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에서 문제의 구조화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와 과제수행능력의 차이 분석 :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별 중학교 기술 교과를 중심으로

        이동국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e-포트폴리오는 학습자 중심, 조력자로서의 교사 역할, 과정 중심의 개별화된 평가를 지원하기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에 따라 어떤 문제의 유형을 제시했을 때, 학업성취도와 과제수행능력에 효과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상인 집단은 문제의 구조화 유형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2.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상인 집단은 문제의 구조화 유형에 따라 과제수행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3.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하인 집단은 문제의 구조화 유형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4.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하인 집단은 문제의 구조화 유형에 따라 과제수행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은 청주 C중학교 1학년 6개 학급 205명으로, 자기조절학습능력검사를 실시한 후, 자기조절학습능력 수준에 따라 상위집단 60명(30%), 하위집단 60명(30%)으로 구분하였다. 상위집단과 하위집단을 각각 두 그룹으로 구분하여 구조화된 문제와 비구조화된 문제를 제시하였다. 4개 그룹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포트폴리오 전략을 활용하였으며, 총 2주간 4차시에 걸쳐 이루어졌다. 측정도구로 자기조절학습검사, 지식, 이해, 적용으로 이루어진 학업성취도 검사, 과제수행능력검사를 활용하였다. 실험 후, 문제의 유형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과제수행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이 상인 집단은 문제의 유형에 따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과제수행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비구조화된 문제를 수행했을 때 과제수행능력이 높았다. 반면,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하인 집단은 문제의 유형에 따라 학업성취도와 과제수행능력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설계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높은 집단은 비구조화된 문제를 제시했을 때 높은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높은 학습자는 학습문제에 대한 정보를 스스로 찾고, 자신의 경험과 내용을 연결시키며, 학습 시간 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이러한 능력은 비구조화된 문제를 해결할 때 더욱 유용하다. 비구조화된 문제의 경우,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자원을 수집하고, 여러 대안을 모색하며, 발산적인 사고와 추론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해준다. 이러한 활동은 e-포트폴리오의 내용을 풍성하게 해주고, 지식을 체계적으로 형성하는데 도움을 준다. 둘째, e-포트폴리오 학습 환경에서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낮은 집단에 어떤 교수전략을 적용할 것인가의 문제가 중요하다. 자기조절 학습능력이 낮은 학습자에게 초기에 제시하는 문제의 구조화 유형이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에, 학습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스캐폴딩과 피드백 전략을 제공하여 학습자가 부딪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해 적절한 도움을 주어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경동맥내중막두께의 영향 인자 분석

        안난희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5

        경동맥내중막두께의 영향 인자 분석 안난희 (지도교수: 김현진, Ph.D.) 방사선학(초음파)전공,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본 연구는 2022년 5월부터 2023년 2월까지 부산 지역 일개 의료 기관을 내원한 환자들 중 경동맥 초음파 검사와 혈액검사를 모두 시행한 235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목적은 경동맥 초음파를 통해 경동맥내중막두께와 혈류속도를 측정하고 대 상자들의 BMI 및 대사증후군 영향 인자들을 분석하여 경동맥내중 막두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경동맥내중막두 께와 BMI의 상관관계분석 결과 p=0.004로 나타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밖에 연령(p=0.009), 공복혈당(p=0.026), 음주 (p=0.006) 등이 경동맥내중막두께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 다. 경동맥내중막두께의 증가는 심뇌혈관질환으로 이벤트의 증가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경동맥내중막두께를 증가시키는 요인들을 배제 시키려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며 또한 다양한 예측 방법의 연구와 정기적인 검진을 통한 심혈관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 하다. Key words: 경동맥내중막두께, BMI, 연령, 공복혈당, 음주

