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현가장치의 롤 커플링 영향을 포함하는 함수형 현가장치에 의한 차량동역학모델 개발
박평화 國民大學校 自動車工學專門大學院 2013 국내석사
차량동역학 해석 문제를 다룰 때 ADAMS/Car와 같은 다물체 동역학 차량모델을 활용하면 부품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모델링으로 정확한 해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모델구축 노력과 비용이 많이 들고 실시간 해석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김상섭, 정홍규[1][2]는 차량모델을 차체와 휠을 포함하는 다물체계로 모델링하고 휠과 차체 사이의 관계를 휠 스트로크의 함수로 표현하는 함수형 현가장치 차량모델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해석의 정확도가 높고 모델링 구축에 대한 비용이 적으며 효율적인 계산량으로 실시간 해석이 이루어졌다. 함수형 현가장치의 모델은 현가장치 특성시험장치(SPMD)로부터 얻어진 기구학 및 컴플라이언스 특성데이터를 활용한다. 특히 독립현가장치의 기구학적 연결관계는 양측 휠이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움직일 때의 휠 얼라인먼트 특성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독립현가장치라 할지라도 SPMD의 실험 결과를 보았을 때 휠 스트로크에 의한 휠 얼라인먼트 값이 Ride실험에 의한 결과와 Roll실험에 의한 결과 사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차체, 서브프레임, 롤바와 같은 연성체에 의하여 좌우 현가장치의 롤 커플링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가장치의 특성을 적용하기 위하여 Ride변수와 Roll변수를 활용한 수정된 차량 운동방정식을 제시하였고 해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배움의 공동체 수학수업'이 여중학생 수학 흥미도 및 수학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
박영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본 연구는 ‘배움의 공동체 수학수업’이 여중학생들의 수학 흥미도와 수학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배움의 공동체 수학수업’이 여중학생들의 수학 흥미도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 둘째, ‘배움의 공동체 수학수업’이 여중학생들의 수학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배움의 공동체 수학수업’을 적용한 수업에 대한 만족도와 장 · 단점 및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 문제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K여자중학교 3학년 2개반을 대상으로 사전에 수학 흥미도와 수학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검사를 하고, 동질적 성격을 가진 두 반을 선정하여 실험집단은 ‘배움의 공동체 수학수업’을 진행하고, 비교집단은 전통적인 강의식 수업을 진행하여 사후 검사를 진행하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자료를 SAS 9.2 for Window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을 하여 유의수준 0.05에서 그 차이가 유의미한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배움의 공동체 수학수업’이 여중학생들의 수학 흥미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사후 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평균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배움의 공동체 수학수업’이 수학 흥미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배움의 공동체 수학수업’이 수학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후검사를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평균 점수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배움의 공동체 수학수업’이 강의식 수업보다 수학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셋째, ‘배움의 공동체 수학수업’의 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에 설문조사를 한 결과 학습에 도움이 되고 수업태도에 변화가 있으며 수업방식에 만족한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배움의 공동체 수학수업’을 통해 수학의 흥미도가 많이 향상되었고, ‘배움의 공동체 수학수업’이 수학적 자기효능감 증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므로 앞으로도 이와 같은 연구를 장시간 계속한다면 더 높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고, 수학교육에도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생각된다. M.A. Thesis The Effect of "Learning Community Math Lesson" on the promotion of mathematical self-efficacy and the interest in math at girls’ middle school. Yeoung - Hee Park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Ye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Sang-Sup Kim, Ph, D.) Abstract The experiment on "Learning Community Math Lesson" was given to the all girl's middle school and it's purpose was to see the promotion of mathematical self-efficacy and the effect of interest in math in a group study. To begin the experimen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in motion. First, does "Learning Community Math Lesson" has any affect on increase of math interest in girls? Second, does "Learning Community Math Lesson" has increase of mathematical self-efficacy in girls? Third, has the usage of "Learning Community Math Lesson", have satisfied and improved on advantage/disadvantage of the less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se research questions, the researchers targeted middle school third grade girl students in Daegu middle school. The two third grade classes were selected to see how much interest they had in math and the level of mathematical self-efficacy.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was placed in "Learning Community Math Lesson" category and second which was comparative group, was placed in traditional lecture style category. They each in turn took lesson in their own given category teaching style and were measured and compared in the experiment research. Through this experiment research, the data obtained were used in SAS 9.2 window program for verification of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paired sample t-test. The result was to see if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at 0.05.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rough "Learning Community Math Lesson" post-tests were conducted to see if there w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of interest in math by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ison group. The average score was observed from two groups and found that there were specific differences. Furthermore, "Learning Community Math Lesson" has raised interest in math among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a positive means. Second, through "Learning Community Math Lesson" experiment, whether the mathematical self-efficacy post-test had any significant changes to experimental group and comparative group. The study result showed it did have significant changes on both groups. Thus, mathematical self-efficacy had more positive effect than traditional lecture style in promoting "Learning Community Math Lesson". Third, to find out the level of satisfaction in "Learning Community Math Lesson", survey was conducted and it showed positive result in the areas of method of learning, change in attitude and positive reaction to teachers. According to the results, through the "Learning community Math Lesson", the interest in math had improved drastically and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mathematical self-efficacy level. For the future, if the study can be conducted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e positive effect would expected to be higher and a large contribution in the area of mathematical field can be expected.
