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stablishing your Identity : education through reading and nature in Mary Shelley's Frankenstein=개인의 정체성 확립-메리 셸리의 프랑켄스타인 속 독서와 자연을 통한 교육

        박소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During the Romantic period, two major changes occurred in Britain. Firstly, reading materials were distributed not only to the elites, but also to those of middle class and to shunned classes of society. Reading allowed people to become entertained, to learn about what they did not know about the world, and what is more, to think about themselves as individuals. In addition, in the Romantic period, the need to value nature was often discussed by writers. This thesis approaches these two changes of the Romantic period to perform textual analysis on the novel. In the first chapter, this thesis argues how the Creature, abandoned by his creator, struggles to establish his identity through reading. In the second chapter, nature as an educator to Victor Frankenstein is discussed. The thesis analyzes, with examples from the text, the sublimity of nature, and lastly, the importance of nature over science. As Victor Frankenstein experiences nature, he is educated of his situation, society, and most importantly, ways to retrieve his identity. 본 논문은 낭만주의시대에 크게 부흥했던 교육의 관점에서 메리 셸리 (Mary Shelley)의 소설 『프랑켄스타인 (Frankenstein)』을 연구하고자 한다. 영국 낭만주의를 통해 두드러진 사회적 변화 중에는 독서와 자연에 대한 관점이 있다. 먼저 독서에 대한 문화가 급속히 발달했다. 독서는 영국인들에게 단순히 언어교육의 용도가 아니라 사회의 흐름을 알게 해주었으며, 책을 읽는 사람 개개인의 내면에 대하여 생각할 기회를 마련해주었다. 또한 낭만주의시대에는 자연관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이 등장했다. 산업혁명을 바탕으로 많은 문학가들이 자연의 중요성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셸리도 그 중 하나였다. 이들은 당시 인기가 있었던 과학이 아닌, 자연을 통하여 인간이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다고 믿었다. 이에 본 논문은 인간이 독서와 자연에서의 경험을 통해 정체성 확립을 위한 교육을 받을 수 있다고 보고 이를 분석한다. 첫 장에서는 빅터 프랑켄스타인의 창조물 (the Creature)이 여러 종류의 읽을 거리를 통하여 인간의 사회와, 나아가 자신의 내면에 대하여 교육을 받는 과정을 탐구한다. 두번째 장에서는 자연의 여러가지 관점에 입각하여, 창조물을 버린 빅터 프랑켄스타인이 고립 속의 자연, 숭고한 면에서의 자연, 과학으로 인해 등한시된 자연을 통해 교육을 받는 과정을 분석한다. 또한 빅터와 그의 창조물이 독서와 자연을 통해 받은 교육을 통해 어떻게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게 되는 지 원문 분석을 통해 알고자 한다.

      • Victor Frankenstein, an isolated creature who attains self-awareness in Mary Shelley' s Frankenstein

        신수현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프랑켄슈타인>의 과학자 빅터 프랑켄슈타인이 자신을 신의 영역을 침범할 수 있는 창조주로 여겼지만, 불안의 경험과 누미노제 경험을 통해 결국 자신이 한계를 지닌 피조물이라고 인식하는 모습을 프로테스탄트 신앙적 관점에서 그려낸다. 많은 비평가들은, 스스로 생명을 창조하는 빅터를 이상을 좇다가 파멸에 이르는 인물로 분석하고 빅터가 창조한 괴물은 그 당시 소외되고 억압된 사람이나 가려진 빅터의 욕망을 나타낸다고 보았다. 인간이라면 누구나 자신의 욕망을 따라 살면서 자신의 가능성과 한계를 경험하는데, 본 논문은 보편적인 인간의 모습을 상징하는 빅터의 모습에 집중하여 빅터가 겪은 영적 깨달음의 여정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19세기 프로테스탄트 신학자인 소렌 키에르케고어와 루돌프 오토의 논의를 가져오는데 먼저 빅터가 겪은 자기고립의 불안을 살펴보고, 이어서 누미노제 경험을 통한 피조물적 감정을 살펴본다. 첫번째 장에서는 키에르케고어의 불안의 개념을 사용하여 빅터가 어떻게 불안을 겪는지 자세히 논하며, 순진무구의 불안, 가능성에 대한 불안, 악에 대한 불안, 선의에 대한 불안을 중심으로 빅터의 불안을 분석한다. 키에르케고어에 따르면 불안은 고통스럽지만 자신이 누구인지 인식하게 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이다. 빅터는 끊임없이 자기 고립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며 불안으로부터 벗어날 방법이 없다는 것을 알게되고 마침내 자신을 허물 있는 피조물로 인식한다. 두번째 장에서는 오토가 제시한 피조물적 감정과 누미노제 경험 개념을 바탕으로 빅터가 경험한 자연을 분석한다. 빅터는 집을 떠나 연구하며 지속적으로 자연 속에 머무르기를 택하는데, 자연 속에서 두려운 신비와 매혹성을 경험한다. 그 이전에 자연은 과학적 탐구의 대상이었지만 괴물을 창조한 후 빅터는 장엄하고 성스러운 자연을 경험하고 그 위대함 앞에 자신의 작음을 발견한다. 자연에서의 종교적 체험은 빅터가 죽기 전 북극 항로를 개척하려는 로버트 월튼 선장에게 평온함에서 행복을 찾고 야망을 피하라는 말을 남긴 중요한 계기로 작용한다. 따라서 빅터의 자기고립에 대한 불안은 수많은 가능성 속에서 자신의 유한함을 인식하기 위한 하나의 과정이며, 누미노제 경험 또한 자신을 유한한 피조물로 인식할 수 있는 발판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그동안 간과되었던 빅터의 깨달음의 여정을 밝히고 강박적이었던 그의 삶에서 구원의 가능성을 발견하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thesis explores how Victor Frankenstein, an isolated creature attains self-awareness in Mary Shelley’s 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 (1818)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along with Protestant faith. Victor is isolated from God after unnatural creation, but he attains self-knowledge, which means the recognition of himself as a mere creature, through anxiety about self-isolation and creature-feeling. Victor is a Promethean figure who transgresses beyond the limits set upon him by a Creator, and major criticism