      • Flipped Classroom 학습이 초등학생의 수학과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Flipped Classroom은 학습자에게 온라인에서 수업 필수 개념을 미리 배워오게 하여 교실 수업 시간을 확보하고, 교실에서는 강의 대신에 학습자 참여와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학습 활동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Flipped Classroom이 초등 학습자의 수학 교과 학업 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초등학교 수학 교과에서 Flipped Classroom 학습 환경이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1-1. 초등학교 수학 교과에서 Flipped Classroom 학습 환경과 전통적 학습 환경에 따른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1-2. 초등학교 수학 교과에서 Flipped Classroom 학습 환경과 전통적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학업수준(상, 하)에 따른 학업 성취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초등학교 수학 교과에서 Flipped Classroom 학습 환경이 학습자의 수학 교과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1. 초등학교 수학 교과에서 Flipped Classroom 학습 환경과 전통적 학습 환경에 따른 수학 교과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2. 초등학교 수학 교과에서 Flipped Classroom 학습 환경과 전통적 학습 환경에서 학업 수준(상, 하)에 따른 수학 교과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은 부산 A, B 초등학교 6학년 5개 학급 128명으로, 이 중 3개 학급은 Flipped Classroom 학습 환경 적용 집단, 2개 학급은 전통적 학습 환경 적용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학업 수준에 따른 학습 효과 분석을 위해 상위 학업 수준 학습자 38명과 하위 학업 수준 학습자 38명을 선정하였다. 실험은 총 2주간 5차시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측정 도구로 학업 성취도 검사, 수학 교과에 대한 태도 검사를 활용하였다. 실험 후, 학습 환경에 따른 학업 성취도 결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혼합변량분석(Mixed-Anova)을 실시하였으나 검사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두 학습 환경에서 학업 수준에 따른 학업 성취도 결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를 실시하였으며 역시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학습 환경에 따른 수학 교과에 대한 태도 결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혼합변량분석(Mixed-Anova)을 실시하였는데, 검사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였다. 또한, 두 학습 환경에서 학업 수준에 따른 수학 교과에 대한 태도 결과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를 실시한 결과, 역시 집단 간의 차이가 있었고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Flipped Classroom의 교육적 적용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Flipped Classroom의 적용을 통해 초등 학습자의 학습에 대한 태도를 개선하고 흥미를 증진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특히, 학업 수준이 낮은 학습자에게 Flipped Classroom을 적용했을 때 학습 태도의 더 큰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둘째, 학습자의 학업 성취 수준을 증진시킬 수 있는 Flipped Classroom 교실 학습 환경 설계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Flipped Classroom을 설계할 때에는 학습자, 교사, 교육 내용 등과 같은 다양한 변인과 교실에서의 상호작용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셋째, Flipped Classroom 온라인 학습 환경을 학습자 수준과 특성에 맞게 설계하고 적극적인 온라인 학습 참여를 독려해야 한다.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자원 제공 수준과 방법을 달리해야 할 것이며 온라인 학습이 교실 학습을 위한 필수 요소임을 학습자들에게 인식시켜야 한다.