신체활동놀이가 지적장애아동의 자기표현력과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Play on Self-Expression and Social Development of a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is study examines what effects physical activity play has on self-expression and social development of a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More specifically, what function it has in peer and teacher interaction, as well as behavioral participation in certain activities. Research was conducted on a second grade female student attending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 city wi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of level 1 and an intelligence quotient (IQ) of 31. The subject was chosen by the researcher and a research assistant who had been observing the students at the school.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by selecting a sample student who is considered to have a lack of self-expression and social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that physical activity play has on self-expression and sociability of a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Changes in self-expression, were measured by a physical activity play program. The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an analysis on the outcome of a pre-post design. The outcomes are represented by a table and graph describing all the characteristics in the chang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hanging processes and responses in social interaction through an observational diary and video recordings of physical activity play. The physical activity play program was conducted in sessions, on a 9 year old girl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re was a total of 12 sessions: two sessions per week over six weeks. The following conclusions of the effects on self-expression and social development were obtained from the results of the observational analysis. Firstly, the results show that physical activity play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elf-expression of a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us, it could also be said to have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ability of content-based, phonetic, and physical elements. So, physical activity play led to the enhancement of expression of the subject's own thought and brought about physical and social development. Secondly, the results also show that physical activity pla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ement in the sociability of a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The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did physical activity play together with other students, thereby smoothly forming a peer relationship showing development in social harmony. Through this study, physical activity play with a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has problems due to a lack of self-expression and sociability, was clarified to promote self-expression and higher self-confidence. Moreover, the improvement in positive self-image and sociabilit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enhancing smooth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is shows that there is a positive change in the qualitative aspect as well as a quantitative increase in self-expression and sociability. Thus, this study can be said to have a great significance.
광폭 합성보를 적용한 기둥-보접합부 개발 및 내진성능평가
문병철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The existing building structure standards only applied seismic design for buildings exposed to the ground, but as the frequency of earthquakes in Korea increases, the new building structure design standards also stipulate seismic design for underground structures. In addition, construction companies are examining solutions in response to the continuous increase in labor costs during the frame construction process in the existing rahmen structure and the sharp rise in material prices due to social problems. Accordingly, in this study, the details of the beam to column joint were developed using the wide HyFo composite beam, the deep-deck plate (D-Deck), the SRC column, and the RC column. The wide HyFo composite beam developed in this study was manufactured