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시대 사건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 연구 : L코믹스 사태를 중심으로

        고나경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최근 사회적 소수자를 향한 혐오로 인하여 거듭 발생하는 동시대 사건들은 아키비스트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을 끊임없이 상기시키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사회적 소수자들이 사건 행위자로 개입한 동시대 사건의 기록화 방법론으로서 도큐멘테이션 전략에 주목하며, L코믹스 사태를 중심으로 동시대 사건 기록화를 위한 도큐멘테이션 전략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L코믹스 사태는 거대자본과 정보력을 가진 기업의 불공정행위에 맞서 프리랜서 창작 노동자들이 연대를 결성하고 대응하여 마땅한 권리를 찾고자 했던 사건으로, 현시점에서 동시대 사건으로서의 L코믹스 사태 기록화를 논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 분석을 통해 연구의 주요 개념인 동시대 사건 기록화와 도큐멘테이션 전략의 개념과 의의 등을 논하고, 국내외 디지털 아카이브를 중심으로 동시대 사건 기록화의 사례를 분석하여 동시대 사건의 도큐멘테이션 전략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개요, 특징, 전개 과정과 핵심 사건, 초점 그룹을 분석 요소로 하여 L코믹스 사태의 맥락을 파악하고, 관련 기록을 조사함으로써 도큐멘테이션 전략 수립에 필요한 예비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함께 사건의 이해관계자 및 기록전문가와의 면담을 통해 L코믹스 사태의 기록화와 동시대 사건의 도큐멘테이션 전략에 관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결론에 이르러 본 연구는 L코믹스 사태의 기록화 목표를 ‘웹툰·웹소설 작가들의 노동 실태를 알려 사회적 이해도를 높이고, 업계의 불공정과 갑질 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것’으로 설정하고, 작가 연대의 대응 활동과 성과를 보여주는 기록화, L코믹스의 불공정과 갑질을 증거하는 기록화, 작가를 존중하는 기록화, 공정성 회복을 위한 기록화를 지향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어서 기록화 원칙, 범주, 주체, 절차, 고려사항을 차례로 논하며 L코믹스 사태 도큐멘테이션 전략 방안을 제안하였다. Contemporary social events that have occurred recently due to hatred toward social minorities is reminding the social role and responsibility of archivis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documentation strategies for contemporary social events and propose a method for documenting con-temporary social events, focusing on L comics issues. There was an incident in which freelance creative workers formed an alliance to respond to unfair practices by large-scale companies with information and capital for their rights. It is necessary to discuss documenting the L Comics issues as a contemporary social event at this time. For this, it discusses the concept and significance of contemporary social events and documentation strategies, which are the main concepts of research through literature analysis, and analyzes the case of documenting contemporary social events to derive the implications. The con-text of L Comics issues is identified with an overview, features, process, key events, and focus groups as the analysis elements, and the relevant records are investigated. It is the preliminary analysis necessar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strategy. In addition, opinions are collected on the documenting of L Comics issues through interviews with persons concerned the event and archivists. In conclusion, this study sets the goal of documenting L Comics is-sues as “to enhance social understanding by informing the labor situation of webtoon and webnovel writers, to support solving the problem of unfairness in the industry”, and advocates documenting that indicates the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the alliance of writers, documenting that demonstrates the unfairness and immorality of L Comics, documenting that respects the victims, and documenting for restoring fairness. Then it proposes the principles, categories, subjects, procedures, and considerations for documenting L Comics issues.

