 아편 전쟁의 패배를 시작으로 영국과 南京條約을 맺는 등 유럽 열강과 잇따라 불평등 조약을 체결하게 되었다. 이에 따른 경제적 피해는 고스란히 백성들의 몫이 되었고 滿洲人에 대한 漢人의 저항의식은 더욱 고취되었다. 이러한 저항 의식은 곧바로 농민 반란을 통해 나타나게 되었고 중국은 대내적 위기가 중첩되어 淸朝 지배층에 강한 위기의식을 불러 일으켰다. 이에 淸朝는 기존의 국수주의적 사고를 버리고 중국의 근대화 과정 속에서 그 해결책을 찾게 되는데 바로 그 첫 시작이 洋務運動(1861~1894)이었다. 淸朝의 지배층들은 洋務運動을 통해 서양의 선진적 과학과 군사기술을 습득하여 부국강병을 이룩하려고 시도하였던 것이다. 하지만 이도 실패로 돌아가자 청의 지도자들과 지식인들은 洋務運動의 결함을 보충하고 새롭게 자강을 도모하자는 주장을 하게 된다. 이것이 바로 變法自强運動(1895~1898)으로 단순히 서양의 기술이나 기기를 도입하는데 그치지 않고 變法維新을 추진하여 정치, 경제, 교육, 군사, 가치관까지도 개혁하고자 하는 근대화 운동이었다. 그러나 결국 이 운동 또한 滿淸 정부와 보수적인 관신 계층의 반대에 봉착하여 실패하게 되었다. 한편 이 시기에는 교회 여학당과 국외에 유학한 여학생, 가정교육을 통해 교육을 받은 여성들을 중심으로 한 지식 여성들이 등장하였는데 이들은 그동안 진보적인 남성 중심으로 진행되어왔던 제한적인 여성운동에서 벗어나, 가부장적이고 권위적인 당시 청조의 풍조를 비판하며 진정한 여성해방을 위해 노력하였고 한편으로는 시대적 조류 속에서 반청 반제국주의 운동을 위한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이렇듯 20세기 초는 ‘여자는 재능 없는 것이 덕이다.(女子無才便是德)’ 라는 전통적 관념이 팽배해 있던 중국 사회에서 처음으로 여성이 주체가 되어 자신들의 목소리를 냈던 시기로서 큰 의미를 가진다. 더불어 이 시기의 지식여성에 대해서 논할 때 여성의 정체성을 처음으로 제기한 인물이자, 혁명가로서 신해혁명 전기 혁명열사로 역사에 이름을 남긴 여걸 秋瑾(1875~1907)을 빼놓고는 이야기할 수 없다. “내가 지옥에 가지 않는다면 누가 간단 말이냐. 혁명은 피를 흘려야 비로소 성공하는 것이다. 내가 단두대에 오르면 혁명이 5년은 빨라질 것이다.” 혁명 동지인 徐錫麟(873~1907)이 죽고 혁명이 결국 실패하게 되면서 청 군대가 秋瑾을 체포하기 전 자신의 운명을 예감하며 동지들에게 한 이야기이다. 이 한마디만 보아도 왜 우리가 정치적으로, 경제적으로 혼란했던 청말 시기에 자신의 신념을 믿고 실천했던 秋瑾에 대하여 주목해야 하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 본고의 논의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우선 第 1部는 秋瑾의 생애와 詩作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있고 第 2部는 秋瑾의 유학시기(1904~1905) 시를 譯註한 내용에 해당한다. 第 1部에서는 우선 혼란과 변혁의 시기였던 淸末의 특수한 사회적 정황을 살펴보고 당시 중국 여성의 지위를 고찰함으로써 전통적인 윤리의 속박에서 벗어나 민족주의를 제창하는 혁명가로 변해가게 된 秋瑾의 모습을 이해하는데 배경 지식으로 삼고자 하였다. 또한 秋瑾의 삶을 재조명함으로써 청말 불꽃같이 살다간 여성 혁명가 秋瑾이 어떠한 사건과 계기를 통해 변모하게 되었는지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秋瑾의 시 세계와 그 특징을 내용과 예술적 특징으로 나누어 살펴보면서 第 2部에서 다루게 될 시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第 2部에서는 먼저 譯註의 원칙에 대해 간단히 제시한 다음 秋瑾이 유학시기 지었던 시를 國譯과 註譯 하였다. 기간을 유학 시기로 선택한 것은 秋瑾의 일본행 결심은 그녀가 한 중국 여성에서 벗어나 진정한 한 다시 태어나게 된 전환점 이라고 할 수 있고 일본에서의 그녀의 행보 또한 그녀의 전반적인 삶에 있어서 커다란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秋瑾이 사상적 변화를 겪고 가장 처음으로 사회에 한 발을 디딘 시기였고 가장 감정이 충만하고 감정에 충실했던 시기였다고 할 수 있다. 유학시기 詩 속에는 秋瑾의 삶 전반에 걸쳐 지었던 시를 총괄하는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낭만주의가 충만하고 예술성을 띄고 있는 詩가 주로 지어졌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秋瑾의 유학시기 詩에 주목하였다. 이와 같이 秋瑾의 생애와 詩作 경향에 대해 살펴보고 또한 秋瑾이 지은 詩 번역을 통해 여성 운동가, 급진적인 혁명가라는 과장된 영웅의 모습이 아닌 단지 조국을 사랑했고 자신에게 주어진 책무를 다하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노력했던 한 여성의 모습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Identification and functional study of pluripotent stem cell specific surface marker

        박종진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전분화능 줄기세포는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조직과 기관으로 분화 및 무한증식이 가능한 장점을 통해 최근 재생의학 분야에서 세포치료제로 부각되고 있다. 하지만, 배양과정 중에 발생하는 세포의 이질성과 체내 이식 후 발생하는 종양 형성은 전분화능 줄기세포 기반의 세포치료제 사용에 있어 많은 제약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전분화능 줄기세포 특이적 표지 마커를 이용한 미분화 특이적 세포분리 기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고순도의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분리하여 이질성에 의한 분화효율 감소를 해결할 수 있으며, 분화과정 동안에 남아있는 종양원성의 미분화 줄기세포 제거를 통해 세포 치료제의 안정성 확보를 달성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전분화능 줄기세포 특이적 표지 마커 발굴을 위해 미분화 상태의 전분화능 줄기세포로부터 마우스 면역반응을 이용하여 전분화능 줄기세포 특이적 결합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를 제작하였다. 그 중 미분화 줄기세포 특이적 결합을 보이는 K6-1 항체가 DSG2 항원을 인지하는 것을 질량분석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DSG2의 발현을 기존 전분화능 마커들과 비교한 결과 분화 과정 동안 DSG2의 발현이 이미 알려진 마커에 비해 급격히 감소하는 것을 확인. DSG2가 전분화능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따라서, DSG2 발현을 억제시킨 전분화능 줄기세포에서 전분화능과 무한증식력을 대조군과 비교한 결과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지에 필수적인 전사인자인 OCT4, SOX2, NANOG와 DNA복제 마커 및 세포증식을 조절하는 인자들의 발현이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더욱이 DSG2의 발현 억제된 세포에서 단일 세포 콜로니, 배아체, 기형종 형성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관찰. 