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따른 언어통제유형

        구현숙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언어통제유형의 전반적인 경향과 변인에 따른 차이에 대해 알아보고,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언어통제유형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는 어떠한가? 1-1. 어머니의 개인변인(연령, 학력, 취업유무, 가정 내 월평균 소득)에 따라결혼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1-2. 자녀의 개인변인(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결혼만족도에 차이가 있는가? 2.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은 어떠한가? 2-1. 어머니의 개인변인(연령, 학력, 취업유무, 가정 내 월평균 소득)에 따라 언어통제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2-2. 자녀의 개인변인(성별, 출생순위)에 따라 언어통제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3.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따른 언어통제유형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도에 위치한 민간어린이집 10곳과 사립유치원 3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의 어머니 322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Snyder가 1997년에 개정한 결혼만족도 검사(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를 권정혜와 채규만(1999)이 한국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표준화한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Korea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K-MSI)를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을 측정하기 위해 Bernstein(1977)과 Gumperz(1973)의 정의에 근거한 선행연구들을 참고하여 이진성(2006)이 부모용으로 수정 보완한 언어통제유형 척도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독립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개인변인과 자녀의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20대의 어머니가 30대의 어머니보다 정서적 의사소통에 있어서 불만족을 더 많이 느끼고 있었으며, 20대의 어머니가 30대와 40대의 어머니들보다 결혼생활 전반에 대해 불만족을 더 많이 느끼고 , 배우자와의 의사소통이 비효율적이라고 느끼며 배우자가 공격적인 행동을 더 많이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고졸미만의 학력을 가진 어머니들이 전문대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어머니들보다 전반적으로 결혼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취업여부는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가정내 월평균 소득이 낮을수록 결혼 만족도가 낮고, 자녀 양육에 있어서 갈등을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다음으로, 자녀의 개인변인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전체에는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자녀의 성별이 여아인 경우, 배우자에게 느끼는 애정이나 정서적인 친밀성이 낮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녀의 출생순위는 어머니의 결혼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개인변인과 자녀의 변인에 따른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의 개인변인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연령, 학력, 가정 내 월평균 소득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취업유무에 따른 차이는 나타났는데, 취업을 하지 않은 경우 취업을 한 경우 보다 명령 지향적 통제를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자녀의 개인변인에 따른 결과를 살펴보면, 성별이나 출생순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따라 자녀에게 사용하는 언어통제유형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결혼에 대한 불만족이 높은 어머니가 낮은 어머니 보다 자녀에게 명령 지향적 통제의 언어통제유형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따라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머니가 자신이 갖고 있는 개인적 변인 중 부정적인 측면을 극복 및 보완하여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정서적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양육갈등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할 것이다.

      • 교사의 기질이 놀이교수효능감과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최희정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교사의 기질, 놀이교수효능감, 영아의 놀이성을 측정하여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교사의 기질이 놀이교수효능감 및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기질과 놀이교수효능감 및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는 어 떠한가? 1-1. 교사의 기질과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1-2. 교사의 기질과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 교사의 기질이 놀이교수효능감 및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교사의 기질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2. 교사의 기질이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남부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만 2세 영아반 담임교사 147명과 만2세 영아 441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교사의 기질을 측정하기 위해 Buss와 Plomin(1984)이 개발한 성인용 EAS (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 척도를 이은주(2005)가 번안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놀이교수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신은수(2004)가 개발한 측정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기존의 도구는 유아용으로 개발된 도구이기 때문에 유아교육 전문가의 안면 타당도를 거친 후 ‘유아’라는 표현을 ‘영아’로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영아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Liberman(1965)의 정의에 기초하여 유아의 놀이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Barnett(1990)이 개발한 유아의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를 유애열(1994)이 번안하고 윤상인(2011)이 영아용으로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 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에 따른 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기질과 놀이교수효능감 및 영아의 놀이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술 통계 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둘째, 교사의 기질과 놀이교수효능감 및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셋째, 교사의 기질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교사의 기질이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중회귀 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기질과 놀이교수효능감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사 기질의 하위요인 중 정서성은 놀이교수효능에 대한 신념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교사 기질의 하위요인 중 사회성은 놀이교수효능에 대한 신념 및 기대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교사의 기질과 영아의 놀이성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사의 기질 하위요인 중 사회성은 영아의 신체적 자발성, 영아의 즐거움의 표현, 영아의 유머감각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기질이 놀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 본 결과는 사회성이 놀이교수효능감 전체 및 하위요인인 놀이교수효능에 대한 신념과 놀이교수결과에 대한 기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기질이 영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교사의 기질은 영아의 놀이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사의 기질은 놀이교수효능감과 영아 놀이성 간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으며, 교사의 기질이 놀이교수효능감에는 영향을 미치지만, 영아 놀이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영아교사는 자신의 기질을 정확히 파악하고 긍정적인 기질을 내면화하고 발현 될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며, 유아교육기관에서는 교사 기질을 파악할 기회를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연수를 제공하고 자신을 스스로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는 것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teacher's disposition, play teaching efficacy, and infant's playability,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and identify the effect of the teacher's disposition on play teaching efficacy and infant play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this purpose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relationship among the teacher's disposition, the effectiveness of play teaching, and the playability of infants? 1-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disposi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1-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disposition and an infant's playabilty? 2. What is the effect of the teacher's disposition on play teaching efficacy and infant's playability? 2-1. What is the effect of the teacher's disposition on play teaching efficacy? 2-2. What is the effect of the teacher's disposition on infant's playability? The study selected 147 two-year-old classroom teachers and 441 two-year-old infants in a daycare center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do as its study subjects. In order to measure the disposition of teachers, EAS (Emotionality, Activity, Sociability) scale for adults developed by Buss and Plomin (1984) and then modified by Eun-ju Lee (2005) was used and to measure play teaching efficacy, Sin Eun-su(2004)'s tool was used. As the existing tool was developed for infants, the author changed the term infant to baby after going through the face validity of an early childhood education expert.In order to measure the playability of infants, the Children's Playfulness Scale developed by Barnett (1990) which was then modified by Yoo Ayeol(1994) and then adopted by Yoon Sang-in(2011) for babies was used based on Liberman(1965)'s definition.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SPSS 25.0, a statistical program, a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he analysis methods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teacher's disposition, play teaching efficacy, and the degree of playability of babies. Seco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disposition, play teaching efficacy, and babies' playability.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eacher's disposition on play teaching efficacy and the effect of the teacher's disposition on the playability of bab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disposition and play teaching efficacy show that emotionality, a sub-factor of the teacher's disposition,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belief in the play teaching efficacy, and sociality, a sub-factor of the teacher's disposi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eliefs and expectations about the effectiveness of play teaching.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disposition and the child's playfulness, it was foun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the teacher's disposition, social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babies' physical spontaneity, expression of pleasure, and sense of humor.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teacher's disposition on the play teaching efficacy showed that socia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overall play teaching efficacy and the belief in play teaching efficacy, a subfactor of the teaching efficacy, and the expectations of the play teaching result.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teacher's disposition on the babies' playabilit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ating that the teacher's disposition did not affect the babies' playability. In conclusion,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disposition had a close correlation between the play teaching efficacy and the babies' playability. Through this, it is necessary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o accurately understand their disposition and to internalize and express their positive disposition. Also, it need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provide various traning for their teachers to understand their temparament and to self aware themselves so that they could increase the sense of teaching effectiveness through the process.

