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근전도 발생 모델링에 근거한 ADM 근육의 MU수 추정에 관한 연구

        권성훈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15

        In this dissertation, a new method to estimate the number of MU (motor unit) in the ADM(abductor digiti minimi) muscle of hand is proposed based on modeling of EMG generation. SMUAP (single motor unit action potential) is generated from a MU located at certain depth from the skin surface. The MU location affects the amplitude of MUAP and the shape of EMG signal. For estimating the numbers of MU from ADM muscle precisely, the information of the MU location is required. Therefore, SMUAP simulation related to MU depth were performed by the MSE (mean square error). In order to estimate the number of MU, a computer-based EMG acquisition system (SCU-5) was designed to simultaneously acquire, process, display and analyze SMUAP signal recorded during voluntary contraction and CMAP signal obtained after one supramaximal electrical stimulation of ulnar nerve. Also it is designed to acquire SMUAP using surface EMG electrode. The reference SMUAPs are simulated based on anatomical structure of human muscle, and compared with acquired real EMG signals. The ADM-simulator based on the line source model was designed to simulate ADM muscle. The ADM-simulator estimates the MU information including the numbers of MU and muscle fiber, conduction velocity, MU diameter, fiber diamete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proposed modeling method was done by comparing a real detected EMG signals with the simulated SMUAP and CMAP in ADM muscle. The proposed method to estimate the number of MU w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ers and verified its accuracy. As a results, the ADM muscle has 109±18 MUs and 93±16 muscle fibers per MU. The results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comparable with the method of anatomical studies. From this, it can be utilized to build a tool for diagnosis and treatment assessment of neuromuscular patients. In the future, the proposed method will be useful for the estimation of number of MU of another muscle. 근육 내부의 활동 패턴(activation pattern)과 관계되는 신경근 질환(neuromuscular disorder)의 진단과 근육의 제어 메카니즘(muscular control mechanism)의 연구를 위해서 운동 단위(motor unit, MU)의 활동에 관한 정보를 얻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MU의 특징과 근육의 제어 메카니즘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근전도(electromyography) 신호발생 모델링은 근육의 여러 생리학적 파라메터를 반영하는 중요한 측정 방법이다. 실제 사람들의 근육 구조는 근육의 발달정도, 나이, 성별, 인종에 따라서도 크기나 두께가 차이가 나기 때문에 정확한 생리학적 데이터를 얻기 어렵다. 그러므로 이러한 제한조건은 근전도 신호에 따른 분석 기법에 있어 정확한 분석을 어렵게 한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근육 모델링을 통한 정보추정에 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아직도 그 정확성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표면 근전도(surface electromyogram)와 근육 모델링을 이용하여 ADM(abductor digiti minimi : 소지 외전근) 근육의 MU수를 추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하였다. 첫번째로 근섬유수 추정을 위해 1 MVC(maximum voluntary contraction) 미만의 작은 힘의 크기로 ADM 근육의 자발 수축을 유도하여 SMUAP(single motor unit action potential : 단일 운동 단위 활동전위)를 검출하였다. 설계된 ADM-시뮬레이터로 SMUAP의 깊이와 근섬유 수를 총 1,271단계로 변화 시켜가면서 근섬유수를 93±16[개]로 추정하였다. 두번째로 ADM의 MU수를 추정하기 위해 각각의 실험 대상자의 추정된 근섬유(muscle fiber)수와 전도 속도(conduction velocity), 근육길이 등의 생리학적 파라메터와 확률 통계적 파라메터를 가지고 ADM 근육을 위한 ADM-시뮬레이터를 설계하였다. 세번째로 MU수 추정은 ADM 근육의 지배신경인 척골신경(ulnar nerve)에 전기자극을 가하여 검출된 CMAP(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 복합 근 활동전위)을 이용하였다. 검출된 CMAP과 앞서 추정한 근섬유 수를 이용하여 ADM-시뮬레이터로 CMAP을 시뮬레이션 했다. 시뮬레이션된 CMAP과 표면전극으로 검출된 CMAP으로부터 신호의 모양과 진폭 등을 모두 고려한 MSE(mean square error : 평균 자승 오차) 값의 최소값을 찾는 방법으로 MU수를 109±18[개]로 추정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손쉽게 다양한 파라메터의 조정이 가능함에 따라 인간근육의 MU 정보처리 연구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주요어 : MU, ADM, 모델링, 근전도

