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심공원 이용주체별 만족도 조사를 통한 활성화 방안 모색 : 올림픽공원을 중심으로

        황재국 한국체육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올림픽공원 이용주체별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통해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3년 현재 서울특별시에 소재하는 올림픽공원에서 이용목적별로 올림픽공원 이용객, 올림픽공원 내 공연장 이용객, 올림픽스포츠센터 이용객으로 분류하여 각 이용주체별 19세 이상의 남ㆍ여 성인 각 160명씩, 총 480명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임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중 결측항이나 이중표기가 있는 설문지를 제외한 461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도구로서 올림픽공원 이용객의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질문지는 이재만(2012)이 보문산공원 야간이용실태 및 활성화 방안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토대로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올림픽공연장 이용객의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만족도 질문지는 이정직(2011)이 뮤지컬ㆍ발레 공연관람 만족도와 충성도를 위한 공연이벤트에 관한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올림픽스포츠센터 이용객의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만족도 질문지는 김정현(2006)이 상업스포츠센터 고객들의 생활방식 특성에 따른 서비스 만족도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α 값은 .817~.942이다. 조사절차는 해당 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ering method)으로 설문지를 완성하게 한 후 회수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자료 등은 분석에서 제외시키고, 유효 표본만을 Windows 용 SPSS/PC+ 15.0 Version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올림픽공원 이용주체별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품질과 이용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올림픽공원 이용객의 서비스 품질은 이용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올림픽공원 내 공연장 이용객의 서비스 품질은 이용만족도 및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올림픽스포츠센터 이용객의 서비스 품질은 이용만족도와 재방문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태권체조 참가자의 자아탄력성이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호진 한국체육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태권체조 참가자들의 자아탄력성이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태권도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해 2015년 3월 1일∼3월 30일까지 경기도A시에 소재된 태권체조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수련장 5곳을 방문하여 중학생 237명을 대상으로 SPSS 21.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성발달에 따른 결과에서는 사회성발달의 지도성은 여자(3.89±.78)가 남자(3.62±.69)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성발달에 따른 결과에서는 자아탄력성의 자율행동은 2학년(2.90±1.03)이 1학년(2.36±.96)과 3학년(2.64±.83)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급수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성발달에 따른 일원다변량분석(MANOVA)을 실시한 결과 자아탄력성의 긍정행동(1품=4.83±.13), 친밀행동(1품=4.83±.27)에서 1품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사회성발달의 근면성에서도 1품(4.56±.70)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넷째, 운동시간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성발달에 따른 결과에서는 자아탄력성의 긍정행동(2시간 이하=4.43±.43), 긍정사고(2시간 이하=4.52±.38)에서 2시간 이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참여기간에 따른 자아탄력성, 사회성발달에 따른 결과에서는 자아탄력성의 긍정행동(1년 이상~2년 미만=4.49±.57), 긍정사고(1년 이상~2년 미만=4.58±.41)에서 1년 이상~2년 미만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자율행동에서는 2년 이상~3년 미만(3.04±.88)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성발달에서는 근면성이 1년 이상~2년 미만(3.98±.87) 가장 높게 나타났다.

      • 초등학생의 건강 체력 수준이 체육수업 태도에 미치는 영향

        권영도 한국체육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건강 체력 수준에 따라 학생들이 체육수업 참여에 어떠한 태도를 보이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신체활동 및 체력의 중요성을 학생들에게 인식시켜 평생스포츠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연구 변인과 가설을 선정하였으며, 변인에서는 개인적 특성을 배경변인으로, 건강 체력 수준을 독립변인으로, 체육수업 태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 필요한 자료 수집은 서울시 송파구에 소재하고 있는 J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기평가기입법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도구로는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로 학생의 건강 체력을 측정하였으며, 조흥식(1997), 주우선(1997), 도미경(2001), 안대일(2002)의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김현진(2006)의 질문지로 체육수업 태도를 설문하였으며, 질문지의 신뢰도는 Cronbach α=.928로 높게 나타났다. 자료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에 대해서는 SNK(Student-Newman- Keuls)를 사용하여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의수준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 1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 체력 수준은 여자가 남자보다 총점 및 상위 급수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 횟수의 경우도 운동 횟수가 많을수록 건강 체력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 건강 체력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체육수업 태도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 횟수의 경우도 운동 횟수가 많을수록 체육수업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학년별 체육수업 태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건강 체력 수준에 따른 체육수업 태도는 체력 수준이 높을수록 흥미도, 자신감은 높게 나타났으나, 집중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공공체육시설 이용자의 여가동기와 지역사회 애착도 및 운동지속도의 관계

