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가장치의 롤 커플링 영향을 포함하는 함수형 현가장치에 의한 차량동역학모델 개발

        박평화 國民大學校 自動車工學專門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15

        차량동역학 해석 문제를 다룰 때 ADAMS/Car와 같은 다물체 동역학 차량모델을 활용하면 부품특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모델링으로 정확한 해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모델구축 노력과 비용이 많이 들고 실시간 해석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김상섭, 정홍규[1][2]는 차량모델을 차체와 휠을 포함하는 다물체계로 모델링하고 휠과 차체 사이의 관계를 휠 스트로크의 함수로 표현하는 함수형 현가장치 차량모델 기법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해석의 정확도가 높고 모델링 구축에 대한 비용이 적으며 효율적인 계산량으로 실시간 해석이 이루어졌다. 함수형 현가장치의 모델은 현가장치 특성시험장치(SPMD)로부터 얻어진 기구학 및 컴플라이언스 특성데이터를 활용한다. 특히 독립현가장치의 기구학적 연결관계는 양측 휠이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움직일 때의 휠 얼라인먼트 특성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독립현가장치라 할지라도 SPMD의 실험 결과를 보았을 때 휠 스트로크에 의한 휠 얼라인먼트 값이 Ride실험에 의한 결과와 Roll실험에 의한 결과 사이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 이유는 차체, 서브프레임, 롤바와 같은 연성체에 의하여 좌우 현가장치의 롤 커플링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현가장치의 특성을 적용하기 위하여 Ride변수와 Roll변수를 활용한 수정된 차량 운동방정식을 제시하였고 해석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었다.

      • A Study Based on Oxide Nanofibers Chemical Gas Sensors and Their Interface Engineering