      • 스마트 폰에 내장된 TDMB 안테나 실제 설계와 영상 실험에 관한 연구

        민정동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15

        In this dissertation, a new built-in TDMB (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tenna unlike conventional TDMB antenna (multi-stage rod type) in smart phones is proposed and experimentally analyzed at real field conditions. The proposed antenna was designed from simple pattern and low cost. It has a folded monopole type. And the pattern of antenna is placed along sidepiece of outer case in order to avoid various inner noise sources of smart phone and limitation for volume of antenna. Many researchers have proposed internal TDMB antenna of various type for the purpose of applying to mobile devices, but, all researches have a common problem that did not showed real test results of antenna such as active performance. Thus, the actual applicability and effect on smart phones were not suggested by previous researchers. The proposed internal TDMB antenna in this study is applied to a real smart phone(IM-A760S). Also, passive and active mode(video test) are measured, A comparison test between multi-stage rod type antenna and proposed antenna is tested. And a hand effect was simulated and tested for considering real field usability condition. The comparison tests of two antennas were performed separately in 3D chamber and real field environment. The test result at 3D chamber showed that the proposed antenna has approximately 70[%] to 80[%]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existing multi-stage rod type antenna. Moreover, the received performance was tested in strong and weak electric field conditions. The proposed antenna is expected to solve many problems of existing multi-stage rod antenna such as space limitation, reliability and high cost problem. Since it is possible to integrate a proposed antenna and a smart phone case, it is able to realize with relatively simple method and very low cost. In the future study, it needs to investigate the additional miniaturization and to develop more improved antenna than the proposed antenna having equal performance compared with existing multi-stage rod type antennas. 지난 몇 년간 휴대용 단말기에서의 화두는 집적화된 소형화가 그 중심에 있었다. 그러나 최근 스마트 폰(smart phone)의 급격한 성장 및 태블릿(tablet) 단말기들의 대중화 단계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의 고성능, 고기능 및 대화면화가 대세이며, 이에 따른 단말기의 크기도 커지고 있다. 국내 디지털 모바일 방송(digital mobile broadcasting)의 표준은 TDMB(terrestrial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이다. TDMB의 사용 주파수대는 VHF(very high frequency) 영역(174 ∼ 216 MHz)이고, 주파수가 비교적 낮아 안테나(antenna)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커져야 하므로, 안테나의 소형화에 어려움이 있다. 대다수의 스마트 폰에서는 TDMB 신호 수신을 위해 다단 로드형 안테나(multi-stage rod type antenna)를 주로 사용하여 구현하고 있다. TDMB 안테나를 소형화하여 휴대 단말기에 내장형으로 구현하기 위한 선행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나, 안테나 자체의 특성만을 평가, 제안하는 선에서 그치고, 실제로 단말기에 탑재하여 적용성 및 영향에 대해서는 검증하지 않는 부분이 많아 현실적으로 적용 가능성이 모호하고, 유효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모든 스마트 폰 제조사에서 내수용으로 생산하는 TDMB 지원 스마트 폰에 적용되고 있는 기존의 TDMB 수신용 다단 로드형 안테나 형태가 아닌 휴대용 단말기에 내장이 가능한 형태로, TDMB 안테나를 설계 및 구현하였으며, 제작된 안테나의 성능을 기존의 다단 로드형 안테나와 비교 실험하여 그 실제적인 적용성을 검증하고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단말기 내부에 적용되는 형태의 안테나가 아닌 단말기 측면부의 외곽 공간을 활용하여 폴디드 모노폴 형태의 안테나를 구현하였으며, 향후 기구물(case)과 일체형으로 제작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제안된 내장형 TDMB 안테나는 ㈜팬택의 IM-A760S 모델에 구현하여 측정하였으며, 다단 로드형 안테나와 Active 상태에서의 비교 실험을 실시하였다. 3D 챔버에서의 측정 결과로 볼 때, 기존의 다단 로드형 안테나와 비교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안테나는 70 ∼ 80[%] 수준의 성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강전계와 약전계 지역에서의 두가지 안테나에 대한 필드 실험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TDMB 안테나는 기존의 다단 로드형 안테나가 가지고 있는 공간문제, 신뢰성 문제, 고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기구물과 일체화하여 제작할 수 있으므로 비교적 단순한 패턴과 저비용으로 실제 구현이 가능하여 산업적 응용 가능성이 기대된다.