by cutting the plate of the existing HyFo composite beam, and the deep deck plate (D-Deck) was manufactured to enable long span installation by installing two rows of support in the center. It is designed to support the deep deck plate (D-Deck) on the wide HyFo composite beam, and it is judged that it is possible to reduce labor costs and the amount of steel by omitting the small beam and applying the composite member. he variables of the specimen for the seismic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beam to column joint were the type of column and the depth of the beam, the thickness of the diaphragm, and the number of main rebars by the column and beam, and a total of three specimens were manufactur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the seismic performance test. 1) In the case of a beam to column joint with a wide HyFo composite beam, a deep deck plate, and SRC column, the total interstory drift angle of at least 0.03rad was exhibited, and the moment of the joint was 80% or more of the nominal bending strength, so it was confirmed that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intermediate moment frame was secured.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composite intermediate moment frame can be secured if the wide HyFo composite beam developed in this study, the deep deck plate (D-Deck), and the seismic connection details of the SRC column are applied. 2)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except for the HF-RC-BM specimen,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io of the displacement capacity of the negative moment to the positive moment was about 1.5 times greater than the displacement capacity of the negative moment. In the case of negative moment, the rebar inserted inside the slab was sufficiently settled, and the total strength was reflected in the proof load without buckling. However, in the case of the positive moment, even when the concrete is filled inside the steel material exposed to the outside, it is judged that the strength is lowered due to buckling due to compression, thereby reducing the displacement capacity. ) ratio of maximum moment to yield strength ( 3)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maximum moment to the nominal bending strength is about 1.0 to 1.3 times for the strength ratio ( reflecting the specified design strength of the steel, and about 0.9 to 1.2 times for the strength ratio ( ) reflecting the material test results. The ) was confirmed to be about 1.3 to 1.6 times. Therefore, when applying the details of the seismic joints of wide HyFo composite beams, deep deck plates (D-Deck), and SRC columns, it is judged that the strength transmission of the joint is good if proper seismic details are secured. 4) The HF-SRC-BR and HF-SRC-BM specimens, which secured seismic performance beyond the composite intermediate moment frame in accordance with the building steel structure design standards, reached the yield state after 0.03 radian of the upper rebars and upper and lower diaphragms, and additional deformation capacity It was confirmed that sufficient plastic deformation was achieved by securing. However, in the case of the lower diaphragm due to negative moment, it is judged that sufficient deformation is not secured due to local buckling. 기존의 건축구조기준은 지상에 노출된 건축물의 내진설계만 이루어졌으나, 국내 지진 발생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새로운 건축물 내진설계기준에서는 지하 구조물에 대한 내진설계도 규정하고 있다. 또한 최저임금에 따른 인건비 상승과 사회적 문제로 인한 소재가격 급등에 대하여 건설사는 해결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광폭 HyFo 합성보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D-Deck), SRC 기둥 및 RC 기둥을 적용한 기둥-보 접합부 상세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광폭 HyFo 합성보는 기존 HyFo 합성보의 플레이트를 절단하여 제작하였으며,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D-Deck)는 중앙부에 2줄의 동바리를 설치하여 장경간 설치가 가능하게 제작하였다. 광폭 HyFo 합성보에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D-Deck)를 지지하도록 설계하며, 작은 보를 생략해 인건비 감소하고 합성부재를 적용하여 강재량 절감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기둥-보 접합부의 내진성능평가를 위한 실험체의 변수는 기둥의 종류와 보 춤, 다이아프램 두께, 기둥과 보의 주근 개수 등이며, 총 3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였다. 