        Akash Katoch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599

        Over past years, industrialization has benefited our society greatly in different sectors including energy, communication, transportation and medical. Besides of these developments, surrounding world is on verge of facing major hazard of environment pollution due to increasing content of toxic gases. In this regard, the detection of trace of toxic chemical gaseous species is of major concern in research society. Semiconductor oxide materials have widely been used in various areas including gas sensing applications because of their ease of detection both oxidizing and reducing gases, where the numbers of gaseous species adsorbs or desorb on the surface of material mainly counts electrical conductivity change, thereby give sensing signal. In recent years, many afford have been attempted to upgrade and miniaturization of oxide nanostructures. Among them, one-dimensional (1D) oxide nanomaterials such as nanowires, nanorods, nanospindles, nanofibers and nanotubes have been received more attention not only due to their better physical, chemical and thermal stability but also because of their higher surface area, which provides more surface active sites for incoming gas molecules than their bulk counterparts. The sensors based on single nanowire have been found significant to detect chemical species. However, the higher fabrication cost, low reliability and requirement of precise instruments for measuring infinitesimal current change during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gas molecules are major issues with them. In past few years, multiple networked nanowires and nanofibers based sensors have been used in-spite of their low sensitivity than single nanowires based sensors. The metal oxide nanofibers are of greater importance because of their unique features i.e. evolution of nanosized grains. The existence of nanograins along with higher aspect ratio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improve their sensing capabilities. In nanofibers, the electronic transport mainly depends upon the modulation of electron depleted regions formed at the interface of adjacent nanograins during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gaseous species. The number of potential barriers formed at the interfaces formed between nanograins plays a key role to estimate their sensing capabilities. We have worked on design and architects based on oxide nanofibers and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interface modification on their gas sensing properties. SnO2-ZnO composite nanofibers were synthesized via electrospinning process and their sensing properties were systematically investigated to H2 gas. The influence of ZnO content on gas sensing capability of SnO2 matrix was thoroughly investigated in comparison to their single counterparts.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grain growth under isothermal conditions on sensing capability of SnO2-ZnO composite nanofibers was also investigated. The ZnO nanograins in SnO2 remarkably improved sensing capability to H2 gas, while the grain growth in composite nanofiber was found another way to control the sensing capability. The improvement in sensing capability of SnO2-ZnO composite nanofibers to H2 gas was attributed to the bi-functional sensing mechanism: the reducing gas effect between SnO2-SnO2 nanograins and metallization effect between ZnO-SnO2 nanograins. An approach was used to fabricate a ZnO–SnO2 nanofiber–nanowire heterostructure (NNH). In this approach, SnO2 nanowire branches were grown by vapor phase growth on ZnO nanofiber stems that had been synthesized by electrospinning. For the growth of SnO2 nanowire branches, a thin Au layer was 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ZnO nanofiber stems and Sn powder was then evaporated on them. The SnO2 nanowire branches, which sprouted from the ZnO nanofiber stems, had diameters in the range of 40–60 nm. To test the potential use of the ZnO–SnO2 NNH as chemical gas sensors, the sensing properties with regard to NO2 and CO were investigated. The ZnO–SnO2 NNH possessed good and reproducible sensing responses to parts-per-million level NO2 and CO for repeated testing cycles, demonstrating its potential as a platform for chemical sensors. Modulations of the depletion width along the branch nanowires as well as modulations of the potential barriers at the grain boundaries in the stem nanofibers and at both networked homojunctions and heterojunctions between the stems and branches were also likely to be responsible for the good sensing ability of the ZnO–SnO2 NNH. Next, SnO2-ZnO (n-n type) and CuO-ZnO (p-n type) core-shell nanofibers (CSNs) sensors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detection capability to reducing and oxidizing gases. The CSN sensors were synthesized using novel two-step process, combining electrospinning and atomic layer deposition (ALD) techniques. SnO2 and CuO nanofibers were synthesized using electrospinning process and subsequently ZnO shell layers of different thicknesses were deposited by ALD. The CSN sensor was found suitable for detection of reducing gases, not for oxidizing gases. The study suggests that CSNs comprising dissimilar materials having different energy-band structures represent an effective sensing platform for the detection of low concentrations of reducing gases when the shell thickness is equivalent to the Debye length. The study further extended to investigate TiO2-ZnO double layer hollow fibers (HFs) sensor for detection of very low concentration of reducing gases. Here, the polymer fibers synthesized by electrospinning process were used as sacrificial template to obtain hollow structure. The double layers of TiO2-ZnO were subsequently deposited over polymer fibers by ALD. The sensing properties of double layer hollow fiber were mainly depend upon the outer ZnO layer thickness in comparison to inner TiO2 layer. In reducing gas environment, the double layer HFs sensor with outer shell of critical thickness showed improved sensing properties in comparison to sensors based on their single counterparts. In contrast, double layer HF sensors were not suitable for detection of oxidizing gases. The higher response for reducing gases explained by radial modulation of electron-depleted shell layer during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gas molecules. Based on electrospinning and ALD techniques, ZnO hollow fibers were synthesized. The influence of wall thickness of ZnO HFs was thoroughly investigated. Good sensitivity and dynamic reproducibly were observed for ZnO HF sensors. The wall thickness of HFs was found critical for detection of reducing gases. Instead of grain boundary sensing mechanism, the geometry of HFs is found to be critical to decide sensing capability of HFs. The study suggests that the optimization of wall thickness is necessary in order to obtain best sensing properties. In addition, the influence of grain growth on the gas sensing properties of ZnO HFs was investigated. The fabricated ZnO HFs were caclined under isothermal conditions for different interval of times. However, the sensing properties showed no dependence over grain growth, while the crystallinity factor played critical role to decide sensing capability of ZnO HFs. The crystalline quality of ZnO HF substantially improved as function of time. The sensing capabilities of synthesized ZnO HFs were investigated to typical CO reducing gas. The highly crystalline ZnO HFs showed better sensing capability to CO in comparison to ZnO HFs with low crystalline quality. Moreover, no grain growth influence was observed on sensing capability ZnO HF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optimization of crystallinity in oxide semiconductors is essential parameter for improving sensing capability.