      • 브랜드 충성도 형성경로에 관한 연구 : 애착경로와 일반경로의 비교

        추미애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15

        브랜드 충성도 형성경로에 관한 연구: 애착경로와 일반경로의 비교 Route for the Brand Loyalty Formation: A Comparison Between the Attachment Route and the Non-attachment Route 경영학과 추미애 지도교수 김성환 기술 및 정보 발전과 더불어 제품 간 동질화가 급속하게 진행됨에 따라 제품의 특성들이나 독특한 기능들만으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끌기 어렵게 되자 결국 브랜드가 제품 차별화의 핵심 포인트로 자리 잡게 되었다. 제품속성별 차이를 구별하기 어렵게 된 소비자들은 브랜드에 더욱 의존하게 되며, 브랜드에 대해 인간에게 느끼는 감정이나 브랜드 애착과 같은 충성심을 보이게 되었다. 이에 기업차원에서는 소비자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여 브랜드애호도를 통해서 수익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많은 노력들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 충성도형성경로를 분석하여 소비자행동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한다. 브랜드 충성도를 형성하는 소비자의 충성도 형성경로의 구조관계를 설정하고 애착소비자와 일반소비자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부산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소비자에 대한 분석결과, 브랜드 호감은 브랜드 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 몰입은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애착소비자에 대한 분석에 의하면 애착소비자들은 브랜드 호감→브랜드 사랑, 브랜드 사랑→ 브랜드 애착, 브랜드 애착→브랜드 충성도등의 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애착소비자들은 브랜드사랑→브랜드 몰입간의 관계에서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브랜드 애착→브랜드 몰입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결과는 사랑을 느끼면 행동의도인 몰입보다는 감정 변수인 애착으로 이어지며 충성도를 형성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넷째, 브랜드 충성도 형성경로의 영향력은 브랜드 애착소비자와 일반소비자에 따라 차이가 나는지를 실증 분석한 결과 브랜드 애착소비자가 일반소비자보다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호감→브랜드 사랑, 브랜드 사랑→브랜드 애착, 브랜드 애착→브랜드 충성도간의 경로 영향력은 애착소비자가 일반소비자보다 더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애착 소비자들은 브랜드 호의적인 태도를 기반으로 긍정적인 감정인 브랜드 사랑을 형성하고 이러한 정서적 상호작용으로 형성된 애착이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모형이 브랜드 충성도 형성경로에 가장 적합한 모형이라는 것을 확인하기 위하여 연구모형과 여러 가지 대안모형을 비교분석해 보았다. 대안모형으로는 독립영향 모형과 감정전이 모형과 상호영향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연구모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쟁 모형과의 비교에서도 연구모형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브랜드 호감, 브랜드 사랑, 브랜드 애착의 역할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소비자 행동모델의 흐름을 예측할 수 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 소비자-브랜드관계에서 관계형성을 위한 성과변수들을 다룬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소비자 브랜드 관계의 선행요인이나 결과요인보다는 과정요인으로서 연구 모형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애착소비자와 일반소비자를 애착경로와 일반 경로로 나누어 충성도에 대한 영향력을 알아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브랜드 충성도를 형성하는 메커니즘은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속성에 따라서 다른 경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케터는 애착소비자와 일반소비자를 전략적으로 관리해야만 진정한 충성고객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본 연구결과는 소비자 행동모델을 미리 이해하고 예측하여 마케터들의 전략수립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주요어:브랜드 충성도, 브랜드 애착, 브랜드 호감, 브랜드 사랑, 브랜드 몰입