has addressed his transgressive autonomy and the Creature’s marginalization; however, I wish to argue for prominent yet neglected aspects of Victor, as a creature who shows a universal human experience, following his own desires and struggling with the infinite possibility of freedom and limitations. To this end, I employ two Protestant theologians, Soren Kierkegaard and Rudolf Otto; I deal with Victor’s anxiety about self-isolation and creature-feeling through numinous experience. In the first chapter, I use Kierkegaard's concept of anxiety to argue how Victor undergoes anxiety about self-isolation—anxiety of innocence, anxiety of possibility, anxiety about evil, and anxiety about good. Victor’s anxiety about self-isolation is painful but educational because it serves as a key catalyst of self-awareness as a creature, by letting him recognize his own finite-nature. In the second chapter, I elaborate on how Victor realizes his own finitude in the face of nature with Otto's concept of creature-feeling and numinous experience. Leaving home, Victor constantly stays in the mountains and river and encounters with terrifying and fascinating nature. Nature has been an object of curiosity and scientific research for Victor, but Victor recognizes his limitation faced with the numinous object of nature. Many critics have interpreted nature in Frankenstein related to Immanuel Kant’s sublime, but I think nature implies religious meaning within the novel. According to Otto, numinous experience accompanies ambivalent feeling: awe-compelling, but at the same time, attracting. Looking at the Jura mountains and Mon Blanc and staying in the ravine of Arve and the Artic, Victor feels child-like dependence on nature, like an innocent and helpless creature. In other words, nature both consoles and warns Victor about his transgressive act, by evoking the emotion of a creature and it motivates him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domestic affections to Captain Walton before he dies. Therefore, this thesis is meaningful in discussing Victor's spiritual journey of attaining self-awareness and I would like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redemption in his life.

      • 고등학교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교사들과 학생들의 인식연구

        김민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일반적으로 온라인 활용 수업은 웹 기반 수업(Web Based Instruction)라고 부르며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학습자가 학습 전개 과정에서 주도성을 가지고 자신의 능력에 맞는 학습 스타일, 학습 능력과 필요한 정보를 요구하고 제공 받을 수 있어 개별학습, 자기 주도적 학습, 맞춤 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학습 환경이다(Khan, 1997). 코로나 사태 이후 비대면 수업이 확산되면서 초, 중, 고등학교 교육활동에서 온라인 수업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보여, 학생들에게 효율적인 온라인 수업의 발전을 위해 교육 개선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인식과 문제점을 연구하고자 한다. 서울시 강서구 인문계 K고등학교, 서울시 강서구 인문계 KY여자고등학교, 서울시 강서구 인문계 Y고등학교 학생들과 현직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영어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설정하였다. 학생 설문지는 남학생과 여학생을 구분한 후 2학년과 3학년을 구분하여 분석하였고, 교사 설문지도 남교사와 여교사로 구분한 후 경력과 해외체류경험 및 온라인 수업경험여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설문지 중 응답자의 배경에 관련된 문항은 응답 수를 내어 비율을 산출하였고, 5점 척도 문항들은 먼저 기술 통계를 통해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했으며, SPSS 2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응답자의 배경적인 특성,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교사가 생각하는 온라인 영어 수업에 대한 문제점 및 학생이 생각하는 온라인 영어수업에 대한 문제점을 알아보기 t-test 검정 및 ANOVA 검정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검정 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결과가 나왔을 경우에는 Scheffe 사후 검증을 추가로 실시하였다. 또한 설문 문항들의 신뢰도를 측정하기 위해 크롬바흐 알파 계수 측정을 했다. 연구 결과, 첫째,‘지각된 유용성’과 관련된 설문 문항분석 결과는, 여학생 집단에서 온라인 영어수업이 오프라인 영어수업보다 영어실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온라인 프로그램의 기능을 잘 활용하면 오프라인 수업보다 영어 학습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일주일에 4시간 이상 영어 공부를 하는 학생집단이 일주일에 4시간 이하 영어를 공부하는 집단보다 온라인 영어수업이 오프라인 수업보다 집중이 잘 되고, 다양한 내용을 배운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코로나19 이전에 비대면 영어수업 경험이 없는 학생들은 현재 온라인 영어수업이 학교현장(오프라인)에서 교과서로 수업하는 것보다 다양한 내용을 배운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온라인 영어수업시간에 인터넷과 관련 어플을 함께 활용하여 공부를 할 수 있어서 좋았다.’는 문항은 남녀 학생들 모두 긍정적인 의견들이 많았다. 