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for stenosis of transposed brachiobasilic arteriovenous fistula

        신다혜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15

        Purpose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PTA) for dysfunctional stenosis after transposed brachiobasilic arteriovenous fistula (tBBAVF) and analyzed the anatomical, clinical and technical variables to predict the patency of PTA. Materials and Methods In 101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 for tBBAVF from January 2006 to February 2008, we identified 42 patients undergoing PTA.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sequential PTAs in these patients from 2006 to 2017. The stenosis was characterized anatomically, and in terms of percentage, length, and number of stenotic sites.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PTA by calculating the rates of postintervention patency using Kaplan-Meier methods. We used a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for primary or secondary patency loss according to angiographic findings and clinical variables. Results In 42 patients, a total of 100 PTAs were performed. The technical success rate of PTA was 93%. There was no major complication after PTA. Minor complications related to angioplasty-induced rupture occurred in 12%. The primary patency was 61%, 29%, 7%, and the secondary patency was 91%, 82%, 59% at 6, 12, and 24 months, respectively. The rate of primary patency was lower in tBBAVF with angioplasty-induced rupture (p=.024) or identified central venous stenosis (p=.053). The postintervention secondary patency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in diabetes (p=.002). Conclusion PTA is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for dysfunctional stenosis of tBBAVF. We suggest that repetitive PTAs in tBBAVF are acceptable due to excellent secondary patency without any major complications including regional infection. The postintervention primary patency of tBBAVF is low in patients with angioplasty-induced rupture or central venous stenosis. Diabetes itself has a significant effect on postintervention secondary patency. Patients with tBBAVF carrying these factors may need to undergo frequent surveillance to maintain AVF longevity. 목적: 기능부전이 있는 자쪽피부정맥전위 혈액투석 동정맥루가 있는 환자에서 경피경관혈관성형술의 효과와 안정성을 평가하고 경피경관혈관성형술의 개통율에 영향을 미치는 해부학적, 임상적, 기술적 예측인자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본원에서 자쪽피부정맥전위 동정맥루 수술을 시행 받은 101명 환자 중 동정맥루 기능부전으로 본원에서 2017년 3월 31일까지 경피경관혈관성형술을 시행 받은 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향적 방법으로 경피경관혈관성형술 영상을 이용하여 협착의 위치, 비율, 길이, 협착 부위의 개수 등을 분석하였다. Kaplan-Meier method를 이용하여 개통율을 분석하였다. Cox 의 비례위험모형을 이용하여 일차 및 이차 개통율의 소실과 연관된 예측인자를 분석하였다. 결과: 42 명의 환자에서 총 100회의 경피경관성형술을 시행하였으며 기술적 성공률은 93% 였다. 경피경관혈관성형술을 시행한 직후 중요한 합병증은 없었고 정맥 파열과 같은 경미한 합병증은 12%에서 발생하였다. 자쪽피부정맥전위 동정맥루에서 경피경관혈관성형술의 6, 12, 24 개월 일차 개통율은 61%, 29%, 7%이며 이차 개통율은 91%, 82%, 59%였다. 혈관 성형술에 의한 정맥 파열이 있거나(p = 0.024), 중심 정맥 협착(p = .053)이 있는 환자에서 일차 개통율이 낮았다. 당뇨병이 있는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이차 개통율이 낮았다(p = .002). 결론: 기능부전이 있는 자쪽피부정맥전위 동정맥루 환자에서 반복적인 경피경관성형술을 시행하였을 때 주된 합병증은 없었고, 이차 개통율이 우수하였기 때문에 자쪽피부정맥전위 동정맥루의 기능부전에서 경피경관성형술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이다. 경피경관성형술과 연관된 정맥파열이나 중심 정맥 협착이 있는 경우에 일차 개통율이 낮았으며 당뇨병이 있는 경우 이차 개통율이 감소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을 가진 자쪽피부정맥전위 동정맥루 환자는 투석혈관의 수명을 장기간 유지하기 위해 잦은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협동로봇 허리를 위한 다자유도 중력보상 메커니즘과 임피던스 제어