      • 과수화상병을 부분방제한 사과와 배 과원의 병관리 실태 및 안전성 조사

        조준우 단국대학교 대학원(천) 2024 국내석사

        RANK : 247615

        과수화상병을 부분방제한 사과와 배 과원의 병관리 실태 및 안전성 조사 단국대학교 미생물학과 미생물생명공학전공 조준우 지도교수: 김성환 과수화상병은 Erwinia amylovora 세균에 의해 일어나는 병으로 배, 사과나무에 감염 시 화상을 입은 것처럼 말라 죽는 병으로 국내 유입하여 과수산업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 국내에서 이병은 식물검역에 있어서 금지급 병해로 관리되고, 병 발생주가 확인되면 즉시 과수원 전체를 폐원(매몰)하는 공적 방제가 이뤄지고 있다. 2020 년부터 발생지역에 한하여 발생 주수가 전체의 5% 미만인 과원의 경우 발생주와 주변 나무만 제거하는 부분 제거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부분 제거 방제법의 안전에 대한 연구 자료가 부재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부분방제법의 안전성과 지속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2020~2022 년도 사이 부분방제 처리한 과원을 대상으로 방제의 안전성을 신뢰할 과학적 정보를 얻기 위해 수행되었다. 경기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충청북도에 위치한 45 개 과원을 방문하여 부분제거 방제방법 지침 준행 여부를 확인하였다. 충청남도를 제외한 지역에 위치한 27 개 과원들 중에서는 5 개 과원이 화상병 추가 확진 판정으로 매몰처리 되었다. 이를 제외한 22 개 과원 중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사과 과원 한곳을 제외한 모든 과원에서 맹아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모두 석회와 부직포가 잘 보존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방제 잔재로 남은 그루터기를 배양법과 PCR 과 LAMP-PCR 방법으로 화상병균 존재 여부를 조사한 결과 화상병균은 존재하지 않았다. 그러나 조직이 변색되고 부후하면서 Trichoderma longibrachiatum, Fusarium solani 같은 목재 부후성 진균이 존재하였다. 세균의 경우는 20 속의 43 종의 세균이 검출되었으며 E. amylovora 에 대한 길항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진 Bacillus velezensis 가 높은 빈도로 검출되었다. 부분제거 방제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루터기의 미생물 다양성은 감소하는 성향이었다. 이상의 결로 볼 때 부분방제 방법은 상당히 안전한 방제법으로 사료된다. 부분제거 후 남은 그루터기의 신속한 부후는 화상병균의 확산을 저지하는데 중요한바 부후 진행을 촉진할 약제를 선발하고자 침투이행성 제초제인 글리포세이트제의 처리 효과와 조사하였다. 사과와 배나무를 절단하여 절단면에 처리하였을 때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그루터기의 부후가 상당히 빠르게 진행함을 육안과 현미경 조직 관찰을 통해 확인하였다. 새로운 부후 촉진 처리제로서 아미노산 발효액인 ECOFER 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ECOFER 는 항진균, 항화상병균 효과이외에도 초본류 종자 발아와 생육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양파와 대파 모종에 ECOFER 를 처리한 결과 줄기에 시들음 증상이 나타났으며 뿌리의 변색 및 무름 증상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사과와 배나무에 약해를 보이지 않았다. 사과와 배나무 유묘를 절단하여 절단면에 처리하였을 때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해 그루터기의 부후가 상당히 빠르게 진행함을 육안과 현미경 조직 관찰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ECOFER 와 글리포세이트제를 사과 과원에서 20 년 생 성체 사과나무를 대상으로 절단하여 처리 후 부후 정도를 조사한 결과 비처리에 비하여 부후가 잘 진행되었다. ECOFER 처리 토양과 비처리 토양을 비교한 결과 처리 토양에서 유기물 함량, C_N 율, pH 등의 변화가 있었다. Microbiome Taxonomic Profiling 방법으로 ECOFER 처리 후 한달이 경과한 시점에서 ECOFER 처리 토양과 비처리 토양에 대해 토양내 진균과 세균 군집을 비교한 결과 처리 토양에서 미생물 다양성이 감소함을 보였다. 비처리 토양에서는 Shannon index 값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 체면상황이 소비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물질주의성향과 개인주의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미주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15