둘째,‘신뢰’와 관련된 설문 문항분석 결과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온라인 영어수업이 학교현장(오프라인)수업보다 호감과 애착이 있고, 읽기, 말하기 공부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영어 학습시간의 많고 적음에 따른 차이도 A그룹(4시간 이상)이 B그룹(4시간 미만)보다 온라인 영어수업이 학교현장(오프라인) 수업보다 호감과 애착이 있고 ‘온라인 영어수업이 학교현장(오프라인)수업보다 쓰기 공부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온라인 영어 수업이 오프라인 수업보다 듣기에 도움이 된다.’의 문항은 남녀 학생 모두 긍정적인 의견들이 많았다. 셋째,‘태도’와 관련된 설문 문항분석 결과는, 남학생들보다 여학생들이‘온라인 영어수업이 학교현장(오프라인) 수업보다 영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고, 영어공부시간의 양이 많고 적음에 따른 차이도, A그룹(4시간 이상) 학생들이 B그룹(4시간 미만) 학생들보다‘온라인 영어수업이 학교현장(오프라인) 수업보다 영어에 대한 관심을 높였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그리고 코로나19 이전 온라인 영어수업 경험이 없는 학생들이 온라인 영어수업으로 학교현장(오프라인) 영어수업보다 방과 후 영어공부를 더 하게 되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넷째,‘지각된 이용 용이성’과 관련된 설문 문항분석 결과는, 온라인 영어수업이 학교현장(오프라인)수업보다 스스로 학습내용이나 활동을 선택할 수 있어서 좋았고, 실제 영어 공부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되는 것 같아서 좋았다고 분석됐다. 세부문항 분석결과, 특히 코로나 이전 영어수업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온라인 영어수업을 통해 영어공부 시간을 절약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온라인 영어수업이 학교현장(오프라인)수업보다 언제, 어디서나 다시 볼 수 있어서 편했다.’는 남녀 전체 학생들의 긍정적인 설문 결과가 나왔다. 다섯째,‘의도’와 관련된 세부 문항 분석 결과, 영어공부시간의 많고 적음에 따른 차이에 따라 A그룹(4시간 이상) 학생들이 B그룹(4시간 미만) 학생들보다,‘학교현장(오프라인) 영어수업보다 온라인 영어수업을 꾸준히 들을 생각이 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코로나 이전에 온라인 영어수업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학교현장(오프라인) 영어수업보다 온라인 영어수업을 꾸준히 들을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온라인을 이용한 영어수업 설문지에 참여한 남녀 교사 전체 느끼는 문제점에서 16.75년 이상의 교직 경력을 가진 선생님들이 온라인 영여수업이 학생들의 학습능력 향상에 도움이 안 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고, 코로나 이전 온라인 수업 경험이 없는 교사들의 의견은 학습시설 및 학습보조 프로그램 자체의 부족, 프로그램 활용 지식의 부족, 온라인 수업 준비의 부담이 크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개방형 문항에서는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이해 부족, EBS 온라인 수업 플랫폼의 불안정성과 불편함, 학생들과의 피드백이 부족하다는 의견들이 있었다. 온라인을 이용한 영어수업 설문지에 참여한 남녀 학생 전체가 느끼는 문제점은 온라인 영어수업시간에 학생 참여도 부족, 교사와의 공감대 형성의 어려움이 크다는 문항에서 다른 부정적인 내용의 문항에 비해 더 그렇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온라인 활용 영어수업이 계속 이어진다면 학습능력이 떨어질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학생 설문지 세부문항 분석결과는 공부시간이 상대적으로 적은 학생들이 온라인 영어수업시간에 교감, 및 공감대 형성이 힘들다고 생각하고, 온라인 영어수업이 지속되면 학습능력이 떨어질 것이라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성적이 높은 학생들에 비해 성적이 낮은 학생들은 온라인 수업에 사용하는 모바일 기기 사용을 좀 더 힘들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결과를 종합적으로 볼 때, 온라인 정규영어 수업에서 학생 수업의 참여율과 흥미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콘텐츠 개발 및 교수전략에 대해 모색해야 하고,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상황을 반영한 교사의 개별적인 역량을 생각하여 맞춤형 교사 연수가 필요하다. 그리고 정규영어수업 중 학습자 수준에 맞는 원격 화상시스템 개발이 필요하고, 지속적인 영어 온라인 수업을 위한 출석체크, 영어수행평가, 유튜브를 이용한 학생 수준별 영어 방송 청취를 위한 통합적 교육 플랫폼 개발이 필요하다. 가정형편이 어렵거나 생활 여건이 열악한 학생들에게 수준별 맞춤형 교육 복지를 제공해야 하고, 마지막으로 영어의 4가지 영역‘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영역별로 구분하여, 학생 수준에 맞는 온라인 영어 학습 프로그램 활용을 위한 연구를 하여, 균형 있는 온라인 영어수업이 되도록 해야 한다. As untact(non face-to-face) classes are gradually spreading after COVID-19 crisis, improvement in education is essential for developing of efficient online classes because the online classes are expected to be expanded in educational activitie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paper aims to know perception and problems on online English classes with teachers and students at high school. First of all, as a result of questionnaires analysis related to‘perceived usefulness’, a group of female students tended to think that online English class was more helpful to improving English skills than offline English class, and that English classes were more helpful in learning English than in offline if they made good use of function of online program. A group of students who studied English more than four hours a week tended to think that online English classes were more concentrated and learned more diverse contents than offline in comparision with a group of students who studied English less than four hours a week. The students that have not studied with online classes before COVID-19 tended to think that they learned more variously in current online English classes than offline with a text book. The question, 'It was good to study using the Internet and related applications in online