      • 스피노자 감정이론이 상담에 주는 치료적 함의

        조문영 영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요약 이 논문의 목적은 스피노자의 감정이론을 이해하고 그가 제시하는 수동적인 감정인 정념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토대로 상담에서 감정을 더 효율적으로 치유할 방법을 모색하는데 있다. 스피노자의 감정이론을 고찰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감정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정념에 대한 극복 방법이다. 감정은 인간 본성의 결함이나 열등한 신체의 저급한 반응이 아니라 인간이 더 잘 존재하기 위해 세상을 인식하는 방식이며 판단하는 기준이다. 그러나 우리는 감정이 가진 긍정적 기능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으로 수동적 감정에 예속됨으로써 고통을 피할 수 없다. 스피노자는 이런 인간의 현실을 받아들이면서도 이런 예속에서 벗어나기 위해 능동적 감정의 회복이라는 해법을 우리에게 제시한다. 능동적 감정을 갖기 위해서는 자신의 감정에 작용하고 있는 욕망에 대해 이해하고 그것이 외부의 영향이 아닌 자신의 본성에서 야기되게 해야 한다. 또한 기쁨의 감정 경험의 축적을 통해 자신의 능력의 최대치에 가깝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우리는 능동적 감정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신체의 한계를 극복하여 적합한 인식을 가능하게 하는 공통개념을 형성을 통해서 능동적 감정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해 우리의 심리적 문제에 파고들어 갈 것이 아니라 진정한 욕망이 가능한 만남, 기쁨의 감정을 느낄 수 있는 만남, 공통관념을 형성할 수 있는 좋은 만남을 형성하고 경험해야 한다. 다음으로 스피노자의 감정 이론에서 주목할 점은 감정의 본질을 인지적인 것이나 신체적인 것으로 환원하여 보지 않고 심신통합적인 시각으로 파악하고 있다는 것이다. 감정은 외부 대상이 우리의 존재 보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판단이다. 동시에 감정은 신체적 변용의 과정에서 무의식적으로 처리되는 감정적 평가에 의한 신체의 반응으로 우리의 행위 능력의 변화를 이끌어 낸다. 이런 고찰을 통해 상담자와 내담자가 기쁨을 경험하는 만남인 상담에서 감정의 정신적, 신체적인 측면을 통합적으로 다루고 감정의 긍정적, 능동적 변화를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기존 상담이론에서 제안하는 방법, 즉 감정의 인지적 측면만 다루는 단편적 치유 방법과 부정적 감정을 문제의 핵심으로 보고 해결하려는 방법의 한계점을 벗어나 감정을 상담에서 다룰 때 감정의 단순한 분출이나 인정의 수준을 넘어 그 속에 담긴 내담자가 더 잘 살아가고자 하는 욕망과 같은 내적 자원을 찾아야한다. 그리고 상담의 초점이 변화를 이끌어낼 수 없는 부정적 감정에 집중되기보다는, 변화로 이어질 수 있는 긍정적이고 능동적인 감정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감정의 의미를 인식할 때는 의식적인 수준의 인지적인 내용과 무의식적인 수준의 신체적인 내용을 동시에 다룰 수 있어야 한다. 이런 통합적 접근을 통해 우리는 내담자의 감정을 단편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입체적이고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감정의 치유는 내담자가 새로운 변화로 나아가는 디딤돌이 될 것이다.