내진성능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1) 광폭 HyFo 합성보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 SRC 기둥을 적용한 기둥-보 접합부의 경우, 최소 0.03rad의 총층간변위각을 발휘하였으며, 접합부 모멘트는 공칭휨강도의 80% 이상이므로 합성중간모멘트골조의 내진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광폭 HyFo 합성보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D-Deck), SRC 기둥의 내진접합부 상세를 적용하면, 합성중간모멘트골조의 내진성능이 확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의 경우 약 1.0 ~ 1.3배, 소재시험결과를 반영한 내력비 )의 경우 약 0.9 ~ 1.2배 이며, 실험에 의한 최대모멘트와 항복강도 )는 약 1.3 ~ 1.6배로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광폭 HyFo 합성보 2) 실험결과 HF-RC-BM 실험체를 제외하고 부모멘트와 정모멘트의 변형능력 비는 부모멘트의 변형능력이 약 1.5배 이상 큰 것으로 확인되었 다. 부모멘트의 경우, 슬래브 내부에 삽입된 철근이 충분히 정착되어 좌굴 없이 전강도가 내력에 반영되었다. 그러나 정모멘트의 경우, 외부에 노출된 강재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어도 압축에 의한 좌굴로 내력이저하되고 이로 인해 변형능력이 저감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3) 실험결과 최대모멘트와 공칭휨강도의 비는 강재의 설계기준강도를 반영한 내력비( ( 의 비( 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D-Deck), SRC기둥의 내진접합부 상세를 적용하는 경우, 적절한 내진상세를 확보하면 접합부의 내력전달은 양호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4) 건축물 강구조 설계기준에 따라 합성중간모멘트골조 이상의 내진성능 을 확보한 HF-SRC-BR 및 HF-SRC-BM 실험체는 상부철근과 상·하부 다이아프램이 0.03rad 이후 항복상태에 도달하였으며, 추가적인 변형능력을 확보하여 충분한 소성변형을 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부모멘트로 인한 하부 다이아프램의 경우, 국부좌굴에 의해 충분한 변형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
금속 나노입자 형성된 SnO2-ZnO 코어-쉘 나노선의 센싱 특성
김재훈 인하대학교 대학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고감도 가스센서는 의료분야, 산업분야, 환경 모니터링, 그리고 대테러 등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1차원 구조(1-dimensional structure)의 나노재료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1차원 구조의 나노재료에는 나노선(nanowire), 나노섬유(nanofiber), 그리고 나노로드(nanorod) 등이 있다. 최근에는 나노선 및 나노섬유 등의 나노재료들을 기반으로 귀금속 촉매를 형성시키거나 코어-쉘, 또는 hollow구조 등으로 응용 구조를 변경하여 센싱 특성이 더욱 뛰어난 가스센서를 개발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는 사람의 날 숨에 포함된 유기화합물들을 분석하여 병을 진단하기 위하여 귀금속 촉매들을 나노선 및 나노섬유에 형성시켜 특정 가스에 선택적인 감응 특성을 나타낼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특정 가스에 높은 감응도와 선택성을 갖는 가스센서를 개발하기 위해 진행하게 되었고, 본 연구는 크게 3가지로 분류되어 수행되었다. 첫 째, 산화물 나노선 성장에 잘 알려진 방법인 VLS법(Vapor-Liquid-Solid)을 이용해 SnO2 나노선을 성장시켰다. 그 후 ALD(Atomic Layer Deposition)를 통해 ZnO 쉘 층을 형성하여 SnO2-ZnO 코어-쉘 나노선을 제작하였다. ZnO 쉘 층은 3.5-95 nm의 범위에서 선택되었다. 그리고 ZnO 쉘 층의 두께에 따른 센싱 거동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메커니즘들을 제시했다. 둘 째, SnO2 나노선에 4종의 금속(Pt, Pd, Au, and Ag) 나노입자들을 감마선 조사를 통해 각각 형성하였다. 이들은 각각 어떠한 특정 가스에 대한 높은 감응도와 선택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들은 순수 SnO2 나노선의 낮은 환원성 가스 감지 성능에 반하는 높은 환원성 가스 감지 능력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각각의 금속 나노입자들에 의한 새로운 센싱 거동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각각의 금속 나노입자들에 대한 센싱 메커니즘은 기 보고된 연구사례들을 통해 규명되었다. 셋 째, 위의 두 가지 연구결과의 장점들을 묶어 특정한 가스에 대한 매우 뛰어난 감응 특성과 선택성을 갖는 가스센서를 개발하기 위해 4종의 금속 나노입자들을 SnO2-ZnO 코어-쉘 나노선에 형성한 것이 마지막 연구 테마이다. 앞 서 서술한 것과 같이, 금속 나노입자를 형성한 SnO2-ZnO 코어-쉘 나노선은 매우 높은 감응도와 선택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기존의 SnO2-ZnO 코어-쉘 나노선에 사용되었던 쉘 층의 두께와는 달리하여 실험을 진행하게 되었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실험 결과 부분에 자세히 정리하였다. 이렇게 총 3가지로 분류해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이들 각각의 가스센서들에 대한 미세구조 분석 및 센싱 측정은 체계적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각각의 센서들에 대한 새로운 메커니즘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메커니즘 및 결과들은 향후 특정 가스를 검출하기 위한 선택성이 필요한 여러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사람의 날 숨에 포함된 VOCs 검출하여 특정 병을 진단할 수 있는 bio-marker로의 응용 가능성을 볼 수 있었다.
금속입자로 기능화된 자가 발열 ZnO 나노선 가스센서의 상온 감응 특성
나노선 (Nanowires)은 직경이 100 nm 이하를 갖고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1차원의 원자 또는 분자 구조를 갖는 나노 구조물을 일컫는다. 나노선은 새로운 전기적,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갖는 나노 소재의 개발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다양한 Application 재료로써의 응용 가능성이 높으며, 큰 비표면적으로 유해 화학종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 재료로써 매우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1 차원(One-dimensional structure) 나노 재료는 벌크(bulk)재료와는 달리 물리적, 화학적으로 독특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넓은 비표면적을 갖는 나노 감지 재료를 이용한 가스센서는 낮은 작동 온도에서도 저농도의 대기 오염원을 감지할 수 있어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센서의 소형화가 가능하여 최근 나노입자(nanoparticle), 나노선(nanowire), 나노섬유(nanofiber), CNT(carbon nano tube) 등과 같은 비표면적이 매우 큰 물질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촉매로써 귀금속(Au, Pt, Pd, Ag) 물질을 첨가해 나노선 표면을 개질시켜 센싱 특성을 강화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촉매제는 감도 및 반응속도의 향상뿐 아니라 특정 가스에 대한 선택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첨가제의 종류 및 첨가방식에 따라 저항 조절 및 선택성, 안정성 등 다양한 성질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는 상온에서 n형 물질인 ZnO 나노선 표면에 귀금속(Au, Pt, Pd) 종을 기능화 시켜 특정가스에 대해 높은 감응도와 선택성을 갖는 가스센서를 개발하였다. 