      • 대학도서관 정보공유공간의 인적서비스에 관한 연구

        이은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정보기술 환경의 발전은 전통적인 도서관 패러다임을 변화시켰고 그로인해 전반적인 도서관환경과 이용자들의 이용행태가 달라지는 양상을 보였다. 1992년 미국 IOWA 대학도서관을 시작으로 이러한 변화의 대응으로 정보공유공간이 도입되기 시작하였으며 국내에서도 2000년 전후 대학도서관을 중심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급속한 도입과 인력의 부족으로 공간으로서의 서비스만이 강조되는 측면이 나타나 사서의 직접적인 서비스제공이 약화됨이 우려고 있다. 이에 정보공유공간을 도입한 대학도서관의 이용자와 사서를 대상으로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인식 및 중요하게 판단하고 있는 인적서비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조사결과 이용자들은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명확한 개념은 가지고 있지 않았으며 전반적인 서비스 안내의 필요성 및 다가가기 편한 사서의 모습에 대하여 요구하였다. 또한 개인의 연구 및 학습에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할 때, 문의사항 발생 시 막연히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여 사서와 거리를 두고 있다. 이는 사서와의 의사소통을 신뢰하지 못하고 있음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사서는 대학별, 개인별로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있었고 공간과 더불어 주체적으로 서비스해야 하는 사서역할에 대해서는 저조한 인식을 나타냈다. 시대의 흐름에 따른 도서관환경의 변화와 이용률의 증가로 서비스 도입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는 한편 정보공유공간을 매개로하여 서비스할 방안을 개발하는데 부족함이 있음을 우려하였고 이용자들에게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이용자와 사서가 인식하는 정보공유공간의 개념은 상이하였으나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인적서비스는 유사하게 분석되었다. 인적서비스를 하기 위한 사서역할로는“이용자의 요구와 정보자원을 효과적으로 연결”, “이용자의 질문에 대한 정보 탐색 및 제공”, “정보 활용 교육 및 교육프로그램 기획 등 교육 전반에 관한 능력”, “이용자의 요구를 분석· 평가하여 재편된 맞춤정보 제공”, “디지털 정보자원 구축 및 제공”, “분야별 정보서비스의 전문화”등의 순으로 중요도를 파악하였다. 이용자와 사서의 선택이 유사하게 조사된 것은 인적서비스에 대한 양자의 생각차이가 크지 않음으로 해석되어 이용자중심으로 움직여지는 도서관의 변화가 타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정보와 이용자를 이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한 역할로 선택되었기 때문에 양자 간의 소통과 신뢰는 중요한 키를 쥐고 있다. 이용자들이 가지고 있는 사서에 대한 낮은 신뢰를 회복시키고 개선된 인적서비스를 제공한다면 이용자 중심의 통합서비스모델로서의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하며 궁극적으로 이용자들의 만족도 상승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changed traditional paradigm of library into new and, therefore, general library environment and characteristics of users have been changed. As a response to such change, Information Commons had been introduced with start from IOWA University library of the States in 1992, and even within Korea, such service has been provided from around the year of 2000. However, fast introduction and lack of human resources have made such space as the only emphasis of service, and weakened direct service provision of library has been worried since. Therefore, acknowledgement on Information Commons and important human service have been studied among users and librarians who experienced Information Commons in their University Libraries.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users do not have clear understanding in Information Commons and requested general direction on use of the service and friendly librarian who can be accessed easily. When using the service for individual research and study, as well, people unconsciously presume that librarians will be unhelpful so that users keep distance even though they have questions. It can be analyzed into that there is no trust in communication with librarian. On the contrary, there was little difference between librarians on acknowledgement on Information Commons depending on individuals and universities. Furthermore, on engaging role of librarian who have to be competently working within the service area, librarians' acknowledgement was shown to be vividly low. Even though showing positive response to introduction of the service due to increased user rate and changed library environment according to general trend, librarians showed concerns regarding developing service methods utilizing Information Commons and recommended active promotion of the place on users. Despite the difference between conception of users and librarians on Information Commons, human service that they regard significant was analyzed to be similar. Librarian roles for human service were ordered under its significance as follows: "Effectively link users' needs and information resources", "information search and provide answers to users' questions", "general ability over education such as information utilization education and education program planning", "Analyze and evaluate users' need and provide custom-made information", "establish and provide digital information resource" and "specialization of information service for each category". Users' choice and librarians' choice were shown to be similar and it suggests that both parties' thoughts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hich means change of library based on users' is reasonable. Also "link information and users" was chosen to be the most significant role which shows communication and trust between users and librarians is a crucial key. When users' low trust on librarians be recovered and improved human service being provided, effective management as Common service model centered on Users can be run and, ultimately, it will contribute to enhancement of users' satisfaction level.