English class.', was largely positive to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econd, in respect of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analysis related to ‘reliability’, the female students than the male students tended to think that they were more favorable and attached to online English classes and that online English classes were more helpful to reading and speaking than offline classes. In the difference of study time, the ‘A’ group(more than four hours) than the ‘B’ group(less than four hours) was more favorable and attached to online English classes and apt to think that online English classes were more helpful to writing than offline.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had positive opinions on the questionnaire of‘Online English classes are helpful to listening.’ Third, in respect of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analysis related to ‘attitude’, the female students than the male students tended to think that they became more interested in English through online English classes than offline, and the ‘A’group(more than four hours) than the ‘B’group(less than four hours) was apt to think like the female studnets about the interest on English. Moreover, before COVID-19 the students who have not experienced online English students tended to think that they came to study English after school more than usual through online English classes. Fourth, in respect of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analysis related to ‘perceived usage simplicity ’, it was analyzed that it was good to be able to choose the learning contents or activities the participants wanted rather than offline classes, and that it was nice to seem to have more time to study English than offline classes. As a result of detailed questionnaires analysis, students with experience in online English classes before COVID-19, in particular, tended to think that they could save time to study English through online English classes. There was a positive survey result such as ‘the online English class was more comfortable because I could watch it again anytime and anywhere than offline classes. ' Fifth, in respect of a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analysis related to ‘intention ’, according to the amount of time to study English,‘A’ group(more than four hours) than ‘B’ group(less than four hours) tended to think that they would more steadily participate in online English classes than offline. Also, th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English calsses before COVID-19 tended to think that they would more steadily participate in online English classes than offline. Regarding the problems that both male and femal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on online English class felt, teachers with more than 16.75 years of experience in teaching career tended to think that online English classes did not help students improve their learning skills and in the opinions of th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online classes before COVID-19, there were opinions such as a lack of learing facilities and learning assistant programs themselves, a lack of knowledge of applying programs, and heavy pressure in preparing online classes. In descriptive questions, there were opinions like a short of uderstanding about online classes, unstability and inconvenience of EBS online class platform, and a short of feedback from the students.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online English class questionnaire felt that a lack of student participation in online English classes and the difficulty of forming a consensus with teachers were more problematic in comparison with other questions including negative opinions. Most of the students tende to think that their learning ability will deteriorate if online classes continue. In a result of analysis on detailed students questionnaires, the students with relatively little study time tend to think that communication and forming consensus are difficult during online English classes, and that their learning ability will decrease if online English classes continue. Low-performing students also have more difficulty using mobile devices during online classes than high-performing students.