산화물 반도체 가스센서의 대표적 측정 방식이었던 Heating에서 벗어나 상온에서 전압 인가만으로 발생되는 자가 발열 효과로 환원성 가스를 검지하는데 적용할 수 있었다. 자가 발열 효과는 소자의 열적 충격으로 인한 손상, 낮은 안정성, 높은 소비 전력과 같이 기존 한계점에서 벗어날 수 있는 측정 방식이다. 산화물 반도체 나노선의 제작방식으로는 안정적인 합성 방법 중 촉매를 이용한 VLS (vapor-liquid-solid)법을 적용하여 ZnO 나노선을 성장시켰다. 네트워킹된 ZnO 나노선 성장 후, 3종의 금속입자를 나노선 표면에 형성하는 과정을 두 가지 방식으로 제작하였다. 첫째, Au, Pt는 Sputtering 방식을 적용하여 증착한 후, 열처리(Heat treatment)과정을 거쳐 ZnO 나노선 표면에 기능화 하였다. Au층의 두께는 3 ~ 30nm로, Pt층은 5,10nm 두 조건으로 증착 후 하소 온도에 따른 입자 크기를 확인하였다. 두 금속 모두 증착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도 증가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형성된 입자의 큰 비표면적에 따른 피검가스의 감응 특성으로 Au는 10nm, Pt는 5nm의 증착 두께가 최적의 조건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Pd 금속 나노 입자는 자외선 조사(UV)방식을 적용하였고, 위와 동일한 열처리 과정을 거쳐 금속입자를 형성하였다. UV 강도(UV Intensity)는0.11mW/cm2, 조사 시간은 1 ~ 20s로 시간에 따른 금속입자의 크기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최적의 시간은 5s로 임계점을 지난 후 입자의 크기가 작아지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적 조건으로 형성된 금속 입자 기능화된 나노선 가스센서는 상온에서 자가발열 방식으로 CO, C6H6, C7H8, C2H5OH 의 4종 환원성 가스에 대해 반응성을 측정하였다. 이때 가스 반응성 측정 조건은 1 ~ 20V의 전압 인가와 0.1 ~ 50ppm의 가스 농도별 조건에서 이루어졌다. 그 결과 Au 입자는 7V의 전압에서 CO가스 10ppm에서 가장 높은 감응 특성을 나타냈으나, 타 환원성 가스에서는 감응하지 않는 거동을 보였다. 반면 Pt와 Pd 입자는 각 C7H8, C6H6 가스 50ppm으로 20V의 전압에서 최적의 가스 감응 특성을 나타냈으며, 타 환원성 가스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감응도를 나타내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된 나노선 가스센서는 금속입자 별 특정 가스에 대해 각각 높은 감응도와 선택성이 확인되었다. Au는 CO, Pt는 C7H8, Pd는 C6H6으로 기 보고된 연구사례들을 통해 규명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가열방식이 아닌 나노선 자가발열 효과를 이용하여 인가 전압에 따른 가스 감응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기 보고된 고온에서 측정된 가스별 감응 특성에 비해 감응도가 현저히 낮으나, 상온에서 측정 시 저전압 인가만으로도 기능화에 따른 선택적 가스 감응 특성 확인으로 큰 의미를 갖는다.
신형상 아연도금강판 영구거푸집보의 단면상세가 휨과 전단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진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타 공종기술의 기술적 진보에 비하여 거푸집공사는 각종 시방서 및 기술지침에서 구조체가 아닌 가설재로서 분류되어 왔다. 따라서 거푸집공사의 중요성이 간과되어 왔으며, 조립 및 해체에 의한 전용의 일반적 수준에 머물러 있다. 또한, 과거의 건설에서는 재료비의 비중이 높았기 때문에 재료의 낭비를 얿애기 위한 합리화의 비중이 높았으나, 최근 인건비 상승에 따른 노무비의 상승으로 인한 거푸집 설치 등의 가설공사 비용을 크게 증가하고 있어 최근에는 시공기술의 합리화, 시스템화 등을 통한 공기단축, 경제성 확보 등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다방면에서 기술개발을 추구하고 있으며, 그 가운데 시공의 과학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이 가능한 공사로서, 거푸집공사 관련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의 RC보의 경우 거푸집 제작 및 설치, 동바리 설치 및 해체와 같이 많은 가설공사를 필요로 하며 이는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의 증가를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탈형하여 구조체를 완성하는 일반 거푸집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Precast 방법을 도입하여 거푸집과 철근을 공장에서 미리 조립하여 현장으로 운반하는 신형상 아연도강판 영구거푸짖ㅂ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공법에서는 박판의 강재거푸집을 적극 활용하여 경제성을 도모하였고, 철근을 공장에서 선 조립, 제작하고, 이를 거푸집에 고정하여 현장에서 배근작업 및 거푸집 가설작업을 최대한 생략할 수 있도록 고안하였다. 현장에서는 양중 및 설치와 동시에 타설이 가능하며, 공기단축, 공사비절감, 안전사고 최소화, 품질의 표준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공법의 시공성을 향상시킨 신형상 아연도강판 영구거푸집 보의 전단성능 평가 및 검증을 목적으로 10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1, 2차로 나누어 휨 실험을 진행해였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1차 실험의 결과, 소재시험결과를 적용한 예상하중에 대한 최대하중의 비는 0.98~1.34이며, 평균 1.20으로 나타났다. 1차 실험의 P형 실험체는 최대하중이 평균 877.4 kN으로 RC실험체의 94.4%이다. 2) 1차 실험체의 파괴양상은 모두 명확한 사인장 균열을 보였으며, 사인장 균열 구간의 4~5개의 Rib가 하부 노치부분에서 파괴되었다. 