      • 시민참여 기반의 공공도서관 거버넌스 방안에 관한 연구

        오주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시민참여형 공공도서관 거버넌스의 한계와 앞으로의 발전 방향을 논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서관운영위원회를 중심으로 관련 법률을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 도서관에 참여하는 도서관운영위원회, 시민단체, 자원봉사자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터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통한 주안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운영의 근거인 자치법규는 미비한 수준이다. 따라서 명확하고 구체적인 법적 근거가 필요하다. 도서관운영위원회 뿐 아니라, 시민단체, 자원봉사자들의 구성과 운영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들이 관련 법규에 제정되어야 한다. 둘째, 공공도서관 참여자들의 부적합한 목적과 낮은 인식이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 주민을 비롯하여 다양한 참여자들이 구성되어야 하고, 도서관에 필요한 인원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셋째, 도서관운영위원회를 비롯한 시민단체, 자원봉사자 모임 등의 형식적인 운영이 개선되어야 한다. 해당 조직의 활성화를 위해 회의의 중요성이 강조되어야 하고, 참여자들을 위한 교육과 이를 위한 환경조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결국, 관련 법률의 제정과 구체적인 내용을 가져야 한다. 여기에 참여자들은 올바른 목적을 가지고 임해야 한다. 그리고 이들의 구성과 운영은 도서관과 지역사회를 위해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discusses limitations and directions of improvement for a governance in public libraries. The laws of library committee firstly is analyzed and the additional analysis is performed with several interviews which involve several interviewees: library committee, citizen organizations, volunteers and etc. The emphasis of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the local statutes which are basis of operation of public library are inadequate. Thus, more specific legal basis are required, which should embrace not only library committee but also details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for citizen organizations and volunteers. Additional problems for public libraries are a lack of awareness and inappropriate purposes. In order to complement the governance, various participants including local residents should organize a library committee and the number of the committee members is suitable for an efficient management. Finally, a perfunctory management which is involved with library committee, citizen organizations and meetings for volunteers should be complement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ve meeting should be emphasized to revitalize an organization and the training for participants is actively performed. Also, a promot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Therefore, The laws of library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and specific plans for public libraries are required. Moreover, various participants participate in library committee and the organization and management of library administration committee should be fairly and transparently operated for a library and a local community.

      • 사서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혜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서비스업이 창출하는 부가가치가 나머지 1, 2차 산업을 합친 것보다 많은 현대사회에서 서비스업에 종사하는 근로자들의 감정노동이 사회적으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1983년 미국의 사회학자 Hochschild가 최초로 제시한 용어인 감정노동은 고객을 응대하는데 있어 서비스 제공자 자신이 느끼는 실제 감정을 숨기거나 왜곡시켜야만 하는 감정적 노동을 말한다. 최근 대기업 임원의 승무원 폭행 사건, 한국 직업능력 개발원이 발표한 감정노동 보고서 등으로 감정노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학계에서도 감정노동에 관한 연구가 대거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사서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는 많이 부족한 상태이기에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사서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분석을 목적으로 경기 지역에 위치한 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 이를 통한 통계적 분석을 통해 그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전통적인 직무만족에서 주로 사용되어온 변수들을 분류한 ‘근무환경적 요인’과 ‘관계적 요인’, 그리고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는 변수들인 ‘감정노동적 요인’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인 독립변수는 근무환경적 요인에 ‘보수의 충분성, 고용안전성, 승진체계의 공정성, 업무의 적정성’, 관계적 요인에는 ‘비공식적 관계의 친밀도, 공식적 관계의 협조도’로 구성하였다. 마지막으로 감정노동적 요인에서는 ‘감정노동의 다양성, 감정노동의 지속시간, 감정노동의 지속강도, 감정노동의 빈도, 감정부조화’ 이상 5개의 변수를 사용하여, 총 11개의 독립변수를 이용하여 종속변수인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최초 세웠던 가설은 전통적 변수들로 구성된 ‘근무환경적 요인과 관계적 요인은 직무만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학계에서 일반적으로 제시하는 감정노동의 부정적인 평가에 따라 ‘감정노동적 요인은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등이었다. 분석 결과 전통적 변수들 중‘승진체계의 공정성’과‘비공식적 관계의 친밀도’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동시에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감정노동적 변수들 중에서는‘감정노동의 다양성’과‘감정노동의 지속시간’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동시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사서라는 직업의 특성상 행정·사무적 업무와 같은 비대인(非對人) 업무가 갖는 비중이 크기 때문에 감정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고, 이용자와의 직접적인 대면이 가능한 시간이 길수록 직무만족은 높아진다는 것으로 해석 가능하다. As added value created by service business exceeds that of 1st and 2nd industries combined, emotional work of workers engaged in service business is coming into spot light in today’s society. American sociologist Hochschild, in 1983, coined the term “emotional work” which is defined as work that requires hiding or disguising of one’s true emotions in treating customers or providing service. From the recent case of executive exerting violence on an employee, to the emotional work report present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the society is showing interest in emotional work. Accordingly, academia is currently conducting numerous researches on emotional work, but as there is lack of empirical research on the effects of emotional work on job satisfaction, this research has its significant purpose. This research aims to conduct empirical analysis of how emotional work affects librarians’ job satisfaction. Librarians in Gyeonggi region answered the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s of emotional work. Variables used in this research are work environmental factor, relationship factor, and emotional work factor, that were the focus of this research. Specific independent variables of environmental factor were sufficiency of salary, job stability, fairness of promoting system, and work adequacy, while those of relationship factor were intimacy in unofficial relationship, cooperation in official relationship. Emotional work factor included 5 variables of diversity of emotional work, emotional work duration, level of emotional work, emotional work frequency, and emotional work dissonance. Total of 11 independent variables were used to verify the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that is job satisfaction. The first hypothesis was that environmental factor and relationship factor will cause posi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while emotional work factor will cause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only the two variables of fairness of promoting system and intimacy in unofficial relationship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while positively affecting job satisfaction. Among the emotional work variables, only emotional work diversity and emotional work duration demonstrated statistical significance while positively affecting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can be interpreted in such a way that due to the nature of librarian work that is largely involved with administrative and office work, the longer the time librarians could express different emotions and directly face the users,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s.