      • 사이버가정학습에서 교수실재감, 자기효능감과 자기결정성 동기의 관계

        심혜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실재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컴퓨터 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동기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사이버가정학습을 성공으로 이끄는 학습동기 예측 변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구체적으로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사이버가정학습에서 교수실재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컴퓨터 자기효능감은 자기결정성 동기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가? 2. 사이버가정학습에서 학습자의 이용학기수에 따른 자기결정성 동기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 연구는 2011학년도 1학기에 D시의 사이버가정학습에 참여하는 중학교 3학년 22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자료는 웹 설문과 설문지를 통해 수집되었다. 학생들의 1학기 사이버가정학습 수강기간은 2011. 3. 29 ~ 2011. 7. 15이었다.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SPSS 17.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변인과 동기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후, 자기결정성 동기에 대한 변인들의 예측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자기결정성 동기와 교수실재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컴퓨터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각 변인 간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기결정성 동기와 변인간의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연구에 사용된 변인 모두가 자기결정성 동기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교수실재감, 학업적 자기효능감, 컴퓨터 자기효능감이 자기결정성 동기의 35.6%를 예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결정성 동기를 예측하는 영향력이 큰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수실재감, 컴퓨터 자기효능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이버가정학습 이용학기에 따라 자기결정성 동기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학기이상 사이버가정학습을 수강하고 있는 집단이 1학기, 2학기, 3학기동안 수강하고 있는 집단보다 자기결정성 동기가 0.882, 0.839, 0.821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용학기가 증가할수록 학생들의 자율성과 자기조절력이 증가하여 자기결정성 동기 또한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여러 학기동안 수강하는 학생들의 특성에 적합한 환경이 주어졌을 때 사이버가정학습의 효율성이 증가될 수 있으며, 사이버가정학습 운영에 있어서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수강할 수 있는 유인 조건을 교수학습설계시에 반영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학습자에 대한 동기유발 촉진, 학습안내, 코칭, 피드백 등을 통하여 학습자에 대한 학습활동 지원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이버교사에 대한 실제적인 역량 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학습자가 사이버가정학습을 적극적인 학습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사이버가정학습 중에서 한 도시를 선정하였으며 여러 과목 중 사회, 국어, 과학 교과를 1학기동안 실시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하였다. 따라서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좀 더 폭넓은 사례에 대한 장기간에 걸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선행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오프라인학습에서 학생특성에 따른 자기결정성 동기가 차이가 나타나고 있으므로, 학생특성(기본: 이해: 심화)에 따라 나뉘어져 수업이 진행 중인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집단에 따른 효과적인 동기 예측요인을 살펴보는 것은 학습자 동기유발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학습자의 지적 능력이나 학업 수준에 따른 자기결정성 동기의 차이가 이러닝에서는 어떠한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으며, 동기를 높일 수 있는 보다 다양한 변인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학습자의 자율성을 높일 수 있는 교수환경설계에 도움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에서 보여지듯이 이용학기와 사이버가정학습에서 동기와의 관계가 어떠한지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 볼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실제로 사이버가정학습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에 대한 보다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 블랜디드 학습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 수업에서 고등학생들의 수학태도 및 상황적 지식에 대한 효과분석

        이희경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에서는 블랜디드 학습기반의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학수업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수학태도 변화와 상황적 지식의 발현 특성을 분석하여 블랜디드 학습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의 효과와 교수설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혼합연구를 도입하였고 양적연구에 대한 연구가설과 질적연구에 대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가설 : 블랜디드 학습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은 고등학생들의 수학 태도(흥미영역, 중요성 인식영역)에 유의미한 변화를 줄 것이다. 연구 문제 : 블랜디드 학습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에서 학습자들은 상황적 지식을 어떻게 사용하고 공유하는가? 양적연구의 결과, 융합인재교육(STEAM) 집단의 수학태도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수학 태도의 하위 영역인 흥미영역에서는 융합인재교육(STEAM) 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중요성 인식영역에서는 융합인재교육(STEAM) 집단이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습자들의 상황적 지식에 대한 분석을 위해 지식의 사용 측면과 지식의 효과적 공유 측면의 두 범주로 나누어 질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식의 사용 측면에서는 프로그램 과정 중 각 모둠은 특정 단계에서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STEAM교과의 지식을 사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지식의 효과적 공유 측면에서는 블랜디드 환경에서 모둠 활동의 상호작용을 통해 실시간 공유가 이루어졌고, 프리젠테이션 과정에서 산출물 비교를 통해 상황적 지식의 공유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위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시사점은 첫째, 수학 정규 교과시간에 융합인재교육(STEAM)의 적용이 수학태도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고, 둘째, 실제적 과제 제시, 창의적 설계 및 감성적 체험, 블랜디드 학습 환경, 협력활동의 교수설계 원리는 블랜디드 학습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에서 상황적 지식의 발현을 촉진시킬 수 있음이 밝혀졌다. 후속연구로서 블랜디드 학습기반 융합인재교육(STEAM)을 적용한 수업을 진행할 교사의 역량계발 및 지원전략에 대한 연구, 문제해결을 위한 다양한 지식의 사용과정에서의 의사결정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차이 분석