        윤성호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논문에서는 상체의 움직임에 따른 무게중심의 이동에도 중력보상이 가능한 3자유도의 협동로봇용 중력보상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중력보상구 조를 가지고 있어 전원이 없어도 자세유지가 가능하고 동작 시 필요한 동 력이 감소한다. 이 허리를 전자제어를 할 경우 중력을 상쇄하는 제어가 필요 없어지고 평행구조로 각 관절이 독립되어 동작제어에 용이하다. 제안하는 메커니즘은 2자유도와 1자유도의 중력보상메커니즘을 직렬로 연결하여 singular pose가 없는 넓은 가동범위를 가졌다. 특히, 2자유도의 중력보상관절메커니즘은 1개의 압축스프링을 사용하며 자체하중대비 최대 상쇄하중이 크며 단순한 구조로 마찰력이 작다. 상체인 협동로봇이 동작 할 때 무게중심 이동으로 인한 완전중력보상방해를 막기 위해 상체를 지 면과 평행하게 유지시켜주는 3자유도의 평행링크메커니즘도 소개되었다. 구현된 3자유도의 중력보상허리메커니즘은 상체의 자체하중을 23kg까 지 중력보상을 하며 사람허리와 같은 가동범위를 가져 3차원에서 어느 방 향으로든 singularity 없이 움직일 수 있게 해준다. 그러므로 이 허리를 가진 로봇은 땅에 손을 짚어 물건을 집을 수 있고 2m 이상 손을 뻗을 수 있다. 또한, 상체의 하중 및 무게중심변화에 대응하는 3D조절장치를 가지 고 있어 자체하중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제시된 장점들로 중력보상허리 의 임피던스제어 성능향상 효과 또한 확인했다. In this paper, a new 3-DOF gravity compensation mechansim for the waists of cooperative robots. It comprises 2-DOF and 1-DOF gravity compensation mechanisms in series. The 2-DOF mechanism for the upper part of the waist acts as a universal joint. To compensate for the gravity of this 2-DOF motion, a simple gravity compensation mechanism with one compressive spring is proposed. Moreover, for the complete gravity compensation regardless of the arm poses, a three-dimensional (3D) parallel link structure that maintains the upper body parallel to the ground is introduced. The 1-DOF gravity compensation mechanism, which has a parallel structure maintaining the waist parallel to the ground is moving like the hip and thigh of humans. The realized 3-DOF gravity compensation waist can compensate for its own weight and extra mass up to 23 kg. It has an calibration mechanism that can easily adjust the amount of compensation when the weight changes. A large workspace that is copied from the human waists enables the upper body to move in any 3D direction without singularity. Therefore, the LIMS2 which is the robot with this waist can pick up objects on the ground as well as reach an object at a height of 2145 mm. The gravity compensation mechanism also has an advantage when applying the impedance control. The biggest part of necessary energy is for gravity compensation. With the complete gravity compensation mechanism, the required motor torque for sustaining a pose is none. The impedance control equation is simple and usable energy for the motion is increased. Therefore, the required torque has a small error between the actual torque. The performance of Impedance control with the waist is verified by SLRT function in MATLAB Program.

      • 석탄 폐석을 혼입한 증기양생 콘크리트의 공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정지회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599

        골재는 건설 생산 활동에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자재로 최근 재개발, 재건축 등으로 천연골재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골재는 유한한 자원으로 확보량의 감소와 더불어 환경성 검토 바다모래의 채취 총량제와 같은 환경보호와 연관된 골재 채취 및 확보의 어려움이 점점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로 인해 현재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 등을 대체제로 활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건설 폐기물 및 산업 폐기물 등의 좋지 않은 인식으로 인해 산업 폐기물들은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그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활용성이 낮은 실태이다. 현재 국내에서 산업 폐기물 중 하나로 탄광에서 폐기되는 석탄 폐석이 적치되어 있다. 석탄 폐석이란 우리나라 에너지 자원산업의 하나가 되어온 석탄 산업의 부산물로 석탄의 개발에 따라 많은 양의 석탄 폐석이 발생되었으나, 장기간 동안 처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오늘날 자연환경의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석탄 폐석을 건설 산업의 골재로 사용하여 골재 부족문제 해결과 효용 가치가 없어 적치되어 있는 석탄 폐석을 고효율 가치 자원으로 바꾸는 것을 목표로 하여 진행한 연구이다. 골재로서의 적합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콘크리트 실험으로 기본적인 압축강도와 탄성 계수를 측정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적합여부를 판단하였고 콘크리트의 열에 대한 변형률을 보기 위해 열팽창계수측정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번째로 알칼리 실리카반응에 대한 팽창률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기준 범위인 0.1%미만에 적합한지 확인하였고 철근의 부식을 야기하는 염소이온의 침투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압축강도 및 탄성계수 측정 실험 결과 석탄 폐석 골재는 일반 골재보다 우수한 강도를 보였고, 설계기준압축강도보다 우수한 압축강도를 보였다. 탄성계수 또한 일반 골재보다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알칼리 실리카반응 실험에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기준인 0.1% 이하의 팽창률을 보였으며 열팽창 계수 측정실험도 일반 골재에 비해 열에 대한 변형특성이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염소이온 침투 저항성 실험결과 일반골재보다 낮은 염소이온침투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실험 결과 석탄 폐석을 골재로 사용한 콘크리트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의 기준에 만족하였으며 일반 골재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것으로 판단되었다. Aggregate is an essential material required for construction and production activities, and the demand for natural aggregate is rapidly increasing due to recent