이러한 파괴양상을 근거로 실험체의 파괴가 하부 Rib의 노치부 및 Angle의 용접부에 응력이 집중되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된다. 3) 2차 실험체는 Rib의 노치를 줄이고, Rib 단절부의 용접을 Rib의 폭만큼 실시하여 용접부의 품질을 개선한 실험체이다. Rib의 피복두께부분을 단면적에 포함시킬시 소재 시험결과를 적용한 예상하중에 대한 최대하중의 비는 1.18~1.40이며, 평균 1.26으로 나타났다. 2차 실험의 P형 실험체는 최대하중이 평균 1084.4 kN으로 RC실험체의 116.7%이다. 4)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작한 신형상 아연도강판 영구거푸집은 Rib의 노치부와 Rib 단절부의 용접품질이 실험체의 강도에 큰 영향을 미치며, 영구거푸집의 생산 시 수공용접이 아닌 자동용접을 통한 품질관리가 철저하게 이루어진다면 Rib가 철근 스터럽을 대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ompared to technological advances in other engineering technologies,form work has been classified as temporary materials, not structures,in various specifications and technical guideline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form work has been overlooked and remains at the general level of appropriation by assembly and dismantling. Also, the importance of optimization was high to eliminate waste of materials because of the high proportion of material costs in past construction.However,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labor costs, construction costs, such as the installation of mold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and the need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secure economic feasibility through rationalization and systematization of construction technology has increased recently. Therefor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echnologies related to form work construction that can improve productivity through the scientificization of construction is increasing Existing RC beams require a number of construction works, such as the fabrication and installation of form work, th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of supporting post, which results in an increase in time and cost. In this study, the precast method was introduced to improve the shortcomings of general form work, and New-Type Permanent Form of Galvanized Steel Plates was developed to pre-assemble moldsand rebars in the factory and transport them to the site. Under the proposed construction method, the economy was promoted by actively utilizing steel molds of thin plates, and the rebar assembly and form work construction task can be omitted as much as possible on site because the plant preassembles and manufactures ribs to be used instead of the stirrup. At the site,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mold as soon as it is installed and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reduce construction costs,minimize safety accidents, and standardize the quality.Therefore, this study produced 10 specimens for the purpose of evaluating and verifying the shear performance of the New-Type Permanent Formed Beam of Galvanized Steel Plates, which improved the constructivity of the existing reinforced concrete method, and conducted the bending experiment in 1st and 2nd test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obtained.1) As a result of the first experiment, the ratio of maximum load to estimated load calculated by applying the material test results was 0.98 1.34. with an average of 1.20. Type P specimens in the first experiment had a maximum load of 877.4 kN on average, 94.4% of RCspecimens.2) The destruction patterns of the primary test specimens all showed clear diagonal tension cracks, and four to five rib of the diagonal tension crack section were destroyed at the lower notch. In addition, the strain at the center and top of the Ribs in 1.0T-P-Ra and 1.0T-O-Ra specimens were less than the yield strain, but the strain at the lower part exceeded the yield strain. Based on these destruction patterns and strain, it is judged that the destruction of the specimen is caused by the concentration of stress on the notch of the lower Riband the weld of the Angle.3) The secondary specimen is an experiment that has improved the quality of the welds by reducing the notch of the Rib and welding of the Rib disconnect by the width of the Rib. When the sheath thickness of the rib is included in the cross section area, the ratio of the maximum load to the estimated load calculated by applying the material test results was 1.18-1.40 and 1.26 on average. Among the secondary specimens, the P type specimens have an average maximum load of 1084.4 kN, which is 116.7% of the RC.4) Thus, the New Type Permanent Form of Galvanized Steel Plates produced in this study has a great effect on the strength of the specimen by welding quality of the Rib and Rib notchs. If quality control through automatic welding, rather than manual welding. is thoroughly carried out in the production of Permanent Form of Galvanized Steel Plates, it is believed that Rib can replace rebarstirrups.