      • 탈북민 대안학교의 영어학습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소현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사례연구는 탈북민 대안학교의 영어 학습 환경의 특징을 알아보고, 탈북학생 학습자 중심 영어 수업의 효과를 밝히는 데에 있다. 연구는 총 2년 동안 2개의 학교에서 총 15명의 학생이 참여했으며, 그 중 실험 수업에 참여한 학생은 4명이다. 이외에도 지도교사와 원어민교사, 방과 후 수업 코디네이터와 교장선생님과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실험 수업은 학생들이 실험 수업의 수업 목표와 교재선정 및 수업구성의 과정에 참여하여 수업계획을 세워나갔다. 학생 주도로 작성된 수업계획표를 바탕으로 수업 진행 및 평가도 이루어졌다.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와 영역별 학습 성취도는 다각화된 자료 수집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는 크게 탈북민 대안학교 영어학습 환경의 특성과 학습자 중심 수업 으로 나뉜다. 먼저 탈북민 대안학교는 정착기 기초교육의 미비로 인해 북한 출생 학생들은 기초학력 부진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었고, 한국어 습득을 포기하는 제3국 출생 학생도 발생했다. 그 배경에는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교재나 교과과정의 부재와 교사 재량의 교과과정 계획 및 실행에 걸림돌이 되는 검정고시가 있었다. 두 번째로 학교는 맞춤형 지도를 하기에 교사가 부족해서 시간강사나 자원봉사로 학습 보충을 시도하고 있었다. 하지만 고용불안의 문제와, 체계적으로 운영되지 않는 자원봉사자 프로그램, 그리고 멘토-멘티의 부적절한 관계가 영어 학습에 장애로 작용하고 있었다. 게다가 탈북민 대안학교는 외부 협력 시스템을 통해 학습 기회를 다양하게 제공하고 있었지만 실질적인 영어 학습 증진의 결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또한 탈북 학생들은 이전 영어학습 경험과 충돌하는 모습을 보였는데 교육 내용이나 교수법, 평가방식이 북한과는 다른 점들이 있어 혼란을 겪기도 하였다. 하지만 온정적인 교내 분위기와 일반학교에 비해 맞춤형 지도가 가능한 규모, 학생-교사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은 탈북학생들의 영어를 대하는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에 충분했다. 학습자 중심의 실험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학습 계획표를 교사와 협의 하에 직접 작성하면서, 본인이 설정한 학습목표와 학습 교재로 수업을 진행하니 훨씬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하고 주도적인 태도로 본인의 학습 스타일과 학습 공백을 채워 나갔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들은 스스로가 학습의 주체가 되는 것을 만족해했고, 스스로가 약한 영역과 부족한 문법, 어휘 부분을 찾아내는 데에도 부끄러워 하거나 의기소침해하지 않았다. 실험 초기, 이전 학습 경험이 있는 중국 출생학생들은 자연스럽게 협동학습도 하면서 자신의 학습 목표를 이루어가는 반면, 영어 학습 경험이 아주 미미하고, 교사 주도식 수업을 받았던 북한 출생 학생은 처음에 어떤 것을 어떻게 배우고 싶다는 의견이 거의 없고, 되려 방식과 내용의 주도권이 생기는 것을 생소해했다. 하지만 회차를 거듭할수록 북한 출생 학생 또한 아는 것과 모르는 것을 구분하게 되면서 차츰 본인이 하기에 알맞은 학습 방법과 스타일을 깨달아 갔다. 학생들은 수업 시작과 끝을 비교했을 때에, 인지적 관여와 주도적 관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적 자기조절, 성취 목표와 학업적 흥미 모두 향상되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하지만 북한 출생 학생의 경우 그 정도가 미미하고 더디며, 관찰기간이 짧은 아쉬움이 있다. This case study aim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of alternative schools fo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and to clarify the effects of learner-centered English classes for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A total of 15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t two schools for 2 years of which 4 students was in the experimental class.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held with the English teacher, native speaking teacher, after school class coordinator, and the principa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of class objectives, textbook selection, and class composition of the experimental class to establish a class plan. Class progress and evaluation were also conducted based on the student-led class plan. Students' motivation to learn English and their learning achievements by domain were analyzed through the collection of diversified data. The research results are largely divid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and learner-centered classes at alternative schools for defectors. First of all, North Korean refugee alternative schools were unable to resolve the poor basic education of North Korean students due to lack of basic education during the settlement period, and there were also students born in third countries who gave up learning Korean. The background was the absence of customized textbooks or curriculum for students, and the GED, which was an obstacle to the discretion of teachers planning and implementing curriculum. Second, the school was trying to supplement learning with part-time instructors or volunteers because there were not enough teachers to provide customized guidance. However, the problem of employment insecurity, a volunteer program that is not systematically operated, and an inadequate mentor-mentee relationship were acting as obstacles to English learning. In addition, alternative schools for North Korean defectors provided various learning opportunities through an external cooperation system, but did not lead to substantial improvement in English learning. Also,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showed conflicting experiences with their previous English learning experiences, but there we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content,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from North Korea, which led to confusion. But, the warm atmosphere of the school, the scale of customized instruction compared to general school, and the active interac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were sufficient to positively change the attitudes of North Korean refugee students toward English. In the learner-centered experimental class, students write a study plan in consultation with the teacher and conduct classes with the learning goals and learning materials set by them. And they participated in classes more actively and took a lead in filling their learning styles and learning gaps. In this process, students were satisfied that they were the subjects of learning, and they were not ashamed or depressed when they found weak areas, insufficient grammar and vocabulary parts. In the early stages of the experiment, Chinese-born students who have had previous learning experiences naturally achieve their learning goals by doing cooperative learning. by the contrary, the North Korean-born student, who had very little English learning experience, and who had been in teacher-led classes, initially had few opinions about wanting to learn something, and was unfamiliar with taking the initiative in the method and content. However, as the time goes by, North Korean-born student also became aware of what she knew and did not know, and gradually realized the appropriate learning method and style for her. When comparing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class, students showed positive responses that both cognitive and leading involvement, academic self-regulation, achievement goals and academic interest were improved.