        송낙영 한국체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공공체육시설 이용자의 여가동기와 지역사회 애착도 및 운동지속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4년 현재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는 공공체육시설에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만 20세 이상 남ㆍ여 성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총 301명을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도구로서 여가동기 질문지는 Beard와 Ragheb(1983)이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기본적인 욕구 즉 여가동기를 묻는 질문지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지역사회 애착도 질문지는 Samposn(1988)의 연구를 바탕으로 송상섭(2011)이 지역사회 애착도 연구에서 사용한 것을 설문내용을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운동지속도 질문지는 최성훈(2005)이 개발한 ‘한국형 운동지속 검사지’를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α 값은 .631~.911이다. 조사절차는 해당 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ering method)으로 설문지를 완성하게 한 후 회수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자료 등은 분석에서 제외시키고, 유효 표본만을 Windows 용 SPSS/PC+ 15.0 Version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표준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체육시설 이용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동기와 지역사회 애착도 및 운동지속도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여가동기는 연령, 참여빈도, 참여기간에서, 지역사회 애착도는 성별, 연령, 직업,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에서, 운동지속도는 성별, 연령, 학력, 수입, 참여빈도, 참여시간, 참여기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공공체육시설 이용자의 여가동기는 지역사회 애착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동기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동기, 지적 동기, 휴식적 동기 요인은 지역사회 애착도의 하위변인인 정체성, 의존성, 친분성 요인에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유능적 동기 요인은 지역사회 애착도의 하위변인인 정체성, 의존성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공공체육시설 이용자의 여가동기는 운동지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동기의 모든 하위변인인 사회적 동기, 유능적 동기, 지적 동기, 휴식적 동기 요인은 지역사회 애착도의 모든 하위변인인 운동습관, 운동친구, 운동능력, 운동관심, 운동환경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공공체육시설 이용자의 지역사회 애착도는 운동지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지역사회 애착도의 모든 하위변인인 정체성, 의존성, 친분성 요인은 운동지속도의 모든 하위변인인 운동습관, 운동친구, 운동능력, 운동관심, 운동환경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 아동의 태권도 예절교육이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용규 한국체육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아동의 태권도 예절교육이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3년 현재 서울시 소재하는 태권도 도장에서 태권도 수련을 하고 있는 초등학교 학생 중 4, 5, 6학년 이상 남․여 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총 431명을 표집 선정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도구로서 예절교육 설문지는 장경선(1993), 이용국(2003), 이고범(2005), 김상민(2011) 등이 사용한 설문내용을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자아존중감 설문지는 최보가와 전귀연(1993), 김국일(2004), 김민지(2009), 홍성일(2011) 등이 사용한 설문내용을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학교생활태도 설문지는 김명숙(2003), 이고범(2005), 이상빈(2011) 등이 사용한 설문내용을 본 연구의 목적과 내용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의 신뢰도인 Cronbach's α 값은 .524~.917이다. 조사절차는 해당 지역을 직접 방문하여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ering method)으로 설문지를 완성하게 한 후 회수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신뢰성이 떨어진다고 판단되는 자료 등은 분석에서 제외시키고, 유효 표본만을 Windows 용 SPSS PASW Sfatistics 18 Version 을 이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 분석(Pearson’s Correlation Analysis)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분석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라 예절교육, 자아존중감, 학교생활태도에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95% 신뢰수준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예절교육과 자아존중감의 상관관계와 영향관계에서의 분석결과는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은 (R²=0.229, F=25.242, p<.001)로 99.9% 신뢰수준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태권도 예절교육과 학교생활태도와의 상관관계와 영향관계에서의 분석결과는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은 (R²=0.396, F=55.809, p<.001)로 99.9% 신뢰수준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태권도 예절교육은 자아존중감 향상을 매개로 하여 아동의 학교생 활태도와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단순회귀분석(sim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한 결과 회귀식은 (R²=0.461, F=183.197, p<.001)로 99.9% 신뢰수준 이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이 생활태도 및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순택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국문요약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이 생활태도 및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 순 택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생활체육전공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이 생활태도 및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태권도 수련 후 학교 생활태도면, 일상생활태도면, 사회적인면, 정서적인면에 대해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분석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8년 현재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태권도 도장에서 수련중인 남, 여 초등학생 1학년부터 6학년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선행연구의 설문지를 본 연구 도구에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을 통해 재구성하여 작성하였으며, 학년별, 수련기간별로 나누어 인구통계학적특징 2문항, 학교생활태도면 10문항, 일상생활태도면 12문항, 사회적인면 11문항, 정서적인면 8문항 등 총 43문항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평정측도는 Likert Scale 5단계로 구성 하였으며, 측정된 자료는 Windows용 SPSS 18.0 Version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처리 하였다. 빈도분석과 요인분석, 신뢰도분석을 하였고, 요인분석 결과 추출된 학교생활태도면(학교수업 요인), 학교생활태도면(친구관계 요인), 일상생활태도면, 사회적인면, 정서적인면(정서1 요인), 정서적인면(정서2 요인)의 6개 요인으로 학년별, 수련기간별로 나누어 일원변량분석을 하였으며,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검증을 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 P<.05에서 검증하였으며, 자료 처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태권도 수련 초등학생들의 학년별에 따른 생활태도 및 사회성 발달은 일원변량 분석결과 학교생활태도면(학교수업 요인) F=0.425, p=.654, 학교생활태도면(친구관계 요인) F=1.138, p=.322, 일상생활태도면 F=0.633, p=.532, 사회적인면 F=1.193, p=.305, 정서적인면(정서1 요인) F=1.025, p=.361, 정서적인면(정서2 요인) F=0.903, p=.407로 나타났으며, 학년별에 따른 생활태도 및 사회성발달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태권도 수련 초등학생들의 수련기간에 따른 생활태도 및 사회성 발달은 일원변량 분석결과 학교생활태도면(학교수업 요인) F=4.973, p=.002, 학교생활태도면(친구관계 요인) F=4.138, p=.007, 일상생활태도면 F=2.155, p=.094, 사회적인면 F=3.876, p=.010, 정서적인면(정서1 요인) F=3.773, p=.011, 정서적인면(정서2 요인) F=3.889, p=.010로 나타났으며, 일상생활태도면 에서는 수련기간별 발달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학교생활태도면(학교수업 요인), 학교생활태도면(친구관계 요인), 사회적인면, 정서적인면(정서1 요인), 정서적인면(정서2 요인) 에서는 모두 수련기간별 발달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은 초등학생의 태권도 수련이 수련전과 비교해서 수련 후에 학교생활태도, 일상생활태도, 사회적인면, 정서적인면에서 향상되었으며, 태권도 수련은 초등학교 학생들에게 생활태도 및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된다.

