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후조리의 마사지 이용 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임준희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서울 ‧ 경기권에 거주하는 출산 경험이 있는 산모 321명과 산모를 관리하는 전문 관리사 55명을 대상으로 두 그룹으로 분류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산모의 일반적 특성과 출산 경험에 관한 조사, 산후조리 이용 실태, 산후마사지 이용 실태 그리고 산후마사지 만족도를 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 산후조리 이용 방법은 산후조리원 이용이 49.9%로 가장 많았고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기간은 2주가 가장 많았으며 산후마사지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79.4%로 월등히 높았다. 소득별 산후마사지 이용 경험 에서는 소득이 300~500만원인 사람들의 유료의 산후마사지 이용율은 72.2%로 소득이 높을수록 이용율이 높았다. 마지막 출산 년도가 최근 일수록 산후마사지 이용 횟수가 증가 하였고, 마지막 출산 년도가 최근 일수록 가정내 출장 산후마사지의 이용 비율도 증가 하였다. 전문 산모 관리사의 설문 결과 산모 관리 경험은 78.%가 그렇다고 응답 하였고 전문적인 교육 이수를 묻는 응답은 64%가 그렇다고 하였으며 전반적인 지식 유무 질문에는 보통인 경우가 42.9%이다. 산모 집단은 관리사의 실력에 전반적으로 만족하는 수준 이였으며 산후마사지의 활성화 방안으로 전문 관리사의 전문적 지식과 관리 스킬이 중요하다고 하였고 국자차원의 복지혜택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 관리사 역시 전문 관리사의 지식함양이 중요하다고 보았으며 국가공인 산모 마사지사 자격증 신설 및 전문적인 교육기관의 보급을 선택하였다. 산후조리에 마사지가 중요하게 작용되고 있는바 산모의 관리 요구도가 높아질수록 산모 전문 관리사는 전문적인 교육을 통해 지식 함양에 힘써야 하며 국가 차원의 혜택도 필요할 것이다 The study recruited two different groups of 321 postpartum mothers who have given birth and 55 professional massagers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and conducted a survey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birth experience of postpartum mothers, use status of postnatal care and postnatal massages, and satisfaction levels of the massages. As a result, the most proportion of postpartum mothers (49.9%) answered that they used postnatal care through postnatal care centers; the most used period was 2 weeks, and as many as 79.4%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had gotten postnatal massages. When it comes to experience of postnatal massages by income, 72.2% out of those with incomes between 3 million and 5 million KRW used paid postnatal massages service, showing the higher the income, the higher the use rate. The later the year of the last birth, the higher the use rates of postnatal massage service as well as visiting-home postnatal massage service. As a result of surveying professional postpartum caretakers, 78% of them answered that they had served postpartum mothers and 64% had completed professional training courses. When asked if they had overall knowledge, 42.9% of them answered that their knowledge was moderate. The group of postpartum mothers answered that they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massagers’ skills, and that expertise knowledge and skills of professional massagers were important to vitalize postnatal massages. Moreover, they wanted the service as welfare benefits at the national level. Professional massagers also said that developing their knowledge was critical, choosing implementation of national certification for massage for postpartum mothers and widespread of professional training institutions. As massage service has been considered more important for postnatal care and more postpartum mothers require care service, professional massagers for postpartum mothers need to further try to improve their knowledge through professional training with help at the national level.