      • A Genomic Study of the Cervical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Using Whole-Exome Sequencing

        이창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599

        BACKGROUND Ossification of the posterior longitudinal ligament (OPLL) in the cervical spine is known as a rare, complex genetic disease, its complexity being partly because OPLL is diagnosed by radiological findings regardless of clinical or genetic evaluations. Although many genes associated with susceptibility have been reported, the exact causative genes are still unknown. OBJECTIVE We performed an analysis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and including only patients with a clear involved phenotype. METHODS We consecutively included the OPLL patients with continuous-/mixed-type and an occupying ratio of ≥ 40%, and performed whole-exome sequencing (WES) and bioinformatic analysis. Then, a validation test was performed for candidate variations. Among the patient group,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rapidly-growing OPLL, growing rate ≥ 2.5%/year; slow-growing, < 2.5%/year; and uncertain). RESULTS WES was performed on samples from 74 patients with OPLL (rapidly-growing, 33 patients; slow-growing, 37; and uncertain, 4) with 26 healthy controls. Analysis of 100 participants identified a newly implicated single-nucleotide variant (SNV) and four candidate genes based on gene-wise variant burden (GVB). The GVB of CYP4B1 showed a more deleterious score in the OPLL than the control group, which were closely related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osteoarthritis. Cytochrome P450 WP43 related with the gene was identified for the pathway enrichment analysis. The other variations could not be explained by current genetic knowledge. Comparison between the rapidly growing OPLL and control groups revealed seven newly identified SNVs. We found significant association for two rare missense variants; rs121502220 (odds ratio [OR] = infinite; minor allele frequency [MAF] = 0.034) in NLRP1 and rs13980628 (OR= infinite; MAF = 0.032) in SSH2. The three genes are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control and arthritis, and SSH2 and NLRP1 are also related to vitamin D modulation. CONCLUSION Identification of unique variants in novel genes such as CYP4B1 gene may induce the development of OPLL. In subgroup analysis, NLRP1 and SSH2 genes coding inflammation molecules may related with rapidly-growing of OPLL. 배경 후종인대의 골화는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에서 주로 발견되는 희귀하고 복합 유전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인대가 골화되는 것은 노화의 과정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나, 후종인대골화증의 진단기준에 퇴행성 질환을 배제하지 않아 유전성 질환과 퇴행성 질환이 혼재되어 있다. 북미, 유럽에서는 매우 드문 질환으로 연구가 거의 없고, 아시아 국가에서 발표한 기존의 연구들에는 유전성 질환을 선별하여 유전체 연구를 하지 않아 결과가 연구들마다 상이하다. 후종인대골화증의 발생과 질병의 진행과 관련하여 발병 유전자를 찾으려는 노력은 계속되고 있으나, 정확한 원인 유전자는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후종인대골화증 환자들 중 유전성 질환의 가능성이 높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와 같은 희귀질환에 최적인 전체 엑솜 염기서열 분석을 이용하여 후종인대골화증의 발병의 원인 유전자를 찾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환자-대조군 연구로 환자군은 후종인대골화증의 4가지 형태 중 연속형과 혼합형이고, 골화된 후종인대의 척수강 점유율이 40 % 이상인 경우만을 선정하였고, 정상인 지원자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후종인대 골화증의 진행 여부를 알기 위해, 환자군을 진행속도에 따라 3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고속성장, 성장률 ≥ 2.5 %/년, 저속성장, <2.5 %/년, 불분명). 총 100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전체 엑솜 염기서열분석 및 생물정보학 분석을 수행하였다. 데이터를 정제하고, 단일염기, 유전자, 패스웨이의 각 단계에서 변이를 검색하였다. 도출된 후보 유전자 변이에 대한 검증을 수행하였다. 결과 후종인대골화증 환자 74명 (고속성장, 33명, 저속성장, 37명, 불분명, 4명)과 26명의 건강한 대조군의 전체 엑솜 염기서열분석을 수행하였다. 100명의 참가자를 분석한 결과,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eucleotide variation, SNV)에서 1개, 유전자수준 변이부담 (gene-wise variant burden, GVB)을 기반으로 4개의 후보 유전자가 확인되었다. CYP4B1의 GVB는 대조군보다 후종인대골화증에서 더 해로운 점수를 보였다. 이 유전자는 관절염과 관련이 있고, 패스웨이분석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 외 통계적 차이를 보인 3개의 유전자의 GVB와 1개의 SNV는 기존의 유전정보로는 설명이 어려웠다. 고속성장 OPLL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여 7개의 SNV가 도출되었다. 그 중, NLRP1유전자좌의 rs121502220 (우도비: 무한대, 대립유전자빈도: 0.034)와 SSH2 유전자좌의 rs13980628 (우도비:무한대, 대립유전자빈도: 0.032)는 내재면역에 관여하며 염증 조절에 관련이 있어 자가면역, 류머티스 질환과 관련이 있었다. 결론 이 연구를 통해 CYP4B1 유전자의 변이가 OPLL 발병에 관련이 있을 수 있고, 빠르게 성장하는 OPLL은 특히 NLRP1, SSH2 등의 자가 염증에 관련한 유전자의 변이에 의한 것일 수 있다.