      • 필름 아카이브 서비스 개선 방안 연구

        류희원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영화 필름은 역사적 문화적으로 다양한 가치를 지니며 기록으로써 수집, 보존, 서비스 되어야 하는 소중한 유산이다. 이러한 필름의 보존과 관리를 담당하는 필름 아카이브는 한 나라의 소중한 기록 유산의 보존과 이를 후대에 전달함을 목적으로 한 국가적 사업의 일환으로 세계 여러 나라에 설립, 운영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아카이브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인 필름의 수집과 보존을 중심으로 운영되어 왔으나, 21세기 정보화 사회의 발달로 정보 제공과 이용의 역할이 중요해지면서 수집, 보존되어온 정보와 기록들을 지속적이고도 유용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의 기능과 역할이 부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국, 호주, 일본, 한국 등 국내외 필름 아카이브의 조직, 기능 등에 대한 일반 현황과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를 검색 및 열람 서비스, 부가가치 서비스, 활용촉진 서비스의 세 유형으로 나누어 서비스 현황을 파악한 사례분석을 통해 필름 아카이브의 서비스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둔다. 국내외 필름 아카이브 제공 서비스 현황을 분석한 내용을 바탕으로 필름 아카이브 서비스 개선 방안을 정리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필름 아카이브에 적합한 전문적인 검색도구를 개발하고 소장 자료의 디지털 매체 변환을 촉진시켜야 한다. 또한 수집 자료를 비롯한 부가 정보들에 대한 관리 및 전문성과 접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영화와 관련한 각종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는 통합 기능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야 한다. 둘째, 이용자 유형별로 전시, 교육, 연구 프로그램에 대해 세분화 및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며 영화와 관련한 교육과 연구 프로그램들 및 전시 서비스들을 접목시켜 다양한 가치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전시, 교육, 연구의 각 기능들이 협력하여 컨텐츠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영화 필름의 기록으로써의 가치와 아카이브의 중요성을 이용자들에게 알리기 위해 서비스 정책과 규정을 적극적으로 홍보, 제공해야 하며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 요구조사 및 수요 분석을 실시하여 참여의 활성화와 이용 촉진을 위한 지속적인 이벤트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Movie films are precious heritages with various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s which should be collected, preserved and serviced as records. A film archive has a responsibility to preserve and care for these films. It is established and in operation in many countries as a part of the national business with objectives to preserve a precious recorded heritage of a country and to pass it on to the future generations. Until now, it has been operating around the most basic role of archive such as the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films. However, as the part of information service and use gets more important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functions and role of service that enables continuous and useful application of collected and preserved information and records is emerging.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suggesting methods to improve film archive service through a case study of understanding the current situation of service.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service, we checked the general status such as the function and organization of film archiv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ncluding England, Australia, Japan etc and the services providing on and off-line by dividing into three types: Search and Reading Service, Value-added Service and Promotion Service. On the basis of analyzed status of film archive provision service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the summarized content on the improvement of film archive servic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specialized search tool suitable for film archives and to promote the conversion of collected data to the digital medium. In addition, we should construct a database with combined functions providing various movie related information to increase the specialty, accessibility and management of additional information as well as the collected data. Second, we should provide subdivided and differentiated services on the exhibition, education and research program by user types and develop contents with each function of exhibition, education and research to utilize the various values by integrating education, research programs and exhibition services related the movies. Third, we should actively promote and provide the policy and regulation of services to inform the value of movie films as records and the importance of archives to the users. We should also arrange continuous event programs for vitalizing of user participation and promoting the use by conducting needs assessment of service users and demand analysis.