      • 소셜커머스를 이용한 미용성형 시술의 이용 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윤수화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소셜커머스를 이용한 미용성형 시술의 이용 실태 및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815명을 대상으로 뷰티 소셜커머스 인식조사를 하였고 그 중 뷰티 소셜커머스 구매 경험이 있는 530명을 대상으로 뷰티 소셜커머스 이용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그 중 소셜커머스를 이용한 미용성형 시술을 받은 244명을 대상으로 이용 실태 및 만족도를 설문조사 하였다. 소셜커머스를 이용한 미용성형 시술의 이용 실태, 이용 후 만족도, 재구매 의사 등을 분석하여 소셜커머스를 이용한 미용성형 산업 발전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소셜커머스를 이용한 미용 성형 시술의 이용률은 20~30대 연령층이 높았고, 알게 된 계기는 주로 인터넷, 신문, 잡지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저렴한 가격이 쿠폰 구매 동기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쿠폰 구매 후기가 병원 선택 결정 요인으로 작용 하였으며, 가장 선호 하는 시술은 미백, 여드름, 재생관리와 여드름, 모공, 흉터레이저 시술이었다. 소셜커머스를 이용한 미용성형 시술의 이용 만족도는 보통 이상으로 소셜커머스를 이용한 재구매 의사와 지인에게 소셜커머스 사용을 긍정적으로 말하거나 권유 할 의향이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뷰티 소셜커머스 방문 경험이 없는 경우 뷰티 소셜커머스에 대한 정보가 없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미용성형 시술의 이용 만족은 재구매 의도에 영향을 주기에 재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개선 한다면 수익 상승의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In this study, the survey of 815 people on how they perceive social commerce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how they use social commerce to acquire cosmetic surgery procedures and understand their satisfaction. Out of them, 530 people were asked about how they used beauty social commerce websites and 244 people who have actually used social commerce websites to get cosmetic surgery procedures were asked about how they used and how much satisfied with the services. In short, the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the purchasers’ satisfaction and their intention to re-purchase beauty coupons in social commerce websites based on the analysis stated above. Ultimately,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cosmetic surgery industry based on social commerce.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use rate of cosmetic surgery through social commerce websites was highest among the people aged 20s to 30s.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y first came to know about the cosmetic surgeries that they have used through the internet, newspaper and magazines. The big motivation for the purchase of coupons was the low price. Reviews of coupon purchasers highly affected the choice of cosmetic surgery clinics for potential purchasers. The most preferred cosmetic surgery procedures include whitening, acne treatment, regeneration management and the procedures to remove acnes, scars and enlarged pores. The satisfaction with the purchase of cosmetic surgery procedures through social commerce was above moderate. In the survey, many respondents said that they would use social commerce again to buy the same coupons and had the intention to show positive reaction or recommend the use of social commerce to their friends and family. For the respondents who have not visited beauty social commerce, they have not visited beauty social commerce, because they did not have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that. In conclusion, as the satisfaction of coupons affected the users' intention to re-purchase, improving the factors that would encourage the potential purchasers’ revisit to beauty social commerce websites will lead to more profits for the beauty service providers.

      • 미용 중등교사 임용시험과 교육대학원 수업의 연계성 연구

        최슬기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미용교육전공이 개설된 전체 교원양성기관 교육대학원 6곳 중 4곳의 2014-2016년도까지 총 5학기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수업시수와 2014-2016년도의 미용 중등교사 임용시험 출제 문항을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고시된「미용」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중등교사 임용시험의 출제경향과 교육대학원의 수업의 연계성을 연구하였으며 교육대학원의 학생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현재 교육대학원의 교육과정이 중등교사 임용시험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였다. 2014-2016년도까지 최근 3년간 실시된 미용 중등교사 임용시험 전공 A⋅B 문항을 기본 이수 과목을 기준으로 평균 분석한 결과 미용교육론 22.06% 가장 비중이 높게 출제되었고 그 다음 헤어미용 19.57%, 피부미용 18.88%, 화장품과 메이크업 10.87%, 공중보건학 9.03%, 미용학개론 7.51%, 해부학 6.03% 순으로 출제되었다. 전체 교육대학원의 수업을 평균한 결과와 임용시험 출제율 간의 연계성은 미용교육론, 네일미용, 화장품과 메이크업, 공중보건학, 해부학 영역은 연계성이 있었지만 미용학개론, 헤어미용, 피부미용 영역은 연계성이 낮았다. 교육대학원 재학생과 졸업생 대상을 설문 조사한 결과 교육대학원생 대부분은 임용시험을 보기 위해 진학하였지만 임용시험을 준비하는데 교육대학원의 수업이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교육대학원의 미용교육전공 교육과정은 예비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과 함께 학생들의 요구와 필요에 따라 중등교사 임용시험에 대비한 교육 병행에 중점을 둔 개선이 필요하다.

