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일부 지역 주민의 식사패턴에 따른 만성질환 유병률에 대한 종단 연구 : 1997~2015년도 중국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치, 웨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중국 국민건강영양조사(1997-2015)의 종단 코호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중 국 일부 지역 성인의 만성질환(고혈압, 당뇨병, 심근경색, 뇌졸중) 발병 연령과 이들의 식품군 및 열량 영양소 섭취 추이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또한, 식품군의 섭취 상태에 따른 식사패턴을 도출하여 식사패턴과 만성질환 발생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만성질환의 발병률 및 유병률을 연구하기 위해 1997년부터 2015년까지 중국 국민건강영양조사(CHNS) 프로젝트의 7개 조사 기간 동안 만성질환 데이터를 갖고 조사에 계속 참여한 대상자(1,648명)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식사패턴과 만성질환 위험도의 관련성을 연구하기 위해 1997년부터 2011년까지 중국 국민건강영양조사(CHNS) 프로젝트의 6개 조사 기간 동안 식이 조사 데이터를 갖고 조사에 지속적으로 참여한 대상자(1,558명)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항목에 대해 빈도분석, T-test 검정 및 카이제곱 검정을 실시하였고 이원배치 분석을 통해 나이를 보정하고 식품군 및 열량 영양소의 섭취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식사패턴은 요인분석을 이용하여 도출하였으며, 식사패턴과 만성질환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1997년~2015년(7차) 모든 조사에 참여한 1,648명을 대상으로 한 종단연구의 결과에서, 2015년 기준으로 조사대상자의 연령은 30세 이상이며, 고혈압의 유병률은 남성 31.1%, 여성 28.7%이었고, 당뇨병의 유병률은 남성 6.9%, 여성 6.1%이었다. 심근경색의 유병률을 보면 남성 3.2%, 여성 3.6%이었고, 뇌졸중의 유병률은 남성 4.2%, 여성 2.0%이었다. 고혈압의 평균 이환 연령은 남성 57.3세, 여성 56.8세이었으며 남성은 50 대에 발병률이 가장 높았고 여성은 60대에 가장 높았다. 당뇨병의 경우는 남성의 평균 이환 연령은 58.2세이며, 여성은 55.5세이었고 남성은 60대에 발병률이 높았고 여성은 50대에 가장 높았다. 심근경색의 경우는 남성의 평균 이환 연령은 60.6세이며, 여성의 60.9세보다 낮았으며, 남녀 모두 60대에 발병률이 가장 높았다. 뇌졸중의 경우는 남성의 평균 이환 연령은 64.6세이며 여성의 58.5세보다 더 높았고, 남성은 60~70대, 여성은 50대에 발병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였다. 1997년~2015년(7차)의 모든 조사에 참여한 1,648명 대상자 중에 식사 데이터(2011년까지)를 있는 대상자는 1,558명이었다. 이들 대상으로 한 종단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나이를 보정한 후 대부분 식품군의 섭취량은 꾸준히 변화하고 있는데 특히 과일류, 가금류, 민족 음식과 케이크류, 패스트푸드류 및 음료에 섭취가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이를 보정한 총 칼로리 섭취량은 감소하였고 탄수화물의 섭취비율은 계속 감소하는 반면 지방의 섭취비율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조사대상자들의 식사패턴은 '전통식' 패턴, '채식' 패턴, '서양식' 패턴, '간식' 패턴 4가지로 분류되었다. 전통식 패턴과 채식 패턴에 속하는 대상자의 수는 감소하였고, 서양식 패턴에 속하는 대상자의 수는 증가하였다. 고혈압과 당뇨병의 발병률은 전통식 패턴과 채식 패턴에서는 감소하였고, 서양식 패턴에서는 증가하였다. 전통식 패턴을 기준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 실시하였을 때 채식 패턴에서 당뇨병 발병의 위험도는 0.449배(OR: 0.279-0.722, p=0.001) 증가하였고, 서양식 패턴에서 고혈압 발병의 위험도는 1.699배(OR: 1.411-2.046, p=0.001), 당뇨병 발병의 위험도는 1.889배(OR: 1.351-2.643, p<0.000), 심근경색 발병의 위험도는 1.748배(OR: 1.057-2.893, p=0.03)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식 패턴에서 고혈압 발병의 위험도는 1.408배(OR: 1.169-1.696, p<0.001) 높았다. 뇌졸중 발생의 위험도는 식사패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중국 주민들의 식사패턴이 전통식 패턴과 채식 패턴은 감소하고 서 양식 패턴이 증가하는 것과 비례하여 만성질환 발생의 위험도 함께 증가함을 보여주 었다. 따라서 만성질환의 발생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식사패턴의 변화가 중요함을 제시해주고 있다.