      • 지방자치단체의 정보공개제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송아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현 정부가 양방향, 개인 맞춤형 정보 제공의 틀을 가진 ‘정부 3.0’을 정부운영의 패러다임으로 삼으면서, 지방자치단체 차원에서도 ‘지방 3.0’을 내걸고 선도과제를 선정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방자치단체 선도과제의 6대 유형 중 하나로 ‘정보공개범위의 확대’를 들고 있을 만큼 정보공개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그에 대한 실천에 있어 다소 미비한 점을 보이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배경으로 하여 본 연구는 국민과 근접한 행정기관이며, 정책의 개선 가능성이 높은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하여 정보공개제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정보공개제도의 의의 및 특징을 비롯하여 정보공개청구의 절차와 국내·외의 정보공개제도의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정보공개청구 및 처리 현황을 다룬 일반현황과 법·제도 현황, 운영현황으로 나누어 분석 후, 이를 바탕으로 하여 지방자치단체의 정보공개담당자를 대상으로 정보공개제도의 운영실태 및 인식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정보공개담당자 중 기록관리업무를 겸하는 기록관리직과 일반행정직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인식조사 부분에 있어서 기록관리직이 정보공개업무를 함께 수행하기에는 과중한 상태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법·제도 영역과 운영 영역으로 나누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법·제도 영역에서는 첫째, 사전정보공개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제도의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비공개 대상정보의 세부기준의 개정이 필요하다. 운영 영역에서는 첫째, 정보공개업무를 전담하는 부서가 필요하다. 둘째, 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홈페이지 재구성이 시급하다. 셋째, 체계적인 기록관리의 기반이 마련되어야 한다. As the incumbent government made 'Government 3.0' having a frame of provision of bilateral and personalized information as its paradigm; in the level of local autonomous entities, putting forward 'Locality 3.0', they are making lots of efforts like selecting leading assignment. As one of six types of the leading assignment of local government units, so much as insisting 'expansion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range', though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opening has been emphasized, there was something to be desired somewhat. On the background of these problems, targeting local autonomous entities which are administrative organizations adjacent to people and are high in possibility of improvement of policies, the study puts purpose to seek improvement plans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For this, including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that system, the procedure of requests of information disclosure and the development course of the information opening system were examined domestically and overseas. Also, after dividing requests of information disclosure and current treatment situations into general current situations, legal and institutional current situations, and operational current situations and analyzing them; based on them, aiming at people in charge of information opening in local government units, a survey on operation condition and recognition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was conducted. Among the managers of information disclosure, by dividing and analyzing record management workers and general administrative civil servants doing the work of record management together, at the result, in the part of recognition investigation, it was grasped that record management workers were under a lot of pressure to conduct the information opening task additionall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improvement measures were suggested by dividing them into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rea and operational area.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area, first, construction of specific institutions on prior information disclosure is necessary. Second, revision of detailed standards is needed. In the operational area, first, a department taking charge of the information opening task is necessary. Second, reconstruction of a web site for the convenience of users is urgent. Third, grounds of systematic record management should be prepared.