      • 미용의료서비스 불만족이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주연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미용의료서비스를 이용해 본 고객을 대상으로 불만고객 처리 서비스가 미용의료서비스 재방문에 미치는 연구를 위하여 서울,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성인 여성 283명, 남성 17명 총 300명에게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 미용의료서비스 고객 불만족을 분석결과 ‘불만족이 있다’고 경험한 대상자가 74%로 높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불만족한 대상자 중에 재방문의사 있는 대상자는 50.5%로 나타났다. 미용의료서비스에 대해 가장 불만족 한 부분은 비용(M=3.22)이고, 공감성(M=3.56)에 대한 부분을 가장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불만족 보상결과에서 ‘해명 및 실패에 대한 설명과 위로’(M=3.35)가 가장 만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금전적 보상(M=2.70), 양도/교환/환불(M=2.90)에 대해서 재방문과 추천의사가 있는 대상자에게서도 낮은 만족도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나왔다. 불만고객 보상결과 만족에 따라 재방문과 추천 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불만족고객에서 추가적으로 구매하는 화장품에 비용이 비싸고(M=2.97), 진료대기시간(M=3.05)이 길며, 고객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처하지 않는 것(M=3.17)이 가장 불만족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부분을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며, 불만족한 부분을 신속, 정확, 진심을 다하여 해결하고, 고객만족을 이끌어 고객이 미용의료기관에 대한 신뢰도, 충성도를 높여 이익창출 증대를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The study surveyed customers who had used aesthetic medical service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service for dissatisfied customers on their revisit to aesthetic medical service; a total of 300 subjects including 283 women and 17 men in Seoul and Gyeonggi-do areas were surveyed. As a result of analyzing customer satisfaction with aesthetic medical service, as many as 74% of them answered ‘Dissatisfied,’ and 50.5% of them said they would revisit. The most dissatisfied factor on the aesthetic medical service was costs (M=3.22), while sympathy (M=3.56) was the most satisfied factor. As for dissatisfied compensation, ‘explanation and consolation on the failure’ (M=3.35) was the most satisfied; meanwhile, even subjects who had intention to revisit and recommend showed low satisfaction with monetary reward (M=2.70) and transfer/exchange/refund (M=2.90),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tention to revisit and recommend was shown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with compensation for dissatisfied customers. In conclusion, dissatisfied customers revealed to be the most dissatisfied with expensive costs of additionally purchased cosmetic products (M=2.97), long waiting time for treatment (M=3.05) and sluggish response to customers’ demand (M=3.17). Aesthetic medical organizations need to improve these dissatisfied factors promptly, exactly and sincerely to increase profits by gaining customer satisfaction and trust and loyalty from customers