      • 중국 성인의 요오드 섭취실태와 갑상선질환과의 관련성 연구 : 요오드 영양상태가 다른 세 지역을 중심으로

        장, 단잉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요오드 영양상태가 다른 3개 지역의 요오드 섭취실태와 갑상선질환의 실태를 비교하고, 갑상선 질환자와 정상인을 비교함으로써 갑상선질환과 관련된 요인을 파악하고, 갑상전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를 이용하여 온라인 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대상자는 남성 205명, 여성 232명 등 총 437명이었고, 평균 연령은 39.92세로 나타났다. 조사 지역은 중국 정부가 요오드 영양상태에 따라 분류한 3개 지역에서 각각 한 성씩을 선정하였다. 요오드 섭취가 적절한 지역 중에서는 광동성을, 적정량보다 많이 섭취하는 지역 중에서는 충칭시를, 그리고 요오드를 과잉 섭취하는 지역 중에서는 사천성을 선정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 조사대상자의 현재 갑상선질환 유병률은 8.0%(35명) 이었고, 지역에 따른 차이가 있어 사천성 거주자가 12.5%(19명)로 가장 높았고, 충칭시는 8.5%(12명), 광동성은 2.8%(4명)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갑상선질환 검사율은 37.5%로 낮았으며, 갑상선 검사를 받은 사람들 중 갑상선질환으로 진단받은 사람의 비율은 21.3%였고, 갑상선 검사를 받은 사람들 중 유병률은 사천성 32.2%, 충칭시 21.8%, 광동성 8.0% 순으로 나타났다. 갑상선질환의 유병률은 남성보다 여성이 더 높았고, 교육 수준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루 평균 요오드 총 섭취량은 사천성(593.52 ㎍/d), 충칭시(562.06 ㎍/d), 광동성(536.83 ㎍/d)의 순으로 나타났고, 사천성과 충칭시는 요오드화 소금으로 섭취한 요오드 비율이 높은 반면 광동성의 경우 요오드화 소금으로 섭취한 요오드량이 가장 적었고 어패류를 통해 섭취한 요오드량이 다른 지역보다 현저히 많았다. 세 지역 모두 66.1%가 요오드화 소금만을 섭취하고 있었고 일반소금과 요오드화 소금을 병행해서 섭취하고 있는 비율이 24.3%였으며, 일반 소금만 섭취하는 비율은 9.6%로 매우 적음을 알 수 있었다. 건강행태 중 신체 활동을 거의 매일 하는 경우에 비해 거의 안 하는 경우에 갑상선질환 위험도가 4.315배(1.359-13.699)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주 행태가 바람직할 경우 갑상선질환의 위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섭취빈도에서는 아침 식사를 매일 먹는 경우에 비해 거의 안 먹는 경우에 갑상선질환 위험도가 4.011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음료수를 먹지 않는 경우에 비해 가끔씩 먹는 경우에 갑상선질환 위험도가 6.440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료수, 초콜릿, 케이크 등의 단맛 음식을 선호하는 경우 갑상선질환의 위험도가 4.384~7.690배 증가하고, 소금 섭취도 많을수록 갑상선질환의 위험도가 1.213배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을 통해 조사대상자들의 요오드 급원 식품패턴을 단백질 식품 패턴, 종합 식품 패턴, 소금·양념 패턴의 3개로 분류하였다. 남성은 ‘소금·양념’ 패턴을 통해 요오드를 섭취한 비율이 가장 많았고, 여성은 ‘종합 식품’ 패턴을 통해 요오드를 섭취한 비율이 가장 많았다.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소금·양념’ 패턴을 통해 요오드를 섭취한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에 따라 '소금·양념’ 패턴을 통해 요오드를 섭취한 비율은 사천성(51.3%), 충칭시(36.9%), 광동성(20.1%) 순으로 나타나 요오드 영양상태에 따른 지역의 분류와 동일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iodine intake and thyroid disease in three regions with different iodine nutritional status,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yroid disease by comparing thyroid disease patients and normal peopl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online survey using questionnaires. A total of 437 people were surveyed, including 205 males and 232 females, and the average age was 39.92 years old. For the study area, one province was selected from each of three areas classified by the Chinese government according to iodine nutritional status(Guangdong, Chongqing and Sichua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prevalence rate of thyroid disease among all survey subjects was 8.0%(35 people), and there was a difference by region, so Sichuan residents had the highest at 12.5% (19 people), and Chongqing took second place with 8.5% (12 people). and Guangdong Province was the lowest at 2.8% (4 persons). However, the examination rate of thyroid disease was low at 37.5%, and the prevalence rate of those diagnosed with thyroid disease among received thyroid examination was 21.3%, and depending on the region 32.2% in Sichuan, 21.8% in Chongqing, and 8.0% in Guangdong. It was higher in women than in men, and the lower the educational level, the higher it was. The average daily intake of iodine was found in Sichuan (593.52 μg/d), Chongqing (562.06 μg/d), and Guangdong (536.83 μg/d) in that order. On the other hand, Guangdong province had the lowest iodine intake from iodized salt and significantly higher iodine intake from seafood than other regions. In all three regions, 66.1% of them consumed only iodized salt, 24.3% of them consumed both general salt and iodized salt, and the rate of consuming only general salt was very small at 9.6%.The risk of thyroid disease was found to increase 4.315 times (1.359-13.699) in the case of little or no physical activity compared to the case of almost daily physical activity. and increase 4.011 times in those who rarely ate breakfast compared to those who ate breakfast every day. The risk of thyroid disease increased by 4.384 to 7.690 times when sweet food was preferred, and increased by 1.213 times as salt intake increased. Through factor analysis, the iodine source food patterns of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protein food’ pattern, ‘comprehensive food’ pattern, and ‘salt & seasoning’ pattern. Men consumed the most iodine through ‘salt & seasoning’ pattern, and women consumed the most iodine through ‘comprehensive food’ pattern. The higher the age and and the lower the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 proportion of iodine intake through ‘salt & seasoning’ pattern. According to the region, the proportion of iodine intake through 'salt & seasoning' pattern was in the order of Sichuan (51.3%), Chongqing (36.9%), and Guangdong (20.1%).