      • 작은도서관 관내 상호대차 서비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정다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작은도서관은 민간영역의 운동에서 시작된 문고의 발전된 형태로 공공도서관의 서비스를 확장하는 데 목적을 둔 지역주민의 독서 및 문화 활동을 지원하는 기관이다. 그러나 운영주체의 영세성 및 물적․인적 자원의 부족으로 인해 자생의 노력만으로는 독립적인 도서관 기능을 수행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과의 연계를 통해 작은도서관이 도서관서비스를 강화할 수 있는 해결방안으로 관내 상호대차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이에 관내 상호대차 서비스의 현황 분석을 토대로 문제점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작은도서관 이용자와 사서의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작은도서관에서 상호대차 서비스를 적극 활용해야 하는 이유는 규모의 한계를 극복하고 장서 및 예산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함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관내 상호대차 서비스는 이용자 제공 비용이 무료이며 서비스가 신속하고 현장에서 문제 발생 시 즉각 대처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으로 제시되었다. 이용자 설문 분석 결과 작은도서관 이용자들은 자료 이용의 확대 및 편의성을 위해 상호대차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으며, 대체로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서 인터뷰에서는 관내 상호대차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환경 정립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제시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작은도서관과 공공도서관의 연계를 강화하여 상호유기적인 협력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 관내 상호대차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전담 인력의 확보가 필요하다. 셋째, 현장 업무를 수행하는 담당 인력에 대한 재교육 및 서비스 수행을 위한 표준 매뉴얼을 개발해야 한다. 넷째, 작은도서관이 도서관서비스의 거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공공도서관 분관시스템의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작은도서관이 도서관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역 공공도서관과의 협력을 통한 관내 상호대차 서비스를 제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도서관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small library is an institution that supports reading and cultural activity for local residents with a goal expending public library services, as a development form of a village library begun from movement of a private sector. But an execution of independent library function by self-begotten effort is difficult for a shortage of human and material resource and the small of main body of oper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interlibrary loan services as a solution that the small libraries can reinforce library services by a connection with public libraries. For this, it was conducted the need analysis for small library users and librarians to grasp problems and to seek improvement plans based on analysis of current situation of the interlibrary loan services. As for the result of analysis, the reason of an active use of the interlibrary loan services in the small library is to overcome limitation of a size and to solve a shortage of books and budget. And an advantage that an expense offering user is free and a service is prompt and immediate handling is possible in the filed when a problem is appeared, is suggested. According to a result of survey analysis for user, the fact that the small library users use the interlibrary loan services for expansion and ease of a material usage and they satisfy mostly, is certificated. In the interview for librarians, necessity of an environment setting for efficient execution of the interlibrary loan services is emphasized, and the improvement plan is as follows. First, it must build mutual and organic cooperation system by reinforcement of the connection the small libraries and public libraries. Second, a securement of professionals who can the interlibrary loan services, is needed. Third, it must develop a reeducation for a manpower in charge fulfilling filed work and a standard manual for service execution. Fourth, the small library must manage a function of a public library annex system that can fulfill a base duty of library service. As mentioned above, this study suggested the interlibrary loan services by cooperation with region public libraries as a plan to fulfill natural function of the small libraries. And with this, a qualitative improvement of library service is expected.

      • 서울지역 공공도서관 사서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운영방식 및 고용형태를 중심으로

        김수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서울 소재 공공도서관 사서들을 대상으로 하여, 도서관의 운영방식 및 고용형태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고, 직무만족도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을 운영방식에 따라 교육청 직영도서관과 지자체 위탁도서관으로 나누고 사서의 직무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업무량 만족도, 업무자율성, 업무전문성, 동료 만족도, 상사 만족도, 임금 만족도, 승진 만족도, 고용안정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든 측정요인에서 교육청 직영도서관 사서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분석대상을 고용형태에 따라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 나누고 사서의 직무만족도를 비교한 결과, 업무전문성과 고용안정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두 측정요인 모두 정규직 사서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분석대상을 도서관의 운영방식과 고용형태에 따라 4개의 집단으로 나눈 후 통계적으로 무의미한 교육청 직영도서관 비정규직 집단을 제외하고 분석한 결과, 업무량 만족도, 업무자율성, 업무전문성, 동료 만족도, 상사 만족도, 임금 만족도, 승진만족도, 고용안정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8개의 측정요인 모두 교육청 직영도서관 정규직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librarians' job satisfaction at public libraries in Seoul according to various management and employment styles, and the result of measuring and analyzing librarians' job satisfaction at public libraries in Seoul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management styl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librarians' job satisfaction, dividing subjects of analysis into direct managed libraries and contract managed libraries,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orkload satisfaction, work autonomy, work professionalism, co-worker satisfaction, supervisor satisfaction, wage satisfaction, promotion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ability satisfaction, and librarians' job satisfaction at direct managed libraries was higher in all measured factors. Second, in terms of the employment styl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librarians, dividing subjects of analysis into the permanent workers and temporary workers,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ork professionalism and employment stability satisfaction, and the permanent workers' job satisfaction was higher in both measured factors. Third, in terms of the management and employment styl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comparing the job satisfaction of the librarians except the statistically meaningless temporary workers' group of direct managed libraries, dividing subjects of analysis into 4 groups, it was shown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orkload satisfaction, work autonomy, work professionalism, co-worker satisfaction, supervisor satisfaction, wage satisfaction, promotion satisfaction, and employment stability satisfaction, and the permanent workers of direct managed libraries'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in all of the 8 measured factors having the significant difference.