      • 고강도강을 적용한 HyFo 합성보의 휨성능 평가

        조성현 한국기술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Due to decreased steel prices and increased labor coasts, many steel structure system are designed. Accordingly,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composite structure system. Among these composite structure system, the composite beam has been extensively studied. Composite beam is a structure system which is the maximize member efficiency through the composite behavior of a concrete slab and steel beam. Hybrid beam is a structure system which is used different type of steel to increase member efficiency. HyFo composite beam is a new type of composite beam which combining the concept of a composite beam and a hybrid beam. Two Z-sided side plates and a bottom plate are bonded by high strength bolt to increase member efficiency by reducing the cross section of the flange at the top of the steel beam. Also, the concept of hybrid beam is applied by using the high strength steel to the bottom plate. In the present study, the bending test was proceeded to evaluate the bending performance of high steel HyFo composite beam through a 22 bending test specimens. The following conclusion were made from bending test of HyFo composite beam using high performance steel. 1) The average ratio of the test maximum load to the test yield load was 1.23, and the average ratio of the test maximum load to the predicted load was 1.24. The resistance of the HyFo composite beam stably increased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bottom plate, the increase of the beam depth, and the increase of the bottom plate thickness and strength, adding reinforcement plate. 2) Analysis of the failure mode showed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structural performance of steel materials should be sufficiently reviewed in advance before applying high strength steel ( is over 650MPa) to a bottom plate. 3) The average ratio of the maximum bending mopment of the specimens to the bending strength based on the material test result was 1.10. Resistance evaluation equation for the conventional composite beam may be used for the high strength steel HyFo composite beam. 4) If the beam depth is small, am excessive increase of the cross section area of steel may decrease the plastic deformation capacity. Thus, the cross section area of steel should be increased considering the beam size 최근 강재의 가격 하락과 건설 인건비 상승으로 강구조건축물이 다수 설계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합성구조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대두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합성보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발한 상황이다. 합성보는 콘크리트 슬래브와 강재보의 일체화를 통해 부재의 효율을 극대화시킨 구조시스템이다. 하이브리드보는 이종강재를 적용하여 부재의 효율을 증가시킨 구조시스템이다. HyFo(Hybrid Forming) 합성보는 합성보와 하이브리드보의 개념을 적용한 새로운 형상의 합성보이다. 두 개의 Z형 측판과 하부강판을 고장력 볼트로 접합한 형상으로 상부플랜지의 단면적을 줄여 부재의 효율을 증가 시켰으며, 하부강판에 고강도강을 적용하여 하이브리드보의 개념을 적용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강을 적용한 HyFo 합성보의 휨성능을 평가하기위해 총 22개의 휨실험체를 제작하여 휨실험을 진행하였다. 고강도강을 적용한 HyFo 합성보의 휨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1) 실험 항복하중에 대한 실험 최대하중의 비가 평균 1.23으로 나타났고, 예상하중에 대한 실험 최대하중의 비가 평균 1.24로 나타나, 하부강판 형상, 보 춤의 증가, 하부강판 두께 및 강도의 증가, 보강 플레이트 추가에 따라 부재의 내력이 안정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실험체 파괴양상 분석결과 하부강판에 초고강도강=650MPa 이상) 을 적용 할 시 소재의 기계적특성 및 구조성능에 대한 사전적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소재시험강도를 적용한 휨강도에 대한 실험 최대모멘트의 비가 평균 1.10으로 나타나 고강도강을 적용한 HyFo 합성보의 휨내력 평가식은 기존 합성보 휨내력 평가식을 준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 된다. 4) 강재의 단면적을 무리하게 증가시킬 경우 부재의 변형능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보 사이즈를 고려하여 강재의 단면적을 증가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언어폭력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박정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학교폭력 가해 및 피해 빈도가 가장 많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쉽게 접할 수 있는 그림책을 활용했을 때 언어폭력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K시에 소재한 B초등학교 6학년 중 동질성이 확보된 두 학급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그림책 활용 프로그램은 언어폭력과 관련된 주제로 구성하고 도서를 선정하였으며 아침 활동 시간을 이용하여 10회기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의 언어폭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이수영(2010)의 언어폭력성 검사를 활용하였고 욕설, 조롱, 희롱, 협박, 저주의 5가지 항목에 대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진행한 후 공변량분석(ANCOVA)을 통해 비교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종합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언어폭력성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다. 둘째, 언어폭력성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욕설, 조롱, 협박, 저주를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다. 셋째,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희롱을 감소시키는 데에는 효과가 있다고 보기 어렵다. 다만 이는 각 담임교사들의 희롱과 관련된 생활지도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지속적으로 실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림책 활용은 짧고 간결한 문장과 다양한 정서를 전달하는 그림을 통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언어폭력성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easily accessible picture books on the reduced verbal violence of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at recorded the highest frequency of using school violence or falling victim to it.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easily accessible picture books effect on the reduced verbal violence, this study set up the research question as follows: What effects have easily accessible picture books on the reduced verbal violence of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made two sixth grade classes, whose homogeneity was ensured at B Elementary School in K City, Gyeongsangbukdo, the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The picture book program used in the study was based on books on the topic of verbal violence and consisted of ten sessions for the morning activity hour. The verbal violence test by Lee Su-yeong(2010) was used to measure the students in verbal violence. The subjects were put to the pre- and post-test for five items, which include swearing, ridicule, molestation, threat, and curse, and the test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in ANCOVA. The findings and discussions were put together and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picture book reading program was effective for reducing the verbal violence of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Secondly, the program was effective for reducing their swearing, ridicule, threat, and curse. Finally, it was difficult to say that the program was effective for reducing their molestation, but it was because many teachers attach importance to reduction of molestat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utilization of picture books was effective for reducing the verbal violence of upp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through short and concise sentences and pictures to convey a variety of emotions. Key words: reading picture books program, verbal aggression