      • 성인기의 우울장애 관련 요인 분석 및 우울장애와 식생활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이수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청년기, 중년기, 노년기 등 성인기의 연령대에 따른 우울장애와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고, 우울장애와 식생활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의 2016년과 2018년의 원시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만 19세 이상 성인이었으며, 연령대에 따라 성인기를 청년기(40세 미만, 2,421명), 중년기(40-65 세 미만 4,451명), 노년기(65세 이상 2,594명)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이중 의사의 진단으로 우울증 진단을 받았거나, PHQ-9의 점수가 10점 이상인 경우를 우울장애군으로 명명하고, 성향점수매칭방법을 통해 이들과 성별과 연령대가 동일한 대상자를 정상군으로 선정하였다. 이에 최종 분석 대상자는 청년기 286명, 중년기 462명, 노년기 528명이었다. 우울장애에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특성, 정신 및 건강 행태, 삶의 질, 만성질환과 관련된 변수를 비교하였다. 또한 우울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 요인을 찾아내기 위하여 모든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후, 우울장애 유병 여부에 따른 식행동, 식품안정성, 영양질적지수, 영양소 적정 섭취비율, 식생활평가지수를 비교하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우울장애가 생길 오즈비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통하여 우울장애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예측하였다. 청년기에서는, 에너지 필요추정량의 60% 미만으로 섭취하거나 140% 이상으로 섭취하는 경우에 비해 75-125%로 섭취할수록 우울장애 유병 위험도가 감소하였다. 중년기에서는, 식품안정성이 확보된 경우에 비해 식품불안정성 초기단계일 때, 비타민 B1의 권장섭취량의 75% 미만으로 부족하게 섭취할 경우 우울장애 유병 위험도가 증가하였으며, 잡곡의 섭취가 적절하거나(0.3 serving/d 이상), 당류 및 음료류로부터 에너지 섭취비율이 총 섭취 에너지의 10% 미만일수록 우울장애 유병 위험도는 감소하였다. 노년기에서는, 니아신, 인과 철의 섭취가 권장섭취량의 75% 미만으로 섭취할 때 우울장애 위험도가 증가하였고, 아침식사 빈도와 잡곡섭취가 증가할수록 우울장애 위험도는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우울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우선순위를 정리해 보면, 청년기에서는, 스트레스 인지 정도, 삶의 질, 이상지질혈증, 비만 순으로 나타났다. 중년기에서는, 삶의 질, 스트레스 인지, 니아신과 생과일의 섭취, 영양표시의 인지 순으로 나타나 청년기와는 차이를 보였다. 노년기에서는, 삶의 질, 스트레스 인지, 소득수준, 나이, 류마티스성 관절염의 여부, 엽산과 잡곡의 섭취, 영양표시 인지, 식품안정성 순으로 나타나 우선순위에 있어서도 청년기나 중년기와도 차이를 보였지만 삶의 질이나 스트레스 인지 외에도 엽산 섭취 또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그동안 정신건강의 예방과 관리에서 크게 주목 받지 못했던 식생활이 우울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장애의 예방에 식생활이 포함되어야 한다는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만성콩팥병 유병자의 영양소 섭취 상태와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와의 관련성 : 2015-2019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오현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만성콩팥병은 비가역적으로 콩팥 기능이 감소하는 질환이며, 병기가 진행됨에 따라 관상동맥질환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상동맥질환은 심장 돌연사의 가장 큰 원인으로써 위험인자의 선제적 관리가 강조되는 질환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만성콩팥병 유병 실태를 파악하고, 비인지 만성콩팥병 유병자의 영양소 섭취 실태 및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 상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인지 만성콩팥병 유병자의 영양소 섭취 상태와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2015-2019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전체 참여자 39,759명 중 주요 변수에 결측치가 있는 대상자를 제외하고, 열량 이상 섭취자(<500 Kcal & ≥5,000 Kcal)를 제외하여 27,513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만성콩팥병 유병 실태 연구를 위한 통계분석은 연도별 통합가중치를 부여하여 복합표본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 단계로 만성콩팥병 유병률이 매우 낮은 만30세 미만과 기저질환 유병률이 높은 만75세 이상을 연구대상자에서 제외하고, 사구체여과율을 기준으로 만30세부터 만74세의 비인지 유병자 593명을 선별하였다. 대조군으로 사구체여과율이 60 ml/min/1.73m² 이상이면서 기타 이상 소견이 없는 정상인 6,143명 중 비인지 유병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동일한 대상자를 성향점수매칭을 이용하여 동일한 비율(n=589)로 선별하였다. 선별된 정상군과 유병군의 영양소 섭취 실태와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 상태를 비교하고,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통계분석은 χ2검정, T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성은 p<0.05을 기준으로 검증하였다. 만성콩팥병 유병 실태를 분석한 결과 만성콩팥병 유병률은 3.1%이고, 50대부터 유병률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전체 인지율은 4.1%로 나타났다. 가구소득수준과 교육수준은 정상군에 비하여 만성콩팥병 유병군이 낮았다. 다음으로 성인(만30-74세) 비인지 유병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동일한 정상군을 비교한 결과, 유병군은 정상군보다 음주율, 신체활동 실천율이 낮았으며, 비만, 복부비만, 고혈압, 당뇨병 및 이상지질혈증 유병률이 높았다. 또한 유병군의 수축기혈압, 공복혈당, 혈중콜레스테롤 농도는 정상군보다 높았으며,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은 정상군보다 낮았다. 만성콩팥병의 유병은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BMI 상승, 복부비만,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high systolic blood pressure (SBP), high fasting blood sugar (FBS), high triglyceride (TG), high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low HDL-C의 발생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병군의 영양소 섭취 실태는 KDRIs(2015) 권장량을 기준으로 fat, n-3 fatty acid, n-6 fatty acid, vitamin C 및 Ca의 섭취율이 75% 미만이었으며, Na, P 및 Fe의 섭취율은 125% 이상이었다. 