놀이중심 집단상담이 정신건강지수가 낮은 초등학생의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
최근 우리사회에는 집단 따돌림, 학교폭력, 자살 등 청소년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사회문제에 대한 대상 연령층의 나이가 낮아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그에 따른 학생들의 정신건강 상태가 매우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일반학생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신건강이 취약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놀이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학생들의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후 치료적 개입이 아닌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예방적 차원에서 시도되는 것이며, 실제 놀이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밝히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또 그 동안 소외되었던 아동의 놀 권리의 중요성이 재인식되고 보다 바람직한 청소년들의 취약한 정신건강에 대한 교육적 처치 및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266명을 대상으로 NEO 성격 검사를 실시한 후 정신건강지수가 45점 이하인 하위 15% 범위에 해당하는 학생을 추출하여 그 중 실험에 참가하기를 희망하는 학생 28명을 실험집단,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은 전국재의 청소년과 놀이문화 연구소에서 개발한 아자! 놀이로 하는 사회 기술 개발 ‘즐거운 만남과 사귐’ 초등학교 고학년용 집단상담 프로그램으로 본 연구자가 ‘지도자 기본 과정’을 이수한 후, 연구 목적과 대상 특성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프로그램은 매주 1회 60분씩 8회기에 걸쳐 실시하였고, 사전, 사후 각각 사회성 검사와 학교생활적응 검사를 실시한 후 공분산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놀이중심 집단상담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사회성 및 학교생활적응 능력이 유의미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놀이중심 집단상담이 정신건강지수가 낮은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학교생활적응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아동의 성장발달에 있어 놀이가 가지는 본연의 역할과 그 영향력을 입증하는 것이다. 우리사회의 청소년 정신건강 문제 해결이 무엇보다 다급한 상황에서 보다 근원적인 대책과 사전 예방책을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성장기 청소년의 주요 활동 무대인 학교에서의 개입은 교육적 차원에서 더욱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학생들이 과열 경쟁과 학업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다소 긴장을 풀고 본연의 권리이자 과업인 놀이, 그 자체를 경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이것을 지원해줄 유용한 프로그램과 교육적 처치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발히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 전인성장을 위한 밑거름이 될 뿐만 아니라, 미래의 희망인 우리 아이들이 지(智)‧덕(德)‧체(體)의 조화를 이룬 건강한 사회인으로 성장 발달해나가는데 디딤돌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sociality and school adaptation for the inferior mental health group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following hypotheses are assumed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study. First, in terms of sociality, the group which has participated in “the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improved compared to the group which has not participated. Second, in terms of school adaptation, the group which has participated in the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will be improved compared to the group which has not participate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es, among the 266 5th∼6th grade students in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Daegu, selected were 40 subjects who got the lowest mental health scores in the NEO personality test. And 28 volunteers in 40 possible subjects were finally chosen for the test and separated into two groups; 14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14 subjects for the control group.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were t-tested in preliminary te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60 minute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on a weekly basis for 8 weeks and the control group didn’t participate in the program. 8 weeks later, the post test was applied to the both groups.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the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designed by Jeon Gukjae(2014). Data from the test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SPSS Program in order to obtain means and deviation values of scores for sociality and the school adaptation and then using Covariance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sociality of the inferior mental health group in the elementary school. Second, “the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school adaptation of the inferior mental health elementary students. As verified in the above study, the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is prov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leva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ociality and school adaptation. As a result, play-centered group counseling program used in this study is effective in helping children to solve their problems, to grow and develop themselves and to adapt themselves to school through dynamic interactive play.
윤용화 國民大學校 自動車工學大學院 2012 국내석사
국내외 모터스포츠는 포뮬러 바디와 박스카 바디(양산차의 모노코크바디)로 크게 두 분류로 나뉘게 된다. 국내 경기에는 박스 카 자동차 경주인 "CJ 슈퍼레이스" 가 가장 큰 자동차 경주 대회 이다. 그래서 국내 많은 레이싱 팀 들이 "CJ슈퍼레이스" 자동차 경주에 참가하고 있다. 그러나 매년 대회 규정이 변경되고 새로운 레이싱카를 제작하여 경기를 참게 하게 되는데, 매번 새로운 레이싱카의 동적 성능을 예측하기 어렵고, 경험에 의한 기준으로 Race car를 제작한 후 서킷에서 테스트를 하면서 문제점을 개선 또는 선회 성능 향상을 위해 튜닝을 한다. 그래서 팀 리더나 드라이버의 개인적인 능력에 따라 차량 성능이 좌우 되며 많은 시간과 비용이 투자되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Race Car의 설계목표 설정에서 부터 다물체 동역학 프로그램인 Lotus suspension alalysis 와 ADAMS/ Car 를 통해 모델링 및 해석 하였으며, 정상원 선회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여 새로 개발될 Race Car의 동적 성능을 예측 및 평가를 기준을 마련 하였고. 코너링 성능 개선을 위해 롤 센터 설정 기준을 마련하여 최적화 방안을 제안 하였다.