        체면상황이 소비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물질주의 성향과 개인주의 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ace Circumstances upon Consumption Behavior Inten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Materialism and Individualism 경영학과 임미주 지도교수 김성환 한 시대의 사회문화적 특성은 인간의 행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바 사회적 동물인 인간은 자신을 둘러싼 사회적 환경을 의식 할 수밖에 없는 근원적 속성을 내재하고 있다. 자신의 사회적 지위에 상응하는 외적행동양식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인정받으려는 사회 심리적 욕구로 정의되는 체면의식은 전 세계적으로 보편적인 사회 문화적 행동 특성이지만 자아 의식 개념이 강한 서양과는 달리 동양 특히 한국사회는 타인의식적, 관계적 성격이 두드러지기에 자신의 판단과 행동에 대해 자신이 주체가 되기보다는 타인의 눈과 평판에 더 많은 비중을 두고, 실용과 현실보다는 자기 과시성이나 권위주의에 더 의존하며, 사회적 의식성보다는 상황에 따르는 성향이 강하게 나타난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한국인의 체면의식이 자신에 대한 표현 수단이자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하나인 소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체면상황이 과시소비행동의도와 동조소비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들의 관계에 물질주의성향 및 개인주의성향의 조절적 효과가 있는지를 탐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체면상황이 과시소비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현시적 체면상황이 방어적 체면상황 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면상황이 동조소비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대학생들은 방어적 체면상황하에서 동조소비행태를 보였으나 일반인들은 그렇지 않은 걸로 보아 방어적 체면상황이 동조소비행동의도에 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체면상황에 따른 과시소비행동의도에 대한 물질주의성향의 조절역할을 분석한 결과 일반인들은 물질주의성향에 따른 과시소비행동의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지만 대학생은 그렇지 않았다. 이는 물질주의성향이 강하다고 해서 모든 사람이 과시소비행태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며 합리적 소비의식 또는 개인의 취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 것이라 하겠다. 넷째, 체면상황에 따른 과시소비행동의도에 대한 개인주의성향의 조절역할을 분석한 결과 일반인들은 개인주의성향에 따른 과시소비행동의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지만 대학생은 그렇지 않았다. 이 역시 개인주의성향이 강하다고 해서 과시소비행동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다섯째, 체면상황에 따른 동조소비행동의도에 대한 집단주의성향의 조절역할을 분석한 결과 집단주의성향이 강할수록 동조소비의도의 차이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소비자들은 현시적 체면상황하에서 위신이나 권위, 우월성 등 사회적 상징을 획득하기 위해서 과시적 소비행동을 마다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러한 사회적 상징요소들은 마케팅전략수립에도 접목 가능함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방어적 체면상황에서 소비자들은 동조소비 대응방식에 있어 인구통계학적으로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는데 그 연유는 서구 합리주의 문화 교육의 소산 또는 개성추구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물질주의 성향이 강할수록 과시소비행태를 보이는 것이 일반적인 사회적 현상이지만 개인주의 문화의 영향 내지 합리적 소비행태의 발달 등으로 안해 예외적 상황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독특성과 개성을 요소로 하는 개인주의 문화적 특성도 퀄리티, 취향 적합성 등과 연관 지어질 때만이 흡인력 있는 마켓을 창출할 수 있으며, 여전히 집단주의적 속성과 규범이 내포된 한국사회에서 자아개념의 발전적 확장에 대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 : 체면상황, 과시소비 행동의도, 동조소비 행동의도, 물질주의 성향, 개인주의 성향