그러나, 임상진료지침을 기준으로 vitamin C 및 Ca의 섭취는 권고량 미만이었으며, protein 및 Na 섭취는 권고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K 및 P의 섭취는 개별 혈청 K 수치와 혈청 P 수치에 따라 조절하도록 권고되고 있어 섭취량을 평가할 수 없으나, 유병군의 P에 대한 평균 섭취량은 KDRIs(2015) 권장량을 기준으로 125% 이상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성콩팥병 유병군의 영양소 섭취 상태는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 발생에 유의한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CRF : high SBP, high total cholesterol (TC), high TG, high LDL-C, low HDL-C, Intake : energy, protein, fat, saturated fatty acid, cholesterol, vitamin C, vitamin B1, vitamin B2, niacin, P). 본 연구의 결과 만성콩팥병 인지율이 매우 낮아 적절한 영양중재 시기를 놓칠 수 있음이 우려된다. 따라서 인지율 향상을 위해 정기적으로 사구체여과율을 검사할 수 있는 건강관리제도 마련을 제안하며, 만성콩팥병과 관상동맥질환의 관련성을 알리기 위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중국 일부 발달지역 성인의 식품섭취량 및 생활방식의 변화와 만성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중국 국민건강영양조사(1991-2015)자료를 이용하여

        장, 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food intake, nutrient to calorie ratio, food preference and transportation as well as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hypertension and diabetes have changed over 20 years from 1991 to 2015. We also analyzed which changes in eating habits affect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iming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improving the general health status of Chinese people. The samples were adults from part of developed provinces of China (including Henan, Hubei, Jiangsu, Liaoning, Shandong) in China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aw data of China Health and Nutrition Survey for the study was downloaded from the official website of the survey. Variables to be analyzed included intake of food groups, nutrient to calorie ratio, food preference, transportation and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SPSS. T-test was used to confirm whether a change of independent variables had an effect on the prevalence of certain chronic disease. All statistical tests were two-sided and p-value<0.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determining factors contributing towards the risk of developing chronic diseases, data from all survey items from 2004 to 2011 were used. Since the proportion of chronic disease patients was lower than that of normal people, propensity score matching was conducted using age as a covariate. A decision-tree model was constructed at the same tim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ake of grains decreased and the intake of fruits and vegetables increased as time goes by. Among the calorie nutrients, protein intake remained almost the same, but carbohydrate intake decreased by 20% and fat intake increased by 20%. As for transportation, walking (25.2%) and bicycle use (15.3%) decreased, while bus or subway use (18.8%) and car or taxi use (10.1%) increased. The prevalence of obesity, hypertension and diabetes in Chinese people also increased. In particular, abdominal obesity increased by 40.5% for men and 30.9% for women. Among chronic diseases, factors affecting obesity were proved to be bus or subway as the root node (χ²=1312.604, p=.000) with hypertension (χ²=133.220, p=.000) and tea consumption (χ²=78.754, p=.000) as child nodes, diabetes (χ²=40.440, p=.000) and walking (χ²=70.986, p=.000) as terminal nodes. According to these paths,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higher in bus or subway users (95.1%), hypertension patients (66.6%), and diabetes patients (69.1%) than those who were not. Walking and tea consumption were protective factors for obesity. For abdominal obesity in men, hypertension (χ²=198.197, p=.000) was identified as the root node, while fat intake (χ²=55.257, p=.000) and bus or subway use (χ²=15.232, p=.000) as child nodes. Terminal nodes were carbohydrate intake (χ²=45.703, p=.000), walking status (χ²=14.212, p=.000), drinking (χ²=5.363, p=.021) and diabetes (χ²=7.794, p=.005). According to these paths, hypertension patients (72.7%), bus or subway users (78.1%), and hypertensive non-sick patients (51.5%) had a higher risk of abdominal obesity. Walking was a protective factor against abdominal obesity. For abdominal obesity in wom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oot node was hypertension (χ ²=236.588, p=.000), while child nodes were fat intake (χ²=8.995, p=.024) and walking (χ²=44.157, p=.000). Terminal nodes were determined as whether to