development and reconstruction. Aggregate is a finite resource, and it is expected that the difficulty in collecting and securing aggregates related to environmental protection such as the total amount of sea sand in the environmental review will increase with the decrease in the amount secured. Therefore, many studies are being conducted to use construction and industrial waste as alternatives. However, due to poor perception of construction and industrial waste, industrial waste is not recognized for its value despite many studies, and its utility is low. Currently, as one of the industrial wastes in Korea, coal refuse, which is disposed of in coal mines, is stocked. Coal refuse is a by-product of the coal industry, which has become one of the energy resource industries in Korea, and a large amount of coal refuse has been genera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coal.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thought that it is necessary to use this coal refuse as an aggregate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solve the problem of aggregate shortage and to change the coal refuse stockpiled because it has no utility value into a high-efficiency value resource. As a concrete test to determine whether it is suitable as an aggregate,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suitability of precast concrete.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ansion rate for an alkali-silica reaction was less than 0.1%, which is the standard range of precast concrete. A chlorine ion penetration resistanc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netration of chloride ions that cause rebar corrosion. As a result of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elastic modulus measurement test, coal refuse aggregate showed superior strength than the general aggregate. It showed superior compressive strength than the design standard compressive strength. The modulus of elasticity also showed better results than conventional aggregates. The alkali-silica reaction test showed an expansion rate of 0.1% or less, which is the standard for precast concrete.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measurement test confirmed that the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test had less deformation characteristics against heat than general aggregates. And as a result of the chloride ion penetration resistance test, it showed lower chlorine ion penetration resistance than conventional aggregate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concrete using coal refuse as an aggregate satisfied the standards of precast concrete and was judged to show superior performance than the conventional aggregate.

      • 데드리프트와 스쿼트 동작 시 대둔근 및 대퇴사두근 활성도에 관한 비교 분석

        최성규 부경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퇴근 근의 발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체중 훈련 참가자가 증가함에 따라, 체중 훈련을하는 일반인 및 피트니스 참가자를 위한 가장 일반적인 운동이자 전신 운동인 'Squat', 'Romanian dead-lift', 'Conventional dead-lift'를 이용하여 대둔근의 발달에 효과적인 운동이 무엇인지 밝히기 위해 대둔근 및 대퇴사두근의 근활성도를 각각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한 A피트니스 센터에 트레이너와 트레이닝 운동경험이 5년 이하인 회원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선정조건은 첫째, 요통의 과거 이력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현재 요통 증상을 가지고 있지 않을 것, 둘째, 고관절, 족관절 및 척추, 슬관절의 움직임이 실험에 요구되는 동작에 제한되는 구축이 없을 것 등이 있다. 또한 본연구의 목적을 충분히 이해한 운동 경력이 5년 이하인 숙련자 2〜30대 남성 10명을 최종표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위한 데이터를 Laxtha사의 WEMG-8(LXM5308)을 통하여 얻은 후, SPSS Ver23.0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스쿼트,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컨벤셔널 데드리프트 운동 시 대둔근 및 대퇴사두근 구간별 근전도 차이 분석은 One-way ANOVA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은 Bonferroni Post hoc analysis로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확률은 p<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대퇴사두근의 활성도가 가장 높은 동작은 스쿼트이며 루마니안 데드리프트와는 큰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슬관절의 굴곡 각도가 클수록 대퇴사두근의 활성도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선행논문도 그 결과는 비슷하다. 둘째로 대둔근 활성도가 가장 높은 운동은 컨벤셔널 데드리프트였고 대둔근의 활성도가 가장 낮은 운동은 스쿼트로 나타났다. 