      • 미용교사 교육실습 실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조영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미용 교사들의 전반적인 교육실습 실태를 알아보고 만족도를 연구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정교사(2급) 자격증의 취득이 가능한 서울·경기지역의 교육실습을 다녀 온 교육대학원생들과 서울·경인지역에서 현재 교직에서 근무하는 미용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 하였다. 설문지는 교육실습과 관련된 선행논문을 분석하고 수정 하여 작성,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106매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선택방법과 오리엔테이션에 관련하여 중등2급 자격취득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대학 교직과정은 대학에서 추천 해준 반면 교육대학원은 실습생이 직접 알아보고 선택하는 경우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오리엔테이션에 관련하여서는 재학했던 학교와 실습할 학교 모두 보통 이상의 적합성을 갖는 것으로 보여 진다. 둘째, 교육실습에 대한 전체적인 만족도는 서울 지역이 4.14점으로 서울 외 지역의 3.70점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구체적으로 교육 실습 시 담당 지도교사와의 관계, 교육실습학교의 운영실태와 관심도에 대한 만족도에서 서울지역이 서울 외 지역보다 통계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에 따라 학교시설 설비, 교통, 말투, 표현에 따라 느끼는 개인적 감정이 포함 된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지도교사와의 관계에 있어서 불편함을 느끼는 이유는 실습생과 함께 근무해야 하는 부담감과 업무에 지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지도교사에 대한 학교 측의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진다면 교육실습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이 될 것이다. 셋째 ,통계적으로 유의하진 않지만 교육 실습 시 수업에 관한 전공이 일치함은 서울지역이 서울 외 지역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지역별로 서울지역이 서울 외 지역보다 수업에 관한 만족도가 높은 것과 일치하게 나타났다. 교육실습생은 예비 교사로서 모든 과목을 잘 가르치면 더욱 좋지만 학생들과의 첫 대면에 수업을 함에 있어서는 심적으로 많은 부담감이 있을 것이다. 첫 수업이 교육실습생의 교직관에 영향을 미치기에 첫 수업 시 수업과목이 전공과 일치 한다면 교육실습 만족도를 좀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status of and satisfaction with teaching practice of beauty service teachers. For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o completed their teaching practice in Seoul and Gyeonggido and are qualified for teaching license (Class 2) and beauty service teachers who are currently working in Seoul and Gyeonggido and Incheon.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a previous study on teaching practice after modification. After excluding inadequate responses, 106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 was as follows: First, regarding choice of school and orienta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qualification for the class 2 secondary education. Students who were taking teaching courses in a general university received school recommendation from the university, whereas students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ostly looked for and chose a school on their own. Regarding orientation, both the school the respondents went to and one where they would teach showed an above-average level of suitability. Second, regarding the overall satisfaction with teaching practice, Seoul scored 4.14, higher than the average of non-Seoul regions, 3.70,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Specifically, during teaching practice, satisfaction with th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in charge and management and attention of the school in Seoul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in other regions. It is possible that difference in school facilities, transportation, tone of the dialect, and local expressions may have affected the personal perception. The uncomfortable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s in charge was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teachers found it a burden to work with a training student and that it interfered with their job. Therefore, it will help increase satisfaction with teaching practice if the school offers proper compensation to the teachers in charge. Third, although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nsistency between the major of the students and the subject of the class in which they carried out teaching practice was higher in Seoul than in non-Seoul regions,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result related to satisfaction with teaching practice. Presumably, students who perform teaching practice, as prospective teachers, must feel psychological pressure from teaching a class from the first time they meet students. As the first class they teach influences their educational views, the students who perform teaching practice may find higher satisfaction if the first class they teach is relevant to their major.

      • 미용과 학생들의 직업과정 위탁교육 실태 및 대학 학업과 진로에 미치는 영향

        신효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미용 직업과정 위탁교육의 실태 및 만족도를 조사하고, 대학 입학 후 학업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알아보고자 미용전공 대학생 46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100명의 학생들이 미용 직업과정 위탁교육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탁교육의 학생 선발 방법으로는 면접을 실시한 기관이 많았으며 이는 위탁교육을 시작한 이후에 중도에 탈락할 것을 대비하여 학생의 의지를 보려함으로 사료된다. 미용 직업과정 위탁교육의 교육 과목은 헤어와 메이크업이 가장 많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졸업하기 전까지 1개 이상의 자격증을 취득한다고 나타났다. 자격증 취득은 취업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대학 입학 시에도 도움이 되며 위탁교육이 대학학업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하였다. 고등학교 미용교육의 만족도와 대학 학업에 도움이 되는 정도를 위탁기관과 그 외 기관인 미용고등학교와 미용 특성화고등학교로 나누어 비교 한 결과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기간을 비교하였을 때 직업위탁교육은 1년의 짧은 교육과정이지만 대부분의 수업이 전공교과목으로 이루어져 있고, 실기 수업의 비중이 크기 때문에 3년 과정인 다른 미용교육기관의 진도와 큰 차이가 없었으며 오히려 1년의 짧은 교육기간동안 효과적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위탁교육은 자격증을 취득하여 취업 후 현장에 적응하기 위한 능력을 키우는 교육이지만 점차 위탁교육을 받고 대학에 진학하는 학생들이 늘어남에 따라 취업만을 위한 교육이 아닌 대학에 진학하는 점 모두를 고려하여 교육목표를 재설정해야 한다. 또한 인문계고 비진학 학생에게 위탁교육의 정보를 빨리 제공할 수 있도록 홍보를 더욱 활성화하면 미용위탁교육은 지금보다 더 전문적인 미용인을 양성할 수 있는 체계적인 교육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and satisfaction with commissioned education for professional beauty service training and verify its utility for relevant university courses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with 464 beauty service students and 100 of them reported to have experienced commissioned beauty service education. The majority of institutions conducted interview as a method of selecting students and assessing determination of the applicants in order to prevent abandoning the course. In commissioned beauty service education, hairdressing and makeup were most common subjects, and most students obtain one or more professional certificates before graduation. Subjects reported professional certificates not only help employment but also university admission, and commissioned education is very helpful for university education as wel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and utility of beauty service education between commissioned education institutions and other institutions such as beauty service high schools and beauty service vocational high schools. When comparing the education period, the commissioned vocational education offered a 1-year program but most of the courses were related to the major and a large proportion of the program was focused on practical training. Therefor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ate of progress from the 3-year programs for beauty service education offered by other institutions. In fact, the commissioned institutions provided more effective education in the shorter period. Although commissioned education is offered to enable students to obtain professional qualification and adapt to the professional field, more students are choosing higher education after commissioned educ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institutions to reset their educational goals by taking into account the students who are planning to go to college. Also, by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commissioned education to students who are going to a vocational high school more actively and quickly, commissioned beauty service education can become more systematic in fostering professional beauty service professionals.