      • 태권도 선교활동 참여자의 친사회적행동 및 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여은구 한국체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It is very meaningful to investigate how Taekwondo mission participation affects pro-social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basic data for taekwondo missionary activities to form the right self and personality of youth. Taekwondo aims to contribute to settlement as a world-class sport beyond the national sports leve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distributed to the youth who visited the church in Seoul as of 2018 and conducted Taekwondo mission activities from March 1 to March 18. A total of 300 people, 150 in 5 churches in A and 150 in 5 churches in B, were selected using Convenient Sampling method (Convenientssampling method) duri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 3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and 271 copies were recovered. 258 copi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13 copies, which were judged to be unfaithful or missing part of the survey. The data processing method uses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Stastic Package of Social Science) 18.0 Version, and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and data processing methods have been concluded.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lping cycle in the gender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grad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helping cycle and self consciousnes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training classes in the cycle of help, cooperation, and self-consciousness. During the training perio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ycle of help, cooperation, and self - consciousnes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social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among participants in Taekwondo mission activities showed static correlation (.01). Third, prosocial behavior showed a statistically static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This result shows that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between prosocial behaviors of participants in Taekwondo mission activities. Taekwondo mission activities are positive by improving prosocial behaviors due to self, personality formation, service spirit, It is judged that a red life is formed. 본 연구는 태권도 선교활동 참여자의 친사회적행동과 생활만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청소년들의 올바른 인격형성과 더불어 건전한 민주시민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교육적 자료로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2018년 현재 서울에 소재된 교회를 방문하여 태권도 선교 활동을 하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3월 1일∼3월 18일까지 배포하였다. A구 5개 교회 150명, B구 5개 교회 150명 씩 총 300명을 무선표집을 이용하여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72부를 회수하였고, 불성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14부를 제외한 258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를 처리하기 위하여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연구목적에 맞는 연구방법을 통해 자료를 처리 한 결과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별에서는 도움주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서는 도움주기, 자아의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련급수에서는 도움주기, 협동하기, 자아의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련횟수에서는 협동하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련기간에서는 도움주기, 협동하기, 자아의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권도 선교활동 참여자의 친사회적행동과 생활만족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적상관(ρ<.01)을 보였다. 셋째, 친사회적행동은 생활만족에 통계적으로 정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태권도 선교활동 참여자들은 친사회적행동이 생활만족에 정적인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태권도 선교활동은 참여자들의 자아 및 인격형성, 봉사정신, 배려심 등으로 친사회적행동이 향상됨으로써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삶이 형성된다고 판단된다.