하지만 그 차이가 대퇴사두근인 내측광근(GM), 외측광근(GL), 대퇴직근(RF)의 동작별 근활성도에 대한 차이만큼 크지 않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 결과 스쿼트,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컨벤셔널 데드리프트 동작 시 모든 면에서 대퇴사두근 중 RVM 과 LVM 그리고 RVL과 LVL의 활성도에 비해 양쪽 대둔근 RGM 과 LGM의 활성도가 낮으며, 이는 복합관절 운동인 스쿼트, 루마니안 데드리프트, 컨벤셔널 데드리프트 운동이 대둔근의 발달 보다는 대퇴사두근의 발달에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이 세 가지 동작을 통해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대둔근의 활성도만 두고 봤을 때, 슬굴곡 각도가 가장 큰 스쿼트 보다는 컨벤셔널 데드리프트의 근활성도가 가장 높고 다음으로 루마니안 데드리프트가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대둔근 및 대퇴사두근의 좌, 우간의 활성도의 차이가 가장 적고 균형을 잘 이루는 동작은 루마니안 데드리프트로 나타났고 다음으로는 경미한 차이로 컨벤셔널 데드리프트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쿼트의 좌, 우간의 각 대둔근 및 대퇴사두근 근활성도 차이는 루마니안 데드리프트와 컨벤셔널 데드리프트 좌, 우간의 근활성도 차이보다 크게 차이가 났는데 이는 슬굴곡 각도가 클수록 좌, 우간의 하지 균형에 대한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웨이트 트레이닝 참가자들이 전신 운동이자 복합관절 운동을 하고자 할 때 대둔근의 발달과 그로 인한 하지 안정성 발달에 좀 더 효과적인 운동은 루마니안 데드리프트와 컨벤셔널 데드리프트 즉, 총칭하여 데드리프트 운동이 스쿼트보다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of gluteus maximus muscle, and as the weight training participants increase, The most common exercises and whole body exercises for the general public and fitness contestants who are doing weight training are the exercises that are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the gluteus maximus using 'Squat', 'Romanian dead-lift' and 'Conventional dead-lift' In order to clarify something, we analyzed the muscle activity of the gluteus maximus and quadriceps muscle respective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rainers and members with less than 5 years of training experience in A fitness center located in B city.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subject is First, there is no past history of back pain and should not have back pain symptoms. Second, the movement of the hip, ankle and spine and knee should not be difficult for the experiment. In addition, 10 men with 2 to 30 years of experience who have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who have less than 5 years of work experience are finally selected.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method, data of the test was obtained through WEMG-8 (LXM5308) of Laxtha Co., and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SPSS Ver23.0. One-way ANOVA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EMG differences between the gluteus maximus and quadriceps muscle during the Squat, Romanian dead-Lift, and Conventional dead-Lift exercise, and post-test was performed using the Bonferroni test.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 <.05.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quat has the highest quadriceps activity and shows a big difference from Romanian Dead-Lift, It was found that the greater the bending angle of the knee, the higher the activity of the quadriceps muscle. Second, the exercise with the highest activity of the gluteus maximus was Conventional dead-lift and the exercise with the lowest activity of the gluteus maximus was Squat.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as significant as that of the quadriceps muscles (GM), the external light beam (GL), and the muscle activity of the rectus femoris (RF). Therefore, in all aspects of squat, Romanian dead-lift, and conventional dead-lift, the activity of both gluteus maximus RGM and LGM is lower than that of RVM, LVM, RVL and LVL in quadriceps muscle, This suggests that the combined articulation of Squat, Romanian dead-lift, and Conventional dead-lift exercise is more beneficial to the development of quadriceps than to the development of gluteus maximus. However, considering the activity of the gluteus maximus in this study, Conventional Dead-Lift activity is higher than Squat with the highest sledding angle, followed by Romanian Dead-Lift High. Therefore, in this study, we concluded that Conventional dead-lift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for the exercise that helps the development of the gluteus maximus when the whole-body exercise of the weight-training participants is selected.