      • 스위스볼 운동과 워블보드 운동을 할 때 장장근의 근육 활동량과 중간 주파수 변화의 비교 분석

        윤석준 서울시립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논문은 불안정한 지지익면에 따른 장장근(palmaris longus)의 근전도 신호 분석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모든 피 실험자에게 한번은 안정한 지지익면에서 두번은 불안정한 지지익면에서 삼두박근 딥(triceps dip)을 시켰다. 안정한 지지익면은 매트리스(mattress) 위에서 실시하였고 불안정한 지지익면은 스위스볼(swiss ball) 과 워블보드(wobble board) 위에서 실시하였다. 근전도 신호 취득은 좌우측 장장근(palmaris longus)에서 취득하였고 분석파라메타는 중간주파수(MDF : median frequency)와 RMS (root mean square) 파라미터로 분석하였다. 삼두박근 딥 운동시 오른손 장장근의 중간주파수는 불안정한 지지익면 중 스위스볼에서 82.9±24.8 [Hz](감소율:12%), 워블보드에서 81.8±20.0 [Hz](감소율:13.0%)로 측정되었고, 안정한 지지익면에서는 93.9±17.4 [Hz]로 측정되었다. 왼손 장장근의 중간주파수는 불안정한 지지익면 중 스위스볼에서 80.6±15.8 [Hz](감소율:14%), 워블보드에서 86.9±14.5 [Hz](감소율:7.0%)로 측정되었고, 안정한 지지익면에서는 93.5±12.8 [Hz]로 측정되었다. 오른손 장장근의 RMS는 불안정한 지지익면 중 스위스볼에서 71.0±17.7 [%MVIC](증가율:118%), 워블보드에서 57.7±21.7 [%MVIC](증가율:77%)로 측정되었고, 안정한 지지익면에서 32.5±17.1 [%MVIC] 측정되었다. 왼손 장장근의 RMS는 불안정한 지지익면 중 스위스볼에서 72.0±18.1 [%MVIC](증가율:105%),워블보드에서 71.9±39.0 [%MVIC](증가율:104%)로 측정되었고, 안정한 지지익면에서 35.2±18.1 [%MVIC] 측정되었다. 스위스볼 과 워블보드 운동의 RMS를 비교한 결과 오른손 장장근에서는 워블보드 운동 보다 스위스볼 운동에서 13.3 [%MVIC] 높게 측정되었고, 왼손 장장근에서도 스위스볼 운동에서 0.1 [%MVIC] 높게 측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삼두박근 딥 운동시 안정한 지지익면보다 불안정한 지지익면 및 오른손 장장근에서 중간주파수가 낮고 RMS가 높게 나타났으며, 워블보드 보다 스위스볼에서 운동효과가 더 있었다. 본 연구결과 재활 치료 및 균형 감각 향상 운동 프로그램에 기존 프로그램 보다 효율적인 운동방법에 대하여 기준을 제시 할 수 있다. This paper is concern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changes in muscle activity and median frequency of palmaris longus muscle during exercises performed on swiss ball and wobble board. Every subject was set to do triceps dip exercise once in a stable support surface and twice in an unstable support surface. A mattress was used for stable support surface, swiss ball and wobble board were used for unstable support surface. EMG signals were measured on palmaris longus muscle. The RMS(root mean square) parameter and MDF(median frequency) parameter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muscle activity and postural stability. The results show that right hand MDF value during triceps dip at the swiss ball 82.9±24.8 [Hz], wobble board 81.8±22.0 [Hz], mattress 93.9±17.4 [Hz]. Also the results show that left hand MDF value during triceps dip at the swiss ball 80.6±15.8 [Hz], wobble board 86.9±14.5 [Hz], mattress 93.5±12.8 [Hz]. This mean that MDF in the unstable position is more lower than stable position. The right hand RMS value on unstable support surface were at the swiss ball 71.0±17.7 [%MVIC], wobble board 57.7±21.7 [%MVIC], as a stable support surface at the mattress 32.5±17.1 [%MVIC]. Also left hand RMS value on unstable support surface were at the swiss ball 72.0±18.1 [%MVIC], wobble board 71.9±39.0 [%MVIC], as a stable support surface at the mattress 35.2±18.1 [%MVIC]. This mean that RMS value increased in the unstable position than stable position. Finally, such findings indicate that an exercise in an unstable support surface cause MDF decreasing in palmaris longus muscle. Therefore, the exercise with unstable support surface may be applied to specific stages requested in the stabilization training program for rehabilitation.