      • 오감놀이교육 연구동향 분석 : 2010년~2020년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김현정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영유아기 오감놀이교육 관련 국내 학위논문 및 국내 학술지 논문의 동향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연구된 오감놀이교육 관련 학위논문 및 학술지 118편의 논문을 비교분석 하였다. 118편의 논문의 연구연도별, 연구대상별, 연구주제별, 연구방법별 분석으로 영유아기 오감놀이교육의 중요성과 그 내용 그리고 연구의 흐름을 알아보고 향후 오감놀이 관련 교육연구에 있어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이와 같은 목적 아래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오감놀이교육 관련 연구 논문의 연구연도별 동향은 어떠한가? 1-1 오감놀이교육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연도별 동향은 어떠한가? 1-2 오감놀이교육 관련 학술지 연구연도별 동향은 어떠한가? 2. 오감놀이교육 관련 연구 논문의 연구대상별 동향은 어떠한가? 1-1 오감놀이교육관련 학위논문의 연구대상별 동향은 어떠한가? 1-2 오감놀이교육관련 학술지 연구대상별 동향은 어떠한가? 3. 오감놀이교육 관련 연구 논문의 연구주제별 동향은 어떠한가? 1-1 오감놀이교육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주제별 동향은 어떠한가? 1-2 오감놀이교육 관련 학술지 연구주제별 동향은 어떠한가? 4. 오감놀이교육 관련 연구 논문의 연구방법별 동향은 어떠한가? 1-1 오감놀이교육 관련 학위논문의 연구방법별 동향은 어떠한가? 1-2 오감놀이교육 관련 학술지 연구방법별 동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0년 10월까지의 발표된 국내 석사학위논문과 박사학위논문 및 국내학술지에 실린 연구논문 118편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국회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전자도서관 인터넷사이트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를 통해 연구대상 논문을 선정하였다. 오감놀이교육의 연구연도별, 연구대상별, 연구주제별, 연구방법별 동향을 탐색하였다. 검색 키워드는 영유아의 오감놀이, 오감자극, 오감발달, 감각놀이, 촉감놀이, 탐색놀이, 시각, 청각, 미각, 후각, 촉각으로 검색하였고 오감각과 관련한 주제어 외에 오감을 활용하여 연구한 미술과 음악, 유아요리 관련 논문을 포함하여 수집하였다. 학위 논문은 연도별로 나누어 학위와 대학원별로 분류하고 분석하였으며 학술지 논문은 연도별로 등재 및 등재후보에 해당되는 국내 학술지내에서 자료를 수집하여 분류,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감놀이교육 관련 연구연도별 분석은 먼저 학위논문을 연대별로 분석한 결과, 학위논문은 2011년 이후부터 2020년 현재까지 꾸준히 진행되고 있었으며, 2011년 가장 많이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오감놀이교육 관련 학술지 논문연구도 연구의 수는 적으나 2020년 현재까지 꾸준히 연구되고 있다. 또한 학위논문은 석사학위 논문의 수가 박사학위 논문의 수보다 월등히 많았으며 일반대학원과 교육대학원에서 다양한 주제로 많은 연구가 되고 있고 기타대학원의 연구 수는 미미하였다. 둘째, 오감놀이교육 관련 연구 논문의 대상별 분석은 영아, 유아, 영유아 혼합연령, 교사, 부모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영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수가 그 뒤를 이었다. 반면 부모와 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각각 1편씩만 연구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오감놀이교육 관련 연구 논문의 주제별 분석은 오감각의 다섯가지 감각과 오감통합을 포함하여 6가지로 구분해서 분류,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오감통합 연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후각, 미각교육 관련 연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오감통합 이외에도 한 가지 감각에 집중된 주제보다는 두 가지 이상의 감각을 통합하여 연구한 사례가 많음을 알 수 있다. 오감은 서로 다른 감각끼리 영향을 주며 발달하기 때문에 통합된 주제 연구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넷째, 오감놀이교육 관련 연구 논문의 연구방법별 분석은 양적연구, 질적연구, 혼합연구, 문헌연구로 구분하였다. 분석결과는 양적연구방법의 실험연구가 대부분의 연구에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고, 문헌고찰 연구방법이 두 번째로 많은 연구에 사용되었다. 오감을 활용한 놀이교육이 영유아기 발달과정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그 효과를 비교 실험하여 입증하기 위해 실험연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오감놀이교육 연구 논문에서 입증한 바와 같이 오감놀이교육은 영유아의 신체적, 인지적 자발성을 이끌어내며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과 배려에 영향을 주므로 사회정서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다양한 감각 경험을 통해 상상하고 표현하며 창의력, 표현력이 발달함을 알 수 있다. 현대사회 뿐만아니라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창의적인 인재육성을 위해 영유아기 오감놀이교육이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에 있어 더욱 다양하게 연구되어 다각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trends of domestic academic papers and domestic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infant play and education. A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2010 and 2020 with a dissertation on five senses education and 118 academic journals. The analysis of 118 papers by research year, by subject, by research subject, and by research method shows the importance of infant five senses education, its contents, and the flow of research. It wa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future educational research on five senses. The research problems established under these objective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five senses education by research year? 1-1 What is the trend of degree thesis related to five senses education by research year? 1-2 What is the trend of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five senses education by research year? 2.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five senses education by research subject? 2-1 What is the trend of degree thesis related to five senses education by research subject? 2-2 What is the trend of each research subject in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five senses education? 3.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five senses education by research topic? 3-1 What is the trend of degree thesis related to five senses education by research topic? 3-2 What is the trend of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five senses education by research topic? 4.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five senses education by research method? 4-1 What is the trend by research method of degree thesis related to five senses education? 4-2 What is the trend by research method of academic journals related to five senses education? This study included 118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10 to October 2020. A research paper was selected through the electronic library Internet site provided by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Trends by research year, subject,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method were explored in five senses education. Search keywords were searched for five senses, five senses stimulation, five senses development, sensory play, tactile play, search game, sight, hearing, taste, smell, and touch. In addition to the five senses-related theme words, the five senses were used to collect articles on art, music, and cooking. Degree papers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by degree and graduate school year by year, while academic journals collected, classified and analyzed data within domestic academic journals corresponding to the candidate for registration and registration by year.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 annual analysis on five senses education was first analyzed chronically, and the thesis was steadily progressing from 2011 to 2020 and was the most studied in 2011.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in the journal five senses Education is small, but they have been continuously studied so far 2020. In addition, the number of master's degree pap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doctoral dissertations, and many studies were conducted on various topics in general graduate schools and graduate schools, and other graduate schools had fewer studies. Second, the subject-specific analysis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five senses education was divided into infants, mixed-age infants, teachers, and parent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studies on infants, followed by those on infants. On the other hand, only one study of parents and teachers was conducted. Third, the subject-specific analysis of the five senses and five senses integration was classified and analyzed into six categories, including five senses and five senses integration.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five senses integration study was the highest, while the olfactory and taste education studies were the lowest. In addition to five senses integration, we can also see tha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wo or more senses have been integrated and studied rather than a subject focused on one sense. Five senses seem to have a high percentage of integrated topic studies because they develop and influence each other. Fourth, the analysis of research papers related to five senses education was divided into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mixed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experimental studies of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used in most studies, and that the second-most studies were used in literature. Since five senses education using five senses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process of infants and toddlers, experimental studies seem to be used the most to compare and demonstrate its effects. As demonstrated in the study paper on five senses education, five senses education is also effective in social sentiment as it leads to physical and cognitive spontaneity of infants and affects self-control, other people's awareness and consideration. And through various sensory experiences, we can see that imagination and expression, creativity and expression are developed. In order to foster creative human resources required not only in modern society but also in future society, infant five senses education needs to be studied more diversely in subject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methods to analyze them in various ways.