      • 골드 도구 온열 요법이 목, 등 근막 이완 및 통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

        이진영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온열 요법이 목, 등 근막 이완 및 통증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골드도구와 스톤도구를 이용하여 동일한 매뉴얼로 목, 등에 관리를 실험 하였다. 스톤을 이용한 그룹을 스톤군(10명), 골드도구를 이용한 그룹을 골드군(10명)으로 나누어 주 3회 2주간 총 6회 목과 등을 40분간 실험하여 온열 요법 후 근막이완 및 통증완화에 대한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통증을 호소하는 근막통증 증후군 여성 20대-60대 8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진행하였고 그 중 20명을 선정하여 실험하였다. 설문조사는 4분류로 하였다. 통계결과, 설문조사 응답자의 통증 부위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 어깨 통증을 호소하는 응답자가 전체의 31.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목이 28.4%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들의 통증부위 평균적으로 두 곳 이상에서 통증을 느끼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임상 실험 결과 실험 후 만족도 차이검증 결과 총 16개 항목 중 6개 항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5), 평균비교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항목들은 모두 골드군이 스톤군에 비해 만족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골드 도구가 스톤 도구보다 목, 등, 어깨, 근막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골드테라피를 이용한 온열요법이 저체온 완화, 근막 이완,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어 삶의 질 향상과 건강을 되찾는데 유용하게 사용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earn about effects of stage-by-stage makeup behavior on the social life of female adults and satisfaction levels with appearance. To this end, surveys were conducted on female adults aged from 20 to 50.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younger women did more color makeup in the stage following age (p<0.001). In the stage regarding employment following job, the largest number, 64 persons (33.9%), chose the third base+color step in particular, working women occupied the largest portion (p<0.05). It was found that single women did color makeup more than married women (p<0.001).Regarding the effects on social life and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according to age and usual makeup behavio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age in terms of change in appearance perception, stress relief, changes in feelings and mental states, increase in confidence and effects on social life.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satisfaction of appearance, and the social life of women of all ages were affected by makeup behavior in a positive way. Changes in perception about appearance, psychological changes, increase in confidence and effects on social life were high in the base+four stage and all of them were significant factors (p<0.01, p<0.001). In a survey of satisfaction after stage-by-stage makeup, appearance defects, psychological satisfaction, increase in confidence and social effects were the highest in the base+color third stage and all of these factors were significant (p<0.05, p<0.01). According to the study, women in their 30s were in the highest stage of makeup. Women in higher makeup stage are expected to have a greater number of appearance satisfaction, greater psychological satisfaction, increased confidence and effects on social life.