      • 용접 각형강관 CFT기둥의 제작방법에 따른 구조성능에 대한 실험적 연구

        김우석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세계적으로 초고층 건축물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초고층 건축물에 적용가능한 합성기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합성기두으이 경우 크게 매입형 합성기둥(SRC)과 충전형 합성기둥(CFT)이 주를 이루며, 이를 제외하고도 다양한 합성기둥이 존재하며 현재까지도 꾸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의 경우 주로 충전형 합성기둥(CFT)이 많이 사용되어진다. 충전형 합성기둥(CFT)의 경우 판재를 절곡하여 사용하는 조관형과, 판재를 용접하여 사용하는 용접형이 있다. 이 중 용접 각형강관기둥의 모서리부분 용접부상세 제작방법에 관한 연구는 아직 미비한 상태여서 이에 관한 연구가 시급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용접 각형강관 CFT기둥의 용접부상세 제작방법에 따른 기존 설계식의 적용가능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용접부상세를 주 변수로 하여 실험체를 제작하였고, 단주 압축가력실험과 매크로시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용접 각형강관 CFT기둥의 공칭압축강도에 대한 최대하중의 비(P_test/P_n)는 1.04~1.12의 범위로 나타났고, 평균은 1.08로 나타났다. 모든 실험체가 기존 공칭강도를 확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체의 제작방법과 상관없이 용접 각형강관 CFT기둥은 기존의 설계식의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용접부상세 변수와 공칭압축강도에 대한 최대하중의 비(P_test/P_n)와의 상관계수(R)는 -0.04로 나타났으며, 용접부상세 변수가 내력증가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3) 용접방법과 전단연결재의 종류에 따른 변수는 용접 각형강관 CFT기둥의 내력증가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4) 실험체의 파괴양상은 실험체의 최대하중(P_test)이후 강재와 콘크리트가 분리되면서 강재의 국부좌굴이 발생하였고 이후 크랙으로 진전되었다. 국부좌굴의 경우 대게 기둥의 양 단부에서 나타났으며, 완전용입용접의 경우 강판의 일체성을 향상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5) 매크로시험결과, 용접 각형강관 CFT기둥 용접부의 개선각도를 45°에서 50°로 상향하여 관리하면 용입부족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s the demand for skyscrapers increses, the interest in composite columns applicable to skyscrapers is also on a rising trend. Researches have examined many different composite column types, and the most common are the steel-reinforced concrete (SRC) and the concrete-filled steel tube (CFT). The CFT columns, which are widely used in Korea, have two types: the tube-shaped type done by bending the CFT columns' plate and the welded-type done by welding the CFT column's plate. However, futher research on the welded-type is needed as it is limited. Thus, in this paper, compression test and macro examination were conducted with the welding detail as the main variable to check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urrent CFT designs on the welding methods used for CFT columns. The test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maximum load to nominal strength of the CFT columns ratio ranged from 1.04 to 1.12 and has an average of 1.08. The experimental maximum load of all specimens was over the nominal strength, which suggests that the use the current CFT design on the CFT columns is possible regardless of production methods. 2) The correlation coefficient (R) between the welding detail variable, and the ratio of the experimental maximum load and nominal strength of the CFT columns was -0.04. Thus, the increase in welding detail variable did not significantly impact the experimental maximum load of the CFT columns. 3) The welding-type and bar-type variable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xperimental maximum load increase of the CFT columns. 4) Local bulking of the CFT columns were observed on each side of the CFT columns, and developed into cracks on the CFT columns after the experimental maximum load was exceeded. Complete joint penetration is expected to enhance the integrity of the plate structure. 5) Macro examination results indicate that increasing the groove angle from 45° to 50° would help to minimize the incomplete penetration of the welding area.