      • 영아반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

        강원미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영아반 보육교사의 성격유형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에 대해 이를 알아보고 영아반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영아반 보육교사의 성격유형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1-1. 영아반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은 어떠한가? 1-2.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영아반 보육교사의 성격유형과 전문성 인식은 관계가 있는가? 3. 영아반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반 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영아반 보육교사의 성격유형을 측정하기 위해서 Myers와 Briggs에 의해 개발된 인간 이해를 위한 성격유형 검사로 김정택과 심혜숙(1990)에 의해 표준화된 과정을 거친 MBTI Form M을 사용하였으며, 영아반 보육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Lindasy와 Lisdsay(1987)의 전문성 인식 도구를 김유진(2003)이 영아교사를 대상으로 조사하기 위해 재구성한 것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 및 백분율을 산출하고, 첫째, 영아보육교사의 성격유형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하위요인별 평균과 표준편차, 순위를 구하였다. 둘째, 영아보육교사의 성격유형과 전문성 인식 간에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호상관을 구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셋째, 영아보육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와 분산분석(ANOVA), 사후검증(Scheffé-test)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MBTI 성격유형을 외향형(E)과 내향형(I)으로 구분한 결과, 외향형(E)이 63.3%, 내향형(I)이 36.7%으로 외향형이 많았다. 감각형(S)과 직관형(N)으로 구분한 결과 감각형(S)은 78.6%, 직관형(N)은 21.4%으로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판단의 기능인 사고형(T)과 감정형(F)으로 구분한 결과는 사고형(T)은 37.6%, 감정형(F)은 62.4%로 나타났으며, 생활양식에 있어서 판단형(J)과 인식형(P)으로 구분한 결과는 판단형(J)은 64.7%, 인식형(P)은 35.3%로 나타났다. 1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ESFJ 유형이 73명(21.1%)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ESTJ 유형 48명(13.9%), ESFP 유형 40명(11.6%), ISFJ 유형 38명(11.0%)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 중 판단형(J)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높은 전문성 인식을 보이며, 인식형(P)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낮은 전문성 인식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영아보육교사가 인식하고 있는 전문성은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문성의 하위요인 중 사회적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문항별로 전문성 인식의 주요 요인을 살펴보면, ‘영아를 보호‧양육하는 일은 중요하다‘ 가 가장 높게 나타난데 반해, ’영아보육교사직은 같은 학력으로 가질 수 있는 타 직업에 비해 보수가 좋은 편이다’, ‘영아 보육교사직은 안정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영아보육교사는 주변사람들로부터 전문적으로서의 적절한 사회적 대우와 존경을 받고 있다고 생각한다’ 등의 문항이 낮은 점수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영아교사가 자신의 일에 대한 전문성을 인식하는 것 뿐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전문가로서 인정받는 교사가 되기 위해 보육교사의 자격기준을 높이고 꾸준한 교육과 자기개발이 필요하다. 그러기위해서는 교사의 근무시간이나 급여 등의 근무조건과 전문성 훈련과 재충전을 위한 재교육의 기회 역시 영아보육의 질에 밀접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진다(한국보육정보연구소, 1997). 또한 MBTI 성격검사를 통한 교사 채용을 하여 보육교사 스스로 본인의 특성과 성향을 이해하고 자신의 강점을 살려 유아반과 영아반 중 본인에게 맞는 역할을 제공해주었을 때 보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personality types and professionalism of nursery teachers of infant classes, and to find out if there i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depending on personality types of nursery teachers of infant classes. In this regard,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is the perception of personality types and professionalism of nursery teachers of infant classes? 1-1. What are the personality types of nursery teachers of infant classes? 1-2. What is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f nursery teachers of infant classes? 2. Is there a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professionalism of nursery teachers of infant classes? 3.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by personality types of nursery teachers of infant classes? The subjects of present study were 350 nursery teachers of infant classes working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To assess personality types of nursery teachers of infant classes, Form M of MBTI, a personality type measure for understanding people, which was developed by Myers and Briggs, and standardized by Kim Jeong-taek and Sim Hyesook (1990) was utilized. To measure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f nursery teachers of infant classes, a modified version of professionalism perception tools of Lindsay & Lindsay (1987), which was adapted by Kim Yujin (2003) to be used for surveying nursery teachers was utilized.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by using a statistical package SPSS 18.0 as follows: Frequencies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to find ou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First, means, standard deviations, and ranks of sub-factors were obtained to find out personality types and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f nursery teachers. Second,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find if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types and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f nursery teachers. Third, t-test, ANOVA, and Scheffé test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by personality types of nursery teachers. The results for each research question were as follows: First, when MBTI personality types were divided into extrovert and introvert types, higher percentage of extrovert type (E, 63.3%) was observed than introvert type (I, 36.7%). When personality types were divided into sensing and intuition types, a big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sensing type (S, 78.6%) and intuition type (N, 21.4%). When personality types were classified into thinking and feeling types of decision-making function, thinking type (T) was 37.6% and feeling type was 62.4%; and when classified into judging and perceiving in lifestyle, judging type (J) was 64.7% and perceiving type was 35.3%. When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16 types, the most prevalent type was ESFJ type (73 subjects, 21.1%), followed by ESTJ type (48 subjects, 13.9%), ESFP type (40 subjects, 11.6%), and ISFJ type (37 subjects, 11.0%). Second,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MBTI personality types and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of nursery teachers of infant classes was investigated, it was found that higher professionalism was evident when preference for judging (J) type of nursery teachers of infant classes among MBTI personality types was stronger, and lower professionalism was evident if preference for perceiving (P) type was stronger. Third,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nursery teachers was generally high. Among sub-factors of professionalism, perception of social needs was the highest, while perception of social and economic status was the lowest. Looking at the key factors of the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by item, highest score was obtained by ‘protecting and nursing infants is important’, while items such as ‘nursery teaching position pays better than other positions for the same education’, ‘considers that nursery teaching position offers job security’, and ‘thinks that nursery teachers receives appropriate social treatments and respect as a professional from people around’ scored low. Therefore, not only for nursery teachers to perceive professionalism for their job, but also to become a teacher socially recognized as a professional, qualification standards for nursery teachers should be raised and continuing education and self-development are necessary. It appears that working conditions such as teachers’ working hours and pay, professional training, and opportunities for retraining to recharge also have close influence on the quality of infant care (Korea Institute for Child Care Information, 1977).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childcare by understanding their own characteristics and tendencies of nursery teachers by utilizing MBTI personality assessment in hiring, and by providing appropriate roles in infant or toddler class to take advantages of their strengths.