Fire Resistance and Seismic Performance of Composite Structures
Kang, Min Jung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최근 국내에서 물류창고, 고층빌딩 등 대형 건축물 화재가 다수 발생하여, 건축물의 내화성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화재발생 시 구조부재는 온도상승에 의하여 본래의 강성을 잃고 하중 지지력이 감소한다. 구조부재의 내력 저하는 건축물의 붕괴를 유발하여 인적, 경제적 피해를 야기한다. 만약 화재 이후에도 건축물의 구조성능이 유지된다면, 부재 재사용으로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화재 피해를 입은 부재의 재사용을 위해서는 실험과 연구를 통해 학문적 근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나 구조부재의 내화성능에 관한 연구는 다수 진행된 반면, 화재 후 잔존강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로 중·대형 건축물에 적용되는 합성보 및 합성기둥을 대상으로 내화시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내화시험 후 동일한 실험체를 대상으로 구조성능실험을 실시하여 화재 후 잔존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내화피복한 U 형 합성보와 CFT 기둥은 2 시간 또는 3 시간의 내화성능을 확보하였으며, 화재 이후 구조성능은 설계기준강도를 적용한 공칭강도 이상을 발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의 내화구조는 사양설계를 기초로 적용되고 있으나, 최근 국토부 연구과제를 통해 성능설계를 적용할 수 있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다. 또한,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에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국토교통부령 641 호)’의 제 3 조 9 항에 내화구조 성능설계를 적용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나, 아직 그 사례가 적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화구조 성능설계에 이바지하기 위하여 U 형 합성보 및 CFT 기둥에 대한 내화해석을 진행하였으며, 내화시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한편, 국내·외에서 지진발생과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어, 건축구조물의 내진설계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지진은 지구 내부의 에너지가 지표로 나와 땅이 갈라지며 흔들리는 현상으로서 건축물에 하중으로 작용한다. 지진은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알 수 없으므로 모든 내진설계 대상 건축물은 지진에 견딜 수 있는 일정 강도가 확보되어야 하며, 지진의 흔들림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연성을 갖춰야 한다. 내진설계의 목표는 지진으로 인한 건축물 붕괴를 막는 것이다. 건축물의 기둥-보 접합부에서 힘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할 경우 건축물이 붕괴되는 주요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합성 기둥-보 접합부 상세를 개발하였으며, 접합부의 내진성능평가를 위해 3 개의 실물 크기 실험체를 제작해서 내진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개발된 합성 기둥-보 접합부 상세를 적용하면 합성중간모멘트골조의 내진성능을 확보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충분한 연성을 발휘하여 변형능력, 에너지소산능력 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several large-scale building fires, such as logistics warehouses and high-rise buildings, have occurred in Korea, and interest in the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buildings is increasing. In the event of a fire, the structural members lose their original stiffness due to increased temperature, and the strength decreases. The decline in the structural member's strength causes the building's collapse, causing human and economic damage. If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the building is maintained even after the fire, economic damage can be minimized by reusing members. Therefore, fire resistance tests were conducted on composite beams and columns applied to large buildings in this study. In addition, structural performance tests were conducted on the identical test specimens after the fire resistance test to evaluate the residual strength after the fire. As a result, the U-shaped composite beams and CFT columns coated with fire-resistant material secured fire resistance performance of 2 hours or 3 hours. It was confirmed that the structural performance after the fire exhibits more than the nominal strength based on the specified design strength. Fire resistance structures in Korea are applied based on specification design. However, recent research that can apply performance design has been published through a research project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refore, in this study, fire resistance analysis was conducted on U-shaped composite beams and CFT columns to contribute to the performance design of fire resistance structure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results of fire resistance tests. Meanwhile, as earthquake damage increases in domestic and overseas countries, awareness of the seismic design of building structures is increasing. The goal of seismic design is to prevent building collapse due to earthquakes. Therefore, in this study, Connection details of the composite beam-to-column were developed. In addition, to evaluate the connections' seismic performance, three full-scale test specimens were manufactured, and seismic performance tests were performed.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seismic performance of the intermediate composite moment frame was secured by applying the developed composite beam-to-column connection det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