ride a bicycle (χ²=44.386, p=.000), whether to drink coffee (χ²=36.792, p=.000), and drinking (χ²=4.222, p=0.040). According to these paths, the abdominal obesity rates of women in hypertension patients (74%), fat overdose (75.4%), and drinkers (87%) were higher. Factors affecting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were proved to be tea comsumption (χ²=2077.290, p=.000) as the root node and bus or subway use (χ²=544.036, p=.000) as the child node with car or taxi use (χ²=450.392, p=.000) as the terminal node. According to these paths, non-tea drinkers (100.0%) had a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hypertension than tea drinkers. As a result, tea consumpton was an important protective factor against hypertension. Factors affecting the prevalence of diabetes were determined to be hypertension (χ²=1555.146, p=.000) as the root node and obesity (χ²=151.480, p=.000) as the child node. Terminal nodes were smoking (χ²=10.437, p=.001) and carbohydrate intake (χ²=35.228, p=.000). According to these paths, hypertension was the most powerful factor in diabetes induction, while obesity (32.4%), smoking (11.2%) and low carbohydrate intake (49.1%) were relatively more influential factors in non-hypertension peo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ccording to data of five developed provinces of China (Henan, Hubei, Jiangsu, Liaoning, Shandong) from China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ere is a high correlation between the increased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and changes in people’s dietary life and transportation habits. It is desirable to increase the time people spend on activities. Therefore, it is a necessary measure for the government to establish safe and convenient pedestrian and bicycle roads linked to public transportation. In addition, since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chronic diseases is very strong, it is important for us to learn the health promotion strategies for preventing all these chronic diseases. Reducing meat intake containing a lot of fat and increasing carbohydrate intake could be one of these strategies.

      • 맥문동을 첨가한 식빵 및 파운드케이크의 품질특성 및 기호도에 관한 연구

        박지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다양한 생리적 활성 기능이 보고된 맥문동을 첨가한 기능성 빵을 제조하기 위해 품질 특성 실험 및 관능검사를 바탕으로 식빵 및 파운드케이크의 최적 맥문동 첨가 비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사전 실험을 통해 식빵의 경우 통밀가루의 5%, 10% 및 15%를 맥문동 가루로 대체하였고, 파운드케이크는 설탕의 10%, 30% 및 50% 를 맥문동 가루로 대체하여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비교하였다. 식빵의 품질특성 실혐 결과 맥문동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외관의 색이 진해지고 외형이 균일하지 못하며 옆으로 팽창하였고, 빵의 무게, 높이, 굽기손실률, 반죽 및 제품의 pH는 감소하였으나 부피와 수분함량은 증가하였다. 식빵의 색도는 맥문동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L값(명도)은 감소하였고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은 증가하였다. 식빵의 제조 당일 텍스처 측정결과 맥문동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경도는 감소하였고. 복원력은 증가하였으며, 점착성은 10% 대체군에서만 증가하였다. 저장 중의 수분함량은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지만 그 값은 미미하여 저장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추측 되었다. 저장 중의 경도 변화는 증가하였지만 대조군보다 값이 적게 나타나 저장성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품질특성 실험 결과 맥문동 분말을 15% 대체한 식빵이 크기 및 저장성이 우수하여 15% 대체군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식빵의 기호도와 맛의 강도 검사에서 맥문동 분말 10% 대체군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나, 맥문동에 관한 영양정보를 제공 한 후 실시한 2차 관능 검사 결과 15% 대체군이 기호도와 맛의 강도 점수가 높게 변화되었다. 이에 따라 품질특성 실험 결과와 맥문동의 영양적, 기능적 우수성을 알고 있는 소비자들에게는 통밀가루 대신 맥문동 가루를 15% 대체하는 것이 최적의 대체 비율로 사료된다. 파운드케이크의 품질특성 실험 결과 맥문동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윗면의 터짐성 및색은 진해졌고, 단면의 기공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빵의 무게, 높이, 반죽 및 제품의 pH는 감소하였으나 부피와 수분함량은 증가하였다. 그리고 굽기손실률은 50% 대체군에서만 감소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파운드케이크의 색도는 맥문동 대체량이 증가할수록 *L값(명도)과 *b값(황색도)은 감소하였지만 *a값(적색도)이 증가하였다. 제조 당일 텍스처 측정 결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점착성과 복원력은 감소하였으나 경도는 증가하였다. 파운드 케이크 제조 후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수분함량은 감소하였지만 감소 값이 미미하여 저장성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을 것으로 추측 되었으나 저장 중의 경도 변화는 대조군보다 커서 저장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된다. 품질특성 실험을 종합한 결과 파운드케이크는 맥문동 분말을 설탕의 30%를 대체한 것이 부피가 크면서 수분함량이 높고 경도가 낮게 나타나 저장성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 되었으며 품질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사료된다. 관능검사 결과 기호도 및 맛의 강도가 10% 대체군의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맥문동에 관한 영양정보를 제공한 후 실시한 2차 관능검사에서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기호도 및 구매 강도의 값이 상승하였으나 종합적으로 가장 선호하는 맛은 여전히 10% 대체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파운드케이크의 최적의 대체비율은 품질특성에 서는 30% 대체군이 우수하였지만 직접 맛을 보며 구매 강도 등을 살펴본 관능검사를 반영하면 10% 대체군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 청소년의 아침 결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영양지수와의 관련성 분석