      • 가격대에 따른 제형별 파운데이션이 Bio skin plate에 미치는 사용감 연구

        김보라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고가(백화점), 중저가(방문 판매), 저가(로드 숍)의 가격대 별로 파운데이션의 제형에 따른 사용감을 알아보고자 개시되었다. 이를 위해 파운데이션을 판매하고 있는 국내외 화장품 회사를 네이버, 야후, 구글, 다음, 네이트의 포털 사이트에서 검색하여 파운데이션의 제형을 분석 조사하고 그 중 액상, 크림상, 가루상을 모두 판매하고 있는 고가(백화점), 중저가(방문 판매), 저가(로드 숍)을 가격대별로 조사 분석하여 선정된 9종의 파운데이션으로 Bio skin plate에 미치는 발림성, 워터프루프 기능, 끈적임의 정도, Skin tone 보정 기능, 클렌징의 편리성 그리고 기름종이를 이용한 유분감의 정도에 대한 사용감 비교 실험하였다. 그 결과, 고가(백화점)의 가루상 파운데이션이 가장 발림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저가(방문 판매)의 크림상 파운데이션이 발림성이 가장 떨어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워터프루프 기능 비교 결과는 제형별 파운데이션 비교 시 일관성이 없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가격대별 파운데이션 비교 시 중저가(방문 판매) 파운데이션이 가장 워터프루프 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끈적임 정도의 결과는 고가(백화점)의 크림상 파운데이션이 가장 끈적임이 높았으며 모든 가격대의 가루상 파운데이션이 가장 끈적임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Skin tone 보정 기능 실험 결과는 제형별 파운데이션의 도포 1 시간 후에 따른 L* 값의 Skin tone 보정 기능 실험 결과, 고가(백화점)의 크림상 파운데이션이 가장 높게 측정 되었으며 중저가(방문 판매)의 액상 파운데이션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제형별 파운데이션의 도포 1 시간 후에 따른 Skin tone 보정 기능의 a* 값, b* 값 모두 저가(로드 숍)의 크림상 파운데이션이 가장 높게 측정 되었으며 중저가(방문 판매)의 가루상 파운데이션이 가장 낮게 측정되었다. 클렌징 편리성 비교 결과를 보면 중저가(방문 판매)의 액상 파운데이션이 가장 잔여물이 많이 남아있었으며 모든 가격대의 가루상 파운데이션의 클렌징이 가장 용이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마지막으로 기름종이를 이용한 유분감 정도 비교 실험 결과는 저가(로드 숍)의 크림상이 가장 유분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든 가격대의 가루상 파운데이션이 유분감이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는 파운데이션 사용감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소비자가 좀 더 현명하고 올바른 제품 선택을 하도록 도움을 줄 것이다.

      • 헤어미용 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와 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현화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o increase the responsiveness of beauty education service, it is considered that the education satisfaction will grow if efforts of understand, considerate, and communicate for the students are assumed, and to increase the assurance, it is considered that it will be effective in improving students’ practical ability if professional knowledge and educational skills are assumed as well. 본 연구의 목적은 헤어미용 교육 비스품질이 교육만족도와 실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미용전공 대학교 재학생 및 졸업생 21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변인들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대상자들은 여성이 69%로 남성에 비해 많았고 20대, 30대, 40대 순으로 많았으며 전공은 헤어, 학력은 고등학교, 학업성적은 보통이 가장 많았다. 교육서비스 품질의 하위요인은 확신성, 공감성, 유형성, 신뢰성, 응답성 5가지 요인에 부가적 서비스를 추가하여 총 6가지로 구성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서비스 품질은 신뢰성, 유형성, 공감성, 응답성, 확신성, 부가적서비스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신뢰성은 성별, 전공혈, 학업성적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성별은 여성, 전공은 헤어, 피부, 메이크업, 네일순으로, 학력은 높을수록, 학업성적은 상위권일수록 높게 나타났다. 성별은 여성, 전공은 헤어, 메이크업, 피부, 네일 순으로, 학업성적은 상위권일수록 교육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교육서비스품질은 응답성, 공감성, 유형성, 신뢰성, 부가적서비스 순으로 교육만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교육서비스의 요인 중에서 확신성이 커트를 제외한 모든 실무능력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미용교육서비스의 응답성을 높이기 위해서 학생들을 이해, 배려하고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노력을 한다면 학생들의 교육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것이고 확신성을 높이기 위해서 전문적인 지식과 교육 능력을 갖추어 교육현장에 적용한다면 학생들의 실무능력 향상에 효과적일것으로 사료 된다.