      • In search of the goddesses : a feminist reading of William Blake's The Four Zoas

        김다은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은 윌리엄 블레이크의 서사시『The Four Zoas』속 여성 주인공들이 어떻게 남근이성중심주의적 종교에 맞서 싸우는지를 밝힌다. 노스롭 프라이(Northrop Frye) 이래 많은 학자들은 작품 속 여신들의 권능을 예수 그리스도가 물리쳐야 할 부정적인 요소로 읽어왔다. 하지만 블레이크는 가부장적이고 폐쇄적인 기독교 율법주의에 대단히 비판적이었고, 억압적인 종교 이데올로기를 극복할 수 있는 구원적 힘을 상반되는 가치(contraries)의 공존에서 찾는다. 따라서 그의 서사시 속에서 여신들, 즉 성차(sex differences)를 상징하는 네 명의 여성 에마네이션(Emanation)들은 유리즌(Urizen)의 종교로 대변되는 남근이성중심주의에 대항한 시인의 대변자이자 전사들이다. 종교와 성차에 대한 시인의 급진적 해석에 따라, 이 논문은 페미니스트 신학자인 메리 데일리(Mary Daly)와 페미니스트 철학자 뤼스 이리가레의 이론에 기대어 서사시 속 여신들의 중요성을 고찰한다. 두 학자들은 가부장제의 억압과 남신의 신화로 대체된 여신 신화에 주목하여, 잃어버린 여신의 형상을 되찾아 페미니스트들의 영적인 혁신을 이뤄낼 수 있다는 데 동의한다. 한 때 스러졌던 여신의 귀환은 여성들이 스스로를 신의 형상을 담은 소중한 존재로 바라보고 자신에게 권능을 부여할 수 있게 해 준다. 데일리의 『하나님 아버지를 넘어서(Beyond God the Father)』와 이리가레의 『성과 계보(Sexes and Genealogies)』에 기대어, 본 논문은 블레이크의 서사시가 죽음을 극복하고 돌아와 성차를 회복하고 다름을 인정하는 사회를 지향함으로써 남근이성중심주의를 이겨낸다고 주장한다. 태초의 어머니신 발라(Vala)는 유리즌의 독재에 직접적으로 위협을 가하는 복수의 여신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녀가 광기를 무기로 삼는다면, 에니온(Enion)과 아헤니아(Ahania)는 지혜와 예언을 중심으로 한 자매애를 형성하며 가부장적 위선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에니탈몬(Enitharmon)은 육체로부터 분리되어 여성혐오적 이성의 상태로 존재하는 자들(Spectres)을 대체할 새로운 인간의 육신을 직조한다. 끊임없는 여성성의 축소와 주변화에도 불구하고, 네 명의 여신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활발하게 가부장적 종교에 맞선다. 죽음 이후에도 다시 돌아와 성차를 비롯한 모든 상반되는 것들이 환영을 받는 낙원을 만들겠다는 그녀들의 약속은 현대의 페미니스트 신학의 비전과 크게 공명한다. 페미니스트의 시선에서 재해석하는 블레이크의 작품은 우리가 기대하고 가꿔가야 할 성평등하고 자유로운 사회를 위한 하나의 예언서가 된다. This thesis examines how the four central female figures in William Blake’s The Four Zoas (1807) fight against the phallogocentric religion. Since Northrop Frye, many literary critics have regarded the female force in this epic poem as an abomination Jesus Christ must drive out. However, Blake has criticized the institutional religion’s patriarchal and autocratic legalism and found the co-existence of the contraries as redemptive energy to overcome such oppressive religious ideology. In The Four Zoas, the four Goddesses, who are called the Emanations, stand for sexual differences and become the active agents of Blake’s philosophy. They are the vibrant warriors who try to defeat Urizen’s phallogocentric religion. In response to the poet’s radical rethinking of religion and sexual differences, this thesis draws on feminist theologian Mary Daly and feminist philosopher Luce Irigaray to speculate the importance of the Emanations. Both scholars agree that that feminists can realize the spiritual renovation by excavating and retrieving the lost images of Goddesses. This return of the once-slain Goddesses can help women dignify their lives as precious, empowered beings who bear the divine image. Drawing on Daly’s Beyond God the Father (1974) and Irigaray’s Sexes and Genealogies (1987), this thesis proves that The Four Zoas is a story of the four slain Goddesses who return to defeat phallogocentrism and aim for a society that embraces contraries, including sexual differences. The first Mother Goddess, Vala, embodies the avenging madwoman figure who directly threatens Urizen’s tyranny. While Vala chooses madness as her weapon, Enion and Ahania form a strong sisterhood of wisdom and prophecy. They provide trenchant criticism towards the patriarchal hypocrisy. Lastly, Enitharmon weaves new human bodies to substitute the disembodied and misogynistic logos, the Spectres. Despite the endless marginalization of the female sex, all four Goddesses actively resist the phallic religion in their respective and colorful ways. Their promise to return from death and create the utopia that celebrates all contraries happily resonates with modern feminist theological vision, making this Romantic epic a prophecy for the egalitarian world we would cultivate and anticipate.