      • 영·유아 교사의 다중지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엄현용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영유아교사의 다중지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아래와 같다. 1. 영ㆍ유아 교사의 다중지능에는 차이가 있는가? 2. 영ㆍ유아 교사의 직무만족도에는 차이가 있는가? 3. 영ㆍ유아 교사의 다중지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1. 영아 교사의 다중지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유아 교사의 다중지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4. 영ㆍ유아 교사의 다중지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직장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영아반 담임교사 116명, 유아반 담임교사 109명 총 2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다중지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Armsrtong(1994)에 의해 개발된 대학생 및 성인용 MI 발달 평가 척도(Multiple Intelligences Development Scale: MIDAS)를 전윤식과 강영심(1997)이 번역한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영·유아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Jorde_Bloom(1988)이 제작한 유치원 직무만족도 측정도구(ECJSS)중에서 직무만족도 구성요인만을 송유진(1993)이 번역한 설문지를 토대로 연구자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측정변수의 기초통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에 따른 다중지능과 직무만족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test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다중지능과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성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다중지능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 교사와 유아 교사에 따른 다중지능은 어떠한지 살펴본 결과, 언어지능은 유아교사가 영아교사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자기성찰 지능은 영아교사가 유아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아 교사와 유아 교사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어떠한지 연구한 결과, 원장과의 관계, 직무자체, 근무환경에서 영아교사가 유아교사보다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 교사의 다중지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먼저 영아교사는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동료와의 관계가 다중지능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다. 원장과의 관계는 자기성찰 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으며, 직무자체는 언어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다. 근무환경은 자기성찰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고, 보수와 승진기회는 논리수학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유아 교사의 다중지능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동료와의 관계는 자기성찰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으며, 원장과의 관계는 자기성찰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다. 직무자체는 공간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고, 근무환경은 자기성찰 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다. 보수와 승진기회는 대인관계지능과 가장 큰 상관이 있었다. 넷째, 영⋅유아 교사의 다중지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영아교사의 대인관계지능과 자기성찰지능이, 유아교사의 자기성찰지능과 대인관계지능, 공간지능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동료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영아교사와 유아교사의 대인관계지능과 자기성찰지능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원장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아교사의 언어지능과 자기성찰지능이, 유아교사의 신체운동지능, 공간지능, 언어지능, 자기성찰지능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직무자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아교사의 공간지능과 자기성찰지능이, 유아교사의 공간지능, 언어지능, 자기성찰지능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근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영아교사의 논리수학지능과 자기성찰지능이, 유아교사의 대인관계지능이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 중 보수와 승진기회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영⋅유아 교사의 다중지능과 직무만족도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교사의 다중지능에 따라 직무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알고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중지능 영역이 발전되고, 영⋅유아 교사 각자의 강점지능이 긍정적으로 발휘되며 교사 간에도 서로 보완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이를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iscover the influence of multiple intelligence of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and how they affect job satisfaction level.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to accomplish this purpose as follows: 1. Is there a difference of multiple intelligence between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2. Is there a difference between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3-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fant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3-2.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chool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4. How does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affect job satisfaction? This research included 116 infant teachers and 109 preschool teachers. Ovaerall, 225 preschool teachers who were working in childcare foundation. MIDAS, which was invented by Armstrong(1994) and translated by Jeon, YounSik and Kang, YoungSim for collegues and adult, was used as a reseach tool to discover multi intelligence Among ECJSS which is invented by Jorde Bloom(1988), job satisfaction component factors were revis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translated by Song, YuJin and used for measuring preschool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Data was analyzed and used as a SPSS 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identifying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examples and basic statistics of measurement parameters. T-test analysi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Correlat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correlation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of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Lastl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to understand how multiple intelligence of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affected job satisfaction. Research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after searching multiple intelligence, according to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the linguistic intelligence level was higher of preschool teachers as compared to infant teachers. Intrapersonal intelligence level was higher with infant teachers over preschool teachers. Second, after searching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infant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than preschool teachers ba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a director of preschool, duty, and job environment. Third, after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The infant teachers relationship with coworkers which wa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was the most relevant to interpersonal intelligence, which was a subfactor of multiple intelligence. The relationship with a director of preschool was most relevant to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job itself was most relevant to linguistic intelligence. The job environment was the most relevant to intrapersonal intelligence. Promotion opportunities and reward were most relevant to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fter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multiple intelligence of preschool teachers, the relationship with coworkers was most relevant to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 relationship with a director of preschool was most relevant to intrapersonal intelligence. Duty was most relevant to spatial intelligence, and job environment was most relevant to intrapersonal intelligence. promotion opportunities and rewards were the most relevant to interpersonal intelligence. Fourth, the result of research the influence that multiple intelligence of infant and preschool teacher affects job satisfaction level as follows. first,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spatial intelligence affects on relationship with coworker which i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next,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affects