      • 고주파 집속 균질 합성법을 활용한 고체 전해질 Ga0.25Li6.25La3Zr2O12의 합성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박종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전고체 배터리는 기존 액체 전해질 배터리에 비해 높은 에너지 밀도와 이온 전도도를 가지며 우수한 열적 및 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해 고온 안정성이 우수하여 발화, 폭발 위험이 현저히 낮습니다. 많은 고체 전해질 재료 중에서 가넷형 Li7La3Zr2O12 (LLZO)는 대기 및 금속 리튬 양극에 대한 우수한 화학적, 전기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해 유망한 후보입니다. 가넷형 LLZO에는 tetragonal상과 cubic상의 결정구조를 가지게 되는데 격자상수에 따라 Li 이온이 이동가능한 공간의 차이로 인해 이온전도도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Cubic상의 LLZO를 합성하기 위해 소량 금속을 도핑하는데 대표적으로 Al과 Ga이 사용된다. 이를 합성하는 방법 중 공침법을 주로 이용한다. 공침법은 pH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조절제를 사용하고 합성된 분말의 형태 및 크기의 제어가 어려우며 장비구축비용이 비싼 편이고 넓은 공간의 확보가 필요하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고주파 집속 균질 합성법을 적용하여 Cubic상의 LLZO를 합성하였고, 이는 기존의 합성법인 공침법 대비 공정과정의 간편화와 시간단축으로 인해 시간대비 생산량이 우수하고 화학양론 비의 정확한 제어가 가능하며 균질화 과정을 통해 입자 크기를 나노수준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전지특성의 관점에서 나노입자를 사용함으로써 고체전해질 내에 빈 공간이 적어 Li이온이 방해요인 없이 원활하게 이동이 가능하다. 합성된 Ga0.25Li6.25La3Zr2O12 분말을 이용하여 펠렛과 시트를 제작하였고 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여 고체전해질의 특성을 평가하였습니다. 펠렛의 경우, Ga0.25 Li6.25La3Zr2O12 분말의 일정량을 몰드에 압축 및 소결하여 치밀한 Ga0.25Li6.25La3 Zr2O12 세라믹 펠렛을 제조하였고, 결정구조 분석 및 이온전도도 측정을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펠렛의 경우 4.88E-04 S/cm의 이온전도도 값을 보였고, 시트의 경우 4.18E-04 S/cm의 값을 보였다. 이는 순수 LLZO의 이온전도도인 ~10-6 S/cm에 비해 100배 높은 이온전도도 값을 보이며 Ga0.25 Li6.25La3Zr2O12의 이온전도도로 알려진 ~10-4 S/cm와 비슷한 수준의 결과를 보입니다. 또한, 시트의 셀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코인셀(CR2032)을 제조하여 첫 충방전 테스트와 율 특성 및 사이클 특성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LFP인 양극재의 이론용량 대비 97% 수준인 165mAh/g의 용량을 보였고, 1.0C 충방전 시 용량이 떨어지지만 이후 0.1C에서 셀의 회복력을 통해 안정성을 확인하였고, 충방전테스트를 통해 양극, 음극간의 안정적인 리튬이온 전달을 확인하였습니다. 고주파 집속 균질 합성법은 최초로 시도하여 얻은 결과이며 높은 이온 전도도를 가지는 Ga0.25Li6.25La3Zr2O12 고체전해질을 합성하는데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 All-solid-state batteries have higher energy density and ionic con-ductivity than conventional liquid electrolyte batteries, and have ex-cellent high-temperature stability due to their excellent thermal and chemical stability, resulting in significantly lower risk of ignition and explosion. Among many solid electrolyte materials, garnet-type Li7La3Zr2O12 (LLZO) is a promising candidate due to its excellent chemical and electrochemical stability for atmospheric and metallic lithium anodes. Garnet-type LLZO has a crystal structure of a tetrag-onal phase and a cubic phase, and the ionic conductivity differs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space where Li ions can move depending on the lattice constant. Al and Ga are typically used to doping a small amount of metal to synthesize cubic LLZO. Among the methods for synthesizing this, coprecipitation is mainly used. The coprecipitation method uses a controller to keep the pH constant, and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shape and size of the synthesized powder, the equip-ment construction cost is high, and it is necessary to secure a large space. However, in this study, cubic phase LLZO was synthesized by apply-ing a high-frequency focusing homogeneous synthesis method, which has the advantage of excellent production per hour, accurate control of stoichiometric ratio, and nano-level control through ho-mogenization due to the simplification and time reduction of the process compared to the existing synthesis method, coprecipitation. By using nanoparticles in terms of battery characteristics, there is lit-tle empty space in the solid electrolyte, so Li ions can move smoothly without any obstacles. Pellets and sheets were fabricated using the synthesized Ga0.25Li6.25La3Zr2O12 powder, and the properties of the solid electrolyte were evaluated by measuring the ionic conductivity. For the pellets, a certain amount of Ga0.25Li6.25La3Zr2O12 powder was put into a mold, and then compressed and sintered to prepare a dense Ga0.25Li6.25La3Zr2O12 ceramic pellet, and crystal structure analysis and ionic conductivity measurements were performed. As a result, the pellets showed an ion conductivity value of 4.88E-04 S/cm, and the sheets showed a value of 4.18E-04 S/cm. It shows an ion conductivity value that is 100 times higher than that of pure LLZO, ~10-6 S/cm, and shows a result similar to that of ~10-4 S/cm, which is known as the ion conductivity of Ga0.25Li6.25La3Zr2O12. In addition, in order to confirm the cell characteristics of the sheet, a coin cell (CR2032) was manufactured, and the first charge/discharge test and rate and cycle characteristics tests were conducted. As a result, it showed a capacity of 165mAh/g, which is 97% of the theoretical capacity of the LFP cathode material, and although the capacity drops when charging and discharging at 1.0C, stabil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cell's resilience at 0.1C afterwards, and stable lithium ion transfer between the anode and the cathode was con-firmed through charge and discharge tests. The high frequency fo-cusing homogeneous synthesis method was obtained for the first time, and it is thought that it could be a good way to synthesize Ga0.25Li6.25La3Zr2O12 solid electrolyte with higher ion conductivity.