      •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의 활용 사례와 개선방안

        김유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As a growing emphasis is on educational contents and the importance of contents,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conducted in a various manner. Depending on users, educational contents are divided into contents for students and contents for teachers. However,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resources, which are used for teachers, are underdeveloped in comparison with contents for students. As a result, it is needed to take steps to raise awareness on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as well as to improve its practical usage. Accordingly, this study is aimed at presenting measures to enhance the practical usage of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 teachers, who are the main users of educational contents. In this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was made to determine the theoretical and status analysis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using The National Archives (TNA) in the United Kingdom, the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 (NARA) in the U.S., the National Archives of Australia (NAA) and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NAK) based on the type of primary sources, usage of primary sources and compon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statu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f people with degrees in history education on the perception of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 learning materials as well as its usage.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previou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lack of awareness of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Second, the number of types and the topics of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are insufficient compared with a curriculum. Third, there is a limited usage of primary sources of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Forth, there is no definition of the necessary components of teaching and learning, a main characteristic of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is study presents detailed solutions to the improvement of the practical usage of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contents design, a promoting plan through the improvement of internal quality; service aspect, a promoting plan by enhancing accessibility and awareness. In terms of contents design, plans for practical usage are as follows. First,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are provided through the subdivisions of history by period, life history, policy/institution and historical figures by topic. Second, the contents are needed to be made based on types of primary sources including documents, pictures, maps, posters, videos, sound and animation and the usage of primary sources including concentration activity, activity arising from association relationship and assessment. Third, the contents should contain activity contents of teaching-learning and the components of the relevant grade, help and files for printing purpose. In terms of service aspect, plans are as follows. First,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should offer advanced search by period, topic and learning target as well as classification service. Second, programs and contests should enable teachers to directly participate in making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e above solutions could create various types and activities of archival contents for teaching-learning materials and improve the quality of teaching in class by actively using the contents. In addition, such activities in class contribute to raising awareness among students of the importance of archives and pave the way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in using archives. 교육용 콘텐츠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다양한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교육용 콘텐츠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학생을 위한 콘텐츠와 교사를 위한 콘텐츠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학생을 위한 콘텐츠에 비해 교사를 위한 콘텐츠인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는 다양하게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의 인식 및 활용도 제고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육용 콘텐츠의 주된 활용자 그룹인 교사들의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 활용도 제고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의 개념과 특징에 대한 이론적 분석과 현황분석을 위해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를 제공하는 영국 국립기록보존소(TNA),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호주 국립보존기록관(NAA), 한국 국가기록원을 대상으로 주제별, 1차 사료 형태, 1차 사료 활용, 교수학습구성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현황분석을 토대로 역사교육과 전공자를 대상으로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의 이용자인식 및 활용도 분석을 하였다. 앞선 분석을 토대로 도출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의 인지도가 매우 낮은 점이다. 둘째,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의 수와 주제가 교과과정보다 부족하다는 점이다. 셋째,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의 1차 사료 활용을 한정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점이다. 넷째,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의 주요 특징인 교수학습 구성요소의 필수 요소를 규정하지 않은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의 활용 개선방안으로 내적 품질 향상을 통한 활성화 방안인 콘텐츠 설계 측면, 접근성과 인식도 향상을 통한 활성화 방안인 서비스 측면으로 세분화하여 제안하였다. 먼저 콘텐츠 설계 측면의 활용 방안으로 첫째, 역사시대별과 전쟁/혁명, 생활사, 정책/제도, 인물의 주제별 세분화를 통해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문서, 사진, 그림, 지도, 포스터, 동영상, 음성, 만화의 1차 사료 형태와 집중활동, 시각화연습, 연관관계 도출활동, 평가의 1차 사료 활용을 기반으로 제작해야 한다. 셋째,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는 교수학습 활동내용과 해당 학년, 도움말, 해당 단원, 인쇄용 파일의 교수학습 구성요소를 필수적으로 포함해야 한다. 서비스 측면의 활용 방안으로 첫째,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를 시대별, 주제별, 학습대상자별의 상세검색과 분류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둘째,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의 제작 프로그램 또는 공모전을 통해 교사의 직접적인 참여가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이상의 개선방안을 바탕으로 다양한 유형과 활동의 교수학습자료용 기록콘텐츠가 제작될 수 있으며 수업시간에 활발한 활용으로 수업의 질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이러한 수업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기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가 높아지고, 기록의 활용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발판이 된다.