체세포의 역분화 과정을 통한 전분화능 획득에 있어 DSG2의 발현이 억제된 체세포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전분화능 줄기세포의 형성 효율이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줄기세포의 전분화능과 무한증식력 유지에 DSG2가 필수 요소라는 것을 증명한다. 다음으로 DSG2의 전분화능 조절기전을 알아보기 위해 전분화능 줄기세포 특성 유지 및 체세포의 역분화에 필수 불가결한 요소들의 활성 변화를 관찰 하였다. 그 결과 DSG2가 β-CATENIN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미분화 줄기세포의 전분화능 및 무한증식 능력을 조절하고 있음을 처음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DSG2가 미분화 상태의 전분화능 줄기세포에 의한 종양형성 억제에 있어 효과적인 표지 마커로 사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알아보기로 하였다. 항체의 약물 전달능을 평가하기 위해 우선 형광 표지된 K6-1 항체가 세포 내로 내제화 되는 것을 확인한 후, K6-1 항체와 항암제인 Doxorubicin의 복합체를 제작하였다. 복합체 처리를 통해 실제로 미분화 줄기세포 특이적 제거를 유발하지만, DSG2를 발현하지 않는 체세포에는 영향이 없는 것을 유세포 분석과 면역세포화학법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을 통해, DSG2가 전분화능 줄기세포 유지 및 세포 선별에 있어서 기존 표지 마커들 보다 효과적이며 필수 불가결한 마커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 분리 기술 및 약물 복합체 제작을 통하여, 분화이전 단계에서 나타나는 세포의 이질성 및 분화 과정 중 남아있는 전분화능 줄기세포의 선별 또는 제거에 있어서 DSG2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DSG2가 전분화능 줄기세포의 동질화와 세포 치료제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세포 분리에 있어 기존 표지 마커 보다 더 효과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Pluripotent stem cells (PSCs) have an ability to develop into all the tissues and organs in a body and renew themselves infinitely under defined culture conditions. These make PSCs to the most promising clinical source for regenerative medicine. However, given the cellular heterogeneity within cultivation and safety concerns regarding the tumorigenicity in vivo, the development of specific and efficient tools to isolate a pure population and eliminate all residual undifferentiated PSCs from differentiated derivatives is a prerequisite for clinical applications. In this study, I raised a monoclonal antibody (mAb), K6-1, which binds to undifferentiated hPSCs, and identified its target antigen as desmoglein-2 (DSG2). DSG2 co-localized with hPSC-specific cell-surface markers, and its expression was rapidly downregulated upon differentiation. Stable depletion of DSG2 markedly decreased hPSC proliferation rate and pluripotency markers expression, in turn leading to spontaneous differentiation. In addition, DSG2-depleted hPSC exhibited significant reduction the number of embryonic bodies and a notable difference in the volume of teratomas. Moreover, the introduction of DSG2 shRNA-expressing lentivirus impaired somatic reprogramming efficiency. Interestingly, the actions of DSG2 in regulating the self-renewal and pluripotency of hPSCs were predominantly exerted through the regulation of β-CATENIN/ SLUG -mediated epithelial-to-mesenchymal transition (EMT). In the last part of this research, moreover, I attempted to eliminate the undifferentiated PSCs, potentially harmful tumor forming cells, via antibody-drug conjugates (ADC) for targeting DSG2. On the mixed culture of hPSCs and human somatic cells, I was successfully able to eliminate the hPSCs exclusively via ADC without infringing the somatic cells. Taken together, results demonstrate that DSG2 is a valuable pluripotent stem cell surface marker (PSM), and DSG2 is essential for the maintenance of pluripotency and self-renewal, and the acquisition of pluripotency during somatic cell reprogramming by inhibiting EMT via sequestering β-CATENIN at plasma membrane. Moreover, DSG2 can be useful therapeutic target for eliminating tumorigenic properties of remaining hPSC from differentiated cel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