on relationship with a director of preschool which i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linguistic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and bodily/kinesthetic intelligence, spatial intelligence, linguistic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preschool teachers affect on duty which i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Spatial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and spatial intelligence and linguistic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preschool teachers affect on job environment which is a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at the last,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infant teachers and interpersonal intelligence of preschool teachers affect on reward and promotion opportunity which are subfactor of job satisfaction. In conclusion, it is revealed that multiple intelligence of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have a close 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of infant and preschool teachers. therefore, Knowing that job satisfact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teacher's multiple intelligence, Multiple intelligence areas are developed that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strengths of each teacher of infants and preschool will be displayed positively, and teachers will also need to find ways to complement each other and develop programs to help them.

      • 보육교사의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문유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 간 관계를 알아보고 보육교사의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동료교사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1-1. 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른 동료교사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1-2.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동료교사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2.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2-1. 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2-2.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3. 보육교사의 동료교사와의 관계와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 간 관계는 어떠한가? 4. 보육교사의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육교사의 동료교사와의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Jorde-Bloom(1989)이 개발하고 송유진(1993)이 수정・보완한 유치원 교사 직무만족도 조사도구의 하위요인 중 동료교사와의 관계 문항만을 선택하여 적용하기로 하였고,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관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정숙(2003)이 사용한 도구를 그대로 사용하기로 하였다. 자료는 SPSS/WIN Ver. 21.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자료분석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연령, 경력)에 따른 동료교사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ANOVA분석 후 Scheffe's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연령, 경력)에 따른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 ANOVA분석 후 Scheffe's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동료교사와의 관계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보육교사의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인 연령, 경력에 따른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어떠한지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라 동료교사와의 관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른 동료교사와의 관계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배경변인인 연령, 경력에 따른 교사-영유아의 상호작용은 어떠한지 알아본 결과, 보육교사의 연령에 따라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보육교사의 경력에 따라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즉, 보육교사의 경력이 많을수록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동료교사와의 관계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영유아와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 및 전체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보육교사의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언어적 상호작용이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며 그 다음으로 행동적 상호작용, 정서적 상호작용의 순으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의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보육교사가 동료교사와의 관계가 긍정적일수록 교사-영유아 상호작용의 질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동료교사와의 관계를 중요하게 인식하고 동료교사와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을 가지며 동료교사와의 관계를 증진시킬 수 있는 환경 구성과 교사 교육 등 다양한 방법과 프로그램이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relationship with a fellow teacher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 care teacher? 1-1 What is the relationship of fellow teachers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 care teacher? 1-2 What is the relationship of fellow teachers according to the careers of the child care teacher? ? 2. What is the teacher-infant interacion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 care teacher? 2-1 What is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 care teacher? 2-2 What is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careers of the child care teacher? 3.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an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4. What is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fellow teacher on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00 daycare teachers in Gyeong Gi Do. In order to mea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their fellows, we selected only the items related to fellow teachers among the sub-factor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job satisfaction survey tool developed by Jorde-Bloom(1989) and modified by Song Yoo-jin(1993), in order to measure teacher-infant interaction, Lee Jeong-suk(2003) decided to use the used tool as it is. The date were analyzed in the following ways using the SPSS/WIN Ver. 21.0.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The data analysis metho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is as follows. First, Scheff’s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analyzing the ANOVA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age, career) and fellow teachers. Second, Scheff’s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analyzing the ANOVA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age, career) an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ir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and teacher-infant interaction. Fourth,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fate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Study outcome according to study subjects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inding out the background variant of the teacher, age, and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 based on experi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 to the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infants according to age and career, which are background variables of child care teach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acher - infant interaction with the age of child care teacher. linguistic Interaction, behavioral interaction, teacher - infant interact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career of the teacher, the higher the linguistic interaction, the behavioral interaction, and the teacher - infant interaction. Thir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s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and teacher - infant interaction. This means that the more positive the relationship with fellow teachers is, the higher the quality of emotional interaction, linguistic interaction, behavioral interaction and overall teacher - infant interaction with infants. Four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fellow teachers on teacher - infant - child interaction, verbal interaction has the greatest influence, followed by behavioral interaction and emotional interaction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teachers and fellow teachers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eacher-infant interaction, which means that the more posi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fellow teachers, the higher the quality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refore, various methods and programs such as environment composition and teacher education that can increase the relationship with colleagues are needed.