      •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활동이 고객충성도 및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CSR 진정성 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윤환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15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활동이 고객충성도 및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 : CSR 진정성 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on Customer Loyalty and Intention to Pay the Premium Pri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Impact of CSR Genuineness 경영학과 김윤환 지도교수 김성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국민들의 정서나 관심이 높아지면서 점차 CSR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최근 들어 전 세계적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CSR 활동에 대한 인식이 사회 전반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1990년대 후반부터 국내 기업의 CSR 투자도 증가하고 있다. 이는 기업의 목적이 CSR에 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는 가운데 다양한 각도에서 이에 대해 새롭게 정의하려는 시도들이 속속 등장하는 오늘날의 추세와 궤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과 시각을 확대하고, 체계적 적립을 통한 기업의 사회공헌 확대를 이룩하며, 사회적 책임의 실천 과제와 그 효율성을 제고함으로써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을 통한 지속가능경영을 실현하는데 있다. 오늘날 소비자의 높아진 욕구 추구 성향에 적합한 마케팅 전략의 수립을 위해 기존의 기업 또는 제품 중심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캠페인 범주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경영을 제안함으로써 마케터가 소비자에게 보다 높은 만족을 제공해 줄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기업의 지속적인 경쟁우위 요소인 기업이미지와 고객충성도에 대한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을 낮추는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마케팅 관리자의 전략적 운용의 폭을 넓혀주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CSR 진정성 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CSR활동이 고객충성도 및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실증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의 평가가 높을수록 제품신뢰도에 긍정적으로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분석한 결과,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은 제품신뢰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윤리적 책임과 자선적 책임은 채택이 되지 않았다. 둘째, CSR활동의 평가가 높을수록 기업이미지에 긍정적으로 미칠 것이라는 가설을 분석한 결과는 경제적 책임, 법률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 모두 채택되었다. CSR활동의 평가가 매개변수인 제품신뢰도 및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은 경제적 책임이 제품신뢰도 및 기업이미지에 가장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법률적 책임은 제품신뢰도에도 강한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셋째, 제품신뢰도가 기업이미지 및 고객충성도와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의 분석결과는 제품신뢰도와 기업이미지의 매개변수간의 상호관계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채택되었으며, 고객충성도와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에도 긍정적인 방향으로 채택되었다. 제품신뢰도가 기업이미지 및 고객충성도,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의 영향력은 고객충성도를 포함한 모두 높은 영향력을 보여주어 가설이 채택되었다. 넷째, 기업이미지가 고객충성도 및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의 결과는 기업이미지가 고객충성도에 영향 변수들 중 가장 높은 영향력을 보여 주었으며,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으로 나타나 채택되었다. 종속변수인 고객충성도가 프리미엄 가격 지불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가설도 높은 영향력을 보여주어 채택되었다. 다섯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진정성의 평가가 높을수록 CSR활동에 대한 평가가 제품신뢰도 및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커질 것이라는 진정성의 조절효과 가설의 모델 적합도는 진정성의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분석에 적합한 계수로 나타났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평가가 높을수록 CSR활동에 대한 평가가 제품신뢰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커질 것이라는 진정성의 조절효과 가설의 분석결과 진정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경제적 책임과 법률적 책임이 유의한 영향을 보여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정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경제적 책임만 유의한 영향을 보여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진정성의 평가가 높을수록 CSR활동에 대한 평가가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더욱 커질 것이라는 진정성의 조절효과 가설은 진정성이 높은 집단에서 경제적 책임, 자선적 책임, 법률적 책임이 유의한 영향을 보여 조절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정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제품신뢰도와 마찬가지로 경제적 책임만 유의한 영향을 보여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신뢰도 및 기업이미지에 대한 진정성의 조절효과는 진정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더 큰 영향력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은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의 신뢰형성에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밝혀냈다. 둘째, 사회적 책임활동을 하는 기업은 제품 및 기업이미지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확인 하였다. 셋째, 사회적 책임활동을 하는 기업은 제품 신뢰 및 기업이미지가 좋아짐에 따라 기업에 대한 고객 충성도도 더불어 높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사회적 책임활동을 하는 기업의 제품 및 서비스는 기꺼이 프리미엄 가격을 주고서라도 구매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네 가지 차원 중 미국의 소비자들과 같이 경제적 책임이 가장 중요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기업의 사회공헌활동이 우리사회 전체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다음 세대에게 더 좋은 세상을 물려주기 위한 진정한 투자라고 생각하는 따뜻한 자본주의 4.0의 핵심과제와 같은 맥락이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같은 결론을 입증하였으며, 새로운 시각에서 확장했다는데 큰 의의가 있겠다. 주요어 : 기업의 사회적 책임, 제품신뢰도, 기업이미지, 고객충성도, 프리미엄가격 지불의도, CSR진정성

      • Development of multiple injection strategy to improve sensitivity and throughput for LC-FTICR-MS Analysis of natural organic matter : 초고분해능 질량분석기를 이용하여 천연유기물의 감도와 처리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중 주입법 개발