      • 스쿼트 동작 시 웨이트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운동역학적 분석

        김봉수 부경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오늘날 현대 사회에서는 시간적 여유가 많아짐에 따라 현대인들은 다양한 여가활동을 영위하고 있으며, 건강증진 및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스포츠센터를 다니거나 각종 동호회 활동에 참여하는 등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하고 있다(이종훈, 남기정, 김재필, 2013). 반면, 이와 같이 편리한 생활에서 오는 시간적 여유는 일상생활 속에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기회와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삶의 편리함은 일반인들의 운동량 부족에 의한 성인병 유발의 빈도를 현격히 증가시켜 사회적 문제로써도 대두 되고 있다(정현경, 2006). 대부분 현대인들은 이러한, 운동부족 해결과 신체의 지방 감소를 통해 외모를 좋게 보이기 위하여 헬스장을 찾고 있으며 그 중, 웨이트 트레이닝은 가장 쉽게 선택하는 종목이라 할 수 있다(이종훈, 등, 2013). 최근에 들어 근육발달 및 근력을 향상시키고 신체의 체지방을 감소시켜 건강한 신체를 추구하는데 효과적인 운동으로 선택하고 있으며, 웨이트 트레이닝을 하는 일반인들의 인구가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이석인, 등, 1993). 웨이트 트레이닝은 예전부터 운동선수들이 경기력 향상을 위해 실시할 뿐만 아니라 부상으로부터 재활 및 교정치료 등에 필수적으로 실시되고 있었으며(김일곤, 이종호, 차진, 2005), 바벨이나 덤벨과 같은 다양한 웨이트 기구를 사용하여 골격근을 자극함으로써 전반적으로 균형 잡힌 몸매를 소유하도록 해주며, 적절한 웨이트 트레이닝 프로그램은 상체와 하체의 균형을 향상시켜 주고 근육의 발달이 빈약했던 부위를 보완 또는 강화시켜 주는 대표적인 무산소성 운동이다(최소라, 2007; 신희철, 2004). 웨이트 트레이닝의 가장 기본이 되는 운동에는 스쿼트, 데트리프트, 벤치프레스, 오버헤드 프레스, 바벨 로우, 딥스 등이 있다. 이러한 운동들은 대근육 운동으로 여러 부위의 근육들이 함께 참여하는 복합 운동이기 때문에 빠른 시간에 근육이 형성되며, 파워 향상에도 효과적이다(김용현, 2010). 웨이트 트레이닝 운동의 필수 요소로써 하지근 근력운동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은 태어나면서부터 움직임이 필요하여 하지근을 사용하여 왔고 지금도 가장 많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또한 인간의 신체부위에서 하지는 발과 다리를 포함하며, 신체활동을 하거나 신체를 똑바로 서게 하는데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전희종, 2006). 그 중, 가장 기본적인 무릎 운동 중 하나인 스쿼트는 달리기, 점프, 들어올리기 동작에 있어 중요한 근육인 엉덩이, 대퇴, 몸통 근육을 단련시킬 뿐 아니라 골밀도, 인대, 건을 강화시킴과 동시에 하체단련의 가장 중요하며 기본이 되는 운동이며, 일상생활에서의 기능도 향상시키지만 이 운동을 통해서 운동선수들의 기록 향상과 부상방지 등 의 여러 가지 목적을 가지고 있는 운동이다(Escamilla, R. F, 2001; Cappozzo, Felici & Figura, 1985). 스쿼트 운동 시 자세는 시선은 정면을 향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중량의 바벨을 정한 후 다리를 어깨 넓이보다 약간 크게 십 일자로 벌려 어깨 위에 얹고 바벨바를 잡으며 가슴과 허리를 편 상태를 유지한 후 무릎 아래 부분과 허벅지가 서로 직각을 이룰 때까지 앉아 서서히 일어선다. 스쿼트 동작 시 호흡은 앉을 때 숨을 들이마시고, 일어 설 때 숨을 내쉬어야 한다. 가장 주의할 점은 운동 중에 상체를 구부리면 다리가 아니라 허리로 무게가 전달되므로 항상 상체를 똑바르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런 스쿼트 동작은 장점이 있는 반면 무거운 중량을 지탱해야 하는 운동으로써 자세를 올바르게 유지하지 못할 경우 오히려 요추와 무릎관절 등에 상해를 입힐 수 있다(Cappozzo, A.,, 1985) 또한, 일반인의 경우에는 전문적인 지도자 없이 헬스클럽 등의 트레이너들에게 간단한 기구 사용법만을 숙지한 후에 웨이트 트레이닝 운동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이렇게 잘못된 사용법과 무게로 저항성운동을 실시하였을 경우에는 근골격계의 상해를 입게 된다. 이처럼 잘못된 스쿼트 동작은 몸통의 신전력과 압축력이 요추에 작용하여 요추부 부상을 유발할 수 있고(Cappoxxo et al., 1985), 자신에게 맞지 않는 무게나 방법으로 스쿼트를 실시했을 때 자세가 불안정하면 그로 인해 등하부와 무릎 등에 상해를 입기가 쉽다(Fry, 1993; O'Shea, 1985; Williams, 1980). 이에 스쿼트 운동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하지관절의 움직임과 요추부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올바른 자세와 자신에게 맞는 무게로 스쿼트를 실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박상호, 2010). 스쿼트와 관련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Fry, A. C., Smith, J. C & Schilling, B. K(2003)는 스쿼트 운동 시 시상면에서 무릎이 발끝 앞보다 나오게 되면 무릎에 많은 부하를 줌으로써 무릎에 상해를 줄 수도 있다고 하였으며, 무릎의 위치에 따라 무릎 토크와 힙 토크를 어떻게 달라지는지 연구하였다. 이상우, 문영진, 은선덕(2011)은 스쿼트 운동시 슬관절 굴곡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원심성 수축이 일어나고 슬관절을 신전하기 위해서는 구심성 수축이 일어난다고 하였다. 이성도(2009)의 스쿼트 운동 시 중량이 하지근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에서는 스쿼트 동작 시 중량의 무게가 커짐에 따라 하지 근육활동이 유의하게 증가 차이가 나타났다고 하였다. 