        조성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디지털 기반 교육이 보편화되면서 학습자 중심의 자기주도적 학습 체제인 이러닝이 일반화되고 있으며, 이러닝이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이러닝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을 능동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의 특성에 따라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라 학습만족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2.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라 학습지속의향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3.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에 미치는 각각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을 것이다. 위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청주시의 한 대학교에서 한 학기 과정의 100% 정규 이러닝 강좌 수강경험이 있는 남․여 대학생 23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기주도 학습전략,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검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검사지를 토대로 본 연구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 SPSS 18.0을 사용하였으며,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의 차이를 검증하고,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라 학습만족도에 차이가 있었다. 우선, 수강경험 집단에 따른 학습만족도 분석 결과, 수강경험이 높은 집단의 학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p=.017). 또한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학습만족도 분석 결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이 높은 집단의 학습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p=.001). 둘째,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라 학습지속의향에 차이가 있었다. 우선, 수강경험 집단에 따른 학습지속의향 분석 결과, 수강경험이 높은 집단의 학습지속의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p=.002). 또한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학습지속의향 분석 결과,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이 높은 집단의 학습지속의향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p=.000). 셋째, 대학 이러닝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강경험과 자기주도 학습전략이 학습만족도(p=.071) 및 학습지속의향(p=.369)에 미치는 각각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 및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의 이러닝 수강경험이 높을수록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이 높았다. 따라서 이러닝 수강경험이 없거나 적은 학습자들의 만족도와 동기를 높이기 위한 맞춤형 형태의 이러닝을 제공하여 이러닝 강의를 재차 참여할 수 있도록 이러닝 강의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는 사전 교육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이 높을수록 이러닝 강의에 대한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 및 특성을 반영한 차별화된 이러닝 교육방법이 제공되어야 하며, 특히 이러닝 학습 환경 특성 상 자기주도 학습능력이 필요하므로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이 낮은 학습자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촉진할 수 있는 스캐폴딩을 제공하고, 자기주도 학습전략 수준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는 방안이 필요하다. 향후 후속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러닝 학습을 하고 있는 다양한 환경 및 학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비교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이러닝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다양한 특성을 고려하여 이러닝 학습의 효과를 지속적으로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특히 학습자에게 필요한 역량으로 중요시되고 있는 이러닝 학습전략을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 셋째, 학습효과성 변인으로 학업성취도, 학습참여도, 학습동기, 학습몰입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연구를 진행해 볼 필요가 있다.

      • 블로그 기반 e-포트폴리오에서 성찰 방법이 반성적 사고 수준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손모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e-포트폴리오는 단순히 평가를 지원하는 도구가 아니라, 매력적인 교수․학습 전략의 하나이다. 최근에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 환경이 강조되면서 대표적인 e-포트폴리오 2.0 환경으로 블로그가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블로그 기반 e-포트폴리오를 교수․학습에서 활용할 때 효과적인 학습 환경을 설계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e-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성찰 활동에 주목하고, 성찰 방법에 따라 학습자의 반성적 사고 수준 및 학업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블로그 기반 e-포트폴리오에서 성찰 방법(자유 성찰/구조화된 성찰)에 따라 학습자의 반성적 사고 수준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블로그 기반 e-포트폴리오에서 성찰 방법(자유 성찰/구조화된 성찰)에 따라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지식 영역, 기능 영역, 가치․태도 영역)에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질집단 사전사후검사의 방법으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반성적 사고 수준 측정을 위해서는 Kember 등이 개발한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학업 성취도는 지식, 기능, 가치․태도 영역으로 나누어 평가하였다. 실험은 서울 D초등학교 5학년 2개 학급 학생 59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주일에 한 시간씩 4주 동안 사회 시간에 과제 학습과 연계한 e-포트폴리오 활용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 시간을 통해 학습자는 교수․학습의 과정이나 결과로 생성된 산출물 및 성찰 활동의 기록을 모아 자신의 블로그에 e-포트폴리오를 작성해갔다. 이때 한 집단은 자유 기술적 성찰일지를 작성하였으며, 다른 한 집단은 학습 내용과 과정에 대한 질문 프롬프트에 답변하는 구조화된 성찰을 하였다. 실험 후에는 블로그 기반 e-포트폴리오에서 성찰 방법에 따라 반성적 사고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조화된 성찰을 수행한 집단이 자유 성찰을 수행한 집단보다 습관적 행동의 정도는 낮은 반면, 성찰의 수준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해 영역과 비판적 성찰 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 평균 점수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그리고 블로그 기반 e-포트폴리오에서 성찰 방법에 따라 학업 성취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구조화된 성찰을 수행한 집단이 자유 성찰을 수행한 집단보다 지식, 기능, 가치․태도 영역으로 이루어진 사회 교과의 학업 성취도가 높았다. 그 중에서도 성찰 방법은 특히 기능 영역의 성취도 향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교수설계 측면에서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 성찰의 방법으로 e-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것보다 구조화된 성찰의 방법으로 e-포트폴리오를 작성할 때 보다 높은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블로그 환경에서 e-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과정 중 제공되는 질문 프롬프트는 학습자의 반성적 사고 수준 및 학업 성취도를 높일 수 있는 하나의 교수․학습 전략이 되는 것이다. 둘째, 구조화된 성찰의 방법으로 e-포트폴리오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학습자에게 어떤 내용의 성찰 질문을 제공할 것인가의 문제가 중요하다. 제공되는 성찰 질문에 따라 e-포트폴리오를 교수․학습에 활용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 위키 기반 환경에서 협력수정 전략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신장과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백명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15