      •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인식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고연정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aims to measure perception about organizational culture and efficacy in teaching of child care teacher working at home child care center and examine the effects of thei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ir efficacy in teaching. With regard to the above issue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1. How is organizational culture of home child care center's facilities perceived by child care teacher? 1-1.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the child care director's major is relevant? 1-2.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achers? 1-3.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individual variables (age, educational level, career, major, position)? 2. How is the level of efficacy in teaching of home child care center's child care teacher? 2-1.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whether the child care director's major is relevant? 2-2.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teachers? 2-3. Is there any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acher's individual variables (age, educational level, career, major, and position)? 3. How does perception of home child care center's child care teacher about their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 their efficacy in teaching? 3-1.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home child care center's organizational culture and teachers' efficacy in teaching? 3-2. How does child care teacher' perception of home child care center's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 their efficacy in teach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26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gi-do. As the questionnaire to examine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their organizational culture, the organizational culture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Cho In-suk (2005) was used; In the tool, organizational culture was divided into group culture, developmental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As the tool for measuring efficacy in teaching of home child care center's teachers, the tool by Shin Hye-yeong (2004) which revise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 developed by Riggs (1990) to be suitable for ordinary child care centers was utilized.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survey wa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5.0 program. In order to look at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and percentage was employed and in order to examine the subjects' perception about organizational culture and efficacy in teaching,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as utilized. The statistical analysis on research problems was execut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in order to examine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ere performed and as an post hoc test after ANOVA, Scheffe post hoc test was carried out. Second, in order to look at differences in efficacy in teaching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and Scheffe post hoc test was carried out as a post hoc test after ANOVA. Third, in order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efficacy and efficacy in teaching,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organizational efficacy on the subjects' teaching efficac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study results of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in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whether child care directors' major is relevant, the all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as group culture, developmental culture, hierarchic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hild care teacher'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ild care teachers, groups whose number of teachers was smaller than five had higher relational culture than those whose number of teachers was between five and ten. To examine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variables (age, educational level, major, career, position), there was difference in hierarchical culture according to their major. In other words, hierarchical culture of groups who majored in infant caregiver training and nursing was strongest and that of those who majored in child welfare studies was weakest. Second, efficacy in teaching of child care teachers of home child care center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the child care director's major was relevant and the number of teachers. To look at child care teacher' efficacy in teaching according to their individual variables (age, educational level, major, career, position),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ifferences in educational level and career only. In other words, regarding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the group who were graduate school students or had higher level of education was high in general efficacy than the other groups. As for career, those whose period of working experiences was 11 years or older had higher personal efficacy than those whose period of working experience was shorter than two years and six to ten years. The group whose working experience was 11 years or older had higher overall efficacy in teaching than the group whose working experience was shorter than two years. Third, general efficacy, individual efficacy, and overall efficacy in teaching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nti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ulture according to the result of 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about organizational culture by home child care center's child care teachers and their efficacy in teaching. As for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by home child care center's child care teachers on efficacy in teaching, the explanatory power was about 25.4%. In particular, hierarchical culture had significant effect on efficacy in teaching. Regarding the influence of child care teachers' perception about organizational culture on general efficacy among efficacy in teaching, the explanatory power was about 17.0%. Among others, hierarchical culture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general efficacy. Lastly, with regard to the influence of child care teacher' perception about organizational culture on individual efficacy among efficacy in teaching, the explanatory power was about 20.0%. Especially, developmental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had significant effect on individual efficacy. In conclusion,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by home child care center's child care teachers had close relationship with their efficacy in teaching. Hence, for qualitative improvement on home child care center, their organizational culture should be developed so that child care teachers may have positive perception. Thereby those teachers' efficacy in teaching will be able to be improved. 본 연구는 가정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조직문화 인식과 교수효능감에 대해 측정해 보고,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인식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가 인식한 보육시설의 조직문화는 어떠한가? 1-1. 시설장의 전공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2. 교사의 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1-3. 교사의 개인변인(연령, 학력, 경력, 전공,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의 수준은 어떠한가? 2-1. 시설장의 전공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2. 교사의 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3. 교사의 개인변인(연령, 학력, 경력, 전공, 직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인식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 가정어린이집 조직문화와 교수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가정어린이집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이 보육교사들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가정어린이집에서 근무 중인 보육교사 22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는 보육시설의 조직문화를 관계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로 유형화하여 설정되어 있는 조인숙(2005)이 개발한 조직문화 측정도구를 사용하였고, 가정어린이집 교사의 교수효능감의 측정도구는 Enochs와 Riggs(1990)에 의하여 개발된 과학교수 효능감 검사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기초로 일반적인 어린이집 상황에 맞게 문항을 수정하여 사용한 신혜영(2004)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로 수집된 자료는 통계패키지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은 빈도,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과 교수효능감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를 이용하였다. 조직문화의 차이와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test와 분산분석(ANOVA)을 시행하였고, 분산분석 후 사후검증으로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조직효능감과 교수효능감과의 관계분석을 위해 Pearson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직효능감이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장의 전공여부에 따른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인식차이에서는 조직문화 하위요인인 관계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육교사 수에 따른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교사 수가 5명 미만 집단이 5명-10명 미만 집단보다 관계문화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연령, 학력, 전공, 경력, 직위)에 따른 조직문화 인식을 살펴보면, 전공에 따른 위계문화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영·유아보육과 전공집단이 위계문화가 가장 높았으며 아동복지학과 전공집단이 위계문화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은 시설장의 전공여부와 교사 수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보육교사의 개인변인(연령, 학력, 전공, 경력, 직위)에 따른 교수효능감을 살펴본 결과, 학력과 경력에 따른 차이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즉, 최종학력에서는 대학원 재학이상 집단에서 다른 집단에 비해 일반효능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은 경력 11년 이상 집단이 경력 2년 미만과 6-11년 미만 집단보다 개인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경력 11년 이상 집단이 경력 2년 미만 집단보다 전체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인식과 교수효능감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일반효능감과 개인효능감 및 전체 교수효능감은 조직문화 하위요인 전체와 정(+)의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인식이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는 약 25.4%의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위계문화가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이 교수효능감 중 일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약 17.0%의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위계문화가 일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보육교사의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이 교수효능감 중 개인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하여 약 20.0%의 설명력을 지니고 있었다. 특히, 개발문화와 합리문화가 개인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정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조직문화 인식은 교수효능감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정어린이집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가정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발전하여 보육교사가 긍정적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를 통해 교사의 교수효능감이 향상될 수 있을 것이다.