        윤수빈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13

        Natural Organic Matter (NOM) is a highly complex mixture of organic molecules that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marine, freshwater and glacial ecosystems. Fourier transform ion cyclotron resonance mass spectrometry (FTICR-MS) is an superior technique for molecular level analysis of NOM. Analysis materials with low concentrations or low ionization efficiency are difficult to detect by Direct infusion (DI). These problems can be partially overcome using chromatographic seperation that elutes analytes based on polarity or size. Also, when the number of sample is large,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trometry (LC-MS) is more efficeint than DI. In the existing research method, the sample is concentrated through Solid Phase Extraction (SPE) and then analyzed with LC-MS. However, SPE is a time consuming and labor intensive operation. In this study, the injected amount was increased through multiple injection. After that, the results of the single injection method using SPE-LC-MS and the multiple injection method using Filter-LC-MS were compared. This is because there is no study considering the multiple injection method using Filter-LC-MS. This study shows that LC-FTICR-MS is an effective analytical method to study NOM through multiple inject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total number of assigned elemental composition of SPE-LC-MS and Filter-LC-MS was observed at a similar level. However, the Filter-LC-MS analysis method using multiple injections can save time and cost 5 times. If the injected amount of sample is greater than 5 μg, the data can be obtained by the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This means that results can be obtained even at low concentrations. This development method can be used to analysis NOM with limited sample volumes and trace concentrations. NOM (Natural Organic Matter)은 해양, 담수 및 빙하 생태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인 유기 분자의 고도로 복잡한 혼합물이다. 푸리에 변환 이온 사이클로트론 공명 질량 분석기(FTICR MS)는 NOM의 분자 수준 분석을 위한 우수한 기술이다. 농도가 낮거나 이온화 효율이 낮은 분석 물질은 직접 주입(DI)으로 검출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는 극성 또는 크기에 따라 분석 물질을 용출하는 크로마토그래피 분리를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시료 수가 많을 경우 DI보다 LC-MS(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가 더 효과적이다. 기존 연구 방법은 SPE(Solid Phase Extraction)를 통해 시료를 농축 후 LC-MS로 분석한다. 그러나 SPE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가는 작업이다. 본 연구에서 다중주입을 통해 주입량을 증가시켰다. 그 후 SPE-LC-MS를 사용하는 단일주입 방법과 Filter-LC-MS를 사용하는 다중주입 방법 결과를 비교하였다. Filter-LC-MS를 이용한 다중주입법을 고려한 연구가 없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LC-FTICR-MS가 다중주입을 통해 NOM을 연구하는 효과적인 분석 방법임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 SPE-LC-MS와 Filter-LC-MS의 할당된 원소 조성의 총수는 유사한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다중주입을 사용하는 Filter-LC-MS 분석 방법은 시간과 비용을 5배 절약할 수 있다. 시료 주입량이 5μg보다 크다면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는 낮은 농도에서도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개발법은 제한된 샘플량과 미량 농도로 NOM을 분석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 BEPS 방지제도 도입이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

        임송대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BEPS 방지제도가 도입된 2016년 이후에 한국 다국적기업의 조세회피 영향을 한국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BEPS방지제도 도입이전 5개 사업연도(2011년–2015년) 및 도입이후 5개 사업연도(2016년–2020년)기준으로 6,143개(기업/연도)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개별기업보고서 제출대상 한국 다국적기업의 경우 BEPS 방지제도 도입이전에는 조세회피가 있었음이 검증되었고, BEPS 방지제도 도입이후 조세회피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음이 종속변수인 모든 조세회피 측정치(회계장부상 유효세율, 회계이익과 세무이익과 차이 및 Desai and Dharmapala(2006)의 잔차모형)에서 검증되었다. 특히, 매출액이 상대적으로 큰 기업 및 순환 정기세무조사대상 기업의 조세회피가 유의적으로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BEPS 방지제도 적용 대상이 개별기업보고서 제출대상 한국 다국적기업의 BEPS 방지제도 도입이전과 도입이후의 조세회피 성향 및 영향을 분석한 국내 최초 연구로,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를 통하여 BEPS 방지제도 도입에 대한 과세당국입장의 정책적 근거를 제시할 뿐만 아니라 국외특수관계인과 국제거래가 많은 한국 다국적기업의 합리적인 국제조세정책의 수립에 기여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the Anti-BEPS regulations, which were introduced into the Korean tax system in 2016, on Korean multinational corporations’ (listed on the Korean Stock Exchange and KOSDAQ) tax avoidance behavior by comparing the 5 years prior to its introduction (FY 2011-FY2015) and the 5 years after its introduction (FY2016-FY2020). The pool of the final samples has 6,143 samples on a company/year basis. This empirical study shows that Korean multinational corporations, which are obligated to submit Local File, were engaged in tax avoidance behavior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Anti-BEPS regulations. In addition, the test result for all tax avoidance proxy variables(GAAP_ETR, Book-Tax Difference and Desai and Dharmapala(2006)’ residential model) (as a dependant variable) shows that their tax avoidance behavior meaningfully decrease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Anti-BEPS regulations. In particular, the results show that the tax avoidance behavior by companies with relatively large sales or companies subject to periodical tax audits has significantly decreased. This study is the first to analyze the tax avoidance behavior of Korean multinational corporations for many years before and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Anti-BEPS regulations. In addi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is a clear policy rational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Anti-BEPS regulations from a Korean tax authorities' perspective and it is meaningful that Korean multinational corporations having international transactions with foreign related parties set up a reasonable international tax poli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