남윤걸(2014)의 스쿼트 동작 시 바패트 착용이 발의 압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에서는 바패트가 숙련자의 스쿼트 동작 시 처럼 양발 압력분포 차이를 줄어들게 하여 몸의 균형을 잡아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였다. 이처럼 스쿼트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많은 학자들이 스쿼트가 갖는 특수성으로 인해 스쿼트 동작 시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운동역학적 변화들을 살펴보는 시도를 하였다. 그러나 선행연구들이 근활성도 등의 운동역학적 현상만을 분석하거나 관절각도 변화와 같은 운동학적 현상만을 측정하는 연구에 초점을 두었으며, 웨이트트레이닝 보조 장비 중 하나인 웨이트 벨트 착용 전.후에 따라 나타나는 하지각도와 발의 압력 변화에 대한 운동역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쿼트 동작 시 벨트 착용 전.후에 따른 하지의 운동역학적 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함으로써 차이점을 살표보고 운동수행에 있어 일반인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운동방법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백워드 디자인에 기반한 교육연극 적용 수업 : 사회과 역사 단원을 중심으로

        권미옥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는 수업 평가 일체화와 학생 참여형 수업의 활성화에 대한 요구에서 시작되었다. 학습자 중심의 학생 참여형 수업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교육연극을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수업과 평가의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교육목표에 효과적으로 도달하기 위하여 수업 방식을 백워드 디자인 설계 방식으로 설계하여 실행하였다. 이 연구에서 교과로 선정한 단원은 사회과 5학년 2학기 역사 영역인 1단원이며 (1)차, (2)차의 소단원으로 분리하여 설계하였고, 단원에서 성취하고자 하는 ‘영속적 이해’를 중심으로 4개의 수행과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단원의 효과를 탐색하기 위해 연구자의 학급에 수업을 실행하여 모둠별 수행과제 결과물인 상황극 및 발표 장면에 대한 녹화 동영상, 학생 관찰, 개인별 평가 보고서, 학생 소감문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백워드 디자인을 기반으로 설계한 교육연극 적용 수업은 다수의 학습자들이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도달하도록 하는데 효과적이었다. 본질적인 질문을 제시하고 도달해야 할 목표가 무엇이고 수행평가 과제는 어떻게 제시될 것인지 교수·학습의 초기 단계에 먼저 안내하는 것은 학습자와 교사에게 학습해야 할 점들을 초점화시켜 교육 목표를 중심으로 방향을 잃지 않고 수업이 실행되도록 하였다. 또한, 교육연극을 적용한 수업은 학습자 중심으로 학습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학습자들의 흥미를 불러일으켜 수행평가 과제를 해결하는 활동에 집중하게 하였고, 실제 맥락과 비슷한 ‘살아보기’를 구성원들과 함께 협력함으로써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도달하도록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둘째, 백워드 디자인에 기반한 교육연극 적용 수업은 학습자들의 심층적인 이해를 도우면서 수업과 평가의 일체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결과는 교육과정 성취 기준을 바탕으로 ‘영속적 이해’를 도출해낸 후 바라는 결과(목표) 확인하기, 수용 가능한 증거 결정하기, 바라는 결과(목표)와 수용 가능한 증거의 일관성을 고려한 학습 경험 계획하기의 3단계를 미리 계획하였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셋째, 교육연극을 적용한 수업은 학습자들의 협력적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켰다. 공동 수행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함께 자료를 수집하고 해석․토의하며 즉흥극을 만들어내는 과정을 거듭할수록 협력하는 태도가 눈에 띄게 좋아지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구성의 중점사항 중 일부분이 “교과의 특성에 맞는 다양한 학생 참여형 수업을 활성화하여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을 기르고 학습의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한다”(교육부, 2015a)이기에 앞으로는 학생 참여형 활동 중심 수업이 더욱 강조되고, 교육연극을 적용한 수업과 같은 활동 중심형 수업이 많아질 것이다. 이처럼 학생 참여가 많은 활동 중심 수업에서도 학생들이 심층적으로 이해해야 할 목표를 분명히 설정하여 방향성을 잃어버리지 않게 함이 곧, 교육과정, 수업, 평가가 일체화되는 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학습자 중심, 활동 중심, 삶과 연계된 수업이 중심이 되어 학습자들의 배움에 본 연구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NBA 마케팅전략을 통한 CBA의 SWOT분석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YOU YUANDENG 부경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599