      •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사수업화법능력 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오미림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공감능력이 교사수업화법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수업화법능력 간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가 설정되었다. 연구문제 1.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 공감능력, 교사수업화법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공감능력이 교사수업화법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수업화법능력 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광주, 대구, 충청, 강원, 전라, 경상도에 소재한 공립유치원, 사립유치원과 국·공립 어린이집, 법인어린이집, 민간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만 4세와 5세를 담당하고 있는 유아교사 26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신은수, 유영의, 박현경(2004)이 개발한 놀이에 대한 교사의 교수효능감 도구를 사용하였고,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avie(1980)가 개발한 대인관계 반응지수(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IRI)를 박성희(2004)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유아교사의 수업화법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김호(2015)가 개발한 유치원 교사의 수업화법 평가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자료분석은 SPSS 23.0(for Windows, NY, IBM Corporation으로 구현되었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는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을 구현하여 인과관계를 검증하였다. 첫째,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독립변인과 매개변인이 종속변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교사수업화법능력 간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의 매개효과(mediated effect)를 검증하기 위해 매개 회귀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간접효과(indirect effect), 직접효과(direct effect) 및 총 효과(total effect)를 분해하였으며, 매개 변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지 직접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Sobel’s Z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은 유아교사의 공감능력 및 교사수업화법능력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이 높으면 교사수업화법능력이 높으며, 매개변인인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높으면 교사수업화법능력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놀이에 대한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유아교사 공감능력이 교사수업화법에 미치는 영향은 놀이에 대한교수효능감이 높아질수록 교사수업화법능력도 높아짐을 나타났으며, 공감능력이 높아질수록 교사수업화법능력 또한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과 교사수업화법간의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면 놀에 대한 교수효능감과 유아교사의 수업화법능력의 관계에서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은 매개변수로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 유아교사의 공감능력이 수업화법능력에 직접적인 경로를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유아교사가 지닌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 공감능력이 교사의 수업화법능력에 영향을 주고 결국 유아의 발달과 성장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시사한다. 교사의 수업화법능력에 기여하는 놀이에 대한 교수효능감과 공감능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교사의 수업화법능력 향상을 통한 전문성 증진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and empathetic ability of childhood teachers on play on teacher communication ability and the mediated effect of empathetic ability in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of childhood teachers on play and teacher communication ability. Following study subjects had been established based on pre-determined goal. Study Subject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empathetic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hood teacher on play? Study Subject 2. How does teacher efficacy and empathetic ability of childhood teacher on play affect teacher communication ability? Study Subject 3. What is the mediated effect of empathetic ability in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of childhood teacher on play and teacher communi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62 individual childhood teachers put in charge of children between the age of 4~5 at public kindergarten, private kindergarten, national public kindergarten, corporate kindergarten, and private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Gyeonggi-do, Gwangju, Daegu, Chungcheong, Gangwon, Jeolla, and Gyeongsang-do. To measure teacher efficacy of childhood teacher on play, tool for teacher efficacy of childhood teacher on play developed by Eunsu-Shin, Yeoung-eui Yu, and Hyun-kyung Park(2004). To measure the empathetic ability of childhood teacher, 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IRI) developed by Davie(1980) and adjusted by Sung-hee Park(2004)was used. To understand the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hood teacher, communication ability evaluation tool for childhood teacher developed by Ho Kim(2015) was used. Data analysis for each study subject was proceeded by using SPSS 23.0(for Windows, NY, IBM Corporation). In order to validate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created to examine causal effect.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had been conducted.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independent and mediated variable on dependent variable, regression analysis had been conducted. Third, in order to validate the mediated effect of empathetic ability of childhood teach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of childhood teacher on play and communication ability,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had been conducted and total effect including indirect effect and direct effect had been dissembled. Sobel’s Z test had been conducted in order to directly examine whether mediated variabl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 of the study based on study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efficacy on play i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hildhood teacher’s empathetic ability and communication ability. When teacher efficacy on play is higher, communication ability was stronger and empathetic ability of childhood teachers, a mediated variable, communication ability was stronger. Second,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of childhood teacher on play and empathetic ability of childhood teachers on communication ability is shown as the higher the teacher efficacy on play is, stronger the communication ability was and higher the empathetic ability was, stronger the communication ability was. Third, by observing the mediated effect of empathetic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it can be inferred that empathetic ability of childhood teacher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mediated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communication ability of childhood teacher.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t had been confirmed that teacher efficacy on play and the empathetic ability of childhood teacher exert positive influence on communication ability through direct path. This suggests that teacher efficacy on play and empathetic ability of childhood teachers influence the teacher’s communication skills and in turn affects the infants’ development and growth. The result is significant in providing basic data for promoting the professionalism of these teachers b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teacher efficacy on play and empathetic ability of childhood teachers contributing to the teacher’s communication ability and enhancing their communication ability.

      • 숲에서의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박현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current study was to plan and implement systematic teaching methods of musical activities in forest, and investigate relationships between musical activities in forest and development of musical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1. What is the configuration of musical activity programs through forest experience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musical creativ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musical activities through forest experiences and the comparison group that participated in musical activities in classrooms? Musical activities program through the forest experience were set up in lifestyle themes based on the forest education program suggested by the National Forestry Administration. The program was planned and executed into ‘exploration, ‘expression’, and ‘appreciation’, which were sub programs of ‘art experience’ of Nuri cours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16 trials from mid-April to the end of August, 2014 were carried out employing 40 children ages from 4 to 5 (20 children in experimental group and 20 children in comparison group) at childcare centers A and B in Yongin-si, Gyeonggi-do. The test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musical creativity’ test, which is a translated (by Soon-Hwa Huh,1996) and reconfigured (by Ok-Hwa Park, 2010) version of MCSM(Measures of Creativity in Sound and Music) by Wang(1985).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statistical software to obtain the mean, standard deviation, and covarianc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or the research questions. First, four lifestyle themes were carried out in four months, and for each lifestyle theme had three activities. Each activity was made up so that the activity can focus on one or two of exploration,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connection with Nuri course.