      • 골프장 시설환경에 따른 고객서비스 만족도와 재방문의도와의 관계

        유경서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599

        Recently, the most participated sport receiving utmost attention as leisure life is paid attention and sports industry develops is golf (Kim Yongho, 2015). The reason for this is increase of GPD, 5 day work-week leading to increased leisure time which lays the foundation of attention on health. Along with that, phenomenal performances from Korean golfers in foreign competitions have been a big reason for increased supply for golf. Size of gold industry expands day and day. Golf production market as well as a consumer market, thus increasing size of golf industry is inevitable. Therefore, the study based on its aforementioned needs has its purpose in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olf institution environment and service satisfaction for customers according to personal preference. It was examined that golf institution environ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on revisits, and service satisfaction also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on revisits. Such study results is limited in golf course located in KyungKi, and has limitation of not considering any other affected variables other than study purpose. If continuous study is conducted related to this, various influential factors of golf institution on customers can be analyzed. 여가생활이 주목을 받고 스포츠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하면서 최근 참여 스포츠로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종목은 골프이다(김용효, 2015). 이는 국민의 소득증대와 주 5일제 근무 실시 등으로 인한 여가시간의 증가로 건강에 대한 관심증대가 기반이 되었으며, 더불어 국내 골프선수들이 해외 경기에서 보여준 뛰어난 활약이 골프 수요 증가에 큰 이유가 되었다. 오늘날 골프 산업의 규모는 나날이 커지고 있다. 골프는 소비재시장 이외에 생산재 시장이기도 하므로 골프산업의 시장 규모는 점점 커질 수밖에 없는 사업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앞서 제시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개인적 특성에 따라 골프장의 시설 환경에 따른 고객 서비스 만족도와의 연관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골프장의 시설환경이 고객만족도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할 수 있었으며, 서비스 만족 역시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기도에 소재하는 골프장으로 한정되었으며, 연구를 위하여 설정한 배경 외에 다른 변수에 영향을 받는 부분에 대하여 고려하지 못했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골프장 시설환경이 고객들에게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분석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직장인의 스포츠활동 재미요인과 여가만족 및 자아실현의 관계

        김성련 한국체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직장인의 스포츠활동 재미요인과 여가만족 및 자아실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4년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는 스포츠센터에서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20대 이상 남ㆍ여 직장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총 272명을 표집하였다.본 연구는 2014년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하는 스포츠센터에서 생활체육에 참여하고 있는 20대 이상 남ㆍ여 직장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총 272명을 표집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한 도구로서 재미요인 질문지는 김병준(1999)과 임우택, 김영재(2006)가 선행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기초로 재구성한 것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여가만족 질문지는 Beard와 Ragheb(1980)이 개발하고 한국 실정에 맞게 이종길(1992)이 번역한 여가만족척도(Leisure Satisfaction Scale)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자아실현 질문지는 POI(Personal Orientation Inventory; Shostrom, 1964)를 설기문(1995)이 한국 실정에 맞게 번안하여 사용한 자아실현 척도를 기초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도구의 신뢰도를 뜻하는 Cronbach's α 값은 .818~.949이다. 조사절차는 해당 지역의 스포츠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참여자들이 자기평가기입법(self-administering method)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응답내용이 부실하거나, 이중표기 등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자료는 분석에서 제외시키고, 유효 표본만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프로그램은 Windows 용 SPSS/PC+ 15.0 Version을 활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중다회귀분석(standa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본 연구의 가설을 대해 분석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활동에 참여하는 직장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재미요인과 여가만족 및 자아실현은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재미요인은 직업, 참여빈도, 참여종목에서, 여가만족은 성별, 참여강도, 참여종목에서, 자아실현은 성별, 연령, 직업, 참여기간, 참여빈도, 참여강도, 참여종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활동에 참여하는 직장인의 재미요인은 여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재미요인의 하위변인인 연습과 혜택 요인은 여가만족의 하위변인인 신체적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유능성 지각 요인은 여가만족의 하위변인인 신체적 만족, 사회적 만족, 환경적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승리와 경쟁 요인은 여가만족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만족과 환경적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스포츠활동에 참여하는 직장인의 재미요인은 자아실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재미요인의 하위변인인 연습과 혜택 요인은 자아실현의 하위변인인 자아긍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유능성 지각 요인은 자아실현의 하위변인인 자발성과 자아긍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승리와 경쟁 요인은 자아실현의 하위변인인 자발성, 자아긍정성, 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넷째, 스포츠활동에 참여하는 직장인의 여가만족은 자아실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즉 여가만족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만족 요인은 자아실현의 하위변인인 자발성과 자아긍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신체적 만족 요인은 자아실현의 하위변인인 자아긍정성과 자발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환경적 만족 요인은 자아실현의 하위변인인 자발성, 감수성, 자아긍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