        In recent year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ports industry, professional sports events have also been more and more people's attention. As the world's fans welcomed the League of professional events, NBA after more than 60 years of marketing,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international sports event brand image shaping, has become a professional event brand promotion leader. In just over 20 years, NBA has a solid fan base in China, and occupies a compelling market share. In the Chinese sports market, to be linked with NBA professional sports leagues to be CBA. But for now, although CBA has a certain influence and reputation, but there is a lack of market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marketing science is not a significant problem. So for CBA speaking, NBA is not only a strong competitor to develop their own market, it is worth learning the success of their own brand competition. Considering the above problems, the marketing theory, communication theory and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theory based on the theory, and the use of literature, expert interview and logic analysis, marketing strategy of NBA is studied, in order to summarize the experiences and methods for CBA in sports brand cultivation from. Through the study, we can find that NBA in the global market and the Chinese market for brand marketing, combined with the actual situation of the market to adopt a different marketing strategy. But on the whole, NBA pays attention to the cooperation with the media and the brand building, and attaches importance to the establishment of public relations management and brand image. Compared to NBA and CBA in China, the promotion of marketing can be found, NBA has a sound organization, the organization of CBA there are problems of operation and management confusion, so that hinder the market operation of CBA. In the development of the market, take the NBA system made the game very ornamental, and CBA by the number of teams and competition and other factors, although the system is similar to NBA, but the game is still a certain gap with NBA. In terms of ticket revenue, partners and brand product development, CBA Club imbalances exist, the number of sponsors and brand products less, the smaller the situation, can not compete with NBA. In terms of business strategy, NBA has taken a perfect game, Star building strategy, and in public welfare activities and brand communication to achieve successful operation. In comparison, CBA is affected by the management system, funding and personnel training and other factors, failed to provide fans exciting events and influential players, to carry out public welfare activities is a mere formality, so as to better complete brand image dissemination. Considering these factors, and the NBA brand shaping and promotion strategy for reference, this article from the media channels to expand, "Star" campaign, market cooperation, product development, brand building and exciting events in the public service activities carried out in the six aspects of the CBA brand cultivation strategies carried out in-depth analysis and discussion, hope to reform CBA the existing management system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 league, to complete the loc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he brand competition accurately, and through a number of ways to strengthen the competition of brand promotion, so as to build a complete China characteristics of CBA sports brand, then the brand to the world.