        공유와 참여, 협력적 지식을 강조하는 웹 2.0 도구들은 시․공간의 제약 없이 학생들에게 풍부한 학습자원 공급과 학습 과정에서 동료와 협력적 활동을 통해 정보의 공유가 가능한 유용한 학습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위키는 웹 2.0의 가치를 대표하는 기술로 학교교육에서 학습효과 증진을 위한 협력적 도구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특히, 개방적 쓰기 및 편집이 가능한 위키에서는 글쓰기 과정에서 동료와 다양한 협력적 상호작용을 주고받을 수 있으며, 히스토리 기능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어떻게 글을 쓰고 있는지에 대해 그 과정을 파악하고 관련 피드백을 적절히 제공할 수 있다. 다인수 학생이 존재하는 우리 교육환경을 비추어 봤을 때, 교사가 단위시간에 학생들이 쓴 글을 읽고, 피드백을 충분히 제공하기란 현실적으로 매우 힘든 일이다. 이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위키를 활용한 협력적 글쓰기 활동은 학생들의 글쓰기 능력신장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위키 기반 환경에서 협력수정 전략이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과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위키 기반 환경에서 협력수정 전략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신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나. 위키 기반 환경에서 협력수정 전략이 학습자의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소재 H초등학교의 4학년 2개 학급 41명을 연구대상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를 위해 4학년 창의적 재량활동 시간을 14시간을 확보한 후, 위키 기반 협력수정 쓰기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하여 매주 1~2시간(40분 단위)씩 7주 동안 10차시 수업을 전개하였다. 수업은 수정전략 훈련기와 활용기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글을 수정하는 방법을 익히도록 하였으며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직접 글을 써 보거나 이미 쓰여진 글을 모둠원들과 협력적으로 수정해 보는 활동을 전개하였다. 비교집단은 교실에서 협력수정 쓰기 학습지를 통해 학습을 진행하였고, 실험집단은 위키를 활용하여 협력수정 쓰기 활동을 전개하였다. 실험처치 후, 쓰기 능력은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공분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고, 학습 만족도는 신뢰도가 확보된 검사지를 활용하여 사후 검사를 실시한 후, t-검증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의 통계처리 분석은 SPSS 18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위키를 활용하여 협력수정 쓰기학습을 전개한 실험집단이 일반교실에서 협력수정 쓰기학습을 전개한 비교집단에 비해 쓰기 능력 신장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위키에서 협력수정 전략을 적용한 쓰기 활동은 쓰기 능력의 세 가지 하위요인 중에서 ‘내용 요인(주제, 통일성, 논리성)’과 ‘조직 요인(짜임, 문단형식, 문단연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표현 요인(문장표현, 어휘, 맞춤법․띄어쓰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두 집단 간의 학습 만족도 차이에서도 위키를 활용하여 협력수정 쓰기 학습을 전개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 만족도를 하위요인별로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요인으로는 ‘교수․학습활동’, ‘상호작용’, ‘흥미와 동기’ 요인이었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은 요인으로는 ‘학습 내용’과 ‘학습 과제’였다. 이는 두 집단이 동일한 학습내용과 유사한 학습과정을 통해 학습활동 진행되어 학습 내용적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학습 방법적인 면에서는 위키의 다양한 쓰기 기능을 적절히 활용하면 쓰기수업 과정에서 학습자간의 상호작용이 강화되고 그로 인해 학습 동기 및 흥미를 향상시켜 학습 만족도에 긍정적으로 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위키 기반 환경에서 협력수정 전략은 학생의 글쓰기 능력신장과 학습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위키 기반에서 학생들은 자신의 생각을 글로 표현해 보고, 관련 글을 동료와 상호작용하여 협력적으로 수정해 나가는 학습의 장으로써 효과가 있으며 교사의 수업 설계 전략에 따라 온라인 쓰기 교수․학습모형을 구안하기에 충분한 공간임을 보여주었다.