        박하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factors affecting breakfast skipping in adolescents, to confirm their effects on the next breakfast,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and overall nutritional statu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245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in November 2019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ood intake for a day from dinner to breakfast the next day. In addition, Nutrition Quotient for Korean Adolescents(NQ-A) was used to confirm the overall nutritional statu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58(23.7%) male and 187(76.3%) female students. 75(30.6%) students were 1st grade, 97(39.6%) students were 2nd grade, 73(39.8%) students were 3rd grade. 15(6.1%) were underweight, 189(77.1%) were normal weight, 23(9.4%) were overweight, and 18(7.3%) were obese. In the results, 116(47.3%) students ate afternoon snack between lunch and dinner, 'confectionery' and 'beverage' were the most eaten. 221(90.8%) students ate dinner and the average time of dinner was 19:23. Skipping dinner students returned home later than eating dinner students and considered dinner less important. Female students had higher rates of dinner skipping, and dinner was consumed later than male(p<0.05). Most of them consumed the dinner at home, and the dinner time was later as the return time of the subjects was delayed (p<0.001). Students skipping dinner considered dinner less important than ones eating dinner(p<0.01). 65(26.5%) students ate late night snack, and the reasons for late night eating were 'delicious' and 'hungry'. 153(62.4%) students ate breakfast and the average time of breakfast was 7:33. The reasons for skipping breakfast were no time(47.8%) and no appetite(18.4%). Students eating breakfast had a faster dinner time the night before, earlier bedtime and wake-up time, and considered breakfast important, and was hungrier at the wake-up time than students skipping breakfast. Late-time meals affected bedtime delayed and the late bedtime affected wake-up time delayed. In the NQ score of the subjects, the total score was 57.6 point for male students, 52.1 point for female students. Male students' NQ score and factor scores for diversity and practice were higher than female students'. Late snack eating students' factor scores for moderation and practice were lower than non-eaters'. In addition, breakfast eating students' NQ score and factor scores for environments were higher than non-eaters'. The total score and factor scores for the environment was lower as the bedtime was late, and the factor scores for moderation and environment was lower as the time of dinner intake was late. As a result, the intake of dinner and late night snack on the previous day in adolescents didn't directly affect the intake of breakfast the next day.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time of eating dinner and late night snack the day before and the late bedtime due to the intake of late time can affect the nutritional status and eating habits of adolescents. In summary, overall eating habits and life styles can affect breakfast skipping and their nutritional status in adolescents and it is necessary to educate adolescents to correct their lifestyle for improving their eating habits and having the appropriate intake time of dinner and late night snack. 본 연구는 청소년기 아침 결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식사 섭취 실태와 식행동 및 영양 상태와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PNU IRB/2019_106_HR) 후 2019년 11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부산시 소재 중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을 대상으로 전날 저녁 식사 섭취 실태가 다음 날 아침 식사에 미치는 영향과 청소년 영양지수(NQ-A)를 통한 전반적인 식행동을 확인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총 245명으로 남학생이 23.7%(58명), 여학생이 76.3%(187명)였고, 학년별로는 1학년이 30.6%(75명), 2학년이 39.6%(97명), 3학년이 29.8%(73명)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 대상자의 47.3%(116명)가 저녁 식사 전 간식을 섭취하였고, 90.2%(221명)가 저녁 식사를 섭취하였다. 