      • A Cost-Utility Analysis of Two Lumbar Surgeries for Elderly Patients with Lumbar Spinal Stenosis and Sagittal Imbalance: Decompression versus Fusion

        원영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Lumbar spinal stenosis (LSS) and sagittal imbalance are common condition for elder patients. The goal of surgery would be both functional and radiological improvement. However, achieving both goals may not be necessary for all patients. Moreover, the criteria of correction maybe too strict for elder patients. In this regards, we analyzed cost-utility analysis between lumbar decompression surgery and lumbar fusion surgery for those patients. Elderly patients (age > 60 years old) who underwent 1 or 2 levels lumbar fusion surgery (F group, n = 31) or decompression surgery (D group, n = 40) for LSS with sagittal imbalance (C7 sagittal vertical axis, C7 SVA > 40 mm) with followed-up period ≥ 2 years were included. Surgical method was a posterior bilateral decompression or oblique lumbar interbody fusion. Clinical outcomes were assessed with Euro-Quality of Life-5 Dimensions (EQ-5D),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and numerical rating score of pain on back (NRS-B) and leg (NRS-L). Radiological parameters were assessed with C7 SVA, lumbar lordosis (LL), difference between pelvic incidence and lumbar lordosis (PI-LL), and pelvic tilt (PT). Utility score of EQ-5D was used to calculate quality-adjusted life year (QALY). The incremental cost-effective ratio (ICER) was used to compare cost-utility between decompression and fusion surgery. Postoperatively, both groups attained clinical improvement in all parameters, but NRS-L was more improved in F group than D group at 24 months (p = 0.048). Preoperative C7 SVAs were 78.74 mm in D group and 82.77 mm in F group (p = 0.736) and thos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o 39.67 mm and 39.54 mm at postoperative 2 years without difference between groups (p = 0.991). All other radiological parameters were improved without difference between groups (p > 0.05). The ICER of F group over D group was 41,176 US dollar/QALY. A cost-effective lumbar decompression surgery may be a recommendable surgical option for elder patients, albeit less improvement of leg pain than fusion surgery. 요추관 협착증과 시상면 불균형은 노인 환자에게 흔한 질환이다. 수술의 목표는 임상적 증상 호전과 영상학적으로 시상면 불균형을 개선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반드시 두 가지 목표를 모두 달성하는 것이 모든 환자에게 필요한 것은 아니다. 시상면 불균형의 기준을 노인 환자들에게 적용하기에는 기준이 너무 까다로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으로, 요추관 협착증과 시상면 불균형이 동반된 환자에서 후방 감압술과 유합술의 비용 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요추관 협착증으로 1-2 분절의 후방 감압술 또는 유합술을 받은 60세 이상의 환자들 중 시상 수직축(SVA) 이 40 mm 이상이며, 2년 이상 추적 관찰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은 후방 감압술 혹은 사측방 경유 척추 유합술을 시행하였다. 임상지표로써 삶의 질지표(EQ-5D)와 Oswestry 장애지수(ODI), 허리 및 다리 통증평가척도 (NRS-B, NRS-L)를 측정하였다. 영상학적 지표로 SVA와 요추 전만각(LL), 골반 입사각과 요추 전만각 사이의 차(PI-LL), 골반 경사(PT)를 측정하였다. 질보정기대여명(QALY)은 EQ-5D 의 utility score 를 통해 계산하였다. 두 수술 방법의 점증적 비용효과비(ICER) 를 산출하여 비교 하였다. 후방 감압술 40명, 유합술 31명으로 총 71명의 환자를 수집하였다. 두 그룹 모두 모든 임상지표에서 개선을 보였으나, NRS-L은 유합군에서 더 좋았다. 수술전 SVA 는 감압술군에서 78.74 mm, 유합술군에서 82.77 mm 였으며 (p = 0.736), 수술 후 2년 시점에서 각각 39.67 mm, 39.54 mm 로 호전되었다. 두 그룹간에 차이는 없었다 (p = 0.991). 다른 영상학적 지표들 모두 수술 후에 호전되었으며, 두 그룹간에 차이는 없었다. 감압술 대비 유합술의 점증적 비용효과비(ICER)는 41,176 US dollar/QALY 로 산출 되었다. 시상면 불균형이 동반된 요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후방 감압술은 비용-효과비가 우수한 치료 방법이다. 비록 하지 통증의 호전 정도는 유합술에 비해 덜하지만, 고령의 환자에서 충분히 고려해 볼만한 수술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