      • 장흥군 소재 소하천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분석과 생물학적 환경평가

        이한동 대진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장흥군의 소하천을 대상으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군집 특성, 우점종과 환경요인 간의 상관성 등을 분석하였고,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을 이용한 생물지수를 산출하여 소하천의 수생태 건강성 평가를 하고 건강성이 나쁜 소하천의 복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장흥군의 소하천 98개 지점에서 2019년 가을과 2021년 봄 2회에 걸쳐 채집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총 139분류군이 동정되었고 99,837indiv/㎡였으며, 이 중 법정보호종은 기수갈고둥과 대추귀고둥 2종이었다. 이 두 종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으로 지정된 종으로 인간 개발 활동에 의해 서식지 교란, 단절과 감소 등의 영향 때문에 법정보호종으로 지정해 보호하고 있다. 장흥군의 소하천에서 조사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을 종수와 개체수를 기반으로 유사도 분석을 하였다. 각 Group 간에 환경요인들(산림, 경작지, Canopy, 수폭, 유량, 하상 구조, 수온, 총질소, 총인 부유물질)은 분산분석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소하천에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은 Group 1에서 121분류군이 동정되었고, 개체 밀도는 52,370indiv,/㎡였다. Group 2에서 44분류군이 동정되었고 개체 밀도는 6,648indiv./㎡였다. Group 3에서 81분류군이 동정되었고 23,266indiv./㎡였으며, Group 4에서 103분류군이 동정되었고 17,524indiv./㎡였다. 총 139분류군 중 오염된 수서 환경에 민감한 EPT-Group은 Group 1과 Group 4에서 개체 밀도가 높았고, 오염 내성도가 높은 연체동물문과 환형동물문, 파리목은 Group 2에서 개체 밀도가 가장 높았다. 하천의 상류에서 주로 서식이 확인되는 썰어먹는 무리는 Group 4에서 개체 밀도가 가장 높았고, 하류에 주로 서식하는 주워먹는 무리는 Group 2에서 개체 밀도가 가장 높았다. 우점도 지수는 Group 2에서 가장 높았고 다양도와 풍부도 지수는 Group 4에서 가장 높았으며, 균등도 지수는 Group 1에서 가장 높았다. TESB와 AESB, BMI를 이용한 수생태계 건강성 평가는 Group 4에서 가장 높은 등급으로 평가되었다. This study is investigat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munity characteristic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dominant species,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small streams located in Jangheung-gun. And the biological index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as calculated to evaluate the aquatic ecological health of small stream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restoration of small streams with poor heal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benthic macroinvertebrates community at 98 sites in small streams located in Jangheung-gun in the fall of 2019 and the spring of 2021, the identified total species numbers were 139 taxa; individual density was 9,9837 individuals/㎡. Of these, two species were legally protected: the Clithon retropictus and Ellobium chinense. This species is designated as a Level Ⅱ endangered species, and is designated and protected as a legally protected species due to the effects of habitat disturbance, disconnection, and reduction due to human development activities.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species and individual number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small streams located in Jangheung-gun. The environmental factors (forest, agriculture, canopy, water width, discharge, riverbed structure, water temperature, T-N, T-P, and SS) between each group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through ANOVA. In Group 1, 121 taxa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were indentified, and the density was 52,370 indivi./㎡. In Group 2, 44 taxa were identified, with a density of 6,648 indiv./㎡. In Group 3, 81 taxa were identified, with a density of 23,266 indiv./㎡. In Group 4, 103 taxa were identified with a density of 17,524 indiv./㎡. The EPT-Group, which is sensitive contamination, had a high density ratio in Groups 1 and 4. Mollusca, Annelida, and Diptera with high tolerance to contamination had the highest density ratio in Group 2. Shredder living in the upper stream had the highest density ratio in Group 4. Gathering-collector living in the downstream had the highest density ratio in Group 2. The dominance index is the highest in Group 2. The diversity and richness indices were the highest in Group 4. The evenness index was highest in Group 1. The assessment of aquatic ecosystem health using TESB, AESB, and BMI was the highest grade in Group 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