      • 활동이론에 근거한 특수교육 우수교사의 교수설계 활동체제 분석

        김문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15

        ‘Instructional design’ is a specialized area of teachers, which refers to their activities conducted with specific intent in the social context. ‘Activity theory’ identifies the activities that includes human intent in socio-cultural and socio-historical context. Activity theory is recommended as an approach to analyzing the circumstantial and contextual factors in instructional design. Thus,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the instructional design of expert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through activity system components. This study is also aimed at identifying the contradictions that appear in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To carry out the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raised. Research problem 1. What are the activity system components of special education’s instructional design? Research problem 2. What are the activity system contradictions of special education’s instructional design? This is a case study that has analyzed the special education’s instructional design through its activity system, based on a qualitative study with the following participants: 6 expert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including 4 special education master teachers and 2 teachers who received 1st grade in a special education class contest.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s above, the following were conducted. First, in-depth interviews with the selected participants were carried out from May to July in 2013. Second, teaching-learning plans and videos of the participants’ classes were collected. Third, the components and contradictions of special education’s instructional design were analyzed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analytic induct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among the activity system components of special education’s instructional design is expert teachers in special educ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The object, the output produced by the subjects through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is the follow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3-tier teaching-learning plans reflecting the student levels; utilization of existing materials and creation of materials considering student levels; observation-based narrative student evaluation and class improvement. The tools used by the subjects to produce the object are as follows: knowledge of current student levels; materials of special school’s basic education curriculum; real materials that support the basic curriculum of special schools and ICT materials; student-centered class model for real-life experience and problem-solving skills. Communities related to instructional design can be divided into meetings in school and meetings outside of school. Rules include the following: special school curriculum; cre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operation of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team; class curriculum and number of classes per week. Division of work includes the following: sharing materials through training and meetings; sharing ideas and opinions through Q&A and feedback. Result, the final goal pursued by the subjects through instructional design activities, is “self-reliance” of students; it is achieved by offering real-life experience and boosting the self-esteem of students. Second, the activity system contradictions of special education’s instructional design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1st and 2nd contradictions. The 1st contradiction, the element’s internal contradiction, is the difficulty of using the 2011 revised special school curriculum textbooks, the tool’s internal contradiction. The 2nd contradiction, which exists among the components is the following: A lot of time is required for creating materials for students; Operating the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team is difficult, which is the contradiction that exists between rules and division of work. The points made by the