      •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정은영 영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정 은 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학전공 (지도교수 김 상 섭, 이 윤 주) 요  약 본 연구는 학업을 중단한 남녀 청소년을 대상으로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거주하는 학업을 중단한 남녀 청소년 중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학업중단 청소년 8명을 대상으로 단일집단을 구성하였으며, 참여 청소년 중 심층면담에 참가할 수 있는 학업중단 유형별 3명을 선별하여 사례 설계를 하였다. 본 연구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자아존중감 척도, 대인관계문제 척도를 사용하여 사전, 사후 설문을 실시하였고 심층면담과 행동관찰을 통해 대상자별 변화양상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본 연구의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학업중단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대인관계문제 감소에 효과적이었다. 자아존중감의 사전, 사후검사 점수 분석 결과에서 전체 평균 점수가 상승했고, 하위요인의 7가지 모든 영역의 점수가 상승하면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인관계문제 검사의 사전, 사후 점수 분석 결과에서 대인관계문제 전체 평균 점수가 감소하였고 8가지 하위영역에서 7개의 하위 요인의 점수가 감소했고, 이 중 5개의 하위 요인의 점수가 현저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자기표현 훈련 프로그램이 대인관계문제 해결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은 대상자별 학업중단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변화 양상을 나타내었다. 대상자별 척도분석 자료와, 회기별 관찰내용 분석 자료 및 심층 면담과 분석내용을 토대로 한 변화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척도분석결과에서 3명의 학업중단 대상자중 2명의 자아존중감 점수가 상승하였고 대인관계문제 점수는 대상자 3명의 점수가 모두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회기별 관찰내용과 심층면담을 통한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 변화를 살펴 본 결과에서는 프로그램 참여로 인해 긍정적인 자기표현행동이 증가함으로써 대인관계 경험에서 오는 갈등해결에 자신감을 회복하고 집단을 통해 타인에게 존중받고 지지적인 인정을 받는 경험을 통해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게 되었다. 또한 학업중단 이후 소속감의 충족과 친밀한 또래 관계를 형성하는 등의 긍정적 변화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기표현훈련 프로그램이 학업중단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에 대해 논의하였다.

      • EPS 장착 차량의 조타감 개선을 위한 On-Center Handling 특성 분석

        경진실 國民大學敎 自動車工學專門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On-center handling feel indices are the important factors that meaning performance of manuability and stability felt by drivers. They should be considered at steering system design. The indices contains steering sensitivity, steering torque gradient, steering stiffness and returnability. The effective factors are stiffness, damping, and friction elements of steering system and suspension and EPS characteristic curve shape. In this paper, interaction formulas of steering feel indices are developed based on steering system dynamics model modeled to predict on-center handling feel. And the formulas are developed for each type of EPS, column type and rack type. All of the error between the results of analysis and of formulas are under 3%. Further, the parametric studies were done to analyze the effects of steering system characteristics on handling feel. Considered characteristics are EPS attached location and torsion bar stiffness, equivalent friction level of steering column and pinion, EPS torque curve shape. Through the parametric studies, the shape of EPS torque curve was defined to the most effective factor on steering torque gradient, one of on-center handling feel indices. And this paper proposed the method to extract EPS torque map satisfying target steering torque gradient by inversing the interaction formula. Design equation is defined as one equation regardless the type of EPS.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applied the method was proper because the error was under 3% for both EPS typ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