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had music education through forest experience achiev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mean score in musical creativity compared to the comparison group that had musical activities in classrooms. In conclusion, musical activities in forest is appropriate for configuring them by allowing the five senses experience through directly seeing and touching natural objects and giving freedom from space constraints, and also affords young children to create and imagine their own thoughts by themselves. Through this, we can see that musical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especially developing musical imagination, is positively affected. 본 연구는 숲에서의 음악활동의 체계적인 지도방안을 구상하여 실행해 보고, 숲에서의 음악활동이 유아들의 음악적 창의성 발달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선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숲 체험을 통한 음악활동 프로그램 구성은 어떠한가? 2. 숲 체험을 통한 음악활동에 참가한 실험집단과 교실에서의 음악활동 참가한 비교집단의 음악적 창의성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숲 체험을 통한 음악활동 프로그램은 산림청에서 제시된 산림교육프로그램을 토대로 생활주제에 기초하여 누리과정의 ‘예술경험’ 영역의 하위 내용인 ‘탐색’, ‘표현’, ‘감상’으로 나누어 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프로그램의 적용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경기도 용인시에 소재한 A 어린이집과 B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만 4, 5세 유아 총 40명을 대상(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으로 2014년 4월 중순부터 8월말까지 16차에 걸쳐 진행하였다. 연구는 Wang(1985)의 MCSM(Measures of Creativity in Sound and Music)을 허순희(1996)가 번안한 것을 박옥희(2010)가 재구성한 ‘음악적 창의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을 통해 평균과 표준편차, 공변량 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 처치의 기간은 대략 4개월에 걸쳐 4개의 생활주제가 진행되었고, 각 생활주제에 따른 3개의 활동이 구성되었다. 각 활동은 누리과정에 연계하여 탐색, 표현, 감상 중 한 개 또는 두 개에 초점을 맞춰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숲 체험을 통한 음악교육을 한 실험집단이 교실에서의 음악활동을 한 비교집단에 비해 음악적 창의성 평균치가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숲에서의 음악활동은 자연물을 직접 보고 만지면서 오감체험을 할 수 있으며 공간적 제약에서 벗어나 자유로움을 줌으로써 숲에서의 음악활동을 구성하는 데 적합하며, 유아가 스스로 자신만의 생각을 창조해내고, 상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 특히 음악적 상상력을 발달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만 5세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김정숙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전반적인경향과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에 관계는 어떠하며,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유아의 자아탄력성은 어떠한가? 1-1. 유아의 성별에 따라 자아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 1-2. 유아의 출생순서에 따라 자아탄력성에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은 어떠한가? 2-1. 유아의 성별에 따라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가? 2-2. 유아의 출생순서에 따라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4.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만5세 유아를 대상으로 경기도 수원시 민간어린이집 9곳과 광명시에 위치한 민간어린이집 5곳, 용인시 어린이집 2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5세 유아의 주 양육자인 부모 259명과 유아를 담당하고 있는 담임교사 20명이 유아 각각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대한 질문지 259부를 작성하였다. 유아의 자아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아동인성검사(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KPI-C)의 하위척도 중 하나인 ‘자아탄력성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Fantuzzo, Sutton-Smith, Coolahan, Manz, Canning과 Debnam(1995)이 제작하고 Fantuzzo, Coolahan, Mendez, Mcdenmott와 Sutton-Smith(1998)가 수정 및 보완한 PIPPS(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를 최혜영과 신혜영(2008)이 국내 유아들에 맞게 최종 정리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둘째,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관련 변인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성별과 출생순서에 따른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 t-test와 일원변량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넷째, 자아탄력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성별에 따른 유아의 자아탄력성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남아보다 여아의 자신감 및 쾌활함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출생순서에 따른 자아탄력성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성별에 따른 또래놀이 상호작용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놀이 상호작용의 경우 여아가 남아보다 놀이 상호작용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놀이방해의 경우 남아가 여아보다 놀이방해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아의 출생순위에 따른 또래놀이 상호작용에서는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의 상관관계분석을 한 결과, 전체 자아탄력성은 또래놀이 상호작용 중 놀이상호작용과 가장 큰 정(+)의 상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다음으로 놀이단절과는 부(-)의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넷째, 유아의 자아탄력성이 유아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또래관계가 놀이 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낙천성 및 자기수용이 놀이방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또래관계와 낙천성 및 자기수용이 놀이단절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만 5세 유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간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아들이 자신감을 가지는 것과 자기 및 친구들을 수용할 수 있는 마음을 가지는 것이 또래관계에서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들의 생각 및 행동에 대해 교사 및 부모가 격려해주고 수용해주는 태도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유아들의 자아탄력성은 높아질 것이고 긍정적인 또래상호작용이 가능해질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general tendency and difference among variables of children's ego-resiliency and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ego-resiliency and interactive peer play, and the influence of children's ego-resiliency on interactive peer play. .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children's ego-resiliency? 1-1. Is there a difference in ego-resiliency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1-2. Is there a difference in ego-resiliency according to children's birth order? 2. How is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2-1. Is there a difference in interactive peer play according to children's gender? 2-2. Is there a difference in interactive peer play according to children's birth order? 3. What is the correaltion between children's ego-resiliency and interactive peer play? 4. What is the influence of children's ego-resiliency on interactive peer play? This study targets 259 teachers and parents of children at 9 private kindergartens in Gyeonggi-do Suwon, 5 private kindergartens in Gwangmyeong, and 2 private kindergarten in Yongin. In order to measure children's ego-resiliency, 'ego-resiliency measure', a lower measure of KPI-C, 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was applied, an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to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the tool organized by Hye-yeong Choi and Hye-yeong Shin using PIPPS(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which was designed by Fantuzzo, Sutton-Smith, Coolahan, Manz, Canning and Debnam(1995) and supplemented by Fantuzzo, Coolahan, Mendez, Mcdenmott and Sutton-Smith(1998), was applied.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First,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o calculate th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between the related variables of children's ego-resiliency and interactive peer play. Third, independent T-test and ANOVA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children's ego-resiliency and interactive peer play according to gender and birth order. Scheffe test was conducted for posteriori test. Fourth,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ego-resiliency and interactive peer play. Last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ildren's ego-resiliency on interactive peer play.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 the difference of children's ego-resiliency according to gender, girls had a higher level of self-esteem and cheerfulness than boys,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meaningful difference in children's ego-resiliency according to birth order. Second, on the difference of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according to gender, girls had a higher level of interaction than boys in interactive peer play, and boys had a higher level of play interruption than girls.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meaningful difference in children's interactive peer play according to birth order at all variables. Third, on the correlation analysis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ego-resiliency on interactive peer play, the overall ego-resiliency had the larg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play interaction among interactive peer play,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play severance. Fourth, on the influence of children's ego-resiliency on interactive peer play, peer relatio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play interaction, and optimism and self-acceptance had a negative effect on play interruption. Lastly, peer relationship, optimism and self-acceptance had a negative effect on play severance. In conclusion, there wa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ego-resiliency and interactive peer play in children of the age 5. In particular, having self-esteem and accepting oneself or peers effected the relationship among peers positively and negatively. Therefore, teachers and parents should encourage and accept children's thoughts and behaviors, which will increase children's ego-resiliency and enable positive peer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