      • 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

        이현정 건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화장품 유해성 인식 및 연구를 위해 10대 고등학생부터 50대의 모든 소비자 34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여 조사 하였다. 화장품 사용제품 수 조사 결과, 303명 중 44.6%가 1∼10가지, 24.1%가 20∼30가지 제품을 사용하였다. 연령별 10대∼20대는 1∼10가지, 30대는 11∼20가지를 사용하고 있었다(p<0.001). 화장품 유해성을 살펴본 결과, 유해성 우려에 57.1%가 의심을 보이고 방송프로그램 37.6%와 뉴스‧기사 25.4%를 통해 유해성에 문제의식을 불러일으킨 것으로 보였다. 천연, 유기농 화장품이 일반유통 화장품 보다 더 안전할 것이라고 생각을 한다. 화장품 유해성분 중 우려되는 성분의 1순위 항목은 파라벤류 38.6%, 옥시벤존=벤조페논 24.4%, 계면활성제 17.5%, 합성착색제 14.2%, 합성착향료 4.6%, 순으로 이혜진(2015)의 화장품 성분 인식이 제품 판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화장품 유해성 인식을 살펴본 결과, 대상자의 54.1%가 화장품 트러블 경험이 있으며 화장품 관심성분으로는 자외선차단 21.7%, 미백 성분 19.6%, 주름개선 성분 17,6%로 화장품 유해성분 보다는 기능성에 관심이 더 많은 것을 보여주었다. 화장품 유해성분에 대한 인식은 이해하기 어려운 전문 용어로 인식과 이해도가 윤수현(2014)의 화장품성분에 대한 인식 수준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같이 매우 낮았지만 10대의 경우 다른 연령층에 비해 관심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소비자의 알권리와 본인의 체질과 맞지 않는 성분으로 인한 부작용에 대한 원인규명을 위해 시행된 전성분표시제의 활성화를 높여 화장품 유해성으로부터 대처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o analyze consumers' perception of harmfulness of cosmetic product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340 consumers in their 30s to 50s.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the total number of cosmetics in their use, the consumers who used 1 to 10 types of products accounted for 44.6% of 303 persons, and 24.1% were found to use 20 to 30 types of products. Regarding to the number of cosmetic products by sex, 42.9% of female consumers used 21 to 30 types of products, and 93.2% of male products 1 to 10 types of products. Regarding to the number of cosmetic products by age,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10s and those in their 20s used 1 to 10 types of cosmetic products, and those in their 20s with consumption power used 11 to 20 types of products, and therefore there was the most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harmfulness of cosmetic products, 57.1% were concerned about harmfulness, and 37.6% and 25.4% raised their awareness of harmfulness through TV programs, and through news and articles, respectively. They thought that natural and organic cosmetic products free of preservatives, flavor, and color are safer than generally distributed ones. Of the harmful ingredients of cosmetic products that they are concerned about, paraben accounted for 38.6%; oxybenzone-benzophenone 24.4%; surfactant 17.5%; synthetic dye stuff 14.2%; synthetic dye flavor 4.6%. The result was similar to that of the previous study (Lee Hye-jin, 2015). Consumers' perception of harmfulness of cosmetic products was analyzed. As a result, 54.1% experienced cosmetic trouble. Although they thought that the all ingredients display system is generally helpful, they had more interest in cosmetic functionality than cosmetic harmful ingredients. UV blocking accounted for 21.7%; whitening 19.6%; and wrinkle-care 17,6%. Their perception and understanding of cosmetic harmful ingredients were very low as shown in the previous study (Yoon Su-hyeon, 2014), because of the cosmetic terms hard to understand. Nevertheless,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10s were more interested in those in other age groups. Given that, it seems to be necessary to offer consumers' right to know to prevent any side effects caused by improper ingredients, to promote the all ingredients display system to find the causes of side effects quickly, and to provide continuous promotion and education to deal with cosmetic harmful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