      • 교과교사의 학교도서관 역할 인식에 관한 연구

        박미덕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학교도서관은 학교의 운영에 있어 교육적 기능, 문화적 기능, 정보적 기능 등 중요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장소이다. 본 연구는 학교의 구성원들의 학교도서관이 제공하는 역할에 대한 인식도와 이를 수행하기 위한 전문 인력의 요구 정도를 조사한다. 또한 기 배치된 사서 및 사서교사와 학교도서관을 담당하고 있는 교과교사가 학교도서관에서 행하고 있는 역할을 조사하여 바람직한 학교도서관의 서비스가 무엇인지 파악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 역할을 개선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에 인천시 중등학교 전체 도서관 운영 일반 현황과 인력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10개 학교의 교과교사와 46개 학교의 사서(교사)를 대상으로 학교도서관이 제공하는 역할 인식에 대하여 설문을 통하여 조사․분석하였다. 학교도서관에 대한 관심도, 학교도서관 담당자에 대한 생각, 현재 재직하고 있는 학교도서관 운영 실태, 독서교육 수업의 필요성, 학교도서관 운영 경험자의 도서관 운영 실태에 대한 항목을 조사하였으며 학교도서관에 관한 인식도 및 담당자별 역할 수행의 미진한 부분, 학교도서관 발전의 저해 요인, 전문 인력의 배치 필요성 등 문제점이 나타났다. 위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도서관의 안정적인 운영과 바람직한 역할 수행을 위한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도서관 운영을 협조하는 업무 분담을 교과교사에게 부여하여 사서 및 사서교사와 함께 도서관 운영을 함께 해 나가도록 해야 한다. 사서(교사)가 배치되더라도 교과교사가 함께 협력적으로 도서관에 대한 업무 분담을 해야지만, 1인 사서(교사) 체제로 운영하는 도서관의 단점을 극복하고 도서관 활용 수업 및 학생 지도 등의 부분에 많은 협조를 얻을 수 있다. 둘째, 교과교사와 사서(교사) 누가 운영하더라도 각 학교별로 업무의 통일성을 이룰 수 있도록 현실에 맞는 업무 지침 제정이 필요하다. 이는 신규 사서(교사)나 업무 분장을 처음 맡는 교과교사에게도 매우 필요한 요소이다. 셋째, 도서관 고유 기능인 독서교육을 제대로 행할 수 있도록 창의적 재량활동 및 교과 재량활동의 수업시수를 독서로 확보하여야 한다. 또한 수업 진행 능력을 위해 다양한 재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환경 개선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넷째, 학교도서관 업무는 단순한 역할로 평가받기에는 너무나 많은 업무를 처리해야 하며 이를 위해 사서(교사)는 동등한 위치에 서서 업무를 주도적으로 해 나가야 한다. 모든 학교에 정규직 사서교사를 의무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법적인 근거를 마련하고 사서교사 임용의 정원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다섯 째, 학교도서관을 운영하는 담당자가 적극적인 자세로 도서관을 운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같은 환경일지라도 개인적인 역량에 따라 도서관 활성화에 미치는 역량이 다르기 때문이다. School libraries serve an essential role in performing important functions such as educational, cultural and intelligence functions in the realm of school management.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awareness of the school staff of the role that school libraries provide and the extent to which the demand for the specialty labor is required to fulfil its role. Moreover, it inquires into the roles and duties of assigned librarians, teacher-librarians or subject teachers in charge of school libraries to discern what ideal library service is and seek the means for a better course to improve its role. Hence, the current status of the management of entire libraries and the labor force in Middle Schools in the city of Incheon were researched, and surveys from subject teachers from 10 schools and libraries from 46 school were examined and analyzed. They were surveyed on such factors as their interest in the school library, perception of the person in charge of the school library, the actual conditions of school library management, the necessity of reading education classes, and the reality of school library management by those who were experienced in managing school libraries. The results showed insufficient awareness of school libraries, inadequacy in carrying out the role of management, causes in the impediment to school library development, the necessity of assigning specialized work force, etc. Based on these survey results, this research proposes the following means to improve and remedy such conditions for more reliable management and ideal performance of its role. First, allocate the task of the subject teacher cooperating in the school library management and allow him or her to collectively manage the school library with a librarian or a teacher-librarian. Tasks should be divided collectively between the subject teacher and the librarian even with an assigned librarian. This will help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the system that assigns only one individual to a library and will aid in the management of school libraries and of the students. Second, regardless of who manages the school library (subject teacher or librarian), each school should establish practical guidelines so that the tasks are unified. Guidelines are especially crucial when a new librarian or a subject teacher is assigned for the first time. Third, schools need to set aside a number of original extracurricular (discretionary) activities or curricular activities as reading classes in order to accomplish reading education, which is the proper function of a library. Moreover, schools should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 so that the students can receive a variety of reeducation to enhance the competence of class progress. Fourth, the workload in the school library is too heavy to be regarded as a simple task. Therefore, the tasks of the librarian and the teacher should be conducted equally. All schools should provide the legal grounds for the mandatory placement of librarians and render the means to secure the placement of librarians. Fifth, the person in charge of the school library should be fully committed to the management of the library because even in the same environment, the school library performance capacity may vary depending on an individual's compe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