저녁 식사는 대부분(86.0%)이 집에서 섭취하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저녁 식사 섭취 시각이 늦었다(p<0.05). 또한 저녁 식사 섭취군은 결식군에 비해 귀가 시간이 더 빨랐으며(p<0.05), 저녁 식사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였다(p<0.01). 저녁 식사 후에 야식을 섭취한 대상자는 전체의 26.5%(65명)였다. 아침 식사는 전체의 62.4%(153명)가 섭취하여 37.6%(92명)의 결식률을 나타냈으며, 아침 식사 섭취 여부 및 섭취 시각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아침 결식의 이유는 ‘시간이 없어서’가 47.8%(44명), ‘입맛이 없어서’가 18.4%(17명)로 나타났으며 세부 이유는 ‘등교 준비로 시간이 없어서’ 34.8%(32명), ‘피곤해서 입맛이 없어서’ 14.1%(13명), ‘늦잠으로 시간이 없어서’ 13.0%(12명)의 순으로 나타났다. 아침 결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아침 식사 섭취군(62.4%)과 아침 식사 결식군(37.6%)의 전날 저녁 식사 섭취 실태를 비교한 결과, 전날 저녁 식사 및 야식의 섭취 여부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아침 식사 섭취군은 아침 식사 결식군보다 전날 저녁 식사를 더 일찍 섭취하였고(p<0.05), 더 일찍 취침하였으며(p<0.01), 당일 아침에도 더 일찍 기상하였다(p<0.001). 또한 아침 식사 섭취군이 결식군보다 아침 식사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으며(p<0.001), 아침 식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군은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 취침 및 기상 시각이 더 빨랐다(p<0.01). 조사 대상자의 청소년 영양지수(NQ-A) 평가 결과, 영양지수 평균 점수는 53.4점이었으며, 영역별 점수는 균형 영역 50.0점, 다양 영역 56.2점, 절제 영역 51.9점, 환경 영역 65.4점, 실천 영역 48.4점이었다. 성별에 따른 영양지수 비교 결과 남학생은 57.6점, 여학생은 52.1점으로 나타나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점수가 더 높았다(p<0.01). 영역별로는 다양 영역(p<0.05)과 실천 영역(p<0.001)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야식 섭취 여부에 따라 야식 섭취군(26.5%)과 야식 비섭취군(73.5%)으로 분류하여 영양지수를 비교한 결과 총 점수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야식 섭취군이 비섭취군에 비해 절제 영역(p<0.01)과 실천 영역(p<0.05)의 점수가 더 낮았다. 아침 식사 섭취 여부에 따라 영양지수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아침 식사 섭취군이 아침 식사 결식군에 비해 영양지수 총점과 환경 영역의 점수가 더 높았다(p<0.001). 생활시간 요인과 영양지수의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에서는, 취침 시각이 늦을수록 영양지수가 낮았다. 또한 절제 영역은 저녁 식사 및 야식의 섭취 시각이 늦을수록 점수가 낮았고, 환경 영역은 저녁 식사 섭취 시각과 취침 및 기상 시각이 늦을수록 점수가 낮았다(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 날 아침 결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날의 식사섭취 여부보다는 섭취 시각인 것으로 밝혀졌으며, 식사 섭취 시각은 귀가 시각, 취침 시각, 기상 시각 등의 생활시간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영양지수를 통해 살펴본 전반적인 식행동에서도 생활시간과의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 시 바람직한 식생활을 위한 생활 습관 교정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저녁 식사 및 야식의 적절한 섭취 시각을 제시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초등학생의 채소 선호 실태 및 영향요인 -사회인지론을 기반으로-

        차수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채소 섭취 부족 문제를 개선하고자, 채소 선호 실태를 알아보고 사회인지론을 기반으로 초등학생의 채소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는 설문조사법을 활용하였으며, 설문조사는 부산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PNU IRB/2018_34_HR)의 승인을 받은 후, 2018년 6월에 양산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고학년생 17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5학년이 49명(27.7%), 6학년이 128명(72.3%)이었으며,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이 96명(54.2%), 여학생이 81명(45.8%)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채소를 ‘좋아한다’와 ‘매우 좋아한다’고 응답한 아동을 채소선호군(67.2%)으로, ‘싫어한다’와 ‘매우 싫어한다’라고 응답한 아동을 채소비선호군(32.8%)으로 분류하였다. 두 군 모두 녹색 채소, 쌈 종류, 아삭한 질감의 채소를 선호하였고, 종류에 따라서는 감자, 고구마, 상추, 콩나물을 좋아했다. 반면 검정색과 보라색 채소, 생채, 물컹한 질감의 채소를 싫어했고, 종류별로는 쑥, 피망, 도라지, 고추와 같은 맛과 향이 강한 채소를 싫어하였다. 사회인지론의 개인적 요인에 있어 긍정적 결과기대와 자아효능감은 채소선호군이 채소비선호군에 비해 모든 항목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부정적 장애요인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채소비선호군의 점수가 채소선호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고, 특히 채소는 맛이 없다는 것이 가장 큰 장애요인이었다. 행동적 요인에 있어서는 채소에 관한 영양지식은 군 간의 차이 없이 모두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실천도에 있어서는 낮은 값을 보여 채소섭취에 대한 실천도가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실천도 점수는 채소선호군이 채소비선호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요인에 있어서 사회적 환경인 주변인에서는 채소선호군이 채소비선호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점수가 높아 주변인의 충고를 받아들일 용의가 높음을 알 수 있었고, 가장 영향력 있는 사람은 의사와 부모님이었다. 물리적 환경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채소선호군의 점수가 높아 채소선호군에 속한 아동이 채소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환경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사회인지론의 요인들과 채소선호도와의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인지론의 요인들 중 영양지식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이 채소선호도와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주변인(P<0.01), 실천도(P<0.01) 및 자아효능감(P<0.05) 등이 채소선호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따라 초등학생의 채소 선호도를 높이고 섭취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채소에 대한 단순한 영양지식보다는 채소를 먹음으로써 나타나는 긍정적 결과에 대한 구체적 정보를 제공하고 채소에 대한 부정적 장애요인을 극복하고 채소 잘 먹을 수 있다는 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며, 아동들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변인의 역할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Imagination and reality : VTUBER's creation and research