coutcome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is study has accomplished the following. First, it has identified the overall aspects of instructional design through components by exploring it through activity system. Second, it has identified the instructional design contradictions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Third, it has stressed the importance of national textbooks and guidebook and the necessity of instructional design using such national materials. In particular, this study has valued the knowledge of student levels more than anything else in instructional design. Fourth, this study has offered an ideal approach to instructional design including class methodology and ideas for motivating students. Solving the contradictions of special education’s instructional design and pursuing ideal instructional design requires the following: offering diverse materials in line with student levels and establishing a database for sharing such materials; creating individualized education plans; revising laws to be more practical and reflect the reality of schools, with regards to individualized education support team operation. Follow-up studies need to analyze special classes instead of special schools, more disability areas besides intellectual disability, and instructional design activity system linked to school members who affect the instructional design, beyond teachers. Also, analyzing the sub-activity system is necessary. 교수설계는 교사의 전문적인 영역이며, 교사가 의도를 가지고 사회적 맥락 안에서 수행하는 활동이다. 사회-문화적,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인간의 의도가 포함된 활동을 파악하는 것으로 활동이론이 있다. 활동이론은 교수설계에 있어 상황적, 맥락적 요소를 분석하는 접근법으로 권장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수교육 우수교사들의 교수설계를 활동체제의 구성요소로 분석하고, 교수설계 과정 중 나타난 모순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특수교육 교수설계에서 활동체제의 각 구성요소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특수교육 교수설계에서 활동체제의 모순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질적 연구에 기반하여 특수교육 수석교사 4인과 특수교육 수업연구대회 1등급 교사 2인 총 6인의 특수교육 우수교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특수교육 교수설계를 활동체제로 분석한 사례연구다. 위 연구 문제를 파악하기 위해 2013년 5월부터 7월까지 연구참여자들에게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연구참여자들의 교수-학습지도안과 수업동영상을 수집하였다. 내용분석과 귀납적 분석법을 활용하여 특수교육에서의 교수설계 활동체제의 구성요소 및 모순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육 교수설계 활동체제의 구성요소 중 주체는 연구참여자인 특수교육 우수교사이다. 주체들이 교수설계 활동을 통해 생산하는 산출물인 객체는 개별화교육계획, 학생수준을 반영한 3수준의 교수-학습 지도안, 기존 자료의 활용과 학생수준을 고려한 자료 제작, 관찰 중심의 서술식 학생 평가 기록과 수업개선으로 분석되었다. 주체가 객체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하는 도구로는 학생 현행 수준에 관한 지식,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 자료, 특수학교 기본 교육과정을 지원하는 실물자료와 ICT자료, 실생활 경험과 문제해결능력을 위한 학생 중심의 수업모형이었다. 교수설계와 관련된 공동체는 학교 차원의 참여모임과 학교 외 차원의 참여모임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규칙으로는 특수학교 교육과정,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과 개별화교육지원팀의 운영, 수업교과 및 주당 수업시수가 있었다. 분업은 연수 및 참여모임을 통한 자료 공유와 질의 및 조언을 통한 의견 및 아이디어 교환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교수설계 활동을 통하여 주체들이 추구하는 최종 목적인 결과는 실생활 경험 제공과 자신감 향상을 통한 학생들의 “자립”이었다. 둘째, 특수교육 교수설계에서 활동체제 모순은 체제 내 모순인 1차모순과 2차모순이 분석되었다. 구성요소 내부 모순인 1차 모순은 도구 내부 모순인 2011 개정 특수학교 교육과정 교과서 적용의 어려움이다. 구성요소 간 모순인 2차 모순은 학생들에게 제공할 자료 제작에 많은 시간이 소요됨과 규칙과 분업 간 모순인 개별화교육지원팀의 실제적 운영의 어려움으로 분석되었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교수설계를 활동체제로 살펴봄으로써 교수설계와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들을 구성요소로 파악할 수 있었으며,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통해 교수설계 모순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국가수준의 자료인 교과서 및 지도서의 중요성과 함께 국가수준의 자료를 활용한 교수설계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교수설계에 있어서 학생수준에 관한 지식을 가장 중시하였으며, 수업 진행 방법과 동기유발에 대한 아이디어 등 교수설계의 방향성을 제공하였다. 특수교육 교수설계에서의 모순을 해결하고 바람직한 교수설계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학생수준에 맞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자료의 제공과 자료를 공유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의 마련이 필요하다. 그리고 개별화교육계획의 작성 및 개별화교육지원팀의 운영과 관련하여 학교 실정을 고려한 현실적인 방향으로의 법 개정이 필요하다. 후속연구로, 특수학교가 아닌 특수학급, 지적장애 외의 장애영역, 교사 이외에 교수설계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구성원에 관한 교수설계 활동체제 분석도 필요하다. 또한 하위 활동체제에 관한 분석도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