        고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s paper is about Virtual Live Streamers, also known as Virtual YouTubers or Vtubers, and it analyses the industry from the perspective of 3D modell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economic psychology, examining the composition and production processes, the operational strategies of the various companies, and the existing profit models. The paper also examines the prospects for growth and profitability of the industry, including the psychology of group interaction in this particular industry. The thesis also provides guidance for the domestic Vtuber industry by analysing the upstream and downstream industries in the virtual live streaming industry, as well as foreign operating methods. In addition, the paper examines the concept of avatars, their diverse applications, and the definition of a Vtuber. While This paper provides an analysis of the upstream, midstream, and downstream fields in the virtual YouTuber (VTuber) industry. The upstream field involves the creation of a virtual image with an avatar, and the selection of a "role player." The midstream field is responsible for the operation and maintenance of the virtual scene and IP incubation, while the downstream field includes the production of VTuber goods and the hosting of online and offline events. The value of the goods is largely dependent on the popularity of the VTuber, with bookmarks being the most common and profitable product. The focus part of this paper is a study on whether virtual live streaming for e-commerce is possible. While live e-commerce Vtubers offer many advantages for companies, there are also challenges that need to be addressed. One of the challenges is to create a Vtuber with a personality that resonates with the audience. This requires a lot of effort in terms of designing the Vtuber's appearance, personality, and voice, as well as creating interesting and engaging content. Additionally, the development of Vtubers requires a large initial investment in technology and talent, which can be a barrier for small businesses. Another challenge is the risk of Vtubers being seen as inauthentic or insincere by the audience. The Vtubers are not real people, and audiences may be skeptical of their motives for promoting products. The lack of human emotion and expression can also be a disadvantage, as it may be harder for the Vtubers to build trust with the audience. Despite these challenges, there are still many opportunities for live e-commerce Vtubers. The technology for creating Vtubers is becoming more accessible and affordable, which may open up the market to smaller businesses. Additionally, Vtubers can be used to target specific demographics or niche markets that may not be easily reached through traditional advertising channels. The ability of Vtubers to provide personalised recommendations and interact with consumers in real time also offers a unique and engaging shopping experience. As technology continues to improve, the possibilities for creating even more realistic and engaging Vtubers will only increase. Even this article discusses how ChatGLM-6B artificial intelligence replies can be applied to the virtual live room to automatically receive comments, generate replies, generate voice and play voice on the basis of the BILIBILI API. The combination of live e-commerce Vtubers and ChatGLM-6B can bring a better user experience to the e-commerce industry and improve sales efficiency. live e-commerce Vtubers can interact intelligently and personally through ChatGLM-6B, providing consumers with a more realistic and personalised shopping experience. ChatGLM-6B can also help virtual e-commerce anchors to better understand consumers' needs and provide them with more accurate and personalised recommendations to improve sales conversion rates. When viewers ask questions about products, Vtubers can use ChatGLM to automatically respond with answers set in advance, greatly reducing labour co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